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270A - 적재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적재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7270A
KR20150047270A KR1020130127149A KR20130127149A KR20150047270A KR 20150047270 A KR20150047270 A KR 20150047270A KR 1020130127149 A KR1020130127149 A KR 1020130127149A KR 20130127149 A KR20130127149 A KR 20130127149A KR 20150047270 A KR20150047270 A KR 20150047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ensing
sliding member
lift
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9040B1 (ko
Inventor
송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27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040B1/ko
Publication of KR20150047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28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이송장치는 한쌍의 래그가 구비되어 적재물을 운반하는 코일 리프트, 코일 리프트의 일측에 구비되는 슬라이딩부재 및 슬라이딩부재와 적재물의 접촉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이처럼 코일 리프트에 코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 구비됨으로써, 코일의 품질을 높일 수 있고 코일 리프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에 사용하던 코일 리프트에 코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교체비용이 감소하고 작업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재물 이송장치{LOAD TRANSP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적재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코일 및 코일 리프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적재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연속 주조공정을 통해 생산되는 슬래브, 블룸 및 빌렛 등은 압연공정에서 압력롤러 사이로 진입되면서, 얇은 판의 형상으로 제조된 후 권취됨으로써 코일 형태로 제공된다.
또한, 코일을 이송 및 적재하기 위해, 제철소의 각 공정에는 천장크레인이 설치되어 있고, 천장크레인에는 코일을 권상 및 권하시키기 위한 코일 리프트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코일 리프트는 한 쌍의 래그를 구비하고, 래그는 코일의 내경부를 권취함으로써 코일을 이송 및 적재한다.
그러나 코일을 지지하기 위해 코일 리프트를 권하시키는 과정에서 래그와 코일이 충돌하여 코일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코일의 손상으로 인해, 코일이 출하되지 못하는 손실을 초래할뿐만 아니라 이를 교정하여 다시 생산라인에 투입시키거나 손상이 심할경우에는 완전히 불량처리하여 고철화해야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코일과 충돌하는 코일 리프트에도 손상이 발생함으로써, 코일 리프트의 수명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코일 및 코일 리프트의 손상을 방지하는 적재물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쌍의 래그가 구비되어 적재물을 운반하는 리프트; 상기 래그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물과 접촉 시 승강하는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승강을 센싱하는 감지부; 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끝단은 상기 래그의 끝단보다 돌출된 적재물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래그의 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지지하는 가이드부재; 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삽입되어 승하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끝단에는 상기 래그의 끝단면을 커버하는 접촉판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래그에 장착되는 제1감지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장착된 제2감지부재의 접촉 시 외부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그의 끝단면과 상기 접촉판간의 높이는 상기 제1감지부재와 제2감지부재간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리프트를 승강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판의 접촉면에는 탄성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 리프트에 코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 구비됨으로써, 코일의 품질을 높일 수 있고 코일 리프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에 사용하던 코일 리프트에 코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교체비용이 감소하고 작업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이송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이송장치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이송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이송장치는 가이드부재(100), 슬라이딩부재(200), 감지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철소의 각 공정에는 천장크레인(10)이 설치되어 있고, 천장크레인(10)에는 코일(30)을 이송 및 적재하기 위한 코일 리프트(2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코일 리프트(20)는 한쌍의 래그(21)를 구비하고, 이러한 래그(21)는 코일(30)의 내경부를 권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부재(100)는 전술한 래그(21)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재(100)는 래그(21)의 외측면에 복수 개로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슬라이딩부재(200)를 삽입 및 지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200)는 가이드부재(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부재(200)는 가이드부재(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승하강될 수 있고, 일측에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200)에는 래그(21)의 끝단면을 커버하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접촉판(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부재(200)의 끝단 영역은 래그(21)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됨으로써, 래그(21)와 코일(30)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슬라이딩부재(200)의 끝단은 래그(21)의 끝단보다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재(200)는 탄성부재(220) 및 제2감지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20)는 슬라이딩부재(200)의 일단에 구비되어 코일(30)과의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한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200)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접촉판(210)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접촉판(210)의 접촉면에는 탄성부재(220)를 부착될 수 있다. 이처럼, 탄성부재(220)가 슬라이딩부재(200)의 일단에 구비됨에 따라, 코일 리프트(20)와 코일(30)의 충돌로 인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코일(30)의 품질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일 리프트(20)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탄성부재(220)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감지부재(320)는 슬라이딩부재(200)의 일면에 장착되고, 슬라이딩부재(200)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제2감지부재(320)는 후술할 제1감지부재(310)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1감지부재(310)와 제2감지부재(320)의 접촉 시 감지부(300)는 외부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감지부재(310)는 래그(21) 또는 가이드부재(100)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슬라이딩부재(200)가 소정위치까지 승강하여 제2감지부재(320)와 접촉하면, 감지부(300)는 외부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접촉판(210)과 래그(21)의 끝단면간의 높이는 제1감지부재(310)와 제2감지부재(320)간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감지부(300)는 래그(21) 또는 가이드부재(100)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제1감지부재(310)와 슬라이딩부재(200)의 일면에 장착되는 제2감지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코일(30)과의 접촉에 의해 슬라이딩부재(200)가 가이드부재(100)에 삽입된 채로 승강됨으로써, 제1감지부재(310)와 제2감지부재(320)가 접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감지부(300)는 후술할 제어부(400)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감지부(3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코일 리프트(2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감지부재(310)와 제2감지부재(320)의 접촉에 의해 감지부(300)가 신호를 출력하면, 제어부(400)는 구동부(500)의 모터를 제어하여 코일 리프트(20)를 승강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이처럼, 코일 리프트(20)를 코일(30)과 접촉할 때 승강시킴으로써, 코일(30) 및 코일 리프트(20)의 지속적인 충돌 및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 리프트(20)에 코일(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 추가됨에 따라, 코일(30)의 품질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일 리프트(2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이송장치는 종래에 사용하던 코일 리프트(20)를 별도로 개조할 필요없이 용이하게 구비할 수 있으므로, 교체비용이 감소하고 작업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천장크레인 20: 리프트
21: 래그 30: 코일
100: 가이드부재 200: 슬라이딩부재
210: 접촉판 220: 탄성부재
300: 감지부 310: 제1감지부재
320: 제2감지부재 400: 제어부
500: 구동부

Claims (7)

  1. 한쌍의 래그가 구비되어 적재물을 운반하는 리프트;
    상기 래그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물과 접촉 시 승강하는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승강을 센싱하는 감지부; 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끝단은 상기 래그의 끝단보다 돌출된 적재물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그의 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지지하는 가이드부재; 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삽입되어 승하강되는 적재물 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끝단에는 상기 래그의 끝단면을 커버하는 접촉판이 형성된 적재물 이송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래그에 장착되는 제1감지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장착된 제2감지부재의 접촉 시 외부에 신호를 출력하는 적재물 이송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래그의 끝단면과 상기 접촉판간의 높이는 상기 제1감지부재와 제2감지부재간의 높이보다 큰 적재물 이송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리프트를 승강시키도록 제어하는 적재물 이송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판의 접촉면에는 탄성부재가 더 형성된 적재물 이송장치.
KR1020130127149A 2013-10-24 2013-10-24 적재물 이송장치 KR101559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149A KR101559040B1 (ko) 2013-10-24 2013-10-24 적재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149A KR101559040B1 (ko) 2013-10-24 2013-10-24 적재물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270A true KR20150047270A (ko) 2015-05-04
KR101559040B1 KR101559040B1 (ko) 2015-10-08

Family

ID=53386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149A KR101559040B1 (ko) 2013-10-24 2013-10-24 적재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0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3929A (zh) * 2018-10-12 2019-02-19 徐州华奥纺织有限公司 一种单晶炉导流筒的吊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569B1 (ko) * 2002-12-05 2009-10-08 주식회사 포스코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3929A (zh) * 2018-10-12 2019-02-19 徐州华奥纺织有限公司 一种单晶炉导流筒的吊装装置
CN109353929B (zh) * 2018-10-12 2020-08-18 徐州华奥纺织有限公司 一种单晶炉导流筒的吊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9040B1 (ko)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16530A (zh) 一种车门装配用输送系统
KR101829071B1 (ko) 중심선 발전기 지지 시스템, 및 중심선 발전기를 지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리는 방법
CN104229580A (zh) 电梯的调速器以及电梯
KR101559040B1 (ko) 적재물 이송장치
KR101917433B1 (ko) 코일 지지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밴딩장치
CN202657895U (zh) 一种改进的钢丝绳电动葫芦限位装置
CN204038970U (zh) 低温等离子体催化净化装置装拆用自动化升降工作平台
CN102873137A (zh) 一种便于换辊的矫直机结构
JP2007196246A (ja) コイルカーとフロアプレートの連結装置
CN108120412B (zh) 间隙检测装置和机械设备
CN202046775U (zh) 一种吊笼升降机防倾斜装置
CN201609715U (zh) 一种自动检测装置
CN110586688B (zh) 钢卷车及其触卷检测方法
KR101121689B1 (ko) 크레인 하중센서
JP2006290496A (ja) エレベータの釣合い重り装置
CN202852394U (zh) 收线机升降传动机构的自动保护装置
KR101370571B1 (ko) 천정 크레인의 훅크 과 권상 방지장치
KR101394440B1 (ko) 코일 센터링유닛 및 코일 센터링장치
CN108439252B (zh) 一种agv举升装置
KR101481018B1 (ko)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
KR20070077559A (ko) 자주식 중량물 수송장치
JP2009269099A (ja) 成形品取出装置
CN104760882A (zh) 一种吊钩
CN204434124U (zh) 塔机自安装和自拆卸平衡重的结构
CN104495645A (zh) 一种塔机自安装和自拆卸平衡重的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