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200B1 - 철제 용기 뚜껑의 스폿용접부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철제 용기 뚜껑의 스폿용접부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200B1
KR102215200B1 KR1020200071675A KR20200071675A KR102215200B1 KR 102215200 B1 KR102215200 B1 KR 102215200B1 KR 1020200071675 A KR1020200071675 A KR 1020200071675A KR 20200071675 A KR20200071675 A KR 20200071675A KR 102215200 B1 KR102215200 B1 KR 102215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container
handle
alignment
lid
stee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수
Original Assignee
박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한수 filed Critical 박한수
Priority to KR1020200071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1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e.g. the weldability, of materials
    • B23K31/125Weld quality monito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0Metals
    • G01N33/207Welded or soldered joints; Solder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제 용기 뚜껑과 손잡이의 스폿용접부위로 압력을 전달하여 철제 용기 뚜껑에 부착된 손잡이의 파괴하중을 측정함으로써, 철제 용기 뚜껑과 손잡이의 스폿용접부위 불량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한 철제 용기 뚜껑의 스폿용접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철제 용기를 이송하는 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철제 용기의 하단이 안착되는 회전판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정렬부와, 상기 정렬부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어 정렬부의 상부에 놓이는 철제 용기의 수평 방향 이동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정렬부의 상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정렬부에 놓이는 철제 용기의 상부를 가압하여 위치를 고정시키고, 철제 용기에 부착된 손잡이가 직립 위치되게 이동시키며, 이동이 이루어진 손잡이를 상부로 당겨, 철제 용기와 손잡이의 스폿용접부위 파괴하중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철제 용기 뚜껑의 스폿용접부 검사장치{DEVICE FOR EVALUATE SPOT WELDING STRENGT OF STEEL CONTAINER}
본 발명은 철제 용기 뚜껑의 스폿용접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철제 용기 뚜껑과 손잡이의 스폿용접부위로 압력을 전달하여 철제 용기 뚜껑에 부착된 손잡이의 파괴하중을 측정함으로써, 철제 용기 뚜껑과 손잡이의 스폿용접부위 불량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한 철제 용기 뚜껑의 스폿용접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제 용기란, 내측으로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금속재의 통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철제 용기는 상부에 주입구와 손잡이가 부착되어 내측 공간으로 액체를 주입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며, 상부에 구비된 손잡이를 통하여 철제 용기의 운반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종래의 철제 용기는 문헌(1)에서와 같이, 도료나 식용유 등 액상의 내용물을 내측으로 수용할 수 있는 박스 형상의 용기에 액상의 내용물을 투입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된 뚜껑을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주입구를 통하여 용기에 수용된 액상의 내용물은 주입구에 결합 되는 마개를 통하여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철제 용기의 내측으로 도료나 식용유와 같은 액상의 내용물을 주입하여 보관과, 운반을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뚜껑의 상부에 구비된 손잡이를 통하여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된 철제 용기를 원하는 장소로 운반하여 사용을 이룰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때, 뚜껑의 상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뚜껑의 상부로 손잡이가 스폿 용접을 통하여 부착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손잡이는 뚜껑의 상면에 손잡이를 위치시킨 후에 손잡이에 부착된 판과 뚜껑의 상면이 스폿 용접을 통하여 부착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뚜껑의 상면에 손잡이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뚜껑과 손잡이의 부착 면에 불량이 발생 되는 경우에는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된 철제 용기를 운반하는 중에 뚜껑과 손잡이가 분리되어 철제 용기가 파손됨으로써, 철제 용기의 내측에 수용된 액상의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나와, 작업장이나 영업장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작업장이나 영업장의 청소만으로도 많은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액상의 내용물이 담긴 철제 용기를 운반하는 과정에서 뚜껑에 부착된 손잡이가 분리되는 경우에는 운반과정을 이루는 작업자의 신체가 철제 용기로 인하여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철제 용기와 손잡이의 부착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경우가 있으나, 작업자의 육안으로 철제 용기의 뚜겅과 손잡이의 스폿 용접 상태를 확인하기는 어려워 뚜껑에 부착된 손잡이의 부착 불량을 용이하게 검출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공개실용 실1994-0022529(1994.10.2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철제 용기 뚜껑의 상면에 부착된 손잡이의 파괴하중을 측정하여 철제 용기 뚜껑과 손잡이를 부착시키는 스폿용접기의 불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철제 용기 뚜껑과 손잡이를 부착시키는 스폿용접기의 불량을 감지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철제 용기 뚜껑과 손잡이의 용접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철제 용기 뚜껑과 손잡이의 불량을 감지하여 대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철제 용기의 운반과정에서 손잡이가 분리되어 발생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철제 용기 뚜껑과 손잡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액상의 내용물이 담긴 철제 용기가 낙하하여 발생 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철제 용기 뚜껑에 부착된 손잡이의 분리로 발생 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작업자의 신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청소비용이나 각종 작업비용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철제 용기를 이송하는 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철제 용기의 하단이 안착되는 회전판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정렬부와, 상기 정렬부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어 정렬부의 상부에 놓이는 철제 용기의 수평 방향 이동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정렬부의 상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정렬부에 놓이는 철제 용기의 상부를 가압하여 위치를 고정시키고, 철제 용기에 부착된 손잡이가 직립 위치되게 이동시키며, 이동이 이루어진 손잡이를 상부로 당겨, 철제 용기와 손잡이의 스폿용접부위 파괴하중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렬부는 바닥면의 상부에 놓이며 상부에 회전공이 형성된 박스 형상의 정렬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회전공과 대응되는 회전돌기가 하단에 구비되고, 후방 상면에는 지지돌기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정렬몸체의 상면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정렬부의 상부에 놓이는 철제 용기의 후방을 감싸 고정시키는 집게 형상의 수평지지대와, 상기 수평지지대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수평지지대의 수평 방향 이동을 제어하는 수평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정렬부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단에 설치되며, 구비된 복수개의 승하강핸들을 통하여,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하단에 설치되며, 단부에는 자석이 연결된 이송실린더와, 상기 승강판의 하부로 연장되며 단부가 수평 절곡되는 바 형상으로, 상기 이송실린더의 양 측부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판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정렬부의 상부에 놓이는 철제 용기의 상부 면을 가압하는 복수개의 가압바와, 상기 승강판의 하단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홈에 수평 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는 갈고리 형상의 포크가 구비된 가압실린더로 구성되어 상기 정렬부의 상부에 놓이는 철제 용기의 손잡이를 상부 방향으로 당기는 검출부와, 상기 이송실린더 및 가압실린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크에는 상기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진동감지센서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철제 용기 뚜껑의 상면에 부착된 손잡이의 파괴하중을 측정하여 철제 용기 뚜껑과 손잡이를 부착시키는 스폿용접기의 불량을 검출할 수 있다.
둘째, 철제 용기 뚜껑과 손잡이를 부착시키는 스폿용접기의 불량을 감지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철제 용기 뚜껑과 손잡이의 용접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철제 용기 뚜껑과 손잡이의 불량을 감지하여 대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철제 용기의 운반과정에서 손잡이가 분리되어 발생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철제 용기 뚜껑과 손잡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액상의 내용물이 담긴 철제 용기가 낙하하여 발생 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다섯째, 철제 용기 뚜껑에 부착된 손잡이의 분리로 발생 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작업자의 신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청소비용이나 각종 작업비용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철제 용기 뚜껑의 스폿용접부 검사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인 철제 용기 뚜껑의 스폿용접부 검사장치에 철제 용기가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인 철제 용기 뚜껑의 스폿용접부 검사장치에 철제 용기가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다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인 철제 용기 뚜껑의 스폿용접부 검사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인 철제 용기 뚜껑의 스폿용접부 검사장치의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인 철제 용기 뚜껑의 스폿용접부 검사장치의 또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철제 용기란,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철제 용기의 상부로 철제 용기 뚜껑이 결합된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철제 용기(1)를 이송하는 컨베이어(2)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철제 용기(1)의 하단이 안착되는 회전판(1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정렬부(10)와, 상기 정렬부(10)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어 정렬부(10)의 상부에 놓이는 철제 용기(1)의 수평 방향 이동을 고정시키는 고정부(20)와, 상기 정렬부(10)의 상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정렬부(10)에 놓이는 철제 용기(1)의 상부를 가압하여 위치를 고정시키고, 철제 용기(1)에 부착된 손잡이(1a)가 직립 위치되게 이동시키며, 이동이 이루어진 손잡이(1a)를 상부로 당겨, 철제 용기(1)와 손잡이(1a)의 스폿용접부위(1b) 파괴하중을 측정하는 측정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정렬부(10)는 바닥면의 상부에 놓이며 상부에 회전공(10a-1)이 형성된 박스 형상의 정렬몸체(10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판(11)은 상기 회전공(10a-1)과 대응되는 회전돌기(11a)가 하단에 구비되고, 후방 상면에는 지지돌기(11b)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정렬몸체(10a)의 상면에 베어링(12)을 개재하여 회전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정렬몸체(10a)를 철제 용기(1)를 이송하는 컨베이어(2)의 일 측에 설치 구성한 후에, 정렬몸체(10a)의 회전공(10a-1)으로 회전판(11)의 회전돌기(11a)가 삽입되도록 결합하여 정렬몸체(10a)의 상부에서 회전판(11)이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결합을 이루는 경우에도 정렬몸체(10a)와 회전판(11)의 사이에 베어링(12)이 설치되게 구성됨으로써, 회전판(11)이 정렬몸체(10a)의 상부에서 용이한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는, 철제 용기(1)의 뚜껑 상면에 손잡이(1a)가 부착된 철제 용기(1)가 컨베이어(2)의 설치 방향을 따라 이동을 이루는 과정에서 상기 컨베이어(2)의 이동 방향에 상기 정렬몸체(10a)가 설치되도록 구성하여, 컨베이어(2)를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는 철제 용기(1) 중 어느 하나의 철제 용기(1)가 상기 정렬몸체(10a)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판(11)의 상부로 이송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철제 용기 뚜껑의 스폿용접부 검사장치를 통하여, 철제 용기(1)의 뚜껑에 부착된 손잡이(1a)의 파괴하중을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컨베이어(2)를 통하여 이동이 이루어지는 철제 용기(1) 중 무작위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철제 용기(1)가 상기 정렬몸체(10a)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회전판(11)의 상부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철제 용기(1)의 뚜껑에 손잡이(1)를 부착하는 스폿용접기의 불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회전판(11)의 상부에 놓이는 철제 용기(1)는 회전판(11)에 구비된 지지돌기(11b)에 후방이 견고하게 지지 된 상태에서, 회전판(11)의 회전에 따라 회전을 이루어, 상기 정렬몸체(10a)의 상부에서 선택된 위치를 이루도록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고정부(20)와 측정부(30)를 통하여 철제 용기(1)의 뚜껑에 부착된 손잡이(1a)의 파괴하중을 측정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측정과정을 더욱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10)는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정렬부(10)의 상부에 놓이는 철제 용기(1)의 후방을 감싸 고정시키는 집게 형상의 수평지지대(21)와, 상기 수평지지대(21)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수평지지대(21)의 수평 방향 이동을 제어하는 수평실린더(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지지대(21)는 도 4에서와 같이, 철제 용기(1)의 후방을 감싸 고정할 수 있는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지지대(21)의 내측에 결합되는 철제 용기(1)가 수평지지대(21)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수평실린더(22)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판(11)의 상부에 놓이는 철제 용기(1)의 후방으로 상기 수평지지대(21)가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회전판(11)의 상부에 놓이는 철제 용기(1)의 방향을 고정 시킨 후에는 상기 수평실린더(22)를 작동시켜 수평지지대(21)의 내측으로 철제 용기(1)가 결합 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평실린더(22)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측정부(30)의 제어기(3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36)의 조절에 따라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측정부(30)는 도 1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정렬부(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31)과, 상기 고정판(31)의 하단에 설치되며, 구비된 복수개의 승하강핸들(32a)을 통하여,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는 승강판(32)과, 상기 승강판(32)의 하단에 설치되며, 단부에는 자석(33a)이 연결된 이송실린더(33)와, 상기 승강판(32)의 하부로 연장되며 단부가 수평 절곡되는 바 형상으로, 상기 이송실린더(33)의 양 측부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판(32)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정렬부(10)의 상부에 놓이는 철제 용기(1)의 상부 면을 가압하는 복수개의 가압바(34)와, 상기 승강판(32)의 하단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가이드홈(35a-1)이 형성된 가이드바(35a)와, 상기 가이드홈(35a-1)에 수평 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는 갈고리 형상의 포크(35b-1)가 구비된 가압실린더(35b)로 구성되어 상기 정렬부(10)의 상부에 놓이는 철제 용기(1)의 손잡이를 상부 방향으로 당기는 검출부(35)와, 상기 이송실린더(33) 및 가압실린더(35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31)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정렬부(10)가 설치된 상부 방향에 이격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승강판(32)은 상기 고정판(31)의 하단에 승강이 가능하도록 설치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판(32)은 상기 고정판(21)의 하단에 설치되는 경우, 구비된 복수개의 승하강핸들(32a)을 통하여, 고정판(21)의 하부 방향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실린더(33)는 상기 승강판(32)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36)의 작동에 따라 승강판(32)의 하단에 위치된 정렬부(10)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는, 작업자가 상기 제어기(36)를 작동시켜 이송실린더(33)를 작동시키게 되는 경우, 이송실린더(33)가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회전판(11)의 상부에 놓인 철제 용기(1)의 손잡이(1a)와 인접한 위치로 이동되고, 이를 통하여 이송실린더(33)의 단부에 구비된 자석(33a)의 자성을 통하여 철제 용기(1)의 뚜껑에 부착된 손잡이(1a)가 도 4에서와 같이, 자석(33a)의 방향으로 이동된 후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즉, 상기 제어기(36)의 작동을 통하여 이송실린더(33)의 단부에 구비된 자석(33a)이 철제 용기(1)의 뚜껑에 부착된 손잡이(1a)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경우, 손잡이(1a)가 자석(33a)의 자성을 통하여 자석(33a)의 방향으로 이동되게 됨으로써,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철제 용기(1) 뚜껑의 상부에서 직립된 위치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자석(33a)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성을 갖는 일반적인 자석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제어기(36)가 작동되는 경우, 제어기(36)의 전원을 통하여 자성을 갖는 전자석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가압바(34)는 상기 승강판(3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판(32)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정렬부(10)의 회전판(11) 상부에 놓이는 철제 용기(1)의 상부 면을 가압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압바(34)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가 수평 절곡된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철제 용기(1)의 상부 면을 가압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철제 용기(1)의 상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승강판(32)의 하단에 복수개 구비되어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도 4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11)의 상부에 놓인 철제 용기(1)의 상면을 가압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승강판(32)을 상,하 이동시켜 승강판(32)의 하단에 위치된 복수개의 가압바(34)가 철제 용기(1)의 상면을 누르도록 위치시키는 것이며, 승강판(32)에 구비된 복수개의 승하강핸들(32a)을 통하여 가압바(34)가 철제 용기(1)의 상면을 누르는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가압바(34)의 구성을 통하여 회전판(11)의 상부에 놓이는 철제 용기(1)의 상면을 눌러, 회전판(11)의 상부에 놓인 철제 용기(1)가 상기 수평지지대(21)와 가압바(34)의 구성을 통하여 견고하게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검출부(35)는 상기 승강판(32)의 하단에 설치되는 가이드바(35a)와, 상기 가이드바(35a)에 수평 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실린더(35b)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가이드바(35a)에는 가이드홈(35a-1)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실린더(35b)가 가이드홈(35a-1)의 형성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실린더(35b)는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단부에 갈고리 형상의 포크(35b-1)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은, 상기 회전판(11)의 상부에서 수평지지대(21)와 가압바(34)의 구성을 통하여 견고하게 고정된 철제 용기(1)의 손잡이(1a)가 상기 이송실린더(33)의 단부에 구비된 자석(33a)을 통하여 직립 되게 위치되는 경우에, 상기 손잡이(1a)의 사이로 상기 포크(35b-1)가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제어기(36)의 조절에 따라 가압실린더(35b)가 상승하여 철제 용기(1)의 뚜껑에 부착된 손잡이(1a)를 당김으로써, 철제 용기(1)의 뚜껑과 손잡이(1a)를 강제로 분리시켜 손잡이(1a)의 파괴하중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철제 용기(1) 뚜껑의 상면에 스폿용접부위(1b)를 통하여 부착된 손잡이(1a)를 상기 가압실린더(35b)와 포크(35b-1)의 구성을 통하여 철제 용기(1)의 뚜껑과 강제로 분리시킴으로써, 철제 용기(1)의 뚜껑과 손잡이(1a)가 분리되는 파괴하중을 측정하여, 철제 용기(1)의 뚜껑과 손잡이(1a)를 스폿용접하는 스폿용접기의 용접불량을 검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압실린더(35b)와 포크(35b-1)는 본 발명에서 상기 승강판(32)의 하단에 하나가 설치되도록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승강판(32)의 하단에 복수개 설치되어 포크(35b-1)가 삽입되는 위치에 따른 철제 용기(1)의 뚜껑과 손잡이(1a)의 파괴하중을 각각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철제 용기(1)의 뚜껑에 스폿용접을 통하여 부착된 손잡이(1a)를 상기 측정부(30)의 구성을 통하여 강제로 분리시킴으로써,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 되는 파괴하중을 측정하여 철제 용기(1)의 뚜껑과 손잡이(1a)를 부착시키는 스폿용접기의 불량을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도 2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포크(35b-1)에는 상기 제어기(3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진동감지센서(35b-1a)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진동감지센서(35b-1a)는 상기 포크(35b-1)를 통하여 철제 용기(1)의 뚜껑과 손잡이(1a)의 스폿용접부위(1b)를 분리시키는 경우에도 손잡이(1a)에 전달되는 포크(35b-1)의 압력에 따라 포크(35b-1)가 진동하는 크기를 감지하여, 철제 용기(1) 뚜껑에 결합 된 손잡이(1a)의 부착 상태와 부착 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철제 용기(1) 뚜껑과 손잡이(1a)의 파괴 하중을 측정하여, 철제 용기(1) 뚜껑과 손잡이(1a)를 부착하는 스폿용접기의 상태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철제 용기의 뚜껑에 스폿용접을 통하여 부착된 손잡이를 철제 용기 뚜껑과 분리시켜 파괴하중을 측정하고, 이러한 측정값에 따라 철제 용기 뚜껑과 손잡이를 부착시키는 스폿용접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스폿용접기의 불량으로 인하여 철제 용기 뚜껑과 손잡이의 부착 부위에 불량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철제 용기 1a: 손잡이
1b: 스폿용접부위 2: 컨베이어
10: 정렬부 10a: 정렬몸체
10a-1: 회전공 11: 회전판
11a: 회전돌기 11b: 지지돌기
12: 베어링 20: 고정부
21: 수평지지대 22: 수평실린더
30: 측정부 31: 고정판
32: 승강판 33: 이송실린더
33a: 자석 34: 가압바
35: 검출부 35a: 가이드바
35a-1: 가이드홈 35b: 가압실린더
35b-1: 포크 35b-1a: 진동감지센서
36: 제어기

Claims (5)

  1. 철제 용기(1)를 이송하는 컨베이어(2)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철제 용기(1)의 하단이 안착되는 회전판(1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정렬부(10)와,
    상기 정렬부(10)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어 정렬부(10)의 상부에 놓이는 철제 용기(1)의 수평 방향 이동을 고정시키는 고정부(20)와,
    상기 정렬부(10)의 상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정렬부(10)에 놓이는 철제 용기(1)의 상부를 가압하여 위치를 고정시키고, 철제 용기(1)에 부착된 손잡이(1a)가 직립 위치되게 이동시키며, 이동이 이루어진 손잡이(1a)를 상부로 당겨, 철제 용기(1)와 손잡이(1a)의 스폿용접부위(1b) 파괴하중을 측정하는 측정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용기 뚜껑의 스폿용접부 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10)는
    바닥면의 상부에 놓이며 상부에 회전공(10a-1)이 형성된 박스 형상의 정렬몸체(10a)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11)은 상기 회전공(10a-1)과 대응되는 회전돌기(11a)가 하단에 구비되고, 후방 상면에는 지지돌기(11b)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정렬몸체(10a)의 상면에 베어링(12)을 개재하여 회전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용기 뚜껑의 스폿용접부 검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정렬부(10)의 상부에 놓이는 철제 용기(1)의 후방을 감싸 고정시키는 집게 형상의 수평지지대(21)와,
    상기 수평지지대(21)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수평지지대(21)의 수평 방향 이동을 제어하는 수평실린더(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용기 뚜껑의 스폿용접부 검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30)는
    상기 정렬부(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31)과,
    상기 고정판(31)의 하단에 설치되며, 구비된 복수개의 승하강핸들(32a)을 통하여,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는 승강판(32)과,
    상기 승강판(32)의 하단에 설치되며, 단부에는 자석(33a)이 연결된 이송실린더(33)와,
    상기 승강판(32)의 하부로 연장되며 단부가 수평 절곡되는 바 형상으로, 상기 이송실린더(33)의 양 측부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판(32)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정렬부(10)의 상부에 놓이는 철제 용기(1)의 상부 면을 가압하는 복수개의 가압바(34)와,
    상기 승강판(32)의 하단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가이드홈(35a-1)이 형성된 가이드바(35a)와, 상기 가이드홈(35a-1)에 수평 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는 갈고리 형상의 포크(35b-1)가 구비된 가압실린더(35b)로 구성되어 상기 정렬부(10)의 상부에 놓이는 철제 용기(1)의 손잡이를 상부 방향으로 당기는 검출부(35)와,
    상기 이송실린더(33) 및 가압실린더(35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용기 뚜껑의 스폿용접부 검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35b-1)에는 상기 제어기(3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진동감지센서(35b-1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용기 뚜껑의 스폿용접부 검사장치.
KR1020200071675A 2020-06-12 2020-06-12 철제 용기 뚜껑의 스폿용접부 검사장치 KR102215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675A KR102215200B1 (ko) 2020-06-12 2020-06-12 철제 용기 뚜껑의 스폿용접부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675A KR102215200B1 (ko) 2020-06-12 2020-06-12 철제 용기 뚜껑의 스폿용접부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200B1 true KR102215200B1 (ko) 2021-02-15

Family

ID=74560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675A KR102215200B1 (ko) 2020-06-12 2020-06-12 철제 용기 뚜껑의 스폿용접부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2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34575A (zh) * 2021-10-08 2022-02-11 珠海华冠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焊接检测机构及电池焊接检测方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2529A (ko) 1993-03-24 1994-10-21 게리 리 그리스월드 댐핑 하중 빔 제조방법
JP2529286Y2 (ja) * 1991-05-21 1997-03-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ポット溶接強度確認装置
JPH1123435A (ja) * 1997-06-27 1999-01-29 Kawasaki Steel Corp 破断試験片回収具、回収装置および回収方法
JP2003019568A (ja) * 2001-07-06 2003-01-21 Nkk Corp ラミネート缶体の製造方法
KR20030066432A (ko) * 2002-02-01 2003-08-09 에프안트카 델보텍 본트테크닉 게엠베하 인장시험장치
KR20080053609A (ko) * 2006-12-11 2008-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폿용접 파괴검사장치
KR20090068603A (ko) * 2007-12-24 2009-06-29 주식회사 포스코 시험편의 용접특성 측정장치
KR101837367B1 (ko) * 2018-01-02 2018-03-09 김동욱 페인트 저장용 금속캔의 회동 손잡이 부착방법 및 장치
KR101857273B1 (ko) * 2017-05-04 2018-05-11 박준필 금속캔 상판의 손잡이 부착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9286Y2 (ja) * 1991-05-21 1997-03-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ポット溶接強度確認装置
KR940022529A (ko) 1993-03-24 1994-10-21 게리 리 그리스월드 댐핑 하중 빔 제조방법
JPH1123435A (ja) * 1997-06-27 1999-01-29 Kawasaki Steel Corp 破断試験片回収具、回収装置および回収方法
JP2003019568A (ja) * 2001-07-06 2003-01-21 Nkk Corp ラミネート缶体の製造方法
KR20030066432A (ko) * 2002-02-01 2003-08-09 에프안트카 델보텍 본트테크닉 게엠베하 인장시험장치
KR20080053609A (ko) * 2006-12-11 2008-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폿용접 파괴검사장치
KR20090068603A (ko) * 2007-12-24 2009-06-29 주식회사 포스코 시험편의 용접특성 측정장치
KR101857273B1 (ko) * 2017-05-04 2018-05-11 박준필 금속캔 상판의 손잡이 부착방법
KR101837367B1 (ko) * 2018-01-02 2018-03-09 김동욱 페인트 저장용 금속캔의 회동 손잡이 부착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34575A (zh) * 2021-10-08 2022-02-11 珠海华冠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焊接检测机构及电池焊接检测方法
CN114034575B (zh) * 2021-10-08 2023-11-21 珠海华冠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焊接检测机构及电池焊接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5200B1 (ko) 철제 용기 뚜껑의 스폿용접부 검사장치
KR101584337B1 (ko)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
KR102460569B1 (ko) 용기 이동 기구
US7045721B1 (en) Lifting device for use with drum weighing machine
KR100993390B1 (ko) 강판의 불량 판독 검사장치
JP2010143706A (ja) 吊り具装置
WO2019205873A1 (zh) 集装箱检查系统、港口设施及集装箱检查方法
KR101099090B1 (ko) 무게 측정장치
JP4663253B2 (ja) 吊り具
KR101310836B1 (ko) 선박용 접안장치
KR102139633B1 (ko)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JP3788001B2 (ja) コイル搬送用吊具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6035238A (ja) 溶融金属供給システム、容器及び車両
JP6289847B2 (ja) 放射性廃棄物内蔵容器取扱装置
CN207581283U (zh) Agv叉车的自动拆盘装置
JP2006160402A (ja) コンテナクレーンにおけるシャシ位置検出装置
JPH0840575A (ja) 自動給紙機でパイルを自動的に交換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US2723770A (en) Device for the storage of piece goods
KR101921751B1 (ko) 회전장치가 구비되는 커넥팅 로드 가공라인
KR101854134B1 (ko) 다기능 래칫 텐셔너
JP4461161B2 (ja) 放射性物質輸送・貯蔵用容器の吊下装置
KR20090003229U (ko) 레일 클램핑 장치
JPH0740527Y2 (ja) 電気メッキラインのアノード交換装置およびアノードパレット
CN217024981U (zh) 辅助提升机构及物料转移装置
CN215754261U (zh) 自卸式料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