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236B1 - 삼각대 버튼 기구 및 삼각대 - Google Patents

삼각대 버튼 기구 및 삼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236B1
KR102203236B1 KR1020197023215A KR20197023215A KR102203236B1 KR 102203236 B1 KR102203236 B1 KR 102203236B1 KR 1020197023215 A KR1020197023215 A KR 1020197023215A KR 20197023215 A KR20197023215 A KR 20197023215A KR 102203236 B1 KR102203236 B1 KR 102203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tripod
angle
locking structur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3333A (ko
Inventor
지에 리
시아오윤 후
Original Assignee
광동 시루이 옵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시루이 옵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시루이 옵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03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4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spreading of the legs
    • F16M11/245Members limiting spreading of legs, e.g. "umbrella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4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spreading of the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10Arrangements for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6Details concerning attachment of head-supporting legs, with or without actuation of locking member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38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folding, e.g. pivoting or scissors tong mechanis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6Accessory clips, holders, shoes to attach accessories to camera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5Means for returning or tending to return controlling members to an inoperative or neutral position, e.g. by providing return springs or resilient end-st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 F16M2200/021Locking means for rotational movement
    • F16M2200/024Locking means for rotational movement by positive interaction, e.g. male-femal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삼각대 버튼 기구 및 삼각대에 있어서, 삼각대 버튼 기구는 삼각대의 본체(1)에 고정 설치되는 각도 걸림 구조(2)와; 제1축(9)을 통해 상기 삼각대의 레그 축 슬리브(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도 걸림 구조(2)의 걸림 위치에 결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걸림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삼각대의 지지레그(20)의 펼침 각도를 잠금하는 결합부(6)를 구비하는 버튼(4)을 포함하는 버튼 구조;를 포함하고, 결합부(6)가 걸림 위치에 결합 시, 버튼 (4)에 당접하고, 그 지지 부위에서 결합부(6)의 연결선까지의 연장선과 지지레그(20)의 각도 걸림 구조(2)가 위치하는 일단을 향하는 연장선이 협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지지구조를 더 포함한다. 당해 삼각대 버튼 기구 및 삼각대 , 삼각대 지지레그의 지지 안정성을 강화시키는데 유리하고, 각도 걸림 구조의 원가를 낮추며, 제품 구조를 더 간소화하고, 제품의 시장 경쟁력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삼각대 버튼 기구 및 삼각대
본 발명은 촬영 촬상 기자재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삼각대 버튼 기구 및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삼각대의 버튼 기구는 촬영 삼각대 지지레그의 노치 조절 시 지지레그를 어느 위치에 고정하여, 지지레그의 지지 각도의 분도 조절을 실현하는데 사용되고, 버튼 기구의 구조 유형은 여러가지이며, 대부분의 버튼형 접이 삼각대는 조절 과정에서 손으로 버튼을 계속 누르면서 선택된 노치까지 회전한 후 버튼에서 손을 떼야 하기에, 조작이 불편하고 힘이 들며, 신속한 조절을 실현할 수 없다.
이에, 본 출원의 발명인은 조절 과정에서 계속 버튼을 누르지 않고 조작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를 설계하였고, 이는 구조가 간단하고 컴펙트하며, 조작이 편이하고 수월하며, 중국 특허 CN104344171A에서 개시한 삼각대 버튼 기구는 삼각대 몸체에 마련된 각도 걸림 구조를 포함하고, 지지레그는 레그 축 슬리브를 통해 각도 걸림 구조에 회동 연결되며, 버튼 기구는 레그 축 슬리브와 각도 걸림 구조 사이에 설치되고, 버튼 기구는 각도 걸림 구조에 끼움 배치되기에 적합한 첨단부의 버튼 및 버튼을 레그 축 슬리브에 연결하기 위한 버튼 베이스를 포함하며, 버튼은 제1축을 통해 버튼 베이스에 힌지 연결되고, 지지레그가 임의의 위치에 고정될 경우, 버튼의 첨단부 일측은 각도 걸림 구조에 끼움 배치되고, 버튼의 타측 저부는 버튼 베이스에 서로 당접하며, 버튼의 이 두 부위가 힘 작용 포인트가 되어, 지지레그가 해당 노치에 유지되도록 하는데, 사용 과정에서 해당 삼각대 버튼 기구에 아래와 같은 문제가 존재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1. 버튼이 지지레그 유지 노치를 잠금할 때 받는 작용력이 버튼으로 하여금 각도 걸림 구조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추세가 있고, 이러한 추세의 작용 하에 버튼과 각도 걸림 구조 사이에 헛돌이가 발생하여, 지지레그가 노치에서 이탈하여 지지레그의 지지 안정성이 떨어지게 된다.
2. 이러한 구조의 버튼과 각도 걸림 구조 사이에 헛돌이가 발생하기 쉬워 해당 설계의 각도 걸림 구조는 랫치 휠 구조를 선택하는데 랫치가 아래로 경사지기에, 랫치와 버튼 첨단부의 배합을 통해, 아래로 경사진 랫치에 의해 각도 걸림 구조가 첨단부에 가하는 아래를 향하는 작용력 강화하여 헛돌이 가능성을 줄이는 바 이는 각도 걸림 구조의 작용력을 증가시킬뿐만 아니라 각도 걸림 구조에 대한 구조 강도 요구가 높아져, 기어 가공 과정에서 랫치 휠의 각 톱니는 밀링 커터로 일일히 절삭하여야 하기에 가공 프로세스가 복잡하고 제조 원가가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과제는 기존 기술에서 버튼과 각도 걸림 구조가 헛돌기 쉬워 삼각대 지지레그의 지지 안정성이 떨어지고, 각도 걸림 구조의 원가가 높은 흠결을 극복함으로써 삼각대 지지레그의 지지 안정성을 강화시키는데 유리하고, 각도 걸림 구조의 원가를 낮춘 삼각대 버튼 기구를 제공한다.
상술한 삼각대 버튼 기구의 삼각대를 구비하는 삼각대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방안은 아래와 같다.
삼각대의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각도 걸림 구조와; 제1축을 통해 상기 삼각대의 레그 축 슬리브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도 걸림 구조의 걸림 위치에 결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걸림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삼각대의 지지레그의 펼침 각도를 잠금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 구조;를 포함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가 상기 걸림 위치에 결합 시, 상기 버튼에 당접하고 그 지지 부위에서 상기 결합부의 연결선까지의 연장선과 상기 지지레그의 상기 각도 걸림 구조가 위치하는 일단을 향하는 연장선이 협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버튼이 상기 각도 걸림 구조에 접근하도록 회동하는 추세의 작용력을 상기 버튼에 인가하는 지지구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구조는 상기 제1축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걸림 위치에 결합 시, 상기 제1축의 축선에서 상기 결합부의 연결선까지의 연장선과 상기 지지레그의 상기 각도 걸림 구조가 위치하는 일단을 향하는 연장선은 협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버튼이 상기 각도 걸림 구조를 향하는 일단이 아래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절곡 부위는 원호형으로 변환된다.
상기 버튼 구조는 상기 레그 축 슬리브에 고정 설치되는 버튼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제1축을 통해 상기 버튼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버튼에 상기 버튼이 회동 과정에서 상기 버튼 베이스에 맞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릴리프 공간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릴리프 공간은 상기 버튼이 상기 각도 걸림 구조에서 멀어지는 일측의 측면에 개설된 원호형 갭이다.
상기 결합부와 상기 걸림 위치 사이는 면접촉된다.
그 바이어스력이 상기 버튼에 작용하여, 상기 버튼이 상기 각도 걸림 구조에 결합하는 방향을 향해 회동 리셋하도록 하는 리셋 바이어스 구조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가 상기 걸림 위치에 결합 시, 상기 지지구조의 지지 부위에서 상기 결합부까지의 연결선과 상기 리셋 바이어스 구조의 바이어스력이 존재하는 직선의 협각은 예각이다.
상기 버튼이 상기 지지구조 부위에서 자동 복귀하도록 하고, 상기 버튼이 상기 각도 걸림 구조를 향하는 일측의 측면에 성형되는 트리거부 및 상기 각도 걸림 구조에 설치되는 블록킹부를 구비하는 자동 복귀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이 상기 지지레그를 따라 펼쳐지는 과정에서, 상기 블록킹부가 상기 트리거부에 반작용하는 토크는 상기 바이어스력이 상기 버튼에 작용하는 토크보다 크며, 양자의 방향이 서로 반대된다.
상기 트리거부는 스트립형이다.
상기 블록킹부는 상기 각도 걸림 구조가 상기 지지레그를 따라 펼쳐지는 방향에서의 제1 걸림 위치이다.
상기 각도 걸림 구조는 이형 기어이고, 상기 이형 기어는 상기 이형 기어의 방사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톱니를 구비한다.
상기 톱니의 치형은 원호형 치형이다.
상기 톱니의 치단 부위는 원호형으로 변환된다.
상기 이형 기어의 탑부는 원호면을 이루고, 상기 트리거부가 상기 블록킹부에 저촉된 후, 상기 버튼의 결합부는 상기 버튼 자동 복귀 구조의 작용을 받아 상기 원호면에 걸린다.
삼각대에 있어서, 상술한 삼각대 버튼 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아래와 같은 장점을 가진다.
1.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에 있어서, 삼각대의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각도 걸림 구조, 삼각대의 레그 축 슬리브에 설치되는 버튼 구조 및 지지구조를 포함하고, 버튼 구조는 제1축을 통해 삼각대의 레그 축 슬리브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각도 걸림 구조에 배합될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하고, 버튼은 각도 걸림 구조의 걸림 위치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결합부가 걸림 위치에 결합되어 삼각대의 지지레그의 펼침 각도가 잠금되면 다시 변화되지 않고, 펼침 각도가 잠금되는 상태에서, 지지구조와 버튼이 당접되어 버튼에 지지력을 제공하여, 버튼의 결합부와 걸림 위치의 결합을 지지하고, 지지구조의 지지 부위에서 결합부까지의 연결선까지의 연장선과 지지레그가 각도 걸림 구조가 위치하는 일단의 연장선이 협각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다시 말해서 지지구조가 버튼에 제공하는 지지력의 작용 방향은 지지레그가 각도 걸림 구조가 위치하는 일단의 연장선을 가르키며, 이러한 작용력은 버튼으로 하여금 각도 걸림 구조에 접근하도록 회동하는 추세를 가지도록 하고, 이러한 추세는 버튼의 결합부와 걸림 위치의 결합을 더욱 밀접하게 하며, 결합부와 걸림 위치 사이에 헛돌이 및 이탈이 쉽게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지지레그의 지지 안정성이 더욱 강하며, 동시에, 지지구조의 조절을 통해, 결합부와 걸림 위치 사이의 결합이 더욱 밀접하고 안정적이게 하고, 각도 걸림 구조의 보조를 통해 결합부에 아래로 누르는 작용력을 인가할 필요가 없어 각도 걸림 구조 자체에 대한 설계 요구 및 구조 강도 요구를 낮추어, 가공 프로세스가 복잡하고 제조 원가가 높은 랫치 휠 구조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삼각대 전체의 생산 원가를 낮추는데 유리하고, 제품의 시장 경쟁력을 제공하였다.
2.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에 있어서, 지지구조는 제1축을 포함하고, 버튼의 결합부가 걸림 위치에 결합 시, 제1축의 축선에서 결합부의 연결선까지의 연장선과 지지레그의 각도 걸림 구조가 위치하는 일단을 향하는 연장선은 협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버튼은 제1축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왕복 회동을 진행할 뿐만 아니라, 더욱 제1축을 지지구조로 하여, 결합부가 걸림 위치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축은 버튼을 지지하여, 버튼이 각도 걸림 구조에 접근하도록 회동하는 추세를 가지도록 하고, 이러한 추세는 버튼의 결합부와 걸림 위치의 결합을 더욱 밀접하게 하며, 결합부와 걸림 위치 사이에 헛돌이, 이탈이 쉽게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지지레그의 지지 안정성이 더욱 강하며, 그 다음, 제1축을 지지구조로 하여, 기존 구조의 작용력 상태를 변경하여 버튼의 사용 성능을 향상시키고, 단독으로 하나의 부품을 지지구조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버튼의 구조설계의 컴팩트화, 간소화에 유리하고 제품이 더욱 간단하고 고급스럽도록 하며, 다시, 제1축을 지지구조로 사용하여, 제1축의 축선에서 결합부의 연결선까지의 연장선과 지지레그의 각도 걸림 구조가 위치하는 일단을 향하는 연장선이 협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출원인의 원래 설계에 비해 버튼의 회동 중심을 높힌 것에 해당되며, 일면으로는 버튼이 레그 축 슬리브보다 돌출된 높이를 줄여, 버튼이 레그 축 슬리브 내에 더 깊게 진입하도록 하여, 외형이 더욱 미적이고, 제품의 통합성이 더욱 강하며, 다른 한면으로는, 버튼이 잠금과 해제의 두가지 상태에서의 전환 시 회동폭을 감소시켜, 유저가 버튼을 눌러 더 작은 각도를 회동하는 것을 통해 버튼 상태의 전환을 실현할 수 있고, 더욱 수월하고, 조작 촉감이 더욱 우수하다.
3.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에 있어서, 결합부는 버튼이 각도 걸림 구조를 향하는 일단이 아래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결합부의 작용력 방향을 개선하는데 유리하고 결합부와 각도 걸림 구조의 배합이 더욱 용이하도록하여, 나아가 헛돌이, 이탈을 방지하고, 버튼 결합부의 절곡부위는 원호형으로 변환하여, 촉감이 매끄럽고, 손이 쉽게 배기지 않는다.
4.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에 있어서, 버튼 구조는 레그 축 슬리브에 고정 설치되는 버튼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버튼은 상기 제1축을 통해 버튼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버튼은 버튼 베이스에 대해 회동하여, 각도 걸림 구조와의 결합 및 각도 걸림 구조에서 이탈하는 상태사이의 전환을 실현하였다.
5.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에 있어서, 버튼에 버튼이 회동 과정에서 버튼 베이스에 맞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릴리프 공간이 성형되어 있고, 특히 버튼이 각도 걸림 구조에서 이탈되어 각도 걸림 구조에 결합하는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버튼이 제1축을 중심으로 각도 걸림 구조에 접근하는 방향을 향해 회동하여, 버튼의 결합부가 각도 걸림 구조의 걸림 위치에 결합되어, 지지레그 노치의 잠금을 실현하는데, 이러한 회동 과정에서, 릴리프 공간이 성형되어 있기에, 버튼이 각도 걸림 구조에서 멀어지는 일측의 측면은 줄곧 버튼 베이스에 맞닿지 않아, 버튼 베이스가 버튼 해당측의 하부에 접하는 것을 방지하고, 버튼에 반대방향 작용력을 인가하며, 버튼 하부에서 결합부의 연결선까지의 연장선과 지지레그의 각도 걸림 구조가 위치하는 일단을 향하는 연장선은 서로 교차되지 않고, 다시 말해서 버튼 하부가 받은 버튼 베이스에서 제공하는 지지력은 버튼이 각도 걸림 구조에서 멀어지도록 향하는 추세를 가지도록 하여, 버튼의 결합부와 걸림 위치의 결합 안정에 불리하다.
6.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에 있어서, 결합부와 걸림 위치 사이는 면접촉되어, 결합부와 걸림 위치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데 유리하여, 결합부의 작용력의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7.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에 있어서, 리셋 바이어스 구조를 더 포함하고, 리셋 바이어스 구조의 바이어스력이 버튼에 작용하여, 버튼이 각도 걸림 구조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리셋되도록 하며, 리셋 바이어스 구조의 설치는 버튼이 누름 구동 또는 기타 부품의 푸시를 받을 경우, 리셋 바이어스 구조의 바이어스력의 작용 하에, 더욱 신속하게 일차적으로 각도 걸림 구조와의 결합을 완료하여, 리셋이 더욱 신속하고 수월하다.
8.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에 있어서, 버튼의 결합부가 각도 걸림 구조의 걸림 위치에 결합 시, 지지구조의 지지 부위에서 결합부까지의 연결선과 리셋 바이어스 구조의 바이어스력이 존재하는 직선의 협각은 예각이고, 이러한 설치는 리셋 바이어스 구조가 버튼에 작용력을 인가하여 버튼이 각도 걸림 구조에 접근하도록 회동하는 추세를 가지도록 하여, 결합부와 걸림 위치의 밀접한 결합에 유리하여, 헛돌이, 이탈을 더욱 방지한다.
9.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에 있어서, 버튼 자동 복귀 구조의 설치는 트리거부와 블록킹부의 저촉을 빌려, 손으로 누를 필요 없이 지지레그가 위로 회동하는 것을 통해 버튼의 결합부가 걸림 위치에서 자동으로 이탈하도록 할 수 있어, 지지레그의 위로 접힘 또는 아래로 단계적 걸림 또는 아래로 접힘에 편이하다.
10.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에 있어서, 트리거부는 스트립형이고, 트리거부가 블록킹부의 푸시를 받아 버튼의 리셋을 이끄는데 유리하다.
11.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에 있어서, 블록킹부는 각도 걸림 구조가 지지레그를 따라 펼쳐지는 방향에서의 제1 걸림 위치이고, 단독으로 블록킹부를 설치할 필요없이, 제1 걸림 위치를 이용하여 블록킹부를 형성하여, 버튼 기구 전체 구조의 간소화 및 컴펙트화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트리거부와 제1 걸림 위치가 저촉된 후, 버튼이 자동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지지레그가 위로 접힐 수 있다.
12.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에 있어서, 각도 걸림 구조는 이형 기어이고, 톱니는 이형 기어의 방사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이러한 이형 기어는 밀링 커터로 각 톱니를 일일히 절삭할 필요가 없이, 선반 세공 방식을 통해 일차적으로 모든 톱니의 성형을 완성하여, 가공 프로세스가 간단하고, 제조 원가가 낮으며, 삼각대의 제조 원가를 낮추는데 유리하다.
13.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에 있어서, 이형 기어의 톱니의 치형은 원호형 치형이고, 버튼의 결합부와 면접촉을 형설할 수 있어, 톱니와 결합부의 접촉면적을 증가하는데 유리하며, 톱니의 작용력의 균일성을 향상시키고 헛돌이를 더욱 방지한다.
14.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에 있어서, 톱니의 치단 부위는 원호형으로 변환되어, 유저가 쉽게 긁히지 않고, 더욱 안전하고 편이하며, 결합부가 원형치에 결합되어, 노치 전환 과정에서, 결합이 더욱 용이하고 소음이 더욱 작다.
15.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에 있어서, 이형 기어의 탑부는 원호면을 이루고, 트리거부가 블록킹부에 저촉된 후, 버튼의 결합부는 버튼 자동 복귀 구조의 작용을 받아, 원호면에 걸려, 버튼의 결합부와 이형 기어의 원호면의 배합이 더욱 원활하여, 버튼의 리셋 과정에서의 소음을 줄인다.
16.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삼각대에 있어서, 상술한 삼각대 버튼 기구를 포함하고, 지지레그의 잠금 상태에서 헛돌이, 이탈이 쉽게 발생하지 않고, 지지레그의 지지 안정성이 높으며, 제조 원가가 낮고, 제품의 구조가 간결하고 미적이며 조작이 수월하고 시장 경쟁력이 대폭 향상되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 또는 기존 기술의 기술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구체적인 실시형태 또는 기존 기술의 설명에 필요한 도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되, 이하 설명 중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이고,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창조적인 작업을 거치지 않는 전제 하에 이러한 첨부 도면을 통해 기타의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공한 삼각대 버튼 기구가 장착된 삼각대의 사시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삼각대의 분해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버튼 구조와 각도 걸림 구조의 결합 상태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삼각대의 3개의 지지레그가 접힌 사시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삼각대의 지지레그가 제1 걸림 위치에 고정된 사시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삼각대의 버튼이 걸림 위치 구조 부위가 펼침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 걸린 삼각대의 사시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삼각대의 지지레그가 트리거부와 블록킹부(즉 제1 걸림 위치)가 접촉하도록 회동한 삼각대의 사시 구조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낸 삼각대의 블록킹부가 트리거부에 대한 반작용력이 버튼이 걸림 구조가 버튼에 대한 걸림의 유지를 해제하도록 회동한 삼각대의 사시 구조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낸 삼각대의 지지레그가 수직으로 위로 접힌 사시 구조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낸 삼각대의 지지구조의 지지 부위(제1축의 축선)에서 결합부의 연결선까지의 연장선과 지지레그의 각도 걸림 구조가 위치한 일단을 향하는 연장선이 이루는 협각의 설치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낸 삼각대의 지지구조의 지지 부위에서 결합부까지의 연결선과 리셋 바이어스 구조의 바이어스력이 존재하는 직선의 협각이 예각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되,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이고, 전부 실시예가 아닌 것은 명확히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창조적인 작업을 거치지 않는 전제 하에서 얻을 수 있는 기타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용어 "중심", "상", "하", "좌", "우", "수직", "수평", "내", "외" 등이 가리키는 방향 또는 위치관계는 도면에 나타낸 방향 또는 위치관계에 기초한 것이고, 본 발명의 설명 및 간단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가리키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 방향을 향하거나, 특정 방향 구조로 특정 작업을 진행하는 것을 가리키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기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 된다. 그 외, 용어 "제1", "제2", "제3"은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일 뿐이고, 상대적 중요성을 가리키거나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따로 명확한 규정 또는 한정을 진행하지 않는 한, 용어 "설치", "연속", "연결" 등은 일반화로 이해해야 하고, 예를 들어 고정 연결될 수 있고, 분해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물리적 연결 또는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고, 직접 연결 또는 중간 매개체를 통한 간접적 연결일 수 있고, 두개 소자 내부의 연통일 수 있고, 무선 연결 또는 유선 연결일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구체적인 상황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의미로 상기 용어를 해석할 수 있다.
그 외,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관한 기술특징은 그 구성이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공한 삼각대 버튼 기구가 장착된 삼각대의 사시 구조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삼각대의 분해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버튼 구조와 각도 걸림 구조의 결합 상태의 종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삼각대의 3개의 지지레그가 접힌 사시 구조 개략도이며,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삼각대의 지지레그가 제1 걸림 위치에 고정되는 사시 구조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삼각대의 버튼이 걸림 위치 구조 부위가 펼침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 걸린 삼각대의 사시 구조 개략도이며,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삼각대의 지지레그가 트리거부와 블록킹부(즉 제1 걸림 위치)가 접촉하도록 회동한 삼각대의 사시 구조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1에 나타낸 삼각대의 블록킹부가 트리거부에 대한 반작용력이 버튼이 걸림 구조가 버튼에 대한 걸림의 유지를 해제하도록 회동한 삼각대의 사시 구조 개략도이며, 도 9는 도 1에 나타낸 삼각대의 지지레그가 수직으로 위로 접힌 사시 구조 개략도이고, 도 10은 도 1에 나타낸 삼각대의 지지구조의 지지 부위(제1축의 축선)에서 결합부의 연결선까지의 연장선과 지지레그의 각도 걸림 구조가 위치한 일단을 향하는 연장선이 이루는 협각의 설치의 개략도이며, 도 11은 도 1에 나타낸 삼각대의 지지구조의 지지 부위에서 결합부까지의 연결선과 리셋 바이어스 구조의 바이어스력이 존재하는 직선의 협각이 예각인 개략도이다. 도 1-3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에에서 제공한 삼각대 버튼 기구는 삼각대의 본체(1)에 고정 설치된 각도 걸림 구조(2) 및 삼각대의 레그 축 슬리브(3)에 장착되고, 상기 각도 걸림 구조(2)의 걸림 위치에 결합된 후 삼각대의 지지레그(20)를 잠금하는 버튼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 구조는 제1축(9)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상기 레그 축 슬리브(3)에 설치된 버튼(4) 및 그 바이어스력이 상기 버튼(4)에 작용하는 리셋 바이어스 구조를 포함하며, 또 상기 레그 축 슬리브(3)에 설치되고, 상기 각도 걸림 구조(2)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각도 걸림 구조(2)에 상대적으로 설치되는 걸림 유지 구조(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4)의 누름부(8)가 각도 걸림 구조(2)의 상단을 향해 아래로 절곡되어 상기 각도 걸림 구조(2)의 대응 걸림 위치에 결합되는 결합부(6)를 형성하며, 절곡 부위는 원호형으로 변환되고, 상기 누름부(8)의 상단에 대응되는 하단에 저촉부(7)가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8)의 하단이 눌리우면, 상기 결합부(6)가 상기 걸림 위치를 이탈하여, 상기 저촉부(7)와 상기 걸림 유지 구조(5)가 결합된다.
지지구조를 더 포함하고, 제1축(9)이며, 지지레그(20)의 펼침 각도를 잠금하는 상태에서, 제1축(9)은 버튼(4)에 당접하여, 버튼(4)에 지지력을 제공하고, 지지버튼(4)의 결합부(6)는 걸림 위치에 결합되며, 제1축(9)의 지지 부위에서 결합부(6)의 연결선까지의 연장선과 지지레그(20)의 각도 걸림 구조(2)가 위치하는 일단을 향하는 연장선이 협각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다시 말해서 제1축(9)이 버튼(4)에 제공하는 지지력의 작용 방향은 지지레그(20)의 각도 걸림 구조(2)가 위치하는 일단을 향하는 연장선을 가르킨다.
버튼(4)은 제1축(9)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왕복 회동을 진행할뿐만 아니라, 더욱 제1축(9)을 지지구조로 하고, 결합부(6)가 걸림 위치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축(9)은 버튼(4)에 지지력을 제공하여, 버튼(4)이 각도 걸림 구조(2)에 접근하도록 회동하는 추세를 가지도록 하고, 이러한 추세는 버튼(4)의 결합부(6)와 걸림 위치의 결합을 더욱 밀접하게 하며, 결합부(6)와 걸림 위치 사이에 헛돌이, 이탈이 쉽게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지지레그(20)의 지지 안정성이 더욱 강하며, 그 다음, 제1축(9)을 지지구조로 하는 것은 기존 구조의 작용력 상태를 변경하여 버튼(4)의 사용 기능을 향상시키고, 단독으로 하나의 부품을 지지구조로 설치할 필요가 없이, 버튼(4) 구조의 설계의 컴팩트화, 간소화에 유리하여 제품이 더욱 간단하고 고급스럽도록 하고, 그 외, 제1축(9)을 지지구조로 이용하여, 제1축(9)의 축선에서 결합부(6)의 연결선까지의 연장선과 지지레그(20)의 각도 걸림 구조(2)가 위치하는 일단을 향하는 연장선이 협각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출원인의 원래 설계에 비해 버튼(4)의 회동중심을 높힌 것에 해당되며, 일면으로는 버튼(4)이 레그 축 슬리브(3)보다 돌출된 높이를 줄이는데 유리하여, 버튼(4)이 레그 축 슬리브(3) 내에 더 깊게 진입하여, 외형이 더욱 미적이고, 제품의 통합성이 더욱 강하며, 다른 면으로는, 버튼(4)이 잠금과 해제의 두가지 상태 사이의 전환하는 회동폭을 줄이고, 유저가 버튼(4)을 눌러 더 작은 각도를 회동하는 것을 통해 버튼(4) 상태의 전환을 실현할 수 있어, 더욱 수월하고, 조작 촉감이 더욱 우수하다.
상기 바이어스력의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의 제1단은 상기 버튼(4)에 연결되고, 제2단은 상기 레그 축 슬리브(3)에 활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버튼(4)이 외력의 작용 하에 상기 제1축(9)을 중심으로 순시침 또는 역시침 방향으로 회동 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버튼(4)에 의해 구동되어 동일 평면 내에서 상기 가이드의 제2단의 활동 연결 부위의 주위를 역시침 또는 순시침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리셋 바이어스 구조는 상기 바이어스력 방향이 상기 제2단의 활동 연결부위에서 상기 제1단의 연결 부위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상기 가이드에 설치된다.
걸림 유지 구조(5)의 설치를 통해, 버튼(4)의 결합부(6)가 걸림 위치에서 이탈한 후, 저촉부는 걸림 유지 구조(5)에 결합되고, 리셋 바이어스 구조에 의해 제공되는 바이어스력의 작용 하에 저촉부가 걸림 유지 구조(5) 부위에 유지되도록 하며, 버튼(4)의 결합부(6)가 걸림 위치에서 이탈의 상태가 잠금되기에, 이를 통해 유저는 용이하게 지지레그(20)를 필요한 노치에 조절한 후, 누름부(8)의 상단을 눌러, 버튼(4)이 회동하여 원위치로 회복하도록 할 수 있고, 버튼(4)의 결합부(6)가 대응되는 걸림 위치에 재차 결합하여 지지레그(20)를 당해 걸림 위치에 잠금함으로써, 사용이 매우 간편하고, 편하며, 시간을 절약하고 수월하다. 동시에 버튼(4)과 연동하는 가이드는 그 일단이 버튼(4)에 연결되고, 회동 방향이 버튼(4)의 회동 방향과 항상 반대되기에, 오직 하나의 리셋 바이어스 구조를 사용하여 버튼(4)의 회동 과정 중의 여러가지 상태에 프리텐션력을 제공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결합부(6)가 대응되는 걸림 위치에 결합 시, 바이어스력은 버튼(4)에 작용함으로써 결합부(6)와 걸림 위치가 밀접하도록 하며, 저촉부가 걸림 유지 구조(5)에 결합 시, 바이어스력은 버튼(4)에 작용함으로써 저촉부와 걸림 유지 구조(5)가 밀접하도록 하여, 본 발명의 삼각대 기구는 간단하고 컴팩트하도록 하고, 원가가 더욱 낮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일단에 축홀이 성형되어 있고, 타단에 스트립홀(11)이 성형되어 있으며, 스트립홀(11)의 길이방향은 상기 축홀을 가르키고, 상기 가이드는 제2축(12)을 통해 상기 축홀을 관통하며, 상기 가이드의 상기 제1단은 상기 버튼(4)에 연결되고, 제3축(13)을 통해 상기 스트립홀(11)을 관통하며, 상기 가이드의 상기 제2단을 상기 레그 축 슬리브(3)에 활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바이어스력의 방향은 상기 제3축(13)의 축심을 따라 상기 제2축(12)의 축심방향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셋 바이어스 구조가 스프링(14)이고, 상기 가이드는 고정핀이며, 상기 스프링(14)은 상기 고정핀(10)에 슬리브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제2축(12)에 저촉되고, 타단은 상기 제3축(13)에 저촉되어 설치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버튼(4)의 단부에 장착홈(15)이 성형되어 있고, 상기 고정핀(10)에 상기 축홀이 마련되어 있는 일단은 상기 장착홈(15) 내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핀(10)에 상기 스트립홀(11)이 마련되어 있는 타단은 상기 버튼(4) 밖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축(12)의 양단은 각각 상기 장착홈(15)의 두 상대 측벽에 연결되며, 이러한 구조는 구조를 간단하고 컴팩트하도록 할뿐만 아니라, 버튼(4)과 가이드 사이의 연동을 더욱 안정적이게 한다.
상기 버튼(4)이 상기 걸림 유지 구조(5) 로부터 자동 복귀하도록 하는 버튼 자동 복귀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 자동 복귀 구조는 상기 버튼(4)이 상기 각도 걸림 구조(2)를 향하는 일측 측면에 성형된 트리거부(16) 및 상기 각도 걸림 구조에 마련된 블록킹부(17)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4)이 상기 지지레그를 따라 펼쳐지는 과정에서, 상기 블록킹부(17)가 상기 트리거부(16)에 반작용하는 토크는 상기 바이어스력이 상기 버튼(4)에 작용하는 토크보다 크며, 양자의 방향이 서로 반대됨으로써, 블록킹부(17)를 통해 상기 버튼(4)이 상기 바이어스력을 극복할 수 있도록 막아, 상기 버튼의 누름부(8)가 상기 각도 걸림 구조(2) 방향을 따라 회동하여 리셋되어, 버튼(4)의 저촉부(7)가 상기 걸림 유지 구조(5)와 분리되며, 버튼(4)의 결합부(6)는 각도 걸림 구조(2)의 상부 원호면에 밀접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트리거부(16)는 버튼의 철각으로 성형될 수 있다.
트리거부(16)는 스트립형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튼(4)의 결합부(6)가 각도 걸림 구조(2)의 걸림 위치에 결합 시, 지지구조의 지지 부위에서 결합부(6)까지의 연결선과 리셋 바이어스 구조의 바이어스력이 존재하는 직선의 협각은 예각이고, 이러한 설치는 리셋 바이어스 구조가 버튼(4)에 인가되는 작용력이 버튼(4)으로 하여금 각도 걸림 구조(2)에 접급하도록 회동하는 추세를 가지게 하며, 결합부(6)와 걸림 위치의 밀접한 결합을 강화시키는데 유리하고, 헛돌이, 이탈을 더욱 방지한다.
전체적인 구조가 더욱 간단하고 컴팩트하게 하기 위해, 상기 블록킹부(17)는 상기 각도 걸림 구조(2)의 제1 걸림 위치로 형성된다.
상기 저촉부(7)는 돌출부이고, 상기 걸림 유지 구조(5)는 상기 레그 축 슬리브(3)의 계단면에 성형되어 형성된다. 레그 축 슬리브의 가공 성형 및 버튼 구조의 장착에 편이하기 위해, 상기 레그 축 슬리브(3)에는 버튼 베이스(18)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버튼 구조는 상기 버튼 베이스(18)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튼 베이스(18)는 저면 및 상기 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두개의 대치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 베이스(18)의 저면은 상기 레그 축 슬리브(3)의 단면에 접촉 연결되며, 상기 제1축(9)의 양단, 상기 제3축(13)의 양단은 모두 각각 상기 버튼 베이스(18)의 두개의 대치하는 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계단면은 상기 버튼 베이스(18)의 단부와 상기 레그 축 슬리브(3)의 단면에 의해 형성된다.
버튼(4)에는 버튼(4)이 회동 과정에 버튼 베이스(18)에 맞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릴리프 공간이 성형되어 있고, 릴리프 공간은 각도 걸림 구조(2)에서 멀어지는 버튼(4) 일측의 측면에 개설된 원호형 갭(23)이며, 특히 버튼(4)이 각도 걸림 구조(2)에서 이탈하여 각도 걸림 구조(2)에 결합하는 상태로의 전환 과정에서, 버튼(4)은 제1축(9)을 중심으로 각도 걸림 구조(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버튼(4)의 결합부(6)가 각도 걸림 구조(2)의 걸림 위치에 결합되어, 지지레그(20) 노치의 잠금을 실현하는바, 이러한 회동 과정에서, 릴리프 공간이 성형되어 있어, 각도 걸림 구조(2)에서 멀어지는 버튼(4) 일측의 측면은 줄곧 버튼 베이스(18)에 맞닿지 않기에, 버튼 베이스(18)와 버튼(4)의 해당 측의 하부가 저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버튼(4)에 반작용력을 인가하며, 버튼(4) 하부에서 결합부(6)의 연결선까지의 연장선과 지지레그(20)의 각도 걸림 구조(2)가 위치하는 일단을 향하는 연장선이 교차되지 않고, 다시 말해서 버튼(4) 하부가 받는 버튼 베이스(18)에서 제공하는 지지력이 버튼(4)으로 하여금 각도 걸림 구조(2)에서 멀어지도록 회동하는 추세를 가지게 하여, 버튼(2)의 결합부(6)와 걸림 위치의 안정적인 결합에 불리하다.
본 실시예의 각도 걸림 구조(2)는 이형 기어이고, 기어의 방사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톱니(24)를 구비하며, 이러한 이형 기어는 밀링 커터로 각 톱니(24)를 일일히 절삭할 필요가 없이, 선반 세공 방식을 통해 일차적으로 모든 톱니(24)의 성형을 가공 완료하며, 가공 프로세스가 간단하고, 제조 원가가 낮으며, 삼각대의 제조 원가를 낮추는데 유리하다.
이형 기어의 톱니(24)의 치형은 원호형 치형이고, 결합부(6)가 이형 기어에 접촉하는 부위는 평면이며, 트리거부(16)와 제1 걸림 위치가 접촉하는 부위는 평면이고, 평면과 평면의 저촉 배합을 통해,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작용력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며, 헛돌이를 더욱 방지할 수 있고, 이형 기어의 내구성을 향상시켰다.
이형 기어의 치단(25) 부위는 원호형으로 변환되어, 유저가 쉽게 긁히지 않고, 더욱 안전하고 편이하다.
이형 기어의 탑부(걸림 위치를 마련하지 않은 부위)는 원호면을 이루어, 버튼(4)이 트리거부(16)에서 블록킹부(17)에 당접하여 각도 걸림 구조(2)를 향해 회동 리셋 시, 버튼(4)의 결합부(6)와 이형 기어의 원호면의 배합이 더 원활하여, 리셋 과정에서의 소음을 줄이고, 상기 버튼(4)이 상기 각도 걸림 구조(2) 주위를 간섭없이 180도 회동할 수 있도록 확보하기 위해, 결합부(6)와 트리거부(16) 사이에 오목면(19)을 형성하고, 이형 기어의 저부를 평면으로 마련하여, 버튼(4)의 회동을 간섭하는 것을 피한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삼각대 버튼 기구를 포함하는 삼각대를 더 제공하고, 동작과정은 아래와 같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각대의 지지레그(20)는 수직으로 아래로 접힘 상태에 처해있고, 삼각대 오픈이 필요할 경우, 지지레그(20)를 밖으로 젖혀, 버튼(4)의 결합부(6)가 각도 걸림 구조(2)의 제1 걸림 위치에 결합될 수 있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계속하여, 손가락으로 누름부(8)의 하단을 눌러, 버튼(4)이 스프링의 바이어스력을 극복하며 제1축 주위를 걸림 유지 구조(5) 방향으로 회동하여, 결합부(6)가 제1 걸림 위치에서 이탈하도록 하며, 계속하여 저촉부(7)가 걸림 유지 구조(5)에 접촉하며, 이와 동시에, 스프링(14)의 바이어스력 방향이 고정핀의 회동을 따라 변화되고, 스프링(14)의 바이어스력 방향이 버튼(4)을 막아 저촉부(7)가 걸림 유지 구조(5)에 밀접하도록 하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이 때 버튼은 걸림 유지 구조(5)에 유지되고, 지지레그(20)를 필요한 걸림 위치까지 용이하게 조절한 후, 다시 누름부(8)의 상단을 눌러, 버튼(4)이 제1축(9) 주위를 각도 걸림 구조(2) 방향으로 회동하여, 저촉부(7)가 걸림 유지 구조(5)에서 이탈하도록 하며, 계속하여 결합부(6)가 각도 걸림 구조(2) 상의 선택된 걸림 위치에 결합되고, 이와 동시에, 스프링(14)의 바이어스력 방향이 고정핀의 회동에 따라 변하고, 스프링(14)의 바이어스력 방향이 버튼(4)을 막아 결합부(6)가 대응되는 걸림 위치에 밀접하도록 변경된다.
물론, 버튼(4)이 걸림 유지 구조(5)에 유지될 경우, 버튼 자동 복귀 구조를 통해 자동 복귀할 수 있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속 밖으로 지지레그(20)를 젖혀, 트리거부(16)와 블록킹부(17)(본 실시예에서 제1걸림부가 블록킹부(17)로 작용함)가 당접하기만 하면, 버튼은 각도 걸림 구조 방향으로 회동하며, 저촉부(7)는 걸림 유지 구조(5)에서 이탈하고, 트리거부(16)는 블록킹부(17)와 분리하여,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이때, 지지레그(20)를 젖혀 수직으로 위로 접힘 상태에 이르도록 하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다.
위로 접힘 상태에 처한 지지레그(20)는 오픈이 필요할 경우, 직접 아래로 지지레그(20)를 젖혀, 버튼의 결합부(6)가 각도 걸림 구조(2)의 원호면을 따라 제3걸림 위치에 슬라이딩하고, 지지레그는 제3걸림 위치 부위에 고정되며, 계속 안으로 젖혀, 결합부(6)가 차례로 제2걸림 위치, 제1 걸림 위치에 슬라이딩하며, 지지레그(20)는 선후로 제2걸림 위치, 제1 걸림 위치에 고정되며, 지지레그(20)가 최종 수직으로 아래로 접혀지며, 접힘이 매우 편리하고 수월하다.
실시예 1의 대체가능한 실시형태로서, 버튼이 각도 걸림 구조에서 이탈하여 각도 걸림 구조에 결합되는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버튼은 제1축을 중심으로 각도 걸림 구조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버튼의 결합부가 각도 걸림 구조의 걸림 위치에 결합되어, 지지레그 노치의 잠금을 실현하고, 버튼이 각도 걸림 구조에서 멀어지는 일측의 측면의 상부가 버튼 베이스에 맞닿으며, 당해 상부에서 결합부의 연결선까지의 연장선과 지지레그의 각도 걸림 구조가 위치하는 일단을 향하는 연장선이 협각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구조를 형성하며, 유의해야 할 점은 당해 상부는 버튼이 전환 과정에서의 회동을 간섭하지 않는다.
실시예 1의 대체가능한 실시형태로서, 결합부는 버튼이 각도 걸림 구조를 향한 일단이 위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절곡 부위는 원호형으로 변환하거나 또는 꺾은선으로 변환한다.
실시예 1의 대체가능한 실시형태로서, 릴리프 공간은 버튼이 각도 걸림 구조에서 멀어지는 일측의 측면에 임의의 형상으로 개설된 노치이다.
실시예 1의 대체가능한 실시형태로서, 이형 기어의 톱니의 잇면은 평면이다.
실시예 1의 대체가능한 실시형태로서, 이형 기어의 톱니의 잇면은 평면이고, 톱니의 치단과 잇면은 매끄럽게 변환한다.
실시예 1의 대체가능한 실시형태로서, 결합부와 톱니의 잇면, 트리거부와 톱니의 잇면 사이의 접촉은 포인트 접촉, 선 접촉, 면 접촉 중의 임의의 한가지이다.
실시예 1의 대체가능한 실시형태로서, 트리거부는 시트형 또는 고리형 또는 기타 버튼의 회동을 간섭하지 않는 임의의 형상이다.
실시예 1의 대체가능한 실시형태로서, 블록킹부는 제1 걸림 위치 하부에 성형된 돌출부이다.
실시예 1의 대체가능한 실시형태로서, 각도 걸림 구조는 세가지 걸림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인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걸림 위치를 설계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에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이고 실시형태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닌 것은 분명하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상술한 설명의 기초 하에 기타 다른 형태의 변화 및 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모든 실시형태에 대해 나열할 수 없고 나열할 필요가 없다. 단 이로부터 끌어낸 명백히 알 수 있는 변화 또는 변경은 여전히 본 발명의 창조 보호범위 내에 속한다.
1: 본체 2: 각도 걸림 구조
3: 레그 축 슬리브 4: 버튼
5: 걸림 유지 구조 6: 결합부
7: 저촉부 8: 누름부
9: 제1축 10: 고정핀
11: 스트립홀 12: 제2축
13: 제3축 14: 스프링
15: 장착홈 16: 트리거부
17: 블록킹부 18: 버튼 베이스
19: 오목면 20: 지지레그
21: 연결축 22: 연결축 나사
23: 원호형 갭 24: 톱니
25: 치단

Claims (17)

  1. 삼각대의 본체(1)에 고정 설치되는 각도 걸림 구조(2)와;
    제1축(9)을 통해 상기 삼각대의 레그 축 슬리브(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도 걸림 구조(2)의 걸림 위치에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걸림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삼각대의 지지레그(20)의 펼침 각도를 잠금하는 결합부(6)를 포함하는 버튼(4)을 구비하는 버튼(4)구조;를 포함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축이 지지구조로서 작동하고,
    상기 결합부(6)가 상기 걸림 위치에 결합 시, 상기 지지구조가 상기 버튼(4)에 당접하고,
    상기 제1축(9)에서 상기 결합부(6)로의 방향을 따르는 상기 제1축의 축선과 상기 결합부(6) 사이의 연결선의 연장선과 상기 지지레그(20)의 상기 각도 걸림 구조(2)가 위치하는 일단을 향하는 축의 연장선이 협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버튼(4)에 상기 버튼(4)이 상기 각도 걸림 구조(2)에 접근하도록 회동하는 추세를 향하는 작용력을 인가하는 지지구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버튼(4) 구조는 레그 축 슬리브(3)에 고정 설치되는 버튼 베이스(18)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4)은 상기 제1축(9)을 통해 상기 버튼 베이스(18)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버튼(4)에 회동 과정에서 상기 버튼(4)이 상기 버튼 베이스(18)에 맞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릴리프 공간이 성형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도 걸림 구조(2)에서 멀어지는 버튼(4) 일측의 측면이 상기 버튼 베이스(18)에 맞닿지 않기에 버튼 베이스(18)가 버튼(4)의 해당 측면의 하단에 저촉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6)가 상기 걸림 위치에 결합 시, 상기 제1축(9)의 축선에서 상기 결합부(6)의 연결선까지의 연장선과 상기 지지레그(20)의 상기 각도 걸림 구조(2)가 위치하는 일단을 향하는 연장선은 협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6)는 상기 버튼(4)이 상기 각도 걸림 구조(2)를 향하는 일단이 아래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절곡 부위는 원호형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공간은 상기 버튼(4)이 상기 각도 걸림 구조(2)에서 멀어지는 일측의 측면에 개설된 원호형 갭(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6)와 상기 걸림 위치 사이는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바이어스력이 상기 버튼(4)에 작용하여, 상기 버튼(4)이 상기 각도 걸림 구조(2)에 결합하는 방향을 향해 리셋하도록 하는 리셋 바이어스 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6)가 상기 걸림 위치에 결합 시, 상기 지지구조의 지지 부위에서 상기 결합부(6)까지의 연결선과 상기 리셋 바이어스 구조의 바이어스력이 존재하는 직선의 협각은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4)이 상기 지지구조 부위에서 자동 복귀하도록 하고, 상기 버튼(4)이 상기 각도 걸림 구조(2)를 향하는 일측의 측면에 성형되는 트리거부(16) 및 상기 각도 걸림 구조(2)에 설치되는 블록킹부(17)를 구비하는 버튼 자동 복귀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레그(20)가 펼쳐지는 과정에서, 상기 블록킹부(17)가 상기 트리거부(16)에 반작용하는 토크는 상기 바이어스력이 상기 버튼(4)에 작용하는 토크보다 크며, 양자의 방향이 서로 반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부(16)는 스트립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킹부(17)는 상기 지지레그(20)가 펼쳐지는 방향에서의 상기 각도 걸림 구조(2)의 제1 걸림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걸림 구조(2)는 이형 기어이고, 상기 이형 기어는 상기 이형 기어의 방사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톱니(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24)의 치형은 원호형 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24)의 치단(25) 부위는 원호형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기어의 탑부는 원호면을 이루고, 상기 트리거부(16)가 상기 블록킹부(17)에 저촉된 후, 상기 버튼(4)의 결합부(6)는 상기 버튼 자동 복귀 구조의 작용을 받아 상기 원호면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대 버튼 기구.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삼각대 버튼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대.
KR1020197023215A 2017-07-28 2017-08-01 삼각대 버튼 기구 및 삼각대 KR1022032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632425.8 2017-07-28
CN201710632425.8A CN107270073B (zh) 2017-07-28 2017-07-28 三脚架按钮机构及三脚架
PCT/CN2017/095397 WO2019019202A1 (zh) 2017-07-28 2017-08-01 三脚架按钮机构及三脚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333A KR20190103333A (ko) 2019-09-04
KR102203236B1 true KR102203236B1 (ko) 2021-01-14

Family

ID=60074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215A KR102203236B1 (ko) 2017-07-28 2017-08-01 삼각대 버튼 기구 및 삼각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D954787S1 (ko)
EP (1) EP3453938A1 (ko)
JP (1) JP6718508B2 (ko)
KR (1) KR102203236B1 (ko)
CN (1) CN107270073B (ko)
WO (1) WO20190192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230971B1 (hu) * 2016-11-30 2019-06-28 Balázs Kármán Felső tartókengyel háromlábakhoz
USD920421S1 (en) * 2017-06-30 2021-05-25 Guangdong Sirui Optical Co., Ltd. Tripod
US10377321B2 (en) * 2017-10-27 2019-08-13 Google Llc Releasable zero backlash passive locking mechanism for a vehicle mounted rotary camera mast
CN108143348A (zh) * 2018-02-09 2018-06-12 宁波暴黑智能科技有限公司 吸尘器长管
CN109578772A (zh) * 2019-01-05 2019-04-05 深圳市勘察研究院有限公司 一种工程测绘用旋转式支架
CN109578775A (zh) * 2019-01-17 2019-04-05 广东百诺影像科技工业有限公司 一种可反折和倒置使用的三脚架
USD930063S1 (en) * 2019-01-25 2021-09-07 Guangdong Sirui Optical Co., Ltd. Tripod
USD944883S1 (en) * 2019-01-25 2022-03-01 Guangdong Sirui Optical Co., Ltd. Tripod
USD930734S1 (en) * 2019-01-25 2021-09-14 Guangdong Sirui Optical Co., Ltd. Tripod
US10782085B2 (en) 2019-02-15 2020-09-22 Aob Products Company Recoil-reducing firearm shooting rest having tank
US10982806B2 (en) * 2019-05-13 2021-04-20 Peak Design Close-pack, high-aspect-ratio camera tripod
USD911426S1 (en) * 2019-07-23 2021-02-23 Shenzhen Anymore Technology Limited Tripod
US10996017B2 (en) * 2019-09-19 2021-05-04 Andrew AMARAL Quickly deployable tripod
US11841108B2 (en) * 2019-12-17 2023-12-12 Aob Products Company Multi-legged equipment support having leg angle adjustment
US11480290B2 (en) * 2019-12-20 2022-10-25 Really Right Stuff, Llc Travel tripod
DE102020123843A1 (de) * 2020-09-14 2022-03-17 elobau GmbH & Co.KG Bedienhebel mit Kulissensystem
USD962328S1 (en) * 2020-11-13 2022-08-30 Yuzhen Zhong Tripod
CN112728369A (zh) * 2020-12-11 2021-04-30 中山大山摄影器材有限公司 用于摄像器材的吸盘式固定座及其转换组件
USD956128S1 (en) * 2021-01-22 2022-06-28 Yueqing Youyou E-Commerce Co., Ltd. Tripod
CN112856168B (zh) * 2021-03-31 2022-11-15 东莞市洋葱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三脚架
US11988309B1 (en) * 2021-04-28 2024-05-21 EZ Hose LLC Portable hose stand system
CN113332656A (zh) * 2021-06-18 2021-09-03 焦作师范高等专科学校 一种方便携带的体育运动心理教学用辅助装置
WO2023114380A2 (en) * 2021-12-15 2023-06-22 Bushnell Holdings, Inc. Gun-mounted telescoping support stand apparatus
CN114590397A (zh) * 2022-04-18 2022-06-07 成都纵横大鹏无人机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起落架及无人机
US11988322B2 (en) * 2022-06-03 2024-05-21 Braden Hourigan Tripod design and manufacture
USD971996S1 (en) 2022-06-30 2022-12-06 Shenzhen Neewer Technology Co. Ltd Tripod
USD973756S1 (en) 2022-07-11 2022-12-27 Shenzhen Xingyingda Industry Co., Ltd. Tripod
CN115751108B (zh) * 2022-11-28 2023-10-03 东莞意普五金实业有限公司 一种稳定性强的碳纤维三脚架
USD1025190S1 (en) 2023-10-18 2024-04-30 Qiaomei Ma Tripod
CN117166719A (zh) * 2023-11-01 2023-12-05 广东卫兵科技有限公司 一种工程造价安全防护装置
US11986103B1 (en) * 2023-11-03 2024-05-21 Dongsheng Li Portable folding chai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487509U (zh) * 2009-08-19 2010-05-26 吉多思实业(深圳)有限公司 三角架
CN104344171A (zh) * 2014-10-27 2015-02-11 中山市思锐摄影器材工业有限公司 一种三脚架按钮机构
CN105953055A (zh) 2016-07-01 2016-09-21 中山市徕图摄影器材有限公司 一种反折叠三脚架按钮调节锁定结构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7552A (en) * 1979-12-26 1982-03-02 Weidler Charles H Universal tripod for supporting a camera or the like
USD269880S (en) * 1980-08-29 1983-07-26 Slik Tripod Co., Ltd. Camera tripod
US4453686A (en) * 1981-07-21 1984-06-12 Tatsuo Ina Tripod
US4697772A (en) * 1985-11-01 1987-10-06 Slik Tripod Co., Ltd. Universal head for a tripod
USD333479S (en) * 1990-12-17 1993-02-23 Lee Chun-Mao Tripod for a camera
US5213296A (en) * 1992-02-03 1993-05-25 Lee Jin T Structure improved connecting assembly for tripod
US5310145A (en) * 1992-10-19 1994-05-10 Jason Chen Floor lamp tripod stand
JP2696493B2 (ja) 1994-10-19 1998-01-14 ハクバ写真産業株式会社 三脚の開閉機構
IT1309945B1 (it) * 1999-12-06 2002-02-05 Manfrotto Lino & C Spa Treppiede perfezionato, in particolare per impieghi ottici efotografici
DE60211032T2 (de) * 2002-03-28 2006-09-21 Lino Manfrotto + Co. S.P.A. Dreibeinstativ zum tragen von geräten, insbesondere von optischen oder photographischen geräten und dergleichen
JP2004028146A (ja) 2002-06-21 2004-01-29 Nippon Berubon Seiki Kogyo Kk 三脚
JP4114139B2 (ja) 2002-12-11 2008-07-09 株式会社ニイガタマシンテクノ 射出成形機の計量方法
ITPD20030020A1 (it) * 2003-01-30 2004-07-31 Manfrotto Lino & C Spa Piede per supporti ottici o fotografici
ITPD20040005A1 (it) * 2004-01-16 2004-04-16 Lino Manfrotto & Co Spa Treppiede compatto
CN2724048Y (zh) 2004-07-26 2005-09-07 佛山市南海祥旺光学电子制品有限公司 一种可调脚管收展角度的三脚架
CN100565325C (zh) * 2005-09-20 2009-12-02 杨永坚 一种相机三脚架
USD600737S1 (en) * 2007-08-22 2009-09-22 Gitzo S.A. Tripod for photographic apparatuses
CN201187673Y (zh) 2008-04-14 2009-01-28 李�杰 一种按钮式折叠三角架本体结构
US20100019109A1 (en) * 2008-07-24 2010-01-28 Hao Liu Reverse Foldable Camera Tripods
CN201281215Y (zh) * 2008-08-14 2009-07-29 刘昊 可反转折叠的摄影三脚架
CN201250992Y (zh) * 2008-08-26 2009-06-03 陈庆元 自动锁位并可反转折叠的摄影三脚架
USD607037S1 (en) * 2009-01-09 2009-12-29 Lihwa Lee Tripod
CN201547469U (zh) * 2009-11-27 2010-08-11 段柿花 一种按钮式反折叠摄影三脚架
CN201621442U (zh) 2009-12-25 2010-11-03 陈庆元 一种可快速调校角位并能自动复位的三脚架
US8398037B2 (en) * 2010-04-23 2013-03-19 Joseph M. Johnson Equipment support
DE102010025978B4 (de) * 2010-07-02 2013-04-18 FLM GMBH FOTO-, LICHT- UND MEßTECHNISCHES ZUBEHÖR Stativkopf-Anordnung
CN201818978U (zh) * 2010-09-07 2011-05-04 中山市加宝摄影器材有限公司 一种摄影三角架
CN201853045U (zh) * 2010-11-04 2011-06-01 王金祥 可快速折叠的三脚架
WO2012094544A2 (en) 2011-01-05 2012-07-12 Mark Smith System and mechanisms providing an adjustable perch for a wearer of a holder base with device
CN202419076U (zh) 2011-11-18 2012-09-05 陈庆元 一种易调节角度的三脚架
CN202472212U (zh) 2012-01-05 2012-10-03 梁立明 一种易调角度的三脚架
CN102608843B (zh) * 2012-04-16 2014-11-05 威宝摄影器材有限公司 一种可快速拉伸的反折叠相机三脚架
CN102944964B (zh) 2012-11-21 2015-01-14 中山立信摄影器材有限公司 一种摄影支撑架
US9371958B2 (en) * 2013-04-05 2016-06-21 Really Right Stuff, Llc Adjustable equipment support
CN203348864U (zh) 2013-05-24 2013-12-18 石国文 一种摄影三脚架脚管角度调节机构
ITPD20130154A1 (it) * 2013-05-31 2014-12-01 Gitzo Sa Supporto per apparecchiature fotografiche
US9903528B1 (en) * 2014-09-22 2018-02-27 Joshua Terry Hatch Telescoping lock mechanism
CN204176269U (zh) 2014-10-27 2015-02-25 中山市思锐摄影器材工业有限公司 一种三脚架按钮机构
JP6142115B2 (ja) 2015-05-21 2017-06-07 スリック株式会社 三脚
CN205173897U (zh) * 2015-11-23 2016-04-20 乐清市创意影视器材有限公司 一种横置套管及摄影摄像器材支架
JP6686656B2 (ja) 2016-04-14 2020-04-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測位制御方法及び測位機器
USD807421S1 (en) * 2016-10-19 2018-01-09 Xuzhou Bingo Digital Technology Co., Ltd Tripod for a camera
USD907105S1 (en) * 2017-05-02 2021-01-05 Shenzhen Binguo Television Technology Co., Ltd. Tripod
USD920421S1 (en) * 2017-06-30 2021-05-25 Guangdong Sirui Optical Co., Ltd. Tripod
CN207179115U (zh) * 2017-07-28 2018-04-03 广东思锐光学股份有限公司 三脚架按钮机构及三脚架
USD911426S1 (en) * 2019-07-23 2021-02-23 Shenzhen Anymore Technology Limited Trip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487509U (zh) * 2009-08-19 2010-05-26 吉多思实业(深圳)有限公司 三角架
CN104344171A (zh) * 2014-10-27 2015-02-11 中山市思锐摄影器材工业有限公司 一种三脚架按钮机构
CN105953055A (zh) 2016-07-01 2016-09-21 中山市徕图摄影器材有限公司 一种反折叠三脚架按钮调节锁定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27845A (ja) 2019-10-03
EP3453938A4 (en) 2019-03-13
EP3453938A1 (en) 2019-03-13
CN107270073B (zh) 2019-08-23
US10612719B2 (en) 2020-04-07
JP6718508B2 (ja) 2020-07-08
US20190003634A1 (en) 2019-01-03
CN107270073A (zh) 2017-10-20
WO2019019202A1 (zh) 2019-01-31
USD954787S1 (en) 2022-06-14
KR20190103333A (ko) 2019-09-04
US20190003635A1 (en)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3236B1 (ko) 삼각대 버튼 기구 및 삼각대
US8123710B2 (en) Limiting connector for knee brace
US7916462B2 (en) Portable computer with a rotary positioning structure
US20130320160A1 (en) Adjustable supporting device
JP4395530B2 (ja) ファイル用綴じ具
CN207179115U (zh) 三脚架按钮机构及三脚架
US20240157994A1 (en) Vehicle frame and baby stroller
JP2017094069A (ja) 真空掃除機のための伸縮式ワンド
TWI437415B (zh) 手持電子裝置
CN111425493A (zh) 一种锁体及锁组件
CN201554767U (zh) 具有自动闭合功能的滑动旋转枢纽器
JP3222384U (ja) プッシュアウトした後にセルフロッキングできる修正テープ
KR20100132332A (ko) 반자동으로 펼쳐지는 휴대단말기의 외발스탠드
JP6089153B2 (ja) 折り畳みベッド
KR100803521B1 (ko) 절첩식 상다리
CN216158748U (zh) 一种折叠支架及投影仪
JP5524732B2 (ja) レバーハンドル錠
TWM446260U (zh) 掀蓋式觸控螢幕輔助支撐裝置
TWI395452B (zh) 行動電話的滑移式開啟及關閉機構
CN112274035A (zh) 可折叠手柄及锅具
JP3172503U (ja) マウスのシャトルホイールの改良構造
JP5845398B2 (ja) 綴じ具及びファイル
JP3140969U (ja) 弾力式ヒンジ
JPH063288Y2 (ja) ホームごたつ用脚
JP5827767B1 (ja) 把持部短部回動型払拭体保持具及び清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