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001Y1 -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001Y1
KR200493001Y1 KR2020200001254U KR20200001254U KR200493001Y1 KR 200493001 Y1 KR200493001 Y1 KR 200493001Y1 KR 2020200001254 U KR2020200001254 U KR 2020200001254U KR 20200001254 U KR20200001254 U KR 20200001254U KR 200493001 Y1 KR200493001 Y1 KR 2004930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member
rail frame
opening
bridg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2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효순
안혜진
Original Assignee
진효순
안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효순, 안혜진 filed Critical 진효순
Priority to KR20202000012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0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0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0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연결고리부에 당김력이 작용시 이탈방지가압부가 롤러부를 레일프레임의 개구부에서 이탈 방지시킴으로써, 교량을 점검하는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예방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는 일측으로 개방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레일프레임과, 상기 레일프레임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레일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개구부로 돌출 배치되는 지지축부를 구비하는 롤러부와, 상기 지지축부의 단부에 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안전로프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고리부 및 상기 연결고리부에 연동되도록 상기 지지축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고리부가 설정된 힘 이상의 외력으로 당김 작용시 상기 롤러부가 상기 개구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BRIDGE INSPECTION}
본 고안은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고리부에 당김력이 작용시 이탈방지가압부가 롤러부를 레일프레임의 개구부에서 이탈 방지시킴으로써, 교량을 점검하는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예방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고소작업 및 신설되는 교량공사 또는 신설된 교량 및 기존교량은 주기적인 점검과 유지관리를 위해 교각의 상부 둘레 또는 교량의 하부에 교량 점검로가 설치된다.
이러한 교량 점검로를 따라 작업자가 교량을 점검하고 보수할 때에 교량 점검로의 바닥 플레이트 노후 또는 강풍이나 수위 범람으로 인한 추락 및 작업자의 실수와 부주의로 인한 실족 등으로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최근에는 교량 점검로에 수직지지대에 지지된 핸드레일을 설치하고, 고리 형태의 안전고리가 구비된 안전로프를 작업자의 몸에 연결한 상태에서 안전고리를 핸드레일에 걸어줌으로써,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작업자의 추락시 작업자의 하중과 충격에 의해 안전로프가 연결된 핸드레일이 휘거나 파손되어 안전로프의 기능이 상실됨으로써, 작업자가 바닥으로 추락하는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고리를 핸드레일에 걸고 이동시 수직지지대에 안전고리가 걸려 수직지지대가 설치된 부분마다 안전고리를 풀고 다시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4412호(2011.03.16. 등록, 명칭: 교량 점검통로용 안전장치)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연결고리부에 당김력이 작용시 이탈방지가압부가 롤러부를 레일프레임의 개구부에서 이탈 방지시킴으로써, 교량을 점검하는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예방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는 일측으로 개방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레일프레임과, 상기 레일프레임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레일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개구부로 돌출 배치되는 지지축부를 구비하는 롤러부와, 상기 지지축부의 단부에 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안전로프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고리부 및 상기 연결고리부에 연동되도록 상기 지지축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고리부가 설정된 힘 이상의 외력으로 당김 작용시 상기 롤러부가 상기 개구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가압부는 상기 지지축부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연결축부와, 상기 연결축부에 한 쌍이 교차 배치되도록 끼워지고, 상기 연결축부를 기준으로 대응되는 가장자리가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링크부재와, 상기 회동링크부재에서 상기 가이드부 측에 해당되는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링크부재의 회동시 상기 가이드부를 가압 가능하게 파지하는 파지축부 및 상기 회동링크부재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연결고리부를 지지하며, 상기 연결고리부가 설정된 힘 이상의 외력으로 당겨짐시 상기 회동링크부재를 회동시키는 회동작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작동부는 상기 회동링크부재에 힌지 연결되는 연동링크부재 및 상기 연동링크부재에 고정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연결고리부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축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축부에는 상기 회동링크부재와 상기 연동링크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한 쌍의 커버부재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회동링크부재의 둘레면에 걸림 가능하게 파단되는 파단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레일프레임은 고정결합부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고정결합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프레임을 수용하는 슬리브와, 상기 레일프레임의 상측에 축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레일홈부와, 상기 레일홈부에 슬라이드 삽입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고정너트에 체결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슬리브에 관통 삽입되는 전산볼트 및 상기 고정브라켓에 안착되도록 상기 전산볼트에 체결되어 조임력으로 상기 전산볼트를 지지하는 지지너트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는 연결고리부에 당김력이 작용시 이탈방지가압부가 롤러부를 레일프레임의 개구부에서 이탈 방지시키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작업자의 이동 경로를 따라 함께 이동되고, 작업자가 교량 작업 또는 교량 안전점검 도중 부주의로 인해 실족하더라도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가 고정브라켓에 지지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에서 파지축부가 가이드부를 파지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에서 파지축부를 가이드부보다 낮은 위치로 배치시킨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에서 이탈방지가압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에서 고정브라켓에 지지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에 안전로프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가 고정브라켓에 지지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에서 파지축부가 가이드부를 파지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에서 파지축부를 가이드부보다 낮은 위치로 배치시킨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에서 이탈방지가압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에서 고정브라켓에 지지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에 안전로프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는 레일프레임(10), 롤러부(20), 연결고리부(30) 및 이탈방지가압부(40)를 포함한다.
레일프레임(10)은 일측으로 개방되는 개구부(11)를 형성하고, 개구부(11)의 가장자리에 한 쌍의 가이드부(12)가 형성된다. 이러한 레일프레임(10)은 교량의 교각에 고정 설치된 고정브라켓(B)에 지지되어 롤러부(200)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가이드부(12)는 간격이 탄성적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되어 개구부(11)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레일프레임(10)은 고정결합부(50)에 의해 고정브라켓(B)에 고정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고정결합부(50)는 고정브라켓(B)의 하측에 배치되어 가이드부(12)가 돌출되도록 레일프레임(10)을 수용하는 슬리브(51)와, 레일프레임(10)의 상측에 축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레일홈부(52)와, 레일홈부(52)에 슬라이드 삽입되는 고정너트(53)와, 고정너트(53)에 체결되도록 고정브라켓(B)과 슬리브(51)에 관통 삽입되는 전산볼트(54) 및 고정브라켓(B)에 안착되도록 전산볼트(21)에 체결되어 조임력으로 전산볼트(54)를 지지하는 지지너트(55)를 포함한다.
이로써, 슬리브(51)는 연결고리부(30)의 당김으로 하중이 개구부(11) 측으로 작용하더라도 레일프레임(10)을 수용한 채 전산볼트(54)에 체결된 고정너트(53)와 지지너트(55)의 조임력에 의해 고정브라켓(B)의 하측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너트(53)가 레일홈부(52)의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레일프레임(10)에 대한 슬리브(51)의 위치를 레일프레임(10)의 길이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롤러부(20)는 레일프레임(10)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레일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개구부(11)로 돌출 배치되는 지지축부(21)를 구비한다. 즉, 롤러부(20)는 안전로프가 연결고리부(30)에 연결된 채 작업자가 레일프레임(10)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 안전로프가 연결고리부(30)를 작업자의 이동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작업자의 동선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된다.
그리고, 연결고리부(30)는 지지축부(21)의 단부에 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안전로프를 지지한다. 이러한 연결고리부(30)는 작업자에게 착용된 안전로프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안전로프에 당김력이 작용하면 이탈방지가압부(4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이탈방지가압부(40)는 연결고리부(30)에 연동되도록 지지축부(21)에 구비되고, 연결고리부(30)가 설정된 힘 이상의 외력으로 당김 작용시 롤러부(20)가 개구부(11)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이를 위해, 이탈방지가압부(40)는 지지축부(21)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연결축부(41)와, 연결축부(41)에 한 쌍이 교차 배치되도록 끼워지고, 연결축부(41)를 기준으로 대응되는 가장자리가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링크부재(42)와, 회동링크부재(42)에서 가이드부(12) 측에 해당되는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회동링크부재(42)의 회동시 가이드부(12)를 가압 가능하게 파지하는 파지축부(43) 및 회동링크부재(42)의 타측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연결고리부(30)를 지지하며, 연결고리부(30)가 설정된 힘 이상의 외력으로 당겨짐시 회동링크부재(42)를 회동시키는 회동작동부(44)를 포함한다.
이때, 회동작동부(44)는 회동링크부재(42)에 힌지 연결되는 연동링크부재(44a) 및 연동링크부재(44a)에 삽입되어 연결고리부(30)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축부(44b)를 포함한다.
즉,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고리부(30)에 설정된 힘 이상의 외력으로 당김력이 작용할 경우, 연동링크부재(44a)는 승강축부(44b)를 지지하는 부위가 하강되고, 회동링크부재(42)와 힌지 연결된 부위의 간격이 좁혀지기 때문에 파지축부(43)가 가이드부(12)를 가압 가능하게 파지하도록 회동링크부재(42)를 회동시킨다.
이로써, 작업자가 교량의 점검로를 점검하는 도중에 부주의로 실족하여 작업자의 하중으로 연결고리부(30)를 당기더라도 파지축부(43)가 회동링크부재(42)의 회동으로 가이드부(12)를 파지하여 개구부(11)의 벌어짐을 방지함으로써, 롤러부(20)는 레일프레임(10)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고리부(30)를 레일프레임(10) 측으로 밀어 연동링크부재(44a)에서 승강축부(44b)를 지지하는 부위를 상승시키면, 회동링크부재(42)와 힌지 연결된 부위의 간격이 벌어져 파지축부(43)가 가이드부(12)보다 낮은 높이로 배치되기 때문에 레일프레임(10)에서 굴곡지게 꺽이는 코너 부위를 롤러부(20)가 원활히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연결축부(41)에는 회동링크부재(42)와 연동링크부재(44a)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한 쌍의 커버부재(45)가 끼움 결합되고, 커버부재(45)의 내측면에는 회동링크부재(42)가 설정된 힘 이상의 외력으로 회동시 파지축부(43)가 가이드부(12)를 파지하도록 회동링크부재(42)의 둘레면에 걸림 가능하게 파단되는 파단걸림돌기(44a)가 돌출 형성된다.
즉, 파단걸림돌기(44a)는 연결고리부(30)를 당기는 하중이 설정치 이하일 경우 회동링크부재(42)를 걸림 지지하여 회동링크부재(42)의 회동을 제한하고, 연결고리부(30)를 당기는 하중이 설정치 이상일 경우 회동링크부재(42)의 가압으로 파단되어 파지축부(43)가 가이드부(12)를 파지하도록 회동링크부재(42)의 회동을 허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연결고리부(30)에 설정치 이하의 당김력이 작용하더라도 롤러부(20)가 작업자의 이동에 지장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교량의 점검로를 점검하는 과정에서 추락시 작업자의 하중이 분산되어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시키면서 롤러부(20)를 레일프레임(10)에서 이탈 방지시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커버부재(44)에는 승강축부(44b)가 승강 이동 가능하게 돌출되도록 승강안내홈부(45b)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승강축부(44b)는 연결고리부(30)의 당김으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커버부재(45)에 간섭 방지됨으로써, 연동링크부재(44a)를 통해 회동링크부재(42)의 회동을 원활히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레일프레임 11: 개구부
12: 가이드부 20: 롤러부
21: 지지축부 30: 연결고리부
40: 이탈방지가압부 41: 연결축부
42: 회동링크부재 43: 파지축부
44: 회동작동부 44a: 연동링크부재
44b: 승강축부 45: 커버부재
45a: 파단걸림돌기 45b: 승강안내홈부
50: 고정결합부 51: 슬리브
52: 레일홈부 53: 고정너트
54: 전산볼트 55: 지지너트

Claims (5)

  1. 일측으로 개방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레일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레일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개구부로 돌출 배치되는 지지축부를 구비하는 롤러부;
    상기 지지축부의 단부에 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안전로프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고리부; 및
    상기 연결고리부에 연동되도록 상기 지지축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고리부가 설정된 힘 이상의 외력으로 당김 작용시 상기 롤러부가 상기 개구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가압부는 상기 지지축부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연결축부와, 상기 연결축부에 한 쌍이 교차 배치되도록 끼워지고, 상기 연결축부를 기준으로 대응되는 가장자리가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링크부재와, 상기 회동링크부재에서 상기 가이드부 측에 해당되는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링크부재의 회동시 상기 가이드부를 가압 가능하게 파지하는 파지축부 및 상기 회동링크부재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연결고리부를 지지하며, 상기 연결고리부가 설정된 힘 이상의 외력으로 당겨짐시 상기 회동링크부재를 회동시키는 회동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작동부는 상기 회동링크부재에 힌지 연결되는 연동링크부재 및 상기 연동링크부재에 고정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연결고리부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축부에는 상기 회동링크부재와 상기 연동링크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한 쌍의 커버부재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회동링크부재의 둘레면에 걸림 가능하게 파단되는 파단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파단걸림돌기는 상기 연결고리부를 당기는 하중이 설정치 이하일 경우 상기 회동링크부재를 회동 제한하도록 걸림 지지하고, 상기 연결고리부를 당기는 하중이 설정치 이상일 경우 상기 파지축부가 상기 가이드부를 파지하도록 상기 회동링크부재의 가압으로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프레임은 고정결합부에 의해 교량의 교각에 고정된 고정브라켓에 지지되고,
    상기 고정결합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프레임을 수용하는 슬리브;
    상기 레일프레임의 상측에 축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레일홈부;
    상기 레일홈부에 슬라이드 삽입되는 고정너트;
    상기 고정너트에 체결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슬리브에 관통 삽입되는 전산볼트; 및
    상기 고정브라켓에 안착되도록 상기 전산볼트에 체결되어 조임력으로 상기 전산볼트를 지지하는 지지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
KR2020200001254U 2020-04-10 2020-04-10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 KR2004930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254U KR200493001Y1 (ko) 2020-04-10 2020-04-10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254U KR200493001Y1 (ko) 2020-04-10 2020-04-10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001Y1 true KR200493001Y1 (ko) 2021-01-14

Family

ID=74130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254U KR200493001Y1 (ko) 2020-04-10 2020-04-10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0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452B1 (ko) * 2022-02-04 2022-11-25 베스트플랜에이 주식회사 교량 점검용 가설 구조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5614A (ja) * 2001-11-02 2003-05-13 Mitsuo Utada 安全クランプ
KR101024412B1 (ko) * 2010-10-06 2011-03-23 김옥형 교량 점검통로용 안전장치
JP6034738B2 (ja) * 2013-04-05 2016-11-30 サンコー株式会社 墜落防止装置
JP2019005260A (ja) * 2017-06-26 2019-01-17 藤井電工株式会社 安全器
KR102085146B1 (ko) * 2019-08-21 2020-03-04 현빈개발 주식회사 핸드레일이 보강된 교량 점검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5614A (ja) * 2001-11-02 2003-05-13 Mitsuo Utada 安全クランプ
KR101024412B1 (ko) * 2010-10-06 2011-03-23 김옥형 교량 점검통로용 안전장치
JP6034738B2 (ja) * 2013-04-05 2016-11-30 サンコー株式会社 墜落防止装置
JP2019005260A (ja) * 2017-06-26 2019-01-17 藤井電工株式会社 安全器
KR102085146B1 (ko) * 2019-08-21 2020-03-04 현빈개발 주식회사 핸드레일이 보강된 교량 점검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452B1 (ko) * 2022-02-04 2022-11-25 베스트플랜에이 주식회사 교량 점검용 가설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3001Y1 (ko)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
US9409755B2 (en) Platform safety enclosure
KR101820404B1 (ko) 퀵 커플러용 안전장치
JP2008045363A (ja) 吊下げ装置
US9434482B2 (en) Cab of passenger boarding bridge and passenger boarding bridge having the same and docking method thereof
JPS6017753B2 (ja) 動力駆動昇降機用の落下自動防止装置
CN105936467A (zh) 一种具有传动钢丝绳可调固定结构的电梯中分门头
KR101820405B1 (ko) 퀵 커플러용 자동안전장치
US3437178A (en) Rope clamp
KR101267004B1 (ko)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
CN104818915B (zh) 舱门致动设备和包括其的塔结构及包括它们的风力涡轮机
KR102212420B1 (ko) 통신 맨홀의 누전방지시설
KR102106515B1 (ko) 역류해소와 소음저감이 가능한 맨홀뚜껑과 그 작동방법
KR0140215B1 (ko) 콘테이너용 호이스트프레임
KR100974255B1 (ko) 중량물 인양에 사용되는 반자동 후크 장치
KR101640388B1 (ko) 굴착기용 집게발의 안전 고정장치
CN209758874U (zh) 一种用于不同直径滑轮的钢绳防跳装置
CN208165286U (zh) 一种单侧配重升降式地井
KR102658866B1 (ko) 꺽임 방지용 안전대
KR102633363B1 (ko) 비계용 안전로프 클램프
KR102041472B1 (ko) 해양플랜트용 갱웨이 회수장치
KR200379033Y1 (ko) 교량 박스 구조물용 이음부 안전 진단 측정장치
KR102424945B1 (ko) 락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가 형성된 간접활선 작업용 안전후크
CN210620042U (zh) 一种龙门吊防风装置
KR20130001953A (ko) 엔진커버 폴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