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705B1 - 크레인용 중추 스트라이커 - Google Patents

크레인용 중추 스트라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705B1
KR101819705B1 KR1020160127351A KR20160127351A KR101819705B1 KR 101819705 B1 KR101819705 B1 KR 101819705B1 KR 1020160127351 A KR1020160127351 A KR 1020160127351A KR 20160127351 A KR20160127351 A KR 20160127351A KR 101819705 B1 KR101819705 B1 KR 101819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ball member
frame
crane
stri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명
이진엽
오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27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50Applications of limit circuits or of limit-switch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 B66C2700/084Protection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크레인용 중추 스트라이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중추 스트라이커는 서로 이격된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갖는 프레임과, 상부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볼 부재와, 볼 부재의 상단에 굴신 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터치 바 및 볼 부재의 하단과 하부프레임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크레인용 중추 스트라이커{WEIGHT STRIKER FOR CRANE}
본 발명은 크레인용 중추 스트라이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레인 와이어의 과권상을 방지하는 리미트제어기를 작동시키는 중추 스트라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중량물을 상하 또는 수평방향으로 운반하기 위한 장치로서, 그 기능 및 형태에 따라 탑형크레인, 천정크레인, 지브크레인 등으로 분류된다. 이들 중 천정크레인은 건물의 상부에서 중량물을 이동 또는 운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구성은 크게 주행장치, 횡행장치, 권상장치로 구분된다.
권상장치에는 중량물의 집어서 올리고 내리는 설비로서, 운전자의 오작동이나 설비의 오작동에 의해 과권상이 발생될 경우 자동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상용 리미트와, 상용 리미트가 작동하지 않는 비상의 경우에 작동시키기 위한 중추 리미트(weight limit)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중추 리미트장치는 천정 크레인의 일측에 설치되는 리미트 제어기와, 리미트 제어기의 일측에 연결되며 중추가 매달리는 중추 로프와, 후크의 일측에 연결되어 중추를 들어 올려서 리미트 제어기를 작동시키는 중추 스트라이커로 구성되며, 과권상이 발생한 경우 중추 스트라이커는 중추와 물리적으로 충돌된 후 들어 올림에 의해 리미트 제어기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중추 스트라이커는 중추와의 충돌에 의한 손상 또는 마모가 빈번히 발생되어 교체로 인한 크레인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0-0004674호(2010.05.07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중추와의 충돌 시 변형 및 파손을 줄일 수 있는 중추 스트라이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이격된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볼 부재와, 상기 볼 부재의 상단에 굴신 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터치 바 및 상기 볼 부재의 하단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크레인용 중추 스트라이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바는 상기 볼 부재의 상단에 고정된 하부 바와, 상기 하부 바 상부에 위치하며 중추를 타격하는 타격부가 결합된 상부 바 및 상기 상부 바와 상기 하부 바를 연결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양단이 상기 볼 부재와 상기 하부프레임에 마련된 고리에 지지되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터치 바에 가해지는 충돌에 의해 회전된 상기 볼 부재를 원 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은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는 좌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프레임의 마주하는 두 면에는 결합 시 각각 상기 볼 부재의 둘레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한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중추와의 강한 충돌 시 굴신 운동 및 변위 발생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킴에 따라 중추 스트라이커의 손상 또는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추 리미트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 일측에 중추 스트라이커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추 스트라이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추 스트라이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추 스트라이커의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추 리미트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중추 리미트 장치는 천정 크레인(10)의 일측에 설치되는 리미트 제어기(20)와, 리미트 제어기(20)의 일측에 연결되는 중추 로프(21)와, 중추 로프(21)의 하단에 매달리는 중추(23)와, 후크(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중추(23)를 들어올려서 리미트 제어기(20)를 작동시키는 중추 스트라이커(30)를 포함한다.
천정 크레인(10)에는 후크(11)와 연결된 와이어(12)가 감겨지는 권상 드럼(13)이 설치되고, 권상 드럼(13)은 권상 모터(14)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권상 드럼(13)에 감겨진 와이어(12)는 감겨지거나 풀리게 되고, 이에 따라 후크(11)의 승강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천정 크레인(10)의 운전 중 권상 드럼(13)의 오작동에 의한 와이어(12)의 과권상이 이루어지면, 후크(11)의 일측에 연결된 중추 스트라이커(30)는 중추(23)와 충돌 하여 중추(23)를 들어 올림에 의해 리미트 제어기(20)를 작동시켜 천정 크레인(1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 일측에 중추 스트라이커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추 스트라이커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추 스트라이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추 스트라이커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추 스트라이커(30)는 프레임(40), 볼 부재(50), 터치 바(60) 및 탄성부재(70)를 포함한다.
프레임(40)은 와이어(12)가 감긴 도르래(15)가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케이싱(16)의 일측에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40)은 상하로 이격 배치된 상부프레임(41)과 하부프레임(43)을 구비하고, 상부프레임(41)과 하부프레임(43)은 모서리 부근에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로드(4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볼 부재(50)는 상부프레임(41)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41)은 볼 부재(50)를 회전할 수 있게 결합시키도록 좌우로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는 좌측프레임(41a) 및 우측프레임(41b)을 포함한다.
좌,우측프레임(41a,41b)의 서로 마주하는 두 면에는 각각 볼 부재(50)의 중앙 둘레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오목한 형상의 수용부(45)가 마련될 수 있다.
좌,우측프레임(41a,41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부(45)는 볼 부재(50)의 외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볼 부재(50)를 수용하는 경우 볼 부재(50)가 회전할 수 있도록 볼 부재(50)의 직경보다 조금 큰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좌,우측프레임(41a,41b)의 각 양측에는 서로 결합되기 위한 볼트홀(46)이 형성될 수 있고, 볼트홀(46)에 체결되는 볼트(47) 및 너트(48)에 의해 좌,우측프레임(41a,41b)은 서로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터치 바(60)는 볼 부재(50)의 상단에 결합되며, 후크(11)가 상승할 때 중추(23)와 충돌하여 중추(23)를 들어 올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터치 바(60)는 중추(23)와 충돌 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굴신 운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
터치 바(60)는 볼 부재(50)의 상단에 결합되는 하부 바(61)와, 하부 바(61)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상부 바(63)와, 상부 바(63)와 하부 바(61)를 연결하는 굴신부재(62)를 포함한다.
상부 바(63)의 상단에는 와이어(12)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중추(23)와 접촉하기 위한 타격부(64)가 형성될 수 있다.
타격부(64)는 상부 바(63)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봉 부재는 와이어(12)를 포위할 수 있도록 복수회 절곡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굴신부재(62)는 타격부(64)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상부 바(63)의 굴신 및 복원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굴신부재(62)는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양단이 각각 상부 바(63)와 하부 바(61)에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하부 바(61)의 하단은 볼 부재(50)의 상단에 용접 또는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하부 바(61)가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에는 하부 바(61)의 하단에는 나사부가 마련되고, 볼 부재(50)의 상단에는 나사홀이 형성되어 하부 바(61)가 나사 체결방식에 의해 볼 부재(5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바(60)의 파손 시 교체가 용이하게 된다.
탄성부재(70)는 볼 부재(50)의 하단과 하부프레임(43)에 각각 양단이 지지되며, 볼 부재(50)의 회전 시 원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70)는 양단이 볼 부재(50)의 하단에 결합된 고리(71)와 하부프레임(43)에 결합된 고리(73)에 각각 지지되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 5와 같이, 와이어(12)의 과권상이 이루어져 타격부(64)가 중추(23)와 충돌하게 되면, 1차적으로 굴신부재(62)의 변형에 의하여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그 충격의 범위나 강도가 강하면 2차적으로 볼 부재(50)의 회전과 함께 탄성부재(70)가 변형하면서 충격을 흡수함에 따라 중추 스트라이커(30)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천정 크레인, 11: 후크,
12: 와이어, 20: 리미트 제어기,
21: 중추 로프, 23: 중추,
30: 중추 스트라이커, 40: 프레임,
41: 상부프레임, 41a: 좌측프레임,
41b: 우측프레임, 42: 연결로드,
43: 하부프레임, 45: 수용부,
50: 볼 부재, 60: 터치 바,
61: 하부 바, 62: 굴신부재,
63: 상부 바, 64: 타격 바,
70: 탄성부재.

Claims (4)

  1. 서로 이격된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갖는 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볼 부재;
    상기 볼 부재의 상단에 굴신 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터치 바; 및
    상기 볼 부재의 하단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크레인용 중추 스트라이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바는 상기 볼 부재의 상단에 고정된 하부 바와, 상기 하부 바 상부에 위치하며 중추를 타격하는 타격부가 결합된 상부 바 및 상기 상부 바와 상기 하부 바를 연결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크레인용 중추 스트라이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양단이 상기 볼 부재와 상기 하부프레임에 마련된 고리에 지지되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터치 바에 가해지는 충돌에 의해 회전된 상기 볼 부재를 원 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크레인용 중추 스트라이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는 좌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프레임의 마주하는 두 면에는 결합 시 각각 상기 볼 부재의 둘레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한 수용부가 형성되는 크레인용 중추 스트라이커.
KR1020160127351A 2016-10-04 2016-10-04 크레인용 중추 스트라이커 KR101819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351A KR101819705B1 (ko) 2016-10-04 2016-10-04 크레인용 중추 스트라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351A KR101819705B1 (ko) 2016-10-04 2016-10-04 크레인용 중추 스트라이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9705B1 true KR101819705B1 (ko) 2018-01-18

Family

ID=61028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351A KR101819705B1 (ko) 2016-10-04 2016-10-04 크레인용 중추 스트라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7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3134A (zh) * 2019-08-29 2019-12-06 宝鸡石油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应用于直流钻机的防碰控制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7893A (ja) 2000-11-06 2002-05-14 Sumitomo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rane Co Ltd 吊り上げ装置の巻過防止装置
KR200335390Y1 (ko) 2003-09-23 2003-1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7893A (ja) 2000-11-06 2002-05-14 Sumitomo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rane Co Ltd 吊り上げ装置の巻過防止装置
KR200335390Y1 (ko) 2003-09-23 2003-1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3134A (zh) * 2019-08-29 2019-12-06 宝鸡石油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应用于直流钻机的防碰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30066A (zh) 提升机钢丝绳断裂自动保护装置
JP5755203B2 (ja) ワイヤロープ把持具
JP2007001711A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制振装置及びロープ制振装置の取付構造
KR101819705B1 (ko) 크레인용 중추 스트라이커
KR20090120578A (ko) 타워크레인의 과부하 방지장치
CN204847923U (zh) 一种起重机防摇摆装置
CN205034980U (zh) 用于起重机的吊钩防坠落装置
KR20190088469A (ko) 호이스트용 낙하 보호 장치
CN203158969U (zh) 提升机钢丝绳断裂自动保护装置
KR20100004674U (ko) 천정크레인의 리미트스위치 작동기구
CN202848867U (zh) 铝卷吊钩
CN207810983U (zh) Sc施工升降机防坠安全保护装置
CN106865408B (zh) 一种起重滑车
JP5403525B2 (ja) 連結構造
CN201326889Y (zh) 冲床安全杠杆
JP6669356B2 (ja) 岸壁クレーンおよび岸壁クレーンの制御方法
KR20090120580A (ko) 타워크레인의 과부하 방지장치
LU501213B1 (en) Multi-rope anti-swing device for cranes
CN101698461B (zh) 起重机吊钩冲顶保护装置
JP6584112B2 (ja) 乱巻防止装置
CN205151525U (zh) 双板起重吊钩
CN204873611U (zh) 分段免拆装折叠式绳挡装置及具有该绳挡装置的臂架系统
CN207792522U (zh) 一种平衡臂、起重机小车及起重机
CN212740553U (zh) 一种钢丝绳松绳保护装置
CN216426518U (zh) 一种吊具电缆多向固定、缓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