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324B1 - 타이어, 특히 런플랫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드럼 - Google Patents

타이어, 특히 런플랫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드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324B1
KR102197324B1 KR1020177009913A KR20177009913A KR102197324B1 KR 102197324 B1 KR102197324 B1 KR 102197324B1 KR 1020177009913 A KR1020177009913 A KR 1020177009913A KR 20177009913 A KR20177009913 A KR 20177009913A KR 102197324 B1 KR102197324 B1 KR 102197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drum
contraction
shrinking
s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9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8481A (ko
Inventor
마틴 드 그라프
데이브 파포트
Original Assignee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filed Critical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Priority claimed from PCT/NL2015/050626 external-priority patent/WO2016060560A1/en
Publication of KR20170068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44Drums for manufacturing substantially cylindrical tyre components with cores or beads, e.g. carc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44Drums for manufacturing substantially cylindrical tyre components with cores or beads, e.g. carcasses
    • B29D30/246Drums for the multiple stage building process, i.e. the building-up of the cylindrical carcass is realised on one drum and the toroidal expansion is realised after transferring on anothe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6Accessories or details, e.g. membranes, transfe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2030/201Manufacturing run-flat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6Accessories or details, e.g. membranes, transfer rings
    • B29D2030/2671Holding the layers, e.g. the webs or the plies, in position onto the drum
    • B29D2030/2692Holding the layers, e.g. the webs or the plies, in position onto the drum by using suction means, e.g. vacuum produc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yre Mould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특히 런플랫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제1 수축 섹션(61) 및 제2 수축 섹션(62)을 가진 드럼(1)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 수축 섹션에는 방사상 이동 가능한 수축 표면(71, 73)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중심축에 대해서 수축 표면들을 레벨 위치로부터 드럼이 수축 표면들에서 제1 지름(D1)보다 작은 제2 지름(D2)을 갖는 원주를 가지는 수축 위치로 방사상 안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제1 수축 섹션 및 제2 수축 섹션에 있는 제1 타이어 층(91)과 수축 표면들 사이의 부분 진공을 생성하는 단계; 및 부분 진공의 영향하에서 제1 타이어 층(91)을 수축 위치 내의 수축 표면들 상으로 수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된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드럼(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이어, 특히 런플랫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드럼{METHOD AND DRUM FOR MANUFACTURING A TYRE, IN PARTICULAR A RUN-FLAT TYRE}
본 발명은 타이어, 특히 런플랫(run-flat)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드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런플랫 타이어가 끼워진 차량은 천공 또는 디플레이션(deflation) 후에도 계속 달릴 수 있도록 타이어가 펑크난 상황에서 측벽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런플랫 타이어에는 타이어의 측벽에 지지 부재가 제공된다.
EP 1 847 830 B1은 타이어 블랭크의 제조를 위한 가변 지름 어셈블리 드럼을 개시하고, 이러한 드럼은 큰 두께의 프로파일을 수용하기 위한 구역 내에 축방향으로 배치된 원형의 원통형 홈이 제공된 눕혀진 표면을 가지고, 홈은 탄성 원주식 바디를 포함한다. 드럼이 자신의 최소 지름으로 이동되면, 로드(rod)의 형태인 기계적 수단은 원주식 스톱(stop) 상에서 지지되고 탄성 바디를 방사상 홈의 바닥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며, 그에 따라 드럼의 눕혀진 표면과 탄성 바디의 방사상 외부 표면을 정렬한다. 눕혀진 표면은 이제 실질적으로 내부 층을 수용하기 위한 레벨이다. 드럼이 제2의 더욱 큰 지름으로 이동할 때, 원통형 홈 내의 탄성 바디는 원주식 탄성 텐션의 효과 하에에서 홈의 바닥에 대해 평평해지도록 한다.
WO 2013/079544 A1은 EP 1 847 830 B1의 어셈블리 드럼과 유사한 가변 지름 어셈블리 드럼을 개시한다. 이러한 어셈블리 드럼은, 드럼이 제1 위치결정 지름으로 설정될 때 수용 표면과 슬리브의 방사상 외부 표면을 정렬하도록 이동 가능한 조각에 대해서 방사상 이동 가능하며 드럼이 제1 위치결정 지름보다 큰 위치결정 지름으로 설정될 때 회복력 있는 원주식 텐션에 의해 홈의 베이스와 결합하는 푸시 부재에 의해 홈의 바닥으로부터 방사상 이격되는 회복력 있는 원주식 슬리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형 홈을 포함하는 눕혀진 표면을 구비한다.
JP 2010-052181 A는 시트형 내부 라이너 고무가 드럼 바디의 외부 주변 표면 둘레에 감기는, 런플랫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후속하여 측면-강화 고무 스트립이 원통형 제품을 형성하기 위해서 내부 라이너의 측벽에 상응하는 영역들의 쌍의 각각의 둘레에 감긴다. 원주식 홈들의 쌍은 외부 주변 표면에 형성된다. 드럼 바디는 측면 강화 고무로 강화되는 원통형 제품의 부분이 원주형 홈 내에 가라앉도록 팽창된다.
전술된 모든 종래기술에서, 내부 라이너는 제1 지름으로부터 그보다 큰 제2 지름으로 어셈블리 드럼의 팽창을 이용하여 뚜렷하게 스트레치되는 동시에 홈에서 내부 라이너가 홈 내로 강제로 당겨진다. 내부 라이너의 스트레칭은 내부 라이너가 변형되고 예상치 못하게 행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당한 스트레칭으로부터 홈에서의 당김으로의 전이에서 불규칙성이 발생할 수 있다. 불규칙성은 내부 라이너의 균일성 및 이러한 내부 라이너의 상단 상에 배치된 임의의 후속하는 타이어 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특히 홈이 대칭적이지 않거나 홈이 자신의 단면에 날카롭거나 돌출된 각도를 갖는 경우에 내부 라이너가 홈 안으로 완전히 당겨지는 것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내부 라이너가 홈 내로 완전히 당겨지지 않으면, 원주에서의 차이는 EP 1 847 830 B1의 큰 두께의 프로파일과 같이 후속하는 층의 스플라이싱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표는 전술된 단점들 중 적어도 하나가 감소된 타이어, 특히 런플랫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대안적인 방법 및 대안적인 드럼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타이어, 특히 런플랫(run-flat)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중심축 및 제1 지름에서 중심축 둘레를 동심으로 연장하는 주요 원주 표면(main circumferential surface)을 갖는 드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드럼은 드럼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1 수축 섹션 및 제2 수축 섹션을 포함하고, 각 수축 섹션에는 방사상 이동 가능한 수축 표면이 제공되고, 방법은 중심축에 대해서 제1 수축 섹션 및 제2 수축 섹션의 수축 표면들을 수축 표면들이 제1 지름에 있는 레벨 위치로 이동시키고 후속하여 드럼의 주요 원주 표면 둘레에 제1 타이어 층을 배치하고 제1 수축 섹션 및 제2 수축 섹션에 있는 수축 표면들 위에서 연장하는 단계; 중심축에 대해서 수축 표면들을 레벨 위치로부터 드럼이 수축 표면들에서 제1 지름보다 작은 제2 지름을 갖는 원주를 가지는 수축 위치로 방사상 안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제1 수축 섹션 및 제2 수축 섹션에 있는 제1 타이어 층과 수축 표면들 사이의 부분 진공을 생성하는 단계; 및 부분 진공의 영향하에서 제1 타이어 층을 수축 위치 내의 수축 표면들 상으로 수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EP 1 847 830 B1의 가변 지름 드럼과 같은 종래 기술의 드럼은 제1 지름으로부터 제2의 더 큰 지름까지 방사상 바깥쪽으로 팽창되는 동시에 강화 요소를 지지하는 바디가 신축성 텐션의 영향하에서 드럼 내의 홈에 대해 고정되도록 허용된다. 지름 팽창의 결과로서, 전체 타이어 층이 스트레칭되며, 이는 주름 및 다른 불규칙성을 발생시킨다. 알려진 바디가 드럼의 원주 표면에 대해 안쪽으로 이동하지만, 이것은 드럼의 중심축에 대해 안쪽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사실, EP 1 847 830 B1에서의 바디는 초기에는 팽창의 제1 부분 동안 동일한 반경 위치에 유지되며 궁극적으로는 더 큰 제2 지름을 향해서 원주 표면과 함께 팽창될 것이다. 반면에, 본 발명의 방법에서의 드럼은 방법의 전술된 단계들 동안 팽창되지 않는다. 대신, 오직 수축 섹션들만이 드럼의 중심축에 대해 수축된다.
EP 1 847 830 B1와 같이, 제1 타이어 층의 나머지를 스트레칭하는 것에 대해 수축 섹션들에서 국부적으로 제1 타이어 층이 수축하는 것의 장점은, 수축 섹션들의 개별 축방향 위치에서 국부적인 제1 타이어 층의 수축만이 특히 주요 원주 표면으로부터 수축 섹션들로의 전이에서 제1 타이어 층의 나머지에서 생성되는 주름 또는 다른 불규칙성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카르카스의 하나 이상의 추가의 타이어 층과 궁극적으로 직접 접촉하는 불규칙성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것은 이러한 카르카스의 스플라이싱 정확도를 증가시킨다. 수축 표면들 상으로 제1 타이어 층을 흡입하거나 당기기 위해 부분 진공을 사용함으로써, 수축 위치에서 수축 표면들의 형태로의 제1 타이어 층의 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타이어 층은 제1 타이어 층이 전형적으로 제1 지름에서 이미 스트레치되기 때문에 수축 동안 더욱 예측 가능하게 행동할 수 있다. 제1 타이어 층의 수축의 적어도 일부를 위해서, 제1 타이어 층은 단순히 자신의 원래의 스트레치되지 않은 상태로 복귀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수축의 전체 양은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요구되는 스트레치의 여분의 양보다 상당히 더 적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드럼의 주요 원주 표면은 레벨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로의 수축 표면들의 이동 중에 제1 지름에 남아있다. 따라서, 수축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제1 타이어 층의 부분은 오직 수축 섹션들에 있는 영역들로만 감소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수축 표면들은 레벨 위치 내에 메인 원주 표면을 갖는 레벨이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이러한 레벨이다. 제1 타이어 층은 따라서 수축 표면들이 스플라이싱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레벨 원주 표면 상에 적용 및 스티칭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각각 제1 수축 섹션 및 제2 수축 섹션의 수축 표면들에 있는 제1 타이어 층 둘레에 제1 강화 스트립 및 제2 강화 스트립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강화 스트립은 결과적으로 제조되는 런플랫 타이어의 견고성 또는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수축 위치에 있는 수축 표면들은 개별 강화 스트립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축 거리 위에서 레벨 위치에 대해 리세스된다. 수축 표면들에 강화 스트립들을 적용함으로써, 수축은 강화 스트립들의 방사상 바깥쪽 표면들이 실질적으로 드럼의 주요 원주 표면에서 제1 타이어 층을 갖는 레벨인 수축 위치로 수축 거리에 걸쳐서 강화 스트립들을 가라앉히거나 낮추도록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수축 위치에 있는 수축 표면들은 개별 강화 스트립의 두께보다 작은 수축 거리 위에서 레벨 위치에 대해 리세스된다. 강화 스트립들은 따라서 제1 타이어 층에 대해 미세하게 돌출하며, 그에 따라 강화 스트립들이 수축 표면들에 의해, 예를 들어 압력 바퀴에 의해 형성된 공동 내로 단단히 압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에서, 각각 제1 수축 섹션 및 제2 수축 섹션의 수축 표면들에 있는 제1 타이어 층 둘레에 제1 강화 스트립 및 제2 강화 스트립을 배치하는 단계에 앞서, 수축 표면들이 수축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1 타이어 층은 강화 스트립들의 존재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부분 진공의 영향하에서 수축 표면상으로 끌어당겨질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수축 표면들을 수축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에 앞서, 제1 강화 스트립 및 제2 강화 스트립은 각각 제1 수축 섹션 및 제2 수축 섹션의 수축 표면들에 있는 제1 타이어 층의 둘레에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이미 수축된 수축 표면들 상의 강화 스트립들의 배치가 제1 타이어 층과 강화 스트립 사이의 포켓 내에 공기가 붙잡히게 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제1 타이어 층이 여전히 레벨에 고정되는 동안 제1 타이어 층 상에 강화 스트립들을 배치하는 것은 공기 포켓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방법은 제1 타이어 층과 방사 방향에서의 하나 이상의 추가의 타이어 층 사이에 제1 강화 스트립 및 제2 강화 스트립이 배치되는 카르카스(carcass)를 형성하기 위해 제1 타이어 층, 제1 강화 스트립 및 제2 강화 스트립 둘레에 하나 이상의 추가의 타이어 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강화 스트립은 따라서 타이어 또는 런플랫 타이어의 강성 또는 견고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카르카스의 일체형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방법은 하나 이상의 추가의 타이어 층 둘레에 제1 비드(bead) 및 제2 비드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제1 수축 섹션 및 제2 수축 섹션은 제1 비드와 제2 비드 사이에 축방향으로 위치되고, 제1 비드와 제2 비드 사이에 축방향으로 위치된 카르카스의 부분을 성형(shap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성형 단계는 제1 수축 섹션과 제2 수축 섹션 사이에 성형 섹션을 제공하는 단계 및 제1 비드와 제2 비드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카르카스의 부분을 부풀리기 위해 성형 섹션 내에 과압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런플랫 타이어의 카르카스는 따라서 동일한 드럼에서 구축 및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드럼은 일 단계 또는 단일 단계 드럼으로 간주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성형 섹션, 제1 수축 섹션 및 제2 수축 섹션은 유체연통으로(in fluid communication) 배치되고, 제1 수축 섹션 및 제2 수축 섹션에 있는 제1 타이어 층과 수축 표면들 사이의 부분 진공을 생성하는 단계는 성형 섹션 내에 부분 진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성형 섹션 내의 부분 진공이 제1 수축 섹션 및 제2 수축 섹션에 있는 제1 타이어 층과 수축 표면들 사이로부터 공기를 끌어당기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성형 섹션은 따라서 수축 섹션들과 연통하는 부분 진공을 형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성형 섹션은 과압을 이용한 성형 및 부분 진공을 이용한 수축 섹션들의 수축 모두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타이어, 특히 런플랫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드럼을 제공하고, 이 드럼은 중심축 및 제1 지름에서 중심축 둘레를 동심으로 연장하는 주요 원주 표면을 포함하고, 드럼에는 드럼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위치들에 있는 제1 수축 섹션 및 제2 수축 섹션이 제공되고, 각 수축 섹션에는 수축 표면이 제공되며, 이러한 수축 표면은 수축 표면이 제1 지름에서 드럼의 메인 원주 표면을 갖는 레벨인 레벨 위치와 수축 표면이 중심축에 대해서 레벨 위치로부터 드럼이 제1 수축 섹션 및 제2 수축 섹션의 수축 표면들에서 제1 지름보다 작은 제2 지름을 갖는 원주를 갖는 수축 위치로 방사상 안쪽으로 이동되는 수축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드럼은 주요 원주 표면 둘레의 제1 타이어 층을 수용하고 제1 수축 섹션과 제2 수축 섹션에 있는 수축 표면들 위에서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드럼에는 수축 표면들과 제1 타이어 층 사이에 부분 진공을 생성하기 위해 수축 섹션들에 동작상 접속되는 공기 펌프 장치가 추가로 제공된다.
이것은 다시 수축 섹션들의 개별 축방향 위치에서 국부적으로 제1 타이어 층을 수축시키기만 한다는 장점을 가지며, 이는 주름 또는 다른 불규칙한 형성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방법에 유사하게, 부분 진공의 이용은 수축 위치 내의 수축 표면들의 성형에 대한 제1 타이어 층의 구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1 타이어 층은 전형적으로 제1 지름에서 이미 스트레치되기 때문에 수축 동안 더욱 예측 가능하게 행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드럼의 주요 원주 표면은 레벨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로의 수축 표면들의 이동 중에 제1 지름에 남아있다.
실시예에서, 수축 표면들은 레벨 위치 내에 메인 원주 표면을 갖는 레벨이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이러한 레벨이다. 따라서, 수축에 의해 영향받는 제1 타이어 층의 부분은 수축 섹션들에만 있는 영역으로 감소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드럼은 각각 제1 수축 섹션 및 제2 수축 섹션의 수축 표면들에 있는 제1 타이어 층 둘레의 제1 강화 스트립 및 제2 강화 스트립을 수용하도록 배치되고, 수축 위치에 있는 수축 표면들은 개별 강화 스트립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축 거리 위에서 레벨 위치에 대해 리세스된다. 수축 표면들에서 강화 스트립들을 수용함으로써, 수축은 강화 스트립들의 방사상 바깥쪽 표면들이 실질적으로 드럼의 주요 원주 표면에서 제1 타이어 층을 갖는 레벨인 수축 위치로 수축 거리에 걸쳐서 강화 스트립들을 가라앉히거나 낮추도록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드럼은 각각 제1 수축 섹션 및 제2 수축 섹션의 수축 표면들에 있는 제1 타이어 층 둘레의 제1 강화 스트립 및 제2 강화 스트립을 수용하도록 배치되고, 수축 위치에 있는 수축 표면들은 개별 강화 스트립의 두께보다 작은 수축 거리 위에서 레벨 위치에 대해 리세스된다. 강화 스트립들은 따라서 제1 타이어 층에 대해 미세하게 돌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수축 표면들에 의해서, 강화 스트립들이 예를 들어 압력 바퀴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 내로 단단히 압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축 위치 내의 수축 표면들의 단면 형태는 결합된 제1 타이어 층 및 개별 강화 스트립의 단면 형태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강화 스트립들의 형태에 수축 표면들의 형태를 일치시키는 것은 수축 위치에 있는 제1 타이어 층에 대해 강화 스트립들의 균일성 또는 레벨링을 추가로 증가시킨다.
실시예에서, 제1 타이어 층을 마주하는 수축 표면들의 면에서, 수축 표면들에는 제1 타이어 층과 수축 표면들 사이로부터 공기를 끌어당기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제1 타이어 층과 수축 표면들 사이의 환기 공간을 생성하도록 배치된 환기 요소가 제공된다. 따라서 환기 요소는 공기 펌프 장치가 제1 타이어 층과 수축 표면들 사이로부터 공기를 끌어당기는 능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실시예에서, 드럼에는 수축 섹션들의 각각에 제1 밀봉 부분이 제공되고, 제1 밀봉 부분들의 각각은 축방향으로 개별 수축 섹션의 단부들 중 하나에서 밀봉 방식으로 제1 타이어 층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제1 밀봉 부분은 부분 진공이 생성된 후에 수축 섹션들에 공기가 재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부분 진공의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실시예에서, 드럼에는 수축 섹션들의 각각에 제2 밀봉 부분이 제공되고, 제2 밀봉 부분들의 각각은 축방향으로 개별 제1 밀봉 부분의 반대편인 개별 수축 섹션의 단부에서 밀봉 방식으로 제1 타이어 층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제2 밀봉 부분은, 제1 밀봉 부분과 협력하여 부분 진공이 생성된 후에 수축 섹션들에 공기가 재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며, 그에 따라 부분 진공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실시예에서, 공기 펌프 장치는 개별 수축 섹션들의 수축 표면들, 제1 타이어 층, 그리고 제1 밀봉 부분 및 제2 밀봉 부분 사이의 부분 진공을 생성하기 위해서 제1 수축 섹션 및 제2 수축 섹션에 동작상 접속된다.
실시예에서, 제1 밀봉 부분 또는 제2 밀봉 부분에는 개별 수축 섹션들의 수축 표면들, 제1 타이어 층, 그리고 제1 밀봉 부분 및 제2 밀봉 부분 사이의 영역에 공기 펌프 장치를 동작상 접속시키기 위한 유체 접속이 제공된다. 이러한 유체 접속은 밀봉 부분들 중 하나를 통해 이러한 영역으로부터 공기가 빠져나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에서, 드럼에는 축방향으로 제1 수축 섹션과 제2 수축 섹션 사이에 성형 섹션이 제공되고, 공기 펌프 장치는 성형 섹션에 동작상 접속되며, 성형 섹션은 제1 수축 섹션 및 제2 수축 섹션과 유체 연통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체 접속은 개별 수축 섹션들의 수축 표면들, 제1 타이어 층, 제1 밀봉 부분 및 제2 밀봉 부분 사이의 영역에 유체연통으로 성형 섹션을 접속시킨다. 성형 섹션은 따라서 수축 섹션들과 연통하는 부분 진공을 형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성형 섹션은 과압을 이용한 성형 및 부분 진공을 갖는 수축 섹션들에서의 수축 모두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공기 펌프 장치는 교대로 공기를 끌어당기거나 공기를 공급하도록 배치된 가역 공기 펌프를 포함하거나, 또는 공기 펌프 장치는 공기를 공급하고 끌어당기기 위한 복수의 공기 펌프를 포함한다. 공기 펌프 장치는 따라서 성형 및 수축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수축 섹션과 제2 수축 섹션의 수축 표면들은 각각 제1 수축 섹션과 제2 수축 섹션의 방사상 외부 둘레에서 신축성 텐션을 가지고 연장하는 제1 밀봉 부재 및 제2 밀봉 부재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밀봉 부재 내의 신축성 텐션은 개별 수축 섹션들에서 밀봉 부재들이 드럼 둘레에 밀착하게 배치되는 것을 보장한다. 결과로서, 제1 타이어 층에 대한 개별 수축 섹션들의 밀봉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밀봉 부재 및 제2 밀봉 부재는 각각 제1 수축 섹션 및 제2 수축 섹션의 방사상 외부 둘레에서 균일하게 스트레치된다. 이것은 레벨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로의 수축 표면들의 이동 중에 원주 방향으로의 밀봉 부재들의 수축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수축 섹션 및 제2 수축 섹션에는 개별 수축 섹션들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되고 방사상 내부에 배치되며 레벨 위치와 수축 위치에서 개별 수축 표면을 지지하도록 개별 수축 표면에 대해 방사상 이동 가능한 복수의 제1 지지 플레이트들 및 복수의 제2 지지 플레이트들이 각각 제공된다.
실시예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들 및 제2 지지 플레이트들은 레벨 위치에서 개별 수축 표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상태와 수축 위치에서 개별 수축 표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2 상태 사이에서 방사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유연하도록 배치된다.
실시예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들 및 제2 지지 플레이트들은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이동되도록 배치된다. 지지 플레이트들은 따라서 능동적으로 제1 상태로 이동되어 제1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레벨 위치에 있는 수축 표면을 단단하게 지지한다.
실시예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들 및 제2 지지 플레이트들은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복귀하도록 바이어스되고, 바람직하게는 제2 상태는 제1 지지 플레이트들 및 제2 지지 플레이트들의 자연 상태이다. 지지 플레이트들은 따라서 외부 액추에이터의 이용 없이 제2 상태로 복귀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신축성 밀봉 부재와 조합하여, 수축 표면들은 지지 플레이트들의 방사상 안쪽 이동을 따르고자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지지 플레이트들 및 복수의 제2 지지 플레이트들의 각 지지 플레이트에는 드럼의 원주 방향에서 인접하는 지지 플레이트에 직접 마주하는 세로방향 에지가 제공되고, 세로방향 에지는 더 작은 제2 지름에 있는 제2 상태에서 지지 플레이트들이 서로 접근하게 하도록 지지 플레이트의 제1 상태에서 오목하다. 이것은 더 작은 제2 지름에서 지지 플레이트들 사이의 간섭 기회를 감소시킨다.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지지 플레이트들 및 복수의 제2 지지 플레이트들의 각 지지 플레이트는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의 복귀 이동 중에 지지 플레이트의 행동을 변화시키도록 약화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플레이트는 제2 상태에서 지지 플레이트의 비대칭 형태를 제공하도록 드럼의 축방향으로 자신의 길이를 따라 비대칭 위치에서 약화된다. 따라서, 유사하게 성형된 강화 스트립들을 수용하기 위해서 다중 평면 또는 비대칭 단면 형태가 획득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실시예에서, 제1 수축 섹션 및 제2 수축 섹션에는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이 각각 제공되고,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은 모든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이 중심축으로부터 동일한 반경 거리까지 연장하는 레벨 위치와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이 수축 위치에서 수축 표면을 지지하기 위해 비레벨 지지 프로파일을 형성하도록 방사상 안쪽으로 개별적으로 이동되는 철회 위치 사이에서 방사방향으로 개별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지지 프로파일은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의 개수에 따라서 매우 구성 가능할 수 있다. 지지 프로파일들은 대칭 또는 비대칭일 수 있고, 완만하거나 급격할 수 있고, 더 예리하거나 더 날카로운 각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전술된 특징들의 조합일 수 있다. 특히, 매우 구성 가능한 수축 섹션들은 강화 스트립 외의 타이어 구성요소, 예를 들어 측벽을 지지 또는 수용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각 수축 섹션에는 하나 이상의 고리가 제공되고, 각각의 고리에는 비레벨 지지 프로파일 내의 자신의 개별 방사상 위치에 따른 개별적인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의 방사상 안쪽으로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복수의 정지 표면들이 제공된다.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은 따라서 반경방향에서 모두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고/있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한편, 지지 프로파일은 고리들에 의해 정의된다.
실시예에서, 고리들은 개별 수축 섹션들 내에 제거 가능하게 수용된다. 따라서, 고리들은 서로 다른 계단형 정지 표면을 가진 다른 고리들로 쉽게 대체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서로 다른 지지 프로파일을 획득한다.
실시예에서, 고리들은 수축 섹션들에 일체화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수축 섹션은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을 수용하기 위한 평평한 원주 바닥을 갖는 수축 챔버를 포함하고,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은 비레벨 지지 프로파일 내의 자신의 개별 방사상 위치에 따른 방사방향에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지지 프로파일은 프로파일 세그먼트의 동일하지 않은 반경 높이를 가지고 정의될 수 있기 때문에 고리가 필요하지 않다.
추가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각 수축 섹션에는 비레벨 지지 프로파일 내의 자신의 방사상 위치에 따른 개별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의 방사상 안쪽으로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복수의 개별적으로 조정 가능한 정지 요소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프로파일 세그먼트, 고리 또는 개별 수축 섹션의 다른 구성요소를 대체할 필요 없이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의 각각의 반경 위치가 지지 프로파일을 변경하도록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더 높은 레벨의 구성 가능성을 제공한다.
실시예에서,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의 각각은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슬롯(slot)을 포함하고, 각각의 수축 섹션에는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을 방사상 바깥쪽을 향해 레벨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사상 이동 가능한 액추에이터 세그먼트가 제공되고, 액추에이터 세그먼트에는 개별 수축 섹션의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 전체의 슬롯을 통해 연장하고 그와 결합하여 결합된 프로파일 세그먼트 전체를 레벨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레벨링 샤프트(leveling shaft)가 제공된다.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은 따라서 단일 액추에이터 세그먼트에 의해 레벨 위치로 직접 이동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에는 서로 맞물리는 캠(cam)과 리세스가 제공되고, 각각의 수축 섹션에는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을 방사상 바깥쪽을 향해 레벨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사상 이동 가능한 액추에이터 세그먼트가 제공되고, 액추에이터 세그먼트에는 레벨 위치에 직접 결합된 프로파일 세그먼트들로 액추에이터 세그먼트에 직접 인접한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의 캠 및/또는 리세스와 결합하도록 배치된 레벨링 샤프트가 제공되고, 개별 수축 섹션의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의 나머지는 레벨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캠과 리세스의 맞물림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결합되도록 배치된다.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는 따라서 단일 액추에이터 세그먼트에 의해서 레벨 위치로 간접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 세그먼트는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들 중 하나로서 동작하는 메인 바디를 포함하고, 개별 수축 섹션은 지지 프로파일 내의 메인 바디의 위치에 따라 방사상 안쪽 방향으로의 메인 바디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조정 가능한 스토퍼(stopper)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 세그먼트의 메인 바디의 반경 높이는 따라서 메인 바디가 지지 프로파일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지지 프로파일과 일치하도록 또는 지지 프로파일을 보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드럼에는 각각 제1 비드 및 제2 비드를 잠그기 위한 제1 비드 잠금 섹션 및 제2 비드 잠금 섹션이 제공되고, 제1 수축 섹션 및 제2 수축 섹션은 축방향에서 각각 제1 비드 잠금 섹션과 제2 비드 잠금 섹션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수축 섹션 및 제2 수축 섹션은 각각 제1 비드 잠금 섹션 및 제2 비드 잠금 섹션에 직접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 강화 스트립 및 제2 강화 스트립은 따라서 각각 제1 비드 및 제2 비드의 축방향으로 내부에 자신의 개별 수축 섹션들에서 수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도시된 다양한 양태들 및 특성들은 가능하다면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개별적인 양태들, 특히 첨부된 종속 청구항에 개시된 양태들 및 특성들은 분할 특허 출원의 주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서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a-1f는 런플랫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수축 섹션 및 성형 섹션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럼 및 이러한 드럼을 이용하여 런플랫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
도 2a는 도 1a의 원 Ⅱ A에 따른 수축 섹션들 중 하나의 세부사항을 도시한 도면;
도 2b는 도 1b의 원 Ⅱ B에 따른 수축 섹션들 중 하나의 세부사항을 도시한 도면;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안적인 수축 섹션을 갖는, 도 2a 및 2b에서와 동일한 세부사항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추가의 대안적인 수축 섹션을 갖는, 도 2b에서와 동일한 세부사항을 도시한 도면;
도 5a 및 5b는 도 2a 및 2b에 따른 수축 섹션의 세부사항의 두 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a는 도 1a의 라인 Ⅵ A-Ⅵ A에 따른 드럼의 부분적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6b는 도 6a의 원 Ⅵ B에 따른 드럼의 단면의 세부사항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분리된 도 1a에 따른 수축 섹션들 중 하나의 밀봉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밀봉 부재에 대한 대안적인 밀봉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9a 및 9b는 도 1a 및 1b에서와 동일한, 그러나 대안적인 방법의 단계들의 순서를 갖는 드럼을 도시한 도면;
도 10a 및 10b는 도 2a 및 2b에서와 동일한, 그러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추가로 매우 구성 가능한 수축 섹션을 갖는 세부사항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a 및 10b에 따른 수축 섹션의 구성 가능한 부분들의 측면도; 및
도 12a 및 12b, 도 13a 및 13b, 그리고 도 14a 및 14b는 각각 본 발명의 제5 실시예, 제6 실시예 및 제7 실시예에 따른, 도 10a 및 10b에 따른 매우 구성 가능한 수축 섹션의 추가의 대안을 도시한 도면.
도 1a-1f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특히 자립형 타이어(self supporting tyre) 또는 런플랫 타이어(run-flat tyre)를 제조하기 위한 드럼(1), 특히 한 단계 또는 단일 단계 드럼(1)을 나타낸다.
도 1e 및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런플랫 타이어는 적어도 이너 라이너(91)의 형태인 제1 타이어 층 및 하나 이상의 바디 플라이(body ply)(92)의 형태인 추가의 타이어 층의 패키지를 가진 카르카스(carcass)(9)를 포함한다. 비드(93, 94)는 이너 라이너(91) 및 하나 이상의 바디 플라이(92)의 패키지를 비드(93, 94) 사이의 안쪽 부분(95) 및 비드(93, 94) 외부의 두 개의 바깥쪽 부분(96, 97)으로 분할한다. 카르카스(9)의 성형 동안, 안쪽 부분(95)은 토러스(torus)와 같은 형태로 부풀어지는 반면, 바깥쪽 부분(96, 97)은 비드(93, 94) 둘레의 안쪽 부분(95) 상으로 다시 되돌아간다. 런플랫 타이어는 비드(93, 94)에 있는 또는 그 부근의 안쪽 부분(95)에서 이너 라이너(91)와 하나 이상의 바디 플라이(92) 사이에 삽입된 강화 스트립(98, 99), 특히 런플랫 스트립을 더 포함한다. 카르카스(9)의 성형 후에, 강화 스트립(98, 99)은 런플랫 타이어의 안쪽 부분(95)에서 비드(93, 94)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방사방향으로 런플랫 타이어의 측벽들의 강성을 증가시키도록 런플랫 타이어의 방사방향으로 비드(93, 94)로부터 연장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런플랫 타이어의 제조를 위한 드럼(1)은 드럼(1)의 중심 회전축(S) 및 축방향(A)을 정의하는 중심 드럼 샤프트(2)를 포함한다. 드럼(1)은 중심축(S) 둘레에서 동심으로 연장하는 원통형의 주요 원주 표면(3)을 더 구비한다. 주요 원주 표면(3)은 복수의 드럼 세그먼트들, 예로서 24개의 세그먼트들에 의해 형성되고, 이는 도시되지 않았으며 그 자체로서 알려져 있고, 이들은 방사방향(R)으로 드럼(1)의 주요 원주 표면(3)의 지름을 팽창 및 수축하기 위해 드럼(1)의 중심축(S)에 대해 바깥쪽으로 향하는 방사방향(R)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요 원주 표면(3)은 런플랫 타이어를 위한 이너 라이너(91)를 수용하고 직접 지원하도록 배치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황에서, 주요 원주 표면(3)은 이너 라이너(91)의 자연 원주보다 미세하게 더 큰 제1 원주 또는 지름(D1)에 배치되고, 그에 따라 이너 라이너(91)가 드럼(1)의 주요 원주 표면(3) 둘레에서 미세하게 스트레치되게 한다. 이너 라이너(91)의 스트레치는 바람직하게는 자신의 자연 원주의 1%보다 더 작다.
드럼(1)은 중심 성형 섹션(4) 및 성형 섹션(4)과 동작상 접속된 공기 펌프 장치(40)를 더 포함한다. 공기 펌프 장치(40)에는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르카스(9)를 부풀리거나 성형하는 과압(W)을 생성하도록 성형 섹션(4)에 공기를 공급하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 섹션(4) 내의 저압(underpressure) 또는 부분 진공(V)을 생성하도록 성형 섹션(4)으로부터 공기를 제거하거나 끌어당기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공기 펌프(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부분 진공(V)은 주변 기압보다 작은 적어도 0.1Bar인 저압을 가진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공기 펌프 장치(40)는 드럼 샤프트(2) 내에 또는 드럼 샤프트(2)에 배치된다. 이와 다르게, 공기 펌프 장치(40)는 또한 드럼(1) 밖에 제공될 수 있는 동시에 성형 섹션(4)으로의 적절한 도관(conduit)을 통해 동작상 접속된다.
드럼(1)에는 성형 섹션(4)의 각 측면 상에 축방향(A)으로 이격된 두 개의 비드 잠금 섹션(51, 52)이 제공되고, 이들 사이에 성형 섹션(4)을 가진다. 비드 잠금 섹션(51, 52)은 알려진 방식으로 카르카스(9)에 대해 런플랫 타이어를 위한 제1 비드(93) 및 제2 비드(94)를 잠금 또는 클램핑하도록 배치된다. 비드(93, 94)가 카르카스(9)에 대해 잠금될 때, 비드(93, 94) 사이의 안쪽 부분(95)은 바깥쪽 부분(96, 97)으로부터 밀봉되고 부풀어질 수 있다.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드 잠금 섹션(51, 52)은 이러한 부풀리기 동안 카르카스(9)의 안쪽 부분(95)의 성형 또는 형성을 용이하게 하도록 드럼(1)의 축방향(A)으로 성형 섹션(4) 및 서로를 향해서 이동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각각의 비드(93, 94) 위에서 성형 섹션(4) 외부에 축방향(A)으로 위치된 카르카스(9)의 바깥쪽 부분(96, 97)은, 도시되지 않고 그 자체로서 알려진 블라더(bladder) 또는 턴업 암(turn-up arm)에 의해서 부풀어진 성형된 안쪽 부분(95)에 대해 턴업된다(개략적으로 도 1f에서 화살표(T)로 표시되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1)에는 성형 섹션(4)을 향해 축방향(A)으로 마주하는 비드 잠금 섹션(51, 52)의 개별 측면들에서 각각 제1 비드 잠금 섹션(51) 및 제2 비드 잠금 섹션(52)에 인접한 제1 수축 섹션(61) 및 제2 수축 섹션(62)이 추가로 제공된다. 그러므로 제1 수축 섹션(61) 및 제2 수축 섹션(62)은 카르카스(9)의 안쪽 부분(95)에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축 섹션(61, 62)이 카르카스(9)의 성형 동안 드럼(1)의 축방향(A)으로 자신의 개별 비드 잠금 섹션(51, 52)과 조화를 이루어 이동하도록 자신의 개별 비드 잠금 섹션(51, 52)을 갖는 드럼 샤프트(2)와 일체화되거나 또는 드럼 샤프트(2) 상에서 공동으로 지지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1)은 비드 섹션(51, 52)과 자신의 개별 수축 섹션(61, 62) 사이의 밀봉을 제공하도록 개별 비드 잠금 섹션들(51, 52) 및 수축 섹션들(61, 62) 둘레에서 원주식으로 연장하는 제1 슬리브 또는 밀봉 부재(71) 및 제2 슬리브 또는 밀봉 부재(72)를 각각 포함한다. 밀봉 부재(71, 72)는 탄성 또는 신축성 재료로 제작된다. 밀봉 부재(71, 72)의 원주는 비드 잠금 섹션(51, 52) 및 수축 섹션(61, 62)의 원주보다 작다. 밀봉 부재(71, 72)는 비드 잠금 섹션(51, 52) 및 수축 섹션(61, 62) 둘레에 적용될 때 제1 지름(D1)에 균일하게 스트레치된다. 균일한 스트레칭의 결과로, 밀봉 부재(71, 72)는 프리스트레스되거나 비드 잠금 섹션(51, 52) 둘레에 밀착하게 적용되며 수축 섹션(61, 62)은 가능한 경우 자신보다 더 작은 자연 지름을 향해서 균일하게 축소 또는 수축하려 할 것이다.
도 7에서, 제1 밀봉 부재(71)가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었다. 제1 밀봉 부재(71)는 제2 밀봉 부재(72)에 대해 거울상 대칭이다. 제1 밀봉 부재(71)의 원주의 부분은 제1 밀봉 부재(71)의 단면을 드러내도록 개략적으로 숨겨졌다. 실제로는, 제1 밀봉 부재(71)는 완전히 환형이다. 제1 밀봉 부재(71)는, 축방향(A)으로 일 단부에서는 이 예에서 제1 비드 잠금 섹션(51)으로의 접속을 위한 제1 프로파일된 림(rim)의 형태인 제1 단부(74)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고, 축방향(A)으로 반대편 단부에서는 이 예에서 제1 수축 섹션(61)으로의 접속을 위한 제2 프로파일된 림의 형태인 제2 단부(75)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는 환형 수축 표면(73)을 포함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부재(71, 72) 아래에, 제1 수축 섹션(61) 및 제2 수축 섹션(62)에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레벨 위치로부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축소 또는 수축 위치로의 전이 중에 개별 밀봉 부재(71, 72)를 지지, 성형 및/또는 가이드하도록 복수의 제1 지지 플레이트(81) 및 복수의 제2 지지 플레이트(82)가 각각 제공된다. 수축 위치에서, 밀봉 부재(71, 72)는 레벨 위치에 있는 밀봉 부재(71, 72)의 원위치에 대해 방사상 안쪽으로 이동된다.
도 2a는 제2 비드 잠금 섹션(52)에 대해 거울상 대칭인 제1 비드 잠금 섹션(51)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다. 제1 비드 잠금 섹션(51)은 클램핑 바디(53)의 고리를 형성하기 위해서 드럼(1)의 원주 방향으로 드럼 샤프트(2)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된 복수의 클램핑 바디(53)를 포함한다. 도 2a에서, 클램핑 바디(53) 중 오직 하나만이 도시되었다. 클램핑 바디(53)는 카르카스(9)에 대해 비드(93)를 잠그도록 비드(93)에 대해 드럼(1)의 방사방향(R)으로 이너 라이너(91) 및 하나 이상의 바디 플라이(92)를 밀기 위해서 드럼(1)의 방사방향(R)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각 클램핑 바디(53)에는, 제1 밀봉 부재(71)의 제1 단부(73)를 수용하기 위한,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프로파일된 채널의 형태인 제1 부착 요소(54)가 제공된다. 각 클램핑 바디(53)는 드럼(1)의 방사방향(A)으로 성형 섹션(4)을 마주하지 않는 제1 부착 요소(54)의 측면에서 제1 부착 요소(54)에 인접한 제1 밀봉 부분(55)을 더 포함한다. 제1 밀봉 부분(55)은 제1 밀봉 부재(71)에 인접한 이너 라이너(91)에 직접 근접하거나 또는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도 2a는 제2 수축 섹션(62)에 대해 거울상 대칭인 제1 수축 섹션(61)을 더욱 상세하게 추가로 도시한다. 제1 수축 섹션(61)은 수축 세그먼트(63)의 고리를 형성하기 위해서 드럼(1)의 원주 방향으로 드럼 샤프트(2)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된 복수의 수축 세그먼트(63)를 포함한다. 도 2a에는 오직 하나의 수축 세그먼트(63)만이 도시되었다. 수축 세그먼트(63)는 드럼(1)의 축방향(A)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드럼 샤프트(2) 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비드 잠금 섹션(51)의 클램핑 바디(53)는 제1 비드 잠금 섹션(51)의 클램핑 바디(53)는, 제1 비드 잠금 섹션(51) 및 제1 수축 섹션(61)이 드럼(1)의 축방향(A)에서 조화를 이루어 이동될 수 있도록 수축 세그먼트(63) 상에서 지지된다. 각 수축 세그먼트(63)에는 제1 밀봉 부재(71)의 제2 단부(75)를 수용하기 위해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파일된 채널의 형태인 제2 부착 요소(64)가 제공된다.
각각의 수축 요소(63)는 드럼(1)의 축방향(A)으로 성형 섹션(4)을 향해 마주하는 제2 부착 요소(64)의 측면에서 제2 부착 요소(64)에 인접하는 제2 밀봉 부분(65)을 더 포함한다. 제2 밀봉 부분(65)은 제1 밀봉 부재(71)에 인접하는 이너 라이너(91)에 직접 근접하거나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도 2b 및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밀봉 부분(65) 내에서 또는 제2 밀봉 부분(65)에, 각각의 수축 세그먼트(63)에 유체 접속(66)이 제공되고,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유체 접속(66)은 홈(groove)의 형태이고 이것은 제2 밀봉 부분(65)을 통해서 또는 따라서 축방향(A)으로 제2 밀봉 부분(65)의 양 측면들 사이에서의 유체연통, 특히 공기연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유체 접속(66)은 성형 섹션(4)에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밀봉 부분(65)의 측면에 성형 섹션(4)을 접속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접속(66)은 대안적으로 제2 밀봉 부분(65)에 일체형인 덕트(166)로서 제안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일체형 덕트(166)는 성형 섹션(4)으로부터 유래하여 제1 밀봉 부재(71)의 수축 표면(73)에 직접 인접하게 흘러나온다. 이와 다르게, 일체형 덕트(166)는 공기 펌프 장치(40)의 다른 소스 위치로부터, 예를 들어 드럼 샤프트(20)로부터 직접 시작할 수 있다.
각 수축 세그먼트(63)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레벨 위치로부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축 위치로 제1 수축 섹션(61)의 수축을 가능하게 하는 수축 챔버(67)가 제공된다. 수축 챔버(67)에는 수축 챔버(67) 내의 제1 지지 플레이트(81)의 단부들을 결합 또는 고정하기 위한 캠(cam) 또는 러그(lug)(87, 88)가 제공된다.
지지 플레이트(81, 82)는 바람직하게는 자연의 스트레스받지 않은 형태가 주어진 회복력있는 재료로 제작된다. 지지 플레이트(81, 82)의 스트레스받지 않은 형태는 실질적으로 강화 스트립(98, 99)의 (네거티브) 프로파일에 일치한다. 수축 위치에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81, 82)는 자신의 자연적인 스트레스받지 않은 형태로 복귀하도록 허용된다. 지지 플레이트(81, 82)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레벨 위치에 있는 플렉싱된 상태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축 위치에 있는 자연 상태 사이에서 회복력 있게 신축성을 갖도록 수축 챔버(67) 내에 장착된다. 특히 축방향(A)에서 지지 플레이트(81, 82)의 단부들(85, 86)은 수축 챔버(67)의 캠 또는 러그(87, 88)에 의해 결합 또는 고정되며, 그에 따라 수축 섹션(63)에 대한 방사방향(R)으로의 이동에 대해 고정된다. 반면에, 단부들(85, 86) 사이의 지지 플레이트(81, 82)의 바디는 드럼(1)의 방사방향(R)에 평행하게 수축 거리(Z)에 걸쳐 방사방향(R)으로 회복력 있게 신축성을 가진다.
방사방향(R)에서의 지지 플레이트(81, 82)의 플렉싱은 드럼(1)의 원주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복수의 액추에이터 세그먼트(80)에 의해 구동된다. 액추에이터 세그먼트(80)는 방사방향(R)에 평행하게 방사상 안쪽 방향(X)으로 이동하기 위한 구동에 의해서 작동된다. 이 예에서 이러한 구동은 드럼(1)의 축방향(A)에 평행한 웨지 방향(Y)으로 공압 챔버 또는 실린더(69)를 통해 앞뒤로 이동하도록 공기로 구동되는 웨지(wedge)(68)에 의해 형성된 공압 드라이브이다. 공압 실린더(69)를 통한 웨지(68)의 스트로크는 적절한 제한 수단에 의해서, 예를 들어 공압 실린더(69)의 밖인 웨지 방향(Y)으로 연장하는 웨지(68)에 (도시되지 않은) 샤프트를 추가함으로써 조정 및/또는 제한될 수 있으며, 이때 공압 실린더(69)의 외부에, 샤프트에 대해 조정 가능한 스토퍼, 예로서 너트가 제공된다. 이와 다르게, 공간 요소(도시되지 않음)가 공압 실린더(69)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공압 실린더(69)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 세그먼트(80)는 레벨 위치에서 플렉싱된 상태로 지지 플레이트(81)를 능동적으로 플렉싱하도록 방사상 바깥방향(R)으로 위를 향해 능동적으로 힘을 가하는 반면, 웨지(68)의 수축은 액추에이터 세그먼트(80)가 수축 위치에서 자신의 자연적인 상태 또는 형태를 향해 제1 지지 플레이트(81)의 바이어스 하에서 복귀 이동(X)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플레이트(81)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반지름을 갖는 곡률을 가진다. 제1 지지 플레이트(81)는 자신의 자연 상태에서 균일하게 구부러지거나 휘어진다. 제1 지지 플레이트(81)는 대향하는 단부들(85, 86) 사이의 자신의 길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한 강성 또는 신축성을 가지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 위치에서 플렉싱된 상태로 플렉싱된 후에,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 위치로 회복력 있게 다시 플렉싱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하는 단부들(85, 86) 사이의 자신의 길이를 따라서 소정의 위치에서 약화되는 대안적인 제1 지지 플레이트(181)가 제공된다. 이러한 예에서, 대안적인 제1 지지 플레이트(181)는 접는 선(K, L)을 제공함으로써 두 위치에서 약화되며, 그에 따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 위치로 다시 플렉싱하여 돌아가는 동안 대안적인 제1 지지 플레이트(181)의 곡률 또는 반지름에서의 더욱 급격한 전이를 도입한다. 전략적으로 선택된 접는 선(K, L)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비대칭 형태, 끝이 잘린 형태 또는 멀티평면 형태인 강화 스트립(98, 99)의 대안적인 단면 형태가 수용될 수 있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대안적인 매우 설정 가능한 수축 섹션(261)을 도시한다.
대안적인 수축 섹션(261)은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 섹션(61)을 대체한다. 대안적인 수축 섹션(261)은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 섹션(61)과 동일한 방식으로 비드 잠금 섹션(51)과 협력한다.
대안적인 수축 섹션(261)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레벨 위치로부터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축 위치로 밀봉 부재(71)가 축소될 때 밀봉 부재(71)의 수축 표면(73)의 형태를 정의하는 밀봉 부재(71) 아래의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전술된 수축 섹션(61)과 상이하다.
대신,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안적인 수축 섹션(261)에는 수축 챔버(267)에서 수용되는 수축 챔버(267) 및 복수의 방사상 조정 가능한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가 제공된다.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는 드럼 샤프트(2)의 축방향(A)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개별적으로 축소되거나 또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적인 축소 위치를 향해서 방사상 안쪽 방향(X)으로 수축 챔버(267) 내의 안쪽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자신의 개별 축소 위치에서,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축 위치에서 밀봉 부재(71)의 수축 표면(73)을 지지하기 위해 매우 구성 가능한 비레벨 지지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지지 플레이트(81)와 같이,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의 각각의 축소된 위치를 설정 또는 구성하기 위해서, 수축 섹션(261)에는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 고리(286, 287)가 제공되고, 이것은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의 반지름 내부 상에서 연장한다. 각각의 프로파일 고리(286, 287)에는 계단형 정지 표면(288)이 제공되고, 정지 표면(288, 289)의 각각은 지지 프로파일 내의 각각의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에 대해 특정한 축소된 위치 내의 각각의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의 정지를 위해 방사상 안쪽 방향(X)으로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 중 하나에 직접 대향하게 배치된다. 각 축소된 반지름 위치는 따라서 프로파일 고리(286, 287)를 갖는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의 교대(abutment)에 의해 정의된다. 프로파일 고리(286, 287)는 서로 다른 지지 프로파일에 상응하는 서로 다른 계단형 정지 표면(288, 289)로 다른 프로파일 고리(286, 287)에 의해서 대체될 수 있다.
도 10a 및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는 드럼 샤프트(2)의 축방향(A)으로 대안적인 액추에이터 세그먼트(280)의 대향하는 측면들 상에서 두 개의 그룹으로 배치된다. 액추에이터 세그먼트(280)는 도 2a 및 2b의 웨지(68)와 매우 유사한 웨지(268)에 의해 방사상 바깥 방향(R)으로 방사상 바깥쪽으로 힘이 가해진다. 웨지(268)가 액추에이터 세그먼트(280) 아래로부터 부분적으로 멀리 이동될 때, 액추에이터 세그먼트(280)는 방사상 안쪽 방향(X)으로 안쪽으로 이동하도록 허용된다. 액추에이터 세그먼트(280)에는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에 평행한 반경방향(R)으로 연장하고 본질적으로 프로파일 세그먼트와 같이 기능하는 메인 바디(281) 및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의 두 그룹을 향해서 드럼 샤프트(2)의 축방향(A)에 평행한 메인 바디(281)의 양 측면들로부터 돌출하는 레벨링 샤프트(282)가 제공된다. 도 10a, 10b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에는 레벨링 샤프트(282)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285)이 제공된다. 슬롯(285)은 개별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레벨 위치로부터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축소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반경방향(R)으로 충분히 길다. 개별 슬롯(285) 위의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의 높이는 모든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에 대해서 동일하며 추가로 레벨링 샤프트(282) 위의 액추에이터 세그먼트(280)의 메인 바디(281)의 높이와 동일하다.
드럼 샤프트(2)에 대한 액추에이터 세그먼트(280)의 반경 높이 또는 거리는 공압 실린더(269) 내에 조정 가능한 스토퍼, 예로서 너트(600)를 제공함으로써 도 10b의 철회된 위치로 제한되고, 그에 따라 공압 실린더(269) 내의 웨지(268)의 범위를 조정 가능하게 제한하며, 따라서 반경 안쪽 방향(X)으로 액추에이터 세그먼트(280)의 메인 바디(281)의 이동 범위를 제한한다. 액추에이터 세그먼트(280)의 철회 위치는 액추에이터 세그먼트(280)의 축방향 위치에서 지지 프로파일과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액추에이터 세그먼트(280)는 웨지(268)가 액추에이터 세그먼트(280) 아래에서 이동될 때 반경방향(R)으로 방사상 바깥쪽으로 힘을 받도록 배치된다. 액추에이터 세그먼트(280)가 방사상 바깥쪽으로 이동할 때, 레벨링 샤프트(282)는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의 개별 슬롯(285)을 통해 이동하며 궁극적으로 동시에 모든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와 접촉하고, 그에 따라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를 액추에이터 세그먼트(280)의 상단을 갖는 추가의 레벨인 단일의 공통 레벨 반경 높이 또는 위치로 들어올린다. 그러므로,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는 이제 액추에이터 세그먼트(280)와 함께,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레벨 위치에서 밀봉 부재(71)의 수축 표면(73)을 지지하도록 실질적으로 레벨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액추에이터 세그먼트(280)가 방사상 안쪽 방향(X)으로 안쪽을 향해 복귀하는 것이 허용될 때, 레벨링 샤프트(282)는 방사상 안쪽 방향(X)으로 안쪽을 향해 이동한다.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는 자신이 프로파일 고리(286, 287)에서 자신의 개별 정지 표면(288, 289)과 개별적으로 접합할 때까지, 레벨링 샤프트(282)와 함께 아래로 이동하도록 허용된다. 자신의 개별 철회 위치에서,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는 드럼 샤프트(2)에 대해 동일하지 않은 반경 높이 또는 거리에 이르기까지 연장하거나 또는 그러한 높이 또는 거리에 있다. 특히, 정지 표면(288, 289) 상에서 휴식할 때,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의 반경 거리는 이러한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에 의해 형성되고자 하는 지지 프로파일과 일치한다.
도 12a 및 12b, 도 13a 및 13b 및 도 14a 및 14b는 각각 본 발명의 제5 실시예, 제6 실시예 및 제7 실시예에 따른 매우 구성 가능한 수축 섹션(361, 461, 561)의 추가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12a 및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매우 구성 가능한 수축 섹션(361)은 프로파일 고리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10a 및 10b에 도시된 것과 상이하다. 대신, 수축 챔버(367)의 바닥(388, 389)은 드럼 샤프트(2)의 축방향(A)으로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하며 프로파일 세그먼트(383, 384)는 반경방향(R)에서 개별적인 길이가 주어진다. 결과로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두 프로파일 세그먼트(383, 384)가 수축 챔버(367)의 평평한 바닥(388, 389)과 접합하게 될 때,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프로파일 세그먼트(383, 384)는 지지 프로파일 내의 프로파일 세그먼트(383, 384)의 반경 높이에 상응하는 서로 다른 길이에 걸쳐 방사상 바깥 방향(R)으로 방사상 바깥쪽을 향해 연장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지지 프로파일을 변경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 세그먼트(383, 384)를 서로 다른 길이의 프로파일 세그먼트로 대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 세그먼트(380)에 가장 가까운 프로파일 세그먼트(383, 384)는 레벨링 샤프트(382)에 의해 작동된다. 그러나, 레벨링 샤프트(382)는 모든 인접하는 프로파일 세그먼트(383, 384) 내의 슬롯을 통해 연장하지 않는다. 대신, 인접하게 위치된 프로파일 세그먼트(383, 384)는 캠과 리세스(385)를 서로 메싱함으로써 자신의 이웃하는 프로파일 세그먼트(383, 384)에 의해 간접적으로 작동된다.
도 13a 및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에 따른 매우 구성 가능한 수축 섹션(461)은 수축 섹션(461)의 수축 세그먼트(263) 내로 프로파일 고리가 일체화된다는 점에서 도 10a 및 10b에 도시된 것과 상이하다. 따라서, 계단형 정지 표면(488, 489)은 수축 챔버(467)의 바닥에 직접 제공된다. 다시, 프로파일 세그먼트(483, 484)는 메싱 캠 및 리세스(485)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작동된다.
도 14a 및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 실시예에 따른 매우 구성 가능한 수축 섹션(561)은 프로파일 고리의 계단형 정지 표면이 예를 들어 높이 조정 가능한 나사 또는 볼트의 형태인 개별적으로 조정 가능한 정지 요소(588, 589)에 의해 대체되거나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10a 및 10b에 도시된 것과 상이하다. 정지 요소(588, 589)의 각각이 올바른 반경 높이로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실시예는 프로파일 고리 또는 프로파일 세그먼트(583, 584)와 같은 부분들을 대체할 필요 없이 매우 구성 가능하다. 다시, 프로필 세그먼트(583, 584)는 메싱 캠 및 리세스(585)를 통해 간접적으로 작동된다.
대안적으로, 도 12a 및 12b, 도 13a 및 13b, 및 도 14a 및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파일 세그먼트(383, 384; 483, 484; 583, 584)에는 도 10a, 10b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260)에 의해 이동되도록, 도 10a, 10b 및 11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슬롯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된, 매우 구성 가능한 수축 섹션(261, 361, 461, 561)은 다양한 매우 조정 가능한 지지 프로파일의 상단의 수축 섹션 내의 밀봉 부재(71)를 지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지지 프로파일은 대칭 또는 비대칭일 수 있고, 완만하거나 급격할 수 있고, 더욱 예리하거나 더욱 날카로운 각도를 갖거나, 또는 전술된 특징들의 조합일 수 있다. 특히, 매우 구성 가능한 수축 섹션(261, 361, 461, 561)은 강화 스트립 외의 타이어 구성요소의 수용을 가능하게 하는 지지 프로파일에 따른 밀봉 부재(71)를 지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6a의 단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액추에이터 세그먼트(80)는 원형 세그먼트로서 형성되고 복수의 제1 지지 플레이트(81)를 지지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플레이트(81)는 직선 또는 선형 세로방향 측면(83, 84)을 가진다. 따라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황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81)는 드럼(1)의 원주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격되고, 제1 수축 섹션(61)에서의 더 작은 원주로의 제1 지지 플레이트(81)의 수축을 가능하게 하며 이러한 수축 동안 제1 지지 플레이트들(81) 사이의 간섭을 방지한다. 대신, 대안적인 제1 지지 플레이트(281)는, 오목한 세로방향 측면들(283, 284)이 제공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안적인 제1 지지 플레이트(281)가 제공될 수 있다. 오목한 세로방향 측면(283, 284)은 수축 위치에서 대안적인 제1 지지 플레이트(281)의 더 작은 지름에 적응되는 중심을 갖는 모래시계 형태를 정의한다. 그러므로, 대안적인 제1 지지 플레이트(281)는 서로 더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수축 위치에서 대안적인 지지 플레이트(281)는 자신의 오목한 세로방향 측면(283, 284)에서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또는 효율적으로 닫힌 원주 표면을 형성한다.
도 1a-1f를 참조하면, 전술된 드럼(1)을 갖는 런플랫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이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아래의 설명은 단지 도 1 내지 9에 따른 수축 섹션(61, 62)만을 참조로 하지만, 이 방법의 단계들은 또한 도 10a 및 10b, 도 12a 및 12b, 도 13a 및 13b, 및 도 14a 및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안적인 수축 섹션(261, 361, 461, 561)에도 각각 적용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81, 82)는 이너 라이너(91)를 수용하기 위한 레벨 원주 표면을 제공하도록 레벨 위치로 능동적으로 이동되었다. 도 1a에서, 이너 라이너(91)는 드럼(1)의 주요 원주 표면(3) 둘레에 적용되며 후속하여 스플라이싱된다. 드럼(1)의 드럼 세그먼트(도시되지 않음)는 스플라이싱된 이너 라이너(91)의 원래 지름보다 미세하게 더 큰 제1 지름(D1)으로 미세하게 팽창되었다. 결과로서, 스플라이싱된 이너 라이너(91)는 예로서 자신의 지름의 0.5% 내지 1%의 범위에서 미세하게 스트레치된다. 이너 라이너(91)는 비드 잠금 섹션(51, 52), 수축 섹션(61, 62) 및 성형 섹션(4)을 가로질러 연장한다. 지지 플레이트(81, 82)는 자신의 개별 액추에이터들에 의해 레벨 위치로 능동적으로 플렉싱되며, 이러한 레벨 위치에서 지지 플레이트(81, 82) 상에서 지지되는 수축 표면(73)은 제1 지름(D1)에 있는 드럼(1)의 주요 원주 표면(3)을 갖는 레벨이다. 개별 비드 잠금 섹션(51, 52) 및 개별 수축 섹션(61, 62)의 제1 밀봉 부분(55) 및 제2 밀봉 부분(65)은 밀봉 부재(71, 72)의 양 축방향 단부(74, 75)에서 이너 라이너(91)에 밀착하게 인접한다.
도 1b는 진공 펌프(도시되지 않음)가 성형 섹션(4)으로부터 공기를 끌어당기도록 활성화된 상황을 도시한다. 부분 진공(V)이 성형 섹션(4) 내에 생성된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68)는 방사상 안쪽 방향(X)으로 액추에이터 세그먼트(80)가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공압식으로 철회된다. 지지 플레이트(81, 82)가 자신의 자연 형태로 이동하도록 허용되기 때문에(또는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 383, 384; 483, 484; 583, 584)가 자신의 개별 철회 위치로 철회되기 때문에), 개별 밀봉 부재(71, 72)의 수축 표면(73)은 밀봉 부재(71, 72) 내의 탄성 텐션의 영향하에서 방사상 안쪽 방향(X)으로 지지 플레이트(81, 82)(또는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 383, 384; 483, 484; 583, 584))를 따른다. 이너 라이너(91)가 미세하게 스트레치되기 때문에, 이것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축 표면(73)을 따를 것이다. 이너 라이너(91)가 궁극적으로 수축 표면(73)으로부터 분리하기 시작할 때, 공기는 중간 공간 내에 진입할 것이다. 그러나,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 진공(V)은 또한 유체 접속(66)을 통해 이너 라이너(91)와 개별 수축 표면(73) 사이의 영역으로부터 공기를 끌어당긴다. 따라서, 이너 라이너(91)와 개별 수축 표면(73) 사이의 중간 공간 밖으로 임의의 공기가 신속하고 즉시 또는 즉각적으로 빠져나온다. 수축 표면(73)의 양 측면(74, 75) 상의 밀봉 부분(55, 65)은 공기가 그 영역에 재입장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이너 라이너(91)는 수축 표면(73) 상으로의 저압 또는 부분 진공(V)의 영향하에서 당겨지거나 흡입된다.
수축 표면(73)이 지지 플레이트(81, 82)(또는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 383, 384; 483, 484; 583, 584)에 의해 형성된 지지 프로파일)를 따르기 때문에, 강화 스트립(98, 99)의 수용을 위한 준비에서 드럼(1)의 원주는 수축 거리(Z)만큼 제1 원주 또는 지름(D1)보다 작은 제2 원주 또는 지름(D2)으로 국부적으로 감소 또는 하락된다. 지지 플레이트(81, 82)(또는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 383, 384; 483, 484; 583, 584)에 의해 형성된 지지 프로파일) 및 그 위에서 지지되는 수축 표면(73)은 이제 도 1a의 상황에 비교하였을 때 드럼(1)의 중심축(S)에 더 가까운 동시에, 드럼(1)의 주요 원주 표면(3)의 제1 지름(D1)은 동일하게 남아있다. 이너 라이너(91)는 부분 진공에 의해서 수축 표면(73)에 의해 흡입되며 바람직하게는 자신의 자연 원주 위에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름(D2)에서의 수축 위치 내로 능동적으로 수축되었다. 지지 플레이트(81, 82)의 수축 거리(Z)(또는 프로파일 세그먼트(283, 284; 383, 384; 483, 484; 583, 584)에 의해 형성된 지지 프로파일의 수축 거리(Z))는 드럼(1)의 방사방향(R)에서 강화 스트립(98, 99)의 두께와 관련되고, 그에 따라 강화 스트립(98, 99)은 실질적으로 드럼(1)의 주요 원주 표면(3)의 제1 지름(D1) 내에서 이너 라이너(91) 내의 원주 자국, 공동(cavity), 홈 또는 리세스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강화 스트립(98, 99)은 자국 내에 완전히 수용되거나 또는 자국 외부의 이너 라이너(91)의 나머지의 위로 미세하게 돌출한다. 자국 외부의 이너 라이너(91) 위로 돌출할 때, 강화 스트립(98, 99)은 외부 압력 수단, 예를 들어 압력 바퀴 또는 스티칭 바퀴에 의해서 자국 내에 단단히 압착될 수 있다.
전술된 수축 동안 이너 라이너(91)와 수축 표면(73) 사이의 상호작용은 이너 라이너(91)와 수축 표면(73) 사이로부터 공기가 빠져나오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충분해야만 한다. 그러나, 이너 라이너(91)와 수축 표면(73) 사이의 부분 진공의 배기를 추가로 증가시키거나 향상시키기 위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밀봉 부재(171)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밀봉 부재(171)에는 다른 수축 표면(173)이 제공된다. 다른 수축 표면(173)에는 특히 방사상 바깥쪽으로 마주하는 다른 수축 표면(173)의 측면 상에 갈빗대(rib) 또는 산마루(ridge)와 같은 돌출부, 또는 홈과 같은 침강부의 형태인 복수의 환기 요소(176)가 제공된다. 환기 요소(176)는 이너 라이너(91)와 다른 수축 표면(173) 사이의 환기 공간으로부터 공기가 빠져나오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다른 수축 표면(173)과 이너 라이너(91)가 충분히 이격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 1c에서, 개별 수축 섹션(61, 62)의 개별 축방향 위치에서 이너 라이너(91) 내에 생성된 자국 또는 리세스 내에 강화 스트립(98, 99)이 배치된 상황을 도시한다. 강화 스트립(98, 99)의 방사상 바깥쪽 표면은 수축 섹션(61, 62)의 외부의 이너 라이너(9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임이 인지된다.
도 1d는 하나 이상의 바디 플라이(92)가 카르카스(9)를 형성하기 위해 수축 섹션(61, 62)에서 이너 라이너(91) 및 강화 스트립(98, 99) 둘레에 원주식으로 배치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특히, 수축 섹션(61, 62)에 강화 스트립(98, 99)이 존재함에도, 하나 이상의 바디 플라이(92)는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레벨 상태로 배치될 수 있음이 관찰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바디 플라이의 부정확한 스플라이싱으로 이어지는 원주에서의 변화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e는 개별 비드 잠금 섹션(51, 52)의 개별 축방향 위치에서의 하나 이상의 바디 플라이(92) 둘레의 원주식 환형 비드(93, 94)의 배치를 추가로 도시한다.
도 1f는 카르카스(9)를 성형하는 후속 단계를 도시한다. 비드 잠금 섹션(51, 52)은 비드(93, 94)에 대해 하나 이상의 바디 플라이(92)에 힘을 가하도록 주요 지름(D1)에 대해 방사방향(R)으로 미세하게 팽창된다. 비드(93, 94)는 이제 바깥쪽 부분(96, 97)으로부터 카르카스(9)의 안쪽 부분(95)을 밀봉하며 그에 따라 안쪽 부분(95)이 부풀어질 수 있다. 공기 펌프 장치(40)는 이제 안쪽 부분(95)을 부풀리기 위해 성형 섹션(4) 내의 과압(W)을 생성하도록 동작된다. 후속하여, 카르카스(9)의 바깥쪽 부분(96, 97)은 성형된 안쪽 부분(95)에 대해 턴업될 수 있다(T).
도 9a 및 9b는 도 1a 및 1b에 대한 단계들의 다른 순서를 갖는, 전술된 드럼(1)을 도시한다. 도 1a 및 1b에서 수축 표면(73)은 수축 표면(73)에서 이너 라이너(91) 둘레의 제1 강화 스트립(98) 및 제2 강화 스트립(99)의 배치에 앞서 수축 위치로 이동된다(도 1c 참조). 도 9a 및 9b에 따른 대안적인 방법 단계들에서, 제1 강화 스트립(98) 및 제2 강화 스트립(99)은 수축 표면(73)이 수축 위치로 이동하기 이전에 수축 표면(73)에서 이너 라이너(91) 둘레에 배치된다. 이러한 단계들의 다른 순서화는 강화 스트립(98, 99)과 이너 라이너(91) 사이에 형성되는 기포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이너 라이너(91)가 여전히 실질적으로 평평할 때 강화 스트립(98, 99)이 이너 라이너(91) 상에 배치된다는 점이 관찰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91)는 실질적으로 수축 위치를 향해 수축 표면(73) 상으로 끌어당겨지는 반면, 강화 스트립(98, 99)은 이너 라이너(91)와 함께 수축 위치로 이동한다.
카르카스(9)가 동일한 드럼(1)을 구축하고 동일한 드럼(1)에 대해 성형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드럼(1)은 단일 단계 또는 일단계 드럼(1)으로 간주된다.
위의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포함되었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고자 의도된 것은 아님이 이해될 것이다. 위의 논의로부터, 다수의 변형이 본 발명의 범주에 의해 포함된다는 점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요약하면, 본 발명은 런플랫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제1 수축 섹션 및 제2 수축 섹션을 가진 드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 수축 섹션에는 방사상 이동 가능한 수축 표면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중심축에 대해서 수축 표면들을 레벨 위치로부터 드럼이 수축 표면들에서 제1 지름보다 작은 제2 지름을 갖는 원주를 가지는 수축 위치로 방사상 안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제1 수축 섹션 및 제2 수축 섹션에 있는 이너 라이너와 수축 표면들 사이의 부분 진공을 생성하는 단계; 및 부분 진공의 영향하에서 수축 위치 내의 수축 표면들 상으로 이너 라이너를 수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된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드럼에 관한 것이다.

Claims (50)

  1.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중심축 및 제1 지름에서 상기 중심축 둘레를 동심으로 연장하는 주요 원주 표면(main circumferential surface)을 갖는 드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드럼은 상기 드럼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1 수축 섹션 및 제2 수축 섹션을 포함하고, 각 수축 섹션에는 방사상 이동 가능한 수축 표면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중심축에 대해서 상기 제1 수축 섹션 및 상기 제2 수축 섹션의 상기 수축 표면들을 상기 수축 표면들이 상기 제1 지름에 있는 레벨 위치로 이동시키고 후속하여 상기 드럼의 상기 주요 원주 표면 둘레에 제1 타이어 층을 배치하고 상기 제1 수축 섹션 및 상기 제2 수축 섹션에 있는 상기 수축 표면들 위에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중심축에 대해서 상기 수축 표면들을 상기 레벨 위치로부터 상기 드럼이 상기 수축 표면들에서 상기 제1 지름보다 작은 제2 지름을 갖는 원주를 가지는 수축 위치로 방사상 안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1 수축 섹션 및 상기 제2 수축 섹션에 있는 상기 제1 타이어 층과 상기 수축 표면들 사이의 부분 진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분 진공의 영향하에서 상기 제1 타이어 층을 상기 수축 위치 내의 상기 수축 표면들 상으로 수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상기 주요 원주 표면은 상기 레벨 위치로부터 상기 수축 위치로의 상기 수축 표면들의 이동 중에 상기 제1 지름에 남아있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 표면들은 상기 레벨 위치 내에 상기 주요 원주 표면을 갖는 레벨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 상기 제1 수축 섹션 및 상기 제2 수축 섹션의 상기 수축 표면들에 있는 상기 제1 타이어 층 둘레에 제1 강화 스트립 및 제2 강화 스트립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 위치에 있는 상기 수축 표면들은 상기 개별 강화 스트립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상기 개별 강화 스트립의 두께보다 작은 수축 거리 위에서 상기 레벨 위치에 대해 리세스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각각 상기 제1 수축 섹션 및 상기 제2 수축 섹션의 상기 수축 표면들에 있는 상기 제1 타이어 층 둘레에 상기 제1 강화 스트립 및 상기 제2 강화 스트립을 배치하는 단계에 앞서, 상기 수축 표면들이 상기 수축 위치로 이동되는,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 표면들을 상기 수축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에 앞서, 상기 제1 강화 스트립 및 상기 제2 강화 스트립은 각각 상기 제1 수축 섹션 및 상기 제2 수축 섹션의 상기 수축 표면들에 있는 상기 제1 타이어 층의 둘레에 배치되는,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어 층과 방사 방향에서의 하나 이상의 추가의 타이어 층 사이에 상기 제1 강화 스트립 및 상기 제2 강화 스트립이 배치되는 카르카스(carcass)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타이어 층, 상기 제1 강화 스트립 및 상기 제2 강화 스트립 둘레에 하나 이상의 추가의 타이어 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의 타이어 층 둘레에 제1 비드(bead) 및 제2 비드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수축 섹션 및 상기 제2 수축 섹션은 상기 제1 비드와 상기 제2 비드 사이에 축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1 비드와 상기 제2 비드 사이에 축방향으로 위치된 상기 카르카스의 부분을 성형(shap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성형 단계는 상기 제1 수축 섹션과 상기 제2 수축 섹션 사이에 성형 섹션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드와 상기 제2 비드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상기 카르카스의 부분을 부풀리기 위해 상기 성형 섹션 내에 과압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 섹션, 상기 제1 수축 섹션 및 상기 제2 수축 섹션은 유체연통으로(in fluid communication) 배치되고, 상기 제1 수축 섹션 및 상기 제2 수축 섹션에 있는 상기 제1 타이어 층과 상기 수축 표면들 사이의 부분 진공을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성형 섹션 내에 부분 진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 섹션 내의 부분 진공이 상기 제1 수축 섹션 및 상기 제2 수축 섹션에 있는 상기 제1 타이어 층과 상기 수축 표면들 사이로부터 공기를 끌어당기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드럼으로서,
    상기 드럼은 중심축 및 제1 지름에서 상기 중심축 둘레를 동심으로 연장하는 주요 원주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에는 상기 드럼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위치들에 있는 제1 수축 섹션 및 제2 수축 섹션이 제공되고, 각 수축 섹션에는 수축 표면이 제공되며, 이러한 수축 표면은 상기 수축 표면이 상기 제1 지름에서 상기 드럼의 상기 주요 원주 표면을 갖는 레벨인 레벨 위치와 상기 수축 표면이 상기 중심축에 대해서 상기 레벨 위치로부터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수축 섹션 및 상기 제2 수축 섹션의 상기 수축 표면들에서 상기 제1 지름보다 작은 제2 지름을 갖는 원주를 갖는 수축 위치로 방사상 안쪽으로 이동되는 수축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드럼은 상기 주요 원주 표면 둘레의 제1 타이어 층을 수용하고 상기 제1 수축 섹션과 상기 제2 수축 섹션에 있는 상기 수축 표면들 위에서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드럼에는 상기 수축 표면들과 상기 제1 타이어 층 사이에 부분 진공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수축 섹션들에 동작상 접속되는 공기 펌프 장치가 추가로 제공되는, 드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상기 주요 원주 표면은 상기 레벨 위치로부터 상기 수축 위치로의 상기 수축 표면들의 이동 중에 상기 제1 지름에 남아있는, 드럼.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 표면들은 상기 레벨 위치 내에 상기 주요 원주 표면을 갖는 레벨이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이러한 레벨인, 드럼.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어 층을 마주하는 상기 수축 표면들의 면에서, 상기 수축 표면들에는 상기 제1 타이어 층과 상기 수축 표면들 사이로부터 공기를 끌어당기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제1 타이어 층과 상기 수축 표면들 사이의 환기 공간을 생성하도록 배치된 환기 요소가 제공되는, 드럼.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는 상기 수축 섹션들의 각각에 제1 밀봉 부분이 제공되고, 각각의 수축 섹션은 축방향으로 두 개의 단부를 갖고, 상기 제1 밀봉 부분들의 각각은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개별 수축 섹션의 단부들 중 하나에서 밀봉 방식으로 상기 제1 타이어 층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드럼에는 상기 수축 섹션들의 각각에 제2 밀봉 부분이 제공되고, 상기 제2 밀봉 부분들의 각각은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개별 제1 밀봉 부분의 반대편인 상기 개별 수축 섹션의 단부에서 밀봉 방식으로 상기 제1 타이어 층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공기 펌프 장치는 상기 개별 수축 섹션들의 상기 수축 표면들, 상기 제1 타이어 층, 그리고 상기 제1 밀봉 부분 및 상기 제2 밀봉 부분 사이의 부분 진공을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수축 섹션 및 상기 제2 수축 섹션에 동작상 접속되는, 드럼.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는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제1 수축 섹션과 상기 제2 수축 섹션 사이에 성형 섹션이 제공되고, 상기 공기 펌프 장치는 상기 성형 섹션에 동작상 접속되며, 상기 성형 섹션은 상기 제1 수축 섹션 및 상기 제2 수축 섹션과 유체연통으로 배치되는, 드럼.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축 섹션과 상기 제2 수축 섹션의 상기 수축 표면들은 각각 상기 제1 수축 섹션과 상기 제2 수축 섹션의 방사상 외부 둘레에서 신축성 텐션을 가지고 연장하는 제1 밀봉 부재 및 제2 밀봉 부재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드럼.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 부재 및 상기 제2 밀봉 부재는 각각 상기 제1 수축 섹션 및 상기 제2 수축 섹션의 방사상 외부 둘레에서 균일하게 스트레치되는, 드럼.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축 섹션 및 상기 제2 수축 섹션에는 상기 개별 수축 섹션들 둘레에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되고 방사상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레벨 위치와 상기 수축 위치에서 상기 개별 수축 표면들을 지지하도록 상기 개별 수축 표면들에 대해 방사상 이동 가능한 복수의 제1 지지 플레이트들 및 복수의 제2 지지 플레이트들이 각각 제공되는, 드럼.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레벨 위치에서 상기 개별 수축 표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상태와 상기 수축 위치에서 상기 개별 수축 표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2 상태 사이에서 상기 방사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유연하도록 배치되는, 드럼.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드럼.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복귀하도록 바이어스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자연 상태인, 드럼.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플레이트들 및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플레이트들의 각 지지 플레이트에는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에서 인접하는 지지 플레이트에 직접 마주하는 세로방향 에지가 제공되고, 상기 세로방향 에지는 상기 더 작은 제2 지름에 있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들이 서로 접근하게 하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제1 상태에서 오목한, 드럼.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플레이트들 및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플레이트들의 각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의 상기 복귀 이동 중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행동을 변화시키도록 약화되는, 드럼.
  2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축 섹션 및 상기 제2 수축 섹션에는 상기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이 각각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은 모든 상기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이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동일한 반경 거리까지 연장하는 레벨 위치와 상기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이 상기 수축 위치에서 상기 수축 표면을 지지하기 위해 비레벨 지지 프로파일을 형성하도록 방사상 안쪽으로 개별적으로 이동되는 철회 위치 사이에서 상기 방사방향으로 개별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드럼.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축 섹션에는 하나 이상의 고리가 제공되고, 각각의 고리에는 상기 비레벨 지지 프로파일 내의 자신의 개별 방사상 위치에 따른 상기 개별적인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의 상기 방사상 안쪽으로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복수의 정지 표면들이 제공되는, 드럼.
  26. 제 2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수축 섹션은 상기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을 수용하기 위한 평평한 원주 바닥을 갖는 수축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은 상기 비레벨 지지 프로파일 내의 자신의 개별 방사상 위치에 따른 상기 방사방향에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는, 드럼.
  27. 제 24 항에 있어서,
    각 수축 섹션에는 상기 비레벨 지지 프로파일 내의 자신의 방사상 위치에 따른 상기 개별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의 상기 방사상 안쪽으로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복수의 개별적으로 조정 가능한 정지 요소들이 제공되는, 드럼.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의 각각은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슬롯(slot)을 포함하고, 각각의 수축 섹션에는 상기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을 방사상 바깥쪽을 향해 상기 레벨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사상 이동 가능한 액추에이터 세그먼트가 제공되고, 상기 액추에이터 세그먼트에는 상기 개별 수축 섹션의 상기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 전체의 상기 슬롯을 통해 연장하고 그와 결합하여 상기 결합된 프로파일 세그먼트 전체를 상기 레벨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레벨링 샤프트(leveling shaft)가 제공되는, 드럼.
  29.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에는 서로 맞물리는 캠(cam)과 리세스가 제공되고, 각각의 수축 섹션에는 상기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을 방사상 바깥쪽을 향해 상기 레벨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사상 이동 가능한 액추에이터 세그먼트가 제공되고, 상기 액추에이터 세그먼트에는 상기 직접 결합된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을 상기 레벨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액추에이터 세그먼트에 가장 가까운 상기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의 상기 캠 및/또는 상기 리세스와 직접 결합하도록 배치된 레벨링 샤프트가 제공되고, 상기 개별 수축 섹션의 상기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들의 나머지는 상기 레벨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캠과 상기 리세스의 맞물림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결합되도록 배치되는, 드럼.
  30.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프로파일 세그먼트들 중 하나로서 동작하는 메인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개별 수축 섹션은 상기 지지 프로파일 내의 상기 메인 바디의 위치에 따라 방사상 안쪽 방향으로의 상기 메인 바디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조정 가능한 스토퍼(stopper)를 포함하는, 드럼.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KR1020177009913A 2014-10-13 2015-09-10 타이어, 특히 런플랫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드럼 KR1021973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13627 2014-10-13
NL2013627 2014-10-13
NL2014555A NL2014555B1 (en) 2014-10-13 2015-03-31 Method and drum for manufacturing a tyre, in particular a run-flat tyre.
NL2014555 2015-03-31
PCT/NL2015/050626 WO2016060560A1 (en) 2014-10-13 2015-09-10 Method and drum for manufacturing a tyre, in particular a run-flat ty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481A KR20170068481A (ko) 2017-06-19
KR102197324B1 true KR102197324B1 (ko) 2021-01-04

Family

ID=52472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9913A KR102197324B1 (ko) 2014-10-13 2015-09-10 타이어, 특히 런플랫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드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040508B2 (ko)
EP (1) EP3206863B1 (ko)
JP (1) JP6672281B2 (ko)
KR (1) KR102197324B1 (ko)
CN (2) CN106794651B (ko)
BR (1) BR112017007499B1 (ko)
ES (1) ES2726665T3 (ko)
HU (1) HUE044794T2 (ko)
NL (1) NL2014555B1 (ko)
PL (1) PL3206863T3 (ko)
RS (1) RS58992B1 (ko)
RU (1) RU2686145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003947A1 (de) * 2017-06-16 2018-12-20 Harburg-Freudenberger Maschinenbau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Reifen
US20190070813A1 (en) * 2017-09-01 2019-03-0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building drum
CN107650402A (zh) * 2017-09-25 2018-02-02 青岛软控机电工程有限公司 一种缺气保用乘用子午胎机械成型鼓
CN110202809A (zh) * 2019-07-01 2019-09-06 萨驰华辰机械(苏州)有限公司 一种轮胎成型鼓
CN110920114A (zh) * 2019-12-27 2020-03-27 萨驰华辰机械(苏州)有限公司 一种轮胎成型鼓
CN113635586A (zh) * 2021-09-18 2021-11-12 青岛森麒麟轮胎股份有限公司 一种缺气保用轮胎设计方法
KR102547892B1 (ko) * 2021-11-03 2023-06-27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반제품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타이어 성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00624A1 (en) 2001-09-06 2005-01-06 Toshio Tokunaga Method of manufacturing tire
US20070246164A1 (en) 2006-04-21 2007-10-25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Assembly drum intended for the manufacture of self-supporting tires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411324A (ko) * 1963-12-03 1965-06-04
US3476633A (en) 1966-04-08 1969-11-04 Gen Tire & Rubber Co Tire building drum
CH533005A (de) * 1971-02-22 1973-01-31 Semperit Ag Verfahren für die Konfektion von Luftreifenrohlingen und Aufbautrommel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3844871A (en) 1973-02-05 1974-10-29 Uniroyal Inc Tire building machine
US4929298A (en) 1988-05-13 1990-05-29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building drum including an expandable segmental cylinder assembly and a vacuum chamber
JPH02167732A (ja) * 1988-12-22 1990-06-28 Mitsubishi Heavy Ind Ltd 未加硫タイヤ部材の巻付及び成形用ブラダー装置
US4976804A (en) * 1989-05-05 1990-12-1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Expandable tire building drum
KR940009919B1 (ko) * 1991-09-27 1994-10-18 주식회사금호 타이어 성형 드럼
CA2121159C (en) * 1993-07-16 2005-03-29 Kenneth Dean Conger Contoured tire building drum and method of building an extended mobility tire
DE19742035C1 (de) * 1997-09-24 1999-04-08 Continental Ag Verfahren und Trommel als Vorrichtung zum Aufbau eines Reifenrohlinges
KR20010053607A (ko) 1999-05-27 2001-06-25 폴 겔리 최적화된 카카스 경로를 구비한 런플랫 타이어
US6863106B2 (en) * 2001-09-21 2005-03-0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Expandable tire building drum with alternating fixed and expandable segments, and contours for sidewall inserts
JP4279150B2 (ja) 2002-04-19 2009-06-1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ランフラット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3095185A1 (en) 2002-05-07 2003-11-20 Matador A.S. Tyre building drum with turn-up device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green tyres
WO2004026596A1 (ja) * 2002-09-17 2004-04-01 Bridgestone Corporation ランフラットタイヤ用の支持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ランフラットタイヤ
ES2271446T3 (es) * 2003-09-05 2007-04-16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Procedimiento de construccion de una carcasa de neumatico.
JP2005238654A (ja) * 2004-02-26 2005-09-08 Sumitomo Rubber Ind Ltd 生タイヤの製造方法
JP4406664B2 (ja) * 2004-04-30 2010-02-03 ピレリ・タイヤ・ソチエタ・ペル・アツィオーニ 車輪用のランフラットタイヤ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JP4402534B2 (ja) * 2004-07-21 2010-01-2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成型装置およびそれの使用方法
DE102004036516A1 (de) * 2004-07-28 2006-03-23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bau einer Reifenkarkasse eines Reifenrohlings
US7287568B2 (en) 2004-12-23 2007-10-30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High crown uni-stage tire building drum
JP5052983B2 (ja) 2007-07-26 2012-10-17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2009034856A (ja) 2007-07-31 2009-02-19 Bridgestone Corp タイヤ成型装置及びタイヤ成型方法
JP4616905B2 (ja) * 2008-08-26 2011-01-1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成形ドラム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ランフラットタイヤの製造方法
NL2003874C2 (nl) 2009-11-26 2011-05-30 Vmi Holland Bv Bandenbouwtrommel met opslagmechanisme.
JP5281671B2 (ja) * 2011-05-12 2013-09-0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ランフラットタイヤ用のシェーピングフォーマ
FR2983118B1 (fr) 2011-11-30 2014-01-17 Michelin Soc Tech Tambour d'assemblage mixte a diametre variable destine a la fabrication d'un pneumatique comportant des gorges occultables
PL2826644T3 (pl) * 2013-07-18 2019-01-31 Ankol Eood Złącze przenoszące do przenoszenia co najmniej jednego płynu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00624A1 (en) 2001-09-06 2005-01-06 Toshio Tokunaga Method of manufacturing tire
US20070246164A1 (en) 2006-04-21 2007-10-25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Assembly drum intended for the manufacture of self-supporting ti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726665T3 (es) 2019-10-08
EP3206863A1 (en) 2017-08-23
US11040508B2 (en) 2021-06-22
US20170246821A1 (en) 2017-08-31
CN106794651A (zh) 2017-05-31
KR20170068481A (ko) 2017-06-19
JP6672281B2 (ja) 2020-03-25
CN110539511B (zh) 2021-09-17
HUE044794T2 (hu) 2019-11-28
RU2017115747A3 (ko) 2019-02-27
RS58992B1 (sr) 2019-08-30
RU2017115747A (ru) 2018-11-15
EP3206863B1 (en) 2019-04-03
PL3206863T3 (pl) 2019-10-31
JP2017530886A (ja) 2017-10-19
BR112017007499A2 (pt) 2018-01-30
BR112017007499B1 (pt) 2022-04-12
RU2686145C2 (ru) 2019-04-24
CN110539511A (zh) 2019-12-06
CN106794651B (zh) 2019-10-18
NL2014555B1 (en) 201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7324B1 (ko) 타이어, 특히 런플랫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드럼
CA2121159C (en) Contoured tire building drum and method of building an extended mobility tire
KR100738883B1 (ko) 턴업 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타이어 성형용 드럼
EP3037249A1 (en) Sleeveless tire building drum
US2614951A (en) Pneumatic tire building drum
KR20010005698A (ko) 탄성중합체 내부 라이너 및 그 제조 방법과 튜브리스 공기 타이어의 제조 방법 및 타이어의 재생 방법
JP6250328B2 (ja) 交換可能な幅部材を備えたスリーブレスのタイヤ組立ドラム
CN102159384B (zh) 用于控制模制环形固定结构的阶段的方法、设备
KR20060053219A (ko) 팽창성 블래더
TWI677428B (zh) 製造輪胎,特別是低壓安全胎的方法與鼓輪
JP4615824B2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加硫金型
KR101207638B1 (ko) 팽창성 블래더
BR102018067446A2 (pt) Um método de construção de pneus
BR102018067445A2 (pt) Método de construir um pneu
US20200269533A1 (en) Drum for building and shaping a tire carcass
JP4166081B2 (ja) タイヤ中間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2018114646A (ja) タイヤの成形装置
JP2023096720A (ja) 成形ドラム装置
WO2004060642A2 (en) Tire building apparatus and assembly process
JP2016210120A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シェーピング装置、及び空気入りタイヤ
CN109421305A (zh) 充气轮胎的制造方法以及轮胎成型装置
JPH0156662B2 (ko)
KR100913593B1 (ko) 카카스플라이 성형 드럼
JP2006035479A (ja) 生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2018020506A (ja) タイヤ加硫用ブラ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