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4949A - 당귀 향초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당귀 향초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4949A
KR20170054949A KR1020150157744A KR20150157744A KR20170054949A KR 20170054949 A KR20170054949 A KR 20170054949A KR 1020150157744 A KR1020150157744 A KR 1020150157744A KR 20150157744 A KR20150157744 A KR 20150157744A KR 20170054949 A KR20170054949 A KR 20170054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fragrance
angelica
wax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현
Original Assignee
김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현 filed Critical 김수현
Priority to KR1020150157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4949A/ko
Publication of KR20170054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2Apparatus for prepar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향기를 포함한 향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발명은 양초 재료를 가열하여 용융하는 단계, 상기 용융된 양초 재료에 향 재료를 넣어 더 가열하는 단계, 상기 향 재료와 혼합되어 있는 양초 재료에서 상기 향 재료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향 재료를 제거한 양초 재료를 양초 용기에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향초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당귀 향초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Aroma Candle Having Angelica Roo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향기를 포함한 향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향을 포함하게 하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초(Candle)는 파라핀, 밀랍, 소이 왁스(Soy Wax) 등으로 된 가연성 고체 연료(이하, "양초 연료"라 함)를 녹여 일정 형상의 틀에 심지를 삽입하여 성형한 광원용 기구를 말한다.
양초에 불을 붙이려면 성냥의 열로 양초를 녹여 일부를 기화시켜야 한다. 불이 붙은 후에는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타면서 불꽃을 만든다. 불꽃에서 나는 열로 양초가 녹게 되고, 녹은 양초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지를 따라 올라가 기화되어 불꽃을 계속 유지한다.
초기의 양초는 다양한 형태의 천연 지방, 쇠기름, 밀랍으로 만들어졌다. 파라핀은 1830년에 처음으로 증류되었으며, 상기 천연지방, 쇠기름, 밀랍에 비해 값싼 물질이었기에 최근까지 양초 제작에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발화시 유해한 성분이 검출된다고 알려지고 기화 시 향에 대한 거부감이 있는 경우가 많아 최근 밀랍이나 소이 왁스와 같은 천연재료를 사용한 양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천연재료에 대한 관심과 향을 이용한 심리치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천연의 양초 연료와 아울러 향을 내는 재료(이하, 향 재료라 함)를 추가하여 양초가 타면서 향이 발산되도록 한 향초가 개발되었다.
최근 개발되는 향초는 천연의 아로마 에센셜 오일이나 향을 내는 식물을 추가하여 더욱 풍부한 향을 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천연향 재료의 경우 양초가 타면서 그 향이 쉽게 소멸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초 연료에 향성분이 풍부하게 오래 지속되도록 만드는 제조 방법 개발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천연향 재료를 효과적으로 양초 재료와 혼합하여 향의 발산 효과를 높이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천연향 재료를 양초 재료와 혼합하는 데 있어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천연향 재료에 포함되어 있는 향 성분을 많이 적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초 재료를 가열하여 용융하는 단계, 상기 용융된 양초 재료)에 향 재료를 넣어 더 가열하는 단계, 상기 향 재료와 혼합되어 있는 양초 재료)에서 상기 향 재료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향 재료를 제거한 양초 재료를 양초 용기에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향초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양초 연료는 소이 왁스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향 재료는 당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융된 양초 재료에 향 재료를 넣어 더 가열하는 온도는 섭씨 45도에서 70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융된 양초 재료에 상기 향 재료를 넣어 더 가열하는 시간은 2시간에서 4시간 사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이 왁스와 당귀의 비율은 상기 소이왁스 100g에 상기 당귀 30g에서 50g 일 수 있다.
한편, 본발명은 양초 재료와 향재료를 혼합 가열하여 상기 향재료의 향을 내는 입자가 포함한 상기 양초재료에 포함되도록 한 향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향재료는 당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향초는 식물을 포함한 향 재료 고유의 향을 포함하여 심리적인 치료효과가 기대되는 향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향성분을 포함한 향 재료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여, 향을 추출함과 동시에 양초재료와 혼합되도록 하여 제조 시간을 줄이고 향 재료의 재료비를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향초를 만들기 위한 도구 및 재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가열 용기를 이용하여 양초 연료와 당귀를 가열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용해된 당귀 향 입자가 포함된 용해된 양초 연료에서 당귀를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당귀 향 입자가 포함된 양초연료를 심지가 고정된 양초 용기에 주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 및
도 5는 제조가 완료된 향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발명의 향초 제작을 위한 도구 및 재료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고체 양초 연료는 소이 왁스를 사용하였고 향 입자 재료로 당귀(300)를 사용하였으나 이외 다른 여러가지 양초 연료 및 향입자 재료로 대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체 양초연료를 녹이기 위한 가열기(100)와 가열용기를 사용하며 향 입자가 포함된 용해된 양초 연료를 주입하여 만들 양초 용기(500)와 심지를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 양초 연료와 당귀(300)를 가열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체의 양초 연료를 가열 용기(200)에 넣고 가열기(100)를 이용하여 서서히 가열하여 양초 연료를 액체 상태로 만든다. 양초 연료는 파라핀, 밀랍, 소이왁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발명에서는 소이왁스를 사용하였고 향 입자 재료로 당귀(300)를 사용하였다. 소이 왁스 양과 당귀(300) 양의 사용 비율을 소이 왁스 100g당 건조한 당귀(300) 뿌리를 30g에서 50g 사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체 소이 왁스는 가열 용기(200)에 넣은 후 가열기(100)를 이용하여 용융 상태로 만든 후, 향 재료를 넣고 소정 시간 더 가열한다. 이렇게 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용융된 양초 연료에 당귀(300) 향 입자가 혼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열시 용융된 양초 연료의 온도가 낮은 경우 향 재료의 향 성분이 거의 추출되지 않고 용융된 양초 연료의 온도가 높은 경우 향 재료에 포함되어 있는 향 성분이 변질거나 양초 연료에 섞이지 않고 휘발되어 향 성분을 추출하기 어렵고, 특히, 용융된 양초 연료의 온도가 발화점 이상일 경우에는 화재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본발명에서 사용한 소이 왁스의 경우 섭씨 45도에서 섭씨 70도까지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열 시간은 향 입자가 양초 연료에 충분히 우러날 수 있도록 2시간에서 4시간 사이가 적당하다.
도 3은 당귀(300) 향 입자가 포함된 양초 연료에서 당귀(300)를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가열된 당귀(300)는 잔해물을 남길 수 있으므로 채를 이용하여 걸러내는 것이 효과적이다. 가열된 상기 양초 연료와 당귀(300)의 온도가 높으므로 가능하면 손잡이가 달린 채를 사용하고 부상에 주의하여야 한다.
도 4는 당귀(300) 향 입자가 포함된 양초 연료를 양초 용기(500)에 주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심지를 고정한 양초 용기(500)에 상기 향 입자가 포함된 양초 연료를 주입한다. 이때 심지는 일부가 상기 양초 연료에 잠기지 않도록 하고 상기 양초 연료는 양초 용기(500)의 상부에서 1Cm 정도 아래까지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발명의 제조가 완료된 향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주입된 상기 당귀(300) 향 입자가 포함된 양초 재료(400)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경화되고, 첨부된 도 5와 같이 향 입자를 포함한 향초가 제조된다.
100: 가열기
200: 가열 용기
300: 건조 당귀
400: 양초 재료
410: 용융된 양초 재료
420: 당귀 향 입자가 포함된 양초 재료
500: 양초 용기
600: 양초 심지

Claims (8)

  1. 향초 제작 방법에 있어서.
    양초 재료를 가열하여 용융하는 단계;
    상기 용융된 양초 재료에 향 재료를 넣어 더 가열하는 단계;
    상기 향 재료와 혼합되어 있는 양초 재료에서 상기 향 재료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향 재료를 제거한 양초 재료를 양초 용기에 주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향초 제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양초 연료는 소이 왁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초 제작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향 재료는 당귀인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초 제작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용융된 양초 재료에 향 재료를 넣어 더 가열하는 온도는 섭씨 45도에서 70도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초 제작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된 양초 재료에 향 재료를 넣어 더 가열하는 시간은 2시간에서 4시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초 제작 방법.
  6. 제 2항 내지 3항에 있어서
    상기 소이 왁스와 상기 당귀의 비율은 상기 상기 소이 왁스 100g당 상기 당귀는 30g에서 50g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초 제작 방법
  7. 양초 재료와 식물을 혼합 가열하여 상기 식물의 향을 내는 입자를 포함한 상기 양초재료에 포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향재료는 당귀인 것을 특징을 하는 향초

KR1020150157744A 2015-11-10 2015-11-10 당귀 향초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 KR201700549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744A KR20170054949A (ko) 2015-11-10 2015-11-10 당귀 향초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744A KR20170054949A (ko) 2015-11-10 2015-11-10 당귀 향초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949A true KR20170054949A (ko) 2017-05-18

Family

ID=59049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744A KR20170054949A (ko) 2015-11-10 2015-11-10 당귀 향초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494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576A (ko) * 2018-05-21 2018-09-05 최은화 발포 지지체가 구비된 양초 제조 방법 및 발포 지지체가 구비된 양초
KR20200059657A (ko) * 2018-11-21 2020-05-29 최성천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
CN112472859A (zh) * 2020-12-08 2021-03-12 华东理工大学 一种具有十二种香味且持久留香的香氛香薰蜡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576A (ko) * 2018-05-21 2018-09-05 최은화 발포 지지체가 구비된 양초 제조 방법 및 발포 지지체가 구비된 양초
KR20200059657A (ko) * 2018-11-21 2020-05-29 최성천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
CN112472859A (zh) * 2020-12-08 2021-03-12 华东理工大学 一种具有十二种香味且持久留香的香氛香薰蜡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39304T3 (es) Vela comprimida de multiples capas y metodo de fabricacion.
CN105008506B (zh) 蜡组合物、以及金属对燃烧速率的影响
US20080145808A1 (en) Partial acyl glyceride based biowaxes, biocandles prepared therefrom and their preparation
KR20170054949A (ko) 당귀 향초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
US6733548B2 (en) Shimmering candle cream
KR100750205B1 (ko) 자연성분이 함유된 자연향 밀납초 및 그의 제조 방법
ES2256237T3 (es) Vela de incenso.
KR20170050149A (ko) 향초 제조방법
KR20160073220A (ko) 캔들 제조방법
ES2586638T3 (es) Base de vela de gel transparente
WO2007136259A1 (en) Vegetable fat containing candle
KR20150004078U (ko) 발향과 테라피,시각적 힐링 기능을 강화한 멜츠왁스 제조법 및 기능
KR20130000547U (ko) 제주 천연 감귤향 양초 제조 방법
KR101032382B1 (ko) 고연소 밀납양초 및 이의 제조방법
EP3635082A1 (en) Wax formulations having improved release characteristics
KR100970606B1 (ko) 향초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
KR101080957B1 (ko) 친 환경 양초 및 그 제조방법
JP3112337U (ja) 芳香分子の遊離促進装置
WO2016064019A1 (ko) 과피 선형 건조물을 이용한 양초 심지 및 이를 이용한 양초
US20050147540A1 (en) Flame-free aromatherapy essence catalyzing core
KR20200126602A (ko) 천연 왁스 조성물
KR102387727B1 (ko) 향용 액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향
US20210269729A1 (en) Organic Fire Starter
US20140045127A1 (en) Herbal Infused Candles
US10912854B1 (en) Relightable incense product and production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