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552B1 - 줄 계지구 및 줄 계지구가 장착된 스피닝 릴의 스풀 - Google Patents

줄 계지구 및 줄 계지구가 장착된 스피닝 릴의 스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552B1
KR102219552B1 KR1020140040589A KR20140040589A KR102219552B1 KR 102219552 B1 KR102219552 B1 KR 102219552B1 KR 1020140040589 A KR1020140040589 A KR 1020140040589A KR 20140040589 A KR20140040589 A KR 20140040589A KR 102219552 B1 KR102219552 B1 KR 102219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fishing line
mounting
lin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2997A (ko
Inventor
히로카즈 히라오카
신고 마츠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50012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염가인 또한 용이한 구성에 의하여, 낚싯줄을 줄 계지구(係止具)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한다.
[해결 수단] 줄 계지구(70)는 스피닝 릴의 스풀(4)에 장착된다. 줄 계지구(70)는, 스풀(4)에 장착 가능한 장착부(72)와, 장착부(72)에 설치되고, 스풀(4)의 표면과의 사이에서 낚싯줄(FL)을 계지하기 위하여 계지구 본체(74)를 구비한다. 계지구 본체(74)는, 장착 단부(端部)(76)와 도입 단부(78)와 이동 규제부(80)를 가진다. 장착 단부(76)는, 장착부(72)가 설치되고, 스풀(4)의 둘레 방향으로 제1폭(W1)을 가지는 단부이다. 도입 단부(78)는, 낚싯줄(FL)이 도입되는 단부이다. 이동 규제부(80)는, 장착 단부(76)와 도입 단부(78)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폭(W1)과 다른 제2폭(W2)(제3폭(W3))을 가진다.

Description

줄 계지구 및 줄 계지구가 장착된 스피닝 릴의 스풀{LINE CLIP AND SPOOL FOR A SPINNING REEL USING THE LINE CLIP}
본 발명은, 스피닝 릴의 스풀에 장착되는 줄 계지구(係止具) 및 줄 계지구가 장착된 스피닝 릴의 스풀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의 스풀은, 핸들의 회전에 따라 전후(前後)로 왕복 이동한다. 스피닝 릴은, 줄 감기 몸통부와, 전(前) 플랜지부와, 스커트부를 가진다. 스커트부에는 줄 감기 몸통부에 감긴 낚싯줄의 선단(先端)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줄 계지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줄 계지구는, 줄 감기 몸통부에 감긴 낚싯줄의 선단 부분을 계지하고, 줄 감기 몸통부에 감긴 낚싯줄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줄 계지구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제의 계지구 본체와, 계지구 본체와 일체(一體) 성형된 판상(板狀)의 장착부를 가진다. 계지구 본체는, 예를 들어 스커트부의 전부(前部) 외주면(外周面)에 형성된 오목부에 수납되고, 외주면을 따라 노출하고, 스커트부와 약간의 간극(間隙)을 두고 후방(後方) 측에 개구(開口)하도록 배치된다. 계지구 본체의 개구 측의 선단은 원형(圓形)으로 만곡(彎曲)하고, 선단으로부터 취부부(取付部)를 향하여 서서히 폭이 넓어지는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포탄 형상으로 형성된다. 계지구 본체는, 용수철 부재에 의하여 스풀의 직경 방향 내측(內側)으로 압박된다. 종래의 줄 계지구에서는, 용수철 부재에 의하여 계지구 본체로 계지한 낚싯줄의 보지력(保持力)을 높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낚싯줄이 계지구 본체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진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273626호
종래의 줄 계지구에서는, 포탄 형상으로 형성되고, 계지구 본체가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게 형성된다. 이 때문에, 보지한 낚싯줄이 빠지는 것이 있다. 특히, 굵은 낚싯줄을 장착하면, 낚싯줄이 한층 더 빠지기 쉬워진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의 줄 계지구에서는, 용수철 부재를 설치하여 낚싯줄의 보지력을 증가시켜, 낚싯줄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용수철 부재를 설치하면, 줄 계지구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줄 계지구의 코스트가 상승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염가인 또한 용이한 구성에 의하여, 낚싯줄을 줄 계지구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줄 계지구는, 스피닝 릴의 스풀에 장착된다. 줄 계지구는, 스풀에 장착 가능한 장착부와, 장착부에 설치되고, 스풀의 표면과의 사이에서 낚싯줄을 계지하기 위하여 계지구 본체를 구비한다. 계지구 본체는, 장착 단부(端部)와 도입 단부와 이동 규제부를 가진다. 장착 단부는, 장착부가 설치되고, 스풀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단부이다. 도입 단부는, 낚싯줄이 도입되는 단부이다. 이동 규제부는, 장착 단부와 도입 단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소정의 폭과 다른 폭을 가지고, 낚싯줄이 도입 단부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이 줄 계지구에서는, 도입 단부로부터 도입된 낚싯줄이 계지구 본체와 스풀의 표면과의 사이에 계지된다. 계지된 낚싯줄은, 도입 단부와 장착 단부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도입 단부와 장착 단부의 사이에는, 장착 단부의 소정의 폭과 다른 폭을 가지는 이동 규제부가 설치된다. 이 때문에, 계지구 본체에 도입된 낚싯줄의 이동이 도입 단부와 장착 단부의 사이에서 이동 규제부에 의하여 규제되고, 낚싯줄이, 도입 단부 측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여기에서는, 계지구 본체에 계지된 낚싯줄이 이동 규제부에 의하여 도입 단부 측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염가인 또한 용이한 구성에 의하여 낚싯줄이 줄 계지구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진다.
이동 규제부는, 소정의 폭보다도 넓은 폭을 가지는 돌출부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장착 단부와 도입 단부의 사이에 폭이 넓은 돌출부가 설치되기 때문에, 돌출부에서 낚싯줄의 도입 단부 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낚싯줄이 빠지기 어려워진다.
이동 규제부는, 소정의 폭보다도 좁은 폭을 가지는 잘록부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장착 단부와 도입 단부의 사이에 폭이 좁은 잘록부가 설치되기 때문에, 잘록부에 낚싯줄이 비집고 들어가 낚싯줄의 도입 단부 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낚싯줄이 빠지기 어려워진다.
이동 규제부는, 소정의 폭보다도 넓은 폭을 가지는 돌출부 및 소정의 폭보다도 좁은 폭을 가지는 잘록부를 가져도 무방하다. 잘록부는, 돌출부와 장착 단부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잘록부와 돌출부가 설치되고, 나아가, 잘록부가 돌출부와 도입 단부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잘록부에 비집고 들어가 이동이 규제된 낚싯줄이 돌출부에 의하여 한층 더 이동이 규제된다. 이것에 의하여, 낚싯줄의 장착 단부 측으로의 이동이 2단계로 규제되고, 낚싯줄이 한층 더 빠지기 어려워진다.
잘록부는, 원호상(圓弧狀)으로 오목한 저부(底部)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잘록부가 원호상으로 오목하기 때문에, 잘록부에 낚싯줄이 비집고 들어가도 낚싯줄이 손상되기 어렵다.
장착 단부는, 스풀의 둘레 방향을 따른 장착 단부의 평탄부를 가지고, 도입 단부는, 스풀의 축 방향을 따라 돌출한 볼록부를 가진다. 이 경우에, 장착 단부가 장착 단부의 평탄부를 가지고 도입 단부가 볼록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입 단부로부터 낚싯줄을 도입하여도, 낚싯줄이 손상되기 어렵다.
돌출부는 돌출부의 평탄부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돌출부에 돌출부의 평탄부가 설치되기 때문에, 낚싯줄이 돌출부에 걸리기 쉬워져, 낚싯줄이 한층 더 빠지기 어려워진다.
돌출부의 평탄부는, 스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 돌출부에 설치되는 돌출부의 평탄부가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기 때문에, 낚싯줄이 한층 더 걸리기 쉬워져, 낚싯줄이 한층 더 빠지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줄 감기 몸통부와, 스커트부와, 줄 계지구를 구비한다. 줄 감기 몸통부는, 외주면에 낚싯줄을 감기 가능하다. 스커트부는, 줄 감기 몸통부의 후단부(後端部)에 설치되고, 줄 감기 몸통부보다도 대경(大徑)의 것이다. 줄 계지구는, 상기의 스커트부에 장착되는 줄 계지구이다.
이 스피닝 릴의 스풀에서는, 상기의 작용 효과를 가져오는 스풀을 얻을 수 있다.
스피닝 릴은, 스커트부와 줄 계지구의 사이에 배치되는 시트 부재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계지구 본체와 시트 부재의 사이에 낚싯줄이 배치되기 때문에, 시트 부재와의 마찰에 의하여 낚싯줄이 한층 더 빠지기 어려워진다.
시트 부재는, 줄 계지구의 도입 단부 측에 설치되는 직사각형의 노치(notch)부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계지구 본체와 스커트부와의 사이에 낚싯줄이 들어가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낚싯줄이 스풀 표면을 미끄러져, 계지구 본체와 스커트부의 사이에 도입하기 쉬워진다.
시트 부재의 후단부는, 계지구 본체의 도입 단부보다도 뒤쪽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스커트부에 배치되는 시트 부재가, 낚싯줄이 도입되는 도입 단부보다도 뒤쪽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노치부를 형성하여도, 낚싯줄을 도입 단부로부터 계지구 본체에 도입할 때에 시트 부재와 스커트부의 사이에 낚싯줄이 들어가기 어렵다.
스커트부는, 적어도 일부에 시트 부재가 배치되고, 줄 계지구를 장착하기 위한 오목부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 계지구 본체가 스커트부의 외주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작아져, 팽팽히 당겨지지 않고 느슨하게 된 낚싯줄이 계지구 본체에 걸리기 어려워진다.
오목부는, 줄 계지구의 장착부가 통과 가능한 개구부를 가진다. 이 경우에, 장착부를 스커트 내에서 줄 감기 몸통부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계지구 본체가 스커트부에 확실히 장착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스커트부의 외주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작아져, 팽팽히 당겨지지 않고 느슨하게 된 낚싯줄이 계지구 본체에 걸리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계지구 본체에 계지된 낚싯줄이 이동 규제부에 의하여 도입 단부 측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염가인 또한 용이한 구성으로 낚싯줄이 줄 계지구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채용된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줄 계지구의 평면도.
도 4는 그 줄 계지구의 측면 단면 확대도.
도 5는 그 줄 계지구에 낚싯줄이 계지된 상태의 도 4에 상당하는 도면.
도 6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의한 줄 계지구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줄 계지구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줄 계지구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100)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로터(3)는, 스풀(4)에 낚싯줄을 감는 것이고, 릴 본체(2)의 전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4)은, 외주면에 낚싯줄을 감는 것이고, 로터(3)의 전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덧붙여, 핸들(1)은, 릴 본체(2)의 좌측 및 우측의 어느 쪽에도 장착 가능하다. 여기에서, 전후란, 낚시를 행할 때에, 낚싯줄이 방출되는 방향을 전(前)이라고 하고 그 반대의 방향을 후(後)라고 한다. 또한, 좌우란, 스피닝 릴(100)을 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좌우를 말한다.
릴 본체(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를 가지는 릴 보디(2a)와, 개구를 막도록 릴 보디(2a)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 부재(2b)와, 덮개 부재(2b)로부터 비스듬히 상전방(上前方)으로 연장되는 장대 취부 다리(2c)를 가진다. 릴 보디(2a)는 내부에 공간을 가진다. 이 공간 내에는,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로터(3)를 회전시키는 로터 구동 기구(5)와, 스풀(4)을 전후로 이동시켜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오실레이팅(oscillating)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로터 구동 기구(5)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이 고정된 구동 기어축(10)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 기어(11)와, 이 구동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진다. 피니언 기어(12)는, 통상(筒狀)으로 형성되고, 로터(3)의 중심부를 관통한다. 그리고 피니언 기어(12)의 전부(12a)가, 너트(13)에 의하여 로터(3)에 고정된다. 또한, 피니언 기어(12)의 중간부와 후단부가, 각각 베어링(14a, 14b)을 통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4)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드래그 기구(60)에 연결된 스풀축(15)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스풀(4)을 드래그 기구(60)와 함께 전후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축(15)의 하방(下方)에 평행으로 배치된 나축(螺軸)(21)과, 나축(2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22)와, 나축(21)의 선단에 고정된 중간 기어(23)를 가진다. 슬라이더(22)는, 스풀축(15)의 후단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중간 기어(23)는, 도시하지 않는 감속 기구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린다. 이 감속 기구에 의하여, 오실레이팅 기구(6)의 전후 이동 속도가 늦어져, 낚싯줄을 스풀(4)에 치밀하게 감을 수 있다.
로터(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12)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30)와, 연결부(30)의 측방(側方)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을 가진다. 연결부(30)와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은 일체로 성형된다.
연결부(30)의 전부에는 전벽(前壁)(33)이 형성되고, 이 전벽(33)의 중앙부에는 보스부(33a)가 설치되어 있다. 보스부(33a)의 중심부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 구멍을 피니언 기어(12)의 전부(12a) 및 스풀축(15)이 관통한다. 전벽(33)의 전부에는 너트(13)가 배치되고, 이 너트(13)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12)의 전부(12a)가 로터(3)에 고정된다.
제1 로터 암(31)은, 연결부(30)로부터 외방(外方)을 향하여 볼록상(狀)으로 만곡하여 전방(前方)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로터 암(31)의 선단 외주 측에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가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선단에는, 낚싯줄을 스풀(4)로 안내하기 위한 라인 롤러(41)가 장착된다. 제2 로터 암(32)은, 연결부(30)로부터 외방으로 볼록하게 만곡하여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로터 암(32)의 선단 외주 측에는, 제2 베일 지지 부재(42)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라인 롤러(41)와 제2 베일 지지 부재(42)의 사이에는, 선재(線材)를 대략 U상(狀)으로 만곡시킨 베일(43)이 고정된다. 이것들의 제1 베일 지지 부재(40), 제2 베일 지지 부재(42), 라인 롤러(41) 및 베일(43)에 의하여, 베일 암(44)은 구성된다. 베일 암(44)은, 도 2에 도시하는 줄 안내 자세와 그것으로부터 반전(反轉)한 줄 개방 자세와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다.
로터(3)의 연결부(30)의 내부에는 로터(3)의 역전(逆轉)을 금지·해제하기위한 역전 방지 기구(50)가 배치된다. 역전 방지 기구(50)는, 내륜(內輪)이 유전(遊轉)하는 롤러형의 원웨이(one-way) 클러치(51)와, 원웨이 클러치(51)를 작동 상태(역전 금지 상태)와 비작동 상태(역전 허가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기구(52)를 가진다.
스풀(4)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을 단조(鍛造) 성형하여 얻어진 대소(大小) 2단(段)의 원통상(圓筒狀)의 부재이다. 스풀(4)은, 로터(3)의 제1 로터 암(31)과 제2 로터 암(3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풀(4)은, 스풀축(15)의 선단에 드래그 기구(60)를 통하여 장착된다. 스풀(4)은, 2개의 베어링(16, 17)에 의하여 스풀축(1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풀(4)은,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통상의 줄 감기 몸통부(4a)와, 줄 감기 몸통부(4a)의 전부에 일체로 형성된 전(前) 플랜지부(4b)와, 줄 감기 몸통부(4a)의 후부(後部)에 일체로 형성된 대경 통상의 스커트부(4c)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줄 계지구(70)를 가진다. 줄 감기 몸통부(4a)는, 전 플랜지부(4b) 및 스커트부(4c)와 일체 성형된 부재이고, 전방 측에 드래그 기구(60)가 장착된다.
전 플랜지부(4b)의 외주부에는, 캐스팅 시에 낚싯줄을 부드럽게 방출하기 위한 앞쪽 끝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테이퍼면을 가지는 스풀 링 칼라(collar)(8)가 장착된다. 스풀 링 칼라(8)는, 줄 감기 몸통부(4a)의 전단(前段)에 장착된 고정 부재(9)에 의하여 전 플랜지부(4b)에 고정된다. 고정 부재(9)는, 줄 감기 몸통부(4a)의 내주면(內周面)에 나합(螺合)한다.
스커트부(4c)는, 전 플랜지부(4b)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후(後) 플랜지부(4d)와, 후 플랜지부(4d)의 외주부에 일체 형성된 통상부(4e)를 가진다. 또한, 스커트부(4c)는, 시트 부재(82)를 가진다. 스커트부(4c)는, 로터(3)의 연결부(30)를 덮도록 통상으로 줄 감기 몸통부(4a)와 일체로 단조 성형된다. 또한, 스커트부(4c)의 후 플랜지부(4d)와 통상부(4e)의 경계 부분의 외주면에는,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줄 계지구(70)를 장착 가능한 평탄한 저면(底面)(4g)을 가지는 오목부(4f)가 형성된다. 오목부(4f)는 후부가 반원형(半圓形)의 총탄상(銃彈狀)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오목부(4f)의 후 플랜지부(4d) 측의 전부에는, 줄 계지구(70)가 통과 가능한 직사각형의 제1 개구부(4h)가 형성된다. 제1 개구부(4h)는, 후술하는 장착부(72)가 통과 가능할 뿐만 아니라, 줄 계지구(70)에 계지되는 낚싯줄(FL)(도 5 참조)이 계지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줄 계지구(70)의 후술하는 계지구 본체(74)와 오목부(4f)의 저면(4g)과의 사이에 시트 부재(82)가 장착된다. 시트 부재(82)는, 낚싯줄(FL)을 부드럽게 안내하여 낚싯줄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과, 낚싯줄(FL)이 마찰로 어긋나기 어렵게 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줄 계지구(70)는,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4)에 장착 가능한 장착부(72)와, 오목부(4f)의 표면과의 사이에서 낚싯줄(FL)을 계지하기 위한 계지구 본체(74)를 가진다. 장착부(72)는, 계지구 본체(74)와 대략 직각으로 배치되는 판상의 부분이다. 장착부(72)는, 제1 개구부(4h)를 관통하여 스커트부(4c)의 내부로부터 한층 더 줄 감기 몸통부(4a)의 후면(後面)으로 연장된다. 장착부(72)가 연장된 선단은, 스터드 볼트(stud bolt)(84)에 의하여 고정된다. 줄 계지구(70)는,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지제 부재이다.
계지구 본체(74)는, 오목부(4f)의 외주부에 접하여 외방에 노출하여 설치된다. 계지구 본체(74)는, 모퉁이가 둥글게 된 개략 화살표 형상의 부분이다. 계지구 본체(74)는, 낚싯줄(FL)을 오목부(4f)의 저면(4g)에 설치된 시트 부재(82)와의 사이에서 협지(挾持)한다. 계지구 본체(74)는, 장착 단부(76)와, 도입 단부(78)와, 이동 규제부(80)를 가진다. 장착 단부(76)는, 장착부(72)가 일체로 설치되고, 스풀(4)의 둘레 방향(도 3 지면 상하 방향)으로 제1폭(W1)을 가지는 단부이다. 제1폭(W1)은 소정의 폭의 일례이다. 장착 단부(76)는 둘레 방향을 따른 장착 단부의 평탄부(76a)를 가진다.
도입 단부(78)는 낚싯줄(FL)이 도입되는 단부이다. 도입 단부(78)는, 스풀(4)의 축 방향으로 대략 산형(山形)으로 돌출한 볼록부(78a)와, 볼록부(78a)의 시트 부재(82)에 가까운 부분에 설치되고, 낚싯줄(FL)을 도입하기 위한 경사한 도입면(78b)(도 4 및 도 5 참조)을 가진다. 볼록부(78a)의 선단부는 낚싯줄(FL)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둥글게 되어 있다. 도입면(78b)은, 시트 부재(82)에 접근하는 것에 따라 장착 단부(76)에 가까워지도록 경사한다.
이동 규제부(80)는, 장착 단부(76)와 도입 단부(78)의 사이에 배치되고, 스풀(4)의 둘레 방향으로 제1폭(W1)과 다른 폭을 가진다. 제1 실시예에서는, 이동 규제부(80)는, 제1폭(W1)보다도 넓은 제2폭(W2)을 가지는 돌출부(80a)와, 제1폭(W1)보다도 좁은 제3폭(W3)을 가지는 잘록부(80b)를 가진다. 잘록부(80b)는, 돌출부(80a)와 장착 단부(76)의 사이에 배치된다. 돌출부(80a)는, 제2폭(W2)을 규정하는 최대 폭부(80c)를 가지고 있다. 돌출부(80a)는 스풀(4)의 둘레 방향의 일 방향과 타 방향으로 대체로 산형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최대 폭부(80c)는, 낚싯줄(FL)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호상으로 둥글게 되어 있다. 잘록부(80b)는 스풀(4)의 둘레 방향의 일 방향과 타 방향으로 대체로 원호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잘록부(80b)는, 원호상으로 오목한 저부(80d)를 가진다. 이 저부(80d)의 폭이 제3폭(W3)을 규정하는 최소 폭부이고, 저부(80d)에 낚싯줄(FL)이 보지된다.
시트 부재(82)는, 예를 들어 접동성(摺動性)이 높은 폴리아세탈 등의 합성수지제이다. 시트 부재(82)는, 저면(4g)과 대체로 마찬가지인 외형 형상의 부재이고, 장착부(72)가 통과 가능한 직사각형의 제2 개구부(82a)와, 계지구 본체(74)의 도입 단부(78) 측에 설치되는 직사각형의 노치부(82b)를 가진다. 제2 개구부(82a)는 제1 개구부(4h)보다도 개구 면적이 작고, 장착부(72)가 통과 가능한 최소한의 면적을 가진다. 시트 부재(82)의 후단부, 구체적으로는, 노치부(82b)가 형성된 후단부는, 계지구 본체(74)의 도입 단부(78)보다도 뒤쪽(도 3 우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시트 부재(82)에 노치부(82b)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계지구 본체(74)와 오목부(4f)의 사이에 낚싯줄(FL)이 들어가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낚싯줄(FL)을 계지구 본체(74)와 오목부(4f)의 사이에 도입하기 쉬워지는 것과 함께, 오목부(4f)의 저면(4g) 상(上)을 낚싯줄(FL)이 미끄러져 도입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시트 부재(82)의 후단부를 도입 단부(78)보다도 뒤쪽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노치부(82b)를 형성하여도, 낚싯줄(FL)을 도입 단부(78)로부터 계지구 본체(74)에 도입할 때에 시트 부재(82)와 오목부(4f)의 사이에 낚싯줄(FL)이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나아가 오목부(4f)의 제1 개구부(4h)를 낚싯줄(FL)이 계지되는 위치, 즉, 이동 규제부(80)가 설치되는 부분까지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개구부(4h)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시트 부재(82)와 계지구 본체(74)만으로 낚싯줄(FL)이 끼워진다. 이것에 의하여, 시트 부재(82)의 탄성과 계지구 본체(74)의 탄성에 의하여 낚싯줄(FL)이 보지되고, 낚싯줄(FL)이 손상되기 어려워져, 낚싯줄이 양호하게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줄 계지구(70)에서는, 계지구 본체(74)에 계지된 낚싯줄(FL)이 이동 규제부(80)에 의하여 도입 단부(78) 측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염가인 또한 용이한 구성으로 낚싯줄이 줄 계지구(70)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진다.
드래그 기구(60)는, 스풀(4)과 스풀축(15)의 사이에 장착되고, 스풀(4)에 드래그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드래그 기구(60)는, 드래그력을 손으로 조정하기 위한 손잡이부(61)와, 손잡이부(61)에 의하여 스풀(4) 측으로 압압(押壓)되는 복수 매의 드래그판(62)을 가진다.
다음으로, 릴의 조작 및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낚시를 행할 때, 캐스팅(casting)하여 릴 본체(2)로부터 낚싯줄을 방출하기 위하여, 베일 암(44)을 반전시켜 베일 암(44)을 줄 개방 자세로 한다. 이 상태에서, 낚싯대를 잡는 손의 집게 손가락으로 낚싯줄을 걸면서 낚싯대를 캐스팅한다. 그러면, 낚싯줄은 채비의 무게에 의하여 힘차게 전방으로 방출된다. 그리고 핸들(1)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터 구동 기구(5)에 의하여 로터(3)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고, 베일 암(44)이 도시하지 않는 베일 반전 기구에 의하여 줄 감기 위치로 복귀하고, 낚싯줄이 스풀(4)에 감긴다.
낚시를 끝마쳐 낚싯대로부터 스피닝 릴(100)을 떼어내고, 스피닝 릴(100)을 간수할 때에는, 낚싯줄의 선단부를 줄 계지구(70)에 건다. 이때, 계지구 본체(74)의 도입 단부(78)를 손가락 끝으로 들어 올리는 것에 의하여, 계지구 본체(74)와 오목부(4f)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다. 이 간극에 낚싯줄(FL)을 끼워 넣는 것에 의하여, 낚싯줄(FL)이 계지구 본체(74)에 계지된다. 이때, 계지구 본체(74)에 낚싯줄(FL)이 계지되는 장착 단부(76)와 도입 단부(78)의 사이의 낚싯줄(FL)이 계지되는 부분에 장착 단부(76)의 제1폭(W1)과 다른 이동 규제부(80)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계지구 본체(74)에 계지된 낚싯줄(FL)이 이동 규제부(80)에 의하여 도입 단부(78) 측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이것에 의하여, 염가인 또한 용이한 구성으로 낚싯줄(FL)이 줄 계지구(70)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진다.
<제1 실시예의 변형예>
도 6에 있어서, 변형예에서는, 줄 계지구(170)의 계지구 본체의 이동 규제부(180)의 형상이 상기 실시예와 다르다.
이동 규제부(180)는 돌출부(180a)와 잘록부(180b)를 가진다. 돌출부(180a)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잘록부(180b)로부터 최대 폭부(180c)에 연결되는 부분에 스풀(4)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출부의 평탄부(180e)를 가진다. 또한, 돌출부의 평탄부(180e)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잘록부(180b)의 저부(180d)의 형상이 제1 실시예와 달리, 돌출부의 평탄부(180e)와의 사이에 반경(半徑)이 저부(180d)보다도 작은 원호가 형성된다.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같은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변형예에서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작용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변형예에서는, 스풀(4)의 둘레 방향을 따른 돌출부의 평탄부(180e)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낚싯줄(FL)이 한층 더 도입 단부(78) 측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져, 낚싯줄(FL)이 한층 더 빠지기 어려워진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의 줄 계지구(70)에서는, 이동 규제부(80)가 돌출부(80a)와 잘록부(80b)를 가지고 있지만, 도 7에 도시하는 제2 실시예의 줄 계지구(270)에서는, 이동 규제부(280)는, 제1폭(W1)보다도 넓은 제2폭(W2)의 최대 폭부(280c)를 가지는 돌출부(280a)만을 가지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도 7에 같은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에서는, 잘록부가 없기 때문에, 제1 실시예의 줄 계지구(70)보다도 낚싯줄은 도입 단부(78) 측으로 이동하기 쉽다. 그러나 잘록부가 없기 때문에, 한층 더 염가인 또한 용이한 구성에 의하여 낚싯줄(FL)이 빠지기 어려워진다.
<제3 실시예>
제1 실시예의 줄 계지구(70)에서는, 이동 규제부(80)가 돌출부(80a)와 잘록부(80b)를 가지고 있지만, 도 8에 도시하는 제3 실시예의 줄 계지구(370)에서는, 이동 규제부(380)는, 제1폭(W1)보다도 좁은 제3폭(W3)을 가지는 잘록부(380b)만을 가지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도 8에 같은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제3 실시예에서는, 돌출부가 없기 때문에, 제1 실시예의 줄 계지구(70)보다도 낚싯줄은 도입 단부(78) 측으로 이동하기 쉽다. 그러나 돌출부가 없기 때문에, 한층 더 염가인 또한 용이한 구성에 의하여 낚싯줄(FL)이 빠지기 어려워진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인 복수의 실시예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상기 실시예에서는, 프런트 드래그 기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리어 드래그 기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 로터를 제동하는 레버 브레이크 기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 등의 모든 스피닝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줄 계지구의 취부부를 줄 감기 몸통부(4a)의 후면에 고정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취부부를 직경 방향 이동 가능하고 또한 직경 방향 내방(內方)으로 압박된 상태로 줄 감기 몸통부의 후면에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시트 부재(82)를 설치하였지만, 시트 부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시트 부재를 설치한 경우, 상기 실시예에 개시한 노치부(82b)를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개구부를 장착부(72)가 통과 가능할 만큼의 크기로 하고, 낚싯줄이 계지되는 위치까지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커트부(4c)의 통상부(4e)가 로터(3)의 연결부(30)를 수납하는 형상이었지만, 본 발명의 스풀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줄 감기 몸통부에 로터의 연결부가 수납되는 스풀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커트부의 통상부의 스풀 축 방향의 길이는 짧은 것이 된다.
<특징>
상기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A) 스피닝 릴(100)의 줄 계지구(70)는, 스피닝 릴(100)의 스풀(4)에 장착된다. 줄 계지구(70)는, 스풀(4)에 장착 가능한 장착부(72)와, 장착부(72)에 설치되고, 스풀(4)의 표면과의 사이에서 낚싯줄을 계지하기 위하여 계지구 본체(74)를 구비한다. 계지구 본체(74)는, 장착 단부(76)와 도입 단부(78)와 이동 규제부(80)를 가진다. 장착 단부(76)는, 장착부(72)가 설치되고, 스풀(4)의 둘레 방향으로 제1폭(W1)을 가지는 단부이다. 도입 단부(78)는 낚싯줄(FL)이 도입되는 단부이다. 이동 규제부(80)는, 장착 단부(76)와 도입 단부(78)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폭(W1)과 다른 제2폭(W2)(제3폭(W3))을 가지고, 낚싯줄(FL)이 도입 단부(78)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이 줄 계지구에서는, 도입 단부(78)로부터 도입된 낚싯줄(FL)이 계지구 본체(74)와 스풀(4)의 표면과의 사이에 계지된다. 계지된 낚싯줄(FL)은, 도입 단부(78)와 장착 단부(76)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도입 단부(78)와 장착 단부(76)의 사이에는, 장착 단부(76)의 제1폭(W1)과 다른 제2폭(W2)(제3폭(W3))을 가지는 이동 규제부(80)가 설치된다. 이 때문에, 계지구 본체(74)에 도입된 낚싯줄(FL)의 이동이 도입 단부(78)와 장착 단부(76)의 사이에서 이동 규제부(80)에 의하여 규제되고, 낚싯줄(FL)이, 도입 단부(78) 측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여기에서는, 계지구 본체(74)에 계지된 낚싯줄(FL)이 이동 규제부(80)에 의하여 도입 단부(78) 측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염가인 또한 용이한 구성에 의하여 낚싯줄(FL)이 줄 계지구(70)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진다.
(B) 이동 규제부(80)는, 제1폭(W1)보다도 넓은 제2폭(W2)을 가지는 돌출부(80a)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장착 단부(76)와 도입 단부(78)의 사이에 폭이 넓은 돌출부(80a)가 설치되기 때문에, 돌출부(80a)에서 낚싯줄(FL)의 도입 단부(78) 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낚싯줄(FL)이 빠지기 어려워진다.
(C) 이동 규제부(80)는, 제1폭(W1)보다도 좁은 제3폭(W3)을 가지는 잘록부(80b)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장착 단부(76)와 도입 단부(78)의 사이에 폭이 좁은 잘록부(80b)가 설치되기 때문에, 잘록부(80b)에 낚싯줄(FL)이 비집고 들어가 낚싯줄(FL)의 도입 단부(78) 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낚싯줄(FL)이 빠지기 어려워진다.
(D) 이동 규제부(80)는, 제1폭(W1)폭보다도 넓은 제2폭(W2)을 가지는 돌출부(80a) 및 제1폭(W1)보다도 좁은 제3폭(W3)을 가지는 잘록부(80b)를 가져도 무방하다. 잘록부(80b)는, 돌출부(80a)와 도입 단부(78)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잘록부(80b)와 돌출부(80a)가 설치되고, 나아가, 잘록부(80b)가 돌출부(80a)와 도입 단부(78)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잘록부(80b)에 비집고 들어가 이동이 규제된 낚싯줄(FL)이 나아가 돌출부(80a)에 의하여 한층 더 이동이 규제된다. 이것에 의하여, 낚싯줄(FL)의 도입 단부(78) 측으로의 이동이 2단계로 규제되고, 낚싯줄(FL)이 한층 더 빠지기 어려워진다.
(E) 잘록부(80b)는, 원호상으로 오목한 저부(80d)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잘록부(80b)가 원호상으로 오목하기 때문에, 잘록부(80b)에 낚싯줄(FL)이 비집고 들어가도 낚싯줄(FL)이 손상되기 어렵다.
(F) 장착 단부(76)는, 스풀(4)의 둘레 방향을 따른 장착 단부의 평탄부(76a)를 가지고, 도입 단부(78)는, 스풀(4)의 축 방향을 따라 돌출한 볼록부(78a)를 가진다. 이 경우에, 장착 단부(76)가 장착 단부의 평탄부(76a)를 가지고 도입 단부(78)가 볼록부(78a)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입 단부(78)로부터 낚싯줄(FL)을 도입하여도, 낚싯줄(FL)이 손상되기 어렵다.
(G) 돌출부(180a)는 돌출부의 평탄부(180e)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돌출부(180a)에 돌출부의 평탄부(180e)가 설치되기 때문에, 낚싯줄(FL)이 돌출부(180a)에 걸리기 쉬워지고, 낚싯줄(FL)이 한층 더 빠지기 어려워진다.
(H) 돌출부의 평탄부(180e)는, 스풀(4)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 돌출부(180a)에 설치되는 돌출부의 평탄부(180e)가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기 때문에, 낚싯줄(FL)이 한층 더 걸리기 쉬워지고, 낚싯줄(FL)이 한층 더 빠지기 어려워진다.
(I) 스피닝 릴(100)의 스풀(4)은, 줄 감기 몸통부(4a)와, 스커트부(4c)와, 줄 계지구(70)를 구비한다. 줄 감기 몸통부(4a)는, 외주면에 낚싯줄을 감기 가능하다. 스커트부(4c)는, 줄 감기 몸통부(4a)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줄 감기 몸통부(4a)보다도 대경의 것이다. 줄 계지구(70)는 상기의 줄 계지구(70)이다.
이 스피닝 릴(100)의 스풀(4)에서는, 상기의 작용 효과를 가져오는 스풀(4)을 얻을 수 있다.
(J) 스피닝 릴(100)은, 스커트부(4c)와 줄 계지구(70)의 사이에 배치되는 시트 부재(82)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계지구 본체(74)와 시트 부재(82)의 사이에 낚싯줄(FL)이 배치되기 때문에, 시트 부재(82)와의 마찰에 의하여 낚싯줄(FL)이 한층 더 빠지기 어려워진다.
(K) 시트 부재(82)는, 줄 계지구(70)의 도입 단부(78) 측에 설치되는 직사각형의 노치부(82b)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계지구 본체(74)와 스커트부(4c)의 사이에 낚싯줄(FL)이 들어가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낚싯줄(FL)을 계지구 본체(74)와 스커트부(4c)의 사이에 도입하기 쉬워진다.
(L) 시트 부재(82)의 후단부는, 계지구 본체(74)의 도입 단부(78)보다도 뒤쪽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스커트부(4c)에 배치되는 시트 부재(82)가, 낚싯줄(FL)이 도입되는 도입 단부(78)보다도 뒤쪽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노치부(82b)를 형성하여도, 낚싯줄(FL)을 도입 단부(78)로부터 계지구 본체(74)에 도입할 때에 시트 부재(82)와 스커트부(4c)의 사이에 낚싯줄(FL)이 들어가기 어렵다.
(M) 스커트부(4c)는, 적어도 일부에 시트 부재(82)가 배치되고, 줄 계지구(70)를 장착하기 위한 오목부(4f)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 계지구 본체(74)의 스커트부(4c)의 외주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작아져, 팽팽히 당겨지지 않고 느슨하게 된 낚싯줄이 계지구 본체(74)에 걸리기 어려워진다.
(N) 오목부(4f)는, 줄 계지구(70)의 장착부(72)가 통과 가능한 제1 개구부(4h)를 가진다. 이 경우에, 장착부(72)를 스커트부(4c) 내에서 줄 감기 몸통부(4a)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계지구 본체(74)가 스커트부(4c)에 확실히 장착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스커트부(4c)의 외주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작아져, 팽팽히 당겨지지 않고 느슨하게 된 낚싯줄이 계지구 본체(74)에 걸리기 어려워진다.
4: 스풀
4a: 줄 감기 몸통부
4c: 스커트부
4f: 오목부
4h: 제1 개구부
70, 170, 270, 370: 줄 계지구
72: 장착부
74: 계지구 본체
76: 장착 단부
76a: 장착 단부의 평탄부
78: 도입 단부
78a: 볼록부
80, 180, 280, 380: 이동 규제부
80a, 180a, 280a: 돌출부
80b, 180b, 380b: 잘록부
80d, 180d, 380d: 저부
82: 시트 부재
82b: 노치부
100: 스피닝 릴
180e: 돌출부의 평탄부
W1: 제1폭(소정의 폭의 일례)
W2: 제2폭(소정의 폭보다 넓은 폭의 일례)
W3: 제3폭(소정의 폭보다 좁은 폭의 일례)

Claims (14)

  1. 스피닝 릴의 스풀에 있어서,
    외주면(外周面)에 낚싯줄을 감기 가능한 줄 감기 몸통부와,
    상기 줄 감기 몸통부의 후단부(後端部)에 설치되고, 상기 줄 감기 몸통부보다도 대경(大徑)의 스커트부와,
    상기 스커트부에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커트부의 표면과의 사이에서 낚싯줄을 계지하기 위한 계지구 본체, 를 가지는 줄 계지구(係止具)와,
    상기 스커트부와 상기 줄 계지구의 사이에 배치되는 시트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계지구 본체는,
    상기 장착부가 설치되고, 상기 스풀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장착 단부(端部)와,
    상기 낚싯줄이 도입되는 도입 단부와,
    상기 장착 단부와 상기 도입 단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소정의 폭과 다른 폭을 가지고, 상기 낚싯줄이 상기 도입 단부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
    를 가지고,
    상기 이동 규제부는, 상기 소정의 폭보다도 넓은 폭을 가지는 돌출부 및 상기 소정의 폭보다도 좁은 폭을 가지는 잘록부를 가지고,
    상기 잘록부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장착 단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커트부는, 적어도 일부에 상기 시트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줄 계지구를 장착하기 위한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줄 계지구의 장착부가 통과 가능하고 상기 이동 규제부가 설치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개구부(開口部)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스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잘록부는, 원호상(圓弧狀)으로 오목한 저부(底部)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스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단부는, 상기 스풀의 둘레 방향을 따른 장착 단부의 평탄부를 가지고, 상기 도입 단부는, 상기 스풀의 축 방향을 따라 돌출한 볼록부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스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돌출부의 평탄부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스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평탄부는, 상기 스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스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줄 계지구의 상기 도입 단부 측에 설치되는 직사각형의 노치(notch)부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스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의 후단부는, 상기 계지구 본체의 상기 도입 단부보다도 뒤쪽에 배치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40040589A 2013-07-26 2014-04-04 줄 계지구 및 줄 계지구가 장착된 스피닝 릴의 스풀 KR1022195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55769A JP6374643B2 (ja) 2013-07-26 2013-07-26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JP-P-2013-155769 2013-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997A KR20150012997A (ko) 2015-02-04
KR102219552B1 true KR102219552B1 (ko) 2021-02-24

Family

ID=52389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589A KR102219552B1 (ko) 2013-07-26 2014-04-04 줄 계지구 및 줄 계지구가 장착된 스피닝 릴의 스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10921B2 (ko)
JP (1) JP6374643B2 (ko)
KR (1) KR102219552B1 (ko)
CN (1) CN104335989B (ko)
MY (1) MY169903A (ko)
TW (1) TWI6128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95976A1 (en) 2003-03-08 2011-03-16 Auvation Ltd Markers for colorectal cancer
JP6968685B2 (ja) * 2017-12-20 2021-11-17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のスプール及び魚釣用リール
JP6978310B2 (ja) * 2017-12-28 2021-12-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糸係止具、及び糸係止具を有する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US11252950B2 (en) * 2019-05-02 2022-02-22 Mitchell W. Grant Fishing reel spool line clasp
CN112262828A (zh) * 2020-11-19 2021-01-26 许一帆 一种可实现缓冲的定位卡线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9094A (ja) 2000-03-29 2001-10-0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1275529A (ja) * 2000-03-30 2001-10-09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の糸止め装置
JP2006204153A (ja) 2005-01-26 2006-08-10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97055A (en) * 1953-12-28 1957-06-25 Lee A Mcdonald Casting reel
US4216921A (en) * 1978-08-11 1980-08-12 Brunswick Corporation Fishing reel spool locking device
JPS58110281U (ja) * 1981-11-17 1983-07-27 鄭 「あ」佑 スピニングリ−ル用釣糸ストツパ−
JPS6386762U (ko) * 1986-11-25 1988-06-06
US4875639A (en) * 1988-07-26 1989-10-24 Zebco Corporation Depth setting device for a spinning reel
JPH0513166U (ja) * 1991-08-06 1993-02-2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釣糸止め装置
FR2763478B1 (fr) * 1997-05-23 1999-07-09 Mitchell Sports Dispositif de blocage deblocable de fil sur bobine de moulinet de peche
US5911378A (en) * 1997-06-24 1999-06-15 Johnson Worldwide Associates, Inc. Quick change spinning reel spool
JP3515880B2 (ja) * 1997-06-30 2004-04-0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3980483B2 (ja) * 2001-12-14 2007-09-26 デニス ペリン, 固定巻き枠釣りリール
JP2004081097A (ja) * 2002-08-27 2004-03-1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SG110185A1 (en) * 2003-09-11 2005-04-28 Shimano Kk Rotor for spinning reel
GB0409148D0 (en) * 2004-04-23 2004-05-26 Fox Int Group Ltd Fishing reel
SG127795A1 (en) * 2005-05-31 2006-12-29 Shimano Kk Spinning reel
JP4785448B2 (ja) * 2005-07-20 2011-10-05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部品
US7401748B2 (en) * 2006-12-19 2008-07-22 Shimano Inc. Spool assembly for spinning reel
JP2010273626A (ja) * 2009-05-29 2010-12-09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JP6198421B2 (ja) * 2013-03-15 2017-09-20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釣り用リールの爪歯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9094A (ja) 2000-03-29 2001-10-0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1275529A (ja) * 2000-03-30 2001-10-09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の糸止め装置
JP2006204153A (ja) 2005-01-26 2006-08-10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69903A (en) 2019-06-14
CN104335989A (zh) 2015-02-11
US20150028143A1 (en) 2015-01-29
KR20150012997A (ko) 2015-02-04
JP2015023837A (ja) 2015-02-05
TW201507612A (zh) 2015-03-01
US9210921B2 (en) 2015-12-15
TWI612890B (zh) 2018-02-01
CN104335989B (zh) 2019-04-16
JP6374643B2 (ja) 2018-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9552B1 (ko) 줄 계지구 및 줄 계지구가 장착된 스피닝 릴의 스풀
CN103070146B (zh) 钓鱼用绕线轮的转矩限制结构
KR102111953B1 (ko) 스피닝 릴의 줄 계지구 및 그것을 이용한 스피닝 릴의 스풀
KR20110019714A (ko) 스피닝 릴의 스풀 연결 구조
CN105707027B (zh) 纺车式渔线轮
JP2015023837A5 (ko)
JP2014155469A5 (ko)
KR20040068020A (ko)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벨 와인딩 기구
TW201545645A (zh) 雙軸承捲線器的離合器復位機構
EP1390260B1 (en) Fishing reel spool
JP2010142220A (ja) 釣り用リールの糸止め及び糸止め組立体
EP2829174B1 (en) Line clip and a spool of a spinning reel to which the line clip is mounted
JP2006204153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6360861B2 (ja) レバードラグ式リール
GB2454519A (en) Fishing reel
JP6894116B2 (ja) 両軸受け型魚釣り用リール
TWI630867B (zh) Spinning wheel reel
JPS60232039A (ja) 魚釣りリール
TW201336407A (zh) 紡車式捲線器及紡車式捲線器的牽引力切換裝置
JP2018113900A (ja) 魚釣り用リール
JP6227274B2 (ja) 片軸受リール
EP3853067B1 (en) Spring loaded retractable device
US3307287A (en) Fishing tackle
JP4116528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H042596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