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496A - 붐 조립체 - Google Patents

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496A
KR20230024496A KR1020210106325A KR20210106325A KR20230024496A KR 20230024496 A KR20230024496 A KR 20230024496A KR 1020210106325 A KR1020210106325 A KR 1020210106325A KR 20210106325 A KR20210106325 A KR 20210106325A KR 20230024496 A KR20230024496 A KR 20230024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hole
pin
holes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6513B1 (ko
Inventor
김상하
김동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수산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수산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수산중공업
Priority to KR1020210106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513B1/ko
Publication of KR20230024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8Jibs folda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에 설치되는 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조붐의 틸팅 및 고정을 쉽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붐 조립체{Boom assembly}
본 발명은 크레인에 설치되는 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붐 조립체는 크레인에 구비되어, 붐 조립체의 단부에 구비된 후크를 통해 화물을 인양하는 기능을 한다.
크레인의 추가 작업 반경을 확보하기 위해, 붐 조립체의 메인붐의 단부에 보조붐을 연결하게 되는데, 이 경우, 직진형 보조붐을 사용하는 것보다 각도 조절이 가능한 틸팅형 보조붐을 사용하는 것이 높은 작업 반경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종래의 보조붐이 구비된 붐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붐 조립체(20)는 고정핀(25)을 구멍에 삽입하여 보조붐(22)의 위치를 고정시켰다. 따라서, 보조붐(22)과 메인붐(21)의 각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구멍(26)에 삽입된 고정핀(25)을 꺼내 원하는 각도로 틸팅시킨 후, 다른 구멍(26)에 고정핀(25)을 삽입하여 틸팅 각도로 고정시키게 된다.
위와 같은 종래의 붐 조립체(20)의 경우, 보조붐(22)을 틸팅한 후, 고정핀(25)을 구멍(26)에 맞춰 삽입할 때, 보조붐(22)의 무게가 무거워 고정핀(25)을 구멍(26)에 맞추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정핀(25)을 구멍(26)에 삽입시 보조붐(22)이 고정되지 않아 원치 않게 보조붐(22)의 틸팅이 갑자기 이루어지게 되면, 작업자가 다칠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붐 조립체에 대한 특허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634798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경우에도, 전술한 종래의 붐 조립체와 동일하게 각도조절커넥터의 제1결합공 또는 제2결합공에 결합부재를 끼워넣어 보조붐의 각도 조절 및 고정를 조절하는 방식으로서, 각도 조절시 작업자의 부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3479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조붐의 틸팅 및 고정을 쉽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붐 조립체는, 메인붐; 상기 메인붐의 일단에 틸팅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보조붐; 제1, 2구멍에 각각 삽입되는 제1, 2핀; 및 상기 제1, 2구멍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2장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2장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공에는 상기 제1, 2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핀이 위치하되, 상기 제1, 2핀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보조붐이 상기 메인붐으로부터 틸팅된 채 고정되어 상기 메인붐과 상기 보조붐 사이의 각도가 변화되고, 상기 제1, 2장공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 2구멍 사이의 이격거리와 동일하고, 상기 제1, 2장공의 너비는 상기 제1구멍의 지름, 상기 제2구멍의 지름 및 상기 제1, 2구멍 사이의 이격거리의 합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1, 2장공의 일측 및 타측의 곡률은 상기 제1, 2구멍의 곡률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메인붐과 상기 보조붐을 연결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그 타단이 상기 메인붐 및 상기 보조붐 중 어느 하나에 힌지 결합되는 제1연결부; 및 그 타단이 상기 메인붐 및 상기 보조붐 중 나머지 하나에 힌지 결합되며, 그 일단이 상기 제1연결부의 일단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구멍은 상기 제1연결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2장공은 상기 제2연결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2장공은 아치형 형상을 갖도록 그 중앙이 곡률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2구멍은 상기 메인붐 및 상기 보조붐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2장공은 상기 메인붐 및 상기 보조붐 중 나머지 하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붐 및 상기 보조붐 중 상기 제1, 2장공이 형성된 붐의 일단은 상기 메인붐 및 상기 보조붐 중 상기 제1, 2구멍이 형성된 붐의 일단의 내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붐 조립체는, 메인붐; 상기 메인붐의 일단에 틸팅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보조붐; 및 상기 메인붐과 상기 보조붐을 연결하고, 제1핀 및 제2핀의 위치에 따라 상기 메인붐과 상기 보조붐의 위치를 제1 내지 제3위치로 조절시키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1핀은 제1구멍 및 제1장공의 일측에 삽입되고, 상기 제2핀은 제2구멍 및 상기 제1장공의 타측에 삽입되며,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핀은 상기 제1구멍 및 상기 제1장공의 타측에 삽입되고, 상기 제2핀은 상기 제2구멍 및 제2장공의 일측에 삽입되며, 상기 제3위치에서, 상기 제1핀은 상기 제1구멍 및 상기 제2장공의 일측에 삽입되고, 상기 제2핀은 상기 제2구멍 및 상기 제2장공의 타측에 삽입되며, 상기 제1, 2장공은 상기 제1, 2구멍의 내측에 위치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붐 조립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종래의 붐 조립체와 달리, 보조붐을 별도로 고정시키지 않더라도, 제1핀 또는 제2핀이 보조붐의 틸팅을 제한하므로, 보조붐이 의도치 않게 틸팅되어 작업자가 다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1핀 및 제1장공 또는 제2핀 및 제2장공이 보조붐의 틸팅을 가이드하므로, 보조붐의 틸팅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조붐의 무게가 무겁더라도 작업자가 손쉽게 틸팅 및 고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붐 조립체의 틸팅 과정을 도시한 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붐 조립체의 틸팅 과정을 도시한 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붐 조립체의 제1연결부를 도시한 도.
도 7(b)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붐 조립체의 제2연결부를 도시한 도.
도 7(c)는 도 7(a)의 제1연결부와 도 7(b)의 제2연결부가 연결된 각도조절부를 도시한 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붐 조립체의 틸팅 과정을 도시한 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붐 조립체의 메인붐을 도시한 도.
도 11(b)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붐 조립체의 보조붐을 도시한 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한 도면들과 함께 상세히 후술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 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 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실시 예가 다르더라도 편의상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또한, 이미 다른 실시 예에서 설명된 구성 및 작동에 대해서는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붐 조립체(10)
이하, 도 4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붐 조립체(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붐 조립체의 틸팅 과정을 도시한 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붐 조립체의 제1연결부를 도시한 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붐 조립체의 제2연결부를 도시한 도이고, 도 7(c)는 도 7(a)의 제1연결부와 도 7(b)의 제2연결부가 연결된 각도조절부를 도시한 도이다.
도 4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붐 조립체(10)는,
메인붐(110);과, 메인붐(110)의 일단에 틸팅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보조붐(120);과,메인붐(110)과 보조붐(120)을 연결하고, 제1핀(310) 및 제2핀(320)의 위치에 따라 메인붐(110)과 보조붐(120)의 위치를 제1 내지 제3위치로 조절시키는 각도조절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인붐(110)과 보조붐(120)이 상호 연결되는 단부는 메인붐(110)의 일단 및 보조붐(120)의 일단이다. 따라서, 메인붐(110)의 일단와 보조붐(120)의 일단는 서로 마주본다.
메인붐(110)의 타단은 크레인(미도시)의 데릭실린더(미도시)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보조붐(120)은 메인붐(110)에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며, 보조붐(120) 타단에는 화물을 인양하는 후크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메인붐(110)의 일단에는 보조붐(120)의 일단이 틸팅 가능하게 연결된다.
메인붐(110)의 일단과 보조붐(120)의 일단은 힌지축(13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메인붐(110)과 보조붐(120)은 힌지축(130)을 기준으로 틸팅된다.
힌지축(130)은 메인붐(110)의 일단의 하부 및 보조붐(120)의 일단의 하부에 위치한다.
메인붐(110)의 일단에는 메인붐(110)의 일단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진 제1경사부(1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보조붐(120)의 일단에는 보조붐(120)의 일단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진 제2경사부(121 )가 구비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200)는 메인붐(110)과 보조붐(120)을 연결하며, 그 타단이 메인붐(110) 및 보조붐(120) 중 어느 하나에 힌지 결합되는 제1연결부(210);와, 그 타단이 메인붐(110) 및 보조붐 중 나머지 하나에 힌지 결합되며, 그 일단이 상기 제1연결부의 일단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연결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연결부(210)와 제2연결부(220)가 상호 연결되는 단부는 제1연결부(210)의 일단 및 제2연결부(220)의 일단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연결부(210)의 타단이 보조붐(120)에 연결되고, 제2연결부(220)의 타단이 메인붐(110)에 연결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1연결부(210)의 타단은 보조붐(120)의 일단의 상부에 구비된 제1연결축(215)에 의해 보조붐(120)의 일단과 연결된다.
제1연결부(210)는 제1연결축(215)에 의해 보조붐(120)에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제1연결부(210)는 제1연결축(215)을 기준으로 보조붐(120)으로부터 틸팅 가능하다.
제2연결부(220)의 타단은 메인붐(110)의 일단의 상부에 구비된 제2연결축(225)에 의해 메인붐(110)의 일단과 연결된다.
제2연결부(220)는 제2연결축(225)에 의해 메인붐(110)에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제2연결부(220)는 제2연결축(225)을 기준으로 메인붐(110)으로부터 틸팅 가능하다.
제2연결부(220)의 일단은 제1연결부(210)의 일단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제1연결부(210)와 제2연결부(220)가 상호 연결된다.
위와 같이, 제2연결부(220)의 일단이 제1연결부(210)의 일단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메인붐(110)과 보조붐(120)의 틸팅 각도에 따라, 각도조절부(200), 즉, 제1연결부(210) 및 제2연결부(220)의 길이가 신장되거나 축소된다.
제1연결부(210)에는 제1구멍(211) 및 제2구멍(212)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제2연결부(220)에는 제1장공(221) 및 제2구멍(212)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연결부(220)의 일단이 제1연결부(210)의 일단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제1장공(221) 및 제2장공(222)은 제1구멍(211) 및 제2구멍(212)의 내측에 위치한다.
제1핀(310)은 제1구멍(211)에 삽입되고, 제2핀(320)은 제2구멍(212)에 삽입된다.
제1, 2장공(221, 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공에는 제1, 2핀(310, 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핀이 위치하되, 제1, 2핀(310, 320)의 위치에 따라 보조붐(120)이 메인붐(110)으로부터 틸팅된 채 고정되어 메인붐(110)과 보조붐(120) 사이의 각도가 변화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조붐(120)의 틸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제1위치에서의 붐 조립체(10)를 도시한 도이고, 도 5는 제2위치에서의 붐 조립체(10)를 도시한 도이고, 도 6은 제3위치에서의 붐 조립체(10)를 도시한 도이다.
이하, 제1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는 메인붐(110)과 보조붐(120)의 사잇각이 180°가 되도록 보조붐(120)이 메인붐(110)으로부터 틸팅되지 않은 상태이다.
제1위치에서 제1핀(310)은 제1구멍(211) 및 제1장공(221)의 일측에 삽입되고, 제2핀(320)은 제2구멍(212) 및 제1장공(221)의 타측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위치에서 제1연결부(210)는 제2연결부(220)의 내측에 최대로 삽입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각도조절부(200)의 길이는 가장 짧게 축소되어 있다.
제1구멍(211)과 제2구멍(212)은 제1장공(221)의 외측에 위치하여 있다. 상세하게는, 제1구멍(211)은 제1장공(221)의 일측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2구멍(212)은 제1장공(221)의 타측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1장공(221)의 좌우 너비는 제1구멍(211)의 지름, 제2구멍(212)의 지름 및 제1, 2구멍(211, 212) 사이의 좌우 이격거리의 합과 동일하다.
즉, 제1장공(221), 제1구멍(211) 및 제2구멍(212)은, '제1장공(221)의 좌우 너비 = 제1구멍(211)의 지름 + 제2구멍(212)의 지름 + 제1, 2구멍(211, 212) 사이의 좌우 이격거리' 관계를 만족한다.
제1장공(221), 제1구멍(211) 및 제2구멍(212)이 위와 같은 관계를 만족함에 따라 제1구멍(211) 및 제2구멍(212)이 제1장공(221)의 외측에 위치해 있을때, 제1구멍(211)에 제1핀(310)이 삽입되면 제1핀(310)은 제1장공(221)의 일측에도 삽입되고, 제2구멍(212)에 제2핀(320)이 삽입되면 제2핀(320)은 제1장공(221)의 타측에도 삽입된다. 이 경우, 제1핀(310)은 그 일측이 제1장공(221)의 일측의 일측 단부에 닿게 되고, 제2핀(320)은 그 타측이 제1장공(221)의 타측의 타측 단부에 닿게 된다.
즉, 제1핀(310)과 제2핀(320)은 제1장공(221)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 꽉 차게 끼어 맞아 삽입되는 것이다.
이 경우, 제1장공(221)의 일측 및 제1장공(221)의 타측의 곡률은 제1구멍(211) 및 제2구멍(212)의 곡률과 동일하다.
위와 같이, 제1핀(310)이 제1구멍(211) 및 제1장공(221)의 일측에 삽입되고, 제2핀(320)이 제2구멍(212) 및 제1장공(221)의 타측에 삽입됨에 따라, 각도조절부(200)의 축소된 상태가 유지되며, 메인붐(110)과 보조붐(120)의 제1위치로 고정된 채 유지될 수 있다.
이하, 제2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는 메인붐(110)과 보조붐(120)의 사잇각이 제1위치에서의 메인붐(110)과 보조붐(120)의 사잇각보다 작은 각도가 되도록 보조붐(120)이 메인붐(110)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하향 틸팅된 상태이다.
제2위치에서 제1핀(310)은 제1구멍(211) 및 제1장공(221)의 타측에 삽입되고, 제2핀(320)은 제2구멍(212) 및 제2장공(222)의 일측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2위치에서는 제1위치에서보다 제2연결부(220)의 일부가 제1연결부(210)의 내측으로부터 빠져있는 상태이고, 각도조절부(200)의 길이는 제1위치에서보다 길게 신장되어 있다. 보조붐(120) 또한, 힌지축(130)을 기준으로 메인붐(110)으로부터 하향으로 틸팅되어 있는 상태이다.
제1구멍(211)과 제2구멍(212)은 제1장공(221)과 제2장공(222)의 외측에 위치하여 있다. 상세하게는, 제1구멍(211)은 제1장공(221)의 타측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2구멍(212)은 제2장공(222)의 일측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1, 2장공(221, 222) 사이의 좌우 이격거리는 제1, 2구멍(211, 212) 사이의 좌우 이격거리와 동일하다. 즉, 제1장공(221), 제2장공(222), 제1구멍(211) 및 제2구멍(212)은 '제1, 2장공(221, 222) 사이의 좌우 이격거리 = 제1, 2구멍(211, 212) 사이의 좌우 이격거리' 관계를 만족한다.
따라서, 제1구멍(211) 및 제1장공(221)의 타측에 삽입된 제1핀(310)의 타측은 제1장공(221)의 타측의 타측 단부에 닿게 된다. 또한, 제2구멍(212) 및 제2장공(222)의 일측에 삽입된 제2핀(320)의 일측은 제2장공(222)의 일측의 일측 단부에 닿게 된다.
즉, 제1핀(310)과 제2핀(320)은 제1장공(221)의 타측 및 제2장공(222)의 일측 각각에 꽉 차게 끼어 맞아 삽입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제1핀(310)이 제1구멍(211) 및 제1장공(221)의 타측에 삽입되고, 제2핀(320)이 제2구멍(212) 및 제1장공(221)의 타측에 삽입됨에 따라, 각도조절부(200)의 신장이 유지되어 메인붐(110)과 보조붐(120)의 제2위치가 고정된 채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제1, 2장공(221, 222) 사이의 좌우 이격거리와 제1, 2구멍(211, 212) 사이의 좌우 이격거리가 동일함에 따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틸팅시킬 때, 별도의 고정 없이 손쉽게 틸팅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의 제1위치에서 도 5의 제2위치로 틸팅할 때, 먼저, 제2핀(320)을 제2구멍(212)에서 빼게 된다.
이 후, 보조붐(120)을 메인붐(110)으로부터 하향으로 틸팅시키게 되면, 제1핀(310)은 제1장공(221)의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핀(310)의 타측이 제1장공(221)의 타측의 타측 단부에 닿게 된다. 다시 말해, 보조붐(120)은 제1핀(310)의 타측이 제1장공(221)의 타측의 타측 단부에 닿을 때까지 하향으로 틸팅되게 된다.
이처럼, 제1장공(221)의 타측의 타측 단부에 제1핀(310)의 타측이 닿게 됨에 따라, 별도의 고정 장치 없이도, 보조붐(120)의 틸팅이 멈추어지게 된다.
이 후, 제2핀(320)을 제2구멍(212)에 삽입하게 되면, 제1, 2장공(221, 222) 사이의 좌우 이격거리와 제1, 2구멍(211, 212) 사이의 좌우 이격거리가 동일하므로, 제2핀(320)은 제2장공(222)의 일측에 삽입되게 된다.
제2핀(320)이 제2구멍(212) 및 제2장공(222)의 일측에 삽입됨에 따라, 붐 조립체(10)는 제2위치에 고정된채 유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2핀(320)을 제2구멍(212)으로부터 뺀 후, 보조붐(120)을 틸팅하고 다시 제2핀(320)을 제2구멍(212)에 삽입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고정 장치 없이 손쉽게 제2위치로의 틸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제3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위치는 메인붐(110)과 보조붐(120)의 사잇각이 제2위치에서의 메인붐(110)과 보조붐(120)의 사잇각보다 작은 각도가 되도록 보조붐(120)이 메인붐(110)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하향 틸팅된 상태이다.
제3위치에서 제1핀(310)은 제1구멍(211) 및 제2장공(222)의 일측에 삽입되고, 제2핀(320)은 제2구멍(212) 및 제2장공(222)의 타측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3위치에서는 제2위치에서보다 제2연결부(220)가 제1연결부(210)의 내측으로부터 빠져있는 상태이고, 각도조절부(200)의 길이는 최대로 신장되어 있다. 보조붐(120) 또한, 제2위치에서보다 힌지축(130)을 기준으로 메인붐(110)으로부터 하향으로 틸팅되어 있는 상태이다.
제1구멍(211)과 제2구멍(212)은 제2장공(222)의 외측에 위치하여 있다. 상세하게는, 제1구멍(211)은 제2장공(222)의 일측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2구멍(212)은 제2장공(222)의 타측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2장공(222)의 좌우 너비는 제1구멍(211)의 지름, 제2구멍(212)의 지름 및 제1, 2구멍(211, 212) 사이의 좌우 이격거리의 합과 동일하다.
즉, 제2장공(222), 제1구멍(211) 및 제2구멍(212)은, '제2장공(222)의 좌우 너비 = 제1구멍(211)의 지름 + 제2구멍(212)의 지름 + 제1, 2구멍(211, 212) 사이의 좌우 이격거리' 관계를 만족한다.
제2장공(222), 제1구멍(211) 및 제2구멍(212)이 위와 같은 관계를 만족함에 따라 제1구멍(211) 및 제2구멍(212)이 제2장공(222)의 외측에 위치해 있을때, 제1구멍(211)에 제1핀(310)이 삽입되면 제1핀(310)은 제2장공(222)의 일측에도 삽입되고, 제2구멍(212)에 제2핀(320)이 삽입되면 제2핀(320)은 제2장공(222)의 타측에도 삽입된다. 이 경우, 제1핀(310)은 그 일측이 제2장공(222)의 일측의 일측 단부에 닿게 되고, 제2핀(320)은 그 타측이 제2장공(222)의 타측의 타측 단부에 닿게 된다.
즉, 제1핀(310)과 제2핀(320)은 제2장공(222)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 꽉 차게 끼어 맞아 삽입되는 것이다.
이 경우, 제2장공(222)의 일측 및 제2장공(222)의 타측의 곡률은 제1구멍(211) 및 제2구멍(212)의 곡률과 동일하다.
위와 같이, 제1핀(310)이 제1구멍(211) 및 제2장공(222)의 일측에 삽입되고, 제2핀(320)이 제2구멍(212) 및 제2장공(222)의 타측에 삽입됨에 따라, 각도조절부(200)의 신장이 유지되며, 메인붐(110)과 보조붐(120)이 제3위치로 고정된 채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제2장공(222)의 좌우 너비는 제1구멍(211)의 지름, 제2구멍(212)의 지름 및 제1, 2구멍(211, 212) 사이의 좌우 이격거리의 합과 동일함에 따라, 제2위치에서 제3위치로 틸팅시킬 때, 별도의 고정 없이 손쉽게 틸팅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5의 제2위치에서 도 6의 제3위치로 틸팅할 때, 먼저, 제1핀(310)을 제1구멍(211)에서 빼게 된다.
이 후, 보조붐(120)을 메인붐(110)으로부터 하향으로 틸팅시키게 되면, 제2핀(320)은 제2장공(222)의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핀(320)의 타측이 제2장공(222)의 타측의 타측 단부에 닿게 된다. 다시 말해, 보조붐(120)은 제2핀(320)의 타측이 제2장공(222)의 타측의 타측 단부에 닿을 때까지 하향으로 틸팅되게 된다.
이처럼, 제2장공(222)의 타측의 타측 단부에 제2핀(320)의 타측이 닿게 됨에 따라, 별도의 고정 장치 없이도, 보조붐(120)의 틸팅이 멈추어지게 된다.
이 후, 제1핀(310)을 제1구멍(211)에 삽입하게 되면, 제2장공(222)의 좌우 너비는 제1구멍(211)의 지름, 제2구멍(212)의 지름 및 제1, 2구멍(211, 212) 사이의 좌우 이격거리의 합과 동일하므로, 제1핀(310)의 일측은 제2장공(222)의 일측의 일측 단부에 닿게 된다.
따라서, 제1핀(310)이 제1구멍(211) 및 제2장공(222)의 일측에 삽입됨에 따라, 붐 조립체(10)는 제3위치에 고정된 채 유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1핀(310)을 제1구멍(211)으'로부터 뺀 후, 보조붐(120)을 틸팅하고 다시 제1핀(310)을 제1구멍(211)에 삽입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고정 장치 없이 손쉽게 제2위치로의 틸팅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붐 조립체(10)는 종래의 붐 조립체와 달리, 제1핀(310) 또는 제2핀(320)을 빼냈다가 다시 삽입함으로써, 쉽고 안전하게 보조붐(120)의 틸팅 및 고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1핀(310) 또는 제2핀(320)을 재삽입시 보조붐(120)이 고정되지 않아 원치 않는 보조붐(120)의 틸팅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가 다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붐 조립체(10')
이하, 도 8 내지 도 1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붐 조립체(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붐 조립체의 틸팅 과정을 도시한 도이고, 도 11(a)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붐 조립체의 메인붐을 도시한 도이고, 도 11(b)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붐 조립체의 보조붐을 도시한 도이다.
도 8 내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붐 조립체(10')는, 메인붐(110');과, 메인붐(110')의 일단에 틸팅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보조붐(120');과, 제1, 2구멍(211', 212')에 각각 삽입되는 제1, 2핀(310, 320)과; 제1, 2구멍(211', 212')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2장공(221', 2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붐 조립체(1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붐 조립체(10)와 비교하여, 별도의 각도조절부가 구비되지 않고, 메인붐(110') 및 보조붐(120')에 제1, 2구멍(211', 212') 및 제1, 2장공(221', 222')이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2구멍(211', 212')은 메인붐(110') 및 보조붐(120')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형성되고, 제1, 2장공(221', 222')은 메인붐(110') 및 보조붐(120') 중 나머지 하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메인붐(110') 및 보조붐(120') 중 상기 제1, 2장공(221', 222')이 형성된 붐의 일단은 메인붐(110') 및 보조붐(120') 중 제1, 2구멍(211', 212')이 형성된 붐의 일단의 내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2구멍(211', 212')이 메인붐(110')에 형성되고, 제1, 2장공(221', 222')이 보조붐(120')에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메인붐(110')의 일단에는 보조붐(120')의 일단이 연결된다.
메인붐(110')과 보조붐(120')은 힌지축(130')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보조붐(120')은 메인붐(110')을 기준으로 틸팅 가능하다.
메인붐(110')에 형성된 제1, 2구멍(211', 212')의 내측에 보조붐(120')에 형성된 제1, 2장공(221', 222')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보조붐(120')의 일단은 메인붐(110')의 일단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즉, 메인붐(110')은 보조붐(120')의 양측에 배치되게 되며, 보조붐(120')은 양측에 구비된 메인붐(110')들 사이에 개재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1, 2장공(221', 222')은 아치형 형상을 갖도록 그 중앙이 곡률지게 형성된다.
제1핀(310) 또는 제2핀(320)이 제1장공(221') 또는 제2장공(222')에 가이드 되므로, 제1, 2장공(221', 222')의 곡률은 보조붐(120')의 틸팅 곡률과 동일하다.
제1, 2구멍(211', 212')은 메인붐(110')에서 보조붐(120')의 틸팅 곡률에 대응되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 2장공(221', 222')은 보조붐(120')에서 보조붐(120')의 틸팅 곡률에 대응되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 2장공(221', 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공에는 제1, 2핀(310, 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핀이 위치하되, 제1, 2핀(310, 320)의 위치에 따라 보조붐(120')이 메인붐(110')으로부터 틸팅된 채 고정되어 메인붐(110')과 보조붐(120') 사이의 각도가 변화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붐 조립체(10')의 보조붐(120')의 틸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는 제1위치에서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붐 조립체(10')를 도시한 도이고, 도 9는 제2위치에서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붐 조립체(10')를 도시한 도이고, 도 10은 제3위치에서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붐 조립체(10')를 도시한 도이다.
이하, 제1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는 메인붐(110')과 보조붐(120')의 사잇각이 180°가 되도록 보조붐(120')이 메인붐(110')으로부터 틸팅되지 않은 상태이다.
제1위치에서 제1핀(310)은 제1구멍(211') 및 제1장공(221')의 일측에 삽입되고, 제2핀(320)은 제2구멍(212') 및 제1장공(221')의 타측에 삽입된다.
제1구멍(211')과 제2구멍(212')은 제1장공(221')의 외측에 위치하여 있다. 상세하게는, 제1구멍(211')은 제1장공(221')의 일측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2구멍(212')은 제1장공(221')의 타측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1장공(221')의 너비는 제1구멍(211')의 지름, 제2구멍(212')의 지름 및 제1, 2구멍(211', 212') 사이의 이격거리의 합과 동일하다.
즉, 제1장공(221'), 제1구멍(211') 및 제2구멍(212')은, '제1장공(221')의 너비 = 제1구멍(211')의 지름 + 제2구멍(212')의 지름 + 제1, 2구멍(211', 212') 사이의 이격거리' 관계를 만족한다.
제1장공(221'), 제1구멍(211') 및 제2구멍(212')이 위와 같은 관계를 만족함에 따라 제1구멍(211') 및 제2구멍(212')이 제1장공(221')의 외측에 위치해 있을때, 제1구멍(211')에 제1핀(310)이 삽입되면 제1핀(310)은 제1장공(221')의 일측에도 삽입되고, 제2구멍(212')에 제2핀(320)이 삽입되면 제2핀(320)은 제1장공(221')의 타측에도 삽입된다. 이 경우, 제1핀(310)은 그 일측이 제1장공(221')의 일측의 일측 단부에 닿게 되고, 제2핀(320)은 그 타측이 제1장공(221')의 타측의 타측 단부에 닿게 된다.
즉, 제1핀(310)과 제2핀(320)은 제1장공(221')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 꽉 차게 끼어맞아 삽입되는 것이다.
이 경우, 제1장공(221')의 일측 및 제1장공(221')의 타측의 곡률은 제1구멍(211') 및 제2구멍(212')의 곡률과 동일하다.
위와 같이, 제1핀(310)이 제1구멍(211') 및 제1장공(221')의 일측에 삽입되고, 제2핀(320)이 제2구멍(212') 및 제1장공(221')의 타측에 삽입됨에 따라, 메인붐(110')과 보조붐(120')의 제1위치로 고정된 채 유지될 수 있다.
이하, 제2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는 메인붐(110')과 보조붐(120')의 사잇각이 제1위치에서의 메인붐(110')과 보조붐(120')의 사잇각보다 작은 각도가 되도록 보조붐(120')이 메인붐(110')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하향 틸팅된 상태이다.
제2위치에서 제1핀(310)은 제1구멍(211') 및 제1장공(221')의 타측에 삽입되고, 제2핀(320)은 제2구멍(212') 및 제2장공(222')의 일측에 삽입된다.
보조붐(120')은 힌지축(130')을 기준으로 메인붐(110')으로부터 하향으로 틸팅되어 있는 상태이다.
제1구멍(211')과 제2구멍(212')은 제1장공(221')과 제2장공(222')의 외측에 위치하여 있다. 상세하게는, 제1구멍(211')은 제1장공(221')의 타측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2구멍(212')은 제2장공(222')의 일측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1, 2장공(221', 222') 사이의 이격거리는 제1, 2구멍(211', 212') 사이의 이격거리와 동일하다. 즉, 제1장공(221'), 제2장공(222'), 제1구멍(211') 및 제2구멍(212')은 '제1, 2장공(221', 222') 사이의 이격거리 = 제1, 2구멍(211', 212') 사이의 이격거리' 관계를 만족한다.
따라서, 제1구멍(211') 및 제1장공(221')의 타측에 삽입된 제1핀(310)의 타측은 제1장공(221')의 타측의 타측 단부에 닿게 된다. 또한, 제2구멍(212') 및 제2장공(222')의 일측에 삽입된 제2핀(320)의 일측은 제2장공(222')의 일측의 일측 단부에 닿게 된다.
즉, 제1핀(310)과 제2핀(320)은 제1장공(221')의 타측 및 제2장공(222')의 일측 각각에 꽉 차게 끼어 맞아 삽입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제1핀(310)이 제1구멍(211') 및 제1장공(221')의 타측에 삽입되고, 제2핀(320)이 제2구멍(212') 및 제1장공(221')의 타측에 삽입됨에 따라, 메인붐(110')과 보조붐(120')의 제2위치가 고정된 채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제1, 2장공(221', 222') 사이의 이격거리와 제1, 2구멍(211', 212') 사이의 이격거리가 동일함에 따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틸팅시킬 때, 별도의 고정 없이 손쉽게 틸팅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8의 제1위치에서 도 9의 제2위치로 틸팅할 때, 먼저, 제2핀(320)을 제2구멍(212')에서 빼게 된다.
이 후, 보조붐(120')을 메인붐(110')으로부터 하향으로 틸팅시키게 되면, 제1핀(310)은 제1장공(221')의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핀(310)의 타측이 제1장공(221')의 타측의 타측 단부에 닿게 된다. 다시 말해, 보조붐(120')은 제1핀(310)의 타측이 제1장공(221')의 타측의 타측 단부에 닿을 때까지 하향으로 틸팅되게 된다.
이처럼, 제1장공(221')의 타측의 타측 단부에 제1핀(310)의 타측이 닿게 됨에 따라, 별도의 고정 장치 없이도, 보조붐(120')의 틸팅이 멈추어지게 된다.
이 후, 제2핀(320)을 제2구멍(212')에 삽입하게 되면, 제1, 2장공(221', 222') 사이의 이격거리와 제1, 2구멍(211', 212') 사이의 이격거리가 동일하므로, 제2핀(320)은 제2장공(222')의 일측에 삽입되게 된다.
제2핀(320)이 제2구멍(212') 및 제2장공(222')의 일측에 삽입됨에 따라, 붐 조립체(10)는 제2위치에 고정된채 유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2핀(320)을 제2구멍(212')으로부터 뺀 후, 보조붐(120')을 틸팅하고 다시 제2핀(320)을 제2구멍(212')에 삽입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고정 장치 없이 손쉽게 제2위치로의 틸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제3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위치는 메인붐(110')과 보조붐(120')의 사잇각이 제2위치에서의 메인붐(110')과 보조붐(120')의 사잇각보다 작은 각도가 되도록 보조붐(120')이 메인붐(110')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하향 틸팅된 상태이다.
제3위치에서 제1핀(310)은 제1구멍(211') 및 제2장공(222')의 일측에 삽입되고, 제2핀(320)은 제2구멍(212') 및 제2장공(222')의 타측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3위치에서는 보조붐(120')이 제2위치에서보다 힌지축(130')을 기준으로 메인붐(110')으로부터 하향으로 틸팅되어 있는 상태이다.
제1구멍(211')과 제2구멍(212')은 제2장공(222')의 외측에 위치하여 있다. 상세하게는, 제1구멍(211')은 제2장공(222')의 일측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2구멍(212')은 제2장공(222')의 타측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2장공(222')의 너비는 제1구멍(211')의 지름, 제2구멍(212')의 지름 및 제1, 2구멍(211', 212') 사이의 이격거리의 합과 동일하다.
즉, 제2장공(222'), 제1구멍(211') 및 제2구멍(212')은, '제2장공(222')의 너비 = 제1구멍(211')의 지름 + 제2구멍(212')의 지름 + 제1, 2구멍(211', 212') 사이의 이격거리' 관계를 만족한다.
제2장공(222'), 제1구멍(211') 및 제2구멍(212')이 위와 같은 관계를 만족함에 따라 제1구멍(211') 및 제2구멍(212')이 제2장공(222')의 외측에 위치해 있을때, 제1구멍(211')에 제1핀(310)이 삽입되면 제1핀(310)은 제2장공(222')의 일측에도 삽입되고, 제2구멍(212')에 제2핀(320)이 삽입되면 제2핀(320)은 제2장공(222')의 타측에도 삽입된다. 이 경우, 제1핀(310)은 그 일측이 제2장공(222')의 일측의 일측 단부에 닿게 되고, 제2핀(320)은 그 타측이 제2장공(222')의 타측의 타측 단부에 닿게 된다.
즉, 제1핀(310)과 제2핀(320)은 제2장공(222')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 꽉 차게 끼어맞아 삽입되는 것이다.
이 경우, 제2장공(222')의 일측 및 제2장공(222')의 타측의 곡률은 제1구멍(211') 및 제2구멍(212')의 곡률과 동일하다.
위와 같이, 제1핀(310)이 제1구멍(211') 및 제2장공(222')의 일측에 삽입되고, 제2핀(320)이 제2구멍(212') 및 제2장공(222')의 타측에 삽입됨에 따라, 각도조절부(200)의 신장이 유지되며, 메인붐(110')과 보조붐(120')이 제3위치로 고정된 채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제2장공(222')의 좌우 너비는 제1구멍(211')의 지름, 제2구멍(212')의 지름 및 제1, 2구멍(211', 212') 사이의 이격거리의 합과 동일함에 따라, 제2위치에서 제3위치로 틸팅시킬 때, 별도의 고정 없이 손쉽게 틸팅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9의 제2위치에서 도 10의 제3위치로 틸팅할 때, 먼저, 제1핀(310)을 제1구멍(211')에서 빼게 된다.
이 후, 보조붐(120')을 메인붐(110')으로부터 하향으로 틸팅시키게 되면, 제2핀(320)은 제2장공(222')의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핀(320)의 타측이 제2장공(222')의 타측의 타측 단부에 닿게 된다. 다시 말해, 보조붐(120')은 제2핀(320)의 타측이 제2장공(222')의 타측의 타측 단부에 닿을 때까지 하향으로 틸팅되게 된다.
이처럼, 제2장공(222')의 타측의 타측 단부에 제2핀(320)의 타측이 닿게 됨에 따라, 별도의 고정 장치 없이도, 보조붐(120')의 틸팅이 멈추어지게 된다.
이 후, 제1핀(310)을 제1구멍(211')에 삽입하게 되면, 제2장공(222')의 너비는 제1구멍(211')의 지름, 제2구멍(212')의 지름 및 제1, 2구멍(211', 212') 사이의 이격거리의 합과 동일하므로, 제1핀(310)의 일측은 제2장공(222')의 일측의 일측 단부에 닿게 된다.
따라서, 제1핀(310)이 제1구멍(211') 및 제2장공(222')의 일측에 삽입됨에 따라, 붐 조립체(10)는 제3위치에 고정된 채 유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1핀(310)을 제1구멍(211')으로부터 뺀 후, 보조붐(120')을 틸팅하고 다시 제1핀(310)을 제1구멍(211')에 삽입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고정 장치 없이 손쉽게 제2위치로의 틸팅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붐 조립체(10') 또한, 종래의 붐 조립체와 달리, 제1핀(310) 또는 제2핀(320)을 빼냈다가 다시 삽입함으로써, 쉽고 안전하게 보조붐(120')의 틸팅 및 고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1핀(310) 또는 제2핀(320)을 재삽입시 보조붐(120')이 고정되지 않아 원치 않는 보조붐(120')의 틸팅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가 다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붐 조립체(10')는 별도의 각도 조절부 없이도, 붐 조립체(10')의 각도 조절 및 고정이 가능하다.
제1, 2장공(221', 222')이 곡률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2핀(310, 320)을 가이드하게 되므로, 붐 조립체(10')의 틸팅이 더욱 부드럽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붐 조립체
110, 110': 메인붐 111: 제1경사부
120, 120': 보조붐 121: 제2경사부
130, 130': 힌지축
200: 각도조절부 210: 제1연결부
211, 211': 제1구멍 212, 212': 제2구멍
215: 제1연결축 220: 제2연결부
221, 221': 제1장공 222, 222': 제2장공
225: 제2연결축
310: 제1핀 320: 제2핀

Claims (6)

  1. 메인붐;
    상기 메인붐의 일단에 틸팅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보조붐;
    제1, 2구멍에 각각 삽입되는 제1, 2핀; 및
    상기 제1, 2구멍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2장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2장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공에는 상기 제1, 2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핀이 위치하되, 상기 제1, 2핀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보조붐이 상기 메인붐으로부터 틸팅된 채 고정되어 상기 메인붐과 상기 보조붐 사이의 각도가 변화되고,
    상기 제1, 2장공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 2구멍 사이의 이격거리와 동일하고,
    상기 제1, 2장공의 너비는 상기 제1구멍의 지름, 상기 제2구멍의 지름 및 상기 제1, 2구멍 사이의 이격거리의 합과 동일한, 붐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장공의 일측 및 타측의 곡률은 상기 제1, 2구멍의 곡률과 동일한, 붐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붐과 상기 보조붐을 연결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그 타단이 상기 메인붐 및 상기 보조붐 중 어느 하나에 힌지 결합되는 제1연결부; 및
    그 타단이 상기 메인붐 및 상기 보조붐 중 나머지 하나에 힌지 결합되며, 그 일단이 상기 제1연결부의 일단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구멍은 상기 제1연결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2장공은 상기 제2연결부에 형성되는, 붐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장공은 아치형 형상을 갖도록 그 중앙이 곡률지게 형성되는, 붐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구멍은 상기 메인붐 및 상기 보조붐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2장공은 상기 메인붐 및 상기 보조붐 중 나머지 하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붐 및 상기 보조붐 중 상기 제1, 2장공이 형성된 붐의 일단은 상기 메인붐 및 상기 보조붐 중 상기 제1, 2구멍이 형성된 붐의 일단의 내측에 위치하는, 붐 조립체.
  6. 메인붐;
    상기 메인붐의 일단에 틸팅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보조붐; 및
    상기 메인붐과 상기 보조붐을 연결하고, 제1핀 및 제2핀의 위치에 따라 상기 메인붐과 상기 보조붐의 위치를 제1 내지 제3위치로 조절시키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1핀은 제1구멍 및 제1장공의 일측에 삽입되고, 상기 제2핀은 제2구멍 및 상기 제1장공의 타측에 삽입되며,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핀은 상기 제1구멍 및 상기 제1장공의 타측에 삽입되고, 상기 제2핀은 상기 제2구멍 및 제2장공의 일측에 삽입되며,
    상기 제3위치에서, 상기 제1핀은 상기 제1구멍 및 상기 제2장공의 일측에 삽입되고, 상기 제2핀은 상기 제2구멍 및 상기 제2장공의 타측에 삽입되며,
    상기 제1, 2장공은 상기 제1, 2구멍의 내측에 위치하는, 붐 조립체.
KR1020210106325A 2021-08-11 2021-08-11 붐 조립체 KR102536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325A KR102536513B1 (ko) 2021-08-11 2021-08-11 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325A KR102536513B1 (ko) 2021-08-11 2021-08-11 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496A true KR20230024496A (ko) 2023-02-21
KR102536513B1 KR102536513B1 (ko) 2023-05-30

Family

ID=85328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325A KR102536513B1 (ko) 2021-08-11 2021-08-11 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5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102U (ko) * 1996-07-29 1998-04-30 추호석 크레인의 보조붐 각도 조절장치
KR200336943Y1 (ko) * 2003-09-30 2003-12-31 김판중 학생용 책상의 상판 각도 조절장치
KR20150118819A (ko) * 2014-04-15 2015-10-23 씨에스기계 주식회사 크레인의 보조붐 연결구조
KR20190071312A (ko) *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 호룡 이동식 크레인의 붐각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102U (ko) * 1996-07-29 1998-04-30 추호석 크레인의 보조붐 각도 조절장치
KR200336943Y1 (ko) * 2003-09-30 2003-12-31 김판중 학생용 책상의 상판 각도 조절장치
KR20150118819A (ko) * 2014-04-15 2015-10-23 씨에스기계 주식회사 크레인의 보조붐 연결구조
KR101634798B1 (ko) 2014-04-15 2016-06-29 씨에스기계 주식회사 크레인의 보조붐 연결구조
KR20190071312A (ko) *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 호룡 이동식 크레인의 붐각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513B1 (ko) 202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6743B1 (ko) 2부재 연결장치
EP2960378B1 (en) Pipe supporting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KR102536513B1 (ko) 붐 조립체
US20220205218A1 (en) Coupling structure of construction machine
JP5037050B2 (ja) ブーム付き作業機における伸縮ブーム
CN111372884B (zh) 绳索末端的紧固装置及绳索末端的紧固方法
EP3272694A1 (en) Jib connection structure
US9327948B2 (en) Telescopic boom
US10980684B2 (en) Wheelchair lift with high stability
ES2272935T3 (es) Una grua.
CN110402316B (zh) 连杆延伸部分连接器
JP6413567B2 (ja) ステップを備えた建設機械
KR20200044065A (ko) 작업 기계의 작업 암
KR101942213B1 (ko) 신축 붐의 장착 구조
KR200493001Y1 (ko)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
EP3872022A1 (en) A telescopic boom, and a crane and a vehicle provided with the telescopic boom
KR20060031053A (ko) 굴절식 보조사다리를 구비한 고가사다리
WO2020246577A1 (ja) 伸縮ブーム及び作業機
US20240059532A1 (en) Arrangement with a good having an opening and with a lifting end piece and related lifting end piece
CN218145340U (zh) 吊装带辅助装置
WO2018052051A1 (ja) クレーン
JP3065560B2 (ja) 建設機械のピン結合装置
JP2018065656A (ja) 着脱機構
EP4186850B1 (en) Telescopic arm
KR20190129344A (ko) 맨홀용 안전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