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633B1 -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 Google Patents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633B1
KR102139633B1 KR1020180118426A KR20180118426A KR102139633B1 KR 102139633 B1 KR102139633 B1 KR 102139633B1 KR 1020180118426 A KR1020180118426 A KR 1020180118426A KR 20180118426 A KR20180118426 A KR 20180118426A KR 102139633 B1 KR102139633 B1 KR 102139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adle
cover
mov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8780A (ko
Inventor
김관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18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633B1/ko
Publication of KR20200038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1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transporting l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를 운반할 수 있는 운반장치로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운반부; 상기 운반부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커버할 수 있는 커버부; 및 일측이 상기 걸림부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커버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커버부를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향해서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용기의 개구부를 용이하게 커버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TRANSPORTING APPARATUS AND TRANSPORTING METHOD}
본 발명은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개구부를 용이하게 커버할 수 있는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제강공정에서 용강의 온도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전로에서 1차 정련된 용강은 래들에 수강된 후, 2차 정련을 거쳐 주조설비로 운반된다. 이때, 래들에 형성된 개구부에 의해, 래들에 수강된 용강이 외부로 노출되어 온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용강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래들에 용강을 수강한 후, 래들의 개구부에 커버를 장착하여 운반하였다. 상세하게는 커버의 탈착과정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크레인으로 커버를 들어올려, 2차 정련을 거친 용강을 수강한 래들의 상부에 커버를 덮었다. 그 다음, 크레인에서 커버를 분리하고, 크레인으로 래들을 지지하여 주조설비로 운반하였다. 래들 내부의 용강이 배출되면, 크레인으로 래들을 주조설비 외측으로 운반하였다. 이후, 크레인을 래들에서 분리하고, 크레인을 커버에 연결하여 커버를 래들에서 탈착시켰다.
그러나 크레인으로 커버를 운반하여 래들에 장착하거나 탈착시키기 때문에, 커버를 장착하거나 탈착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래들을 운반하는 시간도 지연되어, 래들에 커버를 덮더라도 용강의 온도가 저하될 수 있고, 주조공정의 효율성도 저하될 수 있다.
KR 2003-0047120 A
본 발명은 용기의 개구부를 용이하게 커버할 수 있는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기의 개구부에 커버부를 장착 및 탈착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기를 운반할 수 있는 운반장치로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운반부; 상기 운반부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커버할 수 있는 커버부; 및 일측이 상기 걸림부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커버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커버부를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향해서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재; 및 상기 걸림부에 지지되고, 상기 결합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결합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용기와 접촉할 수 있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표면에서 상기 구동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돌출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에 지지되는 몸체; 상기 돌출부재와 접촉할 수 있는 접촉체; 및 상기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접촉체와 연결되며, 상기 접촉체를 상기 돌출부재를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체;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재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돌출부재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접촉체와 상기 이동체는 복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재에 상기 접촉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체에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자성체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에 설치되고, 상기 용기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용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운반부는 천장에 설치되고, 상기 용기는 래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용기를 운반하는 운반방법으로서, 운반장치의 걸림부에 상기 용기를 지지시키는 과정; 상기 운반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커버부를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커버부를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과정, 및 상기 걸림부를 이동시켜 상기 용기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에 상기 용기를 지지시키는 과정, 및 상기 커버부를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과정이 동시에 수행된다.
상기 용기를 이동시킨 후, 상기 운반장치에서 상기 커버부를 분리시키는 과정; 및 상기 걸림부와 상기 용기를 분리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운반장치에서 상기 커버부를 분리시키는 과정, 및 상기 걸림부와 상기 용기를 분리시키는 과정이 동시에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용기의 개구부를 용이하게 커버할 수 있다. 이에, 운반되는 용기의 내부를 용이하게 밀폐시켜,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이 외부환경에 의해 냉각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용기의 개구부에 커버부를 장착 및 탈착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용기에 커버부를 신속하게 장착하거나 탈착할 수 있다. 이에, 용기를 운반하는 시간을 단축하여, 내용물이 용기 내부에 대기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대기시간 동안 내용물의 온도가 감소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내용물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고, 내용물을 처리하는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걸림부, 커버부, 및 구동부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와 구동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와 구동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작동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걸림부, 커버부, 및 구동부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는 용기를 운반할 수 있는 운반장치이다. 운반장치(1000)는 운반부(100), 걸림부(200), 커버부(300), 및 구동부(400)를 포함한다.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용강일 수 있고, 용기는 래들(10)일 수 있다. 래들(10)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래들(10)은 래들대차(20)에 안착되어 이송되거나, 운반장치(1000)에 지지되어 운반될 수 있다. 래들(10)은 외형을 형성하는 철피, 및 철피 내부에 축조되는 내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래들(10) 내부에 용강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래들(10)에는 돌기(15)가 구비될 수 있다. 돌기(15)는 래들(10)의 표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15)는 원형의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좌우방향(또는, X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돌기(15)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고, 래들(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운반부(100)는 작업장의 천장에서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운반부(100)는 걸림부(200)를 지지한 상태에서 이동하여, 걸림부(200)에 걸린 래들(10)을 작업장 내 원하는 위치로 운반할 수 있다. 운반부(100)는 이동대차(110), 및 동력기(120)를 포함한다.
이동대차(110)는 작업장에 설치된 가이드부재(50) 상에서 배치될 수 있다. 이동대차(110)는 구동휠을 구비할 수 있다. 구동휠에 의해 이동대차(110)는 가이드부재(50) 상에서 가이드부재(5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재(50)는 레일일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부재(5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동력기(120)는 이동대차(110) 상에 설치된다. 이에, 동력기(120)는 이동대차(11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동력기(120)는 걸림부(200)를 지지하고, 걸림부(20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동력기(120)는 와이어드럼(121), 및 와이어로프(122)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드럼(121)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드럼(121)의 회전축이 이동대차(1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와이어드럼(121)은 이동대차(110)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와이어로프(122)는 일측이 와이어드럼(121)에 감길 수 있고, 타측이 걸림부(200)에 연결된다. 따라서, 와이어드럼(121)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로프(122)가 와이어드럼(121)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와이어드럼(121)에 와이어로프(122)가 감기면 와이어로프(122)가 걸림부(200)를 끌어올려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와이어드럼(121)에서 와이어로프(122)가 풀리면 와이어로프(122)가 걸림부(200)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어로프(122)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복수개의 와이어드럼(121)이 구비되어, 복수개의 와이어로프(122)가 각각의 와이어드럼(121)에 감길 수도 있고, 하나의 와이어드럼(121)에 복수개의 와이어로프(122)가 감길 수도 있고, 복수개의 와이어드럼(121) 각각에 복수개의 와이어로프(122)가 감길 수도 있다.
걸림부(200)는 운반부(100)에 연결된다. 상세하게는 걸림부(200)가 운반부(100)의 동력기(120)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걸림부(200)는 동력기(120)를 지지하는 이동대차(110)에 의해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동력기(12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200)는 래들(10)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래들(10)을 걸림부(200)에 걸어 지지하거나, 걸림부(20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걸림부(200)는 지지부재(210), 및 걸림부재(22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210)는 동력기(120)의 와이어로프(122)에 지지된다. 지지부재(210)는 걸림부재(220), 및 걸림부재(220)에 걸린 래들(10)을 지지해줄 수 있다. 지지부재(210)는 프레임(211), 및 시브(212)가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211)은 사각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211)은 좌우방향(또는, X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프레임(211)의 하부에는 걸림부재(220)가 연결될 수 있다.
시브(212)는 도르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시브(212)는 프레임(21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시브(212)에는 와이어로프(122)가 감기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시브(212)는 와이어로프(122)에 지지될 수 있고, 시브(212)는 프레임(211)을 지지해줄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로프(122)에 의해 시브(212)가 상하로 이동하면, 프레임(211)도 함께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시브(212)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시브(212)는 와이어로프(122)가 구비되는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이에, 각 시브(212)에 각 와이어로프(122)가 감기도록 설치될 수 있다.
걸림부재(220)는 후크(Hook)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재(220)의 상부는 프레임(2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걸림부재(220)가 프레임(211)에 지지될 수 있고, 프레임(211)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걸림부재(220)의 내측에 래들(10)의 돌기(15)를 위치시킬 수 있고, 돌기(15)가 걸림부재(220)에 안착되어 걸림부재(220)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래들(10)이 걸림부재(22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22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한 쌍의 걸림부재(220)가 구비되어, 하나의 프레임(211)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걸림부재(220)는 좌우방향(또는, X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걸림부재(220)들 사이에 래들(10)이 위치할 수 있고, 래들(10)에 구비되는 돌기(15)들이 각각의 걸림부재(220)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래들(10)이 걸림부재(22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운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와 구동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와 구동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작동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와 구동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커버부(300)는 걸림부(200)에 걸린 래들(10)의 개구부를 커버할 수 있다. 커버부(300)에 의해 래들(10)의 개구부가 개방되거나 밀폐될 수 있다. 커버부(300)는 커버부재(310), 및 돌출부재(320)를 포함한다.
커버부재(310)는 래들(10)과 접촉할 수 있다. 커버부재(310)는 래들(10)의 개구부 형상을 따라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으로 형성되는 래들(10)의 개구부 형상을 따라, 커버부재(310)는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310)의 상부면 면적은, 래들(10)의 개구부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커버부재(310)가 래들(10)의 상부에 안착되면, 커버부재(310)가 래들(10)의 개구부를 덮어 래들(10)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커버부재(3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돌출부재(32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커버부재(310)의 표면에서 구동부(400)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재(32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재(320)는 커버부재(310)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재(320)는 전후방향(또는, Y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돌출부재(320)는 구동부(400)에 구비되는 결합부재(4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가 구비되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재(321)와 제2 돌출부재(322)가 구비되어 좌우방향(또는 X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제1 돌출부재(321)와 제2 돌출부재(322) 사이에 결합부재(420)가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돌출부재(320)의 구조와 형상 및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구동부(400)는 일측이 걸림부(200)에 설치되고, 타측이 커버부(30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부(400)는 커버부(300)를 래들(10)의 개구부를 향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구동부(400)의 작동에 의해 커버부(300)가 래들(10)과 접촉하거나 이격될 수 있다. 구동부(400)는 구동부재(410), 및 결합부재(420)를 포함한다.
구동부재(410)는 걸림부(200)에 지지된다. 예를 들어, 구동부재(410)는 걸림부(200)의 프레임(211)의 중심부를 상하방향(또는, Z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에, 구동부재(410)는 프레임(211)에 결합되어 프레임(211)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재(410)는 결합부재(420)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재(410)는 결합부재(42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재(410)는 실린더(411), 및 로드(41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411)는 원통 또는 사각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411)는 상하방향(또는, Z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411)는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211)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실린더(411)는 프레임(211)에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실린더(41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411) 내부에는 유체가 공급될 수 있다. 실린더(411)로 공급되는 유체가, 로드(412)에서 실린더(411)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을 상하로 밀어낼 수 있다. 이에, 로드(412)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로드(412)를 이동시키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로드(412)는 막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로드(412)는 상하방향(또는, Z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로드(412)의 상단부는 실린더(411)의 하부를 관통하여 실린더(411)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실린더(411)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로드(412)의 하단부는 결합부재(4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로드(412)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실린더(411) 내외를 향해서 이동하면, 결합부재(420)도 로드(412)와 함께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로드(41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때, 래들(10)이 걸림부(200)에 걸린 상태에서 커버부(300)는 래들(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부재(410)의 로드(412)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로드(412)와 연결된 결합부재(420)가 하측으로 이동하고, 결합부재(420)에 지지되는 커버부(300)도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커버부(300)가 래들(10)의 상부와 접촉하여 래들(10)의 개구부를 덮을 수 있다.
반대로, 구동부재(410)의 로드(412)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로드(412)와 연결된 결합부재(420)가 상측으로 이동하고, 결합부재(420)에 지지되는 커버부(300)도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커버부(300)가 래들(10)과 이격되고, 래들(10)의 개구부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재(410)의 작동을 제어하여, 걸림부(200)에 지지되는 래들(10)의 개구부를 밀폐시키거나 개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운반장치(1000)에 구비되는 커버부(300)로 래들(10)의 개구부를 용이하게 커버할 수 있다. 이에, 걸림부(200)에 지지되는 래들(10)의 내부를 용이하게 밀폐시켜, 래들(10) 내부의 용강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운반장치(1000)로 래들(10)을 운반하면서 용강이 외부환경에 의해 냉각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결합부재(420)는 적어도 일부가 커버부(300)의 돌출부재(3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420)가 돌출부재(320)와 결합되면, 커버부(300)는 구동부(40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결합부재(420)는 몸체(421), 이동체(422), 및 접촉체(423)를 포함한다.
몸체(421)는 원통 또는 사각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421)는 좌우방향(또는, X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421)의 상부는 로드(412)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구동부재(410)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421)는 로드(412)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몸체(42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몸체(421) 내부에는 유체가 공급될 수 있다. 몸체(421)로 공급되는 유체가, 이동체(422)에서 몸체(421)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을 좌우로 밀어낼 수 있다. 이에, 이동체(422)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고, 이동체(422)에 연결되는 접촉체(423)도 이동체(422)와 함께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체(422)를 이동시키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동체(422)는 막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체(422)는 좌우방향(또는, X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동체(422)의 일단부는 몸체(421)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동체(422)의 타단부는 접촉체(423)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체(422)는 좌우로 이동하면서 몸체(421)의 내외를 향해서 이동하면, 돌출부재(320)를 향하여 접촉체(423)가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이동체(422)의 이동에 의해 접촉체(423)가 돌출부재(320)에 밀착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동체(42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접촉체(423)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체(423)는 일면이 이동체(422)에 연결되고, 타면이 돌출부재(320)를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접촉체(423)는 이동체(422)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면서, 돌출부재(320)와 접촉하거나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접촉체(423)에서 돌출부재(320)를 향하는 면의 면적이, 이동체(422)에서 돌출부재(320)를 향하는 면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접촉체(423)를 구비하지 않고 이동체(422)를 돌출부재(320)에 직접 접촉시킬 때보다, 접촉체(423)를 구비하여 접촉체(423)를 돌출부재(320)에 접촉시킬 때 돌출부재(320)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접촉체(423)를 돌출부재(320)에 안정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한편, 접촉체(423)에서 돌출부재(320)를 향하는 면의 면적이, 이동체(422)를 향하는 면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접촉체(423)가 돌출부재(320)와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의 크기는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접촉체(423)를 돌출부재(320)에 안정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부재(320)에서 접촉체(423)를 향하는 면의 면적이, 접촉체(423)에서 돌출부재(320)를 향하는 면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이에, 접촉체(423)의 돌출부재(320)를 향하는 면 전체를 돌출부재(320)에 용이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접촉체(423)의 돌출부재(320)를 향하는 면 전체가 돌출부재(320)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몸체(421)는 제1 돌출부재(321)와 제2 돌출부재(3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이동체(422)와 접촉체(423)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단이 몸체(42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제1 돌출부재(321)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는 제1 이동체(422a), 일단이 몸체(42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제2 돌출부재(322)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는 제2 이동체(422b), 제1 이동체(422a)에 연결되어 제1 돌출부재(321)와 접촉할 수 있는 제1 접촉체(423a), 및 제2 이동체(422b)에 연결되어 제2 돌출부재(322)와 접촉할 수 있는 제2 접촉체(423b)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4의 (a)와 같이 제1 이동체(422a)와 제2 이동체(422b)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몸체(421) 외측으로 이동하면, 제1 접촉체(423a)는 제1 돌출부재(321)에 접촉하면서 밀착되고, 제2 접촉체(423b)는 제2 돌출부재(322)에 접촉하면서 밀착될 수 있다. 이에, 결합부재(420)가 제1 돌출부재(321)와 제2 돌출부재(322) 사이에 끼일 수 있고, 결합부재(420)와 돌출부재(320)들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300)가 구동부(400)를 지지하는 걸림부(20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도 4의 (b)와 같이 제1 이동체(422a)와 제2 이동체(422b)가 서로를 향해서 몸체(421) 내측으로 이동하면, 제1 접촉체(423a)는 제1 돌출부재(321)와 이격되고, 제2 접촉체(423b)는 제2 돌출부재(322)와 이격될 수 있다. 이에, 구동부(400)에서 커버부(300)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300)로 래들(10)의 개구부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구동부(400)와 커버부(300)를 분리시키면, 커버부(300)는 래들(10)의 개구부를 밀폐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구동부(400)를 지지하는 걸림부(200)는 커버부(300)와 별도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5와 같이 돌출부재(320)에 접촉체(423)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323)이 구비될 수 있다. 삽입홈(323)은 돌출부재(320)의 표면에서 내측으로 파여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323)은 접촉체(423)의 둘레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삽입홈(323) 내에 접촉체(423)가 끼워져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체(423)가 돌출부재(320)와 더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커버부(300)가 구동부(400)에서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재(321)에서 제1 접촉체(423a)를 향하는 면, 및 제2 돌출부재(322)에서 제2 접촉체(423b)를 향하는 면 각각에 삽입홈(323)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도 5의 (a)와 같이 제1 이동체(422a)와 제2 이동체(422b)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몸체(421) 외측으로 이동하면, 제1 접촉체(423a)는 제1 돌출부재(321)의 삽입홈(323) 내에 삽입되고, 제2 접촉체(423b)는 제2 돌출부재(322)의 삽입홈(323)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체(423)들이 삽입홈(323)들에 끼워진 상태에서, 접촉체(423)들이 돌출부재(320)들을 지지해주기 때문에, 구동부(400)에 커버부(300)가 더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반대로 도 5의 (b)와 같이 제1 이동체(422a)와 제2 이동체(422b)가 서로를 향해서 몸체(421) 내측으로 이동하면, 제1 접촉체(423a)는 제1 돌출부재(321)의 삽입홈(323)에서 나와 분리될 수 있고, 제2 접촉체(423b)는 제2 돌출부재(322)의 삽입홈(323)에서 나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삽입홈(323)의 면적이, 접촉체(423)에서 돌출부재(320)를 향하는 부분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이에, 삽입홈(323)과 접촉체(423)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더라도, 접촉체(423)를 삽입홈(323) 내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재(420)와 돌출부재(320)를 더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운반장치(10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할 수 있다. 우선, 도 6의 (a)와 같이 걸림부(200)를 래들(10)의 돌기(15)에 근접시킬 수 있다. 래들(10)을 걸림부(200)에 걸고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도 6의 (b)와 같이 래들대차(20)에 안착되었던 래들(10)이 걸림부(20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재(410)가 커버부(300)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커버부(300)가 래들(10)의 개구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운반장치(1000)로 래들(10)을 운반하는 동안, 래들(10) 내부의 용강이 외부로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래들(10)을 걸림부(200)에 거는 작업과, 커버부(300)로 래들(10)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작업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래들(10)은 운반하는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더 단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두 작업이 순차적으로 수행되거나 역순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그 다음, 도 6의 (c)와 같이 주조설비에 구비되는 래들터렛(30)에 래들(10)을 안착시키고, 결합부재(420)와 돌출부재(32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커버부(300)와 구동부(400)가 분리되어 걸림부(200)와 래들(10)을 분리해도, 커버부(300)는 래들(10)의 개구부를 덮는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래들(10) 내 용강을 턴디쉬에 공급하는 동안에도 래들(10) 내부의 용강이 외부로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래들(10)을 래들터렛(30)에 안착시키는 작업과, 커버부(300)와 구동부(400)를 분리하는 작업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는, 걸림부(200)와 래들(10)을 분리하는 작업과, 커버부(300)와 구동부(400)를 분리하는 작업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래들(10)은 운반하는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더 단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작업들이 순차적으로 수행되거나 역순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래들(10) 내부의 용강을 턴디쉬에 공급한 후, 도 6의 (d)와 같이 걸림부(200)를 이동시켜 래들(10)에 걸 수 있다. 이에, 래들(10)이 걸림부(200)에 지지될 수 있다. 결합부재(420)는 돌출부재(320)와 다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300)가 구동부(400)에 지지되어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래들(10)을 걸림부(200)에 거는 작업과, 커버부(300)로 래들(10)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작업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래들(10)은 운반하는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더 단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두 작업이 순차적으로 수행되거나 역순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그 다음, 도 6의 (e)와 같이 빈 래들(10)을 래들대차(20) 상에 다시 안착시키고, 걸림부(200)와 래들(10)을 분리할 수 있다. 커버부(300)가 구동부(400)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부(300)는 래들(10)과 분리되어 구동부(40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별도의 장소에 커버를 운반하여 래들(10)에 장착한 후, 래들(10)에서 커버를 탈착하여 별도의 장소에 다시 운반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래들(10)의 개구부에 커버부(300)를 장착 및 탈착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래들(10)을 운반하는 시간을 단축하여, 용강이 래들(10) 내부에 대기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대기시간 동안 용강의 온도가 감소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용강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고, 용강을 처리하는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재와 결합부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돌출부재(320)는 적어도 일부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재(320)에서 접촉체(423)를 향하는 부분을 금속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접촉체(423)에는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자성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체(423)에서 돌출부재(320)를 향하는 부분에 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접촉체(423)를 돌출부재(320)에 밀착시키면, 자성체가 자기력에 의해 돌출부재(320)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재(320)와 접촉체(423)가 더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커버부(300)가 구동부(400)에서 추락하는 사고를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자성체는 전자석일 수도 있다. 따라서, 자성체에 전원을 공급하면 자성체가 자기력을 발생시키고, 자성체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면 자성체가 자기력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접촉체(423)와 돌출부재(320)를 결합할 때는 자성체에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부(400)와 커버부(300)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접촉체(423)와 돌출부재(320)를 분리할 때는 자성체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여, 구동부(400)와 커버부(30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 예들 간에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부 및 제어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운반장치(1000)는 감지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구동부를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감지부는 걸림부(200)에 설치될 수 있다. 감지부는 래들(10)의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는 감지부가 래들(10)이 걸림부(200)에 걸렸는지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는 빛을 조사하고, 물체에서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광센서는 걸림부(200)의 프레임(211)에 설치될 수 있다. 광센서는 걸림부재(220)들 사이의 공간을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고, 걸림부재(220)들 사이에 배치되는 래들(10)에서 반사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다. 광센서로 반사되는 빛이 없으면 래들(10)이 걸림부(200)에 걸리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고, 광센서에 반사되는 빛이 감지되면 래들(10)이 걸림부(200)에 걸려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감지부가 물체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중량센서는 걸림부(200)의 걸림부재(2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중량센서는 걸림부재(220)에 물체가 안착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부재(220)에 래들(10)의 돌기(15)가 안착되는 경우, 중량센서가 이를 감지할 수 있고, 걸림부(200)에 래들(10)이 걸렸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감지부와 전기적인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는 래들(10)의 위치에 따라 구동부재(4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부(200)에 래들(10)이 걸렸다고 감지부가 판단하면, 제어부는 구동부재(410)를 작동시켜 결합부재(420)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결합부재(42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결합부재(420)에 지지되는 커버부(300)도 함께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300)가 래들(10)의 상부와 접촉하면서 안착될 수 있고, 걸림부(200)에 지지되는 래들(10)의 개구부가 커버부(30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반대로, 걸림부(200)에 래들(10)이 걸리지 않았다고 감지부가 판단하면, 제어부는 구동부재(410)를 작동시켜 결합부재(420)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결합부재(42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결합부재(420)에 지지되는 커버부(300)도 함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래들(10)의 개구부를 밀폐시키기 위해 하측으로 이동했던 커버부(300)가 원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감지부와 제어부로 구동부재(41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래들(10)의 개구부에 커버부(300)를 장착 및 탈착하는 시간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래들(10)을 운반하는 작업의 효율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방법은, 용기를 운반하는 운반방법이다. 운반방법은, 운반장치의 걸림부에 용기를 지지시키는 과정, 운반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커버부를 용기의 개구부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과정, 커버부를 용기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과정, 및 걸림부를 이동시켜 용기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때,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용강일 수 있고, 용기는 래들일 수 있다. 하기에서는 2차 정련을 마친 용강을 수용한 래들을, 주조설비로 운반하는 경우를 예시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용기를 운반하는 다른 다양한 공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하면, 2차 정련을 마친 용강을 수용한 래들(10)은 래들대차(20)에 안착되어 이송될 수 있다. 이에, 운반장치(1000)로 래들(10)을 주조설비로 운반하기 위해, 래들대차(20)에 안착된 래들(10)로 운반장치(1000)의 걸림부(200)를 근접시킬 수 있다. 걸림부(200)를 상하방향(또는, Z방향) 및 전후방향(또는, Y방향)으로 이동시켜, 걸림부(200)의 걸림부재(220)를 래들(10)의 돌기(15)에 걸 수 있다. 이에, 래들(10)이 걸림부(200)에 지지될 수 있고, 래들(10)이 걸림부(20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운반장치(1000)의 구동부(40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버부(300)를, 래들(10)의 개구부를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커버부(300)는 래들(10)의 개구부에 장착되어 개구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즉, 구동부(400)로 커버부(300)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커버부(300)를 래들(10)의 상부와 접촉시킬 수 있다. 이에, 커버부(300)가 래들(10)의 커버부(300)를 덮어 래들(10)의 개구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래들(10)의 개구부를 밀폐시키기 위해, 래들(10)을 별도의 장소를 운반하거나, 별도의 커버를 운반하여 래들(10)에 장착하지 않기 때문에, 래들(10)을 운반하는 전체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래들(10)을 걸림부(200)로 지지하는 과정, 및 커버부(300)를 래들(10)의 개구부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과정이 함께(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300)로 이동시키는 과정이, 래들(10)을 걸림부(200)에 거는 과정과 다른 시간에 별도로 수행되지 않고 함께 수행되기 때문에, 더 신속하게 커버부(300)로 래들(10)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 운반장치(1000)의 운반부(100)로 걸림부(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부(20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걸림부(200)에 지지되는 래들(10)도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래들(10)이 래들대차(2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후, 운반부(100)는 걸림부(200)를 주조설비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래들(10)도 걸림부(200)와 함께 주조설비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래들(10)의 개구부가 커버부(300)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운반되기 때문에, 래들(10)이 운반되는 과정에서 래들(10) 내부의 용강이 외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강이 공기와 접촉하여 산화되거나 냉각되는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그 다음, 래들(10)을 래들터렛(3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에, 래들(10)이 턴디쉬에 용강을 공급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400)와 커버부(300)를 분리할 수 있다. 이에, 커버부(300)는 래들(10)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구동부(400)는 걸림부(200)와 함께 래들(10)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래들(10)이 턴디쉬로 용강을 공급하는 동안에도 래들(10)의 개구부가 밀폐되어, 래들(10) 내부의 용강이 산화되거나 냉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200)와 래들(10)을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래들(10)이 턴디쉬에 용강을 공급하는 동안, 걸림부(200)가 래들(10)과 이격될 수 있다. 구동부(400)가 커버부(300)와 분리된 상태이기 때문에, 커버부(300)는 래들(10)에 안착된 상태에서, 구동부(400)만 걸림부(20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부(200)가 래들(1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주조작업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400)와 커버부(300)를 분리시키는 과정은, 래들(10)을 래들터렛(30)에 안착시키는 과정, 및 걸림부(200)와 래들(10)을 분리하는 과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래들(10)을 래들터렛(30)에 안착시키는 과정, 및 구동부(400)와 커버부(300)를 분리시키는 과정이 함께(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는, 구동부(400)와 커버부(300)를 분리시키는 과정, 및 걸림부(200)와 래들(10)을 분리하는 과정이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래들(10)을 래들터렛(30)에 안착시키고, 걸림부(200)와 래들(10)을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구동부(400)와 커버부(300)를 수행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400)와 커버부(300)를 분리시키는 과정이, 다른 과정들과 다른 시간에 별도로 수행되지 않고 함께 수행되기 때문에, 더 신속하게 걸림부(200)와 래들(10)을 분리시키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 래들(10)에서 턴디쉬로 용강의 공급이 완료되면, 래들(10)에 다른 용강을 수강하기 위해, 래들(10)을 주조설비에서 래들대차(20)로 운반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래들(10)을 걸림부(200)에 다시 걸 수 있다. 따라서, 래들(10)이 걸림부(20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400)와 커버부(300)를 결합할 수 있다. 이에, 커버부(300)가 구동부(400)와 함께 이동할 수 있고, 걸림부(200)를 따라 구동부(400)와 커버부(300)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래들(10)을 걸림부(200)에 다시 거는 과정, 및 구동부(400)와 커버부(300)를 결합하는 과정이 함께(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400)와 커버부(300)를 결합시키는 과정이, 래들(10)을 걸림부(200)에 다시 거는 과정과 다른 시간에 별도로 수행되지 않고 함께 수행되기 때문에, 더 신속하게 걸림부(200)와 래들(10)을 결합시키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 걸림부(200)를 래들대차(2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래들(10)도 걸림부(200)를 따라 래들대차(2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걸림부(200)의 이동을 제어하여 래들(10)을 래들대차(20) 상에 안착시키고, 걸림부(200)와 래들(10)을 분리한 후, 걸림부(20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래들(10)과 이격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부(300)는 구동부(400)와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구동부(400)를 지지하는 걸림부(200)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여, 래들(10)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부(300)로 래들(10)의 개구부를 밀폐시키거나 개방하는 작업이 다른 작업들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래들(10)의 개구부를 밀폐시키거나 개방하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전체 운반 공정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여, 래들(10)을 운반하는 전체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더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래들(10)은 운반하는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되고, 래들(10)이 운반장치(1000)로 운반되는 과정에서 용강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래들 100: 운반부
200: 걸림부 300: 커버부
310: 커버부재 320: 돌출부재
400: 구동부 410: 구동부재
420: 결합부재 1000: 운반장치

Claims (13)

  1. 용기를 운반할 수 있는 운반장치로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운반부;
    상기 운반부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커버할 수 있는 커버부;
    일측이 상기 걸림부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커버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커버부를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향해서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
    상기 걸림부에 용기가 걸렸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에 설치되어 용기의 중량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용기를 상기 걸림부에 거는 작업과, 상기 커버부로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감지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용기와 접촉할 수 있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표면에서 상기 구동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돌출부재들 사이에 끼여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돌출부재들을 향하여 이동하여 밀착될 수 있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운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걸림부에 지지되고, 상기 결합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결합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운반장치.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에 지지되는 몸체;
    상기 돌출부재와 접촉할 수 있는 접촉체; 및
    상기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접촉체와 연결되며, 상기 접촉체를 상기 돌출부재를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체;를 포함하는 운반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돌출부재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접촉체와 상기 이동체는 복수개가 구비되는 운반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에 상기 접촉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구비되는 운반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체에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자성체가 구비되는 운반장치.
  8. 삭제
  9.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부는 천장에 설치되고, 상기 용기는 래들을 포함하는 운반장치.
  10. 용기를 운반하는 운반방법으로서,
    운반장치의 걸림부에 상기 용기를 지지시키는 과정;
    상기 운반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커버부를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커버부를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과정, 및
    상기 걸림부를 이동시켜 상기 용기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에 상기 용기를 지지시키는 과정은, 상기 걸림부에 안착되는 상기 용기의 중량을 감지하여 상기 걸림부에 용기가 걸렸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에 상기 용기를 지지시키는 과정, 및 상기 커버부를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과정을 동시에 수행하고,
    상기 커버부를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운반장치에 구비되는 결합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켜,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들에 밀착시키고, 상기 결합부재를 상기 돌출부재들 사이에 끼이게 하여 서로 결합시키는 과정, 및
    상기 결합부재를 지지하는 상기 걸림부를, 상기 커버부와 함께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운반방법.
  11. 삭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용기를 이동시킨 후,
    상기 운반장치에서 상기 커버부를 분리시키는 과정; 및
    상기 걸림부와 상기 용기를 분리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운반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운반장치에서 상기 커버부를 분리시키는 과정, 및 상기 걸림부와 상기 용기를 분리시키는 과정이 동시에 수행되는 운반방법.
KR1020180118426A 2018-10-04 2018-10-04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KR102139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426A KR102139633B1 (ko) 2018-10-04 2018-10-04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426A KR102139633B1 (ko) 2018-10-04 2018-10-04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780A KR20200038780A (ko) 2020-04-14
KR102139633B1 true KR102139633B1 (ko) 2020-07-30

Family

ID=70291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426A KR102139633B1 (ko) 2018-10-04 2018-10-04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6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241B1 (ko) * 2020-06-08 2022-02-07 주식회사 포스코 용기 장치 및 용융물 운반 방법
KR102517348B1 (ko) * 2021-09-13 2023-04-04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전자식 픽킹부를 구비한 픽업로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2549A (ja) * 1999-08-27 2001-03-13 Kawasaki Steel Corp バーナ付鍋蓋の昇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3972U (ko) * 1976-03-17 1977-09-20
JPS53135423U (ko) * 1977-03-31 1978-10-26
JPH08197233A (ja) * 1995-01-30 1996-08-06 Kawasaki Steel Corp 鍋蓋着脱装置及び鍋蓋取付け機構
KR100840285B1 (ko) 2001-12-07 2008-06-20 주식회사 포스코 레이들의 보온 커버
KR101899646B1 (ko) * 2016-06-28 2018-09-18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의 과경동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2549A (ja) * 1999-08-27 2001-03-13 Kawasaki Steel Corp バーナ付鍋蓋の昇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780A (ko) 202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9633B1 (ko)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US9653189B2 (en) Canister transfer system with independent traveling shielded bell
KR101584337B1 (ko)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
MX2010012404A (es) Sistema de horno.
WO2019205873A1 (zh) 集装箱检查系统、港口设施及集装箱检查方法
KR20080102428A (ko) 적열 코크스 수용장치
JP2013237516A (ja) カゴ台車用移載装置
KR101736166B1 (ko) 핫 셀 내부의 방사성 폐기물 이송시스템
KR101149499B1 (ko) 컨테이너 하역시스템 및 하역방법
JPH0517477B2 (ko)
JP2005324930A (ja) 吊り具
JP2010013204A (ja) 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KR102215200B1 (ko) 철제 용기 뚜껑의 스폿용접부 검사장치
KR101245513B1 (ko) 감지장치 및 센서가 부착된 후크로 작동하는 무인크레인
JPH08197233A (ja) 鍋蓋着脱装置及び鍋蓋取付け機構
JP6670149B2 (ja) 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貯蔵施設
KR102088447B1 (ko) 개폐장치
KR102092750B1 (ko) 이송 장치 및 이송 방법
JP2004184183A (ja) 放射性物質保管容器の搬送方法及び放射性物質保管容器並びに貯蔵施設
KR102359241B1 (ko) 용기 장치 및 용융물 운반 방법
JP7101129B2 (ja) 移動体用装着装置および圧力容器検査システム
KR20180065244A (ko) 이송장치
KR101867707B1 (ko) 코일이송장치
KR20230053303A (ko) 장입 장치 및 방법
KR200316531Y1 (ko) 전로의 리모블 후드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