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824B1 -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종이 향 - Google Patents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종이 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824B1
KR102323824B1 KR1020210059708A KR20210059708A KR102323824B1 KR 102323824 B1 KR102323824 B1 KR 102323824B1 KR 1020210059708 A KR1020210059708 A KR 1020210059708A KR 20210059708 A KR20210059708 A KR 20210059708A KR 102323824 B1 KR102323824 B1 KR 102323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agent
incense
purified water
cream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빈
Original Assignee
더캔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캔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더캔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9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8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8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3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3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05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only
    • D21H17/14Carboxyl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3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21H17/34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7/37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polyacrylat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0Wax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종이 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테아릴 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 올리왁스(Oliwax), 올리브 에스터 오일(Ethylhexyl Olivate)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제1제와, 부틸 아크릴레이트(Buytyl Acrylate), 소듐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Sodium Acrylates Copolymer)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제2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향오일이 도포된 종이 향의 제조가 가능하며, 상호 간 접착이 가능하고, 각종 안료, 염료 등의 색소와의 혼합 역시 가능하여 다양한 디자인 및 색상의 종이 향을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선향(線香) 위주의 태우는 향에서 창의적인 다양한 형태의 종이 향을 응용하여 만들게 됨으로써, 새로운 공예 시장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종이 향{CREAM COMPOSITION FOR PAPER INCENSE AND PAPER INCENS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종이 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재료로서 종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색소의 혼합이 가능하여 색상 표현이 가능하고, 접착 역시 가능하여 각종 공예품으로의 제조가 가능토록 하는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종이 향에 관한 것이다.
향(incense, 香)은 불을 붙이게 되면 서서히 연소되면서 냄새가 나도록 하는 것으로, 과거 부와 권력의 상징으로 사용하거나, 절대적인 신성을 요구하는 종교시설에서 사용되었다.
현대에 와서는 향 제조 기술의 발전과 대량 생산된 향재료의 보급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으나, 단조로운 디자인과 특정 재료만을 사용한 비슷한 향취로 종교행사나 의례에서 주로 사용되는 물품으로 인식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태우는 형태의 향은 막대형이나 원뿔 형태의 수지(樹脂), 목재분말 또는 허브계열의 식물을 이용한 훈향(熏香) 형태로, 모양과 색상이 정형화되어 있다.
그 제조방법은, 수지, 목재 또는 허브계열의 식물을 포함하는 연소재료를 건조하여 80Mesh 이상의 분말로 파쇄 후, 이를 접착재료 및 향료와 혼합하고 반죽하여 압출기로 압출하거나 사출기로 사출하여 선향의 형태 또는 원뿔(Cone) 형태로 성형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조방법은 일정 규모의 시설과 장비가 필요하며, 연소재료의 건조, 반죽 및 성형까지의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숙련된 제조경험과 다양한 공정이 요구된다. 또한, 연소재료인 수지, 목재 또는 허브 등은 고르게 타지 않거나 중간에 불이 꺼지게 되는 경우가 많아 품질 관리가 어렵고, 연소시 잡냄새가 발생하며, 풍성한 향연의 발산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연소재료로서 종이, 즉 향지를 이용할 경우, 향지에 향오일을 도포하게 되면 기름종이처럼 반투명 상태가 되고, 취급시 향오일이 손에 묻어남은 물론, 향을 머금는 정도가 약하여 종이 타는 냄새가 강해 향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향오일을 도포한 상태의 향지는 인쇄나 문자, 그림 등의 표현이 어렵고, 도포된 향오일에 의해 향지의 접착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 향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4081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0159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6298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01812호 등이 있다. 이러한 선행문헌들에서는 향나무, 한약재 등을 연소재료로 하고, 이에 천연 접착제를 이용하여 반죽, 성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들의 어디에서도 다양한 디자인 및 색상 표현이 가능한 향에 대한 기술은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KR 10-2140816 B1 KR 10-2001590 B1 KR 10-1962985 B1 KR 10-0501812 B1
본 발명의 목적은 종이에 불을 붙인 후 소화시켰을 때 화염이 없는 상태로 풍성한 향연을 발산하면서 점진적으로 타들어가도록 함으로써, 연소재료로 종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종이 향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향오일을 도포하더라도 종이가 반투명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접착 역시 가능하며, 각종 염료, 안료 등의 색소를 혼합할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의 표현이 가능한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종이 향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은, 세테아릴 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 올리왁스(Oliwax), 올리브 에스터 오일(Ethylhexyl Olivate)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제1제와, 부틸 아크릴레이트(Buytyl Acrylate), 소듐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Sodium Acrylates Copolymer)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제2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제는, 상기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7~12중량%, 올리왁스 3~5중량%, 올리브 에스터 오일 2~3중량% 및 잔부의 정제수로 구성되고, 상기 제2제는, 상기 부틸 아크릴레이트 10~20중량%, 소듐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1~5중량% 및 잔부의 정제수로 구성되며, 상기 제1제와 제2제는 1:0.1~2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프로필렌 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제, 상기 제2제 및 상기 디프로필렌 글라이콜은 1:0.1~2:0.01~0.1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종이 향은,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크림 조성물에 정유 또는 향유를 1:0.3~1.5 중량비로 혼합하고, 이를 종이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림 조성물과 정유 또는 향유의 혼합물에 색소를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종이 향에 의하면, 향오일이 도포된 종이 향의 제조가 가능하며, 상호 간 접착이 가능하고, 각종 안료, 염료 등의 색소와의 혼합 역시 가능하여 다양한 디자인 및 색상의 종이 향을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선향(線香) 위주의 태우는 향에서 창의적인 다양한 형태의 종이 향을 응용하여 만들게 됨으로써, 새로운 공예 시장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 종이는 연소재료로써 이용이 제한적이었는바, 이는 쉽게 전소되며, 정유(Essential Oil) 또는 향유(Fragrance Oil)의 도포시 반투명한 상태가 되어, 취급시 정유 또는 향유가 손에 묻어남은 물론, 향을 머금는 정도가 약하고, 종이 타는 냄새가 강해 향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향지는 종이 또는 기타 재료와 접착 역시 어려워 다양한 디자인의 표현이 불가능하고, 색소의 픽업이 어려워 인쇄나 문자, 그림 등의 표현이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세테아릴 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 올리왁스(Oliwax), 올리브 에스터 오일(Ethylhexyl Olivate)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제1제와, 부틸 아크릴레이트(Buytyl Acrylate), 소듐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Sodium Acrylates Copolymer)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제2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제는 수성 성분과 유성 성분이 쉽게 혼합되도록 하기 위한 크림화 작업 조성물로, 이를 통해 유성 성분 또는 수성 성분인 정유(Essential Oil), 향유(Fragrance Oil), 색소 등의 혼합이 용이하게 되어 종이가 반투명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손에 정유, 향유 또는 색소가 묻어나는 것을 방지하며, 다양한 색상의 표현이 가능토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제는 세테아릴 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 올리왁스(Oliwax), 올리브 에스터 오일(Ethylhexyl Olivate)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바, 상기 세테아릴 올리베이트는 올리브오일에서 유래되는 식물성 유화제 성분이며, 상기 올리왁스는 유화제의 사용에 의한 점도 증가를 개선하며, 유화 안정성을 높여주는 것은 물론, 작업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하는 성분이고, 상기 올리브 에스터 오일은 작업성을 좋게 하며, 각종 원료의 분산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는 성분이다.
상기 제1제는 보다 구체적으로,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7~12중량%, 올리왁스 3~5중량%, 올리브 에스터 오일 2~3중량% 및 잔부의 정제수로 구성된다.
상기 제2제는 부틸 아크릴레이트(Buytyl Acrylate), 소듐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Sodium Acrylates Copolymer)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바, 상기 부틸 아크릴레이트는 접착력을 발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성분이고, 상기 소듐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역시 접착력을 발휘하고, 점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성분이다.
상기 제2제는 보다 구체적으로 부틸 아크릴레이트 10~20중량%, 소듐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1~5중량% 및 잔부의 정제수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제와 제2제는 1:0.1~2중량비로 혼합되는바, 이를 통해 접착력을 개선하고, 적정 점도를 유지하는 것은 물론, 정유, 향유 및 색소와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제1제와 제2제를 포함하는 크림 조성물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종이에 도포시 종이에 불을 붙인 후 소화시켰을 때 화염이 없는 상태로 풍성한 향연을 발산하면서 점진적으로 타들어가도록 함으로써, 연소재료로 종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향유, 정유, 색소 등과의 혼합이 용이하여, 이를 혼합하여 종이에 도포하더라도 종이가 반투명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종이 또는 다른 재질과의 접착제 역할을 하여 접착력을 좋게 하며, 다양한 디자인 및 색상의 표현이 가능토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은 디프로필렌 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프로필렌 글라이콜은 정유 또는 향유의 수분을 보존하고, 빠른 휘발을 방지하여 장기간 향이 발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1제, 상기 제2제 및 상기 디프로필렌 글라이콜은 1:0.1~2:0.01~0.1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은 파라크레스(Paracress, Acmella oleracea)의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라크레스 추출물은 향연을 더욱 풍성하게 발산하며, 잡냄새를 제거하고, 연소시간 역시 더욱 연장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색소와의 혼합시 색상 표현을 더욱 선명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1제, 상기 제2제, 상기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및 상기 파라크레스 추출물은, 1:0.1~2:0.01~0.1:0.01~0.1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라크레스(Paracress, Acmella oleracea)는,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여러해살이풀의 식물로, 그 추출방법은 파라크레스의 꽃, 잎, 줄기 및 뿌리 중 1종 이상을 시료로 하고, 물,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중 1종 이상을 용매로 하여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중 1종의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고, 희석, 농축 또는 건조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실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정제수의 온도를 75~85℃로 유지하면서, 이에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올리왁스 및 올리브 에스터 오일을 투입, 교반하여 유화함으로써 제1제를 제조하는 단계와, (b) 정제수의 온도를 60~90℃로 유지하면서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소듐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투입, 교반하여 제2제를 제조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제 및 제2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정제수의 온도를 75~85℃로 유지하면서, 이에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올리왁스 및 올리브 에스터 오일을 투입, 교반하여 유화함으로써 제1제를 제조하는 단계
먼저, 정제수를 가열하여 그 온도를 75~85℃로 유지하면서,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올리왁스 및 올리브 에스터 오일을 투입, 교반하여 유화시킨다. 이렇게 제조된 제1제는 크림 타입이 된다.
여기서, 상기 정제수,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올리왁스 및 올리브 에스터 오일의 혼합비는 앞서 설명되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b) 정제수의 온도를 60~90℃로 유지하면서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소듐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투입, 교반하여 제2제를 제조하는 단계
다음으로, 정제수의 온도를 60~90℃로 유지하면서,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소듐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투입, 교반하여 제2제를 제조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제수를 가열하여 온도가 60℃가 되도록 한 후, 이에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소듐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투입하고, 온도를 90℃까지 올리면서 교반하여 제2제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정제수,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소듐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의 혼합비는 앞서 설명되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c) 상기 제1제 및 제2제를 혼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조된 제1제 및 제2제를 55~65℃에서 혼합하여 교반한다.
아울러, 추가적으로 투입될 수 있는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파라크레스 추출물 또는 이들 모두는 상기 제1제 및 제2제의 혼합, 교반시 투입하여 혼합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크림 조성물은 그 제조가 간단하면서도, 품질이 우수한 종이 향을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을 이용하여 종이 향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한 크림 조성물에 정유(Essential Oil) 또는 향유(Fragrance Oil)를 1:0.3~1.5 중량비로 혼합하고, 이를 종이에 도포한다. 이때, 그 도포방법 및 도포량은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를 자연건조한다.
또한, 도포된 크림 조성물은 접착제의 역할도 수행하므로, 자연건조 전 제조된 종이 향을 원하는 형태로 상호 간 접착하거나, 다른 재료와 접착하여 다양한 형태의 종이 향을 제조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크림 조성물과 정유 또는 향유의 혼합물에 색소를 더 혼합하고, 이를 원하는 문양으로 종이에 도포할 수도 있는바, 다양한 디자인 및 색상의 종이 향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용되는 색소로는 공지의 염료, 안료는 물론, 수채화 물감, 유화 물감 등일 수 있는바,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으며, 그 사용량 역시 색상, 농도 등에 따라 조절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종이 향은 다양한 디자인 및 색상의 표현이 가능하여, 새로운 공예 시장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연소 안정성이 우수하고, 발향력 역시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_크림 조성물의 제조
정제수의 온도를 80℃로 유지한 상태에서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올리왁스, 올리브 에스터 오일을 넣어 30분간 교반함으로써, 제1제를 준비하였다. 이때, 그 혼합비는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10중량%, 올리왁스 4중량%, 올리브 에스터 오일 2중량% 및 잔부의 정제수였다.
정제수를 가열하여 온도가 60℃가 되도록 하고,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소듐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투입하여 90℃까지 온도를 올리며 교반함으로써, 제2제를준비하였다. 이때, 그 혼합비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15중량%, 소듐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3중량% 및 잔부의 정제수였다.
그리고 제1제와 제2제를 55~65℃에서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교반함으로써, 크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크림 조성물에 정유를 3:7중량비로 혼합하고, 이에 다시 유화 물감을 1:0.01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실시예 2)_크림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제1제와 제2제의 교반시 디프로필렌 글라이콜을 1:1:0.06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실시예 3)_크림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제1제와 제2제의 교반시 파라크레스 추출물을 1:1:0.06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이때, 상기 파라크레스 추출물은 파라크레스의 건 잎에 3중량배의 70% 에탄올을 넣고, 25℃에서 4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기로 추출한 후, 여과,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4)_종이 향의 제조
가로 10cm, 세로 3cm, 두께 0.1cm의 종이를 준비하고, 준비된 종이의 표면 전체에 실시예 1의 시료 10g을 붓으로 충분히 도포하고, 5시간 동안 자연건조하였다.
(실시예 5)_종이 향의 제조
가로 10cm, 세로 3cm, 두께 0.1cm의 종이를 준비하고, 준비된 종이의 표면 전체에 실시예 2의 시료 10g을 붓으로 충분히 도포하고, 5시간 동안 자연건조하였다.
(실시예 6)_종이 향의 제조
가로 10cm, 세로 3cm, 두께 0.1cm의 종이를 준비하고, 준비된 종이의 표면 전체에 실시예 3의 시료 10g을 붓으로 충분히 도포하고, 5시간 동안 자연건조하였다.
(비교예 1)
시판중인 일반 선향(길이 10cm)을 준비하였다.
(시험예 1)
실시예 4 내지 6, 비교예 1의 연소시간을 테스트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연소시간은 시료에 불을 붙이고, 10초간 유지한 후, 불꽃을 제거하고, 시료의 길이가 1cm가 될 때까지 걸린 시간을 테스트하였다.
시험예 1 결과
구분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연소시간(분) 17 18 20 18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4 내지 6은 종이를 연소재료로 사용함에도 비교예 1과 유사한 수준의 연소시간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실시예 4 내지 6 및 비교예 1의 품질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상기 품질 테스트는 연소 중 발생되는 향연의 양, 잡냄새의 정도, 발향력, 전체적 기호도를 20명의 관능요원이 5점 척도로 테스트하였다. 발향력 테스트를 위하여 동량의 에센셜 오일을 각 시료에 도포한 후 연소하였으며, 점수는 향연의 양이 많을수록, 잡냄새가 적을수록, 발향력이 좋을수록 높게 평가하였다.
시험예 2 결과
구분 향연 양 잡냄새 발향력 전체적 기호도
실시예 4 3.5 4.5 4.0 4.0
실시예 5 3.7 4.5 4.3 4.3
실시예 6 4.0 4.7 4.4 4.5
비교예 1 2.5 1.5 3.0 2.8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4 내지 6은 비교예 1에 비하여 향연의 양, 잡냄새, 발향력, 전체적 기호도가 모두 높게 평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실시예 4 내지 6의 외관의 투명 여부, 접착력 및 색상발현 정도를 테스트하였다. 상기 접착력은 각 시료를 2장씩 준비하고, 이를 상호 접착하는 방법으로 확인하였으며, 상기 접착은 건조 전 실시하고, 접착 후 건조하였다. 상기 색상발현 정도는 건조 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이때, 접착력과 색상발현이 매우 우수한 경우 ◎, 접착력과 색상발현이 우수한 경우 ○, 접착력과 색상발현이 보통인 경우 △, 접착력과 색상발현이 좋지 않은 경우 ×로 평가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일반 종이에 정유를 흡수시킨 시료를 사용하였다.
시험예 3 결과
구분 외관 접착력 색상발현
실시예 4 불투명
실시예 5 불투명
실시예 6 불투명
대조군 반투명 × ×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4 내지 6은 접착력이 우수하고, 색상발현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세테아릴 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 올리왁스(Oliwax), 올리브 에스터 오일(Ethylhexyl Olivate)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제1제;
    부틸 아크릴레이트(Buytyl Acrylate), 소듐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Sodium Acrylates Copolymer)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제2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제는, 상기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7~12중량%, 올리왁스 3~5중량%, 올리브 에스터 오일 2~3중량% 및 잔부의 정제수로 구성되고,
    상기 제2제는, 상기 부틸 아크릴레이트 10~20중량%, 소듐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1~5중량% 및 잔부의 정제수로 구성되며,
    상기 제1제와 제2제는 1:0.1~2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디프로필렌 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제, 상기 제2제 및 상기 디프로필렌 글라이콜은 1:0.1~2:0.01~0.1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3항의 크림 조성물에 정유 또는 향유를 1:0.3~1.5 중량비로 혼합하고, 이를 종이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향.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 조성물과 정유 또는 향유의 혼합물에 색소를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향.
KR1020210059708A 2021-05-10 2021-05-10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종이 향 KR102323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708A KR102323824B1 (ko) 2021-05-10 2021-05-10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종이 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708A KR102323824B1 (ko) 2021-05-10 2021-05-10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종이 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3824B1 true KR102323824B1 (ko) 2021-11-10

Family

ID=78500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708A KR102323824B1 (ko) 2021-05-10 2021-05-10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종이 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82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812B1 (ko) 2003-03-28 2005-07-20 김영주 한약재로 이루어진 선향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53958A (ko) * 2011-11-16 2013-05-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1575379B1 (ko) * 2007-12-12 2015-12-21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일회용 다-상 케어 시스템
KR101765818B1 (ko) * 2011-06-10 2017-08-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방향제 조성물
KR20180092599A (ko) * 2017-02-10 2018-08-20 남춘옥 알콜발효 산양산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01590B1 (ko) 2017-11-09 2019-07-18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962985B1 (ko) 2014-11-07 2019-07-31 조숙자 한방선향의 제조방법
KR102140816B1 (ko) 2020-04-07 2020-08-03 최풍우 향나무를 이용한 향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812B1 (ko) 2003-03-28 2005-07-20 김영주 한약재로 이루어진 선향 및 그 제조방법
KR101575379B1 (ko) * 2007-12-12 2015-12-21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일회용 다-상 케어 시스템
KR101765818B1 (ko) * 2011-06-10 2017-08-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방향제 조성물
KR20130053958A (ko) * 2011-11-16 2013-05-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1962985B1 (ko) 2014-11-07 2019-07-31 조숙자 한방선향의 제조방법
KR20180092599A (ko) * 2017-02-10 2018-08-20 남춘옥 알콜발효 산양산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01590B1 (ko) 2017-11-09 2019-07-18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40816B1 (ko) 2020-04-07 2020-08-03 최풍우 향나무를 이용한 향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ettens et al. Painting materials: a short encyclopedia
Seth Trees and their economic importance
WO2018155850A1 (ko) 미강 오일을 포함하는 미강 왁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미강 양초의 제조방법
Colombini et al. Organic materials in art and archaeology
KR102323824B1 (ko)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종이 향
KR100750205B1 (ko) 자연성분이 함유된 자연향 밀납초 및 그의 제조 방법
Shiva et al. Non-timber forest products from dipterocarps
JP2002060693A (ja) 木部用天然塗料
US12110474B2 (en) Natural wax composition
KR102601045B1 (ko) 양초제조용 혼합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E112011105013T5 (de) Verbessertes Verfahren für florale Pflanzenpräparat-Collage-Découpage
KR102387727B1 (ko) 향용 액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향
KR102377631B1 (ko) 향초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7022967A (ja) 粉粒状お香
KR102639359B1 (ko)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과 항균 탈취 기능이 있는 양초의 제조방법
GB2429017A (en) Gum or resin incense ingredient for candle
KR102190074B1 (ko) Diy형 양초 조성물
KR102108501B1 (ko) 제주도 구상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Prati et al. DSC application in the conservation field
KR101658314B1 (ko) 난대 산림수종의 향기 성분의 최적 추출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난대 산림수종의 향기 추출물
KR20200126603A (ko) 천연 왁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JPS5920215A (ja) 薫物線香の製造法
JP5438231B1 (ja) ソラの茎部を加工した揮散部材を用いて揮散させる液体芳香剤組成物
KR0122357B1 (ko) 천연쑥의 색상과 향기를 갖는 양초 및 그 제조방법
KR20240120119A (ko) 한지 인센스 페이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