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816B1 - 향나무를 이용한 향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향나무를 이용한 향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816B1
KR102140816B1 KR1020200041891A KR20200041891A KR102140816B1 KR 102140816 B1 KR102140816 B1 KR 102140816B1 KR 1020200041891 A KR1020200041891 A KR 1020200041891A KR 20200041891 A KR20200041891 A KR 20200041891A KR 102140816 B1 KR102140816 B1 KR 102140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niper
oil
weight
charcoal
ince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풍우
Original Assignee
최풍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풍우 filed Critical 최풍우
Priority to KR1020200041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8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8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1/00Pretreatment of moulding material
    • B27N1/02Mixing the material with binding agent
    • B27N1/0209Methods, e.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ag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08Devices related to praying, e.g. counters, reminders, study aids, compasses, rugs, cushi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8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나무를 이용한 향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향나무를 이용한 향 제조 방법은, 향나무를 준비한 후 물로 세척한 다음 상온에서 20 ~ 30일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건조된 향나무를 파쇄기로 50 ~ 100 메쉬로 미세하게 분말화하는 향나무분쇄단계와; 상기 향나무 분말에 신곡과 맥아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상온의 통기성 환경에서 3 ~ 5일간 발효시키는 발효단계와; 숯을 준비한 후 파쇄기로 50 ~ 100 메쉬로 분말화하는 숯분쇄단계와; 발효된 향나무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해 숯 30 ~ 50 중량부, 천연 접착제 20 ~ 30 중량부를 고르게 혼합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압출기에 투입하여 압출 성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물을 수분 함량이 5 ~7 중량%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향나무를 원료로 함에도 불구하고 수분 침투가 더디고, 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향나무 고유 냄새를 저감시킬 수 있고, 연소시 감기나 독감 등에 대해 예방 효과가 우수한 향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향나무를 이용한 향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incense using juniper}
본 발명은 향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향나무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나무를 이용한 향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향(incense)은 통상적으로 제전이나 절 등에서 향불을 피우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향에 불을 붙이게 되면 서서히 연소되면서 냄새가 나도록 이루어진다.
고전적인 방식의 향은 향나무를 가루로 분쇄하여 숯불에 조금씩 태워 향냄새가 나도록 하였고, 그 후에는 식물향 풀을 분쇄하여 접착제와 함께 압축한 후 세봉 상으로 성형하여 사용하여 왔다.
향의 제조와 관련된 기술로, "향"(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3-0013166호, 특허문헌 1)에는 분말 또는 칩으로 형성한 향나무를 연소조절용 약품을 혼합한 숯가루와 함께 혼합하여 세봉상으로 압출 성형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은 숯이 일반적인 연소 재료와 달리 서서히 연소되는 특성을 갖는 점을 활용하여 분말상의 향나무가 서서히 연소되면서 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숯은 그 종류에 따라 연소되는 속도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특허문헌1에는 연소조절용 약품을 첨가하게 되는데, 이 연소조절용 약품은 인체에 유해한 경우가 많아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점차 선호도가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 자생하는 식물 중의 상록침엽교목인 향나무는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예로부터 거풍, 산한, 활혈, 해독의 효능이 있으며, 풍한, 감기, 류머티즘으로 인한 관절통, 주마진, 경결, 초기의 종독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었다.
최근 향나무에서 많은 화학적 성분이 분리되고 그 구조가 밝혀지고 있으며, 약리작용으로는 항균, 항진균, 항바이러스의 활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전통적인 향 외에 향나무의 약성을 활용한 기술로는, "향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위드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9266호, 특허문헌 2)이 공개되어 있기도 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향나무를 원료로 하는 전통 향의 경우 습기가 침투하여 쉽게 소화되고, 절단되는 문제점, 향나무 고유 냄새에 거부감을 갖는 경우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KR 20-1993-0013166 (1993.07.26) KR 10-0799266 (2008.01.23)
본 발명의 향나무를 이용한 향 제조 방법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향나무를 원료로 함에도 불구하고 수분 침투가 더디고, 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향나무 고유 냄새를 저감시킬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연소시 감기나 독감 등에 대해 예방 효과가 우수한 향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향나무를 이용한 향 제조 방법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향나무를 준비한 후 물로 세척한 다음 상온에서 20 ~ 30일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건조된 향나무를 파쇄기로 50 ~ 100 메쉬로 미세하게 분말화하는 향나무분쇄단계와; 상기 향나무 분말에 신곡과 맥아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상온의 통기성 환경에서 3 ~ 5일간 발효시키는 발효단계와; 숯을 준비한 후 파쇄기로 50 ~ 100 메쉬로 분말화하는 숯분쇄단계와; 발효된 향나무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해 숯 30 ~ 50 중량부, 천연 접착제 20 ~ 30 중량부를 고르게 혼합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압출기에 투입하여 압출 성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물을 수분 함량이 5 ~7 중량%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캐스터 오일과 마늘 오일을 혼합하여 오일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혼합단계에서 오일혼합물을 향나무 분말 100 중량부 대비 2 ~ 5 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캐스터 오일과 마늘 오일은 3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단계는, 탱크 내부에 숯 분말을 투입한 후 대기압 미만으로 감압 처리한 다음, 오일 혼합물을 탱크 내부에 투입한 다음 탱크 내부를 가압 처리하여 숯 분말의 기공 내부로 오일혼합물이 침투하도록 한 다음, 접착제와 향나무 분말을 첨가한 후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마늘 오일은 팜오일에 마늘 분쇄물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고속 원심 분리하여 오일층만을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향나무를 원료로 함에도 불구하고 수분 침투가 더디고, 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향나무 고유 냄새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연소시 감기나 독감 등에 대해 예방 효과가 우수한 향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향나무를 이용한 향 제조 방법은 건조단계, 향나무분쇄단계, 숯분쇄단계, 혼합단계, 성형단계 및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향나무를 이용한 향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건조단계
향나무 목질을 준비한 후 물로 세척한 다음 상온에서 20 ~ 30일간 건조시킨다.
2. 향나무분쇄단계
건조된 향나무를 파쇄기로 0.05 ~ 0.15mm 크기로 미세하게 분말화한다.
향나무 분말은 후술하는 숯 분말 크기에 비해 훨씬 작은 크기로 미분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작은 크기로 미분화된 향나무 분말은 접착제와 함께 혼합되어 후술하는 숯 분말을 감쌀 뿐만 아니라 숯 입자의 기공에 침투하게 된다.
3. 발효단계
상기 향나무 분말에 신곡과 맥아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상온의 통기성 환경에서 3 ~ 5일간 발효시킨다.
맥아와 신곡을 첨가하여 발효시키게 되면 향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향나무 특유의 향이 저감되어 향 타는 냄새를 싫어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거부감을 줄여줄 수 있게 된다.
맥아는 엿기름이라고도 하는데, 아밀라제를 포함하여 프로테아제, 인버타아제, 산화효소, 파타제 등이 포함되어 소화를 돕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곡은 약누룩으로 모양이 일정치 않고 황갈색 혹은 갈색의 덩어리이다.
이러한 맥아와 신곡은 향나무 분말의 발효를 촉진시키며, 향나무 특유의 향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한 신곡과 맥아의 첨가 비율은 향나무 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신곡 2 ~3 중량부, 맥아 3 ~4 중량부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때, 냄새를 보다 더 저감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마타리를 추가하여 발효할 수 있다.
마타리는 마타리과의여러해살이 풀로 한국 각처의 산과 들에서 자생한다.
마타리는 패장, 택배, 녹장, 고채 등으로 불리며, 마타리에는 올레아놀릭산(oleanolic acid), 베타시토스테롤(beta-sitosterol), hederagenin mukurosigenin, 베타 글루코사이드(beta-glucoside) 및 파트리노사이드, 스카비오사이드 등의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타리는 항암본초에 자궁암, 식도암, 위암, 장암, 폐암 등에 항암활성작용을 한다 기재되어 있으며, 열을 내리고 뭉친 것을 풀어주며 고름을 빼내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마타리는 맛이 매우면서 쓰기 때문에 소화기관이 약한 사람이 다량 섭취할 경우 설사나 구토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마타리를 향나무 분말 발효시 첨가하게 되면 신곡, 맥아와 어우러져 향나무 분말 연소시 발생하는 냄새를 보다 더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마타리는 잎을 말린 것으로 향나무 분말 100 중량부 대비 0.2 ~ 0.3 중량부 첨가됨이 바람직하다.
4. 숯분쇄단계
숯을 준비한 후 파쇄기로 0.5 ~1mm 크기로 분말화한다.
숯 분말은 전술한 향나무 분말에 비해 큰 크기를 가진다.
이러한 크기의 숯 분말의 표면과 심부에는 전술한 향나무 분말이 외부에 코팅되거나 내부 공간에 스며들게 된다.
결국, 이러한 입자 크기로 인해 숯과 향나무 분말이 고르게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저속으로 향의 연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5. 혼합단계
발효된 향나무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숯 30 ~ 50 중량부, 천연 접착제 20 ~ 30 중량부를 고르게 혼합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천연 접착제로는 찹쌀죽이나 풀죽이 적합하다.
만일 숯이 30 중량부 미만 포함될 경우 강도가 떨어지고, 연소가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향이 작은 충격으로도 쉽게 부서져 형상 유지가 어렵게 된다.
상기한 혼합 단계에서 오일혼합물을 더 첨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오일혼합물은 캐스터 오일과 마늘 오일을 혼합한 것이 적절하다.
캐스터 오일은 피마자 오일로 아주까리라고도 불리우는 아프리카 원산지의 피마자 씨에서 추출하여 얻은 성분이다.
캐스터 오일은 부착력이 있는 오일로 점성이 높으며 열에 대한 변화가 적은 편이다.
마늘은 천연 조미 원료로 분쇄 과정에서 발생하는 알리신으로 인해 매운 맛과 향을 낸다.
이러한 마늘에는 항바이러스, 항균, 항암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감기 등의 예방 식품으로로 알려져 있다.
마늘 오일은 콩기름과 같은 식용 유에 마늘 분쇄물을 첨가한 후 오일 성분만 분리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팜오일에 마늘 분쇄물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고속 원심 분리하여 오일층만을 분리하여 수득한 것이 좋다.
팜 오일은 통상의 식용 유지류에 비해 산화가 잘 안되어 보관성이 용이하다.
따라서, 마늘 오일을 수득하기 위해 팜 오일을 사용할 경우 채취된 마늘 오일의 변질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때, 마늘 분쇄물과 팜 오일은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적합하다.
아울러, 캐스터 오일과 마늘 오일은 3 : 1의 중량비로 혼합됨이 바람직하다.
또, 오일혼합물은 향나무 분말 100 중량부 대비 2 ~ 5 중량부 첨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의 오일혼합물은 통상의 오일 류에 비해 산화가 더디 이루어져 향 변질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마늘 오일이 포함된 오일 혼합물은 향나무 특유의 향을 보다 잘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늘 향도 잘 나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더하여, 캐스터 오일은 마늘 오일의 휘발을 억제하여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이상과 같은 혼합단계를 구성함에 있어서 오일혼합물의 휘발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해야 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탱크 내부에 숯 분말을 투입한 후 대기압 미만으로 감압 처리한 다음, 오일 혼합물을 탱크 내부에 투입한 다음 탱크 내부를 가압 처리하여 숯 분말의 기공 내부로 오일혼합물이 침투하도록 한 다음, 접착제와 향나무 분말 등 잔여 성분을 첨가한 후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감압시의 탱크 내부 압력은 500 ~ 600mmHg로, 처리 시간은 10 ~ 20 분 정도가 바람직하다.
가압시는 18∼20㎏/㎠의 압력을 20분에서 30분 동안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감압시 숯 내부의 기공에 있는 수분 등의 이물질이 제거되면서 기공이 확장되는 효과가 있고, 가압시에는 온전히 오일 혼합물이 숯 내부의 기공에 최대한 깊이 스며들고, 숯 내외부 골격에 결합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향나무 분말과 접착제가 혼합 및 교반될 경우 향나무 분말 중 일부는 숯 내부에 침투하고, 일부는 숯 외부를 감싸 코팅하는 형상을 이루게 된다.
6. 성형단계
상기 혼합물을 압출기에 투입하여 압출 성형하여 성형물을 제조한다.
7. 건조단계
상기 성형물을 수분 함량이 5 ~7 중량%가 되도록 건조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향나무 향의 제조 1>
향나무 목질을 준비한 후, 물로 세척한 다음 상온에서 25일간 건조시켰다.
건조된 향나무를 파쇄기를 이용하여 입자 크기가 0.05 ~ 0.15mm의 범위가 되도록 분쇄 및 채거름하였다.
또한, 참나무 숯(백탄)을 구입하여 준비한 후 파쇄기를 이용하여 입자 크기가 0.5 ~ 1mm가 되도록 분쇄 및 채거름하였다.
향나무 분말을 100g 계량한 후, 신곡 2.5g, 맥아 3.5g 계량하여 혼합한 후 상온의 통기성 환경에서 4일간 발효시켰다.
채거름한 숯을 계량하여 40g 준비하고, 풀죽 25g을 준비한 후, 발효된 원료와 고르게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어 혼합물을 압출기에 투입하여 압출 성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고,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수분 함량이 6 중량%가 되도록 건조시켜 향나무 향을 제조하였다.
<향나무 향의 제조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콩기름과 마늘 분쇄물을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고속 원심 분리하여 오일층만을 분리하여 마늘오일을 제조한 후, 캐스터 오일과 마늘 오일을 3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오일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어 제조된 오일혼합물을 3g 계량한 후 재료 혼합시 첨가하여 진행하였다.
<향나무 향의 제조 3>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진행하되, 콩기름을 팜 오일로 대체하여 진행하였다.
<향나무 향의 제조 4>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캐스터 오일과 마늘 오일을 2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오일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향나무 향의 제조 5>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캐스터 오일과 마늘 오일을 4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오일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향나무 향의 제조 6>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오일 혼합물의 첨가량을 1g으로 하였다.
<향나무 향의 제조 7>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오일 혼합물의 첨가량을 7g으로 하였다.
<향나무 향의 제조 8>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원료 혼합시 챔버 내부에 숯 분말을 먼저 투입한 후, 챔버 내부를 550mmHg로 15분 동안 감압 처리한 후, 내부에 오일 혼합물을 투입한 다음 챔버 내부에 20㎏/㎠의 압력을 가해 25분 동안 가압 상태를 유지한 대기압으로 전환한 다음 나머지 원료를 투입하여 혼합 교반 처리하였다.
<향나무 향의 제조 9>
실시예 8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발효 원료로 맥아와 신곡 외에 마티리 0.3g을 첨가하여 진행하였다.
<향나무 향의 제조 10>
실시예 8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발효 원료로 맥아와 신곡 외에 마티리 0.1g을 첨가하여 진행하였다.
<향나무 향의 제조 11>
실시예 8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발효 원료로 맥아와 신곡 외에 마티리 0.4g을 첨가하여 진행하였다.
이하,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향나무 분말과 숯 분말의 크기를 모두 0.05 ~ 0.15mm의 크기가 되도록 하여 진행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향나무 분말과 숯 분말의 크기를 모두 0.5 ~ 1mm의 크기가 되도록 하여 진행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향나무 분말을 발효시키지 않고 진행하였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실험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실험예 1> 수분 흡수 측정 실험
가로, 세로, 높이 모두 30cm인 미니 챔버를 준비하고, 상기 챔버 내에 가습기를 설치하고, 1시간 동안 가습기를 작동시켰다.
챔버 내부에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향을 나란히 배치한 다음 각각 가습기 작동 전 후의 중량 및 가습기에서 꺼낸 후 1시간 경과 후의 중량을 측정하는 방식을 중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모두 5회에 걸쳐 반복 실험하였으며, 평균값을 아래 표 1로 나타냈다.
<수분 흡수 전후의 향 질량>
구분 가습기 작동 전 가습기 작동 후(1시간 경과) 가습기에서 꺼낸 후 1시간 경과
실시예1 0.49 0.518 0.511
실시예2 0.50 0.523 0.517
실시예3 0.50 0.515 0.505
실시예4 0.51 0.529 0.515
실시예5 0.50 0.522 0.508
실시예6 0.50 0.521 0.517
실시예7 0.51 0.530 0.522
실시예8 0.51 0.523 0.512
실시예9 0.51 0.515 0.511
실시예10 0.50 0.523 0.515
실시예11 0.51 0.542 0.531
비교예1 0.49 0.583 0.552
비교예2 0.50 0.592 0.567
비교예3 0.50 0.583 0.565
상기 표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들의 향은 가습기 작동에 따라 대략 20% 내외의 비율로 중량이 증가한 반면, 실시예들의 경우 4 ~6 % 정도만 중량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의 향이 수분 흡수가 더딘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습기에서 꺼낸 후의 질량 감소 비율의 경우 비교예들의 경우 감소율이 적게 나타난 반면, 실시예들의 경우 상대적으로 질량 감소율이 크게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9, 8의 경우 수분의 흡수가 더디며, 반대로 수분의 방출은 원할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강도 측정 실험
실시예 및 비교예들의 향 양단을 지지한 채 중앙에서 하방으로 하중을 가해 향이 부러지는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아래 표 2에 나타냈다.
<향이 부러지는 강도>
구분 파괴 하중(단위:kgf)
실시예1 0.45
실시예2 0.50
실시예3 0.56
실시예4 0.49
실시예5 0.48
실시예6 0.45
실시예7 0.46
실시예8 0.65
실시예9 0.77
실시예10 0.45
실시예11 0.45
비교예1 0.32
비교예2 0.27
비교예3 0.28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향은 비교예들의 향에 비해 강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육안 관찰 실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향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비교하였다.
관찰된 항목은 향 표면의 크랙의 여부, 연소시 연기 발생 정도, 연소 시간을 나타냈다.
<육안 관찰 결과>
구분 크랙 여부
(있음:○, 없음:×)
연기 발생
(많음:○, 적음:×)
연소 시간
(단위:분)
실시예1 × × 210
실시예2 × × 220
실시예3 × × 230
실시예4 × × 215
실시예5 × × 217
실시예6 × × 221
실시예7 × × 235
실시예8 × × 270
실시예9 × × 280
실시예10 × × 241
실시예11 × × 235
비교예1 142
비교예2 151
비교예3 143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향이 연기도 적고 연소 시간도 길며, 육안상으로도 크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냄새 측정 실험
연령과 성별을 고려하여 20 대 ~ 50 대 성인 남녀를 각각 연령대별로 10 명씩 총 40 명을 선발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향을 연소시킬 때 나는 냄새를 맞게 한 후의 냄새에 대해 9점 평점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여 평균 값을 조사하였다.
평가 항목은 향냄새, 마늘 냄새, 무취에 대해 측정하였다.
<냄새 측정 결과>
구분 향 냄새 마늘 냄새 무취
실시예1 5.1 0 5.2
실시예2 5.2 3.5 5.5
실시예3 4.3 2.1 4.3
실시예4 4.8 3.3 5.5
실시예5 4.7 2.7 5.4
실시예6 4.3 3.1 5.2
실시예7 4.5 2.7 5.3
실시예8 2.3 1.1 6.7
실시예9 1.7 0.2 7.7
실시예10 3.5 2.7 5.2
실시예11 4.3 3.3 5.5
비교예1 7.8 0 1.5
비교예2 7.7 0 1.1
비교예3 8.2 0 1.1
(9 : 강함, 0 :없음)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향 냄새가 비교예에 비해 적게 나며, 마늘 오일이 포함된 실시예들의 경우도 마늘 냄새가 적게 날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냄새가 무취에 가깝게 적게 나, 향 냄새를 싫어하는 사람들로부터 덜 기피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5> 호흡기 질환 예방 실험
연령과 성별을 고려하여 10 대 ~ 70 대 성인 남녀를 각각 연령대별로 10 명씩 총 70 명을 선발하여 연령대별 5명(총 35명)은 향을 미사용하도록 하고, 5명(총 35명)은 실시예 1의 향을 침실에 1시간 동안 연소시킨 다음 취침에 이르도록 하였다.
향을 사용하는 기간은 30일로 하였으며, 실험은 12월 1일부터 30일까지 진행하였다.
30일 경과 후 실험 기간 동안 비사용 군과, 사용 군에서 감기나 독감, 비염에 걸렸던 사람 수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5에 나타냈다.
<독감/감기>
구분 실시예 1의 향 비사용군(35명 ) 중 호흡기 질환을 앓은 사람 수 실시예 1의 향 사용군(35명) 중 호흡기 질환을 앓은 사람의 수
호흡기 질환을 앓은 환자의 수 13명 4명
상기 실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향을 사용할 경우 독감이나 감기, 비염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5)

  1. 향나무를 이용한 향 제조 방법에 있어서,
    향나무를 준비한 후 물로 세척한 다음 상온에서 20 ~ 30일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건조된 향나무를 파쇄기로 0.05 ~ 0.15mm 크기로 미세하게 분말화하는 향나무분쇄단계와;
    상기 향나무 분말에 신곡과 맥아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상온의 통기성 환경에서 3 ~ 5일간 발효시키는 발효단계와;
    숯을 준비한 후 파쇄기로 0.5 ~ 1mm 크기로 분말화하는 숯분쇄단계와;
    발효된 향나무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해 숯 30 ~ 50 중량부, 천연 접착제 20 ~ 30 중량부를 고르게 혼합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압출기에 투입하여 압출 성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물을 수분 함량이 5 ~7 중량%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향나무를 이용한 향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캐스터 오일과 마늘 오일을 혼합하여 오일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혼합단계에서 오일혼합물을 향나무 분말 100 중량부 대비 2 ~ 5 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나무를 이용한 향 제조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 오일과 마늘 오일은 3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나무를 이용한 향 제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는,
    탱크 내부에 숯 분말을 투입한 후 대기압 미만으로 감압 처리한 다음, 오일 혼합물을 탱크 내부에 투입한 다음 탱크 내부를 가압 처리하여 숯 분말의 기공 내부로 오일혼합물이 침투하도록 한 다음, 접착제와 향나무 분말을 첨가한 후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나무를 이용한 향 제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 오일은 팜오일에 마늘 분쇄물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고속 원심 분리하여 오일층만을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나무를 이용한 향 제조 방법.
KR1020200041891A 2020-04-07 2020-04-07 향나무를 이용한 향 제조 방법 KR102140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891A KR102140816B1 (ko) 2020-04-07 2020-04-07 향나무를 이용한 향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891A KR102140816B1 (ko) 2020-04-07 2020-04-07 향나무를 이용한 향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816B1 true KR102140816B1 (ko) 2020-08-03

Family

ID=72042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891A KR102140816B1 (ko) 2020-04-07 2020-04-07 향나무를 이용한 향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8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824B1 (ko) 2021-05-10 2021-11-10 더캔들 주식회사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종이 향
KR102387727B1 (ko) 2021-05-10 2022-04-19 더캔들 주식회사 향용 액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향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3166U (ko) 1991-12-13 1993-07-26 이석규
JPH09136820A (ja) * 1995-11-15 1997-05-27 Kunjiyudou:Kk お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77381B1 (ko) * 1998-11-11 2001-09-22 김환 향 및 그 향의 제조방법
KR100799266B1 (ko) 2006-11-02 2008-01-30 학교법인 동의학원 향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위드롤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3147081U (ja) * 2008-10-02 2008-12-11 敏江 竹上 線香
KR20110118208A (ko) * 2010-04-23 2011-10-31 김종란 두피질환용 한방 샴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한방 샴푸의 제조방법
KR20170004387A (ko) * 2015-07-02 2017-01-11 만복당 주식회사 미연 향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3166U (ko) 1991-12-13 1993-07-26 이석규
JPH09136820A (ja) * 1995-11-15 1997-05-27 Kunjiyudou:Kk お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77381B1 (ko) * 1998-11-11 2001-09-22 김환 향 및 그 향의 제조방법
KR100799266B1 (ko) 2006-11-02 2008-01-30 학교법인 동의학원 향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위드롤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3147081U (ja) * 2008-10-02 2008-12-11 敏江 竹上 線香
KR20110118208A (ko) * 2010-04-23 2011-10-31 김종란 두피질환용 한방 샴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한방 샴푸의 제조방법
KR101292017B1 (ko) * 2010-04-23 2013-08-01 김종란 두피질환용 한방 샴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한방 샴푸의 제조방법
KR20170004387A (ko) * 2015-07-02 2017-01-11 만복당 주식회사 미연 향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824B1 (ko) 2021-05-10 2021-11-10 더캔들 주식회사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종이 향
KR102387727B1 (ko) 2021-05-10 2022-04-19 더캔들 주식회사 향용 액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0816B1 (ko) 향나무를 이용한 향 제조 방법
US3076729A (en) Tobacco processing and resulting product
KR20000060990A (ko) 마늘환의 제조방법
KR20090088477A (ko) 흑마늘 추출액 및 그 제조방법
US3429316A (en) Tobacco compositions
KR102001590B1 (ko)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30110910A (ko) 뽕잎 차 제조방법
CN1403013A (zh) 保健黑米酥
CN111084373A (zh) 桦树茸中抗氧化成分的提取和微胶囊化以及在饼干中的应用
CN110771944A (zh) 一种罗布麻保健烟及其制备方法
KR101820231B1 (ko) 황칠성분이 첨가된 쌀국수 제조방법
KR101201528B1 (ko) 천마를 함유한 라면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26669A (ko) 저온발효숙성 흑마늘 제조방법
KR102432923B1 (ko)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
KR20180093209A (ko)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을 함유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KR100704656B1 (ko) 능이버섯을 재료로 하는 술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77695A (ko) 동백꽃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형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02717B1 (ko) 발효 호밀이 함유된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
KR100879383B1 (ko) 복분자 과즙을 포함하며 색이 안정화된 복분자 쌀가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50896B1 (ko) 감태 분말이 함유된 웰빙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316701B (zh) 一种香烟替代品及制备方法
KR20200034200A (ko) 6년근 인삼 추출물을 이용한 재래 건식 누룩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누룩을 포함하는 약주 제조방법
KR102260849B1 (ko) 오가피를 포함하는 건강식품 환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건강식품 환
KR20050049880A (ko) 마늘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2479139B1 (ko) 도정 밀 누룩을 이용한 발효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