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285B1 - 레이들의 보온 커버 - Google Patents

레이들의 보온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285B1
KR100840285B1 KR1020010077515A KR20010077515A KR100840285B1 KR 100840285 B1 KR100840285 B1 KR 100840285B1 KR 1020010077515 A KR1020010077515 A KR 1020010077515A KR 20010077515 A KR20010077515 A KR 20010077515A KR 100840285 B1 KR100840285 B1 KR 100840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le
cover
lug
thermal
insulat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7120A (ko
Inventor
허영균
위흥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77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285B1/ko
Publication of KR20030047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8Door frames; Doors, lids, removable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보온커버와 레이들과의 기밀성을 높여 틈새 발생을 봉쇄함으로써, 보온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된 레이들의 보온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외형을 이루는 외측철피로 이루어지고, 철피 내측면에는 부정형 내화물이 시공되며, 외측철피 중앙에는 크레인으로 보온커버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크레인의 후크가 걸리는 러그가 러그고정틀을 매개로 설치된 구조의 보온커버에 있어서, 상기 보온커버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레이들의 스파우트를 막기 위한 차단플랩과, 상기 차단플랩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의 보온 커버를 제공한다.
차단플랩, 안내홀, 와이어, 환형링

Description

레이들의 보온 커버{Cover of lad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커버가 설치된 레이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커버만들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온커버와 레이들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보온커버가 설치된 레이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보온커버 11 : 외측철피
12 : 내화물 13 : 러그고정틀
14 : 러그 20 : 차단플랩
23 : 안내홀 24,33 : 와이어
30 : 환형링 31 : 장공
32 : 이탈방지핀 34 : 도르래
본 발명은 제강공정의 레이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이들에 담겨진 용강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레이들의 보온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들은 제강공정상 취련 완료된 용강을 턴디쉬로 주입하기 위한 것으로, 제강로에서 용융된 용강은 주조 레이들에 수강되어지고 용강이 담긴 레이들은 크레인에 의해 다음 공정인 턴디쉬로 옮겨져 턴디쉬에 용강을 주입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레이들에 담긴 용강의 온도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통상 레이들 상부에는 보온커버를 덮게 되는 데, 도 5는 종래의 보온커버(100)가 크레인의 훅에 의해 들어올려져 레이들(150) 상부에 놓여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보온커버(100)는 레이들(150)과 분리되어 별도 보관됨에 따라 미사용시에는 지면에 방치해두고 레이들에 용강이 담겨지면 크레인 훅을 보온커버 상부의 러그 고정틀(110)에 걸어 상승시킨 후 레이들 상부에 덮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보온커버는 레이들의 스파우트(160)를 막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스파우트를 통해 누출되는 열손실과 비산되는 분진을 적절히 차단하지 못하였다.
즉, 레이들 상부에 형성되는 슬래그 제거용 스파우트 부분은 보온커버에 의해 막아지지 않게 되어, 보온커버를 닫은 경우 스파우트 부위는 커버와의 공간이 발생하게 되고, 이 공간을 통해 용강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이는 용강의 온도를 적절히 보호하지 못하는 원인이 된다.
특히, 상기 스파우트 부위에는 잔류 슬래그가 남아 있다가 온도가 하락하게 되면 분화가 되어 있다가, 상기와 같이 보온커버를 레이들 상부에 덮었을 때 스파우트 부위로 빠져나가는 용강의 열에 의해 비산되어지면서 생석회 가루를 외부로 분출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스파우트를 제외하더라도 레이들 상부와 보온커버 사이는 완전히 밀착되는 것이 아니라 약간의 틈새 등이 발생하게 되며, 종래의 보온커버 구조는 이 틈새를 적절히 차단하지 못함에 따라 레이들 상부와 기밀성이 양호하지 않아 보온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온커버와 레이들과의 기밀성을 높여 틈새 발생을 봉쇄함으로써, 보온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된 레이들의 보온커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이들용 보온 커버에 있어서, 상기 보온커버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레이들의 스파우트를 막기 위한 차단플랩과 플랩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온커버의 외측면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개폐수단에 의해 연동작동되어 보온커버와 레이들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키기 위한 측면밀폐수단을 더욱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커버가 설치된 레이들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커버만들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 른 보온커버와 레이들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보온커버(10)는 환형상으로 되어 외형을 이루는 외측철피(11)로 이루어지며, 철피(11) 내측면에 부정형 내화물(12)이 시공되고 외측철피(11) 중앙에는 크레인으로 보온커버(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크레인의 후크가 걸리는 러그(14)가 러그고정틀(13)을 매개로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조의 레이들용 보온커버에 있어서, 상기 외측철피(11)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레이들(150)의 스파우트(160)에 놓여지도록 된 차단플랩(20)과, 차단플랩(20)을 회동시켜 스파우트(16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수단 및, 상기 보온커버(10)의 외측면을 따라 설치되어 보온커버(10)와 레이들(150)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키기 위한 환형링(30)과, 환형링(30)을 보온커버(10)와 레이들(150) 사이의 틈새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차단플랩(20)은 철피(21)로 이루어지며 스파우트(160)의 내측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차단플랩(20)의 내측면에는 스파우트(160)의 내측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내화물(22)이 시공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러그고정틀(13)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단은 일정길이 하향절곡된 안내홀(23), 안내홀(23)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러그(14), 러그(14) 양 선단과 상기 차단플랩(20) 상부에 연결되는 와이어(24)를 포함한다.
따라서 러그(14)가 안내홀(23)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와이어(24)가 당겨지면서 레이들(150)의 스파우트(160)에 놓여져 있던 차단플랩(20)이 상부로 회동되어 스파우트(160)를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안내홀(23)은 상단이 하부를 향해 절곡형성되어 하부를 향하는 구조로, 러그(14)가 상단까지 이동되면 자중에 의해 걸쳐져 의도하지 않는 한 다시 리턴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환형링(30)은 보온커버(10)의 외측철피(11) 외측면 둘레를 따라 놓여지며, 환형링(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환형링(30)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레이들(15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31), 상기 외측철피(11) 외측면에 부착설치되어 상기 장공(31)으로 돌출되는 이탈방지핀(32)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환형링(30)은 보온커버(10) 외측에 위치하여 측면에 형성된 장공(31)의 유동범위만큼 자체적으로 승하강하여 필요시 레이들(150) 상단과 보온커버(10) 사이의 틈새를 막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환형링(30)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은 상기 개폐수단을 이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이동수단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안내홀(23)을 따라 이동가능한 러그(14)와, 러그(14) 양 선단과 환형링(30)의 상단에 연결되는 와이어(3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후크에 걸려져 있던 러그(14)에서 후크가 이탈되면 러그(14)가 하부로 내려오면서 와이어(33)로 연결된 환형링(30)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보온커버(10)와 레이들(150) 사이의 틈새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된 도면 부호 (34)은 러그(14)와 환형링(30)을 연결하는 와이어(33)의 이동라인 상에서 외측철피(11)에 설치되어 와이어(33)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도르래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보온커버(10)를 대기 위치에 놓은 경우에는 크레인의 후크가 걸리는 러그(14)는 러그고정틀(13)에 형성된 안내홀(23) 최상부로 이동되어 하부를 향하는 상단에 놓여진다.
이와같이 러그(14)가 안내홀(23)의 절곡된 상단에 위치하게 되면 자체적으로는 안내홀(23) 하단으로 내려가지 못하므로, 러그(14)의 양 선단에 설치된 와이어(24,33)는 당겨진 상태가 된다.
각 와이어(24,33)가 당겨짐으로써 외측철피(11)에 축결합되어 있는 차단플랩(20)은 상부로 회동되어 들어올려져 있게 되고, 환형링(30)은 외측철피(11) 상부로 올라가게 되어 지면과의 마찰을 방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레이들(150)의 용강 보온을 위해서는 크레인의 후크를 상기 러그(14)에 걸어 보온커버(10)를 레이들(150) 상부로 이동한 후 레이들(150)의 스파우트(160) 위치와 보온커버(10)의 차단플랩(20) 위치를 일치시켜 보온커버(10)를 레이들(150) 위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스파우트(160) 위치와 차단플랩(20)의 위치가 일치된 상태에서 레이들(150) 상부에 보온커버(10)가 정확히 내려앉게 되면 러그(14)에 걸려 있는 후크를 탈거시키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러그(14)가 러그고정틀(13)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러그고정틀(13)에 형성된 안내홀(23)의 하단에 러그(14)가 위치하도록 하면서 후크를 탈거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안내홀(23)의 하단으로 러그(14)가 내려감에 따라 러그(14) 상승시 당겨져 있던 와이어(24,33)는 당김력이 해제되고, 와이어(24,33)에 연결되어 있는 차단플랩(20)과 환형링(30)은 각각 회동되어 내려가거나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차단플랩(20)은 와이어(24)의 당김력이 해제됨에 따라 아래로 회동되어 스파우트(16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들어가게 되고, 이에 따라 보온커버(10)와 스파우트(160) 사이의 공간을 막게 된다.
그리고, 환형링(30)은 와이어(33)의 풀림으로 역시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되고, 측면에 형성된 장공(31)의 상단에 이탈방지핀(32)이 걸릴때가지 완전히 하강되면 바로 보온커버(10)의 외측철피(11)와 레이들(150) 상단 사이의 틈새를 가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보온커버(10)와 레이들(150) 사이에 만들어지는 모든 틈새가 차단플랩(20)과 환형링(30)에 의해 차단되므로 용강의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레이들의 보온 커버에 의하면, 용강의 온도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온의 열이 외부로 나오면서 스파우트의 생석회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외형을 이루는 외측철피로 이루어지고, 철피 내측면에는 부정형 내화물이 시공되며, 외측철피 중앙에는 크레인으로 보온커버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크레인의 후크가 걸리는 러그가 러그고정틀을 매개로 설치된 구조의 보온커버에 있어서,
    상기 보온커버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레이들의 스파우트를 막기 위한 차단플랩, 및
    상기 차단플랩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러그고정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단은 일정길이 하향절곡된 안내홀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러그, 및
    상기 러그의 양 선단과 상기 차단플랩 상부에 연결되는 와이어
    를 포함하는 레이들의 보온 커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커버의 외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환형링;
    상기 환형링을 상기 보온커버와 상기 레이들 사이의 틈새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러그 양 선단과 상기 환형링의 상단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보온커버와 상기 레이들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키기 위한 측면밀폐수단
    을 더 포함하는 레이들의 보온 커버.
KR1020010077515A 2001-12-07 2001-12-07 레이들의 보온 커버 KR100840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515A KR100840285B1 (ko) 2001-12-07 2001-12-07 레이들의 보온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515A KR100840285B1 (ko) 2001-12-07 2001-12-07 레이들의 보온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120A KR20030047120A (ko) 2003-06-18
KR100840285B1 true KR100840285B1 (ko) 2008-06-20

Family

ID=29573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515A KR100840285B1 (ko) 2001-12-07 2001-12-07 레이들의 보온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2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633B1 (ko) 2018-10-04 2020-07-30 주식회사 포스코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CN114799141A (zh) * 2022-05-07 2022-07-29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式钢包盖使用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5219U (ko) * 1977-07-22 1979-02-19
JPS57154762U (ko) * 1981-03-23 1982-09-29
JPS57170868U (ko) * 1981-04-22 1982-10-27
JPS5910964U (ja) * 1982-07-14 1984-0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注湯機用ラドル
JPS6468417A (en) * 1987-09-09 1989-03-14 Nippon Kokan K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small lid in insulating cover
JPH04158972A (ja) * 1990-10-23 1992-06-02 Mitsubishi Heavy Ind Ltd ダクタイル鋳鉄用取鍋
JPH0814765A (ja) * 1994-06-29 1996-01-19 Kawasaki Steel Corp 溶湯容器の蓋シール装置
JPH08318364A (ja) * 1995-05-25 1996-12-03 Sumitomo Metal Ind Ltd 溶鋼鍋の鍋蓋取付け構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5219U (ko) * 1977-07-22 1979-02-19
JPS57154762U (ko) * 1981-03-23 1982-09-29
JPS57170868U (ko) * 1981-04-22 1982-10-27
JPS5910964U (ja) * 1982-07-14 1984-0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注湯機用ラドル
JPS6468417A (en) * 1987-09-09 1989-03-14 Nippon Kokan K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small lid in insulating cover
JPH04158972A (ja) * 1990-10-23 1992-06-02 Mitsubishi Heavy Ind Ltd ダクタイル鋳鉄用取鍋
JPH0814765A (ja) * 1994-06-29 1996-01-19 Kawasaki Steel Corp 溶湯容器の蓋シール装置
JPH08318364A (ja) * 1995-05-25 1996-12-03 Sumitomo Metal Ind Ltd 溶鋼鍋の鍋蓋取付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120A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15005A1 (en) Assembly of a refractory nozzle and casting element
US4298147A (en) Discharging mechanism for molten metal and slag remaining in tundish for continuous casting machine
US5718415A (en) Flow control device for the outlet nozzle of a metallurgical vessel
KR100840285B1 (ko) 레이들의 보온 커버
KR100396082B1 (ko) 레이들의 휠러 개공장치
KR100775089B1 (ko) 주편 테일부의 블리딩 방지 장치
KR101819333B1 (ko) 용강 비산 방지장치
KR101175444B1 (ko) 래들의 바닥 구조체
KR200396541Y1 (ko) 열차단구를 갖는 내화노즐 스토퍼
KR100943086B1 (ko) 턴디쉬 막힘 방지 장치
KR20120132205A (ko) 스토퍼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 주조 장치
KR101268634B1 (ko) 래들
JP2020084213A (ja) 高炉樋カバー構造
KR100868086B1 (ko) 래들의 리프팅 러그 고정장치
KR200384696Y1 (ko) 주조설비용 순간부상형 슬래그 유입방지장치
CN213671791U (zh) 一种具备防护功能的冶金钢水包
KR960000296Y1 (ko) 래들 로구부 연와 탈락 방지 구조
KR100768301B1 (ko) 레들용 필러 투입장치
KR102294057B1 (ko) 지금 제거 장치 및 지금 제거 방법
KR100470012B1 (ko) 무산화 주조를 위한 턴디쉬 밀폐구조
KR100829959B1 (ko) 레이들의 상부 누적 지금 제거장치
KR200271048Y1 (ko) 제강용 턴디쉬의 노즐 단열장치
KR101305141B1 (ko) 침지 노즐의 용손 방지 장치 및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침지 노즐
KR101442909B1 (ko) 제트렌스 보호커버
KR101907277B1 (ko) 용강 유동 방지용 이중 튜브 및 이를 갖는 턴디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