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707B1 - 코일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코일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707B1
KR101867707B1 KR1020160163782A KR20160163782A KR101867707B1 KR 101867707 B1 KR101867707 B1 KR 101867707B1 KR 1020160163782 A KR1020160163782 A KR 1020160163782A KR 20160163782 A KR20160163782 A KR 20160163782A KR 101867707 B1 KR101867707 B1 KR 101867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ensor
cooling
cooling medium
lift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3953A (ko
Inventor
허형준
임충수
곽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63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707B1/ko
Publication of KR20180063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6Special arrangements with regard to simultaneou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매체의 저장영역으로 코일을 이동시켜 냉각시키는 코일이송장치이고, 리프터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터암; 코일의 내경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리프터암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코일센서부; 및, 상기 리프터암에 거치된 코일의 가압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코일센서부의 감지경로를 통해 유입되는 냉각매체를 차단하도록 제공되는 센서차단부;를 포함하는 코일이송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코일이송장치{APPARATUS FOR MOVING A COIL}
본 발명은 코일을 이동시키는 코일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제철소와 같은 무거운 물체를 다루는 장치 산업에 있어서 크레인은 여러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된다.
크레인은 일반적으로 호이스트 및 와이어로프 등을 이용하여 짐을 오르내리는 기계장치의 하나로 원동기, 기어 감속장치, 권취수단 등을 한 조로 하고 권상용 로프 단부에 후크(hook)를 장착하여 화물 등을 들어올리거나 또는 들어올린 상태에서 타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조작되는 일련의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호이스트의 종류는 전기 호이스트, 공기 호이스트 등이 있는데, 전기 호이스트는 소형 전동기(電動機), 행성(行星) 기어식 가속장치가 달린 권동(捲胴), 화물을 잡고 있는 전자기 브레이크, 짐을 내릴 때 속도를 조절하는 하중(荷重) 브레이크 등을 좁은 공간에 집중시켜서 되는 소형 권상기라 할 수 있으며, 지브(Jib) 끝에 붙이거나 또는 에이치(H)형 빔의 아래쪽 플랜지를 레일로 주행하며 화물을 오르내려 운반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제철 공장 내의 열간 압연기 또는 냉간 압연기 등을 통해 연속 생산되는 강판은 일정 폭을 가지며, 코일 형태로 권취되어 보관 또는 이송된다.
따라서, 제철소에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행하는 작업 중에서 흔히 발생되는 작업이 크레인을 이용한 코일의 이동이다.
코일의 이동을 위하여는 크레인의 권선용 로프를 조작하여 그 하단부에 장착된 후크(hook)를 아래로 내린 후 코일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hole)에 후크의 좌우 고리를 삽입한 후, 후크의 좌우 거리가 고정된 상태에서 후크를 올려 코일을 이동시키게 된다.
통상은 이러한 코일의 이동이 시야가 확보된 지상에서 이루어 지지만 코일을 냉각하는 등 특수한 경우에는 물속에서 이러한 코일의 이송이 이루어 지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수중에서 크레인으로 코일을 권상, 권하하는 작업 공정들이 있는데, 고온의 코일을 수중으로 이송하는 경우에는 센서의 온도 변화가 급격하게 발생하여 열충격에 의해 센서가 쉽게 손상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한국등록실용공보 제20-0301740호(두 쌍의 랙과 피니언을 구비한 코일 리프터,출원일: 2002년 10월 17일 ,출원인:주식회사 에이스테크)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코일이송장치에서 발생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고온의 코일을 냉각수 등의 냉각매체로 직접 이송시켜 냉각시 발생하는 급격한 온도변화로 인한 코일센서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코일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냉각매체의 저장영역으로 코일을 이동시켜 냉각시키는 코일이송장치이고, 리프터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터암; 코일의 내경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리프터암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코일센서부; 및, 상기 리프터암에 거치된 코일의 가압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코일센서부의 감지경로를 통해 유입되는 냉각매체를 차단하도록 제공되는 센서차단부;를 포함하는 코일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코일센서부는, 일측의 상기 리프터암에 설치되고, 코일의 내경부를 감지하도록 광원을 조사하는 제1 센서부; 및, 대향되는 타측의 상기 리프터암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센서부에서 조사된 광원을 수집하는 제2 센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리프터암의 코일지지부재에 설치되는 센서하우징; 상기 센서하우징에 장착되는 렌즈모듈; 및, 광섬유를 매개로 상기 렌즈모듈과 연계되고, 상기 리프터암의 이동프레임 상측영역에 설치되는 컨트롤러;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센서차단부는, 상기 리프터암의 코일지지부재 상면으로 돌출되고, 코일이 거치되면서 가압되는 버튼부재; 상기 코일지지부재에 설치된 설치축을 매개로 상기 버튼부재의 가압에 연동되면서 회동하는 회동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센서부의 전면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회동부재는, 일측에 상기 버튼부재가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차단부재가 연결되는 한 쌍의 회동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회동프레임의 사이로 상기 코일센서부의 감지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차단부재는, 상기 코일센서부의 센서하우징 전면을 밀폐하도록, 상기 센서하우징의 전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차단부재는, 상기 센서하우징에 결합되는 선단부가 만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만곡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설치축에서 상기 차단부재의 선단부까지의 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차단부재는 상기 센서하우징에 결합되는 선단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는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센서차단부는, 상기 버튼부재의 하측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인가하여 상기 버튼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탄성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리프터암의 내부에 구비되고, 적어도 상기 센서하우징을 둘러싸도록 냉각매체가 충전되는 센서냉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센서냉각부는, 상기 렌즈모듈이 장착된 상기 센서하우징을 둘러싸도록 냉각매체가 저장되는 냉각하우징; 및, 상기 냉각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센서하우징이 냉각매체에 침지되도록 냉각매체가 유출입되는 오픈타입의 냉각매체 유출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온의 코일을 냉각수 등의 냉각매체로 직접 이송시켜 냉각시 발생하는 급격한 온도변화로 인한 코일센서부의 손상을 방지하여 코일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코일센서부를 냉각시켜 고온의 코일을 연속적으로 이송시에도 코일센서부의 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센서차단부가 설치되지 않은 코일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이송장치의 센서차단부의 동작 전후의 상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a 및 도 3b는 센서차단부의 동작 전후의 상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a 및 도 3b는 센서차단부의 동작 전후의 상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이송장치의 센서차단부의 동작 전후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이송장치의 센서차단부의 동작 전후의 상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이송장치의 센서차단부의 동작 전후의 상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이송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이송장치는 리프터암(100), 코일센서부, 센서차단부(40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센서냉각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일이송장치와는 달리 센서차단부(400)의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코일이송장치에 거치된 코일(C)이 냉각매체가 저정된 냉각조에 침지되면서 냉각시, 코일센서부에 온도변화가 급격하게 발생하면서 센서하우징에 장착된 렌즈모듈이 열충격에 의해 빈번하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고온의 코일(C)에 의해 가열된 렌즈모듈이 저온의 냉각매체에 침지되면서 급속하게 냉각될 경우, 렌즈모듈의 겉면과 안쪽면에 불균일 냉각에 의한 균열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 렌즈모듈이 빈번하게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고온의 코일(C)을 냉각수 등의 냉각매체로 직접 이송시켜 냉각시 발생하는 급격한 온도변화로 인한 코일센서부의 손상을 방지하고자 코일센서부의 전면에 센서차단부(400)를 설치하여 코일(C)을 안정적으로 이송하고자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각매체의 저장영역으로 코일(C)을 이동시켜 냉각시키는 코일이송장치이고, 본 발명의 코일이송장치는 리프터본체(2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터암(100)과, 코일(C)의 내경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리프터암(100)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코일센서부 및, 상기 리프터암(100)에 거치된 코일(C)의 가압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코일센서부의 감지경로(L)를 통해 유입되는 냉각매체를 차단하도록 제공되는 센서차단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냉각매체의 저장영역으로 코일(C)을 이동시켜 냉각시키는 코일이송장치이다.
일 예로, 코일(C)을 냉각시키는 냉각매체는 냉각수가 활용될 수 있고, 냉각수를 제외한 다양한 냉각매체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리프터암(100)의 코일지지부재(110)에 거치된 코일(C)의 가압에 의해 센서차단부(400)가 작동되도록 구성하여, 코일(C)의 승강시 자동적으로 코일센서부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코일센서부의 감지경로(L)를 통해 유입되는 냉각매체를 차단하도록 제공되는 센서차단부(400)에 의해, 고온의 코일(C)을 냉각수 등의 냉각매체로 직접 이송시켜 냉각시 발생하는 급격한 온도변화로 인한 코일센서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코일이송장치에는 리프터본체(20)와, 리프터본체(20) 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코일(C)을 거치하는 코일지지부재(110)가 형성된 리프터암(100) 및, 상기 리프터암(100)에 연계되어, 상기 리프터암(100)을 상기 리프터본체(20) 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재(30)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재(30)는 밸트부재를 매개로 리프터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부재를 회전시켜 리프팅암을 리프터본체(20)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대향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리프터암(100)이 리프터본체(20)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리프터암(100)은 리프터본체(2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프레임(130)과, 이동프레임(130)에서 내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코일(C)이 거치되는 코일지지부재(1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프레임(130)이 리프터본체(20)에 설치된 구동수단에 의해 리프터본체(20) 상에서 이동되면서 이동프레임(130)에서 내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코일지지부재(110)가 코일(C)의 내경부로 삽입될 수 있다.
리프터본체(20)의 상단에는 상부에 형성되는 크레인에 연결되는 크레인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크레인고정부는 리프터본체(20)의 상면의 양단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리프터본체(20)의 상측에는 구동모터 등의 구동부재(30)가 설치될 수 있으며, 구동부재(30)에 전원을 제공하는 별도의 전원장치가 함께 설치될 수 있고, 상측의 크레인에 사용되는 전원장치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도입하여 구동부재(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코일센서부는 리프터암(100)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코일(C)의 내경부를 감지하는 부재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센서부는 제1 센서부(200) 및, 제2 센서부(300)를 구비할 수 있다.
코일센서부는, 일측의 상기 리프터암(100)에 설치되고, 코일(C)의 내경부를 감지하도록 광원을 조사하는 제1 센서부(200) 및, 대향되는 타측의 상기 리프터암(100)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센서부(200)에서 조사된 광원을 수집하는 제2 센서부(30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센서부(200)와 제2 센서부(300)는 코일(C)의 내경부를 감지하는 광섬유 포토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광섬유 포토센서는 고온 다습한 환경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그리고, 제1 센서부(200) 및, 제2 센서부(300)는 각각 상기 리프터암(100)의 코일지지부재(110)에 설치되는 센서하우징과, 상기 센서하우징에 장착되는 렌즈모듈 및, 광섬유를 매개로 상기 렌즈모듈과 연계되고, 상기 리프터암(100)의 이동프레임(130) 상측영역에 설치되는 컨트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센서부는 제1 센서하우징(210)의 전면에 장착된 제1 렌즈모듈(220)의 후방에서 제1 광섬유(230)를 매개로 광원을 조사하는 제1 컨트롤러(240)를 구비하는 제1 센서부(200) 및, 상기 제1 센서부(200)에서 조사되고 코일(C)의 내경부를 통과한 광원을 제2 센서하우징(310)의 전면에 장착된 제2 렌즈모듈(320)을 통해 수광하고 제2 광섬유(330)를 매개로 광원을 수집하는 제2 컨트롤러(340)를 구비하는 제2 센서부(30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광섬유(230)와 제2 광섬유(330)는 플렉서블하여 굴곡이 가능한바, 경로가 가변되는 공간에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경우, 교차되게 배치되는 리프팅암의 이동프레임(130)과, 리프팅암의 코일지지부재(110)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어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제1 센서부(200)는 제1 센서하우징(210), 제1 렌즈모듈(220), 제1 광섬유(230), 제1 컨트롤러(24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센서부(200)는 제1 센서하우징(210)의 전면에 장착된 제1 렌즈모듈(220)의 후방에서 제1 광섬유(230)를 매개로 제1 컨트롤러(240)가 광원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컨트롤러(240)는 코일(C)의 내경부를 감지하도록 광원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컨트롤러(240)는 제1 센서하우징(210)의 전면에 장착된 제1 렌즈모듈(220)의 후방에서 제1 광섬유(230)를 매개로 광원을 조사할 수 있다.
제2 센서부(300)는 제2 센서하우징(310), 제2 렌즈모듈(320), 제2 광섬유(330), 제2 컨트롤러(34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센서부(300)는 제1 센서부(200)에서 조사되고 코일(C)의 내경부를 통과한 광원을 제2 센서하우징(310)의 전면에 장착된 제2 렌즈모듈(320)을 통해 수광하고 제2 광섬유(330)를 매개로 제2 컨트롤러(340)가 광원을 수집할 수 있다.
제2 컨트롤러(340)는 상기 제1 센서부(200)에서 조사된 광원을 수집하여 제1 렌즈모듈(220)과 제2 렌즈모듈(320)의 사이에 코일(C)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2 컨트롤러(340)는 상기 제1 센서부(200)에서 조사되고, 코일(C)의 내경부를 통과한 광원을 제2 센서하우징(310)의 전면에 장착된 제2 렌즈모듈(320)을 통해 수광하고 제2 광섬유(330)를 매개로 광원을 수집하여 제1 렌즈모듈(220)과 제2 렌즈모듈(320)의 사이에 코일(C)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센서차단부(400)는 코일센서부의 감지경로(L)가 외부와의 연통되는 것을 차단하여 코일센서부의 감지경로(L)로 유입되는 냉각매체가 유입되면서 코일센서부가 급격하게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센서차단부(400)는 상기 냉각매체에 의한 상기 코일센서부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차단하도록 코일센서부가 수밀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차단부(400)는 버튼부재(410), 회동부재(420) 및, 차단부재(430)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차단부(400)는, 상기 리프터암(100)의 코일지지부재(110) 상면으로 돌출되고, 코일(C)이 거치되면서 가압되는 버튼부재(410)와, 상기 코일지지부재(110)에 설치된 설치축(440)을 매개로 상기 버튼부재(410)의 가압에 연동되면서 회동하는 회동부재(420) 및, 상기 회동부재(420)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센서부의 전면을 차단하는 차단부재(43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버튼부재(410)의 상면은 코일(C)의 내경부와 접촉되는 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버튼부재(410)의 상면에는 코일(C)의 내경부의 손상을 방지하는 완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센서차단부(400)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3a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암(100)의 코일지지부재(110)에 코일(C)이 거치되기 전에 버튼부재(410)가 코일지지부재(110)의 상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부재(430)는 코일센서부의 전면이 개방될 수 있고, 제1 센서부(200)에서 조사된 광원은 코일(C)의 내경부를 통과하여 제2 센서부(300)를 통해 신호를 검출하고, 제1 센서부(200)와 제2 센서부(300)의 사이에 코일(C)의 내경부가 위치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센서하우징(210)의 전면에 장착된 제1 렌즈모듈(220)의 후방에서 제1 광섬유(230)를 매개로 제1 컨트롤러(240)가 조사한 광원은 코일(C)의 내경부를 통과하고, 제2 센서하우징(310)의 전면에 장착된 제2 렌즈모듈(320)을 통해 수광되고 제2 광섬유(330)를 매개로 제2 컨트롤러(340)에서 감지될 수 있다.
이때, 코일(C)이 거치되는 코일지지부재(110)가 코일(C)의 내경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임을 알 수 있고, 구동수단에 의해 리프터암(100)을 코일(C)의 내경부로 이동시켜 코일(C)의 내경부에 코일지지부재(110)를 배치한 상태에서 크레인을 리프트하여 코일(C)을 리프팅할 수 있다.
도 3b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암(100)의 코일지지부재(110)에 코일(C)이 거치될 경우, 코일지지부재(110)의 상면으로 돌출된 버튼부재(410)가 가압되면서 하강하고, 버튼부재(410)와 연계되어 설치된 회동부재(420)가 설치축(440)을 매개로 회동되면서 차단부재(430)가 상승하면서 코일센서부의 전면이 차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재(430)는 렌즈모듈이 장착된 센서하우징의 전면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420)는, 일측에 상기 버튼부재(410)가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차단부재(430)가 연결되는 한 쌍의 회동프레임(421)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회동프레임(421)의 사이로 상기 코일센서부의 감지경로(L)가 형성될 수 있다.
회동부재(420)는 설치축(4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한 쌍의 회동프레임(421)이 설정된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되면서 코일센서부의 광원의 경로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설치축(440)은 광원의 경로를 벗어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420)는, 차단부재(430)에서 상기 설치축(440)까지의 제1 회동구간(420-1)의 길이가, 상기 버튼부재(410)에서 설치축(440)까지의 제2 회동구간(420-2)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회동부재(420)는 제1 회동구간(420-1)의 길이가, 제2 회동구간(420-2)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차단부재(430)의 자중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버튼부재(410)를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회동부재(420)는 제1 회동구간(420-1)의 길이가, 제2 회동구간(420-2)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설치축(440)은 광원의 이동경로인 감지경로(L)를 벗어난 영역인 감지경로(L)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a, 도 3b,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재(430)는, 상기 코일센서부의 센서하우징 전면을 밀폐하도록, 상기 센서하우징의 전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차단부재(430)는 센서하우징의 전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센서하우징의 전면에 밀착되면서 센서하우징을 밀폐할 수 있다.
이때, 차단부재(430)와 센서하우징 중 어느 일측의 밀착면에는 실링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재(430)는, 상기 센서하우징에 결합되는 선단부가 만곡면(43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차단부재(430)의 만곡면(431)의 곡률반경은 상기 설치축(440)에서 상기 차단부재(430)의 선단부까지의 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차단부재(430)는 코일지지부재(110)의 내부와 센서하우징의 전면에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레일(G)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레일(G)은 차단부재(430)의 만곡면(431)과 대응되는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단부재(430)가 가이드레일(G)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하면서 렌즈모듈이 장착된 센서하우징의 전면을 차단하면서 렌드모듈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재(430)는 상기 센서하우징에 결합되는 선단부가 경사면(433)을 형성하고, 상기 차단부재(430)와 상기 회동부재(420)는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차단부재(430)는 센서하우징에 결합되는 선단부가 경사면(433)을 형성될 수 있고, 센서하우징에는 차단부재(430)의 경사면(433)에 대응되는 경사면(43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재(430)와 센서하우징의 경사면(433)이 밀착되면서 렌즈모듈이 장착된 센서하우징의 전면을 차단하면서 렌드모듈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차단부재(430)와 회동부재(420)는 힌지 결합되면서 차단부재(430)의 경사면(433)이 회전되면서 센서하우징의 경사면(433)과 보다 정확하게 밀착될 수 있다.
도 3a, 도 3b,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차단부(400)는, 상기 버튼부재(410)의 하측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인가하여 상기 버튼부재(4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탄성재(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암(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적어도 상기 센서하우징을 둘러싸도록 냉각매체가 충전되는 센서냉각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냉각부(500)는, 상기 렌즈모듈이 장착된 상기 센서하우징을 둘러싸도록 냉각매체가 저장되는 냉각하우징(510) 및, 상기 냉각하우징(510)의 상측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센서하우징이 냉각매체에 침지되도록 냉각매체가 유출입되는 오픈타입의 냉각매체 유출입구(520)를 구비할 수 있다.
냉각하우징(510)의 내부에 상기 센서하우징이 수용되고, 적어도 상기 센서하우징을 둘러싸도록 냉각매체가 저장될 수 있다.
냉각하우징(510)은 렌즈모듈이 설치된 영역이 냉각매체에 침지되도록 렌즈모듈이 장착된 센서하우징보다 높은 수위를 형성하도록 냉각매체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하우징(510)은 리프터암(100)의 코일지지부재(110)와, 이동프레임(130)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고, 냉각매체 유출입구(520)는 이동프레임(130)에 설치될 수 있다.
코일이송장치의 리프터암(100)에 코일(C)이 거치된 상태에서 코일(C)의 냉각을 위해 냉각매체가 저장된 냉각조에 리프팅된 코일(C)을 침지시킬 경우, 냉각조에 저장된 냉각매체가 냉각하우징(510)의 상측의 냉각매체 유출입구(520)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물론, 작업자가 사전에 냉각하우징(510)에 냉각매체를 주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냉각하우징(510)의 하측 후단에는 드레인밸브(530)가 형성되어, 코일(C)의 이송과정에서 승온된 냉각매체를 배출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냉각하우징(510)의 상측에는 광섬유가 관통하는 설치홀(540)이 형성되고, 설치홀(540)을 관통한 광섬유는 냉각하우징(510)에 저장된 냉각매체를 경유하여 렌즈모듈에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20: 리프터본체 30: 구동부재
100: 리프터암 110: 코일지지부재
130: 이동프레임 200: 제1 센서부
210: 제1 센서하우징 220: 제1 렌즈모듈
230: 제1 광섬유 240: 제1 컨트롤러
300: 제2 센서부 310: 제2 센서하우징
320: 제2 렌즈모듈 330: 제2 광섬유
340: 제2 컨트롤러 400: 센서차단부
410: 버튼부재 420: 회동부재
420-1: 제1 회동구간 420-2: 제2 회동구간
421: 회동프레임 430: 차단부재
431: 만곡면 433: 경사면
440: 설치축 450: 복귀탄성재
500: 센서냉각부 510: 냉각하우징
520: 유출입구 530: 드레인밸브
540: 설치홀 C: 코일
L: 감지경로 G: 가이드레일

Claims (10)

  1. 냉각매체의 저장영역으로 코일을 이동시켜 냉각시키는 코일이송장치이고,
    리프터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터암;
    코일의 내경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리프터암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코일센서부; 및,
    상기 리프터암에 거치된 코일의 가압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코일센서부의 감지경로를 통해 유입되는 냉각매체를 차단하도록 제공되는 센서차단부;를 포함하는 코일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센서부는,
    일측의 상기 리프터암에 설치되고, 코일의 내경부를 감지하도록 광원을 조사하는 제1 센서부; 및,
    대향되는 타측의 상기 리프터암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센서부에서 조사된 광원을 수집하는 제2 센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리프터암의 코일지지부재에 설치되는 센서하우징;
    상기 센서하우징에 장착되는 렌즈모듈; 및,
    광섬유를 매개로 상기 렌즈모듈과 연계되고, 상기 리프터암의 이동프레임 상측영역에 설치되는 컨트롤러;를 각각 구비하는 코일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차단부는,
    상기 리프터암의 코일지지부재 상면으로 돌출되고, 코일이 거치되면서 가압되는 버튼부재;
    상기 코일지지부재에 설치된 설치축을 매개로 상기 버튼부재의 가압에 연동되면서 회동하는 회동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센서부의 전면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코일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일측에 상기 버튼부재가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차단부재가 연결되는 한 쌍의 회동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회동프레임의 사이로 상기 코일센서부의 감지경로가 형성되는 코일이송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코일센서부의 센서하우징 전면을 밀폐하도록, 상기 센서하우징의 전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코일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센서하우징에 결합되는 선단부가 만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만곡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설치축에서 상기 차단부재의 선단부까지의 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이송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센서하우징에 결합되는 선단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는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이송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차단부는,
    상기 버튼부재의 하측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인가하여 상기 버튼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탄성재;를 더 포함하는 코일이송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암의 내부에 구비되고, 적어도 상기 센서하우징을 둘러싸도록 냉각매체가 충전되는 센서냉각부;를 더 포함하는 코일이송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냉각부는,
    상기 렌즈모듈이 장착된 상기 센서하우징을 둘러싸도록 냉각매체가 저장되는 냉각하우징; 및,
    상기 냉각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센서하우징이 냉각매체에 침지되도록 냉각매체가 유출입되는 오픈타입의 냉각매체 유출입구;를 구비하는 코일이송장치.
KR1020160163782A 2016-12-02 2016-12-02 코일이송장치 KR101867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782A KR101867707B1 (ko) 2016-12-02 2016-12-02 코일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782A KR101867707B1 (ko) 2016-12-02 2016-12-02 코일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953A KR20180063953A (ko) 2018-06-14
KR101867707B1 true KR101867707B1 (ko) 2018-06-15

Family

ID=62628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782A KR101867707B1 (ko) 2016-12-02 2016-12-02 코일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7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6150A (ja) * 1994-03-31 1995-10-17 Shinwa Package Kk 鋼板コイルの梱包における内径リング装着方法及び装置
JP2000247569A (ja) * 1999-03-01 2000-09-12 Nkk Corp 金属帯コイル運搬用リフタ−
KR20130120892A (ko) * 2012-04-26 2013-11-05 현대제철 주식회사 온도센서 보호장치
KR20150103408A (ko) * 2014-03-03 2015-09-11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리프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6150A (ja) * 1994-03-31 1995-10-17 Shinwa Package Kk 鋼板コイルの梱包における内径リング装着方法及び装置
JP2000247569A (ja) * 1999-03-01 2000-09-12 Nkk Corp 金属帯コイル運搬用リフタ−
KR20130120892A (ko) * 2012-04-26 2013-11-05 현대제철 주식회사 온도센서 보호장치
KR20150103408A (ko) * 2014-03-03 2015-09-11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리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953A (ko)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388B1 (ko) 실린더 이동용 카트
CA2853337C (en) Scissor-type lifting table
KR101584337B1 (ko)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
KR101871246B1 (ko) 강판 표면처리장치
US2947516A (en) Slack puller
KR101867707B1 (ko) 코일이송장치
RU2426683C1 (ru) Подъемный крюк
NL7906942A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behandelen van onge- vulcaniseerde banden.
KR102197322B1 (ko) 호이스트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
KR102139633B1 (ko)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KR20160086573A (ko) 크레인
JP2008007299A (ja) スラブ反転装置
KR20190014673A (ko) 주행 로봇
KR101599215B1 (ko) 무충격 슬래브통 시스템 및 운반방법
JP4226678B2 (ja) パレットクランプ装置
JP2005272107A (ja) 物品搬送装置
KR20230031018A (ko) 운반 장치
KR102088447B1 (ko) 개폐장치
JP4396494B2 (ja) 物品移載装置及び物品移載方法
KR20040090214A (ko) 스트립 그라인더의 롤 크리닝 장치
JP7101129B2 (ja) 移動体用装着装置および圧力容器検査システム
JP2009179405A (ja) 板状体の反転装置及び板状体の反転設備
JPH06286603A (ja) 搬送装置における搬送物保持装置
KR101115839B1 (ko) 소둔라인용 통판장치
JP2005263358A (ja) 物品移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