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590B1 -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1590B1 KR102001590B1 KR1020170148771A KR20170148771A KR102001590B1 KR 102001590 B1 KR102001590 B1 KR 102001590B1 KR 1020170148771 A KR1020170148771 A KR 1020170148771A KR 20170148771 A KR20170148771 A KR 20170148771A KR 102001590 B1 KR102001590 B1 KR 1020015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mixture
- pine
- preparing
- prepar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 및 그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건조된 감국 꽃잎, 황칠, 티크나무, 소나무 목피, 솔방울, 용뇌, 느릅나무 등을 이용하여 반죽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반죽물을 성형하여 성형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건조하여 선향을 제조함으로써, 방향 특성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조된 감국 꽃잎, 황칠, 티크나무, 소나무 목피, 솔방울, 용뇌, 느릅나무 등을 이용하여 반죽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반죽물을 성형하여 성형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건조하여 선향을 제조하는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향은 그 타는 냄새에 의해 심식(心識)을 깨끗하게 하므로 불교에서는 특히 꽃이나 등불과 더불어 불전에 올리는 중요한 공양물의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일찍이 동양에서는 고인의 명복을 기원하거나 또는 바라고자 하는 것을 이루기 위해 기원할 때에 불에 태우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상가에서나 제사 때나 또는 기원하고자 하는 대상이 있을 경우, 관습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의 향은 향나무를 잘게 썰은 것이 있었는데, 이는 옛날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고, 이것은 향료에 숯불을 비치해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근자에 들어서는 이러한 향은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숯불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선향이 개발되어 사용된다.
상기 선향(線香)은 선향 끝에 불을 붙인 다음, 세워 놓으면 다 탈 때까지 불이 꺼지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기에 편리한 것으로, 주로 이태리 포플러 속껍질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향의 재료로 이태리 포플라 속껍질을 이용함에 따라 이 속껍질만을 인위적으로 채취하는데 드는 인건비와 값비싼 향료의 사용으로 그 생산원가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이뿐만 아니라 종래의 선향이 풍기는 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매운맛이 느껴지고 또한 오랜 세월동안 맡아온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식상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보다 새로운 향을 내는 선향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된 감국 꽃잎, 황칠, 티크나무, 소나무 목피, 솔방울, 용뇌, 느릅나무 등을 이용하여 반죽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반죽물을 성형하여 성형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건조하여 선향을 제조하는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조된 감국 꽃잎, 황칠, 티크나무, 소나무 목피, 솔방울, 용뇌, 느릅나무, 감국정유 추출물, 치자 추출물 등을 이용하여 반죽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반죽물을 성형하여 성형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건조하여 선향을 제조하는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의 제조 방법은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분말 형태의 감국 꽃잎, 황칠, 티크나무, 소나무 목피, 솔방울 및 용뇌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혼합물에 느릅나무 및 물을 넣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준비하는 단계; 성형기에 의해, 상기 준비된 반죽물을 압출하여 성형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항온항습 상태의 건조기에 의해,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건조하여 선향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선향은, 상기 감국 꽃잎 50 중량% ~ 70 중량%, 상기 황칠 1 중량% ~ 10 중량%, 상기 티크나무 1 중량% ~ 10 중량%, 상기 소나무 목피 1 중량% ~ 10 중량%, 상기 솔방울 1 중량% ~ 10 중량%, 상기 용뇌 1 중량% ~ 10 중량%, 상기 느릅나무 10 중량% ~ 15 중량% 및 상기 물 10 중량% ~ 30 중량%로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성형물을 건조하여 선향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건조기에 의해,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1일차 ~ 2일차 동안 15℃ ~ 18℃ 범위에서 온도만을 설정한 상태로 1차 건조시키는 과정; 및 상기 1차 건조된 성형물을 3일차 ~ 5일차 동안 20℃ ~ 22℃ 범위에서 항습기를 가동하여 선향의 수분 함량이 12% ~ 18%가 되도록 2차 건조시켜 상기 선향을 준비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의 제조 방법은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분말 형태의 감국 꽃잎, 황칠, 티크나무, 소나무 목피, 솔방울 및 용뇌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혼합물에 감국 정유 추출물, 치자 추출물, 느릅나무 및 물을 넣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준비하는 단계; 성형기에 의해, 상기 준비된 반죽물을 압출하여 성형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항온항습 상태의 건조기에 의해,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건조하여 선향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선향은, 상기 감국 꽃잎 50 중량% ~ 70 중량%, 상기 황칠 1 중량% ~ 10 중량%, 상기 티크나무 1 중량% ~ 10 중량%, 상기 소나무 목피 1 중량% ~ 10 중량%, 상기 솔방울 1 중량% ~ 10 중량%, 상기 용뇌 1 중량% ~ 10 중량%, 상기 감국 정유 추출물 5 중량% ~ 10 중량%, 상기 치자 추출물 1 중량% ~ 5 중량%, 상기 느릅나무 10 중량% ~ 15 중량% 및 상기 물 5 중량% ~ 20 중량%로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은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에 있어서, 분말 형태의 감국 꽃잎, 황칠, 티크나무, 소나무 목피, 솔방울 및 용뇌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준비한 혼합물을 느릅나무 및 물을 이용하여 결속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은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에 있어서, 분말 형태의 감국 꽃잎, 황칠, 티크나무, 소나무 목피, 솔방울 및 용뇌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준비한 혼합물에 향기를 위한 감국 정유 추출물과 치자 추출물을 혼합하고 느릅나무 및 물을 이용하여 결속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조된 감국 꽃잎, 황칠, 티크나무, 소나무 목피, 솔방울, 용뇌, 느릅나무 등을 이용하여 반죽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반죽물을 성형하여 성형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건조하여 선향을 제조함으로써, 방향 특성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된 감국 꽃잎, 황칠, 티크나무, 소나무 목피, 솔방울, 용뇌, 느릅나무, 감국정유 추출물, 치자 추출물 등을 이용하여 반죽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반죽물을 성형하여 성형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건조하여 선향을 제조함으로써, 심신안정과 스트레스 해소에 좋아 차의 원료로 주로 사용되는 감국의 응용 범위를 넓혀 생산자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갈산과 감국을 이용한 토탈 페놀 함량 비교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킨과 감국을 이용한 토탈 플라보노이드 함량 비교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국을 이용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비교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국을 이용한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비교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국의 GC-MS 분석을 위한 분석 조건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제 지역 감국의 GC-MS 크로마토그래피 비교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조군으로 이용한 국산 감국과 중국산 감국의 GC-MS 크로마토그래피 비교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국 앱솔루트 오일 방향족 화합물 구성 성분 및 함량 분석을 나타낸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국 에션셜 오일의 대표적 방향족 화합물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제 지역의 감국 잎과 줄기에 대한 시기별(6월 ~ 10월) GC-MS 크로마토그래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국의 Q-TOF-MS 분석을 위한 분석 조건을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PLC-PDA를 이용한 거제 감국의 크로마토그램(254nm)을 나타낸 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Q-TOF MS를 이용한 거제 감국의 TIC 분석(positive model)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갈산과 감국을 이용한 토탈 페놀 함량 비교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킨과 감국을 이용한 토탈 플라보노이드 함량 비교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국을 이용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비교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국을 이용한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비교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국의 GC-MS 분석을 위한 분석 조건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제 지역 감국의 GC-MS 크로마토그래피 비교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조군으로 이용한 국산 감국과 중국산 감국의 GC-MS 크로마토그래피 비교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국 앱솔루트 오일 방향족 화합물 구성 성분 및 함량 분석을 나타낸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국 에션셜 오일의 대표적 방향족 화합물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제 지역의 감국 잎과 줄기에 대한 시기별(6월 ~ 10월) GC-MS 크로마토그래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국의 Q-TOF-MS 분석을 위한 분석 조건을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PLC-PDA를 이용한 거제 감국의 크로마토그램(254nm)을 나타낸 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Q-TOF MS를 이용한 거제 감국의 TIC 분석(positive model)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의 제조 방법을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100 메쉬(mesh) ~ 200 메쉬의 분말 형태의 감국 꽃잎, 황칠, 티크나무, 소나무 목피(또는 소나무 껍질), 솔방울, 용뇌 등을 혼합한 후, 교반기(미도시)를 통해 20rpm ~ 40rpm의 속도(또는 회전 속도)로 20분 ~ 40분(일반적으로 30분) 동안 교반하여 혼합물을 준비한다. 이때, 상기 감국 꽃잎, 황칠, 티크나무, 소나무 목피, 솔방울, 용뇌 등은 성상 검사, 변질 검사, 부패 검사, 이물질 검사 등을 통해 이상이 있는 제품은 제거된 상태이며, 열풍 건조된 상태로 영하 3℃ ~ 영하 7℃(일반적으로 영하 5℃)에서 보관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전체 선향 성분의 중량 비율에서 상기 감국 꽃잎 50 중량% ~ 70 중량%, 상기 황칠 1 중량% ~ 10 중량%, 상기 티크나무 1 중량% ~ 10 중량%, 상기 소나무 목피 1 중량% ~ 10 중량%, 상기 솔방울 1 중량% ~ 10 중량% 및 상기 용뇌 1 중량% ~ 10 중량%로 조성(또는 구성)한다.
상기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은 9월 ~ 10월에 걸쳐 전국의 야산에서 진한 노랑색의 꽃을 피우는 국화과 다년생 초본으로, 차로써도 많이 사용되며 해열, 해독, 진통, 소염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감국은 심신안정과 스트레스 해소에 좋은 차의 원료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감국 또는 상기 감국의 에센셜 오일이 가지고 있는 향기를 이용하여 선향을 제조함에 따라, 선향이 탈 때 은은한 감국 향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서 우리 나라 남해안의 일부 도서지역에서 볼 수 있으며, 황칠나무의 수피에 상처를 내면 황색의 액이 소량 분비되는데 이를 황칠이라 한다.
황칠은 투명한 천연 도료로 삼국시대부터 가구, 가죽, 옷감, 금속, 종이 등에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황칠을 한 목공예품은 금빛을 띠면서도 바탕의 나무결을 생생하게 떠오르게 하여 목공예품을 한층 화사하게 하는 장점이 있어 목공예 분야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상기 황칠은 도료로서의 작용 이외에도 약리작용이 일부 알려져 있는데, 명나라 이시진이 저술한 본초강목에서 황칠은 번열을 제거하며, 술로 인한 황달과 눈이 노랗게 되는 증상을 풀어주고, 나병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황칠은 그 약리작용으로 인하여 황칠에서 특정성분을 분리할 경우 의약품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옻칠과 달리 피부 알레르기를 거의 유발하지 않고 취급이 용이하므로 황칠을 적당히 2차 가공하면 건강 식품으로도 널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황칠은 선향이 탈 때 연기를 적게 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티크나무(teakwood, tectona grandis)(또는 전단나무)는 견고하고 습기에 강하며, 수축과 팽창이 적어 뒤틀림이나 갈라짐이 적으며 가공하기 용이하다.
또한, 상기 티크나무는 강도와 수분에 강해 접착제로 사용되는 느릅나무의 보조제 역할을 하며, 선향 제품의 뒤틀림을 방지하여 형태 유지에 도움을 주며, 티크나무의 방향성 성분에 의해 벌레에 대한 저항력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선향 제조 시 천연 방부제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티크나무는 선향에 포함되는 주요 향기 성분을 가두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나무 목피(또는 소나무 껍질)은 다량의 천연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폴리페놀 성분은 주로 식물체의 잎, 줄기, 뿌리, 종자 등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데, 특히 소나무 껍질로부터 추출된 고품질의 천연 폴리페놀 성분은 강력한 항염증 및 항균 활성뿐만 아니라 항산화, 항바이러스, 면역증진, 천식개선, 혈액순환촉진, 동맥경화개선, 혈전 방지, 운동력증진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건강기능식품과 기능성 음료, 화장품, 의약품, 사료첨가제 등으로 그 응용범위를 확대해 가고 있다.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는 낮은 산에서 자라는 상록성 침엽교목으로 키는 30-40m로 자라고, 수피가 벗겨지면 적갈색이 되기 때문에 적송이라고 부른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만주, 일본 등지에서 분포되어 있으며 솔잎, 송진, 송목피 등은 구황식품으로도 널리 식용되어 왔다.
상기 소나무의 종류로는 반송(forma multicaulis: 천지송, 만지송, 조선다행송 등으로도 지칭), 황금소나무(forma aurescens), 용소나무(forma anguina); 둥근소나무(var globosa); 처진소나무(forma pendula); 도깨비방망이소나무(forma aggregata), 다닥다닥소나무(forma bi-aggergata), 금강송(forma erecta) 등이 있다.
상기 솔방울은 소나무의 방울열매로 송구(松球), 송실(松實)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상기 솔방울은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고, 폐기(肺氣)가 잘 통하여 풍한(風寒)으로 인한 기침과 담천(痰喘)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솔방울의 효능에 관한 기존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in vivo 실험에서 항암효과뿐만 아니라, 항균효과도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솔방울의 테르페노이드 성분을 분석한 결과, 모노테르펜(monoterpene)인 β-펠란드렌(phellandrene)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용뇌는 일명 빙편(氷片, Borneol)이라고도 하며, 한의학에서는 오래 전부터 보약 강장제로 용뇌안신환을 개발하여 천연두 등 전신 질환을 앓고 난 후 체력 보강과 원기회복을 통한 질병 치료와 후유증 완화에 사용해 왔다.
또한, 상기 솔방울은 불쏘시개처럼 선향에 불을 붙였을 때, 잘 꺼지지 않고 끝까지 연소가 잘 되게 하기 위한 용도(또는 목적)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용뇌는 한약재로 사용할 경우 막힌 것을 통하게 하고 정신을 맑게 하는 효과가 있어 정신이 혼미할 때나 의식 장애가 있을 시 열을 내리고 부종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며, 고열, 경련, 소아 경기에 효과가 있고 인후염, 안과 질환 중 가려움증, 충혈과 같은 각종 염증을 완화시키는데 사용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용뇌는 선향이 탈 때 선향 자체의 본연의 향과 함께 다른 소재의 발현이 용이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S110).
이후, 상기 준비된 혼합물에 느릅나무 분말 및 물을 넣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준비한다.
이때, 상기 전체 선향 성분의 중량 비율에서 상기 느릅나무 10 중량% ~ 15 중량% 및 상기 물 10 중량% ~ 30 중량%로 조성(또는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이다. 봄에 어린 잎은 식용으로 사용하며 껍질을 유피라고 하고 특히 뿌리껍질을 유근피라고 한다.
상기 느릅나무는 예로부터 종기나 종창에 효과가 있는 나무로 알려져 왔으며 최근에는 항산화 효과, 아질산염 제거능과 치과 카리에스에 대한 항세균 효과 및 항암효과에 대한 보고가 있다. 동의보감에서 느릅나무는 성질이 평하고 맛이 달고 독이 없으며 부드러워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고 장, 위의 사열을 없애 장염에 효과적이며 부은 것을 가라앉히고 불면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느릅나무의 껍질 등에는 녹말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상기 혼합물과 상기 물과 작용하여 상기 혼합물에 포함된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한 접착력(또는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다.
성분 | 조성비(중량%) |
감국 꽃잎 | 50 ~ 70 |
황칠 | 1 ~ 10 |
티크나무 | 1 ~ 10 |
소나무 목피 | 1 ~ 10 |
솔방울 | 1 ~ 10 |
용뇌 | 1 ~ 10 |
느릅나무 | 10 ~ 15 |
물 | 10 ~ 30 |
이와 같이, 상기 감국 꽃잎을 이용한 반죽물은 상기 [표 1]에서와 같은 조성비(중량%)로 구성할 수 있다(S120).
이후, 상기 준비된 반죽물을 성형기(미도시)(또는 항온항습 기능이 포함된 성형기)에 넣고 지름 2mm ~ 4mm(일반적으로 3mm)의 성형틀에 의해 길이 1m ~ 2m 정도로 압출하여 성형물을 준비한다(S130).
이후,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항온항습 상태의 건조기(미도시)에서 건조하여 최종적인 선향을 준비한다.
이때, 상기 준비된 성형물은 항온항습되는 건조기(또는 건조장)에서 초기 1일차 ~ 2일차 동안은 15℃ ~ 18℃ 범위에서 온도만을 설정한 상태로 1차 건조시킨다.
또한, 상기 1차 건조된 성형물은 3일차 ~ 5일차 동안은 20℃ ~ 22℃ 범위에서 항습기(미도시)를 가동하여 선향의 수분 함량이 12% ~ 18%(일반적으로 15%)가 되도록 2차 건조시켜, 상기 최종적인 선향을 준비한다. 이때, 상기 건조기의 일측에 구비된 환풍기(미도시)를 통해 상기 건조기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킨다(S140).
이후, 상기 건조된 선향을 절삭기(미도시)를 통해 10cm ~ 20cm로 자른 후, 미리 설정된 포장 단위에 따라 포장기(미도시)를 통해 포장한다(S150).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100 메쉬 ~ 200 메쉬의 분말 형태의 감국 꽃잎, 황칠, 티크나무, 소나무 목피(또는 소나무 껍질), 솔방울, 용뇌 등을 혼합한 후, 교반기(미도시)를 통해 20rpm ~ 40rpm의 속도(또는 회전 속도)로 20분 ~ 40분(일반적으로 30분) 동안 교반하여 혼합물을 준비한다. 이때, 상기 감국 꽃잎, 황칠, 티크나무, 소나무 목피, 솔방울, 용뇌 등은 성상 검사, 변질 검사, 부패 검사, 이물질 검사 등을 통해 이상이 있는 제품은 제거된 상태이며, 열풍 건조된 상태로 영하 3℃ ~ 영하 7℃(일반적으로 영하 5℃)에서 보관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전체 선향 성분의 중량 비율에서 상기 감국 꽃잎 50 중량% ~ 70 중량%, 상기 황칠 1 중량% ~ 10 중량%, 상기 티크나무 1 중량% ~ 10 중량%, 상기 소나무 목피 1 중량% ~ 10 중량%, 상기 솔방울 1 중량% ~ 10 중량% 및 상기 용뇌 1 중량% ~ 10 중량%로 조성(또는 구성)한다(S210).
이후, 상기 준비된 혼합물에 감국 정유 추출물(또는 감국 에션셜 오일/감국 오일), 치자 추출물, 느릅나무 분말 및 물을 넣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준비한다.
이때, 상기 감국 정유 추출물 및/또는 상기 치자 추출물은 증류 추출 방식, 용매 추출 방식, 열수 추출 방식, 초음파 추출 방식 등을 통해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체 선향 성분의 중량 비율에서 상기 감국 정유 추출물 5 중량% ~ 10 중량%, 상기 치자 추출물 1 중량% ~ 5 중량%, 상기 느릅나무 10 중량% ~ 15 중량% 및 상기 물 5 중량% ~ 20 중량%로 조성(또는 구성)한다.
성분 | 조성비(중량%) |
감국 꽃잎 | 50 ~ 70 |
황칠 | 1 ~ 10 |
티크나무 | 1 ~ 10 |
소나무 목피 | 1 ~ 10 |
솔방울 | 1 ~ 10 |
용뇌 | 1 ~ 10 |
감국 정유 추출물 | 5 ~ 10 |
치자 추출물 | 1 ~ 5 |
느릅나무 | 10 ~ 15 |
물 | 5 ~ 20 |
이와 같이, 상기 감국 꽃잎을 이용한 반죽물은 상기 [표 2]에서와 같은 조성비(중량%)로 구성할 수 있다(S220).
이후, 상기 준비된 반죽물을 성형기(미도시)(또는 항온항습 기능이 포함된 성형기)에 넣고 지름 2mm ~ 4mm(일반적으로 3mm)의 성형틀에 의해 길이 1m ~ 2m 정도로 압출하여 성형물을 준비한다(S230).
이후,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항온항습 상태의 건조기(미도시)에서 건조하여 최종적인 선향을 준비한다.
이때, 상기 준비된 성형물은 항온항습되는 건조기(또는 건조장)에서 초기 1일차 ~ 2일차 동안은 15℃ ~ 18℃ 범위에서 온도만을 설정한 상태로 1차 건조시킨다.
또한, 상기 1차 건조된 성형물은 3일차 ~ 5일차 동안은 20℃ ~ 22℃ 범위에서 항습기(또는 미도시)를 가동하여 선향의 수분 함량이 12% ~ 18%(일반적으로 15%)가 되도록 2차 건조시켜, 상기 최종적인 선향을 준비한다. 이때, 상기 건조기의 일측에 구비된 환풍기(미도시)를 통해 상기 건조기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킨다(S240).
이후, 상기 건조된 선향을 절삭기(미도시)를 통해 10cm ~ 20cm로 자른 후, 미리 설정된 포장 단위에 따라 포장기(미도시)를 통해 포장한다(S250).
이와 같이, 건조된 감국 꽃잎, 황칠, 티크나무, 소나무 목피, 솔방울, 용뇌, 느릅나무 등을 이용하여 반죽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반죽물을 성형하여 성형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건조하여 선향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건조된 감국 꽃잎, 황칠, 티크나무, 소나무 목피, 솔방울, 용뇌, 느릅나무, 감국정유 추출물, 치자 추출물 등을 이용하여 반죽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반죽물을 성형하여 성형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건조하여 선향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감국 정유 추출물(또는 감국 에션셜 오일)은 다음의 과정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즉, 상기 감국 정유 추출물은 증류 추출 방식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증류 추출 방식은 식물체(예를 들어 감국)에 수증기를 불어 넣거나 물을 가열하면 유세포가 파괴되면서 향이 유리되어 수증기와 같이 증류된다. 실제로 향료의 비등점은 150℃ ~ 300℃ 정도 되는데, 수증기와 같이 증류하면 비등점이 이보다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향료 성분의 분해나 변질을 막는 것이 가능하며, 이런 증류법을 하이드로 증류법(hydro distillation)이라고 한다.
또한, 상기 감국 정유 추출물은 상기 감국 꽃잎에 핵산, 석유 에테르 등의 휘발성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도 있다. 열에 불안정한 향료나 비등점이 높은 성분이 많으며, 수증기 증류로는 향료를 수율 좋게 얻을 수 없는 경우에 이용된다. 식물(예를 들어 감국)을 휘방성 용제에 담가서 온도를 약간 올려 추출한다. 얻어진 오일을 콘트리트(concrete)라고 하며, 그대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차가운 에탄올에서 다시 추출하여 엡솔루트 오일(absolute oil)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음건된 감국(또는 감국 꽃잎)을 효율을 높이기 위해 믹서(미도시)를 이용하여 600 메쉬(mesh) ~ 800 메쉬의 분말 형태로 곱게 분쇄한다.
이후, 분쇄된 감국 500g당 유기용매(예를 들어 헥산 등 포함) 10L를 넣고, 실온에서 2일 동안 침지시킨다.
이후, 거름 종이(또는 여과지)를 이용해서 상기 유기용매에 침지된 감국을 필터링하여(또는 여과하여) 불순물을 걸러낸다.
이후, 걸러진(또는 필터링된) 추출물을 황산나트륨(Na2SO4)을 이용하여 남아 있는 수분을 제거하고, 다시 2차로 필터한다.
이후, 상기 2차로 걸러진 추출물을 회전농축기(미도시)를 통해 감압회전 농축시켜 유기용매를 모두 제거하여 가데니아 콘크리트(Gardenia Concrete)를 획득한다.
이후, 원심 분리기(centrifuge)(미도시)를 이용하여 상등액을 분리시키고, 상기 분리된 상등액을 상기 회전농축기를 통해 다시 감압회전 농축시켜 앱솔루트 오일(또는 상기 감국 정유 추출물)을 획득한다. 이때, 상기 회전농축기의 수온 욕조를 20℃를 넘기지 않도록 관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국에 대해서 증류 추출 방식에 의해 상기 감국 정유 추출물을 준비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감국에 대해서 열수 추출 방식, 초음파 추출(예를 들어 물 초음파 추출, 주정 초음파 추출 등 포함), 주정 추출 등을 통해서 상기 감국 정유 추출물을 준비(또는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치자 추출물은 상기 기재된 추출 방식들 중 어느 하나의 추출 방식을 통해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감국 정유 추출물에 대해서 토탈 페놀 분석, 토탈 플라보노이드 분석, DPPH 항산화 활성 분석, ABTS 항산화 활성 분석 등의 생리활성물질 분석을 수행하였다.
즉, 토탈 페놀(또는 토탈 폴리페놀, total phenol, total polyphenol)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상기 감국 정유 추출물 0.1mL, 2% 탄산나트륨(Na2CO3) 2mL을 혼합하고, 3분 후에 1N Folin & Ciocalteu's phenol reagent를 0.1mL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UV/Visible spectrophotometer(SpectraMax M5 multi mode microplate reader)로 7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갈산(galic acid)을 표준물질로 하여 작성한 검량선으로 시료 g당 총 폴리페놀 함량을 갈산 기준으로 환산하여 나타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갈산과 감국(또는 감국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토탈 페놀 함량 비교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내 라디칼(radical)을 제거하여 산화방지 효과를 내는 페놀성 물질인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500 ppm 농도에서 산청 지역의 감국이 가장 높은 함량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폴리페놀 함량이 높으므로, 페놀성 물질 함량이 높은 식물성 항산화 소재로 활용 가치가 높을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토탈 플라보노이드(total flavonoid) 함량은 상기 감국 정유 추출물 0.2mL, 디에틸렌글리콜(diethlyene glycol) 2mL, 1N 수산화나트륨(NaOH) 0.2mL를 첨가하여 37℃의 항온수조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카테킨(catechin)을 표준물질로 작성한 검량선에 대입하여 시료 g당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카테킨 기준으로 환산하여 나타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킨과 감국(또는 감국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토탈 플라보노이드 함량 비교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내 라디칼을 제거하여 산화방지 효과를 내는 페놀성 물질인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6 ppm 농도에서 산청 지역의 감국이 가장 높은 함량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으므로, 페놀성 물질 함량이 높은 식물성 항산화 소재로 활용 가치가 높을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항산화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여 그 방법들이 잘 적립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DPPH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며,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항산화 활성의 경우, DPPH 라디칼 용액은 보라색을 띠고 있는데, 일정 농도로 조제된 감국 추출 용액을 가한 후 10초간 충분히 혼합하여 반응을 진행시켜 전자를 제공받아 노란색으로 발색되는 정도를 측정한다. 이런 색의 변화는 항산화능의 척도로 항산화 능력이 뛰어난 시료는 보라색의 변화가 크고 빠르며, 그렇지 않은 시료의 경우 색의 변화가 크지 않거나 느리다. 또한, 시료가 가진 색에 의한 간섭을 보정하기 위해 시료 대조구의 흡광도를 함께 측정하여, 정확히 10분 후 517nm에서 반응액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한다. 시료 첨가구와 비첨가구의 흡광도차를 백분율로 표시하여 감국 추출물이 DPPH 라디칼로 전자를 제공하여 전자공여능으로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국을 이용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비교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군으로 사용된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비타민 C)과 6개의 시료를 비교하였을 때, 500 ppm 농도에서 산청, 거제, 태안, 제주 산 감국순으로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국산 감국과, 중국산 감국과 비교해서도 산청, 거제, 태안의 감국이 상대적으로 효과가 더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6-sulphonic-acid)와 potassium persulphate를 12시간 이상 암소에 방치하여 청록색의 ABTS 라디칼을 형성시켜 냉장 보관한다. 라디칼 스톡 솔루션(radical stock solution)은 734nm에서 흡광도 값이 1.5가 되도록 메틸알코올(MeOH)로 희석한다. 이 용액에 감국 추출물을 가한 후, 상온에서 1시간 방치하여 반응액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한다. 또한, 표준물질로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비타민 C)을 이용하여 표준곡선을 작성 후, 적정 농도를 찾아 동량 첨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국을 이용한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비교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500 ppm의 동일한 농도에서 비교실험 한 결과, 산청 지역의 감국이 50% 이상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을 가지는 것으로 보였으며, 거제, 제주, 태안 감국 순서로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냈다.
GC-MS(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법, Gas Chromatograph/Mass Spectograph)를 이용하여 거제 감국 및 국내에서 구입 가능한 국산 감국, 중국산 감국을 구매하여 향기 성분을 분석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국의 GC-MS 분석을 위한 분석 조건을 나타낸다.
상기 감국의 GC-MS 분석 결과, 유기 용매를 이용한 추출 효율을 검증하였다.
즉, 엡솔루트 오일 추출 효율을 확인하기 위해서, 건조된 거제 감국을 곱게 분쇄하고, 이 중 10g당 헥산 100mL를 사용하여 24시간 동안 교반 추출하여, 다음의 [표 3]과 같이 이들의 추출 효율을 확인하였다.
감국 종류 | 시료 무게(g) | 추출물 무게 | 추출 효율(%) |
거제 | 10.01 | 2.03 | 20.28 |
필터한 감국을 농축시켜, 헥산을 모두 제거하고, 농축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추출 효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감국을 10g당 2.03g을 얻어 20.28%의 추출 효율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제 지역 감국의 GC-MS 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y) 비교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조군으로 이용한 국산 감국과 중국산 감국의 GC-MS 크로마토그래피 비교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상기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약재 시장에서 구매한 국산 감국과 중국산 감국을 대상으로 GC/MS를 이용하여 방향성 화합물 분석을 실시한 결과, 품종별 감국이 가지고 있는 방향성분의 조성과 함량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의 도 10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GC/MS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감국 품종, 국내산 감국, 중국산 감국의 에션셜 오일에 함유되어 있는 방향성 화합물들의 구조 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도 10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제 감국 꽃을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에션셜 오일(또는 상기 감국 정유 추출물)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에션셜 오일을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169개의 방향족 화합물을 분석할 수 있었으며, 이들은 전체 오일의 약 95% 이상을 구성하고 있었다.
또한, 방향족 화합물의 화학적 구조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화합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전체 169개의 방향족 화합물들 중에서 베타-페렌드레네(B-Phellandrene), 1,8-씨네올(1,8-cineole), Caryophyllene oxide가 감국에서 유래된 방향족 화합물들 중 가장 일반적인 성분으로 조사되었으며, oxygenated monoterpenes 계열 화합물들이 방향성 화합물 그룹들 중 가장 높은 조성 비율(18.7% ~ 75.17%)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monoterpene hydrocarbons(1.87% ~ 14.73%) 중 베타-페렌드레네(0.08% ~ 2.22%)가 높은 조성을 보였으며, sesquiterpene hydrocarbons(6.14% ~ 28.71%) 중 (Z)-a-farnesene(0.37% ~ 1.69%)이 대표적인 화합물임이 분석되었으며, oxygenated sesquiterpene(2.22% ~ 20.31%) 중 caryophyllene oxide(0.54% ~ 5.49%)가 가장 높은 함량을 가지는 화합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제 지역의 감국 잎과 줄기에 대한 시기별(6월 ~ 10월) GC-MS 크로마토그래피를 나타낸 도이다.
거제 지역의 감국 줄기와 잎을 6월 ~ 10월에 걸쳐 샘플을 채취하고, 상기 채취한 감국 줄기와 잎을 음건하여 건조시킨 후, 1g씩 5mL의 헥산에 추출하여 CG 샘플을 만들었다. 이후, 이들을 이용하여 시기별, 부위별로 방향족 화합물의 조성 및 성분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정도의 차이는 조금씩 보이나 두드러지게 특정 방향족 화합물이 많아지거나 성분 함량이 차이가 나는 결과는 없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국의 Q-TOF-MS 분석(또는 감국 MeOH 추출물 UPLC Q-TOF-MS 분석)을 위한 분석 조건을 나타낸다.
UPLC/PDA detetor를 이용하여 4종의 감국을 분석하였다.
먼저, 가장 효율적인 추출 용매 및 추출 효율을 확인하기 위해서 에탄올(EtOH), 메틸알코올(MeOH), 물(H2O)와 같은 극성이 높은 용매를 이용하였다. 잘 건조된 감국을 믹서로 곱게 분쇄하고, 시료 2g당 20mL씩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환류 냉각 추출을 24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다음의 [표 4]는 용매별 감국 추출물의 효율을 나타낸다.
EtOH | MeOH | H2O | |
시료 무게(g) | 2.01 | 2.01 | 2.01 |
추출물 무게(g) | 0.66 | 0.70 | 0.32 |
추출 효율(%) | 32.95 | 35.13 | 16.35 |
그 결과 에탄올 추출물은 32.95%, 메틸알코올 추출물은 35.13% 및 물 추출물은 16.35%의 추출 효율을 나타냈으며, 35.13%의 추출 효율을 얻은 메틸알코올을 추출 용매로 선정하였다. 메틸알코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Q-TOF-MS 분석 시료를 제작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메틸알코올로 추출한 추출물 10mg을 1mL의 HPLC용 메틸알코올에 녹여 10만 ppm 농도로 조제하고, 이를 0.2mm 필터로 거르고 희석시켜 UPLC 분석을 하였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PLC-PDA를 이용한 거제 감국의 크로마토그램(254nm)을 나타낸 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Q-TOF MS를 이용한 거제 감국의 TIC 분석(positive model)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그 결과, 분석 시작 후 8분 이내 주요 화합물들이 분리되었으며, 화합물들의 조성 및 함량이 차이를 보였다. 이는 방향족 화합물보다는 식물이 가지는 2차 대사산물 위주의 화합물 조성으로 분석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감국 4개종의 2차 대사물질들을 기준으로 하여 Q-TOF-MS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여 그룹을 설정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건조된 감국 꽃잎, 황칠, 티크나무, 소나무 목피, 솔방울, 용뇌, 느릅나무 등을 이용하여 반죽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반죽물을 성형하여 성형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건조하여 선향을 제조하여, 방향 특성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건조된 감국 꽃잎, 황칠, 티크나무, 소나무 목피, 솔방울, 용뇌, 느릅나무, 감국정유 추출물, 치자 추출물 등을 이용하여 반죽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반죽물을 성형하여 성형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건조하여 선향을 제조하여, 심신안정과 스트레스 해소에 좋아 차의 원료로 주로 사용되는 감국의 응용 범위를 넓혀 생산자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건조된 감국 꽃잎, 황칠, 티크나무, 소나무 목피, 솔방울, 용뇌, 느릅나무 등을 이용하여 반죽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반죽물을 성형하여 성형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건조하여 선향을 제조함으로써, 방향 특성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감국 활용 분야, 선향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7)
-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감국 꽃잎, 황칠, 티크나무, 소나무 목피, 솔방울 및 용뇌를 각각 분말형태로 준비하여 혼합한 후 교반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혼합물에 느릅나무 분말 및 물을 넣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준비하는 단계;
성형기에 의해, 상기 준비된 반죽물을 압출하여 성형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항온항습 상태의 건조기에 의해,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건조하여 선향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의 제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향은,
상기 감국 꽃잎 50 중량% ~ 70 중량%, 상기 황칠 1 중량% ~ 10 중량%, 상기 티크나무 1 중량% ~ 10 중량%, 상기 소나무 목피 1 중량% ~ 10 중량%, 상기 솔방울 1 중량% ~ 10 중량%, 상기 용뇌 1 중량% ~ 10 중량%, 상기 느릅나무 10 중량% ~ 15 중량% 및 상기 물 10 중량% ~ 30 중량%로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의 제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물을 건조하여 선향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건조기에 의해,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1일차 ~ 2일차 동안 15℃ ~ 18℃ 범위에서 온도만을 설정한 상태로 1차 건조시키는 과정; 및
상기 1차 건조된 성형물을 3일차 ~ 5일차 동안 20℃ ~ 22℃ 범위에서 항습기를 가동하여 선향의 수분 함량이 12% ~ 18%가 되도록 2차 건조시켜 상기 선향을 준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의 제조 방법. -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감국 꽃잎, 황칠, 티크나무, 소나무 목피, 솔방울 및 용뇌를 각각 분말형태로 준비하여 혼합한 후 교반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혼합물에 감국 정유 추출물, 치자 추출물, 느릅나무 분말 및 물을 넣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준비하는 단계;
성형기에 의해, 상기 준비된 반죽물을 압출하여 성형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항온항습 상태의 건조기에 의해,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건조하여 선향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의 제조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향은,
상기 감국 꽃잎 50 중량% ~ 70 중량%, 상기 황칠 1 중량% ~ 10 중량%, 상기 티크나무 1 중량% ~ 10 중량%, 상기 소나무 목피 1 중량% ~ 10 중량%, 상기 솔방울 1 중량% ~ 10 중량%, 상기 용뇌 1 중량% ~ 10 중량%, 상기 감국 정유 추출물 5 중량% ~ 10 중량%, 상기 치자 추출물 1 중량% ~ 5 중량%, 상기 느릅나무 10 중량% ~ 15 중량% 및 상기 물 5 중량% ~ 20 중량%로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의 제조 방법. -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에 있어서,
감국 꽃잎, 황칠, 티크나무, 소나무 목피, 솔방울 및 용뇌를 각각 분말형태로 준비하여 혼합한 후 교반하여 준비한 혼합물을 느릅나무 분말 및 물을 이용하여 결속하도록 구성하는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 -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에 있어서,
감국 꽃잎, 황칠, 티크나무, 소나무 목피, 솔방울 및 용뇌를 각각 분말형태로 준비하여 혼합한 후 교반하여 준비한 혼합물에 향기를 위한 감국 정유 추출물과 치자 추출물을 혼합하고 느릅나무 분말 및 물을 이용하여 결속하도록 구성하는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8771A KR102001590B1 (ko) | 2017-11-09 | 2017-11-09 |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 및 그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8771A KR102001590B1 (ko) | 2017-11-09 | 2017-11-09 |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 및 그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2920A KR20190052920A (ko) | 2019-05-17 |
KR102001590B1 true KR102001590B1 (ko) | 2019-07-18 |
Family
ID=66678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8771A KR102001590B1 (ko) | 2017-11-09 | 2017-11-09 |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 및 그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1590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7915B1 (ko) * | 2001-07-20 | 2007-06-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크 카트리지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
KR102323824B1 (ko) | 2021-05-10 | 2021-11-10 | 더캔들 주식회사 |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종이 향 |
KR102387727B1 (ko) | 2021-05-10 | 2022-04-19 | 더캔들 주식회사 | 향용 액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향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690503A (zh) | 2009-10-12 | 2010-04-07 | 何丹凤 | 中草药保健香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80000057A (ko) * | 1996-06-24 | 1998-03-30 | 유영식 | 선향 및 모기향 |
KR20040038591A (ko) * | 2003-02-26 | 2004-05-08 | 홍종운 | 선향 |
KR100501812B1 (ko) * | 2003-03-28 | 2005-07-20 | 김영주 | 한약재로 이루어진 선향 및 그 제조방법 |
KR101427195B1 (ko) | 2013-10-15 | 2014-08-07 | 양철모 | 저연 죽첨 선향 제조방법 |
KR101962985B1 (ko) * | 2014-11-07 | 2019-07-31 | 조숙자 | 한방선향의 제조방법 |
-
2017
- 2017-11-09 KR KR1020170148771A patent/KR10200159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690503A (zh) | 2009-10-12 | 2010-04-07 | 何丹凤 | 中草药保健香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7915B1 (ko) * | 2001-07-20 | 2007-06-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크 카트리지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
KR102323824B1 (ko) | 2021-05-10 | 2021-11-10 | 더캔들 주식회사 | 종이 향용 크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종이 향 |
KR102387727B1 (ko) | 2021-05-10 | 2022-04-19 | 더캔들 주식회사 | 향용 액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향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2920A (ko) | 2019-05-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936535B (zh) | 一种天然烟草增香剂的制备方法及其应用 | |
KR102001590B1 (ko) |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2005790B1 (ko) | 약용식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고추장의 제조방법 | |
US10595552B2 (en) | Preparation of mixed tea composition comprising aloeswood | |
KR100755190B1 (ko) | 장미꽃잎 열수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음료 제조방법 | |
KR101395159B1 (ko) | 난대수종 및 산림수종의 천연향료를 함유하는 향수제조방법 및 그 향수조성물 | |
KR100707345B1 (ko) | 증숙 도라지 | |
JP2012509255A (ja) | 炮製処理されたシャクヤク、玉竹または百合の抽出物を含有する抗酸化用化粧料組成物 | |
CN104431065A (zh) | 一种桑叶乌龙茶的制作方法 | |
KR101802789B1 (ko) | 꾸지뽕 부위별 산물을 이용한 꾸지뽕 환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240859B1 (ko) | 약용식물 추출액을 이용한 증포 도라지의 제조방법 | |
RU2543143C2 (ru) |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фиточая | |
KR20130036544A (ko) | 잣나무잎 향이 가미된 홍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725873B1 (ko) | 도라지를 이용한 혼합 침출차의 제조방법 | |
CN108771282B (zh) | 泡桐花浸膏在卷烟中的应用 | |
KR101310019B1 (ko) | 기호성과 기능성이 강화된 남해 약쑥차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48644B1 (ko) | 관능성과 기능성을 개선한 더덕차의 제조방법 | |
KR102005795B1 (ko) | 꾸지뽕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 |
Yusuf et al. |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Mango Leaf Tea Supplemented with Moringa and Ginger Powder | |
KR101930362B1 (ko) | 황칠나무 추출액,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 |
KR20130035375A (ko) | 산양삼 된장 및 간장의 제조 방법 | |
KR20150122099A (ko) | 예덕나무의 껍질와 잎을 이용한 티백차 및 그 제조방법 | |
KR101674403B1 (ko) | 패션프루츠 과육과 잎을 함유하는 차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차 음료 | |
KR20160123552A (ko) | 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 | |
KR20080087558A (ko) | 가래떡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