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866B1 - 꺽임 방지용 안전대 - Google Patents

꺽임 방지용 안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866B1
KR102658866B1 KR1020210166737A KR20210166737A KR102658866B1 KR 102658866 B1 KR102658866 B1 KR 102658866B1 KR 1020210166737 A KR1020210166737 A KR 1020210166737A KR 20210166737 A KR20210166737 A KR 20210166737A KR 102658866 B1 KR102658866 B1 KR 102658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afety
ring portion
lever
sea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1746A (ko
Inventor
심규형
홍현주
Original Assignee
(주)케이.아이.기술
심규형
홍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아이.기술, 심규형, 홍현주 filed Critical (주)케이.아이.기술
Priority to KR1020210166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866B1/ko
Publication of KR20230081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7Attachments for lifelines and lany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16B45/02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꺽임 방지용 안전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전로프가 연결되는 제1고리부와, 하단이 상기 제1고리부의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고리부로 이루어진 안전고리와; 상기 제1고리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고리부의 상측부분이 삽입되는 안착홈부가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부 상부입구의 좌우방향 폭이 제2고리부 상측부분의 좌우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레버와; 상기 제1고리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레버를 관통하는 가이드핀이 통과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큰 힘이 작용되더라도 안전고리가 꺽이지 않고 제1고리부와 제2고리부가 회동을 하기 때문에 안전고리가 꺽이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꺽임 방지용 안전대{Safety device to prevent dropping}
본 발명은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안전벨트와 작업장의 고정지지대나 레일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연결하여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는 안전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자가 하측으로 추락하는 경우 그 추락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에 의해 구성품이 꺽이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가 작업현장의 바닥면까지 추락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꺽임 방지용 안전대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 건설현장 및 기타 여러 작업 현장에서는 다양한 요인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상존한다. 이러한 작업 현장의 다양한 안전사고 중에서 추락 사고는 다른 사고 유형에 비해 후진국형 사고 유형으로 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산업 재해 사망자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할 만큼 사고 발생시 위험도가 매우 높다. 이로 인해 작업 현장에서는 여러 안전사고들 중 특히 추락 사고의 방지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작업 현장에서 주로 채택하고 있는 추락 사고에 의한 위험을 줄여주기 위한 기본적인 방안으로는 로프의 양단에 걸고리와 안전고리가 각각 결합된 안전대가 있다.
안전대 이용시 걸고리를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안전벨트 등에 체결하고, 안전고리를 작업장의 고정지지대, 건축물의 가이드 레일, 난간 또는 기타 고정수단에 체결하여 불의의 사고가 발생하여도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안전대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고리부(1)와, 상기 고리부(1)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끝단이 상기 고리부(1)의 끝단과 결합되는 레버(2)와, 상기 고리부(1)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레버(2)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스토퍼(3)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대는 고리부(1)와 레버(2) 사이에 형성되는 폐공간에 고정지지대나 가이드 레일과 같은 고정수단을 끼워 넣었다 하더라도 작업자가 하측으로 추락하는 경우 작업자의 추락에 의한 하중을 고리부(1)가 견디지 못하고 꺽여서(도 1에서 A부분) 고리부(1)와 레버(2)의 끝단 사이에 빈틈이 발생됨으로써, 그 빈틈을 통해 고정수단이 이탈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막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478295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하측으로 추락하는 경우 그 추락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에 의해 꺽여서 파손될 수 있는 부분을 회동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건축물의 고정지지대나 가이드 레일과 같은 고정수단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여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꺽임 방지용 안전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꺽임 방지용 안전대는 안전로프가 연결되는 제1고리부와, 하단이 상기 제1고리부의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고리부로 이루어진 안전고리와; 상기 제1고리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고리부의 상측부분이 삽입되는 안착홈부가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부 상부입구의 좌우방향 폭이 제2고리부 상측부분의 좌우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레버와; 상기 제1고리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레버를 관통하는 가이드핀이 통과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레버의 안착홈부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곡면 형상의 좌측판과 우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리부의 상측부분은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볼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레버의 좌측판과 우측판에 의해 상기 삽입볼이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측방입구가 형성되되, 상기 측방입구의 폭은 상기 삽입볼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전고리의 제1고리부 상단과 제2고리부 하단은 힌지로 연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힌지는 상기 제2고리부에 연결된 중간 결합부와; 상기 제1고리부에 연결되면서 상기 중간 결합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2측방 결합부와; 상기 중간 결합부와 제1,2측방 결합부 내부에 설치된 힌지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리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 결합부에는 상기 삽입홈 내에 삽입되는 판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제2고리부가 회동할 때 상기 판스프링이 삽입홈 안팎으로 진출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꺽임 방지용 안전대는 제1고리부와 제2고리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안착홈부의 좌우방향 폭이 제2고리부 상측부의 좌우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큰 힘이 작용되더라도 안전고리가 꺽이지 않고 제1고리부와 제2고리부가 회동을 하기 때문에 안전고리가 꺽이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현장의 고정지지대나 가이드 레일에서 안전대가 이탈되지 않음으로써 추락하는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안착홈부의 좌측판과 우측판이 곡면 형상을 이루므로, 제1고리부와 회동할 때 안착홈부 내부의 삽입볼도 용이하게 회동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대를 보인 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꺽임 방지용 안전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꺽임 방지용 안전대의 안착홈부를 보인 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꺽임 방지용 안전대의 제2고리부가 회동되는 모습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꺽임 방지용 안전대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꺽임 방지용 안전대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꺽임 방지용 안전대의 안착홈부를 보인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꺽임 방지용 안전대의 제2고리부가 회동되는 모습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꺽임 방지용 안전대는 안전고리(10)와, 상기 안전고리(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20)와, 상기 안전고리(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토퍼(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전고리(10)는 제1고리부(11)와, 상기 제1고리부(1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고리부(12)로 구성된다.
상기 제1고리부(11)는 하단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안전로프(11a)가 연결된다.
상기 제2고리부(12)는 하단이 제1고리부(11)의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제2고리부(12)는 갈고리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하단이 제1고리부(11)의 상단과 힌지(40)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2고리부(12)는 상단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줄어들도록 구성되다가 상측 끝부분에서 안쪽으로 절곡된 꺽임부(12a)가 구비되고, 상기 꺽임부(12a)의 끝단에는 구(球) 형태의 삽입볼(12b)이 구비된다. 이렇게 제1고리부(11)의 상측부분에 포함되는 삽입볼(12b)은 후술할 레버(20)의 안착홈부(21)에 삽입된다.
상기 힌지(40)는 중간 결합부(41)와, 상기 중간 결합부(4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2측방 결합부(42,43)와, 상기 중간 결합부(41)와 제1,2측방 결합부(42,43) 내부에 설치되는 힌지축(44)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간 결합부(41)는 일단이 제2고리부(12)에 연결되면서 전체적으로 둥근 고리 형태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힌지축(44)이 끼워진다.
상기 제1,2측방 결합부(42,43)는 일단이 제1고리부(11)에 연결되면서 전체적으로 둥근 고리 형태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힌지축(44)이 끼워진다.
상기 힌지축(44)은 중간 결합부(41)와 제1,2측방 결합부(42,43)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때, 제1고리부(11)에는 삽입홈(11b)이 형성되고, 중간 결합부(41)에는 삽입홈(11b) 내에 삽입되는 판스프링(41a)이 구비된다. 즉, 판스프링(41a)의 일단은 중간 결합부(41)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은 삽입홈(11b) 내에 삽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고리부(12)가 회동하면 판스프링(41a)은 삽입홈(11b) 안팎으로 진출입한다.
좀 더 부연하면, 판스프링(41a)은 제2고리부(12)가 힌지(40)를 중심으로 회동하면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데, 외력이 작용하여 제2고리부(12)가 회동하면 판스프링(41a)은 제2고리부(12)를 따라 삽입홈(11b) 밖으로 끌려 나가게 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삽입홈(11b) 안으로 들어가면서 제2고리부(12)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킨다(도 5 참조).
상기 레버(20)는 하측부분이 안전고리(10)의 제1고리부(1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안전고리(10)와 함께 폐공간(R)을 형성시킨다. 이렇게 형성된 폐공간(R)에 작업현장의 고정지지대나 가이드 레일과 같은 고정수단이 끼워져서 작업자가 혹시라도 발을 잘못 디뎌 낙하하는 경우 현장의 바닥면까지 추락하는 것을 막아준다.
이러한 레버(20)를 작업자가 손으로 눌러 가압함으로써 안전고리(10) 쪽으로 회동시켜 폐공간(R)을 개방시킨 후 가압력을 제거하면, 스프링(미도시)과 같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다시 폐공간(R)이 형성된다.
그리고, 레버(20)의 상단에는 제2고리부(12)의 상측 끝부분이 삽입되는 안착홈부(21)가 형성되는데, 안착홈부(21) 상부입구의 좌우방향 폭(L1)은 제2고리부(12) 상측 끝부분의 좌우방향 폭(L2)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2고리부(12)의 상측 끝부분이 안착홈부(21) 내에서 좌우이동이 가능하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안착홈부(21)는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곡면 형상의 좌측판(21a)과 우측판(21b)을 포함하는데, 제2고리부(12)의 꺽임부(12a) 끝단에 구비된 삽입볼(12b)이 좌측판(21a)과 우측판(21b) 사이에 삽입된다. 이때 꺽임부(12a)의 좌우방향 폭(L2)은 좌측판(21a) 상단과 우측판(21b) 상단 사이의 거리(L1)보다 작게 형성되어 꺽임부(12a)가 좌측판(21a)과 우측판(21b) 사이에서 좌우이동이 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판(21a)과 우측판(21b)은 삽입볼(12b)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도록 바깥쪽으로 볼록한 곡면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꺽임부(12a)과 좌우이동을 할 때 좌측판(21a)과 우측판(21b) 사이에서 삽입볼(12b)이 원활하게 회전을 할 수 있다.
한편, 레버(20)의 좌측판(21a)과 우측판(21b)에 의해 삽입볼(12b)이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측방입구가 형성되는데, 상기 측방입구의 폭(L3)은 삽입볼(12b)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삽입볼(12b)을 안착홈부(21) 내에 삽입하고자 할 때 작업자는 삽입볼(12b)을 강하게 압박하여 좌우측판(21a,21b) 사이의 측방입구를 통해 억지 끼움방식으로 밀어 넣어야 한다. 그리고 안착홈부(21) 내에 삽입된 삽입볼(12b)은 측방입구를 통하여 안착홈부(21) 밖으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스토퍼(30)는 레버(20)의 회동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전고리(10)의 제1고리부(1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스토퍼(30)는 회동 이후에 스프링(미도시)과 같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된다.
그리고, 스토퍼(30)에는 가이드홀(3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홀(31)은 가이드핀(32)이 통과하는데, 이 가이드핀(32)은 레버(20)의 하단부분을 관통한다.
10: 안전고리 11: 제1고리부
11a: 안전로프 11b: 삽입홈
12: 제2고리부 12a: 꺽임부
12b: 삽입볼 20: 레버
21: 안착홈부 21a: 좌측판
21b: 우측판 30: 스토퍼
31: 가이드홀 32: 가이드핀
40: 힌지 41: 중간 결합부
41a: 판스프링 42: 제1측방 결합부
43: 제2측방 결합부 44: 힌지축

Claims (6)

  1. 안전로프(11a)가 연결되는 제1고리부(11)와, 하단이 상기 제1고리부(11)의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고리부(12)로 이루어진 안전고리(10)와; 상기 제1고리부(1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고리부(12)의 상측 끝부분이 삽입되는 안착홈부(21)가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부(21) 상부입구의 좌우방향 폭(L1)이 제2고리부(12) 상측부분의 좌우방향 폭(L2)보다 크게 형성되는 레버(20)와; 상기 제1고리부(1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레버(20)를 관통하는 가이드핀(32)이 통과하는 가이드홀(31)이 형성된 스토퍼(30)와; 상기 안전고리(10)의 제1고리부(11) 상단과 제2고리부(12) 하단을 연결하는 힌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힌지(40)는 상기 제2고리부(12)에 연결된 중간 결합부(41)와; 상기 제1고리부(11)에 연결되면서 상기 중간 결합부(4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2측방 결합부(42,43)와; 상기 중간 결합부(41)와 제1,2측방 결합부(42,43) 내부에 설치된 힌지축(4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꺽임 방지용 안전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20)의 안착홈부(21)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곡면 형상의 좌측판(21a)과 우측판(21b)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리부(12)의 상측부분은 상기 좌측판(21a)과 우측판(21b)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볼(12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꺽임 방지용 안전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버(20)의 좌측판(21a)과 우측판(21b)에 의해 상기 삽입볼(12b)이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측방입구가 형성되되,
    상기 측방입구의 폭(L3)은 상기 삽입볼(12b)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꺽임 방지용 안전대.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고리부(11)에는 삽입홈(11b)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 결합부(41)에는 상기 삽입홈(11b) 내에 삽입되는 판스프링(41a)이 구비되어,
    상기 제2고리부(12)가 회동할 때 상기 판스프링(41a)이 삽입홈(11b) 안팎으로 진출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꺽임 방지용 안전대.
KR1020210166737A 2021-11-29 2021-11-29 꺽임 방지용 안전대 KR102658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737A KR102658866B1 (ko) 2021-11-29 2021-11-29 꺽임 방지용 안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737A KR102658866B1 (ko) 2021-11-29 2021-11-29 꺽임 방지용 안전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746A KR20230081746A (ko) 2023-06-08
KR102658866B1 true KR102658866B1 (ko) 2024-04-19

Family

ID=86765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737A KR102658866B1 (ko) 2021-11-29 2021-11-29 꺽임 방지용 안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8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5752B2 (ja) * 1993-07-30 2001-02-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ヘッドシリンダー
KR200313887Y1 (ko) 2003-02-04 2003-05-22 백정호 판스프링을 이용한 경첩
CN203852763U (zh) 2014-04-16 2014-10-01 振锋企业股份有限公司 安全钩
JP2016144495A (ja) * 2015-02-06 2016-08-12 ポリマーギヤ株式会社 高所作業用安全帯のフッ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5752U (ja) * 2007-07-13 2007-09-27 有限会社ワークワールド 安全帯のロープ用フック
JP3170942U (ja) * 2011-07-27 2011-10-06 ▲聖▼鴻興有限公司 安全フック
KR200478295Y1 (ko) 2015-02-13 2015-09-15 스왈록아시아 주식회사 안전 고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5752B2 (ja) * 1993-07-30 2001-02-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ヘッドシリンダー
KR200313887Y1 (ko) 2003-02-04 2003-05-22 백정호 판스프링을 이용한 경첩
CN203852763U (zh) 2014-04-16 2014-10-01 振锋企业股份有限公司 安全钩
JP2016144495A (ja) * 2015-02-06 2016-08-12 ポリマーギヤ株式会社 高所作業用安全帯のフ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746A (ko)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6221B2 (en) Snap hook
US9585439B2 (en) Connector
JP6426605B2 (ja) ロープグラブ
US10016638B2 (en) Energy absorber assembly and components thereof
EP1680192B1 (en) Fall arrest device and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WO2008046446A1 (de) Auffanggerät für ein steigschutzsystem
US10420967B2 (en) Shuttle device
CA2347174C (en) Two-way locking device for height safety apparatus
EP3562562B1 (en) Tolerance ring in external energy absorber
GB2420820A (en) Safety line traveller
JP6210822B2 (ja) 先行手摺における安全装置
KR102658866B1 (ko) 꺽임 방지용 안전대
KR101092839B1 (ko) 추락방지 안전맨홀
JP6628623B2 (ja) 足場用安全手摺の格納保持装置
JP5009741B2 (ja) 転落防止装置
KR200493001Y1 (ko)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
KR102581493B1 (ko) 추락방지용 로프 클램핑장치
JP2022117912A (ja) 水平ライフライン装置
JP4522223B2 (ja) 安全帯のランヤード接続用フック
JP6235851B2 (ja) 先行手摺における安全装置
KR200184632Y1 (ko) 안전벨트걸이장치
KR200497936Y1 (ko) 결속 해제가 어려운 안전대용 죔줄
KR102585960B1 (ko) 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구비한 고소작업차량
KR102441286B1 (ko) 맨홀 덮개 오프너
KR102298730B1 (ko) 낙하방지 안전고리 연결용 프로파일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