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730B1 - 낙하방지 안전고리 연결용 프로파일앵커 - Google Patents

낙하방지 안전고리 연결용 프로파일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730B1
KR102298730B1 KR1020190174447A KR20190174447A KR102298730B1 KR 102298730 B1 KR102298730 B1 KR 102298730B1 KR 1020190174447 A KR1020190174447 A KR 1020190174447A KR 20190174447 A KR20190174447 A KR 20190174447A KR 102298730 B1 KR102298730 B1 KR 102298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anchor
support rod
hinge
safety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1977A (ko
Inventor
허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탑
Priority to KR1020190174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730B1/ko
Publication of KR20210081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76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95Guide tracks for safet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하방지 안전고리 연결용 프로파일앵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클린룸의 고소작업 시 낙하사고를 방지하도록 천장에 기 설치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안전고리를 쉽게 체결할 수 있도록 천장에 T형의 요입홈(101)을 갖는 프로파일(100)에 장착하여 고소작업 시 작업자의 안전고리 후크(200)를 체결하도록 상단에 프로파일(100)의 요입홈(101)에 걸림되어 슬라이딩하도록 형성되는 걸림슬라이드헤드(10)와, 상기 걸림슬라이드헤드(10)의 하부에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지지봉(20)과, 상기 지지봉(20)의 하부에 작업자의 안전고리 후크(200)를 체결하도록 형성되는 체결링(30)으로 이루어진 전측앵커(2)와 후측앵커(3) 한쌍을 포함하며, 상기 전측앵커(2)와 후측앵커(3)는 천장에 설치된 프로파일(100)에 각각 체결한 후 상호 결합하여 프로파일(100)에서 분리 또는 빠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결합수단(4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천장에서 연장된 체결구조를 제공하여 작업자가 안전고리 후크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고, 프로파일의 길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고소 작업 시 이동이 가능하면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방지 안전고리 연결용 프로파일앵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낙하방지 안전고리 연결용 프로파일앵커 {Profile anchor for anti-falling safety hook connection}
본 발명은 고소 작업 시 천장에 설치된 프로파일에 연장되도록 설치하여 작업자의 낙하방지를 위한 안전고리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프로파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고소작업 시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낙하방지 안전고리 연결용 프로파일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화학약품 등을 취급하는 제조하는 시설에는 먼지나 이물질이 전혀 없는 클린룸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클린룸은 청정 분위기를 실내에 유지시키기 위한 벽체가 구축하게 되며, 여기서 벽체는 다수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아크릴판들을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클린룸을 제작 시 천장 부위에서 아크릴판을 장착하는 등의 고소 작업이 필요하게 되며 고소 작업 시 천장에 안전고리를 연결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함에 따라 천장에 설치된 프로파일에 안전고리를 연결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클린룸의 고소 작업 시, 프로파일에 안전고리의 연결을 위해 연결끈을 프로파일에 감싸도록 하는 등의 임시적인 연장고리를 만들어 안전고리를 연결하여 작업을 하거나, 연장고리를 형성하는 작업이 번거롭다 보니 안전고리를 연결하지 않고 작업하는 중에 낙하사고로 인해 인명사고가 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등록특허공보 제10-1321634호에 의하면 몰드 프레임의 몰드 삽입홈으로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장착 홈들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대향하여 각각 일측에 형성한 고정판과 이동판을 구비한 클램프; 상기 클램프의 고정판에 대해 이동판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각각의 이동판의 외면에 장착된 누름봉을 구비하고, 상기 누름봉을 작동시키는 손잡이와 링크를 구비한 구동부; 및 상기 클램프의 고정판과 이동판의 타측에 연결된 안전 끈;들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들을 복수개 마련하여 상기 클램프들 사이를 안전 끈으로 연결하며, 상기 클램프들을 이용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클린룸의 천장 몰드 프레임에 장착되는 클린룸용 고소작업 안전고리를 공지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클린룸용 고소작업 안전고리는 몰드프레임으로 클램프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천장 몰드 프레임으로 작업자의 손이 닿는 거리가 되어야함에 따라 천장 몰드 프레임과 작업자의 간격이 넓은 경우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고, 클램프가 원터치식으로 장착하는 구조상 구성이 다소 복잡하고 천장 몰드 프레임으로 장착 또는 분리 작업이 번거롭고 내구성에서 다소 약한 문제점이 있다.
KR (B1) 10-1321634 (2013. 10. 23.)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클린룸의 고소작업 시 낙하사고를 방지하도록 천장에 설치된 프로파일에 간단히 결합하여 작업자가 안전고리를 쉽게 체결할 수 있도록 천장에서 연장된 체결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프로파일의 길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낙하방지 안전고리 연결용 프로파일앵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천장에 T형의 요입홈(101)을 갖는 프로파일(100)에 장착하여 고소작업 시 작업자의 안전고리 후크(200)를 체결하도록 상단에 프로파일(100)의 요입홈(101)에 걸림되어 슬라이딩하도록 형성되는 걸림슬라이드헤드(10)와, 상기 걸림슬라이드헤드(10)의 하부에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지지봉(20)과, 상기 지지봉(20)의 하부에 작업자의 안전고리 후크(200)를 체결하도록 형성되는 체결링(30)으로 이루어진 전측앵커(2)와 후측앵커(3) 한쌍을 포함하며, 상기 전측앵커(2)와 후측앵커(3)는 천장에 설치된 프로파일(100)에 각각 체결한 후 상호 결합하여 프로파일(100)에서 분리 또는 빠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결합수단(4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걸림슬라이드헤드(10)는 하부에 지지봉(20)이 일체 연장되는 결합구(1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11)의 상단에 프로파일(100)의 요입홈(101)으로 끼움되는 요입부(12)가 상향 돌출되며, 상기 요입부(12)는 결합구(11)에서 상향 돌출되도록 요입구(13)가 형성되고 상기 요입구(13)의 상단에 양측으로 돌출되어 프라파일(100)의 요입홈(101)으로 걸림되도록 체결하는 걸림슬라이드(14,14')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수단(40)은 전측앵커(2)와 후측앵커(3)의 결합구(11)를 상호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끼움부(41)와, 전후측 체결링(30)사이로 힌지 연결되어 전후측 지지봉(20)을 체결하여 결속시키도록 형성되는 결속편(42)으로 구성되며, 상기 끼움부(41)는 전측앵커(2) 및 후측앵커(3)의 결합구(11)에 끼움돌기(41a)와 끼움공(41b)이 형성되어 상호 체결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속편(42)은 전후측 체결링(30)의 일측에 힌지공(31)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공(31)으로 힌지축(32)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힌지결합구(43)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결합구(43)의 상부에 상부 전후단에 한쌍의 록킹판(45,45')이 절곡된 회동판(44)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판(45,45')으로 전후측 지지봉(20)이 내입된 채로 구속 또는 해제하는 록킹돌기(46,46')가 돌출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봉(20)은 길이를 더 연장하도록 복수의 지지봉(20)이 접철되도록 하는 연장수단(50)이 더 구성되며, 상기 연장수단(50)은 제1지지봉(21)과 제2지지봉(22)으로 상하 구성하고 상기 제1,2지지봉(21,22)를 접철하도록 제1,2지지봉(21,22) 사이로 접철힌지편(51)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철힌지편(51)은 제1지지봉(21)의 하단부와 제2지지봉(22)의 상단부가 상하에서 각각 회전하도록 축설되는 힌지편(52)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편(52)에 제1지지봉(21)과 제2지지봉(22)이 일측방향으로 접철되게 유도하도록 상하부유도장공(53,54)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유도장공(53)으로 제1지지봉(21)이 구속되고 하부유도장공(54)으로 제2지지봉(22)이 구속되어 일측방향으로 접철하도록 상부힌지축 (53a)및 하부힌지축(54a)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낙하방지 안전고리 연결용 프로파일앵커에 의하면, 클린룸의 고소작업 시 천장에 기 설치된 프로파일에 연장바 형태로 체결이 간편하고 천장에 설치된 프로파일과 작업자의 거리가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거리라도 설치가 용이하며, 연장바 형태로 작업자는 낙하방지를 위한 안전고리를 아주 편리하게 체결하여 고소 작업시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클린룸에서 작업자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을 따라 프로파일앵커가 슬라이딩 이동이 자유로움으로 인해 고소작업 시 이동간에도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안전후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안전후크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안전후크의 체결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산업용 안전후크의 구성에서 연장수단이 더 포함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연장수단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결합수단의 구성에서 끼움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안전후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실시예에 따른 하기 도면은 구성과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좁게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당연하다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통상의 기술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기술용어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안전후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안전후크를 도시한 분리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낙하방지 안전고리 연결용 프로파일앵커(1)는 상단에 기 설치된 프로파일(100)에 체결하는 걸림슬라이드헤드(10)와 상기 걸림슬라이드헤드(10)의 하부에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지지봉(20)과, 상기 지지봉(20)의 하부에 작업자의 안전고리 후크(200)를 체결하도록 형성되는 체결링(30)으로 이루어진 전측앵커(2)와 후측앵커(3) 한쌍으로 구성되며,
이와 같은 전측앵커(2)와 후측앵커(3)는 천장에 설치된 프로파일(100)에 각각 체결한 후 전후측에서 상호 결합된 상태로 조립해줌으로써 프로파일(100)에서 견고한 상태로 작업자 1인이 사용하는 프로파일앵커(1)로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전측앵커(2)와 후측앵커(3)는 상호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 결합수단(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걸림슬라이드헤드(10)는 하부에 지지봉(20)이 일체 연장되는 결합구(1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11)의 상단에 프로파일(100)의 요입홈(101)으로 끼움되는 요입부(12)가 상향 돌출되며, 상기 요입부(12)는 결합구(11)에서 상향 돌출되도록 요입구(13)가 형성되고 상기 요입구(13)의 상단에 양측으로 돌출되어 프로파일(100)의 요입홈(101)으로 걸림되도록 체결하는 걸림슬라이드(14,1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요입부(12)는 요입구(13)와 걸림슬라이드(14,14')의 전후측 폭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걸림슬라이드(14,14,)는 양측 폭이 요입구(13) 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걸림슬라이드헤드(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앵커(1)를 프로파일(100)의 요입홈(101)으로 결합 시 걸림슬라이드(14,14')가 전후방향이 되도록 하여 요입홈(101)으로 삽입한 후 걸림슬라이드헤드(10)가 양측방향이 되도록 회전시켜줌으로써 걸림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전측앵커(2)와 후측앵커(3)는 각각의 요입부(12)를 프로파일(100)로 결합한 상태에서는 걸림슬라이드헤드(10)가 요입홈(101)에서 측방향으로 향하도록 상태에서는 걸림된 구조를 형성하지만 전측앵커(2) 또는 후측앵커(3)가 작업자의 작업반경을 따라 이동 시 전측앵커(2) 또는 후측앵커(3)가 유동되면서 걸림슬라이드헤드(10)가 빠짐되어 분리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전측앵커(2)와 후측앵커(3)를 전후측에서 일체로 조립함으로써, 걸림슬라이드(14,14')의 폭이 요입홈(101)의 입구폭 보다 크게 되어 빠짐 또는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프로파일(100)의 요입홈(101)과 걸림슬라이드헤드(10)는 그 형성으로 볼때, T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지지봉(20)은 걸림슬라이드헤드(10)의 결합구(11) 하부에 소정길이로 연장 형성되며, 이러한 지지봉(20)은 결합구(11)의 하부에 삽입된 형태로 하여 리벳 또는 용접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20)은 전측앵커(2)와 후측앵커(3)를 식별하기 위해 서로 다른 색상으로 코팅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지지봉(20)은 천장에 설치된 프로파일(100)이 작업자와 위아래 간격이 큰 폭으로 차이가 있는 경우 프로파일에서 연장된 형태로 체결하여 작업자가 편리하게 안전고리 후크(200)를 체결할 수 있도록 지지봉의 길이는 현장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봉(20)은 길이를 보다 편리하게 연장할 수 있도록 복수의 지지봉(20)을 접철하도록 연장수단(5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장수단(50)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20)을 제1지지봉(21)과 제2지지봉(22)으로 상하 구성하고 상기 제1,2지지봉(21,22) 사이로 접철힌지편(51)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접철힌지편(51)은 제1지지봉(21)의 하단부와 제2지지봉(22)의 상단부가 상하에서 각각 회전하도록 축설되는 힌지편(52)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편(52)에 제1지지봉(21)과 제2지지봉(22)이 일측방향으로 접철되게 유도하도록 상하부유도장공(53,54)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유도장공(53)으로 제1지지봉(21)이 구속되고 하부유도장공(54)으로 제2지지봉(22)이 구속되어 일측방향으로 접철하도록 상부힌지축 (53a)및 하부힌지축(54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연장수단(50)은 작업자가 상하부유도장공(53,54)이 형성된 측방향으로 억지힘을 가함으로써 접철이 이루어지게 되며, 제1지지봉(21)과 제2지지봉(22)을 펼쳐진 상태로 연장구조를 형성한 후 프로파일(100)에 결합 시, 하부측으로 하중이 쏠리게 되어 보다 견고하고 안전한 연장된 지지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체결링(30)은 지지봉(20)의 하단에 리벳 또는 용접으로 일체 형성하여 작업자가 안전고리 후크(200)를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수단(40)은 프로파일(100)의 요입홈(101)으로 전측앵커(2)와 후측앵커(3)의 걸림슬라이드헤드(10)를 체결한 후, 빠짐 또는 분리되는 것을 방지토록 전측앵커(2)와 후측앵커(3)를 견고한 결합상태로 조립하기 위해 전측앵커(2)와 후측앵커(3)의 결합구(11)를 상호 결합하는 끼움부(41)가 형성되고, 전후측 체결링 (30)사이로 힌지 연결되어 전후측 지지봉(20)을 결속하도록 체결하는 결속편(4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끼움부(41)는 도 2를 참조하면, 후측앵커(3)의 결합구(11) 전단에 끼움돌기(41a)가 형성되고, 전측앵커(2)의 결합구(11) 후단에 끼움공(41b)이 형성되어 상호 끼움한 상태로 전후측 결합구(11)를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속편(42)은 체결링(30) 일측에 힌지공(31)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공(31)으로 힌지축(32)에 의해 전후측 체결링(30) 사이로 힌지 결합되는 힌지결합구(43)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결합구(43)의 상부에 회동판(44)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판(44)의 상부측 전후단에 한쌍의 록킹판(45,45')이 절곡되며 상기 록킹판(45,45')으로 전후측 지지봉(20)이 내입된 구조로 걸림되도록 구속 또는 해제하는 록킹돌기(46,46')가 내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은 결속편(42)은 힌지결합구(43)가 전측앵커(2) 또는 후측앵커(3) 중 어느 한쪽의 체결링(30)으로 힌지 결합된 상태로 구비되어 프로파일(100)에 결합한 후 전측앵커(2)와 후측앵커(3)의 힌지결합구(43)를 끼움함과 동시에 결속편(42)의 결합되지 않는 쪽을 체결링(30)으로 결합한 상태로 조립한 후, 체결편(42)의 록킹판(45,45')을 전후측 지지봉(20)이 구속되도록 체결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결합수단(40)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측앵커(2) 및 후측앵커(3)의 결합구(11)를 상호 결합하기 위해 끼움부(41)를 대신하여 끼움편(47)으로 변형 구성이 가능하다.
즉, 상기 끼움편(47)은 양단 날개편(47a)이 후측앵커(2)의 결합구(11)에 결합되어 전측앵커(2)의 결합구(11)가 끼움되도록 관통된 수용홀(47b)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수용홀(47b)의 양측폭은 전측앵커(2)가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한 폭으로 결합구(11)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끼움편(47)은 수용홀(47b)에 전측앵커(2)의 요입부(12)를 하부측에서 끼움 관통시키도록 하여 요입홈(101)으로 걸림슬라이드(14,14')가 걸림되도록 회전시켜 체결하게 되면 수용홀(47b)에서 전측앵커(2)가 후측앵커(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낙하방지 안전고리 연결용 프로파일앵커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클린룸의 고소 작업 시, 천장에 기 설치된 프로파일(100)에 본 발명의 프로파일앵커(1)를 결합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고리 후크의 체결이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한쌍으로 이루어진 전측앵커 후측앵커를 프로파일(100)에 체결하되, 상단부가 걸림되도록 프로파일(100)에 각각 체결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지지봉(20)의 하단부를 파지한 상태로 전측앵커(2) 및 후측앵커(3)의 상단에 걸림슬라이드헤드(10)의 요입부(12)를 프로파일(100)의 요입홈(101)으로 삽입하되, 걸림슬라이드(14,14')가 프로파일(100)의 요입홈(101)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전후방향을 향하도록 맞춘 상태로 하여 요입홈(101)으로 삽입시킨 후 걸림슬라이드(14,14')가 요입홈(101)에 내입된 상태에서 측방향을 향하도록 90도 각도로 틀어줌으로써 요입홈(101)에 걸림된 구조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측앵커(2) 및 후측앵커(3)의 빠짐 또는 분리를 방지토록 하기 위해 전측앵커(2)와 후측앵커(3)를 결합수단(40)으로 결합하여 걸림슬라이드헤드(10)가 일체된 구조로 만들게 된다.
여기서 결합수단(40)에 의한 연결 시, 결합구(11)에 각 형성된 끼움돌기(41a)와 끼움공(41b)이 결합되도록 전측앵커(2)와 후측앵커(3)의 전후단을 서로 밀착시킴과 동시에 체결링(30)으로 결속편(42)을 힌지 구조로 결합하여 한쌍의 지지봉(20)을 결속편(42)으로 체결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가 결속편(42)으로 힘을 가하여 지지봉(20)이 내입되도록 체결하게 되면, 록킹판(45,45')의 내주면에 지지봉(20)이 밀착되면서 록킹판(45,45')에서 대향하도록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록킹돌기(46,46')가 지지봉(20)을 구속하면서 일체 결합한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40)에서 결합구(11)를 결합토록 하는 끼움부(41)는 끼움편(47)으로 변형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지지봉(20)의 길이를 더 연장할 수 있도록 전측앵커(2)와 후측앵커(3)를 형성하는 지지봉(20)이 상하로 제1,2지지봉(21,22)으로 형성되고 제1,2지지봉(21,22)으로 연장수단(50)이 형성된 경우, 힌지편(52)의 상부유도장공(53) 및 하부유장동(54)을 따라 제1,2지지봉(21,22)이 접철된 상태에서 기립된 상태가 되도록 펼쳐준 후, 상기와 같은 체결순서에 의해 프로파일앵커(1)를 프로파일(100)에 체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프로파일앵커(1)를 프로파일(100)에 설치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프로파일(100)에서 연장된 구조의 프로파일앵커(1)의 체결링(30)으로 안전고리 후크(200)를 체결하여 고소작업 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프로파일앵커(1)의 걸림슬라이드(10)는 프로파일(100)의 요입홈(101) 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편리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고소작업 시 이동간에도 안정성은 충분히 확보하여 작업성을 보다 더 향상시켜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프로파일앵커 2:전측앵커 3:후측앵커
10:걸림슬라이드헤드
11:결합구 12:요입부 13:요입구
14,14':걸림슬라이드
20:지지봉 21:제1지지봉 22:제2지지봉
30:체결링 31:힌지공 32:힌지축
40:결합수단
41:끼움부 41a:끼움돌기 41b:끼움공
42:결속편 43:힌지결합구 44:회동판
45,45':록킹판 46,46':록킹돌기 47:끼움편
47a:날개편 47b:수용홀
50:연장수단
51:접철힌지편 52:힌지편 53:상부유도장공
53a:상부힌지축
54:하부유도장공 54a:하부힌지축
100:프로파일 101:요입홈
200:안전고리 후크

Claims (5)

  1. 천장에 T형의 요입홈(101)을 갖는 프로파일(100)에 장착하여 고소작업 시 작업자의 안전고리 후크(200)를 체결하도록 상단에 프로파일(100)의 요입홈(101)에 걸림되어 슬라이딩하도록 형성되는 걸림슬라이드헤드(10)와,
    걸림슬라이드헤드(10)의 하부에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지지봉(20)과,
    지지봉(20)의 하부에 작업자의 안전고리 후크(200)를 체결하도록 형성되는 체결링(30)으로 이루어진 전측앵커(2)와 후측앵커(3) 한 쌍과,
    전측앵커(2)와 후측앵커(3)를 천장에 설치된 프로파일(100)에 각각 체결한 후 상호 결합하여 프로파일(100)에서 분리 또는 빠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결합수단(40)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슬라이드헤드(10)는 하부에 지지봉(20)이 일체 연장되는 결합구(11)가 형성되고,
    결합구(11)의 상단에 프로파일(100)의 요입홈(101)으로 끼움되는 요입부(12)가 상향 돌출되며,
    요입부(12)는 결합구(11)에서 상향 돌출되도록 요입구(13)가 형성되고 상기 요입구(13)의 상단에 양측으로 돌출되어 프로파일(100)의 요입홈(101)으로 걸림되도록 체결하는 걸림슬라이드(14,14')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방지 안전고리 연결용 프로파일앵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결합수단(40)은 전측앵커(2)와 후측앵커(3)의 결합구(11)를 상호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끼움부(41)와,
    전후측 체결링(30)사이로 힌지 연결되어 전후측 지지봉(20)을 체결하여 결속시키도록 형성되는 결속편(42)으로 구성되며,
    상기 끼움부(41)는 전측앵커(2) 및 후측앵커(3)의 결합구(11)에 끼움돌기(41a)와 끼움공(41b)이 형성되어 상호 체결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속편(42)은 전후측 체결링(30)의 일측에 힌지공(31)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공(31)으로 힌지축(32)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힌지결합구(43)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결합구(43)의 상부에 상부 전후단에 한쌍의 록킹판(45,45')이 절곡된 회동판(44)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판(45,45')으로 전후측 지지봉(20)이 내입된 채로 구속 또는 해제하는 록킹돌기(46,46')가 돌출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방지 안전고리 연결용 프로파일앵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봉(20)은 길이를 더 연장하도록 복수의 지지봉(20)이 접철되도록 하는 연장수단(50)이 더 구성되며,
    상기 연장수단(50)은 제1지지봉(21)과 제2지지봉(22)으로 상하 구성하고 상기 제1,2지지봉(21,22)를 접철하도록 제1,2지지봉(21,22) 사이로 접철힌지편(51)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방지 안전고리 연결용 프로파일앵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철힌지편(51)은 제1지지봉(21)의 하단부와 제2지지봉(22)의 상단부가 상하에서 각각 회전하도록 축설되는 힌지편(52)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편(52)에 제1지지봉(21)과 제2지지봉(22)이 일측방향으로 접철되게 유도하도록 상하부유도장공(53,54)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유도장공(53)으로 제1지지봉(21)이 구속되고 하부유도장공(54)으로 제2지지봉(22)이 구속되어 일측방향으로 접철하도록 상부힌지축 (53a)및 하부힌지축(54a)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방지 안전고리 연결용 프로파일앵커.
KR1020190174447A 2019-12-24 2019-12-24 낙하방지 안전고리 연결용 프로파일앵커 KR102298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447A KR102298730B1 (ko) 2019-12-24 2019-12-24 낙하방지 안전고리 연결용 프로파일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447A KR102298730B1 (ko) 2019-12-24 2019-12-24 낙하방지 안전고리 연결용 프로파일앵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977A KR20210081977A (ko) 2021-07-02
KR102298730B1 true KR102298730B1 (ko) 2021-09-07

Family

ID=76897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447A KR102298730B1 (ko) 2019-12-24 2019-12-24 낙하방지 안전고리 연결용 프로파일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73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8151A (ja) * 2003-04-03 2004-11-04 Fujii Denko Co Ltd 親綱支持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634B1 (ko) 2012-01-13 2013-10-23 주식회사 원플러스 클린룸용 고소작업 안전고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8151A (ja) * 2003-04-03 2004-11-04 Fujii Denko Co Ltd 親綱支持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977A (ko)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Z287003B6 (en) Connecting hook
KR101846471B1 (ko) 건축 비계용 틈새막이판
KR102666391B1 (ko) 지지 장치 및 그 부품
KR20210097099A (ko) 텔레스코픽 에지 보호 포스트
US5285869A (en) Scaffolding frame to which a story can be added
JP6628623B2 (ja) 足場用安全手摺の格納保持装置
KR102298730B1 (ko) 낙하방지 안전고리 연결용 프로파일앵커
JP5935111B1 (ja) 足場用安全帯取付具及び先行手摺用支柱部材
JP4077465B2 (ja) 安全手摺
DE202011001575U1 (de) Treppe, insbesondere Bodentreppe
KR200484217Y1 (ko) 다단 접이식 폴대
KR102032305B1 (ko) 접이식 시스템 비계
KR101699425B1 (ko) 비계용 안전발판
JP4909511B2 (ja) 先行手摺
JP2006342555A (ja) 可搬式作業台
JP3869654B2 (ja) 足場板隙間カバー
KR100529398B1 (ko) 접이식 낙하물 방지장치
KR200482541Y1 (ko) 커튼 구조체
EP1972739A2 (en) Extendable safety guardrail
KR200413440Y1 (ko) 절첩식 사다리 체결구조
JP2007046382A (ja) 仮設足場用手摺り
KR20130000012U (ko) 건축용 비계 안전 난간대
KR200398851Y1 (ko) 접이식 낙하물 방지장치
JP6277035B2 (ja) 足場構築体の安全手摺
JP5378735B2 (ja) 床付き布枠及び枠組足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