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1312A - 이동식 크레인의 붐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크레인의 붐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1312A
KR20190071312A KR1020170172261A KR20170172261A KR20190071312A KR 20190071312 A KR20190071312 A KR 20190071312A KR 1020170172261 A KR1020170172261 A KR 1020170172261A KR 20170172261 A KR20170172261 A KR 20170172261A KR 20190071312 A KR20190071312 A KR 20190071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pin
angle
angle adjusting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to KR1020170172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1312A/ko
Publication of KR20190071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3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8Jibs folda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크레인의 붐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실내에서 크레인 작업하는 과정에서 붐 경사와 천정 높이에 따라 말단붐의 경사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되, 링크부재를 이용해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조립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1)에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붐지지대(4)와, 이 붐지지대(4)에 힌지 결합되어 메인실린더(6)의 전후진 작동으로 각도 전환되며 수개의 붐들이 절첩식으로 내장되는 메인붐 어세이(10)와, 상기 메인붐 어세이(10)의 선단에서 다단으로 그 연결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조절수단(60)을 매개체로 연장되며, 선단에 헤드(13)가 구비되어 윈치장치에 의해 와이어(7)와 후크(41) 및 블록(40)을 견인하는 말단붐(11)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60)은 메인붐 어세이(10)와 말단붐(11)의 경계위치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중심구멍(74')을 통해 중심핀(71)이 관통되도록 하는 중심핀지지부(74a)(74b)와, 고정핀(72)이 관통되도록 고정구멍(75')이 뚫어지며 메인붐 어세이(10)에 취부되는 고정지지부(75)와, 각도조절핀(73)이 관통되도록 홀(76')이 뚫어지고, 말단붐(11)에 취부되는 핀지지부(76)와, 고정홀(81)과 각도조절구멍(82)(83)(84)들이 뚫어지는 링크부재(80)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핀(72)으로 링크부재(80)를 메인붐 어세이(10) 선단으로 위치 고정시키고, 상기 중심핀(71)을 중심으로 각도조절핀(73)이 각도조립구멍(82)(83)(84)들중 하나에 조립되어 말단붐(11)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크레인의 붐각도 조절장치{Boom angle adjust system of movable type crane}
본 발명은 이동식 크레인의 붐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실내에서 크레인 작업하는 과정에서 붐 경사와 천정 높이에 따라 말단붐의 경사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되, 링크부재를 이용해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조립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식 크레인은 독립적으로 주행이 가능한 차량에 크레인 장치가 구비된 것으로, 무거운 각종 자재 등을 들어서 이동시켜 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이동식 크레인은, 주행장치에 회전수단으로 주붐이 상하좌우로 이동되면서 길이 방향으로 신축되어 후크에 걸려 있는 무거운 자제를 들어서 목적지까지 이동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크레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아웃 트리거를 가동하여 지반에 고정시킨 후 크레인작업을 수행하기도 한다.
한편, 후크(41)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블록(40)에는 윈치장치로부터 와이어(7)가 연결되어, 윈치장치의 조작에 의해 후크 위치가 조절되는데, 이 블록(40)과 와이어(7)를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소켓 또는 도르레 로울러 방식이 있다.
소켓은 한줄의 와이어(7)의 끝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블록(40)에 조립된 상태로 크레인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도르레 로울러 방식은, 2줄의 와이어(7)가 감겨진 상태로 윈치장치와 연결되는 것으로, 소켓에 의한 한줄 연결방식에 비하여 보다 큰 하중의 자재를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동식 크레인은 최근 실내에서 작업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 국내 실용신안 공고 1990-20-6974호(공고일자 1990년8월4일) : 국내 실용신안 등록 20-335390호(등록일자 2003년11월27)
이동식 크레인의 차량(1)에는 붐지지대(4)를 통해 다수의 붐들이 내장되어 접첩식으로 조립되는 메인붐 어세이(10)가 힌지 결합되고, 이 메인붐 어세이(10)의 단부에는 말단붐(11)이 연결되어 있다.
말단붐(11)의 단부에 결합된 헤드(13) 내부에는 휠(12)이 구비되어 와이어(7)를 안내하고, 와이어(7)에는 후크(41)가 연결되어 윈치장치에 의해 중량물을 걸어서 올리고 내리기 및 원하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동식 크레인을 실내에서 작업하고자 할 때는 실내의 천정 높이가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종래, 메인붐 어세이(10)와 말단붐(11)은 홀더(50)를 통해 결합되어 그 길이를 연장하고 있는데, 메인붐 어세이(10)와 말단붐(11)의 각도 조절수단이 없었다.
따라서, 크레인 작업을 위해 메인붐 어세이(10)에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 말단붐(11)을 동시에 경사지게 들어 올릴 경우 말단붐(11)의 단부가 천정에 닿게 되어 정상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홀더(50)에 중심구멍(55)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조립구멍(51)(52)(53)들을 각각 다수개 뚫고, 말단붐(11)에는 중심홀(65)과 체결홀(61)이 뚫어져 중심핀(66)은 중심구멍(55)과 중심홀(65)에 끼워 조립되며, 각도조절핀(67)은 조립구멍(51)(52)(53)들중 하나에 위치가 일치된 체결홀(61)을 관통하여 끼워 조립되는 것에 의해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크레인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 구조에 의하면 홀더(50)가 메인붐 어세이(10)에 용접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이 홀더(50)에 각도를 조절하는 구멍들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추가로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용접 구조물인 홀더(50) 자체를 변경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접 구조물의 홀더(50)의 경우 용접에 의해 메인붐 어세이(10)에 부착하는 작업 과정에서 용접에 의한 열변형으로 인하여 중심홀과 조립구멍들의 위치가 공차를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되어, 붐대 및 고정핀들의 조립이 어려운 경우가 흔히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말단붐의 각도가 세워진 상태에서도 메인붐 에세이로부터 말단붐의 각도를 조절하여 실내 천정에 닿지 않은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이동식 크레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 천정 높이에 따라 다단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어떠한 작업 환경에서도 정상 크레인 작업이 가능하게 한 이동식 크레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구멍들이 뚫어진 링크부재를 이용해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게 하여 필요시 링크부재의 교체로 원하는 각도로 수시로 변경이 가능한 이동식 크레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접 변형의 염려가 없어, 공차 변형에 의해 고정핀들의 조립이 불가능한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그 각도조절과 핀들의 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상품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식 크레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1)에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붐지지대(4)와,
이 붐지지대(4)에 힌지 결합되어 메인실린더(6)의 전후진 작동으로 각도 전환되며 수개의 붐들이 절첩식으로 내장되는 메인붐 어세이(10)와,
상기 메인붐 어세이(10)의 선단에서 다단으로 그 연결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조절수단(60)을 매개체로 연장되며, 선단에 헤드(13)가 구비되어 윈치장치에 의해 와이어(7)와 후크(41) 및 블록(40)을 견인하는 말단붐(11)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60)은 메인붐 어세이(10)와 말단붐(11)의 경계위치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중심구멍(74')을 통해 중심핀(71)이 관통되도록 하는 중심핀지지부(74a)(74b)와,
고정핀(72)이 관통되도록 고정구멍(75')이 뚫어지며 메인붐 어세이(10)에 취부되는 고정지지부(75)와,
각도조절핀(73)이 관통되도록 홀(76')이 뚫어지고, 말단붐(11)에 취부되는 핀지지부(76)와,
고정홀(81)과 각도조절구멍(82)(83)(84)들이 뚫어지는 링크부재(80)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핀(72)으로 링크부재(80)를 메인붐 어세이(10) 선단으로 위치 고정시키고,
상기 중심핀(71)을 중심으로 각도조절핀(73)이 각도조립구멍(82)(83)(84)들중 하나에 조립되어 말단붐(11)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중심핀(71)과 고정핀(72) 및 각도조절핀(73)의 단부에 뚫어지는 R핀홀(71')(72')(73')에 R핀(77)이 체결되어 이탈 방지된다.
또한, 상기 메인붐 어세이(10)의 선단과 말단붐(11)의 단부를 막혀진 상태로 고정된 브라켓트(10a)(11a)들에 상기 중심핀지지부(74a)(74b)와, 고정지지부(75) 및 핀지지부(76)들이 각각 부착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붐 어세이가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에서 말단붐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실내 낮은 환경에서도 말단붐 및 그 단부에 구비된 헤드가 천정에 닿지 않도록 설치 각도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가 있다.
따라서, 주어진 실내 환경에서 천정 높이에 따라 붐 각도를 조절하여 크레인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조립구멍들이 뚫어진 링크부재를 이용해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게 하여 필요시 링크부재의 교체로 원하는 각도로 수시로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용접 변형의 염려가 없어, 공차 변형에 의해 고정핀들의 조립이 불가능한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그 각도조절과 핀들의 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제품에 대한 상품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이동식 크레인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이동식 크레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종래 말단붐이 홀더로부터 분해된 각도조절수단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말단붐이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메인붐 어세이에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메인붐 어세이와 말단붐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중심핀과 고정핀 및 각도조절핀이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보인 요부확대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위치에서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9는 도 7의 평면도.
도 10은 링크부재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식 크레인은 주행이 가능한 차량(1)에 붐지지대(4)가 도시하지 않은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붐지지대(4)는 다수의 붐들이 내장되어 접첩식으로 조립되는 메인붐 어세이(10)가 힌지 결합된다.
메인붐 에세이(10)는 수개의 붐들이 안테나식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신축 작용이 가능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가장 말단에는 각도조절수단(60)을 매개체로 말단붐(11)이 연결된다.
메인붐 어세이(10)와 붐지지대(4) 사이에는 각도를 조종하는 메인실린더(6)가 설치되고, 붐들의 신축 작용을 위하여 메인붐 어세이(10)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신축용 유압실린더 및 윈치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말단붐(11)의 단부에는 헤드(13)가 부착되는데, 헤드(13)의 내부에는 휠(12)이 구비되어 와이어(7)를 안내하고, 와이어(7)에는 후크(41)를 구비하고 있는 블록(40)이 연결되어 윈치장치에 의해 중량물을 걸어서 올리고 내리기 및 원하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운전자의 오작동이나 설비의 오작동에 의하여 와이어(7)의 과권상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과권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헤드(13)에는 과권상이 발생될 때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리미트 스위치(S)와, 블록(40)의 접촉으로 리미트 스위치(S)를 접점시키도록 작동하는 제어판(80)이 핀(81)을 중심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블록(40)은 하부를 향해 후크(41)가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데, 와이어(7)와 외줄 결합을 위해 소켓이 내부로 조립되거나, 또는 와이어(7)가 도르레 로울러에 감겨져 2줄로 연결되기도 한다.
이 후크(41)를 구비하고 있는 블록(40)은 운전자의 조작으로 윈치장치의 견인으로 중량물을 들어서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메인붐 어세이(10)와 말단붐(11) 사이에 다단으로 그 연결각도가 조절되도록 링크부재(80)를 포함하는 각도조절수단(60)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각도조절수단(60)은 메인붐 어세이(10)와 말단붐(11)의 경계위치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중심구멍(74')을 통해 중심핀(71)이 관통되도록 하는 중심핀지지부(74a)(74b)를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메인붐 어세이(10)의 선단에 취부되는 고정지지부(75)에는 고정핀(72)이 관통되도록 고정구멍(75')이 뚫어지게 된다.
또한, 말단붐(11)의 단부에 취부되는 핀지지부(76)에는 각도조절핀(73)이 관통되도록 홀(76')이 뚫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말단붐(11)의 각도조절을 위해 고정홀(81)과 각도조절구멍(82)(83)(84)들이 뚫어지는 링크부재(80)를 구비하게 된다.
링크부재(80)는 일정한 두께의 말단붐(11)의 내측 하부를 향해 꺽어진 막대형상으로 성형되어 예로서 3개의 각도조절구멍(82)(83)(84)은 각도조절핀(73)에 의해 선택된 위치에서 끼워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가장 우측 단부로 뚤어지는 고정홀(81)은 고정핀(72)에 의해 정위치에서 링크부재(80)가 각도는 상하로 조절된 상태에서 위치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링크부재(80)의 우측단부는 고정핀(72)으로 메인붐 어세이(10) 선단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위치 고정되고, 좌측단부는 말단붐(11)의 내부를 향하여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중심핀(71)을 중심으로 각도조절핀(73)이 각도조립구멍(82)(83)(84)들중 하나에 조립되어 말단붐(11)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중심핀(71)은 각도조절수단(60)의 중심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며, 이 중심핀(71)과 고정핀(72) 및 각도조절핀(73)의 단부에 뚫어지는 R핀홀(71')(72')(73')에 R핀(77)이 체결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중심핀(71)과 고정핀(72)은 미리 끼워 고정시킨 상태에서 각도조절핀(73)을 각도조립구멍(82)(83)(84)들중 가장 우측의 각도조립구멍(82)에 관통시켜 조립하면 메인붐 어세이(10)와 말단붐(11)은 거의 일직선 상태로 연장된다.(도 4 및 도 7)
그리고, 도 8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각도조절핀(73)을 각도조립구멍(82)(83)(84)들중 중간 위치의 각도조립구멍(83)에 끼워지도록 관통시켜 조립하면 메인붐 어세이(10)로부터 말단붐(11)은 꺽여진 상태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말단붐(11)의 단부에 부착된 헤드(13)는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현저히 낮아지게 되므로 천정 높이가 낮은 실내에서 적합하게 크레인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 각도조절핀(73)을 각도조립구멍(82)(83)(84)들중 가장 좌측 위치의 각도조립구멍(84)에 끼워지도록 관통시켜 조립하면 메인붐 어세이(10)로부터 말단붐(11)은 큰 각도로 꺽여지게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천정 높이가 더 높은 실내에서 적합하게 크레인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예로서 상기 각도조립구멍(82)(83)(84)의 개수를 3개로 도시하고 있으나, 2개 내지 6개 사이로 다양하게 확장하여 미세하게 다단으로 각도조절 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중심핀(71)과 고정핀(72) 및 각도조절핀(73)을 체결상태에서 분해하고자 할 때는 단부에 뚫어지는 R핀홀(71')(72')(73')로부터 R핀(77)을 분리시키면 쉽게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다시 조립한 후 R핀(77)들을 R핀홀(71')(72')(73')에 체결하게 되면, 중심핀(71)과 각도조절핀(73) 및 고정핀(72)이 조립된 상태에서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더라도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붐 어세이(10)의 선단과 말단붐(11)의 단부를 막혀진 상태로 고정된 브라켓트(10a)(11a)들에 상기 중심핀지지부(74a)(74b)와, 고정지지부(75) 및 핀지지부(76)들이 각각 부착됨을 밝혀둔다.
이러한 본 발명의 링크부재(80)를 이용한 각도조절수단(60)에 의하면, 특히 링크부재의 교체로 원하는 각도로 수시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용접 변형의 염려가 없어 공차 변형에 의해 고정핀들의 조립이 불가능한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그 각도조절과 핀들의 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식 크레인 분야에 적용된다. 특히, 홀더와 말단붐 사이에 링크부재를 이용한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실내에서 크레인 작업하는 과정에서 붐 경사와 천정 높이에 따라 말단붐의 경사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고, 조립이 용이하고 링크부재의 교체를 통한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제품의 신뢰성과 상품성이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적용된다.
1 - 차량 4 - 붐지지대
10 - 메인붐 어세이 11 - 말단붐
13 - 헤드 40 - 블록
41 - 후크 60 - 각도조절수단
71 - 중심핀 74a,74b - 중심핀지지부
72 - 고정핀 75 - 고정지지부
73 - 각도조절핀 76 - 핀지지부
80 - 링크부재 81 - 고정홀
82,83,84 - 각도조절구멍

Claims (3)

  1. 차량(1)에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붐지지대(4)와,
    이 붐지지대(4)에 힌지 결합되어 메인실린더(6)의 전후진 작동으로 각도 전환되며 수개의 붐들이 절첩식으로 내장되는 메인붐 어세이(10)와,
    상기 메인붐 어세이(10)의 선단에서 다단으로 그 연결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조절수단(60)을 매개체로 연장되며, 선단에 헤드(13)가 구비되어 윈치장치에 의해 와이어(7)와 후크(41) 및 블록(40)을 견인하는 말단붐(11)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60)은 메인붐 어세이(10)와 말단붐(11)의 경계위치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중심구멍(74')을 통해 중심핀(71)이 관통되도록 하는 중심핀지지부(74a)(74b)와,
    고정핀(72)이 관통되도록 고정구멍(75')이 뚫어지며 메인붐 어세이(10)에 취부되는 고정지지부(75)와,
    각도조절핀(73)이 관통되도록 홀(76')이 뚫어지고, 말단붐(11)에 취부되는 핀지지부(76)와,
    고정홀(81)과 각도조절구멍(82)(83)(84)들이 뚫어지는 링크부재(80)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핀(72)으로 링크부재(80)를 메인붐 어세이(10) 선단으로 위치 고정시키고,
    상기 중심핀(71)을 중심으로 각도조절핀(73)이 각도조립구멍(82)(83)(84)들중 하나에 조립되어 말단붐(11)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의 붐각도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핀(71)과 고정핀(72) 및 각도조절핀(73)의 단부에 뚫어지는 R핀홀(71')(72')(73')에 R핀(77)이 체결되어 이탈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의 붐각도 조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붐 어세이(10)의 선단과 말단붐(11)의 단부를 막혀진 상태로 고정된 브라켓트(10a)(11a)들에 상기 중심핀지지부(74a)(74b)와, 고정지지부(75) 및 핀지지부(76)들이 각각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의 붐각도 조절장치.




KR1020170172261A 2017-12-14 2017-12-14 이동식 크레인의 붐각도 조절장치 KR201900713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261A KR20190071312A (ko) 2017-12-14 2017-12-14 이동식 크레인의 붐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261A KR20190071312A (ko) 2017-12-14 2017-12-14 이동식 크레인의 붐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312A true KR20190071312A (ko) 2019-06-24

Family

ID=67055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261A KR20190071312A (ko) 2017-12-14 2017-12-14 이동식 크레인의 붐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13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4496A (ko) * 2021-08-11 2023-02-21 주식회사수산중공업 붐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390Y1 (ko) 2003-09-23 2003-1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390Y1 (ko) 2003-09-23 2003-1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 리프팅부의 상승제어 중추 리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4496A (ko) * 2021-08-11 2023-02-21 주식회사수산중공업 붐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9905B2 (en) Crane
JP2019069838A (ja) クレーン、ジブ組立て方法
US10526176B2 (en) Crane assembling method
CN102390783B (zh) 在安装系统中移动大型起重机的方法和实施该方法的系统
KR20190071312A (ko) 이동식 크레인의 붐각도 조절장치
JP5573907B2 (ja) 下部ジブ
JP6645222B2 (ja) クレーンのジブ取付方法
JP2010018355A (ja) ブーム起伏装置
JP4810291B2 (ja) クレーン
KR101799489B1 (ko) 자주식 크레인의 붐 각도 조절장치
US20040124167A1 (en) Mobile crane with elongated boom
JP2018144993A (ja) タワークレーン
EP0941958A1 (en) A system for reducing the overall aerial dimensions of the jib in a foldable jib crane
KR101804277B1 (ko) 자주식 크레인의 후크블록
JP2017081711A (ja) ブーム撓み防止装置
JP4912788B2 (ja) フライジブ付きラフィングジブ装置
JP4177913B2 (ja) ラフィングジブ付き移動式クレーン
JP2020200137A (ja) クレーン、および、クレーンの組立方法
JPH11292472A (ja) クレーン
JP3084371U (ja) アーム式回転滑車
JP2017145094A (ja) クレーンの車輪装置
US20090039043A1 (en) Self movable crane system with a boom
JP7234811B2 (ja) クレーンのストラット、クレーンのストラットの折り畳み方法、および、クレーンのストラットの組立方法
JP7048376B2 (ja) 杭打機
JP2017197375A (ja) 吊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