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009B1 - 전해 콘덴서용의 리드선 단자, 전해 콘덴서 및 전해 콘덴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해 콘덴서용의 리드선 단자, 전해 콘덴서 및 전해 콘덴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009B1
KR102209009B1 KR1020190071201A KR20190071201A KR102209009B1 KR 102209009 B1 KR102209009 B1 KR 102209009B1 KR 1020190071201 A KR1020190071201 A KR 1020190071201A KR 20190071201 A KR20190071201 A KR 20190071201A KR 102209009 B1 KR102209009 B1 KR 102209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late
lead wire
rod
plate portion
electrolytic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2506A (ko
Inventor
마나부 야마자키
하루히토 아라키
카츠토시 히비노
Original Assignee
고호꾸고오교오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호꾸고오교오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고호꾸고오교오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72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08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2Single bars, rods, wires, or strips

Abstract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일 없이, 탭 단자의 평판부의 버르에 의한 전극박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탭 단자의 평판부와 봉형상부와의 경계부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콘덴서용의 리드선 단자를 제공한다.
금속봉에 의해 형성된 탭 단자(10)와, 그 일단에 접속된 리드선(20)을 구비하고, 탭 단자는, 일단측에 봉형상부(11)를 가짐과 함께 타단측에 평판부(12)를 가지며, 평판부는, 금속봉이 평판형상으로 프레스 가공됨과 함께 외주가 두께 방향에 따라 일방향으로 절단됨에 의해 형성되고, 평판부의 일방의 면(12a)에서의 봉형상부와 평판부 사이의 제1 경계부(P1)와, 평판부의 타방의 면(12b)에서의 봉형상부와 평판부 사이의 제2 경계부(P2)의 적어도 일방에 보강부(13)가 형성되고, 제1 경계부의 형상과 제2 경계부의 형상이 다르다.

Description

전해 콘덴서용의 리드선 단자, 전해 콘덴서 및 전해 콘덴서의 제조 방법{LEAD WIRE TERMINAL FOR ELECTROLYTIC CAPACITOR,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LYTIC CAPACITOR AND ELECTROLYTIC CAPACITOR}
본 발명은, 전해 콘덴서용의 리드선 단자, 전해 콘덴서 및 전해 콘덴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전해 콘덴서용의 리드선 단자는, 금속봉에 의해 형성된 탭 단자와, 그 일단에 접속된 리드선을 구비하고 있다. 탭 단자는, 일단측에 봉형상부를 가짐과 함께 타단측에 평판부를 갖고 있다. 평판부는, 금속봉의 일부를 평판형상으로 프레스 가공함과 함께, 그 외주를 두께 방향에 따라 절단함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리드선 단자는, 리드선 접속 장치에 투입되고, 파츠 피더에 의해 반송되어, 탭 단자의 평판부가 전극박의 일방의 면에 재치된다.
그리고, 탭 단자의 평판부가 코킹 등에 의해 전극박에 고정되고, 플러스측의 전극박과 마이너스측의 전극박과의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시킨 상태로, 양 전극박이 한 쌍의 탭 단자의 주위에 롤 형상으로 권회되어 콘덴서 소자가 형성된다.
뒤이어, 이 콘덴서 소자에 전해액이 함침되고, 콘덴서 소자로부터 돌출하여 있는 한 쌍의 리드선이 원반형상의 봉구체(封口體)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구멍의 어느 하나에 삽통된다. 그리고, 콘덴서 소자 및 봉구체가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외장 케이스에 수납되고, 외장 케이스의 개구단(開口端)이 드로잉 가공되어, 봉구체가 외장 케이스의 개구단에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제조된 전해 콘덴서에는,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리드선 단자의 탭 단자를 제조할때에, 평판부의 외주를 두께 방향에 따라 일방향으로 절단하기 때문에, 평판부의 일방의 면의 외주로부터 버르(burr)가 돌출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버르가 전극박에 접하면, 전극박이 손상되어 콘덴서 성능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상기 문제점의 해소를 도모한 리드선 단자의 제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제조 장치에서는, 탭 단자의 평판부의 외주를 형성하는 절단 기구가, 절입용(切入用) 절인(切刃)과, 그 하방에 배치된 절제용(切除用) 절인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절단기구는, 금속봉의 일부가 평판형상으로 프레스 가공된 후, 우선, 절입용 절인을 하강시켜서 평판형상 부분의 외주에 절입선(切入線)을 형성한다.
뒤이어, 절단기구는, 절제용 절인을 상승시켜서 절입선의 주위의 부분을 절입선에 따라 절제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평판부에서는, 그 양면부터 버르가 돌출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평판부의 주위에 휘감겨지는 전극박이 버르로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3-347174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의 기술인 경우, 탭 단자의 평판부의 외주를 형성할 때에, 절입용 절인을 하강시켜서 절입선을 형성하는 공정과, 절제용 절인을 상승시켜서 절입선의 주위의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의 2공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탭 단자의 제조 공수가 증가하여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근래,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리드선 단자에서, 진동에 의해 탭 단자의 평판부와 봉형상부와의 경계부에 하중이 반복 작용하면, 경계부에 균열이 생기는 일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적합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리드선 단자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일 없이, 탭 단자의 평판부의 버르에 의한 전극박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탭 단자의 평판부와 봉형상부와의 경계부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콘덴서용의 리드선 단자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금속봉에 의해 형성된 탭 단자와, 그 일단에 접속된 리드선을 구비하는 전해 콘덴서용의 리드선 단자에 있어서,
상기 탭 단자는, 일단측에 봉형상부를 가짐과 함께 타단측에 평판부를 갖고 있고,
상기 평판부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상기 봉형상부와 상기 평판부의 경계부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보강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봉형상부의 둘레면으로부터 상기 평판부의 면으로 향하여 내려가는 경사 단면을 갖고 있고,
상기 경사 단면은, 상기 평판부에 감겨지는 전극박 및 세퍼레이터의 단면으로부터 상기 봉형상부측으로 이간된 위치에서 상기 평판부의 면에 접속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경사단면과 상기 평판부의 면 사이에 걸치도록 마련된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봉형상부의 축방향을 전후 방향으로하여, 상기 봉형상부에 대해 상기 평판부가 전방에 있는 것으로 하고, 상기 평판부의 두께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며, 전후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서,
상기 볼록부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여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의 폭이 서서히 축폭되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덴서용의 리드선 단자의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일 없이, 탭 단자의 평판부의 버르에 의한 전극박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탭 단자의 평판부와 봉형상부와의 경계부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리드선 단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해 콘덴서의 콘덴서 소자의 단면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주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해 콘덴서의 종단면도.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리드선 단자의 탭 단자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리드선 단자의 탭 단자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
도 7은 제3 실시 형태의 리드선 단자의 탭 단자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
도 8은 제4 실시 형태의 리드선 단자의 탭 단자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리드선 단자의 내진(耐振)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측정 방법의 설명도.
도 10은 제5 실시 형태의 리드선 단자의 사시도.
도 11은 제6 실시 형태의 리드선 단자의 사시도.
도 12는 제7 실시 형태의 리드선 단자의 사시도.
도 13은 제8 실시 형태의 리드선 단자의 사시도.
도 14는 제9 실시 형태의 리드선 단자의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드선 단자(1)는, 금속봉에 의해 형성된 탭 단자(10)와, 그 일단에 접속된 리드선(20)을 구비하고 있다.
리드선(20)은, 예를 들면, 철선의 외주면에 구리층을 마련한 CP선에 의해 형성되고, 용접 등에 의해 탭 단자(10)에 접속된다.
탭 단자(10)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제의 환봉을 프레스 가공함에 의해 형성되고, 일단측에 봉형상부(11)를 가짐과 함께 타단측에 평판부(12)를 갖고 있다.
평판부(12)는, 금속봉의 일부를 평판형상으로 프레스 가공함과 함께, 그 외주를 두께 방향에 따라 일방향으로 절단함에 의해 형성된다.
평판부(12)의 외주에는, 평판부(12)를 절단할 때에 생긴 버르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버르는, 평판부(12)의 외주로부터 평판부(12)의 절단 방향으로 돌출하여 있다.
예를 들면, 평판부(12)의 외주의 절단 방향을 도 1의 화살표(A) 방향이라고 하면, 버르는, 평판부(12)의 타방의 면(12b)의 외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하게 된다.
이 리드선 단자(1)에서는, 평판부(12)의 일방의 면(12a)에서의 봉형상부(11)와 평판부(12) 사이의 제1 경계부(P1)의 형상과, 평판부(12)의 타방의 면(12b)에서의 봉형상부(11)와 평판부(12) 사이의 제2 경계부(P2)(도 5 참조)의 형상이 다르다. 이와 같이 하면, 평판부(12)의 일방의 면(12a)과 타방의 면(12b)을 기계적으로 식별 가능해지기 때문에, 평판부(12)의 일방의 면(12a)이 반드시 전극박의 일방의 면에 접하도록 리드선 단자(1)를 반송 가능해진다.
리드선 단자(1)가 부착된 플러스측의 전극박과, 리드선 단자(1)가 부착된 마이너스측의 전극박을, 그들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시킨 상태로 권회(卷回)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리드선 단자(1)와, 그들 주위에 롤형상으로 권회된 전극박(30)을 포함하는 콘덴서 소자(40)가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전해 콘덴서의 제조 공정은, 리드선 단자(1)를 복수개 준비하는 공정과, 제1 경계부(P1)의 형상과 제2 경계부(P2)의 형상과의 차이에 의거하여 평판부(12)의 일방의 면(12a)과 타방의 면(12b)을 식별하는 공정과, 평판부(12)의 일방의 면(12a)이 전극박(30)의 일방의 면에 접하도록 리드선 단자(1)를 반송하는 공정과, 리드선 단자(1)가 부착된 플러스측의 전극박(30)과, 리드선 단자(1)가 부착된 마이너스측의 전극박(30)을, 그들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시킨 상태로 권회하여 콘덴서 소자(40)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한 쌍의 리드선 단자(1)는, 그들 평판부(12)의 타방의 면(12b)끼리가 대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판부(12)의 외주의 절단에 의해 생긴 버르(12c)는 콘덴서 소자(40)의 중심측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버르(12c)는 전극박(30)에 당접하지 않는다. 따라서 버르(12c)가 전극박(30)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그리고, 콘덴서 소자(40)에 전해액이 함침되고, 콘덴서 소자(40)의 단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있는 한 쌍의 리드선(20)(도 4 참조)이 원반형상의 봉구체(50)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구멍(51)의 어느 하나에 삽통된다.
그리고, 콘덴서 소자(40) 및 봉구체(50)가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외장 케이스(60)에 수납되고, 외장 케이스(60)의 개구단이 드로잉 가공되어, 봉구체(50)가 외장 케이스(60)의 개구단에 고정된다.
또한, 제품명, 메이커명 등이 기재된 원통형상의 수축 필름(도시 생략)이 외장 케이스(60)의 외주에 감착되고, 이 수축 필름이 열수축되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전해 콘덴서(100)가 된다.
다음에, 제1 실시 형태의 리드선 단자(1)의 제1 경계부(P1)와 제2 경계부(P2)의 형상에 관해 설명한다. 도 5에서, (a)는 제1 실시 형태의 탭 단자(10)의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저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 형태에서는, 그 이전에 설명한 부분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탭 단자(10)에서는, 평판부(12)의 일방의 면(12a)에서의 봉형상부(11)와 평판부(12) 사이의 제1 경계부(P1)에 보강 리브(13)(보강부)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 리브(13)는, 봉형상부(11)와 평판부(12)와의 사이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봉형상부(11)는, 평판부(12)와의 접속단(接續端)에 한 쌍의 경사 단면(端面)(11a, 11b)을 갖고 있고, 일방의 경사 단면(11a)은 봉형상부(11)의 외주면 및 평판부(12)의 일방의 면(12a)과 교차하고 있고, 타방의 경사 단면(11b)은 봉형상부(11)의 외주면 및 평판부(12)의 타방의 면(12b)과 교차하고 있다.
보강 리브(13)는, 일방의 경사 단면(11a)과 평판부(12)의 일방의 면(12a)과의 사이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강 리브(13)는, 평판부(12)를 수평하게 한 상태에서, 평면시(平面視) 개략 반원형상을 나타냄과 함께, 봉형상부(11)의 축선에 따른 종단면 형상이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판부(12)의 타방의 면(12b)에서의 봉형상부(11)와 평판부(12) 사이의 제2 경계부(P2)에는, 보강 리브(13)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제1 경계부(P1)의 형상과 제2 경계부(P2)의 형상을 다르게 함에 의해, 평판부(12)의 일방의 면(12a)과 타방의 면(12b)을 기계적으로 식별 가능해지기 때문에, 평판부(12)의 일방의 면(12a)이 반드시 전극박(30)에 접하도록, 리드선 단자를 파츠 피더에 의해 반송할 수 있다.
또한, 보강 리브(13)는, 평판부(12)를 프레스 가공할 때에 동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공수가 증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일 없이, 평판부(12)의 버르에 의한 전극박(30)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강 리브(13)를 마련함에 의해, 평판부(12)가 봉형상부(11)에 대해 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제1 경계부(P1)와 제2 경계부(P2)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전해 콘덴서와 같은 높은 내진성이 요구된 전해 콘덴서에 있어서, 특히 유용하다.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의 리드선 단자(1)의 제1 경계부(P1)와 제2 경계부(P2)의 형상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에서, (a)는 제2 실시 형태의 탭 단자(10)의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저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판부(12)의 일방의 면(12a)에서의 봉형상부(11)와 평판부(12) 사이의 제1 경계부(P1)에 보강 리브(14)(보강부)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 리브(14)는, 평판부(12)를 수평하게 한 상태에서, 평면시 개략 사각형상을 나타냄과 함께, 봉형상부(11)의 축선에 따른 종단면 형상이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일 없이, 평판부(12)의 버르에 의한 전극박(30)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평판부(12)가 봉형상부(11)에 대해 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제1 경계부(P1) 및 제2 경계부(P2)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제3 실시 형태의 리드선 단자(1)의 제1 경계부(P1)와 제2 경계부(P2)의 형상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에서, (a)는 제3 실시 형태의 탭 단자(10)의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저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판부(12)의 일방의 면(12a)에서의 봉형상부(11)와 평판부(12) 사이의 제1 경계부(P1)에 평면시 사각형상의 보강 리브(15)(보강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 리브(15)의 상면(15a)은, 봉형상부(11)의 축선에 따른 종단면 형상이 원호형상(radius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오목면으로 되어 있다. 이 상면(15a)의 곡률 반경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5㎜로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일 없이, 평판부(12)의 버르에 의한 전극박(30)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평판부(12)가 봉형상부(11)에 대해 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제1 경계부(P1) 및 제2 경계부(P2)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강 리브(15)의 상면(15a)을 오목면으로 함으로써, 응력이 분산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제2 실시 형태에 비하여 평판부(12)가 보다 휘기 어려워진다.
다음에, 제4 실시 형태의 리드선 단자(1)의 제1 경계부(P1)와 제2 경계부(P2)의 형상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에서, (a)는 제4 실시 형태의 탭 단자(10)의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저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판부(12)의 일방의 면(12a)에서의 봉형상부(11)와 평판부(12) 사이의 제1 경계부(P1)에 보강 리브(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평판부(12)의 타방의 면(12b)에서의 봉형상부(11)와 평판부(12) 사이의 제2 경계부(P2)에 보강 리브(14)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일 없이, 평판부(12)의 버르에 의한 전극박(30)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평판부(12)가 봉형상부(11)에 대해 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제1 경계부(P1) 및 제2 경계부(P2)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판부(12)의 양면에 보강 리브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제1∼제3 실시 형태에 비하여 평판부(12)가 보다 휘기 어려워진다.
상기 제1∼제4 실시 형태에 의한 평판부(12)의 휨 억제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이하의 측정을 행하였다.
즉,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제1 실시 형태의 탭 단자(10)의 봉형상부(11)를 평판부(12)와의 접속단측에서 지름 방향으로 절단하고, 절단면을 수직면(V.F)에 고정하였다.
뒤이어, 평판부(12)의 선단에 수직 상방에 하중(F)(2.2㎏f)을 부여하고, 평판부(12)의 선단의 상방으로의 변위량을 측정하였다.
제2∼제4 실시 형태의 탭 단자(10)와, 보강 리브(13∼15)가 마련되지 않은 종래의 탭 단자에 대해서도, 같은 조건으로 측정을 행하였다.
그리고, 종래의 탭 단자의 변위량을 L로 하여, 제1 실시 형태의 탭 단자의 변위량(L1)과의 비율(L1/L)을 산출하였다.
마찬가지로, 종래의 탭 단자의 변위량(L)과 제2 실시 형태의 탭 단자의 변위량(L2)과의 비율(L2/L), 종래의 탭 단자의 변위량(L)과 제3 실시 형태의 탭 단자의 변위량(L3)과의 비율(L3/L) 및 종래의 탭 단자의 변위량(L)과 제4 실시 형태의 탭 단자의 변위량(L4)과의 비율(L4/L)도 각각 산출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제1∼제4 실시 형태의 탭 단자의 평가 결과는 하기 표 1에 표시되는 바와 같았다.
Figure 112019061283116-pat00001
상기 표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4 실시 형태의 비율(L4/L)이 가장 작아, 제4 실시 형태의 내진성이 우수함이 판명되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보강 리브의 형상과 개수는 상기 실시 형태로 나타낸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탭 단자(10)의 평판부(12)의 버르에 의한 전극박(30)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탭 단자(10)의 평판부(12)와 봉형상부(11)와의 제1 경계부(P1)와 제2 경계부(P2)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구성(보강부라고도 한다)은, 상기 실시 형태에 나타낸 보강 리브(13∼15) 외에도,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에 보강부의 형상이나 구성이 다른 제5∼제8 실시 형태를 든다.
도 10에 제5 실시 형태의 리드선 단자(1)를 도시하였다. 도 10(a)는, 리드선 단자(1)를 평판부(12)에서의 상기의 타방의 면(12b)에서 본 때의 사시도이고, 도 10(b)는 제5 실시 형태의 리드선 단자(1)를 평판부(12)에서의 일방의 면(12a)에서 본 때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제1∼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 경계부(P2)에는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에 대해,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방의 면(12a)의 제1 경계부(P1)에는, 제1∼제4 실시 형태에서의 보강 리브(13∼15)와 같은 기능을 갖는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고, 도시한 예에서는, 일방의 면(12a)에서의 봉형상부(11)와 평판부(12) 사이의 제1 경계부(P1)에, 보강부로서, 상면이 단면 원호형상의 R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경계부(P1)의 전체가 보강부로서 기능하고, 일방의 경사 단면(11a) 자체가 R부(16)의 상면으로서 봉형상부(11)의 주면(周面)과 평판부(12)의 일방의 면(12a)에 접속되어 있다. 콘덴서 소자(40)에서는, 도 2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박(30) 및 그것에 적층된 세퍼레이터가 평판부(12)에 휘감겨진다. 그리고 전극박(30)이나 세퍼레이터의 단면(41)(도 4 참조)은, R부(16)와 평판부(12)와의 접속 위치(12d)로부터 평판부(12)의 선단측으로 이간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R부(16)의 상면은, 이 접속 위치(12d)에서는 평판부(12)의 일방의 면(12a)과 거의 평행한 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R부(16)의 상면은 매끈하게 연속하여 있고, 굴곡점을 갖고 있지 않다. 그에 의해, 평판부(12)에 대해, 전극박(30)이나 세퍼레이터의 단면(41)의 위치를 지점(支點)으로 한 응력이 가하여져도, 그 힘이 R부(16)에 의해 분산된다.
그리고 R부(16)는, 평판부(12)를 프레스 가공할 때에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R부(16)의 형상은, 전극박(30) 및 세퍼레이터의 단면(41)의 위치로부터 접속 위치(12d)까지의 거리(D) 및 봉형상부(11)의 지름에 따라, 적절하게 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정한 형상을 프레스 가공용 금형에 형성하고, 프레스 가공시에 전사한다.
도 11에 도시한 제6의 실시 형태의 리드선 단자(1)에서는, 제1 경계부(P1)가 부분적으로 R부(116)로 되어 있다. 즉 일방의 경사 단면(11a)의 단연으로부터 평판부(12)를 향하여 R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R부(116)의 상면은 단면 원호형상이고, 그 곡률은, 금형 가공에 즈음하여, 평판부(12)의 폭이나 봉형상부(11)의 지름에 따라 최적의 곡률을 선택하면 좋다. 어쨌든, R부(16, 116)는, 리드선 단자(1)가 콘덴서 소자(도 4, 부호 40)에 조립된 상태에서, 봉형상부(11)로부터 전극박(도 2 또는 도 3, 부호 30) 및 세퍼레이터의 단면 위치(도 4, 부호 41)의 부근까지 굴곡점을 갖지 않고 연속하는 형상에 의해, 진동에 의한 리드선 단자(1)의 변형을 방지한다.
또한 제6 실시 형태의 리드선 단자(1)는, 제5 실시 형태의 리드선 단자(1)와 마찬가지로, 평판부(12)를 타방의 면(12b)측에서 본 경우, 제2 경계부(P2)에는 R부(16, 116)와 같은 보강부에 상당한 구성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그 사시도는, 도 10(a)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된다. 또한 이하에 도시하는 제7 및 제8 실시 형태의 리드선 단자(1)도 마찬가지로 제2 경계부(P2)에는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12에 도시한 제7 실시 형태의 리드선 단자(1)는, 봉형상부(11)와 평판부(12) 사이의 제1 경계부(P1)에 보강부로서 볼록부(17)를 마련한 것이다. 여기서, 도면 중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좌우, 상하의 각 방향을 규정하면, 볼록부(17)는, 후방부터 전방을 향하여 좌우 및 상하 방향의 폭이 서서히 축폭(縮幅)하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형상의 볼록부(17)에서는, 응력의 집중점이 볼록부(17)의 주연에 따라 존재하기 때문에, 응력의 집중점이 평판부(12)의 폭방향에 따라 직선형상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비하여, 진동에 의한 탭 단자(10)의 변형이 생기기 어렵다. .
도 13에 도시한 제8 실시 형태의 리드선 단자(1)에서의 보강부는, 제7 실시 형태에 도시한 볼록부(17)와 근사한 형상의 볼록부(18a)와 제6 실시 형태에 도시한 R부(116)의 단면 형상과 근사한 단면 원호형상의 R부(18b)를 조합시키고, 쌍방이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도록 형성된 복합 보강부(18)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합 보강부(18)는, 경계부(P1)로부터 평판부(12)에서의 일방의 면(12a)의 선단을 향하여 볼록부(18a)가 형성되면서, 볼록부(18a)와 일방의 면(12a)과의 접속부분은 R부(18b)에 의해, 당해 일방의 면(12a)에 거의 평행한 상태로 매끈하게 평판부(12)에 접속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복합 보강부(18)에서는, 볼록부(18a)와 평판부(12)와의 사이의 접속부분의 형상이 연속적이 되고, 당해 접속부분에 응력이 집중하기 어려운 구조가 된다.
도 14에 도시한 제9 실시 형태의 리드선 단자(1)는, 봉형상부(11)에서의 경사 단면(11a)과 평판부(12)에서의 일방의 면(12a)이 이루는 각도(즉 제1 경계부(P1)에서의 일방의 면(12a)에의 접지 각도)를 완화시키기 위해 경사부(19)를 보강부로서 부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경사부(19)를 마련함에 의해, 제1 경계부(P1)에서의 평판부(12)에의 접지 개소에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게 된다. 이 경사부(19)의 폭은 봉형상부(11)보다 좁아도 좋다.
또한 보강부는, 상기 이외에도, 특히 도시는 하지 않지만, 봉형상부(11)의 경사 단면(11a)이, 평판부(12)에서의 전극박(30) 및 세퍼레이터의 단면(41)의 위치 부근에 있어서 굴곡점을 갖지 않도록, 평판부(12)에 접속하는 형상이면 유효하다.
또한, 평판부(12)의 일방의 면(12a)과 타방의 면(12b)을 식별할 때에는, 제1 경계부(P1) 및 제2 경계부(P2)의 형상뿐만 아니라, 그 이외의 부위의 형상(예를 들면, 평판부(12)의 양측 테두리의 형상, 평판부(12)의 단면(斷面) 형상, 평판부(12)로부터 돌출하여 있는 버르(12c))도 가미하여 식별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보다 확실하게 평판부(12)의 일방의 면(12a)과 타방의 면(12b)을 식별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평판부(12)의 버르(12c)에 의한 전극박(30)의 손상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경계부(P1)의 형상과, 제2 경계부(P2)의 형상이 다르도록 리드선 단자(1)를 형성한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같은 형상이라도 좋다.
제1 경계부(P1)와 제2 경계부(P2)의 형상이 동일하여도, 상술한 바와 같이 버르(12c)의 돌출 방향 등을 단서로 하여 평판부(12)의 일방의 면(12a)과 타방의 면(12b)을 식별하면, 탭 단자(10)의 평판부(12)의 버르(12c)에 의한 전극박(30)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버르(12c)의 돌출 방향은, 예를 들면, 리드선 단자(1)를 평판부(12)의 일방의 면(12a)에서 본 때의, 봉형상부(11)와 평판부(12)의 총체적인 형상(평판부(12)의 양 측연(側緣)의 형상, 평판부(12)의 단면(斷面) 형상 등)와, 타방의 면(12b)측에서 본 때의 봉형상부(11)와 평판부(12)의 총체적인 형상과의 차이에 의해 식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드선 단자(1), 전해 콘덴서(100) 및 전해 콘덴서(100)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1 및/또는 제2 경계부(P1, P2)에 보강부에 상당하는 구성을 형성하여 두면, 탭 단자(10)의 평판부(12)와 봉형상부(11)와의 제1 경계부(P1) 및 제2 경계부(P2)에 응력 등에 기인하는 균열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진동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거나 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실시 형태에 여러 가지의 변형을 시행할 수 있다.
1 : 리드선 단자 10 : 탭 단자
11 : 봉형상부 11a : 일방의 경사 단면
11b : 타방의 경사 단면 12 : 평판부
12a : 일방의 면 12b : 타방의 면
12c : 버르 13 : 보강 리브(보강부)
14 : 보강 리브(보강부) 15 : 보강 리브(보강부)
16 : R부(보강부) 17 : 볼록부(보강부)
18 : 복합 보강부(보강부) 19 : 경사부(보강부)
20 : 리드선 30 : 전극박
40 : 콘덴서 소자 50 : 봉구체
60 : 외장 케이스 100 : 전해 콘덴서
116 : R부(보강부) P1 : 제1 경계부
P2 : 제2 경계부

Claims (3)

  1. 금속봉에 의해 형성된 탭 단자와, 그 일단에 접속된 리드선을 구비하는 전해 콘덴서용의 리드선 단자에 있어서,
    상기 탭 단자는, 일단측에 봉형상부를 가짐과 함께 타단측에 평판부를 갖고 있고,
    상기 평판부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상기 봉형상부와 상기 평판부의 경계부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보강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봉형상부의 둘레면으로부터 상기 평판부의 면으로 향하여 내려가는 경사 단면을 갖고 있고,
    상기 경사 단면은, 상기 평판부에 감겨지는 전극박 및 세퍼레이터의 단면으로부터 상기 봉형상부측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평판부의 면에 접속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경사단면과 상기 평판부의 면 사이에 걸치도록 마련된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봉형상부의 축방향을 전후 방향으로하여, 상기 봉형상부에 대해 상기 평판부가 전방에 있는 것으로 하고, 상기 평판부의 두께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며, 전후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서,
    상기 볼록부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여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의 폭이 서서히 폭이 감소되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선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주연이 단면 원호형상의 R부를 통해 상기 평판부의 면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R부는, 상기 평판부의 면과 평행한 상태에서 상기 볼록부를 상기 평판부의 면에 접속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선 단자.
  3.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리드선 단자와, 상기 한 쌍의 리드선 단자의 주위에 롤형상으로 권회된 전극박을 포함하는 콘덴서 소자를 구비하는 전해 콘덴서에 있어서,
    한 쌍의 리드선 단자의 각각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리드선 단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콘덴서.
KR1020190071201A 2016-03-09 2019-06-17 전해 콘덴서용의 리드선 단자, 전해 콘덴서 및 전해 콘덴서의 제조 방법 KR102209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45756 2016-03-09
JP2016045756 2016-03-09
JPJP-P-2016-206880 2016-10-21
JP2016206880A JP6550363B2 (ja) 2016-03-09 2016-10-21 電解コンデンサ用のリード線端子、電解コンデンサ及び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118A Division KR102209007B1 (ko) 2016-03-09 2017-02-06 전해 콘덴서용의 리드선 단자, 전해 콘덴서 및 전해 콘덴서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506A KR20190072506A (ko) 2019-06-25
KR102209009B1 true KR102209009B1 (ko) 2021-01-28

Family

ID=599091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118A KR102209007B1 (ko) 2016-03-09 2017-02-06 전해 콘덴서용의 리드선 단자, 전해 콘덴서 및 전해 콘덴서의 제조 방법
KR1020190071201A KR102209009B1 (ko) 2016-03-09 2019-06-17 전해 콘덴서용의 리드선 단자, 전해 콘덴서 및 전해 콘덴서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118A KR102209007B1 (ko) 2016-03-09 2017-02-06 전해 콘덴서용의 리드선 단자, 전해 콘덴서 및 전해 콘덴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6550363B2 (ko)
KR (2) KR102209007B1 (ko)
TW (2) TWI6936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24881B2 (ja) * 2017-10-20 2020-07-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固体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及び、固体電解コンデンサ
TWI817518B (zh) * 2022-05-24 2023-10-01 臺灣金山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鋁箔毛刺去除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7286A1 (ja) 2014-03-27 2015-10-01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コンデンサ用リード端子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5324U (ko) * 1989-03-23 1990-10-16
JP2003133178A (ja) * 2001-10-22 2003-05-09 Aputodeito:Kk コンデンサ用リード端子の製造方法
JP4782969B2 (ja) 2002-05-24 2011-09-28 湖北工業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のタブ端子製造装置
JP4864767B2 (ja) * 2007-02-23 2012-02-01 ニチコン株式会社 電子部品
JP2009010069A (ja) * 2007-06-27 2009-01-15 Panasonic Corp コンデンサ用電極箔のリード線接続装置
JP5049208B2 (ja) * 2008-06-23 2012-10-17 ルビコン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
JP5334757B2 (ja) * 2009-08-31 2013-11-0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
JP5334756B2 (ja) * 2009-08-31 2013-11-0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
JP2011138977A (ja) * 2009-12-29 2011-07-14 Sanyo Electric Co Ltd 電解コンデンサ
JP6019588B2 (ja) * 2012-01-12 2016-11-02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コンデンサ用リード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182968A (ja) * 2012-03-01 2013-09-12 Panasonic Corp リード線の接続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7286A1 (ja) 2014-03-27 2015-10-01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コンデンサ用リード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93620B (zh) 2020-05-11
JP2019057728A (ja) 2019-04-11
TW201732850A (zh) 2017-09-16
KR102209007B1 (ko) 2021-01-28
TWI722481B (zh) 2021-03-21
JP6550363B2 (ja) 2019-07-24
TW201941236A (zh) 2019-10-16
KR20170105411A (ko) 2017-09-19
JP6550521B2 (ja) 2019-07-24
JP2017168810A (ja) 2017-09-21
KR20190072506A (ko) 201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0329B2 (ja) ヒューズ板、およびそれを具備する電池ブロック
US10128628B2 (en) Wire with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209009B1 (ko) 전해 콘덴서용의 리드선 단자, 전해 콘덴서 및 전해 콘덴서의 제조 방법
EP2852002B1 (en) Electric part soldered onto printed circuit board
US11017956B2 (en) Capaci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4775958B2 (ja) 下面電極型固体電解コンデンサ
JP5006744B2 (ja) 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CN110223843B (zh) 电解电容器用引线端子、及电解电容器
US10847904B2 (en) Electric wire with termin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 wire with terminal
EP2683037A1 (en) Connector termina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10165432A (zh) 扁平线的前端部结构及其制造方法
JP7443949B2 (ja) 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およびコンデンサ
JP2018061015A (ja) リード線端子の製造方法、チップ型電解コンデンサ及びリード線端子の半製品
JP2022163617A (ja) 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152483A (ja) 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2992547B (zh) 芯片型电解电容器的引线端子、芯片型电解电容器的制造方法
CN109791842B (zh) 引线端子的制造方法、芯片型电解电容器和引线端子的半成品
JP6632034B2 (ja) チップ型電解コンデンサ用リード線端子の製造方法及びチップ型電解コンデンサ
JP6880772B2 (ja) 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319871A (ja) ダイ及びシームレス容器の製造方法
JP2019067939A (ja) 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