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604B1 - 전기튀김기 및 이를 이용한 조리방법 - Google Patents

전기튀김기 및 이를 이용한 조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604B1
KR102237604B1 KR1020190126539A KR20190126539A KR102237604B1 KR 102237604 B1 KR102237604 B1 KR 102237604B1 KR 1020190126539 A KR1020190126539 A KR 1020190126539A KR 20190126539 A KR20190126539 A KR 20190126539A KR 102237604 B1 KR102237604 B1 KR 102237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yer
cooking
oil
temperature
cooking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연
Original Assignee
윤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태연 filed Critical 윤태연
Priority to KR1020190126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57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식용유를 가열하여 다수의 피조리물을 튀기는 전기식 튀김기(10)에 대한 것이다. 이 발명의 튀김기(10)는, 식용유를 수용하는 유조(20); 하나 이상의 튀김망(30); 하나 이상의 가열수단(40); 온도조절기(50); 하나 이상의 냉각수단(60); 유조(20) 하부의 각각의 깔때기(24)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밸브(70); 피조리물을 튀기고 난 뒤 상부영역(22)의 식용유가 완전히 식지않고 소정의 온도 범위 안에 유지되도록 하여 추후 식용유를 재가열하여 사용할 때 가열 시간과 가열 속도를 단축하여 전력의 소모를 줄여주고 튀김조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 식용유온도유지장치(80); 튀김기 몸체(90); 및 튀김기(10) 를 운전하기 위한 운전반(10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튀김기(10)에서, 유조(20) 상부영역(22)에서 가열수단(40)의 위쪽에 튀김망(30)의 전면과 후면 아랫 부분이 얹혀져서 고정되도록 유조(20) 내부의 전후면에 다수의 돌기부(27)가 같은 수평면상에 형성되고, 각각의 깔때기(24)가 서로 이웃하는 다른 깔때기(24)와 접하는 부분들은 직선을 이루며, 이 직선에서부터 수직 상방으로 위 냉각수단(60)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수직벽(28)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전기튀김기 및 이를 이용한 조리방법{Electric fryers and cooking methods using the fryers}
이 발명은 튀김기에 대한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대형 전기식 튀김기와 전기식 튀김기를 이용한 조리방법에 대한 것이다. 그리고 이 발명의 튀김기는 상위 개념으로는 튀김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대형 주물 회전식 국솥과 같은 가스식 튀김기와 같은 기술 분야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발명은 40리터 이상의 튀김전용 대형 전기튀김기라는 점에서 종래의 회전식 국솥과는 많은 차이점이 있다.
지금까지 국내외에서 40리터 이상의 대형 전기튀김기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어 상용화 되지 못했다. 그 이유는 사용의 편리성 때문에 대형 전기튀김기에 대한 수요가 많았지만 관련 기술의 부족으로 소비자들의 수요를 맞춰 상용화 할 수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물론 지금까지 가정용의 소형 가스식 및 전기식 튀김기는 개발되어 있었으나 대형용은 개발되어 있지 않았다. 왜냐면, 대형 전기튀김기 개발에는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들이 많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종래기술의 한 예로서, 고윤선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7215(2003.12.16 등록) "튀김장치용 히터"를 들 수 있다(도 1 참조). 이 기술은 전기식 튀김기에 대한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구체적인 세부 기술의 부족으로 상용화되지 못 하였다.
다른 종래기술로는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의 등록특허공보 제10-1703676 (2017.2.1 등록) "튀김기용 온도 조절장치"가 있다(도 2 참조). 이 기술은 전기식 또는 가스식 소형 튀김기용 온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저유량 상태에서 식용유 탱크 내부의 가열관이 계속해서 가열 작동함에 따라 완전 노출되어 식용유를 실제로 가열하지 못하고 공가열하게 되고, 상기 가열관의 공가열 상태가 계속되면 상기 가열관의 노출 부위에 남아 있는 식용유가 발화하여 화재의 원인이 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온도센서 고장에 의한 식용유 온도의 오감지로 인하여 튀겨진 조리물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하지만 이 기술도 역시 소형 튀김기의 부분 기술에 대한 것으로서 여전히 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대형 전기 튀김기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을 제공하고 있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가스식 대형 회전국솥(이하 "종래 튀김기"라 한다)을 튀김기로 사용하였고, 이러한 방식은 여러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 튀김기들의 단점들은 다음과 같다: 
1. 전기료 대비 가스 연료 사용료가 70%이상 비싸서 비경제적이다.
2. 정밀한 온도 제어가 불가능하여 과열로 인한 식용유의 탄화속도(산패)가 빠르게 진행되고 발암 물질(탄화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식용유 교체 시기가 짧아서 비경제적이다.
3. 가스 연료를 사용할 경우 폭발 및 대형 화재 발생의 위험성이 있다.
4. 가스 연료 연소시 발생되는 폐열(연소 열기)로 인해 주방온도를 10℃ 이상 상승시켜 주방환경 및 조리환경이 열악해지고 식자재가 변질(부패속도 상승)되고 주방위생(곰팜이균, 습기)에도 악영향을 준다.
5. 주방 환기, 배기 시설비용이 많이 든다.
6. 조리시 가열된 대형 용기가 노출되어 있어서 화상의 위험이 상시 존재한다.
7. 조리중 식용유 과열로 인한 발화 화재 및 화상위험이 있다.
8. 가스 연료 사용시 가스 연소소음 및 가스버너 소음이 발생한다.
9. 가스 연료 연소로 인해 유해가스(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이산화질소. 미세먼지 등)가 발생되어 주방환경은 물론 대기를 오염시켜 친환경적이지 않다.
10. 국솥 사용을 위한 가스 배관시설의 설치가 까다롭고 설치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며 설치장소가 한정되고 공간 차지비율이 높고 위치이동(설치장소 변경)이 어렵다.
11. 용기가열방식이라서 가열된 대형용기를 냉각시키는 방법이 따로 없어 온도 조절이 어렵고 냉각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12. 대형 용기 내부에 부식이 발생하고 고열에 의해 탄화물이 유착되어 청소가 어렵고 위생적이지 못하다.
13. 조리 뒤 식용유의 배출이 어렵다. 가열된 뜨거운 식용유가 자연냉각(장시간 지연) 되기를 기다린 뒤 국자 등으로 일일이 식용유을 덜어내는 수작업으로만 배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간소비는 물론 다른 용도의 음식 조리에도 비효율적이다.
14. 청소가 어렵다. 용기의 과열로 인한 용기내 탄화물의 유착이 심하여 별도로 제거해야 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동력을 들여야하고 대형용기를 일일이 수동으로 핸들을 조작하여 회전시켜 용기를 기울여야(각도 조절)만 배수나 세척이 가능해 서 조작이 번거롭고 불편하며 청소시간도 지연된다. 또한 화재 및 화상의 위험성이 컸다.
15. 식용유의 과열로 인해 유증기와 탄화물의 연소로 연기(발암물질, 초미세먼지)가 많이 발생하여 조리환경도 열악해지고 조리자의 건강에도 안좋은 영향을 끼친다.
16. 각기 다른 여러가지 재료(육류, 수산물 등)를 각기 따로 분리하여 튀겨 조리해야 한다. 그리고 단순히 식용유을 가열하여 튀기는 기능 이외의 다른 기능이 없어 여러 종류의 튀김재료를 혼합해 조리할 경우 피조리물에서 배어나온 향과 냄새가 식용유 안에 혼합되어 각기 음식 고유의 맛이 변질되어 종류별로 따로 조리해야 함은 물론 매번 식용유를 교체한 뒤 별도로 조리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조리중 발생하는 탄화물(발암물질)이 음식물과 혼합되어 조리됨으로써 건강한 튀김요리 구현이 어렵다.
17. 온도 복원률이 낮다. 즉, 단체급식과 같은 경우 특성상 냉동식품 및 다량의 피조리물을 뜨거운 식용유에 투입시 온도가 낮은 상태의 피조리물로 인해 식용유의 온도가 떨어지는데 식용유 직접가열방식이 아닌 용기 즉 유조를 우선 가열한 뒤 가열된 용기의 열로 식용유를 가열하는 간접가열방식이어서 피조리물 투입으로 저하된 식용유 온도를 다시 데우는데 시간이 많이 소모되어 비효율적이고 피조리물의 조리상태 역시 최적화된 요리 구현이 어렵다.
18. 냉동식품 및 수분에 폭발 반응을 한다. 일반적으로 고온의 식용유는 수분에 폭발반응을 한다. 특히 대용량의 대형 회전국솥으로 조리시에는 많은 양의 음식물과 냉동식품을 한꺼번에 조리하는 경우가 많아서 많은 양의 수분이 끓는 식용유와 반응하기 때문에 조리시 수분폭발에 의한 화상의 위험이 크다. 특히 냉동식품의 경우에는 그 반응이 더욱 심하여 위험하다.
19. 용기 재질에 따라 조리중 용기 가열시 금속성분을 배출할 가능성이 있다.
20. 정제기능이 없다. 가스 연료의 고열, 용기의 과열로 인해 식용유의 산패속도가 빠르고 탄화물이 많이 발생해 재사용을 위한 정제가 무의미하며 정제기 적용이 힘들어 폐유 시기가 짧다.
21. 폐유량이 많아서 오수 및 폐수로 인한 수질 오염과 함께 비용면에서도 비경제적이다.
22. 주방내 빌트인 시스템 적용이 안된다. 스텐다드형(표준형) 외형이 아니어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며 다른 주방기구들과 호환 배치가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가스 사용으로 인한 대형 화재와 폭발 위험성이 존재한다.. 
종래 기술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이 발명 기술을 개발하게 되었다.
이 발명과 관련되는 선행기술 가운데 출원당시 출원인에게 알려진 것은 아래와 같다: 1. 고윤선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7215(2003.12.16 등록) "튀김장치용 히터" 도 1 참조. 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의 등록특허공보 제10-1703676(2017.2.1 등록) "튀김기용 온도 조절장치". 도 2 참조.
이 발명은 위에 언급한 종래기술들의 단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전기식 튀김기와 이를 이용하여 튀김요리를 조리하는 방법들을 제공하는 것을 제1 과제로 한다.
이 발명의 다른 과제들은 이 발명의 모든 효과를 내가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아래 기재된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읽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 발명 과제의 해결 수단은 첨부한 청구항 1 내지 33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다. 청구항 1 내지 29항은 이 발명에 따른 튀김기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고, 청구항 30 내지 33는 청구항 1 내지 29에 의해 정의되는 튀김기들을 이용하여 조리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특히, 청구항 30 내지 32항은 튀김기의 디지털 운전방법에 대한 것이고, 청구항 33항은 아날로그 운전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 발명의 실시로 인해 얻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튀김전용 대용량, 대형 전기튀김기여서 친환경적이다.
2. 가스 연료대비 전기사용요금이 저렴하고 전기의 사용량이 적어 경제적이다.
3. 대형 회전국솥에 비해 식용유 사용량이 적게 들어서 식용유 비용이 80%이상 절감되어 매우 경제적이다.
4. 전기 사용으로 유해가스(일산화탄소,이산화탄소,이산화질소,미세먼지 등)가 발생하지 않아서 주방환경 개선과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어서 친환경적이다.
5. 용기(유조) 전체를 직접 가열하여 유조 안의 식용유를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회전국솥을 이용하는 종래의 튀김기와 달리 식용유를 직접 가열하는 방식이어서 튀김기 본체의 과열로 인한 화재 또는 화상 위험이 없고 신속한 가열이 이루어진다.
6. 주 전선 1 회선만으로도 어디에나 설치가 가능하고 별도의 시설 제작이 필요없으며 위치이동, 재설치가 쉽고 간단하다.
7. 표준형 외관 구조로 공간 배치가 자유롭고 공간 차지비율도 적으며 주방기기(싱크대, 주방용 선반.등)와 높이, 폭의 호환 배치가 가능하여 주방 빌트인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어서 공간활용이 효율적이다.
8. 1℃ 이하 단위의 정밀 온도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하고 세분화된 요리가 가능하고 식용유 과열로 인한 기화성 발화가 일어나지 않아서 화상위험이나 발화로 인한 화재에 안전하다.
9. 이 발명의 히터는 열선으로 구현되고 식용유를 직접 가열하되 식용유가 산패되지 않는 온도인 180℃ 이하로 가열하여 식용유의 산패를 연장하고, 부가적으로 유조의 바깥쪽에 초음파 진동자를 설치하여 초음파가 식용유와 피조리물에 영향을 미처 식용유와 열이 피조리물에 신속하게 그리고 골고루 침투되도록 하여 효율적인 열전달이 가능하며 조리시간도 단축된다.
10. 이 발명의 튀김기 유조는 여러가지 구조적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유조 아래쪽에 배출구가 있어서 식용유의 배출과 유조 청소가 용이하다.
11. 식용유의 정제가 가능하다. 또한, 다 쓴 식용유의 배출시 뜨거운 식용유를 냉각하지 않고 곧바로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어서 효율적이다.
12. 유증기와 유해물진인 연기의 배출이 종래 기술에 비해 현저히 낮다.
13. 유조 청소가 쉽고 간편하며 위생적이다.
14. 하나의 유조에서 여러 피조리물의 혼합 조리가 가능하다.
15. 전기를 이용하는 식용유 직접 가열방식이어서 가스로 두꺼운 용기를 가열한 후 가열된 용기의 열로 식용유를 간접 가열하는 방식에 비해 높은 열효율과 높은 열복원률이 구현된다.
16. 식용유의 온도를 최소한 소정의 설정한 온도 범위(예로서, 60 내지 80℃) 안으로 온도를 유지하는 기능이 있어서 1차 조리 후 식용유의 완전 냉각을 방지하여 신속하게 2차 조리를 다시 시작할 수 있다.
17. 대형 전기튀김기 본체 전체와 관련 부품이 모두  STS304계열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되어 있고, 제품은 2t(2mm) 이하로 제작하여 내구성이 강하면서도 가볍다.
18. 대형 전기튀김기는 운영시 전기사용으로 인해 화석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소음이나 기기 운영 소음이 거의 없다.
19. 튀김기의 운전 및 조작이 간편하다. 그리고 복잡한 기기 조작이 없어서 운전이 편리하다.
20. 다중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튀김기의 일 예.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튀김기용 온도 조절장치의 일 예.
도 3은 이 발명에 따른 튀김기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이 발명에 따른 튀김기의 가열수단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
도 5는 도 3의 튀김기의 평면도.
도 6은 이 발명에 따른 튀김기의 깔때기가 하나인 경우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
도 7은 이 발명에 따른 튀김기의 깔때기가 복수개인 경우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
도 8은 이 발명에 따른 튀김기 제어부의 블록구성도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
도 9는 이 발명에 따른 튀김기를 이용한 조리방법 흐름도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
도 10 이 발명에 따른 튀김기를 이용한 조리방법 흐름도의 바람직한 다른 하나의 실시예.
이 발명에 따른 대형 전기식 튀김기의 구성 및 동작원리에 대해 첨부한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이 발명에 따른 튀김기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이 실시예에서는 취김기의 운전반이 튀김기 상부 후면의 우측에 배치된 예를 보여준다. 그러나 이 발명에서는 운전반이 튀김기 상부 후면의 중앙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4a - 4d는 이 발명의 튀김기에서 사용되는 가열수단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4a는 이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좌측면도이고, 도 4c는 정면도이고, 도 4d는 우측면도이다. 이 실시예의 가열수단에서는 가열수단을 이루는 금속관이 유조밖에서 유조 안으로 인입되어 타원형으로 여러 바퀴 감기고, 맨 마지막 바퀴에서는 금속관의 가운데 부분을 가로지르게 배열된 뒤 유조 밖으로 연결된다. 이때 금속관의 내부에는 열선이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도 3의 튀김기의 평면도로서 도 4에 도시된 가열수단 6개가 나란히 배치된 예시도이다.
도 6은 깔때기가 하나인 경우의 튀김기의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 발명 개념에 대한 용이한 설명을 위해 일부 구성들은 다소 과도하게 크게 표현되어 있다.
도 7은 유조가 다수개의 깔때기를 갖는 경우의 실시예를 보여주며, 이 예는 깔때기가 세 개인 경우를 보여준다.
도 8은 이 발명에 따른 튀김기 제어부의 구성을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낸 예를 보여준다.
도 9는 이 발명에 따른 튀김기를 이용한 피조리물의 조리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 도면의 경우 튀김기를 디지털 방식으로 운전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이 발명에 따른 튀김기를 이용하여 피조리물을 수동 방식으로 조리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 발명에서는 일부 구성요소들은 도면에 직접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며, 그 이유는 해당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의 편리성을 위해 참조번호를 붙였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들이 직접 도시되어 있지 않다고 하여 발명의 사상이 감소되거나 이해하지 못 할 것은 아니다. 이 분야에 숙련된 기술자들 또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라면 이 발명의 명세서만으로 충분히 이 발명에 따른 튀김기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1. 이 발명 기술과 종래 기술의 비교
종래 대형(40리터 이상) 전기튀김기는 실제로 제품화된 것이 없었고 기껏해야 튀김기로 쓰이는 대형 회전국솥이 유사 기술이었다. 또한 종래에는 화석연료인 가스에 의존하는 튀김기가 대부분이었다. 가정용의 소형 튀김기로 전기식이 있었지만 대형용량의 튀김기는 아직까지 개발되어 공중에 알려진 것이 없었다. 따라서 이 발명의 튀김기를 회전식 국솥형 튀김기와 비교할 수 밖에 없다.
전기식 튀김기는. 가스 연료를 사용하는 종래의 회전식 국솥을 튀김기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연료비가 적게 들고 연료 소모량도 적어서 경제적이다. 시간대별, 계절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략 1kw당 100원 정도의 전기 요금이 발생한다고 보면 20kw의 대형전기튀김기를 1시간 운영시 2000원 정도의 요금이 발생한다. 이를 기준으로 가스 사용요금과 비교해보면 연료비가 70%이상 절감되어 매우 경제적이다.
대형 회전식 국솥 튀김기와 전기식 튀김기의 대략적인 식용유 사용량을 비교하려면 동일한 튀김면적을 생각해야 한다, 아래의 예는 같은 튀김면적을 고려한 결과다.
- 국솥 튀김기의 한 달 동안의 식용유 사용량은
(18L 식용유 10통/대) * 국솥 2대 * 30일 = 600통.
식용유 가격은
600통 * 30,000원/통 = 18,000,000원.
즉 용량 180리터짜리 국솥 2대를 튀김용으로 사용하면 한달에 1,800만원 어치의 식용유가 필요하다.
- 80리터 용량의 전기튀김기 세 대의 한 달 동안의 식용유 사용량은
(18L 식용유 4.5통/대) * 튀김기 3대 * 10일 = 135통.
식용유 가격은
135통 * 30000원= 405 만원.
즉 용량이 80리터짜리 튀김기를 사용하면 국솥과 동일한 튀김면적을 고려했을 시 한 달에 405만원의 식용유가 필요하다. 여기서, 전기식 튀김기에서는 보통 식용유를 3일 동안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계산하였다..
 여기서, 국솥의 튀김가능 공간과 튀김기의 튀김가능 공간을 맞추기 위해 국솥 2대, 전기튀김기 3대로 계산하였다. 국솥은 1일이상 식용유 재사용이 불가능하지만, 이 발명의 전기식 튀김기는 피조리물에 따라 적어도 3일이상 10일까지 재사용이 가능하다. 피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이 보다 더 연장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체 실험결과 이 발명의 튀김기가 종래 회전국솥에 비해 식용유 사용량, 비용이 80%이상 절감되어 매우 경제적임이 확인되었다. 위 비교에서는 편의상 이 발명의 전기튀김기를 3일 동안 사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피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훨씬 더 오래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기식 튀김기를 쓰면, 전기 사용으로 연료로 가스 사용시 발생하는 유해가스인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이산화질소, 미세먼지 등이 발생하지 않아서 주방환경 개선은 물론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어서 친환경적이다.
또한, 이 발명의 전기식 튀김기는. 용기 전체를 직접 가열하는 회전국솥과 달리 식용유를 직접 가열하는 방식이어서 튀김기 본체의 과열로 인한 화상위험이 없다.
그리고. 주 전선 1회선만으로도 어느 곳에나 설치가 가능하고 별도의 시설을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위치이동, 재설치가 쉽고 간단하다. 또한, 표준형 외관 구조를 채택할 수 있어서 공간 배치가 자유롭고 공간 차지비율도 적으며 주방기기인 싱크대, 주방용 선반.등과 같은 표준적인 폭과 높이를 갖기에 다른 주방기기들과 호환 배치가 가능하여 주방 빌트인시스템 구성시 공간활용이 효율적이다.
그리고 이 발명에서는 유조 안에 냉각수단을 구비하여 가열수단에 의해 댑혀진 뜨거운 식용유가 유조 아래쪽으로 대류하는 것을 막아준다. 이 결과 비중이 식용유보다 무거운 수분, 콜레스테롤, 피조리물 부유물은 중력에 의해 유조 아래쪽으로 가라앉게 되고, 수분의 폭발을 방지하고 조리중 피조리물에서 유출된 콜레스테롤이 피조리물과 혼합되어 조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침전된 부유물의 탄화를 차단하여 탄화물 발생을 줄여서 발암물질 발생률이 줄어들도록 하며, 높은 선도의 식용유를 장시간 유지 및 사용할 수 있고 유조 바닥에 침전물이 눌러붙지 않아서 위생적이다.
한편, 유조 하부쪽에 다 쓴 식용유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밸브가 마련되어 있어서 다 쓴 식용유의 배출과 유조 청소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이 발명에서는 필터기를 통해 사용된 식용유의 정제가 가능하다. 즉, 필터기를 통해 제1 출구를 통해 배출되지 못한 미세 부유물과 침전물, 콜레스테롤 등의 2차 정제가 가능하여 식용유의 선도를 향상 및 식용유 사용기간을 연장 시킬 수 있어서 폐유 시기를 연장하게 되므로 경제적이다.
그리고, 유조 하부의 밸브로 3방밸브를 채용할 수 있으므로 이 발명의 튀김기는, 식용유의 재급유, 청소시 편리하고 뜨거운 식용유을 안전하고 손쉽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폐식용유의 배출시에 뜨거운 식용유을 냉각하지 않고 곧바로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다. 종래에는 폐식용유와 유조 온도가 알맞게 식을 때까지 기다려야만 했고 무거운 국솥을 기울여서 폐식용유를 쏟을 수 있었기에 위험하고 시간 낭비가 많았고 식용유비가 많이 들어서 비경제적이었다.
그리고, 이 발명에서는,유증기와 연기 배출이 가스식에 비해 현저히 낮다. 유증기는 식용유의 과열로 인해 식용유가 기화되는 현상인데 열선의 기술적 특성으로 인해 식용유의 과열을 최소화 하기 때문에 유증기 발생이 거의 없고 연기는 부유물이 고열에 탄화되면서 생기는 탄화물의 연소로 발생하는 유해가스와 유해물질로서 이 발명의 튀김기에서는, 탄화물 발생을 억제해서 탄화물의 연소를 최소화시켜 유해가스, 초미세먼지, 발암물질 발생을 현저히 낮추어 조리환경의 혁신적인 개선은 물론 조리자의 건강 특히, 호흡기, 폐 건강과 대기오염방지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다른 특징은, 이 발명 튀김기는 청소가 쉽고 간편하며 위생적이라는 점이다. 고열에 의해 탄화물이 용기에 유착되는 회전식 국솥과 달리 유조내부에 탄화물이 유착되지 않아서 별도의 탄화물 제거 과정이 필요없으며 유조를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킴이 없이 유조 하단 기저부에 배출구가 마련되어 있어서 배출이 간편하고 별도의 전용세제나 세정약품 없이 간단한 물청소만으로도 깨끗하고 위생적인 청소가 가능하여 기존 청소시간의 10분의 1 수준으로 청소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서  많은 시간과 노동력을 아낄 수 있다. 그리고, 유조 재질 또한 식기, 주방기기제조용 스테인레스강 가운데 최상위 계열 스테인레스강인 STS304계열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해 녹이 슬지않고 위생적이다.
그리고 이 발명의 튀김기에 의하면. 혼합 조리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용기에 튀김재료의 종류가 다른 피조리물들를 한꺼번에 혼합해 조리하면 종래엔 국솥을 전체적으로 가열하여 국솥 안의 식용유가 대류하므로 각각의 재료에서 배어나온 향과 냄새, 식용유 등이 뒤섞여 각 재료 본연의 맛이 변질되어 튀김요리 조리시에는 종류별로 별도로 조리해야만 한다. 그러나 이 발명에 따른 대형 전기튀김기는 여러가지 재료를 한꺼번에 한 유조내에서 조리하여도 상부영역에서만 정제 된 식용유가 대류하고 배출된 동물성 기름은 하부영역으로 가라앉아서 하부영역에서는 상부영역과 대류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각기 다른 재료들이 조리중 배출해내는 향과 냄새, 식용유 등이 피조리물과 혼합되지 않아서 본연의 맛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튀김요리를 동시에 혼합하여 조리할 수 있어서 매우 효율적인 조리가 가능하다.
이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전기를 이용한 고열효율과 높은 열복원률이 구현된다는 점이다. 튀김요리 조리시 고온의 식용유에 냉동식품이나 대량의 피조리물를 투입하면 그로 인한 온도 떨어짐 현상으로 약 20도이상 온도 저하가 발생하는데 이때 원래의 온도로 복원하는데 많은 열효율을 요구한다. 열복원률이 낮으면 튀김재료의 맛과 조리상태에 많은 영향을 끼쳐서 그 동안은 전기를 이용한 가열 기술력은 열효율이 낮아 가스와 같은 화석연료의 고화력을 이용한 튀김조리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나 이 발명에서는 최상의 히터가열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기존 화석연료를사용하는 대형 회전국솥의 열효율 보다 25%이상 능가하는 열복원률을 구현하므로 조리시간 단축은 물론이고 초기 가열 시간도 단축하여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이 발명 튀김기에서 초기 가열 뒤 상부영역의 식용유 온도가 180℃까지 도달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비교해 보면, 대형 회전국솥(180L)은 25분이 소요되나, 이 발명에 따른 대형 전기튀김기(180L)는 17분밖에 안 걸린다.
그리고 이 발명의 튀김기는 대형 전기튀김기 본체 전체가  STS304계열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되어 있다. 식기 제조와 주방기기 제조용으로 최상위계열 스테인레스강으로 유조는 물론 튀김기 본체 전체에 적용하였으며 적용되는 모든 부품과 기기들, 볼트 너트까지도 이 재질로 제작된다.
일반적으로 회전국솥과 같은 다른 제품들은 매우 두꺼운 두께의 무쇠솥을 사용하는 반면에 이 발명의 제품은 두께가 2t(2mm) 이하인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하여 내구성을 강화하였고 무게도 경량화 하였다.
이 발명의 대형 전기튀김기는 운영시 전기사용으로 연료 연소소음이나 기기 운영 소음이 없고, 조작이 간편하여 복잡한 기기 조작 없이 운전이 간단하다.
그리고 이 발명에서는, 조리중 사고 방지를 위해 다중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제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살펴본다.
2. 실시예
이 발명에 따른, 가열된 식용유에 의해 튀김망 안의 피조리물을 튀기기 위한 전기식 튀김기(10)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유조(20), 튀김망(30), 가열수단(40), 온도조절기(50), 냉각수단(60), 밸브(70), 식용유온도 조절장치(80), 몸체(90) 및 운전반(10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유조(20)는 식용유를 수용하는 용기로서
- 피조리물의 튀김이 이루어지고 가열된 식용유가 대류하는 상부영역(22),
- 상부영역(22) 아래에 위치하고 식용유의 온도가 상부영역의 식용유 온도보다 소정 값 이상 낮아서 튀김이 이루어지지 않는 하부영역(23)과,
- 상부영역(22) 윗쪽에 식용유가 없이 공기로 채워지고 튀김기(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엔 상부에 뚜껑(120)을 덮는 구조의 빈 공간영역(21)
으로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유조(20)는, 빈 공간영역(21), 상부영역(22) 및 하부영역(23)의 수평단면은 사각형 또는 원 모양이고, 하부영역(23)의 아래쪽엔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깔때기(24)가 하나 이상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고, 각 깔때기(24)의 바닥에는 소정 직경의 구멍(25)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고, 각 구멍(25)의 바깥쪽으로는 구멍(25)과 같은 직경의 배출구(26)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배출구(26)의 직경은 깔때기(24) 하부에 가라앉아 있는 각종 튀김부스러기, 물, 다 쓴 식용유를 신속히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5 ~ 6 센티미터 이상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발명에서 사용되는 튀김망(30)은, 피조리물을 담아서 위 유조(20) 상부영역(22)에 하나 이상이 나란하게 배치되고 필요에 따라 사용 갯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가열된 식용유에 의해 피조리물이 튀겨지도록 하고 바닥면과 사방 측면들이 피조리물이 밑이나 옆으로 빠져나가지 않는 크기의 촘촘함을 갖고 있으며 피조리물을 유조(20) 안에 넣을 때와 조리가 끝난 피조리물을 꺼낼 때 사용되는 손잡이(32)가 부착되어 있고 작업의 편의를 위해 동시에 하나 이상의 튀김망(30)이 사용된다.
이 발명의 식용유 가열수단(40)은, 위 유조(20)의 상부영역(22)에서 위 튀김망(30)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전기를 써서 식용유를 직접 가열하되 식용유의 온도가 식용유의 산패를 예방하기 위해 섭씨 180도 이하가 되도록 가열한다. 도 4에는 이 발명의 가열수단(40)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발명에서는 도 5에서 보듯이 가열수단(40)은 하나 이상이 사용된다. 물론 커다랗게 하나의 가열수단(40)으로 할 수도 있지만 효율상 다수개를 나눠서 사용하는 것이 식용유의 고른 가열에 좋다. 또 필요에 따라선 다수의 가열수단(40) 가운데 부분적으로 몇 개의 가열수단(40)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가열수단(40)은 상부영역(22)에서 튀김망(30) 아래쪽에 배치된다.
이 발명의 온도조절기(50)는, 도 6에서 보듯이, 유조(20) 안 또는 밖에 상부영역(22)과 하부영역(23)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제1온도감지기(52) 및 제2 온도감지기(54)의 측정값을 토대로 가열수단(40)을 제어하여 1℃ 이하의 단위로 상부영역(22)과 하부영역(23)의 식용유 온도를 조절하며 온도설정에 따라 다양하고 세분화된 요리가 가능하게 하여 식용유 과열로 인한 기화성 발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화상위험이나 발화로 인한 화재 위험성을 줄여주는 기능을 갖는다. 도 6은 온도감지기(52,54)들이 유조(20) 밖에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 발명의 냉각수단(60)은, 하부영역(23)의 위쪽 수평면상에 배치되고, 그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소정의 냉각유체가 유입되어 흐르도록 하여 위 유조(20)의 하부영역(23)의 식용유의 온도가 섭씨 80도 이하가 되도록 냉각시켜서 유조(20) 상부영역(22)의 뜨거운 식용유가 하부영역(23)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고, 식용유 보다 비중이 무거운 수분과 피조리물로부터 분리된 부스러기같은 물체는 중력에 의해 하부영역(23) 아래쪽으로 가라앉게 하여 유조(20) 내부 수분의 폭발을 방지하고 조리중 피조리물에서 유출된 콜레스테롤 성분이 피조리물과 혼합되어 조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침전된 부유물의 탄화를 차단하여 탄화물 생성을 줄여서 발암물질의 발생률을 억제하며 높은 선도의 식용유를 장시간 유지 및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하나 이상이 사용된다. 냉각수단(60)은 가열수단(40) 바로 아래쪽에 배치된다.
이 발명의 밸브(70)는 각각 하나의 입구(72)와 하나 이상의 출구(74)들로 이루어지고, 각 입구(72)가 각 깔때기(24)의 하나의 배출구(26)의 끝 부분과 연결되어 피조리물로부터 분리되어 침전된 튀김 부스러기, 사용한 식용유, 유조(20)의 청소시 사용된 물을 각 깔때기(24)의 제1 출구(74)로 배출할 때 사용된다. 밸브(70)는 각 깔때기(24)마다 설치된다.
이 발명의 식용유온도유지장치(80)는, 피조리물을 튀기고 난 뒤 상부영역(22)의 식용유가 완전히 식지않고 섭씨 60 내지 80도 범위 안에 유지되도록 하여 추후 식용유를 재가열하여 조리할 때 가열 시간과 가열 속도를 단축하여 전력의 소모를 줄여주고 튀김조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 발명의 튀김기 몸체(90)는, 유조(20)를 내부에 수납하고 이를 고정 및 지지시키며 사각형 모양의 튀김기(10) 네 측면을 모두 스테인레스강으로 둘러싸고 있고, 튀김기(10) 좌우측면에는 각각 다수개의 공기흡입 및 열방출용 공기구멍(92)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의 열을 외부로 강제로 내보내기 위한 팬(94)을 구비하고 있다.
이밖에도 몸체(90)에는 전기 인입용 콘센트 수구 등도 배치된다.
그리고 이 발명의 운전반(100)은 위 몸체(90)의 상부 후면 또는 하부 전면에 배치되어 조리자가 튀김기(10) 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전할 수 있다. 운전반(100)은 가열수단(40), 초음파진동자(130), 에어펌프(116), 유체순환펌프(65)등 튀김기(10) 내의 각종 기기들을 총칭하는 기기부(170)를 제어한다.
그리고 이 발명에서는, 위 유조(20) 상부영역(22)에서 가열수단(40)의 위쪽에 튀김망(30)의 전면, 후면, 측면이 얹혀져서 고정되도록 유조(20) 내부의 전후면, 측면에 다수의 돌기부(27)가 같은 수평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이 발명에서는, 위 각각의 깔때기(24)가 서로 이웃하는 다른 깔때기(24)와 접하는 부분들은 직선을 이루며, 이 직선에서부터 수직 상방으로 위 냉각수단(60)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수직벽(28)이 형성된다. 이 수직벽(28)에 의해 조리시 발생하는 각종 튀김 부스러기, 물방울 등이 깔때기들 아랫쪽으로 보다 잘 쌓이게 되고 각각의 깔때기에 골고루 분산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이 발명에서는, 위 몸체(90) 상부 후면부에는 조리시 식용유가 튀김기(10) 뒷쪽으로 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벽(96)이 튀김기(10)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튀김기(10)가 벽쪽에 붙어서 설치될 경우에는 차단벽(96)이 불필요하므로 차단벽(96)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보통은 안전을 위해 그리고 벽면의 청결을 위해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에서와 같이 운전반(100)이 배치되는 몸체(90) 상부 후면부 자체가 일종의 차단벽 역할을 한다. 그래서 차단벽(96)은 도 3에서와 같이 운전반(100)과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기도 하고, 다수의 기기 부착, 배치나 배선, 배관을 위해 소정의 폭을 갖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한편, 이 발명에서, 위 튀김기(10)의 몸체(90) 하부의 지지대(몸체의 다리) 끝에는 몸체(90)의 이동을 위한 다수개의 바퀴(98)가 배치될 수 있고, 위 바퀴(98)는 고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 발명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가열수단(40)으로는 열선(42)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열선(42)은 각각 별도의 스테인레스강 파이프(44) 안에 각각 삽입되어 배치되며, 이때 이 스테인레스강은 식기와 주방기기제조용 STS304계열 스테인레스강이 사용된다. 그리고 도 4에서 보듯이, 각각의 파이프(44)는 유조(20) 상부영역의 특정 수평면 안에서 타원형 또는 사각형 모양으로 한 바퀴 이상(예로서 세 바퀴) 감아올린 모양으로 배관되고, 각각의 파이프(44)들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배관의 배치는 기술적인 사항에 속하지 않으므로 다양한 모양으로 배치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때, 저항값이 높은 열선(42)을 사용하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지만 식용유가 급속히 가열되고 유조의 기름이 골고루 데워지지 않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그래서 열선의 저항값이 다소 낮은 것을 사용하여 열선 길이가 길어지면 식용유가 너무 급속히 데워지지 않게 됨과 동시에 식용유가 골고루 데워지는 효과가 있다.
 이 발명에서, 밸브(70)로는 볼밸브 또는 3방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통은 볼밸브를 사용하지만, 식용유를 정제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엔 3방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이 발명의 튀김기(10)는, 밸브(70)의 제2 출구(74)와 연결되어 튀김기(10)에서 사용된 식용유를 정제하여 유조(20)로 다시 공급해서 식용유의 선도를 향상 및 연장시키는 기능을 갖는 필터기(11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발명에서 사용되는 필터기(110)는,
밸브(70)의 제2 출구(74)와 연결되어 필터기(110) 내부에서 수직 상방향으로 배치되어 유조(20)로부터 공급되는 사용된 식용유가, 유조 내 식용유에 가해지는 공기압력에 의해 관 위쪽 방향으로 흐르는 연결 파이프(112);
사용된 식용유를 연결파이프(112)를 통해 공급받아 여과한 뒤 여과된 식용유를 연결 파이프(113)을 통해 유조(20)로 내보내는 필터(114);
공기파이프(115)를 통해 연결파이프(112)와 연결되며 연결파이프(112)에 공기를 불어넣어 사용된 식용유를 공기와 함께 필터(114)로 전송하는 에어펌프(116); 및
연결파이프(112)를 흐르는 사용된 식용유가 에어펌프(116) 쪽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파이프(112)와 에어펌프(116) 사이의 공기파이프(115)에 설치되는 체크밸브(118);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필터(114)로는 식품처리에 사용되는 여과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여과지를 사용하기 위해서 필터기(110)는 여과지를 배치할 수 있는 깔때기 모양의 여과용 금속망(119)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여과지는 사용하고 난 뒤 적당한 주기로 교체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발명에서, 위 온도유지장치(80)의 기능을 위 온도조절기(50)가 대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기로는 별도의 온도조절기(50)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서, 위 냉각수단(60)은 스테인레스강 재질의 파이프이고, 냉각수단(60) 내부를 흐르는 유체로는 물 또는 공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냉각수단(60)은 유체를 강제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6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발명에서, 위 냉각용 유체가 공기인 경우 위 냉각수단(60)의 파이프는 하나 이상이 나란히 배치되며 이들 각 파이프의 입구와 출구는 몸체(90) 내에서 개방되어 있고 몸체(90)의 공기구멍(92)을 통해 새 공기가 이들 파이프로 공급되고 이들 파이프에서 배출되는, 뜨거운 식용유에 의해 댑혀진 공기가 몸체(90)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이 발명에서, 위 냉각수단(60)의 바깥표면에는 냉각수단(60)의 표면적을 넓혀서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지느러미(fin)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발명에서, 위 유조뚜껑(120)은 두 짝으로 이루어지고, 유조(2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만 사용되고 이물질의 유입과 식용유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이 발명에서, 위 튀김기(10)는, 유조(20) 외부에 위 유조(20)의 상부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위 가열수단(40)의 작동시 식용유를 향해 초음파를 연속적으로 발생시켜 피조리물에 열이 깊숙히 그리고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여 효율적인 열전달, 조리시간 단축과 최적화된 조리기능을 구현하도록 해주는 초음파 진동자(13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서, 위 운전반(100)은,
위 튀김기(1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40);
위 튀김기(10)에 설치되는 온도감지기(52,54), 키패드(151), 각 기기의 온오프스위치(152), 온도조절기(50)를 포함하는 입력부(150);
운전반(100)의 각종 처리결과, 입출력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장치(162)와 전원표시등(164)을 포함하는 출력부(160); 및
조리자에게 긴급 상태 또는 주요 처리과정의 종료를 소리 및 전등의 점멸을 통해 알려 조리자의 안전율을 증진시키기 위해 경보벨(182)과 경보등(184)을 포함하는 경보부(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이 발명에서, 위 운전반(100)은, 튀김기의(10) 디지털 운전을 위해,상부영역 안 식용유가 섭씨 180도의 온도를 넘어 화재가능 온도까지 과열되면 경보벨(182)을 울리고 경보등(184)을 점멸시켜 조리자가 인지하도록 하고, 안전을 위해 부가적으로,
상부영역 및 하부영역 안 식용유의 온도가 각각 온도 조절기(50)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과열온도까지 도달하면 이 튀김기(10)의 가열수단(40)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는 전원차단장치(186);
튀김기(10)의 각종 전기 및 전자장치 내에 비정상적인 과전류가 흐를 때 이 튀김기(10)의 주전원을 자동 차단하는 누전차단기(187); 및
유조(20)의 제1 및 제2온도김지기(52,54), 전원차단장치(186) 또는 누전차단기(187)의 장애시 튀김기(10)에 과열이 발생한 경우 과열을 감지해 튀김기(10)의 전원을 차단하는 바이메탈(188);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인터넷망과 운전반(100)을 연결하여 조리자가 작업현장 밖의 장소에서 인터넷을 통해 튀김기(10)의 상태를 휴대폰, 휴대단말기, 노트북 가운데 하나를 써서, 점검하고 필요시 원격으로 각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신부(190); 및
각종 입출력 데이터를 저장하고 튀김기 동작에 필요한 튀김기 운전프로그램(210)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212)를 포함하고 있고 위 운전프로그램(210)에 기초하여 튀김기(10)의 각 기기의 동작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00);
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발명에서, 위 튀김기(10)는 적어도 국가통합인증마크( KC: Korea Certification Mark)의 전자파관련 인증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서, 위 가열수단(40)에 의해 식용유의 산패기간이 연장되는 최소한의 기간은 주된 피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주된 피조리물이 치킨, 돈가스, 만두. 일반 튀김의 경우엔 3일이고, 제과제빵인 경우엔 10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서, 위 유조(20)와 몸체(90)의 재질은 식기와 주방기기제조용 STS304계열 스테인레스강이며, 위 스테인레스강의 두께는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 발명에서는 안전운전을 위해 경보부(180)를 구비하고 있으며, 위 경보부(180)는, 상부영역 안 식용유가 섭씨 180도의 온도를 넘어 화재가능 온도까지 과열되면 경보벨(182)을 울리고 경보등(184)을 점멸시켜 조리자가 인지하도록 하고, 안전을 위해 부가적으로,
상부영역 및 하부영역 안 식용유의 온도가 각각 온도 조절기(50)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과열온도까지 도달하면 이 튀김기(10)의 가열수단(40)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는 전원차단장치(186);
튀김기(10)의 각종 전기 및 전자장치 내에 비정상적인 과전류가 흐를 때 이 튀김기(10)의 주전원을 자동 차단하는 누전차단기(187); 및
유조(20)의 제1 및 제2온도김지기(52,54), 전원차단장치(186) 또는 누전차단기(187)의 장애시 튀김기(10)에 과열이 발생한 경우 과열을 감지해 튀김기(10)의 전원을 차단하는 바이메탈(188);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위 전원차단장치(186)는 일반 배선용 차단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서, 튀김기(10)는 육류가 과하게 튀겨져서 영양소가 파괴되지않도록 하기 위해 수비드공법(sous vide cooking)으로 조리를 할 수 있을 정도의 온도 설정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서, 위 운전반(100)은 몸체(90) 상부 후면 또는 몸체(90) 하부 전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예에서는 운전반(100)이 몸체(90) 상부 후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 발명에서, 위 통신부(190)는 위 튀김기(10)의 조리 내용과 튀김기(10)의 상태를 조리자가 스마트폰으로도 확인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19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튀김기(10)의 원격제어가 가능하게 한다.
이 발명에서, 제어부(200)는 시간 설정을 위해 타이머(202)와 가열수단(40), 냉각수단(60), 유체순환펌프(65), 밸브(70), 팬(94), 에어펌프(116), 체크밸브(118), 누전차단기(187). 타이머(202)를 제어하기 위해 계전기(204)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서, 위 튀김망(30)들을 각각 망의 촘촘한 정도가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이 발명에서, 이 튀김기(10)로 혼합 조리가 가능하여, 튀김재료의 종류가 다른 피조리물을 한꺼번에 혼합해 조리하여도 각각의 재료에서 배어나온 향과 냄새, 식용유가 피조리물들과 혼합되지 않아서 피조리물 본연의 맛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발명에서, 이 튀김기(10)의 열복원률의 수준은 대형 회전국솥의 열효율을 25%이상 능가하는 것이 자체 실험 결과 밝혀졌다..
그리고 이 발명에서, 위 3방밸브(100)로 인입되는 식용유의 온도 범위는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3. 조리방법의 실시예
청구항 1 내지 29 가운데 하나의 튀김기를 이용하여 각종 튀김을 조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1) 디지털 방식에 의한 조리방법(도 9 및 청구항 30 내지 32 참조)
청구항 1 내지 29 가운데 하나의 튀김기(10)를 이용하여 조리대상물을 운전반(100)의 디지털운전을 통해 조리하는 방법은,
튀김기(10)의 현 운전상태가 대기모드인지 또는 새로운 운전모드인지 확인하는 단계(S10);
확인 결과 현재 운전상태가 새로운 운전모드이면 튀김기(10)의 제어부(200)에 전원을 투입하고 만약 대기모드이면 대기모드를 해제하고 운전모드로 전환하며 이에 따라 제어부(200)는 자동으로 식용유온도유지장치(80)를 작동 정지시키는 단계(S20);
위 전원 투입시 또는 운전모드로의 전환시 제어부(200)가 소정의 운전 프로그램(210)에 따라 작동하여 모든 설정값이 초기화되고 조리자가 표시장치(162)에 나타난 초기화면에서 조리할 튀김 종류를 선택하는 단계(S30);
조리자가 선택한 튀김으로 튀김할 조리대상물과 목표량을 입력하는 단계(S40);
위 제어부(200)의 초기화된 사전 설정값들을 토대로 튀김기(10)를 운전할 것인지 또는 설정값들을 변경한 뒤 변경된 값에 따라 운전할 것인지를 조리자가 판단하여 선택하는 단계(S50);
위 선택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값들로 운전하기로 한 경우 초기화된 값들에 기초하여 제어부(200)는 자동으로 운전할 준비를 하고, 설정값들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부영역22) 및 하부영역(23)의 온도, 조리시간이 포함된 소정의 설정값들을 새로 설정하여 입력하는 단계(S60):
조리자는 새로운 운전 모드에서 운전을 시각할 경우 유조(20)에 식용유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없으면 새로운 식용유를 유조(20) 안에 공급하고 대기 모드에서 운전을 시작할 경우는 단계(S80)로 점프하는 단계(S70);
식용유 공급이 완료되거나 또는 위 점프가 이루어지면 입력된 설정값에 따라 제어부(200)는 유조(20)의 상태를 점검하고 가열수단(40)의 전원스위치를 자동으로 온하여 식용유를 가열하도록 하여 선택한 튀김에 맞는 온도까지 가열을 시작함과 동시에 조리자에게 튀김망에 담아야 하는 피조리물의 양을 표시장치(162)로 출력하는 단계(S80);
가열수단(40)의 전원스위치가 온되면 이와 연동하여 냉각수단(6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부(200)를 지시하여 유조(20) 하부영역(23)의 식용유 온도를 설정값 이내로 유지하여 상부영역(22)의 뜨거운 식용유가 하부영역(23)에 까지 대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S90);
유조(20)의 상부영역(22)의 온도가 선택한 튀김에 맞는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소정량의 조리대상물을 튀김망(30)에 넣을 것을 표시장치(162)에 나타내고, 스피커(164)로도 조리자에게 알리며, 소정 시간이 지나도 튀김망(30)에 조리대상물을 넣지 않으면 경보벨(152)과 경보등(153)을 반복하여 작동시키는 단계(S100);
조리대상물이 튀김망(30)에 투입되면 소정 시간 동안 이를 조리하고 예상조리 시간을 표시장치(162)에 표시하며, 조리가 끝나면 제어부(200)는 조리가 끝났음을 표시장치(162)에 출력함과 동시에 스피커(164)로도 조리자에게 알리며, 소정 시간이 지나도 튀김망(30)을 꺼내지 않으면 경보벨(182)과 경보등(184)을 반복하여 작동시키는 단계(S110);
조리자가 튀겨진 조리대상물을 유조(20)에서 꺼내서 조리를 완료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200)가 해당 튀김작업이 끝났음을 표시장치(162)에 표시함과 아울러 스피커(164)로도 조리완료를 알리는 단계(S120);
조리가 완료되면 조리자는 튀김기(10)를 계속 운전할 예정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S130);
위 단계(S130)에서 계속 운전을 선택한 경우 표시장치(162)가 제공하는 메뉴에서 대기모드를 선택하는 단계(S140);
위 단계(S130)에서 조리를 더 이상 하지 않을 경우에는 표시장치(162)가 제공하는 메뉴에서 조리종료를 선택하는 단계(S150);
위 선택 단계(S150)에서 조리자가 조리종료를 선택하면 이에 따라 제어부(200)는 튀김기(10)의 모든 기기의 작동을 종료시키고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S160); 및
위 선택 단계(S150)에서 대기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200)는 자동으로 식용유온도유지장치(80)를 작동시켜 유조(20) 상부영역(22)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 범위 안에 유지하도록 하고 단계(S10)로 점프하는 단계(S140);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 발명에서는, 동시에 여러가지 종류의 조리대상물을 튀기고자 할 경우엔 위 단계(S40)에서 복수 조리메뉴를 선택하여 조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발명에서는, 조리자가 입력한 튀김물의 목표량에 따라 제어부(200)는 필요한 갯수만큼 가열수단(40)을 선택적으로 가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튀김기의 수동운전에 의한 조리방법(도 10 및 청구항 33참조)
청구항 1 내지 29 가운데 하나의 튀김기(10)를 이용하여 조리대상물을 운전반(100)의 수동운전을 통해 조리하는 방법은,
튀김기(10)의 현 운전상태가 대기모드인지 또는 새로운 운전모드인지 확인하는 단계(S210);
확인 결과 현재 운전상태가 새로운 운전모드이면 튀김기(10)의 제어부(200)에 전원을 투입하고 만약 대기모드이면 대기모드를 해제하고 운전모드로 전환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200)는 자동으로 식용유온도유지장치(80)를 작동 정지시키는 단계(S220);
위 전원 투입 또는 대기모드의 전환에 따라 제어부(200)를 자동으로 초기화하는 단계(S230);
위 제어부(200)의 초기화된 사전 설정값들을 토대로 튀김기(10)를 운전할 것인지 또는 설정값들을 변경한 뒤 변경된 값에 따라 운전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단계(S240);
위 선택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값들로 운전하기로 한 경우 초기화된 값들에 기초하여 제어부(200)는 자동으로 운전할 준비를 하고, 설정값들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부영역22) 및 하부영역(23)의 온도, 조리시간이 포함된 소정의 설정값들을 새로 설정하는 단계(S250):
조리자는 새로운 운전 모드에서 운전을 시각할 경우 유조(20)에 식용유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없으면 새로운 식용유를 유조(20) 안에 공급하고 대기 모드에서 운전을 시작할 경우는 단계(S270)로 점프하는 단계(S260);
식용유 공급이 완료되거나 또는 점프에 따라 가열수단(40)의 전원스위치를 온하여 식용유를 가열하는 단계(S270);
가열수단(40)의 전원스위치가 온되면 이와 연동하여 냉각수단(60)에 전원이 공급되어 유조(20) 하부영역(23)의 식용유 온도를 설정값 이내로 유지하여 상부영역(22)의 뜨거운 식용유가 하부영역(23)에까지 대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S280);
상부영역(22)의 식용유 온도가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경보표시장치(162)에 표시되는 온도값을 확인하거나 또는 경보벨(182)의 소리를 듣거나 또는 경보등(184)의 점멸을 보고서 사전에 준비된 조리대상물을 유조(20) 안에 기 설치된 튀김망(30)에 집어넣어 소정의 설정된 시간 동안 조리하는 단계(S290);
위 조리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200)가 표시장치(162), 경보벨(182), 경보수단(184)을 통해 조리자에게 조리가 끝났음을 알리는 단계(S300);
조리자는 조리완료 신호에 따라 조리된 조리대상물을 꺼내서 조리를 완료하는 단계(S310);
조리가 완료되면 조리자는 튀김기(10)를 계속 운전할 예정이면 운전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스위치를 전환하고 더 이상 운전하지 않을 예정이면 가열수단(40)의 전원스위치를 오프하는 단계(S320);
위 대기모드로의 전환이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200)는 자동으로 식용유온도유지장치(80)를 작동시켜 유조(20) 상부영역(22)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 범위 안에 유지하고 단계(S210)로 점프하는 단계(S330); 및
가열수단(40)의 전원스위치가 오프되면 튀김기(10)의 운전을 종료하는 단계(S340);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처럼 이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위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이 발명은 위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이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발명은 대형 전기식 튀김기를 구현하는 데 적용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튀김기
20: 유조
21: 빈 공간영역
22: 상부영역
23: 하부영역
24: 깔때기
25: 구멍
26: 배출구
27: 유조돌기부
28: 수직벽
30: 튀김망
32: 손잡이
40: 가열수단
42: 열선
44: 스테인레스강 파이프
50: 온도조절기
52: 제1온도감지기
54: 제2온도감지기
60: 냉각수단
65: 유체순환펌프
70: 밸브
72: 입구
74: 출구
80: 식용유온도유지장치
90: 몸체
92: 열방출용 공기구멍
94: 팬
95: 다리
96: 식용유 차단벽
98: 바퀴
99: 폐식용유통
100: 운전반
110: 필터기
112,113: 연결파이프
114: 필터
115: 공기파이프
116: 에어펌프
118: 체크밸브
119: 여과용 금속망
120: 유조뚜껑
130: 초음파진동자
140: 전원공급부
150: 입력부
151: 키패드
152: 각 기기의 온오프스위치
154: 전원표시등
160: 출력부
162: 표시장치
164: 스피커
170: 기기부
180: 경보부
182: 경보벨
184: 경보등
186: 전원차단장치
187: 누전차단기
188: 바이메탈
190: 통신부
19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200: 제어부
202: 타이머
204: 계전기
210: 제어부 운전 프로그램
212: 메모리

Claims (33)

  1. 가열된 식용유에 의해 튀김망 안의 피조리물을 튀기기 위한 전기식 튀김기에서(10), 위 튀김기(10)는,
    식용유를 수용하는 용기로서
    - 피조리물의 튀김이 이루어지고 가열된 식용유가 대류하는 상부영역(22),
    - 상부영역(22) 아래에 위치하고 식용유의 온도가 상부영역의 식용유 온도보다 소정 값 이상 낮아서 튀김이 이루어지지 않는 하부영역(23)과,
    - 상부영역(22) 윗쪽에 식용유가 없이 공기로 채워지고 튀김기(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엔 상부에 뚜껑(120)을 덮는 구조의 빈 공간영역(21)
    으로 이루어지고, 이때, 빈 공간영역(21), 상부영역(22) 및 하부영역(23)의 수평단면은 사각형 또는 원 모양이고, 하부영역(23)의 아래쪽엔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깔때기(24)가 하나 이상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고, 각 깔때기(24)의 바닥에는 소정 직경의 구멍(25)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고, 각 구멍(25)의 바깥쪽으로는 구멍(25)과 같은 직경의 배출구(26)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유조(20);
    피조리물을 담아서 위 유조(20) 상부영역(22)에 하나 이상이 나란하게 배치되고 필요에 따라 사용 갯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가열된 식용유에 의해 피조리물이 튀겨지도록 하고 바닥면과 사방 측면들이 피조리물이 밑이나 옆으로 빠져나가지 않는 크기의 촘촘함을 갖고 있으며 피조리물을 유조(20) 안에 넣을 때와 조리가 끝난 피조리물을 꺼낼 때 사용되는 손잡이(32)가 부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튀김망(30);
    위 유조(20)의 상부영역(22)에서 위 튀김망(30)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전기를 써서 식용유를 직접 가열하되 식용유의 온도가 식용유의 산패를 예방하기 위해 소정의 온도 범위 1 이내가 되도록 가열하는 하나 이상의 가열수단(40);
    유조(20) 밖 상부영역(22)과 하부영역(23)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제1온도감지기(52) 및 제2 온도감지기(54)의 측정값을 토대로 가열수단(40)을 제어하여 1℃ 이하의 단위로 상부영역(22)과 하부영역(23)의 식용유 온도를 조절하며 식용유 과열로 인한 기화성 발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화상위험이나 발화로 인한 화재 위험성을 줄여주는 기능을 갖는 온도조절기(50);
    하부영역(23)의 위쪽 수평면상에 배치되고, 그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소정의 냉각유체가 유입되어 흐르도록 하여 위 유조(20)의 하부영역(23)의 식용유의 온도가 80℃ 이하가 되도록 냉각시켜서 유조(20) 상부영역(22)의 뜨거운 식용유가 하부영역(23)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고, 식용유 보다 비중이 무거운 수분과 피조리물로부터 분리된 물질은 중력에 의해 하부영역(23) 아래쪽으로 가라앉게 하여 유조(20) 내부 수분의 폭발을 방지하고 조리중 피조리물에서 유출된 콜레스테롤 성분이 피조리물과 혼합되어 조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침전된 부유물의 탄화를 차단하여 탄화물 생성을 줄여서 발암물질의 발생률을 억제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냉각수단(60);
    각각 하나의 입구(72)와 하나 이상의 출구(74)들로 이루어지고, 각 입구(72)가 각 깔때기(24)의 하나의 배출구(26)의 끝 부분과 연결되어 피조리물로부터 분리되어 침전된 튀김 부스러기 물질, 사용한 식용유, 유조(20)의 청소시 사용된 물을 각 깔때기(24)의 제1 출구(74)로 배출하는 다수개의 밸브(70);
    피조리물을 튀기고 난 뒤 상부영역(22)의 식용유가 완전히 식지않고 소정의 온도 범위 3 안에 유지되도록 하여 추후 식용유를 재가열하여 사용할 때 가열 시간과 가열 속도를 단축하여 전력의 소모를 줄여주고 튀김조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 식용유온도유지장치(80);
    유조(20)를 내부에 수납하고 이를 고정 및 지지시키며 사각형 모양의 튀김기(10) 네 측면을 모두 스테인레스강으로 둘러싸고 있고, 튀김기(10) 좌우측면에는 각각 다수개의 공기흡입 및 열방출용 공기구멍(92)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의 열을 외부로 강제로 내보내기 위한 팬(94)을 구비하는 튀김기 몸체(90); 및
    위 몸체(90) 상부 또는 전면에 배치되어 튀김기(10) 를 운전하기 위한 운전반(100);
    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위 유조(20) 상부영역(22)에서 가열수단(40)의 위쪽에 튀김망(30)의 전면, 후면, 측면이 얹혀져서 고정되도록 유조(20) 내부의 전후측면에 다수의 돌기부(27)가 같은 수평면상에 형성되고,
    이때, 위 몸체(90) 상부 후면부에는 조리시 식용유가 튀김기(10) 뒷쪽으로 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벽(96)이 설치되는 것이 특징인, 튀김기.
  2. 제1 항에서, 위 깔때기(24)가 두 개 이상인 경우 각각의 깔때기(24)가 서로 이웃하는 다른 깔때기(24)와 접하는 부분들은 직선을 이루며, 이 직선에서부터 수직 상방으로 위 냉각수단(60)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수직벽(2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3. 제1 항에서, 위 튀김기(10)의 몸체(90) 하부의 지지대 끝에는 몸체(90)의 이동을 위한 다수개의 바퀴(98)가 배치될 수 있고, 위 바퀴(98)는 고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나는, 튀김기.
  4. 제1 항에서, 위 각각의 가열수단(40)은 열선(4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5. 제1 항에서, 위 각각의 열선(42)은 각각 별도의 스테인레스강 파이프(44) 안에 삽입되어 배치되며, 이때 이 스테인레스강은 식기와 주방기기제조용 STS304계열 스테인레스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6. 제5 항에서, 위 각각의 파이프(44)는 유조(20) 상부영역의 특정 수평면 안에서 타원형 또는 사각형 모양으로 한 바퀴 이상 감아올린 뒤 몸체(90) 밖으로 인출되는 모양으로 배관되거나 또는 맨 마지막 바퀴에서는 배관의 가운데 부분을 가로지른 뒤 몸체(90) 밖으로 인출되는 모양으로 배관되고, 각각의 파이프(44)들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7. 제1 항에서, 위 튀김기(10)에서, 밸브(70)는 볼밸브 또는 3방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8. 제1 항에서, 위 튀김기(10)는, 밸브(70)의 제2 출구(74)와 연결되어 튀김기(10)에서 사용된 식용유를 정제하여 위 유조(20)로 다시 공급해서 식용유의 선도를 향상 및 연장시키는 기능을 갖는 필터기(110)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9. 제8 항에서, 위 필터기(110)는,
    위 제2 출구(74)와 연결되어 필터기(110) 내부에서 수직 상방향으로 배치되어 유조(20)로부터 공급되는 사용된 식용유가, 유조 내 식용유에 가해지는 공기압력에 의해 관 위쪽 방향으로 흐르는 연결 파이프(112);
    사용된 식용유를 연결파이프(112)를 통해 공급받아 여과한 뒤 여과된 식용유를 연결파이프(113)을 통해 유조(20)로 내보내는 필터(114);
    공기파이프(115)를 통해 연결파이프(112)와 연결되며 연결파이프(112)에 공기를 불어넣어 사용된 식용유를 공기와 함께 필터(114)로 전송하는 에어펌프(116); 및
    연결파이프(112)를 흐르는 사용된 식용유가 에어펌프(116) 쪽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파이프(112)와 에어펌프(116) 사이의 공기파이프(115)에 설치되는 체크밸브(118);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10. 제9 항에서, 위 필터(114)는 식품처리에 사용되는 여과지이며 여과지를 사용하기 위해서 필터기(110)는 여과지를 배치할 수 있는 깔때기 모양의 여과용 금속망(119)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11. 제1 항에서, 위 온도유지장치(80)는 위 온도조절기(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12. 제1 항에서, 위 냉각수단(60)은 스테인레스강 재질의 파이프이고, 냉각수단(60) 내부를 흐르는 유체는 물 또는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13. 제1 항에서, 위 냉각수단(60)은 유체를 강제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6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14. 제12 항에서, 위 냉각용 유체가 공기인 경우 위 냉각수단(60)의 파이프는 하나 이상이 나란히 배치되며 이들 각 파이프의 입구와 출구는 몸체(90) 내에서 개방되어 있고 몸체(90)의 공기구멍(92)을 통해 새 공기가 이들 파이프로 공급되고 이들 파이프에서 배출되는 뜨거운 식용유에 의해 댑혀진 공기가 몸체(9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15. 제1 항에서, 위 냉각수단(60)의 바깥표면에는 냉각수단(60)의 표면적을 넓혀서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지느러미(fin)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16. 제1 항에서, 위 튀김기(10)는, 두 짝으로 이루어지고, 유조(2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만 사용되고 이물질의 유입과 식용유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조뚜껑(120)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17. 제1 항에서, 위 튀김기(10)는, 유조(20) 외부에 위 유조(20)의 상부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위 가열수단(40)의 작동시 식용유를 향해 초음파를 연속적으로 발생시켜 피조리물에 열이 깊숙히 그리고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여 효율적인 열전달, 조리시간 단축기능을 구현하도록 해주는 초음파 진동자(13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18. 제1 항에서, 위 운전반(100)은,
    위 튀김기(1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40);
    위 튀김기(10)에 설치되는 온도감지기(52,54), 키패드(151), 각 기기의 온오프스위치(152), 온도조절기(50)를 포함하는 입력부(150);
    운전반(100)의 각종 처리결과, 입출력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장치(162)와 전원표시등(164)을 포함하는 출력부(160); 및
    조리자에게 긴급 상태 또는 주요 처리과정의 종료를 소리 및 전등의 점멸을 통해 알려 조리자의 안전율을 증진시키기 위해 경보벨(182)과 경보등(184)을 포함하는 경보부(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19. 제18 항에서, 위 운전반(100)은 튀김기(10)의 디지털 운전을 위해,
    인터넷망과 운전반(100)을 연결하여 조리자가 작업현장 밖의 장소에서 인터넷을 통해 튀김기(10)의 상태를 휴대폰, 휴대단말기, 노트북 가운데 하나를 써서, 점검하고 원격으로 각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신부(190); 및
    각종 입출력 데이터를 저장하고 튀김기 동작에 필요한 튀김기 운전프로그램(210)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212)를 포함하고 있고 위 운전프로그램(210)에 기초하여 튀김기(10)의 각 기기의 동작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00);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20. 삭제
  21. 제1 항에서, 위 가열수단(40)에 의해 식용유의 산패기간이 연장되는 최소한의 기간은 주된 피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주된 피조리물이 치킨, 돈가스, 만두. 일반 튀김의 경우엔 3일이고, 제과제빵인 경우엔 10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22. 제1 항에서, 위 유조(20)와 몸체(90)의 재질은 식기와 주방기기제조용 STS304계열 스테인레스강이며, 위 스테인레스강의 두께는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23. 제18 항에서, 위 경보부(180)는, 상부영역 안 식용유가 섭씨 180도의 온도를 넘어 화재가능 온도까지 과열되면 경보벨(182)을 울리고 경보등(184)을 점멸시켜 조리자가 인지하도록 하고, 안전을 위해 부가적으로,
    상부영역 및 하부영역 안 식용유의 온도가 각각 온도 조절기(50)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과열온도까지 도달하면 이 튀김기(10)의 가열수단(40)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는 전원차단장치(186);
    튀김기(10)의 각종 전기 및 전자장치 내에 비정상적인 과전류가 흐를 때 이 튀김기(10)의 주전원을 자동 차단하는 누전차단기(187); 및
    유조(20)의 제1 및 제2온도김지기(52,54), 전원차단장치(186) 또는 누전차단기(187)의 장애시 튀김기(10)에 과열이 발생한 경우 과열을 감지해 튀김기(10)의 전원을 차단하는 바이메탈(188);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위 전원차단장치(186)는 일반 배선용 차단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24. 제1 항에서, 위 튀김기(10)는 육류가 과하게 튀겨져서 영양소가 파괴되지않도록 하기 위해 수비드공법(sous vide cooking)으로 조리를 할 수 있을 정도의 온도 설정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25. 제1 항에서, 위 운전반(100)은 몸체(90) 상부 후면의 전면부 또는 몸체(90) 하부 전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26. 삭제
  27. 제19 항에서, 위 제어부(200)는 시간 설정을 위한 타이머(202)와 가열수단(40), 냉각수단(60), 유체순환펌프(65), 밸브(70), 팬(94), 에어펌프(116), 체크밸브(118), 누전차단기(187). 타이머(202)를 제어하기 위해 계전기(204)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28. 제7 항에서, 위 3방밸브(100)로 인입되는 식용유의 온도 범위는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29. 제1 항에서, 위 튀김망(30)들은 각각 망의 촘촘한 정도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30. 청구항 1 내지 19, 21 내지 25, 27 내지 29 가운데 하나의 튀김기(10)를 이용하여 조리대상물을 운전반(100)의 디지털운전을 통해 조리하는 방법에서,
    튀김기(10)의 현 운전상태가 대기모드인지 또는 새로운 운전모드인지 확인하는 단계(S10);
    확인 결과 현재 운전상태가 새로운 운전모드이면 튀김기(10)의 제어부(200)에 전원을 투입하고 만약 대기모드이면 대기모드를 해제하고 운전모드로 전환하며 이에 따라 제어부(200)는 자동으로 식용유온도유지장치(80)를 작동 정지시키는 단계(S20);
    위 전원 투입시 또는 운전모드로의 전환시 제어부(200)가 소정의 운전 프로그램(210)에 따라 작동하여 모든 설정값이 초기화되고 조리자가 표시장치(162)에 나타난 초기화면에서 조리할 튀김 종류를 선택하는 단계(S30);
    조리자가 선택한 튀김으로 튀김할 조리대상물과 목표량을 입력하는 단계(S40);
    위 제어부(200)의 초기화된 사전 설정값들을 토대로 튀김기(10)를 운전할 것인지 또는 설정값들을 변경한 뒤 변경된 값에 따라 운전할 것인지를 조리자가 판단하여 선택하는 단계(S50);
    위 선택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값들로 운전하기로 한 경우 초기화된 값들에 기초하여 제어부(200)는 자동으로 운전할 준비를 하고, 설정값들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부영역(22) 및 하부영역(23)의 온도, 조리시간이 포함된 소정의 설정값들을 새로 설정하여 입력하는 단계(S60):
    조리자는 새로운 운전 모드에서 운전을 시각할 경우 유조(20)에 식용유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없으면 새로운 식용유를 유조(20) 안에 공급하고 대기 모드에서 운전을 시작할 경우는 단계(S80)로 점프하는 단계(S70);
    식용유 공급이 완료되거나 또는 위 점프가 이루어지면 입력된 설정값에 따라 제어부(200)는 유조(20)의 상태를 점검하고 가열수단(40)의 전원스위치를 자동으로 온하여 식용유를 가열하도록 하여 선택한 튀김에 맞는 온도까지 가열을 시작함과 동시에 조리자에게 튀김망에 담아야 하는 피조리물의 양을 표시장치(162)로 출력하는 단계(S80);
    가열수단(40)의 전원스위치가 온되면 이와 연동하여 냉각수단(6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부(200)를 지시하여 유조(20) 하부영역(23)의 식용유 온도를 설정값 이내로 유지하여 상부영역(22)의 뜨거운 식용유가 하부영역(23)에 까지 대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S90);
    유조(20)의 상부영역(22)의 온도가 선택한 튀김에 맞는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소정량의 조리대상물을 튀김망(30)에 넣을 것을 표시장치(162)에 나타내고, 스피커(164)로도 조리자에게 알리며, 소정 시간이 지나도 튀김망(30)에 조리대상물을 넣지 않으면 경보벨(152)과 경보등(153)을 반복하여 작동시키는 단계(S100);
    조리대상물이 튀김망(30)에 투입되면 소정 시간 동안 이를 조리하고 예상조리 시간을 표시장치(162)에 표시하며, 조리가 끝나면 제어부(200)는 조리가 끝났음을 표시장치(162)에 출력함과 동시에 스피커(164)로도 조리자에게 알리며, 소정 시간이 지나도 튀김망(30)을 꺼내지 않으면 경보벨(182)과 경보등(184)을 반복하여 작동시키는 단계(S110);
    조리자가 튀겨진 조리대상물을 유조(20)에서 꺼내서 조리를 완료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200)가 해당 튀김작업이 끝났음을 표시장치(162)에 표시함과 아울러 스피커(164)로도 조리완료를 알리는 단계(S120);
    조리가 완료되면 조리자는 튀김기(10)를 계속 운전할 예정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S130);
    위 단계(S130)에서 계속 운전을 선택한 경우 표시장치(162)가 제공하는 메뉴에서 대기모드를 선택하는 단계(S140);
    위 단계(S130)에서 조리를 더 이상 하지 않을 경우에는 표시장치(162)가 제공하는 메뉴에서 조리종료를 선택하는 단계(S150);
    위 선택 단계(S150)에서 조리자가 조리종료를 선택하면 이에 따라 제어부(200)는 튀김기(10)의 모든 기기의 작동을 종료시키고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S160); 및
    위 선택 단계(S150)에서 대기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200)는 자동으로 식용유온도유지장치(80)를 작동시켜 유조(20) 상부영역(22)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 범위 안에 유지하도록 하고 단계(S10)로 점프하는 단계(S170);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튀김기를 이용한 조리방법.
  31. 제30 항에서, 동시에 여러가지 종류의 조리대상물을 튀기고자 할 경우엔 위 단계(S40)에서 복수 조리메뉴를 선택하여 조리하는 것이 특징인, 튀김기를 이용한 조리방법.
  32. 제30 항에서, 조리자가 입력한 튀김물의 목표량에 따라 제어부(200)는 필요한 갯수만큼 가열수단(40)을 선택적으로 가열시키는 것이 특징인, 튀김기를 이용한 조리방법.
  33. 청구항 1 내지 19, 21 내지 25, 27 내지 29 가운데 하나의 튀김기(10)를 이용하여 조리대상물을 운전반(100)의 수동운전을 통해 조리하는 방법에서,
    튀김기(10)의 현 운전상태가 대기모드인지 또는 새로운 운전모드인지 확인하는 단계(S210);
    확인 결과 현재 운전상태가 새로운 운전모드이면 튀김기(10)의 제어부(200)에 전원을 투입하고 만약 대기모드이면 대기모드를 해제하고 운전모드로 전환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200)는 자동으로 식용유온도유지장치(80)를 작동 정지시키는 단계(S220);
    위 전원 투입 또는 대기모드의 전환에 따라 제어부(200)를 자동으로 초기화하는 단계(S230);
    위 제어부(200)의 초기화된 사전 설정값들을 토대로 튀김기(10)를 운전할 것인지 또는 설정값들을 변경한 뒤 변경된 값에 따라 운전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단계(S240);
    위 선택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값들로 운전하기로 한 경우 초기화된 값들에 기초하여 제어부(200)는 자동으로 운전할 준비를 하고, 설정값들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부영역22) 및 하부영역(23)의 온도, 조리시간이 포함된 소정의 설정값들을 새로 설정하는 단계(S250):
    조리자는 새로운 운전 모드에서 운전을 시각할 경우 유조(20)에 식용유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없으면 새로운 식용유를 유조(20) 안에 공급하고 대기 모드에서 운전을 시작할 경우는 단계(S270)로 점프하는 단계(S260);
    식용유 공급이 완료되거나 또는 점프에 따라 가열수단(40)의 전원스위치를 온하여 식용유를 가열하는 단계(S270);
    가열수단(40)의 전원스위치가 온되면 이와 연동하여 냉각수단(60)에 전원이 공급되어 유조(20) 하부영역(23)의 식용유 온도를 설정값 이내로 유지하여 상부영역(22)의 뜨거운 식용유가 하부영역(23)에 까지 대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S280);
    상부영역(22)의 식용유 온도가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경보표시장치(162)에 표시되는 온도값을 확인하거나 또는 경보벨(182)의 소리를 듣거나 또는 경보등(184)의 점멸을 보고서 사전에 준비된 조리대상물을 유조(20) 안에 기 설치된 튀김망(30)에 집어넣어 소정의 설정된 시간 동안 조리하는 단계(S290);
    위 조리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200)가 표시장치(162), 경보벨(182), 경보수단(184)을 통해 조리자에게 조리가 끝났음을 알리는 단계(S300);
    조리자는 조리완료 신호에 따라 조리된 조리대상물을 꺼내서 조리를 완료하는 단계(S310);
    조리가 완료되면 조리자는 튀김기(10)를 계속 운전할 예정이면 운전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스위치를 전환하고 더 이상 운전하지 않을 예정이면 가열수단(40)의 전원스위치를 오프하는 단계(S320);
    위 대기모드로의 전환이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200)는 자동으로 식용유온도유지장치(80)를 작동시켜 유조(20) 상부영역(22)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 범위 안에 유지하고 단계(S210)로 점프하는 단계(S330); 및
    가열수단(40)의 전원스위치가 오프되면 튀김기(10)의 운전을 종료하는 단계(S340);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튀김기를 이용한 조리방법.
KR1020190126539A 2019-10-11 2019-10-11 전기튀김기 및 이를 이용한 조리방법 KR102237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539A KR102237604B1 (ko) 2019-10-11 2019-10-11 전기튀김기 및 이를 이용한 조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539A KR102237604B1 (ko) 2019-10-11 2019-10-11 전기튀김기 및 이를 이용한 조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604B1 true KR102237604B1 (ko) 2021-04-07

Family

ID=75469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539A KR102237604B1 (ko) 2019-10-11 2019-10-11 전기튀김기 및 이를 이용한 조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60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20646A (zh) * 2022-04-07 2022-07-08 海门欣荣电器有限公司 基于大数据的食品油炸锅的智能优化分析方法
KR20220152600A (ko) 2021-05-10 2022-11-17 최애성 튀김장치
KR20220152601A (ko) 2021-05-10 2022-11-17 최애성 튀김유 대류방지키트를 구비한 튀김장치
KR20220152602A (ko) 2021-05-10 2022-11-17 최애성 튀김유 대류방지키트를 구비한 튀김장치
KR102581041B1 (ko) 2022-12-28 2023-09-21 화신주방산업(주) 망리프팅 구조를 갖는 튀김기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3206B1 (ja) * 1998-08-07 1999-11-29 株式会社タニコーテック 加熱調理器
KR20010041356A (ko) * 1998-03-24 2001-05-15 보스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조리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
JP2003339555A (ja) * 2002-05-30 2003-12-02 Parchitec Inc フライヤー
KR200337215Y1 (ko) 2003-09-29 2003-12-31 고윤선 튀김장치용 히터
KR200337308Y1 (ko) * 2003-09-29 2003-12-31 고윤선 튀김장치
KR200413631Y1 (ko) * 2005-11-28 2006-04-10 박노범 부유물 정제장치 및 그 장치를 갖는 튀김기
KR101317697B1 (ko) * 2013-03-25 2013-10-15 방은미 튀김장치
KR101703676B1 (ko) 2015-12-01 2017-02-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튀김기용 온도조절장치
KR20170139232A (ko) * 2016-06-09 2017-12-19 최미순 폭발 방지 및 기름넘침방지와 튀김찌거기 제거로 기름의 수명을 향상시킨 수유식 튀김기
KR20190072917A (ko) * 2017-12-18 2019-06-26 주식회사 케이티앤이 화재방지가 가능한 튀김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1356A (ko) * 1998-03-24 2001-05-15 보스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조리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
JP2983206B1 (ja) * 1998-08-07 1999-11-29 株式会社タニコーテック 加熱調理器
JP2003339555A (ja) * 2002-05-30 2003-12-02 Parchitec Inc フライヤー
KR200337215Y1 (ko) 2003-09-29 2003-12-31 고윤선 튀김장치용 히터
KR200337308Y1 (ko) * 2003-09-29 2003-12-31 고윤선 튀김장치
KR200413631Y1 (ko) * 2005-11-28 2006-04-10 박노범 부유물 정제장치 및 그 장치를 갖는 튀김기
KR101317697B1 (ko) * 2013-03-25 2013-10-15 방은미 튀김장치
KR101703676B1 (ko) 2015-12-01 2017-02-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튀김기용 온도조절장치
KR20170139232A (ko) * 2016-06-09 2017-12-19 최미순 폭발 방지 및 기름넘침방지와 튀김찌거기 제거로 기름의 수명을 향상시킨 수유식 튀김기
KR20190072917A (ko) * 2017-12-18 2019-06-26 주식회사 케이티앤이 화재방지가 가능한 튀김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 발명과 관련되는 선행기술 가운데 출원당시 출원인에게 알려진 것은 아래와 같다: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600A (ko) 2021-05-10 2022-11-17 최애성 튀김장치
KR20220152601A (ko) 2021-05-10 2022-11-17 최애성 튀김유 대류방지키트를 구비한 튀김장치
KR20220152602A (ko) 2021-05-10 2022-11-17 최애성 튀김유 대류방지키트를 구비한 튀김장치
KR102484204B1 (ko) * 2021-05-10 2023-01-03 최애성 튀김유 대류방지키트를 구비한 튀김장치
KR102484203B1 (ko) * 2021-05-10 2023-01-03 최애성 튀김장치
KR102484205B1 (ko) * 2021-05-10 2023-01-03 최애성 튀김유 대류방지키트를 구비한 튀김장치
CN114720646A (zh) * 2022-04-07 2022-07-08 海门欣荣电器有限公司 基于大数据的食品油炸锅的智能优化分析方法
CN114720646B (zh) * 2022-04-07 2023-12-15 手拉手纳米科技(嘉兴)有限公司 基于大数据的食品油炸锅的智能优化分析方法
KR102581041B1 (ko) 2022-12-28 2023-09-21 화신주방산업(주) 망리프팅 구조를 갖는 튀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7604B1 (ko) 전기튀김기 및 이를 이용한 조리방법
US92201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range top heating elements for cooking
US4502373A (en) Cleaning system for deep fryer
US20100326286A1 (en) Multi-purpose cooking device through heating of a water bath
JP5901624B2 (ja) フライヤー
JP5127863B2 (ja) フライヤー
KR101222767B1 (ko) 유수 분리식 튀김기
KR102046256B1 (ko)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유도가열식 튀김장치
KR101340648B1 (ko) 조리기구
KR102236403B1 (ko) 유도가열 코일이 유조의 중하단 기름가열부에 장착된 고주파 유도가열튀김장치
CN201337311Y (zh) 一种多功能自助电火锅
CN204950634U (zh) 智能红外电烤箱
JP2016120290A (ja) フライヤー
KR200312289Y1 (ko) 테이블 부착형 튀김기
JP2005296529A (ja) 調理器
CN209181008U (zh) 一种燃气环保单头单尾撑小炒炉
KR101264271B1 (ko) 면류 조리기
CN201019588Y (zh) 一种节油油炸锅
CN107455647A (zh) 多种类智能水饺炉
KR101741311B1 (ko) 수유식 튀김기
CN201098014Y (zh) 热石烤炉
CN210748858U (zh) 一种自清洁环保型压力电炸炉
KR200185525Y1 (ko) 튀김기
JP4053161B2 (ja) ロースター兼用電気鍋
CN212546679U (zh) 一种具有可替换锅体的电烹饪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