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897B1 - 롤 푸드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롤 푸드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897B1
KR102192897B1 KR1020197003051A KR20197003051A KR102192897B1 KR 102192897 B1 KR102192897 B1 KR 102192897B1 KR 1020197003051 A KR1020197003051 A KR 1020197003051A KR 20197003051 A KR20197003051 A KR 20197003051A KR 102192897 B1 KR102192897 B1 KR 102192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dough
conveyor belt
moving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3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4996A (ko
Inventor
노부아키 하라다
다로 후쿠가미
가쓰미치 히구치
다쿠토 다카노하시
Original Assignee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4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6Machines for coiling sheets of dough, e.g. for producing roll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6Apparatus for filling pieces of dough such as doughnuts
    • A21C9/063Applying a folding, wrapping, roll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80Past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sewhere, e.g. cakes, biscuits or cooki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21D8/02Methods for preparing dough; Treating dough prior to bak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편평한 생지를 재료의 둘레에 또는 재료 없이 감은 푸드제품을 제조하는 장치는, 상기 재료를 올려놓거나 또는 상기 재료 없이 상기 생지를 올려놓고 반송하도록 구성된, 단부를 갖고 상기 단부를 향하는 제1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벨트와, 상기 제1방향으로 반송되는 상기 생지를 접촉시켜서 만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가동되는 제2벨트와, 상기 제2벨트를 따라 만곡된 상기 생지를 인도하고, 이로써 상기 생지를 감도록 구성된, 상기 제1벨트와 평행한 프레싱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롤 푸드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이하의 개시는, 크루아상(croissant)의 생지(dough)와 같은 편평한 생지를, 잼이나 크림과 같은 반액체(半液體) 또는 반고체(半固體)인 재료의 둘레에 또는 재료 없이 감은 푸드제품(food 製品)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크루아상의 생지 위에 예를 들면 잼이나 크림과 같은 재료를 올려놓고, 이것을 상기 생지에 의하여 감음으로써 롤 푸드제품(roll food 製品)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1은 관련되는 기술을 개시한다.
: 일본국 특허 제2524550호 공보
예를 들면 잼 등과 같은 부드러운 재료는, 생지에 의하여 감겨질 때에 그 압력에 의하여 생지로부터 외부로 뚫고 나갈지 모른다. 한편 생지가 너무 느슨하게 감겨서, 생지와 재료의 밀착 혹은 생지 상호간의 밀착을 결여하면, 롤 식품은 그 형상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없어, 미감(美感)상의 문제를 발생시킬지도 모른다. 이하의 개시에 관한 방법 및 장치는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창작된 것이다.
하나의 국면에 의하면, 편평한 생지를 재료의 둘레에 또는 재료 없이 감은 푸드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재료를 올려놓거나 또는 상기 재료 없이 상기 생지를, 단부를 갖고 상기 단부를 향하는 제1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벨트에 올려놓고 반송하고, 상기 제1벨트 위의 상기 생지를, 상기 단부에 인접하고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가동되는 제2벨트에 접촉시켜서 만곡시키고, 상기 제2벨트를 따라 만곡된 상기 생지를, 상기 제1벨트에 나란하게 배치된 프레싱 부재를 따라 인도하고, 이로써 상기 생지를 감고, 상기 생지의 감은 수가 늘어남에 따라 상기 프레싱 부재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국면에 의하면, 편평한 생지를 재료의 둘레에 또는 재료 없이 감은 푸드제품을 제조하는 장치는, 상기 재료를 올려놓거나 또는 상기 재료 없이 상기 생지를 올려놓고 반송하도록 구성된, 단부를 갖는 제1벨트로서 상기 단부를 향하는 제1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벨트와, 상기 제1방향으로 반송되는 상기 생지를 접촉시켜서 만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가동되는 제2벨트와, 상기 제2벨트를 따라 만곡된 상기 생지를 인도하고, 이로써 상기 생지를 감도록 구성된, 상기 제1벨트에 나란하게 배치된 프레싱 부재를 구비한다.
[도1]제1실시형태에 관한 식품제조장치의 요부의 부분 단면 입면도로서, 도2의 Ⅰ-Ⅰ선에서 절단된 것이고, 상부 컨베이어 벨트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2]식품제조장치의 요부의 평면도이다.
[도3]식품제조장치의 요부의 부분 단면 측면도로서, 도2에 있어서의 Ⅲ-Ⅲ선에서 절단된 것이다.
[도4]식품제조장치의 요부의 부분 단면 측면도로서, 도2에 있어서의 Ⅳ―Ⅳ선에서 절단된 것이다.
[도5]식품제조장치의 요부의 부분 단면 입면도로서, 상부 컨베이어 벨트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6a]도6a 내지 도6e는, 재료의 둘레에 편평한 생지를 감는 일련의 공정의 일부를 설명하는 식품 및 장치의 부분 입면도이다.
[도6b]도6a 내지 도6e는, 재료의 둘레에 편평한 생지를 감는 일련의 공정의 일부를 설명하는 식품 및 장치의 부분 입면도이다.
[도6c]도6a 내지 도6e는, 재료의 둘레에 편평한 생지를 감는 일련의 공정의 일부를 설명하는 식품 및 장치의 부분 입면도이다.
[도6d]도6a 내지 도6e는, 재료의 둘레에 편평한 생지를 감는 일련의 공정의 일부를 설명하는 식품 및 장치의 부분 입면도이다.
[도6e]도6a 내지 도6e는, 재료의 둘레에 편평한 생지를 감는 일련의 공정의 일부를 설명하는 식품 및 장치의 부분 입면도이다.
[도7a]도7a 내지 도7d는, 도6에 계속되는 공정을 설명하는 식품 및 장치의 부분 입면도이다.
[도7b]도7a 내지 도7d는, 도6에 계속되는 공정을 설명하는 식품 및 장치의 부분 입면도이다.
[도7c]도7a 내지 도7d는, 도6에 계속되는 공정을 설명하는 식품 및 장치의 부분 입면도이다.
[도7d]도7a 내지 도7d는, 도6에 계속되는 공정을 설명하는 식품 및 장치의 부분 입면도이다.
[도8a]도8a 내지 도8d는 재료의 둘레에 편평한 생지를 감는 일련의 공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부분 입면도로서, 재료가 비교적 큰 경우이다.
[도8b]도8a 내지 도8d는 재료의 둘레에 편평한 생지를 감는 일련의 공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부분 입면도로서, 재료가 비교적 큰 경우이다.
[도8c]도8a 내지 도8d는 재료의 둘레에 편평한 생지를 감는 일련의 공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부분 입면도로서, 재료가 비교적 큰 경우이다.
[도8d]도8a 내지 도8d는 재료의 둘레에 편평한 생지를 감는 일련의 공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부분 입면도로서, 재료가 비교적 큰 경우이다.
[도9a]도9a 내지 도9d는 재료의 둘레에 편평한 생지를 감는 일련의 공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부분 입면도로서, 재료가 비교적 작은 경우이다.
[도9b]도9a 내지 도9d는 재료의 둘레에 편평한 생지를 감는 일련의 공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부분 입면도로서, 재료가 비교적 작은 경우이다.
[도9c]도9a 내지 도9d는 재료의 둘레에 편평한 생지를 감는 일련의 공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부분 입면도로서, 재료가 비교적 작은 경우이다.
[도9d]도9a 내지 도9d는 재료의 둘레에 편평한 생지를 감는 일련의 공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부분 입면도로서, 재료가 비교적 작은 경우이다.
[도10a]도10a 내지 도10d는, 재료 없이 편평한 생지를 감는 일련의 공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부분 입면도이다.
[도10b]도10a 내지 도10d는, 재료 없이 편평한 생지를 감는 일련의 공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부분 입면도이다.
[도10c]도10a 내지 도10d는, 재료 없이 편평한 생지를 감는 일련의 공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부분 입면도이다.
[도10d]도10a 내지 도10d는, 재료 없이 편평한 생지를 감는 일련의 공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부분 입면도이다.
[도11a]도11a 내지 도11e는 재료의 둘레에 편평한 생지를 감는 일련의 공정의 일부를 설명하는 부분 입면도로서, 재료가 판초코처럼 판모양인 경우이다.
[도11b]도11a 내지 도11e는 재료의 둘레에 편평한 생지를 감는 일련의 공정의 일부를 설명하는 부분 입면도로서, 재료가 판초코처럼 판모양인 경우이다.
[도11c]도11a 내지 도11e는 재료의 둘레에 편평한 생지를 감는 일련의 공정의 일부를 설명하는 부분 입면도로서, 재료가 판초코처럼 판모양인 경우이다.
[도11d]도11a 내지 도11e는 재료의 둘레에 편평한 생지를 감는 일련의 공정의 일부를 설명하는 부분 입면도로서, 재료가 판초코처럼 판모양인 경우이다.
[도11e]도11a 내지 도11e는 재료의 둘레에 편평한 생지를 감는 일련의 공정의 일부를 설명하는 부분 입면도로서, 재료가 판초코처럼 판모양인 경우이다.
[도12a]도12a 내지 도12e는, 도11에 계속되는 공정을 설명하는 부분 입면도이다.
[도12b]도12a 내지 도12e는, 도11에 계속되는 공정을 설명하는 부분 입면도이다.
[도12c]도12a 내지 도12e는, 도11에 계속되는 공정을 설명하는 부분 입면도이다.
[도12d]도12a 내지 도12e는, 도11에 계속되는 공정을 설명하는 부분 입면도이다.
[도12e]도12a 내지 도12e는, 도11에 계속되는 공정을 설명하는 부분 입면도이다.
[도13]제2실시형태에 관한 식품제조장치의 요부의 부분 단면 입면도로서, 상부 컨베이어 벨트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14]제2실시형태에 관한 식품제조장치의 요부의 부분 단면 입면도로서, 상부 컨베이어 벨트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15]변형예에 관한 식품제조장치의 요부의 부분 단면 입면도로서, 상부 컨베이어 벨트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16]도15에 나타내는 식품제조장치의 평면도로서, 상부 컨베이어 벨트를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17]변형예에 관한 식품제조장치의 요부의 부분 단면 입면도로서, 도18의 XⅦ-XⅦ선에서 절단된 것이고, 상부 컨베이어 벨트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18]변형예에 관한 식품제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19a]도19a 내지 도19d는, 변형예에 의하여 재료의 둘레에 편평한 생지를 감는 일련의 공정의 일부를 설명하는 식품 및 장치의 부분 입면도이다.
[도19b]도19a 내지 도19d는, 변형예에 의하여 재료의 둘레에 편평한 생지를 감는 일련의 공정의 일부를 설명하는 식품 및 장치의 부분 입면도이다.
[도19c]도19a 내지 도19d는, 변형예에 의하여 재료의 둘레에 편평한 생지를 감는 일련의 공정의 일부를 설명하는 식품 및 장치의 부분 입면도이다.
[도19d]도19a 내지 도19d는, 변형예에 의하여 재료의 둘레에 편평한 생지를 감는 일련의 공정의 일부를 설명하는 식품 및 장치의 부분 입면도이다.
[도20a]도20a 내지 도20d는, 도19에 계속되는 공정의 일부를 설명하는 식품 및 장치의 부분 입면도이다.
[도20b]도20a 내지 도20d는, 도19에 계속되는 공정의 일부를 설명하는 식품 및 장치의 부분 입면도이다.
[도20c]도20a 내지 도20d는, 도19에 계속되는 공정의 일부를 설명하는 식품 및 장치의 부분 입면도이다.
[도20d]도20a 내지 도20d는, 도19에 계속되는 공정의 일부를 설명하는 식품 및 장치의 부분 입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몇 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제1실시형태에 관한 푸드제품 제조장치(food製品 製造裝置)(1)는 프레임 설치대(frame 設置臺)(3)를 구비하고 있다. 이 프레임 설치대(3)의 상부에는, 제1컨베이어 벨트(5)가 X축방향(도1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X축방향은 보통의 경우에는 수평이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제1컨베이어 벨트(5)는, 프레임 설치대(3)에 구비된 종동풀리(從動pulley)(5A)에 감겨 있다. 제1컨베이어 벨트(5)는, 예를 들면 크루아상 생지(croissant dough) 등과 같은 편평한 모양의 식품생지(food dough)(7)를 상류측(도1에 있어서 좌측)으로부터 하류측(도1에 있어서 우측)으로 반송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서보모터(servo motor) 등과 같은 적절한 모터(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에 의하여 주행하도록 구동된다.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5)의 상면의 주행방향을, 이하의 설명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제1방향으로 정의하여 사용한다. 즉 제1컨베이어 벨트(5)의 상면은, 종동풀리(5A)가 있는 하류측의 단부(端部)를 향하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고, 식품생지(7)는 이것을 따라 반송된다. 상기 식품생지(7)로써, 예를 들면 잼이나 크림 등과 같이 딱딱하지 않은 재료인 속 재료(9)를 감아서 넣기 위하여 상기 식품생지(7)의 반송 선단측(搬送 先端側)(X축방향의 일단측(一端側))에는 상기 속 재료(9)가 재치(載置)되어 있다. 또 식품생지(7)만을 원기둥 형상(원통 형상의 경우도 포함한다)으로 감아서 넣는 경우에는, 상기 속 재료(9)는 사용하지 않는다.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5)의 하류단측(下流端側)(도1에 있어서 우단측(右端側))에는, 제2컨베이어 벨트(11)가 제1컨베이어 벨트(5)에 대하여 출몰(出沒)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출몰의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X축과 직교하는 Z축방향이고, 이것은 보통의 경우에는 제1방향과도 직교한다. 이러한 방향을 이하의 설명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제2방향으로 정의하여 사용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5)의 하류단 부근의 하부에는 하부 설치대(下部 設置臺)(13)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부 설치대(13)에는 Z축방향을 향하는 지지부재(15)가 구비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15)에 바람직하게는 Z축방향으로 세워져서 설치된 가이드 부재(guide 部材)(17)에는, 상하 슬라이더(上下 slider)(19)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되어 지지되어 있다. 이 상하 슬라이더(19)에는, 당해 상하 슬라이더(19)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상하 작동장치(上下 作動裝置)(21)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상하 슬라이더(19)에는 상하방향의 랙(rack)(23)이 구비되어 있고, 이 랙(23)에는, 상기 하부 설치대(13)에 장착된 서보모터 등의 모터(M1)에 의하여 회전되는 피니언(pinion)(25)이 맞물려 있다. 따라서 상기 서보모터(M1)를 정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상하 슬라이더(19)는 제2방향으로 상하이동된다. 또 상기 상하 작동장치(21)의 구성으로서는 랙, 피니언 등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유체압 실린더(流體壓 cylinder)에 의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하 슬라이더(19)에는, 상기 지지부재(15)에 Y축방향으로 이격(離隔)되어 형성된 상하방향의 장공(長孔)(27)(도3을 참조)을 관통한 1쌍의 상하방향의 암부재(arm部材)(29)의 하단부(下端部)가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암부재(29)의 상단부(上端部)에는, Y축방향으로 길이가 긴 아이들러(idler)(31)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아이들러(31)는 상하 슬라이더(19)를 따라 제2방향으로 상하이동하는 가동축(可動軸)이다. 그리고 상기 아이들러(31)에는, 엔드리스(endless) 모양의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11)가 감겨 있다. 아이들러(31)를 구동하는 모터는 필요없지만, 예를 들면 제2컨베이어 벨트에 장력을 부여하는 등의 목적으로 아이들러(31)에 구동수단을 접속하여도 좋다.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11)는,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5)에 의하여 반송된 식품생지(7)의 반송 선단측이 접촉되었을 때에, 반송 선단측을 상측방향으로 만곡(彎曲)시키면서 들어올리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 설치대(13)는, 일정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는 서보모터 등의 모터(M2)와, 이에 따라 회전되는 구동풀리(33)를 구비하고, 제2컨베이어 벨트(11)는 구동풀리(33)에 감겨 있다. 구동풀리(33)는 모터(M2)와 함께 고정축이다. 그리고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11)는, 상기 구동풀리(33)의 상방위치에 구비된 종동풀리(35A)와 상기 암부재(29)에 구비된 종동풀리(35B)에 되돌려져서 감겨 있다. 즉 제2컨베이어 벨트(11)는 구동풀리(33)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고, 아이들러(31) 및 종동풀리(35A, 35B)는 제2컨베이어 벨트(11)의 이동에 따라 회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상기 상하 작동장치(21)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11)를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5)의 하류단에 대하여 제2방향으로 출몰시킬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11)를, 도1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암부재(29)를 상하이동시켜도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5)에 대하여 제2컨베이어 벨트(11)가 상하이동하는 부분의 속도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2컨베이어 벨트(11)의 제1컨베이어 벨트(5)에 대한 상대속도는, 고정축인 구동풀리(33)의 회전속도에 의하여 규정되는 것이어서, 아이들러(31)의 상하이동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러한 상대속도를 일정하게 할 수 있는 것은, 식품생지(7)가 늘어나게 되는 것, 혹은 느슨해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써 롤 식품(roll 食品)의 형상을 안정화시키는 것에 도움이 되어, 그 미감(美感)을 향상시킨다.
상기 프레임 설치대(3)에는 상부 설치대(37)가 구비되어 있다. 이 상부 설치대(37)의 상류측(도1에 있어서 좌측)에는,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5)에 의하여 반송되어 온 식품생지(7)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검출센서(39)가 구비되어 있다. 이 검출센서(39)가 식품생지(7)의 반송 선단부를 검출하면, 제1컨베이어 벨트(5)보다 낮게 가라앉은 상태의 제2컨베이어 벨트(11)가 제어장치(40)의 제어 하에 상승된다.
따라서 상기 검출센서(39)에 의하여 식품생지(7)의 검출이 실시되면, 모터(M2)에 의하여 제2컨베이어 벨트(11)가 도1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상하 작동장치(21)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5)로부터 상기 암부재(29)의 상단부가 돌출된다. 따라서 제1컨베이어 벨트(5)에 의하여 반송되는 식품생지(7)의 반송 선단측은, 제2컨베이어 벨트(11)에 접촉되어 상측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즉 식품생지(7)의 반송 선단측은, 제2컨베이어 벨트(11)에 의하여 상측방향으로 만곡되면서 들어올려져서, 예를 들면 재치되어 있는 속 재료(9)를 감아서 넣게 된다.
상기 상부 설치대(37)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만곡되면서 상측방향으로 들어올려진 식품생지(7)의 반송 선단측을 상측방향으로부터 눌러서, 식품생지(7)에 의한 속 재료(9)의 감아 넣기, 또는 식품생지(7)의 선단측의 감아 넣기를 더 확실하게 하기 위한 상부 프레싱 부재(上部 pressing 部材)를 구비하고, 이것은 제1컨베이어 벨트(5)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하이동할 수 있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컨베이어 벨트(5)와 대략 평행하다. 상부 프레싱 부재의 일례는 상부 컨베이어 벨트(41)이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 설치대(37)의 Y축방향과 대향(對向)한 내면에는, 상하방향의 가이드 부재(43)가 Z축방향을 향하여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43)에는, 승강 프레임체(昇降 frame體)(45)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되어 지지되어 있다. 이 승강 프레임체(45)에는,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5)의 Y축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하측방향으로 연신(延伸)된 1쌍의 다리부(47)가 구비되어 있다. 이 다리부(47) 사이에는 상하 슬라이더(49)가 일체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 상하 슬라이더(49)는, 상기 지지부재(15)에 구비된 상하방향의 Z축방향을 향하는 가이드 부재(51)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되어 있다.
상기 승강 프레임체(45)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하 슬라이더(49)에는, 상하 작동장치의 일례로서의 상하방향의 랙(rack)(53)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 랙(53)에는, 상기 하부 설치대(13)에 장착된 서보모터 등과 같은 모터(M3)에 의하여 회전되는 피니언(55)이 맞물려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M3)의 회전을 제어장치(40)에 의하여 제어함으로써 상기 승강 프레임체(45)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 프레임체(45)의 하부에는,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5)와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혹은 이것과 평행한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57)가 수평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 가이드 플레이트(57)의 X축방향의 일단측(도1에 있어서 좌단측(左端側))및 타단측(他端側)(도1에 있어서 우단측)에는, 각각 종동풀리(59A, 59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종동풀리(59B)는 하류단측의 종동풀리로서,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5)의 하류단 위치(도1에 있어서 우단위치)보다 하류측(도1에 있어서 우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11)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상부 컨베이어 벨트(41)를 상기 종동풀리(59A, 59B)에 감기 위하여 상기 승강 프레임체(45)의 상부에는 종동풀리(6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종동풀리(61)에 감긴 상부 컨베이어 벨트(41)를 되돌리기 위하여 상기 상부 설치대(37)에 있어서, 상기 종동풀리(61)보다 하방의 위치에는 종동풀리(6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종동풀리(59A, 59B, 61, 63)에 감긴 상부 컨베이어 벨트(41)는, 상기 상부 설치대(37)에 장착된 서보모터 등과 같은 모터(M4)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풀리(65)에 감겨 있다. 또한 상부 컨베이어 벨트(41)는, 상기 승강 프레임체(45)의 상방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설치대(37)에 구비된 종동풀리(67, 69)에 감겨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모터(M4)를 구동함으로써 상부 컨베이어 벨트(41)를 도1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킬 수 있다. 상부 컨베이어 벨트(41)가 식품생지(7)와 접촉하는 수평부분의 이동방향은 도1에 있어서 좌측방향이고, 제1컨베이어 벨트(5)가 식품생지(7)의 접촉하는 부분의 이동방향은 도1에 있어서 우측방향으로서 역방향이다. 즉 상부 컨베이어 벨트(41)는, 제1컨베이어 벨트(5)와는 역방향으로 움직이는 카운터 벨트(counter belt)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식품생지(7)의 반송 선단측이 제2컨베이어 벨트(11)에 의하여 상측방향으로 들어올려져서, 예를 들면 속 재료(9)를 감아서 넣도록 만곡된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상부 컨베이어 벨트(41)를 하강시켜서 식품생지(7)에 상측으로부터 접하게 한다. 식품생지(7)는 상부 컨베이어 벨트(41)를 따라 인도되어 속 재료(9)의 둘레에 감긴다. 상부 컨베이어 벨트(41)가 제1컨베이어 벨트(5)와는 역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은, 식품생지(7)를 감아서 넣는 것을 촉진한다. 식품생지(7)에 의하여 속 재료(9)를 확실하게 감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품생지(7)에 의하여 상기 속 재료(9)를 감아서 넣음으로써, 푸드제품(71)으로서의 식품생지(7)의 감은 수가 늘어나서 지름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 벨트(41)를 상기 식품생지(7)의 두께에 대응하여 점차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감아서 넣은 속 재료(9)를 압박하지 않고 와인딩 성형(winding 成形)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속 재료(9)가 딱딱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도, 양측으로부터 흘러넘치지 않고 또한 감아서 넣은 식품생지(7) 사이의 간극이 없도록 감아서 넣을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푸드제품(71)은 속 재료(9)가 흘러넘치지 않고 또한 식품생지(7)의 간극이 거의 없는 상태로 적정한 힘으로 감겨서 조여진다. 이미 이해한 바와 같이 속 재료(9)를 사용하지 않고 식품생지(7)만을 감아서 넣는 경우에는, 식품생지(7)의 간극이 거의 없는 상태로 감아서 넣을 수 있다.
그런데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부 프레싱 부재의 일례로서의 상부 컨베이어 벨트(41)의 경우에 대하여 예시하였다. 그러나 상부 프레싱 부재로서는,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57)의 위치에, 작은 지름의 복수의 롤러를 병렬시켜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복수의 롤러를 모터에 의하여 회전구동시킴으로써 식품생지(7)의 감아 넣기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회전구동하지 않아도 좋으며, 제1컨베이어 벨트(5) 및 제2컨베이어 벨트(11)에 의하여 감아 넣기는 식품생지(7)에 접촉되어 수동적으로 회전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인딩 성형된 푸드제품(71)을 다음 공정으로 반송하기 위하여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5)의 하류측에는 제3컨베이어 벨트(73)가 구비되어 있다. 이 제3컨베이어 벨트(73)는,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1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5)의 반대측(도1에 있어서의 우측)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3컨베이어 벨트(73)는, 프레임 설치대(3)의 일부(3A)에 장착된 서보모터 등과 같은 모터(M5)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풀리(75)에 감겨 있다. 또한 상기 제3컨베이어 벨트(73)는,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5)로부터 이송된 푸드제품(71)을 하류측의 다음 공정으로 반송하도록, 상기 프레임 설치대(3)의 일부(一部)(3A)에 구비된 종동풀리(77, 79)에 감겨 있다.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컨베이어 벨트(11)가 하강하고 또한 상부 컨베이어 벨트(41)가 상승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5)로부터 제3컨베이어 벨트(73) 위로 이송된 푸드제품(71)을 감아서 조이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 설치대(3)의 일부(3A)에는, 하류측으로 반송되는 상기 푸드제품(71)에 상측으로부터 접촉하여 중량을 부여하는 가요성 부재(可撓性 部材)(81)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프레임 설치대(3)의 일부(3A)에는, Y축방향으로 이격된 1쌍의 지주(支柱)(83)가 세워져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주(83)에 양단을 지지한 수평한 지지바(支持bar)(85)에는, 상기 가요성 부재(81)의 일례로서의 컬 네트에 구비된 브래킷(87)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상기 푸드제품(71)이 예를 들면 컬 네트(curl net) 등과 같은 가요성 부재(81)의 아래를 통과할 때에, 상기 가요성 부재(81)의 중량이 부하(負荷)되어 전동(轉動)하게 됨으로써, 감아서 조이는 것이 더 확실하게 실시된다.
또 상기 가요성 부재(81)로서는, 컬 네트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편평한 모양의 유연한 수지판(樹脂板)이나 복수의 끈부재 등을 병렬로 구비한 구성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요성 부재(81)는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도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컨베이어 벨트(5)에 대하여 제2컨베이어 벨트(11)가 가라앉게 되고 또한 상부 컨베이어 벨트(41)가 상승한 상태에 있을 때에, 속 재료(9)를 재치한 식품생지(7)를 제1컨베이어 벨트(5)에 의하여 하류측으로 반송한다. 이때에 식품생지(7)의 반입 선단측이 검출센서(39)에 의하여 검출되면, 도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컨베이어 벨트(11)가 상승됨과 아울러 상부 컨베이어 벨트(41)가 하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컨베이어 벨트(41)를 하강시킬 때에는, 제어장치(40)의 제어 하에 제1컨베이어 벨트(5)와 상부 컨베이어 벨트(41)의 간격(H)은 적정한 간격으로 유지된다. 즉 제1컨베이어 벨트(5)에 의하여 반송되는 상기 식품생지(7)의 두께 및 상기 속 재료(9)의 크기(높이)를, 적절한 위치에 구비된 센서(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에 의하여 검출하면, 상기 식품생지(7)에 의하여 속 재료(9)를 감아 넣기에 적합한 간격(H)을 유지하도록 상부 컨베이어 벨트(41)의 적정위치가 제어된다.
또 식품생지(7)의 두께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레이저광을 이용한 거리센서에 의하여 제1컨베이어 벨트(5)의 상면위치를 검출한다. 그리고 식품생지(7)가 반송되어 왔을 때에는, 식품생지(7)의 상면위치를 검출하고, 제어장치(40)에 구비된 컴퓨터와 같은 연산수단에 의하여 연산처리함으로써 식품생지(7)의 두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속 재료(9)의 크기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는,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5)의 반송속도와, 상기 거리센서에 의한 검출값의 변화에 의거하여 연산할 수 있다. 또 속 재료(9)는 미리 계량하여 적정한 크기로 설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계량값에 의거하여 연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컨베이어 벨트(11)가 상승되고, 상부 컨베이어 벨트(41)가 적정한 높이위치로 하강되면(도6b를 참조), 도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품생지(7)의 반송 선단측이 제2컨베이어 벨트(11)에 접촉되어, 속 재료(9)를 감아서 넣도록 상측방향으로 들어올려져서 만곡된다. 그리고 상측방향으로 들어올려진 식품생지(7)의 선단부는, 상부 컨베이어 벨트(41)에 접촉되어, 도6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속 재료(9)의 감아 넣기를 한다.
그리고 식품생지(7)에 의한 속 재료(9)의 감아 넣기가 2회째의 감기가 되면, 도6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식품생지(7)의 두께에 대응하여 상부 컨베이어 벨트(41)가 제어장치(40)의 제어 하에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식품생지(7)에 의한 속 재료(9)의 감아 넣기 횟수가 늘어나면, 도7a, 도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컨베이어 벨트(41)가 점차적으로 상승된다.
그리고 식품생지(7)에 의한 속 재료(9)의 감아 넣기가 종료되어 푸드제품(71)이 형성되면, 도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컨베이어 벨트(41)가 상승됨과 아울러 제2컨베이어 벨트(11)가 하강되어, 푸드제품(71)은 제3컨베이어 벨트(73) 위로 이송된다. 제3컨베이어 벨트(73) 위의 푸드제품(71)은, 제3컨베이어 벨트(73)에 의하여 하류측으로 반송될 때에 가요성 부재(81)에 접촉하여 전동되면서 반송됨으로써, 감아서 조이기가 실시된다.
푸드제품(71)이 제3컨베이어 벨트(73) 위로 이송되면, 다음의 식품생지(7)가 도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입되어, 다음의 식품생지(7)의 와인딩 성형이 실시된다.
이상과 같은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식품생지(7)를 와인딩 성형할 때에, 식품생지(7)에 접촉되는 부분이 서로 직교된 상태에 있는 제1컨베이어 벨트(5), 제2컨베이어 벨트(11) 및 제1컨베이어 벨트(5)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부 컨베이어 벨트(41)의 협동에 의하여 와인딩 성형이 실시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5)의 이동속도와, 제2컨베이어 벨트(11)의 이동속도와, 상부 컨베이어 벨트(41)의 이동속도의 관계는, 제어장치(40)에 의하여 제어되어, 제1컨베이어 벨트(5)의 이동속도〈 제2컨베이어 벨트(11)의 이동속도〈 상부 컨베이어 벨트(41)의 이동속도의 관계에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푸드제품(71)의 와인딩 성형을 할 때에, 식품생지(7)가 느슨하게 되지 않아, 와인딩 성형 후의 식품형상이 안정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컨베이어 벨트(5) 위의 식품생지(7)의 반송 선단측이 제2컨베이어 벨트(11)에 접촉되면, 제2컨베이어 벨트(11)에 의하여 반송 선단측을 잡아당기는 형태가 되어, 식품생지(7)가 느슨하게 되지 않는다.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11)의 접촉으로부터 상부 컨베이어 벨트(41)의 접촉으로 옮겨진 경우에도 동일하다.
이미 이해한 바와 같이 제1컨베이어 벨트(5)의 이동속도〈 제2컨베이어 벨트(11)의 이동속도〈 상부 컨베이어 벨트(41)의 이동속도의 관계를 유지하여 식품생지(7)의 와인딩 성형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식품생지(7)는, 제1컨베이어 벨트(5)와 제2컨베이어 벨트(11)의 사이, 및 제2컨베이어 벨트(11)와 상부 컨베이어 벨트(41)의 사이에서 잡아당겨지는 태양이 되어, 느슨함을 발생시키지 않고 와인딩 성형을 할 수 있다.
그런데 식품생지(7)의 감은 횟수에 대응하여 상부 컨베이어 벨트(41)를 제어장치(40)의 제어 하에서 상승시킬 때에는,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5)의 반송속도 등에 의거하여 식품생지(7)의 감은 횟수를 제어장치(40)에 구비된 연산수단에 의하여 연산할 수 있다. 즉 검출센서(39)로부터 제2컨베이어 벨트(11)까지의 거리를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상기 검출센서(39)의 위치를 통과한 후에 와인딩 성형을 개시하는 시간을 연산수단에 의하여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속 재료(9)의 크기, 식품생지(7)의 두께, 제1컨베이어 벨트(5)의 반송속도에 의거하여, 식품생지(7)에 의한 속 재료(9)의 감은 횟수를 연산수단에 의하여 연산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검출센서(39)의 위치를 식품생지(7)가 통과한 시간의 경과와 식품생지(7)의 감은 횟수의 관계를 연산에 의하여 알 수 있다. 따라서 식품생지(7)의 감은 횟수에 대응하여 상부 컨베이어 벨트(41)를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속 재료(9)를 압박하지 않고 또한 식품생지(7) 사이의 간극이 없도록 와인딩 성형을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11)가 상하이동할 때에 식품생지(7)에 대하여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고 있다. 따라서 상하동작에 기인하여, 식품생지(7)에 대한 제2컨베이어 벨트(11)의 상대적인 속도변화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대적인 속도변화에 기인하는 「주름」 등을 식품생지(7)의 표면에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미 이해한 바와 같이 제1컨베이어 벨트(5)에 대한 상부 컨베이어 벨트(41)의 높이위치가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도8, 도9,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푸드제품(71)이 다양한 형태인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즉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속 재료(9)가 비교적 커서 식품생지(7)의 감은 수가 예를 들면 2회인 경우나,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속 재료(9)가 작아서 식품생지(7)의 감은 수가 예를 들면 3회인 경우 등과 같이 속 재료(9)의 크기 및 식품생지(7)의 감은 횟수가 다른 경우 등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품생지(7)에 속 재료(9)를 재치하지 않고 식품생지(7)만을 와인딩 성형하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 푸드제품(71)의 지름의 크기는 속 재료(9)의 크기, 식품생지(7)의 두께, 식품생지(7)의 감은 수에 따라 다양하게 변한다. 그러나 식품생지(7)의 감은 횟수마다 지름이 커지는 정도는 미리 연산할 수 있기 때문에, 푸드제품(71)의 지름이 다향하게 변화하는 형태인 경우에도, 속 재료(9)가 흘러 나오지 않고 또한 감아서 넣은 식품생지(7)의 간극을 작게 억제한 상태, 바꾸어 말하면 간극이 없도록 적정한 힘으로 푸드제품(71)의 와인딩 성형을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설명에서는 속 재료(9)가 딱딱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속 재료(9)에도 다양한 형태가 있어, 딱딱한 속 재료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11, 도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속 재료(9)로서, 예를 들면 판초코(板chocolate) 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감아서 넣은 식품생지(7) 사이의 간극을 작게 억제한 상태에서 푸드제품의 와인딩 성형을 할 수 있다. 또한 속 재료(9)로서는, 예를 들면 단단한 막대모양의 식품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식품생지(7)를 소성(燒成)한 후에 속 재료를 뽑아내어 중공(中空)의 식품으로 하는 경우에, 상기 속 재료(9)는 예를 들면 금속, 세라믹스 등 식품 이외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13, 도14는 제2실시형태에 관한 식품제조장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제2실시형태에 관한 식품제조장치(1A)에 있어서, 상기 식품제조장치(1)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하여,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2실시형태에 관한 식품제조장치(1A)에 있어서는, 회전 프레임체(89)를 상부 설치대(37)에 상하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 프레임체(89)에 장착된 모터(M6)에 의하여 회전되는 상부 컨베이어 벨트(41A)를 구비하고 있다. 이 상부 컨베이어 벨트(41A)는, 전술한 상부 컨베이어 벨트(41)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설치대(37)에는, 상기 회전 프레임체(89)를 상하로 회전시키기 위한 유체압 실린더(91)가 구비되어 있다.
상부 컨베이어 벨트(41)가 하방으로 회전하여 그 하면이 식품생지(7)에 접하여 이것을 감을 때에, 도1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상부 컨베이어 벨트(41)는 제1컨베이어 벨트(5)에 대략 평행하게 할 수 있다. 와인딩 성형이 완료된 후에는, 상부 컨베이어 벨트(41)는 도1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상방으로 회전할 수 있고 또한 제2컨베이어 벨트(11)가 가라앉게 되어, 감긴 식품생지(7)는 제1컨베이어 벨트(5)에 의하여 하류측으로 반송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식품제조장치(1A)에서도 전술한 식품제조장치(1)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5∼도20은, 편평한 모양의 식품생지를 원기둥모양 모양으로 감아서 넣은 형태의 푸드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변형태양에 관한 푸드제품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변형태양의 푸드제품 제조장치(1B)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하여,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푸드제품 제조장치(1, 1A)에 있어서는, 제1컨베이어 벨트(5)에 대하여 제2컨베이어 벨트(11)가 출몰하도록 상하이동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일방(一方)의 컨베이어 벨트(5)에 대하여 타방(他方)의 컨베이어 벨트(11)가 상하이동하는 구성은 상대적인 것으로서, 타방의 컨베이어 벨트(11)에 대하여 일방의 컨베이어 벨트(5)를 상하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푸드제품 제조장치(1B)에 있어서는, 일방의 컨베이어 벨트(5)를 상하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푸드제품 제조장치(1B)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컨베이어 벨트(5)에 상당하는 제1컨베이어 벨트(5C)를 상하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하고 있다. 즉 제1컨베이어 벨트(5C)는, 프레임 설치대(3)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 회전 프레임(95)에 지지되어 있다. 이 회전 프레임(95)은, 식품생지(7)의 반송방향에서 보아서 하류단측(도15에 있어서는 우단측)이 상하이동하는 구성이다. 또 제1컨베이어 벨트(5C)는, 프레임 설치대(3)에 장착된 서보모터 등과 같은 모터(MC)에 의하여 주행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상기 회전 프레임(95)은, 프레임 설치대(3)에 장착된 유체압 실린더 등 마다에 적절한 회전 작동장치(97)에 의하여 상하로 회전된다.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5C)와 제3컨베이어 벨트(73)의 사이에는,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11)를 대신하여 제2컨베이어 벨트(11A)가 구비되어 있다. 이 제2컨베이어 벨트(11A)는, 상기 제3컨베이어 벨트(73)와 동일하게 프레임 설치대(3)의 일부(3A)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2컨베이어 벨트(11A)가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5C)의 상하로 회전하는 하류단측과 대향한 위치에는, 식품생지(7)의 반송 선단측이 접촉하였을 때에 상기 반송 선단측을 상측방향으로 만곡시키면서 들어올리는 리프팅 작용부(lifting 作用部)(99)가 제2방향을 향하여 구비되어 있다. 이 제2컨베이어 벨트(11A)는 프레임 설치대(3)에 장착된 모터(M2)에 의하여 주행하도록 구동된다. 리프팅 작용부(99)의 방향은, 예를 들면 제1컨베이어 벨트(5C)가 상방으로 회전한 도17의 상태에 있어서 제1방향과 직교하고 있어, 제1컨베이어 벨트(5C)가 회전함으로써 리프팅 작용부(99)는 제1컨베이어 벨트(5C)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제2방향으로 출몰한다. 리프팅 작용부(99)에 관계되는 각 풀리는, 프레임 설치대(3)의 일부(3A)에 대해서는 고정축이지만, 제1컨베이어 벨트(5C)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가동축이다. 모터(M2)의 회전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리프팅 작용부(99)의 상대적인 출몰에 관계 없이 식품생지(7)에 대한 속도를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5C)에 대하여 식품생지(7)를 반입하기 위하여 제1컨베이어 벨트(5C)의 상류측에는 반입 컨베이어 벨트(10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반입 컨베이어 벨트(101)의 컨베이어 프레임(conveyor frame)(101F) 위에는 검출센서(39)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5C)의 상방에는 상부 설치대(37)가 구비되어 있다. 이 상부 설치대(37)에는, 상기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회전 프레임체(89), 상기 컨베이어 벨트(41A), 유체압 실린더(9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식품생지(7)를 와인딩 성형하기 위하여 반입 컨베이어(101)에 의하여 식품생지(7)를 제1컨베이어 벨트(5C)로 반입할 때에, 검출센서(39)에 의하여 식품생지(7)의 검출이 실시된다. 검출센서(39)에 의하여 식품생지(7)의 검출이 실시되면, 제1컨베이어 벨트(5C)의 하류단측이 하강됨과 아울러, 상부 컨베이어 벨트(41A)가 하강된다(도19a를 참조).
이때에 상부 컨베이어 벨트(41A)는 제2컨베이어 벨트(11A)의 상측으로서, 미리 설정된 높이위치로 하강된다. 그리고 제1컨베이어 벨트(5C)와 상부 컨베이어 벨트(41A)의 상하방향의 간격은, 식품생지(7)의 와인딩 성형을 하기에 적합한 간격으로 유지된다. 즉 식품생지(7)의 두께, 속 재료(9)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간격의 제어가 실시된다. 이때에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컨베이어 벨트(5C)의 상면은, 상부 컨베이어 벨트(41A)의 하면과는 대략 평행하고 또 리프팅 작용부(99)가 주행하는 제2방향과는 대략 직교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5C)에 의하여 식품생지(7)가 반송되어 식품생지(7)의 반입 선단측이 제2컨베이어 벨트(11)의 리프팅 작용부(99)에 접촉되면(도19b), 상기 반입 선단측이 들어올려져서 상부 컨베이어 벨트(41A)에 접촉된다. 따라서 식품생지(7)는 제1컨베이어 벨트(5C), 제2컨베이어 벨트(11A)의 리프팅 작용부(99), 상부 컨베이어 벨트(41A)의 협동에 의하여 와인딩 성형된다(도19c).
그리고 식품생지(7)의 감은 횟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면, 제1컨베이어 벨트(5C)는 식품생지(7)의 두께에 대응하여 점차적으로 하강된다(도19d∼도20b). 따라서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푸드제품(71)의 양측으로부터 속 재료(9)가 흘러 나오지 않고, 또한 식품생지(7) 사이의 간극이 없도록 와인딩 성형을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푸드제품(71)의 와인딩 성형이 실시되면, 제1컨베이어 벨트(5C), 상부 컨베이어 벨트(41A)가 상승된다. 그리고 푸드제품(71)은 제2컨베이어 벨트(11A) 위로 반출된다(도17, 도20c). 그 후에 다음의 식품생지(7)가 제1컨베이어 벨트(5C) 위로 반입되어, 다음의 식품생지(7)의 와인딩 성형이 이루어진다(도15, 도19a, 도20d).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컨베이어 벨트(5C)를 상승시켜서 푸드제품(71)을 제2컨베이어 벨트(11A) 위로 반출할 때에, 푸드제품(71)과 제2컨베이어 벨트(11A)에 있어서의 리프팅 작용부(99)의 사이에서의 상대적 속도가 변화하는 것에 기인하는 미끄러짐이 없도록 제2컨베이어 벨트(11A)의 속도를 약간 증속(增速)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푸드제품 제조장치(1B)에 있어서도, 전술한 푸드제품 제조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컨베이어 벨트에 의하여 반송되는 식품생지의 반송 선단측을 상측방향으로 만곡시켜서 와인딩 성형을 할 때에, 상부 컨베이어 벨트에 의하여 식품생지를 상측으로부터 누른다. 그리고 식품생지의 감은 수에 대응하여, 제1컨베이어 벨트와 상부 컨베이어 벨트의 상하 간격을 적정하게 조절한다.
따라서 식품생지를 와인딩 성형한 푸드제품의 양측으로부터 속 재료가 흘러 나오지 않고 또한 와인딩 성형한 식품생지 사이의 간극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와인딩 성형할 수 있다.
몇 개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상기의 개시 내용에 의거하여 실시형태의 수정 또는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잼이나 크림과 같은 반액체(半液體) 또는 반고체(半固體)의 재료의 둘레에 또는 재료 없이 생지를 감더라도, 재료가 외부로 뚫고 나가지 않고 또 미감(美感)상의 문제도 발생시키지 않는 롤 푸드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10)

  1. 편평한 생지(dough)를 재료의 둘레에 또는 재료 없이 감은 푸드제품(food製品)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상기 재료를 올려놓거나 또는 상기 재료 없이 상기 생지를, 단부(端部)를 갖고 상기 단부를 향하는 제1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벨트(第1belt)에 올려놓고 반송하고,
    (b)상기 제1벨트 위의 상기 생지를, 상기 단부에 인접하고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가동(可動)되는 제2벨트에 접촉시켜서 만곡(彎曲)시키고,
    (c)상기 제2벨트를 따라 만곡된 상기 생지를, 상기 제1벨트에 나란하게 배치된 프레싱 부재(pressing部材)를 따라 인도하고, 이로써 상기 생지를 감고,
    (d)상기 생지의 감은 수가 늘어남에 따라 상기 프레싱 부재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푸드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고정축(固定軸)으로서 일정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는 구동풀리(驅動pulley) 및 상기 제2방향으로 가동되는 가동축(可動軸)으로서 상기 제2벨트를 따라 회전하는 아이들러(idler)에 상기 제2벨트를 감고, 상기 구동풀리를 상기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아이들러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로써 상기 아이들러의 이동에 관계 없이 상기 제2벨트를 상기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게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푸드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부재가 구비하는 카운터 벨트(counter belt)를, 상기 제2벨트를 따라 만곡된 상기 생지에 접촉시키고, 상기 제1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벨트의 이동속도는 상기 제2벨트의 이동속도보다 느리고, 상기 제2벨트의 상기 이동속도는 상기 카운터 벨트의 이동속도보다 느린, 푸드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벨트를 상기 제1벨트와 평행을 유지한 채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푸드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벨트에 상기 제1방향으로 인접하고 상기 제2벨트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3벨트와, 상기 제3벨트 위로 늘어 뜨려진 가요성 부재의 사이에 상기 생지를 사이에 두고, 이로써 상기 생지를 감아서 조이는 것을 더 포함하는, 푸드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6. 편평한 생지를 재료의 둘레에 또는 재료 없이 감은 푸드제품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상기 재료를 올려놓거나 또는 상기 재료 없이 상기 생지를 올려놓고 반송하도록 구성된, 단부를 갖는 제1벨트로서 상기 단부를 향하는 제1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벨트와,
    상기 제1방향으로 반송되는 상기 생지를 접촉시켜서 만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가동되는 제2벨트와,
    상기 제2벨트를 따라 만곡된 상기 생지를 인도하고, 이로써 상기 생지를 감도록 구성된, 상기 제1벨트에 나란하게 배치된 프레싱 부재를
    구비하고,
    고정축으로서 일정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는 구동풀리와, 상기 제2방향으로 가동되는 가동축으로서 상기 제2벨트를 따라 회전하는 아이들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벨트는 상기 구동풀리 및 상기 아이들러에 감겨 있고, 이로써 상기 아이들러의 이동에 관계 없이 상기 제2벨트를 상기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게 하는, 푸드제품을 제조하는 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부재는 상기 제2벨트를 따라 만곡된 상기 생지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움직이는 카운터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벨트의 이동속도는 상기 제2벨트의 이동속도보다 느리고, 상기 제2벨트의 상기 이동속도는 상기 카운터 벨트의 이동속도보다 느린, 푸드제품을 제조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벨트를 상기 제1벨트와 평행을 유지한 채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기구를 더 구비한, 푸드제품을 제조하는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벨트에 상기 제1방향으로 인접하고 상기 제2벨트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3벨트와,
    상기 제3벨트 위로 늘어 뜨려져서 상기 제3벨트와의 사이에 상기 생지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고, 이로써 상기 생지를 감아서 조이는 가요성 부재를
    더 구비한, 푸드제품을 제조하는 장치.
KR1020197003051A 2016-08-05 2017-07-28 롤 푸드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92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54256A JP6499619B2 (ja) 2016-08-05 2016-08-05 食製品の製造方法及び食製品製造装置
JPJP-P-2016-154256 2016-08-05
PCT/JP2017/027490 WO2018025771A1 (ja) 2016-08-05 2017-07-28 巻き食製品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996A KR20190024996A (ko) 2019-03-08
KR102192897B1 true KR102192897B1 (ko) 2020-12-18

Family

ID=61073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051A KR102192897B1 (ko) 2016-08-05 2017-07-28 롤 푸드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045391A1 (ko)
EP (1) EP3494793B1 (ko)
JP (1) JP6499619B2 (ko)
KR (1) KR102192897B1 (ko)
CN (1) CN109561697B (ko)
ES (1) ES2777850T3 (ko)
WO (1) WO20180257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56124B2 (ja) * 2018-10-25 2021-10-27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筋目を有する巻き食品生地の成形方法およびその成形装置
CA3117131A1 (en) * 2018-11-07 2020-05-14 Pacproinc, Llc Product rolling arrangement
CN111134157A (zh) * 2020-01-15 2020-05-12 天津市亿春食品机械有限公司 夹持机构
DE102020210735A1 (de) * 2020-08-25 2022-03-03 Fritsch Bakery Technologies GmbH & Co. KG Vorrichtung zum erzeugen von gefüllten teigprodukten
US11647755B1 (en) * 2022-04-21 2023-05-16 Rommel Santos Egg roll roll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91582A (en) * 1936-11-21 1938-09-05 Handelm N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preparation of rolls of dough
US2725828A (en) * 1950-01-09 1955-12-06 Stickelber & Sons Inc Bread molding machine
US3698309A (en) * 1970-11-20 1972-10-17 Baker Perkins Ltd Dough laminating
EP0202295A1 (en) * 1984-11-16 1986-11-26 OSTALI S.r.L. Pastry-rolling machine, in particular for pastries with fillings
JPS61271939A (ja) * 1985-05-27 1986-12-02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クロワツサンの製造方法及び装置
US5077072A (en) * 1989-09-19 1991-12-31 Sieradzki Stephan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oking food on a belt
JP2524550Y2 (ja) 1991-03-05 1997-02-05 株式会社イシダ 商品データ登録装置
JP2524550B2 (ja) * 1992-01-06 1996-08-14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フィリング入りクロワッサンの製造装置
JPH10304812A (ja) * 1997-05-07 1998-11-17 Oshikiri:Kk パンの製造方法及びそのパン生地片
ITVR20010057A1 (it) * 2001-05-10 2002-11-10 Doge Food Proc Machinery Srl Linea di trattamento di prodotti alimentari arrotolati particolarmente per l'ottenimento di croissant
JP5897377B2 (ja) * 2011-06-02 2016-03-30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シャッタ装置及び包み方法並びに包被食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US8353742B1 (en) * 2012-04-30 2013-01-15 Choi Young S Automatic sausage rolling machine
ITVR20130030A1 (it) * 2013-02-05 2014-08-06 Rondo Schio S R L Linea di trattamento di prodotti alimentari arrotolati
JP2016015934A (ja) * 2014-07-09 2016-02-01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食品成形装置および食品成形装置用巻き簾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99619B2 (ja) 2019-04-10
JP2018019661A (ja) 2018-02-08
KR20190024996A (ko) 2019-03-08
EP3494793A1 (en) 2019-06-12
EP3494793B1 (en) 2020-02-26
CN109561697A (zh) 2019-04-02
ES2777850T3 (es) 2020-08-06
WO2018025771A1 (ja) 2018-02-08
CN109561697B (zh) 2021-08-24
US20210045391A1 (en) 2021-02-18
EP3494793A4 (en)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2897B1 (ko) 롤 푸드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EP3070003B1 (en) Unwinding apparatus for a self-propelled wrapping machine
CN1023288C (zh) 制作新月形面包卷的方法和设备
JP6656325B2 (ja) 生地片巻き上げ装置及び生地片巻き上げ装置を備えた巻き上げ生地整形装置
US6062507A (en) Vertical winder and method
KR101800153B1 (ko) 셀프 텐션 조절형 와이어 연속 피복장치
JP2010200724A (ja) 食品生地の折り畳み積載方法及び装置
JP2012240739A (ja) 縦型製袋充填包装機のフィルムテンション付与装置
US3519214A (en) Apparatus for rolling fabric bandages
US5096729A (en) Blanching pasta
CN107521961A (zh) 一种多段式流水线设备
KR100939934B1 (ko) 의류용 스팽글 가공 부착장치
JPH0829868B2 (ja) 台上を水平方向に送られる物品を包装するためロール巻き包装材料の所定長を切り取る装置
CN207792084U (zh) 一种玻璃面板传送装置
CN209832602U (zh) 铝板高速覆膜生产线
JP4274567B2 (ja) 生地の丸め方法および装置
CN206624092U (zh) 纸球压扁机构
JP3195533B2 (ja) 伝動ベルト成形装置
JPH06231856A (ja) 電線端末処理機の測長挟持機構
JPH07123902A (ja) 麺線延伸装置及び製麺方法
CN116397426A (zh) 一种箱包布加工连续定量分割装置及方法
JPH07241160A (ja) 自動ロール巻き装置および方法
JPH04107106A (ja) シートゴムのロールへの巻き付け装置
CN115279676A (zh) 玻璃卷的制造方法以及玻璃卷的制造装置
JPH06271197A (ja) 線条体の強度試験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