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126B1 - 광학용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용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126B1
KR102148126B1 KR1020147021903A KR20147021903A KR102148126B1 KR 102148126 B1 KR102148126 B1 KR 102148126B1 KR 1020147021903 A KR1020147021903 A KR 1020147021903A KR 20147021903 A KR20147021903 A KR 20147021903A KR 102148126 B1 KR102148126 B1 KR 102148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resin layer
optical film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1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5779A (ko
Inventor
겐지 나스
게이이치 사토
유키 혼고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5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2Polyeth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적어도 기재의 일방의 면 상에,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함유하는 수지층이 형성된 광학용 필름으로서, 상기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1 분자 중에 2 개 이상의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기를 갖고, 또한 그 기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 중에 알킬렌옥사이드 단위를 함유하지 않은 중합성 화합물 (A), 1 분자 중에 3 개 이상의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 (B), 및 중합 개시제 (C) 를 함유하고, (A) 성분과 (B) 성분의 질량비 [(A)/(B)] 가 15/85 ∼ 85/15 인 광학용 필름은, 인쇄 재료와의 밀착성 및 점착제와의 접착성이 우수함과 함께, 표면 경도가 높기 때문에 양호한 흠집 방지 성능을 갖고, 고온 고습의 환경하에서 장시간 방치하였다 하더라도 이들의 특성이 유지되는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다.

Description

광학용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FILM FOR OPTICAL APPLICATIONS,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광학용 필름 및 당해 광학용 필름을 사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등의 모바일 기기의 표면에 흠집 방지를 목적으로 하여, 하드 코트 (이하, 「HC」라고도 한다) 층을 갖는 HC 필름이 점착제를 개재하여 첩부되는 경우가 많다. 또, 그 HC 필름의 HC 층 표면에는, 모바일 기기 표면의 의장성을 높일 목적으로 가식 인쇄가 실시되는 경우가 있다.
HC 층은, 다수의 불포화 결합의 중합에 의해 고밀도로 가교된 수지층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HC 층에 대한 잉크 등의 인쇄 재료의 밀착성은 낮은 경향이 있다.
또, HC 층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에는, 형성되는 HC 층 표면을 평활하게 하는 목적이나 도포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에서, 실리콘계나 불소계 등의 레벨링제가 배합되는 경우가 있다. 통상, 실리콘계나 불소계 등의 레벨링제를 배합하면, 형성되는 HC 층 표면은 저극성이 되기 때문에, 인쇄 재료와의 친화성이 낮아져 인쇄 재료와의 밀착성이 더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여러가지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흠집 방지 성능 및 인쇄 적정이 우수한 HC 층을 갖는 HC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광중합 개시제, (메트)아크릴레이트모노머와 알킬아미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모노머 및/또는 인산염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특정 질량비로 함유하는 HC 층을 갖는 HC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열 전사 프린터를 사용한 열 전사 인쇄법에 의해 HC 층에 직접 인쇄를 가능하게 하는 HC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기재 (基材) 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표면 장력이 특정값 이상인 HC 층을 형성한 HC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6160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10902호
그러나, 특허문헌 1 과 같이 HC 층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서 알킬아미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모노머 등의 특수한 모노머를 사용했다 하더라도, 형성되는 HC 층의 인쇄 재료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아직 불충분하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HC 층면의 표면 장력을 특정값 이상으로 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대한 개시가 없다.
게다가, HC 필름을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하는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는, 통상 기판과 액정 사이에, 여러 가지 광학 요소 향상을 위해서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그래서,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HC 필름은,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층을 개재하여 다른 층 (광학용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층) 과 첩부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일반적인 HC 필름의 HC 층은, 인쇄 재료와의 밀착성이 낮은 것과 동일한 이유로 점착제와의 접착성도 나쁘기 때문에, 점착제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HC 층을 구비한 HC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인쇄 재료와의 밀착성 및 점착제와의 접착성이 우수함과 함께, 표면 경도가 높기 때문에 양호한 흠집 방지 성능을 갖고, 고온 고습 환경하에서 장시간 방치하였다 하더라도 이들 특성이 유지되는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광학용 필름 및 그 광학용 필름을 사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HC 층의 역할을 하는 광학용 필름의 수지층을 형성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서 특정 구조를 갖는 2 종류의 중합성 화합물을, 특정 비율로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다음 [1] ∼ [8] 을 제공한다.
[1] 적어도 기재의 일방의 면 상에,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함유하는 수지층이 형성된 광학용 필름으로서,
상기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1 분자 중에 2 개 이상의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기를 갖고, 또한 그 기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 중에 알킬렌옥사이드 단위를 함유하지 않은 중합성 화합물 (A), 1 분자 중에 3 개 이상의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 (B), 및 중합 개시제 (C) 를 함유하고, (A) 성분과 (B) 성분의 질량비 [(A)/(B)] 가 15/85 ∼ 85/15 인, 광학용 필름.
[화학식 1]
Figure 112014074032375-pct00001
[상기 일반식 (1) 중,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 는 결합 부분을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112014074032375-pct00002
[상기 일반식 (2) 중, R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5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n 은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다. * 는 결합 부분을 나타낸다.]
[2] 중합성 화합물 (B) 의 1 분자에 있어서의, 상기 일반식 (2) 중의 n 의 합계값이 4 ∼ 20 인, 상기 [1] 에 기재된 광학용 필름.
[3] 상기 일반식 (2) 중의 A 가 각각 독립적으로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인,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광학용 필름.
[4] 상기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추가로 레벨링제 (D) 를 함유하는,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용 필름.
[5] 상기 수지층의 표면 장력이 30 mN/m 이상인,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용 필름.
[6] 상기 기재의 양면에, 상기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함유하는 수지층이 형성된, 상기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용 필름.
[7] 상기 기재의 수지층이 형성된 면과 반대 측 및 동일 측의 적어도 일방의 면 상에,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갖는,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용 필름.
[8] 상기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용 필름을 사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의 광학용 필름은, 인쇄 재료와의 밀착성 및 점착제와의 접착성이 우수함과 함께, 표면 경도가 높기 때문에 양호한 흠집 방지 성능을 갖고, 고온 고습의 환경하에서 장시간 방치하였다 하더라도 이들 특성이 유지되는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광학용 필름의 제 1 형태인 기재의 일방의 면 상에 수지층이 형성된 광학용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광학용 필름의 제 2 형태인 기재의 양면의 면 상에 수지층이 형성된 광학용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광학용 필름의 제 3 형태인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용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광학용 필름의 제 4 형태인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용 필름의 단면도이다.
[광학용 필름]
본 발명의 광학용 필름은, 적어도 기재의 일방의 면 상에,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함유하는 수지층이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광학용 필름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재 (11) 의 일방의 면 상에 수지층 (12) 이 형성된 광학용 필름 (1) 에 한정되지 않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재 (11) 의 양면에, 상기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함유하는 수지층 (12a, 12b) 이 형성된 광학용 필름 (2) 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의 광학용 필름은, 기재의 수지층이 형성된 면과 반대 측 및 동일 측의 적어도 일방의 면 상에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용 필름이어도 된다.
요컨대, 점착제층의 위치는, 기재의 수지층이 형성된 면과 반대 측의 면 상에 형성해도 되고, 수지층의 면 상에 형성해도 되고, 수지층의 반대 측 및 수지층의 면 상의 쌍방에 형성해도 된다.
도 3 에는, 점착제층을 갖는 본 발명의 광학용 필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3(a) 의 광학용 필름 (1a) 은, 기재 (11) 의 수지층 (12) 이 형성된 면과 반대 측인 면 상에 점착제층 (13) 을 갖는 광학용 필름이다. 또, 도 3(b) 의 광학용 필름 (1b) 은, 기재 (11) 의 수지층 (12) 이 형성된 면과 동일 측인 면 상에 점착제층 (13) 을 갖는 광학용 필름이고, 수지층 (12) 의 면 상에 점착제층 (13) 을 갖는다. 또한, 도 3(c) 의 광학용 필름 (1c) 은, 기재 (11) 의 수지층 (12) 이 형성된 면과 동일 측 및 반대 측의 면 상의 쌍방에, 점착제층 (13a, 13b) 을 갖는 광학용 필름으로, 수지층 (12) 의 면 상에 점착제층 (13a) 을 갖고, 수지층 (12) 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 측인 기재 (11) 의 면 상에 점착제층 (13b) 을 갖는다.
또, 점착제층이 표출되는 경우에는, 추가로 점착제층 상에 박리재를 적층시켜도 된다.
또한, 기재의 양면의 면 상에 수지층이 형성된 광학용 필름에 대해서도, 각 수지층의 면 상에 추가로 점착제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그러한 점착제층이 형성된 광학용 필름의 구성으로는,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광학용 필름 (2a, 2b) 의 구성을 들 수 있다. 광학용 필름 (2a) 은, 기재 (11) 의 양면의 면 상에 수지층 (12a, 12b) 이 형성되고, 추가로 수지층 (12b) 의 면 상에만 점착제층 (13) 을 갖는다. 한편, 광학용 필름 (2b) 은, 기재 (11) 의 양면에 형성된 수지층 (12a, 12b) 의 쌍방의 면 상에 점착제층 (13a, 13b) 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광학용 필름을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기재]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기재는, 광학용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기재를 구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라미드,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페닐렌술파이드, 폴리(4-메틸펜텐-1),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부타디엔,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 비닐, 염화 비닐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수지,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불소 수지,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가공성, 투명성 등의 광학 특성, 범용성 및 비용 면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또, 기재의 표면에는, 프라이머 처리나 코로나 처리 등의 접착 용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기재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지만, 바람직하게는 5 ∼ 3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2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100 ㎛ 이다.
[수지층]
본 발명의 광학용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층은, (A) ∼ (C) 성분을 함유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하, 간단히 「수지 조성물」이라고도 한다) 의 경화물을 함유하는 층이다.
당해 수지층은, 상기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 이외의 수지 성분 등을 함유해도 된다.
당해 수지층에 있어서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의 함유량은, 수지층의 전체 질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70 ∼ 10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10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100 질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1 분자 중에 2 개 이상의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기를 갖고, 또한 그 기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 중에 알킬렌옥사이드 단위를 함유하지 않은 중합성 화합물 (A), 1 분자 중에 3 개 이상의 상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 (B), 및 중합 개시제 (C) 를 함유한다.
또, 당해 수지 조성물은, 추가로 레벨링제 (D) 나 기타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은, 중합성 화합물 (A) 와 함께 중합성 화합물 (B) 를 함유함으로써,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수지층의 표면 경도를 높여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수지층의 인쇄 재료와의 밀착성 및 점착제와의 접착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A) 성분:1 분자 중에 2 개 이상의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기를 갖고, 또한 그 기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 중에 알킬렌옥사이드 단위를 함유하지 않은 중합성 화합물 (A))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은, 1 분자 중에 2 개 이상의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기를 갖고, 또한 그 기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 중에 알킬렌옥사이드 단위를 함유하지 않은 중합성 화합물 (A) 를 함유한다. 중합성 화합물 (A) 를 함유함으로써,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수지층의 표면 경도를 높일 수 있다. 또, 당해 수지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4074032375-pct00003
[상기 일반식 (1) 중,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 는 결합 부분을 나타낸다.]
중합성 화합물 (A) 의 1 분자 중에 갖는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기의 수는, 2 개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 ∼ 16 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12 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10 개,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 8 개이다.
상기 기의 수가 2 개 미만이면, 충분한 가교 구조가 형성되지 않고,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수지층의 표면 경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기의 수가 16 개 이하이면, 가교 밀도가 지나치게 높아짐으로 인한,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수지층의 인쇄 특성이나 밀착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경화 수축으로 인한 컬의 발생도 억제할 수도 있다.
또, 중합성 화합물 (A) 는,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기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 중에 알킬렌옥사이드 단위를 함유하지 않은 화합물이다. 알킬렌옥사이드 단위를 함유하는 화합물은, 알킬렌옥사이드 구조의 사슬 길이가 길기 때문에, 가교점 사이 거리가 길어져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수지층 전체의 구조가 성기게 되는 경향이 있고, 결과적으로 수지층의 표면 경도의 저하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A) 성분으로는, 알킬렌옥사이드 단위를 함유하지 않은 중합성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수지층의 표면 경도를 높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중합성 화합물 (A) 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분자 내에 2 개 이상의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기를 갖고, 그 기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 중에 알킬렌옥사이드 단위를 함유하지 않은 올리고에스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류, 올리고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류, 올리고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류 및 올리고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A)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B) 성분:1 분자 중에 3 개 이상의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 (B))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은, 1 분자 중에 3 개 이상의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 (B) 를 함유한다.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메트)아크릴로일기와 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이 직접 결합된 기를 1 분자 중에 3 개 이상 갖는 중합성 화합물 (B) 를, (A) 성분과 함께 함유함으로써,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수지층의 가교 밀도를 적당히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표면 경도를 유지하면서 수지층에 극성을 부여하여, 인쇄 재료와의 밀착성이나 점착제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화학식 4]
Figure 112014074032375-pct00004
상기 일반식 (2) 중, R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또한, * 는 결합 부분을 나타낸다.
A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5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지만,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가 바람직하고, 에틸렌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A 가 당해 알킬렌기임으로써,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수지층의 가교 밀도를 적당히 저하시켜 인쇄 재료와의 밀착성이나 점착제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중합성 화합물 (B) 의 1 분자 중에 함유되는 전체 알킬렌옥사이드 단위에 대한 에틸렌옥사이드 단위의 함유량은, 인쇄 재료와의 밀착성이나 점착제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60 ∼ 10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 100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 100 몰%,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 100 몰% 이다.
n 은 알킬렌옥사이드 단위의 수를 나타내고,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다.
또, 중합성 화합물 (B) 의 1 분자에 있어서의, 상기 일반식 (2) 중의 n 의 합계값 (중합성 화합물 (B) 의 1 분자 중의 알킬렌옥사이드 단위의 합계 수) 은 3 이상이지만, 얻어지는 광학용 필름의 인쇄 재료와의 밀착성이나 점착제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고, 표면 경도를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4 ∼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6 ∼ 16, 더욱 바람직하게는 8 ∼ 14 이다.
당해 합계값이 4 이상이면,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수지층의 가교 밀도를 적당히 저하시켜, 인쇄 재료와의 밀착성이나 점착제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당해 합계값이 20 이하이면, 가교 밀도를 과도하게 저하시키는 일이 없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표면 경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중합성 화합물 (B) 의 1 분자 중에 갖는 상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기의 수는, 3 개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 ∼ 16 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12 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10 개,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3 ∼ 8 개, 특히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8 개이다.
당해 기의 수가 3 개 미만이면,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수지층의 가교 밀도가 저하되게 되고, 표면 경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게다가 수지층의 내구성이 저하된다.
한편, 16 개 이하이면, 가교 밀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에 따른 인쇄 특성이나 밀착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중합성 화합물 (B) 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렌옥사이드 변성 글리세린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알킬렌옥사이드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알킬렌옥사이드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B)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A) 성분과 (B) 성분의 질량비 [(A)/(B)] 는 15/85 ∼ 85/15 이지만, 바람직하게는 20/80 ∼ 80/20, 보다 바람직하게는 28/72 ∼ 72/28, 더욱 바람직하게는 35/65 ∼ 65/35,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41/59 ∼ 59/41, 특히 더 바람직하게는 46/54 ∼ 54/46 이다.
당해 질량비가 15/85 미만이면, (B) 성분의 양이 지나치게 많기 때문에,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수지층의 표면 경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게다가, 수지층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당해 질량비가 85/15 를 초과하면, (A) 성분의 양이 지나치게 많기 때문에,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수지층의 인쇄 재료와의 밀착성 및 점착제와의 접착성이 열등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 중에 함유되는 전체 성분에 대한 (A) 성분과 (B) 성분과 합계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70 ∼ 99.9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99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98 질량% 이다.
((C) 성분:중합 개시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중합 개시제 (C) 로서는, (A) 성분 및 (B) 성분의 중합성 화합물의 중합 반응을 촉진시키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광중합 개시제 혹은 열중합 개시제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고, 이것들을 병용해도 된다.
광중합성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벤조인계, 티오크산톤계 및 이미다졸계 광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디에톡시아세토페논, 2-하이드록시-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메틸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1,2-(디메틸아미노)-2-[(4-메틸페닐)메틸]-1-[4-(4-모르폴리닐)페닐]-1-부타논, 벤질디메틸케탈,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2-하이드록시-1-{4-[4-(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오닐)-벤질]페닐}-2-메틸프로판-1-온,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 4-페닐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술파이드, 3,3',4,4'-테트라(ter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2,4,6-트리메틸벤조페논,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벤조인, 메틸벤조인, 에틸벤조인 등의 벤조인 화합물,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벤조인페닐에테르 등의 벤조인에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4-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1-클로로-4-프로폭시티오크산톤, 2,4-디클로로티오크산톤 등을 들 수 있다.
이미다졸계 광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2,2'-비스(o-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비스이미다졸릴, 2,2'-비스(o-클로로페닐)-4,4',5,5'-테트라-(p-메톡시페닐)비스이미다졸릴,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등의 헥사아릴비스이미다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광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또, 열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과산화 벤조일, t-부틸퍼벤조에이트,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n-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톡시에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부틸퍼옥시비발레이트, t-헥실퍼옥시피발레이트, (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사이드, 디프로피오닐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디아세틸퍼옥사이드와 같은 유기 과산화물;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닐),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4-메톡시발레로니트릴), 디메틸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 2,2'-아조비스(2-하이드록시메틸프로피오니트릴),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판] 과 같은 아조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열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이들의 중합 개시제 중에서도, 반응성 관점에서 광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고,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 (C) 의 배합량은, (A) 성분 및 (B) 성분의 총량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1 ∼ 3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20 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15 질량부,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8 질량부이다.
((D) 성분:레벨링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에는, 얻어지는 HC 층의 평활성 및 도포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추가로 레벨링제 (D) 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벨링제 (D) 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레벨링제, 실리콘계 레벨링제, 불소계 레벨링제, 아크릴계 레벨링제, 비닐계 레벨링제 및 실록산 변성 아크릴계 레벨링제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레벨링제로는, 폴리옥시알킬렌과 폴리디메틸실록산의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계 레벨링제의 시판품으로는, FZ-2118, FZ-77, FZ-2161 (상품명, 토레ㆍ다우코닝 주식회사 제조) 등, KP321, KP323, KP324, KP326, KP340, KP341 (상품명, 신에츠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등, TSF4440, TSF4441, TSF4445, TSF4450, TSF4446, TSF4452, TSF4453, TSF4460 (상품명, 모멘티브ㆍ퍼포먼스ㆍ마테리알즈ㆍ재팬 합동회사 제조) 등, BYK-300, BYK-302, BYK-306, BYK-307, BYK-320, BYK-325, BYK-330, BYK-331, BYK-333, BYK-337, BYK-341, BYK-344, BYK-345, BYK-346, BYK-348, BYK-377, BYK-378, BYK-UV3500, BYK-3510, BYK-3570 (빅케미ㆍ재팬 주식회사 제조) 등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오일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실리콘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레벨링제로는, 폴리옥시알킬렌과 플루오로카본의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불소계 레벨링제의 시판품으로는, DIC 주식회사 제조의 MEGAFAC 시리즈, 스미토모 3M 주식회사 제조의 FC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레벨링제의 시판품으로는 BYK-350, BYK-352, BYK-354, BYK-355, BYK358N, BYK-361N, BYK-380N, BYK-381, BYK-392 (상품명, 빅케미ㆍ재팬 주식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또, 실록산 변성 아크릴계 레벨링제의 시판품으로는 BYK-3550 (상품명, 빅케미ㆍ재팬 주식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레벨링제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수지층의 평활성, 그리고 도포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아크릴계 레벨링제 또는 실록산 변성 아크릴계 레벨링제가 바람직하고, 실록산 변성 아크릴계 레벨링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레벨링제 (D) 의 배합량은, (A) 성분 및 (B) 성분의 총량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1 ∼ 1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 5 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6 ∼ 3 질량부이다.
(기타 첨가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이외의 기타 첨가제를 배합해도 된다.
그러한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소포제, 증점제, 계면 활성제, 유기계 윤활제, 유기계 미립자, 무기계 미립자,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발포제, 염료, 안료, 대전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첨가제를 배합하는 경우, 첨가제 함유량의 총량은, 수지 조성물 중에 함유되는 전체 성분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1 ∼ 1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7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 3 질량% 이다.
(수지층의 형성 방법)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에는, 기재에 도포하기 쉽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추가로 유기 용매로 희석하여, 수지층 형성용 도포액을 조제해도 된다.
유기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아세트산 에틸, 테트라 하이드로푸란, 디옥산, 시클로헥산, n-헥산, 톨루엔, 자일렌,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지층 형성용 도포액의 고형분 농도로는, 바람직하게는 10 ∼ 6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4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30 질량% 이다. 10 질량% 이상이면, 용제의 사용량으로는 충분하고, 60 질량% 이하이면, 적당한 점도가 되어 도포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 수지층 형성용 도포액을 기재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그라비아 코트법, 바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스핀 코트법, 롤 코트법, 다이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에어 나이프 코트법, 커튼 코트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도포액을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시킨 후, 용매나 저비점 성분의 잔류를 방지하는 관점에서, 형성된 도포막에 대해 80 ℃ ∼ 150 ℃ 정도의 온도에서 30 초 ∼ 5 분간 정도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은 상기 도포막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경화시키는 방법으로는, (C) 성분으로서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또한 (C) 성분으로서 열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열함으로써 진행시킬 수 있고, 이것들을 병용할 수도 있다.
활성 에너지선으로는, 자외선, 전자선, α 선, β 선 등을 들 수 있고,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 반응을 진행시키는 경우, 자외선의 적산 광량은, 바람직하게는 100 mJ/㎠ ∼ 2000 mJ/㎠,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mJ/㎠ ∼ 1000 mJ/㎠ 이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수지층의 두께로는, 하드 코트성과 비용의 관점, 그리고 수축을 작게 하여 컬의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 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5 ㎛,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0 ㎛ 이다.
(수지층의 물성)
수지층의 표면 장력은, 잉크 등의 인쇄 재료의 뭉침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 mN/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3 mN/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mN/m 이상이다.
또한, 상기 수지층의 표면 장력의 값은, 「JIS K6768:1999」의 젖음 장력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된 값이고, 구체적으로는 실시예의 기재에 기초하여 측정된 값이다.
수지층의 표면 경도를 나타내는 연필 경도로는, F 이상의 경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H 이상의 경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H 이상의 경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지층의 연필 경도는, JIS K5600-5-4 에 준하여 측정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실시예의 기재에 기초하여 측정된 것이다.
[점착제층]
본 발명의 광학용 필름에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형성해도 된다.
사용하는 점착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일반적으로 관용되고 있는 것 중에서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착제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폴리우레탄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점착제는, 에멀션형, 용제형, 무용제형 중 어느 것이도 되고, 가교 타입 또는 비가교 타입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점착제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지만, 바람직하게는 3 ∼ 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80 ㎛ 이다.
[디스플레이 장치]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광학용 필름은, 인쇄 재료와의 밀착성 및 점착제와의 접착성이 우수함과 함께, 표면 경도가 높기 때문에 양호한 흠집 방지 성능을 가져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광학용 필름의 용도로는, 화상 표시 부분의 보호 부재로서 당해 광학용 필름을 사용한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당해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 표시 부분의 보호 부재로서 본 발명의 광학용 필름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화상 표시 부분의 흠집 방지 성능이 양호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다.
실시예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12, 비교예 1 ∼ 13]
표 1 및 2 에 나타내는 배합량 (모두 질량부 (고형분비)) 으로 (A) ∼ (D) 성분을 혼합하여,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조제한 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 30 질량% 의 수지층 형성용 도포액을 얻었다.
그리고, 기재로서 사용한 양면에 접착 용이 처리가 실시된 접착 용이층이 부착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 (상품명 「루미라 U48」, 토레 (주) 제조, 막두께 100 ㎛) 의 일방의 면 상에, 마이어 바를 사용하여 건조 후의 막두께가 3 ㎛ 가 되도록 조제한 수지층 형성용 도포액을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하였다. 그 후, 도포막을 80 ℃ 에서 1 분간 건조 후, 고압 수은 램프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300 mJ/㎠ (적산 광량) 조사하고 도포막을 경화시켜, 막두께 3 ㎛ 의 수지층을 갖는 광학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표 1 및 2 중의 각 성분으로서 사용한 화합물은 이하와 같다.
[(A) 성분]
ㆍA-TMN-3L:하기 식 (A-1) 로 나타내는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 (주) 제조, 상품명,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기 (R:수소 원자) 를 3 개 갖는 아크릴레이트).
[화학식 5]
Figure 112014074032375-pct00005
ㆍA-DPH:하기 식 (A-2) 로 나타내는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 (주) 제조, 상품명,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기 (R:수소 원자) 를 6 개 갖는 아크릴레이트).
[화학식 6]
Figure 112014074032375-pct00006
[(B) 성분]
ㆍA-DPH-12E:하기 식 (B-1) 로 나타내는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 (주) 제조, 상품명, 상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기 (R1:수소 원자, A:에틸렌기) 를 6 개 갖는 아크릴레이트 (1 분자에 있어서의, 상기 일반식 (2) 중의 n 의 합계값은 12 이다)).
[화학식 7]
Figure 112014074032375-pct00007
ㆍA-GLY-9E:하기 식 (B-2) 로 나타내는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글리세린트리 아크릴레이트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 (주) 제조, 상품명, 상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기 (R1:수소 원자, A:에틸렌기) 를 3 개 갖는 아크릴레이트 (1 분자에 있어서의, 상기 일반식 (2) 중의 n 의 합계값은 9 이다)).
[화학식 8]
Figure 112014074032375-pct00008
[기타 중합성 화합물]
ㆍDMAA:디메틸아크릴아미드.
ㆍA-200:하기 식 (b-1) 로 나타내는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 (주) 제조, 상품명, 상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기 (R1:수소 원자, A:에틸렌기) 를 2 개 갖는 아크릴레이트 (1 분자에 있어서의, 상기 일반식 (2) 중의 n 의 합계값은 4 이다)).
[화학식 9]
Figure 112014074032375-pct00009
ㆍA-BPE-6:하기 식 (b-2) 로 나타내는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 (주) 제조, 상품명, 상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기 (R1:수소 원자, A:에틸렌기) 를 2 개 갖는 아크릴레이트 (1 분자에 있어서의, 상기 일반식 (2) 중의 n 의 합계값은 6 이다)).
[화학식 10]
Figure 112014074032375-pct00010
[(C) 성분]
ㆍ이르가큐어 184: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BASF 사 제조, 상품명,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D) 성분]
ㆍBYK-3550:실록산 변성 아크릴계 레벨링제 (빅케미ㆍ재팬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제조된 광학용 필름에 대해 이하의 시험을 실시하여, 광학용 필름의 특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 및 2 에 나타낸다.
<표면 장력>
「JIS K6768:1999」의 젖음 장력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수지층의 표면 장력 (mN/m) 을 측정하였다.
<인쇄 재료와의 밀착성>
광학용 필름의 수지층의 표면에 자외선 경화형 잉크 (상품명 「UVPAL911 스미」, 테이코쿠 잉크 (주) 사 제조) 를 도포하고, 자외선 조사하여 잉크를 경화시켜, 막두께 1 ㎛ 의 인쇄층을 형성한 광학용 필름을 얻었다.
그리고, 인쇄층의 표면에 크로스 컷 형상으로 1 ㎜ 폭의 크로스 컷을 실시하고, 그 크로스 컷 형상으로 크로스 컷된 인쇄층의 표면에 점착 테이프 (니치반사 제조, 상품명 「셀로테이프 (등록 상표)」) 를 붙여, 「JIS K5600-5-6」의 크로스 컷 테이프법 (크로스 컷법) 에 준거하여, 점착 테이프의 박리 시험을 실시하고, 하기 기준에 의해 수지층의 인쇄 재료와의 밀착성을 평가하였다.
AA:인쇄층의 표면을 크로스 컷하여 형성된 컷선의 가장자리가 완전히 매끄러워, 어느 격자의 눈금에도 벗겨짐이 없다.
A:인쇄층의 표면을 크로스 컷하여 형성된 컷선의 교차점에 있어서 작은 벗겨짐이 있다. 크로스 컷 부분에서 명확히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부분의 비율이 전체의 5 % 이하이다.
B:인쇄층의 표면을 크로스 컷하여 형성된 컷선의 가장자리를 따라 및/또는 컷선의 교차점에 있어서 벗겨짐이 있다. 크로스 컷 부분에서 명확히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부분의 비율이 전체의 5 % 초과 15 % 이하이다.
C:인쇄층의 표면을 크로스 컷하여 형성된 컷선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분적 또는 전면적으로 큰 벗겨짐을 일으키고, 및/또는 형성된 몇 군데의 눈금이 부분적 또는 전면적으로 벗겨져 있다. 크로스 컷 부분에서 명확히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부분의 비율이 전체의 15 % 초과 35 % 이하이다.
D:인쇄층의 표면을 크로스 컷하여 형성된 컷선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분적 또는 전면적으로 큰 벗겨짐을 일으키고, 및/또는 형성된 몇 군데의 눈금이 부분적 또는 전면적으로 벗겨져 있다. 크로스 컷 부분에서 명확히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부분의 비율이 전체의 35 % 초과 65 % 이하이다.
E:크로스 컷 부분에서 명확히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부분의 비율이 전체의 65 % 초과이다.
<잉크 뭉침>
수지층의 표면에 자외선 경화형 잉크 (제품명 「UVPAL911 스미」, 테이코쿠 잉크 주식회사 제조) 를 도포했을 때의 잉크의 뭉침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A:뭉침이 보이지 않는다.
B:단부에만 뭉침이 보인다 (그 이외의 부분에는, 뭉침이 보이지 않는다
C:전체면에서 뭉침이 보인다.
<점착제와의 접착성 (점착력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광학용 필름을, 양면 테이프 (린테크사 제조, 제품명 「TL-85S-12」) 를 사용하여, 유리판 (NSG 프레시젼사 제조, 제품명 「코닝 글라스 이글 XG」, 사이즈:70 ㎜ × 150 ㎜ × 0.3 ㎜) 에 첩부하여 수지층이 표출된 피착체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점착력 평가용의 점착 시트 (린테크사 제조, 제품명 「PET25(A) P1069111LL」) 를 25 ㎜ × 250 ㎜ 의 사이즈로 잘라내어, 점착 시트의 박리재를 박리시킨 후, 상기 피착체의 수지층의 면 상에 첩부하였다.
그 후, 23 ℃, 50 %RH (상대 습도) 의 환경하에서 24 시간 방치하고, 동 환경하에서, 인장 시험기 (오리엔테크사 제조, 제품명 「텐실론」) 를 사용하여, JIS Z0237 에 준하여 박리 속도 300 ㎜/분, 박리 각도 180°의 조건에서 점착력 (N/25㎜) 을 측정하였다.
<연필 경도>
JIS K5600-5-4 에 준하여, 연필 긁기 경도 시험기 (야스다 정밀 기계 제작소사 제조, 제품명 「No.553-M」) 를 사용하여 수지층 표면의 연필 경도를 측정하였다. 긁기 속도는 1 ㎜/초로 하였다.
<도포 적성>
상기 서술한 광학용 필름의 제작 과정에 있어서, PET 필름의 면 상에, 조제한 수지층 형성용 도포액을 도포했을 때, 뭉침에 의한 핀홀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A:핀홀의 발생은 보이지 않았다.
B:약간 핀홀의 발생이 보였다.
C:핀홀의 발생이 현저히 보였다.
<내구성 시험>
본 시험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인쇄 재료와의 밀착성」에서의 기재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인쇄층을 형성한 광학용 필름을 사용하였다. 당해 광학용 필름을, 60 ℃, 90 %RH (상대 습도) 환경하에서, 240 시간 방치하여 촉진시킨 후, 인쇄층의 표면에 10 × 10 의 합계 100 매스의 매스 눈금이 형성되도록, 크로스 컷 형상으로 1 ㎜ 폭의 10 × 10 의 100 매스의 크로스 컷을 실시하고, 그 크로스 컷 형상으로 크로스 컷된 인쇄층의 표면에 점착 테이프 (니치반사 제조, 상품명 「셀로테이프 (등록 상표)」) 를 붙였다. 그리고, JIS K5600-5-6 (크로스 컷법) 의 크로스 컷 테이프법에 준거하여 그 점착 테이프를 박리시켜 박리 시험을 실시하고, 수지층의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표 1 및 2 에는, 매스 눈금의 총수 100 매스 중, 박리 시험 후에 인쇄층이 박리되지 않고 남은 매스 눈금의 수를 기재하고 있다.
Figure 112014074032375-pct00011
Figure 112014074032375-pct00012
표 1 로부터, 실시예 1 ∼ 12 의 본 발명의 광학용 필름은, 그 필름의 수지층의 표면 장력이 높고, 인쇄 재료와의 밀착성 및 점착제와의 접착성이 우수함과 함께, 표면 경도가 높기 때문에 흠집 방지 성능이 우수하고, 또한 내구성도 양호함을 알 수 있다.
한편, 표 2 로부터 비교예 1 ∼ 13 의 광학용 필름은, 인쇄 재료와의 밀착성, 점착제와의 접착성, 그 필름의 수지층의 표면 강도 및 내구성 중에서 어느 항목은 열등한 결과가 되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광학용 필름은, 인쇄 재료와의 밀착성 및 점착제와의 접착성이 우수함과 함께, 표면 경도가 높기 때문에 양호한 흠집 방지 성능을 갖고,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을 갖기 때문에, 본 발명의 광학용 필름은,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재로서 바람직하다.
1, 1a, 1b, 1c, 2, 2a, 2b:광학용 필름
11:기재
12, 12a, 12b:수지층
13, 13a, 13b:점착제층

Claims (15)

  1. 적어도 기재의 일방의 면 상에,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함유하는 수지층이 형성된 광학용 필름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1 분자 중에 2 개 이상의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기를 갖고, 또한 그 기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 중에 알킬렌옥사이드 단위를 함유하지 않은 중합성 화합물 (A), 1 분자 중에 3 개 이상의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 (B), 및 중합 개시제 (C) 를 함유하고, (A) 성분과 (B) 성분의 질량비 [(A)/(B)] 가 15/85 ∼ 59/41 이고,
    상기 수지층이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 또는 인쇄 재료로 이루어지는 인쇄층과 직접 적층되기 위해 사용되고, 그 점착제층 또는 인쇄층을 적어도 갖는,
    광학용 필름.
    Figure 112020026361789-pct00013

    [상기 일반식 (1) 중,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 는 결합 부분을 나타낸다.]
    Figure 112020026361789-pct00014

    [상기 일반식 (2) 중, R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5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n 은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고, n 의 합계값 (중합성 화합물 (B) 의 1 분자 중의 알킬렌옥사이드 단위의 합계 수) 은, 8 ~ 20 이다. * 는 결합 부분을 나타낸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2) 중의 A 가 각각 독립적으로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인, 광학용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추가로 레벨링제 (D) 를 함유하는, 광학용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의 표면 장력이 30 mN/m 이상인, 광학용 필름.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의 표면 장력이 30 mN/m 이상인, 광학용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양면에, 상기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함유하는 수지층이 형성된, 광학용 필름.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양면에, 상기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함유하는 수지층이 형성된, 광학용 필름.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양면에, 상기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함유하는 수지층이 형성된, 광학용 필름.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양면에, 상기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함유하는 수지층이 형성된, 광학용 필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수지층이 형성된 면에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이 형성되고, 기재의 수지층이 형성된 면과 반대 측의 면에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광학용 필름.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수지층이 형성된 면에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이 형성되고, 기재의 수지층이 형성된 면과 반대 측의 면에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광학용 필름.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수지층이 형성된 면에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이 형성되고, 기재의 수지층이 형성된 면과 반대 측의 면에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광학용 필름.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수지층이 형성된 면에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이 형성되고, 기재의 수지층이 형성된 면과 반대 측의 면에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광학용 필름.
  15.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용 필름을 사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7021903A 2012-02-06 2013-02-05 광학용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48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23453 2012-02-06
JP2012023453A JP6074144B2 (ja) 2012-02-06 2012-02-06 光学用フィルム、並びにディスプレイ装置
PCT/JP2013/052605 WO2013118720A1 (ja) 2012-02-06 2013-02-05 光学用フィルム、並びにディスプレイ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779A KR20140125779A (ko) 2014-10-29
KR102148126B1 true KR102148126B1 (ko) 2020-08-26

Family

ID=48947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1903A KR102148126B1 (ko) 2012-02-06 2013-02-05 광학용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074144B2 (ko)
KR (1) KR102148126B1 (ko)
CN (1) CN104115036B (ko)
TW (1) TWI586770B (ko)
WO (1) WO20131187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7321B2 (ja) * 2013-08-05 2017-11-0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プロテクトフィルム付き透明導電性フィルム
TW201606339A (zh) * 2014-07-11 2016-02-16 Mitsubishi Rayon Co 微細凹凸構造體、抗反射物品、顯示器以及汽車用構件
KR101979200B1 (ko) * 2014-10-16 2019-05-1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JP6226104B1 (ja) * 2016-02-24 2017-11-08 東レ株式会社 着色樹脂組成物
JP6291558B2 (ja) * 2016-11-08 2018-03-1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光学用フィルム、並びにディスプレイ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1618A (ja) * 2002-08-30 2004-03-25 Toray Ind Inc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0032795A (ja) 2008-07-29 2010-02-12 Fujifilm Corp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表示装置
JP2011002759A (ja) 2009-06-22 2011-01-06 Dnp Fine Chemicals Co Ltd 反射防止膜
JP2011075705A (ja) * 2009-09-29 2011-04-14 Dainippon Printing Co Ltd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及びディスプレイ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7402A (ja) * 2001-08-15 2003-02-26 Fuji Photo Film Co Ltd ハードコートフイルム
CN101104724B (zh) * 2002-02-01 2010-09-08 纳托科株式会社 光化射线可固化的组合物及其用途
JP2005133026A (ja) * 2003-10-31 2005-05-26 Lintec Corp 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光ディスク
JP2006007434A (ja) * 2004-06-22 2006-01-12 Daikin Ind Ltd 反射防止膜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法
JP5355069B2 (ja) * 2007-12-28 2013-11-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着色硬化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固体撮像素子
JP2009161609A (ja) 2007-12-28 2009-07-23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印刷体
JP5414449B2 (ja) * 2009-10-16 2014-02-12 株式会社トクヤマ 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2011110902A (ja) 2009-11-30 2011-06-09 Fujicopian Co Ltd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加飾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101234851B1 (ko) * 2009-12-31 2013-02-19 제일모직주식회사 하드 코팅 조성물 및 하드코트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CN102791755B (zh) * 2010-03-17 2015-02-18 三菱丽阳株式会社 活性能量线固化性树脂组合物以及表面具有微细凹凸结构的物品
JP5593848B2 (ja) * 2010-05-31 2014-09-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透明導電材
JP2012006321A (ja) * 2010-06-28 2012-01-12 Sumitomo Chemical Co Ltd ディスプレイ保護用樹脂板
JP2012072269A (ja) * 2010-09-28 2012-04-12 Fujifilm Corp 微細構造体
JP6128629B2 (ja) * 2011-04-22 2017-05-17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1618A (ja) * 2002-08-30 2004-03-25 Toray Ind Inc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0032795A (ja) 2008-07-29 2010-02-12 Fujifilm Corp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表示装置
JP2011002759A (ja) 2009-06-22 2011-01-06 Dnp Fine Chemicals Co Ltd 反射防止膜
JP2011075705A (ja) * 2009-09-29 2011-04-14 Dainippon Printing Co Ltd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及びディスプレイ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74144B2 (ja) 2017-02-01
CN104115036B (zh) 2016-05-04
KR20140125779A (ko) 2014-10-29
CN104115036A (zh) 2014-10-22
WO2013118720A1 (ja) 2013-08-15
JP2013160954A (ja) 2013-08-19
TW201343818A (zh) 2013-11-01
TWI586770B (zh) 2017-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0517B1 (ko) 점착 시트, 적층 시트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JP5046721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接着性組成物、そ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175222B2 (ja) 光コリメーティングフィルム
KR102148126B1 (ko) 광학용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5022043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TWI576621B (zh) 偏光器保護膜、其製備方法以及含有該偏光器之偏光板
US20190106599A1 (en) Active-energy-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laminated polarizing film, method for producing same, laminated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1067519B1 (ko) 표면보호용 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
TW201425051A (zh) 附雙面黏著劑之光學薄膜、及使用其之圖像顯示裝置之製造方法
JP2015531021A (ja) ハード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6868343B2 (ja)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868344B2 (ja)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202116954A (zh) 黏著劑層及黏著膜
JP2014156552A (ja) 粘着剤組成物、光学用粘着シート、光学フィルム、及び表示装置
JP7066507B2 (ja) 光硬化性粘着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粘着テープ
JP2014213596A (ja) 樹脂積層体
TW201726872A (zh) 黏著劑及使用其之圖像顯示裝置
JP2013178466A (ja) 偏光板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接着剤
JP2020030342A (ja) 偏光子、偏光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6291558B2 (ja) 光学用フィルム、並びにディスプレイ装置
JP6766417B2 (ja) 硬化性樹脂シート、可撓性電気回路体及び半導体装置
JP5877706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接着剤
JP2017043102A (ja) 光学用フィルム、並びに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3177547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接着剤
JP2021080460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積層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積層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