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563B1 - 수전 작업기 - Google Patents

수전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563B1
KR102158563B1 KR1020130097647A KR20130097647A KR102158563B1 KR 102158563 B1 KR102158563 B1 KR 102158563B1 KR 1020130097647 A KR1020130097647 A KR 1020130097647A KR 20130097647 A KR20130097647 A KR 20130097647A KR 102158563 B1 KR102158563 B1 KR 102158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vehicle body
support frame
self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7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4417A (ko
Inventor
기와무 후쿠나가
요시히사 후지타
마츠오 미모토
데츠야 마츠무라
다로오 나카무라
마코토 야스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40094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11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regulating working depth of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1/00Methods of fertilising, sowing or planting
    • A01C21/002Apparatus for sowing fertiliser; Fertiliser dril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6Seeders combined with fertilis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rtilizing (AREA)
  • Sowing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2종류의 농업용 자재를 포장에 공급하는 공급 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탱크의 어느 쪽에도 농업용 자재를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는 수전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자주 차체로부터 상하 요동 조작 가능하게 연장된 링크 기구(5)에 지지되고, 농업용 자재를 포장에 공급하는 제1 공급 작업부(10) 및 제2 공급 작업부(20)를 구비한다. 제1 공급 작업부(10)의 제1 탱크(11)가 제2 공급 작업부(20)의 제2 탱크(21)보다도 차체 전방측에 제2 탱크(21)와 차체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어 위치하고 있다. 제1 탱크(11)가 제2 탱크(22)보다도 높은 배치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1 탱크(11)의 덮개(11C)는, 자주 차체 후방측 부위에 위치하는 개폐 축심 주위로 상하 요동 개폐하고, 제2 탱크(21)의 덮개(21C)는, 자주 차체 전방측 부위에 위치하는 개폐 축심 주위로 상하 요동 개폐한다.

Description

수전 작업기{PADDY FIELD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수전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승용형 주행 기체와, 승용형 주행 기체의 후방부에 유압 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승강 링크를 통해 장착된 파종 시비 장치를 구비한 파종기가 있었다. 파종 시비 장치에는, 좌우 방향으로 복수조의 파종 시비 기구가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다. 파종 시비 기구에는, 전방측의 종자 탱크와 후방측의 비료 탱크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다. 종자 탱크 및 비료 탱크에는, 각각 종자 조출부 및 비료 조출부가 2조씩 설치되고, 종자 조출부 및 비료 조출부에는, 각각 종자 도관 및 비료 도관이 접속되어 있다. 파종용의 홈을 작홈(作溝)하는 파종 홈 작홈기 및 시비용의 홈을 작홈하는 시비 홈 작홈기가 설치되고, 파종 홈에 종자 도관으로부터의 종자가 배출되고, 시비 홈에 비료 도관으로부터의 비료가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9-248019호 공보
운전 좌석이 장비된 자주(自走) 차체와, 상기 자주 차체로부터 자주 차체 후방으로 상하 요동 조작 가능하게 연장된 링크 기구와, 상기 링크 기구의 상하 요동 조작에 의해 상기 자주 차체에 대하여 일체로 승강 조작되는 상태에서 상기 링크 기구에 지지되고, 농업용 자재를 포장에 공급하는 제1 공급 작업부 및 제2 공급 작업부를 구비하고, 제1 공급 작업부에, 농업용 자재를 저류하는 제1 탱크와, 상기 제1 탱크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탱크로부터 농업용 자재를 조출하는 제1 조출부와, 상기 제1 조출부로부터의 농업용 자재를 포장에 공급하는 제1 공급부를 구비하고, 제2 공급 작업부에, 농업용 자재를 저류하는 제2 탱크와, 상기 제2 탱크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탱크로부터 농업용 자재를 조출하는 제2 조출부와, 상기 제2 조출부로부터의 농업용 자재를 포장에 공급하는 제2 공급부를 구비하고, 자주 차체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탱크가 상기 제2 탱크보다도 차체 전방측에 상기 제2 탱크와 차체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어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탱크 및 상기 제2 탱크를 배치하여, 수전 작업기를 구성하면, 종자와 비료, 약제와 종자, 2품종의 비료 등, 2종류의 농업용 자재를 제1 탱크와 제2 탱크에 나누어 넣음으로써, 2종류의 농업용 자재를 포장에 공급하는 공급 작업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2종류의 농업용 자재를 포장에 공급하는 공급 작업이 가능한 수전 작업기를 구성하는 데,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채용한 경우, 탱크에 대한 농업용 자재의 투입에 관한 문제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즉, 이러한 종류의 수전 작업기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제1 탱크에 농업용 자재를 투입하기 위해서는, 링크 기구의 상승 조작에 의해 제1 공급 작업부를 자주 차체에 대하여 상승시키고, 이에 의해 자주 차체에 대하여 상승한 제1 탱크에 제1 탱크의 전방의 차체 상으로부터 농업용 자재를 투입하는 투입 방법이 채용된다. 제2 탱크에 농업용 자재를 투입하기 위해서는, 링크 기구의 하강 조작에 의해 제2 공급 작업부를 자주 차체에 대하여 하강시키고, 이에 의해 자주 차체에 대하여 하강한 제2 탱크에 제2 탱크의 후방의 지상으로부터 농업용 자재를 투입하는 투입 방법이 채용된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채용한 경우, 링크 기구의 상승 조작에 의해 제1 공급 작업부를 자주 차체에 대하여 상승시킴으로써, 제1 탱크의 대(對)자주 차체 높이가 적절해져, 제1 탱크에 대한 차체 상으로부터의 농업용 자재의 투입이 용이해지도록 구성하면, 링크 기구의 하강 조작에 의해 제2 공급 작업부를 자주 차체에 대하여 하강시킴으로써, 제2 탱크를 자주 차체에 대하여 하강시켜도, 제2 탱크의 대지 높이가 높아, 제2 탱크에 대한 농업용 자재의 투입이 행하기 어려워진다.
링크 기구의 하강 조작에 의해 제2 공급 작업부를 자주 차체에 대하여 하강시켜, 제2 탱크를 자주 차체에 대하여 하강시킴으로써, 제2 탱크의 대지 높이가 적절해져, 제2 탱크에 대한 농업용 자재의 투입이 용이해지도록 구성하면, 링크 기구의 상승 조작에 의해 제1 공급 작업부를 자주 차체에 대하여 상승시킴으로써, 제1 탱크를 자주 차체에 대하여 상승시켜도, 제1 탱크의 대자주 차체 높이가 낮아, 제1 탱크에 대한 농업용 자재의 투입이 행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2종류의 농업용 자재를 포장에 공급하는 공급 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탱크의 어느 쪽에도 농업용 자재를 투입하기 쉬운 수전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제1 발명에 의한 수전 작업기는,
운전 좌석이 장비된 자주 차체와,
상기 자주 차체로부터 자주 차체 후방으로 상하 요동 조작 가능하게 연장된 링크 기구와,
상기 링크 기구의 상하 요동 조작에 의해 상기 자주 차체에 대하여 일체로 승강 조작되는 상태에서 상기 링크 기구에 지지되고, 농업용 자재를 포장에 공급하는 제1 공급 작업부 및 제2 공급 작업부를 구비하고,
제1 공급 작업부에, 농업용 자재를 저류하는 제1 탱크와, 상기 제1 탱크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탱크로부터 농업용 자재를 조출하는 제1 조출부와, 상기 제1 조출부로부터의 농업용 자재를 포장에 공급하는 제1 공급부를 구비하고,
제2 공급 작업부에, 농업용 자재를 저류하는 제2 탱크와, 상기 제2 탱크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탱크로부터 농업용 자재를 조출하는 제2 조출부와, 상기 제2 조출부로부터의 농업용 자재를 포장에 공급하는 제2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탱크 및 상기 제2 탱크에, 자주 차체 상방으로 개방된 투입구 및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덮개를 구비하고,
자주 차체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탱크가 상기 제2 탱크보다도 차체 전방측에 상기 제2 탱크와 차체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어 위치하고, 또한 자주 차체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탱크가 상기 제2 탱크보다도 높은 배치 높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탱크 및 상기 제2 탱크를 배치하고,
상기 제1 탱크의 덮개를, 이 덮개의 자주 차체 후방측 부위에 위치하는 자주 차체 횡방향의 개폐 축심 주위로 상하 요동 개폐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2 탱크의 덮개를, 이 덮개의 자주 차체 전방측 부위에 위치하는 자주 차체 횡방향의 개폐 축심 주위로 상하 요동 개폐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제1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제1 및 제2 탱크에 농업용 자재를 투입하면, 제1 탱크에 투입한 농업용 자재는, 제1 조출부에 의해 제1 탱크로부터 조출되고, 제1 공급부에 의해 제1 조출부로부터 이어받아 포장에 공급된다. 제2 탱크에 투입한 농업용 자재는, 제2 조출부에 의해 제2 탱크로부터 조출되고, 제2 공급부에 의해 제2 조출부로부터 이어받아 포장에 공급된다.
제1 탱크가 제2 탱크보다도 차체 전방측에 위치하고, 제1 탱크가 제2 탱크보다도 높은 배치 높이에 위치한다고 하는 위치 관계에 제1 탱크와 제2 탱크의 위치 관계가 있음으로써, 링크 기구의 상승 조작에 의해 제1 공급 작업부를 상승시킴으로써 제1 탱크를 자주 차체에 대하여 상승시켰을 때, 제1 탱크의 대자주 차체 높이가 제1 탱크에 차체 상으로부터 농업용 자재를 투입하는 데 적합한 대자주 차체 높이로 되고, 링크 기구의 하강 조작에 의해 제2 공급 작업부를 하강시킴으로써 제2 탱크를 자주 차체에 대하여 하강시켰을 때, 제2 탱크의 대지 높이가 제2 탱크에 지상으로부터 농업용 자재를 투입하는 데 적합한 대지 높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탱크의 덮개를, 이 덮개의 자주 차체 후방측 부위에 위치하는 자주 차체 횡방향의 개폐 축심 주위로 상하 요동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제1 탱크에 제1 탱크 전방의 차체 상으로부터 농업용 자재를 투입할 때, 제1 탱크의 덮개를 자주 차체 후방측에 상승 요동시켜 제1 탱크의 투입구를 개방하게 되고, 덮개가 제1 탱크에 농업용 자재를 투입하는 것의 장해물이 되기 어렵다.
제2 탱크의 덮개를, 이 덮개의 자주 차체 전방측 부위에 위치하는 자주 차체 횡방향의 개폐 축심 주위로 상하 요동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제2 탱크에 제2 탱크 후방의 지상으로부터 농업용 자재를 투입할 때, 제2 탱크의 덮개를 자주 차체 전방측에 상승 요동시켜 제2 탱크의 투입구를 개방하게 되고, 덮개가 제2 탱크에 농업용 자재를 투입하는 것의 장해물이 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제1 발명에 따르면, 종자와 비료, 약제와 종자, 2품종의 비료 등 2종류의 농업용 자재를 제1 탱크와 제2 탱크에 나누어 넣음으로써, 2종류의 농업용 자재를 포장에 공급하는 공급 작업을 행할 수 있는 것이면서, 제1 탱크 및 제2 탱크의 어느 쪽에 농업용 자재를 투입하는 경우라도, 제1 탱크 및 제2 탱크를 적절한 대자주 차체 높이나 대지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고, 또한 덮개가 장해물이 되기 어려워 투입하기 쉽다.
본 제2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조출부와, 상기 제2 탱크에 있어서의 폐쇄 상태의 상기 덮개의 상단부가 동일한 배치 높이에 위치한다.
본 제2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제1 탱크의 전체가 제2 탱크에 대하여 자주 차체 상방측에 위치 어긋난 위치 관계에 제1 탱크와 제2 탱크의 위치 관계가 이루어지고, 제1 탱크 및 제2 탱크의 용량을 크게 함으로써, 제1 탱크 및 제2 탱크의 자주 차체 전후 방향에서의 크기가 커져도, 제1 탱크의 후단부의 바로 아래나 그 부근에 제2 탱크의 전단부가 위치하는 등, 제1 탱크와 제2 탱크를 자주 차체 전후 방향으로 최대한 모아지는 상태에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제2 발명에 따르면, 제1 탱크 및 제2 탱크를 대용량 탱크로 하고, 제1 탱크 및 제2 탱크에 농업용 자재를 보급하기 위한 작업 중단 횟수를 적게 하여 능률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수전 작업기를, 제1 탱크 및 제2 탱크를 자주 차체 전후 방향 길이가 최대한 짧은 스페이스에 설치한 콤팩트한 상태에서 얻을 수 있다.
본 제3 발명에서는, 상기 제1 탱크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탱크를 지지하는 자주 차체 횡방향의 제1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이 상기 제2 탱크의 폐쇄 상태의 덮개의 상단부보다도 높은 배치 높이에 위치한다.
본 제3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제1 탱크의 전체 또는 대략 전체가 제2 탱크에 대하여 자주 차체 상방측에 위치 어긋난 위치 관계에 제1 탱크와 제2 탱크의 위치 관계가 이루어지고, 제1 탱크 및 제2 탱크의 용량을 크게 함으로써, 제1 탱크 및 제2 탱크의 자주 차체 전후 방향에서의 크기가 커져도, 제1 탱크와 제2 탱크를 자주 차체 전후 방향으로 최대한 모아지는 상태에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제3 발명에 따르면, 제1 탱크 및 제2 탱크를 대용량 탱크로 하고, 제1 탱크 및 제2 탱크에 농업용 자재를 보급하기 위한 작업 중단 횟수를 적게 하여 능률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수전 작업기를, 제1 탱크 및 제2 탱크를 자주 차체 전후 방향 길이가 최대한 짧은 스페이스에 설치한 콤팩트한 상태에서 얻을 수 있다.
본 제4 발명에서는, 상기 제1 탱크의 하단부가 상기 제2 탱크에 있어서의 폐쇄 상태의 상기 덮개의 상단부보다도 높은 배치 높이에 위치한다.
본 제4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제1 탱크의 전체가 제2 탱크에 대하여 자주 차체 상방측에 위치 어긋난 위치 관계에 제1 탱크와 제2 탱크의 위치 관계가 이루어지고, 제1 탱크 및 제2 탱크의 용량을 크게 함으로써, 제1 탱크 및 제2 탱크의 자주 차체 전후 방향에서의 크기가 커져도, 제1 탱크와 제2 탱크를 자주 차체 전후 방향으로 최대한 모아지는 상태에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제4 발명에 따르면, 제1 탱크 및 제2 탱크를 대용량 탱크로 하고, 제1 탱크 및 제2 탱크에 농업용 자재를 보급하기 위한 작업 중단 횟수를 적게 하여 능률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수전 작업기를, 제1 탱크 및 제2 탱크를 자주 차체 전후 방향 길이가 최대한 짧은 스페이스에 설치한 콤팩트한 상태에서 얻을 수 있다.
본 제5 발명에서는, 상기 링크 기구에 자주 차체 전후 방향의 롤링 축심 주위로 롤링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 공급 작업부 및 상기 제2 공급 작업부를 지지하는 자주 차체 횡방향의 메인 프레임과, 상기 제1 탱크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탱크를 지지하는 자주 차체 횡방향의 제1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2 탱크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탱크를 지지하는 자주 차체 횡방향의 제2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에 상기 제1 지지 프레임보다도 낮은 배치 높이에서 위치하고 있다.
본 제5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자주 차체가 경반의 경사나 요철에 의해 좌우로 경사져도, 링크 기구에 대한 메인 프레임의 롤링에 의해, 제1 공급 작업부 및 제2 공급 작업부가 포장면에 대하여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지지 프레임이 메인 프레임의 상방에 위치하고, 제2 지지 프레임이 메인 프레임의 후방에 제1 지지 프레임보다도 낮은 배치 높이에서 위치한 간소한 구조의 프레임 구조체에 의해 제1 공급 작업부 및 제2 공급 작업부를 지지시키면서, 제1 탱크가 제2 탱크보다도 차체 전방측에 위치하고, 제1 탱크가 제2 탱크보다도 높은 배치 높이에 위치한다고 하는 위치 관계로 제1 탱크 및 제2 탱크를 지지시킬 수 있고, 또한, 제1 공급 작업부 및 제2 공급 작업부를 롤링 가능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제5 발명에 따르면, 2종류의 농업용 자재를 포장에 공급하는 공급 작업을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탱크 및 제2 탱크의 어느 쪽에도 농업용 자재를 투입하기 쉽고, 또한 자주 차체의 좌우 경사에 관계없이, 제1 공급 작업부 및 제2 공급 작업부를 포장면에 대하여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수전 작업기를, 간소한 구조의 프레임 구조에 의해 경량인 상태에서 얻을 수 있다.
본 제6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자주 차체 횡방향에서의 복수 개소에 상단부측이 각각 따로 연결되고, 하단부측이 상기 메인 프레임측에 연결된 복수의 자주 차체 상하 방향의 제1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본 제6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제1 지지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을 복수의 제1 연결 부재에 의한 연결에 의해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고, 제1 공급 작업부의 자주 차체 횡방향에서의 작업 범위를 넓게 함으로써, 메인 프레임 및 제1 지지 프레임의 자주 차체 횡방향 길이가 길어져도, 메인 프레임 및 제1 지지 프레임을 변형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제6 발명에 따르면, 제1 공급 작업부의 자주 차체 횡방향에서의 작업 범위를 넓게 하여 능률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수전 작업기를, 메인 프레임 및 제1 지지 프레임의 변형에 의한 좌우의 작업 깊이의 차이가 발생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얻을 수 있다.
본 제7 발명에서는, 자주 차체 횡방향에서의 복수 개소에서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측에 후단부측이 각각 따로 연결되고, 전단부측이 상기 메인 프레임에 연결된 복수의 자주 차체 전후 방향의 제2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본 제7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제2 지지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을 복수의 제2 연결 부재에 의한 연결에 의해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고, 제2 공급 작업부의 자주 차체 횡방향에서의 작업 범위를 넓게 함으로써, 메인 프레임 및 제2 지지 프레임의 자주 차체 횡방향 길이가 길어져도, 메인 프레임 및 제2 지지 프레임을 변형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제7 발명에 따르면, 제2 공급 작업부의 자주 차체 횡방향에서의 작업 범위를 넓게 하여 능률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수전 작업기를, 메인 프레임 및 제2 지지 프레임의 변형에 의한 좌우의 작업 깊이의 차이가 발생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얻을 수 있다.
본 제8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 프레임측에 전단부측이 연결되고, 후단부측이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측에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제2 지지 프레임보다도 자주 차체 후방측에 위치하는 차체 전후 방향의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단부에, 탈착 가능한 농업용 자재 살포 장치를 위한 연결부가 설치되어 있다.
본 제8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지지 프레임의 연결부에 농업용 자재 살포 장치를 연결하면, 농업용 자재 살포 장치의 하중이 가해지는 지지 프레임이 메인 프레임과 제2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간소한 구조의 지지 프레임을 채용해도, 농업용 자재 살포 장치를 견고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지지 프레임의 연결부에 농업용 자재 살포 장치를 연결함으로써, 제1 공급 작업부와 제2 공급 작업부에 의해 2종류의 농업용 자재를 포장에 공급하는 공급 작업을 행하는 것과 더불어, 농업용 살포 장치에 의해 약제 등의 농업용 자재를 살포하는 살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제8 발명에 따르면, 제1 공급 작업부와 제2 공급 작업부에 의해 종자와 비료를 포장에 공급하면서, 농업용 자재 살포 장치에 의해 약제를 포장에 공급하는 등, 3종류의 농업용 자재를 포장에 공급하는 데 일거에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소한 구조의 지지 프레임을 채용하여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본 제9 발명에서는, 상기 자주 차체에, 상기 운전 좌석의 후방 개소에 배치한 작업용 스텝 및 상기 작업용 스텝의 상방에 자주 차체 횡방향으로 배치한 난간을 구비하고, 상기 난간이 최상승 위치로 상승한 상태의 상기 제1 탱크의 투입구보다도 높은 배치 높이에 위치한다.
본 제9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제1 탱크에 농업용 자재를 투입하는 데, 작업용 스텝 및 난간을 사용하여 신체를 안정시키면서, 또한 농업용 자재가 들어 있는 주머니 등의 용기를 난간에 적재하여 지지시키면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제9 발명에 따르면, 제1 탱크에 농업용 자재를 투입하는 데, 링크 기구의 상승 조작에 의해 제1 탱크를 적절한 대자주 차체 높이에 들어올릴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신체를 안정시키면서, 또한 용기를 난간에 지지시키면서 할 수 있어, 쉽고 또한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수전 작업기의 전체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수전 작업기의 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작업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작업 장치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작업 장치를 도시하는 후방면도.
도 6은 제1 공급 작업부를 도시하는 후방면도.
도 7은 제1 및 제2 탱크의 개방 상태에서의 작업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8은 난간의 이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수전 작업기의 전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수전 작업기의 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수전 작업기는, 좌우 한 쌍의 조향 조작 가능한 전방 차륜(1, 1) 및 좌우 한 쌍의 후방 차륜(2, 2)이 차체 전방부에 설치한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자주하도록 구성한 자주차와, 자주차의 차체 프레임(4)의 후방부로부터 자주 차체 후방으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장되고,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승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요동 승강 조작되는 링크 기구(5)와, 링크 기구(5)의 후방부 부재(5a)에 지지되고, 링크 기구(5)에 의해 하강 작업 상태와 상승 비작업 상태로 승강 조작되는 파종, 시비 및 약제 살포를 위한 작업 장치(6)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전 작업기는, 작업 장치(6)를 하강 작업 상태로 하여 자주차를 주행시킴으로써, 포장면의 자주 차체 횡방향에서의 6개소에 농업용 자재로서의 수도용의 철 코팅 종자(이하, 종자라고 약칭함.)를 공급하는 6조 파종의 파종 작업과, 6조의 파종 개소 각각의 횡측 부근에 농업용 자재로서의 비료를 공급하는 6조 시비의 시비 작업과, 파종 및 시비 후의 포장면에 농업용 자재로서의 제초용 약제를 살포하는 약제 살포 작업을 작업 장치(6)에 의해 행하는 것이며,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자주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주차는, 차체 후방부에 설치한 운전 좌석(7a)과, 운전 좌석(7a)의 전방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한 스티어링 핸들(7b)이 장비된 운전부(7)를 구비하고, 운전부(7)에 탑승하여 운전하도록 승용형으로 되어 있다.
운전 좌석(7a)의 양 횡측방에, 운전부(7)에 대한 승강 시의 지지에 사용 가능하게 구성된 고정 핸들(8a)이 설치되어 있다. 자주 차체 중 운전 좌석(7a)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작업 장치(6)에 설치한 제1 탱크(11)에 대한 비료 투입을 행할 때에 사용하도록 구성한 작업용 스텝(9)이 구비되어 있다. 작업용 스텝(9)의 양 횡측 단부는, 후방 차륜(2)의 상방을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작업용 스텝(9)은, 후륜 펜더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작업용 스텝(9)의 상방에, 작업용 스텝(9)의 전체 폭 또는 대략 전체 폭에 걸쳐 자주 차체 횡방향으로 위치하는 바형의 난간(8b)이 설치되어 있다. 난간(8b)은, 좌우의 고정 핸들(8a)에 가설되어 있다. 난간(8b)은, 링크 기구(5)의 상승 조작에 의해 최상승 위치로 상승한 상태의 제1 탱크(11)의 투입구(11E)(도 7 참조)보다도 높은 배치 높이에 위치하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탱크(11)에 투입하는 비료가 들어간 주머니 등의 용기(A)를 적재하여 지지시키는 지지 부재로 이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작업 장치(6)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2,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 장치(6)에는, 링크 기구(5)를 구성하는 후방부 부재(5a)에 자주 차체 전후 방향의 롤링 축심(P) 주위로 롤링 가능하게 지지된 작업 장치 프레임(6F)과, 작업 장치 프레임(6F)의 하부에 자주 차체 횡방향으로 배열하여 설치한 3개의 접지 플로트(6a)와, 자주 차체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탱크(11), 제2 탱크(21), 제3 탱크(31) 중 가장 전방측의 제1 탱크(11)를 가진 제1 공급 작업부(10)와, 제1 탱크(11), 제2 탱크(21), 제3 탱크(31) 중 중앙의 제2 탱크(21)를 가진 제2 공급 작업부(20)와, 제1 탱크(11), 제2 탱크(21), 제3 탱크(31) 중 가장 후방측의 제3 탱크(31)를 가진 농업용 자재 살포 장치(30)가 구비되어 있다.
작업 장치(6)는, 링크 기구(5)에 의해 자주 차체에 대하여 하강 조작되고, 접지 플로트(6a)가 포장면(진흙면)에 접지함으로써 하강 작업 상태로 되고, 제1 공급 작업부(10)에 의해 시비 작업을 행하고, 제2 공급 작업부(20)에 의해 파종 작업을 행하고, 농업용 자재 살포 장치(30)에 의해 약제 살포 작업을 행한다. 이때, 자주 차체가 경반의 경사나 요철에 의해 좌우로 경사져도, 접지 플로트(6a)의 포장면에의 접지에 의해 작업 장치 프레임(6F)이 링크 기구(5)에 대하여 롤링하고, 작업 장치(6)는, 포장면을 따라 좌우로 수평 또는 대략 수평으로 된다. 작업 장치(6)는, 링크 기구(5)에 의해 자주 차체에 대하여 상승 조작되고, 접지 플로트(6a)가 포장면으로부터 높게 상승함으로써 상승 비작업 상태로 된다.
제1 공급 작업부(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5,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공급 작업부(10)는, 작업 장치 프레임(6F)의 전방부에 지지된 제1 탱크(11)와, 제1 탱크(11)의 하부에 자주 차체 횡방향으로 배열하여 연결된 6개의 제1 조출부 본체(12)를 가진 제1 조출부(13)와, 각 접지 플로트(6a)의 후방부의 양 횡측부에 하나씩 장착되고, 자주 차체 횡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는 합계 6개의 작홈 시비기(14)를 가진 제1 공급부(15)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제1 조출부 본체(12)는, 제1 탱크(11)의 하부에 설치된 로트부의 하부에 상단부가 연결된 조출 케이스(12a)와, 조출 케이스(12a)의 내부에 구동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조출 회전체(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조출 회전체는, 주위면에 회전 방향으로 배열하여 형성되어 있는 조출 오목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1 탱크(11)로부터 비료를 설정량씩 조출한다. 조출 케이스(12a)는, 하부로부터 연장된 송출 통(12b)을 구비하고, 조출 회전체에 의해 조출된 비료를 송출 통(12b)으로부터 송출한다. 6개의 제1 조출부 본체(12) 중 인접하는 2개씩의 제1 조출부 본체(12)에 있어서의 조출 회전체가 하나의 회전 지지축(16)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각 회전 지지축(16)과, 입력 케이스(17)로부터 회전축(17a), 크랭크체(17b), 압인 연동 기구(17c)를 통해 전동되어 회전 구동되는 1개의 제1 조출 구동축(18)이 기어 연동 기구(16a)를 통해 연동되어 있고, 입력 케이스(17)에 회전축(19)(도 1 참조)을 통해 입력되는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6개의 조출 회전체가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제1 공급부(15)는, 6개의 작홈 시비기(14)와, 6개의 작홈 시비기(14)를 제1 조출부(13)의 6개의 송출 통(12b)에 각각 따로 접속하여, 송출 통(12b)으로부터의 비료를 작홈 시비기(14)에 낙하시켜 공급하는 시비관(14a)을 구비하고 있다. 각 시비관(14a)의 자주 차체 측면에서 볼 때의 형상을, 작홈 시비기(14)에 연통되는 하단부 측부가 송출 통(12b)에 연통되는 상단부 측부에 대하여 자주 차체 후방측에 치우치고, 하단부 측부와 상단부 측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에 대하여 하단부 측부 및 상단부 측부가 경사지도록 굴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시비관(14a)의 중간부는, 회전축(17a, 17d)(도 6 참조)의 전방 부근을 연직선을 따라 차체 상하 방향으로 통과하고 있다.
따라서, 제1 공급 작업부(10)는, 제1 탱크(11)에 저류된 비료를, 제1 조출부(13)에 의해 제1 탱크(11)로부터 조출하고, 제1 공급부(15)에 의해 포장의 진흙부 중 제2 공급 작업부(20)에 의한 6조의 파종 개소 각각의 횡측 부근에 공급한다.
즉, 제1 조출부(13)에 있어서의 각 제1 조출부 본체(12)가 조출 회전체에 의해 제1 탱크(11)로부터 비료를 조출한다. 각 제1 조출부 본체(12)의 송출 통(12b)으로부터의 비료를 제1 공급부(15)에 있어서의 시비관(14a)이 이어받아 작홈 시비기(14)에 낙하시킨다. 각 작홈 시비기(14)는, 포장의 진흙부에 홈을 형성하고, 형성한 홈에 시비관(12c)으로부터의 비료를 공급한다. 비료를 공급한 후의 홈은, 접지 플로트(6a)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재매립체(14b)(도 3 참조)에 의해 진흙이 긁어 모아져 매립된다.
제2 공급 작업부(2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공급 작업부(20)는, 작업 장치 프레임(6F)의 후방부에 지지된 제2 탱크(21)와, 제2 탱크(21)의 하부에 자주 차체 횡방향으로 배열하여 연결된 6개의 제2 조출부 본체(22)를 가진 제2 조출부(23)와, 각 제2 조출부 본체(22)에 있어서의 조출 케이스(22a)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1개씩 연장되고, 자주 차체 횡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는 합계 6개의 파종 통(24)을 가진 제2 공급부(25)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제2 조출부 본체(22)는, 제2 탱크(21)의 하부에 설치된 로트부의 하부에 상단부가 연결된 조출 케이스(22a)와, 조출 케이스(22a)의 내부에 구동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조출 회전체(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조출 회전체는, 주위면에 회전 방향으로 배열하여 형성되어 있는 조출 오목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2 탱크(21)로부터 종자를 설정량씩 조출한다. 조출 케이스(22a)는, 조출 회전체에 의해 조출된 종자를 파종 통(24)에 낙하시킨다. 각 제2 조출부 본체(22)에 있어서의 조출 회전체의 회전 지지축(26)(도 7 참조)과, 입력 케이스(17)로부터 회전축(17d)(도 6 참조), 전동 체인 케이스(27)를 통해 전동되어 회전 구동되는 하나의 제2 조출 구동축(28)이 기어 연동 기구(29)를 통해 연동되어 있고, 입력 케이스(17)에 회전축(19)을 통해 입력되는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6개의 조출 회전체가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2 공급 작업부(20)는, 제2 탱크(21)에 저류된 종자를, 제2 조출부(23)에 의해 제2 탱크(21)로부터 조출하고, 제2 공급부(25)에 의해 포장면의 자주 차체 횡방향에서의 6개소에 낙하시켜 공급한다.
즉, 제2 조출부(23)에 있어서의 각 제2 조출부 본체(22)가 조출 회전체에 의해 제2 탱크(21)로부터 종자를 조출한다. 각 제2 조출부 본체(22)의 조출 케이스(22a)로부터의 종자를 제2 공급부(25)에 있어서의 파종 통(24)이 포장면(진흙면)에 낙하시킨다.
농업용 자재 살포 장치(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농업용 자재 살포 장치(30)는, 작업 장치 프레임(6F)의 후단부에 연결된 살포 케이스(32)를 가진 전동형의 살포 장치 본체(33)와, 살포 장치 본체(33)의 상부에 연결되고, 약제를 저류하도록 구성된 제3 탱크(31)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제3 탱크(31)에 저류된 약제를, 살포 장치 본체(33)에 의해 제3 탱크(31)로부터 조출하여, 살포 케이스(32)로부터 하방으로 비산시킴으로써, 제1 공급 작업부(10) 및 제2 공급 작업부(20)에 의한 파종 및 시비 작업이 행해진 후의 포장면에 살포한다.
작업 장치 프레임(6F)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작업 장치 프레임(6F)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 장치 프레임(6F)은, 작업 장치 프레임(6F)의 전단부에 자주 차체 횡방향에 위치하는 자주 차체 횡방향으로 긴 메인 프레임(40)과, 메인 프레임(40)의 상방에 자주 차체 횡방향에 위치하는 제1 지지 프레임(41)과, 메인 프레임(40)의 후방에 제1 지지 프레임(41)보다 낮은 배치 높이에서 자주 차체 횡방향에 위치하는 제2 지지 프레임(42)과, 작업 장치 프레임(6F)의 자주 차체 횡방향에서의 중앙부에 자주 차체 전후 방향에 위치하는 지지 프레임(43)을 구비하고 있다.
메인 프레임(40)은, 종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강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3,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40)의 자주 차체 횡방향에서의 중앙부에 판금 부재를 고정하여 구성한 케이스 지지부(40a)가 설치되고, 이 케이스 지지부(40a)에 고정된 연결 부재(40b)가 링크 기구(5)에 있어서의 후방부 부재(5a)에 설치한 지지부(5b)에 롤링 축심(P)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메인 프레임(40)은, 링크 기구(5)에 롤링 축심(P) 주위로 롤링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케이스 지지부(40a)에는, 입력 케이스(17)가 고정되어 있다.
제1 지지 프레임(41)은, 이것의 자주 차체 횡방향에서의 3개소에 상단부측이 각각 따로 연결되고, 하단부측이 메인 프레임(40)측에 연결된 3개의 자주 차체 상하 방향의 제1 연결 부재(44A, 44B)에 의해 메인 프레임(40)에 연결되어 있다. 도 3,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 프레임(41)의 전방면측이 제1 조출부 본체(12)에 있어서의 각 조출 케이스(12a)의 상단부에 자주 차체 후방측으로부터 접촉하여 연결되어 있고, 제1 지지 프레임(41)은, 제1 조출부(13)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제1 탱크(11)의 하부(11A)가 각 조출 케이스(12a)의 상단부 중 제1 지지 프레임(41)이 연결되어 있는 개소보다도 상측의 부위에 외부 끼움한 상태에서 연결되어 있고, 제1 지지 프레임(41)은, 조출 케이스(12a)를 통해 제1 탱크(11)의 하부(11A)에 연결되어, 제1 탱크(11)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제2 지지 프레임(42)은, 메인 프레임(40)의 자주 차체 횡방향에서의 5개소에 전단부측이 각각 따로 연결되고, 자주 차체 횡방향에서의 5개소에서 후단부측이 제2 지지 프레임(42)측에 연결된 5개의 자주 차체 전후 방향의 제2 연결 부재(45A, 45B)에 의해 메인 프레임(40)에 연결되고, 5개의 제2 연결 부재(45A, 45B)를 통해 메인 프레임(40)에 지지되어 있다. 도 5,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지지 프레임(42)의 후방면측이 제2 조출부 본체(22)의 각 조출 케이스(22a)의 상단부에 자주 차체 전방측으로부터 접촉하여 연결되어 있고, 제2 지지 프레임(42)은, 제2 조출부(23)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제2 탱크(21)의 하부(21A)가 각 조출 케이스(22a)의 상단부 중 제2 지지 프레임(42)이 연결되어 있는 개소보다도 상측의 부위에 외부 끼움한 상태에서 연결되어 있고, 제2 지지 프레임(42)은, 조출 케이스(22a)를 통해 제2 탱크(21)의 하부(21A)에 연결되어 제2 탱크(21)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43)의 전단부측이 메인 프레임측에 연결되고, 지지 프레임(43)의 후단부측이 제2 지지 프레임(42)측에 연결되어 있고, 지지 프레임(43)은, 메인 프레임(40) 및 제2 지지 프레임(42)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43)은, 메인 프레임(40) 및 제2 지지 프레임(42)에 연결되어 있는 자주 차체 전후 방향의 기단부 측부(43A)와, 기단부 측부(43A)의 후단부로부터 자주 차체 상방으로 상승하고, 또한 제2 지지 프레임(42)보다도 자주 차체 후방측에 위치한 선단 측부(43B)를 구비하고 있다. 선단 측부(43B)의 상단부에 판금 부재에 의해 구성한 연결부(43c)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43)은, 농업용 자재 살포 장치(30)를 연결부(43c)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5개의 제2 연결 부재(45A, 45B) 중, 양 횡외측의 제2 연결 부재(45A)를 제외하는 3개의 제2 연결 부재(45B)의 후단부에 판금 부재에 의해 구성한 플로트 지지부(45c)가 설치되고, 플로트 지지부(45c)에 접지 플로트(6a)의 후단부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각 제2 연결 부재(45B)는, 접지 플로트(6a)의 후단부측을 상하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 프레임(40)은, 링크 기구(5)에 롤링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제1 공급 작업부(10), 제2 공급 작업부(20) 및 농업용 자재 살포 장치(30)를 지지하고, 제1 공급 작업부(10) 및 제2 공급 작업부(20)의 자주 차체에 대한 롤링을 가능하게 한다.
3개의 제1 연결 부재(44A, 44B) 중 양 횡외측의 제1 연결 부재(44A)의 하단부측은, 메인 프레임(40)에 전단부측이 연결된 자주 차체 전후 방향의 제2 연결 부재(45A)에 판금 부재를 장착하여 설치한 지지부(45a)나 지지부(45b)에 연결되고, 지지부(45a, 45b), 제2 연결 부재(45A)를 통해 메인 프레임(40)에 연결되어 있다. 3개의 제1 연결 부재(44A, 44B) 중 중앙의 제1 연결 부재(44B)의 하단부측은, 메인 프레임(40)에 설치한 케이스 지지부(40a)에 연결되고, 케이스 지지부(40a)를 통해 메인 프레임(40)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44A, 44B)로서는, 하단부측이 지지부(45a), 지지부(45b), 제2 연결 부재(45A), 케이스 지지부(40a)를 통해 메인 프레임(40)에 연결되는 것 대신에, 하단부측이 지지부(45a), 지지부(45b), 제2 연결 부재(45A), 케이스 지지부(40a)를 개재하지 않고 메인 프레임(4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채용하여 실시해도 된다.
5개의 제2 연결 부재(45A, 45B)의 후단부측은, 제2 연결 부재(45A, 45B)의 후단부측에 판금 부재나 강관 부재를 장착하여 설치한 지지부(45b)에 연결되고, 지지부(45b)를 통해 제2 지지 프레임(42)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연결 부재(45A, 45B)로서는, 후단부측이 지지부(45b)를 통해 제2 지지 프레임(42)에 연결되는 것 대신에, 후단부측이 지지부(45b)를 개재하지 않고 제2 지지 프레임(42)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채용해도 된다.
지지 프레임(43)의 전단부측은, 제1 연결 부재(44B)의 하단부측에 판금 부재를 장착하여 설치한 연결부(44c)에 연결되고, 이 연결부(44c) 및 케이스 지지부(40a)를 통해 메인 프레임(40)에 연결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43)의 후단부측은, 지지 프레임(43)에 판금 부재를 장착하여 설치한 연결부(43d)를 통해 제2 지지 프레임(42)에 연결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43)으로서는, 전단부측이 연결부(44c) 및 케이스 지지부(40a)를 통해 메인 프레임(40)에 연결되고, 후단부측이 연결부(43d)를 통해 제2 지지 프레임(42)에 연결되는 것 대신에, 전단부측이 메인 프레임(4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후단부측이 제2 지지 프레임(42)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채용해도 된다.
메인 프레임(40)의 전방측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브래킷(46, 46)은, 진흙 퇴피 부재(46a)(도 3 참조)를 후방 차륜(2)의 후방에 배치하여 지지시키는 것이다. 메인 프레임(40)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좌우 한 쌍의 지지 아암(47, 47)은, 횡외측의 접지 플로트(6a)와 중앙의 접지 플로트(6a) 사이의 포장면에 작용하는 정지(整地) 레이크(47a)(도 3 참조)를 지지시키는 것이다. 제1 지지 프레임(41)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좌우 한 쌍의 브래킷(48, 48)은, 링크 기구(5)에 일단부측이 지지된 롤링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타단부측을 지지시키는 것이다.
제1 탱크(11) 및 제2 탱크(2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2, 3,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탱크(11) 및 제2 탱크(21)는, 자주 차체 평면에서 볼 때 제1 탱크(11)가 제2 탱크(21)보다도 차체 전방측에 제2 탱크(21)와 차체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어 위치하는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제1 탱크(11) 및 제2 탱크(21)는, 자주 차체 측면에서 볼 때 제1 탱크(11)가 제2 탱크(21)보다도 높은 배치 높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탱크(11)의 하단부(11B)가 제2 탱크(21)의 폐쇄 상태의 덮개(21C)의 상단부(21t)보다도 높은 배치 높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1 탱크(11) 및 제2 탱크(21)를 배치함으로써, 제1 탱크(11)의 배치 높이가 제2 탱크(21)의 배치 높이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제1 탱크(11)의 하부(11A)에 연결되어 제1 탱크(11)를 지지하는 제1 지지 프레임(41)이 제2 탱크(21)의 폐쇄 상태의 덮개(21C)의 상단부(21t)보다도 높은 배치 높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1 탱크(11) 및 제2 탱크(21)를 배치함으로써, 제1 탱크(11)의 배치 높이가 제2 탱크(21)의 배치 높이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제1 탱크(11)의 하부(11A)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조출부(13)가 제2 탱크(21)의 폐쇄 상태의 덮개(21C)의 상단부(21t)와 동일한 배치 높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1 탱크(11) 및 제2 탱크(21)를 배치함으로써, 상세하게 서술하면 제1 탱크(11)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조출부(13)에 있어서의 조출 회전체의 회전 축심(X)이 제2 탱크(21)의 폐쇄 상태의 덮개(21C)의 상단부(21t)와 동일한 또는 대략 동일한 배치 높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1 탱크(11) 및 제2 탱크(21)를 배치함으로써, 제1 탱크(11)의 배치 높이가 제2 탱크(21)의 배치 높이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제1 탱크(11)는, 자주 차체 횡방향으로 일렬로 배열하여 제1 지지 프레임(41)에 지지되고, 하부에 제1 조출부 본체(12)가 3개씩 연결된 좌우 한 쌍의 분할 제1 탱크(11x, 11x)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탱크(11)의 탱크 본체(11D)는, 좌우의 분할 제1 탱크(11x)가 구비하는 분할 탱크 본체(11d)에 의해 구성되고, 제1 탱크(11)의 탱크 본체(11D)가 자주 차체 상방으로 개방되는 상태에서 구비하는 투입구(11E)는, 좌우의 분할 제1 탱크(11x)에 있어서의 분할 탱크 본체(11d)가 구비하는 분할 투입구(11e)에 의해 구성되고, 제1 탱크(11)의 투입구(11E)를 개폐하는 덮개(11C)는, 좌우의 분할 제1 탱크(11x)가 구비하는 분할 덮개(11c)에 의해 구성된다.
좌우의 분할 덮개(11c)는, 분할 덮개(11c)의 자주 차체 후방측 부위에 위치하는 자주 차체 횡방향 개폐 축심(11Z) 주위로 상하 요동 개폐 가능하게 분할 탱크 본체(11d)에 지지되어 있고, 제1 탱크(11)의 덮개(11C)는, 덮개(11C)의 자주 차체 후방측 부위에 위치하는 자주 차체 횡방향 개폐 축심(11Z) 주위로 상하 요동 개폐 가능하게 지지된 구성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1 탱크(11)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11C)를 자주 차체 후방측에 상승 요동시킴으로써 투입구(11E)를 개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2 탱크(21)는, 자주 차체 횡방향으로 일렬로 배열하여 제2 지지 프레임(42)에 지지되고, 하부에 제2 조출부 본체(22)가 3개씩 연결된 좌우 한 쌍의 분할 제2 탱크(21x, 21x)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탱크(21)의 탱크 본체(21D)는, 좌우의 분할 제2 탱크(21x)가 구비하는 분할 탱크 본체(21d)에 의해 구성되고, 제2 탱크(21)의 탱크 본체(21D)가 자주 차체 상방으로 개방되는 상태에서 구비하는 투입구(21E)는, 좌우의 분할 제2 탱크(21x)에 있어서의 분할 탱크 본체(21d)가 구비하는 분할 투입구(21e)에 의해 구성되고, 제2 탱크(21)의 투입구(21E)를 개폐하는 덮개(21C)는, 좌우의 분할 제2 탱크(21x)가 구비하는 분할 덮개(21c)에 의해 구성된다.
좌우의 분할 덮개(21c)는, 분할 덮개(21c)의 자주 차체 전방측 부위에 위치하는 자주 차체 횡방향 개폐 축심(21Z) 주위로 상하 요동 개폐 가능하게 분할 탱크 본체(21d)에 지지되어 있고, 제2 탱크(21)의 덮개(21C)는, 덮개(21C)의 자주 차체 전방측 부위에 위치하는 자주 차체 횡방향 개폐 축심(21Z) 주위로 상하 요동 개폐 가능하게 지지된 구성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2 탱크(21)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21C)를 자주 차체 전방측에 상승 요동시킴으로써 투입구(21E)를 개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
(1)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제1 공급 작업부(10)에 의해 시비 작업을 행하고, 제2 공급 작업부(20)에 의해 파종 작업을 행하도록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제1 공급 작업부(10)에 의해 파종 작업을 행하고, 제2 공급 작업부(20)에 의해 시비 파종 작업을 행하도록 구성하거나, 혹은 제1 공급 작업부(10)와 제2 공급 작업부(20)에 의해 다른 품종의 2종의 비료를 공급하는 시비 작업을 행하도록 구성하거나, 혹은, 제1 공급 작업부(10)와 제2 공급 작업부(20)의 한쪽에 의해 살충제 등의 약제를 공급하는 약제 공급 작업을 행하고, 다른 쪽에 의해 파종 작업을 행하도록 구성하여 실시해도 된다. 요컨대, 품종이나 성상이 다른 2종의 농업용 자재를 제1 공급 작업부(10)와 제2 공급 작업부(20)에 의해 공급하도록 구성하여 실시해도 된다.
(2)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제1 탱크(11) 및 제2 탱크(21)를 좌우의 분할 제1 탱크(11x)나 좌우의 분할 제2 탱크(21x)에 의해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6개의 제1 조출부 본체(12)나 6개의 제2 조출부 본체(22)가 연결되는 부위를 일체 형성한 하나의 탱크로 구성하여 실시해도 된다.
(3)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제1 탱크(11) 및 제2 탱크(21)에 6개의 제1 조출부 본체(12)나 6개의 제2 조출부 본체(22)를 연결하고, 6조 파종의 파종 작업 및 6조 시비의 시비 작업을 행하도록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5개 이하나 7개 이상의 제1 조출부 본체(12)나 제2 조출부 본체(22)를 연결하고, 5조 파종 이하나 7조 파종 이상의 파종 작업 및 5조 시비 이하나 7조 시비 이상의 시비 작업을 행하도록 구성하여 실시해도 된다.
(4)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제1 연결 부재(44A, 45B)를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2개 혹은 4개 이상의 제1 연결 부재(44A, 44B)를 설치하여 실시해도 된다.
(5)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5개의 제2 연결 부재(45A, 45B)를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4개 이하 혹은 6개 이상의 제2 연결 부재(45A, 45B)를 설치하여 실시해도 된다.
본 발명은, 시비 작업 및 파종 작업을 위한 수전 작업기 외에, 품종이나 성상이 다른 2종의 비료를 공급하는 시비 작업이나, 약제 공급 작업과 파종 작업을 위한 수전 작업기에도 이용 가능하다.
5 : 링크 기구
7a : 운전 좌석
8b : 난간
9 : 작업용 스텝
10 : 제1 공급 작업부
11 : 제1 탱크
11A : 하부
11B : 하단부
11C : 덮개
11E : 투입구
13 : 제1 조출부
15 : 제1 공급부
20 : 제2 공급 작업부
21 : 제2 탱크
21A : 하부
21C : 덮개
21E : 투입구
21t : 상단부
23 : 제2 조출부
25 : 제2 공급부
30 : 농업용 자재 살포 장치
40 : 메인 프레임
41 : 제1 지지 프레임
42 : 제2 지지 프레임
43 : 지지 프레임
43c : 연결부
44A, 44B : 제1 연결 부재
45A, 45B : 제2 연결 부재

Claims (9)

  1. 운전 좌석이 장비된 자주 차체와,
    상기 자주 차체로부터 자주 차체 후방으로 상하 요동 조작 가능하게 연장된 링크 기구와,
    상기 링크 기구의 상하 요동 조작에 의해 상기 자주 차체에 대하여 일체로 승강 조작되는 상태에서 상기 링크 기구에 지지되고, 농업용 자재를 포장에 공급하는 제1 공급 작업부 및 제2 공급 작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공급 작업부에, 농업용 자재를 저류하는 제1 탱크와, 상기 제1 탱크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탱크로부터 농업용 자재를 조출하는 제1 조출부와, 상기 제1 조출부로부터의 농업용 자재를 포장에 공급하는 제1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공급 작업부에, 농업용 자재를 저류하는 제2 탱크와, 상기 제2 탱크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탱크로부터 농업용 자재를 조출하는 제2 조출부와, 상기 제2 조출부로부터의 농업용 자재를 포장에 공급하는 제2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탱크 및 상기 제2 탱크에, 자주 차체 상방으로 개방된 투입구 및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덮개를 구비하고,
    자주 차체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탱크가 상기 제2 탱크보다도 차체 전방측에 상기 제2 탱크와 차체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어 위치하고, 또한 자주 차체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탱크가 상기 제2 탱크보다도 높은 배치 높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탱크 및 상기 제2 탱크를 배치하고,
    상기 제1 탱크의 덮개를, 이 덮개의 자주 차체 후방측 부위에 위치하는 자주 차체 횡방향의 개폐 축심 주위로 상하 요동 개폐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2 탱크의 덮개를, 이 덮개의 자주 차체 전방측 부위에 위치하는 자주 차체 횡방향의 개폐 축심 주위로 상하 요동 개폐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1 공급 작업부 및 상기 제2 공급 작업부는, 상기 링크 기구의 후부에 연결된 작업 장치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고,
    차체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탱크의 전단부가 상기 링크 기구의 상방에 있어서의 상기 링크 기구의 전후 폭 내 개소에 위치하고 있는, 수전 작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출부와, 상기 제2 탱크에 있어서의 폐쇄 상태의 상기 덮개의 상단부가 동일한 배치 높이에 위치하는, 수전 작업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탱크를 지지하는 자주 차체 횡방향의 제1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이 상기 제2 탱크의 폐쇄 상태의 덮개의 상단부보다도 높은 배치 높이에 위치하는, 수전 작업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의 하단부가 상기 제2 탱크에 있어서의 폐쇄 상태의 상기 덮개의 상단부보다도 높은 배치 높이에 위치하는, 수전 작업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에 자주 차체 전후 방향의 롤링 축심 주위로 롤링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 공급 작업부 및 상기 제2 공급 작업부를 지지하는 자주 차체 횡방향의 메인 프레임과,
    상기 제1 탱크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탱크를 지지하는 자주 차체 횡방향의 제1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2 탱크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탱크를 지지하는 자주 차체 횡방향의 제2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에 상기 제1 지지 프레임보다도 낮은 배치 높이에서 위치하고 있는, 수전 작업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자주 차체 횡방향에서의 복수 개소에 상단부측이 각각 따로 연결되고, 하단부측이 상기 메인 프레임측에 연결된 복수의 자주 차체 상하 방향의 제1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수전 작업기.
  7. 제6항에 있어서, 자주 차체 횡방향에서의 복수 개소에서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측에 후단부측이 각각 따로 연결되고, 전단부측이 상기 메인 프레임에 연결된 복수의 자주 차체 전후 방향의 제2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수전 작업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측에 전단부측이 연결되고, 후단부측이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측에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제2 지지 프레임보다도 자주 차체 후방측에 위치하는 차체 전후 방향의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단부에, 탈착 가능한 농업용 자재 살포 장치를 위한 연결부가 설치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주 차체에, 상기 운전 좌석의 후방 개소에 배치한 작업용 스텝 및 상기 작업용 스텝의 상방에 자주 차체 횡방향으로 배치한 난간을 구비하고,
    상기 난간이 최상승 위치로 상승한 상태의 상기 제1 탱크의 투입구보다도 높은 배치 높이에 위치하는, 수전 작업기.
KR1020130097647A 2013-01-21 2013-08-19 수전 작업기 KR102158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08730 2013-01-21
JP2013008730A JP5984691B2 (ja) 2013-01-21 2013-01-21 水田作業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417A KR20140094417A (ko) 2014-07-30
KR102158563B1 true KR102158563B1 (ko) 2020-09-22

Family

ID=51179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7647A KR102158563B1 (ko) 2013-01-21 2013-08-19 수전 작업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984691B2 (ko)
KR (1) KR102158563B1 (ko)
CN (1) CN1039313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23884B (zh) * 2016-02-24 2017-09-19 易卫明 白芹排种专用机
KR102431274B1 (ko) * 2016-06-29 2022-08-1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수전 작업차
JP6497379B2 (ja) * 2016-12-21 2019-04-10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KR20190070276A (ko) * 2017-12-08 2019-06-20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포장 작업기 및 포장 작업 지원 단말기
CN110199630A (zh) * 2018-02-28 2019-09-06 株式会社久保田 乘坐型作业机
CN110199634B (zh) * 2018-02-28 2022-06-14 株式会社久保田 乘坐型作业机
JP6848948B2 (ja) * 2018-09-28 2021-03-24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8765A (ja) * 2007-05-08 2008-11-20 Kubota Corp 乗用型田植機の機体構造
JP2012120482A (ja) * 2010-12-08 2012-06-28 Agritecno Yazaki Co Ltd 農用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2196B2 (ja) * 1994-05-25 1999-12-20 松山株式会社 採草地更新作業機
JPH09248019A (ja) 1996-03-15 1997-09-22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播種機におけるフロート装置
JP3383511B2 (ja) * 1996-04-23 2003-03-04 株式会社クボタ 直播機
WO2006059837A1 (en) * 2004-11-30 2006-06-08 Republic Of Korea (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 screw conveyor for the direct seeder
JP5109623B2 (ja) * 2007-11-30 2012-12-26 井関農機株式会社 多目的機
JP5714822B2 (ja) * 2010-01-15 2015-05-07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8765A (ja) * 2007-05-08 2008-11-20 Kubota Corp 乗用型田植機の機体構造
JP2012120482A (ja) * 2010-12-08 2012-06-28 Agritecno Yazaki Co Ltd 農用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31310B (zh) 2017-09-26
KR20140094417A (ko) 2014-07-30
CN103931310A (zh) 2014-07-23
JP2014138567A (ja) 2014-07-31
JP5984691B2 (ja) 201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8563B1 (ko) 수전 작업기
US8479911B2 (en) Movable conveyor for loading a container
KR102247422B1 (ko) 수전 작업기
JP5714822B2 (ja) 水田作業機
JP2011142872A5 (ko)
KR102382289B1 (ko) 승용 수전 작업기
JP2013132235A (ja) 水田作業機
KR102247415B1 (ko) 수전 작업기
JP6157053B2 (ja) 水田作業機
JP5763482B2 (ja) 水田作業機
JP5763478B2 (ja) 田植機
JP6406826B2 (ja) 水田作業機
KR102087537B1 (ko) 무논 작업기
JP5832270B2 (ja) 水田作業機
KR20170077036A (ko) 승용형 직파기
JP5464254B2 (ja) 直播機
JP5822711B2 (ja) 作業機のフレーム構造
JP6261403B2 (ja) 水田作業機
JP2006325418A5 (ko)
JP5488300B2 (ja) 施肥装置付乗用田植機
JP2010000014A (ja) 苗移植機
JP3519915B2 (ja) 乗用型田植機のフェンダ構造
JP3670270B2 (ja) 田植機
JP2015006155A (ja) 苗移植機
JPH022186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