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4155A - 교량 받침의 교체에 관한 시공방법 및 그 교량 받침 - Google Patents
교량 받침의 교체에 관한 시공방법 및 그 교량 받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44155A KR20150144155A KR1020140072923A KR20140072923A KR20150144155A KR 20150144155 A KR20150144155 A KR 20150144155A KR 1020140072923 A KR1020140072923 A KR 1020140072923A KR 20140072923 A KR20140072923 A KR 20140072923A KR 20150144155 A KR20150144155 A KR 201501441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anchor
- bridge
- opening
- gir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거더(20)에 고착된 앵커 플레이트(131)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며 내측에 형성된 개구부(37A)를 통하여 앵커 플레이트(131)에 대하여 용접되기 위한 소피 플레이트(37), 소피 플레이트(37)에 결합되기 위한 솔 플레이트(32), 탄성적으로 거더(20)를 받치기 위한 탄성체(34), 솔 플레이트(32)에 대하여 탄성체(134)를 결합시키기 위한 상부 플레이트(33), 및 교각(10)에 대하여 탄성체(34)를 결합시키기 위한 하부 플레이트(35)로 이루어지는 교량 받침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 받침의 교체에 관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 받침의 파손, 변형이나 용량 부족 등으로 인하여 교량 받침을 교체하여 시공함에 있어서 교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교량 받침의 교체시 발생되는 콘크리트의 구조적 손상 및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교량 받침의 교체 시공방법 및 그 교량 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교각과 상기 교각에 올려지는 상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판은 사, 활하중 등에 의하여 발생되는 변위와 온도변화 및 크리프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변위에 대응할 수 있게 교량받침장치를 매개로 설치된다.
교량받침은 상부 구조의 하중을 하부구조에 전달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충격 및 수평변위를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지속적인 사용에 따른 파손, 변형이나 용량 부족 등으로 인하여 교량받침의 교체가 필요하다.
또한 최근 한반도와 주변지역에 지진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이로 인해 구조물에 대한 지진 피해의 위협이 점차 증대하고 현실화되고 있는 실정으로 지진으로부터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재해 및 재난 방지에 만전을 기하고자 내진성능평가 및 내진보강공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내진설계가 적용되지 않는 교량에 대하여 보강계획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교량받침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도 1은 종래 교량 받침에 있어서 교량 받침의 노후화 내지 내진 용량의 규격 미달에 따른 교량 받침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교량 단면도이다. 교량 받침의 노후화 내지 내진 용량의 규격 미달에 따른 교량 받침의 교체와 관련된 종래 교량 받침의 교체 시공방법은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도 1과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교량 받침의 교체 시공 방법에 의하면, 먼저, 교각(10) 위에 유압장치(40)를 설치하여 유압장치(40)에 의하여 거더(20)를 교각(10)에 대하여 인상시킨다. 그 후, 교량 받침(130)을 제거한다.
이 때, 교량 받침(130)의 제거시 교량 받침(130)의 하부 플레이트(135)와 교각(10) 사이의 고정을 위한 앵커볼트(136)를 제거하며, 거더(20)에 교량 받침(130)의 고정을 위한 앵커 플레이트(131)를 포함한 솔 플레이트(sole plate; 132), 상부 플레이트(133), 탄성체(134), 하부 플레이트(135)를 제거한다.
한편, 앵커 플레이트(131)가 제거된 거더(20)의 공간(22)은 필요에 따라 채움이 이루어진다.
이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규의 용량이 큰 교량 받침(130N)이 교각(10)과 거더(20) 사이에 제공된다. 이 때, 교각(10)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하부 플레이트(135N), 탄성체(134N), 상부 플레이트(133N) 및 솔 플레이트(132N)가 위치하게 되며, 솔 플레이트(132N)와 거더(20) 사이에는 거더(20)의 횡방향을 가로질러 거더(20)의 측면을 감싸도록 연장된 보강 플레이트(137N)를 설치하며, 보강 플레이트(137N)와 거더(20)의 측면은 앵커 볼트(138)에 의하여 결합시킨다.
이후, 유압장치(40)에 의하여 인상된 거더(20)를 인하한 후에 유압장치(40)를 제거하여 교량 받침의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이러한 교량 받침의 교체 시공 방법에 의하면, 앵커 플레이트(131)의 제거시 거더(20)를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하여 파손 과정이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에 거더(20)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재생 작업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고 있다.
또한, 종래 교량 받침의 교체 시공 방법에 있어서 보강 플레이트(137N)의 크기가 적어도 거더(20)의 횡단 길이보다 커야 할 뿐만 아니라 거더(20)의 측면에 대응하는 절곡각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보강 플레이트(137N)의 설치 작업시 정확하게 교량 받침에 대응하는 위치에 안착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교량 받침의 교체 시공시에 반드시 보강 플레이트(137N)를 거더(20)의 측면에 대하여 앵커 볼트로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교량 받침(130N)의 용량에 관계없이 내진의 효과와 용량의 효과를 저감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교량 받침의 교체 시공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 받침의 교체시 교량의 충격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여 교량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량 받침의 교체에 관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량 받침의 교체시 정확한 교량 받침 교체의 작업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교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량 받침의 교체에 관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거더(20)에 고착된 앵커 플레이트(131)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며 내측에 형성된 개구부(37A)를 통하여 앵커 플레이트(131)에 대하여 용접되기 위한 소피 플레이트(37), 소피 플레이트(37)에 결합되기 위한 솔 플레이트(32), 탄성적으로 거더(20)를 받치기 위한 탄성체(34), 솔 플레이트(32)에 대하여 탄성체(134)를 결합시키기 위한 상부 플레이트(33), 및 교각(10)에 대하여 탄성체(34)를 결합시키기 위한 하부 플레이트(35)로 이루어지는 교량 받침이 제공된다.
여기서, 소피 플레이트(37)는 앵커 플레이트(131)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진 평판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플레이트 내측에는 앵커 플레이트(131)에 대하여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기 위한 개구부(37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앵커 플레이트(131)는 소피 플레이트(37)의 개구부(37A)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소피 플레이트(37)의 개구부(37A)와 용접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피 플레이트(37)의 개구부(37A)는 소피 플레이트(37)의 내측에서 중앙 중심축에 대하여 좌우 대칭이되는 개구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피 플레이트(37)는 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며, 개구부는 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피 플레이트(37)의 개구부(37A)는 교량의 내하 용량이나 내진 용량에 따라 앵커 플레이트(131)와 소피 플레이트(37) 사이의 용접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개구면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피 플레이트(37)의 개구부(37A)의 외곽선은 솔 플레이트(32)의 평면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피 플레이트(37)의 모서리 부분에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37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솔 플레이트(32)는 수평으로 설치된 교각(10)의 상부에 설치된 탄성체(34)에 대하여 거더(20)의 경사를 주기 위한 플레이트로서 소피 플레이트(37)와 탄성체(34)의 상부 플레이트(33)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 사이에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32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 플레이트(35)는 탄성체(34)의 하면에 결합된 플레이트로서 교각(10)에 대하여 앵커볼트(36)에 의하여 고정되기 위한 고정공(35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33)와 하부 플레이트(35) 사이에는 교량을 이루는 거더(2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체(3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유압장치(40)에 의하여 거더(20)를 교각(10)에 대하여 인상시키는 제1 단계, 거더(20)에 교량 받침(130)의 고정을 위한 앵커 플레이트(131)를 제외한 솔 플레이트(132), 상부 플레이트(133), 탄성체(134), 하부 플레이트(135)를 제거하는 제2 단계, 앵커 플레이트(131)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며 그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개구된 개구부(37A)를 가진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소피 플레이트(37)를 앵커 플레이트(131)에 대하여 개구부(37A)의 모서리를 매개하여 용접이 이루어지는 제3 단계, 및 앵커 플레이트(131)에 대하여 개구부(37A)를 통하여 용접에 의하여 결합된 소피 플레이트(37)에 대하여 교각(10)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하부 플레이트(35), 탄성체(34), 상부 플레이트(33) 및 솔 플레이트(32)가 위치하도록 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교량 받침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유압장치(40)의 인하에 의하여 거더(20)를 인하시킴과 동시에 추가적으로 체결부재(38)의 계속적인 체결에 의하여 소피 플레이트(37), 솔 플레이트(32) 및 상부 플레이트(33)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의 시공방법.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교량 받침의 교체시 교량의 충격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여 교량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교량 받침에 있어서 교량 받침의 노후화 내지 내진 용량의 규격 미달에 따른 교량 받침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교량 단면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종래 교량 받침의 교체에 관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시공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교량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받침의 교체에 관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교체되는 교량 받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받침의 교체에 관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시공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교량 단면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종래 교량 받침의 교체에 관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시공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교량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받침의 교체에 관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교체되는 교량 받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받침의 교체에 관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시공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교량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받침의 교체에 관한 시공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받침의 교체에 관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교체되는 교량 받침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받침의 교체에 관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시공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교량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받침의 교체와 관련된 교량 받침(30)은 거더(20)에 고착된 앵커 플레이트(131)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며 내측에 형성된 개구부(37A)를 통하여 앵커 플레이트(131)에 대하여 용접되기 위한 소피 플레이트(soffit plate; 37), 소피 플레이트(37)에 결합되기 위한 솔 플레이트(32), 탄성적으로 거더(20)를 받치기 위한 탄성체(34), 솔 플레이트(32)에 대하여 탄성체(34)를 결합시키기 위한 상부 플레이트(33), 및 교각(10)에 대하여 탄성체(34)를 결합시키기 위한 하부 플레이트(35)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량 받침의 교체시, 앵커 플레이트(131)는 거더(20)로부터 제거되지 않고 앵커 플레이트(13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만이 교체되어 제공된다.
소피 플레이트(37)는 앵커 플레이트(131)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진 사각형의 평판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플레이트 내측에는 앵커 플레이트(131)에 대하여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기 위한 개구부(37A)를 구비한다. 앵커 플레이트(131)에 표시된 참조번호 131A는 소피 플레이트(37)의 개구부(37A)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서 소피 플레이트(37)의 개구부(37A)와 용접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나타낸다.
소피 플레이트(37)의 개구부(37A)는 소피 플레이트(37)의 내측에서 중앙 중심축에 대하여 좌우 대칭이되는 사각형의 개구부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피 플레이트(37)의 개구부(37A)는 소피 플레이트(37)의 내측 중심축에 대하여 좌우 대칭의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교량의 내하 용량이나 내진 용량에 따라 앵커 플레이트(131)와 소피 플레이트(37)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효 용접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개구면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받침에 있어서 앵커 플레이트(131)와 소피 플레이트(37) 사이의 결합력의 증가는 소피 플레이트(37)의 개구부(37A)의 개구 단면 모서리의 길이에 비례한다. 이와 같은 개구 단면 모서리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소피 플레이트(37)의 개구부(37A)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소피 플레이트(37)의 개구부(37A)의 외곽선은 솔 플레이트(32)의 평면 내에 위치한다.
또한, 교체되는 교량 받침의 용량 증가에 비례하여 탄성체(34)의 크기와 용량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소피 플레이트(37)의 크기도 증가한다.
소피 플레이트(37)의 모서리 부분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37a)을 구비한다.
솔 플레이트(32)는 수평으로 설치된 교각(10)의 상부에 설치된 탄성체(34)에 대하여 거더(20)의 경사를 주기 위한 플레이트로서 소피 플레이트(37)와 탄성체(34)의 상부 플레이트(33)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 사이에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32a))을 구비한다.
하부 플레이트(35)는 탄성체(34)의 하면에 결합된 플레이트로서 교각(10)에 대하여 앵커볼트(36)에 의하여 고정되기 위한 고정공(35a)을 구비한다.
상부 플레이트(33)와 하부 플레이트(35) 사이에는 교량을 이루는 거더(2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체(34)가 구비된다.
탄성체(34)는 고무, 폴리우레탄 등의 탄성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지며, 수직 하중에 대한 강성 보강을 위하여 강재로 이루어진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SUS 플레이트와 불소수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지진 격리 장치이거나, 납-고무 베어링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받침의 교체에 관한 시공방법에 대하여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교각(10) 위에 유압장치(40)를 설치하여 유압장치(40)에 의하여 거더(20)를 교각(10)에 대하여 인상시킨다. 그 후, 교량 받침(130)을 제거한다.
이 때, 교량 받침(130)의 제거시 교량 받침(130)의 하부 플레이트(135)와 교각(10) 사이의 고정을 위한 앵커볼트(136)를 제거하며, 거더(20)에 교량 받침(130)의 고정을 위한 앵커 플레이트(131)를 제외한 솔 플레이트(132), 상부 플레이트(133), 탄성체(134), 하부 플레이트(135)를 제거한다. 이 때, 기존의 앵커 플레이트(131)와 솔 플레이트(132) 사이에 결합을 해체하기 위하여 앵커 플레이트(131)와 솔 플레이트(32) 사이에 고온 가열에 의하여 이들 사이를 분리함으로써, 앵커 플레이트(131)로부터 소피 플레이트(37)의 분리시 거더(20)에 충격에 따른 파손을 방지한다.
이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규의 용량이 큰 교량 받침(30)이 교각(10)과 거더(20) 사이에 제공되도록 하기 위하여, 앵커 플레이트(131)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며 그 중심축에 대하여 좌우 대칭적으로 개구된 개구부(37A)를 가진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소피 플레이트(37)를 앵커 플레이트(131)에 대하여 개구부(37A)의 모서리를 매개하여 용접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소피 플레이트(37)의 개구부(37A)와 앵커 플레이트(131) 사이에 용접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기존의 작은 앵커 플레이트(131)에 대하여 큰 단면적을 가진 소피 플레이트(37)를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량 받침의 대용량에 따른 소피 플레이트(37), 솔 플레이트(32) 및 탄성체(34)의 용량과 크기에 맞게 이들을 설치할 수 있다.
이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거더(20)에 매립되어 고착된 앵커 플레이트(131)에 대하여 개구부(37A)를 통하여 용접에 의하여 결합된 소피 플레이트(37)에 대하여 교각(10)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하부 플레이트(35), 탄성체(34), 상부 플레이트(33) 및 솔 플레이트(32)가 위치하도록 하며, 이 때, 교각(10)에 형성된 앵커공(15a)에 대응하는 하부 플레이트(35)의 체결공(35a)이 교각(10)의 앵커공(15a)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앵커볼트와 같은 체결부재(36)에 하부 플레이트(35)와 교각(10)을 결합시킨다.
한편, 소피 플레이트(37), 솔 플레이트(32) 및 상부 플레이트(33)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된 체결공(37a, 32a, 33a)에 대하여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38)에 의하여 소피 플레이트(37), 솔 플레이트(32) 및 상부 플레이트(33)를 결합시킨다.
이후, 유압장치(40)의 인하에 의하여 거더(20)를 인하시킴과 동시에 추가적으로 체결부재(38)의 계속적인 체결에 의하여 소피 플레이트(37), 솔 플레이트(32) 및 상부 플레이트(33)를 보다 긴밀하게 결합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받침의 교체에 관한 시공방법에 의하면, 교량 받침의 교체시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하여 파손 과정을 수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거더(20)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소피 플레이트(37)의 설치 및 교량 받침의 정확한 위치 안착이 용이하게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거더(20)에 대하여 앵커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의 결합을 위한 앵커공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용에 따른 내구성의 향상을 가질 수 있다.
10: 교각
15a: 앵커공
20: 거더
30: 교량 받침
32: 솔 플레이트
32a, 33a, 35a, 37a: 체결공
33: 상부 플레이트
34: 탄성체
35: 하부 플레이트
36: 앵커볼트
37: 소피 플레이트
37A: 개구부
37b: 용접부
38; 체결부재
131: 앵커 플레이트
15a: 앵커공
20: 거더
30: 교량 받침
32: 솔 플레이트
32a, 33a, 35a, 37a: 체결공
33: 상부 플레이트
34: 탄성체
35: 하부 플레이트
36: 앵커볼트
37: 소피 플레이트
37A: 개구부
37b: 용접부
38; 체결부재
131: 앵커 플레이트
Claims (20)
- 거더(20)에 고착된 앵커 플레이트(131)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며 내측에 형성된 개구부(37A)를 통하여 앵커 플레이트(131)에 대하여 용접되기 위한 소피 플레이트(37);
소피 플레이트(37)에 결합되기 위한 솔 플레이트(32), 탄성적으로 거더(20)를 받치기 위한 탄성체(34), 솔 플레이트(32)에 대하여 탄성체(134)를 결합시키기 위한 상부 플레이트(33), 및 교각(10)에 대하여 탄성체(34)를 결합시키기 위한 하부 플레이트(3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 제1항에 있어서,
소피 플레이트(37)는 앵커 플레이트(131)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진 평판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플레이트 내측에는 앵커 플레이트(131)에 대하여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기 위한 개구부(37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앵커 플레이트(131)는 소피 플레이트(37)의 개구부(37A)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소피 플레이트(37)의 개구부(37A)와 용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 제3항에 있어서, 소피 플레이트(37)의 개구부(37A)는 소피 플레이트(37)의 내측에서 중앙 중심축에 대하여 좌우 대칭이되는 개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 제4항에 있어서, 소피 플레이트(37)는 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며, 개구부는 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 제4항에 있어서, 소피 플레이트(37)의 개구부(37A)는 교량의 내하 용량이나 내진 용량에 따라 앵커 플레이트(131)와 소피 플레이트(37) 사이의 용접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개구면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 제4항에 있어서, 소피 플레이트(37)의 개구부(37A)의 외곽선은 솔 플레이트(32)의 평면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 제4항에 있어서, 소피 플레이트(37)의 모서리 부분에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37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 제8항에 있어서, 솔 플레이트(32)는 수평으로 설치된 교각(10)의 상부에 설치된 탄성체(34)에 대하여 거더(20)의 경사를 주기 위한 플레이트로서 소피 플레이트(37)와 탄성체(34)의 상부 플레이트(33)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 사이에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32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 제9항에 있어서, 하부 플레이트(35)는 탄성체(34)의 하면에 결합된 플레이트로서 교각(10)에 대하여 앵커볼트(36)에 의하여 고정되기 위한 고정공(35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 제9항에 있어서, 상부 플레이트(33)와 하부 플레이트(35) 사이에는 교량을 이루는 거더(2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체(3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 유압장치(40)에 의하여 거더(20)를 교각(10)에 대하여 인상시키는 제1 단계;
거더(20)에 교량 받침(130)의 고정을 위한 앵커 플레이트(131)를 제외한 솔 플레이트(132), 상부 플레이트(133), 탄성체(134), 하부 플레이트(135)를 제거하는 제2 단계;
앵커 플레이트(131)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며 그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개구된 개구부(37A)를 가진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소피 플레이트(37)를 앵커 플레이트(131)에 대하여 개구부(37A)의 모서리를 매개하여 용접이 이루어지는 제3 단계; 및
앵커 플레이트(131)에 대하여 개구부(37A)를 통하여 용접에 의하여 결합된 소피 플레이트(37)에 대하여 교각(10)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하부 플레이트(35), 탄성체(34), 상부 플레이트(33) 및 솔 플레이트(32)가 위치하도록 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의 시공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교각(10)에 형성된 앵커공(15a)에 대응하는 하부 플레이트(35)의 체결공(35a)이 교각(10)의 앵커공(15a)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앵커볼트에 의하여 하부 플레이트(35)와 교각(10)을 고정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의 시공방법.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제1 단계에 있어서, 앵커 플레이트(131)와 솔 플레이트(32) 사이에 고온 가열에 의하여 이들 사이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의 시공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하부 플레이트(35)는 탄성체(34)의 하면에 결합된 플레이트로서 교각(10)에 대하여 앵커볼트(36)에 의하여 고정되기 위한 고정공(35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의 시공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소피 플레이트(37)의 모서리 부분에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37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시공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솔 플레이트(32)는 소피 플레이트(37)의 체결공(37a)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공(32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의 시공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부 플레이트(33)는 소피 플레이트(37)의 체결공(37a)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공(33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의 시공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소피 플레이트(37), 솔 플레이트(32) 및 상부 플레이트(33)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된 체결공(37a, 32a, 33a)에 대하여 체결부재(38)에 의하여 소피 플레이트(37), 솔 플레이트(32) 및 상부 플레이트(33)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의 시공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유압장치(40)의 인하에 의하여 거더(20)를 인하시킴과 동시에 추가적으로 체결부재(38)의 계속적인 체결에 의하여 소피 플레이트(37), 솔 플레이트(32) 및 상부 플레이트(33)를 결합시키는 거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의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2923A KR20150144155A (ko) | 2014-06-16 | 2014-06-16 | 교량 받침의 교체에 관한 시공방법 및 그 교량 받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2923A KR20150144155A (ko) | 2014-06-16 | 2014-06-16 | 교량 받침의 교체에 관한 시공방법 및 그 교량 받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4155A true KR20150144155A (ko) | 2015-12-24 |
Family
ID=55084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72923A KR20150144155A (ko) | 2014-06-16 | 2014-06-16 | 교량 받침의 교체에 관한 시공방법 및 그 교량 받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144155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14686A (ko) * | 2017-08-03 | 2019-02-13 | 주식회사 이쎈 | 면진용 교좌 교체 시공 방법 |
KR102276215B1 (ko) * | 2020-06-04 | 2021-07-12 | (주)신성엔지니어링 |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교량의 지점부 구조 |
-
2014
- 2014-06-16 KR KR1020140072923A patent/KR2015014415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14686A (ko) * | 2017-08-03 | 2019-02-13 | 주식회사 이쎈 | 면진용 교좌 교체 시공 방법 |
KR102276215B1 (ko) * | 2020-06-04 | 2021-07-12 | (주)신성엔지니어링 |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교량의 지점부 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617724B (zh) | 既設鋼骨支撐構造體之免震化工法 | |
WO2006038620A1 (ja) | 脚柱の接合部構造および接合方法 | |
KR101103300B1 (ko) | 연속지점부 단면강성이 증대된 강박스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101564721B1 (ko) |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 | |
KR20090102266A (ko) | 교각의 빔 인상 플레이트 | |
KR100888210B1 (ko) | 교량받침용 전단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 |
JP2017014853A (ja) | 免震装置の交換方法 | |
JP6057059B2 (ja) | 建物嵩上げ方法、及び、建物構造 | |
KR20150144155A (ko) | 교량 받침의 교체에 관한 시공방법 및 그 교량 받침 | |
JP2014066017A (ja) | コンクリート柱の耐震補強構造及びコンクリート柱の耐震補強方法 | |
JP7009724B2 (ja) | 柱梁架構改修方法及び改修柱梁架構 | |
JP2018053526A (ja) | 耐震スリット材の取り付け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 |
KR20160109284A (ko) | 교량용 탄성 받침 | |
JP4980782B2 (ja) | 建築物の中間階免震機構 | |
JP6269928B2 (ja) | 橋台補強構造体 | |
KR20110046079A (ko) | 구조물의 내진장치 및 그 시공방법 | |
JP6473426B2 (ja) | 落橋防止構造 | |
JP5033387B2 (ja) | 制振補強構造 | |
JP6511727B2 (ja) | 免震建物、及び、免震装置の交換方法 | |
JP2003278407A (ja) | 免震装置の仮設用拘束治具および拘束方法 | |
JP4798625B2 (ja) | 移動制限装置 | |
JP6289230B2 (ja) | 仮受けジャッキ固定構造 | |
JP2015017401A (ja) | 免震建物の構築方法、及び、その免震建物の構築方法に用いる短柱部材 | |
JP6449115B2 (ja) | 耐震構造および耐震化方法 | |
JP3127360B2 (ja) | 交換可能な橋梁用弾性支承装置とその据付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74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128 Effective date: 2018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