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394B1 - 건축용 결합제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내장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결합제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내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394B1
KR102000394B1 KR1020180052291A KR20180052291A KR102000394B1 KR 102000394 B1 KR102000394 B1 KR 102000394B1 KR 1020180052291 A KR1020180052291 A KR 1020180052291A KR 20180052291 A KR20180052291 A KR 20180052291A KR 102000394 B1 KR102000394 B1 KR 102000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er
building material
building
construction
e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원
Original Assignee
이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원 filed Critical 이진원
Priority to KR1020180052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3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결합제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느릅나무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삼실나무 및 삼실 중 1종 이상을 추가로 사용하여 우수한 결합력과 친환경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건축용 결합제를 제조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다양한 건축용 내장재는 유기 화합물을 배출하지 않아 새집증후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결합제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내장재 {Binder for Construction and Interior Material for Construc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친환경 건축용 결합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건축용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시멘트 소비율은 미국, 일본에 이어 세계 5위 규모이고 국내 산업부문에서 시멘트산업은 철강 산업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이산화탄소 배출원이다. 시멘트의 주원료인 석회석의 탄산칼슘에서 이산화탄소를 날려 보내 생석회를 만들 때 1,450℃로 가열하는 과정 및 기타 공정에서 다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통계적으로 1톤의 시멘트를 생산하여 소비할 때까지 1톤의 이산화탄소가 발생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폐시멘트의 재활용 방법이 없어, 큰 환경재해 요인이 되고 중요한 지구온난화 요인으로 부각이 되어왔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건축 내장재 등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실내습도의 영향으로 곰팡이, 바이러스
등에 의한 새집증후군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새집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포름알데히드, 이산화탄소 등 각종 유해물질이 많아 입주자에게 아토피, 두통, 현기증, 메스꺼움, 집중력 감퇴 등과 같은 새집증후군을 일으켜 건강에 큰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 생활환경과 거주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가급적 독성이 적거나 없는 화학물질을 재료로 하는 내외장재, 포함된 화학물질의 방출량이 적은 내외장재, 화학물질이 아닌 천연재료를 사용한 내외장재 등이 개발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항균 또는 향균 처리되었거나 해충방제 처리가 된 내외장재를 비롯하여 냉난방과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내외장재 등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1602호(2008. 03. 03. 등록)인 '친환경 건축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패각, 맥반석, 천매암, 적토, 황토, 백토, 녹차잎, 커피가루, 시금치 분말, 파프리카유, 쑥 분말, 흑연, 숯, 및 이들의 혼합물로 채색을 하거나, 은나노 및 향캡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코팅을 하여, 실내에서 다량으로 발생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포름알데이드 등의 유해물질을 저감시키고, 원적외선이 방사되며, 에너지 효율을 높여주는 건축 내장재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과 같은 친환경 건축 내장재들은 원재료들이 친환경임에도 불구하고, 내장재로 적합한 물성을 만들기 위해 첨가하는 결합제나 접착제 등 바인더로 유기화합물이 사용됨으로써, 이들로부터 방출되는 유해물질이 여전히 존재하며, 이러한 유기화합물들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유해물질들로 야기되는 화재 시 치명적인 질식사 등에 대한 친환경적 해답이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다른 건축자재에 비하여 원적외선 방사율, 탈취율, 습도조절 능력이 우수하여 최근에 대부분의 건축물에서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는 흙마감재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2735호(2010. 11. 23. 공개)인 '친환경 발수제를 이용한 흙마감 시공방법 및 그 조성물'에 따르면, 흙의 통기성을 유지시키며 흙마감재를 손상시키는 가장 큰 요소인 수분을 차단함으로써 흙마감재의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콩물과 식물성기름을 혼합한 친환경 발수제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발수제를 사용함으로써 흙마감재의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양생기간이 상당히 소요될 뿐만 아니라 특유의 향을 갖는 식물성 기름을 사용함으로써 항균이나 향균 또는 해충방제에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새로운 건축소재 개발의 패러다임(Paradigm)으로서 최근 생활의 질 향상과 함께 주목 받는 건축용 내장재에 있어서, 바닥타일, 텍스 및 벽지의 접착제 및 각종 코팅제, 도막방수제 등과 같은 건축내장재 및 인테리어소재의 모든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형태의 친환경 기능성 건축용 내장재와 이에 적용할 수 있는 친환경 건축용 결합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1602호(2008. 03. 03. 등록)인 '친환경 건축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2735호(2010. 11. 23. 공개)인 '친환경 발수제를 이용한 흙마감 시공방법 및 그 조성물'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느릅나무 추출물과 삼실을 이용하여 종래 건축용 결합제 대비 동등 수준 이상의 결합력을 나타내면서도 친환경적인 건축용 결합제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합력이 우수한 친환경 건축용 결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친환경 건축용 내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축자재용 결합제를 제공한다.
상기 건축자재용 결합제는 삼실나무 및 삼실 중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느릅나무 추출물은 느릅나무 줄기, 껍질, 뿌리 및 잎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일 수 있다.
상기 느릅나무 추출물은 물, 인산 완충용액, 약염기성 수용액,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느릅나무 추출물은 다당류일 수 있다.
상기 다당류는 분자량이 10,000 내지 35,000이고, 고유점도가 80 내지 100 dl/g 일 수 있다.
상기 느릅나무 추출물과 삼실나무 및 삼실 중 1종 이상을 1 : 0.2 내지 0.8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건축용 결합제를 포함하는 건축용 내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축용 결합제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건축용 결합제 대비 결합력이 우수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건축용 내장재의 내구성 역시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내장재는 유기 화합물을 전혀 배출하지 않으므로 새집증후군과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건축용 결합제 대비 동등 수준 이상의 결합력을 나타내면서도 친환경적인 건축용 결합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의하며,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축용 결합제에 관한 것이며, 상기 건축용 결합제는 삼실나무 및 삼실 중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느릅나무는 구체적으로는 느릅나무 유래 원료를 의미하며, 예컨대, 느릅나무 추출물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삼베나무는 구체적으로 삼베나무 유래 원료를 의미하며, 예컨대 삼베를 이용하여 제조된 삼실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구현예에 의하며, 느릅나무 추출물 및 삼실을 포함하는 건축용 결합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느릅나무 추출물은 느릅나무 줄기, 껍질, 뿌리 및 잎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일 수 있으나, 특히, 느릅나무 줄기 추출물, 껍질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 추출물의 경우, 결합력 측면에서 더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느릅나무 추출물 제조시 사용하는 추출 용매는 물, 인산 완충용액, 약염기성 수용액,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느릅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S1) 느릅나무를 건조 시키는 단계; 및 (S2) 상기 건조된 느릅나무에 추출 용매를 가하여 추출 또는 침적시켜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S3) 얻어진 추출물을 유기 용매에 침전시켜 안정화시켜 느릅나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S1) 단계에서는 느릅나무 유래 원료, 예컨대, 느릅나무 줄기, 껍질, 뿌리 및 잎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완전 건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상기 (S2) 단계에서는 상기 (S1) 단계에서 완전 건조된 느릅나무 유래 원료의 건조 중량 대비 5~30배 부피량의 추출 용매를 가하여 30~70 ℃에서, 4~48 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또는 5~37 ℃에서 1~15 일 동안 침적시켜 추출하거나, 100 ℃ 이상에서 15 시간 이상 가열하여 느릅나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S2) 단계에서 추출 조건으로 명시된 추출 용매의 첨가량, 온도 및 시간은 추출 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제조된 느릅나무 추출물이 건축용으로 적합한 결합력을 나타낼 수 있도록 최적화된 조건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규정된 수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추출 공정이 진행되지 않거나 제조된 느릅나무 추출물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는 점에서 그 임계적 의의가 있다.
상기 (S3) 단계에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기 용매에 느릅나무 추출물을 침전시켜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추출 공정에 의해 얻어진 느릅나무 추출물은 느릅나무 유래 다당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분자량이 10,000 내지 35,000이고, 고유점도가 80 내지 100 dl/g인 다당류일 수 있다.
상기 다당류는 람노오스, 갈라토오스 글루코오스, 푸코오스 갈락토오스아민 및 글루코오스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당류로 가수분해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느릅나무 유래 다당류의 분자량이 10,000 미만이면 수 있고, 35,000 초과일 경우에도 결합력이 저하되어 건축용 결합제로서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느릅나무 유래 다당류의 고유점도가 80 dl/g 미만이면 결합력이 저하될 수 있고, 100 dl/g 초과일 경우에도 결합력이 저하되어 건축용 결합제로서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삼실나무 자체를 원료로 사용할 수도 있고, 삼실을 원료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삼실은 삼베를 이용하여 제조된 실로서, (a) 수확된 삼을 낫으로 베어 삼칼로 삼잎과 잔가지를 쳐내고 길이 비슷한 것을 단으로 묶는 단계; (b) 단으로 묶은 삼을 수증기로 찐 후 냉수로 냉각시키는 단계; (c) 삼대 껌질을 벗겨내고 가지런히 머리쪽을 모아 묶어서 말리는 단계; (d) 삼을 나란히 추려서 물에 적신 후 돌로 끈을 찧어 삼끝이 부드럽게 그리고 날카롭게 되도록 하여 건조하는 단계; (e) 건조한 삼을 찢는 단계; (f) 찢은 삼의 단부를 반으로 절개하여 물에 적셔 무릅에서 비벼 삼을 이어 실로 길게 만드는 단계;및 (g) 돌것에 삼올을 묶어 돌려서 물레에 감아 자아서 실 꼬듯 꼬아지게 하여 삼실이 형성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수확된 삼을 이용하여 실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삼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축용 결합제는 상기 느릅나무 추출물과 삼실나무 및 삼실 중 1종 이상을 1:0.2 내지 0.8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느릅나무 추출물에 대한 삼실나무 및 삼실 중 1종 이상의 중량비가 0.2 미만이면 상기 건축용 결합제를 건축용 내장재에 적용시 갈라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0.8 초과이면 결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건축용 결합제는 건축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건축자재는 황토 건축자재, 흙 건축자재, 광물 건축자재, 목재 건축자재, 글래스 건축자재, 석재 건축자재, 건축용 패널, 건축용 내장재 및 단열재와 같은 건축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흙집의 경우 갈라짐 현상이 대표적인 문제점이나, 본 발명의 건축용 결합제를 흙집에 적용할 경우 갈라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물을 이용한 건축물의 경우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광물 등을 이용하여 벽면이나 바닥 등의 시공시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의 건축용 결합제를 상기 광물을 이용한 건축물에 적용할 경우 결합력을 강화하면서도 유기화합물을 배출하지 않아 새집증후군과 같은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멘트 건축물에 본 발명의 건축용 결합제를 적용할 경우에도 역시 결합력을 강화하면서도 유기화합물을 배출하지 않아 새집증후군과 같은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건축용 결합제를 포함하는 건축용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내장재란 바닥재, 벽재, 도어용 자재와 같이 건축물의 내장용으로 사용되는 재질을 광범위하게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건축용 내장재를 상기 느릅나무 및 삼베나무를 포함하는 건축용 결합제를 이용하여 제조할 경우 유기 화합물이 배출되지 않아 새집증후군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느릅나무 추출물 및 삼실을 포함하는 건축용 결합제 제조
(1) 느릅나무 추출물 제조
느릅나무 줄기를 완전 건조한 후, 추출 용매로서 10배 부피의 물을 첨가하여 50 ℃에서 20 시간 동안 가열한 후, 메탄올에 침전시켜 느릅나무 줄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 삼실 제조
수확된 삼을 낫으로 베어 삼칼로 삼잎과 잔가지를 쳐내고 길이 비슷한 것을 단으로 묶었다. 단으로 묶은 삼을 수증기로 찐 후 냉수로 냉각시켰다. 삼대 껌질을 벗겨내고 가지런히 머리쪽을 모아 묶어서 말렸다. 삼을 나란히 추려서 물에 적신 후 돌로 끈을 찧어 삼끝이 부드럽게 그리고 날카롭게 되도록 하여 건조시켰다. 건조한 삼을 찢었다. 찢은 삼의 단부를 반으로 절개하여 물에 적셔 무릅에서 비벼 삼을 이어 실로 길게 만들었다. 돌것에 삼올을 묶어 돌려서 물레에 감아 자아서 실 꼬듯 꼬아지게 하여 삼실을 제조하였다.
(3) 건축용 결합제 제조
상기 느릅나무 추출물과 삼실을 1:0.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건축용 결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느릅나무 추출물과 삼실을 1:0.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건축용 결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느릅나무 추출물과 삼실을 1:0.8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건축용 결합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느릅나무 추출물 및 삼실을 포함하는 건축용 결합제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느릅나무 추출물과 삼실을 1:0.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건축용 결합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느릅나무 추출물 및 삼실을 포함하는 건축용 결합제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느릅나무 추출물과 삼실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건축용 결합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내균열성 실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제조된 건축용 결합제를 벽지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건축용 내장재 시편을 제조하고 이에 대하여 내균열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온도와 압력에 대한, 균열, 박리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시험으로 10 기압(180℃) 이하의 오토클레이브 내에 건축용 내장재 시편을 1시간 동안 방치하여 육안으로 관찰하여, 아래와 같이 양호, 보통 및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양호: 균열과 박리가 관찰되지 않음
보통: 시편의 일부에 균열과 박리가 관찰됨
불량: 시편 전체적으로 균열과 박리가 관찰됨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3 비교예 1 비교예 2
균열 및 박리 정도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보통
그 결과,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삼실의 중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비교예 1 내지 3에서 균열 및 박리 정도가 전체적으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수축율 실험
실험예 1에서 제조된 건축용 내장재 시편에 대하여 수축율 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축율은 건축용 내장재 시편의 초기 길이 대비 1일 및 3일 경과 후의 길이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1일 경과 후 수축율 10.1% 12.3 % 13.1 % 22.1% 21.0%
3일 경과 후 수축율 11.5% 14.4% 14.9% 24.1% 23.4%
그 결과,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은 비교예1,2에 비해 수축율이 현저히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3 : 유해 휘발성 물질 방출 실험
실험예 1에서 제조된 건축용 내장재 시편에 대하여 대표적인 유해 휘발성 화합물인 포름알데히드와 톨루엔이 어느 정도 방출되는지 측정하였다. 유해물질 방출량 측정은 규정시험(실내공기질공정시험기준 : 환경부 고시 제2008-73호)에 의거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톨루엔(mg/L) 검출되지 않음 검출되지 않음 검출되지 않음 검출되지 않음 검출되지 않음
포름알데히드(mg/L) 검출되지 않음 검출되지 않음 검출되지 않음 검출되지 않음 검출되지 않음
실험예4: 새집 증후군 유발물질 제거 및 예방 효과 측정
JIS L 0803에서 규정한 표준 면포 (10x10 cm)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건축용 결합제를 도포하여 자연 건조시킨 것을 실험 시료로 하여 가스백 내 하단부에 높은 다음 실험가스인 포름알데히드, 암모니아, 아세트알데히드를 각각 가스백에 규정된 농도로 주입하여 2시간 경과 후에 가스백에 존재하는 실험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5L 용량의 가스백에 실험가스를 3L 충진하여 측정하여, 각 실험 가스의 제거율(%)을 표 4에 기재하였다.
제거율(%)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암모니아 59% 58% 60% 41% 45%
포름알데히드 68% 66% 65% 43% 47%
아세트알데히드 63% 60% 61% 51% 48%
그 결과, 느릅나무 추출물과 삼실이 적정 중량비로 포함된 건축용 결합제인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비교예 1,2에 비해 암모니아,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에 대한 제거율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9)

  1. 느릅나무 추출물과; 삼실나무 및 삼실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건축자재용 결합제로서,
    상기 느릅나무 추출물;과 삼실나무 및 삼실 중 1종 이상;의 중량비는 1 : 0.2 내지 0.8이고,
    상기 느릅나무 추출물은 다당류이며,
    상기 다당류는 람노오스, 갈라토오스 글루코오스, 푸코오스 갈락토오스아민 및 글루코오스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당류로 가수분해되며,
    상기 다당류의 분자량은 10,000 내지 35,000 이고, 고유점도는 80 내지 100 d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결합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느릅나무 추출물은 줄기, 껍질, 뿌리 및 잎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건축자재용 결합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느릅나무 추출물은 물, 인산 완충용액, 약염기성 수용액,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결합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건축자재용 결합제를 포함하는 건축자재.
  10. 삭제
  11.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건축자재용 결합제를 포함하는 황토 건축자재.
  12.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건축자재용 결합제를 포함하는 흙 건축자재.
  13.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건축자재용 결합제를 포함하는 광물 건축자재.
  14.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건축자재용 결합제를 포함하는 목재 건축자재.
  1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건축자재용 결합제를 포함하는 글래스 건축자재.
  16.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건축자재용 결합제를 포함하는 석재 건축자재.
  17.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건축자재용 결합제를 포함하는 건축용 패널.
  18.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건축자재용 결합제를 포함하는 건축용 내장재.
  19.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건축자재용 결합제를 포함하는 단열재.
KR1020180052291A 2018-05-08 2018-05-08 건축용 결합제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내장재 KR102000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291A KR102000394B1 (ko) 2018-05-08 2018-05-08 건축용 결합제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내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291A KR102000394B1 (ko) 2018-05-08 2018-05-08 건축용 결합제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내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394B1 true KR102000394B1 (ko) 2019-07-15

Family

ID=67257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291A KR102000394B1 (ko) 2018-05-08 2018-05-08 건축용 결합제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내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3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182B1 (ko) * 2001-06-30 2003-10-17 김영애 건축재용 황토 엑기스 및 이를 원료로 하는 황토타일,황토몰탈, 황토벽돌 및 황토 구들 그리고 이들의 각제조방법
KR100407455B1 (ko) * 2000-03-04 2003-11-28 주식회사 참 존 유근피로부터 추출된 다당류
KR100811602B1 (ko) 2007-12-18 2008-03-11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친환경 건축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22735A (ko) 2009-05-13 2010-11-23 대한민국 (관리부서:국립문화재연구소) 친환경 발수제를 이용한 흙마감 시공방법 및 그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455B1 (ko) * 2000-03-04 2003-11-28 주식회사 참 존 유근피로부터 추출된 다당류
KR100402182B1 (ko) * 2001-06-30 2003-10-17 김영애 건축재용 황토 엑기스 및 이를 원료로 하는 황토타일,황토몰탈, 황토벽돌 및 황토 구들 그리고 이들의 각제조방법
KR100811602B1 (ko) 2007-12-18 2008-03-11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친환경 건축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22735A (ko) 2009-05-13 2010-11-23 대한민국 (관리부서:국립문화재연구소) 친환경 발수제를 이용한 흙마감 시공방법 및 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39056C (zh) 一种竹集成材的制备方法
CN102581902B (zh) 一种室内用炭化橡胶木集成材的生产方法
CN104924389A (zh) 一种木头处理剂的使用方法
KR102115939B1 (ko) 내구성이 향상된 다기능성 천연소재 종이멀칭지.
KR101312864B1 (ko) 건축용 미장재
CN105365019A (zh) 一种碳化防腐竹筒生产工艺
KR102000394B1 (ko) 건축용 결합제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내장재
AU2017348278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emp products
KR20190111171A (ko) 천연섬유를 함유한 벽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393324A (zh) 利用草木粉碎物和粘土的多样的板材和板材组合物及其制造方法
KR101216415B1 (ko) 대나무 필름을 이용한 바닥재의 제조방법
KR102062047B1 (ko) 건축 내외장재 및 액자 제조에 사용되는 친환경 조성물
Vukas et al. Heat treated wood
KR20110126856A (ko) 짚을 이용한 불연 건축패널의 제조방법 및 그 건축패널
CN110510925B (zh) 一种防水防火防虫蛀的植物纤维及其成型工艺
KR101587490B1 (ko) 죽근 도장의 제조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도장
KR101690274B1 (ko) 흙침대용 흙판의 제조방법
CN105256644A (zh) 一种防霉防蛀芳纶短纤维复合原纸及其制作方法
KR101326362B1 (ko) 피톤치드 성분을 함유한 골재 및 그 제조방법
CN107447515B (zh) 一种制备具有驱蚊功能的竹纤维的方法
KR101093384B1 (ko) 대나무를 소재로 한 집성목의 제조방법
CN105297529A (zh) 一种品质高耐用性久的复合原纸及其制作方法
KR102668596B1 (ko) 발효천연물을 이용한 기능성 벽지
KR100917407B1 (ko) 다공성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17609A (ko) 건축 자재용 황토보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