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835B1 - 시트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검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28835B1 KR102628835B1 KR1020210147849A KR20210147849A KR102628835B1 KR 102628835 B1 KR102628835 B1 KR 102628835B1 KR 1020210147849 A KR1020210147849 A KR 1020210147849A KR 20210147849 A KR20210147849 A KR 20210147849A KR 102628835 B1 KR102628835 B1 KR 1026288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coupled
- seat
- sensor
- cush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til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05—Inspection and final control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4—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passenger compartment fittings, e.g. seats, linings, trim, instrumen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시트 조립에 필요한 부품들의 부재 여부와 폴딩 상태를 검사하는 시트 검사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쿠션프레임 및 상기 쿠션프레임의 후방에 폴딩되도록 결합되는 시트백프레임으로 구성된 시트들을 검사하는 시트 검사 장치는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구동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고, 전방으로 폴딩되는 상기 시트백프레임들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전방센서, 펼쳐진 상기 시트백프레임들의 측면에서 광을 조사하여 상기 시트백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측면센서 및 상기 시트백프레임의 후방에서 상기 시트백프레임의 펼쳐진 각도를 측정하는 후방센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쿠션프레임 및 상기 쿠션프레임의 후방에 폴딩되도록 결합되는 시트백프레임으로 구성된 시트들을 검사하는 시트 검사 장치는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구동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고, 전방으로 폴딩되는 상기 시트백프레임들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전방센서, 펼쳐진 상기 시트백프레임들의 측면에서 광을 조사하여 상기 시트백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측면센서 및 상기 시트백프레임의 후방에서 상기 시트백프레임의 펼쳐진 각도를 측정하는 후방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시트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부착되는 시트를 검사하는 시트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트 검사 장치는 조립된 시트 또는 시트 프레임이 차량에 조립되기 위해 차량조립현장으로 이송되거나 납품되기 전에 조립에 필수적인 부품들의 부재 여부를 감지하거나 시트의 폴딩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시트는 차량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종류의 쿠션이 결합되고, 폴딩되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서로 배열이 어긋나거나 폴딩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다양한 종류의 불량이 발생되기 때문에 한 라인에서 모든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시트 조립 현장에서 시트에 쿠션을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그로멧(Grommet)이나 시트를 차량에 부착시키기 위해 필수적인 부품인 부싱이 없는 경우 조립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중요 부품들에 대한 검사를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3645호는 자동차 파워시트 검사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3143호는 차량의 시트프레임 용접검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시트의 폴딩 상태나 폴딩 작동 여부 또는 조립에 필수적인 부품 부재 여부를 판별하는 발명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시트 조립에 필요한 부품들의 부재 여부와 폴딩 상태를 검사하는 시트 검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쿠션프레임 및 상기 쿠션프레임의 후방에 폴딩되도록 결합되는 시트백프레임으로 구성된 시트들을 검사하는 시트 검사 장치는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구동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고, 전방으로 폴딩되는 상기 시트백프레임들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전방센서, 펼쳐진 상기 시트백프레임들의 측면에서 광을 조사하여 상기 시트백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측면센서 및 상기 시트백프레임의 후방에서 상기 시트백프레임의 펼쳐진 각도를 측정하는 후방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트 검사 장치는 상기 하부프레임 및 상기 쿠션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구동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어 상기 쿠션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레버를 작동 또는 해제시키는 폴딩검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 검사 장치는 상기 쿠션프레임의 일측에 거치되어 쿠션과 결합되는 그로멧(Grommet)의 설치 유무를 감지하는 그로멧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 검사 장치는 상기 시트 및 차량의 연결을 위해 상기 시트의 후방에 배치되는 커넥터의 설치 유무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커넥터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 검사 장치는 상기 쿠션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차량에 형성되는 볼트와 결합되는 부쉬의 설치 유무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부쉬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 검사 장치는 시트의 폴딩 여부, 폴딩 각도, 폴딩 작동을 위한 레버의 작동 여부, 그로멧 및 부쉬의 설치 여부를 동시에 검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검사과정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시트 검사 장치는 측면센서를 통해 복수의 양측으로 복수의 시트들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각각의 시트백프레임이 펼쳐진 상태에서 전면이 서로 연결되어 평면을 형성되는지 여부까지 측정이 가능하므로 조기에 불량을 검사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시트 검사 장치는 복수의 고정부들 및 시트 지지대들을 통해 쿠션프레임들이 하부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시트의 레버를 작동시키거나 시트의 폴딩 구동을 검사하는 과정에서 시트가 안정적으로 하부에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트 검사 장치는 시트 지지대의 액츄에이터 구동을 통해 시트 지지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시트 지지대의 높이 조절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시트를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트 검사 장치의 폴딩검사부는 쿠션프레임과 밀착되는 과정에서 완충스프링을 통해 레버가압부재가 완충이동을 하므로 쿠션프레임의 파손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검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시트 검사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들.
도 4는 도 1의 타측에 형성된 폴딩검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시트 검사 장치에서 시트들을 분리한 상태의 시트 검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시트 검사 장치에서 시트들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시트 검사 장치에서 제2 고정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1의 시트 검사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1의 시트 검사 장치의 커넥터센서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1의 시트 검사 장치의 일측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도 5의 II-II'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시트 검사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들.
도 4는 도 1의 타측에 형성된 폴딩검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시트 검사 장치에서 시트들을 분리한 상태의 시트 검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시트 검사 장치에서 시트들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시트 검사 장치에서 제2 고정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1의 시트 검사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1의 시트 검사 장치의 커넥터센서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1의 시트 검사 장치의 일측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도 5의 II-II'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 검사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검사 장치(100)는 회동부(200), 하부프레임(300), 제1 고정부(310), 제2 고정부(320), 제3 고정부(321), 제4 고정부(322), 제5 고정부(323), 제6 고정부(324), 제7 고정부(325), 전방센서(360), 폴딩검사부(400), 그로멧센서(500), 그로멧센서지지대(510), 측면센서지지대(550, 555), 후방센서지지대(560)들, 수평지지대(570), 측면연결브라켓(580)들, 후방센서브라켓(590, 595)들, 후방센서(600, 605), 연결로드(621), 측면센서브라켓(620), 측면센서(625), 제1 커넥터 지지대(650), 제2 커넥터 지지대(660), 커넥터센서(700), 제3 고정부(710), 시트 지지대(350, 720, 730, 740)들 및 부쉬센서(800)를 포함한다.
시트 검사 장치(100)는 일측에서 서로 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내지 제3 시트들을 검사하는 장치이다.
상기 제1 시트는 제1 쿠션프레임(10) 및 제1 시트백프레임(15)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시트는 제2 쿠션프레임(20) 및 제2 시트백프레임(25)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시트는 제3 쿠션프레임(30) 및 제3 시트백프레임(35)을 포함한다.
시트 검사 장치(100)의 전방에는 제1 내지 제3 시트들이 배치되고, 후방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 시트들과 동일한 제4 내지 제6 시트들이 배치되며, 상기 제4 내지 제6 시트들은 시트 검사 장치(100)의 중앙 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내지 제3 시트들과 대칭되게 배치된다.
회동부(200)는 베이스플레이트(210), 회동모터(220), 롤러지지대(230)들 및 롤러(240)들을 포함한다.
회동부(200)의 하부는 바닥에 고정되고, 구동에 의해 상부에 연결되는 하부프레임(300)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켜 상기 제1 내지 제6 시트들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구체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210)는 사각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 테두리의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돌출되며, 저면의 격자 형태의 일부분이 하부로 돌출되어 보강리브가 형성된다.
회동모터(220)의 일단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중앙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일단의 중앙에서 로드가 상부로 돌출되어 하부프레임(300)의 중앙과 결합된다.
회동모터(220)의 구동으로 타단에 형성된 로드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 하고 하부프레임(300) 및 하부프레임(300)에 결합된 상기 제1 내지 제6 시트들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된다.
롤러지지대(230)들 각각의 일단은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코너쪽 상부에 각각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롤러(240)와 결합된다.
롤러(240)는 롤러지지대(230)의 타단 상부에 결합되고, 하부프레임(300)의 하부에 형성되는 환 형태의 회전판(305)과 밀착되며, 회동모터(220)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판(305)에 의해 회동되면서 하부프레임(300)을 지지한다.
시트 지지대(350)의 일단은 제1 고정부(310)의 후방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하부프레임(300)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1 쿠션프레임(10)의 일측 하부에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310)는 고정 액츄에이터(311), 승강로드(312), 고정지지대(313), 회동링크(314)들, 가압링크(316) 및 가압부재(317)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310)는 제1 쿠션프레임(10)의 일측 전방에서 하부프레임(300)의 상부에 결합되고, 구동에 의해 시트 지지대(350)가 지지하는 제1 쿠션프레임(10)의 일부분을 하부를 향해 가압하여 제1 쿠션프레임(10)을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고정 액츄에이터(311)는 시트 지지대(350)의 전방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하부프레임(300)에 결합되고, 구동에 의해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로드(312)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된다.
고정지지대(313)의 일단은 승강로드(312)를 둘러싸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 액츄에이터(311)의 상부에 결합되고, 고정지지대(313)의 타단은 후방측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가압링크(316)의 중앙부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결합된다.
제1 회동링크(314)들 각각의 일단은 승강로드(312)의 일측 및 타측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고정지지대(313)의 타단에 회동되게 결합된다.
가압링크(316)의 일단은 승강로드(312)의 타단 상부에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결합되고, 중앙부는 일단에서 후방 및 상부로 연장되어 고정지지대(313)의 타단 상부에 회동되게 결합된다.
가압링크(316)의 타단은 중앙부에서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스틱 형태로 연장되고 가압부재(317)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승강로드(312)가 상승되면 가압링크(316)의 타단은 하강된다.
가압링크(316)의 타단은 승강로드(312)가 하강되면 소정의 거리만큼 전방 및 상부를 향해 이동되고, 가압부재(317)는 제1 쿠션프레임(10)과 분리되며, 제1 쿠션프레임(10) 및 시트 지지대(350)는 서로 분리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가압부재(317)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고분자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면은 가압링크(316)의 타단 저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가압부재(317)의 타단은 고정 액츄에이터(311)의 구동에 의해 하강되면 제1 쿠션프레임(10)의 일부분을 시트 지지대(350)에 고정시켜 상기 제1 내지 제6 시트의 검사과정에서 제1 쿠션프레임(10)이 흔들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센서(360)는 제1 쿠션프레임(10)의 전방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하부프레임(300)의 상부에 결합되고, 광이 제1 쿠션프레임(10)의 전방에서 후방 및 상부를 향하는 경사진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레버(12)의 작동에 의해 제1 시트백프레임(15)이 전방 및 하부를 향해 폴딩되면 제1 시트백프레임(15)의 상단 일부분이 전방센서(360)에서 조사되는 광이 이동되는 경로를 차단하면서 제1 시트백프레임(15)의 폴딩이 확인된다.
또한, 전방센서(360)는 제1 시트백프레임(15)을 감지하면서 전방센서(360) 및 제1 시트백프레임(15) 사이의 거리 측정이 진행되고, 측정된 거리는 단말기 또는 제어부로 전송된다.
전방센서(360)에 의해 측정된 거리는 단말기 또는 제어부에 의해 정상적으로 제1 시트백프레임(15)이 폴딩된 상태에서 측정되는 기설정된 거리와 비교되면서 제1 시트백프레임(15)의 폴딩이 정상 또는 비정상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복수의 전방센서(360)들은 제2 쿠션프레임(20) 및 제3 쿠션프레임(30)의 전방에서 하부프레임(300)의 상부에 결합되고, 제2 시트백프레임(25) 및 제3 시트백프레임(35)들이 전방 및 하부로 폴딩 여부를 감지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검사부(400)는 제1 액츄에이터(410), 제1 레버가압판(420), 제2 레버가압판(430), 제1 레버가압부재(440), 완충실린더(450)들, 제2 가이드로드(460), 완충스프링(470)들 및 제3 레버가압판(480)을 포함한다.
폴딩검사부(400)는 작업자 또는 단말기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면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이동되어 제1 시트백프레임(15)의 전방 폴딩을 작동시키는 레버(12)를 작동시켜 제1 시트백프레임(15)의 폴딩을 테스트한다.
폴딩검사부(400)는 제1 쿠션프레임(10)들 각각의 측면 및 제3 쿠션프레임(30)들 각각의 측면에 배치되고, 제1 및 제3 쿠션프레임(10, 30)들 각각에 연결된 레버(12, 17)들 각각을 작동시킨다.
제1 액츄에이터(410)는 제1 엑츄에이터 본체(411), 제1 로드(412) 및 제1 가이드로드(413)들을 포함한다.
제1 액츄에이터(410)는 시트 지지대(350)의 일측에 배치되고, 구동에 의해 일부분이 상승 또는 하강되면서 레버(12)를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시킨다.
제1 엑츄에이터 본체(411)는 시트 지지대(350)의 일측에서 제1 쿠션프레임(10)에 연결되는 레버(12)의 하부에 배치되고, 하부는 하부프레임(300)의 상부에 결합된다.
제1 로드(412)는 제1 액츄에이터 본체(411)의 내부 중앙에서 구동에 의해 제1 액츄에이터 본체(411)의 상부로 돌출되거나 하강되고, 제1 로드(412)의 상부 끝단은 제1 레버가압판(420)의 중앙 하부에 결합된다.
제1 가이드로드(413)들 각각은 제1 로드(412)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이격된 위치에서 제1 액츄에이터 본체(411)의 내부에 상하부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상단은 제1 레버가압판(420)의 저면에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제1 액츄에이터(410)의 구동에 의해 제1 로드(412)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되고, 제1 가이드로드(413)들 각각은 제1 로드(412) 및 제1 레버가압판(420)과 함께 상승 또는 하강된다.
제1 레버가압판(420)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는 제1 로드(412)가 결합되며, 전방 및 후방에 해당되는 저면에는 제1 가이드로드(413)들 각각이 결합된다.
제2 레버가압판(430)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에 위치하는 저면의 일부분은 제1 레버가압판(420)의 상부면에 면결합된다.
제1 레버가압부재(440)는 원형판 또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제2 레버가압판(430)의 중앙 상부에 결합되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상부에 돌출되는 스위치는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가 압력에 의해 하강되면 폴딩신호가 외부 단말기 또는 제어부로 전송된다.
완충실린더(450)들 각각은 상단 외측면 일부가 외측으로 확장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레버가압부재(440)의 전방 및 후방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제2 레버가압판(430)과 결합된다.
제2 가이드로드(460)들 각각의 일단은 완충실린더(450)들 각각의 내부에서 상하부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제3 레버가압판(480)의 전후방에 각각 결합된다.
제3 레버가압판(480)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2 레버가압판(430)의 상부 및 제1 레버가압부재(44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며, 제2 가이드로드(460)들과 결합된다.
완충스프링(470)들 각각은 완충실린더(450)들 및 제3 레버가압판(480)의 사이에서 제2 가이드로드(460)들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제3 레버가압판(480)이 하강되면 수축되면서 상부를 향해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제2 레버가압부재(490)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탄성복원력이 있는 고분자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레버(12)의 직하방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저면은 제3 레버가압판(480)의 상부면 중앙에 면결합된다.
제1 액츄에이터(410)의 구동으로 제1 로드(412)가 상승되면, 제1 레버가압부재(440), 완충실린더(450)들, 제3 레버가압판(480) 및 제2 레버가압부재(490)가 상승되고 제2 레버가압부재(490)는 레버(12)를 상승시킨다.
제2 레버가압부재(490)가 레버(12)를 상부를 향해 밀어내는 과정에서, 제3 레버가압판(480) 및 제2 가이드로드(460)들은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되고, 완충스프링(470)들이 수축된다.
따라서, 제2 레버가압부재(490)가 레버(12)를 밀어내는 과정에서 완충스프링(470)들이 수축되면서 레버(12)에 가해지는 과도한 압력이 완충되고, 제1 레버가압부재(440)에 형성된 스위치가 제3 레버가압판(480)에 의해 작동되어 레버(12)가 작동된다는 신호를 상기 단말기 또는 제어부에 전송시킨다.
레버(12)가 완전히 이동되어 작동되기 전에 상기 단말기 또는 제어부에 레버(12)의 작동신호가 전송되므로, 작업자는 레버(12)에 의해 폴딩되는 제1 시트백프레임(15)의 폴딩을 예상하고 제1 시트백프레임(15)의 폴딩에 의한 사고에 대처할 수 있다.
제2 레버가압부재(490)의 상승에 의해 레버(12)가 작동되면서 작업자는 제1 시트백프레임(15)이 폴딩되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고, 전방센서(360)에 의해 자동으로 제1 시트백프레임(15)의 폴딩 작동이 판단된다.
그로멧센서지지대(510)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원기둥 스틱형태로 제1 쿠션프레임(10)의 일측에 부착된 그로멧(Grommet)(11)의 타측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하부프레임(300)의 상부에 결합된다.
그로멧(11)은 쿠션을 제1 쿠션프레임(10)에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필수적인 부품이고, 그로멧(11)의 유무에 의해서 차량 조립 작업이 지연되거나 불량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내지 제6 시트들이 차량 조립작업장으로 이송되기 전에 그로멧(11)의 확인이 필수적이다.
그로멧센서(500)는 그로멧센서지지대(510)의 상부 후방에 브라켓을 통해 결합되고, 일측에 배치되는 그로멧(11)을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되며, 광조사에 의해 그로멧(11)의 부재 여부를 감지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쿠션프레임(30)의 하부에는 제1 쿠션프레임(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고정부(310), 시트 지지대(350, 720)들 및 폴딩검사부(400)들이 제2 쿠션프레임(20)을 사이에 두고 대칭되게 제3 쿠션프레임(30)의 하부에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내지 제7 고정부(320, 321, 322, 323, 324, 325)들은 제1 고정부(310)와 동일한 원리로 작동하는 장치로서, 하부에는 액츄에이터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링크들이 회동되어 제1 내지 제3 쿠션프레임(10, 20, 30)들을 하부프레임(300)에 고정시킨다.
제1 내지 제7 고정부(310, 320, 321, 322, 323, 324, 325)들은 하부프레임(300)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대칭되도록 하부프레임(300)의 후방에 배치된 상기 제4 내지 제6 시트들의 하부에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하부프레임(30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7 고정부(310, 320, 321, 322, 323, 324, 325)들은 상기 제4 내지 제6 시트들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쿠션프레임(10, 20, 30)들을 하부프레임(300)에 고정시킨다.
측면센서지지대(550)들 각각은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는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프레임(300)의 일측에서 서로 전방 및 후방에 이격된 상태에서 하부프레임(300)과 결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부(610)는 고정 액츄에이터(611), 피스톤로드(612), 고정지지대(613), 회동링크(614), 가압링크(615) 및 가압부재(616)를 포함한다.
제2 고정부(610)는 측면센서지지대(550, 555)들 각각의 상부에 결합되고, 구동에 의해 일부분이 이동되면 제1 및 제3 시트백프레임(15, 35)들이 폴딩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제2 고정부(610)들 각각의 구조 및 기능은 동일하고,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제3, 제4 및 제6 시트들이 폴딩되는 것을 제한하거나 폴딩 제한을 해제시키므로, 제1 시트백프레임(15)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고정부(610)를 제외한 나머지 제2 고정부(610)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7에 확대되어 도시되는 고정 액츄에이터(611)는 측면센서지지대(550)의 상부에서 제1 시트백프레임(15)이 폴딩되는 방향인 전방을 향해 피스톤로드(612)가 이동되도록 측면센서지지대(550)와 결합된다.
피스톤로드(612)는 고정 액츄에이터(611)의 내부에서 고정 액츄에이터(611)의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고정 액츄에이터(611)의 내부로 이동되도록 고정 액츄에이터(611)에 결합된다.
고정지지대(613)는 피스톤로드(612)의 타측에서 고정 액츄에이터(611)의 전방에 결합되고, 고정지지대(613)의 전방부는 회동링크(614)와 상하부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결합된다.
회동링크(614)의 일단은 고정지지대(613)의 전방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가압링크(615)에 상하부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가압링크(615)의 일단은 피스톤로드(612)의 전방부에 상하부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부는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회동링크(614)의 타단에 회동되게 결합되며, 타단은 중앙부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가압부재(616)와 결합된다.
가압부재(616)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탄성복원력이 있는 고분자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면이 가압링크(615)의 타단 배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피스톤로드(612)가 전방을 향해 이동되면 가압링크(615)의 타단이 후방 및 타측을 향해 이동되어 가압부재(616)를 통해 제1 시트백프레임(15)의 폴딩을 제한시킨다.
또한, 피스톤로드(612)가 후방을 향해 이동되면 가압링크(615)의 타단이 전방 및 일측으로 이동되고, 제1 시트백프레임(15)의 폴딩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측면센서브라켓(620)의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측면센서지지대(550)의 상부면 전방에 면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측면센서(625)의 저면에 면결합된다.
나머지 측면센서지지대(550, 555)들에 결합되는 측면센서브라켓(620)은 측면센서지지대(550, 555)들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내지 제6 시트들이 폴딩되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된다.
측면센서(625)는 광을 조사하는 방향이 제1 시트백프레임(15)의 일측면을 향하도록 측면센서브라켓(620)의 상부에 결합되고, 제1 시트백프레임(15)의 타측에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2 시트백프레임(25) 및 제3 시트백프레임(35)이 제1 시트백프레임(15)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지 감지한다.
측면센서(625)는 상기 제1 내지 제3 시트들이 차량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내지 제3 시트백프레임(15, 25, 35)들이 펼쳐지면 부착된 쿠션의 전면이 서로 연결되어 평면을 이룰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6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센서지지대(560)들 각각의 일단은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하부프레임(300)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수평지지대(570)의 하부에 결합된다.
수평지지대(570)의 일단은 측면센서지지대(550)들 사이에서 측면연결브라켓(580)을 통해 측면센서지지대(550)들과 결합되고, 수평지지대(570)의 타단은 일단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측면연결브라켓(580)을 통해 측면센서지지대(555)들과 결합된다.
측면연결브라켓(580)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고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평면이 양측을 향하는 수직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전방 일측면 및 후방 일측면 각각이 측면센서지지대(550)들 각각의 타측면에 결합된다.
측면연결브라켓(580)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고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평면이 양측을 향하는 수직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전방 타측면 및 후방 타측면 각각이 측면센서지지대(555)들 각각의 일측면에 결합된다.
후방센서브라켓(590)의 일단은 수평지지대(570)의 일측 상부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고정이 가능하도록 수평지지대(570)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후방센서(600)들과 결합된다.
후방센서(600)들 각각은 전방 및 후방을 향해 광이 조사되도록 후방센서브라켓(590)의 타단 전방 및 후방에 결합되고, 각각이 전방에 배치되는 제1 시트백프레임(15) 및 후방에 배치되는 제3 시트백프레임(35)의 펼쳐진 상태의 각도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전방에 배치되는 후방센서(600)는 후방센서(600) 및 제1 시트백프레임(15)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고, 상기 단말기 또는 제어부로 측정된 거리를 전송하면 기설정된 거리와 비교시킨다.
후방센서(600) 및 제1 시트백프레임(15) 사이의 기설정된 거리와 제1 시트백프레임(15)이 펼쳐진 상태의 각도는 서로 반비례하고 기설정된 거리들 각각에 대응되는 각도들은 상기 단말기 또는 제어부에 저장되므로, 측정된 거리와 기설정된 거리를 비교하여 제1 시트백프레임(15)이 펼쳐진 각도의 측정이 가능하다.
후방센서브라켓(595)의 일단은 수평지지대(570)의 타측 상부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고정이 가능하도록 수평지지대(57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후방센서(605)들과 결합된다.
연결로드(621)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은 후방센서브라켓(590)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측은 후방센서브라켓(595)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연결로드(621)는 후방센서브라켓(590, 595)들과 부착되어 후방센서(600, 605)들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고, 상기 제1 내지 제6 시트가 폴딩되는 과정에서 후방센서(600, 605)들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시킨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트백프레임(15)의 후방에 형성되는 커넥터(14)는 차량 및 상기 제1 시트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고, 커넥터 브라켓(13)을 통해 제1 쿠션프레임(10)의 후방에 연결된다.
제1 커넥터 지지대(650)의 일단은 원기둥 스틱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시트백프레임(15)의 후방에서 하부프레임(300)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형성된다.
제2 커넥터 지지대(660)의 일단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스틱 형태로 형성되어 홀더를 통해 제1 커넥터 지지대(650)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커넥터센서(700)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커넥터센서(700)는 광센서로써, 상기 제1 내지 제3 시트가 하부프레임(300)에 시트 지지대(640, 730)들을 통해 거치된 상태에서 커넥터(14)의 후방을 향해 광을 조사하여 커넥터(14)의 설치 유무를 감지한다.
커넥터센서(700)는 커넥터(14)를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제2 커넥터 지지대(660)의 타단과 결합되고, 작업자는 제2 커넥터 지지대(660)의 일단에 연결된 홀더를 조정하여 커넥터센서(700)의 위치 및 각도 조정이 가능하다.
제1 쿠션프레임(10)의 일측 하부에 부착되는 부쉬(16)는 차량과 제1 쿠션프레임(10)을 연결시키기 위해 필요한 부품으로 상기 제1 시트가 차량조립현장으로 이송되기전에 필수적으로 설치 여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시트 지지대(720)의 일단은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쿠션프레임(10)의 일측 하부에서 하부프레임(300)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전방 및 상부로 경사지게 육면체 형태로 연장되어 부쉬(16)의 후방에 해당되는 제1 쿠션프레임(10)의 하부에 결합된다.
부쉬센서(800)는 광센서로써, 광의 조사방향이 부쉬(16)를 향하도록 시트 지지대(720)의 타단 전면에 면결합되고, 작동을 통해 부쉬(16)가 제1 쿠션프레임(10)에 부착된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한다.
도 5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지지대(730)들 각각은 시트 승강 액츄에이터(731), 시트 승강로드(732), 측면프레임(733)들, 제1 승강플레이트(734), 제2 승강플레이트(735), 시트가압부재(736)들, 돌출부재(737) 및 고정프레임(738)들을 포함하고, 시트 지지대(740)는 단일의 시트가압부재(736) 및 돌출부재(737)가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면 시트 지지대(730)들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시트 지지대(730)들은 제1 쿠션프레임(10) 및 제2 쿠션프레임(20)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서로 전후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하부프레임(30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된다.
시트 승강 액츄에이터(731)는 하부프레임(300)의 상부에 결합되고, 시트 승강로드(732)는 시트 승강 액츄에이터(731)의 구동에 따라 시트 승강 액츄에이터(731)의 상부 중앙에서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된다.
측면프레임(733)들 각각은 시트 승강 액츄에이터(731)의 일측 및 타측에서 상부를 향해 수직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어 제2 승강플레이트(735)의 양측 저면에 밀착된다.
제1 승강플레이트(734)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 하부는 시트 승강로드(732)의 상단에 결합되며, 시트 승강 액츄에이터(731)가 구동되면 양측에 배치되는 측면프레임(733)들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된다.
제2 승강플레이트(735)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 및 타측 일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들이 형성되며, 저면은 제1 승강플레이트(734)의 상부면에 면결합된다.
돌출부재(737)들 각각의 일단은 제2 승강플레이트(735)에 형성된 홀들 각각에 끼움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상부를 향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 쿠션프레임(10, 20)들 각각에 삽입된다.
시트가압부재(736)들 각각은 제2 승강플레이트(735)에 끼움 결합된 돌출부재(737)들 각각을 둘러싸는 원형판 형태로 형성되며 제2 승강플레이트(735)의 상부면에 면결합된다.
시트가압부재(736)는 밀착되는 제1 및 제2 쿠션프레임(10, 20)들의 파손방지를 위해 탄성복원력이 있는 고분자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노후된 경우 편리하게 교체 또는 정비가 가능하다.
시트가압부재(736)들 각각의 상하부 방향 두께는 돌출부재(737)들 각각의 타단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므로, 시트가압부재(736)들이 돌출부재(737)들과 결합된 상태에서 돌출부재(737)들의 타단 일부분은 시트가압부재(736)들의 상부로 돌출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시트 검사 장치
200: 회동부
300: 하부프레임
400: 폴딩검사부
500: 그로멧센서
600, 305: 후방센서
700: 커넥터센서
800: 부쉬센서
200: 회동부
300: 하부프레임
400: 폴딩검사부
500: 그로멧센서
600, 305: 후방센서
700: 커넥터센서
800: 부쉬센서
Claims (5)
- 쿠션프레임 및 상기 쿠션프레임의 후방에 폴딩되도록 결합되는 시트백프레임으로 구성된 다수의 시트들을 검사하는 시트 검사 장치에 있어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회동모터, 롤러 및 롤러지지대들을 포함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고, 전방으로 폴딩되는 상기 시트백프레임들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전방센서;
펼쳐진 상기 시트백프레임들의 측면에서 광을 조사하여 상기 시트백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측면센서; 및
상기 시트백프레임의 후방에서 상기 시트백프레임의 펼쳐진 각도를 측정하는 후방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지지대들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롤러는 상기 롤러지지대의 타단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판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하부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회동모터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시트들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검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 및 상기 쿠션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구동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어 상기 쿠션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레버를 작동 또는 해제시키는 폴딩검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검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거치되어 쿠션과 결합되는 그로멧(Grommet)의 설치 유무를 감지하는 그로멧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검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및 차량의 연결을 위해 상기 시트의 후방에 배치되는 커넥터의 설치 유무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커넥터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검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고, 차량에 형성되는 볼트와 결합되는 부쉬의 설치 유무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부쉬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검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7849A KR102628835B1 (ko) | 2021-11-01 | 2021-11-01 | 시트 검사 장치 |
SK50-2022A SK502022A3 (sk) | 2021-11-01 | 2022-05-06 | Zariadenie na kontrolu sedadla |
CZ2022-185A CZ2022185A3 (cs) | 2021-11-01 | 2022-05-06 | Zařízení pro kontrolu sedadl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7849A KR102628835B1 (ko) | 2021-11-01 | 2021-11-01 | 시트 검사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3035A KR20230063035A (ko) | 2023-05-09 |
KR102628835B1 true KR102628835B1 (ko) | 2024-01-25 |
Family
ID=86317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7849A KR102628835B1 (ko) | 2021-11-01 | 2021-11-01 | 시트 검사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2628835B1 (ko) |
CZ (1) | CZ2022185A3 (ko) |
SK (1) | SK502022A3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11013494U (zh) * | 2020-01-13 | 2020-07-14 | 中汽研汽车检验中心(武汉)有限公司 | 一种座椅调角器耐久检测装置 |
CN212748240U (zh) * | 2020-07-10 | 2021-03-19 | 无锡雄伟精工科技有限公司 | 一种汽车座椅骨架测试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3143B1 (ko) | 2008-03-05 | 2009-02-10 | (주) 우석엔지니어링 | 차량의 시트프레임 용접검사장치 |
KR20100013247A (ko) * | 2008-07-30 | 2010-02-09 | 대일공업주식회사 | 차량 부품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
KR101793645B1 (ko) | 2017-08-08 | 2017-11-06 | 주식회사 에프테크 | 자동차 파워시트 검사장치 |
-
2021
- 2021-11-01 KR KR1020210147849A patent/KR10262883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5-06 CZ CZ2022-185A patent/CZ2022185A3/cs unknown
- 2022-05-06 SK SK50-2022A patent/SK502022A3/sk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11013494U (zh) * | 2020-01-13 | 2020-07-14 | 中汽研汽车检验中心(武汉)有限公司 | 一种座椅调角器耐久检测装置 |
CN212748240U (zh) * | 2020-07-10 | 2021-03-19 | 无锡雄伟精工科技有限公司 | 一种汽车座椅骨架测试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Z2022185A3 (cs) | 2023-05-17 |
SK502022A3 (sk) | 2023-05-17 |
KR20230063035A (ko) | 2023-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622232B (zh) | 用于调整活动的车顶板的位置的系统 | |
KR101142371B1 (ko) | 조립제품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1684164B1 (ko) | 리스폿 용접용 고정 장치 | |
US10654436B2 (en) | Sliding device | |
KR102628835B1 (ko) | 시트 검사 장치 | |
WO2011036876A1 (ja) | タイヤ試験機 | |
JP2016080445A (ja) | 検査装置 | |
KR100993390B1 (ko) | 강판의 불량 판독 검사장치 | |
CN111537347A (zh) | 疲劳损伤检测装置 | |
JP6431382B2 (ja) | 車両用リフト装置 | |
KR20130027136A (ko) | 카시트 검사기용 실하중 인가장치 | |
KR20140018405A (ko) | 승강 장치 | |
KR101758150B1 (ko) | 자동차용 메뉴얼 하이트시트의 펌핑축 작동력 측정장치 | |
KR101717900B1 (ko) | 코일 스프링의 내구 시험장치 | |
CN211978672U (zh) | 应用于透明件检测的多维运动平台及检测系统 | |
JP6806271B2 (ja) | X線撮影装置 | |
KR102603307B1 (ko) | 시트 검사 장치 | |
KR102170937B1 (ko) | 차량용 에어백 엠블럼 자동 조립장치 | |
CN209765079U (zh) | 一种气动防错结构 | |
GB2471933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lifting worthiness of a height adjustable bath chair | |
EP3106141A1 (en) | Wheelchair lift for mounting to a bottom side of a vehicle | |
JP3289678B2 (ja) | 測定装置 | |
CN111380804B (zh) | 应用于透明件检测的多维运动平台及检测系统 | |
KR102710504B1 (ko) | 길이 방향 유격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의 유격 검사 시스템 | |
JP2019156558A (ja) | 搬器ユニット、及び、エレベー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