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7727B1 - 향용 액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향 - Google Patents

향용 액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7727B1
KR102387727B1 KR1020210059703A KR20210059703A KR102387727B1 KR 102387727 B1 KR102387727 B1 KR 102387727B1 KR 1020210059703 A KR1020210059703 A KR 1020210059703A KR 20210059703 A KR20210059703 A KR 20210059703A KR 102387727 B1 KR102387727 B1 KR 102387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eous solution
incense
liquid composition
fragrance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빈
Original Assignee
더캔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캔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더캔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9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7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7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향용 액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질산칼륨, 자당, 중탄산나트륨, 에틸알코올 및 디프로필렌 글라이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이를 연소재료로 이용할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과 색상이 적용된 현대적 감각의 향을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타 연소재료의 사용시 발생하는 문제점인 불꺼짐 현상, 잡냄새 발생 등을 해소하여 연소 안정성을 개선하고, 풍성하고 깊은 향취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향용 액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향{LIQUID COMPOSITION FOR INCENSE AND INCENS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향용 액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에 불을 붙인 후 소화시켰을 때 화염이 없는 상태로 풍성한 향연을 발산하면서 점진적으로 타들어가도록 함으로써, 연소재료로 종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향용 액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향에 관한 것이다.
향(incense, 香)은 불을 붙이게 되면 서서히 연소되면서 냄새가 나도록 하는 것으로, 과거 부와 권력의 상징으로 사용하거나, 절대적인 신성을 요구하는 종교시설에서 사용되었다.
현대에 와서는 향 제조 기술의 발전과 대량 생산된 향재료의 보급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으나, 단조로운 디자인과 특정 재료만을 사용한 비슷한 향취로 종교행사나 의례에서 주로 사용되는 물품으로 인식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태우는 형태의 향은 막대형이나 원뿔 형태의 수지(樹脂), 목재분말 또는 허브계열의 식물을 이용한 훈향(熏香) 형태로, 모양과 색상이 정형화되어 있다.
그 제조방법은, 수지, 목재 또는 허브계열의 식물을 포함하는 연소재료를 건조하여 80Mesh 이상의 분말로 파쇄 후, 이를 접착재료 및 향료와 혼합하고 반죽하여 압출기로 압출하거나 사출기로 사출하여 선향의 형태 또는 원뿔(Cone) 형태로 성형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조방법은 일정 규모의 시설과 장비가 필요하며, 연소재료의 건조, 반죽 및 성형까지의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숙련된 제조경험과 다양한 공정이 요구된다. 또한, 연소재료인 수지, 목재 또는 허브 등은 고르게 타지 않거나 중간에 불이 꺼지게 되는 경우가 많아 품질 관리가 어렵고, 연소시 잡냄새가 발생하며, 풍성한 향연의 발산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향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4081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0159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6298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01812호 등이 있다. 이러한 선행문헌들에서는 향나무, 한약재 등을 연소재료로 하고, 이에 천연 접착제를 이용하여 반죽, 성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들 역시 향의 모양과 색상이 정형화되어 있으며, 연소재료의 품질 관리 역시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KR 10-2140816 B1 KR 10-2001590 B1 KR 10-1962985 B1 KR 10-0501812 B1
본 발명의 목적은 종이에 불을 붙인 후 소화시켰을 때 화염이 없는 상태로 풍성한 향연을 발산하면서 점진적으로 타들어가도록 함으로써, 연소재료로 종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향용 액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향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지, 목재, 식물, 대나무 등을 연소재료로 적용시 연소재료가 고르게 타지 않거나 중간에 불이 꺼지게 되는 현상을 해소하고, 향연을 풍성하게 발산하며, 연소재료로 인한 잡냄새를 제거하며, 발향력 역시 개선하는 향용 액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향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향용 액체 조성물은, 질산칼륨, 자당, 중탄산나트륨, 에틸알코올 및 디프로필렌 글라이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효성분간 비율은, 상기 질산칼륨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자당 80~120중량부, 중탄산나트륨 30~60중량부, 에틸알코올 8~25중량부 및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20~4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질산칼륨, 자당, 중탄산나트륨, 에틸알코올 및 디프로필렌 글라이콜은 수용액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향은, 상기한 액체 조성물을 연소재료인 종이 또는 목재에 흡착시켜 건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향은, 상기한 액체 조성물을 분말 형태의 연소재료에 혼합하여 성형 및 건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향용 액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향에 의하면, 종이를 연소재료로 이용할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과 색상이 적용된 현대적 감각의 향을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타 연소재료의 사용시 발생하는 문제점인 불꺼짐 현상, 잡냄새 발생 등을 해소하여 연소 안정성을 개선하고, 풍성하고 깊은 향취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향용 액체 조성물은 연소재료에 흡착시키거나 혼합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불균일한 연소, 불꺼짐 현상 등을 방지하여 연소 안정성을 개선하고, 연소시 발생하는 잡냄새를 해소하며, 풍성한 향연을 발생시키고, 발향력을 좋게하는 데 특징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연소재료로 종이를 적용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디자인 및 색상의 향을 제조할 수 있다는 데에도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향용 액체 조성물은, 질산칼륨, 자당, 중탄산나트륨, 에틸알코올 및 디프로필렌 글라이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질산칼륨(Potassium nitrate, KNO3)은 백색의 결정성 분말로, 종이나 기타 연소재료의 산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질산칼륨은 농도가 2~8wt% 인 수용액 형태, 더욱 바람직하게는 2~5wt%인 수용액 형태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질산칼륨은 수용액 내 농도가 높을 경우 빠른 연소로 인하여 점진적으로 타들어가는 향의 역할이 어렵게 되는바, 상기한 농도 범위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당(sucrose)은 연소재료의 연소시 풍성한 향연을 발생하기 위한 재료로, 정제된 자당을 사용한다. 상기 자당은 상기 산화제인 질산칼륨에 대한 환원제 역할을 함으로써, 풍성한 향연을 유도하는 것이다. 상기 자당 역시 농도가 2~8wt% 인 수용액 형태, 더욱 바람직하게는 6~8wt%인 수용액 형태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탄산나트륨(Sodium hydrogen carbonate, NaHCO3)은 연소재료의 오염물질을 흡착해서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가열되면서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면서 연소의 지연작용으로 향 원료가 빠르게 타는 것을 방지하며, 불완전 연소를 유도하여 향연을 풍성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탄산나트륨 역시 농도가 2~8wt% 인 수용액 형태, 더욱 바람직하게는 5~7wt%인 수용액 형태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알코올(ethanol)은 수용액 상에서 발생하는 탄산의 기포 억제와 액체 조성물의 변색을 막고, 중탄산나트륨에 흡착된 이물질을 공기 중으로 휘발시키며, 연소재료의 빠른 건조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틸알코올 역시 농도가 2~8wt% 인 수용액 형태, 더욱 바람직하게는 2~3wt%인 수용액 형태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프로필렌 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은 주위의 수분을 끌어당겨 향의 지속력을 강화하고, 발향을 지연시켜 오랜 기간 향을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역시 농도가 2~8wt% 인 수용액 형태, 더욱 바람직하게는 2~3wt%인 수용액 형태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효성분간 비율, 즉 수용액 상태가 아닌 원재료만의 비율은, 상기 질산칼륨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자당 80~120중량부, 상기 중탄산나트륨 30~60중량부, 상기 에틸알코올 8~25중량부 및 상기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20~4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연소재료의 점진적 연소의 유도, 풍성한 향연, 잡냄새 제거, 깊고 풍부한 향취의 발산 등을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각 유효성분을 수용액 상태로 사용하는 이유는, 각 성분 간의 균일한 혼합 및 상호작용을 통해 효과를 더욱 증진시키기 위함인바, 각 성부낙 비율만 유지된다면 수용액의 농도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향용 액체 조성물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종이에 불을 붙인 후 소화시켰을 때 화염이 없는 상태로 풍성한 향연을 발산하면서 점진적으로 타들어가도록 함으로써, 연소재료로 종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기타 연소재료의 사용시 연소재료가 고르게 타지 않거나 중간에 불이 꺼지게 되는 현상을 해소하고, 향연을 풍성하게 발산하며, 연소재료로 인한 잡냄새를 제거하고, 발향력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향용 액체 조성물은 파라크레스(Paracress, Acmella oleracea)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라크레스 추출물은 향연을 더욱 풍성하게 발산하며, 잡냄새를 제거하고, 연소시간 역시 더욱 연장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파라크레스의 추출물은, 상기 질산칼륨 100중량부에 대하여 10~30중량부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라크레스(Paracress, Acmella oleracea)는,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여러해살이풀의 식물로, 그 추출방법은 파라크레스의 꽃, 잎, 줄기 및 뿌리 중 1종 이상을 시료로 하고, 물,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중 1종 이상을 용매로 하여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중 1종의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고, 희석, 농축 또는 건조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실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향용 액체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향용 액체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질산칼륨, 자당, 중탄산나트륨, 에틸알코올 및 디프로필렌 글라이콜을 준비하고, 각각을 2~8wt%의 수용액 상태로 제조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의 질산칼륨 수용액, 자당 수용액 및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을 혼합하는 단계와, (c) 상기 (a) 단계의 에틸알코올 수용액 및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수용액을 혼합하는 단계와, (d) 상기 (b) 단계의 혼합물 및 상기 (c) 단계의 혼합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질산칼륨, 자당, 중탄산나트륨, 에틸알코올 및 디프로필렌 글라이콜을 준비하고, 각각을 2~8wt%의 수용액 상태로 제조하는 단계
먼저, 원재료인 질산칼륨, 자당, 중탄산나트륨, 에틸알코올 및 디프로필렌 글라이콜을 배합비에 따라 칭량하여 준비한다. 이때, 그 비율은 상기 질산칼륨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자당 80~120중량부, 상기 중탄산나트륨 30~60중량부, 상기 에틸알코올 8~25중량부 및 상기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20~4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각을 2~8wt%의 수용액 상태로 제조하여 혼합을 용이하게 한다. 이때, 질산칼륨은 2~5wt%, 자당은 6~8wt%, 중탄산나트륨은 5~7wt%, 에틸알코올은 2~3t%, 디프로필렌 글라이콜은 2~3wt%의 수용액 상태로 제조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b) 상기 (a) 단계의 질산칼륨 수용액, 자당 수용액 및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a) 단계의 질산칼륨 수용액, 자당 수용액 및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을 혼합하고, 교반한다.
(c) 상기 (a) 단계의 에틸알코올 수용액 및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수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a) 단계의 에틸알코올 수용액 및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수용액을 혼합하고, 교반한다.
(d) 상기 (b) 단계의 혼합물 및 상기 (c) 단계의 혼합물을 혼합하는 단계
최종적으로, 상기 (b) 단계의 혼합물 및 (c) 단계의 혼합물을 혼합하고, 교반함으로써, 향용 액체 조성물의 제조를 완료한다.
또한, 파라크레스 추출물을 더 포함시킬 경우, 이 단계에서 함께 혼합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향용 액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향을 제조하는 방법은, 연소재료인 종이 또는 목재를 준비한 후, 상기 종이 또는 목재에 앞서 제조한 향용 액체 조성물을 흡착시킨다. 이때, 그 흡착방법 및 흡착량은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분무, 침지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이를 자연건조한다.
또한, 연소재료로서 분말 형태의 수지, 허브계열 식물, 대나무 등의 목재 등을 이용할 경우, 이를 분말형태로 준비하고, 분말형태의 연소재료에 상기 향용 액체 조성물을 투입하여 반죽한 후, 성형하고 건조함으로써, 향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연소재료의 성형시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음은 공지된 것인바, 이의 사용을 제한하지 않는다.
아울러, 별도로 설명하지 않았지만 별도의 정유(Essential Oil)나 향유(Fragrance Oil)를 상기 제조된 향용 액체 조성물에 적정량으로 혼합한 후, 연소재료에 적용할 수도 있고, 최종 제조된 향에 별도의 정유(Essential Oil)나 향유(Fragrance Oil)를 도포한 후 연소할 수도 있으며, 종이 또는 분말형태의 연소재료에 정유(Essential Oil)나 향유(Fragrance Oil)를 도포 또는 혼합한 후, 상기 향용 액체 조성물을 도포 또는 혼합하여 향을 제조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실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향은 연소시간이 연장되고, 연소 안정성이 개선되며, 발향력 역시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_향용 액체 조성물의 제조
질산칼륨 35g, 자당 35g, 중탄산나트륨 15g, 에틸알코올 5g,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10g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질산칼륨을 4wt%의 수용액 상태로 제조하고, 자당을 7wt%의 수용액 상태로 제조하고, 상기 중탄산나트륨을 6wt%의 수용액 상태로 제조하고, 상기 에틸알코올을 2wt%의 수용액 상태로 제조하고, 상기 디프로필렌 글라이콜을 2wt%의 수용액 상태로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질산칼륨 수용액, 자당 수용액 및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을 혼합하여 충분히 교반하고, 에틸알코올 수용액,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수용액을 혼합하여 교반한 뒤, 이 두 혼합물을 다시 혼합하여 교반함으로써, 액체 조성물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실시예 2)_향용 액체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최종 혼합시 파라크레스 추출물 7g을 더 혼합하였다.
이때, 상기 파라크레스 추출물은 파라크레스의 건 잎에 3중량배의 70% 에탄올을 넣고, 25℃에서 4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기로 추출한 후, 여과,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_종이 향의 제조
길이 5cm, 지름 0.5cm의 원통형 종이를 준비하고, 준비된 종이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액체 조성물에 20분간 침지한 후, 건져내어 5시간 동안 자연건조하였다.
(실시예 4)_종이 향의 제조
길이 5cm, 지름 0.5cm의 원통형 종이를 준비하고, 준비된 종이를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액체 조성물에 20분간 침지한 후, 건져내어 4시간 동안 자연건조하였다.
(실시예 5)_목재 향의 제조
향나무를 80mesh로 분쇄하고, 이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액체 조성물 및 천연접착제인 찹쌀풀을 10:3:2 중량비로 혼합하여 반죽한 후, 길이 5cm, 지름 0.5cm의 원통형으로 성형하고, 5시간 동안 자연 건조하였다.
(실시예 6)_목재 향의 제조
향나무를 80mesh로 분쇄하고, 이에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액체 조성물 및 천연접착제인 찹쌀풀을 10:3:2 중량비로 혼합하여 반죽한 후, 길이 5cm, 지름 0.5cm의 원통형으로 성형하고, 5시간 동안 자연 건조하였다.
(비교예 1)
길이 5cm, 지름 0.5cm의 원통형 종이를 준비하였다.
(비교예 2)
향나무를 연소재료로 하고, 이에 천연접착제인 찹쌀풀을 10:2중량비로 혼합하여 반죽한 후, 길이 5cm, 지름 0.5cm의 원통형으로 성형하고, 5시간 동안 자연 건조하였다.
(시험예 1)
실시예 3 내지 6 및 비교예 1, 2의 연소시간을 테스트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연소시간은 시료에 불을 붙이고, 10초간 유지한 후, 불꽃을 제거하고, 시료의 길이가 1cm가 될때까지 걸린 시간을 테스트하였다.
시험예 1 결과
구분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 2
연소시간(분) 25 27 34 37 1 22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3, 4는 종이를 연소재료로 사용했음에도 25분 이상 연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실시예 5, 6은 비교예 2에 비하여 10분 이상 연소시간이 길게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실시예 4, 6은 실시예 3, 5에 비하여 연소시간이 연장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실시예 3 내지 6 및 비교예 2의 품질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상기 품질 테스트는 연소 중 발생되는 향연의 양, 잡냄새의 정도, 발향력, 전체적 기호도를 20명의 관능요원이 5점 척도로 테스트하였다. 발향력 테스트를 위하여 동량의 에센셜 오일을 각 시료에 도포한 후 연소하였으며, 점수는 향연의 양이 많을수록, 잡냄새가 적을수록, 발향력이 좋을수록 높게 평가하였다.
상기 비교예 1은 연소시 빠르게 전소되어 테스트가 불가능하므로, 그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시험예 2 결과
구분 향연 양 잡냄새 발향력 전체적 기호도
실시예 3 3.1 4.1 3.8 3.9
실시예 4 3.5 4.5 4.0 4.1
실시예 5 3.5 4.5 4.0 4.3
실시예 6 4.0 4.7 4.3 4.5
비교예 2 2.5 1.5 3.0 2.8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3 내지 6은 비교예 2에 비하여 향연의 양, 잡냄새, 발향력, 전체적 기호도가 모두 높게 평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질산칼륨, 자당, 중탄산나트륨, 에틸알코올,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및 파라크레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질산칼륨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자당 80~120중량부, 중탄산나트륨 30~60중량부, 에틸알코올 8~25중량부,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20~40중량부 및 파라크레스 추출물 10~30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질산칼륨은 농도가 2~5wt% 인 수용액 형태, 자당은 농도가 6~8wt% 인 수용액 형태, 중탄산나트륨은 농도가 5~7wt%인 수용액 형태, 에틸알코올은 농도가 2~3wt%인 수용액 형태 및 디프로필렌 글라이콜은 농도가 2~3wt%인 수용액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용 액체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의 액체 조성물을 연소재료인 종이 또는 목재에 흡착시켜 건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향.
  5. 제1항의 액체 조성물을 분말 형태의 연소재료에 혼합하여 성형 및 건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향.
KR1020210059703A 2021-05-10 2021-05-10 향용 액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향 KR102387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703A KR102387727B1 (ko) 2021-05-10 2021-05-10 향용 액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703A KR102387727B1 (ko) 2021-05-10 2021-05-10 향용 액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7727B1 true KR102387727B1 (ko) 2022-04-19

Family

ID=81390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703A KR102387727B1 (ko) 2021-05-10 2021-05-10 향용 액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772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812B1 (ko) 2003-03-28 2005-07-20 김영주 한약재로 이루어진 선향 및 그 제조방법
KR100843683B1 (ko) * 2007-02-06 2008-07-04 (주)휴스콘건설 공기청정용 향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형향료조성물
KR20140128713A (ko) * 2013-04-29 2014-11-06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석창포 정유 추출물과 비자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향료 조성물
JP3197247U (ja) * 2015-02-16 2015-04-30 株式会社グローバル プロダクト プランニング 香料含有シート
JP2017122080A (ja) * 2016-09-12 2017-07-13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p−メンタン−3,8−ジオールを含有する線香、及び当該線香を燻煙させることによるp−メンタン−3,8−ジオールの空間への拡散方法
KR102001590B1 (ko) 2017-11-09 2019-07-18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962985B1 (ko) 2014-11-07 2019-07-31 조숙자 한방선향의 제조방법
KR102140816B1 (ko) 2020-04-07 2020-08-03 최풍우 향나무를 이용한 향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812B1 (ko) 2003-03-28 2005-07-20 김영주 한약재로 이루어진 선향 및 그 제조방법
KR100843683B1 (ko) * 2007-02-06 2008-07-04 (주)휴스콘건설 공기청정용 향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형향료조성물
KR20140128713A (ko) * 2013-04-29 2014-11-06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석창포 정유 추출물과 비자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향료 조성물
KR101490114B1 (ko) * 2013-04-29 2015-02-10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석창포 정유 추출물과 비자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향료 조성물
KR101962985B1 (ko) 2014-11-07 2019-07-31 조숙자 한방선향의 제조방법
JP3197247U (ja) * 2015-02-16 2015-04-30 株式会社グローバル プロダクト プランニング 香料含有シート
JP2017122080A (ja) * 2016-09-12 2017-07-13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p−メンタン−3,8−ジオールを含有する線香、及び当該線香を燻煙させることによるp−メンタン−3,8−ジオールの空間への拡散方法
KR102001590B1 (ko) 2017-11-09 2019-07-18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40816B1 (ko) 2020-04-07 2020-08-03 최풍우 향나무를 이용한 향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98126B (zh) 一种机制炭及其制备方法
CN105614947A (zh) 滤棒添加剂及其应用
KR102387727B1 (ko) 향용 액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향
CN106963222A (zh) 含有葫芦成分的燃香及其制备方法
JP4031493B2 (ja) 粉粒状お香
JP2780959B2 (ja) お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54949A (ko) 당귀 향초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
KR101080957B1 (ko) 친 환경 양초 및 그 제조방법
KR102323824B1 (ko)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종이 향
JP2002370959A (ja) 線 香
KR20170004386A (ko) 한방 향 및 그 제조 방법
JP2019083854A (ja) 香材、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761688B1 (ko) 미연 향 및 그 제조 방법
KR102377631B1 (ko) 향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81410B1 (ko) 연잎분말과 왕겨,왕겨탄,미강의 분말이 혼합 성형된 연뜸봉 및 그제조방법.
TWM617998U (zh) 以炭化菱角殼製作之拜香結構
KR102108501B1 (ko) 제주도 구상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WO2017110403A1 (ja) 蚊取り線香
JP3256770B2 (ja) 少煙線香
CN109645566A (zh) 一种柑橘皮滤棒多孔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06282624A (ja) 鼻の閉塞感を改善する香または線香
CN104651050A (zh) 一种适用于压缩空气雾化式扩香器的香氛精油及其制备方法
JP2004075581A (ja) お香
JP5597854B2 (ja) ヒバ香の線香
KR102039646B1 (ko) 숯 및 숯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