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295Y1 - 안전 고리 - Google Patents

안전 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295Y1
KR200478295Y1 KR2020150001049U KR20150001049U KR200478295Y1 KR 200478295 Y1 KR200478295 Y1 KR 200478295Y1 KR 2020150001049 U KR2020150001049 U KR 2020150001049U KR 20150001049 U KR20150001049 U KR 20150001049U KR 200478295 Y1 KR200478295 Y1 KR 2004782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afety
lever
covering portion
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0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077U (ko
Inventor
정현술
Original Assignee
스왈록아시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51302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78295(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스왈록아시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왈록아시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10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295Y1/ko
Publication of KR201500020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0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2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29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7Attachments for lifelines and lany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 고리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장의 고정지지대 또는 난간에 사용자를 연결시키기 위해서, 추락 방지용 안전벨트의 안전로프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후크형 고리와, 상기 후크형 고리의 몸체부의 일측에서 회동 이후 탄성력에 의해 복귀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후크형 고리의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전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구멍을 구비하고 후크형 고리의 몸체부의 타측에서 회동 이후 탄성력에 의해 복귀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스토퍼를 구비한 안전 고리에 있어서, 상기 후크형 고리의 상기 몸체부와 끝단 꺾임부의 사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후크부; 및 상기 끝단 꺾임부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후크부를 감싸고 있고, 광 발광 물질을 갖는 피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복부의 외표면은 평활한 평면 또는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피복부의 내표면은 상기 후크부의 표면 또는 양측 홈에 대응하여 밀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안전 고리{SAFETY RING}
본 고안은 안전 고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추락 등의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안전벨트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안전 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 고리는 지면으로부터 높은 곳(高處)의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신체에 착용하는 안전대와 건축물이나 이에 고정된 고정부착물 등과 같이 작업장의 고정지지대 또는 건축물의 가이드 레일 혹은 난간에 사용자를 연결시키기 위한 안전로프 또는 안전벨트에 결합되어서, 작업자 또는 사용자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장치이다.
각종 산업현장에서 빈번하게 발생되는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막기 위하여, 작업자는 안전대 또는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상기 안전벨트로부터 연장되고 탄성을 갖는 스프링 밴드 형태의 로프 장치인 충격흡수장치(shock absorber)를 갖는 안전로프와, 안전로프의 끝에 구비된 안전 고리를 사용한다.
이때 안전 고리는 작업자 주변에 마련되어서 걸어 연결할 수 있는 사물, 예컨대 고정지지대 등에 연결 또는 체결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발명의 배경이 되는 특허문헌1의 고소작업자용 안전벨트 고리는 등산용 장비인 고리의 일종으로서 당업계에서는 비너라는 약칭으로 불리기도 하는 카라비너(carabiner) 또는 안전벨트 체결용고리만을 제공하고 있다.
여기서, 종래 기술의 체결용고리는 안전띠 또는 안전로프의 끝단에 연결하기 위한 관통공을 일측에 형성하고 타측에 후크 형태의 고리를 형성하고 있는 고리부와, 고리부의 힌지축에서 회동하도록 결합되어 고리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회동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체결용고리는 특허문헌 2의 안전 고리와 동일하게 단순히 회동부재의 회전 동작을 통해서 고리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되어 있을 뿐, 어둡거나 먼 곳의 감독관이 해당 작업자가 체결용고리를 사용하고 있는지 구별할 수 있는 식별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해당 작업자와 같이 일하는 작업자 또는 감독관은 해당 작업자의 체결용고리 또는 안전 고리의 사용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식별하기 어렵다.
이로 인하여, 해당 작업자가 고의 또는 실수로 체결용고리 또는 안전고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주변의 사람이 이러한 상태를 파악할 수 없으므로, 해당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없는 상황이다.
[특허문헌]
(특허문헌1)한국공개실용 제20-2009-0007267호(2009.07.20)
(특허문헌2)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79069호(2014.06.26)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후크형 고리와, 레버 및 레버 개폐 억제용 스토퍼를 구비하고, 후크형 고리에 광 발광(Photoluminescence) 물질을 갖는 피복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 자신으로부터 먼 곳에 떨어진 타인으로 하여금 사용자의 안전 고리의 사용 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본인 또는 타인에 의해 안전 관리 준수 여부를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고, 사용자 자신의 안전을 위한 안전 고리의 사용 빈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안전 고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작업장의 고정지지대 또는 난간에 사용자를 연결시키기 위해서, 추락 방지용 안전벨트의 안전로프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후크형 고리와, 상기 후크형 고리의 몸체부의 일측에서 회동 이후 탄성력에 의해 복귀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후크형 고리의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전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구멍을 구비하고 후크형 고리의 몸체부의 타측에서 회동 이후 탄성력에 의해 복귀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스토퍼를 구비한 안전 고리에 있어서, 상기 후크형 고리의 상기 몸체부와 끝단 꺾임부의 사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후크부; 및 상기 끝단 꺾임부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후크부를 감싸고 있고, 광 발광 물질을 갖는 피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복부의 외표면은 평활한 평면 또는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피복부의 내표면은 상기 후크부의 표면 또는 양측 홈에 대응하여 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고리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피복부는 상기 피복부의 외표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마찰돌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복부의 상기 광 발광 물질은 빛에너지를 받은 물질이 새로운 빛을 내는 형광 물질(fluorescence material) 또는 빛을 축적하여 발광하는 인광 물질(phosphorescence material)이다.
또한, 상기 광 발광 물질은 상기 피복부의 합성수지의 조성물의 성분 비율에 상응하여 상기 피복부에 함유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복부는 합성수지, 우레탄, 합성 고무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성형된 모재층과, 상기 모재층의 외부에 마련된 광 발광 코팅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 발광 코팅층의 외표면에는 보호 코팅층이 더 구비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안전 고리에 의하면,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틸 재질의 후크형 고리와, 후크형 고리의 몸체부의 일측에서 회동 이후 탄성력에 의해 복귀 가능하게 결합되어 후크형 고리의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레버와, 레버의 회전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구멍을 구비하고 후크형 고리의 몸체부의 타측에서 회동 이후 탄성력에 의해 복귀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안전벨트에 연결되어 사용되어 사용자의 추락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후크형 고리의 몸체부와 끝단 꺾임부의 사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후크부와, 후크부를 감싸도록 결합된 피복부를 구비하되, 피복부에 광 발광 물질이 구비되어 있어서, 가시광선량이 부족한 어두운 곳에서나, 혹은 사용자 자신으로부터 먼 곳에 떨어진 타인으로 하여금 사용자의 안전 고리의 사용 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본인 또는 타인에 의해 안전 관리 준수 여부를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고안은 광 발광(Photoluminescence) 기능을 갖는 안전 고리로서,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표출되어서, 사용자의 안전 고리 사용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면서 사용자의 안전 고리 사용 빈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피복부를 금속 재질에 비하여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큰 합성수지로 형성함으로써, 안전 고리와 고정지지대간 고정점에서 미끌림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고, 고정점이 마찰에 의해 쉽게 변동되지 않게 함으로써, 안전적으로 안전벨트의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피복부의 외표면에 상기 피복부와 동일 재질로서 일체형으로 형성한 복수개의 마찰돌기를 통해서, 더욱 안전적으로 고정지지대 등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피복부에 광 발광 물질을 함유하게 하거나, 피복부의 표면에 광 발광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형광 기능을 갖는 피복부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본 고안에서 광 발광 코팅층이 피복부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고가의 광 발광 물질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또한, 광 발광 코팅층의 외표면에 보호 코팅층이 더 구비되어 있어서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고정지지대에 대한 접촉에 따라 흠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품질의 제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고리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 A-A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 고리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고리가 장착된 안전벨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응용예에 따른 안전 고리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응용예에 따른 안전 고리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응용예에 따른 안전 고리의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고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 A-A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 고리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작업장의 고정지지대 또는 난간에 사용자를 연결시키기 위해서, 추락 방지용 안전벨트의 안전로프의 끝단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 또는 하기의 응용예들에 따른 안전 고리는 후크형 고리(100), 레버(200), 스토퍼(300), 제 1 스프링 및 제 2 스프링(미 도시), 피복부(400)를 포함한다.
후크형 고리(100)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틸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레버(200) 및 스토퍼(300)도 후크형 고리(100)와 동종 재질 또는 이형 재질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후크형 고리(100), 레버(200) 및 스토퍼(300)의 재질은 알루미늄 합금, 듀랄루민, 티타늄 등의 재질로도 제작 가능하다.
또한, 후크형 고리(100)가 알루미늄 합금으로 성형되어 있는 경우, 알루미늄 합금의 외표면에는 아노다이징 처리 또는 착색 처리가 되어 있을 수 있고, 스틸 재질로 성형되어 있는 경우, 도색 처리가 되어 있을 수 있다.
후크형 고리(100)는 일측 끝단에 형성되고 안전띠 또는 안전로프의 끝단에 연결되기 위한 로프연결구멍부(110)와, 상기 로프연결구멍부(110)에 대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120)를 포함한다.
후크형 고리(100)는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개구부(Q), 즉 통로부(throat)를 형성하도록, 로프연결구멍부(110)의 반대쪽 방향을 따라서 몸체부(120)에서 연장되고 후크 또는 걸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후크부(130)와, 후크부(130)의 끝단에 마련되고, 레버(200)의 회전 동작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끝단 꺾임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후크형 고리(100)는 몸체부(120)로부터 후크부(130)를 지나 끝단 꺾임부(140) 까지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줄어들도록 되어 있어서, 안전벨트의 수납 고리부의 고리구멍에 용이하게 끼우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후크부(130)의 양쪽 측면에는 후크형 고리(100)의 내구성 또는 강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중량을 저감시키기 위한 양측 홈(131)이 더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양측 홈(131)은 후크부(1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양측 홈(131)의 양측 끝단부는 후크부(130)의 표면과 만나게 되어 폐쇄되어 있다.
이러한 양측 홈(131)은 하기에 설명할 피복부(400)와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고, 피복부(400)가 후크부(13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고정턱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몸체부(120)의 일측 아래쪽에는 레버(200)의 회전 동작의 축중심이 되고 제 1 스프링(미 도시)이 결합되어 있는 제 1 힌지축(101)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몸체부(120)의 타측 아래쪽에는 스토퍼(300)의 회전 동작의 축중심이 되고 제 2 스프링(미 도시)이 결합되어 있는 제 2 힌지축(102)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제 1 스프링 또는 제 2 스프링의 결합 관계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카라비너 등과 같은 탄성 부재의 결합관계와 비교하여 유사 또는 대등하게 결합되어 있고, 이에 따라 도면 또는 상세한 설명에서 생략될 수 있다.
레버(200)는 ㄷ자 또는 U자 단면을 갖는 것으로서, 몸체부(120)의 일측, 즉 몸체부(120)의 제 1 힌지축(101)에서 회동 이후 제 1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형 고리(100)의 개구부(Q)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레버(200)가 ㄷ자 또는 U자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ㄷ자 또는 U자 단면의 내부 공간의 폭은 스토퍼(30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200)의 회전시, 후크형 고리(100)의 몸체부(120) 또는 스토퍼(300)의 일부 또는 겹치는 부위는 레버(200)의 ㄷ자 또는 U자 단면의 개방된 쪽을 통해서 ㄷ자 또는 U자 단면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고, 이에 따라서, 레버(200)와 후크형 고리(100)의 몸체부(120)가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레버(200)는 끝단 꺾임부(140)의 형상에 대응하게 절곡된 홈 형상을 갖는 안착홈부(2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착홈부(210)가 형성된 부위는 제 1 힌지축(101)을 기준으로 선회하는 일측 끝단에 해당하고, 상기 후크형 고리(100)의 끝단 꺾임부(140)를 안치 또는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절곡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레버(200)는 제 1 힌지축(101)을 기준으로 선회하는 레버(200)의 일측 끝단과, 레버(200)의 일측 끝단에 대하여 미리 정한 각도(G)를 유지하도록 연장되어 있는 레버(200)의 타측 끝단을 구비한 것으로서, 삼각형 평면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레버(200)의 타측 끝단에는 가이드핀(220)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핀(220)은 레버(20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레버(200)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핀(220)은 상기 후크형 고리(100)의 몸체부(120)의 바깥쪽에 배치된다. 또한, 가이드핀(220)은 스토퍼(300)의 가이드구멍(320)에 끼워져 있다.
스토퍼(300)는 레버(200)의 회전 동작을 가이드하거나, 또는 회전 동작을 억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스토퍼(300)는 레버(200)의 ㄷ자 또는 U자 단면 안쪽에 위치할 수 있는 크기를 갖고, ㄷ자 또는 U자 단면을 갖는 것으로서, 몸체부(120)의 타측, 즉 몸체부(120)의 제 2 힌지축(102)에서 회동 이후 제 2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끝단부(310)를 갖는다.
또한, 스토퍼(300)의 끝단부(310)의 반대쪽 양측면에는 호형상의 가이드구멍(32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구멍(320)은 가이드구멍(320)의 끝단에서 꺾인 형태의 구멍에 해당하는 정지턱구멍부(321)와, 상기 정지턱구멍부(321)에 관통하게 연결되어 있는 원호구멍부(322)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가이드구멍(320)을 통해서, 스토퍼(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300)의 회전 동작 상태에 따라, 가이드구멍(320)의 위치가 변환되고, 그 결과 레버(200)의 회전 동작을 정지 또는 허용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레버(200)의 가이드핀(220)이 스토퍼(300)의 가이드구멍(320)의 정지턱구멍부(321)에 위치할 경우, 정지턱구멍부(321)가 일종의 정지턱 역할을 담당하여서, 레버(200)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토퍼(300)를 손바닥으로 누르는 힘(F1)에 의해서, 도 3의 (a)상태에서 (b)상태로 스토퍼(300) 및 가이드구멍(320)의 위치가 변환될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는 레버(200)의 회전 동작을 위한 선회 경로와 스토퍼(300)의 가이드구멍(320)에서 곡선 구멍 형태의 원호구멍부(322)의 연장 방향이 서로 일치하게 되고, 결국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 또는 레버(200)가 난간(R)에 부딪혀 발생되는 힘(F2)에 의해서, 도 3의 (c)상태와 같이, 레버(200)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힘 또는 외력에 의해서, 스토퍼(300)가 동작되지 않은 경우라면, 레버(200)에 힘이 전달되더라도 레버(200)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스토퍼(300)가 없는 제품에 비하여 높은 안전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렇게 스토퍼(300) 또는 레버(200)가 위치되어 있거나 결합된 부위에는 어떠한 회전 동작에 간섭이 없어야 안전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후크형 고리(100)의 끝단 꺾임부(140)와 레버(200)의 안착홈부(210)간의 작동 관계를 살펴보더라도, 안착홈부(210) 또는 끝단 꺾임부(140)에는 어떠한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광 발광 물질을 갖는 피복부(400)는 최적의 배치 위치 또는 결합 위치로서, 후크형 고리(100)의 후크부(130)에 배치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후크부(130)는 후크형 고리(100)의 상기 몸체부(120)와 끝단 꺾임부(140)의 사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피복부(400)는 후크형 고리(100)의 끝단 꺾임부(140)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후크부(130)를 감싸고 있고, 광 발광 물질을 갖거나 함유하고 있다.
피복부(400)의 광 발광 물질은 어두운 곳에서 광을 발산하는 역할을 수행하거나, 먼 곳에 위치한 해당 작업자의 동료 또는 감독관이 안전 고리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식별수단의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피복부(400)는 후크부(130)를 감싸서 보호함으로써, 후크부(130) 대신에 후크형 고리(100)의 오랜 사용에 따라 닳아 없어질 수 있는 웨어부(wear portion)로서의 역할과, 후크부(130)에서의 크랙 발생 방지의 역할도 담당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피복부(400)의 외표면(401)은 평활한 평면 또는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피복부(400)의 내표면(402)은 상기 후크부(130)의 표면 또는 양측 홈(131)에 대응하여 밀착되어 있을 수 있다.
광 발광 물질은 피복부(400)의 제작 과정 중 피복부(400) 성형용 합성수지의 조성물의 성분 비율에 상응하도록 피복부(400)에 함유될 수 있다.
여기서, 피복부(400) 성형용 합성수지는 탄성 또는 연성 재질의 플라스틱, 우레탄, 합성 고무 등이 될 수 있고, 후크형 고리(100)의 재질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마찰계수를 갖는 소재도 본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안전 고리로서 제품 품질 규격을 만족할 수 있는 합성수지군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특정 합성수지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광 발광 물질의 피복부(400)용 합성수지의 조성물 대비 함유량 또는 함유 비율은 형광 또는 인광 효과를 극대화하면서 피복부(400)의 강도, 내구성 등의 구조적 강성을 유지 또는 만족시킬 수 있는 정도로 정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피복부(400)는 합성수지 대비 광 발광 물질의 함유 비율로서, 중량 퍼센트(wt%), 70 : 30의 비율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광 발광 물질은 빛에너지를 받은 물질이 새로운 빛을 내는 형광 물질(fluorescence material), 또는 빛을 축적하여 발광하는 인광 물질(phosphorescence material)일 수 있다.
여기서, 형광 물질은 이테르븀, 튤륨, 사마륨, 유로퓸 중 어느 하나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형광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소재라면 위의 성분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인광 물질(phosphorescence material)은 트리스(2-페닐피리딘) 이리듐 등과 같이 빛을 축적하여 발광하는 소재일 수 있으나, 역시 인광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소재라면 본 실시예 또는 하기의 응용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형광 물질 또는 인광 물질은 피복부(400)의 합성수지용 소재에 함유시켜 몰딩 또는 사출 등에 의해 피복부(400)를 제작할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물질이 될 수 있으므로, 특정 물질로 제한 또는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고리가 장착된 안전벨트의 사시도이다.
후크형 고리(100)는 안전벨트(10)의 수납 고리부(11)에 걸어 보관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지지대 또는 난간(R)에 걸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후크형 고리(100)에 결합된 피복부(400)는 광 발광 물질로 인하여, 해당 사용자의 후크형 고리(100)가 도 3에 도시된 난간(R)에 있는지 또는 도 4에 도시된 안전벨트(10)의 수납 고리부(11)에 있는지를 감독관 또는 동료 작업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응용예에 따른 안전 고리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응용예에 따른 안전 고리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응용예에 따른 안전 고리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응용예에 따른 피복부(400a)는 그의 외표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마찰돌기(4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응용예에 따른 피복부(400a)도 후크형 고리의 후크부(130)를 감싸고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피복부(400a)의 외표면에는 로고, 회사명, 제품명, 성능수치를 표시하는 문자, 숫자 등이 양각 또는 음각 형태로 더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마찰돌기(404)는 피복부(400a)의 접촉 표면적을 증대시켜서,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수납 고리부(11) 또는 난간(R)에 대한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미끌림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되는 고정점으로서 안전 고리의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응용예에 따른 피복부(400b)는 합성수지, 우레탄, 합성 고무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후크부(130)를 감싸도록 성형되어 있는 모재층(410)과, 모재층(410)의 외부에 마련된 광 발광 코팅층(4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광 발광 코팅층(420)은 앞서 언급한 형광 물질 또는 인광 물질을 포함한 코팅 물질을 스프레이 코팅 방식으로 모재층(410)의 외부에 도포 및 건조하여 형성될 수 있다.
광 발광 코팅층(420)이 피복부(400b)의 외측에만 존재하기 때문에, 피복부(400b) 내부 또는 전체에 대하여 형광 물질 또는 인광 물질을 함유하는 것보다, 형광 물질 또는 인광 물질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응용예에 따른 피복부(400c)는 광 발광 코팅층(420)의 외표면에는 보호 코팅층(430)이 더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보호 코팅층(430)은 유광, 반광, 무광 중 어느 하나의 광 특성을 갖고 있는 탑 코트 또는 슈퍼 크리어 코트용 코팅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 코팅층(430)은 광 발광 코팅층(420)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고정지지대 또는 난간 등에 대한 접촉으로 인해 광 발광 코팅층(420)에서 흠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 또는 응용예들에서 광 발광 물질을 갖는 피복부는 후크형 고리, 레버 및 스토퍼의 작동에 방해를 일으키지 않는 곳에 견고하게 결합되어서, 가시광선량이 부족한 어두운 곳에서나, 혹은 사용자 자신으로부터 먼 곳에 떨어진 타인으로 하여금 사용자의 안전 고리의 사용 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본인 또는 타인에 의해 안전 관리 준수 여부를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 또는 응용예들은 광 발광 기능을 갖는 안전 고리로서,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표출되어서, 사용자의 안전 고리 사용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면서 사용자의 안전 고리 사용 빈도를 증대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발생 가능한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다.
100 : 후크형 고리 110 : 로프연결구멍부
120 : 몸체부 130 : 후크부
140 : 끝단 꺾임부 200 : 레버
300 : 스토퍼 400,400a,400b,400c : 피복부
410 : 모재층 420 : 광 발광 코팅층
430 : 보호 코팅층

Claims (6)

  1. 작업장의 고정지지대 또는 난간에 사용자를 연결시키기 위해서, 추락 방지용 안전벨트의 안전로프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후크형 고리와, 상기 후크형 고리의 몸체부의 일측에서 회동 이후 탄성력에 의해 복귀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후크형 고리의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전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구멍을 구비하고 후크형 고리의 몸체부의 타측에서 회동 이후 탄성력에 의해 복귀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스토퍼를 구비한 안전 고리에 있어서,
    상기 후크형 고리의 상기 몸체부와 끝단 꺾임부의 사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후크부; 및
    상기 끝단 꺾임부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후크부를 감싸고 있고, 광 발광 물질을 갖는 피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복부의 외표면은 평활한 평면 또는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피복부의 내표면은 상기 후크부의 표면 또는 양측 홈에 대응하여 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고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는 상기 피복부의 외표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마찰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고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의 상기 광 발광 물질은 빛에너지를 받은 물질이 새로운 빛을 내는 형광 물질(fluorescence material) 또는 빛을 축적하여 발광하는 인광 물질(phosphorescence materi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고리.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는 합성수지, 우레탄, 합성 고무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성형된 모재층과, 상기 모재층의 외부에 마련된 광 발광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고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발광 코팅층의 외표면에는 보호 코팅층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고리.
KR2020150001049U 2015-02-13 2015-02-13 안전 고리 Expired - Lifetime KR2004782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049U KR200478295Y1 (ko) 2015-02-13 2015-02-13 안전 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049U KR200478295Y1 (ko) 2015-02-13 2015-02-13 안전 고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077U KR20150002077U (ko) 2015-06-01
KR200478295Y1 true KR200478295Y1 (ko) 2015-09-15

Family

ID=53513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049U Expired - Lifetime KR200478295Y1 (ko) 2015-02-13 2015-02-13 안전 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295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44354A3 (en) * 2015-09-25 2016-04-27 Cresto AB Safety harness with luminescent connector
KR20160098098A (ko) 2016-03-07 2016-08-18 서규선 이중 락이 구비된 산업용 안전 훅
KR102154836B1 (ko) 2020-04-22 2020-09-10 주식회사 가가 안전 고리와 연동하는 작업 안전 장치
KR102155011B1 (ko) 2020-04-22 2020-09-11 주식회사 가가 안전 고리와 연동하는 작업 벨트 안전 장치
KR20230081746A (ko) 2021-11-29 2023-06-08 (주)케이.아이.기술 꺽임 방지용 안전대
KR200497601Y1 (ko) * 2023-07-27 2024-01-03 초연결 주식회사 산업용 안전 연결 고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899A (ko) 2015-09-14 2017-03-22 (주)케이엠에스 정확한 착용 및 고정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안전 후크 및 이를 이용한 안전대 장치
KR102497678B1 (ko) * 2022-06-21 2023-02-09 주식회사 이에스시스템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582Y1 (ko) 2004-07-02 2004-10-13 최한수 통신케이블 지지용 밴드
KR200408848Y1 (ko) 2005-11-22 2006-02-17 (주)태창실업 도로시설물 보호표지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582Y1 (ko) 2004-07-02 2004-10-13 최한수 통신케이블 지지용 밴드
KR200408848Y1 (ko) 2005-11-22 2006-02-17 (주)태창실업 도로시설물 보호표지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44354A3 (en) * 2015-09-25 2016-04-27 Cresto AB Safety harness with luminescent connector
KR20160098098A (ko) 2016-03-07 2016-08-18 서규선 이중 락이 구비된 산업용 안전 훅
KR102154836B1 (ko) 2020-04-22 2020-09-10 주식회사 가가 안전 고리와 연동하는 작업 안전 장치
KR102155011B1 (ko) 2020-04-22 2020-09-11 주식회사 가가 안전 고리와 연동하는 작업 벨트 안전 장치
KR20230081746A (ko) 2021-11-29 2023-06-08 (주)케이.아이.기술 꺽임 방지용 안전대
KR200497601Y1 (ko) * 2023-07-27 2024-01-03 초연결 주식회사 산업용 안전 연결 고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077U (ko) 201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8295Y1 (ko) 안전 고리
US8226024B2 (en) Self-retracting lifeline with reserve lifeline portion
US10890029B2 (en) Fall arrest ladder system
AU2011224603B2 (en) Pole climbing fall prevention assembly
US8430206B2 (en) Safety devices comprising a load-bearing composite polymeric housing and a load-bearing anchorage plate
US6264081B1 (en) Safety utility belt
JP6779240B2 (ja) Dリングキーパーアセンブリ
US20160220857A1 (en) Lifeline for a fall protection system
CA2259620C (en) Guarded snap hook
KR20180083358A (ko) 턱끈 커넥터
US10065058B2 (en) Tolerance ring in external energy absorber
CA3019011A1 (en) Load indicator for a fall protection apparatus
EP2731680B1 (en) Personal fall limiter arrangement and user connection arrangement therefor
US20220348442A1 (en) Confined space tripod pulley improvements
IT201800001896A1 (it) Dispositivo assicuratore
US20210053787A1 (en) Tape dispenser
EP2944354A2 (en) Safety harness with luminescent connector
KR20250101065A (ko) 전주의 고소작업용 안전장치
KR20170000928U (ko) 발등보호 및 슬립방지 기능을 가지는 밴드가 장착된 작업화
JP3212044U (ja) カラビナ構造
WO2014107417A1 (en) Carabiner with wear-resistant inse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021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2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3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Laying-Open of Early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512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062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0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9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090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UJ0204 Invalidation trial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U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151214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UJ02041E01I

Patent event date: 20150909

Request date: 20151214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170809

Appeal identifier: 201510000559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559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1214

Effective date: 20170809

U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date: 20170809

Patent event code: UJ13011S05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identifier: 2015100005599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170809

Request date: 2015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