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4945B1 - 락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가 형성된 간접활선 작업용 안전후크 - Google Patents

락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가 형성된 간접활선 작업용 안전후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4945B1
KR102424945B1 KR1020210182655A KR20210182655A KR102424945B1 KR 102424945 B1 KR102424945 B1 KR 102424945B1 KR 1020210182655 A KR1020210182655 A KR 1020210182655A KR 20210182655 A KR20210182655 A KR 20210182655A KR 102424945 B1 KR102424945 B1 KR 102424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hook
link
bit
hook body
hi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세원
Original Assignee
대원전기 주식회사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전기 주식회사, 대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2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9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16B45/02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접활선 작업시 사용되는 작업용 안전후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장선기 또는 선단공구 등의 간접활선 공구에 결합하여 절연스틱을 사용하는 무정전 배전공법 수행시 상기 절연스틱을 사용하여 간접활선 공구를 설치하거나 이동시킬 때, 상기 절연스틱으로 작업 하중을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해 락킹 개폐조작레버 작동비트가 안전후크의 개구부를 개방하여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절연스틱과 분리되면 자체 하중으로 락킹 개폐조작레버 작동비트가 안전후크의 개구부를 자동으로 폐쇄하여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외력에 의해 작동비트가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안전후크의 개구부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후크의 개구부가 돌발 상황에 의해 개방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락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가 형성된 간접활선 작업용 안전후크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락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가 형성된 간접활선 작업용 안전후크{Safety hook for indirect live wire work with operating bit formed by locking opening/closing control lever}
본 발명은 간접활선 작업시 사용되는 작업용 안전후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장선기 또는 선단공구 등의 간접활선 공구에 결합하여 절연스틱을 사용하는 무정전 배전공법 수행시 상기 절연스틱을 사용하여 간접활선 공구를 설치하거나 이동시킬 때, 상기 절연스틱으로 작업하중을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해 락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가 안전후크의 개구부를 개방하여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절연스틱과 분리되면 자체 하중으로 락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가 안전후크의 개구부를 자동으로 폐쇄하여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외력에 의해 작동비트가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안전후크의 개구부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후크의 개구부가 돌발 상황에 의해 개방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락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가 형성된 간접활선 작업용 안전후크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현대사회에서는 전력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전력 품질에 대한 요구 수준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배전선로의 신설 및 유지보수를 위한 공사시 작업 정전을 줄여 양질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작업중에도 전력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정전 배전 공법이 주로 채택되어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특고압 배전선로 무정전 배전공법은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 공사용개폐기, 무정전변압기차, 바이패스케이블 등을 활용한 무정전 임시송전공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최근 들어 직접활선공법의 위험성이 대두되면서 발주처인 한국전력공사에서 2017년부터 직접활선공법을 폐지하고 간접활선공법을 활용한 무정전 배전공법을 도입하기로 하면서 공구 및 공법개발이 전체 공정의 30% 정도로 미비한 상태에서 적용을 서두르고 있어 간접활선공법과 직접활선공법 병용으로 인한 혼란으로 활선전공의 안전사고 위험은 물론 노동강도 및 체력의 한계로 작업능률이 저하되어 현장 활용이 불가능한 상태로 어려운 현실을 전력분야 신문 등 언론에 연일 보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종전의 직접활선공법은 활선전공이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직접 활선 상태의 특고압을 직접 만지면서 작업을 하는 것과 달리 간접활선공법은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약 1.5m ~ 2m 길이의 활선용 절연스틱을 사용하여 활선상태의 특고압 배전선선로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절연 스틱을 이용하여 간접 작업을 수행하는 활선공법이다.
한편, 무정전 배전공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 공사용개폐기, 무정전변압기차, 바이패스케이블 등을 활용하는데, 이 공법은 반드시 직접활선 또는 간접활선으로 바이패스 케이블클램프를 특고압전력선에 설치하고, 점퍼선 분리 압축이 수반된다.
즉, 종래의 무정전 배전공법은 반드시 케이블클램프 설치공정이 수반되는데, 먼저 특고압전력선에 케이블임시걸이를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설치하고, 가지지크리트에 임시로 거치된 바이패스케이블을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케이블임시걸이에 임시로 고정을 시킨 다음 활선용 피박기를 사용하여 특고압전력선의 피복을 제거한 후, 또다시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케이블임시걸이에 임시로 고정되어 있는 케이블클램프를 피복이 제거된 특고압전력선에 걸어놓고 케이블 회전장치를 케이블클램프에 끼운 다음 간접활선용 회전기능 스틱을 사용하여 접속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운 작업을 약 1.5m ~ 2m 길이의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는데 전선분리용 컷터, 활선용압축기(약45kg) 및 케이블클램프 등의 무게(약 5~20kg)가 활선작업용스틱 끝에 실려 작업자의 체력으로 활선작업용스틱 지탱이 불가능하여 작업 중 케이블클램프 등을 낙하 하는 실수가 빈번하고 이로 인하여 활선전공의 노동강도가 최고조로 증가하고 체력의 한계로 근골격계 질환우려 뿐만 아니라 방호를 생략함으로 인한 안전사고 위험 및 선로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종전 기술의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을 활선전공 및 신청기술 분야 관련업계에서 수행을 우려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때, 다양한 간접활선 공구 즉, 장선기 또는 선단공구 등을 사용하게 되는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활선작업용스틱으로 간접활선 공구를 작업자가 지속적으로 지탱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간접활선 공구에 후크를 결합하고 상기 후크를 전선 또는 완철 등에 걸어 간접활선 공구를 설치하여 보관하거나 이동시킨 후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후크는 손쉽게 전선 또는 완철 등에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전방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데, 작업에 의한 흔들림 또는 충격에 의해 전선 또는 완철 등으로부터 분리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 아이후크라고 일컬어지는 개구부가 개폐되는 안전후크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개구부가 개폐되는 후크, 일명 아이후크는 단순히 전방 하부의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작동비트가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됨과 동시에 전방으로 탄성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외력에 의해 상기 작동비트가 후방으로 가압되면 개구부가 개방되어 전선 또는 완철 등으로부터 분리되어 이로 인한 문제 및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8755호(2021.03.1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무정전 배전공법 수행시 장선기 또는 선단공구 등의 간접활선 공구에 결합하여 사용되는 후크는 작업에 의한 흔들림 또는 충격에 의해 전선 또는 완철 등으로부터 분리되어 사고가 발생되고, 작동비트가 구비되어 있을지라도 외력에 의해 상기 작동비트가 후방으로 가압되면 전선 또는 완철 등으로부터 분리되어 이로 인한 문제 및 안전사고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으로, 조작레버를 이용하여 절연스틱을 통한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되, 상기 절연스틱으로 작업 하중을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해 락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가 회전되어 안전후크의 개구부를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절연스틱이 안전후크와 분리되면 자체 하중으로 랑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가 안전후크의 개구부를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하며, 상기 작동비트가 안전후크의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락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가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안전후크의 개구부가 돌발 상황에 의해 개방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락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가 형성된 간접활선 작업용 안전후크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전방 하부가 개방된 안전후크 본체와 상기 안전후크 본체의 하부 전방에 하부가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되, 전방으로 탄성지지되도록 힌지결합되어 상기 안전후크 본체의 전방 하부를 개폐하는 작동비트 및 전방이 상기 작동비트의 상부에 힌지결합되고, 후방이 상기 안전후크 본체의 후방까지 연장형성되어 후방이 상부로 상승되면 상기 작동비트를 후방으로 회전시키는 락킹 개폐조작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가 형성된 간접활선 작업용 안전후크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작레버는 전방이 상기 작동비트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되,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안전후크 본체는 하부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결합되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락킹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작레버는 전방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락킹핀이 인입출되도록 형성되는 락킹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작레버는 전방이 상기 작동비트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되,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힌지결합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의 후방에 연장형성되되, 상부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에 형성되는 절연스틱 결합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링크부는 전방이 상기 작동비트의 상부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제1링크부와 전방이 상기 작동비트의 상부 타측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링크부와 후방이 결합핀에 의해 결합되는 제2링크부 및 상기 결합핀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후크 본체의 후방에 밀접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안전후크 본체는 후방 하부에 형성되는 만곡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작동비트가 상기 안전후크 본체의 전방 하부를 폐쇄한 상태일 때, 하부 후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롤러가 상기 만곡홈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락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가 형성된 간접활선 작업용 안전후크는 절연스틱을 이용하여 작업 하중이 걸린 안전후크의 조작레버를 들어올리는 동작으로 락킹이 해제되어 작동비트를 회전시켜 안전후크의 개구부를 개방시킴으로써, 안전후크의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와
안전후크를 설치한 상태에서 조작레버로부터 절연스틱을 분리시키면 자체하중으로 락킹이 자동으로 체결되고 후방 하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작동비트가 가압되더라도 상기 조작레버가 안전후크 본체의 만곡홈에 걸려 작동비트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안전후크의 개구부가 돌발상황으로 개방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후크 본체의 하부에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락킹핀과 상기 조작레버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락킹핀이 인입출되도록 형성되는 락킹홈을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외력에 의해 작동비트가 회전되어 안전후크의 개구부가 개방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함으로써, 안전후크의 개구부가 개방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안전사고를 더욱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간접활선 작업용 안전후크가 장선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간접활선 작업용 안전후크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간접활선 작업용 안전후크 본체를 나타낸 투영 측면도(a) 및 투영 정면도(b).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작동비트 및 락킹 개폐조작레버를 나타난 투영 측면도(a) 및 투영 정면도(b).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간접활선 작업용 안전후크를 나타낸 투영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락킹 개폐조작레버의 작동을 나타낸 간접활선 작업용 안전후크의 투영 측면도.
본 발명은 간접활선 작업시 사용되는 작업용 안전후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장선기 또는 선단공구 등의 간접활선 공구에 결합하여 절연스틱을 사용하는 무정전 배정공법 수행시 상기 절연스틱을 사용하여 간접활선 공구를 안전후크를 이용하여 전선 또는 완철 등에 간접으로 설치하거나 이동시킬 때, 상기 절연스틱으로 작업 하중을 락킹 개폐조작레버(100)를 통하여 들어올리는 동작으로 락킹이 해제되어 작업시 안전후크의 전방 하부 즉, 개구부를 개폐하는 락킹 개폐조작에 의한 작동비트(20)(이하, '작동비트(20)'라고도 한다.)를 회전시켜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여 안전후크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절연스틱을 안전후크의 락킹 개폐조작레버(100)(이하, '조작레버(100)'라고도 한다.)로 부터 분리시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작동비트(20)에 개방 외력이 발생되어도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후크의 개구부가 돌발 상황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후크의 개구부가 개방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락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가 형성된 간접활선 작업용 안전후크(이하, '안전후크'라 한다.)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전방 하부가 개방된 안전후크 본체(10);와 상기 안전후크 본체(10)의 하부 전방에 하부가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되, 전방으로 탄성지지되도록 힌지결합되어 상기 안전후크 본체(10)의 전방 하부를 개폐하는 락킹 개폐조작에 의한 작동비트(20); 및 전방이 상기 작동비트(2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고, 후방이 상기 안전후크 본체(10)의 후방까지 연장형성되어 후방이 상부로 상승되면 상기 작동비트(20)를 후방으로 회전시키는 조작레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가 형성된 간접활선 작업용 안전후크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작레버(100)는 전방이 상기 작동비트(2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되,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안전후크 본체(10)는 하부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결합되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락킹핀(1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작레버(100)는 전방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락킹핀(12)이 인입출되도록 형성되는 락킹홈(11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작레버(100)는 전방이 상기 작동비트(2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되,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힌지결합되는 링크부(100);와 상기 링크부(100)의 후방에 연장형성되되, 상부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파지부(120); 및 상기 파지부(120)에 형성되는 절연스틱 결합공(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링크부(100)는 전방이 상기 작동비트(20)의 상부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제1링크부(112);와 전방이 상기 작동비트(20)의 상부 타측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링크부(112)와 후방이 결합핀(115)에 의해 결합되는 제2링크부(114); 및 상기 결합핀(115)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후크 본체(10)의 후방에 밀접되는 가이드롤러(1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안전후크 본체(10)는 후방 하부에 형성되는 만곡홈(1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작레버(100)는 상기 작동비트(20)가 상기 안전후크 본체(10)의 전방 하부를 폐쇄한 상태일 때, 하부 후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롤러(116)가 상기 만곡홈(14)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안전후크 본체(10)는
전방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전방 하부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선 또는 완철 등에 쉽게 걸어 설치할 수 있고, 하부에 장선기 또는 선단공구 등의 간접활선 공구와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고리(미표시)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안전후크 본체(10)는 후방 하부에 형성되는 만곡홈(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만곡홈(14)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조작레버(100)의 가이드롤러(116)가 내입되고, 이에 따라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락킹 개폐조작에 의한 작동비트(20)가 전방으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후크 본체(10)의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조작레버(100)가 하부 후방으로 기울어져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작동비트(20)가 외력을 받아 후방으로 가압될 때 상기 가이드롤러(116)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하여 상기 작동비트(20)에 의해 안전후크 본체(10)의 개구부가 쉽게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만곡홈(14)이 형성되는 위치는 상기 안전후크 본체(10)의 하부와 앞서 설명된 결합고리와의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결합고리에 의해 상기 가이드롤러(116)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억제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안전후크 본체(10)는 하부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결합되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락킹핀(12)을 포함하여 구성된데, 상기 락킹핀(12)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조작레버(100)의 전방 하부에 형성되는 락킹홈(111)에 내입되어 작동비트(20)가 외력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조작레버(100)가 상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안전후크 본체(10)는 하부에 측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관통홀(미표시)이 형성되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조작레버(100)는 전방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락킹핀(12)이 인입출되도록 형성되는 락킹홈(1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락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20)는
상기 안전후크 본체(10)의 하부 전방에 하부가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되, 전방으로 탄성지지되도록 힌지결합되어 상기 안전후크 본체(10)의 개방된 전방 하부 즉, 개구부(미표시)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안전후크 본체(10)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요홈(미표시)에 전선 또는 완철 등이 내입될 때,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조작레버(100)에 의해 상기 안전후크 본체(10)의 개구부를 개방하고, 전선 또는 완철 등이 안전후크 본체(10)의 요홈에 내입된 후 안전후크 본체(10)의 개구부를 폐쇄하여 안전후크 본체(10)가 전선 또는 완철 등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락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20)는 전방으로 탄성지지도록 힌지결합됨에 따라 작업자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조작레버(100)의 후방을 절연스틱을 이용하여 상승시킨 후 상기 조작레버(100)를 제거하면 안전후크 본체(10)의 개구부가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락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20)는 안전후크 본체(10)의 하부와 힌지결합되기 위해 구성되는 힌지축(미표시)에 설치되고, 일측이 안전후크 본체(10)의 하부 내측면에 지지되며, 타측이 내측면에 지지되는 제1토션스프링(22)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상기 제1토션스프링(22)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지지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락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20)의 길이는 상기 안전후크 본체(10)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고, 상기 제1토션스프링(2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후방으로 형성되는 측부(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조작레버(100)는
전방이 상기 락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2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고, 후방이 상기 안전후크 본체(10)의 후방까지 연장형성되어 후방이 작업자에 의해 절연스틱에 결합되어 상부로 상승되면 상기 작동비트(20)를 후방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절연스틱을 이용하여 후방을 파지한 상태에서 안전후크 본체(10)를 들어올리면 상기 작동비트(20)가 하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안전후크 본체(10)의 개구부가 개방되어 전선 또는 완철 등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조작레버(100)는 전방이 상기 작동비트(2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되,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다시 말해 상기 작동비트(20)의 상부가 상기 조작레버(100)의 전방과 힌지결합되되, 전방으로 탄성지지되도록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절연스틱을 이용하여 조작레버(100)의 후방을 파지하여 들어올리지 않으면 상기 조작레버(100)의 후방이 하부방향으로 하강되는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작동비트(20)가 안전후크 본체(10)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작업자는 본 발명의 후크를 전선 또는 완철 등에 설치하기 위해 절연스틱을 이용하여 조작레버(100)의 후방을 파지하여 들어올린 후 안전후크 본체(10)를 이동시키고, 전선 또는 완철 등에 상기 안전후크 본체(10)를 걸어 설치한 후 상기 절연스틱을 조작레버(100)로부터 분리시키면 상기 작동비트(20)가 자동으로 상기 안전후크 본체(10)의 개구부를 폐쇄하여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작레버(100)는 전방이 상기 작동비트(2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되,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힌지결합되는 링크부(100)와, 상기 링크부(100)의 후방에 연장형성되되, 상부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파지부(120) 및 상기 파지부(120)에 형성되는 절연스틱 결합공(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링크부(100)는 절연스틱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120)와 작동비트(20)를 연결하여 절연스틱에 의해 상기 파지부(120)가 들어올려지면 상기 작동비트(20)가 후방으로 회전되어 안전후크 본체(10)의 개구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링크부(100)는 전방이 상기 작동비트(20)의 상부 일측 즉, 일측부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는 제1링크부(112)와, 전방이 상기 작동비트(20)의 상부 타측 즉, 타측부의 상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링크부(112)와 후방이 결합핀(115)에 의해 결합되는 제2링크부(114) 및 상기 결합핀(115)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후크 본체(10)의 후방에 밀접되는 가이드롤러(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링크부(112)와 제2링크부(114)는 안전후크 본체(10)의 후방에 간섭받지 않고 파지부(120)가 상기 안전후크 본체(10)에 형성되어 상기 작동비트(20)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절곡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링크부(112)와 제2링크부(114)는 상기 파지부(120)가 절연스틱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될 때, 상기 안전후크 본체(10)의 후방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내측에 가이드공간(미표시)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부가하여, 상기 제1링크부(112)와 제2링크부(114)는 전방 하부에 앞서 설명된 락킹홈(111)이 형성되는데, 작동비트(20)가 안전후크 본체(10)의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외력을 받을 때 상기 락킹홈(111)에 락킹핀(12)이 걸려 상기 작동비트(20)의 회전이 방지됨에 따라 안전후크 본체(10)의 개구부가 외력에 의해 쉽게 개방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링크부(112)와 제2링크부(114)는 상기 락킹홈(111)의 전방에 전방 상부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경사면(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경사면은 조작레버(100) 즉, 상기 제1링크부(112)와 제2링크부(114)가 하강될 때, 상기 락킹핀(12)이 자연스럽게 락킹홈(111)에 인입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작동비트(20)의 전방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안전후크 본체(10)의 개구부가 폐쇄된다.
부가하여, 상기 제1링크부(112)와 제2링크부(114)는 후방이 결합핀(115)에 의해 결합핀에 의해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파지부(120)가 안정적으로 안전후크 본체(1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롤러(116)는 상기와 같이 제1링크부(112)와 제2링크부(114)의 후방을 결합시키는 결합핀(11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안전후크 본체(10)의 후방 즉, 후면에 밀접됨에 따라 작업자가 절연스틱을 이용하여 조작레버(10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때, 자연스럽고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작레버(100) 즉, 제1링크부(112)와 제2링크부(114)는 상기 작동비트(20)가 상기 안전후크 본체(10)의 전방 하부를 폐쇄한 상태일 때, 즉, 작업자가 절연스틱을 분리한 상태일 때, 하부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롤러(116)가 안전후크 본체(10)의 후방에 형성된 만곡홈(14)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작동비트(20)가 상기 안전후크 본체(10)의 전방 하부를 폐쇄한 상태일 때, 상기 작동비트(20)가 외력을 받아 후방으로 회전되려고 하면 상기 제1링크부(112)와 제2링크부(114)의 후방 즉, 가이드롤러(116)가 하부로 이동되려고 하지만 상기 만곡홈(14)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작동비트(20)의 후방회전이 억제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비트(20)는 안전후크 본체(10)의 개구부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회전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전선 또는 완철 등으로부터 안전후크 본체(10)의 이탈이 방지되어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링크부(100)는 상기 제1링크부(112)와 제2링크부(114)의 전방을 결합시키되, 상기 작동비트(20)의 측부의 상부를 관통하는 전방결합핀(미표시)과, 상기 전방결합핀에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제1링크부(112)와 제2링크부(114)의 내측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타측이 상기 작동비트(20)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제2토션스프링(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링크부(100)가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된다.
이때, 상기 제1링크부(112)와 제2링크부(114)는 각각 전방 상부에 관통홀(미표시)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는 지지핀(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핀에 상기 제2토션스프링(117)의 일측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토션스프링(117)의 일측이 제1링크부(112)와 제2링크부(114)의 내측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파지부(120)는 상기 링크부(100)의 후방에 연장형성되되, 상기 링크부(100)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후방말단 즉, 제1링크부(112)와 제2링크부(114)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후방말단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결합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상기 링크부(100) 즉, 제1링크부(112)와 제2링크부(114)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결합된 후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작업자가 절연스틱으로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러한 파지부(120)는 후방에 형성되는 절연스틱 결합공(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작업자는 상기 절연스틱 결합공(130)에 절연스틱의 말단을 내입시켜 파지합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쉽게 파지하여 조작레버(100)를 들어올릴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파지부(120)는 상기 링크부(100)의 후방에 연장형성되되, 상부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만약 상기 파지부(120)가 상부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지 않고 상기 링크부(100)와 평행하게 연장되면 상기 링크부(100)가 하부 후방으로 기울어져 형성됨에 따라 안전후크 본체(10)의 하부로 상기 파지부(120)가 돌출되어 간접활선 공구가 안전후크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될 때,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파지부(120)가 상부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됨에 따라 작업자가 절연스틱을 이용하여 상승시켰을 때, 안전후크 본체(10)와의 이격된 거리가 가까워 안전후크 본체(10)를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락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가 형성된 간접 활선 작업용 안전후크는 작업자가 조작레버(100)의 파지부(120)를 절연스틱을 이용하여 쉽게 파지하여 들어올리는 작업을 통해 락킹이 해제됨과 동시에 작동비트(20)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안전후크 본체(10)의 개구부를 쉽게 개방함으로써,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고, 락킹핀(12)과 락킹홈(111) 및 후방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조작레버(100) 즉, 링크부(100)의 후방에 의해 절연스틱을 조작레버(100)로부터 분리한 후 외력이 발생되어도 작동비트(20)가 후방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락킹 개폐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안전후크 본체(10)의 개구부가 돌발 상황에 의해 개방됨에 따른 문제와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안전후크 본체
12 : 락킹핀
14 : 만곡홈
20 : 작동비트
22 : 제1토션스프링
100 : 조작레버
110 : 링크부
111 : 락킹홈
112 : 제1링크부
114 : 제2링크부
115 : 결합핀
116 : 가이드롤러
117 : 제2토션스프링
120 : 파지부
130 : 절연스틱 결합공

Claims (6)

  1. 전방 하부가 개방된 안전후크 본체(10);와
    상기 안전후크 본체(10)의 하부 전방에 하부가 회전가능하도록 힌지축에 힌지결합되되, 전방으로 탄성지지되도록 힌지결합되어 상기 안전후크 본체(10)의 전방 하부를 개폐하는 작동비트(20); 및
    전방이 상기 작동비트(2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되,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힌지결합되고, 후방이 상기 안전후크 본체(10)의 후방까지 연장형성되어 후방이 상부로 상승되면 상기 작동비트(20)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안전후크 본체(10)의 전방 하부를 개방시키고, 상기 작동비트(20)가 상기 안전후크 본체(10)의 전방 하부를 폐쇄한 상태일 때, 하부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조작레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전후크 본체(10)는
    하부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결합되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락킹핀(1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작레버(100)는
    전방이 상기 작동비트(2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되,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힌지결합되는 링크부(100);와
    상기 링크부(100)의 후방에 연장형성되되, 상부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파지부(120); 및
    상기 파지부(120)에 형성되는 절연스틱 결합공(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링크부(100)는
    전방이 상기 작동비트(20)의 상부 일측부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는 제1링크부(112);와
    전방이 상기 작동비트(20)의 상부 타측부의 상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링크부(112)와 후방이 결합핀(115) 결합되는 제2링크부(114); 및
    상기 결합핀(115)에 결합되되, 상기 제1링크부(112)와 상기 제2링크부(114)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후크 본체(10)의 후방에 밀접되는 가이드롤러(11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링크부(112)와 제2링크부(114)는
    전방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락킹핀(12)이 인입출되도록 형성되는 락킹홈(111);과
    상기 락킹홈(111)의 전방에 전방 상부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작동비트(20)는
    상기 힌지축에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안전후크 본체(10)의 하부 내측면에 지지되며, 타측이 내측면에 지지되는 제1토션스프링(2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링크부(100)는
    상기 제1링크부(112)와 제2링크부(114)의 전방을 결합시키되, 상기 작동비트(20)의 측부 상부를 관통하는 전방결합핀;과
    상기 전방결합핀에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제1링크부(112)와 제2링크부(114)의 내측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타측이 상기 작동비트(20)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제2토션스프링(117);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전후크 본체(10)는
    하부에 간접활선 공구와 쉽게 결합할 수 있는 결합고리;와
    후방 하부와 상기 결합고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만곡홈(1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작레버(100)는
    상기 작동비트(20)가 상기 안전후크 본체(10)의 전방 하부를 폐쇄한 상태일 때, 하부 후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롤러(116)가 상기 만곡홈(14)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가 형성된 간접활선 작업용 안전후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182655A 2021-12-20 2021-12-20 락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가 형성된 간접활선 작업용 안전후크 KR102424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655A KR102424945B1 (ko) 2021-12-20 2021-12-20 락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가 형성된 간접활선 작업용 안전후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655A KR102424945B1 (ko) 2021-12-20 2021-12-20 락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가 형성된 간접활선 작업용 안전후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945B1 true KR102424945B1 (ko) 2022-07-25

Family

ID=82608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655A KR102424945B1 (ko) 2021-12-20 2021-12-20 락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가 형성된 간접활선 작업용 안전후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9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1030A (ja) * 1997-01-14 1998-07-31 Fujii Denko Co Ltd ケーブル架設用金車
KR101019024B1 (ko) * 2010-05-28 2011-03-04 주식회사 광림 잠금장치를 구비한 후크
KR102228755B1 (ko) 2020-08-26 2021-03-17 대원전기 주식회사 자동 착탈식 고정 후크를 구비한 임시걸이와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갖는 간접 활선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
KR102330522B1 (ko) * 2021-05-24 2021-11-24 대원전기 주식회사 지상 체결이 가능한 자동 착탈식 안전후크 및 이를 이용한 추락 방지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1030A (ja) * 1997-01-14 1998-07-31 Fujii Denko Co Ltd ケーブル架設用金車
KR101019024B1 (ko) * 2010-05-28 2011-03-04 주식회사 광림 잠금장치를 구비한 후크
KR102228755B1 (ko) 2020-08-26 2021-03-17 대원전기 주식회사 자동 착탈식 고정 후크를 구비한 임시걸이와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갖는 간접 활선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
KR102330522B1 (ko) * 2021-05-24 2021-11-24 대원전기 주식회사 지상 체결이 가능한 자동 착탈식 안전후크 및 이를 이용한 추락 방지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8755B1 (ko) 자동 착탈식 고정 후크를 구비한 임시걸이와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갖는 간접 활선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
KR101873421B1 (ko)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
KR102303614B1 (ko) 역회전 방지 및 해제장치를 갖는 치차 장력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가선 및 철거공법
KR102162545B1 (ko)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
KR102079472B1 (ko) 활선 작업용 전선 홀더 및 이 홀더가 부착된 보조 완철
JPS5849679B2 (ja) ケ−シング・パイプを井孔中に通すように設定する為の装置
US20110011987A1 (en) Portable manipulator for carrying out works on energized overhead electrical lines
US3832918A (en) Breakout wrench
US10611616B2 (en) Aerial device with quick-coupling implement
US11396739B2 (en) Modular ground engagement tooling system
US7114234B2 (en) Conductor torquing system
TW202007037A (zh) 絕緣礙子分離工法以及該工法所使用之柱上起吊裝置、絕緣礙子支撐工具、對電線桿固定用工具、及吊掛工具
KR102424945B1 (ko) 락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가 형성된 간접활선 작업용 안전후크
KR20200051247A (ko) 컷아웃스위치 교체장치
JP2007246180A (ja) 高所作業車
KR102327599B1 (ko) 트랩형 활선 단말 절연캡 및 이를 이용한 점퍼선의 간접활선 절연공법
JP2000143190A (ja) 電線接続作業用装置
KR101019024B1 (ko) 잠금장치를 구비한 후크
KR20120097809A (ko) 맨홀뚜껑 개폐장치
KR102437136B1 (ko) 하강 속도 조절이 가능한 브레이크를 갖는 간접 활선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용 임시걸이 후크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
JP2002199567A (ja) アーム把持式プレハブ工法及びそれに用いる諸装置
KR102506253B1 (ko) 스마트 스틱용 클램프 헤드 및 클램프 헤드가 장착된 스마트 스틱
KR102610496B1 (ko) 간접 활선용 자동 안전개폐후크가 장착된 내장력형 쐐기형 인장 클램프 양방향 개활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설치, 쐐기형 인장 클램프 설치, 철거 간접 활선공법
KR100651006B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 개방 장치 및 그 조작 방법
KR102037474B1 (ko) 보조 안전장치를 갖춘 퀵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