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1812B1 - 한약재로 이루어진 선향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약재로 이루어진 선향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1812B1
KR100501812B1 KR10-2003-0019749A KR20030019749A KR100501812B1 KR 100501812 B1 KR100501812 B1 KR 100501812B1 KR 20030019749 A KR20030019749 A KR 20030019749A KR 100501812 B1 KR100501812 B1 KR 100501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incense
parts
drying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9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4583A (ko
Inventor
김영주
Original Assignee
김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주 filed Critical 김영주
Priority to KR10-2003-0019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812B1/ko
Publication of KR20040084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4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8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1Rub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 E02D2300/0054Including fibers made from p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한약재를 주재료로 하여 제조되는 선향(線香)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한약재들을 칭량하여 건조기에서 건조하거나 상온에서 2~7일간 자연건조 시킨 후 건조된 것을 분말기에서 5회 이상 분쇄시켜 분말로 만들고, 이 한약재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물성 접착제인 찹쌀풀 5 내지 15 중량부와 물 3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기에서 반죽한 다음, 유압기에 넣은 후 압출하여 굵기 1.5mm 내지 4mm, 길이 14cm 내지 24cm 크기로 만든 후 상온에서 1~3일 자연 건조하여 선향을 제조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한약재로 이루어진 선향 및 그 제조방법{Incense with Herb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선향(線香)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약재를 주재료로 제조하는 선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향이라 함은 그 타는 냄새에 의해 심식(心識)을 깨끗하게 하므로 불교에서는 특히 꽃이나 등불과 더불어 불전에 올리는 중요한 공양물의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일찍이 동양에서는 고인의 명복을 기원하거나 또는 바라고자 하는 것을 이루기 위해 기원할 때에 불에 태우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상가에서나 제사 때나 또는 기원하고자 하는 대상이 있을 경우, 관습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의 향은 향나무를 잘게 썰은 것이 있었는데, 이는 옛날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고, 이것은 향료에 숯불을 비치해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근자에 들어서는 이러한 향은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숯불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선향이 개발되어 사용된다.
상기 선향(線香)은, 선향 끝에 불을 붙인 다음, 세워 놓으면 다 탈때까지 불이 꺼지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기에 편리한 것으로, 주로 이태리 포플러 속껍질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향의 재료로 이태리 포플라 속껍질을 이용함에 따라 이 속껍질만을 인위적으로 채취하는데 드는 인건비와 값비싼 향료의 사용으로 그 생산원가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종래의 선향이 풍기는 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매운맛이 느껴지고 또한 오랜 세월동안 맡아온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식상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보다 새로운 향을 내는 선향이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약재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한약재에서 발산하는 특유의 향이 접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마음을 안정시키고 정신을 맑게하여 종교의식이나 제사, 질병치료 등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 선향(線香)을 제조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향 제조방법은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침향 1.0중량%, 자단향 15.0중량%, 백단향 8.5중량%, 용뇌 4.7중량%, 유향 4.2중량%, 목향 8.0중량%, 안식향 7.0중량%, 정향 5.0중량%, 곽향 6.1중량%, 소회향 4.0중량%, 향유 5.2중량%, 향부자 8.0중량%, 감송향 7.5중량%, 회향 2.0중량%, 사향 1.8중량%, 애납향 1.5중량%, 영릉향 1.5중량%, 백리향 3.0중량%, 쑥 1.7중량%, 측백나무 잎 1.0중량%, 솔잎 1.7중량%, 전단향 1.6중량%를 칭량하는 단계와, 상기 칭량된 한약재들을 건조기에서 건조하거나 상온에서 2∼7일간 자연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한약재를 분말기에서 5회 이상 분쇄시켜 분말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한약재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물성 접착제(찹쌀풀) 5 내지 15 중량부와 물 3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기에서 반죽하는 단계와, 상기 반죽기에서 반죽된 반죽물을 압출기에 넣어 굵기 1.5mm 내지 4mm 정도이고 길이는 14cm내지 24cm 크기로 압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출되어 형성된 성형물을 황토 흙으로 된 건조실에서 20시간 내지 24시간 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한약재를 주재료로 하여 제조되는 선향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로 이루어진 선향의 제작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침향 1.0중량%, 자단향 15.0중량%, 백단향 8.5중량%, 용뇌 4.7중량%, 유향 4.2중량%, 목향 8.0중량%, 안식향 7.0중량%, 정향 5.0중량%, 곽향 6.1중량%, 소회향 4.0중량%, 향유 5.2중량%, 향부자 8.0중량%, 감송향 7.5중량%, 회향 2.0중량%, 사향 1.8중량%, 애납향 1.5중량%, 영릉향 1.5중량%, 백리향 3.0중량%, 쑥 1.7중량%, 측백나무 잎 1.0중량%, 솔잎 1.7중량%, 전단향 1.6중량%를 칭량한다.
이어서, 칭량된 한약재들을 건조기에서 건조하거나 상온에서 2~7일간 자연건조한다.
이어서, 건조된 한약재를 분말기에서 5회 이상 분쇄시켜 분말로 만든다.
이어서, 상기 한약재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물성 접착제인 찹쌀풀 5 내지 15중량부와 물 3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기에서 반죽한다.
이어서, 반죽기에서 반죽된 반죽물을 압출기에 넣어 굵기 1.5mm 내지 4mm 정도 이고 길이는 14cm 내지 24cm 크기로 압출 성형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압출되어 형성된 성형물을 황토 흙으로 된 건조실에서 건조한다. 상기 성형물을 건조하는 시간은 대략 20시간 내지 24시간 정도이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천연 한약재를 주재료로 하여 제조되는 선향으로 이에 사용되는 한약재 중 자단향은 방향성 한약재로 약초 목욕하면 몸에서 향기가 나고 혈액순환이 무척 좋아지며 식욕이 증진되면서 소화까지 잘 된다. 또한 백단향은 우울한 감정을 풀어주며, 우울증과 불면증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같이 한약재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제조되는 선향은 그 냄새가 강하지 아니하면서도 오랫동안 은은하고 쾌적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 발산함으로써 건강에 도움을 줄뿐 만 아니라 접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마음을 안정시키고 정신을 맑게하여 종교의식이나 제사, 질병치료 등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생활 자체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로 이루어진 선향의 제작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Claims (2)

  1. 한약재를 주재료로 하여 제조되는 선향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침향 1.0중량%, 자단향 15.0중량%, 백단향 8.5중량%, 용뇌 4.7중량%, 유향 4.2중량%, 목향 8.0중량%, 안식향 7.0중량%, 정향 5.0중량%, 곽향 6.1중량%, 소회향 4.0중량%, 향유 5.2중량%, 향부자 8.0중량%, 감송향 7.5중량%, 회향 2.0중량%, 사향 1.8중량%, 애납향 1.5중량%, 영릉향 1.5중량%, 백리향 3.0중량%, 쑥 1.7중량%, 측백나무 잎 1.0중량%, 솔잎 1.7중량%, 전단향 1.6중량%를 칭량하는 단계와, 상기 칭량된 한약재들을 건조기에서 건조하거나 상온에서 2 ∼ 7일간 자연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한약재를 분말기에서 5회 이상 분쇄시켜 분말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한약재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물성 접착제인 찹쌀풀 5 내지 15 중량부와 물 3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기에서 반죽하는 단계와, 상기 반죽기에서 반죽된 반죽물을 압출기에 넣어 굵기 1.5mm 내지 4mm 정도이고 길이는 14cm 내지 24cm 크기로 압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출되어 형성된 성형물을 황토 흙으로 된 건조실에서 20시간 내지 24시간 건조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향의 제조방법.
  2. 상기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향.
KR10-2003-0019749A 2003-03-28 2003-03-28 한약재로 이루어진 선향 및 그 제조방법 KR100501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749A KR100501812B1 (ko) 2003-03-28 2003-03-28 한약재로 이루어진 선향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749A KR100501812B1 (ko) 2003-03-28 2003-03-28 한약재로 이루어진 선향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583A KR20040084583A (ko) 2004-10-06
KR100501812B1 true KR100501812B1 (ko) 2005-07-20

Family

ID=37368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749A KR100501812B1 (ko) 2003-03-28 2003-03-28 한약재로 이루어진 선향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18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824B1 (ko) 2021-05-10 2021-11-10 더캔들 주식회사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종이 향
KR102387727B1 (ko) 2021-05-10 2022-04-19 더캔들 주식회사 향용 액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향
KR102605690B1 (ko) * 2022-11-23 2023-11-29 주식회사 케이센스 폐커피박이 함유된 인센스 스틱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985B1 (ko) * 2014-11-07 2019-07-31 조숙자 한방선향의 제조방법
CN105268006A (zh) * 2015-10-14 2016-01-27 厦门天善美香业有限公司 一种天然中草药调养合香及其制备方法
KR102001590B1 (ko) * 2017-11-09 2019-07-18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9966531A (zh) * 2019-04-22 2019-07-05 江苏安心养老服务股份有限公司 桑熏香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824B1 (ko) 2021-05-10 2021-11-10 더캔들 주식회사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종이 향
KR102387727B1 (ko) 2021-05-10 2022-04-19 더캔들 주식회사 향용 액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향
KR102605690B1 (ko) * 2022-11-23 2023-11-29 주식회사 케이센스 폐커피박이 함유된 인센스 스틱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583A (ko)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69468B (zh) 一种线香及其制作方法
CN101322851B (zh) 带香脚的藏药草香的生产方法
KR100501812B1 (ko) 한약재로 이루어진 선향 및 그 제조방법
CN104522092A (zh) 一种香茅油香薰蚊香
CN101669673A (zh) 一种香烟替代品及其制备方法
CN104498126A (zh) 一种机制炭及其制备方法
CN102617897A (zh) 一种含天然香草兰提取物的橡胶手套的制备方法
CN101574096A (zh) 中草药蚊香和中草药柱香的制造方法
CN104489002A (zh) 一种丁香罗勒精油蚊香
CN111838205A (zh) 一种中药防疫线香的配方及其制作工艺
KR20210123016A (ko) 천연 방향 오일을 함유한 방향제 조성물
KR101539542B1 (ko) 정유성분 추출 후의 침엽수 부산물을 포함하는 핫 팩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665685A (zh) 一种杀菌消炎的纯中草药竹签熏香及其制作方法
CN109091694A (zh) 一种陈皮线香及其制备方法
KR102140816B1 (ko) 향나무를 이용한 향 제조 방법
CN112450702A (zh) 一种中药线香及其制备方法
CN104542738A (zh) 一种百合香薰蚊香
CN106512048A (zh) 明德香及其制造方法
CN1784978A (zh) 驱蚊草绿色蚊香及其生产方法
KR20010083811A (ko) 건축재용 황토 엑기스 및 이를 원료로 하는 황토타일,황토몰탈, 황토벽돌 및 황토 구들 그리고 이들의 각제조방법
CN111528234A (zh) 一种艾叶蚊香的配方及其制备方法
KR20040038591A (ko) 선향
JP2006282624A (ja) 鼻の閉塞感を改善する香または線香
KR100851883B1 (ko) 해충억제효과가 있는 베개의 제조방법
KR20040001513A (ko) 악취제거 및 치료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악취제거 및 치료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