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697B1 - 신축 붐의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신축 붐의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697B1
KR101975697B1 KR1020177032414A KR20177032414A KR101975697B1 KR 101975697 B1 KR101975697 B1 KR 101975697B1 KR 1020177032414 A KR1020177032414 A KR 1020177032414A KR 20177032414 A KR20177032414 A KR 20177032414A KR 101975697 B1 KR101975697 B1 KR 101975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ntact plate
plate portions
boom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6591A (ko
Inventor
마사히로 이시이
마사오 카시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다다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50335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97569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다다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다다노
Publication of KR20170136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with jibs of adjustable configuration, e.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2Luff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베이스 붐 본체의 횡폭을 크게 하더라도 기존의 축 부재를 사용할 수 있는 신축 붐의 장착 구조를 제공한다. 베이스 붐(210)을 브래킷(300)을 통해 기복 가능하게 장착하는 신축 붐의 장착 구조로서, 브래킷(300)은, 베이스 붐(210)의 양 측벽부에 접합됨과 함께, 선회 포스트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보유지지부 사이에 보유지지되는 한 쌍의 접촉판부(310)를 갖고, 각 접촉판부(310)는, 보유지지부에 기복 가능하게 장착하는 축부(314)를 갖고, 각 기부편(312)에 축부(314)를 포함하는 소정 영역(315)을 각각 설정하고, 소정 영역(315)에 있어서의 브래킷(300)의 폭에 비하여, 이 소정 영역(315) 이외의 브래킷(300)의 폭을 크게 설정하였다.

Description

신축 붐의 장착 구조
이 발명은, 신축(伸縮) 붐(boom)을 선회 포스트에 기복(起伏) 가능하게 장착하는 신축 붐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크레인의 기대(基台)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한 선회 포스트에, 베이스 붐의 안쪽으로 복수의 중간 붐을 차례로 포개넣는 식(nested)으로 겹쳐 신축 가능하게 한 신축 붐을 기복 가능하게 장착하는 신축 붐의 장착 구조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관련된 신축 붐의 장착 구조는, 선회 포스트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보유지지판부를 설치하고, 신축 붐의 베이스 붐의 뒷부분을 상기 보유지지판부 사이에 축 부재를 통해 장착하고, 이 축 부재에 의해 베이스 붐을 선회 포스트에 대해 기복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일본특허공개 제2001-97673호 공보
그런데, 신축 붐은, 붐 단수를 증가시키는 경우나 횡 방향의 강성을 높이는 경우, 베이스 붐의 폭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베이스 붐의 폭은 선회 포스트의 보유지지판부 사이의 폭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 붐의 폭을 크게 하고자 하면, 선회 포스트의 한 쌍의 보유지지판부 사이의 폭을 크게 한 선회 포스트로 변경하여야만 한다. 이로 인해, 기존의 선회 포스트나 신축 붐의 기복 중심으로서 이용되는 기존의 축 부재 등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이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 붐의 폭을 크게 하더라도, 기존의 선회 포스트나 기존의 축 부재 등을 사용할 수 있는 붐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발명은, 작업기의 신축 붐의 베이스 붐의 뒷부분을 브래킷에 의해 보유지지함과 함께, 해당 브래킷에 의해 상기 베이스 붐을 선회 포스트에 대하여 기복 가능하게 장착하는 신축 붐의 장착 구조로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베이스 붐의 뒷부분의 양 측벽부에 접합됨과 함께, 상기 선회 포스트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보유지지부 사이에 보유지지되는 한 쌍의 접촉판부를 갖고,
상기 각 접촉판부는, 상기 선회 포스트의 보유지지부에 기복 가능하게 장착하는 제1 축부를 갖고,
상기 각 접촉판부에 제1 축부를 포함하는 제1 소정 영역을 각각 설정하고,
상기 제1 소정 영역 사이의 폭에 비하여, 제1 소정 영역 이외의 브래킷의 폭을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 붐의 폭을 크게 하더라도, 선회 포스트의 보유지지판부 사이의 폭을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존의 선회 포스트와 기복용의 기존의 축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이 발명과 관련되는 신축 붐의 장착 구조를 적용한 트럭 크레인의 외관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이 발명과 관련되는 신축 붐의 장착 구조의 브래킷과 베이스 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a] 이 발명과 관련되는 신축 붐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도 2에 나타내는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4] 제2 실시예의 신축 붐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제3 실시예의 신축 붐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 제4 실시예의 신축 붐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이 발명과 관련되는 신축 붐의 장착 구조의 실시형태인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제1 실시예]
도 1은, 신축 붐의 장착 구조를 적용한 작업기로서 트럭 크레인(크레인)(10)을 나타낸다.
이 트럭 크레인(1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전륜(11)과 제1, 제2 후륜(12, 13)을 설치한 메인 프레임(14)과, 이 메인 프레임(14) 위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한 선회 포스트(20)와, 이 선회 포스트(20)의 상부에 기복 가능하게 설치한 신축 붐(200)과, 이 신축 붐(200)을 기복시키는 기복용 실린더(15)와, 메인 프레임(14)의 양 사이드측에 선회 포스트의 위치(전후 방향에 대한 위치)의 근방에 설치한 한 쌍의 아우트리거(outrigger) 장치(30)(한쪽만을 도시)와, 메인 프레임(14) 상에 선회 포스트(20)의 앞쪽에 설치한 캐빈(16)과, 그 선회 포스트(20)의 뒤쪽에 설치한 짐받이(17) 등을 구비하고 있다.
[선회 포스트]
선회 포스트(20)는, 신축 붐(200)을 기복 가능하게 보유지지하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보유지지판부(보유지지부)(21)(한쪽만 도시)를 갖고 있다. 또한, 선회 포스트(20)에는, 도시하지 않는 윈치 및 감속기가 배치되어 있고, 짐을 매다는 와이어(도시하지 않음)를 감아올리거나 풀어내도록 되어 있다.
[신축 붐]
신축 붐(200)은, 베이스 붐(210)과 중간 붐(220, 230)과 선단 붐(240)을 갖고, 이 순서로 베이스 붐(210) 내에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차례로 포개 넣어지는 식으로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신축 붐(200)은 신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신축하도록 되어 있다.
도 2 및 도 2a는, 신축 붐(200)을 선회 포스트(20)에 장착하기 위한 신축 붐(200)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붐(210)의 뒷부분에 브래킷(300)이 장착되어 있고, 이 브래킷(300)을 통해 베이스 붐(210)이 선회 포스트(20)에 대하여 기복 가능하게 장착된다.
베이스 붐(210)의 후단(210a)은, 베이스 붐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경사져 있다. 중간 붐(220, 230) 및 선단 붐(240)도 그 후단은 마찬가지로 경사져 있다.
[브래킷]
브래킷(300)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붐(210)(도 2 참조)의 양 측벽부(211)에 접합되는 한 쌍의 접촉판부(310, 310)와, 이 한 쌍의 접촉판부(310, 310)의 뒷부분 상방으로부터 후단 사이에 배치되어, 각 접촉판부(310)를 접속하는 단판(端板; 320)을 갖고 있다.
각 접촉판부(310)는, 도 2 및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붐(210)의 측벽부(211)에 용접된 용접 영역부(311)와, 이 용접 영역부(311)의 뒷부분에 설치됨과 함께 베이스 붐(210)의 후단(210A)의 위치로부터 후방(도 2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 돌출한 기부편(基部片; 312)과, 베이스 붐(210)의 하면(210B)의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V자형의 돌출편(313)을 갖고 있다. 돌출편(313)은, 최하단부를 아래쪽 부분(313A)으로 하는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부편(312)에는, 신축 붐(200)을 선회 포스트(20)의 보유지지판부(21)에 기복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축 구멍(314A)과, 신축 붐(200)을 신축시키는 신축 실린더의 일단을 연결하는 축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하기 위한 축 구멍(317)이 설치되어 있다. 선회 포스트(20)의 보유지지판부(21) 사이에 설치한 기복용의 축 부재(132)(도 1 참조)를 그 축부(314)의 축 구멍(314A)에 장착함으로써, 축 부재(132)를 중심으로 하여 브래킷(300) 및 신축 붐(200)이 기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접촉판부(310)의 기부편(312)에는, 축부(314)를 포함하는 소정 영역(제1 소정 영역)(315)이 설정되어 있다. 소정 영역(315)의 경계(앞 가장자리부)(315K)는, 단차(段差)부로 되어 있고, 브래킷(300)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경사져, 소정 영역(315)이 삼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브래킷(300)의 한쪽의 접촉판부(310)의 소정 영역(315)과 다른 한쪽의 접촉판부(310)의 소정 영역(315)과의 사이의 폭 W1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 영역(315) 이외의 다른 부분의 폭 W2보다 좁게 설정되어 있다. 즉 소정 영역(315)에 있어서의 브래킷(300)의 폭 W1에 비하여, 소정 영역(315) 이외의 브래킷(300)의 폭 W2가 크게 설정되어 있다.
돌출편(313)에는, 축 구멍(316A)을 갖는 축부(제2 축부)(316)가 설치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돌출편(313, 313)의 축 구멍(316A, 316A)에는 축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고, 이 축 부재가 기복용 실린더(15)(도 1 참조)의 일단을 브래킷(300)에 연결한다.
또한, 접촉판부(310)의 돌출편(313)의 아래쪽 부분(313A)으로부터 용접 영역부(311)의 선단부(311A)까지의 아래 가장자리부를 따라 보강용의 플랜지(310F1)가 형성되고, 돌출편(313)의 아래쪽 부분(313A) 근방으로부터 기부편(312)에 걸쳐 보강용의 플랜지(310F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접 영역부(311)에는, 용접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개구부(311K)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개구부(311K)는 도 2에는 생략되어 있다.
[신축 붐의 장착]
신축 붐(200)의 베이스 붐(210)의 뒷부분의 양 측벽부(211, 211)에 브래킷(300)의 용접 영역부(311)를 용접하고, 베이스 붐(210) 상벽부(210C)에는 브래킷(300)의 상판부(321)를 용접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붐(210)의 뒷부분에 브래킷(300)을 장착한다.
이후,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래킷(300)의 한 쌍의 기부편(312, 312)의 소정 영역(315, 315)을 선회 포스트(20)의 보유지지판부(21, 21) 사이에 삽입시킴과 함께, 소정 영역(315, 315)의 축 구멍(314A, 314A)에 선회 포스트(20)의 축 부재(132)를 삽입하여, 브래킷(300)을 선회 포스트(20)에 장착한다. 또한, 축 구멍(316A)에 삽입되는 축 부재에 의해, 기복용 실린더의 일단을 브래킷(300)에 연결한다. 이에 의해, 신축 붐(200)은 기복용 실린더(15)의 신축 동작에 의해 축 부재(132)를 중심으로 하여 기복하게 된다.
그런데, 폭 W1을 종래의 선회 포스트(20)의 보유지지판부(21) 사이의 폭과 동일하게 설정함으로써, 기존의 선회 포스트(20)와, 기존의 기복용의 축 부재(132)를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베이스 붐(210)의 횡 방향의 폭을 크게 취할 수 있음으로써, 신축 붐(200)의 횡 방향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붐(210)의 횡 방향의 폭을 크게 취할 수 있음으로써, 다단 붐을 구성하기 쉬운 것으로 된다.
나아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 영역(315, 315) 사이의 폭 W1보다도 소정 영역(315) 이외의 폭 W2가 크게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베이스 붐(210)의 횡 방향의 폭을 크게 취할 수 있고, 베이스 붐(210)의 측벽부(211, 211)와 중간 붐(220)의 측벽부(도시하지 않음)와의 사이의 간극을 넓게 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베이스 붐(210) 및 중간 붐(220)의 측벽부에 용접 등의 열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베이스 붐(210)과 중간 붐(220)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엄밀한 변형 해소 처리를 행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브래킷(300)의 축부(314)를 포함하는 소정 영역(315) 부분의 폭 W1을 좁게 하고, 그 단차부(315K)인 앞 가장자리부를 경사지게 함으로써,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붐(210)의 후단부를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베이스 붐(210)에 대하여 중간 붐(220, 230)을 깊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신축 붐(200)을 신장한 때에는, 외측 붐(210, 220)에 대해 내측 붐(220, 230)의 후단부의 끼워넣음량(랩량)이 증가하여, 외측 붐(210, 220)에 대한 내측 붐(220, 230)의 장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300)의 각 접촉판부(310)는, 1매의 판재로부터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하지만, 2매의 판재를 용접하여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제2 실시예]
도 4는, 제2 실시예의 신축 붐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는 브래킷(400)은, 기부편(312)의 축부(314)와 돌출편(313)의 축부(316)를 포함하는 소정 영역(제3 소정 영역)(401)을 기부편(312)으로부터 돌출편(313)에 걸쳐 설정한 것이다. 이 소정 영역(401, 401) 사이의 폭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W1으로 설정되고, 다른 부분의 폭은 W2로 설정되어, W1에 비하여 W2가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각 소정 영역(401)의 경계인 앞 가장자리부(401K)는, 제1 실시예와 같은 방향, 즉,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신축 붐 선단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 제2 실시예의 신축 붐의 장착 구조에 따르면, 브래킷(400)의 축 구멍(316A)에 장착하는 축 부재를 기존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 것 이외에,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복용 실린더(15)의 일단을 장착하기 위한 축 구멍(316A)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401)이 좁혀져 있음으로써, 신축 붐(200)의 선회 시에(예를 들면, 90도 선회하였을 때), 이 소정 영역(401)과 기둥 문(9)(도 1 참조) 사이의 간극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5는 제3 실시예의 신축 붐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는 브래킷(500)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소정 영역(제1 소정 영역)(315)과, 돌출편(313)에 축부(316)를 포함하는 소정 영역(제2 소정 영역)(501)을 설정한 것이다. 이 소정 영역(501, 501) 사이의 폭은 베이스 붐(210)의 폭보다 좁게 설정되며, 반드시 소정 영역(501, 501) 사이의 폭은 W1일 필요는 없다.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 구성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브래킷(500)에 의하면,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6은 제4 실시예의 신축 붐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내는 브래킷(600)은, 기부편(312)과 돌출편(313)의 전체를 각각 소정 영역(제1 소정 영역)(601)과 소정 영역(제2 소정 영역)(600)으로 설정한 것으로, 기존의 선회 포스트와 축 부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신축 붐의 장착 구조를 트럭 크레인(10)의 신축 붐(200)에 적용하였을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고소작업차 등의 작업차 또는 작업기의 신축 붐에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는, 상술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발명은, 발명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설계 변경하는 것은 가능하다.
[관련 출원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5년 6월 11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특원 제2015-118618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모든 개시는 완전하게 본 명세서에서 참조에 의해 포함된다.
10: 트럭 크레인(작업기)
20: 선회 포스트
21: 보유지지판부(보유지지부)
200: 신축 붐
210: 베이스 붐
300: 브래킷
310: 접촉판부
312: 기부편
314: 축부(제1 축부)
313: 돌출편
315: 소정 영역(제1 소정 영역)
315K: 경계(앞 가장자리부)
316: 축부(제2 축부)
400: 브래킷
401: 소정 영역(제3 소정 영역)
500: 브래킷
501: 소정 영역(제2 소정 영역)

Claims (6)

  1. 작업기의 선회 포스트에 대하여, 브래킷을 통해 신축 붐을 기복 가능하게 장착하는 신축 붐의 장착 구조로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선회 포스트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보유지지부에 양측으로부터 보유지지됨과 함께, 상기 신축 붐의 뒷부분의 양 측벽부에 접합되는 한 쌍의 접촉판부를 갖고,
    상기 한 쌍의 접촉판부 각각에, 상기 신축 붐과 접합되는 접합 영역과는 다른 제1 소정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한 쌍의 접촉판부는, 상기 제1 소정 영역에 있어서, 상기 선회 포스트의 보유지지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축부를 갖고,
    상기 제1 소정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접촉판부의 한쪽과 다른 한쪽 사이의 폭보다, 상기 제1 소정 영역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접촉판부의 한쪽과 다른 한쪽 사이의 폭을 크게 설정한,
    신축 붐의 장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촉판부는, 각각 상기 제1 소정 영역과 상기 제1 소정 영역 이외의 영역과의 경계 영역이 경사 형상을 이루는, 신축 붐의 장착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촉판부는, 각각 상기 신축 붐의 뒷부분의 하면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돌출편을 더 갖고,
    상기 한 쌍의 접촉판부 각각의 상기 돌출편에는, 상기 신축 붐의 기복용의 기복 실린더를 보유지지하는 제2 축부가 설치된, 신축 붐의 장착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촉판부 각각의 상기 돌출편에, 상기 제2 축부를 포함하는 제2 소정 영역을 각각 설정하고,
    상기 제2 소정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접촉판부의 한쪽과 다른 한쪽 사이의 폭은, 상기 신축 붐의 뒷부분의 폭보다 작게 설정한, 신축 붐의 장착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촉판부는, 각각, 상기 제1 소정 영역으로부터 상기 돌출편에 이르는 경계 영역에 있어서 경사 형상을 이루는, 신축 붐의 장착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정 영역은, 상기 한 쌍의 접촉판부 각각의 후단부의 하방측 각부(角部)인, 신축 붐의 장착 구조.
KR1020177032414A 2015-06-11 2016-06-06 신축 붐의 장착 구조 KR101975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18618 2015-06-11
JP2015118618 2015-06-11
PCT/JP2016/066763 WO2016199722A1 (ja) 2015-06-11 2016-06-06 伸縮ブームの取付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591A KR20170136591A (ko) 2017-12-11
KR101975697B1 true KR101975697B1 (ko) 2019-05-07

Family

ID=57503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414A KR101975697B1 (ko) 2015-06-11 2016-06-06 신축 붐의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86618B2 (ko)
KR (1) KR101975697B1 (ko)
CN (1) CN107635907B (ko)
WO (1) WO20161997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8555B (fi) 2016-12-30 2020-08-14 Ponsse Oyj Nosturi ja työko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7565A (ja) 2004-11-12 2006-06-01 Tadano Ltd 伸縮ブームのブーム長さ検出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8189A (en) * 1991-12-12 1992-10-27 Watson Brothers Industries, Inc. Boom support system
US5515654A (en) * 1994-11-02 1996-05-14 Anderson; Edward E. Telescopic boom apparatus
JP3124481B2 (ja) * 1996-01-12 2001-01-15 日立建機株式会社 型鋼の架設解体機
JPH09249397A (ja) * 1996-03-15 1997-09-22 Aichi Corp 伸縮ブーム
JP2001097673A (ja) 1999-09-28 2001-04-10 Tadano Ltd クレーン付きトラックの荷台後部域への重量物の積み下し方法。
JP2001171972A (ja) * 1999-12-20 2001-06-26 Tadano Ltd 車載式クレーンのワイヤロープ緊張装置
JP5037050B2 (ja) * 2006-07-20 2012-09-26 株式会社タダノ ブーム付き作業機における伸縮ブーム
JP4806049B2 (ja) * 2009-03-27 2011-11-02 日立建機株式会社 2部材連結装置
WO2012026233A1 (ja) * 2010-08-26 2012-03-0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725777B2 (ja) * 2010-09-17 2015-05-27 株式会社タダノ コードリールの取付構造
JP5632076B2 (ja) * 2011-05-19 2014-11-26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用アーム
EP2712836B1 (en) * 2012-09-28 2015-06-03 Mesera Cranes Finland Oy A telescopic crane and a telescopic boom arrangement of a telescopic cra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7565A (ja) 2004-11-12 2006-06-01 Tadano Ltd 伸縮ブームのブーム長さ検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6199722A1 (ja) 2018-03-08
CN107635907B (zh) 2019-06-21
CN107635907A (zh) 2018-01-26
KR20170136591A (ko) 2017-12-11
JP6286618B2 (ja) 2018-02-28
WO2016199722A1 (ja) 201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7212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
US7959219B2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pipe and cab structure for construction machine having the same
JP5582167B2 (ja) 建設機械
JP6550301B2 (ja) ラチスブームの補強構造
JP2006219241A (ja) 建設機械
KR20130135246A (ko) 건설장비용 전복방지구조 캡
JP5786885B2 (ja) 建設機械のスイングブラケット
KR101975697B1 (ko) 신축 붐의 장착 구조
JP4673009B2 (ja) 建設機械用キャブ
KR101942213B1 (ko) 신축 붐의 장착 구조
WO2017065066A1 (ja) 作業機械用ブーム
JP6587964B2 (ja) 作業機械のカーボディ
JP2007063839A (ja) 建設機械用保護構造物及び建設機械用キャブ
EP1810914A1 (en) Canopy of working vehicle
EP2915771B1 (en) Forklift head-guard structure
JP4869737B2 (ja) 旋回型作業機の吊り装置
JP5014875B2 (ja) 作業機ブーム
JP7314673B2 (ja) ブーム支持構造
JP2019131408A (ja) ラチスブームの補強構造
JP6064410B2 (ja) 作業機械
JP5871595B2 (ja) 杭打機
JP6072588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ヘッドガード
JP4411603B2 (ja) 運搬台車
JP2010090567A (ja) 作業機械のキャブ構造
JP6046024B2 (ja) 建設機械のブ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