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2182B1 - 건축재용 황토 엑기스 및 이를 원료로 하는 황토타일,황토몰탈, 황토벽돌 및 황토 구들 그리고 이들의 각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재용 황토 엑기스 및 이를 원료로 하는 황토타일,황토몰탈, 황토벽돌 및 황토 구들 그리고 이들의 각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2182B1
KR100402182B1 KR10-2001-0038634A KR20010038634A KR100402182B1 KR 100402182 B1 KR100402182 B1 KR 100402182B1 KR 20010038634 A KR20010038634 A KR 20010038634A KR 100402182 B1 KR100402182 B1 KR 100402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weight
parts
tile
br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8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3811A (ko
Inventor
김영애
박장용
Original Assignee
김영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애 filed Critical 김영애
Priority to KR10-2001-0038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182B1/ko
Publication of KR20010083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3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1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05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2Cellulosic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76Deodoriz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97Anion- and far-infrared-emitt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재용 황토 엑기스 및 이를 이용해서 제조되는 황토타일, 황토몰탈, 황토벽돌 그리고 황토구들 및 각각의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황토타일, 황토몰탈, 황토벽돌 그리고 황토구들은 느릅나무 껍질, 소나무 뿌리 껍질, 약쑥, 당귀로부터 가열·추출된 황토 엑기스에 의해서 제조되는데, 황토타일과 황토몰탈은 상술한 항토 엑기스에 황토, 삼(麻), 솔잎, 볏짚을 가미하여 제조하고, 황토벽돌은 상술한 황토 엑기스에 황토와 볏짚을, 그리고 황토구들 또한 황토와 볏짚을 가미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황토타일, 황토몰탈, 황토벽돌 그리고 황토구들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신축 또는 개축할 경우 황토에 의해서 인체 건강증진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은은한 쑥향 및 솔잎향이 발산되기 때문에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며, 미려하고 아늑한 심미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재용 황토 엑기스 및 이를 원료로 하는 황토타일, 황토몰탈, 황토벽돌 및 황토 구들 그리고 이들의 각 제조방법{LOESS SOLUTION FOR CONSTRUCTION AND TILE, BRICK, MORTAR AND KOREAN HYPOCAUST MADE FROM THE SAME,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축재용 황토 엑기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 나아가서는 이 황토 엑기스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 황토타일, 황토몰탈, 황토 벽돌, 황토구들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황토 엑기스, 황토타일, 황토몰탈, 황토 벽돌 및 황토 구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내외장재의 건축용 타일 및 벽돌이 제공되고 있다. 종래의 타일은 건축용 마감재로써 흙(예컨대, 점토)을 주재(主材)로 소성된 도기질(陶器質)타일이 일반적이고, 그 외에도 석기(石器)타일, 자기질타일, 석기질타일, 모자이크 타일 등이 기능적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미관을 위해 다양한 색채가 가미되는 한편 미관과 내구성, 내수성 등을 위한 유약 등이 도포되어 있다.
그리고, 건축용 자재로 이용되는 벽돌은 시멘트와 모래로 혼합되어 경화된 시멘트 벽돌과 흙(예컨대, 점토)으로 소성된 소성벽돌(예컨대, 적벽돌)이 제공되고있으며,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시멘트 벽돌은 건물의 벽 등을 조적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반면에 강도가 강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미려한 색채가 가미된 소성벽돌은 건물의 내외장재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양태로 제공되는 건축용 타일과 벽돌은 주로 건축물의 미관과 내구성 등의 물성(物性)에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지만 다양한 기능성을 요구하는 현대사회에서는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 즉, 현대인들은 미관이 수려하고 내구성 등의 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인체의 건강증진에 효과가 있는 다기능성의 건축재를 요구하고 있지만, 종래의 타일과 벽돌은 단지 미관과 물성에 적합한 조성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특히, 한국은 딱딱한 방바닥에 이불을 깔고 수면을 취하는 문화로, 과거에는 구들이라는 온돌을 아궁이와 연통(煙筒)을 연결하면서 방바닥을 가로지르는 연도(煙道) 위에 안치하고 그 위에 황토를 도포하여 방바닥을 구성하였지만, 현대에서는 연도 대신 보일러에서 데워진 난방수를 이동시키는 난방 파이프 위에 황토 대신 시멘트를 주재로 한 콘크리트를 도포하여 방바닥을 구성하고 있다.
이처럼, 콘크리트로 구성된 건축물에서 수면을 취하거나 휴식을 취할 경우 시멘트에서 발생하는 독성으로 성인병이 유발되고 피로가 쉽게 풀리지 않거나 어깨결림 등의 통증을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현대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건축재를 절실히 요구하고 있으며, 그 대안으로서 황토를 이용한 타일 또는 벽돌을 제작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왔다.
이와 관련하여, 물질을 활성화 시키는 데 효력이 있는 생명광선이라 불리우는 원적외선을 대량 흡수하고 방출하는 황토의 효능은 대중매체를 통하여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황토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은 혈액흐름의 촉진, 발한 작용 촉진, 통증완화, 중금속 분리 축출, 진정 및 안정작용, 방균효과, 탈취효과, 공기청정작용등의 효과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황토를 건축자재로로 이용하여 시공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 왔다. 예를들어,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1998-036704호에서는 황토를 1300℃로 20분간 가열하여 황토질을 미분말로 하여 안정화시킨 후, 황토 미분말을 반죽하여 온돌판을 성형한 후, 700℃-800℃로 40분간 성형하여 황토의 소성 온돌판을 제작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황토를 이용한 벽돌 또는 타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원료를 황토로 했다는 것 이외에는 종래에 알려져 있던 타일등의 제조방법들에 비해서 특징적인 구성을 찾아볼 수 없었으며, 따라서, 그 효과면에 있어서도, 과연 황토 고유의 유용한 효과가 벽돌 또는 타일로 제작한 후에도 그대로 지속되는 지의 여부는 알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황토를 원료로 사용하는 황토 제품을 제작함에 있어서, 종래의 타일등의 제조방법등을 그대로 모방하지 않고 황토 제품의 제작공정에만 사용할 수 있는 독특한 제조공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타일 또는 벽돌로 제작한 후에도 황토의 유용한 효과가 그대로 유지되는 것을 담보함과 동시에, 본원발명에서 중간 원료로 사용하는 황토 엑기스를 최종 제품으로 함으로서, 실제 산업현장에서 황토를 이용한 타일, 벽돌 및 구들의 제작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는, 느릅나무 껍질, 소나무 뿌리 껍질, 약쑥그리고 당귀를 혼합한 후에 물을 넣고 가열하여 혼합액을 만들어, 이를 황토 엑기스로 하고, 이 엑기스에 황토와 각종 보조재, 즉, 삼(麻), 볏짚, 솔잎 등을 투입하여 황토타일, 황토몰탈, 황토 벽돌 및 황토 구들을 제조하며,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의 황토 제품은 미관 및 내구성 등의 물성이 뛰어나고 인체의 건강증진에 탁월한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황토 제품은 솔 향기가 수년간 지속됨은 물론, 사람의 정신을 평안하게 해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 실제 건축재로 시공되었을 때, 수요자에게 큰 만족감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황토를 이용한 타일, 몰탈, 벽돌 및 구들을 제작하는 때에, 종래와 같이, 단순히 원료만을 황토로 치환한 것이 아니고, 황토 제품의 효과를 담보하기 위해서, 황토 제품에 적당한 제작공정을 제공하고, 이로 인하여 실제 산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황토타일, 황토몰탈, 황토 벽돌 및 황토 구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황토타일, 황토몰탈, 황토 벽돌 및 황토 구들을 제조하는 중간 원료로서, 여러 식물성 성분을 포함한 황토 엑기스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황토 엑기스는 최종 제품으로 생산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관 및 내구성 등의 물성 또한 우수한 황토타일, 황토몰탈, 황토벽돌, 그리고 황토구들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악취를 제거하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황토타일, 황토몰탈, 황토벽돌, 그리고 황토구들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황토타일, 황토몰탈, 황토벽돌 그리고 황토구들은 느릅나무 껍질, 소나무 뿌리껍질, 약쑥, 당귀로 혼합된 혼합물을 가열하여 추출된 혼합액에 의해서 제조되는데, 황토타일과 황토몰탈은 상술한 혼합액에 황토, 삼(麻), 솔잎, 볏짚을 가미하여 제조하고, 황토벽돌은 상술한 혼합액에 황토와 볏짚을, 그리고 황토구들 또한 황토와 볏짚을 가미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황토타일, 황토몰탈, 황토벽돌 그리고 황토구들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축조할 경우 황토 의해서 인체 건강증진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은은한 쑥향 및 솔잎향이 오랜 기간동안 지속되므로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며, 미려하고 아늑한 심미감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황토타일, 황토몰탈, 황토벽돌, 그리고 황토구들의 주재(主材)인 황토는 과거에서부터 그 효능 및 효과가 널리 알려져 있었으며, 현대에서는 이를 이용한 다양한 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예컨대, 악취 제거 및 뛰어난 정수 효과를 이용한 정수기 필터 혹은 신발 안창제, 인체의 건강증진(즉, 원활한 혈액순환)을 돕고자 생산되는 황토장판 혹은 황토침대, 황토벽지 및 황토석고보드등 황토를 이용한 상당수의 제품들이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특히 황토에서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것이 증명되었으며, 방균, 제습 및 방충, 발한작용촉진, 공기청정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황토의 특성을 건축재에 적용하여,황토 본연의 효과가 건축재에서도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본 발명의 황토타일, 황토몰탈, 황토벽돌 그리고 황토구들은 느릅나무 껍질, 소나무 뿌리 껍질, 약쑥, 당귀에 의해서 황토 엑기스를 우선 제조하고, 그 혼합액에 황토와 보조재(즉, 삼(麻), 볏짚, 솔잎 등)를 가미하여 완성하는데, 이하에서는 황토 엑기스의 제조방법을 우선 설명하기로 하겠다.
황토 엑기스는 마른 느릅나무 껍질, 마른 소나무 뿌리 껍질, 약쑥 및 당귀를 적당량의 물에 넣어 가열한 후 추출한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느릅나무와 소나무 뿌리에서 각각의 껍질을 채집한 다음 적당한 크기로 썰은 후에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 널어 수분이 완전히 증발하도록 건조시킨다. 약쑥 및 당귀는 건조된 것을 사용한다.
그 후에, 느릅나무 껍질, 소나무 뿌리 껍질, 약쑥, 당귀를 각각 동일한 중량부로 계량한 다음 용기에 넣어 혼합물을 만들고, 그 용기에 물을 투여하는데, 바람직하게는 혼합물 총 중량부의 7∼15배에 해당하는 물의 중량부를 투여한다.
이와 같이 혼합물과 물이 혼합되면 각각의 혼합재료 즉, 느릅나무 껍질, 소나무 뿌리 껍질, 약쑥 및 당귀가 지니고 있는 고유한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서 용기를 가열하는데, 가열시간은 물의 온도가 100℃가 되는 때부터 시작하여 4∼6시간을 가열하며, 바람직하게는 용기에 투여된 물의 중량부가 1/8∼1/12로 감소될 때까지 가열한다. 가열하는 도중에는 각각의 혼합재료가 용기에 달라붙지 않도록 잘 저어주면서 가열한다.
각각의 혼합재료가 지니고 있는 고유한 액은 가열되는 도중에 각 혼합재료로부터 용출되어 물과 섞여 황토 엑기스를 만들고, 이와 같이 완성된 황토 엑기스는 부패하지 않도록 3∼5℃의 저온에서 보관한다.
한편, 두 번째 방법으로 제조되는 황토 엑기스는 전술한 첫 번째 황토 엑기스를 만드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지만, 느릅나무 껍질, 소나무 뿌리 껍질, 그리고 당귀의 혼합비율 및 혼합물에 투여되는 물의 양은 첫 번째 황토 엑기스를 제조하는 각 재료들의 혼합비율 및 혼합물에 투여되는 물의 양과 상이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첫 번째 제조방법에서는 느릅나무 껍질, 소나무 뿌리 껍질, 약쑥 및 당귀가 동일 중량부로 혼합되었지만, 혼합물의 두 번째 제조방법에서는 느릅나무 껍질은 10∼39 중량부, 소나무 뿌리 껍질은 60∼88 중량부, 약쑥은 1∼30 그리고 당귀는 1∼30 중량부로 혼합되고, 물은 느릅나무 껍질, 소나무 뿌리 껍질, 약쑥 그리고 당귀로 혼합된 혼합물 총 중량부에 대하여 14∼17배의 중량부를 상술한 혼합물에 투여된다.
이와 같이 혼합물에 물이 투여되면, 전술한 첫 번째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물의 온도가 100℃가 되는 때부터 시작하여 4∼6시간을 가열하고(바람직하게는 용기에 투여된 물의 중량부가 1/9∼1/10로 감소될 때까지 가열한다), 가열된 후의 완성된 혼합액은 부패하지 않도록 3∼5℃의 저온에서 보관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혼합액을 본 발명에서는 황토 엑기스라 부르며, 이 황토 엑기스는 황토타일, 황토몰탈, 황토 벽돌 및 황토 구들을 제조함에 있어서, 중간 원료로 사용되며, 이대로 최종 제품으로 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황토타일, 황토몰탈, 황토벽돌, 그리고 황토구들은 전술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황토 엑기스를 이용하여 제조되며, 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황토타일은 전술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되고 3∼5℃의 저온에서 저장중인 전술한 황토 엑기스의 소정량을 취하여 용기에 담은 후에 온도가 100℃가 되는 때부터 시작하여 8∼13분 동안 혼합액이 담긴 용기를 가열한 후, 전술한 시간동안 용기에 담긴 혼합액이 가열되면, 가열을 중지하고, 그 데워진 혼합액에 소정 량의 약쑥을 투여하는데, 약쑥의 향과 고유색이 혼합액에 원활히 투영되도록 잘 저어주면서 약쑥 혼합액을 만든다. 이와 같이 약쑥 혼합액이 완성되면 2∼3 시간 동안 상온에서 서서히 식힌다. 특히, 약쑥의 투입량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투여될 수 있기 때문에 그 투입량을 한정하지 않았다. 즉, 진한 약쑥의 향과 색을 필요로 할 때에는 그에 필요한 양을 투여하고, 약한 약쑥의 향과 색을 필요로 할 때에는 그에 필요한 양을 투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요구 혹은 생산자의 필요에 따라 약쑥의 투입량의 조정이 가능하다.
이어서, 황토(황토는 입자가 미세하고 깨끗하며 지표에서부터 80∼100cm 아래에 위치한 것이 좋다) 91.98∼92.30 중량부와, 가늘게 실(絲)처럼 풀어진 삼(麻) 0.30∼0.40 중량부와, 솔잎 5.50∼5.70 중량부와, 잘게 썰은 볏짚 1.60∼2.22 중량부를 계량하여 혼련기에 투입하고, 약쑥 혼합액은 계량된 황토, 삼, 솔잎, 그리고 볏짚의 총 중량부에 대하여 1/2.5∼1/2.75 중량부가 계량하여 혼련기에 투입한다.
제조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황토 91.98∼92.30 중량부와 삼 0.30∼0.40 중량부를 계량하여 회동하는 혼련기에 우선 투입하고, 미리 계량된 약쑥 혼합액 1/2.5∼1/2.75 중량부를 조금씩 황토와 삼이 투입된 혼련기에 투입한다. 이와 같이 황토와 삼이 투입된 혼련기에 약쑥 혼합액을 조금씩 투입하는 동안에 솔잎 5.50∼5.70 중량부와 볏짚 1.60∼2.22 중량부를 계량하여 연이어서 투입한다. 여기서, 삼과 볏짚은 황토 입자를 견고하게 결합시켜 완성된 황토타일의 견고성과 내구성을 강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혼련기에 황토, 삼, 솔잎, 볏짚 그리고 약쑥 혼합액이 완전히 투입되면, 약간 된 상태의 반죽질기를 갖는 황토타일 반죽을 만들고, 완성된 황토타일 반죽을 적당량 취하여 황토타일 성형틀에 넣고 표면을 고르게 하면서 황토타일을 성형한다. 그 후에, 성형된 황토타일을 포함하는 황토타일 성형틀을 통풍이 잘되고 비교적 서늘한 상온에서 50∼70 시간동안 1차 양생시킨 다음, 황토타일 성형틀을 해체한 후에 재차 1차 양생된 황토타일을 216∼220시간 2차 양생시켜 본 발명의 황토타일을 완성한다.
이와 같이 완성된 황토타일은 표면이 매끄럽도록 연마작업이 수행된 후에 제품으로 시중에 출하된다.
다음에, 황토몰탈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황토몰탈은 상기 기술한 바 같이 황토타일을 제조하는 것과 재료는 동일하나 반죽할때에 황토엑시스를 20%더 넣어서 반죽을 질게 만들어 황토 몰탈을 만든다. 이것을 비닐에 넣어서 공기를 뺀 다음 프라스틱 용기(보통 25kg들이)에 넣어서 4℃의 온도에 보관시킨다. 황토 몰탈의 사용은 황토벽돌로 쌓여진 부분의 내부 마감을 미려하고 황토효과를 더욱 증진시키기 위해 황토몰탈로 내부벽체를 초벌 바른후 완전히 마른 후 다시 재벌로 마감한다. 1통(25kg들이)은 두께 30m/m 바닥을 시공할 시 0.5㎡(0.15평)을 시공할 수 있다. 벽체를 시공할 시에는 보통 18m/m 두께를 바르며 초벌, 재벌로 2회에 걸쳐 시공한다. 1통(25kg 들이)으로 2㎡(0.6평)을 시공할 수 있다.
한편, 황토벽돌은 황토 91∼92 중량부와 잘게 썰은(바람직하게는 6∼7cm) 볏짚 8∼9 중량부로 계량한 다음 각각의 재료를 혼련기에 동시에 투입하고, 그 후에 계량된 황토와 볏짚의 총 중량부에 대하여 전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황토 엑기스을 1/2.3∼ 1/2.5 중량부로 취하여 황토와 볏짚이 투입된 혼련기에 조금씩 투입한다.
혼련기에 황토, 볏짚 그리고 항토엑기스가 완전히 투입되면, 약간 된 상태의 반죽질기를 갖는 황토벽돌 반죽을 만들고, 완성된 황토벽돌 반죽을 적당량 취하여 황토벽돌 성형틀에 넣고 표면을 고르게 하면서 황토벽돌을 성형한다. 그 후에, 성형된 황토벽돌을 포함하는 황토벽돌 성형틀을 통풍이 잘되고 비교적 서늘한 상온에서 9∼10일 동안 1차 양생시킨 다음, 황토벽돌 성형틀을 해체한 후에 재차 1차 양생된 황토벽돌을 9∼10일 동안 2차 양생시켜 본 발명의 황토벽돌을 완성한다.
마지막으로 황토구들은 황토 97∼98 중량부와 잘게 썰은(바람직하게는 6∼7cm) 볏짚 2∼3 중량부로 계량한 다음 각각의 재료를 혼련기에 동시에 투입하고, 그 후에 계량된 황토와 볏짚의 총 중량부에 대하여 황토엑기스를 1/2.4∼ 1/2.5 중량부로 취하여 황토와 볏짚이 투입된 혼련기에 조금씩 투입한다.
이와 같이 혼련기에서 반죽된 황토구들 반죽은 황토구들 성형틀에 의해서 황토구들로 성형된 다음, 전술한 황토벽돌 양생과정과 동일하게 양생하여 본 발명의 황토구들을 완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에 의한 황토타일, 황토몰탈, 황토벽돌 그리고 황토구들은 주재(主材)가 황토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황토타일, 황토몰탈, 황토벽돌 그리고 황토구들을 이용하여 축조된 건축물은 황토의 효과가 크게 얻을 수 있다. 즉, 황토타일과 황토벽돌은 건축물 내부의 각종 악취를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항시 쾌적한 실내 공기를 유지할 수 있고, 그 외에도 방습, 방충 등의 효과를 제공하며, 황토타일과 황토벽돌에서는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 발산되기 때문에 건강 증진에도 커다란 효과가 있다.
특히, 황토타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약쑥 및 솔잎이 첨가되기 때문에 은은한 쑥향 및 솔잎향을 제공하며, 황토의 황색과 약쑥 및 솔잎의 청색이 융합되어 약간 청색을 띄는 황색이 제공되기 때문에 미려하고 아늑한 심미감을 더욱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황토타일, 황토몰탈, 황토벽돌 그리고 황토구들은 제조과정에서 삼 및 볏짚이 가미되기 때문에 내구성 등의 물성이 뛰어나다.
또한, 황토구들은 실내를 난방하기 위해서 보일러와 연결된 난방수 파이프 위에 콘크리트 대신 안치되기 때문에 과거 황토로 제조된 방바닥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어깨결림 등이 방지되고 피로가 쉽게 풀리기 때문에 상쾌한 휴식 및 취침을 즐길 수 있다.
실시예 1
마른 느릅나무 껍질 600g, 마른 소나무 뿌리 600g, 당귀 200g, 물 20,000cc를 잘 섞어서 100℃의 불로 5시간동안 가열한다. 이때에 엑기스량은 2,000cc가 될 수 있도록 가열정도를 조절한다. 이 추출된 엑기스를 2,000cc의 pet 병에 넣어 4℃의 서늘한 곳에 보관하여 사용한다.
실시예 2
마른 느릅나무 껍질 200g, 마른 소나무 뿌리 껍질 1000g, 당귀 50g, 물 20,000cc를 잘 섞어서 100℃의 불로 5시간 동안 가열한다. 이때에 엑기스 량은 2,000cc가 될 수 있도록 가열정도를 조절한다. 이 추출된 엑기스를 2,000cc의 pet 병에 넣어 4℃의 서늘한 곳에서 보관하여 사용한다.
실시예 3
황토용 엑기스를 100℃로 10분 동안 가열한다. 뜨거워진 엑기스에 마른 약쑥 100g을 넣은 후 2시간 동안 식힌다. 황토 5Kg에 삼실 20g을 골고루 넣고 엑기스를 조금씩 부어가며 반죽한다. 이때에 솔잎도 조금씩 넣어 300g까지 넣고, 볏짚은 100g, 엑기스는 2000cc를 넣어 황토 덩어리로 만든다. 나무로 만든 형틀 덩어리를 넣어 칼로 면을 고르게 만든 다음 18℃의 서늘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숙성 시킨다. 72시간 숙성된 후 틀을 해체시킨다. 48시간 경과 후 뒤집어 놓고 계속 통풍시키며 숙성 시킨다. 13일후 완전히 견조된 후 습기가 차지 않도록 박스내에 넣어서 보관한다.
실시예 4
황토재료는 표토 90cm 이하의 것을 채취하여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1달 이상 숙성된 것만을 준비하고, 볏짚은 농약을 사용하지 않은 재료를 사용한다.
황토 11kg에 볏짚 1000g을 잘 숙성된 황토 11kg에 6-7cm 크기로 잘라낸 볏짚을 잘 섞은 후 물을 조금씩 넣어 가며 반죽을 하여 5000cc 물을 넣어 잘 교반한다. 철로 만들어진 형틀에 잘 반죽된 황토덩어리를 넣고 흔들어 잘 다진다. 5일간 숙성 시킨 후 형틀을 제거하여 18℃의 통풍이 잘 되고 서늘한 음지에서 숙성시킨다. 5일후 뒤집어 넣고 통풍이 잘 되게 숙성시킨다.
실시예 5
황토 벽돌시의 황토재료 및 볏짚은 동일한 것으로 사용한다.
황토 12kg에 6-7cm 크기의 볏짚 250g을 넣어 물을 조금씩 부어가며 반죽하되 물이 5000cc가 되도록 잘 반죽하여 황토 덩어리를 만든다. 철로 된 형틀에 잘 반죽된 황토 덩어리를 넣고 흔들고 잘 다진다. 5일간 숙성 시킨 후 형틀을 제거한 후 18℃의 음지에서 통풍이 잘 되도록 하여 재료를 숙성시킨다. 5일후 아랫부분도 잘 건조되도록 놓고 숙성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황토를 주재로 황토타일, 황토몰탈, 황토벽돌 그리고 황토구들이 건축자재로 제공되기 때문에 이들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축조할 경우 황토가 내포하고 있는 각종 유익한 효과에 의해서 인체 건강증진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들의 제조과정에서 삼 및 볏짚이 가미되기 때문에 내구성 등의 물성 또한 크다.
뿐만 아니라, 황토타일에서는 은은한 쑥향 및 솔잎향이 발산되기 때문에 황토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 즉, 탈취, 방충, 방습효과 등과 더불어 더욱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게다가 황토의 황색과 약쑥 및 솔잎의 청색이 융합되어 약간 청색을 띄는 황색이 제공되기 때문에 미려하고 아늑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91.98∼92.30 중량부의 황토와, 0.30∼0.40 중량부의 삼(麻)과, 5.50∼5.70 중량부의 솔잎과, 1.60∼2.22 중량부의 볏짚과, 소정 양의 약쑥이 혼합되며 느릅나무 껍질과 소나무 뿌리 껍질과 당귀 및 약쑥이 동일 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황토와 상기 삼과 상기 솔잎과 상기 볏짚의 총 중량부에 대하여 1/2.5∼1/2.75 중량부의 혼합액으로 구성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타일.
  2. 91.98∼92.30 중량부의 황토와, 0.30∼0.40 중량부의 삼(麻)과, 5.50∼5.70 중량부의 솔잎과, 1.60∼2.22 중량부의 볏짚과, 소정 양의 약쑥이 혼합되며 느릅나무 껍질과 소나무 뿌리 껍질과 당귀 및 약쑥이 동일 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황토와 상기 삼과 상기 솔잎과 상기 볏짚의 총 중량부에 대하여 1/1.2∼1/1.6 중량부의 혼합액으로 구성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몰탈.
  3. 91∼92 중량부의 황토와, 8∼9 중량부의 볏짚과, 느릅나무 껍질과 소나무 뿌리 껍질과 당귀가 동일 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황토와 상기 볏짚의 총 중량부에 대하여 1/2.3∼1/2.5 중량부의 혼합액으로 구성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벽돌.
  4. 97∼98 중량부의 황토와, 2∼3 중량부의 볏짚과, 느릅나무 껍질과 소나무 뿌리 껍질과 당귀가 동일 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황토와 상기 볏짚의 총 중량부에 대하여 1/2.4∼1/2.5 중량부의 혼합액으로 구성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구들.
  5. 동일 중량부의 느릅나무 껍질과 소나무 뿌리 껍질과 당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의 총 중량부에 대하여 7∼15배에 해당하는 중량부의 물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는 단계,
    상기 물이 첨가된 상기 혼합물을 상기 물의 온도가 100℃가 되는 때부터 시작하여 4∼6 시간을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3∼5℃의 저온에서 보관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황토 엑기스를 제조하는 방법.
  6. 10∼19 중량부의 느릅나무 껍질과 60∼89 중량부의 소나무 뿌리 껍질과 1∼30 중량부의 당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의 총 중량부에 대하여 14∼17배에 해당하는 물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는 단계,
    상기 물이 투여된 상기 혼합물을 상기 물의 온도가 100℃가 되는 때부터 시작하여 4∼6 시간을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3∼5℃의 저온에서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황토 엑기스를 제조하는 방법.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따라 제조된 황토 엑기스를 80 내지 90℃로 가열하는 단계,
    가열된 상기 황토 엑기스에 소정 양의 약쑥을 첨가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을 2∼3 시간 동안 상온에서 서서히 냉각하는 단계,
    91.98∼92.30 중량부의 황토와 0.30∼0.40 중량부의 삼(麻)과 5.50∼5.70 중량부의 솔잎과 1.60∼2.22 중량부의 볏짚을 혼련기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황토와 상기 삼과 상기 솔잎과 상기 볏짚의 총 중량부에 대하여 1/2.5∼1/2.75 중량부의 상기 혼합액을 혼련기에 조금씩 투입하면서 투입하여 황토타일 반죽을 만드는 단계,
    상기 황토타일 반죽을 소정 양을 취하여 황토타일 성형틀에 넣어 황토타일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황토타일을 포함하는 상기 황토타일 성형틀을 상온에서 50∼70 시간 동안 1차 양생하는 단계,
    상기 1차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황토타일 성형틀을 해체한 후에 상기 1차 양생된 상기 황토타일을 216∼220 시간 동안 2차 양생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타일을 제조하는 방법.
  8. 91∼92 중량부의 황토와 8∼9 중량부의 볏짚을 혼련기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황토와 상기 볏짚의 총 중량부에 대하여 1/2.3∼1/2.5 중량부의 상기제 5항 또는 제 6항에 따른 황토 엑기스를 첨가·혼련하여 황토벽돌 반죽을 만들고,
    상기 황토벽돌 반죽의 소정 양을 취하여 황토벽돌 성형틀에 넣어 황토벽돌을 성형하고,
    상기 황토벽돌을 포함하는 상기 황토벽돌 성형틀을 상온에서 9∼10일 동안 1차 양생하고,
    상기 1차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황토벽돌 성형틀을 해체한 후에 상기 1차 양생된 상기 황토벽돌을 9∼10일 동안 2차 양생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벽돌 제조방법.
  9. 97∼98 중량부의 황토와 2∼3 중량부의 볏짚을 혼련기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황토와 상기 볏짚의 총 중량부에 대하여 1/2.4∼1/2.5 중량부의 청구항 제 5항 또는 제 6항에 따른 황토 엑기스를 투입·혼련하면서 황토구들 반죽을 만드는 단계,
    상기 황토구들 반죽을 소정 양을 취하여 황토구들 성형틀에 넣어 황토구들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황토구들을 포함하는 상기 황토구들 성형틀을 상온에서 9∼10일 동안 1차 양생하는 단계,
    상기 1차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황토구들 성형틀을 해체한 후에 상기 1차 양생된 상기 황토구들을 9∼10일동안 동안 2차 양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구들 제조방법.
KR10-2001-0038634A 2001-06-30 2001-06-30 건축재용 황토 엑기스 및 이를 원료로 하는 황토타일,황토몰탈, 황토벽돌 및 황토 구들 그리고 이들의 각제조방법 KR100402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634A KR100402182B1 (ko) 2001-06-30 2001-06-30 건축재용 황토 엑기스 및 이를 원료로 하는 황토타일,황토몰탈, 황토벽돌 및 황토 구들 그리고 이들의 각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634A KR100402182B1 (ko) 2001-06-30 2001-06-30 건축재용 황토 엑기스 및 이를 원료로 하는 황토타일,황토몰탈, 황토벽돌 및 황토 구들 그리고 이들의 각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811A KR20010083811A (ko) 2001-09-03
KR100402182B1 true KR100402182B1 (ko) 2003-10-17

Family

ID=19711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8634A KR100402182B1 (ko) 2001-06-30 2001-06-30 건축재용 황토 엑기스 및 이를 원료로 하는 황토타일,황토몰탈, 황토벽돌 및 황토 구들 그리고 이들의 각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1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150B1 (ko) * 2007-01-11 2007-08-14 박영선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황토몰타르 및 그 제조방법
KR102000394B1 (ko) * 2018-05-08 2019-07-15 이진원 건축용 결합제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내장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773B1 (ko) * 2002-06-25 2005-07-25 주식회사 건축연합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실내 인테리어용 내장마감재와 그 마감재의 제조방법
KR100842865B1 (ko) * 2007-07-02 2008-07-04 남기혜 목화 솜을 함유하는 황토 건축재와 그 제조 방법
KR100833898B1 (ko) * 2007-12-05 2008-06-02 고영진 건축 내장용 황토 마감재의 제조방법
KR102332107B1 (ko) 2020-07-06 2021-11-30 (주)로드텍 황토몰탈의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2368U (ko) * 1995-12-05 1997-07-29 나사의 풀림 방지구조
KR970051968U (ko) * 1996-02-09 1997-09-08 황만철 흙 판넬
KR19980026388U (ko) * 1996-11-09 1998-08-05 황만철 옥돌 또는 구들장 또는 타일을 적용시켜된 온돌침대 및 온돌매트
KR19990009883A (ko) * 1997-07-12 1999-02-05 김성호 약재가 함유된 건축용 황토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바닥재와 이를 이용한 온돌방의 시공방법
KR19990012115A (ko) * 1997-07-26 1999-02-25 왕재성 황토, 불석 및 분쇄볏짚의 3성분함유 조성물 및 그 사용
KR19990011932U (ko) * 1998-12-23 1999-03-25 최영환 황토 온돌 구들장 제작및 설치방법
KR19990079364A (ko) * 1998-04-04 1999-11-05 이상철 생 쑥토 온돌판
KR200182223Y1 (ko) * 1999-08-23 2000-05-15 이두경 황토 경단 구들장.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2368U (ko) * 1995-12-05 1997-07-29 나사의 풀림 방지구조
KR970051968U (ko) * 1996-02-09 1997-09-08 황만철 흙 판넬
KR19980026388U (ko) * 1996-11-09 1998-08-05 황만철 옥돌 또는 구들장 또는 타일을 적용시켜된 온돌침대 및 온돌매트
KR19990009883A (ko) * 1997-07-12 1999-02-05 김성호 약재가 함유된 건축용 황토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바닥재와 이를 이용한 온돌방의 시공방법
KR19990012115A (ko) * 1997-07-26 1999-02-25 왕재성 황토, 불석 및 분쇄볏짚의 3성분함유 조성물 및 그 사용
KR19990079364A (ko) * 1998-04-04 1999-11-05 이상철 생 쑥토 온돌판
KR19990011932U (ko) * 1998-12-23 1999-03-25 최영환 황토 온돌 구들장 제작및 설치방법
KR200182223Y1 (ko) * 1999-08-23 2000-05-15 이두경 황토 경단 구들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150B1 (ko) * 2007-01-11 2007-08-14 박영선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황토몰타르 및 그 제조방법
KR102000394B1 (ko) * 2018-05-08 2019-07-15 이진원 건축용 결합제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내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811A (ko) 200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8065B1 (ko) 친환경 천연흙판의 제조방법
KR100402182B1 (ko) 건축재용 황토 엑기스 및 이를 원료로 하는 황토타일,황토몰탈, 황토벽돌 및 황토 구들 그리고 이들의 각제조방법
JP2002167287A (ja) 多孔性焼成物
KR100844845B1 (ko) 친환경 건축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000003905A (ko) 기능성 흙벽돌
KR20110051377A (ko) 내장용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황토벽돌
KR101204297B1 (ko) 황토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황토 플레이트
KR100416385B1 (ko) 한방 향 황토판과 그 제조방법
KR101378104B1 (ko) 숯가루를 함유한 침대용 황토보드의 제조방법
KR100833898B1 (ko) 건축 내장용 황토 마감재의 제조방법
KR102103121B1 (ko) 웰빙 온열의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10044535A (ko) 흙벽돌의 제조방법 및 동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흙벽돌
KR101196733B1 (ko) 옻칠을 이용한 온돌침대용 황토판 및 그 황토판 제조방법
KR20010035810A (ko) 한약재가 함유된 황토 벽돌의 제조방법
KR20000033318A (ko) 황토벽돌 제조방법 및 황토벽돌
KR100934523B1 (ko) 기능성 숯 조성물 제조방법
KR200394331Y1 (ko) 옥석부산물을 이용한 건축용 타일
KR20060007214A (ko) 황토 타일의 제조방법
KR20000049399A (ko) 황토을 이용한 다목적 납골함 제조방법
KR100420482B1 (ko) 황토 숯가루의 제조방법
KR20020076981A (ko) 우드 판넬 제조 공정
KR100810522B1 (ko) 다기능 황토몰탈 제조방법
KR20090089016A (ko) 고화도 소성 가능한 황토 도자기 소지
KR19990085569A (ko) 해조 황토 벽돌의 제조방법
KR20010054313A (ko) 벽돌 제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