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213B1 - 신축 붐의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신축 붐의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213B1
KR101942213B1 KR1020177032309A KR20177032309A KR101942213B1 KR 101942213 B1 KR101942213 B1 KR 101942213B1 KR 1020177032309 A KR1020177032309 A KR 1020177032309A KR 20177032309 A KR20177032309 A KR 20177032309A KR 101942213 B1 KR101942213 B1 KR 101942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base
pair
bracket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4714A (ko
Inventor
마사히로 이시이
마사오 카시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다다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50338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94221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다다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다다노
Publication of KR20170134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with jibs of adjustable configuration, e.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2Luffing gear

Abstract

베이스 붐의 폭을 크게 할 수 있고, 베이스 붐과 중간 붐의 간섭을 방지하는 신축 붐의 장착 구조를 제공한다. 크레인의 신축 붐(100)의 베이스 붐(110)의 뒷부분을 브래킷(120)에 의해 보유지지함과 함께, 브래킷(120)에 의해 베이스 붐(110)을 선회 포스트에 대해 기복 가능하게 장착하는 신축 붐의 장착 구조로서, 브래킷(120)은, 베이스 붐(110)의 뒷부분의 양 측벽부(110A, 110B)에 접합되는 접촉판부(130, 130)를 구비하고, 이 각 접촉판부(130)는, 선회 포스트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보유지지부 사이에 기복 가능하게 보유지지되는 한 쌍의 기부편(132, 132)을 가지며, 기부편(132) 이외의 부분의 접촉판부(130, 130) 사이의 폭(W1)을 기부편(132, 132) 사이의 폭(W2)보다 크게 설정하였다.

Description

신축 붐의 장착 구조
이 발명은, 신축(伸縮) 붐(boom)을 선회 포스트에 기복(起伏) 가능하게 장착하는 신축 붐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크레인의 기대(基台)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한 선회 포스트에, 베이스 붐의 안쪽으로 복수의 중간 붐을 차례로 포개넣는 식(nested)으로 겹쳐 신축 가능하게 한 신축 붐을 기복 가능하게 장착하는 신축 붐의 장착 구조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관련된 신축 붐의 장착 구조는, 선회 포스트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보유지지판부를 설치하고, 신축 붐의 베이스 붐의 뒷부분을 상기 보유지지판부 사이에 축 부재를 통해 장착하고, 이 축 부재에 의해 베이스 붐을 선회 포스트에 대해 기복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일본특허공개 제2001-97673호 공보
그런데, 신축 붐은, 베이스 붐의 측벽부와 중간 붐의 측벽부와의 사이의 간극이 좁게 설정되고, 베이스 붐 등은 용접의 열 등에 의해 측벽부에 변형이 발생함으로써, 중간 붐의 측벽부와 베이스 붐의 측벽부가 간섭하여 버릴 우려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베이스 붐의 폭을 크게 하면 되지만, 베이스 붐의 폭은 선회 포스트의 보유지지판부 사이의 폭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 붐의 폭을 크게 하고자 하면, 선회 포스트의 한 쌍의 보유지지판부 사이의 폭을 크게 한 선회 포스트로 변경할 필요가 있었다.
이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선회 포스트를 변경하지 않고 베이스 붐과 중간 붐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신축 붐의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발명은, 작업기의 신축 붐의 베이스 붐의 뒷부분을 브래킷에 의해 보유지지함과 함께, 해당 브래킷에 의해 상기 베이스 붐을 선회 포스트에 대해 기복 가능하게 장착하는 신축 붐의 장착 구조로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베이스 붐의 뒷부분의 양 측벽부에 접합되는 한 쌍의 접촉판부를 갖고,
이 각 접촉판부는, 상기 선회 포스트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보유지지부 사이에 기복 가능하게 보유지지되는 기부편(基部片)을 갖고,
이 기부편에 있어서의 브래킷의 폭에 비해, 이 기부편 이외의 브래킷의 폭을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따르면, 선회 포스트를 변경하지 않고 베이스 붐의 폭을 크게 할 수 있고, 베이스 붐과 중간 붐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이 발명에 관한 신축 붐의 장착 구조를 적용한 트럭 크레인의 외관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이 발명에 관한 신축 붐의 장착 구조의 브래킷과 베이스 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이 발명에 관한 신축 붐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제2 실시예의 붐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이 발명에 관한 신축 붐의 장착 구조의 실시형태인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제1 실시예]
도 1은, 신축 붐의 장착 구조를 적용한 작업기로서 트럭 크레인(크레인)(10)을 나타낸다.
이 트럭 크레인(1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전륜(11)과 제1, 제2 후륜(12, 13)을 설치한 메인 프레임(14)과, 이 메인 프레임(14) 위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한 선회 포스트(20)와, 이 선회 포스트(20)의 상부에 기복 가능하게 설치한 신축 붐(100)과, 이 신축 붐(100)을 기복시키는 기복용 실린더(15)와, 메인 프레임(14)의 양 사이드측에 선회 포스트의 위치(전후 방향에 대한 위치)의 근방에 설치한 한 쌍의 아우트리거(outrigger) 장치(30)(한쪽만을 도시)와, 메인 프레임(14) 상에 선회 포스트(20)의 앞쪽에 설치한 캐빈(16)과, 그 선회 포스트(20)의 뒤쪽에 설치한 짐받이(17) 등을 구비하고 있다.
[선회 포스트]
선회 포스트(20)는, 신축 붐(100)을 기복 가능하게 보유지지하는 서로 대향한 한 쌍의 보유지지판부(보유지지부)(21)(한쪽만 도시)를 갖고 있다. 또한, 선회 포스트(20) 내에는 도시하지 않는 윈치 및 감속기가 배치되어 있고, 짐을 매다는 와이어(도시하지 않음)를 감아올리거나 풀어내도록 되어 있다.
[신축 붐]
신축 붐(100)은, 베이스 붐(110)과 중간 붐(111, 112)과 선단 붐(113)을 갖고, 이 순서로 베이스 붐(110) 내로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으로 차례로 포개넣는 식으로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신축 붐(100)은 신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신축하도록 되어 있다.
도 2 및 도 2a는, 신축 붐(100)을 선회 포스트에 장착하기 위한 신축 붐(100)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붐(110)의 뒤쪽에 브래킷(120)이 장착되어 있고, 이 브래킷(120)을 통해 베이스 붐(110)이 선회 포스트(20)에 대하여 기복 가능하게 장착된다.
[브래킷]
브래킷(12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붐(110)의 양 측벽부(110A, 110B)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접촉판부(130, 130)와, 이 한 쌍의 접촉판부(130, 130)의 뒷부분 상방으로부터 후단 사이에 배치되어, 각 접촉판부(130)를 접속하는 단판(端板)(140)을 갖고 있다.
각 접촉판부(13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붐(110)의 측벽부(110A)에 용접된 용접 영역을 포함하는 용접 영역부(131)와, 이 용접 영역부(131)의 뒷부분에 설치됨과 함께 베이스 붐(110)의 후단의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 기부편(基部片; 132)을 갖고 있다. 이 기부편(132)과 용접 영역부(131)의 경계는 단차부(段部)(133)로 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120)의 기부편(132, 132) 사이의 폭 W2는, 용접 영역부(131, 131) 사이의 폭 W1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즉, 기부편(132) 이외의 부분의 접촉판부(130, 130) 사이의 폭 W1이 기부편(132, 132) 사이의 폭 W2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즉, 기부편(132)에 있어서의 브래킷(120)의 폭 W2에 비하여, 이 기부편(132) 이외의 브래킷의 폭 W1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브래킷(120)의 용접 영역부(131)는, 베이스 붐(110)의 하면(110C)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V자형의 돌출편(131A)을 갖고 있다. 이 돌출편(131A)의 최하부에 축 구멍(129)이 형성되고, 돌출편(131A)의 능선(가장자리부)(122A, 122B)을 따라 보강용의 플랜지(127, 12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접 영역부(131)의 중앙부에는 용접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개구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기부편(132)에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 붐(100)을 선회 포스트(20)의 보유지지판부(21) 사이에 기복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축 구멍(124)과, 신축 붐(100)의 신축용 실린더의 일단을 고정하는 축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하기 위한 축 구멍(125)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붐(110)의 측벽부(110B)에 접합되는 접촉판부(130)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신축 붐의 장착]
신축 붐(100)의 베이스 붐(110)의 뒷부분의 양 측벽부(110A, 110B)에 브래킷(120)의 용접 영역부(131, 131)를 용접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붐(110)의 뒷부분에 브래킷(120)을 장착한다.
이후,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래킷(120)의 기부편(132, 132)을 선회 포스트(20)의 보유지지판부(21, 21) 사이에 삽입시킴과 함께, 그 기부편(132, 132)의 축 구멍(124, 124)에 선회 포스트(20)의 축 부재(150)를 삽입시켜, 브래킷(120)을 선회 포스트(20)에 장착한다.
또한, 기복 실린더(15)(도 1 참조)의 일단부를 브래킷(120)에 연결하기 위해, 브래킷(120)의 한쪽의 용접 영역부(131)의 축 구멍(129)과, 다른 쪽의 용접 영역부(131)의 도시하지 않는 돌출편의 축 구멍에 축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한다. 이에 의해, 신축 붐(100)은 기복용 실린더(15)의 신축 동작에 의해 축 부재(150)를 중심으로 하여 기복하게 된다.
그런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부편(132) 이외의 부분의 접촉판부(130, 130) 사이의 폭 W1이 기부편(132, 132) 사이의 폭 W2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베이스 붐(110)의 횡 방향의 폭을 크게 취할 수 있고, 베이스 붐(110)의 측벽부(110A, 110B)와 중간붐(111)(도 1 참조)의 측벽부(도시하지 않음)와의 사이의 간극을 넓게 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베이스 붐(110) 및 중간 붐(111)의 측벽부에 용접 등의 열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여도 베이스 붐(110)과 중간 붐(111)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엄밀한 변형 해소 처리를 행하지 않아도 되게 된다.
게다가, 폭 W2를 종래의 폭과 동일하게 설정함으로써, 선회 포스트(20)를 변경하지 않고 기존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기존의 기복용의 축 부재(15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붐(110)의 횡 방향의 폭을 크게 취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신축 붐(100)의 횡 방향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베이스 붐(110)의 횡 방향의 폭을 크게 취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다단 붐을 구성하기 쉬운 것으로 된다.
또한, 브래킷(120)의 각 접촉판부(130)는, 1매의 판재로부터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하지만, 2매의 판재를 용접하여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제2 실시예]
도 3은 제2 실시예의 브래킷(200)을 나타낸다. 이 브래킷(200)은, 베이스 붐(110)의 양 측벽부(110A, 110B)에 접합되는 한 쌍의 접촉판부(230, 230)와, 이 한 쌍의 접촉판부(230, 230)의 뒷부분 상방으로부터 후단 사이에 배치되어, 각 접촉판부(230)를 접속하는 단판(240)을 갖고 있다.
각 접촉판부(230)는, 베이스 붐(110)의 측벽부(110A)에 용접되는 용접 영역부(접촉부)(231)와, 양 용접 영역부(231)의 뒷부분에 설치됨과 함께 베이스 붐(110)의 후단 위치보다 후방으로 돌출한 기부편(232)을 갖고 있다.
이 기부편(232)과 용접 영역부(231)의 경계부(233)는, 기부편(232)으로부터 용접 영역부(231)로 감에 따라, 경계부(233)의 접촉판부(230, 230) 사이의 폭 W3이 점차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브래킷(200)은, 도 2에 나타내는 브래킷(120)의 단차부(133)를 없애도록 한 것으로, 이 단차부(133)를 없앰으로써 단차부(133)에 발생하는 응력 집중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브래킷(200)의 용접 영역부(231, 231) 사이의 폭 W1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부편(232, 232) 사이의 폭 W2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는, 모두 브래킷(120, 200)의 용접 영역부(131, 131, 231, 231) 사이의 폭 W1을 기부편(132, 132, 232, 232) 사이의 폭 W2보다 크게 설정하고 있지만, 반대로, 기부편(132, 132, 232, 232) 사이의 폭 W2를 용접 영역부(131, 131, 231, 231) 사이의 폭 W1보다 좁게 설정하면, 신축 붐(100)의 횡 방향의 강성을 유지한 채 선회 포스트(20)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트럭 크레인의 신축 붐(100)에 신축 붐의 장착 구조를 적용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고소작업차 등의 다른 작업기의 신축 붐에 적용해도 좋다.
상기 실시예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발명은 발명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5년 6월 11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5-118617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모든 개시는 완전하게 본 명세서에서 참조에 의해 포함된다.
10: 트럭 크레인(작업기)
20: 선회 포스트
21: 보유지지판부(보유지지부)
100: 신축 붐
110: 베이스 붐
110A: 측벽부
110B: 측벽부
111: 중간 붐
120: 브래킷
130: 접촉판부
131: 용접 영역부
132: 기부편
200: 브래킷
230: 접촉판부
231: 용접 영역부(접촉부)
232: 기부편

Claims (2)

  1. 작업기의 선회 포스트에 대하여, 브래킷을 통해, 신축 붐을 기복 가능하게 장착하는 신축 붐의 장착 구조로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선회 포스트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보유지지부에 양측으로부터 보유지지됨과 함께, 상기 신축 붐의 뒷부분의 양 측벽부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접촉판부를 갖고,
    상기 한 쌍의 접촉판부는, 각각 상기 한 쌍의 보유지지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기부편과, 상기 기부편으로부터 상기 신축 붐의 전방측을 향해 연장하여 상기 신축 붐의 양 측벽부와 접합되는 접합 영역부를 갖고,
    상기 기부편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접촉판부의 한쪽과 다른 쪽 사이의 폭보다, 상기 접합 영역부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접촉판부의 한쪽과 다른 쪽 사이의 폭을 크게 설정한,
    신축 붐의 장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촉판부는, 각각 상기 기부편으로부터 상기 접합 영역부에 이르는 경계 영역에 있어서 경사 형상을 이루는, 신축 붐의 장착 구조.
KR1020177032309A 2015-06-11 2016-06-06 신축 붐의 장착 구조 KR1019422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18617 2015-06-11
JP2015118617A JP6531505B2 (ja) 2015-06-11 2015-06-11 伸縮ブームの取付構造
PCT/JP2016/066762 WO2016199721A1 (ja) 2015-06-11 2016-06-06 伸縮ブームの取付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714A KR20170134714A (ko) 2017-12-06
KR101942213B1 true KR101942213B1 (ko) 2019-01-24

Family

ID=57503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309A KR101942213B1 (ko) 2015-06-11 2016-06-06 신축 붐의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31505B2 (ko)
KR (1) KR101942213B1 (ko)
CN (1) CN107735351B (ko)
WO (1) WO20161997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63865B2 (ja) 2020-06-08 2024-04-09 株式会社タダノ ブー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7565A (ja) 2004-11-12 2006-06-01 Tadano Ltd 伸縮ブームのブーム長さ検出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8189A (en) * 1991-12-12 1992-10-27 Watson Brothers Industries, Inc. Boom support system
US5515654A (en) * 1994-11-02 1996-05-14 Anderson; Edward E. Telescopic boom apparatus
JP3124481B2 (ja) * 1996-01-12 2001-01-15 日立建機株式会社 型鋼の架設解体機
JPH09249397A (ja) * 1996-03-15 1997-09-22 Aichi Corp 伸縮ブーム
JP2001097673A (ja) 1999-09-28 2001-04-10 Tadano Ltd クレーン付きトラックの荷台後部域への重量物の積み下し方法。
JP5037050B2 (ja) * 2006-07-20 2012-09-26 株式会社タダノ ブーム付き作業機における伸縮ブーム
US20130149094A1 (en) * 2010-08-26 2013-06-13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JP5725777B2 (ja) * 2010-09-17 2015-05-27 株式会社タダノ コードリールの取付構造
EP2504267B1 (de) * 2010-12-17 2013-07-10 Tadano Faun GmbH Mobil-teleskopkran
EP2711467B1 (en) * 2011-05-19 2018-01-03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Arm for construction machinery
JP2013108247A (ja) * 2011-11-18 2013-06-06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の上下連結ピンの着脱装置、および作業機の組立方法と分解方法
ES2542244T3 (es) * 2012-09-28 2015-08-03 Mesera Cranes Finland Oy Grúa telescópica y configuración telescópica de elevación de una grúa telescópic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7565A (ja) 2004-11-12 2006-06-01 Tadano Ltd 伸縮ブームのブーム長さ検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9721A1 (ja) 2016-12-15
JP6531505B2 (ja) 2019-06-19
CN107735351A (zh) 2018-02-23
KR20170134714A (ko) 2017-12-06
CN107735351B (zh) 2019-12-31
JP2017001840A (ja)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4198B2 (en) Working machine
JP2006219241A (ja) 建設機械
KR101942213B1 (ko) 신축 붐의 장착 구조
WO2017065066A1 (ja) 作業機械用ブーム
JP6767288B2 (ja) タワークレーン
JP6587964B2 (ja) 作業機械のカーボディ
KR101975697B1 (ko) 신축 붐의 장착 구조
US9327948B2 (en) Telescopic boom
KR20140082918A (ko) 크롤러 크레인
EP2975181B1 (en) Work vehicle bucket and work vehicle provided with such bucket
US20190127998A1 (en) Hollow two-point lever
US9212495B2 (en) Work machine
CN105683032A (zh) 建筑机械的驾驶室支撑结构
JP6122554B2 (ja) 油圧ショベル
JP7314673B2 (ja) ブーム支持構造
JP6814471B2 (ja) 組立式クレーン
KR20180110079A (ko) 작업기용의 상자형 구조체
JP6862056B2 (ja) 杭打機
JP5306520B1 (ja) クレーンのアタッチメント
JP7230609B2 (ja) ブーム支持構造
JP5604750B2 (ja) 作業機械のキャブ保護構造
JP2006103942A (ja) 自走式作業機械
JP6561708B2 (ja) 作業車両用フレーム
JP2004197550A (ja) 作業車両
JPH033823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