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018B1 -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018B1
KR101481018B1 KR20130049262A KR20130049262A KR101481018B1 KR 101481018 B1 KR101481018 B1 KR 101481018B1 KR 20130049262 A KR20130049262 A KR 20130049262A KR 20130049262 A KR20130049262 A KR 20130049262A KR 101481018 B1 KR101481018 B1 KR 101481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coupled
lift arm
coil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9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0817A (ko
Inventor
송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30049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018B1/ko
Publication of KR20140130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 B66C1/48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to vertical edge portions of sheets, tubes, or like thin or thin-walled articles
    • B66C1/485Coil l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Abstract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가 개시된다. 이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는 리프트 본체에 결합되는 리프트 암; 상기 리프트 암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 본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리프트 이동 제어 부재; 상기 리프트 암에 결합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완충부재가 압축되는 경우 상기 리프트 이동 제어 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리프트 이동 제어 부재가 상기 리프트 본체의 이동을 중지시키도록 하는 구동 로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Coiled product transfer equipment}
본 발명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형 제품을 이송하는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리프트와 천정 크레인을 포함하는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가 코일형 제품을 이송하여 창고에 적치하거나 적치된 코일형 제품을 대차나 차량에 적재한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를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100)는 와이어(W)를 권취하는 와이어 권상기(111), 와이어 권상기(111)를 싣고 좌우로 이동하는 좌우 대차(112), 좌우대차(112)를 싣고 전후로 이동하는 전후대차(113), 전후대차(113)가 공중에 떠 있을 수 있도록 하며 전후대차(113)가 이동하는 레일을 제공하는 프레임(114) 및 와이어 권상기(111)에 권취되는 와이어(W)에 연결되어 와이어(W)가 권취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크레인 후크(115)를 구비한 천정 크레인(110), 크레인 후크(115)에 결합되어 코일형 제품(CP)를 잡거나 놓는 리프트(120)를 포함한다.
도 2는 종래의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리프트(120)의 양쪽 리프트 암(121)이 벌려진 상태로 코일형 제품(CP)의 상부로 하강하는 때에 리프트 암(121)의 벌려진 공간에 코일형 제품(CP)이 진입하지 못하게 되면, 도 2의 A와 같이 리프트 암(121)이 코일형 제품(CP)의 상부에 충돌하게 되어, 코일형 제품(CP)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4413호에서는 복수의 센서를 리프트 암에 설치하여 이들 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리프트 암의 이동을 제어하는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런데, 상기 공보에서 제안되는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고 있어, 복수의 센서를 리프트에 설치하기에 부적절한 문제점이 있다. 즉, 센서는 전자적 회로 등의 복잡한 구성을 포함하는 데, 이와 같은 구성을 중량물인 리프트에 설치하기에는 부적절하기 때문이다.
또한, 복잡한 전자적 구성을 포함한 센서들은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리프트 암과 코일형 제품의 충돌에 의한 코일형 제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고장 발생이 적으며, 설치가 용이한 수단이 적용되는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프트 본체에 결합되는 리프트 암; 상기 리프트 암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 본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리프트 이동 제어 부재; 상기 리프트 암에 결합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완충부재가 압축되는 경우 상기 리프트 이동 제어 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리프트 이동 제어 부재가 상기 리프트 본체의 이동을 중지시키도록 하는 구동 로드를 포함하는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코일 스프링을 감싸는 보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내부에 공기 또는 기체가 채워지는 고무재질의 주름상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 이동 제어 부재는 상기 리프트 암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와 상기 리프트 암의 상기 구동 로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레버가 넘어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버에는 상기 구동 로드가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하는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천정 크레인에 의해 이동되는 리프트 본체; 상기 리프트 본체에 결합되는 리프트 암; 및 상기 리프트 암에 결합되어 외부 물체에 가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코일 스프링을 감싸는 보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내부에 공기 또는 기체가 채워지는 고무재질의 주름상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리프트에 구성이 단순한 리프트 이동 제어 부재가 적용되어, 리프트 이동 제어 부재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또한, 리프트에 별도의 완충부재가 구비되어, 리프트와 코일형 제품이 접촉하는 경우 코일형 제품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의 리프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B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 상하, 좌우 및 전후 등의 방향 또는 위치는 첨부되는 도면을 기준으로 사용되는 용어임을 밝혀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의 구성 중 천정 크레인은 공지된 기술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의 리프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B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의 리프트(1)는 리프트 본체(10), 리프트 본체(10)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바(20), 한 쌍의 연결바(20)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리프트 암(30), 한 쌍의 리프트 암(30) 각각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한 쌍의 리프트 슈(40), 한 쌍의 연결바(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한 쌍의 리프트 암(3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하는 리프트 암 구동부(50), 한 쌍의 리프트 슈(40) 각각에 결합되는 한 쌍의 완충부재(60), 한 쌍의 리프트 암(30) 각각에 설치되어 온(ON) 또는 오프(OFF)되는 경우 리프트(1)의 이동이 중지되도록 하는 한 쌍의 리프트 이동 제어 부재(70) 및 한 쌍의 완충부재(60) 각각이 압축됨에 따라 이동하여 한 쌍의 리프트 이동 제어 부재(70) 각각을 작동시키는 한 쌍의 구동 로드(80)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본체(10), 한 쌍의 연결바(20), 한 쌍의 리프트 암(30), 한 쌍의 리프트 슈(40) 및 리프트 암 구동부(50)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45578호 및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4413호 등에서 개시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쌍으로 이루어진 구성은 쌍을 이루는 각각의 짝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쌍으로 이루어진 구성 중 한짝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완충부재(60)는 탄성부재(61)와 탄성부재(61)를 감싸는 보호부재(6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61)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보호부재(62)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보호부재(62)는 탄성부재(61)와 다른 물체와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완충부재(60)는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공간(AS)에 공기 또는 기체가 채워지는 고무재질의 접이식 상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다른 물체와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보호부재(62)가 생략될 수 있다.
완충부재(60)는 볼트(91)와 너트(92)를 포함하는 결합부재(90)에 의해 리프트 슈(4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완충부재(60)에는 탄성부재(61)를 지지하는 지지판(53)이 형성되고, 리프트 슈(40)에는 결합판(41)이 형성되어, 지지판(53)과 결합판(41)이 볼트(91)와 너트(92)에 의해 결합된다. 여기서, 완충부재(60)와 리프트 슈(40)의 결합수단이 볼트(91)와 너트(92)를 포함하는 결합부재(90)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 제안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완충부재(60)와 리프트 슈(40)를 결합하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수단도 이용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리프트 슈(40)가 리프트 암(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완충부재(60)가 리프트 슈(40)에 결합되는 것이 제안되었으나, 리프트 슈(40)가 리프트 암(30)의 중간부분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완충부재(60)가 리프트 암(3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완충부재(60)는 리프트(1)가 하강하는 경우, 리프트 암(30)과 코일형 제품(CP)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리프트 암(30)과 코일형 제품(CP)의 충격이 발생하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완충부재(60)의 측면에는 후술되는 리프트 이동 제어 부재(70)를 구동하는 구동 로드(8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로드(80)는 완충부재(60)의 압축여부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어, 리프트 이동 제어 부재(70)를 작동시킨다.
리프트 암(30)에는 리프트 암(30)과 다른 물체가 충돌하는 경우 리프트(1)의 하강을 중지시키기 위한 리프트 이동 제어 부재(7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리프트 이동 제어 부재(70)는 레버(71)와 레버(71)에 의해 개폐되는 접점(72)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71)의 일단은 리프트 암(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구동 로드(80)가 부드럽게 넘어갈 수 있도록 롤러(73)가 설치될 수 있다. 접점(72)은 리프트 암(30)의 레버(71)가 넘어지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접점(72)이 온(ON)되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천정형 크레인의 권상기를 제어하는 권상기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권상기 제어부가 권상기의 작동을 중지시켜 리프트(1)의 이동을 중지시킨다.
또한, 접점(72)이 온되어 리프트(1)의 이동을 중지시키는 수단이 권상기 제어부로 제안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접점(72)이 온되어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리프트(1)의 이동을 중지시키는 어떠한 수단도 이용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리프트(1)가 정위치가 아닌 위치를 하강하는 경우, 완충부재(60)가 코일형 제품(CP)에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완충부재(60)가 코일형 제품(CP)에 접촉하면, 완충부재(60)는 코일형 제품(CP)와 리프트 슈(40)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이에 따라, 코일형 제품(CP)은 급격한 충격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급격한 충격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한편, 완충부재(60)가 코일형 제품(CP)에 접촉한 상태에서 리프트(1)가 계속하여 하강하게 되면, 구동 로드(80)는 상승하여 레버(71)를 밀어 레버(71)가 접점(73)을 온시킨다. 이에 따라, 접점(72)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권상기 제어부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의해 권상기 제어부는 권상기의 작동을 중지시켜 리프트(1)가 더 이동하지 않게 한다. 이로써, 코일형 제품(CP)은 리프트(1)의 자중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상기에서는 완충부재(60), 리프트 이동 제어 부재(70) 및 구동 로드(80)가 한 쌍의 리프트 암(30) 각각에 모두에 설치되는 것이 제안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완충부재(60), 리프트 이동 제어 부재(70) 및 구동 로드(80)는 한 쌍의 리프트 암(30) 각각 중 일부에만 설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120: 리프트 10: 리프트 본체
20: 연결바 30, 121: 리프트 암
40: 리프트 슈 50: 리프트 암 구동부
60: 완충부재 70: 리프트 이동 제어 부재
80: 구동 로드 90: 결합부재
110: 천정 크레인 CP: 코일형 제품

Claims (8)

  1. 리프트 본체에 결합되는 리프트 암;
    상기 리프트 암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 본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리프트 이동 제어 부재;
    상기 리프트 암의 하부에 결합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완충부재가 압축되는 경우 상기 리프트 이동 제어 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리프트 이동 제어 부재가 상기 리프트 본체의 이동을 중지시키도록 하는 구동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로드는 상기 완충부재의 측면에 결합하고, 상기 리프트 이동 제어 부재는 상기 리프트 암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와 상기 리프트 암의 상기 구동 로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레버가 넘어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에는 상기 구동 로드가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하는 롤러가 설치되는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코일 스프링을 감싸는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내부에 공기 또는 기체가 채워지는 고무재질의 주름상자인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130049262A 2013-05-02 2013-05-02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 KR101481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9262A KR101481018B1 (ko) 2013-05-02 2013-05-02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9262A KR101481018B1 (ko) 2013-05-02 2013-05-02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817A KR20140130817A (ko) 2014-11-12
KR101481018B1 true KR101481018B1 (ko) 2015-01-09

Family

ID=52452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9262A KR101481018B1 (ko) 2013-05-02 2013-05-02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0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017B1 (ko) * 2019-09-04 2021-06-28 (주)코윈테크 위치 정렬 기능이 개선된 롤 이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9436U (ko) * 1984-11-13 1986-06-11
JPS63116488U (ko) * 1987-01-21 1988-07-27
JPH0361689B2 (ko) * 1984-07-26 1991-09-20 Ikeda Butsusan Kk
KR100760567B1 (ko) * 2001-06-29 2007-09-20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리프터용 코일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1689B2 (ko) * 1984-07-26 1991-09-20 Ikeda Butsusan Kk
JPS6189436U (ko) * 1984-11-13 1986-06-11
JPS63116488U (ko) * 1987-01-21 1988-07-27
KR100760567B1 (ko) * 2001-06-29 2007-09-20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리프터용 코일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817A (ko)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25652A (zh) 用于充电站的定位单元和用于实现接触的方法
US20220176861A1 (en) Lifting device mounted to a vehicle
KR101481018B1 (ko)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
KR101473701B1 (ko) 로봇 아암용 부품로딩장치
CN203158967U (zh) 一种升降机安全保护装置
US20060045678A1 (en) Hydraulic vehicle restraint providing horizontal and vertical spring float with a mechanical hard travel limit
KR101138967B1 (ko) 액티브 힌지 구조
CN205183343U (zh) 无动力自动翻卷机
CN105073617A (zh) 超程制动装置上的一体化抓卡装置
KR102159040B1 (ko) 승강수단이 구비된 운반 로봇
CN109664262B (zh) 机械手
KR101559040B1 (ko) 적재물 이송장치
KR100642316B1 (ko) 코일 리프트의 그립핑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3534144A (zh) 用于调整自适应能量吸收结构的刚度的装置和方法
KR101478780B1 (ko) 차량 정비용 리프팅 장치
CN107428499B (zh) 电梯装置
CN210528164U (zh) 索链升降系统安全防护装置
JP6147858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16157535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201810015U (zh) 升降行程控制装置
EP3239089B1 (en) Wind turbine with elevator system
KR101819705B1 (ko) 크레인용 중추 스트라이커
CN215590898U (zh) 一种具有防撞功能的智能小车
KR200335390Y1 (ko)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
JP6528702B2 (ja) 車両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