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164B1 -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164B1
KR102158164B1 KR1020190160638A KR20190160638A KR102158164B1 KR 102158164 B1 KR102158164 B1 KR 102158164B1 KR 1020190160638 A KR1020190160638 A KR 1020190160638A KR 20190160638 A KR20190160638 A KR 20190160638A KR 102158164 B1 KR102158164 B1 KR 102158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ek
japchae
tofu
seasoning
g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우학
전연규
김명숙
Original Assignee
전우학
전연규
김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우학, 전연규, 김명숙 filed Critical 전우학
Priority to KR1020190160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23L11/2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70Germinated pulse products, e.g. from soy bean spro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잡채, 부추 돼지고기, 풋 청양고추, 육수, 및 양념을 비벼서 부추잡채를 준비하는 부추잡채 준비단계(S1); 및 담백하면서 매운맛을 내는 제1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 또는 시면서 매운맛을 내는 제2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을 준비하는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 세트 준비단계(S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을 준비할 때에는 밥 한 공기도 함께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hives Japche Set Menu}
본 발명은 당면, 부추, 돼지고기, 풋 청양고추, 육수, 및 양념을 비벼서 부추잡채를 준비하는 부추잡채 준비단계(S1); 및 담백하면서 매운맛을 내는 제1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 또는 시면서 매운맛을 내는 제2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을 준비하는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 세트 준비단계(S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을 준비할 때에는 밥 한 공기도 함께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잡채는 우리 나라 고유의 식품으로서, 육류와 더불어 야채를 동시에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유의 식감으로 인해 건강식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잡채는 일반적으로 건당면을 끓는 물에 삶아 찬물에 행군 다음, 육류인 돼지고기와 함께 당근, 표고버섯, 목이버섯, 양파, 시금치, 브로콜리, 파프리카, 양배추 등의 야채와, 마늘, 간장, 물엿 등의 양념장을 투입하고, 기름을 두른 상태에서 프라이팬에 볶아줌으로써 완성하게 된다.
일반적인 잡채는 통상 가정이나 중극 음식점에서 잡채밥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잡채밥에 사용되는 잡채는 건당면을 끓는 물에 삶아 찬물에 행군 다음 돼지고기와 함께, 시금치,버섯, 양파, 당근, 청고추, 홍고추 등의 야채와 간장, 굴소스, 설탕, 조미술, 참기름 등의 양념장을 투입하고, 기름을 두른 상태에서 프라이팬에 볶아줌으로써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잡채는 고기와 야채가 들어가는데 야채로 시금치,버섯, 양파, 당근, 청고추, 홍고추 등이 사용되므로 야채의 종류나 가지수가 증가하여 일반 음식점에서 사용하기에는 가격적인 측면이나 작업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든다는 측면에서 무리가 있다.
따라서, 시금치,버섯, 양파, 당근, 청고추, 홍고추 등의 야채 대신에 이들 야채보다 야채의 가짓수를 2개 이하로 줄이면서도 간 건강 개선효과, 혈액순환 개선효과, 정력강화효과, 피로회복효과, 및 항암효과가 있고 가격도 저렴하며 구입이 용이한 야채에 대한 필요성이 점증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잡채는 그 자체를 하나의 음식으로 하여 양념장이나 또는 양념장과 곁들이 찬과 함께 먹을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은 없었으며, 밥에 비벼져 잡채밥으로 사용되거나 육계장에 투입되도록 사용되고 있어서 그 사용처가 잡채밥이나 육계장 등 일부에 한정되고 있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0596호(2007.06.14.)
본 발명에 의한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은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야채의 가짓수를 2개 이하로 줄이면서도 간 건강 개선효과, 혈액순환 개선효과, 정력강화효과, 피로회복효과, 및 항암효과가 있고 가격도 저렴하며 구입이 용이한 야채를 포함하는 부추잡채 세트 메뉴를 제조하는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추잡채 그 자체를 하나의 음식으로 하여 양념장이나 또는 양념장과 곁들이 찬과 함께 먹을 수 있는 부추잡채 세트 메뉴를 제조하는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당면, 부추, 돼지고기, 풋 청양고추, 육수, 및 양념을 비벼서 부추잡채를 준비하는 부추잡채 준비단계(S1); 및 담백하면서 매운맛을 내는 제1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 또는 시면서 매운맛을 내는 제2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을 준비하는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 세트 준비단계(S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을 준비할 때에는 밥 한 공기도 함께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의 구성 외에, 고명이 첨가된 두부 구이로 이루어진 곁들이 찬을 제조하는 곁들이 찬 제조단계(S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추잡채 준비단계(S1)는, 건당면 8kg을 용기 내의 끓는 물에 넣고 1차로 삶은 후에 커피가루 18∼22g을 상기 용기에 넣고 삶겨진 당면을 세척하여 당면을 제조하여 보관한 다음에 보관된 상기 당면 중 당면 280∼350g을 준비하는 당면 준비단계(S1-1); 다듬어진 부추 100∼150g을 상기 당면이 다 삶기기 30초 전에 상기 용기에 투입하여 데쳐서 데친 부추를 준비하는 데친 부추 준비단계(S1-2); 돼지고기 30∼150g을 썰어서 볶는 볶은 돼지고기를 준비하는 볶은 돼지고기 준비단계(S1-3); 풋 청양고추 5∼30g을 믹서기에 넣고 갈아 간 풋 청양고추를 준비하는 풋 청양고추 준비단계(S1-4); 멸치 150g, 양파 300g, 파 150g, 무우 1,000g, 다시마 80g, 사과 150g, 가시오가피 100g, 해동피(엄나무) 200g을 별도의 용기 내에 든 쌀뜨물 30ℓ에 넣고 30분간 끓인 후에 멸치와 다시마를 제거한 후 다시 약불로 30분간 끓여서 육수를 준비하는 육수 준비단계(S1-5); 상기 준비된 당면, 부추, 돼지고기, 풋 청양고추, 및 상기 육수와 진간장 12∼20 ㎖, 고추씨앗 3∼10g, 맛소금 3∼10g, 설탕 5∼12g, 후추 3∼8g, 참기름 5∼12 ㎖, 식용유 5∼12 ㎖를 별도의 다른 용기에 투입한 후 비비는 비빔단계(S1-6); 및 상기 비빔단계에 의해 부추잡채를 수득하는 부추잡채 수득단계(S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은 1인용 된장 뚝배기에 상기 육수 150cc, 재래식 된장, 양지부위 고기(양지) 6∼8g, 청양고추 반 스푼(5g), 썰은 대파 30g, 두부 60g, 및 양파 30g을 넣고 8∼10분간 끓여 만든 강된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은 별도의 또 다른 용기 내에서 간 청양고추가루 3∼15g, 식초 2∼6g, 및 맛소금 0.001∼0.5g을 섞어서 7∼8℃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수득되는 맛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곁들이 찬 제조단계(S3)는, 두부를 8mm의 두께로 자르는 두부 절단단계(S3-1); 절단된 상기 두부를 프라이팬에서 식용유를 이용하여 굽는 절단 두부 굽기단계(S3-2); 구워진 상기 두부룰 별도의 접시에 배치하는 구워진 두부의 접시 배치단계(S3-3); 부추 5∼60g, 당근 5∼60g, 10∼150g의 돼지고기를 갈아 만든 간 돼지고기, 및 맛소금 0.2∼0.4g에 계란 1개를 풀어 섞은 후에 구워서 고명 덩어리를 만드는 고명 덩어리 제조단계(S3-4); 상기 고명 덩어리를 2∼10 mm의 두께로 고명을 만드는 고명제조단계(S3-5); 및 만들어진 상기 고명을 구워진 상기 두부 위에 배치하는 고명 배치단계(S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은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첫째, 야채의 가짓수를 2개 이하로 줄이면서도 간 건강 개선효과, 혈액순환 개선효과, 정력강화효과, 피로회복효과, 및 항암효과가 있고 가격도 저렴하며 구입이 용이한 야채를 포함하는 부추잡채 세트 메뉴를 제조하는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부추잡채 그 자체를 하나의 음식으로 하여 양념장이나 또는 양념장과 곁들이 찬과 함께 먹을 수 있는 부추잡채 세트 메뉴를 제조하는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추잡채 준비단계를 세분화하여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곁들이 찬 제조단계를 세분화하여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살펴보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야채의 가짓수를 2개 이하로 줄이면서도 간 건강 개선효과, 혈액순환 개선효과, 정력강화효과, 피로회복효과, 및 항암효과가 있고 가격도 저렴하며 구입이 용이한 야채를 포함하는 부추잡채 세트 메뉴를 제조하는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부추잡채 준비단계를 세분화하여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2의 곁들이 찬 제조단계를 세분화하여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은 부추잡채 준비단계(S1), 및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 세트 준비단계(S2)를 포함한다.
상기 부추잡채 준비단계(S1)에서는 당면, 부추, 돼지고기, 풋 청양고추, 육수, 및 양념을 비벼서 부추잡채를 준비하는 단계로, 상기 제1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을 준비할 때에는 밥 한 공기도 함께 준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부추잡채 준비단계(S1)는, 당면 준비단계(S1-1), 데친 부추 준비단계(S1-2), 볶은 돼지고기 준비단계(S1-3), 풋 청양고추 준비단계(S1-4), 육수 준비단계(S1-5), 비빔단계(S1-6), 및 부추잡채 수득단계(S1-7)를 포함한다.
상기 당면 준비단계(S1-1)에서는 건당면 8kg을 용기 내의 끓는 물에 넣고 1차로 삶은 후에 커피가루 18∼22g을 상기 용기에 넣고 삶겨진 당면을 세척하여 당면을 제조하여 보관한 다음에 보관된 상기 당면 중 당면 280∼350g을 준비하는데, 상기 커피가루는 건당면의 잡냄새 제거에 효능이 있으며 18g 미만이 사용되면 건당면 및 후술하는 돼지고기 등의 잡냄새 제거가 불충분하고 22g 초과하여 사용되면 건당면 및 후술하는 돼지고기 등의 잡냄새는 후술하는 돼지고기의 함량범위 내에서 제거할 수 있으나 커피 향이 너무 진해진다.
상기 데친 부추 준비단계(S1-2)에서는 다듬어진 부추 100∼150g을 상기 당면이 다 삶기기 30초 전에 상기 용기에 투입하여 데친다. 상기 부추는 칼슘, 철분, 비타민C, 비타민E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간을 건강하고 튼튼하게 해준다고 하며 또한 해독작용도 도와 간기능을 개선한데 매우 효과적이고, 어혈을 풀어 주고 피를 맑게 해주며 혈액순환을 도와서 심혈관질활과 성인병을 예방하며, 남성 스테미너 강화에 도움을 주는 황화알릴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비뇨 생식기의 건강과 기능을 향상시켜 주고, B1 성분이 풍부한 황화알린 성분이 풍부하여 피로회복에 도움이 되며, 강력한 항산화물질인 베타카로틴이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및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효능을 가지는 부추를 100g 미만으로 사용하면 상기 효능이 불충분하게 나타나고 150g을 초과하여 사용하게 되면 상기 부추를 모두 섭취하는 사람의 위장에 부담을 주어 복통, 설사를 유발시킬 우려가 높아지므로 부추는 100∼150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볶은 돼지고기 준비단계(S1-3)에서는 돼지고기 30∼150g을 썰어서 볶은 돼지고기를 준비하는데, 돼지고기는 비타민B1을 소고기보다 10배나 더 많이 함유하고 있어 피로회복에 좋으며 철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빈혈에 좋고 몸 속의 중금속을 몸 밖으로 배출시켜 주어 중금속을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여기서, 돼지고기를 30g 미만으로 사용하면 상기 효능이 불충분해지고 150g을 초과하여 사용하게 되면 상기 커피가루에 의해서도 상기 부추잡채에서 돼지고기로 인한 잡냄새가 날 우려가 있다.
상기 풋 청양고추 준비단계(S1-4)에서는 풋 청양고추 5∼30g을 믹서기에 넣고 갈아 간 풋 청양고추를 준비하는데, 풋 청양고추는 비타민 C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면역역을 증진시키고 비타민 A 성분 및 비타민 A의 전구물질인 베타카로틴 또한 다량 함유하여 시력을 보호하고 눈의 피로를 풀어주며 캡사이신을 함유하여 위장내 유해균 살균 및 소화액 분비 촉진 등을 이루고 피로회복에 효능을 가진다. 여기서, 풋 청양고추를 5g 미만으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효능이 불충분하게 나타나고 30g을 초과하여 사용하게 될 때에는 부추잡채 섭취자가 부추잡채를 섭취할 때 너무 맵게 느껴질 수 있다.
상기 육수 준비단계(S1-5)에서는 멸치 150g, 양파 300g, 파 150g, 무우 1,000g, 다시마 80g, 사과 150g, 가시오가피 100g, 해동피(엄나무) 200g을 별도의 용기 내에 든 쌀뜨물 30ℓ에 넣고 30분간 끓인 후에 멸치와 다시마를 제거한 후 다시 약불로 30분간 끓여서 육수를 준비하는데, 상기 멸치는 감칠맛 성분인 이노신산과 글루탐산을 함유하고 있어 멸치에 의한 감칠맛을 내지만 150g 미만의 멸치가 사용되면 감칠맛이 부족하게 되고 150g 초과의 멸치가 사용되게 되면 멸치 냄새가 너무 강해지며, 상기 양파는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키며 심장혈관의 혈류량을 증가시켜 성인병을 예방하는 효능이 있지만 300g 미만이 사용되면 상기 효능이 불충분해지고 300g을 초과하여 사용되게 되면 간과 쓸개에 무리를 주어 눈이 피로하거나 백태가 생기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상기 파는 잡냄새를 없애고 숙면과 진정작용에 도움을 주며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위장을 보호하며 환전기 감기를 예방하고 피부미용에 좋고 고혈압을 예방하는 등의 효능을 가지지만 150g 미만이 사용되면 상기 효능이 불충분하고 150g을 초과하여 사용되면 몸에 열이많고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이 섭취하는 경우에는 좋지 않고, 상기 무우는 콜레스테롤을 줄이고 항암 효능을 가지며 영양은 많으나 1,000g 미만이 사용되면 상기 효능이 불충분하고 1,000g을 초과하여 사용되면 원래 위가 좋지 않은 사람에게는 속쓰림 복통, 구토, 설사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상기 다시마 역시 깊은 풍미와 감칠맛을 내지만 80g 미만이 사용되면 다시마에 의한 감칠맛과 풍미가 부족해지고 80g을 초과하여 사용되면 배탈이나 소화불량을 일으킬 우려가 있고, 상기 사과는 체중감략과 심장건강과 당뇨예방과 천식과 뼈건강과 변비개선에 좋으나 150g 미만이 사용되면 이러한 효능이 불충분하고 150g을 초과하여 사용되게 되면 치아에 좋지 않고, 상기 가시오가피는 간 기능을 개선하고 다이어트 및 면역력 증진에 좋으며 관절염과 골다공증 예방에 좋고 고혈압 증상을 개선하지만 100g 미만이 사용되면 이러한 효능 중 일부의 발휘가 불충분하고 100g 을 초과하여 사용하게 되면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이 섭취 시 복통을 동반한 구토 증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상기 해동피(엄나무)는 경락을 잘 통하게 해주며 어혈을 제거하고 피부염에 좋고 가래를 삭여주는 효능이 있지만 200g 미만이 사용되면 상기 효능 중 일부의 발휘가 불충분하고 200g을 초과하게 되면 안색이 창백해지고 이명현상 및 가슴 두근거림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비빔단계(S1-6)에서는 상기 준비된 당면, 부추, 돼지고기, 풋 청양고추, 및 상기 육수와 진간장 12∼20 ㎖, 고추씨앗 3∼10g, 맛소금 3∼10g, 설탕 5∼12g, 후추 3∼8g, 참기름 5∼12 ㎖, 식용유 5∼12 ㎖를 별도의 다른 용기에 투입한 후 비비는데, 상기 당면은 당면은 국수면과는 달리 탱탱한 탄력감으로 식감을 만족시켜 주고 칼슘, 인을 소량 함유하고 있어 위에 머무는 시간이 적기 때문에 소화가 빠르며 포만감을 주기도 하여 한끼 식사 대용으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고, 상기 풋 청양고추는 면역력강화, 시력보호, 소화촉진, 피로회복, 뇌건강 개선, 암예방, 항산화 작용, 및 다이어트에 좋은 효능을 가지며, 상기 진간장은 짠맛 외에 단맛도 포함하는데 12 ㎖ 미만이 사용되면 이러한 짠맛과 단맛을 충분히 내기가 어렵고 20 ㎖를 초과하여 사용되면 비벼진 음식이 짜고 달게 되고, 상기 고추씨앗은 각종 무기질을 비롯한 필수영양소가 골고루 들어있고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해 노화방지에 효능이 있지만 3g 미만이 사용되면 이러한 효능이 불충분하게 발휘되고 10g을 초과하여 사용되면 비벼진 음식이 너무 맵게 되며, 상기 맛소금은 3g 미만이 사용되면 간이 맞지 않고 맛소금 10g을 초과하게 되면 음식이 짜게 느껴질 수 있고, 상기 설탕은 5g 미만이 사용되면 단맛을 느끼기 어렵고 12g을 초과하여 사용되면 음식이 너무 달게 느껴질 수 있고, 상기 후추는 관절염에 좋고 당요병 합병증을 예방하며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소화 및 장건강에 도움을 주며 다른 식품의 효능을 극대화시켜주는 효능을 가지지만 3g 미만이 사용되면 이러한 효능이 불충분하고 8g을 초과하여 사용되면 섭취자의 몸에 열을 더해주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 참기름은 혈류 개선, 혈전 예방 효과, 알레르기 억제, 노화 예방, 우울증의 감소 등의 효능을 가지지만 5 ㎖ 미만이 사용되면 이러한 효능이 불충분해지고 12 ㎖를 초과하여 사용되면 참기름이 체내에서 자체적으로 산패되면서 독성물질로 작용할 수 있고, 상기 식용유는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여 몸에 LDL콜레스테롤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해주며, 심혈관질환이 생기는 것을 예방할 수 있지만 5㎖ 미만이 사용되면 이러한 효능이 불충분해지고 12㎖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궤양성 대장염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부추잡채 수득단계(S1-7)에서는 상기 비빔단계에 의해 부추잡채를 수득한다.
상기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 세트 준비단계(S2)에서는 담백하면서 매운맛을 내는 제1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 또는 시면서 매운맛을 내는 제2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을 준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은 1인용 된장 뚝배기에 상기 육수 150cc, 재래식 된장, 양지부위 고기(양지) 6∼8g, 청양고추 반 스푼(5g), 썰은 대파 30g, 두부 60g, 및 양파 30g을 넣고 8∼10분간 끓여 만든 강된장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만들어진 강된장은 담백하면서도 매운 맛을 낸다.
또한, 상기 제2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은 별도의 또 다른 용기 내에서 간 청양고추가루 3∼15g, 식초 2∼6g, 및 맛소금 0.001∼0.5g을 섞어서 7∼8℃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수득되는 맛장인데, 이러한 맛장은 신 맛과 매운 맛을 낸다.
또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은, 부추잡채 준비단계(S1), 및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 세트 준비단계(S2) 외에, 고명이 첨가된 두부 구이로 이루어진 곁들이 찬을 제조하는 곁들이 찬 제조단계(S3)를 더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곁들이 찬 제조단계(S3)는, 두부를 8mm의 두께로 자르는 두부 절단단계(S3-1); 절단된 상기 두부를 프라이팬에서 식용유를 이용하여 굽는 절단 두부 굽기단계(S3-2); 구워진 상기 두부룰 별도의 접시에 배치하는 구워진 두부의 접시 배치단계(S3-3); 부추 5∼60g, 당근 5∼60g, 10∼150g의 돼지고기를 갈아 만든 간 돼지고기, 및 맛소금 0.2∼0.4g에 계란 1개를 풀어 섞은 후에 구워서 고명 덩어리를 만드는 고명 덩어리 제조단계(S3-4); 상기 고명 덩어리를 2∼10 mm의 두께로 고명을 만드는 고명제조단계(S3-5); 및 만들어진 상기 고명을 구워진 상기 두부 위에 배치하는 고명 배치단계(S3-6)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부추잡채를 섭취할 때 고명이 얹혀진 구워진 두부를 섭취할 수 있음으로써 부드러우면서도 아삭한 식감을 느낄 수 있음과 동시에 영양학적으로도 좋아서 한끼의 든든한 식사가 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을 구성하고 실험을 통해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효과에 대해서 면밀하게 파악하고자 한다.
잡채, 부추 돼지고기, 풋 청양고추, 육수, 및 양념을 비벼서 부추잡채를 준비하는 부추잡채 준비단계(S1); 및 담백하면서 매운맛을 내는 제1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을 준비하는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 세트 준비단계(S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을 준비할 때에는 밥 한 공기도 함께 준비하되, 상기 부추잡채 준비단계(S1)는, 건당면 8kg을 용기 내의 끓는 물에 넣고 1차로 삶은 후에 커피가루 20g을 상기 용기에 넣고 삶겨진 당면을 세척하여 당면을 제조하여 보관한 다음에 보관된 상기 당면 중 당면 300g을 준비하는 당면 준비단계(S1-1); 다듬어진 부추 125g을 상기 당면이 다 삶기기 30초 전에 상기 용기에 투입하여 데쳐서 데친 부추를 준비하는 데친 부추 준비단계(S1-2); 돼지고기 50g을 썰어서 볶는 볶은 돼지고기를 준비하는 볶은 돼지고기 준비단계(S1-3); 풋 청양고추 20g을 믹서기에 넣고 갈아 간 풋 청양고추를 준비하는 풋 청양고추 준비단계(S1-4); 멸치 150g, 양파 300g, 파 150g, 무우 1,000g, 다시마 80g, 사과 150g, 가시오가피 100g, 해동피(엄나무) 200g을 별도의 용기 내에 든 쌀뜨물 30ℓ에 넣고 30분간 끓인 후에 멸치와 다시마를 제거한 후 다시 약불로 30분간 끓여서 육수를 준비하는 육수 준비단계(S1-5); 상기 준비된 당면, 부추, 돼지고기, 풋 청양고추, 및 상기 육수와 진간장 16 ㎖, 고추씨앗 6g, 맛소금 6g, 설탕 6g, 후추 5g, 참기름 8 ㎖, 식용유 8 ㎖를 별도의 다른 용기에 투입한 후 비비는 비빔단계(S1-6); 및 상기 비빔단계에 의해 부추잡채를 수득하는 부추잡채 수득단계(S1-7)를 포함하는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부추잡채 세트 메뉴를 실험군 1로 하고,
상기 설험군 1에서 사용된 부추잡채 준비단계(S1) 및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 세트 준비단계(S2) 외에 고명이 첨가된 두부 구이로 이루어진 곁들이 찬을 제조하는 곁들이 찬 제조단계(S3)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곁들이 찬 제조단계(S3)는, 두부를 8mm의 두께로 자르는 두부 절단단계(S3-1); 절단된 상기 두부를 프라이팬에서 식용유를 이용하여 굽는 절단 두부 굽기단계(S3-2); 구워진 상기 두부룰 별도의 접시에 배치하는 구워진 두부의 접시 배치단계(S3-3); 부추 0.5g, 당근 50g, 50g의 돼지고기를 갈아 만든 간 돼지고기, 및 맛소금 0.3g에 계란 1개를 풀어 섞은 후에 구워서 고명 덩어리를 만드는 고명 덩어리 제조단계(S3-4); 상기 고명 덩어리를 2 mm의 두께로 고명을 만드는 고명제조단계(S3-5); 및 만들어진 상기 고명을 구워진 상기 두부 위에 배치하는 고명 배치단계(S3-6)를 포함하는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부추잡채 세트 메뉴를 실험군 2로 하며,
일반 중국음식점에서 판매하는 잡채밥을 대조군 1로 하되,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험군 1, 2의 부추잡채 세트 메뉴와 대조군 1의 잡채밥에 대하여 잘 훈련된 관능검사요원 10명(남녀 18세∼30세 각각 5명)으로 하여금 5점 척도법에 의해 잡냄새 제거감, 감칠맛, 영양식정도, 및 종합적인 선호도를 평가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 1에 나타냈다.
구분 잡냄새 제거감 감칠맛 영양식정도 종합적인 선호도
실험군 1 4.8 4.7 4.8 4.8
실험군 2 4.7 4.8 4.9 4.9
대조군 1 4.1 4.3 3.9 4.1
여기서, 잡냄새 제거감은 수치가 높을수록 제조된 음식에서 잡냄새가 덜 남을 의미하고, 감칠맛은 수치가 높을수록 감칠맛이 더 남을 의미하며, 영양식정도는 수치가 높을수록 영양식을 했다는 느낌을 관능검사요원들dl 받았음을 의미하고, 종합적인 선호도는 잡냄새 제거감, 감칠맛, 영양식정도 외에도 풍미나 외양 등을 포함하는 면에서 선호되는 정도로서 수치가 높을수록 제조된 음식이 관능검사요원들에게 더 선호됨을 나타낸다.
표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험군 1, 2가 대조군 1에 비하여 잡냄새 제거감, 감칠맛, 영양식정도, 및 종합적인 선호도에서 모두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S1 : 부추잡채 준비단계
S1-1 : 당면 준비단계
S1-2 : 데친 부추 준비단계
S1-3 : 볶은 돼지고기 준비단계
S1-4 : 풋 청양고추 준비단계
S1-5 : 육수 준비단계
S1-6 : 비빔단계
S1-7 : 부추잡채 수득단계
S2 :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 세트 준비단계
S3 : 곁들이 찬 제조단계
S3-1 : 두부 절단단계
S3-2 : 절단 두부 굽기단계
S3-3 : 구워진 두부의 접시 배치단계
S3-4 : 고명 덩어리 제조단계
S3-5 : 고명제조단계
S3-6 : 고명 배치단계

Claims (6)

  1. 당면, 부추, 돼지고기, 풋 청양고추, 육수, 및 양념을 비벼서 부추잡채를 준비하는 부추잡채 준비단계(S1); 및
    담백하면서 매운맛을 내는 제1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 또는 시면서 매운맛을 내는 제2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을 준비하는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 세트 준비단계(S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을 준비할 때에는 밥 한 공기도 함께 준비하며,
    상기 부추잡채 준비단계(S1)는,
    건당면 8kg을 용기 내의 끓는 물에 넣고 1차로 삶은 후에 커피가루 18∼22g을 상기 용기에 넣고 삶겨진 당면을 세척하여 당면을 제조하여 보관한 다음에 보관된 상기 당면 중 당면 280∼350g을 준비하는 당면 준비단계(S1-1);
    다듬어진 부추 100∼150g을 상기 당면이 다 삶기기 30초 전에 상기 용기에 투입하여 데쳐서 데친 부추를 준비하는 데친 부추 준비단계(S1-2);
    돼지고기 30∼150g을 썰어서 볶는 볶은 돼지고기를 준비하는 볶은 돼지고기 준비단계(S1-3);
    풋 청양고추 5∼30g을 믹서기에 넣고 갈아 간 풋 청양고추를 준비하는 풋 청양고추 준비단계(S1-4);
    멸치 150g, 양파 300g, 파 150g, 무우 1,000g, 다시마 80g, 사과 150g, 가시오가피 100g, 해동피(엄나무) 200g을 별도의 용기 내에 든 쌀뜨물 30ℓ에 넣고 30분간 끓인 후에 멸치와 다시마를 제거한 후 다시 약불로 30분간 끓여서 육수를 준비하는 육수 준비단계(S1-5);
    상기 준비된 당면, 부추, 돼지고기, 풋 청양고추, 상기 육수, 및 상기 양념으로 진간장 12∼20 ㎖, 고추씨앗 3∼10g, 맛소금 3∼10g, 설탕 5∼12g, 후추 3∼8g, 참기름 5∼12 ㎖, 식용유 5∼12 ㎖를 별도의 다른 용기에 투입한 후 비비는 비빔단계(S1-6); 및
    상기 비빔단계에 의해 부추잡채를 수득하는 부추잡채 수득단계(S1-7)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은 1인용 된장 뚝배기에 상기 육수 150cc, 재래식 된장, 양지부위 고기(양지) 6∼8g, 청양고추 반 스푼(5g), 썰은 대파 30g, 두부 60g, 및 양파 30g을 넣고 8∼10분간 끓여 만든 강된장이며,
    상기 제2 부추잡채 곁들이 양념장은 별도의 또 다른 용기 내에서 간 청양고추가루 3∼15g, 식초 2∼6g, 및 맛소금 0.001∼0.5g을 섞어서 7∼8℃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수득되는 맛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고명이 첨가된 두부 구이로 이루어진 곁들이 찬을 제조하는 곁들이 찬 제조단계(S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곁들이 찬 제조단계(S3)는,
    두부를 8mm의 두께로 자르는 두부 절단단계(S3-1);
    절단된 상기 두부를 프라이팬에서 식용유를 이용하여 굽는 절단 두부 굽기단계(S3-2);
    구워진 상기 두부를 별도의 접시에 배치하는 구워진 두부의 접시 배치단계(S3-3);
    부추 5∼60g, 당근 5∼60g, 10∼150g의 돼지고기를 갈아 만든 간 돼지고기, 및 맛소금 0.2∼0.4g에 계란 1개를 풀어 섞은 후에 구워서 고명 덩어리를 만드는 고명 덩어리 제조단계(S3-4);
    상기 고명 덩어리를 2∼10 mm의 두께로 고명을 만드는 고명제조단계(S3-5); 및
    만들어진 상기 고명을 구워진 상기 두부 위에 배치하는 고명 배치단계(S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
KR1020190160638A 2019-12-05 2019-12-05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 KR102158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638A KR102158164B1 (ko) 2019-12-05 2019-12-05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638A KR102158164B1 (ko) 2019-12-05 2019-12-05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164B1 true KR102158164B1 (ko) 2020-09-21

Family

ID=72707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638A KR102158164B1 (ko) 2019-12-05 2019-12-05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1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598B1 (ko) * 2022-05-04 2022-11-21 루에랑 주식회사 한국식 즉석면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596B1 (ko) 2006-02-21 2007-06-20 조재곤 클로렐라분말과 차가버섯추출물이 함유된 잡채제조방법
KR20190067561A (ko) * 2017-12-07 2019-06-17 산청군농업기술센터 강된장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596B1 (ko) 2006-02-21 2007-06-20 조재곤 클로렐라분말과 차가버섯추출물이 함유된 잡채제조방법
KR20190067561A (ko) * 2017-12-07 2019-06-17 산청군농업기술센터 강된장 및 그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log1 *
blog2 *
blog3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598B1 (ko) * 2022-05-04 2022-11-21 루에랑 주식회사 한국식 즉석면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722B1 (ko) 갈비용 양념 소스의 제조방법 및 그 소스를 이용한 갈비
CN102613538A (zh) 一种香菇牛肉酱及其制备方法
CN102613537A (zh) 一种麻辣香菇猪肉酱及其制备方法
KR102058193B1 (ko) 물닭갈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물닭갈비
KR20070099730A (ko) 파와 부추가 가미된 바베큐치킨 제조방법
KR101865115B1 (ko) 대추분말이 포함된 김 자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005363A (zh) 一种糊涂面调味料以及方便糊涂面
KR101914977B1 (ko) 뼈해장국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뼈해장국
WO2024106891A1 (ko) 약재를 포함하는 닭갈비용 양념 소스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58048B1 (ko) 능이버섯을 이용한 양념돼지갈비의 제조방법
KR101230050B1 (ko) 버섯두부된장조치 제조방법
KR102158164B1 (ko) 부추잡채 세트 메뉴의 제조방법
KR100692970B1 (ko) 닭육수와 장어육수를 이용한 장어탕 제조방법
KR102033139B1 (ko) 주꾸미 또는 오징어 양념용 짜장소스 제조방법
KR102319788B1 (ko) 다기능 닭 가슴살 페이퍼 및 그 제조방법
KR101742139B1 (ko) 현미찹쌀이 포함된 햄버거패티
KR102475905B1 (ko) 문어 숯불구이 방법
KR101607838B1 (ko) 홍삼 수육 조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홍삼 수육 조림
KR20180117001A (ko) 양념장이 혼합되는 곤드레 나물밥의 제조방법
KR101607870B1 (ko) 김치 피자 소스를 이용한 김치 부추 피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27322A (ko) 솥뚜껑 닭 요리의 제조방법
KR102015193B1 (ko) 고소애와 귀뚜라미를 첨가한 데리야끼 소스 제조방법
KR20220055643A (ko) 육류 조리용 양념소스 및 이를 이용한 양념갈비 제조방법
KR20030062648A (ko) 무가당 양념 고추장의 제조방법
KR20190046291A (ko) 문어과 해산물 조리용 양념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