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729B1 - 단말기, 차량 제어 시스템 및 차량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차량 제어 시스템 및 차량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729B1
KR102144729B1 KR1020180097301A KR20180097301A KR102144729B1 KR 102144729 B1 KR102144729 B1 KR 102144729B1 KR 1020180097301 A KR1020180097301 A KR 1020180097301A KR 20180097301 A KR20180097301 A KR 20180097301A KR 102144729 B1 KR102144729 B1 KR 102144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terminal
vehicle
mounted device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6464A (ko
Inventor
히로키 오카다
도모유키 후나야마
도루 요시하라
시게키 니시야마
마사시 고메야
유우토 가메야마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6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40Features of the power supply for the anti-theft system, e.g. anti-theft batteries, back-up power supply or means to save battery power
    • B60R25/406Power supply in the remote ke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6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in combination with a wake-up circuit
    • G07C2009/003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in combination with a wake-up circuit whereby the wake-up circuit is situated in the keyless data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02D70/2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차량 탑재기(10)와 통신을 행하는 단말기(20)이며, 복수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여 설정하는 제어부와, 단말기(20)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 검출부(22)를 구비한다. 복수의 동작 모드는, 제1 모드와, 제1 모드와 상이한 제2 모드와, 제1 모드 및 제2 모드보다도 차량 탑재기(10)와의 통신이 제한되는 제3 모드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제1 모드 시, 진동 검출부(22)에 있어서 소정 시간 계속해서 진동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3 모드로 전환하고, 제2 모드 시, 진동 검출부(22)에 있어서 소정 시간보다도 긴 시간 계속해서 진동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3 모드로 전환한다.

Description

단말기, 차량 제어 시스템 및 차량 제어 방법{TERMINAL,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차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차량 탑재기와 통신을 행하는 단말기(이하, 「단말기」라 칭함), 상기 단말기와 차량 탑재기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이 실행하는 차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227586호에는, 전자 키가 진동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전자 키의 동작 모드(예를 들어 절전 모드 및 통상 모드)를 전환하여 전자 키의 전력 절약을 도모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227586호에 기재된 시스템에서는, 전자 키 등의 단말기의 진동이 검출되지 않게 되면 곧바로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전환되어 버린다(통상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천이해 버림). 이 때문에, 전자 키 등의 단말기의 진동의 유무가 소정 시간보다도 짧은 기간에서 반복하여 검출되면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빈번히 전환되어 버려, 단말기의 동작 모드의 전환 처리에 전력이 소비되어 전자 키 등의 단말기의 전력 절약을 도모하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빈번한 단말기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더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전력 절약화도 도모할 수 있는 단말기, 차량 제어 시스템 및 차량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단말기는, 차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차량 탑재기와 통신을 행하는 단말기이며, 단말기의 복수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여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와, 단말기의 진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진동 검출부를 구비한다. 단말기의 복수의 동작 모드는, 제1 모드와, 제1 모드와 상이한 제2 모드와, 제1 모드 및 제2 모드보다도 차량 탑재기와의 통신이 제한되는 제3 모드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제1 모드 시, 진동 검출부에 있어서 소정 시간 계속해서 진동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3 모드로 전환하고, 제2 모드 시, 진동 검출부에 있어서 소정 시간보다도 긴 시간 계속해서 진동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3 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단말기에서는, 단말기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 검출부를 사용하여, 소정 시간 계속해서 단말기의 진동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1 모드에서 제3 모드로 전환할 수 있고, 진동 검출부에 있어서 소정 시간보다도 긴 시간 계속해서 단말기의 진동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2 모드에서 제3 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있다.
상술한 제어에 의하여, 단말기의 진동이 검출되지 않게 되더라도 곧바로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에서 제3 모드로 전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기의 진동의 유무가 소정 시간보다도 짧은 기간에서 반복하여 검출된 경우에, 부주의하게 빈번한 단말기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단말기의 진동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3 모드로 전환할 때까지의 시간을, 제1 모드에서는 상대적으로 짧고 제2 모드에서는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하고 있다. 상술에 의하여, 예를 들어 제1 모드에 있어서는, 모드 전환을 신속히 실시하여 단말기의 전력 절약화를 도모함과 함께 외래 노이즈에 의하여 오발신하는 것을 더 경감하고, 제2 모드에 있어서는, 불요한 단말기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방지하는 등의 제어의 분리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있어서, 제어부는, 차량 탑재기에 의한 하차 판정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1 모드로 설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있어서, 제어부는, 차량 탑재기에 의한 승차 판정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2 모드로 설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술한 판정에 의하여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있어서, 승차 판정은, 차량의 모든 도어가 닫힌 것으로 판단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있어서, 하차 판정은,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열린 것으로 판단되어도 된다.
이상의 판단에 의하여 탑승자에 의한 승차 판정 및 하차 판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3 모드 시, 단말기에 대한 제1 입력 조작이 검출된 경우 또는 진동 검출부에 있어서 진동이 검출된 경우에는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1 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술한 제어에 의하여,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제3 모드에 있더라도 단말기의 진동이 검출되면 곧바로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제1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있어서, 제어부는, 단말기가 발생시키는 난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신호를 사용한 소정의 통신이 단말기와 차량 탑재기 사이에서 성공한 경우에 단말기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있어서, 제어부는, 차량 탑재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신호를 사용한 소정의 통신이 단말기와 차량 탑재기 사이에서 성공한 경우에 단말기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실행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있어서, 제어부는, 단말기와 차량 탑재기의 통신 횟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신호를 사용한 소정의 통신이 단말기와 차량 탑재기 사이에서 성공한 경우에 단말기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실행해도 된다.
상술한 제어에 의하여, 단말기는, 차량 탑재기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이 성공한 경우에 한하여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기 때문에 모드 전환에 관한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있어서, 진동 검출부는,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여 진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 시, 단말기에 대한 제2 입력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차량 탑재기와의 통신이 제한되는 제4 모드(이하, 「제4 모드」라 칭함)로 전환하고, 제4 모드 시, 단말기에 대한 제3 입력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 중 어느 것으로 전환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차량 제어 방법은, 차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차량 탑재기와 통신을 행하는 단말기가 실행하는 차량 제어 방법이며, 단말기는, 제1 모드, 제1 모드와 상이한 제2 모드, 그리고 제1 모드 및 제2 모드보다도 차량 탑재기와의 통신이 제한되는 제3 모드의 동작 모드를 갖는다. 차량 제어 방법은, 단말기의 진동을 검출하는 것과, 제1 모드 시, 검출하는 스텝에서 소정 시간 계속해서 진동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3 모드로 전환하는 것과, 제2 모드 시, 검출하는 스텝에서 소정 시간보다도 긴 시간 계속해서 진동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3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관한 차량 제어 시스템은, 차량 탑재기와 단말기를 구비한다. 단말기는 차량 탑재기와 통신을 행하여 차량을 제어한다. 단말기는, 차량 탑재기로부터 송신되는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제1 모드와, 차량 탑재기로부터 송신되는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제2 모드와, 제1 모드 및 제2 모드보다도 차량 탑재기와의 통신이 제한되는 제3 모드를 전환하여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와, 단말기의 진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진동 검출부와, 승차 판정 및 하차 판정을 차량 탑재기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제1 모드 시, 진동 검출부에 있어서 소정 시간 계속해서 진동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3 모드로 전환하고, 제2 모드 시, 진동 검출부에 있어서 소정 시간보다도 긴 시간 계속해서 진동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3 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 및 제3 양태에 의하면, 단말기의 진동이 검출되지 않게 되더라도 곧바로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전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부주의하게 빈번한 단말기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의 단말기, 차량 제어 시스템 및 차량 제어 방법에 의하면, 부주의하게 빈번한 단말기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더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전력 절약화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및 산업적 의의는, 유사 요소들을 유사 도면 부호들로 나타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제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단말기의 상태 천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단말기의 다른 상태 천이도이다.
도 4는 차량 탑재기와 단말기 사이에서 실행되는 통신 시퀀스의 예이다.
[개요]
본 발명의 차량 제어 시스템은, 단말기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 검출부를 사용하여, 소정 시간 계속해서 단말기의 진동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상술에 의하여, 단말기의 진동의 유무가 소정 시간보다도 짧은 기간에서 반복하여 검출된 경우에, 부주의하게 빈번한 단말기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더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전력 절약화도 도모할 수 있다.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제어 시스템(1)의 개략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1)은, 차량에 마련되는 차량 탑재기(10)와, 유저 등에게 휴대되어 운반 가능한 단말기(2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1)은, 차량 탑재기(10)와 단말기(20)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 시퀀스에 의한 암호 대조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차량 탑재기(10)가 단말기(20)를 인증하여, 소정의 차량 제어(차량 도어의 개방이나 시정, 엔진의 시동 등)나, 단말기(20)에 있어서의 소정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실현한다.
단말기(20)는, 차량 조작 전용의 전자 키나, 서버 등으로부터 다운로드된 소정의 키 정보가 설정된 스마트폰 등의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단말기(20)로서 전자 키를 사용한 경우를 일례로 들어 차량 제어 시스템(1)을 설명한다.
<차량 탑재기>
도 1에 있어서, 차량 탑재기(10)는 송수신부(11)와 승차/하차 판정부(12)와 모드 전환 제어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송수신부(11)는 후술하는 전자 키(20)의 송수신부(21)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송수신부(11)는, 모드 전환 제어부(13)에서 생성된 전자 키(2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지시 커맨드(이하, 「모드 전환 커맨드」라 함)를 송신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전자 키(20)에 송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11)는 전자 키(20)에 입력된, 미리 정한 스위치 조작(SW 조작)을 수신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전자 키(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승차/하차 판정부(12)는, 탑승자가 차량에 올라탄 것을 나타내는 승차 판정 및 탑승자가 차량에서 내린 것을 나타내는 하차 판정을 행할 수 있다. 승차 판정은, 예를 들어 차량의 어느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모든 도어가 닫힌 상태로 변화된 것을 검지함으로써 행해도 된다. 승차 판정은, 예를 들어 차실 내에 설치된 착석 센서나 카메라 센서 등의 변화를 검지함으로써 행해도 된다. 승차 판정은, 예를 들어 차량의 서스펜션의 변화를 검지함으로써 행해도 된다. 하차 판정은, 예를 들어 차량의 모든 도어가 닫힌 상태로부터 어느 도어가 열린 상태로 변화된 것을 검지함으로써 행해져도 된다. 하차 판정은, 예를 들어 착석 센서, 카메라 센서, 또는 서스펜션의 변화를 검지함으로써 행해져도 된다.
모드 전환 제어부(13)는, 승차/하차 판정부(12)에서 행해진 승차 판정 또는 하차 판정에 기초하여 모드 전환 커맨드를 생성한다. 모드 전환 제어부(13)는 상기 생성한 모드 전환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송수신부(11)를 제어한다.
상술한 차량 탑재기(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전형적으로는 중앙 연산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메모리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한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로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제어 장치에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소정의 프로그램을 CPU가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소정의 기능이 실현된다.
<전자 키>
도 1에 있어서, 전자 키(20)는 송수신부(21)와 진동 검출부(22)와 모드 전환 제어부(23)를 구비하고 있다.
송수신부(21)는 차량 탑재기(10)의 송수신부(11)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송수신부(21)는, 전자 키(2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모드 전환 커맨드를 수신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차량 탑재기(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21)는 전자 키(20)에 입력된, 미리 정한 스위치 조작(SW 조작)의 정보를 송신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차량 탑재기(10)에 송신할 수 있다.
진동 검출부(22)는, 전자 키(20)가 진동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진동의 검출에는,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진동을 검출한 결과는 모드 전환 제어부(23)에 출력된다.
모드 전환 제어부(23)는, 진동 검출부(22)가 출력하는 진동 검출의 결과 또는 송수신부(21)가 수신한 모드 전환 커맨드에 따라 전자 키(2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여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키(20)는 전환 가능한 동작 모드로서 복수의 모드를 갖고 있다. 복수의 모드의 각각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시스템의 상태 천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제어 시스템(1)에 있어서의 전자 키(20)의 상태 천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제어 시스템(1)에서는, 전자 키(20)가, 전환 가능한 동작 모드로서 제1 모드, 제2 모드, 제3 모드 및 제4 모드를 갖고 있다.
<기본 천이>
1. 제1 모드
제1 모드는, 차량 탑재기(10)에 의한 하차 판정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모드이며, 예를 들어 차실 밖 모드이다. 제1 모드는, 차량 탑재기(10)에서 하차 판정이 행해지면 차량 탑재기(10)로부터 송신되는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에서는 전자 키(20)와 차량 탑재기(10) 사이의 통신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 모드에 있어서, 진동 검출부(22)에 의하여 소정 시간(이하, 「제1 시간 N1」이라 함) 계속해서 전자 키(20)의 진동이 검출되지 않으면, 전자 키(20)의 동작 모드가 제1 모드에서 제3 모드로 전환되어 상태가 천이한다. 제1 모드에 있어서, 차량 탑재기(10)에서 승차 판정이 행해지면, 전자 키(20)의 동작 모드가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되어 상태가 천이한다.
2. 제2 모드
제2 모드는, 차량 탑재기(10)에 의한 승차 판정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모드이며, 예를 들어 차실 내 모드이다. 제2 모드는, 차량 탑재기(10)에서 승차 판정이 행해지면 차량 탑재기(10)로부터 송신되는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는 제1 모드와 마찬가지로, 전자 키(20)와 차량 탑재기(10) 사이의 통신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2 모드에 있어서, 진동 검출부(22)에 의하여 소정 시간(이하, 「제2 시간 N2」이라 함) 계속해서 전자 키(20)의 진동이 검출되지 않거나 또는 차량 탑재기(10)에서 하차 판정이 행해지면, 전자 키(20)의 동작 모드가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전환되어 상태가 천이한다. 전자의 경우, 제2 모드에 있어서, 진동 검출부(22)에 의하여 제2 시간 N2에 더하여 제1 시간 N1 계속해서 전자 키(20)의 진동이 검출되지 않으면, 전자 키(20)의 동작 모드가 제2 모드에서 제3 모드로 전환되게 된다. 따라서 제2 모드에서는, 진동 검출부(22)에 의하여 제1 시간 N1보다도 긴 시간(=제1 시간 N1+제2 시간 N2) 계속해서 전자 키(20)의 진동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전자 키(20)의 동작 모드가 제2 모드에서 제3 모드로 전환되게 된다.
3. 제3 모드
제3 모드는, 진동 검출부(22)에 의한 진동 검출의 결과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모드이다. 상기 제3 모드에서는 전자 키(20)와 차량 탑재기(10) 사이의 통신이 제한된다. 제3 모드에서 제한되는 내용은, 차량 탑재기(10)로부터 전파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어도 되고, 차량 탑재기(10)로부터 수신한 전파 신호에 대한 응답을 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어도 되며, 또는 그 양쪽이어도 된다. 상기 제3 모드에 의한 제한에서는, 차량 탑재기(10)와의 통신에 소비되는 전자 키(20)의 전력을 삭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절전 모드나 전력 절약 모드라 칭할 수도 있다.
상기 제3 모드에 있어서, 진동 검출부(22)에 의하여 진동이 검출되거나 또는 미리 정한 스위치 조작(SW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전자 키(20)의 동작 모드가 제3 모드에서 제1 모드로 전환되어 상태가 천이한다. 미리 정한 스위치 조작이란, 예를 들어 전자 키(20)에 마련된 도어 언로크 버튼의 밀어내리기 등이다.
4. 제4 모드
제4 모드는, 전자 키(20)와 차량 탑재기(10) 사이의 통신이 제한되는 모드이다. 제4 모드에서 제한되는 내용은 제3 모드와 동일해도 되고, 제3 모드보다도 더 제한을 가해도 된다(예를 들어 진동 검출부(22)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등).
상기 제4 모드에의 전환은,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에 있어서, 미리 정한 특수한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실행된다. 미리 정한 특수한 조작이란, 예를 들어 전자 키(20)에 마련된 전용 버튼의 조작 등이다.
상기 제4 모드에 있어서, 미리 정한 스위치 조작(SW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전자 키(20)의 동작 모드가 제4 모드에서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전환되어 상태가 천이한다. 전환되는 모드는 미리 정해 두어도 되고, 차량으로부터 송신되는 전파 신호에 따라 결정해도 된다. 미리 정한 스위치 조작이란, 예를 들어 전자 키(20)에 마련된 도어 언로크 버튼의 밀어내리기 등이다.
상술한 전자 키(20)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차실 밖에 있다고 상정되는 제1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장면에서는, 제1 시간 N1을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해 둠으로써 전자 키(20)의 동작 모드를 제1 모드에서 제3 모드로 신속히 전환할 수 있으므로, 전자 키(20)의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3 모드에서는 차량 탑재기(10)와의 사이의 통신이 제한되므로, 전자 키(20)가 외래 노이즈에 의하여 오발신하는 것을 더 경감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더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실 내에 있다고 상정되는 제2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장면에서는 제2 시간 N2를 상대적으로 길게, 예를 들어 상기 제1 시간 N1보다도 길게 설정해 둠으로써, 전자 키(20)의 동작 모드가 제2 모드에서 제3 모드로 전환될 때까지의 시간을 더 지연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차량 주행 시에 전자 키(20)의 동작 모드가 부주의하게 제3 모드로 전환되어 버리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전자 키(20)가 차실 밖 및 차실 내 중 어느 곳에 존재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차량 도어의 개폐를 판단하는 것 이외에도, 차량 탑재기(10)로부터 차실 밖 및 차실 내를 향하여 송신되는 전파 신호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형 천이>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제어 시스템(1)에 있어서의 변형예에 의한 전자 키(20)의 상태 천이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상태 천이도는, 도 2에 도시한 상태 천이도와, 전자 키(20)가 전환 가능한 동작 모드는 동일하지만,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 및 제3 모드에의 전환의 조건이 다음과 같이 상이하다.
제2 모드에 있어서, 진동 검출부(22)에 의하여 소정 시간(이하, 「제3 시간 N3」이라 함) 계속해서 전자 키(20)의 진동이 검출되지 않으면, 전자 키(20)의 동작 모드가 제2 모드에서 제3 모드에 직접 전환되어 상태가 천이한다. 한편, 제2 모드에 있어서, 차량 탑재기(10)에 있어서 하차 판정이 행해지면, 전자 키(20)의 동작 모드가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전환되어 상태가 천이한다. 제3 시간 N3은 제1 시간 N1보다도 긴 시간이면 되며, 제1 시간 N1과 제2 시간 N2를 가산한 시간(=N1+N2)이어도 된다.
상기 변형예에 의하면, 전자 키(20)의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고, 외래 노이즈에 의한 전자 키(20)의 오발신을 더 경감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 주행 시에 전자 키(20)의 동작 모드가 부주의하게 제1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모드 전환의 구체예]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탑재기(10)로부터 송신되는 모드 전환 커맨드에 따라 전자 키(20)가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여기서는, 안정성을 더 향상시킨 전자 키(20)의 동작 모드의 전환 수법예를 설명한다.
모드 전환의 구체예에서는, 제1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갱신되는 소정값 X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신호를 사용한 소정의 통신이 전자 키(20)와 차량 탑재기(10) 사이에서 성공한 경우에, 전자 키(20)가 모드 전환 커맨드를 따른 동작 모드의 전환 처리를 실행한다. 소정의 통신이란, 도 4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할 수 있다.
승차/하차 판정부(12)의 판정에 의하여 전자 키(2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 차량 탑재기(10)는 모드 전환 요구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전자 키(20)에 송신한다. 전자 키(20)는 차량 탑재기(10)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면, 소정값 X에 기초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 탑재기(10)에 송신한다. 차량 탑재기(10)는 전자 키(20)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모드 전환 커맨드(제3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 탑재기(10)에 송신한다. 전자 키(20)는 차량 탑재기(10)로부터 모드 전환 커맨드(제3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커맨드가 소정값 X에 기초하여 생성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전자 키(20)는, 모드 전환 커맨드가 소정값 X에 기초하여 생성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전자 키(2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
소정값 X로는, 예를 들어 난수, 전자 키(20)에 있어서의 제1 신호의 수신 강도(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및 전자 키(20)와 차량 탑재기(10) 사이의 통신 횟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키(20)에 난수 발생 수단을 구비해 두면, 전자 키(20)가 제1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발생시키는 난수를 소정값 X로서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호에 RSSI 측정용의 Burst 신호를 미리 포함시켜 두고, 전자 키(20)가 제1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측정하는 Burst 신호의 수신 강도를 소정값 X로서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키(20)에 카운터를 구비시키고, 전자 키(20)가 제1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적산하는 카운트값을 소정값 X로서 취득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작용 및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제어 시스템(1)에 의하면, 전자 키(20)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 검출부(22)를 사용하여, 제1 시간 N1 계속해서 전자 키(20)의 진동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자 키(20)의 동작 모드를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진동 검출부(22)에 있어서 제1 시간 N1보다도 긴 「제1 시간 N1+제2 시간 N2」 또는 「제3 시간 N3」 계속해서 전자 키(20)의 진동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자 키(20)의 동작 모드를 제3 모드에서 제1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있다.
상술한 제어에 의하여, 전자 키(20)의 진동이 검출되지 않게 되더라도 전자 키(20)의 동작 모드가 제2 모드 또는 제1 모드에서 제3 모드로 곧바로 전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자 키(20)의 진동의 유무가 제1 시간 N1보다도 짧은 기간에서 반복하여 검출된 경우에, 부주의하게 빈번한 전자 키(20)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더 억제할 수 있다.
전자 키(20)의 진동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전자 키(20)의 동작 모드를 제3 모드로 전환할 때까지의 시간을, 제1 모드에서는 상대적으로 짧은 제1 시간 N1로, 제2 모드에서는 상대적으로 긴 「제1 시간 N1+제2 시간 N2」 또는 「제3 시간 N3」으로 각각 설정하고 있다. 상술에 의하여, 예를 들어 차실 밖 모드로 하고 있는 제1 모드에 있어서는, 모드 전환을 신속히 실시하여 전자 키(20)의 전력 절약화를 도모함과 함께 외래 노이즈에 의한 오발신을 더 경감하고, 차실 안 모드로 하고 있는 제2 모드에 있어서는, 불요한 전자 키(20)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방지하는 등의 제어의 분리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차량 탑재기와 전자 키가 통신을 행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등에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3)

  1. 차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차량 탑재기(10)와 통신을 행하는 단말기(20)에 있어서,
    단말기의 복수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여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와,
    상기 단말기(20)의 진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진동 검출부(22)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의 상기 복수의 동작 모드는,
    제1 모드와,
    상기 제1 모드와 상이한 제2 모드와,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보다도 상기 차량 탑재기(10)와의 통신이 제한되는 제3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 시, 상기 진동 검출부(22)에 있어서 소정 시간 계속해서 진동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20)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3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2 모드 시, 상기 진동 검출부(22)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보다도 긴 시간 계속해서 진동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20)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3 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2 모드 시, 상기 단말기(20)에 대한 제2 입력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20)의 동작 모드를 상기 차량 탑재기(10)와의 통신이 제3 모드보다도 더 제한되는 제4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4 모드 시, 상기 단말기(20)에 대한 제3 입력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20)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탑재기(10)에 의한 하차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20)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모드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탑재기(10)에 의한 승차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20)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2 모드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 판정은, 차량의 모든 도어가 닫힌 것으로 판정되는, 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차 판정은,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열린 것으로 판정되는, 단말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모드 시, 상기 단말기(20)에 대한 제1 입력 조작이 검출된 경우 또는 상기 진동 검출부(22)에 있어서 진동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20)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20)가 발생시키는 난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신호를 사용한 소정의 통신이 상기 단말기(20)와 상기 차량 탑재기(10) 사이에서 성공한 경우에 상기 단말기(20)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탑재기(1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신호를 사용한 소정의 통신이 상기 단말기(20)와 상기 차량 탑재기(10) 사이에서 성공한 경우에 상기 단말기(20)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20)와 상기 차량 탑재기(10)의 통신 횟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신호를 사용한 소정의 통신이 상기 단말기(20)와 상기 차량 탑재기(10) 사이에서 성공한 경우에 상기 단말기(20)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검출부(22)는,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여 진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
  11. 삭제
  12. 차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차량 탑재기(10)와 통신을 행하는 단말기(20)가 실행하는 차량 제어 방법이며,
    상기 단말기(20)는, 제1 모드, 상기 제1 모드와 상이한 제2 모드, 그리고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보다도 상기 차량 탑재기(10)와의 통신이 제한되는 제3 모드의 동작 모드를 갖고,
    상기 차량 제어 방법은,
    상기 단말기(20)의 진동을 검출하고,
    상기 제1 모드 시, 상기 검출하는 스텝에서 소정 시간 계속해서 진동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20)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3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2 모드 시, 상기 검출하는 스텝에서 상기 소정 시간보다도 긴 시간 계속해서 진동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20)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3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2 모드 시, 상기 단말기(20)에 대한 제2 입력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20)의 동작 모드를 상기 차량 탑재기(10)와의 통신이 제3 모드보다도 더 제한되는 제4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4 모드 시, 상기 단말기(20)에 대한 제3 입력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20)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13. 차량 제어 시스템(1)에 있어서,
    차량 탑재기(10)와,
    상기 차량 탑재기와 통신을 행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단말기(20)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20)는,
    상기 차량 탑재기(10)로부터 송신되는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차량 탑재기(10)로부터 송신되는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제2 모드와,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보다도 상기 차량 탑재기(10)와의 통신이 제한되는 제3 모드를 전환하여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와,
    상기 단말기(20)의 진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진동 검출부(22)와,
    상기 차량 탑재기(10)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부(21)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 시, 상기 진동 검출부(22)에 있어서 소정 시간 계속해서 진동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20)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3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2 모드 시, 상기 진동 검출부(22)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보다도 긴 시간 계속해서 진동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20)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3 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2 모드 시, 상기 단말기(20)에 대한 제2 입력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20)의 동작 모드를 상기 차량 탑재기(10)와의 통신이 제3 모드보다도 더 제한되는 제4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4 모드 시, 상기 단말기(20)에 대한 제3 입력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20)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제어 시스템.
KR1020180097301A 2017-09-27 2018-08-21 단말기, 차량 제어 시스템 및 차량 제어 방법 KR102144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86792A JP6812939B2 (ja) 2017-09-27 2017-09-27 端末、車両制御システム、及び車両制御方法
JPJP-P-2017-186792 2017-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464A KR20190036464A (ko) 2019-04-04
KR102144729B1 true KR102144729B1 (ko) 2020-08-14

Family

ID=6340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301A KR102144729B1 (ko) 2017-09-27 2018-08-21 단말기, 차량 제어 시스템 및 차량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88108B2 (ko)
EP (1) EP3462421B1 (ko)
JP (1) JP6812939B2 (ko)
KR (1) KR102144729B1 (ko)
CN (2) CN113561938B (ko)
BR (1) BR102018069745A2 (ko)
RU (1) RU2699748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44966A (zh) * 2019-08-01 2020-12-29 安波福电子(苏州)有限公司 一种延长电池寿命的汽车智能钥匙
JP2021098937A (ja) * 2019-12-20 2021-07-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回路装置、電子機器、通信システム及び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
JP7331782B2 (ja) * 2020-05-29 2023-08-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通信装置、システム、車両、及び通信方法
CN113347711B (zh) * 2021-08-06 2021-11-09 杭州控客信息技术有限公司 人员定位系统中终端自适应方法及其系统
JP2024047206A (ja) 2022-09-26 2024-04-0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1746A (ja) * 2007-09-27 2009-04-16 Kenwood Corp 携帯型コンテンツ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227586A (ja) * 2011-04-15 2012-11-15 Nippon Soken Inc 携帯型無線通信装置
JP2014155057A (ja) * 2013-02-08 2014-08-25 Kansai Univ 無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6056659A (ja) * 2014-09-12 2016-04-2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携帯機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37915A1 (de) 1998-09-02 2000-03-09 Mannesmann Vdo Ag Elektronischer Schlüssel
JP4649703B2 (ja) * 1999-08-27 2011-03-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移動体自動施錠装置
US6337626B1 (en) * 2000-07-25 2002-01-08 Dennis Huang User recognition system
FR2834344A1 (fr) 2001-12-28 2003-07-04 Siemens Vdo Automotive Procede de detection d'un badge a l'interieur d'un vehicule equipe d'un systeme mains libres
JP3988618B2 (ja) * 2002-10-30 2007-10-1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の遠隔制御装置
JP2005290900A (ja) * 2004-04-02 2005-10-2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US7292137B2 (en) * 2005-05-13 2007-11-06 Lear Corporation Energy efficient passive entry system
JP4613788B2 (ja) * 2005-10-17 2011-0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ドアアンロック制御装置
US8193915B2 (en) * 2008-03-06 2012-06-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ultiple transceiver synchronous communication system
US20090243795A1 (en) * 2008-03-27 2009-10-01 Lear Corporation Automotive passive entr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0958081B1 (ko) * 2008-04-22 2010-05-1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패시브 엔트리 시스템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JP2010128610A (ja) 2008-11-25 2010-06-10 Fujitsu Ten Ltd ドライブレコーダ
JP5173891B2 (ja) * 2009-03-02 2013-04-0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秘密鍵登録システム及び秘密鍵登録方法
US8547253B2 (en) * 2009-09-04 2013-10-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of determining vehicle location from key fob
US8659414B1 (en) * 2010-12-22 2014-02-25 Chad Schuk Wireless object-proximity monitoring and alarm system
DE102011013605A1 (de) * 2011-03-10 2012-09-1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Mobile Sendevorrichtung eines Zugangssystems eines Fahrzeugs
KR101927217B1 (ko) * 2011-05-03 2018-1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도어락을 위한 스마트키 시스템의 제어 방법
WO2013044221A2 (en) * 2011-09-23 2013-03-28 Honda Motor Co., Ltd Selective current reduction enabled with electrically deactivated key fob
US9430890B2 (en) * 2011-11-25 2016-08-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vehic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JP5803724B2 (ja) * 2012-02-15 2015-11-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装置
JPWO2013171898A1 (ja) * 2012-05-18 2016-01-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情報表示装置
US20140114503A1 (en) * 2012-10-24 2014-04-24 Lear Corporation Remote Function Fob for a Vehicle Passive Entry Passive Start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JP5977146B2 (ja) 2012-11-05 2016-08-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子キーシステム
JP5704180B2 (ja) * 2013-01-31 2015-04-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子キー端末の電力消費抑制システム及び電子キー端末の電力消費抑制方法
US20140335816A1 (en) * 2013-05-13 2014-11-13 Jesse Wayne Long Key fob communicator
US9086879B2 (en) * 2013-07-26 2015-07-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battery life in a remote device
DE102013017523A1 (de) * 2013-10-23 2015-04-23 Airbus Ds Gmbh ELEKTRONISCH GESTEUERTES SCHLIEßSYSTEM UND ELEKTRONISCHER SCHLÜSSEL ZUM STEUERN DES SCHLIEßYSTEMS
US9646436B1 (en) * 2013-12-31 2017-05-09 Huf North America Automotive Parts Manufacturing, Corp. Gesture controls for remote vehicle access systems
KR20150130818A (ko) * 2014-05-14 2015-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4709231B (zh) * 2015-01-21 2017-05-10 扬州阿尔斯特科技有限公司 基于汽车控制系统的智能钥匙系统及其工作方法
JP6520283B2 (ja) * 2015-03-25 2019-05-29 株式会社デンソー ユーザ識別システム、車両用携帯機
CN105128816A (zh) * 2015-09-14 2015-12-09 广东顺德车联管家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控制方法及车载终端
KR101744727B1 (ko) * 2015-12-07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 키, 스마트 키의 제어 방법 및 스마트 키를 포함하는 차량
US10054607B2 (en) * 2016-05-12 2018-08-21 Google Llc Using accelerometer to self-test piezoelectric component in a portable device
JP2018028182A (ja) * 2016-08-15 2018-02-2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携帯機及び電子キーシステム
CN206264989U (zh) * 2016-12-21 2017-06-20 成都亿佰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pke系统
JP6705373B2 (ja) * 2016-12-27 2020-06-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運転システム
DE102017201087B4 (de) * 2017-01-24 2019-08-1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Schlüsselgegenstelle und Verfahren zum Steuern von Betriebszuständen eines Schlüsselmoduls
CN107097753B (zh) * 2017-05-02 2020-01-31 大陆汽车电子(长春)有限公司 车辆智能钥匙系统及用于验证车辆智能钥匙的方法
JP6866818B2 (ja) * 2017-09-27 2021-04-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端末、車両制御システム、及び車両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1746A (ja) * 2007-09-27 2009-04-16 Kenwood Corp 携帯型コンテンツ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227586A (ja) * 2011-04-15 2012-11-15 Nippon Soken Inc 携帯型無線通信装置
JP2014155057A (ja) * 2013-02-08 2014-08-25 Kansai Univ 無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6056659A (ja) * 2014-09-12 2016-04-2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携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92278A1 (en) 2019-03-28
BR102018069745A2 (pt) 2019-04-16
CN113561938B (zh) 2023-12-22
CN109552248B (zh) 2021-09-10
JP2019059405A (ja) 2019-04-18
CN113561938A (zh) 2021-10-29
EP3462421B1 (en) 2021-10-20
RU2699748C1 (ru) 2019-09-09
JP6812939B2 (ja) 2021-01-13
US10988108B2 (en) 2021-04-27
CN109552248A (zh) 2019-04-02
KR20190036464A (ko) 2019-04-04
EP3462421A1 (en)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4729B1 (ko) 단말기, 차량 제어 시스템 및 차량 제어 방법
JP6003938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US20210011143A1 (en) Distance measurement system
EP3461699B1 (en) Terminal,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control method
US10487546B2 (en) Door locking device for vehicle
CN100591883C (zh) 车载设备控制系统、车辆侧单元以及携带机
US20150248801A1 (en) Access Arrangement for a Vehicle
JP6340716B2 (ja) 車両用近距離無線通信システム、携帯機及び車載器
US9396597B2 (en) Smart entry system
JP2019156283A (ja) 歩行検知装置及び歩行検知システム
JP2008014095A (ja) 車両用キーレス装置
JP2018154967A (ja) 車両用電子キー
CN109969081B (zh) 车辆警报系统
JP2018021422A (ja) 電子キーシステムおよび電子キー
WO2018221475A1 (ja) 携帯機
JP2008169663A (ja) 携帯機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遠隔制御システム
WO2019176761A1 (ja) 歩行検知装置及び歩行検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