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854B1 -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854B1
KR102182854B1 KR1020190152962A KR20190152962A KR102182854B1 KR 102182854 B1 KR102182854 B1 KR 102182854B1 KR 1020190152962 A KR1020190152962 A KR 1020190152962A KR 20190152962 A KR20190152962 A KR 20190152962A KR 102182854 B1 KR102182854 B1 KR 102182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splay
display area
vehic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4568A (ko
Inventor
고이치 마사무라
고지 아이카와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4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13Virtual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15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multiple visual outputs, e.g. combined instruments with analogue meters and addition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9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handled, e.g. showing information on plural displays or prioriti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B60K37/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4Infotai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6Navi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4Economic dri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9Distances to obstacl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2Distributing information between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6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6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 B60K2360/1868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according to driving situ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4Data processing systems or methods, management, admin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Navig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Indicating Measured Values (AREA)

Abstract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전자 제어 장치(101)를 구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차량에 관한 미리 정해진 정보를 표시하는 전용 표시 영역(111A, 111B, 111C)과, 제1 콘텐츠를 표시 가능한 주멀티 표시 영역(112)과, 제2 콘텐츠를 표시 가능한 부멀티 표시 영역(113)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 제어 장치(101)는 이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접수하고, 선택 콘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제1 콘텐츠 및/또는 제2 콘텐츠로서 표시하는 콘텐츠를 선택하고, 차량의 상황에 따라서, 선택 콘텐츠를 제1 콘텐츠 또는 제2 콘텐츠로서 선택하고, 제1 콘텐츠 또는 제2 콘텐츠로서 선택되는 선택 콘텐츠를, 주멀티 표시 영역(112) 또는 부멀티 표시 영역(113)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방법{VEHICULAR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IN VEHICULAR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에서, 2개의 회전 지침식 아날로그 미터의, 원호상의 눈금반의 인접 대향하는 각 내측 상부와, 화면 상부 에지 사이에 형성되는 쐐기상의 미터간 스페이스에 들어가도록 비미터 화상 기능 부품을, 미터간 정보 출력부로서 레이아웃한다. 그리고, 아날로그 미터와 함께 상기 미터간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부품 그룹을, 다른 부품 그룹보다도 깊이 방향에서 전방에 존재하는 것으로서 시인되도록 입체 화상 처리를 실시하는 차량용 미터 유닛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062056호 참조).
관련 기술의 차량용 미터 유닛은, 액정 패널에 각종 미터나 미터간 정보 출력부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미터간 정보 출력부에는, 차량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 있다. 그리고, 최근의 차량 탑재 장비의 증가에 의해, 상술한 미터간 정보 출력부와 같은 멀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정보의 수는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멀티 표시 영역에 이용자에 대하여 적절한 정보를 표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멀티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정보를 이용자가 선택한 경우에, 차량의 주행 상황 등에 따라서 멀티 표시 영역에 표시해야 할 정보가 발생한 경우에,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가 덮여 가려져 버려, 선택한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용자에 대하여 적절한 정보를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자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차량에 관한 미리 정해진 정보를 표시하는 전용 표시 영역과, 1개 또는 복수의 제1 콘텐츠를 표시 가능한 주멀티 표시 영역과, 1개 또는 복수의 제2 콘텐츠를 표시 가능한 부멀티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 제어 장치는, 이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접수하고,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1 콘텐츠 및/또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2 콘텐츠로서 표시하는 콘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차량의 상황에 따라서,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1 콘텐츠 또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2 콘텐츠로서 선택하고,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1 콘텐츠 또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2 콘텐츠로서 선택되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상기 주멀티 표시 영역 또는 상기 부멀티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문에, 선택 콘텐츠를 항상 주멀티 표시 영역 또는 부멀티 표시 영역 중 어느 것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에 대하여 적절한 정보를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장치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1 콘텐츠로서 선택하고 있을 때에, 상기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서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 이외에 상기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해야 할 콘텐츠가 발생하면, 상기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해야 할 콘텐츠를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1 콘텐츠로서 선택함과 함께,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상기 제2 콘텐츠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상기 전자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콘텐츠로서 선택된 상기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해야 할 콘텐츠를 상기 주멀티 표시 영역에 표시함과 함께, 상기 제2 콘텐츠로서 선택된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상기 부멀티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때문에, 선택 콘텐츠 이외에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해야 할 콘텐츠가 발생해도, 선택 콘텐츠를 부멀티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 콘텐츠 이외에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해야 할 콘텐츠가 발생해도, 이용자에 대하여 적절한 정보를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장치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1 콘텐츠로서 선택하고 있을 때에, 상기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서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 이외에 상기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해야 할 콘텐츠가 발생하면,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2 콘텐츠로서 선택함과 함께, 상기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해야 할 콘텐츠를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1 콘텐츠 상에 팝업 표시하는 팝업 콘텐츠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상기 전자 제어 장치는, 상기 주멀티 표시 영역에 상기 팝업 콘텐츠를 표시함과 함께, 상기 제2 콘텐츠로서 선택된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상기 부멀티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때문에, 선택 콘텐츠 이외에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해야 할 콘텐츠가 발생하여 제1 콘텐츠 상에 팝업 표시해도, 선택 콘텐츠를 부멀티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 콘텐츠 이외에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해야 할 콘텐츠가 발생하여 제1 콘텐츠 상에 팝업 표시해도, 이용자에 대하여 적절한 정보를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장치는, 상기 팝업 콘텐츠의 표시에 대하여, 소정의 우선도가 높은 팝업 콘텐츠일수록 크게 표시하고, 소정의 우선도가 낮은 팝업 콘텐츠일수록 작게 표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때문에, 소정의 우선도가 높은 팝업 콘텐츠일수록, 눈에 띄도록(잘 전달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우선도에 따라서 전달 정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이용자에 대하여 적절한 정보를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장치는, 소정의 우선도가 높은 팝업 콘텐츠를 상기 주멀티 표시 영역의 전체에 팝업 표시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해야 할 콘텐츠는, 멀티미디어에 관한 정보여도 된다.
이 때문에, 선택 정보를 부멀티 표시 영역에 표시하면서,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정보를 주멀티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 정보를 부멀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과,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정보를 주멀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에 의해, 이용자에 대하여 적절한 정보를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상기 차량용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표시 장치는 차량에 관한 미리 정해진 정보를 표시하는 전용 표시 영역과, 이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접수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제어 장치와, 1개 또는 복수의 제1 콘텐츠를 표시 가능한 주멀티 표시 영역과, 1개 또는 복수의 제2 콘텐츠를 표시 가능한 부멀티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이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접수하는 것과,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1 콘텐츠 및/또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2 콘텐츠로서 표시하는 콘텐츠를 선택하는 것과, 상기 차량의 상황에 따라서,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1 콘텐츠 또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2 콘텐츠로서 선택하는 것과,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1 콘텐츠 또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2 콘텐츠로서 선택되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상기 주멀티 표시 영역 또는 상기 부멀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구비한다.
이 때문에, 선택 콘텐츠를 항상 주멀티 표시 영역 또는 부멀티 표시 영역 중 어느 것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에 대하여 적절한 정보를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용자에 대하여 적절한 정보를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및 산업적 의의는 유사 요소들을 유사 도면 부호로 나타낸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후술될 것이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미터 패널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미터 ECU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팝업 표시하는 정보의 우선도를 나타내는 테이블 형식의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미터 ECU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미터 ECU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미터 ECU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미터 ECU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미터 ECU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미터 ECU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미터 ECU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미터 ECU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미터 ECU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미터 ECU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미터 ECU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방법을 적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도 1은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100)를 포함하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1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10)은 차량용 표시 장치(100), 브레이크 ECU(Electric Control Unit)(11), 엔진 ECU(12), 오디오ㆍ내비게이션 ECU(13), 버스(14), 스티어링 스위치(21)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미터 ECU(101) 및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갖는다. 미터 ECU(101)는 전자 제어 장치의 일례이다.
차량용 표시 장치(100), 브레이크 ECU(11), 엔진 ECU(12) 및 오디오ㆍ내비게이션 ECU(13)는 버스(14)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브레이크 ECU(11), 엔진 ECU(12) 및 오디오ㆍ내비게이션 ECU(13)는, 각각, 차량의 브레이크의 제어, 엔진의 제어 및 오디오와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HV(Hybrid Vehicle)차나 EV(Electric Vehicle)차의 경우에는, 엔진 ECU(12) 대신에, 각각, 엔진 또는 구동용 모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HV-ECU 및 구동용 모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EV-ECU를 사용하면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ECU(101, 11, 12, 13)는 차량의 ECU의 일례이며, 실제로는 더 많은 ECU가 버스(14)에 접속된다.
미터 ECU(101), 브레이크 ECU(11), 엔진 ECU(12) 및 오디오ㆍ내비게이션 ECU(13)를 포함하는 차량의 각 ECU는, 일례로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클럭 생성부, 입출력 인터페이스, 통신 인터페이스, 송수신부 및 내부 버스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된다.
버스(14)는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CAN(Controller Area Network)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통신선이며, 미터 ECU(101), 브레이크 ECU(11), 엔진 ECU(12), 오디오ㆍ내비게이션 ECU(13), 및 도시하지 않은 그 밖의 ECU의 사이에 있어서, 데이터를 통신한다.
스티어링 스위치(21)는, 예를 들어 스티어링 휠의 스포크의 부분 등에 설치되는 스위치이며,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시키는 다양한 정보 등을 선택할 때에 사용된다. 스티어링 스위치(21)는, 예를 들어 십자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스위치 등이면 되고, 계층식의 데이터를 자유자재로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면 된다.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미터 ECU(101) 및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일체로 된 미터 유닛이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예를 들어 대시 보드의 운전석의 정면의 미터 콘솔 내에 설치된다.
도 2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포함하는 미터 패널(102)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미터 패널(102)은 타코미터(102A), 스피드미터(102B) 및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갖는다. 타코미터(102A) 및 스피드미터(102B)는 원형이며, 하부에는 각각 수온계 및 연료계가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일례로서, 2개의 원형의 타코미터(102A) 및 스피드미터(102B) 사이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주로 3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고, 전용 표시 영역(111A, 111B, 111C),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을 갖는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내부에 있어서의 각 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상하 좌우라 칭한다.
전용 표시 영역(111A, 111B)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상방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전용 표시 영역(111C)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전용 표시 영역(111A, 111B, 111C)은, 각각, BSM(Blind Spot Monitoring : 블라인드 스폿 모니터), RCTA(Rear Cross Traffic Alert), 외기 온도, 시프트 포지션, 오도미터 등의 정보의 미리 정해진 정보를 표시하는 전용의 표시 영역이다. 전용 표시 영역(111A, 111B, 111C)의 표시 내용은, 상기 정보에 고정되어 있고, 표시를 전환할 수는 없다.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 및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은 표시 내용을 전환할 수 있는 표시 영역이다.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 및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은 각각, 주멀티 표시 영역 및 부멀티 표시 영역의 일례이다.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상하 방향의 중앙에 있어서, 상측에 위치하는 전용 표시 영역(111A, 111B) 및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과, 하측에 위치하는 전용 표시 영역(111C)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은,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가이드 화상, 에코 운전용의 가속 가이던스, 연료 소비량, 밀리미터파 레이더를 사용한 크루즈 컨트롤(RCC(Rader Cruise Control)), LDA(Lane Departure Alert) 등을 나타내는 화상, 문자, 또는 기호 등의 정보(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은 상기 정보 상에 팝업 형식으로, 예를 들어 자동 브레이크 시스템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의 경고 표시, 차량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의 경고 표시 등을 표시한다.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상측의 중앙에 있어서, 전용 표시 영역(111A, 111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은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에 표시되는 정보(콘텐츠) 중의 일부의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이 어떠한 정보도 표시하고 있지 않고,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이 이용자(예를 들어,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에 표시해야 할 정보가 발생하면,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이 표시해야 할 정보를 표시함과 함께,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은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항상,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 또는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 중 어느 한쪽에 표시한다. 이용자가 표시시키는 것을 희망한 정보를 항상 표시시킴으로써, 이용자에 대하여 적절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이용자(예를 들어,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선택되는) 정보(이하, 선택 정보)란, 선택 콘텐츠의 일례이며,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가이드 화상, 에코 운전용의 가속 가이던스, 연료 소비량, RCC, LDA 등을 나타내는 정보 중 1개 또는 복수의 정보이다.
또한, 복수의 정보를 선택하는 선택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ㆍ주행 지원」이 있다. 「내비게이션ㆍ주행 지원」은,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한 가이드라는 정보와, RCC 또는 LDA가 작동 중에 의한 주행 지원이라는 정보의 2개의 정보를 선택하는 선택 정보이다.
「내비게이션ㆍ주행 지원」을 선택하면, RCC의 화상, LDA의 화상 및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가이드 화상이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 및/또는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에 표시된다.
어떤 정보를 선택 정보로서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할지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의 설계 시에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에 표시 가능한 정보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설정해 두면 된다.
또한, 선택 정보는,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 및/또는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에 표시시키는 화상을 설정하기 위해 선택하는 정보이며, 선택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상에 대응하는 장치의 작동을 선택하는 정보는 아니다. 예를 들어, 선택 정보에서 RCC의 화상을 선택하는 것과, RCC의(작동의) 온/오프를 전환하는 것은 별개이다. 선택 정보에서 RCC의 화상을 선택해도, RCC(작동)가 온인 경우가 있으면, 오프인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도 3은 미터 ECU(10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는, 미터 ECU(101)가 차량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방법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얻어지는 기능 블록을 도시한다.
미터 ECU(101)는, 주제어부(101A), 선택 콘텐츠 접수부(101B), 콘텐츠 선택부(101C), 표시 제어부(101D) 및 정보 DB(Data Base)(101E)를 갖는다.
주제어부(101A)는 미터 ECU(101)의 처리를 통괄하는 제어부이다. 주제어부(101A)는, 선택 콘텐츠 접수부(101B), 콘텐츠 선택부(101C) 및 표시 제어부(101D)가 행하는 처리 이외의 미터 ECU(101)의 처리를 행한다.
선택 콘텐츠 접수부(101B)는, 이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정보(선택 정보)를 접수한다. 선택 정보는 1개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여도 된다. 선택 정보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가이드 화상, 에코 운전용의 가속 가이던스, 연료 소비량, RCC, LDA 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용자는, 예를 들어 스티어링 스위치(21)를 조작하여, 원하는 정보를 선택한다. 이것이 이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정보(선택 정보)로 된다. 또한, 스티어링 스위치(21)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차 실내의 센터 콘솔에 있는 조작부를 조작하여 원하는 정보를 선택해도 된다.
콘텐츠 선택부(101C)는, 정보 DB(101E)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정보 중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용 표시 영역(111A, 111B, 111C),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에 표시하는 정보를 선택한다. 정보 DB(101E)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정보에는, 이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정보(선택 정보)도 포함되어 있고, 콘텐츠 선택부(101C)는, 선택 정보도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한다.
또한, 콘텐츠 선택부(101C)는, 정보 DB(101E)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정보 이외에도, 예를 들어 오디오ㆍ내비게이션 ECU(13)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되는 스마트폰 단말기와 같은 전자 기기, 또는, 오디오ㆍ내비게이션 ECU(13)에 접속되는 메모리 등에 포함되는 정보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의 스마트폰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악곡의 곡명이나 연주 시간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용 표시 영역(111A, 111B, 111C)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는, 콘텐츠 선택부(101C)에 의해 선택되지 않고, 표시 제어부(101D)에 의해 표시 제어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표시 제어부(101D)는, 콘텐츠 선택부(101C)에 의해 선택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한다.
도 4는 팝업 표시하는 정보의 우선도를 나타내는 테이블 형식의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팝업 표시하는 정보의 우선도란, 팝업 표시하는 정보를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에 표시하는 경우의 우선도이며, 2단계(고와 저)로 설정되어 있다.
소정의 우선도가 높은 정보는, 긴급 브레이크 외에, 차량의 주행, 선회, 정지에 관련되는 고장에 대한 경보(예를 들어, 브레이크, 엔진 등의 고장)를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정보이다. 소정의 우선도가 낮은 정보는, RCC/LDA의 작동 상황, 도어 오픈, 오디오, 메인터넌스 시기, 악천후에 의해 RCC/LDA를 이용할 수 없다는 취지의 경보 등이다.
도 5는 미터 ECU(101)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5는 미터 ECU(101)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되는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를 탑재한 차량이 주행하고 있을 때에, 미터 ECU(101)가 주행 상황에 따라서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주행 상황이란, 차량이 주행하고 있을 때의 상황이며, 차속이 제로인 경우의 상황도 포함한다. 또한, 도 6 내지 도 15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중의 전용 표시 영역(111A, 111B),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 및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을 나타내고, 전용 표시 영역(111C)은 생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0) 중의 "kms"는 kilometers의 약칭이다.
주제어부(101A)는 처리를 개시한다(스타트). 주제어부(101A)는, 예를 들어 차량의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으로 되었을 때에, 처리를 스타트한다. 또한, 전제 조건으로서,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후술하는 스텝 S1의 처리를 행하기 전에,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전원이 온으로 되어 있고, 이용자에 의해 목적지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선택 콘텐츠 접수부(101B)는, 이용자에 의해 선택 정보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
선택 콘텐츠 접수부(101B)는, 선택 정보가 입력되었다(S1 : "예")라고 판정하면, 선택 정보를 정보 DB(101E)에 등록한다(스텝 S2).
콘텐츠 선택부(101C)는, 선택 정보가 「내비게이션ㆍ주행 지원」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
콘텐츠 선택부(101C)는, 선택 정보가 「내비게이션ㆍ주행 지원」이 아니다(S3 : "아니오")라고 판정하면, RCC 또는 LDA는 작동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4). 플로우가 스텝 S4로 진행하는 경우에는, 선택 정보로서 「내비게이션ㆍ주행 지원」은 선택되어 있지 않지만, RCC 또는 LDA가 작동 중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경우이다.
콘텐츠 선택부(101C)는, RCC 또는 LDA는 작동 중이 아니다(S4 : "아니오")라고 판정하면, 평균 연비를 나타내는 화상을 선택한다(스텝 S5). 이 결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101D)는, 평균 연비를 나타내는 화상을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에 표시한다. 또한, 도 6에서는,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는다.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용의 정보가 콘텐츠 선택부(101C)에 의해 선택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콘텐츠 선택부(101C)에 의한 스텝 S5의 처리가 종료되면, 주제어부(101A)는, 처리를 종료할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E).
주제어부(101A)는 처리를 종료한다(S1E : "예")라고 판정하면,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엔드). 주제어부(101A)는, 예를 들어 차량의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로 되었을 때에, 처리를 종료한다고 판정한다. 또한, 주제어부(101A)는, 처리를 종료하지 않는다(S1E : "아니오")라고 판정하면, 플로우를 스텝 S1로 리턴한다. 이용자에 의해 선택 정보가 다시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콘텐츠 선택부(101C)는, RCC 또는 LDA는 작동 중이다(S4 : "예")라고 판정하면, 평균 연비를 나타내는 화상을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에 선택함과 함께, RCC 및 LDA의 정보를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에 선택한다(스텝 S6).
이 결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101D)는, 평균 연비를 나타내는 화상을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에 표시함과 함께, RCC 및 LDA의 정보를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에 표시한다. 또한, 도 7의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에는, RCC 및 LDA의 양쪽의 화상을 나타내지만, 예를 들어 LDA가 차선을 인식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 내의 차량의 양측의 차선은 표시되지 않고, RCC만의 표시로 된다. 또한, RCC에 의한 선행 차량에의 추종이 행해지지 않고 있을 때에는, LDA만의 표시로 된다.
또한, 콘텐츠 선택부(101C)는, 스텝 S3에 있어서, 선택 정보가 「내비게이션ㆍ주행 지원」이다(S3 : "예")라고 판정하면, RCC 또는 LDA가 작동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7).
콘텐츠 선택부(101C)는, RCC 또는 LDA는 작동 중이 아니다(S7 : "아니오")라고 판정하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목적지를 설정 중이며, 또한, 교차점까지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8). RCC 또는 LDA는 작동 중이 아닌 것이란, RCC 또는 LDA가 오프로 되어 있는 것이다.
콘텐츠 선택부(101C)는, 목적지를 설정 중이며, 또한, 교차점까지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가 아니다(S8 : "아니오")라고 판정하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한 가이드용의 화상을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에 선택한다(스텝 S9).
이 결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101D)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한 가이드용의 화상을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에 표시한다. 또한, 도 8에서는,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는다.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용의 정보가 콘텐츠 선택부(101C)에 의해 선택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콘텐츠 선택부(101C)는, 목적지를 설정 중이며, 또한, 교차점까지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이다(S8 : "예")라고 판정하면, 교차점에서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가이드용의 화상을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에 선택한다(스텝 S10). 표시 제어부(101D)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에 교차점까지의 거리(200m)와, 교차점을 우회전하는 가이드용의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도 9에 있어서의 Driving Support의 표시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한 주행 지원을 행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콘텐츠 선택부(101C)는, 스텝 S7에 있어서, RCC 또는 LDA는 작동 중이다(S7 : "예")라고 판정하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목적지를 설정 중이며, 또한, 교차점까지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1).
콘텐츠 선택부(101C)는, 목적지를 설정 중이며, 또한, 교차점까지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가 아니다(S11 : "아니오")라고 판정하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한 가이드용의 화상과, RCC 및 LDA의 작동 상황을 나타내는 화상을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에 선택한다(스텝 S12).
이 결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101D)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한 가이드와, RCC 및 LDA의 작동 상황을 나타내는 화상을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에 표시한다. 도 10에 도시한 화상은,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한 가이드로서, 목적지의 방위(방각)(SW(남서))를 컴퍼스로 나타낸다. 또한, RCC에 의해 선행 차량에 추종하고 있고, LDA에 의해 차량의 양측의 차선을 인식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는다.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용의 정보가 콘텐츠 선택부(101C)에 의해 선택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의 Driving Support의 표시는,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RCC 및 LDA에 의한 주행 지원을 행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콘텐츠 선택부(101C)는, 목적지를 설정 중이며, 또한, 교차점까지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이다(S11 : "예")라고 판정하면, 팝업 표시해야 할 정보(팝업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3).
콘텐츠 선택부(101C)는, 팝업 표시해야 할 정보가 없다(S13 : "아니오")라고 판정하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가이드용의 화상을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에 선택함과 함께, RCC 및 LDA의 정보를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에 선택한다(스텝 S14).
이 결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101D)는, 가이드용의 화상을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에 표시함과 함께, RCC 및 LDA의 정보를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에 표시한다. 스텝 S11에서 "아니오"로 판정된 후에, 차량이 진행하여 교차점까지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로 되면,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 및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의 표시가 도 10에서 도 11로 전환되게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가이드용의 화상에서는, 교차점까지의 거리(200m)와, 교차점을 우회전하는 안내가 표시되어 있고,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에는, RCC에 의해 선행 차량에 추종하고 있고, LDA가 차량의 양측의 차선을 인식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이 표시된다. 교차점을 우회전하는 안내의 표시는,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해야 할 콘텐츠의 일례이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의 Driving Support의 표시는,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RCC 및 LDA에 의한 주행 지원을 행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콘텐츠 선택부(101C)는, 팝업 표시해야 할 정보가 있다(S13 : "예")라고 판정하면, 팝업 표시해야 할 정보의 소정의 우선도가 낮은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5).
콘텐츠 선택부(101C)는, 우선도가 낮지 않다(S15 : "아니오")라고 판정하면, 팝업 표시해야 할 정보를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에 선택함과 함께, RCC 및 LDA의 정보를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에 선택한다(스텝 S16).
이 결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101D)는, 팝업 표시해야 할 정보를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에 표시함과 함께, RCC 및 LDA의 정보를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에 표시한다. 우선도가 낮지 않은(높은) 팝업 표시해야 할 정보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긴급 브레이크 조작을 운전자에게 요구하는 정보(BRAKE!)이다. 이와 같이, 소정의 우선도가 높은 팝업 표시해야 할 정보는,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의 전체에 팝업 표시된다. 이와 같은 팝업 표시해야 할 정보는,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해야 할 콘텐츠의 일례이다.
콘텐츠 선택부(101C)는, 소정의 우선도가 낮다(S15 : "예")라고 판정하면, 팝업 표시해야 할 정보가 RCC/LDA에 관련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7). RCC/LDA에 관련되는 정보란, 예를 들어 「선행차가 없고 RCC는 이용할 수 없습니다」, 또는, 「차선을 인식할 없습니다」 등이다.
콘텐츠 선택부(101C)는, 팝업 표시해야 할 정보가 RCC/LDA에 관련된다(S17 : "예")라고 판정하면,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에 표시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가이드용의 화상을 선택하고,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의 상부에 팝업 표시하는 정보를 선택하고, 또한, RCC 및 LDA의 정보를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에 선택한다(스텝 S18).
이 결과,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101D)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가이드용의 화상을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에 표시함과 함께, 팝업 표시하는 정보(No Preceding Vehicles(선행 차량 없음) CRUISE NOT AVAILABLE(RCC는 이용 없습니다))를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의 상부에 표시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01D)는, RCC 및 LDA의 정보를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에 표시한다. 팝업 표시하는 정보는 「선행차가 없고 RCC는 이용할 수 없습니다」이며,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의 상부에 있어서,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가이드용의 화상 위에 겹쳐서 표시된다.
RCC나 LDA에 관한 정보는, 주행 지원에 관한 정보이며, 우선도가 낮아도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에,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의 상부에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콘텐츠 선택부(101C)는, 팝업 표시해야 할 정보가 RCC/LDA에 관련되지 않는다(S17 : "아니오")라고 판정하면, 팝업 표시해야 할 정보는 차량의 화상과 함께 표시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9).
콘텐츠 선택부(101C)는, 팝업 표시해야 할 정보는 차량의 화상과 함께 표시하는 것이다(S19 : "예")라고 판정하면,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에 표시하는 화상으로서,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가이드용의 화상을 선택하고,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의 우측 절반에 팝업 표시하는 정보를 선택하고, RCC 및 LDA의 정보를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에 선택한다(스텝 S20).
이 결과,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101D)는,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에 표시하는 화상으로서,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가이드용의 화상을 좌측 절반에 표시함과 함께, 우측 절반에 차량의 화상을 팝업 표시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01D)는, RCC 및 LDA의 정보를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에 표시한다. 또한, 도 14에서는, 팝업 표시하는 화상은, 차량의 좌측 앞 도어가 열려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콘텐츠 선택부(101C)는, 팝업 표시해야 할 정보는 차량의 화상과 함께 표시하는 것이 아니다(S19 : "아니오")라고 판정하면,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에 표시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가이드용의 화상을 선택하고,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의 하부에 팝업 표시하는 정보를 선택하고, 또한, RCC 및 LDA의 정보를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에 선택한다(스텝 S21).
이 결과,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101D)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가이드용의 화상을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에 표시함과 함께, 팝업 표시하는 정보를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의 하부에 표시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01D)는, RCC 및 LDA의 정보를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에 표시한다. 팝업 표시하는 정보는 오디오의 볼륨이며,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의 하부에 있어서,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가이드용의 화상 위에 겹쳐서 표시된다.
오디오에 관한 정보는, 주행 지원에 관한 정보 등과 비교하면, 중요성이 낮은 정보이기 때문에,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의 하부에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의 하부에 표시되는 팝업 표시는, 차량으로부터 정보가 튀어나오는 이미지로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드하여 표시되어도 된다.
또한, 소정의 우선도가 높은 팝업 표시일수록 크게 표시되고, 소정의 우선도가 낮은 팝업 표시일수록 작게 표시되도록 하고 있다. 표시의 눈에 띄게 하는 방식(정보의 전달 정도)을 상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팝업 표시의 크기 이외에, 색이나 휘도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눈에 띄게 하는 방식을 상이하게 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스텝 S6, S9, S10, S12, S14, S16, S18, S20, S21의 처리가 종료되면, 스텝 S5의 처리가 종료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주제어부(101A)는 처리를 종료할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E).
또한, 선택 콘텐츠 접수부(101B)는, 선택 정보가 입력되어 있지 않다(S1 : "아니오")라고 판정하면, 디폴트의 정보를 선택한다(스텝 S22).
선택 콘텐츠 접수부(101B)에 의해 디폴트의 정보가 선택되면, 주제어부(101A)는 플로우를 스텝 S1로 리턴한다. 이용자에 의해 선택 정보가 다시 입력 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이다. 디폴트의 정보는 어떤 정보여도 되고, 미리 정해 두면 된다.
이상과 같이, 이용자가 선택 정보로서 「내비게이션ㆍ주행 지원」을 선택한 경우에서,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RCC 및 LDA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주행 지원 중, 주행 지원(RCC, LDA)에 대한 화상은, 항상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 및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 중 어느 한쪽에 표시된다.
따라서, 이용자가 선택한 정보(선택 정보)를 항상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 및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 중 어느 한쪽에 표시할 수 있어, 이용자에 대하여 적절한 정보를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 및 차량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이용자가 선택 정보로서 「내비게이션ㆍ주행 지원」을 선택한 경우에, 주행 지원(RCC, LDA)에 대한 화상이 항상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 및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 중 어느 한쪽에 표시되는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주행 지원(RCC, LDA)에 더하여, 혹은, 주행 지원(RCC, LDA) 대신에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가이드 정보가 항상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 및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 중 어느 한쪽에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이용자가 선택 정보로서 「내비게이션ㆍ주행 지원」을 선택하는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용자는 선택 정보로서 다양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정보를 나타내는 화상은, 상술한 주행 지원(RCC, LDA)에 대한 화상과 마찬가지로, 항상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 및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 중 어느 한쪽에 표시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이용자가 선택 정보로서 「내비게이션ㆍ주행 지원」을 선택하는 형태이며, 선택 정보가,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한 가이드 정보와, RCC 및 LDA에 의한 주행 지원이라는 정보의 2개의 정보인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예를 들어 상술한 형태에 있어서, 선택 정보는 RCC 및 LDA에 의한 주행 지원이며,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한 가이드 정보가 디폴트로 표시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도 10에서는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에 가이드 정보로서 컴퍼스의 화상이 표시됨과 함께, 선택 정보로서 주행 지원(RCC 및 LDA)의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지원(RCC 및 LDA)의 정보가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으로 이동하고,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에 가이드 정보(교차점을 우회전하는 안내)가 표시되도록, 메인 멀티 표시 영역(112) 및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의 표시가 전환되어 있는 것으로서 파악해도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팝업 표시되는 정보가, 긴급 브레이크, 고장에 대한 경보, RCC/LDA의 작동 상황, 도어 오픈, 오디오, RCC/LDA를 이용할 수 없다는 취지의 경보 등인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표시해도 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긴급 브레이크나 경보 등을 팝업 표시할 필요가 없는 상황에 있어서, 차량의 위치가 해안가의 국도인 경우에, 해안가에서 듣고 싶어지는 악곡의 플레이 리스트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해도 된다. 플레이 리스트 중에서 어느 것의 악곡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스티어링 스위치(21)를 이용하면 된다. 멀티미디어 정보는, 악곡에 한하지 않고, 차량의 위치의 주변에 있는 레스토랑, 점포, 공원 등의 시설에 관한 정보, 또는, 날씨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게릴라 호우의 발생 시간과 장소를 알리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10)이 CAN 프로토콜의 통신을 행하는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10)은 CAN 프로토콜의 통신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이더넷(등록 상표)이나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등의 프로토콜의 통신을 행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서브 멀티 표시 영역(113)은 선택 정보를 고정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8)

  1.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 있어서,
    미터 패널(102)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전자 제어 장치(101)를 포함하고,
    상기 미터 패널(102)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차량에 관한 미리 정해진 정보를 표시하는 전용 표시 영역(111A, 111B, 111C)과,
    1개 또는 복수의 제1 콘텐츠를 표시 가능한 주멀티 표시 영역(112)과,
    1개 또는 복수의 제2 콘텐츠를 표시 가능한 부멀티 표시 영역(113)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제어 장치(101)는,
    이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접수하고,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1 콘텐츠와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2 콘텐츠 중 하나 이상으로서 표시하는 콘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차량의 상황에 따라서,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1 콘텐츠 또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2 콘텐츠로서 선택하고,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1 콘텐츠 또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2 콘텐츠로서 선택되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상기 주멀티 표시 영역(112) 또는 상기 부멀티 표시 영역(113)에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자 제어 장치(101)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1 콘텐츠로서 선택하고 있을 때에, 상기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서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 이외에 상기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해야 할 콘텐츠가 발생하면, 상기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해야 할 콘텐츠를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1 콘텐츠로서 선택함과 함께,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상기 제2 콘텐츠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자 제어 장치(101)는, 상기 제1 콘텐츠로서 선택된 상기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해야 할 콘텐츠를 상기 주멀티 표시 영역(112)에 표시함과 함께, 상기 제2 콘텐츠로서 선택된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상기 부멀티 표시 영역(113)에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자 제어 장치(101)는, 상기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서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 이외에 상기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해야 할 추가의 콘텐츠가 발생하면, 상기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해야 할 추가의 콘텐츠를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1 콘텐츠 상에 팝업 표시하는 팝업 콘텐츠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자 제어 장치(101)는, 상기 주멀티 표시 영역(112)에 상기 팝업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자 제어 장치(101)는, 상기 팝업 콘텐츠의 표시에 대하여, 소정의 우선도가 높은 팝업 콘텐츠일수록 크게 표시하고, 소정의 우선도가 낮은 팝업 콘텐츠일수록 작게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장치(101)는, 소정의 우선도가 높은 팝업 콘텐츠를 상기 주멀티 표시 영역(112)의 전체에 팝업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해야 할 콘텐츠는 멀티미디어에 관한 정보인, 차량용 표시 장치(100).
  4. 제1항에 있어서,
    제1 우선도를 가지는 팝업 콘텐츠는 주멀티 표시 영역의 전체에 팝업 표시하고, 제1 우선도보다도 낮은 제2 우선도를 가지는 팝업 콘텐츠는 주멀티 표시 영역을 분할한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
  5.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서의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미터 패널(102)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전자 제어 장치(101)를 포함하고,
    상기 미터 패널(102)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차량에 관한 미리 정해진 정보를 표시하는 전용 표시 영역(111A, 111B, 111C)과, 1개 또는 복수의 제1 콘텐츠를 표시 가능한 주멀티 표시 영역(112)과, 1개 또는 복수의 제2 콘텐츠를 표시 가능한 부멀티 표시 영역(113)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제어 장치(101)는, 이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접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자 제어 장치(101)에 의해,
    이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접수하고,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1 콘텐츠와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2 콘텐츠 중 하나 이상으로서 표시하는 콘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차량의 상황에 따라서,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1 콘텐츠 또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2 콘텐츠로서 선택하고,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1 콘텐츠 또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2 콘텐츠로서 선택되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상기 주멀티 표시 영역(112) 또는 상기 부멀티 표시 영역(113)에 표시하고,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1 콘텐츠로서 선택하고 있을 때에, 상기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서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 이외에 상기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해야 할 콘텐츠가 발생하면, 상기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해야 할 콘텐츠를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1 콘텐츠로서 선택함과 함께,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상기 제2 콘텐츠로서 선택하고,
    상기 제1 콘텐츠로서 선택된 상기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해야 할 콘텐츠를 상기 주멀티 표시 영역(112)에 표시함과 함께, 상기 제2 콘텐츠로서 선택된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를 상기 부멀티 표시 영역(113)에 표시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서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선택 콘텐츠 이외에 상기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해야 할 추가의 콘텐츠가 발생하면, 상기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해야 할 추가의 콘텐츠를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1 콘텐츠 상에 팝업 표시하는 팝업 콘텐츠로서 선택하고,
    상기 주멀티 표시 영역(112)에 상기 팝업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팝업 콘텐츠의 표시에 대하여, 소정의 우선도가 높은 팝업 콘텐츠일수록 크게 표시하고, 소정의 우선도가 낮은 팝업 콘텐츠일수록 작게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서의 표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소정의 우선도가 높은 팝업 콘텐츠를 상기 주멀티 표시 영역(112)의 전체에 팝업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서의 표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해야 할 콘텐츠는 멀티미디어에 관한 정보인,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서의 표시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제1 우선도를 가지는 팝업 콘텐츠는 주멀티 표시 영역의 전체에 팝업 표시하고, 제1 우선도보다도 낮은 제2 우선도를 가지는 팝업 콘텐츠는 주멀티 표시 영역을 분할한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서의 표시 방법.
KR1020190152962A 2016-12-26 2019-11-26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방법 KR1021828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52022A JP6702177B2 (ja) 2016-12-26 2016-12-26 車両用表示装置、及び、車両用表示装置における表示方法
JPJP-P-2016-252022 2016-12-2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041A Division KR20180075407A (ko) 2016-12-26 2017-12-20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568A KR20190134568A (ko) 2019-12-04
KR102182854B1 true KR102182854B1 (ko) 2020-11-25

Family

ID=606546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041A KR20180075407A (ko) 2016-12-26 2017-12-20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방법
KR1020190152962A KR102182854B1 (ko) 2016-12-26 2019-11-26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041A KR20180075407A (ko) 2016-12-26 2017-12-20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048380B2 (ko)
EP (1) EP3339079B1 (ko)
JP (1) JP6702177B2 (ko)
KR (2) KR20180075407A (ko)
CN (1) CN108237917B (ko)
BR (1) BR102017025787A2 (ko)
RU (1) RU2681506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12420B1 (en) * 2017-04-20 2022-12-07 Volvo Truck Corporation A device/method for parking brake assistance
USD914734S1 (en) * 2018-02-05 2021-03-30 St Engineering Land Systems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7210304B2 (ja) * 2019-01-31 2023-01-23 ナブテスコ株式会社 自動ドア装置
EP3948165B1 (en) * 2019-03-27 2024-05-01 TVS Motor Company Limited Smart connect instrument cluster
CN111976479B (zh) * 2019-05-24 2021-11-16 北京车和家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屏显示控制系统
CN110356230B (zh) * 2019-07-31 2023-04-07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车载显示屏的交互方法及交互系统、车辆
USD950597S1 (en) * 2019-09-30 2022-05-03 Kubota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2022063933A (ja) * 2020-10-13 2022-04-25 株式会社Subaru 車両の表示装置
RU2771591C1 (ru) * 2021-05-14 2022-05-0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Омникомм Онлайн"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генерирования графического интерфейса пользователя
RU2766546C1 (ru) * 2021-05-14 2022-03-15 Осаюхинг Омникомм Способ генерирования графического интерфейса пользователя и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52433A1 (en) * 2011-08-11 2014-06-05 Denso Corporation Display control apparatus
US20160167514A1 (en) 2014-12-10 2016-06-16 Yoshiaki Nishizaki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vision program
JP2016107947A (ja) * 2014-12-10 2016-06-20 株式会社リコー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用制御プログラム
JP2016144959A (ja) 2015-02-06 2016-08-12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計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8863B2 (en) * 2005-11-29 2010-12-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dio and video content service in vehicle
US20080168156A1 (en) * 2007-01-09 2008-07-10 Chris Haff Event liaison system
DE102008016527B4 (de) * 2007-04-03 2018-12-13 Denso Corporation Fahrzeug-Messgeräte-Einheit und Anzeigevorrichtung
JP4696093B2 (ja) * 2007-06-15 2011-06-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メンテナンス時期報知装置
JP4400659B2 (ja) * 2007-09-03 2010-0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表示装置
JP5142042B2 (ja) * 2008-06-26 2013-02-13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2010208566A (ja) 2009-03-12 2010-09-24 Panasonic Corp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1112588B1 (ko) 2009-06-25 2012-02-16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차세대 차량용 화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KR101646139B1 (ko) * 2009-10-15 2016-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CN102616139B (zh) * 2011-01-28 2015-11-2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辆报警显示装置及其显示控制方法
JP5505482B2 (ja) * 2011-10-24 2014-05-28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制御装置
KR20130058995A (ko) 2011-11-28 2013-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클러스터
JP5218925B2 (ja) * 2011-12-02 2013-06-2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メータユニット
US10655979B2 (en) * 2013-06-08 2020-05-1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predicted destinations
EP2972689A4 (en) * 2013-03-15 2016-11-23 Forbes Holten 3Rd Norris SPEECH OPTIMIZING MICROCLAVIER METHOD AND APPARATUS
KR101631963B1 (ko) * 2014-04-30 2016-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52433A1 (en) * 2011-08-11 2014-06-05 Denso Corporation Display control apparatus
US20160167514A1 (en) 2014-12-10 2016-06-16 Yoshiaki Nishizaki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vision program
JP2016107947A (ja) * 2014-12-10 2016-06-20 株式会社リコー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用制御プログラム
JP2016144959A (ja) 2015-02-06 2016-08-12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計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06003A (ja) 2018-07-05
US20210247880A1 (en) 2021-08-12
BR102017025787A2 (pt) 2018-12-04
US11048380B2 (en) 2021-06-29
KR20190134568A (ko) 2019-12-04
CN108237917B (zh) 2021-08-24
CN108237917A (zh) 2018-07-03
EP3339079B1 (en) 2021-10-13
US11449200B2 (en) 2022-09-20
RU2681506C1 (ru) 2019-03-06
JP6702177B2 (ja) 2020-05-27
US20180181267A1 (en) 2018-06-28
EP3339079A1 (en) 2018-06-27
KR20180075407A (ko)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854B1 (ko)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방법
JP5696712B2 (ja) 情報表示システム
CN102596627B (zh) 车辆用显示装置
JP6255002B2 (ja) 車両用標識表示装置及び方法
EP3235690B1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CN1922612A (zh) 具有改进的转弯通告能力的车辆导航系统
US11245866B2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4670937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6112987A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及び車両用表示制御方法
US20210174673A1 (en) Autonomous driving vehicle information presentation apparatus
JP2023112082A (ja) 車両用表示装置
JP6221396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CN115817164A (zh) 车辆用显示控制装置及方法、车辆用显示装置、车辆
US20210171060A1 (en) Autonomous driving vehicle information presentation apparatus
JP2023047175A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車両用表示装置、車両、車両用表示制御方法及び車両用表示制御プログラム
CN113781836A (zh) 驾驶辅助装置及驾驶辅助方法
JP7428161B2 (ja) 車両用表示システム、車両用表示方法、及び車両用表示プログラム
JP2023034094A (ja) 画像表示制御装置、画像表示制御方法及び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CN117355880A (zh) 驾驶辅助方法以及驾驶辅助装置
JP2022082418A (ja) Hmi制御装置および運転制御装置
CN115848133A (zh) 驾驶辅助信息显示系统与方法
CN112512891A (zh) 用于通过从根据其关于车辆的偏心级别分类的多个显示模式中进行手动或自动选择来显示信息的系统
JP2010203955A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