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678B1 -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 - Google Patents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678B1
KR102497678B1 KR1020220075239A KR20220075239A KR102497678B1 KR 102497678 B1 KR102497678 B1 KR 102497678B1 KR 1020220075239 A KR1020220075239 A KR 1020220075239A KR 20220075239 A KR20220075239 A KR 20220075239A KR 102497678 B1 KR102497678 B1 KR 102497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ap ring
wire rope
coating
phosphor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에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에스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에스시스템
Priority to KR1020220075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6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7Attachments for lifelines and lany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n anti-friction or anti-adhesive surfac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09D1/02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alkali metal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1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9D1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2Luminous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2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containing europ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4/00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 C23C4/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4/00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 C23C4/04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4/06Metall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4/00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 C23C4/12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praying
    • C23C4/134Plasma spra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16B45/02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tallur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은, 일측에 죔줄 또는 업소버(shock absorber)가 결속될 수 있는 결속구가 형성되고, 스냅링 개폐부의 개폐동작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구동부가 장착된 구조의 스냅링 본체부; 상기 스냅링 본체부와 일체형 구조로 타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을 형성하도록 굴곡된 구조의 스냅링 연장부; 상기 스냅링 본체부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가능하도록 제1 힌지구조에 의해 장착되고, 스냅링 연장부의 일단부와 맞닿아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을 폐쇄하도록 개폐동작되는 구조의 스냅링 개폐부; 및 상기 스냅링 연장부의 외부면에 도포되거나 코팅되고,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에 배치되는 와이어로프와 스냅링 연장부의 마찰로 인한 와이어로프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된 마모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락방지를 위해 결속되는 와이어로프와의 마찰에 의한 와이어로프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통전을 차단 할 수 있으며, 유도 전압 발생을 차단할 수 있고, 제3코팅층이 박리된 부분을 육안으로 손쉽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해당 박리된 부분을 손쉽게 보수처리하거나 해당부분을 교체처리 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손쉬우며, 와이어로프가 스냅링 개폐부의 외부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와이어로프와 스냅링 개폐부와의 접촉에 따른 마모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Wire Rope Wear-Resistant Snap Ring}
본 발명은 추락방지 와이어에 장착되는 스냅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추락방지를 위해 결속되는 와이어로프와의 마찰에 의한 와이어로프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스냅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탑은 송전탑과 같이 고압전선이나 통신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물로서, 케이블의 설치 또는 기타 유지보수로 인한 고소작업시 작업자가 직접 올라가 작업을 하는 철재로 형성되는 타워(Tower)를 말한다.
철탑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철재 앵글(Angle)이 트러스(Truss) 구조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철탑의 상부 측에 고압선이 연결되는데, 철탑의 높이는 보통 지면으로 수십미터의 높이를 가지기 때문에, 철탑의 상부측에서 작업하는 고소작업자는 항상 추락할 수 있는 위험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철탑 추락방지 장치가 요구되고 있으며, 추락방지 장치가 설치되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추락방지 장치는 철탑에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체결장치에 와이어가 연결되는 것으로서, 작업자는 몸에 장착된 안전고리를 와이어에 연결한 상태로 움직임으로써, 작업중 발생할 수 있는 추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장치를 말한다. 따라서 만일 작업자가 작업 중 추락하더라도 와이어에 걸려 낙하하지 않고 매달려 있게 된다.
통상적으로 추락방지 와이어 또는 추락방지장치는, 작업자가 추락하는 경우 추락에 따른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클램프와 클램프에 고정되는 와이어가 모두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클램프와 와이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는 고압선이 있는 상부측에서 하부측까지 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부측과 하부측에 설치된다.
철탑용 추락방지 와이어 및 클램프는 금속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철탑에 연결된 고압선으로부터 유도 전압이 생성되어, 와이어를 통해서 유도전류가 흐르게 된다. 특히 하부보다는 상부에서 더 강한 유도전압이 발생하게 되며, 그에 따라 고소작업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절연장갑을 사용하더라도 순간적으로 높은 유도전압에 의한 유도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와이어를 잡는 순간, 순간적인 고압에 의해 놀라서 손을 놓치는 경우도 발생하고, 그에 따라 추락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02866호 (등록일자: 2021년01월08일)
본 발명의 목적은, 추락방지를 위해 결속되는 와이어로프와의 마찰에 의한 와이어로프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통전을 차단 할 수 있으며, 유도 전압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스냅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은, 일측에 죔줄 또는 업소버(shock absorber)가 결속될 수 있는 결속구가 형성되고, 스냅링 개폐부의 개폐동작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구동부가 장착된 구조의 스냅링 본체부; 상기 스냅링 본체부와 일체형 구조로 타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을 형성하도록 굴곡된 구조의 스냅링 연장부; 상기 스냅링 본체부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가능하도록 제1 힌지구조에 의해 장착되고, 스냅링 연장부의 일단부와 맞닿아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을 폐쇄하도록 개폐동작되는 구조의 스냅링 개폐부; 및 상기 스냅링 연장부의 외부면에 도포되거나 코팅되고,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에 배치되는 와이어로프와 스냅링 연장부의 마찰로 인한 와이어로프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된 마모방지부;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모방지부는, 상기 스냅링 연장부의 표면에 직접 도포되거나 코팅되어 하나의 층상 구조를 형성하고,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이물질에 대항하는 내식특성 및 발수특성을 가지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에 대항하는 내마모특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제1코팅층; 상기 제1코팅층이 도포되거나 코팅된 후 제1코팅층의 표면에 분사되어 덧입혀져 제1코팅층과 함께 양생되며, 형광색 색상을 발현하는 제2코팅층; 및 상기 제1코팅층과 제2코팅층 양생 후, 제2코팅층 표면을 매끄럽게 폴리싱 한 후 제2코팅층 표면에 도포되거나 코팅되어 하나의 층상 구조를 형성하고, 제2코팅층의 형광색과 보색대비를 이루는 색상을 발현하며, 마찰계수 0.05 내지 0.20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고, 소정 크기의 마찰력이 소정 반복횟수만큼 지속될 경우 제2코팅층으로부터 박리되는 제3코팅층;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코팅층은, 크로미늄 옥사이드(Cr2O3) 20 내지 40 중량%, 결합제 40 내지 60 중량%, 이황화텅스텐(WS2) 10 내지 20 중량% 및 은(Ag)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파쇄하고, 니켈(Ni) 60 내지 80 중량%와 크롬(Cr)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결합제를 파쇄한 후, 파쇄된 결합제를 스냅링 연장부의 외부면 표면에 플라즈마 스프레이 코팅방식으로 30 내지 50 ㎛ 두께로 1차 코팅한 후, 파쇄된 코팅제를 1차 코팅층 표면에 플라즈마 스프레이 코팅방식으로 200 내지 220 ㎛ 두께로 2차 코팅한 후, 상기 1차 코팅과 2차 코팅을 2회 또는 3회 반복하여 형성하고, 상기 플라즈마 스프레이 코팅 시 전류는 450 내지 500 A, 전압은 40 내지 80 V, 스탠드오프는 90 내지 110 ㎜, 제 1반응가스는 아르곤(Ar), 제 1반응가스 유량은 75 내지 85 scfh, 제 2반응가스는 수소(H2), 제 2반응가스 유량은 7 내지 13 scfh, 파쇄된 결합제 및 코팅제의 이송량은 2.5 내지 3l bs/hr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코팅층은, 활성규산에 NaOH 및 KOH 수용액을 투입하여 9 내지 13 Ph값을 가지는 알칼리금속 이온-활성규산 복합체(Polysilicic Acid) 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알칼리금속 이온-활성규산 복합체 용액을 형광체 농도 0.1 내지 20 중량%의 형광체 분산액에 중량비 0.1:1 내지 5:1(w/w)로 투입하여 실리카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팅공정에서 촉매 또는 실란 커플링제의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형광체 분산액은, 물, 및 케톤류, 에테르류, 지방족탄화수소류, 지환식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 에스테르류, 설폭시드류 및 알코올류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형광체는, Sr5(PO4)3Cl:Eu계 형광체, BaMgAl10O17:Eu계 형광체, ZnO:Zn계 형광체, Zn2SiO4:Mn계 형광체, Zn2GeO4:Mn계 형광체, YVO4:Eu계 형광체, Y2O2S:Eu계 형광체, MgO-GeO2:Mn계 형광체, ZnS:Cu계 형광체, Y2O3:Eu계 형광체, (YGd)2O3:Eu계 형광체, LaOCl:Eu계 형광체, SrO2(Al2O3)nEu2+계 형광체, GaOF:Eu계 형광체, CaS:Bi계 형광체, La2O2S:Eu계 형광체, Li2Mg(MoO4):Eu,Sm계 형광체, (Ba, Sr)2SiO4:Eu계 형광체, ZnS:Cu,Al계 형광체, SrGa2S4:Eu계 형광체, Sr5(PO4)3Cl:Eu계 형광체, (SrMg)5PO4Cl:Eu계 형광체, BaMg2Al16O27:Eu계 형광체, (Y,Gd)BO3:Eu, Y(V,P)O4:Eu, (Y,Gd)2O3:Eu계 형광체, CaMgSi2O6:Eu계 형광체, CaWO4:Pb계 형광체 및 Y2SiO5:Eu계 형광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코팅층은, 테프론 코팅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테프론 코팅 소재로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FA(Per Fluoro Alkoxy) 및 ETFE(Ethylene TetrafluoroEthylene)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테프론 코팅이 PTFE(Polytetrafluoroethylene)를 이용한 블랙 코팅인 경우, 상기 제3코팅층 형성 후 건조 과정은, 190 ℃의 온도가 오븐 내에 유지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10분 내지 15분 범위 내에서의 건조 시간동안 실행되고, 상기 열처리 공정은, 340 내지 350 ℃의 열처리 온도가 오븐 내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5분 내지 10분 범위 내에서의 열처리 로딩 시간 동안 실행되며, 상기 열처리 공정에서의 열처리 온도를 상승시킴에 있어서 오븐 내부의 온도가 240 ℃를 도달한 시점부터 20 ℃의 온도 상승 간격마다 오븐 내부의 가스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프론 코팅이 PTFE(Polytetrafluoroethylene)를 이용한 화이트 코팅인 경우, 상기 제3코팅층 형성 후 건조 과정은, 170 ℃의 온도가 오븐 내에 유지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10분 내지 15분 범위 내에서의 건조 시간동안 실행되고, 상기 열처리 공정은, 220 내지 230 ℃의 열처리 온도가 오븐 내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10분 내지 15분 범위 내에서의 열처리 로딩 시간 동안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프론 코팅이 PFA(Per Fluoro Alkoxy)를 이용한 코팅인 경우, 상기 제3코팅층 형성 후 건조 과정은, 190 ℃의 온도가 오븐 내에 유지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10분 내지 15분 범위 내에서의 건조 시간동안 실행되고, 상기 열처리 공정은, PFA 파우더를 이용한 파우더 코팅 후 열처리 과정으로 진행되되, 상기 파우더 코팅의 요구 코팅 두께에 상응하여 상기 파우더 코팅 후 열처리 과정이 반복되며, 상기 파우더 코팅 후 열처리 과정은, 370 내지 390 ℃의 열처리 온도가 오븐 내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10분 내지 40분 범위 내에서의 열처리 로딩 시간 동안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프론 코팅이 ETFE(Ethylene TetrafluoroEthylene)를 이용한 코팅인 경우, 상기 열처리 공정은, ETFE 파우더를 이용한 파우더 코팅 후 열처리 과정으로 진행되되, 상기 파우더 코팅의 요구 코팅 두께에 상응하여 상기 파우더 코팅 후 열처리 과정이 반복되며, 상기 파우더 코팅 후 열처리 과정은, 300 내지 340 ℃의 열처리 온도가 오븐 내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20분 내지 40분 범위 내에서의 열처리 로딩 시간 동안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냅링 개폐부는,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을 향해 개방된 종단면상 ㄷ자형 구조이고, 상기 제1 힌지구조에 장착되고, 스냅링 개폐부를 바깥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제1 힌지구조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스냅링 개폐부의 개방된 공간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스냅링 연장부의 일측면과 맞닿아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으로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는 단턱구조가 형성되며, 일단부에 접촉롤러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는 롤러장착부가 제2힌지구조에 의해 결속된 롤러지지프레임; 상기 제1 힌지구조에 장착되고, 롤러지지프레임을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 상기 롤러장착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 방향으로 측면이 노출되는 원통형 구조이며, 스냅링 연장부와 함께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을 형성하도록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길이로 형성되며, 측면에 마모방지부와 동일한 소재가 도포되거나 코팅된 구조의 접촉롤러; 및 상기 제2힌지구조에 장착되고, 롤러장착부를 제2힌지구조를 중심으로 스냅링 개폐부의 개방된 공간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 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스냅링 본체부, 스냅링 연장부, 스냅링 개폐부 및 마모방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추락방지를 위해 결속되는 와이어로프와의 마찰에 의한 와이어로프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통전을 차단 할 수 있으며, 유도 전압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스냅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코팅층, 제2코팅층 및 제3코팅층을 포함하는 마모방지부를 구비함으로써, 마찰력이 낮은 제3코팅층에 의해 와이어로프와의 마찰력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와이어로프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에 따르면, 와이어로프와의 마찰 횟수가 소정 횟수를 초과할 경우 제3코팅층이 제2코팅층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와이어로프 보다 제3코팅층이 먼저 마모되도록 유도할 수 있어 와이어로프의 마모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제2코팅층을 형광색으로 구성하고 제3코팅층은 제2코팅층과 보색대비를 이루는 색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제3코팅층이 박리된 부분을 육안으로 손쉽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해당 박리된 부분을 손쉽게 보수처리하거나 해당 부분을 교체처리 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손쉬운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탄성부재, 롤러지지프레임, 제2탄성부재, 접촉롤러 및 제3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스냅링 개폐부를 구비함으로써, 스냅링 개폐부를 통해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에 결속된 와이어로프가 접촉롤러를 통해 자연스럽게 미끄러져 이동될 수 있어, 와이어로프가 스냅링 개폐부의 외부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와이어로프와 스냅링 개폐부와의 접촉에 따른 마모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블의 설치 또는 기타 유지보수로 인한 고소작업시 작업자가 직접 올라가 작업을 하는 철재로 형성되는 타워(Tower) 구조의 송전탑을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의 스냅링 개폐부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의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에 와이어로프가 배치된 후 와이어로프와의 마찰에 의해 마모방지부의 제3코팅층이 박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의 접촉롤러 및 롤러지지프레임을 발췌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의 접촉롤러 및 롤러지지레임이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을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의 스냅링 개폐부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100)은, 특정 구조의 스냅링 본체부(110), 스냅링 연장부(120), 스냅링 개폐부(130) 및 마모방지부(140)를 구비함으로써, 추락방지를 위해 결속되는 와이어로프와의 마찰에 의한 와이어로프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통전을 차단 할 수 있으며, 유도 전압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스냅링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100)을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100)의 스냅링 본체부(110)는, 일측에 죔줄 또는 업소버(shock absorber)가 결속될 수 있는 결속구(111)가 형성되고, 스냅링 개폐부(130)의 개폐동작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구동부가 장착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냅링 연장부(120)는, 스냅링 본체부(110)와 일체형 구조로 타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을 형성하도록 굴곡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냅링 개폐부(130)는, 스냅링 본체부(110)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가능하도록 제1힌지구조(131)에 의해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스냅링 연장부(120)의 일단부와 맞닿아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을 폐쇄하도록 개폐동작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모방지부(140)는, 스냅링 연장부(120)의 외부면에 도포되거나 코팅되는 구성으로서,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에 배치되는 와이어로프와 스냅링 연장부(120)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된다.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의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에 와이어로프가 배치된 후 와이어로프와의 마찰에 의해 마모방지부의 제3코팅층이 박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모방지부(140)는, 특정 구조의 제1코팅층, 제2코팅층 및 제3코팅층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코팅층은, 스냅링 연장부(120)의 표면에 직접 도포되거나 코팅되어 하나의 층상 구조를 형성하고,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이물질에 대항하는 내식특성 및 발수특성을 가지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에 대항하는 내마모특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코팅층은, 제1코팅층이 도포되거나 코팅된 후 제1코팅층의 표면에 분사되어 덧입혀져 제1코팅층과 함께 양생되며, 형광색 색상을 발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3코팅층은, 제1코팅층과 제2코팅층 양생 후, 제2코팅층 표면을 매끄럽게 폴리싱 한 후 제2코팅층 표면에 도포되거나 코팅되어 하나의 층상 구조를 형성하고, 제2코팅층의 형광색과 보색대비를 이루는 색상을 발현하며, 마찰계수 0.05 내지 0.20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고, 소정 크기의 마찰력이 소정 반복횟수만큼 지속될 경우 제2코팅층으로부터 박리된다.
상기 설명한 각각의 특성을 가지는 다수의 코팅층을 포함하는 마모방지부(140)를 구비함으로써, 마찰력이 낮은 제3코팅층에 의해 와이어로프와의 마찰력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와이어로프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마모방지부(140)를 구성하는 각각의 코팅층을 구성하는 성분 및 형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코팅층은, 크로미늄 옥사이드(Cr2O3) 20 내지 40 중량%, 결합제 40 내지 60 중량%, 이황화텅스텐(WS2) 10 내지 20 중량% 및 은(Ag)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파쇄하고, 니켈(Ni) 60 내지 80 중량%와 크롬(Cr)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결합제를 파쇄한 후, 파쇄된 결합제를 스냅링 연장부(120)의 외부면 표면에 플라즈마 스프레이 코팅방식으로 30 내지 50 ㎛ 두께로 1차 코팅한 후, 파쇄된 코팅제를 1차 코팅층 표면에 플라즈마 스프레이 코팅방식으로 200 내지 220 ㎛ 두께로 2차 코팅하여 형성한다.
이때, 제1코팅층은 위 언급함 1차 코팅과 2차 코팅 과정을 2회 또는 3회 반복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코팅층 형성과정에서 설정되는 플라즈마 스프레이 코팅 시 전류는 450 내지 500 A, 전압은 40 내지 80 V, 스탠드오프는 90 내지 110 ㎜, 제 1반응가스는 아르곤(Ar), 제 1반응가스 유량은 75 내지 85 scfh, 제 2반응가스는 수소(H2), 제 2반응가스 유량은 7 내지 13 scfh, 파쇄된 결합제 및 코팅제의 이송량은 2.5 내지 3l bs/hr임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코팅층은, 활성규산에 NaOH 및 KOH 수용액을 투입하여 9 내지 13 Ph값을 가지는 알칼리금속 이온-활성규산 복합체(Polysilicic Acid) 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알칼리금속 이온-활성규산 복합체 용액을 형광체 농도 0.1 내지 20 중량%의 형광체 분산액에 중량비 0.1:1 내지 5:1(w/w)로 투입하여 실리카 코팅층을 형성한다. 이때, 제2코팅층의 코팅공정에서 촉매 또는 실란 커플링제의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코팅층의 형광체 분산액은, 물, 및 케톤류, 에테르류, 지방족탄화수소류, 지환식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 에스테르류, 설폭시드류 및 알코올류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언급한 형광체는, Sr5(PO4)3Cl:Eu계 형광체, BaMgAl10O17:Eu계 형광체, ZnO:Zn계 형광체, Zn2SiO4:Mn계 형광체, Zn2GeO4:Mn계 형광체, YVO4:Eu계 형광체, Y2O2S:Eu계 형광체, MgO-GeO2:Mn계 형광체, ZnS:Cu계 형광체, Y2O3:Eu계 형광체, (YGd)2O3:Eu계 형광체, LaOCl:Eu계 형광체, SrO2(Al2O3)nEu2+계 형광체, GaOF:Eu계 형광체, CaS:Bi계 형광체, La2O2S:Eu계 형광체, Li2Mg(MoO4):Eu,Sm계 형광체, (Ba, Sr)2SiO4:Eu계 형광체, ZnS:Cu,Al계 형광체, SrGa2S4:Eu계 형광체, Sr5(PO4)3Cl:Eu계 형광체, (SrMg)5PO4Cl:Eu계 형광체, BaMg2Al16O27:Eu계 형광체, (Y,Gd)BO3:Eu, Y(V,P)O4:Eu, (Y,Gd)2O3:Eu계 형광체, CaMgSi2O6:Eu계 형광체, CaWO4:Pb계 형광체 및 Y2SiO5:Eu계 형광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3코팅층은, 마찰계수가 현저히 낮은 특성의 테프론 코팅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테프론 코팅 소재로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FA(Per Fluoro Alkoxy) 및 ETFE(Ethylene TetrafluoroEthylene)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3코팅층 형성에 적용되는 테프론 코팅이 PTFE(Polytetrafluoroethylene)를 이용한 블랙 코팅인 경우, 상기 제3코팅층 형성 후 건조 과정은, 190 ℃의 온도가 오븐 내에 유지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10분 내지 15분 범위 내에서의 건조 시간동안 실행된다. 이때, 상기 열처리 공정은, 340 내지 350 ℃의 열처리 온도가 오븐 내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5분 내지 10분 범위 내에서의 열처리 로딩 시간 동안 실행되며, 상기 열처리 공정에서의 열처리 온도를 상승시킴에 있어서 오븐 내부의 온도가 240 ℃를 도달한 시점부터 20 ℃의 온도 상승 간격마다 오븐 내부의 가스를 제거함이 바람직하다.
제3코팅층 형성에 적용되는 테프론 코팅이 PTFE(Polytetrafluoroethylene)를 이용한 화이트 코팅인 경우, 상기 제3코팅층 형성 후 건조 과정은, 170 ℃의 온도가 오븐 내에 유지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10분 내지 15분 범위 내에서의 건조 시간동안 실행된다. 이때, 상기 열처리 공정은, 220 내지 230 ℃의 열처리 온도가 오븐 내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10분 내지 15분 범위 내에서의 열처리 로딩 시간 동안 실행됨이 바람직하다.
제3코팅층 형성에 적용되는 PFA(Per Fluoro Alkoxy)를 이용한 코팅인 경우, 상기 제3코팅층 형성 후 건조 과정은, 190 ℃의 온도가 오븐 내에 유지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10분 내지 15분 범위 내에서의 건조 시간동안 실행된다. 이때, 상기 열처리 공정은, PFA 파우더를 이용한 파우더 코팅 후 열처리 과정으로 진행되되, 상기 파우더 코팅의 요구 코팅 두께에 상응하여 상기 파우더 코팅 후 열처리 과정이 반복되며, 상기 파우더 코팅 후 열처리 과정은, 370 내지 390 ℃의 열처리 온도가 오븐 내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10분 내지 40분 범위 내에서의 열처리 로딩 시간 동안 실행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코팅층 형성에 적용되는 테프론 코팅이 ETFE(Ethylene TetrafluoroEthylene)를 이용한 코팅인 경우, 상기 열처리 공정은, ETFE 파우더를 이용한 파우더 코팅 후 열처리 과정으로 진행되되, 상기 파우더 코팅의 요구 코팅 두께에 상응하여 상기 파우더 코팅 후 열처리 과정이 반복된다. 이때, 상기 파우더 코팅 후 열처리 과정은, 300 내지 340 ℃의 열처리 온도가 오븐 내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20분 내지 40분 범위 내에서의 열처리 로딩 시간 동안 실행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와의 마찰 횟수가 소정 횟수를 초과할 경우 제3코팅층이 제2코팅층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와이어로프 보다 제3코팅층이 먼저 마모되도록 유도할 수 있어 와이어로프의 마모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제2코팅층을 형광색으로 구성하고 제3코팅층은 제2코팅층과 보색대비를 이루는 색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제3코팅층이 박리된 부분을 육안으로 손쉽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해당 박리된 부분을 손쉽게 보수처리하거나 해당 부분을 교체처리 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손쉬운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을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의 접촉롤러 및 롤러지지프레임을 발췌하여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도 6에 도시된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의 접촉롤러 및 롤러지지레임이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냅링 개폐부(130)는, 특정 구조의 제1탄성부재(132), 롤러지지프레임(151), 제2탄성부재(155), 접촉롤러(154) 및 제3탄성부재(156)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스냅링 개폐부(130)는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을 향해 개방된 종단면상 ㄷ자형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냅링 개폐부(130)의 제1탄성부재(132)는, 제1힌지구조(131)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스냅링 개폐부(130)를 바깥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냅링 개폐부(130)의 롤러지지프레임(151)은, 제1힌지구조(1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스냅링 개폐부(130)의 개방된 공간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로서, 스냅링 연장부(120)의 일측면과 맞닿아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으로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는 단턱구조가 형성되며, 일단부에 접촉롤러(154)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는 롤러장착부(152)가 제2힌지구조(153)에 의해 결속된다. 이때, 제2탄성부재(155)는 제1힌지구조(131)에 장착되어 롤러지지프레임(151)을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촉롤러(154)는, 롤러장착부(152)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 방향으로 측면이 노출되는 원통형 구조이며, 스냅링 연장부(120)와 함께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을 형성하도록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길이로 형성되며, 측면에 마모방지부(140)와 동일한 소재가 도포되거나 코팅된 구조이다. 이때, 제3탄성부재(156)는 제2힌지구조(153)에 장착되어 롤러장착부(152)를 제2힌지구조(153)를 중심으로 스냅링 개폐부(130)의 개방된 공간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탄성부재(132), 롤러지지프레임(151), 제2탄성부재(155), 접촉롤러(154) 및 제3탄성부재(156)를 포함하는 스냅링 개폐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스냅링 개폐부(130)를 통해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에 결속된 와이어로프가 접촉롤러(154)를 통해 자연스럽게 미끄러져 이동될 수 있어, 와이어로프가 스냅링 개폐부(130)의 외부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와이어로프와 스냅링 개폐부(130)와의 접촉에 따른 마모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와이어로프
100: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
110: 스냅링 본체부
111: 결속구
120: 스냅링 연장부
130: 스냅링 개폐부
131: 제1힌지구조
132: 제1탄성부재
133: 탄성구동부
140: 마모방지부
151: 롤러지지프레임
152: 롤러장착부
153: 제2힌지구조
154: 접촉롤러
155: 제2탄성부재
156: 제3탄성부재

Claims (5)

  1. 일측에 죔줄 또는 업소버(shock absorber)가 결속될 수 있는 결속구(111)가 형성되고, 스냅링 개폐부(130)의 개폐동작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구동부가 장착된 구조의 스냅링 본체부(110);
    상기 스냅링 본체부(110)와 일체형 구조로 타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을 형성하도록 굴곡된 구조의 스냅링 연장부(120);
    상기 스냅링 본체부(110)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가능하도록 제1힌지구조(131)에 의해 장착되고, 스냅링 연장부(120)의 일단부와 맞닿아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을 폐쇄하도록 개폐동작되는 구조의 스냅링 개폐부(130); 및
    상기 스냅링 연장부(120)의 외부면에 도포되거나 코팅되고,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에 배치되는 와이어로프와 스냅링 연장부(120)의 마찰로 인한 와이어로프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된 마모방지부(140);
    을 포함하고,
    상기 스냅링 개폐부(130)는,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을 향해 개방된 종단면상 ㄷ자형 구조이고,
    상기 제1힌지구조(131)에 장착되고, 스냅링 개폐부(130)를 바깥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132);
    상기 제1힌지구조(1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스냅링 개폐부(130)의 개방된 공간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스냅링 연장부(120)의 일측면과 맞닿아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으로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는 단턱구조가 형성되며, 일단부에 접촉롤러(154)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는 롤러장착부(152)가 제2힌지구조(153)에 의해 결속된 롤러지지프레임(151);
    상기 제1힌지구조(131)에 장착되고, 롤러지지프레임(151)을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155);
    상기 롤러장착부(152)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 방향으로 측면이 노출되는 원통형 구조이며, 스냅링 연장부(120)와 함께 와이어로프 결속 공간을 형성하도록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길이로 형성되며, 측면에 마모방지부(140)와 동일한 소재가 도포되거나 코팅된 구조의 접촉롤러(154); 및
    상기 제2힌지구조(153)에 장착되고, 롤러장착부(152)를 제2힌지구조(153)를 중심으로 스냅링 개폐부(130)의 개방된 공간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탄성부재(15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방지부(140)는,
    상기 스냅링 연장부(120)의 표면에 직접 도포되거나 코팅되어 하나의 층상 구조를 형성하고,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이물질에 대항하는 내식특성 및 발수특성을 가지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에 대항하는 내마모특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제1코팅층;
    상기 제1코팅층이 도포되거나 코팅된 후 제1코팅층의 표면에 분사되어 덧입혀져 제1코팅층과 함께 양생되며, 형광색 색상을 발현하는 제2코팅층; 및
    상기 제1코팅층과 제2코팅층 양생 후, 제2코팅층 표면을 매끄럽게 폴리싱 한 후 제2코팅층 표면에 도포되거나 코팅되어 하나의 층상 구조를 형성하고, 제2코팅층의 형광색과 보색대비를 이루는 색상을 발현하며, 마찰계수 0.05 내지 0.20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고, 소정 크기의 마찰력이 소정 반복횟수만큼 지속될 경우 제2코팅층으로부터 박리되는 제3코팅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팅층은,
    크로미늄 옥사이드(Cr2O3) 20 내지 40 중량%, 결합제 40 내지 60 중량%, 이황화텅스텐(WS2) 10 내지 20 중량% 및 은(Ag)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파쇄하고,
    니켈(Ni) 60 내지 80 중량%와 크롬(Cr)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결합제를 파쇄한 후,
    파쇄된 결합제를 스냅링 연장부(120)의 외부면 표면에 플라즈마 스프레이 코팅방식으로 30 내지 50 ㎛ 두께로 1차 코팅한 후, 파쇄된 코팅제를 1차 코팅층 표면에 플라즈마 스프레이 코팅방식으로 200 내지 220 ㎛ 두께로 2차 코팅한 후,
    상기 1차 코팅과 2차 코팅을 2회 또는 3회 반복하여 형성하고,
    상기 플라즈마 스프레이 코팅 시 전류는 450 내지 500 A, 전압은 40 내지 80 V, 스탠드오프는 90 내지 110 ㎜, 제 1반응가스는 아르곤(Ar), 제 1반응가스 유량은 75 내지 85 scfh, 제 2반응가스는 수소(H2), 제 2반응가스 유량은 7 내지 13 scfh, 파쇄된 결합제 및 코팅제의 이송량은 2.5 내지 3l bs/hr이며,
    상기 제2코팅층은,
    활성규산에 NaOH 및 KOH 수용액을 투입하여 9 내지 13 Ph값을 가지는 알칼리금속 이온-활성규산 복합체(Polysilicic Acid) 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알칼리금속 이온-활성규산 복합체 용액을 형광체 농도 0.1 내지 20 중량%의 형광체 분산액에 중량비 0.1:1 내지 5:1(w/w)로 투입하여 실리카 코팅층을 형성하며,
    상기 제2코팅층 형성 공정에서 촉매 또는 실란 커플링제의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형광체 분산액은,
    물, 및 케톤류, 에테르류, 지방족탄화수소류, 지환식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 에스테르류, 설폭시드류 및 알코올류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형광체는,
    Sr5(PO4)3Cl:Eu계 형광체, BaMgAl10O17:Eu계 형광체, ZnO:Zn계 형광체, Zn2SiO4:Mn계 형광체, Zn2GeO4:Mn계 형광체, YVO4:Eu계 형광체, Y2O2S:Eu계 형광체, MgO-GeO2:Mn계 형광체, ZnS:Cu계 형광체, Y2O3:Eu계 형광체, (YGd)2O3:Eu계 형광체, LaOCl:Eu계 형광체, SrO2(Al2O3)nEu2+계 형광체, GaOF:Eu계 형광체, CaS:Bi계 형광체, La2O2S:Eu계 형광체, Li2Mg(MoO4):Eu,Sm계 형광체, (Ba, Sr)2SiO4:Eu계 형광체, ZnS:Cu,Al계 형광체, SrGa2S4:Eu계 형광체, Sr5(PO4)3Cl:Eu계 형광체, (SrMg)5PO4Cl:Eu계 형광체, BaMg2Al16O27:Eu계 형광체, (Y,Gd)BO3:Eu, Y(V,P)O4:Eu, (Y,Gd)2O3:Eu계 형광체, CaMgSi2O6:Eu계 형광체, CaWO4:Pb계 형광체 및 Y2SiO5:Eu계 형광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제3코팅층은,
    테프론 코팅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테프론 코팅 소재로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FA(Per Fluoro Alkoxy) 및 ETFE(Ethylene TetrafluoroEthylene)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프론 코팅이 PTFE(Polytetrafluoroethylene)를 이용한 블랙 코팅인 경우,
    상기 제3코팅층 형성 후 건조 과정은, 190 ℃의 온도가 오븐 내에 유지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10분 내지 15분 범위 내에서의 건조 시간동안 실행되고,
    상기 건조 과정 이후 열처리 공정은, 340 내지 350 ℃의 열처리 온도가 오븐 내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5분 내지 10분 범위 내에서의 열처리 로딩 시간 동안 실행되며,
    상기 열처리 공정에서의 열처리 온도를 상승시킴에 있어서 오븐 내부의 온도가 240 ℃를 도달한 시점부터 20 ℃의 온도 상승 간격마다 오븐 내부의 가스를 제거하며,
    상기 테프론 코팅이 PTFE(Polytetrafluoroethylene)를 이용한 화이트 코팅인 경우,
    상기 제3코팅층 형성 후 건조 과정은, 170 ℃의 온도가 오븐 내에 유지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10분 내지 15분 범위 내에서의 건조 시간동안 실행되고,
    상기 건조 과정 이후 열처리 공정은, 220 내지 230 ℃의 열처리 온도가 오븐 내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10분 내지 15분 범위 내에서의 열처리 로딩 시간 동안 실행되며,
    상기 테프론 코팅이 PFA(Per Fluoro Alkoxy)를 이용한 코팅인 경우,
    상기 제3코팅층 형성 후 건조 과정은, 190 ℃의 온도가 오븐 내에 유지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10분 내지 15분 범위 내에서의 건조 시간동안 실행되고,
    상기 건조 과정 이후 열처리 공정은, PFA 파우더를 이용한 파우더 코팅 후 열처리 과정으로 진행되되, 상기 파우더 코팅의 요구 코팅 두께에 상응하여 상기 파우더 코팅 후 열처리 과정이 반복되며,
    상기 파우더 코팅 후 열처리 과정은, 370 내지 390 ℃의 열처리 온도가 오븐 내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10분 내지 40분 범위 내에서의 열처리 로딩 시간 동안 실행되며,
    상기 테프론 코팅이 ETFE(Ethylene TetrafluoroEthylene)를 이용한 코팅인 경우,
    ETFE 파우더를 이용한 파우더 코팅 후 열처리 과정으로 진행되되, 상기 파우더 코팅의 요구 코팅 두께에 상응하여 상기 파우더 코팅 후 열처리 과정이 반복되며,
    상기 파우더 코팅 후 열처리 과정은, 300 내지 340 ℃의 열처리 온도가 오븐 내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20분 내지 40분 범위 내에서의 열처리 로딩 시간 동안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
  5. 삭제
KR1020220075239A 2022-06-21 2022-06-21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 KR102497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239A KR102497678B1 (ko) 2022-06-21 2022-06-21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239A KR102497678B1 (ko) 2022-06-21 2022-06-21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678B1 true KR102497678B1 (ko) 2023-02-09

Family

ID=85224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239A KR102497678B1 (ko) 2022-06-21 2022-06-21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6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31606B2 (en) * 2021-02-22 2024-03-19 Bexus Industries Co., Ltd. Anti-torque safety hook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366B1 (ko) * 2005-07-04 2006-12-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내열, 내마모, 저마찰 특성을 가지는 코팅제 및 이의코팅방법
KR20080104126A (ko) * 2006-02-23 2008-12-01 아토테크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마찰방지 코팅, 마찰방지 코팅의 제조 방법 및 마찰방지 코팅을 포함하는 물품
KR20140056406A (ko) * 2012-10-23 2014-05-12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형광체 표면 코팅방법
KR20150002077U (ko) * 2015-02-13 2015-06-01 스왈록아시아 주식회사 안전 고리
KR102202866B1 (ko) 2020-11-11 2021-01-14 제룡산업 주식회사 산형강 철탑용 추락방지 와이어 클램프
KR20210116171A (ko) * 2020-03-12 2021-09-27 주식회사 에이치솔 테프론 코팅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366B1 (ko) * 2005-07-04 2006-12-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내열, 내마모, 저마찰 특성을 가지는 코팅제 및 이의코팅방법
KR20080104126A (ko) * 2006-02-23 2008-12-01 아토테크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마찰방지 코팅, 마찰방지 코팅의 제조 방법 및 마찰방지 코팅을 포함하는 물품
KR20140056406A (ko) * 2012-10-23 2014-05-12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형광체 표면 코팅방법
KR20150002077U (ko) * 2015-02-13 2015-06-01 스왈록아시아 주식회사 안전 고리
KR20210116171A (ko) * 2020-03-12 2021-09-27 주식회사 에이치솔 테프론 코팅 방법
KR102202866B1 (ko) 2020-11-11 2021-01-14 제룡산업 주식회사 산형강 철탑용 추락방지 와이어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31606B2 (en) * 2021-02-22 2024-03-19 Bexus Industries Co., Ltd. Anti-torque safety hoo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7678B1 (ko) 와이어로프 마모방지 스냅링
US11001696B2 (en) UV-resistant superhydrophobic coating compositions
CN106312056B (zh) 一种金刚石表面金属化方法
CN108642933A (zh) 一种逃生绳及其制备方法
EP2365108B1 (en) A steel wire rope for use in a drive system
CN103915227B (zh) 一种±660kV直流复合绝缘子
MXPA03005353A (es) Nuevos agentes de bloqueo para poliiocianatos no acuosos basados en aralquilaminas.
EP2073305A1 (de) Blitzschutzeinrichtung an einem Fahrzeugaufbau, insbesondere einer Fahrzeugantenne
CN209266066U (zh) 一种实用性能强的电缆
PL222819B1 (pl) Lina druciana
MXPA04003721A (es) Aislador de suspension con tapon de sellado.
CN208985766U (zh) 一种阻燃型数据传输线束
CN219529979U (zh) 一种新型加油栓阀门开关
DE202011050410U1 (de) Elektromagnetische Stellvorrichtung
CN208335769U (zh) 一种耐低温电缆
KR101205423B1 (ko) 도체 보호구조가 개선된 전력케이블
CN205692591U (zh) 一种柔性抗断裂工业用电缆
CN208622467U (zh) 一种耐高温耐腐蚀水冷电缆
CN215316478U (zh) 一种环保无镀铜活性实芯焊丝
CN215954907U (zh) 一种通讯设备用屏蔽式电缆
CN208189257U (zh) 一种采煤机专用控制线芯加强型橡套软电缆
CN213400597U (zh) 一种抗扭曲型电缆
US1786767A (en) Insulator
CN219534117U (zh) 一种耐磨防水型电缆
CN104617363A (zh) 一种防紫外线同轴电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