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390Y1 -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 - Google Patents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390Y1
KR200335390Y1 KR20-2003-0030049U KR20030030049U KR200335390Y1 KR 200335390 Y1 KR200335390 Y1 KR 200335390Y1 KR 20030030049 U KR20030030049 U KR 20030030049U KR 200335390 Y1 KR200335390 Y1 KR 2003353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crane
rod
limi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0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00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3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3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3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에 관한 것으로서, 크레인의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의 리프팅부(200) 일측에 하단부가 고정된 봉 형태의 제 1 로드(10)와; 상기 제 1 로드(10)의 상단부에 일측이 고정된 완충부재(20)와; 상기 완충부재(20)의 타측에 하단부가 고정된 봉 형태의 제 2 로드(30)와; 상기 제 2 로드(30)의 상부에 고정되는 지지판(40)과; 상기 지지판(40)과 너트에 의해 체결되어 개구부를 형성하고,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크레인의 리프팅부(200)를 승강시키는 와이어(110)가 승강되며, 상기 크레인에 사용되는 중추(320)를 접촉에 의해 밀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 유볼트(5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는 제 1 로드와 제 2 로드 사이에 완충부재를 설치함으로서 크레인의 운행 중에 과권상이 발생하여 중추 리미트가 중추와 접촉할 때 충격을 완화하고, 리프팅부의 흔들림과 진동 및 와이어와의 마찰에 의해 일어나는 손상 또는 마모를 최소화하여 중추 리미트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CRANE LIFTER BALANCE LIMIT FOR CONTROL OF LIFTING UP}
본 고안은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크레인의 운행 중 일어나는 중추 리미트의 파손 및 와이어와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건물의 공간 상부에서 중량물을 이동 또는 운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이러한 크레인은 주행장치와 횡행장치와 권상장치로 구분된다. 상기 권상장치는 중량물을 집어서 올리고 내리는 설비로서 운전자의 오작동이나 설비의 오작동에 의하여 과권상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과권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권상이 발생될 때 자동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상용 리미트 장치와, 상기 상용 리미트 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작동시키기 위한 중추 리미트 장치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종래의 중추 리미트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드럼(100)에는 하부로 중량물을 승강시킬 수 있는 와이어(110)가 권취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110)의 단부에는 크레인의 리프팅부(200)가 고정되는 크레인의 권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드럼(100)의 측부에 리프팅부(200)가 과권상 될 경우에 작동할 수 있도록 중추 리미트 제어기(300)가설치되고, 이 중추 리미트 제어기(300)의 하부측으로 연결된 와이어인 중추 와이어(310)에 매달리는 중추(320)가 설치되며, 상기 리프팅부(200)에는 상기 중추(320)를 접촉에 의해 상승시키는 중추 리미트(400)가 구성된다.
상기 중추 리미트(400)는 로드(410)와 중추 승강판(420)으로 이루어진다. 로드(410)는 리프팅부(200)에 하단부가 고정되어 리프팅(200)과 함께 상하이동한다. 중추 승강판(420)은 상기 로드(410)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일측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와이어(110)가 승강된다.
크레인의 운행 중 리프팅부(200)의 과권상이 발생할 경우, 중추 승강판(420)이 중추(320)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중추(320)을 상승시키면 중추 리미트 제어기(300)는 중추(320)의 상승을 감지하여 크레인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러한 중추 리미트(400)는 리프팅부(200)에 고정되어 중추(320)와의 접촉에 의해 파손되거나 또는 리프팅부(200)의 흔들림과 진동 및 와이어(110)와의 마찰에 의해 손상 또는 마모가 일어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며 이로 인해 중추 리미트(400)를 자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로드(410)와 중추 승강판(42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작은 손상에도 전체 부품을 모두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로드에 완충부재를 구성하여 크레인의 운행 중에 과권상이 발생하여 중추 리미트가 중추와 접촉할 때 충격을 완화하고, 리프팅부의 흔들림과 진동 및 와이어와의 마찰에 의해 일어나는 손상 또는 마모를 최소화 한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로드에 일체로 구성되던 중추 승강판을 탈부착이 가능한 유볼트로 구성하여 작은 손상 시에는 상기 유볼트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는, 크레인의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의 리프팅부 일측에 하단부가 고정된 봉 형태의 제 1 로드와; 상기 제 1 로드의 상단부에 일측이 고정된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의 타측에 하단부가 고정된 봉 형태의 제 2 로드와; 상기 제 2 로드의 상부에 고정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과 너트에 의해 체결되어 개구부를 형성하고,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크레인의 리프팅부를 승강시키는 와이어가 승강되며, 상기 크레인에 사용되는 중추를 접촉에 의해 밀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 유볼트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가 설치된 크레인 권상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의 사시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제 1 로드 20 : 완충부재
30 : 제 2 로드 40 : 지지판
50 : 유볼트 100 : 와이어 드럼
110 : 와이어 200 : 리프팅부
300 : 중추 리미트 제어기 310 : 중추 와이어
320 : 중추 400 : 중추 리미트
410 : 로드 420 : 중추 승강판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는, 크레인의 리프팅부(200)에 하단부가 고정되는 봉 형태의 제 1 로드(10)와, 상기 제 1 로드(10)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완충부재(20)와, 상기 완충부재(20)에 하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봉 형태의 제 2 로드(30)와, 상기 제 2 로드(30)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지지판(40)과, 상기 지지판(40)에 관통되어 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유볼트(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로드(10)는 하단부가 크레인 리프팅부(200)의 일측에 용접되어 고정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완충부재(20)가 체결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완충부재(20)의 일측이 체결된 후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하여 고정된다.
상기 완충부재(20)는 코일 스프링으로 상기 제 1 로드(10)에 형성된 돌기에 일측이 끼워져 용접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 대신 판 스프링의 사용도 가능하며, 이의 사용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 2 로드(30)는 하단부에 상기 완충부재(20)의 타측이 체결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완충부재(20)가 체결된 후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하여 고정된다.
상기 지지판(40)은 상기 제 2 로드(30)의 상부에 부착되고, 상기 유볼트(50)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유볼트(U-bolt;50)는 알파벳 'U'자 형의 볼트로, 그 몸체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와이어(110)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40)에 형성된 체결공에 너트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유볼트(50)는 크레인의 운행 중 리프팅부(200)의 과권상이 발생할 경우에 일측이 중추(320)와 접촉하여 중추(320)를 밀어올려 상승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크레인의 작동에 의해 리프팅부(200)는 승강되고, 승강 중에 리프팅부(200)에 발생하는 흔들림과 진동에 의해 유볼트(50)와 지지판(40)이 와이어(110)와 마찰을 일으키지만, 제 1 로드(10)와 제 2 로드(30) 사이에 설치된 완충부재(20)의 완충작용에 의해 제 1 로드(10) 및 제 2 로드(30)에 발생하는 상하 및 좌우의 하중이 최소화된다.
또한 운전자의 오작동이나 설비의 오작동에 의하여 리프팅부(200)가 과권상 되는 경우에는 유볼트(50)가 중추(320)와 접촉하여 유볼트(50)에 충격이 일어나지만, 제 1 로드(10)와 제 2 로드(30) 사이에 설치된 완충부재(20)의 완충작용에 의해 충격이 최소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는 제 1 로드와 제 2 로드 사이에 완충부재를 설치함으로서 크레인의 운행 중에 과권상이 발생하여 중추 리미트가 중추와 접촉할 때 충격을 완화하고, 리프팅부의 흔들림과 진동 및 와이어와의 마찰에 의해 일어나는 손상 또는 마모를 최소화하여 중추 리미트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로드에 일체로 구성되던 중추 승강판을 탈부착이 가능한 유볼트로 구성함으로서 작은 손상 시에는 상기 유볼트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수리에 소비되는 비용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크레인의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의 리프팅부(200) 일측에 하단부가 고정된 봉 형태의 제 1 로드(10)와;
    상기 제 1 로드(10)의 상단부에 일측이 고정된 완충부재(20)와;
    상기 완충부재(20)의 타측에 하단부가 고정된 봉 형태의 제 2 로드(30)와;
    상기 제 2 로드(30)의 상부에 고정되는 지지판(40)과;
    상기 지지판(40)과 너트에 의해 체결되어 개구부를 형성하고,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크레인의 리프팅부(200)를 승강시키는 와이어(110)가 승강되며, 상기 크레인에 사용되는 중추(320)를 접촉에 의해 밀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 유볼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20)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20)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
KR20-2003-0030049U 2003-09-23 2003-09-23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 KR2003353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049U KR200335390Y1 (ko) 2003-09-23 2003-09-23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049U KR200335390Y1 (ko) 2003-09-23 2003-09-23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390Y1 true KR200335390Y1 (ko) 2003-12-06

Family

ID=49341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049U KR200335390Y1 (ko) 2003-09-23 2003-09-23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39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485B1 (ko) * 2009-10-29 2012-01-31 현대제철 주식회사 중추 리미트 장치용 터치바
KR101819300B1 (ko) * 2015-12-22 2018-01-17 주식회사 포스코 크레인용 제동장치
KR101819705B1 (ko) 2016-10-04 2018-01-18 주식회사 포스코 크레인용 중추 스트라이커
KR20190071312A (ko)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 호룡 이동식 크레인의 붐각도 조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485B1 (ko) * 2009-10-29 2012-01-31 현대제철 주식회사 중추 리미트 장치용 터치바
KR101819300B1 (ko) * 2015-12-22 2018-01-17 주식회사 포스코 크레인용 제동장치
KR101819705B1 (ko) 2016-10-04 2018-01-18 주식회사 포스코 크레인용 중추 스트라이커
KR20190071312A (ko)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 호룡 이동식 크레인의 붐각도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13179740A1 (ja) トロリー式トラックのパンタグラフ装置
KR200335390Y1 (ko)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
CN211931239U (zh) 一种拖拉机电控液压提升器用悬挂装置
WO2017119117A1 (ja) かご移動規制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
JP2001163543A (ja) エレベータ用緩衝器の設置方法
WO2006033135A1 (ja) エレベータ用緩衝装置
JP4407947B2 (ja) エレベータロープの把持構造
CN208994498U (zh) 斗提机链条导向装置
JP2006298612A (ja) エレベータのバッファ装置
JP4427159B2 (ja) エレベータ緩衝器
JP2014084204A (ja) エレベータ用緩衝器
CN202265350U (zh) 一种随车起重机防过卷固钩装置
KR20090019988A (ko) 다열 마그네트 크레인 완충 스토퍼
KR101819705B1 (ko) 크레인용 중추 스트라이커
CN219669916U (zh) 一种集装箱纵梁的吊装机构
KR200451080Y1 (ko) 고소작업차의 리미트스위치
KR100600997B1 (ko) 더블드럼형 양중기의 과부하 방지장치
JP2003246564A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15015632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177197Y1 (ko) 천장 기중기의 권상 안전 장치
KR200371064Y1 (ko) 더블드럼형 양중기의 과부하 방지장치
KR102251804B1 (ko) 리프트 장치
KR102460348B1 (ko) 작업차량의 체인 장력 감지 장치
CN214495475U (zh) 一种新型桥式起重机
JP2004010245A (ja) エレベーター用ばね緩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