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669A - 저온발효숙성 흑마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온발효숙성 흑마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26669A KR20100026669A KR1020080085761A KR20080085761A KR20100026669A KR 20100026669 A KR20100026669 A KR 20100026669A KR 1020080085761 A KR1020080085761 A KR 1020080085761A KR 20080085761 A KR20080085761 A KR 20080085761A KR 20100026669 A KR20100026669 A KR 201000266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rlic
- hours
- temperature
- drying
- hot air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383638 Allium nigrum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35800 maturation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2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8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2036 drum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602 hot air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694 spray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291 vacuum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777 vacuum freeze-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LRFVTYWOQMYALW-UHFFFAOYSA-N 9H-xanthine Chemical compound O=C1NC(=O)NC2=C1NC=N2 LRFVTYWOQMYAL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JDLKFOPOAOFWQN-VIFPVBQESA-N Allicin Natural products C=CCS[S@](=O)CC=C JDLKFOPOAOFWQN-VIFPVBQESA-N 0.000 description 6
- NAXKFVIRJICPAO-LHNWDKRHSA-N [(1R,3S,4R,6R,7R,9S,10S,12R,13S,15S,16R,18S,19S,21S,22S,24S,25S,27S,28R,30R,31R,33S,34S,36R,37R,39R,40S,42R,44R,46S,48S,50R,52S,54S,56S)-46,48,50,52,54,56-hexakis(hydroxymethyl)-2,8,14,20,26,32,38,43,45,47,49,51,53,55-tetradecaoxa-5,11,17,23,29,35,41-heptathiapentadecacyclo[37.3.2.23,7.29,13.215,19.221,25.227,31.233,37.04,6.010,12.016,18.022,24.028,30.034,36.040,42]hexapentacontan-44-yl]methanol Chemical compound OC[C@H]1O[C@H]2O[C@H]3[C@H](CO)O[C@H](O[C@H]4[C@H](CO)O[C@H](O[C@@H]5[C@@H](CO)O[C@H](O[C@H]6[C@H](CO)O[C@H](O[C@H]7[C@H](CO)O[C@@H](O[C@H]8[C@H](CO)O[C@@H](O[C@@H]1[C@@H]1S[C@@H]21)[C@@H]1S[C@H]81)[C@H]1S[C@@H]71)[C@H]1S[C@H]61)[C@H]1S[C@@H]51)[C@H]1S[C@@H]41)[C@H]1S[C@H]31 NAXKFVIRJICPAO-LHNWDKRHSA-N 0.000 description 6
- JDLKFOPOAOFWQN-UHFFFAOYSA-N allicin Chemical compound C=CCSS(=O)CC=C JDLKFOPOAOFWQ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5000010081 allic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9965 odorles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21591 Copper(I)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OXBLHERUFWYNTN-UHFFFAOYSA-M copper(I) chloride Chemical compound [Cu]Cl OXBLHERUFWYNTN-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784 ger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40075420 xanthine Drugs 0.000 description 3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2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00 Garlic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93894 Xanthine oxid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100033220 Xanthine oxid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UJNEKJLAYXESH-UHFFFAOYSA-N cysteine Natural products SCC(N)C(O)=O XUJNEKJLAYXES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8417 cyste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PFRGXCVKLLPLIP-UHFFFAOYSA-N diallyl disulfide Chemical compound C=CCSSCC=C PFRGXCVKLLPL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BAXRAHSPKWNCX-UHFFFAOYSA-N diallyl trisulfide Chemical compound C=CCSSSCC=C UBAXRAHSPKWNC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17 food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706 garlic extra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QAIPRVGONGVQAS-DUXPYHPUSA-N trans-caffe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1=CC=C(O)C(O)=C1 QAIPRVGONGVQAS-DUXPYHPUSA-N 0.000 description 2
- ACEAELOMUCBPJP-UHFFFAOYSA-N (E)-3,4,5-trihydroxycinnam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1=CC(O)=C(O)C(O)=C1 ACEAELOMUCBPJ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YNJYMYRHBOARL-UHFFFAOYSA-N 7-methoxyquinoxalin-5-amine Chemical compound N1=CC=NC2=CC(OC)=CC(N)=C21 YYNJYMYRHBOAR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NCAVNGLACHSRZ-KAMYIIQDSA-N Allithiamine Chemical compound C=CCSSC(/CCO)=C(/C)N(C=O)CC1=CN=C(C)N=C1N WNCAVNGLACHSRZ-KAMYIIQDSA-N 0.000 description 1
- WNCAVNGLACHSRZ-UHFFFAOYSA-N Allithiamine Natural products C=CCSSC(CCO)=C(C)N(C=O)CC1=CN=C(C)N=C1N WNCAVNGLACHSR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1320 Ather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3079 Bovine Serum Album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58 Cycl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CXVZYZYPLLWCC-UHFFFAOYSA-N EDTA Chemical compound OC(=O)CN(CC(O)=O)CCN(CC(O)=O)CC(O)=O KCXVZYZYPLLW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GTMUACCHSMWAC-UHFFFAOYSA-L EDTA disodium salt (anhydrous) Chemical compound [Na+].[Na+].OC(=O)CN(CC([O-])=O)CCN(CC(O)=O)CC([O-])=O ZGTMUACCHSMWAC-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102100021587 Embryonic testis differentiation protein homolog 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1
- 101000898120 Homo sapiens Embryonic testis differentiation protein homolog 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5664 Pneumon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NVLPQIPTCCLBEU-UHFFFAOYSA-N allyl methyl sulphide Natural products CSCC=C NVLPQIPTCCLBE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21 anti-sep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18 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8773 bovine serum albu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4360 caffe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883 caffe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56 cinnaba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QAIPRVGONGVQAS-UHFFFAOYSA-N cis-caffe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1=CC=C(O)C(O)=C1 QAIPRVGONGVQA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34 diur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0606 diuretics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911 enzymatic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985 fermente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00 final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DXPYRJPNDTMRX-UHFFFAOYSA-N glutamine Natural products OC(=O)C(N)CCC(N)=O ZDXPYRJPNDTMR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15 in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4 irr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579 juice concent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72 labe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42 oligo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82 olig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85 persist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67 refin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HFHDHCJBZVLPGP-UHFFFAOYSA-N schardinger α-dextrin Chemical compound O1C(C(C2O)O)C(CO)OC2OC(C(C2O)O)C(CO)OC2OC(C(C2O)O)C(CO)OC2OC(C(O)C2O)C(CO)OC2OC(C(C2O)O)C(CO)OC2OC2C(O)C(O)C1OC2CO HFHDHCJBZVLP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54 spic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86 standar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464 sulfur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JZRWCGZRTZMZEH-UHFFFAOYSA-N thiamine Chemical compound CC1=C(CCO)SC=[N+]1CC1=CN=C(C)N=C1N JZRWCGZRTZMZE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1 volati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5—Preserving by heat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발효숙성 흑마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저온발효숙성 흑마늘 제조방법은 마늘의 외피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마늘의 외피를 제거한 생마늘을 70℃∼90℃ 온도에서 20일 내지 30일간 열풍으로 숙성하는 단계; 상기 열풍으로 숙성한 생마늘을 5℃∼10℃의 저온 상태에서 40%∼85% 습도조건에서 50시간 내지 70시간 저온숙성하는 단계; 상기 저온숙성마늘을 60℃∼90℃에서 40%∼85% 습도조건으로 10시간 내지 12시간 자기발효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자기발효숙성된 마늘을 50℃∼90℃ 온도에서 120시간 내지 200시간 동안 고온 열풍처리하는 단계; 상기 고온 열풍 처리된 마늘을 50℃∼70℃에서 50시간 내지 70시간 수분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수분을 공급시킨 마늘을 15%∼50%의 수분함량을 갖도록 건조시키는 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저온발효숙성, 흑마늘, 항산화력, 폴리페놀
Description
본 발명은 흑마늘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흑마늘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저온으로 자기발효 및 숙성 단계를 포함하여 흑마늘의 풍미를 증가시키고 마늘에 포함된 약리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저온발효숙성 흑마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늘은 고대 이집트, 중국, 인도 등의 지역에서 유사이전부터 재배되어 왔으며, 우리나라 단국 신화에도 등장하는 등 오래전부터 인간에게 중요한 음식으로 여겨져 왔다. 현재 마늘은 식재료로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많은 가공식품에 중요한 첨가물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이뇨제, 폐렴, 항균작용, 중금속에 대한 해독작용, 항암작용 및 동맥경화 등에 우수한 효능이 인정되어 건강식품 또는 의약품의 원재료로도 그 사용이 확대되어 지고 있다.
마늘에는 일반적으로 약 1%의 휘발성정유가 함유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60% 는 디알릴 디설파이드(Dialllyl disulfide), 알릴 메틸설파이드(Allyl methylsulfide), 디알릴 트리설파이드(Diallyl trisulfide) 및 알리신(Allicin) 등 여러 가지의 황화합물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알리신은 자극성이 강하고 특유의 냄새를 갖추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알리신은 마늘의 인경에 존재할 때는 냄새가 없다가 마늘의 세포가 파괴될 때에 같이 함유되어 있던 알리나제(Allinase) 효소가 작용하여 특유의 냄새 및 강한 매운맛을 내는 알리신으로 변하며, 또한 여러 가지의 독한 방향물질이 발생된다. 상기 알리신은 비타민 B1과 결합하여 알리티아민(Allithiamine)이 되어 지속성 B1의 효력을 가지게 된다. 또한 B2, 비타민 C가 많아 비타민류의 풍부한 공급원이 된다. 상기와 같이 마늘은 우리나라에서는 없어서는 최고의 향신료이다. 마늘은 이러한 효능에도 불구하고 생마늘을 비롯하여 다진 마늘 등을 그대로 섭취할 경우 자극성이 심하여 단순히 향신료나 기타 식품 소재들과 함께 사용해 왔다.
또한, 열이나 온도변화에 약하여 운반과정이나 보관 과정상에 약간의 흠집이 날 경우 곧바로 갈변현상을 일으켜 상품성을 현저히 떨어뜨리게 하는 문제 요소로 작용해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그동안 마늘에 대한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예를 들어 마늘을 물에 넣고 고온에서 추출 여과한 후 사이클로덱스트린을 가하여 교반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취마늘엑기스의 제조방법(공개번호 특1995-23328호), 마늘에 유기산 또는 유기산 수용액을 첨가하여 분해 여과하여 얻은 무취 마늘 추출물을 함유하여 항균 효과 및 방부력이 증가된 화 장료 조성물(공고번호 10-205498호), 설탕, 과당, 올리고당의 혼합용액에 마늘을 넣어 자연발효시킨 후 1차, 2차 발효추출물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마늘점질액과 혼합 후 다시 3차 발효하여 제조된 발효액을 이용한 무취의 기능성 마늘 발효음료 및 그 제조방법(공고번호 10-571496호) 및 숙성마늘의 제조방법과 관련하여 일정한 온도와 습도에서 자기발효시켜 마늘 본래의 유효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항산화력 및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된 숙성마늘의 제조방법(공고번호 10-530386호) 등이 제안되었다.
상기의 공지된 마늘을 이용한 가공제품은 대략 크게 분류하면 냉동 건조마늘, 열풍 건조마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엑기스, 마늘 주스 농축물 등이 있다. 동결 건조제품은 향기 성분의 손실과 갈변을 최소화할 수 있고 최종 수분 함량을 약 30% 정도로 되도록 건조함으로써 장기 저장 및 유통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공제품은 첨가물을 사용하거나 추출물로 제조함으로써 마늘이 가지는 고유의 기능 및 효능성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그 효능을 더이상 증대시킬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국내 특허공보번호 10-663168호에는 발아, 열처리, 고온 열풍 및 저온 열풍처리 후 건조를 통해 마늘의 항산화력과 폴리페놀의 함량이 증가시키는 제조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제조 방법은 마늘의 싹을 틔우는 이른바 발아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싹이 난 마늘의 경우 상품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마늘의 영양분이 빠져나가게 되고 마늘이 5일 내지 10일 동안의 발아과정에서 썩거나 변질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마늘의 냄새를 없애는 데는 그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생마늘에 아무런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고 생마늘을 일정한 온도와 습도에서 저온숙성발효시키고 또한 60℃∼95℃ 온도와 40%∼85% 습도에서 10시간 내지 12시간 자기발효숙성시킴으로써 마늘 본래의 유효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종래의 다른 숙성마늘 제조 방법에 비해 항산화력이 대폭 상승함은 물론 생마늘에 존재하지 않는 S-아닐시스테인 물질이 생성되며 폴리페놀 함량이 높아져 양질의 숙성흑마늘을 보장할 수 있는 저온발효숙성 흑마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마늘의 외피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마늘의 외피를 제거한 생마늘을 70℃∼90℃ 온도에서 20일 내지 30일간 열풍으로 숙성하는 단계; 상기 열풍으로 숙성한 생마늘을 5℃∼10℃의 저온 상태에서 40%∼85% 습도조건에서 50시간 내지 70시간 저온숙성하는 단계; 상기 저온숙성마늘을 60℃∼90℃에서 40%∼85% 습도조건으로 10시간 내지 12시간 자기발효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자기발효숙성된 마늘을 50℃∼90℃ 온도에서 120시간 내지 200시간 동안 고온 열풍처리하는 단계; 상기 고온 열풍 처리된 마늘을 50℃∼70℃에서 50시간 내지 70시간 수분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수분을 공급시킨 마늘을 15%∼50%의 수분함량을 갖도록 건조시키는 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발효숙성 흑마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열풍숙성단계는 생마늘 100㎏ 당 4ℓ 내지 6ℓ의 수분을 공급해주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단계는 30℃∼50℃에서 360시간 내지 480시간으로 건조시키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된 흑마늘을 이용하여 농축액을 만드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건조된 흑마늘을 이용하여 분무기 건조, 열풍 건조, 드럼 건조, 진공 건조, 동결 건조 중의 어느 하나 방식으로 분말을 만드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온발효숙성 흑마늘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일정한 온도와 습도에서 저온발효숙성함으로써 관능검사에서 맛, 마늘냄새, 색상, 식감 등의 검사 항목에서 흑마늘로서의 특성이 매우 우수하였으며, 일반 숙성 흑마늘에 비해 항산화력이나 폴리페놀 함량이 상승함은 물론 생마늘에 존재하지 않는 S-아릴시스테인 물질이 생성되어 우수한 흑마늘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온발효숙성 흑마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온발효숙성 흑마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우선 마늘의 외피를 제거(S100)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마늘의 외피를 제거하는 것은 저온발효 및 자기발효의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에서 외피를 제거한 생마늘을 용기에 담아 열을 직접 가하지 않고 전기 열풍기 설치된 실내에서 70℃∼90℃ 온도로 유지하면서 20일 내지 30일간 열풍으로 숙성(S200)한다. 실내 온도가 70℃ 미만으로 열풍숙성 하는 경우 마늘이 썩는 문제점이 있으며, 실내 온도를 90℃를 초과하여 장시간 숙성시키는 경우에는 마늘 자체의 효소가 온도에 의해 파괴되어 효능이 없어지기 때문에 열풍 숙성시에는 실내온도를 70℃∼90℃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풍숙성 단계(S200)에서 마늘 100㎏당 물 4ℓ 내지 6ℓ의 수분을 공급하여 열풍 숙성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20일 내지 30일간 고온에서 열풍 숙성을 진행함으로써 마늘 자체가 함유하고 있는 수분 함량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열풍숙성 단계(S200)가 완료된 생마늘을 상기 열풍으로 숙성한 생마늘을 5℃∼10℃의 저온 상태에서 40%∼85% 습도조건에서 50시간 내지 70시간 저온숙성(S300) 시킨다. 이러한 저온숙성은 마늘 특유의 자극적이고 불쾌한 냄새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성 및 쫄깃한 상태가 증가한다. 또한 저온 숙성에 의해 황산화활성 및 폴리페놀량이 점차 상승함을 하기의 실험에서 알 수 있다.
상기 저온숙성 단계(S300)가 완료된 마늘을 60℃∼95℃의 온도 상태에서 40%∼85% 습도조건에서 10시간 내지 12시간 자기숙성발효(S400)를 진행한다. 상기의 자기숙성발효에 의해 맛과 냄새를 향상시키고 황산화 활성 및 폴리페놀 함량이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자기숙성발효(S400)단계를 통해 마늘의 색상이 더욱더 검게 변화시킨다. 특히 이 단계는 발효와 숙성에 상당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자기발효숙성을 위한 온도, 습도 및 시간에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상기의 자기발효숙성단계(S400)에 거친 마늘을 50℃∼90℃에서 120시간 내지 200시간을 고온열풍처리(S500)를 한다. 이렇게 자기발효숙성(S400)시킨 마늘을 50℃∼90℃에서 120시간 내지 200시간에서 고온열풍처리하는 것은 마늘이 효소를 불활성화시켜 마늘이 외부에 노출되더라도 더 이상의 성분변화를 막을 수 있으며, 또한 마늘 자체의 화학적 또는 효소 반응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마늘의 효소 중 알리나아제를 불활성화시킴으로써 알리인이 알리신으로 전환되는 것을 차단시키므로 인해 유효성분인 알리인 성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마늘 특유의 냄새인 알리신의 생성을 억제하여 마늘의 냄새를 최대 한도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고온열풍처리단계(S500)를 완료한 후 마늘을 50℃∼70℃의 온도에서 50시간 내지 70시간 동안 수분을 공급(S600)하여야 한다. 이때 온도 50℃∼70℃에서 50시간 내지 70시간 동안 수분을 공급(S600)을 공급하게 되면 흑마늘로 변화는 동안에 생길 수 있는 탄내 및 마늘 특유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수분을 공급하는 동안에 또 한번의 숙성이 가능하다.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은 스팀 분사 또는 초음파 분사 중 어느 방법이라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각각의 단계를 거치는 동안 생마늘이 흑마늘로 전환되면서 마늘의 유효성분은 증대하고 마늘의 특유의 냄새가 되면, 최종적으로 상품화를 위해 상기의 흑마늘을 건조(S700)시킨다. 상기 건조단계(S700)는 흑마늘 15% 내지 50% 수분함량을 갖도록 30℃∼50℃에서 360시간 내지 480시간 동안 이루어진다. 상기 건조단계(S700)에서 대량 생산을 위해 50℃를 초과하여 단시간으로 건조시키는 경우 상기 저온숙성단계(S300) 및 자기발효숙성단계(S400)에 증가된 유효성분이 파괴되거나 화학적 변화가 올 수 있으므로 30℃∼50℃에서 장시간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저온발효숙성 흑마늘은 기능성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조직에 점질성이 있기 때문에 물이나 다른 용액에 대한 용해도가 높고 마늘에 들어있는 유효성분이 상승되므로 용도에 따라 물에 희석하여 농축액, 추출액으로 만들 수 있으며, 또한 분말, 겔(gel) 및 환 형태로의 제조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저온발효숙성 흑마늘 제조방법에 따라 생산된 흑마늘은 하기와 같은 관능검사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었다.
1. 관능검사 요원의 선정
관능검사를 하기 위한 검사요원의 선정은 실험실에서 훈련된 10명의 검사원에게 시료를 제공하여, 향미검사법에 의하여 시료에서 느낄 수 있는 맛, 냄새, 색상 및 식감을 모두 묘사하게 한 후 그 결과에서 중복되는 용어와 비슷한 표현을 선 정하였다. 전체 참가자 중 선정된 묘사에 가장 많은 표현을 한 사람 7명을 1차로 선정하고, 맛, 냄새, 색상, 점성 및 쫄깃한 정도의 기본적 평가 기준에 대한 한계치 측정을 실시하여, 어떤 측정치에 대하여 지나치게 예민하거나, 둔한 사람을 제외시킨 다음 평균치에 가까운 평가를 한 사람 5명을 최종적인 검사요원으로 선정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2. 관능적 품질검사
상기의 저온숙성 흑마늘을 맛, 냄새, 색상, 점성 및 쫄깃한 정도의 측정항목 4가지 묘사를 선정하여 향미묘사시험법으로 저온숙성 흑마늘에 대한 각 묘사를 정량적묘사분석법으로 표현하였다. 표시방법에는 평가항목으로 맛, 냄새, 색상, 점성 및 쫄깃한 정도를 [표 1](맛/냄새/색상/점성 및 쫄깃한 정도로서 1점: 매우 나쁨/심한 마늘냄새/옅은 생마늘색/점성 매우 낮고 단단함, 2-3점: 나쁨/상당한 마늘냄새/옅은 갈색/약간의 점성 및 조금 덜 단단함, 4-6점: 보통/약한 냄새/갈색/점성 있고 단단함, 7-8점: 양호/보통/흑갈색/점성 높고 쫄깃함, 9점: 매우 좋음/냄새 거의 없음/ 진한 흑갈색/매우 점성 높고 쫄깃함)에 따라 9점 척도법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와 [표 2]와 같다.
평가기준 | ||||
점수 | 맛 | 냄새 | 색상 | 점성 및 쫄긱한 정도 |
1 | 매우 나쁨 | 심한 마늘냄새 | 옅은 생마늘 색 | 매우 낮고 단단함 |
2-3 | 나쁨 | 상당한 마늘냄새 | 옅은 갈색 | 약간의 점성 및 조금 덜 단단함 |
4-6 | 보통 | 약한 냄새 | 갈색 | 점성 있고 단단함 |
7-8 | 양호 | 보통 | 흑갈색 | 점성 높고 쫄깃함 |
9 | 매우 좋은 | 냄새 거의 없음 | 진한 흑갈색 | 매우 점성 높고 쫄깃함 |
구분\평가항목 | 맛 | 마늘냄새 | 색상 | 식감 | 결과 |
본원 발명(저온숙성 흑마늘) | 9 | 9 | 9 | 8 | 매우 좋음 |
생마늘 | 1 | 1 | 1 | 1 | 나쁨 |
숙성 흑마늘(일반) | 7 | 7 | 9 | 6 | 양호 |
건조마늘 | 6 | 7 | 6 | 6 | 보통 |
구운마늘 | 7 | 9 | 6 | 8 | 양호 |
무취마늘 | 6 | 7 | 6 | 3 | 보통 |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흑마늘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생마늘 열풍 숙성시키고, 이를 온도 5℃∼10℃ 저온상태에서 습도 40%∼85%를 유지하면서 50시간 내지 70시간 저온숙성시킴으로써 고유의 마늘 냄새도 거의 소실되었고 식감도 향상되었으며, 맛과 색상도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라 제조된 흑마늘이 도든 검사 항목에서 통상의 숙성 흑마늘과 비교하여 고유한 특징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항목\구분 | 본원 발명 | 숙성 흑마늘(일반) | 건조마늘 | 무취마늘 | 생마늘 |
항산화활성(%) | 2.02 | 1.5 | 0.3 | 0.2 | 0.2 |
폴리페놀함량(%) | 3.54 | 3.3 | 1.4 | 0.3 | 0.15 |
우선 시약으로 0.05M Na2Co3의 완충액(PH 10.2)을 마련하여 Xanthine 45.64㎎을 상기 완충액에 용해시켜 100㎖로 하여 3mM Xanthine을 준비하고, EDTA 2Na 111.7㎎을 증류수에 용해시켜 100㎖로 하여 3mM ETDA을 준비하며, Bovine serum albumin 17㎎을 증류수에 용해시켜 10㎖로 하여 BSA 용액을 준비하고, NBT 61.32㎎을 증류수에 넣어 100㎖ 하여 0.75mM NBT를 준비하고, Xanthine oxidase를 증류수로 희석하여 흡광도가 0.20 내지 0.23의 범위내로 들어가도록 하며, CuCl2·2H2o 102.29㎎을 증류수에 용해시켜 100㎖하여 6mM CuCl2를 마련한다.
이어서 표준 SOD의 Caffeic acid를 증류수로 희석하여 황산화 활성 표준액으로 한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저온발효숙성 흑마늘과 종래의 일반 숙성 흑마늘, 건조마늘, 무취마늘, 생마늘 20g을 각각 믹서기로 분쇄해서 30% EtOH 200㎖를 사용하여 500㎖용 비이커로 옮기고 스델러로 각반시키면서 80℃ 온도에서 1시간 추출하여 각 시험액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각 시험관에 0.05M Na2Cu3 완충액 2.4㎖를 따르고, 3mM Xanthine, 3mM EDTA, BSA 용액 0.75mM NBT를 각 0.1㎖씩 첨가하였다. 여기에 SOD를 포함한 시료 0.1㎖를 첨가하고 25℃에서 인큐베이터를 개시하였다. 20분 후에 6mM CuCl2 0.1㎖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황산화 활성, 폴리페놀량을 특정한 결과가 [표 3]이다.
상기와 같은 저온발효숙성 흑마늘은 Xanthine oxidase법에 의한 황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일반숙성 흑마늘 보다 증감함을 알 수 있었으며, 폴리페놀량도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방법에 의해 제조된 흑마늘은 생마늘에 존재하지 않는 물질인 S-아릴 시스테인(S-allyl cycteine, SAC)이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인 저온발효숙성 흑마늘을 먹고 트림을 하였을 때 마늘 특유의 냄새가 나지 않는 것으로부터 알 수 있었다. 이는 생마늘에 있는 글루타민 S-아릴 시스테인 성분이 수용성 S-아릴 시스테인 성분으로 전환되어 체내에서 흡수되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온발효숙성 흑마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Claims (5)
- 마늘의 외피를 제거하는 단계;상기 마늘의 외피를 제거한 생마늘을 70℃∼90℃ 온도에서 20일 내지 30일간 열풍으로 숙성하는 단계;상기 열풍으로 숙성한 생마늘을 5℃∼10℃의 저온 상태에서 40%∼85% 습도조건에서 50시간 내지 70시간 저온숙성하는 단계;상기 저온숙성마늘을 60℃∼90℃에서 40%∼85% 습도조건으로 10시간 내지 12시간 자기발효숙성시키는 단계;상기 자기발효숙성된 마늘을 50℃∼90℃ 온도에서 120시간 내지 200시간 동안 고온 열풍 처리하는 단계;상기 고온 열풍 처리된 마늘을 50℃∼70℃에서 50시간 내지 70시간 수분공급하는 단계 및상기 수분을 공급시킨 마늘을 15%∼50%의 수분함량을 갖도록 건조시키는 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발효숙성 흑마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숙성단계는 생마늘 100㎏ 당 4ℓ 내지 6ℓ의 수분을 공급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발효숙성 흑마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30℃∼50℃에서 360시간 내지 480시간으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발효숙성 흑마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흑마늘을 이용하여 농축액을 만드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발효숙성 흑마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흑마늘을 이용하여 분무기 건조, 열풍 건조, 드럼 건조, 진공 건조, 동결 건조 중의 어느 하나 방식으로 분말을 만드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발효숙성 흑마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5761A KR20100026669A (ko) | 2008-09-01 | 2008-09-01 | 저온발효숙성 흑마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5761A KR20100026669A (ko) | 2008-09-01 | 2008-09-01 | 저온발효숙성 흑마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6669A true KR20100026669A (ko) | 2010-03-10 |
Family
ID=42177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85761A KR20100026669A (ko) | 2008-09-01 | 2008-09-01 | 저온발효숙성 흑마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26669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798702A (zh) * | 2013-10-09 | 2014-05-21 | 周口师范学院 | 一种富硒黑大蒜制品的加工方法 |
CN104305080A (zh) * | 2014-10-11 | 2015-01-28 | 徐州绿之野生物食品有限公司 | 一种快速制备黑大蒜的方法 |
KR20180052514A (ko) * | 2016-11-10 | 2018-05-18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저온숙성마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저온숙성마늘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개선용 조성물 |
CN115777892A (zh) * | 2022-11-30 | 2023-03-14 | 江苏福多美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黑蒜发酵的预处理加工方法 |
-
2008
- 2008-09-01 KR KR1020080085761A patent/KR2010002666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798702A (zh) * | 2013-10-09 | 2014-05-21 | 周口师范学院 | 一种富硒黑大蒜制品的加工方法 |
CN104305080A (zh) * | 2014-10-11 | 2015-01-28 | 徐州绿之野生物食品有限公司 | 一种快速制备黑大蒜的方法 |
KR20180052514A (ko) * | 2016-11-10 | 2018-05-18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저온숙성마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저온숙성마늘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개선용 조성물 |
CN115777892A (zh) * | 2022-11-30 | 2023-03-14 | 江苏福多美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黑蒜发酵的预处理加工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30386B1 (ko) | 숙성 마늘의 제조방법 | |
KR100857270B1 (ko) | 발효숙성 흑마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숙성 흑마늘농축액의 제조방법 | |
KR100738427B1 (ko) | 숙성 흑마늘의 제조방법 | |
KR100774498B1 (ko) | 쑥 훈증을 이용한 발효숙성 흑마늘 제조 방법 | |
JP2930323B2 (ja) | 消臭剤 | |
KR101946892B1 (ko) | 돼지머리 시즈닝 분말 | |
KR102134219B1 (ko) | 케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케이크 | |
KR102063889B1 (ko) | 어성초 성분을 포함하는 두피 건강 개선용 스프레이 조성물 | |
KR102404589B1 (ko) | 천년초 액상액을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 방법 | |
KR20100026669A (ko) | 저온발효숙성 흑마늘 제조방법 | |
KR100858317B1 (ko) | 숙성 흑양파의 제조방법 | |
KR102148926B1 (ko) | 성형미와 팽화미를 이용한 스낵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낵 | |
KR100816789B1 (ko) | 숙성 흑마늘 및 그 제조방법 | |
KR101289730B1 (ko) | 유용성 미생물로 발효된 쌀뜨물발효액을 이용한 곶감과 그 제조방법 | |
KR100721763B1 (ko) | 프로폴리스 혹은 녹차분말을 함유한 식빵 및 그 제조방법 | |
KR101401646B1 (ko) | 기능성 국수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기능성 국수 | |
KR20160026171A (ko) | 패션프루츠를 이용한 막걸리 제조방법 | |
KR102432923B1 (ko) |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 | |
KR101870419B1 (ko) |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그 청국장 | |
KR101689260B1 (ko) | 초벌구이를 이용한 오리고기 제조방법 | |
KR20100119189A (ko) | 흑마늘을 이용한 기능성 와인 제조방법 | |
KR101133898B1 (ko) | 발효곶감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 |
KR102029281B1 (ko) | 풍미가 향상된 고추장 | |
KR102029283B1 (ko) | 식감이 향상된 고추장의 제조방법 | |
KR102674201B1 (ko) | 표고버섯 발효식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