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3408A - 코일 리프터 - Google Patents

코일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3408A
KR20150103408A KR1020140024834A KR20140024834A KR20150103408A KR 20150103408 A KR20150103408 A KR 20150103408A KR 1020140024834 A KR1020140024834 A KR 1020140024834A KR 20140024834 A KR20140024834 A KR 20140024834A KR 20150103408 A KR20150103408 A KR 20150103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lifter
sensor housing
lifter arm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1259B1 (ko
Inventor
진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024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259B1/ko
Publication of KR20150103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3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28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코일 리프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 리프터는 크레인과 연결되는 리프터 바디와, 코일을 집을 수 있도록 리프터 바디에서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터 암과, 코일의 측면과 접촉하거나 이격되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리프터 암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센서하우징 및 센서하우징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동하도록 리프터 암의 내측에 설치된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센서하우징은 리프터 암의 종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며 각각 탄성부재에 탄력 지지된 복수의 누름부재와, 복수의 누름부재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복수의 누름부재의 이동을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일 리프터{COIL LIFTER}
본 발명은 압연공정에서 코일을 크레인을 이용하여 들어 올리는데 사용하는 코일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공정을 거쳐 제작된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갖는 스트립은 권취되어 코일의 형태로 적재 보관되며, 이러한 코일의 이동은 이동대차나 코일 리프터를 구비한 천정 크레인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즉 천정 크레인은 주행 레일의 상부를 거더가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거더의 상부에 배치된 로프 드럼에 감긴 로프의 단부에는 후크가 연결되고, 후크에는 코일을 집을 수 있도록 코일 리프터가 결합된다.
이러한 코일 리프터는 모터 구동에 의하여 이동하는 한 쌍의 리프트 암이 양측으로 왕복 운동함에 의해 코일의 내경부를 집을 수 있도록 마련되어 코일의 이동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압연 공정에서 스트립을 코일 형태로 권취할 때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코일의 내·외경부에 에지부가 돌출되어 나오는 텔레스코프(telescope)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코일을 리프터 암을 이용하여 집고자 할 때 코일의 측면 돌출부 즉 텔레스코프가 발생한 부분과 리프터 암의 충돌에 의해 스트립의 가장자리 부분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코일의 가장자리 부분에 러버 플레이트를 부착하거나, 에지 프로텍터(edge protector)를 리프터 암에 설치하여 코일 이송 작업을 하였지만, 코일 이송 작업시 크레인 와이어에 의한 크레인의 상·하 및 측면 동작에 의해 리프터 암이 코일 가장자리 부분의 텔레스코프와 지속적으로 접촉되어 코일 가장자리 부분의 파손을 막을 수는 없었다.
또한, 레이저 거리계를 이용하여 코일 가장자리 부분의 텔레스코프와 리프터 암과의 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코일 가장자리 부분의 파손을 방지하고자 하는 기술이 있으나, 코일의 측면 돌출부의 형상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거리 측정의 오류로 인하여 코일 가장자리 부분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코일 가장자리 부분의 파손에 따른 스크랩이 증가되어 원가 손실이 발생하고, 가장자리 부분이 파손된 코일이 라인 공정을 통과함으로써 각종 롤에 손상을 입혀 롤 교환 주기가 증가하게 되며, 심지어는 작업라인이 중단됨으로써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5252호에는 코일 리프터의 코일 에지부 파손 방지장치가 개시되었다.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95252호(2009.09.09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리프터 암을 이용하여 코일을 집는 경우 코일 형상의 불량을 미리 감지할 수 있는 코일 리프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의 종사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크레인과 연결되는 리프터 바디와, 코일을 집을 수 있도록 상기 리프터 바디에서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터 암과, 상기 코일의 측면과 접촉하거나 이격되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리프터 암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센서하우징 및 상기 센서하우징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동하도록 상기 리프터 암의 내측에 설치된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하우징은 상기 리프터 암의 종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며 각각 탄성부재에 탄력 지지된 복수의 누름부재와, 상기 복수의 누름부재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누름부재의 이동을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코일 리프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감지센서의 신호를 기초로 경보음을 발생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리프터 암에는 상기 센서하우징을 수용하도록 상기 센서하우징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 관통홀이 마련되고, 상기 관통홀을 형성하는 측벽에는 상기 센서하우징의 원활한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누름부재는 각각 상기 탄성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센서하우징에 일부가 돌출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누름봉과, 상기 누름봉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과 접촉하는 롤러와, 상기 누름봉의 타단에 설치되어 대응하는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마이크로 스위치(limit switch), 리드 스위치(reed switch), 마그네틱 센서 및 포토 커플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는 일단이 상기 센서하우징의 일측과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진퇴하는 로드를 구비한 전기식, 전자식, 유압식 및 공압식 실린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리프터 암이 상기 코일의 측면을 향해 이동시 상기 복수의 누름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리프터 암이 상기 코일을 집어 들어올릴 때는 상기 센서하우징이 이동함에 의해 상기 복수의 누름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람부는 상기 리프터 암에서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의 신호만이 감지되면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누름봉이 상기 센서하우징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누름봉의 후단쪽 외면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 형성되는 제한돌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리프터 암이 코일을 집을 때 코일의 형상불량을 작업자가 미리 인지할 수 있어 작업 안정성이 월등히 향상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 리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 리프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하우징이 리프터 암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프터 암에 센서하우징이 초기 위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프터 암에 센서하우징이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 리프터의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 리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 리프터(20)는 도시하지 않은 천정의 거더에 배치된 로프 드럼에 감긴 로프(10)의 단부에 마련된 크레인의 후크(11)와 연결되는 리프터 바디(30)와, 코일(15)을 집도록 리프터 바디(30)에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 한 쌍의 리프터 암(40)을 포함한다.
리프터 바디(30)의 상측에는 크레인 후크(11)가 걸려 지지되는 축을 가지는 걸이부(31)가 마련될 수 있고, 리프터 바디(30)의 하측으로는 한 쌍의 리프터 암(40)이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리프터 바디(3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리프터 암(40)은 리프터 바디(30)에 설치된 구동모터(33)의 동력을 전달받아 도시하지 않은 랙과 피니언 등으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리프터 바디(30)에서 서로 가까워지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 이동 가능하게 리프터 바디(3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리프터 암(40)은 코일(15)을 집을 수 있도록 리프터 바디(30)를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한 쌍의 리프터 암(40)이 코일(15)을 집을 수 있도록 이동시키는 구성이라면 리프터 바디(30)의 구조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리프터 바디(30)는 한 쌍의 리프터 암(40)을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링크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리프터 암(40)의 각 하단에는 수직 방향으로 내향 절곡된 코일지지부(41)가 마련되고, 코일지지부(41)는 한 쌍의 리프터 암(40)이 코일(15)을 집도록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코일(15)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 내경부(16)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 리프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하우징이 리프터 암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프터 암에 센서하우징이 초기 위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프터 암에 센서하우징이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코일(15)의 측면(17)과 마주하는 한 쌍의 리프터 암(40)에는 코일(15)의 측면(17) 형상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누름부재(50)와 복수의 감지센서(60)가 설치된 센서하우징(70)이 설치될 수 있다.
센서하우징(70)은 한 쌍의 리프터 암(40)의 내측에 관통 형성되어 개구된 관통홀(43)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관통홀(43)은 센서하우징(70)의 외관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관통홀(43)을 형성하는 양 측벽(44)에는 센서하우징(70)의 원활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부(45)가 형성될 수 있다.
레일부(45)는 관통홀(43)의 상부 및 하부에서 측벽(44)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슬롯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경우 센서하우징(70)의 외면에는 관통홀(43)에 형성된 슬롯과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되는 리브 형태의 레일(45a)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하우징(7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부(45)는 일 예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레일부(45)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관통홀(43)의 상면에는 센서하우징(70)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80)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장치(80)는 끝 부분이 센서하우징(70)의 상측과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진퇴 이동하는 로드(82)를 구비한 전기식, 전자식, 유압식 및 공압식 실린더(81)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린더(81)는 관통홀(43)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브래킷 (83)에 결합되어 리프터 암(4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누름부재(50)는 코일(15)의 측면(17)과 마주하는 센서하우징(70)의 전면프레임(71)에서 일부가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며 리프터 암(40)의 종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누름부재(50)는 각각 탄성부재(51)에 탄력 지지되어 센서하우징(70)의 전면프레임(7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누름봉(52)과, 센서하우징(70)의 전면프레임(71)에서 돌출된 누름봉(52)의 선단에 설치되어 코일(15)의 측면(17)과 접촉하는 롤러(53)와, 센서하우징(70)의 내측에 위치하는 누름봉(52)의 후단에 설치되어 대응하는 감지센서(60)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부(54)를 포함한다.
누름봉(52)은 봉 또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후단 일부가 전면프레임(71)에 형성된 홀(72)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탄성부재(51)는 누름봉(52)의 선단에 설치된 롤러(53)가 마주하는 코일(15)의 측면(17)을 향하는 방향으로 누름봉(52)을 탄력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탄성부재(51)의 양단은 각각 전면프레임(71)과 누름봉(52)의 외면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 형성되는 스프링지지부(55)에 지지될 수 있다.
탄성부재(51)에 의해 탄력 지지된 누름봉(52)의 후단쪽 외면에는 누름봉(52)이 전면프레임(71)에서 벗어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그 외면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 형성된 제한돌기(57)가 마련될 수 있고, 제한돌기(57)는 탄성부재(51)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봉(52)이 전진하는 경우 전면프레임(71)에 접촉됨에 따라 누름봉(52)이 전면프레임(71)에서 돌출되는 길이를 제한하게 된다.
누름봉(52)의 후단에 마련된 센싱부(54)는 리프터 암(40)이 코일(15) 쪽으로 이동하여 누름봉(52)이 코일(15)의 측면(17)과 접촉하여 눌러짐에 의해 이동하는 누름봉(52)의 이동 상태를 감지센서(60)가 감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러한 복수의 감지센서(60)는 센서하우징(70)의 후면프레임(73)에서 센서하우징(70)의 전면프레임(71)에 마련된 복수의 누름부재(50)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감지센서(60)는 각각 대응하는 누름부재(50)의 센싱부(54)를 감지하도록 마련되고, 감지된 신호는 케이블을 통하여 제어부(90)에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감지센서(60)는 센싱부(54)가 접촉함에 의해 스위치 내부의 접점이 온/오프 되어 대응하는 누름부재(50)의 접촉상태를 판단하는 마이크로 스위치(limit switch) 또는 리드스위치(reed switch)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감지센서(60)는 센싱부(54)의 위치를 감지하는 마그네틱 센서 또는 포터 커플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감지센서(60)가 마그네틱 센서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센싱부(54)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짐에 의해 감지센서(60)는 누름부재(5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센서(60)가 포터 커플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센싱부(54)는 포터 커플러에서 발산된 신호를 반사시키는 태그로 이루어짐에 의해 감지센서(60)는 누름부재(5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센서(60)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90)로 전달되게 되고, 제어부(90)는 전송된 신호를 기초로 누름부재(50)의 위치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90)는 코일 리프터(20)의 전반적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명령을 수행하는 CPU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의 감지센서(6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기초로 경보음 발생조건을 판단한 후 알람부(95)를 제어하여 경보음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알람부(95)는 제어부(90)의 제어신호에 의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제어부(90)의 제어신호에 의해 경보음을 증폭 또는 감소시키는 음량조절부와, 음량조절부에 의해 조절된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90)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코일 리프터(2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실행 프로그램, 알고리즘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알람부(95)의 경보음 발생을 제어하기 위한 기준값이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코일 리프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리프터(20)를 이용하여 코일(15)을 이송하는 경우 해당 코일(15)의 상부 위치에 코일 리프터(20)가 이동한 후 로프(10)의 작동에 의하여 코일 리프터(20)는 아래쪽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때 코일 리프터(20)의 한 쌍의 리프터 암(40)에 설치된 센서하우징(70)에서 돌출된 복수의 누름부재(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81)의 로드(82)가 수축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관통홀(43)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 위치된다. 이는 리프터 암(40)이 이동하는 경우 주변 간섭물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한 쌍의 리프터 암(40)이 각각 코일(15)의 측면(17)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후에는 실린더(81)의 로드(8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됨에 따라 한 쌍의 리프터 암(40)에 각각 설치된 센서하우징(70)은 대응하는 코일(15)의 측면(17)을 향해 전진하여 센서하우징(70)에 설치된 복수의 누름부재(50)의 일부는 관통홀(43)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 놓여지게 된다.
그 다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리프터 암(40)이 코일(15)을 집도록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한 쌍의 리프터 암(40)의 코일지지부(41)는 코일(15)의 내경부(16)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코일(15)의 측면(17)과 마주하는 복수의 누름부재(50)는 코일(15)의 측면(17)과 접촉함에 의해 눌러지게 되고, 이동하는 복수의 누름부재(50)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감지센서(60)는 각각 대응하는 누름부재(50)의 이동을 감지하게 된다. 일 예로 복수의 감지센서(60)가 마이크로 스위치로 이루어진 경우 누름부재(50)의 센싱부(54)가 감지센서(60)에 접촉함에 의해 감지센서(60)는 누름부재(50)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90)로 전송한다.
제어부(90)는 한 쌍의 리프터 암(40)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감지센서(6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기초로 한 쌍의 리프터 암(40)에서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감지센서(60) 중 어느 하나의 신호만이 감지된 경우에는 알람부(95)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하게 된다. 이는 코일(15)의 측면(17)에 형상불량이 발생함을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90)는 이와 같은 경우 코일 리프터(20)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어부(90)가 복수의 감지센서(60)에 의해 전송된 신호를 기초로 코일(15)의 측면(17) 형상이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실린더(81)의 로드(82)를 다시 수축시킴에 의하여 센서하우징(70)을 다시 원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 경우 센서하우징(70)에 설치된 복수의 누름부재(50)는 관통홀(43)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리프터 바디(30)가 크레인의 작동으로 상승하면 코일(15)은 한 쌍의 리프터 암(40)에 지지된 상태로 코일(15)의 이동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코일 리프터(20)는 형상불량을 가지는 코일(15)의 이동을 수행하지 않음에 따라 코일 리프터(20)에 의한 이동 시 코일(15)의 가장자리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리프터 암(40)에 의한 코일(15)의 이동시 불완전한 상태로 들어 올려짐에 따른 코일(15)의 낙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5: 코일, 20: 코일 리프터,
30: 리프터 바디, 40: 리프터 암,
43: 관통홀, 45: 레일부,
50: 누름부재, 51: 탄성부재,
52: 누름봉, 53: 롤러,
54: 센싱부, 56: 제한돌기,
60: 감지센서, 70: 센서하우징,
80: 구동장치, 81: 실린더,
90: 제어부, 95: 알람부.

Claims (9)

  1. 크레인과 연결되는 리프터 바디;
    코일을 집을 수 있도록 상기 리프터 바디에서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터 암;
    상기 코일의 측면과 접촉하거나 이격되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리프터 암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센서하우징; 및
    상기 센서하우징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동하도록 상기 리프터 암의 내측에 설치된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하우징은 상기 리프터 암의 종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며 각각 탄성부재에 탄력 지지된 복수의 누름부재와, 상기 복수의 누름부재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누름부재의 이동을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코일 리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센서의 신호를 기초로 경보음을 발생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코일 리프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 암에는 상기 센서하우징을 수용하도록 상기 센서하우징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 관통홀이 마련되고,
    상기 관통홀을 형성하는 측벽에는 상기 센서하우징의 원활한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부가 형성되는 코일 리프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누름부재는 각각 상기 탄성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센서하우징에 일부가 돌출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누름봉과, 상기 누름봉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과 접촉하는 롤러와, 상기 누름봉의 타단에 설치되어 대응하는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코일 리프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마이크로 스위치(limit switch), 리드 스위치(reed switch), 마그네틱 센서 및 포토 커플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코일 리프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일단이 상기 센서하우징의 일측과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진퇴하는 로드를 구비한 전기식, 전자식, 유압식 및 공압식 실린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일 리프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 암이 상기 코일의 측면을 향해 이동시 상기 복수의 누름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리프터 암이 상기 코일을 집어 들어올릴 때는 상기 센서하우징이 이동함에 의해 상기 복수의 누름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코일 리프터.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리프터 암에서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의 신호만이 감지되면 경고음을 발생하는 코일 리프터.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누름봉이 상기 센서하우징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누름봉의 후단쪽 외면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 형성되는 제한돌기를 더 포함하는 코일 리프터.
KR1020140024834A 2014-03-03 2014-03-03 코일 리프터 KR101591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834A KR101591259B1 (ko) 2014-03-03 2014-03-03 코일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834A KR101591259B1 (ko) 2014-03-03 2014-03-03 코일 리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408A true KR20150103408A (ko) 2015-09-11
KR101591259B1 KR101591259B1 (ko) 2016-02-03

Family

ID=54243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834A KR101591259B1 (ko) 2014-03-03 2014-03-03 코일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2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4790A (zh) * 2017-08-16 2017-11-21 苏州市永通不锈钢有限公司 一种钢管起吊装置
KR20180063953A (ko) * 2016-12-02 2018-06-14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이송장치
CN110203807A (zh) * 2019-03-24 2019-09-06 湖北中一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铜箔以及可变宽度的铜箔转移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098B1 (ko) * 2001-07-16 2007-06-13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리프트의 코일 편 겹침 교정장치
KR20090095252A (ko) 2008-03-05 2009-09-09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리프터의 코일 에지부 파손 방지장치
KR100950390B1 (ko) * 2003-04-04 2010-03-29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리프트의 코일 편 겹침 교정장치
JP2010254420A (ja) * 2009-04-24 2010-11-11 Jfe Steel Corp コイルリフタ
KR101366176B1 (ko) * 2012-12-17 2014-02-25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코일 권취 불량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098B1 (ko) * 2001-07-16 2007-06-13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리프트의 코일 편 겹침 교정장치
KR100950390B1 (ko) * 2003-04-04 2010-03-29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리프트의 코일 편 겹침 교정장치
KR20090095252A (ko) 2008-03-05 2009-09-09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리프터의 코일 에지부 파손 방지장치
JP2010254420A (ja) * 2009-04-24 2010-11-11 Jfe Steel Corp コイルリフタ
KR101366176B1 (ko) * 2012-12-17 2014-02-25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코일 권취 불량 감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953A (ko) * 2016-12-02 2018-06-14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이송장치
KR101867707B1 (ko) * 2016-12-02 2018-06-15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이송장치
CN107364790A (zh) * 2017-08-16 2017-11-21 苏州市永通不锈钢有限公司 一种钢管起吊装置
CN110203807A (zh) * 2019-03-24 2019-09-06 湖北中一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铜箔以及可变宽度的铜箔转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259B1 (ko)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259B1 (ko) 코일 리프터
CN104044141B (zh) 机器人系统及机器人系统的控制方法
KR101406281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무대장치용 구동기기
CN105452148A (zh) 用于起重机的长度角度传感器的智能的电机制动器
IT201900005728A1 (it) Apparato smontagomme
JP2012086968A (ja) コイルリフタ
KR101353664B1 (ko) 와이어 점검장치
JP6812184B2 (ja) プレスブレーキ及びワーク有無判定方法
ITMI20082341A1 (it) Carrello per un impianto di trasporto a fune, impianto di trasporto a fune comprendente tale carrello e metodo di controllo di tale impianto di trasporto a fune
JP2008032540A (ja) 表面形状測定装置及び触針荷重の異常検出方法
KR101598995B1 (ko) 와이어 위치 감지장치
KR102347935B1 (ko) 전기로 바닥 침식 측정장치
TWI598244B (zh) 印刷機
KR101245706B1 (ko) 코일 리프터용 코일 보호장치
KR102139174B1 (ko) 선재 진행 감지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재 제조설비
KR101366176B1 (ko) 강판코일 권취 불량 감지장치
KR101246225B1 (ko) 무인대차용 위치 측정장치
JP2000309486A (ja) コイル搬送用リフタ
CN217201600U (zh) 一种线盘库吊装用智能化吊具
CN213151723U (zh) 非接触式配电装置及搬运设备
KR20150047270A (ko) 적재물 이송장치
CN210586802U (zh) 一种自动托料装置
CN101628785B (zh) 一种篮具车定位机
US11544483B2 (en) Detection system, transport system, detection method, and detection program
CN214556323U (zh) 拉丝机防护罩安全锁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