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389B1 - 방수 커넥터 - Google Patents

방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389B1
KR102161389B1 KR1020197009863A KR20197009863A KR102161389B1 KR 102161389 B1 KR102161389 B1 KR 102161389B1 KR 1020197009863 A KR1020197009863 A KR 1020197009863A KR 20197009863 A KR20197009863 A KR 20197009863A KR 102161389 B1 KR102161389 B1 KR 102161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male
hood
pad member
terminal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9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4678A (ko
Inventor
노리히토 하시모토
히데토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4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후드부의 시일 개소를 보호할 수 있고, 또한 시일 부품 등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수커넥터(M)의 후드부(2)의 선단에는 맞댐면(6)이 형성되고, 안쪽에는 테이퍼면(7, 9)을 통해 평활한 시일면(10)이 형성되어 있다. 암커넥터(F)의 단자 수용부(13)의 안쪽 부분에는 암수 커넥터(M, F)가 감합했을 때에 맞댐면(6)에 의해 압축 상태로 맞대어지는 패드 부재(5)가 장착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13)에 있어서 패드 부재(5)의 전방에는, 패드 부재(5)와는 별개체로 시일면(10)에 수밀하게 밀착되는 시일 본체 부재(14)가 장착된다.

Description

방수 커넥터
본 발명은 방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방수 커넥터에 있어서, 수커넥터의 하우징에는 후드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암커넥터의 하우징은, 단자 수용부와 단자 수용부를 포위하는 외통부를 갖고 있다. 수커넥터의 후드부는, 단자 수용부와 외통부 사이에 감합 가능하다. 암커넥터에 있어서, 단자 수용부의 안쪽 부분에는 링형으로 형성된 고무제의 방수 시일이 끼워져 부착되어 있다.
방수 시일은, 측면에 시일 립이 형성된 시일부와 시일부의 후단에 외측으로 뻗어나오도록 마련된 패드부로 형성되어 있다. 암수 커넥터가 감합하면, 시일부의 시일 립이 후드부의 내주면과 수밀 상태로 밀착되어, 암수 커넥터 사이를 시일 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이 때에는, 후드부의 선단이 패드부에 맞대어지도록 되어 있어, 암수 커넥터가 감합 방향으로 덜컥거리는 것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7-80737호 공보
종래의 경우, 후드부에서 시일 립이 밀착되는 부위는, 후드부의 선단으로부터 약간 안쪽 부분으로 들어간 곳으로 설정되어 있다. 후드부의 내주면 중 시일 립과의 밀착 부위는 시일성 확보를 위해 평활한 연마면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연마면은 이물질(손가락 등)에 닿으면 손상되어 시일성이 저하되어 버리는 것이 우려된다. 그 대책으로서, 시일 립과의 밀착 부위를 후드부의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가능한 한 안쪽 부분에 설정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와 같은 대책을 채택한 경우, 상정되는 방수 시일은 패드부와 시일 립의 형성부가 전후 방향으로 크게 이격된 형태가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일 패드부와 시일 립의 형성부가 전후 방향으로 긴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 형태이다. 그러나, 연결부가 길어진 형태에서는, 방수 시일을 압입하여 장착할 때에 연결부에서 좌굴이 생기기 쉬워져, 장착 작업이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 후드부의 시일 개소를 보호할 수 있고, 또한 시일 부품 등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방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수 커넥터는, 수단자 피팅이 수용된 수하우징을 갖는 수커넥터와, 상기 수하우징에 형성되고, 전방으로 개구된 후드부와, 상기 후드부의 개구 단부면에 형성된 맞댐면과, 상기 후드부의 내주면 중 상기 맞댐면보다 안쪽 영역에 형성되고, 전방을 향해 확대 개방된 테이퍼면과, 상기 후드부의 내주면 중 상기 테이퍼면보다 안쪽 영역에 형성된 시일면과, 암하우징을 갖는 암커넥터와, 상기 암하우징을 구성하고, 암단자 피팅을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와, 상기 암하우징을 구성하고, 상기 단자 수용부를 포위하는 외통부와, 상기 단자 수용부와 상기 외통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암하우징의 선단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후드부를 감합시키는 감합 공간과, 환형을 이루고 있고 상기 단자 수용부의 안쪽 부분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암커넥터를 구성하고, 상기 암수 하우징이 감합했을 때에 상기 암하우징의 안쪽 벽과 상기 후드부의 상기 맞댐면 사이에서 끼여 압축 상태로 탄성 변형되는 고무제의 패드 부재와, 상기 패드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암수 하우징이 감합했을 때에 상기 후드부의 상기 맞댐면에 맞대어지는 복수의 맞댐 돌기와, 상기 패드 부재와는 별개체로 형성되고, 상기 패드 부재보다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단자 수용부의 외주면에 끼워져 부착됨으로써 상기 암커넥터를 구성하고, 상기 암수 하우징이 감합했을 때에 상기 후드부의 상기 시일면과 시일 상태로 밀착되는 고무제의 시일 본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패드 부재와 시일 본체 부재가 별개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의 전후 간격을 넓게 취할 수 있다. 따라서, 그만큼 수하우징의 후드부에서 시일면을 보다 안쪽 부분에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시일면의 보호에 기여한다. 또한, 패드 부재와 시일 본체 부재를 별개로 단자 수용부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장착 작업을 편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방수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며, 암수 커넥터가 얕게 감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동일하게 암수 커넥터가 정규 감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패드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방수 커넥터는, 상기 패드 부재가 표리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종래와 같이, 패드 부재와 시일 본체 부재가 일체화되어 있으면, 작업자가 표리 반전하여 잘못 장착할 우려는 없지만, 본 발명과 같이 패드 부재가 단일 부재로 된 경우에는 그 우려가 생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패드 부재를 표리 대칭 형상으로 해 두면, 표리 어느 방향에서도 정규 장착이 가능해진다.
(2) 또한, 상기 시일 본체 부재가 표리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해도 좋다. 시일 본체 부재도 표리 대칭 형상으로 해 두면, 단자 수용부에 대하여 표리 어느 방향에서도 정규 장착이 가능하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방수 커넥터를 구체화한 실시예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방수 커넥터는, 전후 방향으로 상대 변위함으로써 서로 감합ㆍ이격되는 수커넥터(M)와 암커넥터(F)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수커넥터(M)를 구성하는 수하우징(1)은, 도 2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으로 개구된 대략 각통형의 후드부(2)를 갖고 있다. 후드부(2)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수단자 피팅의 수탭(male tab)(3)가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드부(2)에서의 상면의 개구 가장자리 근처이자 폭방향의 중앙부에는 록 볼록부(4)가 형성되어 있다.
후드부(2)의 선단부면에는, 후술하는 패드 부재(5)에 대한 맞댐면(6)이, 암수 커넥터(F, M)의 감합 방향과 대략 직각으로 솟아 있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드부(2)의 내주면에서의 개구 가장자리부, 즉 맞댐면(6)보다 안쪽 영역에는, 전방을 향해 확대 개방된 제1 테이퍼면(7)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후드부(2)의 내주면 중 제1 테이퍼면(7)보다 안쪽 영역, 즉 제1 테이퍼면(7)의 안쪽 단부에 이어지는 영역에는, 수커넥터(M)와 암커넥터(F)의 감합 방향과 평행한 평행주면(8)이 형성되어 있다. 후드부(2)의 내주면 중 평행주면(8)보다 안쪽 영역, 즉 평행주면(8)의 안쪽 단부에 이어지는 영역에는, 전방을 향해 확대 개방된 제2 테이퍼면(9)이 형성되어 있다.
후드부(2)의 내주면 중 제2 테이퍼면(9)보다 안쪽 영역, 즉 제2 테이퍼면(9)의 안쪽 단부에 이어지는 영역에는 시일면(10)이 형성되어 있다. 시일면(10)은, 후술하는 암커넥터(F)측에서의 시일 본체 부재(14)의 시일 립(11)과 밀착 가능하다. 이 시일면(10)은, 암수 양 커넥터(F, M)의 감합 방향과 평행을 이루며, 평활하게 연마된 연마면이다. 시일면(10)은, 전후 방향에 관해서는 적어도 시일 립(11)의 형성 범위보다 약간 넓은 범위에 걸쳐 형성되고, 후드부(2)의 둘레 방향에 관해서는 전체 둘레에 걸쳐 대략 띠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암커넥터(F)는, 암하우징(12)과 패드 부재(5)와 시일 본체 부재(1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암하우징(12)은, 암단자 피팅(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기 위한 단자 수용부(13)와, 이 단자 수용부(13)를 대략 포위하는 외통부(15)로 구성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13)와 외통부(15) 사이에는, 암하우징(12)의 선단측에 개구되고, 수하우징(1)의 후드부(2)를 감합시키기 위한 감합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 수용부(13)에는 폭방향으로 나열된 4실의 캐비티(16)가 설치되어 있다. 각 캐비티(16)는 단자 수용부(13)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각 캐비티(16)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암단자 피팅이 시일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13)의 전방부에는, 암단자 피팅의 빠짐 방지와 후술하는 시일 본체 부재(14)의 빠짐 방지를 행하기 위한 리테이너(17)가 장착되어 있다. 도 3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테이너(17)가 단자 수용부(13)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리테이너(17)는 외통부(15)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어 있다. 또, 리테이너(17)에는 각 캐비티(16)와 연통하는 창부가 개구되어 있다.
외통부(15)의 상부는 전방 단부를 제외하고 상측으로 개방되어 형성되어 있다. 전방 단부의 개방 부분은 접속편(1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13)의 상면이자 외통부(15)가 개방되는 부위에는 록 아암(19)이 형성되어 있다. 록 아암(19)의 하면에는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지지 다리(20)가 형성되고, 단자 수용부(13)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있다. 록 아암(19)은 지지 다리(20)로부터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록 아암(19)은 지지 다리(20)를 지지점으로 상하 방향으로 시소형으로 탄성 변위가 가능하다.
록 아암(19)의 선단에는 록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록 아암(19)은, 암수 커넥터(F, M)가 감합하는 과정에서 수커넥터(M)측의 록 볼록부(4)에 올라 앉도록 휨 변형되고, 감합 완료에 따라서 록 볼록부(4)를 타고 넘어 탄성 복귀한다. 암수 커넥터(F, M)의 감합이 완료하면, 록부(21)와 록 볼록부(4)가 걸리는 결과, 암수 커넥터(F, M)가 감합 상태로 록된다.
단자 수용부(13)의 안쪽 부분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패드 부재(5)가 배치되어 있다. 패드 부재(5)는 고무재에 의해 타원의 대략 평판의 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패드 부재(5)는, 단자 수용부(13)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끼움 부착됨으로써 암커넥터(F)를 구성한다. 패드 부재(5)의 일부는, 암하우징(12)의 안쪽 벽(22)에 접촉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13)의 외주면이자 안쪽 벽(22)으로부터 약간 전방의 위치에는 빠짐 방지 돌기(23)가 복수 개소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빠짐 방지 돌기(23)가 패드 부재(5)의 전면(前面)에 걸림으로써, 패드 부재(5)가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패드 부재(5)는, 표리(전후) 및 상하가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표리(전후) 및 상하가 반전된 상태라 하더라도 단자 수용부(13)에 대한 장착이 가능하다. 패드 부재(5)의 표리 양면이자 양쪽의 긴 변부의 중앙부에는 여유 오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여유 오목부(24)는 록 아암(19)의 하면측의 폭보다 약간 넓게 형성되어, 록 아암(19)의 선단측이 아래쪽으로 경사졌을 때에 록 아암(19)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드 부재(5)의 표리 양면에는 복수의 맞댐 돌기(25, 26)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맞댐 돌기(25, 26)는 패드 부재(5)의 표리 및 상하에서 대칭의 배치로 되어 있다. 각 맞댐 돌기(25, 26)에 있어서 여유 오목부(24)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장척 맞댐 돌기(25))은, 다른 맞댐 돌기(단척 맞댐 돌기(26))보다 길게 형성되어, 여유 오목부(24)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척 맞댐 돌기(26)는, 장척 맞댐 돌기(25)를 폭방향으로 사이에 끼고 있는 위치와, 패드 부재(5)의 각 코너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수 커넥터(F, M)가 정규 감합하면, 양쪽 맞댐 돌기(25, 26)에 후드부(2)의 선단의 맞댐면(6)이 맞대어져, 패드 부재(5)가 맞댐면(6)과 단자 수용부(13)의 안쪽 단부면 사이에 끼여 압축 방향(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이 패드 부재(5)의 탄성 변형에 의해, 암수 커넥터(F, M)는 전후 방향에 관한 덜컥거림이 규제된다.
단자 수용부(13)의 외주면에는, 패드 부재(5)와는 별개체로 형성된 고무제의 시일 본체 부재(14)가 장착되어 있다. 시일 본체 부재(14)는, 단자 수용부(13)의 외주 중 패드 부재(5)보다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암커넥터(F)를 구성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 수용부(13)의 외면 중 빠짐 방지 돌기(23)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보다 전방의 영역에는, 시일 본체 부재(14)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27)는, 그 안쪽보다 한층 작게 되어 단차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일 본체 부재(14)는 장착부(27)에 끼워져 부착되고, 시일 본체 부재(14)의 후측 단부는 단차면(28)에 압박되어 있다. 시일 본체 부재(14)의 전방에는 상기 리테이너(17)가 장착되어 있고, 이 리테이너(17)의 후측 단부면이 시일 본체 부재(14)의 전면에 대향함으로써, 시일 본체 부재(14)의 빠짐 방지가 이루어진다.
시일 본체 부재(14)는 단자 수용부(13)의 외주에 적합한 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일 본체 부재(14)의 외주면에는 전후 2조의 시일 립(11)이 형성되어 있다. 양 시일 립(11)은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암수 커넥터(F, M)가 정규 감합하면, 양 시일 립(11)은 수커넥터(M)에서의 후드부(2)의 시일면(10)에 의해 압축 변형된다. 이것에 의해, 암수 커넥터(F, M) 사이가 시일 상태로 유지된다. 시일 본체 부재(14)도, 패드 부재(5)와 마찬가지로 표리 및 상하가 각각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고, 단자 수용부(13)의 장착부에 대하여 표리 및 상하가 반전된 상태라도 정규 장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방수 커넥터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와 달리, 패드 부재(5)와 시일 본체 부재(14)가 별개체 부품으로서 제조되어 있기 때문에, 암하우징(12)에 대한 장착도 별개로 이루어진다. 패드 부재(5)는, 리테이너(17)가 단자 수용부(13)에 장착되기 전에, 전방으로부터 끼워 넣어져 후방으로 똑바로 압입된다. 패드 부재(5)는, 각 빠짐 방지 돌기(23)를 타고 넘어 각 빠짐 방지 돌기(23)와 걸림으로써 빠짐 방지가 이루어진다. 빠짐 방지된 패드 부재(5)의 배면측은 안쪽 벽(22)에 접촉한다.
계속해서, 시일 본체 부재(14)를 단자 수용부(13)의 전방으로부터 끼워 넣고, 후방으로 똑바로 압입한다. 이 때, 시일 본체 부재(14)를 약간 확장 변형한 상태로 끼워 넣어, 시일 본체 부재(14)의 배면이 단차면(28)에 접촉하도록 해 둔다. 그 후, 단자 수용부(13)의 전방 단부에 리테이너(17)가 장착되면, 리테이너(17)의 후면이 시일 본체 부재(14)의 전방 단부면에 대향함으로써, 시일 본체 부재(14)의 빠짐 방지가 이루어진다. 또, 각 캐비티(16)에 대한 암단자 피팅의 삽입 작업은, 리테이너(17)가 정규 위치에 장착되기 전에 이루어지고, 삽입후에 리테이너(17)가 정규 위치에 장착되면, 암단자 피팅이 정규 상태로 빠짐 방지된다.
이렇게 하여 암커넥터(F)의 조립이 이루어지면, 암수 커넥터(F, M)의 감합이 이루어진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드부(2)를 리테이너(17)를 통해 감합 공간(S)에 끼워 넣는다. 이 때에는, 제1, 제2 테이퍼면(7, 9)에 의해 암수 커넥터(F, M)가 중심을 맞추도록 안내되기 때문에, 원활한 감합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감합이 진행됨에 따라서, 록 아암(19)의 록부(21)가 후드부(2)의 록 볼록부(4)에 올라 앉는다. 이 때에는, 록 아암(19)은 지지 다리(20)를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요동한다.
암커넥터(F)와 수커넥터(M)가 정규 감합 상태가 되면, 록부(21)가 록 볼록부(4)를 통과하기 때문에, 록 아암(19)은 탄성적으로 복귀 변형한다. 록 아암(19)이 탄성 복귀하면, 록 볼록부(4)와 록부(21)가 걸리기 때문에, 암커넥터(F)와 수커넥터(M)가 정규 감합 상태로 록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수 커넥터(F, M)가 정규 감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후드부(2)의 맞댐면(6)이, 패드 부재(5)의 각 맞댐 돌기(25, 26)에 맞대어지고, 각 맞댐 돌기(25, 26)를 탄성적으로 압축한다. 이 때문에, 암수 커넥터(F, M)는 전후 방향으로 덜컥거리는 것이 규제된다. 따라서, 차량의 진동이 암수 커넥터(F, M)에 전달되더라도, 암수 단자 피팅끼리 전후 방향으로 미세하게 슬라이딩하는 것이 억제되어, 접점끼리의 마모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정규 감합 상태에서는, 후드부(2)의 시일면(10)이 시일 본체 부재(14)의 시일 립(11)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암수 커넥터(F, M)의 주면 사이의 방수가 도모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후드부(2)의 내주면에는 선단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테이퍼면(7), 평행주면(8) 및 제2 테이퍼면(9)을 통해 시일면(1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시일면(10)은, 종래보다 후드부(2)의 안쪽으로 들어간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시일면(10)이 이물질에 의해 손상되어 버리는 사태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시일면(10)과 맞댐면(6)의 사이가 전후 방향으로 비교적 크게 이격되는 것에 따라서, 패드 부재(5)와 시일 본체 부재(14)의 배치 관계도 전후 방향으로 크게 이격되게 된다. 가령, 패드 부재(5)와 시일 본체 부재(14)가 종래와 같이 일체화된 시일 부품의 형태를 고려하는 경우, 패드 부재(5)와 시일 본체 부재(14)는 긴 연결편을 통해 접속되게 된다.
그러나, 그와 같은 형태에서는, 시일 부품을 단자 수용부(13)에 장착할 때에, 허리가 약한 연결편 부분에서 좌굴되어 버려, 장착 작업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그 점에서, 본 실시예와 같이, 시일 부품이 패드 부재(5)와 시일 본체 부재(14)를 별개체의 2부품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이들을 개별로 단자 수용부(13)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 작업중에 좌굴의 우려는 없고, 원활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일체 구조의 시일 부품의 경우에는, 암수 커넥터(F, M)를 이격시킬 때에, 후드부(2)와의 마찰력에 의해 끌려가 시일 부품 전체가 탈락되어 버릴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패드 부재(5)는 장착 위치에 유지되어, 전체가 탈락되어 버리지는 않는다.
또한, 별개체 구성으로 한 경우는, 정규 방향과는 반전된 오장착이 우려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시일 본체 부재(14)도 패드 부재(5)도 모두 표리 및 상하가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방향이라도 정규 장착이 가능해져, 쓰기에 편리해진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다음과 같은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삭제
(1) 상기 실시예에서는, 후드부(2)의 내주면 중 시일면(10)보다 전방의 영역에 제1 테이퍼면(7)과 제2 테이퍼면(9)을 전후로 이격시켜 2단계로 형성했지만, 테이퍼면은 1개만이어도 좋다.
1 : 수하우징
2 : 후드부
3 : 수탭(수단자 피팅)
5 : 패드 부재
6 : 맞댐면
7 : 제1 테이퍼면
9 : 제2 테이퍼면
10 : 시일면
13 : 단자 수용부
14 : 시일 본체 부재
15 : 외통부
F : 암커넥터
M : 수커넥터
S : 감합 공간

Claims (3)

  1. 수단자 피팅이 수용된 수하우징을 갖는 수커넥터와,
    상기 수하우징에 형성되고, 전방으로 개구된 후드부와,
    상기 후드부의 개구 단부면에 형성된 맞댐면과,
    상기 후드부의 내주면 중 상기 맞댐면보다 안쪽 영역에 형성되고, 전방을 향해 확대 개방된 테이퍼면과,
    상기 후드부의 내주면 중 상기 테이퍼면보다 안쪽 영역에 형성된 시일면과,
    암하우징을 갖는 암커넥터와,
    상기 암하우징을 구성하고, 암단자 피팅을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와,
    상기 암하우징을 구성하고, 상기 단자 수용부를 포위하는 외통부와,
    상기 단자 수용부와 상기 외통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암하우징의 선단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후드부를 감합시키는 감합 공간과,
    환형을 이루고 있고 상기 단자 수용부의 안쪽 부분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암커넥터를 구성하고, 상기 암수 하우징이 감합했을 때에 상기 암하우징의 안쪽 벽과 상기 후드부의 상기 맞댐면 사이에서 끼여 압축 상태로 탄성 변형되는 고무제의 패드 부재와,
    상기 패드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암수 하우징이 감합했을 때에 상기 후드부의 상기 맞댐면에 맞대어지는 복수의 맞댐 돌기와,
    상기 패드 부재와는 별개체로 형성되고, 상기 패드 부재보다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단자 수용부의 외주면에 끼워져 부착됨으로써 상기 암커넥터를 구성하고, 상기 암수 하우징이 감합했을 때에 상기 후드부의 상기 시일면과 시일 상태로 밀착되는 고무제의 시일 본체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부재는 표리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본체 부재는 표리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KR1020197009863A 2016-10-20 2017-09-29 방수 커넥터 KR1021613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05729A JP2018067466A (ja) 2016-10-20 2016-10-20 防水コネクタ
JPJP-P-2016-205729 2016-10-20
PCT/JP2017/035580 WO2018074194A1 (ja) 2016-10-20 2017-09-29 防水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678A KR20190044678A (ko) 2019-04-30
KR102161389B1 true KR102161389B1 (ko) 2020-09-29

Family

ID=62019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863A KR102161389B1 (ko) 2016-10-20 2017-09-29 방수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98072B2 (ko)
JP (1) JP2018067466A (ko)
KR (1) KR102161389B1 (ko)
CN (1) CN109845043B (ko)
WO (1) WO20180741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67466A (ja) * 2016-10-20 2018-04-26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CN112072419A (zh) * 2020-08-19 2020-12-11 浙江工业大学之江学院 一种电子机械端口自动限定装置
JP2022113256A (ja) * 2021-01-25 2022-08-0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21109801A1 (de) 2021-04-19 2022-10-20 Amphenol-Tuchel Electronic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ibrationsfeste Steckverbindung
CN115377731B (zh) * 2022-10-26 2023-03-24 东莞市鸿儒连接器有限公司 一种母插座及可进行模块组合的防水连接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17728A1 (en) 2001-07-17 2003-01-2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apparatus for hardware
JP2003530670A (ja) 2000-04-08 2003-10-14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電気的な差し込みコネクタ
JP2010218857A (ja) * 2009-03-17 2010-09-3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WO2015154747A1 (de) 2014-04-10 2015-10-15 HARTING Electronics GmbH Luftdichter steckverbinder und verfahren zu seiner verwendun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5594B2 (ja) * 2004-07-02 2009-10-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6216133A (ja) 2005-02-02 2006-08-17 Clarion Co Ltd 開閉パネルの防水構造
JP4491738B2 (ja) * 2005-07-12 2010-06-30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2007080737A (ja) 2005-09-15 2007-03-2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装置
DE202006008838U1 (de) * 2006-06-03 2007-10-04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Elektrische Steckverbindung mit einem Steckerteil und einem Buchsenteil
JP4702205B2 (ja) * 2006-07-04 2011-06-1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SG146465A1 (en) * 2007-03-15 2008-10-30 J S T Mfg Co Ltd Electric connector
JP5034685B2 (ja) * 2007-05-31 2012-09-2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08028325B4 (de) * 2007-06-19 2011-02-0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shi Fluiddichter Verbinder und Verbinderanordnung
JP5423233B2 (ja) * 2009-08-18 2014-02-1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15519B2 (ja) 2012-08-06 2017-10-18 矢崎総業株式会社 充電インレット装置
US9559459B2 (en) * 2013-10-18 2017-01-31 Woodhead Industries, Inc. Push-lock electrical connector
JP6149787B2 (ja) * 2014-04-14 2017-06-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4407600U (zh) * 2015-02-25 2015-06-1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密封圈、连接器及电器盒
JP2018067466A (ja) * 2016-10-20 2018-04-26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2018174037A (ja) * 2017-03-31 2018-11-0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シール部材および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0670A (ja) 2000-04-08 2003-10-14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電気的な差し込みコネクタ
US20030017728A1 (en) 2001-07-17 2003-01-2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apparatus for hardware
JP2003031323A (ja) * 2001-07-17 2003-01-31 Sumitomo Wiring Syst Ltd 機器用コネクタ装置
JP2010218857A (ja) * 2009-03-17 2010-09-3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WO2015154747A1 (de) 2014-04-10 2015-10-15 HARTING Electronics GmbH Luftdichter steckverbinder und verfahren zu seiner verwe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45043A (zh) 2019-06-04
WO2018074194A1 (ja) 2018-04-26
CN109845043B (zh) 2020-09-29
KR20190044678A (ko) 2019-04-30
US20190245297A1 (en) 2019-08-08
JP2018067466A (ja) 2018-04-26
US10498072B2 (en)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1389B1 (ko) 방수 커넥터
JP4924889B2 (ja) コネクタカバー
US6443764B2 (en) Watertight connector, a connector housing and a waterproof member therefor
WO2014104122A1 (ja) 防水コネクタ
JP4748054B2 (ja) コネクタ
KR20130023148A (ko) 고무 플러그 및 방수 커넥터
JP2008300199A (ja) コネクタ
JP2007080737A (ja) コネクタ装置
JP5818100B2 (ja) 防水コネクタ
JP5729350B2 (ja) 防水コネクタ
JP6580548B2 (ja) コネクタ
JP6115828B2 (ja) 防水コネクタ
JP2010080106A (ja) コネクタ
JP2010139017A (ja) パッキンの誤組付け防止構造
WO2014119480A1 (ja) コネクタ
JP2009004110A (ja) 防水コネクタ
JP2004072876A (ja) 防水ボックス
WO2017145698A1 (ja) コネクタ
KR200449502Y1 (ko) 방수시일
US20170033494A1 (en) Connector
WO2008096277A2 (en) Sealable electrical connector
JP6641930B2 (ja) 防水コネクタ
JP2014059960A (ja) コネクタ
CN111682349B (zh) 连接器
JP6298673B2 (ja) コネクタの防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