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390B1 - 강판의 불량 판독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강판의 불량 판독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390B1
KR100993390B1 KR1020080124521A KR20080124521A KR100993390B1 KR 100993390 B1 KR100993390 B1 KR 100993390B1 KR 1020080124521 A KR1020080124521 A KR 1020080124521A KR 20080124521 A KR20080124521 A KR 20080124521A KR 100993390 B1 KR100993390 B1 KR 100993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steel plate
steel
unit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5926A (ko
Inventor
최규영
남기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80124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390B1/ko
Publication of KR20100065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1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e.g. the weldability, of materials
    • B23K31/125Weld quality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18Shee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2Iron or ferrous alloys
    • B23K2103/04Steel or steel all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금속 판재가 용접된 강판의 용접 불량 유,무를 확인하는 강판의 불량 판독 검사장치로, 본 발명의 강판의 불량 판독 검사장치는 강판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강판이 안착되는 강판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이웃하며 상기 강판 안착부로부터 이송된 강판의 전면에 형성된 용접 불량 유,무를 확인하는 제1 강판 검사부; 상기 제1 강판 검사부에서 적합 판정된 강판을 이송시켜 강판 후면에 형성된 용접 불량 유,무를 확인하는 제2 강판 검사부; 및 상기 제1 강판 검사부와 이웃하며 제1 강판 검사부 및 제2 강판 검사부에 의해 적합 또는 부적합 판정된 강판을 공급받아 적합 판정된 강판과 부적합 판정된 강판을 서로 다른 위치에 안착시키는 강판 분리부;를 포함한다.
용접비드, 맞춤식 재단 용접, 육안검사, TWB

Description

강판의 불량 판독 검사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THE WELDING BEAD OF BLANKS}
본 발명은 강판의 불량 판독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맞춤식 재단 용접(TWB:Tailor Welder Blanks, 이하 TWB 라 칭함)은 두께, 강도, 또는 재질이 서로 다른 강판을 적절한 크기로 자른 뒤 레이저로 용접해 하나의 강판으로 용접하는 공법으로, 주로 차체용 강화 부품에 사용된다.
이러한, TWB 공법에 의해 가공된 강판은 기존 성형 방법에 비해 부품수가 감소되며, 금속 판재를 이어주는 보강재가 사용되지 않아 강판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TWB 공법에 의해 가공된 강판은 일반 강판에 비해 품질 및 안전성이 뛰어나다.
TWB 공법에 의한 강판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두께가 서로 다른 금속 판재(10a,10b)를 강판 안착대(20)에 안착시킨다. 이후, 다른 금속 판재(10a,10b)를 용접시키기 위해 제1 로봇(30)을 이용하여 금속 판재(10a,10b)를 용접 테이블(40)로 이송시킨다. 용접 테이블(40)에는 금속 판재(10a,10b)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수단과 용접수단에 의해 용접된 강판의 용접부를 검사하기 위한 비드 검사부(50)가 설치된다.
비드 검사부(50)는 하나의 강판으로 용접된 강판의 적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비드 검사부(50)에 의해 적합 판정을 받은 강판(10c)은 제2 로봇(60)에 의해 제1 적치대(70)로 이송되고, 부적합 판정을 받은 강판(10d)은 제2 적치대(80)로 이송된다.
한편, 제2 적치대(80)에 적치된 강판(10d)은 사람의 육안으로 적합여부를 재판정하기 위해 지게차(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 적치대(70) 앞으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제1 적치다(70) 앞은 생산라인의 외부이다.
부적합 판정을 받은 강판(10d)은 지게차에 안착되어 제1 적치대(70)와 제2 적치대(80) 사이에 형성된 도어(90)를 통해 제2 적치대(80) 앞으로 이송된다. 이후, 사람이 지게차 위로 올라가 부적합 판정을 받은 강판(10d)의 적합여부를 눈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비드 검사부(50)에 의해 부적합 판정을 받은 강판(10d)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생산라인을 정지시키거나 조별 생산이 완료된 시점에서 작업이 수행되어 강판의 생산성이 저하되며, 강판을 생산하기 위한 생산라인의 작동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생산라인을 정지시키지 않고 강판에 형성된 용접비드의 적합여부를 판단하는 강판의 불량 판독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판의 불량 판독 검사장치는 강판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강판이 안착되는 강판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이웃하며 상기 강판 안착부로부터 이송된 강판의 전면에 형성된 용접 불량 유,무를 확인하는 제1 강판 검사부; 상기 제1 강판 검사부에서 적합 판정된 강판을 이송시켜 강판 후면에 형성된 용접 불량 유,무를 확인하는 제2 강판 검사부; 및 상기 제1 강판 검사부와 이웃하며 제1 강판 검사부 및 제2 강판 검사부에 의해 적합 또는 부적합 판정된 강판을 공급받아 적합 판정된 강판과 부적합 판정된 강판을 서로 다른 위치에 안착시키는 강판 분리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강판 안착부는 경사지게 배치된 다수개의 롤이 설치된 제1 베이스; 상기 제1 강판 검사부와 이웃하는 제1 베이스 상에 설치되어 상기 롤을 따라 이송하는 강판의 이송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 강판 지지바; 및 상기 제1 강판 지지바를 상,하 구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강판 검사부는 다수개의 롤이 설치된 강판 검사대; 상기 강판 분리부와 이웃하는 제1 강판 검사대 상에 상기 롤을 따라 이송하는 강판의 이송 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 강판 지지바; 및 상기 제2 강판 지지바를 상,하 구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강판 검사부는 상기 제1 강판 검사부 일면에 배치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베이스;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 상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강판 검사부에 의해 적합 판정된 강판을 제2 강판 검사부로 이송시키는 세파레타; 및 상기 세파레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강판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강판 분리부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강판 지지대; 상기 제1 강판 지지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강판 검사부에 의해 적합 판정된 강판을 안착시키는 다수개의 롤; 상기 제1 강판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강판 지지대를 이송시키는 제2 구동부; 상기 제1 강판 지지대 하부에 배치되는 제2 강판 지지대; 및 상기 제2 강판 지지대 상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제1 강판 검사부 또는 제2 강판 검사부에 의해 부적합 판정된 강판을 스크랩 박스로 이송시키는 다수개의 롤;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된 강판의 불량 판독 검사장치는 라인을 정지시키기 않은 상태에서 강판에 형성된 용접비드의 적합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용접작업의 실수율 향상과 작업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용접 불량 판독 검사장치의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맞춤식 재단 용접(TWB:Tailor Welder Blanks)에 의해 형성된 강판은 비드 검사부에 의해 용접비드의 불량 유,무를 판독한 뒤, 불량 판단을 받은 강판을 사람의 눈으로 재판독한다.
강판의 용접 불량 유,무를 판독하는 장치는 비드 검사부에 의해 불량 판정을 받은 강판이 안착되는 강판 안착부(A), 안착부(A)와 이웃하며 안착부(A)로부터 이송된 강판(100a)의 전면에 형성된 용접 불량 유,무를 검사하는 제1 강판 검사부(B), 제1 강판 검사부(B)에 적합 판정된 강판(100b)을 수직 이송시켜 강판(100c)의 후면에 형성된 용접 불량 유,무를 검사하는 제2 강판 검사부(C), 제1 강판 검사부(B)와 이웃하며 제1 강판 검사부(B) 및 제2 강판 검사부(C)에 의해 적합 판정된 강판과 부적합 판정을 받은 강판을 공급받아 적합 판정을 받은 강판(100d)과 부적합 판정을 받은 강판(100e)을 서로 다른 위치에 안착시키는 강판 분리부(D)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적합 판정된 강판은 강판에 형성된 용접이 불량이 없는 상태를 일컬으며, 부적합 판정된 강판은 강판에 형성된 용접이 불량한 상태로 나타난 것을 일컫는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강판 안착부(A), 제1 강판 검사부(B), 제2 강판 검사부(C), 강판 분리부(D)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안착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강판 안착부(A)는 다수개의 롤(120)이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 베이스(110), 제1 베이스(110) 상에 설치되어 롤(120)에 의해 제1 강판 검사부(B)로 이송되는 강판(100a)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 강판 지지바(150), 제1 강판 지지바(150)를 상,하 구동시키는 실린더(160), 제1 베이스(1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1 베이스(11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실린더(170)로 이루어진다.
제1 베이스(110)에는 다수개의 롤(120)이 경사지게 설치된다. 다수개의 롤(120)은 제1 베이스(110) 내측면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고, 롤(120)의 축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에는 베이링(121)이 삽입된다. 따라서, 강판(100a)은 롤(120)을 따라 제1 강판 검사부(B)로 이송될 수 있다.
제1 베이스(110) 하부에는 제2 베이스(130)가 배치되어 제1 베이스(110)가 제1 강판 검사부(B)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게 한다. 즉, 제1 베이스(110)는 제1 강판 검사부(B)보다 높게 배치되어 제1 베이스(110)에 안착된 강판(100a)이 제1 강판 검사부(B)로 자유 낙하되도록 한다. 제1 베이스(110)와 제2 베이스(130)는 제1 베이스(110) 하면과 제2 베이스(130) 상면 사이에 관통된 관통바(140)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관통바(140)의 양측면에는 관통바(140)가 제1 베이스(110)와 제2 베이스(1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141)와 너트(142)가 삽입된다.
제1 베이스(110) 상에는 롤(120)을 따라 이송되는 강판(100a)의 이송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제1 강판 지지바(150)가 설치된다. 제1 강판 지지바(150)는 제1 베이스(110) 상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바(152)에 결합되며, 제2 베이스(130) 외부로 돌출된 제1 강판 지지바(150)의 하면에는 실린더(160)가 설치된다. 따라서, 실린더(160)가 작동되면, 제1 강판 지지바(150)가 상승된다. 이와 같이, 제1 강판 지지바(150)는 가이드바(152)와 접촉 또는 이격되어 롤(120) 상부에 배치된 강판(100a)을 제1 강판 검사부(B)로 이송 또는 차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강판 안착부(A)로 강판(100a)이 이송되거나, 제1 강판 검사부(B)에서 강판(100b)의 검사작업이 수행되면 제1 강판 지지바(150)를 가이드바(152)에 접촉시켜 강판(100a)이 제1 강판 검사부(B)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강판 검사부(B)로 강판(100a)을 이송시킬 때에는 실린더(160)를 작동시켜 제1 강판 지지바(150)를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가이드바(152)와 제1 강판 지지바(150)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어, 롤(120) 상부에 배치된 강판(100a)이 제1 강판 검사부(B)로 이송된다. 또한, 제1 강판 지지바(150)의 하면에는 가이드바(152)에 삽입된 돌출부(151)가 형성되어 제1 강판 지지바(150)가 가이드바(15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베이스(110) 전면에는 돌출판(111)이 설치되고, 돌출판(111) 하면에는 실린더(170)가 체결된다. 따라서, 제1 베이스(110)는 실린더(170)가 작동됨에 따라 기울기가 조절된다. 즉, 실린더(170)가 작동되면 실린더(170)에 결합된 돌출판(111)이 상승된다. 따라서, 제1 베이스(110)의 기울기가 높아진다. 또한, 제1 베이스(110)의 기울기가 높아지면 강판(100a)은 자중에 의해 제1 강판 검사부(B)로 이송된다.
제1 강판 검사부(B)와 마주하는 제2 베이스(130)의 우측면에는 한 쌍의 베어링 블록(180)이 설치된다. 베어링 블록(180) 사이에는 롤(181)이 삽입된다. 베이링 블록(180)에 삽입된 롤(181)은 강판 안착부(A)에서 제1 강판 검사부(B)로 이송 되는 강판(100a)의 후단부에 발생할 수 있는 낙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2 베이스(130) 전면에는 스토퍼(190)가 고정 설치되어 제2 베이스(130)와 강판 검사대(210)를 서로 연결한다. 즉, 스토퍼(190)는 볼트(191)에 의해 제2 베이스(130)에 고정되고 강판 검사대(210)에 돌출된 돌출부(211)에 삽입되어 제2 베이스(130)와 강판 검사대(210)를 서로 연결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강판 검사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강판 검사부(B)는 강판 안착부(A)로부터 이송된 강판(100a)을 공급받아 강판(100b) 전면에 형성된 용접비드의 불량 유,무를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제1 강판 검사부(B)는 강판 검사대(210), 강판(100b)이 강판 분리부(D)로 이송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제2 강판 지지바(240), 제2 강판 지지바(240)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실린더(250)로 이루어진다.
강판 검사대(210)는 스토퍼(190)에 의해 제2 베이스(130)와 연결 설치된다. 강판 검사대(210) 상에는 강판 안착부(A)로부터 이송된 강판(100b)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롤(230)이 설치된다.
롤(230)은 강판 검사대(210) 상에 설치된 프레임(220)에 삽입된다. 또한, 롤(230)의 축 방향에는 롤(230)을 회전시키기 위한 베어링(231)이 삽입된다.
강판 검사대(210)의 우측 상면에는 제2 강판 지지바(240)가 설치되며, 제2 강판 지지바(240) 하면에는 스토퍼(243)와 브라켓트(241)가 일직선으로 고정 설치된다. 또한, 스토퍼(243)와 브라켓트(241) 사이에는 탄성체(242)가 배치되어 스토 퍼(243)를 탄성 지지한다. 이러한, 스토퍼(243), 탄성체(242), 및 브라켓트(241)는 브라켓트(241)와 스토퍼(243)에 형성된 홈에 볼트(244)가 삽입되어 서로 체결된다. 또한, 탄성체(242)는 탄성력을 가진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강판 검사대(210)의 전면에는 실린더(250)가 고정 설치되어 제2 강판 지지바(240)를 상,하로 이송시킬 수 있다. 즉, 실린더(250)가 작동되면 실린더(250) 상에 배치된 제2 강판 지지바(240)가 상승된다. 이와 같이, 제2 강판 지지부(240)가 상승되면, 제1 강판 검사부(B)에서 불량 판정을 받은 강판(100b)이 이격 공간을 통해 강판 분리부(D)로 이송된다.
또한, 제2 강판 지지바(240) 하면에는 터치바(245)가 형성되고, 터치바(245)와 마주하는 실린더(250)에는 근접센서(246)가 형성된다. 근접센서(246)는 실린더(250)의 작동을 중단하기 위한 것으로, 근접센서(246)에 터치바(245)가 감지되면 실린더(250)의 작동이 정지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강판 검사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강판 검사부(C)는 제1 강판 검사부(B)에서 적합 판정된 강판(100c) 후면의 용접비드 적합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것으로, 제2 강판 검사부(C)는 제1 강판 검사부(B) 후면에 배치되는 제1 프레임(310), 제1 프레임(310) 상에 슬라이딩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베이스(330), 슬라이드 베이스(330) 상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프레임(340), 제2 프레임(340) 상에 설치되어 제1 강판 검사부(B)에서 적합 판정을 받은 강판(100b)을 수직방향으로 이송 시키는 세파레타(350), 세파레타(350) 일측에 설치되어 강판(100c)을 고정하는 고정부재(356), 세파레타(350)를 90°승,하강시키는 실린더(342), 제1 프레임(310) 상에 설치된 슬라이드 베이스(330)를 이송시키는 제1 구동부(360)로 이루어진다.
제1 프레임(310) 상에는 전,후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고정블록(320)이 설치된다. 고정블록(320)은 'H'형상의 프레임으로, 프레임의 웨브부는 슬라이드 베이스(3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홈이 형성된다.
고정블록(320)의 개방홈에는 슬라이드 베이스(330)가 삽입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베이스(330)는 고정블록(320)을 따라 좌,우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고정블록(320)의 상면에는 볼트에 의해 레일(321)이 고정 설치되고, 레일(321)의 우측 상단에는 근접센서(322)가 설치된다. 근접센서(322)는 제1 구동부(360)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근접센서(322)에 터치바(331)가 감지되면 제1 구동부(360)의 구동이 정지된다. 제1 구동부(360)의 구동이 정지되면, 슬라이드 베이스(330)는 정지된다.
슬라이드 베이스(330) 상에는 제2 프레임(340)이 수직 방향으로 고정 설치된다. 제2 프레임(340) 전면에는 베이링 블록(341)이 고정 설치되고, 베어링 블록(341)에는 실린더(342)가 체결된다. 또한, 실린더(342)의 하단부에는 링크(343)의 일단이 핀(344)에 의해 체결되며, 링크(343)의 타단에는 세파레타(350)가 베어링 블록(344a)을 통해 삽입된다. 또한, 세파레타(350)가 삽입된 베어링 블록(344a)과 링크(343)의 타단부에는 뭍힘키가 삽입된다. 따라서, 세파레타(350)는 실린더(342) 하부에 체결된 링크(343)가 하부 방향으로 이송되면 세파레타(350)가 90°승강되며, 링크(343)가 상부 방향으로 승강되면 세파레타(350)가 90°하강된다. 즉, 제1 강판 검사부(B)에 안착된 강판(100b)은 세파레타(350)의 승,하강 운동에 의해 제2 강판 검사부(C)로 수직 이송되어 강판(100c)의 후면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세파레타(350)의 돌출홀(351)에는 고정부재(356)가 고정된 고정 브라켓트(355)의 링크부(352)가 핀(353)에 의해 체결된다. 고정부재(356)는 자성에 의해 강판(100c)을 부착시키는 전자석과 진공압력을 이용한 흡입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고정부재(356)를 전자석(356)으로 형성한다. 또한, 고정 브라켓트(355)와 전자석(356) 사이에는 탄성체(357)가 삽입되어 전자석(356)이 고정 브라켓트(355)에 탄성 지지된다.
슬라이드 베이스(330)를 이송시키는 제1 구동부(360)는 볼트(361)에 의해 제1 프레임(310)에 고정 설치되고, 제1 구동부(360)의 축은 플렌지(362)에 관통된다. 제1 구동부(360)의 축과 스크류(363)의 일단은 플렌지(362)에 의해 결합되며, 스크류(363)의 타단은 슬라이드 베이스(330) 하부에 고정된 스크류 블록(364)을 관통하여 지지블록(365)에 삽입된다. 이때, 지지블록(365)과 스크류 블록(364) 사이에는 베이링(366)이 삽입되어 스크류(363)가 회전을 용이하게 한다.
평행하게 배치된 제2 프레임(340) 사이에는 연결바(345)가 설치되고, 연결바(345)의 전면에는 세파레타(350)가 수직 이송될 때 세파레타(350)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346)가 설치된다. 즉, 근접센서(346)는 세파레타(350)의 이동을 감지하는 것으로, 근접센서(346)에 세파레타(350)가 감지되면 실린더(342)의 작 동이 중단된다. 따라서, 세파레타(350)의 이송이 중단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분리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강판 분리부(D)는 용접비드의 적합 또는 부적합 판정된 강판(100d,100e)을 서로 다리 위치로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적합 판정을 받은 강판(100d)은 제1 강판 지지대(410) 상에 배치되고, 부적합 판정을 받은 강판(100b)은 제2 강판 지지대(450) 상에 배치된다.
강판 분리부(D)는 가이드 레일(430)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는 제1 강판 지지대(410), 제1 강판 지지대(410) 상에 형성되어 제2 강판 검사부(C)에 의해 적합 판정을 받은 강판(100d)을 수용하는 다수개의 롤 블록(412), 제1 강판 지지대(4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 강판 지지대(410)를 이송시키는 제2 구동부(420), 제1 강판 지지대(410) 하부에 배치되는 제2 강판 지지대(450), 제2 강판 지지대(450) 상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제1 강판 검사부(B) 또는 제2 강판 검사부(C)에서 부적합 판정된 강판(100e)을 스크랩 박스(460)로 이송시키는 다수개의 롤 블록(452)으로 이루어진다.
평행하게 설치된 가이드 레일(430) 사이에는 가이드 레일(430)을 따라 좌,우로 이송되는 제1 강판 지지대(410)가 설치된다. 제1 강판 지지대(410) 상에는 다수개의 롤(411)이 모여 형성된 롤 블록(412)이 설치된다. 롤 블록(412)은 볼트에 의해 제1 강판 지지대(410) 상에 고정 설치된다.
제1 강판 지지대(410)의 상면에는 사각 형상의 오목홈(413)이 형성되고, 제1 강판 지지대(410)의 우측면에는 브라켓트(414)가 고정 설치된다. 브라켓트(414) 의 상에는 제2 구동부(420)가 설치되고, 제2 구동부(420)의 축에는 스크류(422)의 일단이 플렌지(421)에 의해 결합된다. 스크류(422)의 타단은 하부 슬라이딩 블록(430)을 관통하여 지지블록(424)에 삽입된다. 이때, 스크류(422)의 타단에는 베어링(423)이 삽입되어 스크류(422)의 회전을 용이하게 한다.
제1 강판 지지대(410)에 형성된 오목홈(413)에는 롤 블록(412)에 안착된 강판(100d)을 상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상,하 슬라이딩 블록(430,431)이 설치된다. 또한, 상부 슬라이딩 블록(431) 상에는 롤 블록(412) 상에 안착된 강판(100d)을 상승시키는 강판 상승부재(432)가 설치된다. 이때, 강판 상승부재(432)는 상부 슬라이딩 블록(431)과 결합되는 수직 프레임(432a)과 수직 프레임(432a)의 일단과 타단에 수직 프레임(432a)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수평 프레임(432b)으로 이루어진다. 강판 상승부재(432)의 수평 프레임(432b)은 다수의 롤 블록(412)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강판 상승부재(432)가 상승되면 흴 블록(421)에 안착된 강판(100d)이 상승된다.
강판 상승부재(432)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제2 구동부(420)를 구동시켜 스크류(422)를 회전시킨다. 스크류(422)가 회전되면, 스크류(422)와 치합 결합된 하부 슬라이딩 블록(430)이 우측 방향으로 이송된다. 하부 슬라이딩 블록(430)이 우측 방향으로 이송되면 하부 슬라이딩 블록(430)에 결합된 상부 슬라이딩 블록(431)이 상승되어, 상부 슬라이딩 블록(431)에 고정 설치된 강판 상승부재(432)가 상승된다. 강판 상승부재(432)가 상승되면, 롤 블록(412)에 안착된 강판(100d)이 상승 된다. 이와 같이, 강판 상승부재(432)에 의해 강판(100d)이 상승되면, 지게차를 이용한 강판의 취출이 용이해진다. 즉, 롤 블록(412)과 강판(100d) 사이에 이격 공간이 없으면, 지게차의 지렛대가 강판(100d)의 하면으로 삽입될 때 강판(100d)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롤 블록(412)과 강판(100d)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여 지게차의 지렛대가 강판(100d)의 하면으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가이드 레일(430)의 우측 상단에는 근접센서(433)가 설치되고, 근접센서(433)와 마주하는 제1 강판 지지대(410)의 일면에 터치바(434)가 설치된다. 따라서, 근접센서(433)는 가이드 레일(430)의 우측면에 제1 강판 지지대(410)가 배치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근접센서(431)에 터치바(434)가 감지되면, 제2 구동부(420)는 구동을 멈춘다.
또한, 제1 강판 지지대(410)의 일측에는 실린더(440)가 설치되어, 제1 강판 지지대(410)를 이송시킬 수 있다. 즉, 제1 강판 지지대(410)는 실린더(440)에 의해 가이드 레일(430)을 따라 좌,우로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강판 지지대(410)는 좌,우로 이송되어 강판 분리부(D)로 이송되는 강판의 적합여부에 따라 제1 강판 지지대(410)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시킨다. 즉, 제1 강판 지지대(410) 상에는 적합 판정을 받은 강판(100d)을 안착시키는데 제1 강판 검사부(B) 또는 제2 강판 검사부(C)로부터 부적합 판정을 받은 강판(100e)이 이송되면 제1 강판 지지대(410)를 우측으로 이송시켜 제2 강판 지지대(450)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에 따라, 부적합 판정을 받은 강판(100e)은 제2 강판 지지대(45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강판 지지대(410)의 하부에는 부적합 판정을 받은 강판(100e)이 안착되는 제2 강판 지지대(450)가 설치된다. 제2 강판 지지대(450) 상에는 부적합 판정된 강판(100e)을 스크랩 박스(460)로 낙하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롤(451)이 모여 형성된 롤 블록(452)이 설치된다. 이때, 롤 블록(452)은 경사지게 설치되어, 롤 블록(452)에 안착된 강판(100e)이 자중에 의해 스크랩 박스(460)로 자유 낙하되게 한다.
이하에서는 강판의 용접 불량 유,무를 판독하는 검사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비드 검사부에 부적합 판정을 받은 강판(100a)은 강판 이송수단에 의해 강판 안착부(A)로 이송된다. 강판(100a)이 강판 안착부(A)에 안착되면, 실린더(160)를 작동시켜 제1 강판 지지바(150)를 상승시킨다. 또한, 강판 안착부(A)에 안착된 강판(100a)은 경사지게 설치된 다수개의 롤(120)에 의해 제1 강판 검사부(B)로 이송된다.
제1 강판 검사부(B)로 강판(100b)이 이송되면, 강판 검사대(210)의 프레임(220)에 설치된 롤(230)이 회전된다. 따라서, 강판(100b)은 롤(230)의 우측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 롤(230)의 우측 방향으로 이송된 강판(100b)은 제2 강판 지지바(240)의 스토퍼(243)에 의해 탄력을 받으면서 이송을 멈추게 된다.
강판(100b)의 이송이 차단되면, 작업자는 강판(100b)의 전면에 형성된 용접 의 불량 유,무를 판단한다. 이때, 강판(100b)이 적합으로 판정되면 강판(100b)의 후면에 형성된 용접 불량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강판(100b)을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킨다. 강판(100b)을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컨트롤 판넬(500)을 작동시켜 제2 강판 검사부(C)의 세파레타(350)를 90°하강시킨다. 세파레타(350)가 90°하강되면 전자석(356)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자석(356)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자석(356)에 자성이 형성되어 강판(100c)이 전자석(356)으로 부착된다. 전자석(356)에 강판(100b)이 부착되면, 컨트롤 판넬(500)을 작동시켜 세파레타(350)를 90°상승시킨다. 감지센서(346)에 의해 세파레타(350)가 감지되면, 세파레타(350)의 이송을 멈춘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세파레타(350)가 90°상승되면, 강판(100c)의 후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세파레타(350)를 90°승,하강시키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세파레타(350)는 롤(230)에 안착된 강판(100b)을 부착시킬 수 있는 각도로 하강되거나, 강판(100b)의 후면이 사람의 육안에 식별될 수 있을 정도의 각도로 상승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356)가 흡입부재로 형성되면 세파레타(350)가 90°하강 되었을 때, 진공압을 형성하여 강판(100b)을 세파레타(350)에 고정시킨다.
강판(100c)의 후면이 외부로 노출되면, 작업자는 강판(100c) 후면에 형성된 용접비드의 불량 유,무를 판단한다. 강판(100c) 후면에 형성된 용접비드가 적합으로 판정되면, 콘트롤 판넬(500)을 통해 제1 구동부(360)를 구동시킨다. 제1 구동부(360)가 구동되면, 슬라이드 베이스(330)가 우측 방향으로 이송된다. 슬라이드 베이스(330)가 우측으로 이송되면, 슬라이드 베이스(330) 측면에 부착된 터치 바(331)가 근접센서(322)에 감지되어 제1 구동부(360)가 구동을 멈춘다. 이에 따라, 적합 판정을 받은 강판(100c)이 강판 분리부(D) 후면에서 배치된다. 슬라이드 베이스(330)가 강판 분리부(D) 후면에 배치되면, 세파레타(350)를 90°하부로 하강시킨다. 이때, 전자석(356)에 공급된 전원을 차단하여 전자석(356)의 자성을 소멸시킨다. 따라서, 전자석(356)에 부착된 강판(100c)은 제1 강판 지지대(410)에 설치된 롤 블록(411)으로 이송된다. 적합 판정을 받은 강판(100d)이 롤 블록(411)으로 이송되면, 제2 구동부(420)를 구동시킨다. 제2 구동부(420)가 구동되면 스크류(422)를 회전되어 하부 슬라이딩 블록(430)이 우측으로 이송된다. 하부 슬라이딩 블록(430)이 우측으로 이송되면, 하부 슬라이딩 블록(430)에 결합된 상부 슬라이딩 블록(431)이 상승된다. 이에 따라, 상부 슬라이딩 블록(431)에 결합된 강판 상승부재(432)가 상승된다. 강판 상승부재(432)가 상승되면 롤 블록(412)에 적치된 강판(100d)이 상승된다. 이에 따라, 강판(100d)의 하면과 롤 블록(412)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강판(100d) 하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면, 지게차의 지렛대가 강판(100d)의 하면에 삽입되어 강판(100d)의 취출 공정이 용이해진다. 이후, 지게차를 포장 파레트로 이송시켜 적합 판정을 받은 강판(100d)을 출하시킨다.
한편, 제1 강판 검사부(B)로 이송된 강판(100b)이 불량 강판으로 판정되면 강판(100b)은 제2 강판 검사부(C)로 이송되지 않고 강판 분리부(D)로 바로 이송된다. 불량 강판으로 판정된 강판(100b)을 강판 분리부(D)로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실린더(250)를 작동시켜 제2 강판 지지바(240)를 상승시킨다. 제2 강판 지지바(240)가 상승되면 제2 강판 지지바(240)에 고정 설치된 스토퍼(243)와 브라켓트(241)가 상승된다. 따라서, 강판(100b)은 스토퍼(243)와 브라켓트(241)의 하면을 통해 강판 분리부(D)로 이송된다. 또한, 강판(100b)이 강판 분리부(D)로 이송되기 전 강판 분리부(D)의 제1 강판 지지대(410)는 실린더(440)의 작동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이송된다. 제1 강판 지지대(410)가 우측으로 이송되면, 제1 강판 지지대(410) 측면에 부착된 터치바(433)가 근접센서(434)에 감지되어 제2 구동부(420)가 구동을 멈춘다. 이에 따라, 제1 강판 지지대(410)는 구동을 멈추고, 제2 강판 지지대(450)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제2 강판 지지대(450)는 불량 판정을 받은 강판(100b)이 강판 분리부(D)로 이송되기 전에 외부로 노출되어, 롤(230)을 따라 이송되는 강판(100e)이 제2 강판 지지대(450)로 안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2 강판 지지대(450)에 안착된 강판(100e)은 경사지게 설치된 롤 블록(452)에 의해 스크랩 박스(460)로 자유 낙하된다.
또한, 제2 강판 검사부(C)에서 강판(100c) 후면에 형성된 용접비드가 부적합 판정을 받게 되면 전자석(356)에 의해 지지된 강판(100c)이 슬라이드 베이스(330)를 통해 강판 분리부(D)의 후면으로 이송된다. 강판 분리부(D)의 후면으로 강판(100c)이 이송되면, 제1 강판 지지대(410)를 우측 방향으로 이송시켜 제2 강판 지지대(450)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후, 세파레트(350)를 90°하강시켜 제2 강판 지지대(450) 상에 강판(100e)을 배치시킨다. 제2 강판 지지대(450) 상에 강판(100e)이 배치되면, 전자석(356)에 공급된 전원을 차단한다. 전자석(356)에 전원이 차단되면, 전자석(356)에 부착된 강판(100d)이 제2 강판 지지대(450)로 이송된다. 이때, 제2 강판 지지대(450)로 안착된 강판(100e)은 경사지게 설치된 롤 블록(452)에 의해 스크랩 박스(460)로 자유 낙하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강판의 용접 불량 판독 검사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강판의 용접 불량 판독 검사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용접 불량 판독 검사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안착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강판 검사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강판 검사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분리부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제1 베이스 120 : 롤
130 : 제2 베이스 140 : 관통바
150 : 제1 강판 지지바 160,170 : 실린더
180 : 베어링 블록 190 : 스토퍼
210 : 강판 검사대 220 : 프레임
230 : 롤 240 : 제2 강판 지지바
250 : 실린더 310 : 제1 프레임
320 : 고정블록 330 : 슬라이드 베이스
340 : 제2 프레임 350 : 세파레타
370 : 제1 구동부 410 : 제1 강판 지지대
420 : 제2 구동부 430 : 가이드 레일
440 : 실린더 450 : 제2 강판 지지대
460 : 스크랩 박스
A : 강판 안착부 B : 제1 강판 검사부
C : 제2 강판 검사부 D : 강판 분리부

Claims (5)

  1. 서로 다른 금속 판재가 용접된 강판의 용접 불량 유,무를 확인하는 강판의 불량 판독 검사장치에 있어서,
    강판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강판이 안착되는 강판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이웃하며 상기 강판 안착부로부터 이송된 강판의 전면에 형성된 용접 불량 유,무를 확인하는 제1 강판 검사부;
    상기 제1 강판 검사부에서 적합 판정된 강판을 이송시켜 강판 후면에 형성된 용접 불량 유,무를 확인하는 제2 강판 검사부; 및
    상기 제1 강판 검사부와 이웃하며 제1 강판 검사부 및 제2 강판 검사부에 의해 적합 또는 부적합 판정된 강판을 공급받아 적합 판정된 강판과 부적합 판정된 강판을 서로 다른 위치에 안착시키는 강판 분리부;를 포함하는 강판의 불량 판독 검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 안착부는
    경사지게 배치된 다수개의 롤이 설치된 제1 베이스;
    상기 제1 강판 검사부와 이웃하는 제1 베이스 상에 설치되어 상기 롤을 따라 이송하는 강판의 이송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 강판 지지바; 및
    상기 제1 강판 지지바를 상,하 구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강판의 불량 판독 검사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판 검사부는
    다수개의 롤이 설치된 강판 검사대;
    상기 강판 분리부와 이웃하는 제1 강판 검사대 상에 상기 롤을 따라 이송하는 강판의 이송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 강판 지지바; 및
    상기 제2 강판 지지바를 상,하 구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강판의 불량 판독 검사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강판 검사부는
    상기 제1 강판 검사부 일면에 배치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베이스;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 상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강판 검사부에 의해 적합 판정된 강판을 제2 강판 검사부로 이송시키는 세파레타; 및
    상기 세파레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강판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강판의 불량 판독 검사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 분리부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강판 지지대;
    상기 제1 강판 지지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강판 검사부에 의해 적합 판정된 강판을 안착시키는 다수개의 롤;
    상기 제1 강판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강판 지지대를 이송시키는 제2 구동부;
    상기 제1 강판 지지대 하부에 배치되는 제2 강판 지지대; 및
    상기 제2 강판 지지대 상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제1 강판 검사부 또는 제2 강판 검사부에 의해 부적합 판정된 강판을 스크랩 박스로 이송시키는 다수개의 롤;을 포함하는 강판의 불량 판독 검사장치.
KR1020080124521A 2008-12-09 2008-12-09 강판의 불량 판독 검사장치 KR100993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521A KR100993390B1 (ko) 2008-12-09 2008-12-09 강판의 불량 판독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521A KR100993390B1 (ko) 2008-12-09 2008-12-09 강판의 불량 판독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926A KR20100065926A (ko) 2010-06-17
KR100993390B1 true KR100993390B1 (ko) 2010-11-09

Family

ID=42365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521A KR100993390B1 (ko) 2008-12-09 2008-12-09 강판의 불량 판독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3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800B1 (ko) 2011-02-28 2011-09-22 주식회사 대정 차량 판금조립물용 너트 용접장치
KR20160076725A (ko) 2014-12-23 2016-07-01 주식회사 포스코 단차 형상의 시편 클램핑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1925B (zh) * 2016-07-22 2018-01-02 天津滨海新区纵联管道科技有限公司 激光自动焊接、剖分t型钢一体机组
CN108296637B (zh) * 2018-02-23 2020-02-21 上海中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镍片激光焊接机及激光焊接方法
CN108637514A (zh) * 2018-05-16 2018-10-12 安徽猎豹汽车有限公司 一种多车型白车身共线柔性焊接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2778A (ja) 1996-06-06 1998-02-24 Sumitomo Metal Ind Ltd 鋼板の切断可能健全部認識方法及び装置並びに健全部の切断方法及び装置
JPH11319911A (ja) 1998-05-14 1999-11-24 Nippon Steel Corp 帯状鋼板の長手方向の連続溶接方法および溶接設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2778A (ja) 1996-06-06 1998-02-24 Sumitomo Metal Ind Ltd 鋼板の切断可能健全部認識方法及び装置並びに健全部の切断方法及び装置
JPH11319911A (ja) 1998-05-14 1999-11-24 Nippon Steel Corp 帯状鋼板の長手方向の連続溶接方法および溶接設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800B1 (ko) 2011-02-28 2011-09-22 주식회사 대정 차량 판금조립물용 너트 용접장치
KR20160076725A (ko) 2014-12-23 2016-07-01 주식회사 포스코 단차 형상의 시편 클램핑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926A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390B1 (ko) 강판의 불량 판독 검사장치
KR101031188B1 (ko) 태핑 검사 장치
US20080023900A1 (en) Separating and holding apparatus
CN109701883B (zh) 一种上下料装置
CN116037487B (zh) 一种塑料瓶盖加工用厚度检测设备
CN101288935B (zh) 一种集装箱门端组装台
CN111537347A (zh) 疲劳损伤检测装置
KR101056350B1 (ko) 이동 방향 자동 전환 시스템
CN112536245B (zh) 一种智能视觉工业机器人分拣装箱机构及方法
KR101286999B1 (ko) 자동변속기 밸브바디의 사상 검사 장치
CN218212675U (zh) 一种电芯模组Busbar焊后检测设备
CN213876065U (zh) 离合器摩擦片铆钉孔漏孔检测装置
KR102215200B1 (ko) 철제 용기 뚜껑의 스폿용접부 검사장치
JP3788001B2 (ja) コイル搬送用吊具及びその使用方法
KR102170937B1 (ko) 차량용 에어백 엠블럼 자동 조립장치
CN109848754B (zh) 一种基于位移传感器的型材形状自动检测及姿态校正机构
CN114873272A (zh) 连续翻转上料装置、上料设备和分选系统
KR101162321B1 (ko) 쇽업소버의 베이스 어셈블리 자동검사장치
CN220445442U (zh) 一种防爆片正反防呆工装
JP4374852B2 (ja) 遊技機製造装置
JP3727727B2 (ja) 枚葉印刷機の給紙紙積装置
JP3052003B2 (ja) 薄板ワークの移載装置
KR102628835B1 (ko) 시트 검사 장치
CN218802317U (zh) 一种机械手末端结构
KR20050082697A (ko) 플랜지용 자동드릴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