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978B1 - 감을 이용한 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감을 이용한 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978B1
KR102179978B1 KR1020190027885A KR20190027885A KR102179978B1 KR 102179978 B1 KR102179978 B1 KR 102179978B1 KR 1020190027885 A KR1020190027885 A KR 1020190027885A KR 20190027885 A KR20190027885 A KR 20190027885A KR 102179978 B1 KR102179978 B1 KR 102179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immon
semi
dry
aronia
j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8987A (ko
Inventor
송낙호
Original Assignee
송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낙호 filed Critical 송낙호
Priority to KR1020190027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978B1/ko
Publication of KR20200108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10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 A23L21/12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derived from fruit or vegetable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7Chemical peeling or cleaning of harvested fruits, vegetables or othe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6Extrus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피 감을 반건조시킨 반건시(Semi-dried persimmon)와 분쇄한 오디(Mulberry)와 아로니아(Aronia)를 혼합시킨 다음 가온 압출시켜 떫은 맛(tannin)이 제거되고 건강에 유익하도록 기능성을 부여한 반건시를 이용한 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감씨가 제거된 반건시 20~40 중량%와, 분쇄된 오디 20~40 중량%와, 분쇄된 아로니아 20~40 중량%를 혼합한 다음 100~150℃의 온도가 유지되는 압출기로 살균 압출시켜 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감을 이용한 잼 제조방법은, a) 생감과 싱싱한 오디와 싱싱한 아로니아를 깨끗한 용수로 2~4회 수세처리 하여 표면에 부착된 먼지, 미생물,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전처리단계와, b) 오디와 아로니아를 분쇄하는 단계와, c) 과일 탈피기를 이용하여 생감의 껍질을 제거하는 탈피단계와, d) 탈피된 감을 건조기에 투입시켜 반건시 상태로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e) 반건시를 절개시켜 내부 감씨와 감꼭지를 제거하는 단계와, f) 반건시와 오디와 아로니아를 혼합하는 단계와, g) 혼합물을 압출기에 투입시켜 가압 압출시켜 잼을 얻는 압출 살균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출 살균 단계 이후에 계량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을 이용한 잼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jam using persimmon}
본 발명은 감을 이용한 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탈피 감을 반건조시킨 반건시(Semi-dried persimmon)와 분쇄한 오디(Mulberry)와 분쇄한 아로니아(Aronia)를 혼합시킨 다음 가온 압출시켜 떫은 맛(tannin)이 제거되고 건강에 유익하며, 식사대용식으로도 훌륭한 기능성 잼(jam)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잼(jam)은 과실류 또는 과채류를 당류 등과 함께 젤리화 또는 시럽화한 것이다. 과실이나 기타 식물성 식품을 미생물에 의한 부패가 일어날 수 없을 정도로 수분을 증발시키고 농축시킨 후 설탕을 가하여 만든 제품으로 다량의 당분을 함유하는 저장성이 높은 가공 식품이다.
한편 감은 주성분이 당질로서 15~16%가 포함되고, 비타민 A, B가 풍부하며, 비타민 C는 100g 중에 30~50mg이 함유되어 있으며, 당분의 대부분이 포도당과 과당이어서 소화 흡수가 잘 되며, 혈액 흐름을 원활하게 해주어 혈관 관련 질환이 예방되고, 눈의 피로를 풀어주어 시력이 개선되며, 지혈작용에 의해 상처 회복이 빠르고, 알코올 분해 효과가 높고, 면역력이 강화되며, 대장암을 예방하고, 피부 미용에 우수하고,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오디(mulberry)는 뽕나무과(Mor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인 뽕나무 (Morus albba L)의 열매로서 5월부터 6월에 걸쳐 과실의 색이 검은색 또는 자홍색으로 나타낼 때 채취하여 식용하거나 건조한 후 한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주요성분은 포도당과 과당, 시트르산, 사과산, 타닌 및 펙틴이며 미량성분으로는 비타민(A, B1, B2, D), 칼슘, 인 및 철 등이 있으며, 항산화, 항당뇨, 항염증 등 여러 생리활성능을 가진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갈증을 해소하고 관절을 부드럽게 하며 알코올을 분해하고 마음을 편안하게 하여 불면증과 건망증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밖에 머리가 세는 것을 막아 주고 조혈작용이 있어서 류머티즘 치료에도 쓰며, 혈당과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있으며, 오디를 이용한 오디잼, 오디즙, 오디주스, 오디와인 및 오디식초와 같은 다양한 가공식품이 개발되어져 왔으나, 판매단가가 높고, 딸기(strawberry), 복분자(raspberry) 및 블루베리(blueberry)와 같은 다른 베리류 과실에 비해 향이 좋지 못하며, 산도와 기호성이 낮기 때문에 아직까지 오디를 이용한 고품질의 오디잼의 개발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또한, 아로니아(Aronia)는 아로니아 나무의 열매로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하며, 식용 색소의 원료로 쓰이기도 하고 관상용으로도 재배된다. 아로니아는 안토시아닌의 함량이 블루베리의 4-5배 이상으로 높아서 강력한 황산화물질이 들어 있으며, 폴리페놀도 포도의 80배, 복분자의 20배, 크린베리의 13배로서 건강기능성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안토시아닌과 폴리페놀은 활성산소를 중화시키는 항산화 효과, 발암물질의 작용을 억제하는 항변이원성 작용, 로돕신의 재합성을 촉진하는 시력회복 효과, 혈관의 콜레스테롤을 억제하여 심혈관계질환을 예방하는 효과, 체내의 콜레스테롤 제거 작용, 카테킨과 상호작용으로 각종 뇌질환의 예방과 치료 효과, 인슐린 생성을 향상시켜 당뇨 예방 효과, 백혈구의 생성을 촉진시켜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효과, 소염 및 살균작용, 인슐린 생성량을 높이는 작용, 기억력 개선, 체지방을 분해하여 다이어트 효과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한 감, 오디, 아로니아는 다양한 효능으로 인하여 건강보조식품으로 각광받고 있으나 마땅한 가공식품으로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특0130434호(발명의 명칭: 감잼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1997년11월18일 특허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6695호(발명의 명칭: 곶감을 함유하는 양갱 및 이의 제조방법, 2011년10월26일. 특허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탈피 감을 반건조시킨 반건시(Semi-dried persimmon)와 분쇄한 오디(Mulberry)와 아로니아(Aronia)를 혼합시킨 다음 가온 압출시켜 떫은 맛(tannin)이 제거되고 기능성이 부여된 감을 이용한 잼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잼을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감을 이용한 잼 제조방법은, 떫은 생감을 탈피한 다음 38~45℃의 열풍과 상온의 냉풍으로 2~4일간 숙성 건조시켜 떫은 맛이 사라지고 감씨와 감꼭지가 제거된 반건시 20~40중량%와, 세척 및 자연 탈수되고 젤상태로 분쇄된 싱싱한 오디 20~40중량%와, 세척 및 자연 탈수되고 젤상태로 분쇄된 싱싱한 아로니아 20~4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감을 이용한 잼 제조방법은, 떫은 생감을 탈피한 다음 38~45℃의 열풍과 상온의 냉풍으로 2~4일간 숙성 건조시켜 떫은 맛이 사라지고 감씨와 감꼭지가 제거된 반건시 20~40중량%와, 세척 및 자연탈수되고 젤상태로 분쇄된 싱싱한 오디 20~40중량%와, 세척 및 자연탈수되고 젤상태로 분쇄된 싱싱한 아로니아 20~40중량%를 혼합한 다음 100~150℃의 온도가 유지되는 압출기로 살균 압출시켜 잼을 얻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감을 이용한 잼 제조방법은, a) 떫은 생감과 싱싱한 오디와 싱싱한 아로니아를 깨끗한 용수로 2~4회 수세처리 하여 표면에 부착된 먼지, 미생물, 이물질 등을 제거하고 자연 탈수하는 전처리단계와, b) 전처리된 오디와 아로니아를 젤상태로 분쇄하는 단계와, c) 과일 탈피기를 이용하여 생감의 껍질을 제거하는 탈피단계와, d) 탈피된 감을 곶감건조장치의 숙성실에 투입시켜 온풍과 냉풍으로 건조하되 온도가 30~40℃에 다다르면 온풍을 중단시켜 곶감건조장치의 숙성실 온도가 외기 온도로 하강하면 온풍시키기를 22~24시간 반복한 후 건조기의 온도조절기능을 정지시켜 1~3시간 방치시켜 반건시 상태로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e) 반건시를 절개시켜 감씨와 감꼭지를 제거하는 단계와, f) 반건시와 오디와 아로니아를 혼합하는 단계와, g) 혼합물을 100~150℃의 온도가 유지되는 압출기로 살균 압출시켜 잼을 얻는 압출 살균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출 살균 단계 이후에 계량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잼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 잼 제조방법은, 반건시에 오디와 아로니아의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감 잼을 제조함으로써, 감잼의 저장성과 특유의 향과 맛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감 잼은 당도와 식감이 우수하며, 젤리 상태로 가공되어 먹기에도 좋을 뿐 아니라 감, 오디, 아로니아에 함유된 유용성 물질들이 인체에 유익하게 작용하는 기능성 식품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반건시는 타닌이 제거되어 당도가 우수하며, 젤 상태로 분쇄된 오디 및 아로니아와 잘 혼합된다.
본 발명은 당뇨환자를 비롯한 환자의 식사대용식으로도 우수하며, 물론 일반인의 식사대용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반건시는 당분과 비타민 A, B, C가 풍부하며, 대부분의 당분이 포도당과 과당이어서 소화 흡수가 잘 되고, 혈액 흐름을 원활하게 해주어 혈관 관련 질환이 예방되고, 눈의 피로를 풀어주어 시력이 개선되며, 지혈작용에 의해 상처 회복이 빠르고, 알코올 분해 효과가 높고, 면역력이 강화되며, 대장암을 예방하고, 피부 미용에 우수하고,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첨가된 오디는 포도당과 과당, 시트르산, 사과산, 타닌 및 펙틴이며 미량성분으로는 비타민(A, B1, B2, D), 칼슘, 인 및 철 등이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항당뇨, 항염증 등 여러 생리활성능을 가지며, 갈증을 해소하고 관절을 부드럽게 하며 알코올을 분해하고 마음을 편안하게 하여 불면증과 건망증에도 효과가 있고, 조혈작용이 있어서 류머티즘 치료에도 쓰며, 혈당과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첨가된 아로니아는 기능성 성분인 안토시아닌이 함유되어 있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작용, 발암물질의 작용을 억제하는 항변이원성 작용, 시력회복효과, 심혈관계질환 예방 효과, 체내의 콜레스테롤 제거 작용, 뇌질환의 예방과 치료 효과, 당뇨 예방 효과, 면역력 증진 효과, 다이어트 효과 등이 있으므로 건강 보조식품으로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감, 오니, 아로니아 특유의 유효성분과 식감 및 가격경쟁력 등으로 인한 과수농가의 부가가치성 증대에 이바지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제조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하며,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제조 공정도로, 주재료인 감은 떫은 감을 사용하고, 건조기는 냉풍과 열풍이 제어되는 건조기를 사용하고, 잼(jam)은 가압 배출되면서 살균 소독되는 압출기가 사용되며, 구체적인 실시예는 하기와 같다.
<실시예>
1. 전처리 단계(a 단계)
잼의 원료가 되는 싱싱한 감, 예컨대 떫은 생감과, 싱싱한 오디와, 싱싱한 아로니아를 수증기 또는 깨끗한 지하수 또는 수돗물과 같은 세척수로 2~4회 수세처리하여 표면에 부착된 먼지, 미생물, 이물질 등이 제거되도록 전처리한다.
상기에서 세척수로 세척한 다음 통풍이 잘되는 발이나 채반 위에 널어두어, 표면에 부착된 수분이 자연스럽게 제거되도록 한다.
상기 탈수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표면에 묻은 수분을 탈수기나 열풍으로 강제 탈수시킬 수 있다.
물론 세척 후 오디와 아로니아를 바로 분쇄하거나 생감을 바로 탈피시킬 수 있지며, 자연 탈수 또는 강제 탈수 후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오디 및 아로니아 분쇄단계(b 단계)
세척 및 자연탈수된 싱싱한 오디와, 싱싱한 아로니아를 분쇄기에 투입시켜 점액상태(걸쭉한 상태) 또는 젤(겔) 상태가 되도록 미세 분쇄한다. 상기 분쇄기는 영양파괴가 적으면서 이물질이 분리되는 멧돌식 분쇄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멧돌식 분쇄기는 200~500rpm의 회전속도에 의해 영양파괴가 거의 없이 분쇄된다.
상기 오디 및 아로니아는 수분이나 여타의 첨가제 등이 혼합되지 않은 순수 오디 및 아로니아 분쇄물이며, 분쇄할 때 오디 및 아로니아의 씨앗 등도 미세분쇄되어 먹을 때 씹히지 않는다.
3. 생감 탈피(박피)단계(c 단계)
떫은 생감을 사용하되 과일 탈피기를 이용하여 생감의 껍질을 제거한다.
4. 생감 건조단계(반건시 제조단계)(d 단계)
탈피된 감을 건조기에 투입 건조시켜 반건시를 얻는 단계이다.
상기 건조기는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인 '곶감건조장치(10-1187088)'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곶감건조장치'는 건조실 내부로 건조열풍을 균일하게 공급하면서 열풍 회수는 건조실의 하측(바닥)을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건조에 필요한 열풍이 건조실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꼭지부터 시작하여 배꼽부위로 건조되므로 균일하게 짧은 시간에 건조가 이루어지고 건조된 곶감의 형태 또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우수한 상품의 반건시를 짧은 시간내에 생산할 수 있어서 농가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으로, 박스타입으로 구비되는 케이스에 단열수단을 구비하고 내부에 격벽으로 구획하여 마련하는 건조실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건조에 필요한 열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열수단과 열풍팬으로 구성하여 설치되는 열풍공급기와, 상기 건조실의 측벽면에 요입되게 종방향으로 형성하는 유지홈과, 상기 유지홈에 설치하여 열풍공급기로부터 열풍을 공급받아 건조실로 배출하는 열풍공급관과, 상기 열풍공급관의 하단에 돌출되는 작동축은 건조실 저면에 형성되는 작동실에 설치되는 작동수단에 의하여 정,역방향으로 일정각도 왕복하게 하고, 상기 건조실의 바닥위치 후측벽면에는 건조실을 경유한 열풍을 열풍공급기로 재순환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순환홀을 포함하는 곶감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반건시 상태로 건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곶감건조장치'를 이용하여 38~45℃의 열풍과 상온의 냉풍을 정밀 온도제어하는 방법으로 탈피시킨 감을 2~4일간 숙성 건조시켜 반건시의 내부 습도와 외부습도가 거의 같은 습도로 유지된다. 즉 건조된 반건시의 내외부 습도차이가 거의 없어 떫은 맛의 타닌이 대부분 제거되면서 당도가 우수한 반건시를 얻는다.
상기 반건시는 떫은 감을 이용하면 타닌이 대부분 제거되면서 당도가 수십 °Brix 까지 상승하여 맛이 더욱 좋아진다.
한편, 상기 '곶감건조장치'는 껍질이 제거된 감을 반건시로 숙성하는데 최적의 건조 온도로 제어함으로써 자연 숙성되는 반건시와 같은 풍미를 얻게된다.
즉, 2~4일간 온도제어로 숙성 건조함으로써 반건시 곶감이 만들어지며,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화학적인 전처리 없이도 썩거나, 미숙성, 떫은 맛, 색상의 변화 등이 없는 균질한 반건시가 얻어진다.
즉, 탈피된 감을 '곶감건조장치'의 숙성실에 투입시켜 온풍과 냉풍(자연냉풍)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되 온도가 30~40℃까지 다다르게 되면 강제 온풍을 중단시켜 '곶감건조장치'의 숙성실 온도가 외기 온도로 하강되면 온풍시키는 방법을 22~24시간 반복 실시한 후 '곶감건조장치'의 온도조절기능(냉,온풍 공급)을 정지시켜 1~3시간 방치하면 탈피된 감이 건조되며, 이러한 반복 온도 제어과정은 자연에서 밤낮의 온도차이를 이용하여 감을 건조시키는 것이다.
즉, 자연에서 밤낮의 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감을 건조시키는 방법을 '곶감건조장치'에 적용시켜 밤낮의 온도 반복온도를 인위적으로 달성함으로써 48~92시간 만에 반건시가 제조된다. 즉, 자연건조 방식을 이용하되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건조에 따른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따라서 감이 젤리형의 반건시로 변화되어 떫은맛이 사라지면서 식감과 풍미가 우수하고, 반건시의 외관변질이 방지되며, 품질을 높이면서 건조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표 1은 본 발명에서 '곶감건조장치'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본 발명의 반건시와 천일 건조시킨 반건시(비교군)의 수분, 당도, 타닌, 경도, 명도, 적색도, 황색도 등의 이화학적 성분을 비교 표시한 것이다.
구분 수분
(%)
당도
(°Brix)
타닌
(ppm)
경도
(㎏/㎠)
명도 적색도 황색도
본 발명 3일 제조 직후 51.95 28.93 0.38 2.15 53.44 18.79 37.03
본 발명 제조후 60일 냉동보관 60.6 30.1 0.23 1.36 38.83 13.98 24.66
천일 건조 3일 경과 69 2 0.9 8.6 68 17 58
천일 건조 25일 경과 43 30 0.3 1.03 22 20 50
상기 표 1에서 본 발명의 반건시는 제조 직후 수분이 51.95%인 반면, 비교군인 천일 건조 3일 경과 후의 비교군 반건시의 수분이 69%로 높고, 본 발명의 반건시를 제조한 후 60일 냉동보관시 수분은 60.6%로 다수 상승한 반면, 천일 건조한 반건시의 경우 3일 건조 후의 수분이 69%이고, 25일 경과 후의 수분이 43%로 줄어 식감이 많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당도의 경우, 본 발명의 반건시는 제조 직후 당도가 28.93(°Brix)에 달하는 반면, 비교군인 천일 건조한 반건시의 경우 3일 경과하더라도 2(°Brix)에 머물러 매우 큰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으며, 천일 건조 25일 경과 후의 당도가 30(°Brix)에 이르면서 비로소 본 발명 3일 제조 직후의 당도와 비슷한 당도를 보이고 있어서 생산성이 매우 차이남을 알 수 있다.
즉, 반건시의 건조는 감을 탈피한 후 바람이 잘 통하는 서늘한 곳에서 자연건조하여 완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일손이 부족한 농가 실정에 맞추어 빠른 시간에 건조를 수행하고 상품의 생산주기를 단축하여 농가소득을 높이려는 목적에 부합한다.
또한 떫은 맛을 내는 타닌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반건시는 제조 직후 타닌이 0.38ppm인 반면, 천일 건조의 경우 25일 경과되어야 0.3ppm으로 떨어짐을 알 수 있어 타닌 제거효율 또한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경도의 경우 본 발명의 반건시는 2.159㎏/㎠와 1.369㎏/㎠이나, 천일 건조의 경우 건조 3일 경과시 9㎏/㎠이고 천일 건조 25일 경과 후 1.03㎏/㎠로 크게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명도와 적색도는 큰 차이가 없으나 황색도는 본 발명의 반건시는 제조 직후 37.03 이고 제조한 후 60일 냉동보관한 경우 24.66임에 비하여, 비교군인 천일 건조한 반건시의 경우 3일 경과시 58이고 25일 경과 후에는 50으로 유지되어 큰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다.
5. 감씨 제거단계(e 단계)
반건시를 1/2(절반) 또는 1/3(3등분) 절개시켜 내부의 감씨와 감꼭지 등 불필요한 부분이나 불필요한 부위를 제거한다. 감씨를 분쇄하더라도 떫은 맛이 나므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혼합단계(f 단계)
감씨와 감꼭지 등이 제거된 반건시 20~40 중량%와, 분쇄된 오디 20~40 중량%와, 분쇄된 아로니아 20~40 중량%를 혼합시킨 혼합물을 얻는다.
본 발명의 반건시는 타닌이 제거되어 당도가 우수할 뿐 아니라, 젤 상태로 분쇄된 오디 및 아로니아와 잘 혼합된다.
7. 잼 제조단계 : 압출 살균단계(g 단계)
혼합물을 압출기(잼제조기)에 투입시켜 가압 가열 압출시켜 살균 배출되는 감 잼을 얻는다.
상기 압출기는 투입구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가압스크류와 압출구와, 압출구 주변에 설치되는 전열선에 의해 압출구의 온도가 100~150℃로 항온 유지되며, 투입구로 투입되는 혼합물이 가압스크류에 의해 압출구로 가압 이송되면서 수분이 적절히 제거되며, 100~150℃로 항온 유지되는 압출구를 수초~수십초간 통과하면서 살균처리된 혼합 잼이 얻어진다.
8. 계량 포장단계(h 단계)
살균 압출되는 감 잼을 계량하여 유리병 등의 위생용기에 투입 포장한다.
상기에서 분쇄단계는 세척후 세척수가 자연스럽게 흘러내린 탈수된 상태에서 분쇄가되며, 반건시와 혼합되기 전의 어느 단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오디와 아로니아는 분말 상태로 혼합 사용할수도 있다.
본 발명은 '곶감건조장치'로 건조된 반건시 대신 시간이 걸리더라도 천일 건조시킨 반건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감 잼은 당도와 식감이 우수하며, 젤리 상태로 가공되어 먹기에도 좋을 뿐 아니라 반건시, 오디, 아로니아에 함유된 유용성 물질들이 인체에 유익하게 작용하는 기능성 식품이다.
본 발명은 반건시, 오디, 아로니아가 적절히 혼합되어 맛이 좋은 잼이 제조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감 잼은 균일하게 건조된 반건시와, 반건시에 혼합된 오디 및 아로니아의 기능성 물질이 첨가되어 당도와 식감이 우수하며, 잼으로 가공되어 먹기에도 좋을 뿐 아니라 함유된 유용성 물질들이 인체에 유익하게 작용하는 기능성 식품이다.
본 발명의 반건시는 당분과 비타민 A, B, C가 풍부하며, 대부분의 당분이 포도당과 과당이어서 소화 흡수가 잘 되고, 혈액 흐름을 원활하게 해주어 혈관 관련 질환이 예방되고, 눈의 피로를 풀어주어 시력이 개선되며, 지혈작용에 의해 상처 회복이 빠르고, 알코올 분해 효과가 높고, 면역력이 강화되며, 대장암이 예방되고, 피부 미용에 우수하며, 활성 산소가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첨가된 오디는 항산화, 항당뇨, 항염증 등 여러 생리활성능을 가지며, 갈증을 해소하고 관절을 부드럽게 하며, 알코올을 분해하고 마음을 편안하게 하여 불면증과 건망증에도 효과가 있고, 조혈작용이 있어서 류머티즘 치료에도 쓰며, 혈당과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첨가된 아로니아는 기능성 성분인 안토시아닌이 함유되어 있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작용, 발암물질의 작용을 억제하는 항변이원성 작용, 시력회복효과, 심혈관계질환 예방 효과, 체내의 콜레스테롤 제거 작용, 뇌질환의 예방과 치료 효과, 당뇨 예방 효과, 면역력 증진 효과, 다이어트 효과 등이 있어 훌륭한 건강보조식품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감, 오디, 아로니아 특유의 유효성분과 식감 및 가격경쟁력 등으로 인한 과수농가의 부가가치성 증대에 이바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본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Claims (3)

  1. 떫은 생감을 탈피한 다음 38~45℃의 열풍과 상온의 냉풍으로 2~4일간 숙성 건조시켜 떫은 맛이 사라지고 감씨와 감꼭지가 제거된 반건시 20~40중량%와, 세척 및 자연 탈수되고 젤상태로 분쇄된 싱싱한 오디 20~40중량%와, 세척 및 자연 탈수되고 젤상태로 분쇄된 싱싱한 아로니아 20~40중량%를 혼합하여서 된 감을 이용한 잼 제조방법.
  2. 떫은 생감을 탈피한 다음 38~45℃의 열풍과 상온의 냉풍으로 2~4일간 숙성 건조시켜 떫은 맛이 사라지고 감씨와 감꼭지가 제거된 반건시 20~40중량%와, 세척 및 자연탈수되고 젤상태로 분쇄된 싱싱한 오디 20~40중량%와, 세척 및 자연탈수되고 젤상태로 분쇄된 싱싱한 아로니아 20~40중량%를 혼합한 다음 100~150℃의 온도가 유지되는 압출기로 살균 압출시켜 잼을 얻는 감을 이용한 잼 제조방법.
  3. a) 떫은 생감과 싱싱한 오디와 싱싱한 아로니아를 깨끗한 용수로 2~4회 수세처리하여 표면에 부착된 먼지, 미생물, 이물질 등을 제거하고 자연 탈수하는 전처리단계;
    b) 전처리된 오디와 아로니아를 젤상태로 분쇄하는 단계;
    c) 과일 탈피기를 이용하여 생감의 껍질을 제거하는 탈피단계;
    d) 탈피된 감을 곶감건조장치의 숙성실에 투입시켜 온풍과 냉풍으로 건조하되 온도가 30~40℃에 다다르면 온풍을 중단시켜 곶감건조장치의 숙성실 온도가 외기 온도로 하강하면 온풍시키기를 22~24시간 반복한 후 건조기의 온도조절기능을 정지시켜 1~3시간 방치시켜 반건시 상태로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e) 반건시를 절개시켜 감씨와 감꼭지를 제거하는 단계;
    f) 반건시와 오디와 아로니아를 혼합하는 단계;
    g) 혼합물을 100~150℃의 온도가 유지되는 압출기로 살균 압출시켜 잼을 얻는 압출 살균단계;
    를 포함하는 감을 이용한 잼 제조방법.
KR1020190027885A 2019-03-12 2019-03-12 감을 이용한 잼 제조방법 KR102179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885A KR102179978B1 (ko) 2019-03-12 2019-03-12 감을 이용한 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885A KR102179978B1 (ko) 2019-03-12 2019-03-12 감을 이용한 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987A KR20200108987A (ko) 2020-09-22
KR102179978B1 true KR102179978B1 (ko) 2020-11-17

Family

ID=72706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885A KR102179978B1 (ko) 2019-03-12 2019-03-12 감을 이용한 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9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997B1 (ko) 2021-08-20 2022-08-05 주식회사 시실리 저온 가열 방식의 감잼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17176B (it) * 1988-04-18 1990-03-14 Rossi E Catelli S P A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in continuo di pasta alimentare sterile,cotta o parzialmente cotta
KR0130434B1 (ko) 1994-05-31 1998-04-02 이중덕 감잼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16695A (ko) 2010-04-20 2011-10-26 신윤호 곶감을 함유하는 양갱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75061A (ko) * 2014-12-19 2016-06-29 한미숙 아로니아베리 잼 제조방법
KR20160052525A (ko) * 2016-05-02 2016-05-12 길호섭 무설탕 과일잼 제조방법, 무설탕 과일잼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무설탕 과일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997B1 (ko) 2021-08-20 2022-08-05 주식회사 시실리 저온 가열 방식의 감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987A (ko) 202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65155B (zh) 山楂果酸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566074B1 (ko) 과일효소액에 침지시킨 수삼슬라이스의 제조방법
KR101693668B1 (ko) 꾸지뽕 나무 열매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기능성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1163507B1 (ko) 과실즙의 제조방법
CN103478529A (zh) 一种花卉脆片的制备方法及产品
KR102179978B1 (ko) 감을 이용한 잼 제조방법
KR102464831B1 (ko) 병풀을 활용한 음료 제조 방법
CN104026506A (zh) 一种保健马蹄粉及其制备方法
CN105670897A (zh) 一种增强免疫力的青枣醋饮料
KR20130077786A (ko) 연근 발효음료 제조방법
CN109770017A (zh) 一种保健茯茶
KR20120071890A (ko) 동/식물성 식재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KR102339451B1 (ko) 과채주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253777B1 (ko) 뽕잎국수 및 이의 제조방법
RU2370103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джема из морских водорослей
KR102046354B1 (ko) 사과 젤리 제조 방법
US10820603B2 (en) Prune-based nutrient-rich materials and related processes
CN105831636A (zh) 一种猕猴桃维生素c咀嚼片及其制作方法
CN111690496A (zh) 一种山楂百香果酒
KR20110034880A (ko) 복분자, 오미자 및 구기자 추출물이 함유된 초콜릿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초콜릿 조성물 제조방법
CN110777039A (zh) 一种荔枝调配酒的制备方法
KR102601021B1 (ko) 과일주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219590B1 (ko) 단감 토핑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단감 토핑
KR20130011064A (ko) 흑홍삼이 함유된 딸기잼
CN108902598B (zh) 一种靖西大果山楂保健醋饮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