KR101564721B1 -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 - Google Patents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721B1
KR101564721B1 KR1020150046166A KR20150046166A KR101564721B1 KR 101564721 B1 KR101564721 B1 KR 101564721B1 KR 1020150046166 A KR1020150046166 A KR 1020150046166A KR 20150046166 A KR20150046166 A KR 20150046166A KR 101564721 B1 KR101564721 B1 KR 101564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support
bridge
lower structure
support
exi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호
공천석
이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울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울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울이앤씨
Priority to KR1020150046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Abstract

교량의 하부구조물 및 상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는 교량받침에 있어서, 열화된 기존 교량받침을 신규 교량받침으로 교체할 경우, 측면 보강판 및 측면 앵커볼트를 하부구조물 코핑부 양 측면에 설치하고, 신규 교량받침을 기존의 앵커볼트와 접합시키지 않고 지압 상판과 접합시킴으로써 기존의 콘크리트 깨기 없이 신규 교량받침의 설치가 가능하며, 또한, 콘크리트 깨기와 콘크리트 양생 없이 신규 교량받침을 교체함으로써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현장에서의 설치 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신규 교량받침의 교체시 공장에서 사전에 제작된 보강재인 지압 상판을 이용하여 설치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신규 교량받침의 교체와 동시에 별도의 작업 없이 코핑부 보강이 가능한,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 {CONSTRUCTION METHOD FOR REPLACING BRIDGE BEARING WITHOUT DAMAGING OF LOWER STRUCTURE}
본 발명은 교량받침의 교체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교량의 하부구조물 및 상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는 교량받침(Bridge Bearing)에 있어서, 열화된 기존 교량받침을 신규 교량받침으로 교체할 경우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크게 상부구조물, 하부구조물 및 기초로 이루어지고, 이때, 상부구조물은 직접하중을 지지하는 상판과 빔 부분으로 구성되고, 하부구조물은 교각, 교대 및 앵커와 지탑 등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기초는 하부구조물 본체에서 힘을 바닥에 전달하고, 교각 및 교대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는 상부구조물의 충격을 흡수하는 교량받침(교좌장치)이 설치된다.
이러한 교량받침은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의 접점에 위치하면서 상부구조물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하부구조물에 전달하고, 지진, 바람, 온도 변화 등에 안전하게 적응하게 하는 장치로서, 교량 하중에 대응하여 신축을 흡수함으로써 교량의 변위를 교각이나 교대에 직접 전달하지 않게 하고, 교량의 완충 기능을 원활하게 하고, 교량의 내구수명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교량받침의 종류로는 포트받침, 탄성받침, 스페리컬 받침 등으로 구분되며, 교량의 종류나 수직 및 수평의 하중, 이동량, 회전량, 받침의 마찰계수 등과 같은 여러 사항을 고려하여 그에 따른 교량받침을 선정하게 된다. 또한, 계절에 따른 온도변화에 의해 교량 상판의 신축에 대비하여 교량받침을 선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가동 형태의 받침은 고정단 받침 및 일방향과 양방향의 가동단 받침으로 구분되며, 예를 들면, 교량 상판의 끝단 일측에는 고정단을 구비시키고, 타측으로는 일방향과 양방향 가동단 받침을 설계기준에 따라서 배치시키면서 교량 상판의 신축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량받침은 상부구조물을 구성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연결하는 신축이음장치의 파손으로 인하여 누수는 물론 이물질이 침투되어 금속 부분에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교량받침이 고무제품인 경우, 쉽게 파손되어 교량받침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함에 따라 교량 상판과 교각이 파손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교량받침은 자연상태의 마모 및 탄성률 저하 등의 원인에 의해 일정한 주기로 교체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교량받침은 교량받침의 수명, 내진기준의 강화, 사용목적 변경 등에 의해 기존 교량받침을 제거하고 신규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사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와 관련하여 교량받침과 하부구조의 연결에 대한 특별한 시공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시, 교량받침 교체에 대한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신설받침의 설치와 같이 기존의 교량받침에 적용된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하부구조물과 교량받침을 연결하는 구조를 계속해서 적용하고 있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 공법의 동작흐름도이고, 도 2a 내지 도 2e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 공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 공법은, 먼저, 하부구조물(10)과 상부구조물(20) 사이에 유압잭(310) 및 잭업보강재(32)를 설치한다(S10). 구체적으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잭(31)을 설치할 위치는 상기 유압잭(31)의 제원을 정확하게 숙지한 후 현장 실측 후에 설치하고, 상기 유압잭(31)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며, 상재하중이 하부에 수직으로 전달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유압잭(31)의 상부 및 하부에는 집중하중이 발생되지 않도록 지압판(33)이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교체할 기존 교량받침(40)을 제거하고, 받침앵커(34)를 절단한 후 콘크리트 깨기를 수행한다(S20). 구체적으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잭(31)으로 상부구조물(20)을 인양한 후에 교체할 기존 교량받침(40)을 제거하고, 받침앵커(34)를 절단한다. 이때, 콘크리트 깨기 및 기존 받침앵커(34)의 절단시 상기 하부구조물(10)에 매립된 내부철근(11)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받침보강철근(35) 및 솔 플레이트(Sole Plate: 36)를 설치한다(S30). 구체적으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체할 교량받침 위치의 보강을 위해 받침보강철근(35)이 설치되고, 상기 솔 플레이트(36)를 상기 상부구조물(20)의 하부에 부착하되, 이때, 상기 솔 플레이트(36)는 상기 상부구조물(20)이 강재 박스인 경우 상기 상부구조물(20)의 하부에 용접한다.
다음으로, 신규 교량받침(50)을 코핑부 상에 거치한 후 고정시킨다(S40). 구체적으로,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규 교량받침(50)은 인양시 공장에서 제작한 연결고리 또는 밴드 형식의 로프를 사용하여 손상을 방지한다. 이러한 교량받침(50)의 위치는 정확히 코핑부 상에 표시하여 종방향 및 횡방향 중심선에 설치하여 직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신규 교량받침(50) 자리에 초속경 모르타르(60)를 타설한다(S50). 구체적으로,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속경 모르타르(60)의 강도는, 예를 들면, fck = 45MPa 이상이어야 하고, 건조수축이 우려되는 경우, 습윤 양생을 하여야 하며, 하중의 재하는 소요강도 이하에서 작용시키지 않아야 한다.
한편,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 공법의 경우, 도 3a에 도시된 기존 교량받침(40)을 신규 교량받침(50)으로 교체하기 위해서 상기 신규 교량받침(50)의 앵커가 상기 하부구조물(10) 내에 근입되도록 하부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이때, 하부구조물(10)의 내부철근(11)을 절단하면, 상기 하부구조물(10)에 피해가 우려되므로 내부철근(11)의 손상 없이 하부 콘크리트만 상기 신규 교량받침(50)의 앵커의 설치 위치까지 제거해야 한다. 예를 들면, 신설 교량의 경우, 내부철근(11)의 피해 없이 콘크리트만 제거하는 작업이 가능할 수 있으나, 기존 교량받침(40)을 신규 교량받침(50)으로 교체할 경우, 상부구조물(20), 잭업(Jack-up)장치 등에 의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공간이 매우 협소하여 공기가 지연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 공법의 경우, 신규 교량받침(50)의 앵커 위치에 의해 코핑부의 내부철근(11)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규 교량받침(50)의 앵커에 의해 내부철근(11)이 간섭될 경우, 내부철근(11)이 절단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 공법의 경우, 받침보강철근(35)의 배치가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 공법에서 받침보강철근을 배치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블록(51) 상에 신규 교량받침(50)이 교체되는 경우, 이러한 받침블록(51)에 받침보강철근(35)의 배치가 가능하지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규 교량받침(50) 교체시 받침블록(51)이 없는 경우, 받침보강철근(35)의 배치가 불가능해진다. 즉, 상기 받침블록(51)이 없는 경우, 받침보강철근(35)을 배치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내부철근(11)의 밑으로 설치해야 하지만, 이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999-84207호에는 "상부ㅇ 하부 앵커볼트가 체결된 앵커볼트를 이용한 교좌장치의 설치 및 보수공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상부 및 하부 앵커볼트가 체결된 앵커볼트를 이용한 교량받침의 설치 및 보수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상부 및 하부 앵커볼트가 체결된 앵커볼트를 이용한 교량받침은, 수직으로 기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h), 상기 관통홀(h)에 매입된 앵커볼트(75, 76), 받침 콘크리트(74), 베이스 플레이트(77), 와셔(79)와 너트(78), 교량받침(73) 및 교량의 상부구조물(72)로 구성된다.
상기 관통홀(h)은 교대 또는 교각의 코핑부(71)의 상부에 기형성된 것으로, 상기 앵커볼트(75, 76)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앵커볼트(75, 76)는 교량받침의 베이스 플레이트(77)를 받침 콘크리트(77)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부 앵커볼트(75)와 하부 앵커볼트(76)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앵커볼트(75)는 나사부와 앵커체결부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하부 앵커볼트(76)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상단부와 교대 또는 교각의 다수개의 구멍(h)에 삽입되는 앵커바 형상의 하단부로 구분된다.
상기 교량받침(73)은 교량의 상부구조물의 변위,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한 것이며, 하부 플레이트, 중간재, 상부 플레이트, 솔 플레이트(Sole Plate)로 구성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상부 및 하부 앵커볼트가 체결된 앵커볼트를 이용한 교량받침의 경우, 앵커볼트를 상부 및 하부 앵커볼트로 구분하여 체결함으로서 어떠한 손상에 의해 교량받침의 앵커볼트를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손상된 상부 앵커볼트 부분만을 교체함으로써 교량받침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해지며, 또한, 코핑부에서 앵커볼트 일부만 제거함으로써 코핑부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상부 및 하부 앵커볼트가 체결된 앵커볼트를 이용한 교량받침의 경우, 열화된 기존 교량받침을 신규 교량받침으로 교체하는 것이 아니고, 교량받침의 앵커볼트를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 단지 손상된 상부 앵커볼트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다.
한편, 교량의 수평력을 전달하는 방식에 있어서, 기존 교량받침은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하부의 받침앵커볼트가 코핑부나 슈블록 콘크리트의 수평 내부철근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반드시 코핑부에서 콘크리트 깨기에 의한 콘크리트의 손상과 받침앵커볼트의 절단에 따른 내부철근이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96869호(출원일: 2009년 11월 13일), 발명의 명칭: "스크류를 이용한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948359호(출원일: 2009년 6월 24일), 발명의 명칭: "교량받침 기능을 하는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722220호(출원일: 2006년 3월 22일), 발명의 명칭: "교량 포트받침용 내진 보강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1-29301호(공개일: 2011년 3월 23일), 발명의 명칭: "교량용 거더의 단부균열 방지체 및 그 시공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999-84207호(공개일: 1999년 12월 6일), 발명의 명칭: "상부ㅇ 하부 앵커볼트가 체결된 앵커볼트를 이용한 교좌장치의 설치 및 보수공법"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9-102266호(공개일: 2009년 9월 30일), 발명의 명칭: "교각의 빔 인상 플레이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교량의 하부구조물 및 상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는 교량받침에 있어서, 열화된 기존 교량받침을 신규 교량받침으로 교체할 경우, 측면 보강판 및 측면 앵커볼트를 하부구조물 코핑부 양 측면에 설치하고, 신규 교량받침을 기존의 앵커볼트와 접합시키지 않고 지압 상판과 접합시킴으로써 기존의 콘크리트 깨기 없이 신규 교량받침의 설치가 가능한,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콘크리트 깨기와 콘크리트 양생 없이 신규 교량받침을 교체함으로써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현장에서의 설치 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내부철근의 절단이 없어 하부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신규 교량받침의 교체시 공장에서 사전에 제작된 보강재인 지압 상판을 이용하여 설치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신규 교량받침의 교체와 동시에 별도의 작업 없이 코핑부 보강이 가능한,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은, 교량의 하부구조물 및 상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된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에 있어서, a) 하부구조물의 양 측면에서 측면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측면 보강판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하부구조물의 코핑부 상에 유압잭 및 잭업보강재를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유압잭을 사용하여 상부구조물을 인양하고, 기존 교량받침을 제거하는 단계; d) 상기 측면 보강판 상에 지압 상판을 설치하는 단계; 및 e) 신규 교량받침을 상기 지압 상판에 거치하고 서로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 보강판 및 측면 앵커볼트가 교량 상부구조물에서 발생한 교축, 교축직각방향 수평력을 상기 하부구조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c) 단계에서 기존 교량받침의 제거는 콘크리트의 깨기 없이 수행되고, 기존 앵커볼트는 제거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하부구조물 코핑부에 보강재인 상기 지압 상판이 들어갈 수 있도록 평탄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신규 교량받침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사전에 공장에서 제작된 지압 상판을 상기 하부구조물 코핑부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지압 상판과 상기 측면 보강판은 용접 접합, 볼트 접합 또는 요철 접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신규 교량받침과 상기 지압 상판은 용접 접합, 볼트 접합 또는 요철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면 보강판 및 측면 앵커볼트를 하부구조물 코핑부 양 측면에 설치하고, 신규 교량받침을 기존의 앵커볼트와 접합시키지 않고 지압 상판과 접합시킴으로써, 기존의 콘크리트 깨기 없이 신규 교량받침의 설치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콘크리트 깨기 작업을 최소화함으로써 하부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기존 내부철근의 제거 없이 신규 교량받침의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잭업(Jack-up) 기간을 최소화하여 신규 교량받침의 시공중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콘크리트 깨기와 콘크리트 양생 없이 신규 교량받침을 교체함으로써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현장에서의 설치 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내부철근의 절단이 없어 하부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규 교량받침의 교체시 공장에서 사전에 제작된 보강재인 지압 상판을 이용하여 설치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신규 교량받침의 교체와 동시에 별도의 작업 없이 코핑부 보강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 공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 공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 공법에서 받침보강철근을 배치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상부 및 하부 앵커볼트가 체결된 앵커볼트를 이용한 교량받침의 설치 및 보수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구조물(110) 및 상부구조물(120) 사이에 기존 교량받침(210)이 설치되고, 이때, 기존 교량받침(210)은 하부구조물(110)에 매립된 앵커볼트(220)와 체결된다. 이러한 기존 교량받침(210)의 열화에 의해 신규 교량받침(340)으로 교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은, 하부구조물(110) 코핑부에 측면 보강판(310) 및 측면 앵커볼트(320)가 설치되고, 상기 측면 보강판(310) 상에 보강재인 지압 상판(330)을 거치하여 접합시키고, 이후, 상기 지압 상판(330) 상에 신규 교량받침(340)을 거치하여 접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의 경우, 하부구조물(110) 코핑부에서 기존 앵커볼트(220), 내부철근, 콘크리트 손상 없이 기존 교량받침(210)을 신규 교량받침(340)으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측면 앵커볼트(320)와 측면 보강판(310)이 교량 상부구조물(120)에서 발생한 교축, 교축직각방향 수평력(내진)을 하부구조물(110)로 전달함으로써 하중전단력의 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의 동작흐름도이고, 도 8a 내지 도 8d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은, 교량의 하부구조물(110) 및 상부구조물(120) 사이에 설치된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으로서, 먼저, 하부구조물(110)의 양 측면에서 측면 앵커볼트(320)를 사용하여 측면 보강판(310)을 설치한다(S110). 구체적으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열화된 교량받침(210)을 제거하기 전에 상기 하부구조물(110)의 코핑부 측면에 측면 보강판(310)을 설치하고, 측면 볼트앵커(320)로 상기 측면 보강판(310)을 고정한다. 이때, 상기 하부구조물(110)의 코핑부 측면은 상기 교량받침(210) 하부의 기존 앵커볼트가 형성된 부분보다 작업 조건이 우수하며, 공기와 안전성에 영향이 있는 잭업(Jack-up)과 무관하게 교체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구조물(110)의 코핑부 상에 유압잭 및 잭업보강재(도시되지 않음)를 각각 설치한다(S120).
다음으로, 상기 유압잭을 사용하여 상부구조물(120)을 인양하고, 기존 교량받침(210)을 제거한다(S130). 구체적으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교량받침(210)의 제거는 콘크리트의 깨기 없이 수행할 수 있고, 기존 앵커볼트(220)는 제거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하부구조물(110)의 코핑부에 보강재인 지압 상판(330)이 들어갈 수 있도록 평탄 작업을 실시한다. 이에 따라 기존의 콘크리트 깨기 작업이 없기 때문에 공기가 매우 단축될 뿐만 아니라 잭업(Jack-up) 기간 또한 매우 단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측면 보강판(310) 상에 지압 상판(330)을 설치한다(S140). 구체적으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교량받침(210)을 제거한 후, 사전에 공장에서 신규 교량받침(340)과 연결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지압 상판(330)을 상기 하부구조물(110)의 코핑부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지압 상판(330)은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압 상판(330)과 상기 측면 보강판(310)의 접합은 용접 접합, 볼트 접합 또는 요철 접합이 가능하다. 특히, 기존 교량의 코핑부는 보강이 필요한 경우가 많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지압면 보강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신규 교량받침(340)을 상기 지압 상판(330)에 거치하고 서로 접합시킨다(S150). 구체적으로,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규 교량받침(340)과 상기 지압 상판(330)의 접합은 용접 접합, 볼트 접합 또는 요철 접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현장에서 신규 교량받침(340)의 설치와 관련하여 별도의 콘크리트 작업이 필요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측면 앵커볼트(320)와 측면 보강판(310)이 교량 상부구조물(120)에서 발생한 교축, 교축직각방향 수평력(내진)을 하부구조물(110)로 전달함으로써 하중전단력의 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에 따르면, 측면 보강판(310) 및 측면 앵커볼트(320)를 하부구조물(110) 코핑부 양 측면에 설치하고, 상기 신규 교량받침(340)을 기존의 앵커볼트(220)와 접합시키지 않고 지압 상판(330)과 접합시킴으로써, 기존의 콘크리트 깨기 없이 신규 교량받침(340)의 설치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깨기 작업을 최소화함으로써 하부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기존 내부철근의 제거 없이 신규 교량받침의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잭업(Jack-up) 기간을 최소화하여 신규 교량받침(340)의 시공중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콘크리트 깨기와 콘크리트 양생 없이 신규 교량받침(340)을 교체함으로써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현장에서의 설치 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신규 교량받침의 교체시 공장에서 사전에 제작된 보강재인 지압 상판(330)을 이용하여 설치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신규 교량받침의 교체와 동시에 별도의 작업 없이 코핑부 보강이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하부구조물
120: 상부구조물
210: 기존 교량받침
220: 기존 앵커볼트
310: 측면 보강판
320: 측면 앵커볼트
330: 지압 상판
340: 신규 교량받침

Claims (6)

  1. 교량의 하부구조물(110) 및 상부구조물(120) 사이에 설치된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에 있어서,
    a) 하부구조물(110)의 양 측면에서 측면 앵커볼트(320)를 사용하여 측면 보강판(310)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하부구조물(110)의 코핑부 상에 유압잭 및 잭업보강재를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유압잭을 사용하여 상부구조물(120)을 인양하고, 기존 교량받침(210)을 제거하는 단계;
    d) 상기 측면 보강판(310) 상에 지압 상판(330)을 설치하는 단계; 및
    e) 신규 교량받침(340)을 상기 지압 상판(330)에 거치하고 서로 접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 보강판(310) 및 측면 앵커볼트(320)가 교량 상부구조물(120)에서 발생한 교축, 교축직각방향 수평력을 상기 하부구조물(11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기존 교량받침(210)의 제거는 콘크리트의 깨기 없이 수행되고, 기존 앵커볼트(220)는 제거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하부구조물(110) 코핑부에 보강재인 상기 지압 상판(330)이 들어갈 수 있도록 평탄 작업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신규 교량받침(340)과 연결이 가능하도록 사전에 공장에서 제작된 지압 상판(330)을 상기 하부구조물(110) 코핑부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지압 상판(330)과 상기 측면 보강판(310)은 용접 접합, 볼트 접합 또는 요철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신규 교량받침(340)과 상기 지압 상판(330)은 용접 접합, 볼트 접합 또는 요철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
KR1020150046166A 2015-04-01 2015-04-01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 KR101564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166A KR101564721B1 (ko) 2015-04-01 2015-04-01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166A KR101564721B1 (ko) 2015-04-01 2015-04-01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4721B1 true KR101564721B1 (ko) 2015-11-02

Family

ID=54599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166A KR101564721B1 (ko) 2015-04-01 2015-04-01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72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976B1 (ko) 2016-05-30 2016-11-21 주식회사 특수건설 플랫잭을 이용한 대형구조물의 자동 리프팅 제어방법
CN107620262A (zh) * 2017-09-20 2018-01-23 广东和立土木工程有限公司 一种保留全部锚固螺栓的盆式支座更换施工方法
KR102318700B1 (ko) 2021-03-12 2021-10-28 주식회사 천세씨앤이 다중 플레이트를 이용한 교량 받침장치 교체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이 이루어진 교량 받침장치
CN114541284A (zh) * 2022-02-28 2022-05-27 浙江交工金筑交通建设有限公司 桥梁板式橡胶支座更换的支架体系的施工方法
KR102570578B1 (ko) 2022-09-20 2023-08-29 (주)지승씨앤아이 안전사고의 위험성과 민원 및 구조물 손상이 없는 신속한 교좌장치의 교체 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739Y1 (ko) 2002-06-11 2002-10-04 김해영 교량 보수를 위한 인상용 잭 받침대
JP2004308108A (ja) 2003-04-01 2004-11-04 Bbm:Kk 既設弾性支承装置のベースプレートを利用した機能分離型の支承装置に補修する補修構造および補修工法
KR100938429B1 (ko) 2009-06-11 2010-01-29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와이어 쏘우를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739Y1 (ko) 2002-06-11 2002-10-04 김해영 교량 보수를 위한 인상용 잭 받침대
JP2004308108A (ja) 2003-04-01 2004-11-04 Bbm:Kk 既設弾性支承装置のベースプレートを利用した機能分離型の支承装置に補修する補修構造および補修工法
KR100938429B1 (ko) 2009-06-11 2010-01-29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와이어 쏘우를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공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976B1 (ko) 2016-05-30 2016-11-21 주식회사 특수건설 플랫잭을 이용한 대형구조물의 자동 리프팅 제어방법
CN107620262A (zh) * 2017-09-20 2018-01-23 广东和立土木工程有限公司 一种保留全部锚固螺栓的盆式支座更换施工方法
CN107620262B (zh) * 2017-09-20 2019-08-16 广东和立土木工程有限公司 一种保留全部锚固螺栓的盆式支座更换施工方法
KR102318700B1 (ko) 2021-03-12 2021-10-28 주식회사 천세씨앤이 다중 플레이트를 이용한 교량 받침장치 교체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이 이루어진 교량 받침장치
CN114541284A (zh) * 2022-02-28 2022-05-27 浙江交工金筑交通建设有限公司 桥梁板式橡胶支座更换的支架体系的施工方法
KR102570578B1 (ko) 2022-09-20 2023-08-29 (주)지승씨앤아이 안전사고의 위험성과 민원 및 구조물 손상이 없는 신속한 교좌장치의 교체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721B1 (ko)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
KR100948359B1 (ko) 교량받침 기능을 하는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방법
CA2918395C (en) Pre-stressed steel structure and method for pre-stressing a steel structure
KR100977280B1 (ko) 교각의 빔 인상 플레이트
KR101668465B1 (ko) 유지보수가 가능한 회전형 앵커시스템을 포함하는 교좌장치
KR102024665B1 (ko) 교량 상판 인상 시스템
KR101696450B1 (ko) 교량 상부구조물 리프팅 장치와 이를 이용한 교량받침 교체 시공방법 및 교량 하부구조물 교량받침 시공방법
KR101066837B1 (ko) 받침기능을 보유하고 탈락방지가 가능한 탈착식 교량용 인상장치
KR20070115813A (ko)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
KR101897099B1 (ko) 무인상 교량받침 시공방법
JP7009724B2 (ja) 柱梁架構改修方法及び改修柱梁架構
JP6567920B2 (ja) 道路橋の伸縮装置及び道路橋の伸縮装置の施工方法
KR101605011B1 (ko) 교량 하부구조물 보수보강공법
JP5754920B2 (ja) 橋梁における支承部の可動化工法
KR20120100052A (ko) 유압잭을 이용한 측방유동교각 보정방법 및 세굴 보강구조
JP5041481B2 (ja) 既設支承装置の更新方法及び更新構造
KR20070115473A (ko)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
KR100952182B1 (ko) 탄성 교좌장치의 설치방법
KR200290739Y1 (ko) 교량 보수를 위한 인상용 잭 받침대
KR100564093B1 (ko) 발포성 고무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구조
JP6586305B2 (ja) 既設橋梁の架替工法
KR100344236B1 (ko) 상부·하부 앵커볼트가 체결된 앵커볼트를 이용한 교좌장치의 설치 및 보수공법
KR20190143101A (ko) 교량의 상부 구조물 인상시스템 및 컴퓨터 제어를 이용한 교량의 상부 구조물 인상공법
KR20150144155A (ko) 교량 받침의 교체에 관한 시공방법 및 그 교량 받침
KR102194606B1 (ko) 교량유지보수 및 점검을 위한 무앵커 조립식 브라켓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