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800B1 - 차량 판금조립물용 너트 용접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판금조립물용 너트 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800B1
KR101066800B1 KR1020110017972A KR20110017972A KR101066800B1 KR 101066800 B1 KR101066800 B1 KR 101066800B1 KR 1020110017972 A KR1020110017972 A KR 1020110017972A KR 20110017972 A KR20110017972 A KR 20110017972A KR 101066800 B1 KR101066800 B1 KR 101066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nut
sheet metal
metal assembly
vehicl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병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정
Priority to KR1020110017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8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7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moving work to adjust its position betwee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02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1/004Welding of a small piece to a great or broad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4Projection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24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B23K11/25Monitoring devices
    • B23K11/252Monitoring devices using digit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1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e.g. the weldability, of materials
    • B23K31/125Weld quality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23P19/006Holding or positioning the article in front of the apply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6Loading work on to conveyors; Arranging work on conveyor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판금조립물용 너트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작업자 1인이 컨베이어부를 따라 순환공급되는 고정판에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을 안착 및 분리시킬 수 있고, 너트공급부와 용접부를 통해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에 너트를 자동공급한 후 용접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판금조립물용 너트 용접장치{A NUT WELDING DEVICE FOR VEHICLE FRAME}
본 발명은 작업자 1인이 컨베이어부를 따라 순환공급되는 고정판에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을 안착 및 분리시킬 수 있고, 너트공급부와 용접부를 통해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에 너트를 자동공급한 후 용접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차량 판금조립물용 너트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기술향상에 따라서 안정성과 편의성 또한 소비자의 구매기준이 되었으며, 안전성 향상을 위하여 에어백 및 각종 제어시스템을 장착하게 되었으며 자동차를 제 2의 생활공간으로 인식하면서 음향시스템과 같은 편의시설을 포함한 안전장치의 확대로 인한 내장재의 부품이 다양하다.
자동차의 형태도 메인 프레임에 차체를 올리는 방식에서 각각의 파트를 조립하는 모노코크 형태로 변천함에 따라서 도어나 각종 부착물들을 프레임에 부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설계에서부터 이러한 부분을 감안하여야 하기 때문에 부품의 형상이 복잡하고 제품의 종류 또한 다양해져 있다.
형상이 복잡한 부품들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노코크 형태의 차체 프레임을 포함한 차량 판금조립물(5)에 너트(7)가 부착되어져 있어야 한다.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들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우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기능적으로 다양하기 때문에 작은 판금 조립물 형태를 띄고 있다.
한편, 대규모 생산현장에서는 최근 들어 공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려는 움직임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자는 작업자 1인이 컨베이어부를 따라 순환공급되는 고정판에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을 안착 및 분리시킬 수 있고, 너트공급부와 용접부를 통해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에 너트를 자동공급한 후 용접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차량 판금조립물용 너트 용접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작업자 1인이 컨베이어부를 따라 순환공급되는 고정판에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을 안착 및 분리시킬 수 있고, 너트공급부와 용접부를 통해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에 너트를 자동공급한 후 용접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차량 판금조립물용 너트 용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컨베이어 및 타측컨베이어와, 상기 일측컨베이어와 상기 타측컨베이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일측컨베이어에 안착된 차량 판금조립물을 상기 타측컨베이어로 공급 및 상기 타측컨베이어에 안착된 차량 판금조립물을 상기 일측컨베이어로 공급하는 중간컨베이어로 구성되는 컨베이어부와; 상기 일측컨베이어와 타측컨베이어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중간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일측컨베이어로 공급되는 차량 판금조립물로 너트를 공급하는 너트공급부와; 상기 너트공급부를 통해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로 공급된 너트를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에 용접하는 용접부와; 상기 용접부에 의해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에 용접된 너트를 촬영하여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판금조립물용 너트 용접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중간컨베이어는 상기 일측컨베이어와 타측컨베이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일측컨베이어에 안착된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을 상기 타측컨베이어로 공급하는 하측중간컨베이어와;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컨베이어와 타측컨베이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타측컨베이어에 안착된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을 상기 일측컨베이어로 공급하는 상측중간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컨베이어부에 차량 판금조립물이 고정되는 고정판이 안착되고,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는 상기 일측컨베이어로부터 상기 고정판을 공급받는 제 1하측중간컨베이어와; 상기 제 1하측중간컨베이어로부터 상기 고정판을 공급받는 제 2하측중간컨베이어와; 상기 제 2하측중간컨베이어로부터 상기 고정판을 공급받아 상기 타측컨베이어로 공급하는 제 3하측중간컨베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중간컨베이어는 상기 타측컨베이어로부터 상기 고정판을 공급받는 제 1상측중간컨베이어와; 상기 제 1상측중간컨베이어로부터 상기 고정판을 공급받는 제 2상측중간컨베이어와; 상기 제 2상측중간컨베이어로부터 상기 고정판을 공급받아 상기 일측 컨베이어로 공급하는 제 3상측중간컨베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너트공급부는 상기 제 2상측중간컨베이어로 공급된 상기 고정판에 고정된 상기 차량판금조립물로 너트를 공급하고, 상기 용접부는 상기 제 2상측중간컨베이어로 공급된 상기 고정판에 고정된 상기 차량판금조립물로 공급된 너트를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부에 차량 판금조립물 고정되는 고정판이 안착되고, 상기 일측컨베이어, 타측컨베이어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고정판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일측컨베이어 및 타측컨베이어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에 상기 고정판을 위치고정시키는 고정지그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고정지그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지그는 상기 일측컨베이어, 타측컨베이어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의 전측 상부면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전측실린더와; 상기 일측컨베이어, 타측컨베이어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의 후측 상부면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후측실린더와; 상기 전측실린더의 단부에 각각 전단부가 축결합되고, 중심부가 상기 일측컨베이어, 타측컨베이어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의 전측 상부면 양측에 각각 축결합되어 상기 고정판을 파지하는 전측파지부재와; 상기 후측실린더의 단부에 각각 후단부가 축결합되고, 중심부가 상기 일측컨베이어, 타측컨베이어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의 후측 상부면 양측에 각각 축결합되어 상기 고정판을 파지하는 후측파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일측컨베이어 및 타측컨베이어가 내측에 각각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수직고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하단부에 상부면이 연결되고, 하단부에 상기 일측컨베이어 및 타측컨베이어의 전후측상부면이 각각 연결되는 상하이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너트공급부는 너트가 수용되는 파츠피더와; 상기 파츠피더로부터 공급되는 너트를 차량 판금조립물로 공급하는 너트피더기와; 상기 파츠피더와 상기 너트피더기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파츠피더로부터 공급되는 너트를 상기 너트피더기로 안내하는 안내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용접부는 상하좌우회전이동하는 로봇암과; 상기 로봇암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로봇암을 따라 상하좌우회전이동하고,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에 공급된 너트를 용접하는 용접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너트피더기는 상기 용접봉에 고정되어 상기 용접봉을 따라 상하좌우회전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컨베이어부에 차량 판금조립물이 고정되는 고정판이 안착되고,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관통공내에 수용되어 상기 고정판에 안착된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을 위치고정시키는 고정축이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고정축의 상단부에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좌우간격이 넓어지는 환형의 첨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검사부는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에 용접된 너트를 빛을 발광하는 환형의 램프와; 상기 환형의 램프의 상부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에 용접된 너트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한 촬영이미지와 미리 저장된 기준이미지를 비교하여 불량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작업자 1인이 컨베이어부를 따라 순환공급되는 고정판에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을 안착 및 분리시킬 수 있고, 너트공급부와 용접부를 통해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에 너트를 자동공급한 후 용접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차량 판금조립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판금조립물용 너트 용접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우측면도이고,
도 5는 차량 판금조립물이 고정된 고정판이 컨베이어부를 따라 순환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고정지그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3의 A - A선에 따른 일부확대배면도이고,
도 9는 고정판에서 차량 판금조립물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0은 검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우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판금조립물용 너트 용접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판금조립물용 너트 용접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컨베이어부(10), 승강부(20), 너트공급부(30), 용접부(40) 및 검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컨베이어부(10)는 일측컨베이어(110), 타측컨베이어(120) 및 중간컨베이어(130)로 구성된다.
상기 중간컨베이어(130)를 기준으로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일측에 상기 일측컨베이어(110)가 구비되고,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타측에 상기 타측컨베이어(120)가 구비된다.
상기 중간컨베이어(130)는 상기 일측컨베이어(110)와 타측컨베이어(120)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중간컨베이어(130)는 상기 일측컨베이어(110)에 안착된 차체 프레임 등의 부품을 포함한 차량 판금조립물(5)을 상기 타측컨베이어(120)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중간컨베이어(130)는 상기 타측컨베이어(120)에 안착된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을 상기 일측컨베이어(110)로 공급한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부(20)는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일측과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일측컨베이어(110)와 타측컨베이어(120)를 각각 승강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너트공급부(30)는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후술할 제 2상측중간컨베이어(132b)와 제 2하측중간컨베이어(131b)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너트공급부(30)는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에 의해 상기 일측컨베이어(110)로 공급되는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로 너트(7)를 공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용접부(40)는 상기 너트공급부(30)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상기 제 2상측중간컨베이어(132b)와 제 2하측중간컨베이어(131b)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용접부(40)는 상기 너트공급부(30)를 통해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로 공급된 너트(7)를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에 프로젝션 용접하게 된다.
프로젝션 용접(projection welding)이란 금속 부재(部材)의 접합부에 만들어진 돌기부(突起部)를 접촉시켜 압력을 가하고 여기에 전류를 통하여 저항열의 발생을 비교적 작은 특정 부분에 한정시켜 접합하는 일종의 저항 용접법으로써, 이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검사부(도 10 및 도 11의 50)는 상기 용접부(40)에 의해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에 용접된 너트(7)를 촬영하여 상기 너트(7)의 불량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도 5는 차량 판금조립물(5)이 고정된 고정판(9)이 컨베이어부(10)를 따라 순환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중간컨베이어(130)는 도 2, 도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측중간컨베이어(131)와 상측중간컨베이어(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131)는 상기 일측컨베이어(110)와 타측컨베이어(1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일측컨베이어(110)에 안착된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을 상기 타측컨베이어(120)로 간헐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상측중간컨베이어(132)는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131)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컨베이어(110)와 타측컨베이어(12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상측중간컨베이어(132)는 상기 타측컨베이어(120)에 안착된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을 상기 일측컨베이어(110)로 간헐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131)를 통해 상기 일측컨베이어(110)에 안착된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을 상기 타측컨베이어(120)로 보다 용이하게 간헐적으로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상측중간컨베이어(132)를 통해 상기 타측컨베이어(120)에 안착된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을 상기 일측컨베이어(110)로 보다 용이하게 간헐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컨베이어부(10)에는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이 고정되는 고정판(9)이 수평안착될 수 있다.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131)는 제 1하측중간컨베이어(131a), 제 2하측중간컨베이어(131b) 및 제 3하측중간컨베이어(131c)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하측중간컨베이어(131a)는 상기 일측컨베이어(110)로부터 상기 고정판(9)을 간헐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제 2하측중간컨베이어(131b)는 상기 제 1하측중간컨베이어(131a)로부터 상기 고정판(9)을 간헐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제 3하측중간컨베이어(131c)는 상기 제 2하측중간컨베이어(131b)로부터 상기 고정판(9)을 간헐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타측컨베이어(120)로 간헐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상측중간컨베이어(132)는 제 1상측중간컨베이어(132a), 제 2상측중간컨베이어(132b) 및 제 3상측중간컨베이어(132c)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상측중간컨베이어(132a)는 상기 타측컨베이어(120)로부터 상기 고정판(9)을 간헐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제 2상측중간컨베이어(132b)는 상기 제 1상측중간컨베이어(132a)로부터 상기 고정판(9)을 간헐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제 3상측중간컨베이어(132c)는 상기 제 2상측중간컨베이어(132b)로부터 상기 고정판(9)을 간헐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일측컨베이어(110)로 간헐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상측중간컨베이어(132a)의 후방에 형성되는 작업공간(132a1)내에는 작업자 1인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작업공간(132a1)내에 위치한 작업자 1인은 상기 제 1상측중간컨베이어(132a)로 공급된 상기 고정판(9)에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을 직접 안착고정 및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너트공급부(30)는 상기 제 2상측중간컨베이어(132b)로 간헐적으로 공급된 상기 고정판(9)에 안착고정된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로 너트(7)를 자동공급할 수 있다.
상기 용접부(40)는 상기 제 2상측중간컨베이어(132b)로 공급된 상기 고정판(9)에 안착고정된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로 공급된 너트(7)를 프로젝션 용접할 수 있다.
상기 제 1하측중간컨베이어(131a), 제 2하측중간컨베이어(131b) 및 제 3하측중간컨베이어(131c)로 구성되는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131)를 통해 상기 일측컨베이어(110)에 안착된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을 상기 타측컨베이어(120)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간헐적으로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제 1상측중간컨베이어(132a), 제 2상측중간컨베이어(132b) 및 제 3상측중간컨베이어(132c)로구성되는 상기 상측중간컨베이어(132)를 통해 상기 타측컨베이어(120)에 안착된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을 상기 일측컨베이어(110)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간헐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고정지그(70)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지센서(60), 고정지그(70) 및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60)는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타측컨베이어(120)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고정판(9)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60)는 발광소자(610)와; 상기 발광소자(610)에서 발광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소자(6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수광소자(620)가 상기 발광소자(610)가 발광하는 빛을 수광하지 못할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감지센서(60)가 상기 고정판(9)을 감지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수광소자(620)가 상기 발광소자(610)가 발광하는 빛을 수광할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감지센서(60)가 상기 고정판(9)을 감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60)는 상기 일측컨베이어(110)의 타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60)는 상기 타측컨베이어(120)의 일단부에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60)는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하측중간컨베이어(131)의 일단부에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60)는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상측중간컨베이어(131)의 타단부에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지그(70)는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및 타측컨베이어(120)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에 상기 고정판(9)을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감지센서(6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고정지그(7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감지센서(6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고정지그(70)를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및 타측컨베이어(120)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130)로 공급된 상기 고정판(9)을 보다 용이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타측컨베이어(120) 및 중간컨베이어(130)로 구성되는 상기 컨베이어부(10)의 상부면에는 지지판(11)이 일정간격으로 수평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1)은 제 1지지판(111), 제 2지지판(112), 제 3지지판(113) 및 제 4지지판(1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지지판(111)은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타측컨베이어(120) 및 중간컨베이어(130)로 구성되는 상기 컨베이어부(10)의 전측 상부면 일측에 수평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지지판(112)은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타측컨베이어(120) 및 중간컨베이어(130)로 구성되는 상기 컨베이어부(10)의 전측 상부면 타측에 수평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3지지판(113)은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타측컨베이어(120) 및 중간컨베이어(130)로 구성되는 상기 컨베이어부(10)의 후측 상부면 일측에 수평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4지지판(114)은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타측컨베이어(120) 및 중간컨베이어(130)로 구성되는 상기 컨베이어부(10)의 후측 상부면 타측에 수평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지그(70)는 전측실린더(710), 후측실린더(720), 전측파지부재(730) 및 후측파지부재(7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측실린더(710)는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타측컨베이어(120)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전측 상부면 양측에 각각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실린더(710)는 제 1전측실린더(711)와 제 2전측실린더(7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전측실린더(711)의 일단부 후측은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타측컨베이어(120)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전측 상부면 일측에 볼트고정된 상기 제 1지지판(111)의 타단부 전측에 축결합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측실린더(712)의 타단부 후측은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타측컨베이어(120)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전측 상부면 타측에 볼트고정된 상기 제 2지지판(112)의 일단부 전측에 축결합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실린더(720)는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타측컨베이어(120)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후측 상부면 양측에 각각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실린더(720)는 제 1후측실린더(721)와 제 2후측실린더(7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후측실린더(721)의 일단부 전측은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타측컨베이어(120)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후측 상부면 일측에 볼트고정된 상기 제 3지지판(113)의 타단부 후측에 축결합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후측실린더(722)의 타단부 전측은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타측컨베이어(120)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후측 상부면 타측에 볼트고정된 상기 제 4지지판(114)의 일단부 후측에 축결합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파지부재(730)의 전단부는 상기 전측실린더(710)의 제 1전측실린더(711)와 제 2전측실린더(712)의 로드(711a, 712a)의 단부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측파지부재(730)의 중심부는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타측컨베이어(120)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전측 상부면 양측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측파지부재(730)의 후단부는 상기 전측실린더(710)의 길이가 신장될 시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타측컨베이어(120)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내외측방향으로 전후회전이동하여 상기 고정판(9)의 일단부 전측과 상기 고정판(9)의 타단부 전측을 파지 및 파지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전측파지부재(730)는 제 1전측파지부재(731)와 제 2전측파지부재(7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전측파지부재(731)의 전단부는 상기 제 1전측실린더(711)의 로드(711a)의 일단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전측파지부재(731)의 중심부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되는 제 1연결판(731a)의 타단부는 상기 제 1지지판(111)의 일단부 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전측실린더(711)의 길이가 신장될 시 상기 제 1연결판(731a)을 기준으로 상기 제 1전측파지부재(731)의 후단부는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타측컨베이어(120)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내외측방향으로 전후회전이동하여하여 상기 고정판(9)의 일단부 전측을 파지 및 파지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 2전측파지부재(732)의 전단부는 상기 제 2전측실린더(712)의 로드(712a)의 타단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측파지부재(732)의 중심부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되는 제 2연결판(732a)의 일단부는 상기 제 2지지판(112)의 타단부 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측실린더(712)의 길이가 신장될 시 상기 제 2연결판(732a)을 기준으로 상기 제 2전측파지부재(732)의 후단부는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타측컨베이어(120)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내외측방향으로 전후회전이동하여 상기 고정판(9)의 타단부 전측을 파지 및 파지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후측파지부재(740)의 후단부는 상기 후측실린더(720)의 제 1후측실린더(721)와 제 2후측실린더(722)의 로드(721a, 722a)의 단부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측파지부재(740)의 중심부는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타측컨베이어(120)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후측 상부면 양측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측파지부재(740)의 전단부는 상기 후측실린더(720)의 길이가 신장될 시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타측컨베이어(120)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내외측방향으로 전후회전이동하여 상기 고정판(9)의 일단부 후측과 상기 고정판(9)의 타단부 후측을 파지 및 파지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후측파지부재(740)는 제 1후측파지부재(741)와 제 2후측파지부재(74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후측파지부재(741)의 후단부는 상기 제 1후측실린더(721)의 로드(721a)의 일단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후측파지부재(741)의 중심부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되는 제 3연결판(741a)의 타단부는 상기 제 3지지판(113)의 일단부 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후측실린더(721)의 길이가 신장될 시 상기 제 3연결판(741a)을 기준으로 상기 제 1후측파지부재(741)의 전단부는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타측컨베이어(120)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내외측방향으로 전후회전이동하여 상기 고정판(9)의 일단부 후측을 파지 및 파지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 2후측파지부재(742)의 후단부는 상기 제 2후측실린더(722)의 로드(722a)의 타단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후측파지부재(742)의 중심부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되는 상기 제 4연결판(742a)의 일단부는 상기 제 4지지판(114)의 타단부 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후측실린더(722)의 길이가 신장될 시 상기 제 4연결판(742a)을 기준으로 상기 제 2후측파지부재(742)의 전단부는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타측컨베이어(120)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내외측방향으로 전후회전이동하여 상기 고정판(9)의 타단부 후측을 파지 및 파지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 1상측중간컨베이어(132a)의 후방에 형성되는 상기 작업공간(132a1)의 지면에는 공지된 발판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가 발로 상기 발판스위치를 간헐적으로 가압할 때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일측컨베이어(110)는 상기 고정판(9)을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131)로 간헐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131)는 상기 고정판(9)을 상기 타측컨베이어(120)로 간헐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타측컨베이어(120)는 상기 고정판(9)을 상기 상측중간컨베이어(132)로 간헐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상측중간컨베이어(132)는 상기 고정판(9)을 상기 일측컨베이어(110)로 간헐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일예로써,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컨베이어(110)에서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131)로 상기 고정판(9)이 간헐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최초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일측컨베이어(110)의 제 1전측실린더(711)와 제 1후측실린더(721)의 로드(711a, 721a)의 길이는 늘어나 상기 일측컨베이어(110)의 제 1전측파지부재(731)와 제 1후측파지부재(741)는 각각 상기 고정판(9)의 일단부 전후측을 파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상기 일측컨베이어(110)의 제 2전측실린더(712)와 제 2후측실린더(722)의 길이는 줄어들어 상기 일측컨베이어(110)의 제 2전측파지부재(732)와 제 2후측파지부재(742)는 상기 고정판(9)의 타단부 전후측의 파지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상태에서 상기 일측컨베이어(110)는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131)로 상기 고정판(9)을 간헐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고정판(9)이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131)로 공급되는 과정 중에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131)의 일단부에 구비된 상기 감지센서(60)는 상기 고정판(9)의 타단부를 감지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131)의 제 1전측실린더(711)와 제 1후측실린더(721)의 로드(711a, 721a)의 길이는 줄어들어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131)의 제 1전측파지부재(731)의 후단부와 제 1후측파지부재(741)의 전단부는 각각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131)의 외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131)의 제 2전측실린더(712)와 제 2후측실린더(722)의 로드(712a, 722a)의 길이는 늘어나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131)의 제 2전측파지부재(732)의 후단부와 상기 제 2후측파지부재(742)의 전단부는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131)의 내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131)의 제 2전측파지부재(732)와 제 2후측파지부재(742)가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131)로 공급된 상기 고정판(9)의 타단부 전후측을 각각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131)로 상기 고정판(9)이 완전히 공급되어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131)의 감지센서(60)가 상기 고정판(9)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131)의 제 1전측실린더(711)와 제 1후측실린더(721)의 로드(711a, 721a)의 길이는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131)의 제 1전측파지부재(731)와 제 1후측파지부재(741)는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131)로 완전공급된 상기 고정판(9)의 일단부 전후측을 각각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는 상기 고정지그(70)를 통해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 하측중간컨베이어(131) → 타측컨베이어(120) 순으로 반복적으로 순환공급되는 과정 중에 상기 고정판(9)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보다 용이하게 파지하여 위치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일예로써,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컨베이어(120)에서 상기 상측중간컨베이어(132)로 상기 고정판(9)이 간헐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최초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타측컨베이어(120)의 제 1전측실린더(711)와 제 1후측실린더(721)의 로드(711a, 721a)의 길이는 줄어들어 상기 타측컨베이어(120)의 제 1전측파지부재(731)와 제 1후측파지부재(741)는 각각 상기 고정판(9)의 일단부 전후측의 파지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타측컨베이어(120)의 제 2전측실린더(712)와 제 2후측실린더(722)의 길이는 늘어나 상기 타측컨베이어(120)의 제 2전측파지부재(732)와 제 2후측파지부재(742)는 상기 고정판(9)의 타단부 전후측을 파지하게 된다.
이상태에서 상기 타측컨베이어(120)는 상기 상측중간컨베이어(132)로 상기 고정판(9)을 간헐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고정판(9)이 상기 상측중간컨베이어(132)로 공급되는 과정 중에 상기 상측중간컨베이어(132)의 타단부에 구비된 상기 감지센서(60)는 상기 고정판(9)의 일단부를 감지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상측중간컨베이어(132)의 제 2전측실린더(712)와 제 2후측실린더(722)의 로드(712a, 722a)의 길이는 줄어들어 상기 상측중간컨베이어(132)의 제 2전측파지부재(732)의 후단부와 제 2후측파지부재(742)의 후단부는 상기 상측중간컨베이어(132)의 외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상측중간컨베이어(132)의 제 1전측실린더(711)와 제 1후측실린더(721)의 로드(711a, 721a)의 길이는 늘어나 상기 상측중간컨베이어(132)의 제 1전측파지부재(731)의 후단부와 상기 제 1후측파지부재(741)의 전단부는 상기 상측중간컨베이어(132)의 내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상측중간컨베이어(132)의 제 1전측파지부재(731)와 제 1후측파지부재(741)가 상기 상측중간컨베이어(132)로 공급된 상기 고정판(9)의 일단부 전후측을 각각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측중간컨베이어(132)로 상기 고정판(9)이 완전히 공급되어 상기 상측중간컨베이어(132)의 감지센서(60)가 상기 고정판(9)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상측중간컨베이어(132)의 제 2전측실린더(712)와 제 2후측실린더(722)의 로드(712a, 722a)의 길이는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상측중간컨베이어(131)의 제 2전측파지부재(732)와 제 2후측파지부재(742)는 상기 상측중간컨베이어(131)로 완전공급된 상기 고정판(9)의 타단부 전후측을 각각 파지할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는 상기 고정지그(70)를 통해 상기 타측컨베이어(120) → 상측중간컨베이어(132) → 일측컨베이어(110) 순으로 반복적으로 순환공급되는 과정 중에 상기 고정판(9)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보다 용이하게 파지하여 위치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20)는 프레임(210), 실린더(220) 및 상하이동부재(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210)의 내측에는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및 타측컨베이어(120)가 각각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10)은 상부판(211), 하부판(212) 및 지지다리(2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211)은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및 타측컨베이어(120)의 상부방향에 일정높이로 각각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판(212)은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및 타측컨베이어(120)의 하부방향에 각각 수평구비된 상태로 지면에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213)는 상기 상부판(211)의 하부면 각 모서리와 상기 하부판(212)의 상부면 각 모서리에 일체형으로 각각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213)의 내측에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및 타측컨베이어(120)가 각각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220)는 상기 프레임(210)의 상부판(211)의 상부면 중심부에 수직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230)의 상부면 중심부는 상기 실린더(220)의 하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230)의 하단부에는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및 타측컨베이어(120)의 전후측상부면에 각각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230)는 상부판(231)과 연결다리(2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231)은 상기 프레임(210)의 상부판(211)의 하측과 상기 일측컨베이어(110)의 상측 및 상기 타측컨베이어(120)의 상측 사이에 각각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231)의 상부면 중심부는 상기 실린더(220)의 하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다리(232)는 상기 상부판(231)의 하부면 각 모서리에 일체형으로 각각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다리(232)의 하단부는 상기 일측컨베이어(110)의 상측 각 모서리 및 상기 타측컨베이어(120)의 상측 각 모서리에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실린더(220)의 상하길이가 신장됨에 따라 상기 상하이동부재(230)와 함께 상기 일측컨베이어(110)와 타측컨베이어(120)는 상하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부(20)를 통해 상기 일측컨베이어(110)가 상기 상측중간컨베이어(132)로부터 상기 고정판(9)을 간헐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131)로 보다 용이하게 간헐적으로 공급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타측컨베이어(120)가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131)로부터 상기 고정판(9)을 간헐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상측중간컨베이어(132)로 보다 용이하게 간헐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너트공급부(30)는 파츠피더(310), 너트피더기(320) 및 안내호스(3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츠피더(310)의 내부에는 복수의 너트(7)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파츠피더(310)는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제 2상측중간컨베이어(132b)와 제 2하측중간컨베이어(131b)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A - A선에 따른 일부확대배면도이다.
상기 너트피더기(32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파츠피더(310)로부터 공급되는 너트(7)를 차량 판금조립물(5)로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안내호스(330)의 양단부는 상기 파츠피더(310)와 상기 너트피더기(32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안내호스(330)는 상기 파츠피더(310)로부터 공급되는 너트(7)를 상기 너트피더기(320)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용접부(4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로봇암부재(410)와 용접봉(4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봇암부재(410)는 상기 너트공급부(30)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상기 제 2상측중간컨베이어(132b)와 제 2하측중간컨베이어(131b)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봇암부재(410)는 안착판(411), 회전몸체(412), 하측로봇암(413) 및 상측로봇암(4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판(411)은 지면에 수평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몸체(412)의 하측은 상기 안착판(411)의 상측에 모터 등의 구동부재(미도시)에 의해 제자리에서 좌우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측로봇암(413)의 하측은 상기 회전몸체(412)의 상부면 후측에 모터 등의 구동부재(미도시)에 의해 정역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측로봇암(413)의 하측을 기준으로 상기 하측로봇암(413)의 상측은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측로봇암(414)의 전단부는 상기 하측로봇암(413)의 상측에 모터 등의 구동부재(미도시)에 의해 정역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측로봇암(414)의 전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상측로봇암(414)의 후단부는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용접봉(420)의 전단부는 상기 로봇암부재(410)의 상측로봇암(414)의 후단부에 모터 등의 구동부재(미도시)에 의해 정역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용접봉(420)의 전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용접봉(420)의 후단부는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용접봉(420)은 상기 로봇암부재(410)를 따라 상하좌우회전이동하여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에 공급된 너트(7)를 프로젝션 용접할 수 있다.
상기 너트피더기(320)는 상기 용접봉(420)의 일측면에 볼트고정되어 상기 용접봉(420)을 따라 상하좌우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에는 기준좌표값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상기 로봇암부재(410)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미리 설정된 기준좌표값과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하좌우회전이동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용접봉(420)과 상기 너트피더기(320)는 상기 로봇암부재(410)를 따라 상하좌우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너트피더기(320)를 통해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로 너트(7)를 보다 용이하게 자동공급한 후 상기 용접봉(420)을 통해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에 공급된 너트(7)를 보다 용이하게 자동으로 프로젝션 용접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9는 고정판(9)에서 차량 판금조립물(5)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9)의 상측에는 일정간격으로 고정축(9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91)은 상기 고정판(9)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91)은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의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관통공(5a)내에 수용되어 상기 고정판(9)에 작업자에 의해 안착된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을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축(91)으로 인해 상기 고정판(9)에 작업자에 의해 안착된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이 유동되지 않도록 보다 용이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91)의 상단부에는 상측이 첨예한 환형의 첨예부(910)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첨예부(910)는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좌우간격이 점차 넓어질 수 있다.
상기 너트(7)의 중심부 및 상기 고정축(91)의 중심부가 수직선상으로 미소(微少)만큼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너트(7)가 상기 고정축(91)방향으로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도 환형의 상기 첨예부(910)가 상기 너트(7)의 내부에 상기 고정축(91)이 수용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0은 검사부(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우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검사부(50)는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제 3상측중간컨베이어(132c)의 상부방향에 일정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제 3상측중간컨베이어(132c)의 전방과 후방에는 상기 검사부(50)를 상기 제 3상측중간컨베이어(132c)의 상부방향에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부(8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80)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전측지지부(810)와 후측지지부(8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지지부(810)는 수직판(811), 상부판(812) 및 하부판(8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판(811)은 상기 제 3상측중간컨베이어(132c)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지면에 수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812)은 상기 수직판(811)의 상측 후면에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판(813)은 상기 상부판(812)의 하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판(811)의 후면에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지지부(820)는 수직판(821), 상부판(822) 및 하부판(8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판(821)은 상기 제 3상측중간컨베이어(132c)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지면에 수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822)은 상기 수직판(821)의 상측 전면에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판(823)은 상기 상부판(822)의 하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판(811)의 전면에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검사부(50)는 환형의 램프(510), 카메라부(520) 및 판단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환형의 상기 램프(510)는 상기 제 3상측중간컨베이어(132c)의 전측 상부면 상부와 후측 상부면 상부에 각각 일정높이로 구비되어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에 프로젝션 용접된 너트(7)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빛을 발광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램프(510)는 각각 상기 전측지지부(810)의 하부판(813)의 후단부 및 상기 후측지지부(820)의 하부판(823)의 전단부에 일체형으로 수평연결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520)는 상기 환형의 램프(510)의 상부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에 프로젝션 용접된 너트(7)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520)는 각각 상기 전측지지부(810)의 상부판(812)의 후단부 및 상기 후측지지부(820)의 상부판(822)의 전단부에 각각 수직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미도시)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미도시)는 상기 카메라부(520)가 촬영한 촬영이미지와 상기 판단부(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기준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너트(7)의 불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기준이미지의 픽셀수와 상기 카메라부(520)가 촬영한 촬영이미지의 픽셀수가 동일한 경우 상기 판단부(미도시)는 상기 너트(7)가 프로젝션 용접된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을 양품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에 너트(7)가 없는 경우 상기 판단부(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기준이미지의 픽셀수와 상기 카메라부(520)가 촬영한 촬영이미지의 픽셀수는 동일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판단부(미도시)는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을 불량품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9)에는 상기 판단부(미도시)가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을 불량품으로 판단할 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LED 등의 발광부재(90)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90)는 제 1, 2, 3발광부재(910, 920, 9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발광부재(910)는 상기 고정판(9)의 전단부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발광부재(920)는 상기 고정판(9)의 전단부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발광부재(930)는 상기 고정판(9)의 후단부 중심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발광부재(910)가 빛을 발광할 시 작업자는 상기 고정판(9)의 전단부 일측에 위치한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이 불량품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 2발광부재(920)가 빛을 발광할 시 작업자는 상기 고정판(9)의 전단부 타측에 위치한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이 불량품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 3발광부재(930)가 빛을 발광할 시 작업자는 상기 고정판(9)의 후단부 중심에 위치한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이 불량품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검사부(50)를 통해 작업자 1인이 양품인 차량 판금조립물(5)과 불량품인 차량 판금조립물(5)을 보다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음은 물론 양품인 차량 판금조립물(5)과 불량품인 차량 판금조립물(5)을 따로 따로 보다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작업자 1인이 상기 컨베이어부(10)를 따라 순환공급되는 상기 고정판(9)에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을 보다 용이하게 안착 및 분리시킬 수 있고, 상기 너트공급부(30)와 용접부(40)를 통해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에 너트(7)를 자동공급한 후 용접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컨베이어부, 20; 승강부,
30; 너트공급부, 40; 용접부,
50; 검사부.

Claims (10)

  1. 일측컨베이어(110) 및 타측컨베이어(120)와, 상기 일측컨베이어(110)와 상기 타측컨베이어(12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일측컨베이어(110)에 안착된 차량 판금조립물(5)을 상기 타측컨베이어(120)로 공급 및 상기 타측컨베이어(120)에 안착된 차량 판금조립물(5)을 상기 일측컨베이어(110)로 공급하는 중간컨베이어(130)로 구성되는 컨베이어부(10)와;
    상기 일측컨베이어(110)와 타측컨베이어(12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20)와;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에 의해 상기 일측컨베이어(110)로 공급되는 차량 판금조립물(5)로 너트(7)를 공급하는 너트공급부(30)와;
    상기 너트공급부(30)를 통해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로 공급된 너트(7)를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에 용접하는 용접부(40)와;
    상기 용접부(40)에 의해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에 용접된 너트(7)를 촬영하여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컨베이어(130)는 상기 일측컨베이어(110)와 타측컨베이어(1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일측컨베이어(110)에 안착된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을 상기 타측컨베이어(120)로 공급하는 하측중간컨베이어(131)와;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131)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컨베이어(110)와 타측컨베이어(12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타측컨베이어(120)에 안착된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을 상기 일측컨베이어(110)로 공급하는 상측중간컨베이어(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판금조립물용 너트 용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10)에 차량 판금조립물(5)이 고정되는 고정판(9)이 안착되고,
    상기 하측중간컨베이어(131)는 상기 일측컨베이어(110)로부터 상기 고정판(9)을 공급받는 제 1하측중간컨베이어(131a)와;
    상기 제 1하측중간컨베이어(131a)로부터 상기 고정판(9)을 공급받는 제 2하측중간컨베이어(131b)와;
    상기 제 2하측중간컨베이어(131b)로부터 상기 고정판(9)을 공급받아 상기 타측컨베이어(120)로 공급하는 제 3하측중간컨베이어(131c);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중간컨베이어(132)는 상기 타측컨베이어(120)로부터 상기 고정판(9)을 공급받는 제 1상측중간컨베이어(132a)와;
    상기 제 1상측중간컨베이어(132a)로부터 상기 고정판(9)을 공급받는 제 2상측중간컨베이어(132b)와;
    상기 제 2상측중간컨베이어(132b)로부터 상기 고정판(9)을 공급받아 상기 일측 컨베이어(110)로 공급하는 제 3상측중간컨베이어(132c);로 구성되고,
    상기 너트공급부(30)는 상기 제 2상측중간컨베이어(132b)로 공급된 상기 고정판(9)에 고정된 상기 차량판금조립물(5)로 너트(7)를 공급하고,
    상기 용접부(40)는 상기 제 2상측중간컨베이어(132b)로 공급된 상기 고정판(9)에 고정된 상기 차량판금조립물(5)로 공급된 너트(7)를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판금조립물용 너트 용접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10)에 차량 판금조립물(5)이 고정되는 고정판(9)이 안착되고,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타측컨베이어(120)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고정판(9)을 감지하는 감지센서(60)와;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및 타측컨베이어(120)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에 상기 고정판(9)을 위치고정시키는 고정지그(70)와;
    상기 감지센서(6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고정지그(70)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판금조립물용 너트 용접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70)는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타측컨베이어(120)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전측 상부면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전측실린더(710)와;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타측컨베이어(120)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후측 상부면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후측실린더(720)와;
    상기 전측실린더(710)의 단부에 각각 전단부가 축결합되고, 중심부가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타측컨베이어(120)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전측 상부면 양측에 각각 축결합되어 상기 고정판(9)을 파지하는 전측파지부재(730)와;
    상기 후측실린더(720)의 단부에 각각 후단부가 축결합되고, 중심부가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타측컨베이어(120) 및 상기 중간컨베이어(130)의 후측 상부면 양측에 각각 축결합되어 상기 고정판(9)을 파지하는 후측파지부재(7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판금조립물용 너트 용접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20)는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및 타측컨베이어(120)가 내측에 각각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레임(210)과;
    상기 프레임(210)의 상부에 수직고정되는 실린더(220)와;
    상기 실린더(220)의 하단부에 상부면이 연결되고, 하단부에 상기 일측컨베이어(110) 및 타측컨베이어(120)의 전후측상부면이 각각 연결되는 상하이동부재(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판금조립물용 너트 용접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공급부(30)는 너트(7)가 수용되는 파츠피더(310)와;
    상기 파츠피더(310)로부터 공급되는 너트(7)를 차량 판금조립물(5)로 공급하는 너트피더기(320)와;
    상기 파츠피더(310)와 상기 너트피더기(320)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파츠피더(310)로부터 공급되는 너트(7)를 상기 너트피더기(320)로 안내하는 안내호스(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용접부(40)는 상하좌우회전이동하는 로봇암부재(410)와;
    상기 로봇암부재(4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로봇암부재(410)를 따라 상하좌우회전이동하고,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에 공급된 너트(7)를 용접하는 용접봉(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너트피더기(320)는 상기 용접봉(420)에 고정되어 상기 용접봉(420)을 따라 상하좌우회전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판금조립물용 너트 용접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10)에 차량 판금조립물(5)이 고정되는 고정판(9)이 안착되고,
    상기 고정판(9)에는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관통공(5a)내에 수용되어 상기 고정판(9)에 안착된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을 위치고정시키는 고정축(91)이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판금조립물용 너트 용접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91)의 상단부에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좌우간격이 넓어지는 환형의 첨예부(9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판금조립물용 너트 용접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50)는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에 용접된 너트(7)를 빛을 발광하는 환형의 램프(510)와;
    상기 환형의 램프(510)의 상부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 판금조립물(5)에 용접된 너트(7)를 촬영하는 카메라부(520)와;
    상기 카메라부(520)가 촬영한 촬영이미지와 미리 저장된 기준이미지를 비교하여 불량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판금조립물용 너트 용접장치.
  10. 삭제
KR1020110017972A 2011-02-28 2011-02-28 차량 판금조립물용 너트 용접장치 KR101066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972A KR101066800B1 (ko) 2011-02-28 2011-02-28 차량 판금조립물용 너트 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972A KR101066800B1 (ko) 2011-02-28 2011-02-28 차량 판금조립물용 너트 용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6800B1 true KR101066800B1 (ko) 2011-09-22

Family

ID=44957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972A KR101066800B1 (ko) 2011-02-28 2011-02-28 차량 판금조립물용 너트 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68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33560A (zh) * 2015-07-02 2015-11-11 雄华机械(苏州)有限公司 一种焊接设备的工件搬运装置
KR101749952B1 (ko) * 2015-09-07 2017-06-22 주식회사 대정 상용차의 캐빈용 완충장치의 제조장치
CN107838585A (zh) * 2017-11-02 2018-03-27 广州熙锐自动化设备有限公司 汽车零件无人焊接工作站
US20220111473A1 (en) * 2020-10-12 2022-04-14 Samsung Tech Co., Ltd. Heterogeneous nut welding automation system for metal-processed products for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823B1 (ko) 2006-12-06 2008-07-17 주식회사 조웰 너트공급기 일체형 용접장치
KR100993390B1 (ko) 2008-12-09 2010-11-09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불량 판독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823B1 (ko) 2006-12-06 2008-07-17 주식회사 조웰 너트공급기 일체형 용접장치
KR100993390B1 (ko) 2008-12-09 2010-11-09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불량 판독 검사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33560A (zh) * 2015-07-02 2015-11-11 雄华机械(苏州)有限公司 一种焊接设备的工件搬运装置
KR101749952B1 (ko) * 2015-09-07 2017-06-22 주식회사 대정 상용차의 캐빈용 완충장치의 제조장치
CN107838585A (zh) * 2017-11-02 2018-03-27 广州熙锐自动化设备有限公司 汽车零件无人焊接工作站
US20220111473A1 (en) * 2020-10-12 2022-04-14 Samsung Tech Co., Ltd. Heterogeneous nut welding automation system for metal-processed products for vehicle
CN114346556A (zh) * 2020-10-12 2022-04-15 (株) 三成 Tech 汽车用金属加工制品的异构螺母焊接自动化系统
US11845147B2 (en) * 2020-10-12 2023-12-19 Samsung Tech Co., Ltd. Heterogeneous nut welding automation system for metal-processed products for vehicle
CN114346556B (zh) * 2020-10-12 2024-01-30 (株) 三成 Tech 汽车用金属加工制品的异构螺母焊接自动化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800B1 (ko) 차량 판금조립물용 너트 용접장치
KR101240990B1 (ko) 차량용 토잉 너트 검사장치
CN206013740U (zh) 一种汽车车灯涂胶压合工作站
CN103303670B (zh) 一种用于连杆加工的送料设备和送料方法
KR20170125528A (ko) 루프 레이저 브레이징 시스템용 브레이징 후 공정 툴
KR100885674B1 (ko) 사다리 자동 용접장치 및 용접공법
US2018025073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a clinch nut to a sheet of advanced high strength steel and resultant assembly
CN106001948A (zh) 汽车转向柱激光自动化焊接工装
CN108746949B (zh) Fcb拼板焊接设备
KR100893605B1 (ko) 메인 벅 공정
US20060186092A1 (en) Joining device
CN208276392U (zh) 一种大型自制定点转动焊接装置
KR100908279B1 (ko) 사무기기 드럼용 온도감지센서의 자동 용접장치
KR101649118B1 (ko)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CN210755942U (zh) 一种新型的汽车油箱焊接设备
JP7185891B2 (ja) プロジェクション溶接装置
CN109570848B (zh) 一种刮片式料线生产设备
CN2858163Y (zh) 篮圈弹簧钩自动电阻焊设备
CN208374551U (zh) 汽车座椅骨架多工位弧焊装置
KR101361772B1 (ko) 연료필러하우징 조립장치
CN210475831U (zh) 双头座式固定焊机装置
CN203156288U (zh) 一种汽车车厢底板焊接工装
KR102383132B1 (ko) 4열 자동 용접장치
CN218341213U (zh) U型件外侧螺母凸焊电极装置
JP6550619B2 (ja) 溶接ボルトの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