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923B1 -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 - Google Patents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2923B1 KR102432923B1 KR1020200041157A KR20200041157A KR102432923B1 KR 102432923 B1 KR102432923 B1 KR 102432923B1 KR 1020200041157 A KR1020200041157 A KR 1020200041157A KR 20200041157 A KR20200041157 A KR 20200041157A KR 102432923 B1 KR102432923 B1 KR 1024329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arts
- pineapple
- temperature
- dried
- Prior art date
Links
- 240000002254 Ananas comosus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35000007119 Ananas comosu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40000007742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29960000583 Acetic Acid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WQZGKKKJIJFFOK-GASJEMHNSA-N D-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SEBIKDIMAPSUBY-ARYZWOCPSA-N Crocine Chemical compound C([C@H]1O[C@H]([C@@H]([C@@H](O)[C@@H]1O)O)OC(=O)C(C)=CC=CC(C)=C\C=C\C=C(/C)\C=C\C=C(C)C(=O)O[C@H]1[C@@H]([C@@H](O)[C@H](O)[C@@H](CO[C@H]2[C@@H]([C@@H](O)[C@H](O)[C@@H](CO)O2)O)O1)O)O[C@@H]1O[C@H](CO)[C@@H](O)[C@H](O)[C@H]1O SEBIKDIMAPSUBY-ARYZWOCP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LROWVYNUWKVTCU-STWYSWDKSA-M Sodium sorb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O-])=O LROWVYNUWKVTCU-STWYSWDKSA-M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4283 Sodium sorb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9627 gardenia yellow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12362 glacial acetic ac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19250 sodium sorbat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CVHZOJJKTDOEJC-UHFFFAOYSA-N Saccharin Chemical compound C1=CC=C2C(=O)NS(=O)(=O)C2=C1 CVHZOJJKTDOEJC-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WQZGKKKJIJFFOK-VFUOTHLCSA-N β-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41000255789 Bombyx mori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7
- 244000163122 Curcuma domestic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5
- 235000003392 Curcuma domestic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5000003373 curcuma long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5000013976 turmeric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40000000249 Morus alb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5000008708 Morus alb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14375 Curcum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1000219122 Cucurbi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605 air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9700 powder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0218211 Maclur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2912 Salvia officinal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2020 sag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1296 salvia officinalis 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14860 sensory perception of tast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6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35917 tast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6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108010004032 Bromelains Protein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4365 Proteas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9835 bromelain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2797 proteolythic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9571 color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1000220259 Raphanus Species 0.000 abstract 5
- 240000008426 Persea americana Species 0.000 description 33
- 235000005426 persea americ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3
- UIIMBOGNXHQVGW-UHFFFAOYSA-M NaHCO3 Chemical compound [Na+].OC([O-])=O UIIMBOGNXHQVG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9
- 241000382353 Pupa Specie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5000021302 avocado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8163 avocado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5000019674 grap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
- 229910000030 sodium bi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1
- 235000017557 sodium bicarbon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ZIUSSTSXXLLKKK-HWUZOJPISA-N Curcumin Natural products C1=C(O)C(OC)=CC(\C=C\C(\O)=C/C(=O)/C=C/C=2C=C(OC)C(O)=CC=2)=C1 ZIUSSTSXXLLKKK-HWUZOJPISA-N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1963 growth medi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2266 salt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40088598 Enzyme Drug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40109262 Curcumin Drugs 0.000 description 5
- 240000006024 Lactobacillus plantarum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29940072205 Lactobacillus plantarum Drug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965 Lactobacillus planta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058 adul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2754 curcu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148 curcu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194 supercritical-fluid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137 ultrasound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29940106157 CELLULASE Drugs 0.000 description 3
- 108010059892 Cellul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5979 Citrus lim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2268 Citrus limon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29940045184 Malt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888 Pep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08010080698 Pepto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8010059820 Polygalacturon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29940029983 VITAMINS Drugs 0.000 description 3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29940021016 Vitamin IV solution additives Drugs 0.000 description 3
- 101700006119 XYL1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700047052 XYLA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700051122 XYLD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700065756 XYN4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700001256 Xyn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XEKOWRVHYACXOJ-UHFFFAOYSA-N acetic acid ethyl ester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02000004139 alpha-Amyl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0000637 alpha-Amyl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29940024171 alpha-amylase Drug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249 digestiv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1000010238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319 pept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997 pineapp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156 vitamin B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20 vitamin B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3700 vitamin C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29930003231 vitamin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101700065693 xlnA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700006979 xyl2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710017636 xynS20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HVYWMOMLDIMFJA-DPAQBDIFSA-N (3β)-Cholest-5-en-3-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04 Blood Vessel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826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VEXZGXHMUGYJMC-UHFFFAOYSA-N HCl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56 HOTAI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1001134659 Lactobacillus curv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2129 Leuconostoc lact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1132 Osteopo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HRXKRNGNAMMEHJ-UHFFFAOYSA-K Trisodium citrate Chemical compound [Na+].[Na+].[Na+].[O-]C(=O)CC(O)(CC([O-])=O)C([O-])=O HRXKRNGNAMMEHJ-UHFFFAOYSA-K 0.000 description 2
- 241000186882 Weissella viridescen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4299 Zingib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512 chemo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503 curry powd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45 discol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107 ferment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VLKZOEOYAKHREP-UHFFFAOYSA-N 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041 hydrogen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737 immune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PWHULOQIROXLJO-UHFFFAOYSA-N manganese Chemical compound [Mn] PWHULOQIROXL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09 medi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RHPLDYGYMQRHN-UHFFFAOYSA-N n-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LRHPLDYGYMQRH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JGRMHOSHXDMSA-UHFFFAOYSA-N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956 non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KEAYESYHFKHZAL-UHFFFAOYSA-N sodium Chemical compound [Na] KEAYESYHFKHZA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509 sodium c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14 sou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05 sweet taste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78 trisodium c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642 wellbe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4998 Abdomin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46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3830 Bacillus <bacte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917 Bambusa tul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747 Betacarote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09291 Bifidobacterium longum Drugs 0.000 description 1
- 241001608472 Bifidobacterium long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170 Cell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21 Cell Wa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40107161 Choles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881 Colic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9944 Colon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VFLDPWHFBUODDF-FCXRPNKRSA-N Curcumin Chemical group C1=C(O)C(OC)=CC(\C=C\C(=O)CC(=O)\C=C\C=2C=C(OC)C(O)=CC=2)=C1 VFLDPWHFBUODDF-FCXRPNKRSA-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77 DNA damag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68709 Dipterocarpus cost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171 Dysmenorrh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7758 Gastric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915 Gynecological Organic acids Drug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691 Houttuynia cord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719 Houttuynia cord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12724 Lactobacillal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86660 Lactobaci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9696 Lactobacillus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391 Musculoskelet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0155 Oesophageal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660 Py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8038 Rectal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5605 Saccharin Sodium Drugs 0.000 description 1
- WINXNKPZLFISPD-UHFFFAOYSA-M Saccharin sodium Chemical compound [Na+].C1=CC=C2C(=O)[N-]S(=O)(=O)C2=C1 WINXNKPZLFISPD-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41000758742 Sauru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613 Shoulder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4184 Small intestine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686 Solanum melonge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97 Solanum melonge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4017 Streptococ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35 Tendon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70 Vitamin B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27 Vitamin 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6009 Vitamin E Drug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329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13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11 anti-oxida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59 anti-tum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965 antibodi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1123 antibodi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25 bamb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OENHQHLEOONYIE-VYAWBVGESA-N beta-Carotene Natural products CC=1CCCC(C)(C)C=1\C=C\C(\C)=C/C=C/C(/C)=C\C=C\C=C(\C)/C=C/C=C(/C)\C=C\C1=C(C)CCCC1(C)C OENHQHLEOONYIE-VYAWBVGE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734 beta-carote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48 beta-carot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48 biosynth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31 blood pressure low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PUPZLCDOIYMWBV-UHFFFAOYSA-N but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CO PUPZLCDOIYMWB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27 cell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04 chlorophyl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ATNHDLDRLWWWCB-AENOIHSZSA-M chlorophyll a Chemical compound C1([C@@H](C(=O)OC)C(=O)C2=C3C)=C2N2C3=CC(C(CC)=C3C)=[N+]4C3=CC3=C(C=C)C(C)=C5N3[Mg-2]42[N+]2=C1[C@@H](CCC(=O)OC\C=C(/C)CCC[C@H](C)CCC[C@H](C)CCCC(C)C)[C@H](C)C2=C5 ATNHDLDRLWWWCB-AENOIHSZSA-M 0.000 description 1
- 229930002875 chlorophyll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85 desser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96 dipotass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97 dipotassium 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0312 duodenum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066 eicosa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5 enzyma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101 esophageal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7 food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235 heart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079 hex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59 lipid per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7270 liver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DERNNFJNOPAEC-UHFFFAOYSA-N 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BDERNNFJNOPA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9617 pu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16 radical scaveng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1275 rectum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71 res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49 stomach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22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88 tox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22 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0 unsaturated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28 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5 vitamin 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9 vitamin 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12 vitamin E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663 wound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60 yellow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ENHQHLEOONYIE-JLTXGRSLSA-N β-Carot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C)C=1\C=C\C(\C)=C\C=C\C(\C)=C\C=C\C=C(/C)\C=C\C=C(/C)\C=C\C1=C(C)CCCC1(C)C OENHQHLEOONYIE-JLTXGRSL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2—Acid flavouran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8—Taste or flavour enhancing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15—Inorganic compound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40—Colouring or decolouring of foods
- A23L5/42—Addition of dyes or pigments, e.g. in combination with optical brightener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08—Denaturation, e.g. denaturation of protei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은 파인애플 농축액, 파인애플향, 빙초산, 사카린나트륨, 치자황색소, 포도당, 정제소금, 소르빈산나트륨 및 정제수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단백질 분해효소인 브로멜라인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하여 치킨무 조미액을 제조함으로써, 색상, 맛 및 영양이 우수하고 치킨무의 싱싱함을 그대로 유지시켜 아삭아삭한 맛과 식감을 향상시키며 치킨의 맛을 배가하여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치킨무 조미액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은 파인애플 농축액, 파인애플향, 빙초산, 사카린나트륨, 치자황색소, 포도당, 정제소금, 소르빈산나트륨 및 정제수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단백질 분해효소인 브로멜라인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하여 치킨무 조미액을 제조함으로써, 색상, 맛 및 영양이 우수하고 치킨무의 싱싱함을 그대로 유지시켜 아삭아삭한 맛과 식감을 향상시키며 치킨의 맛을 배가하여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치킨무 조미액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백질 분해효소인 브로멜라인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하여 치킨무 조미액을 제조함으로써, 색상, 맛 및 영양이 우수하고 치킨무의 싱싱함을 그대로 유지시켜 아삭아삭한 맛과 식감을 향상시키며 치킨의 맛을 배가하여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킨 등의 육류 또는 기름진 음식을 취식할 때 육류나 기름진 음식의 느끼하고 비린 맛과 냄새를 억제하고, 산성 음식인 육류를 체내에서 중화시킬 수 있도록 알칼리성 식품인 야채를 곁들여 먹어왔다.
특히, 튀기거나 구운 닭을 판매하는 치킨업체에서는 오래 전부터 염적된 무를 전체적으로 한 입에 들어갈 수 있도록 정육면체로 절단하고, 새콤달콤하게 감미료가 가미된 치킨무를 치킨과 함께 제공해왔다.
일반적인 치킨무의 제조과정은, 무 세척 → 절단 → 세척 → 절단무 충전 → 조미액 충전 → 탑실링 → 박스포장 → 냉장보관(5℃ 이하) 단계를 거친다. 그리고 치킨무 제조 원재료는 절단무, 초산, 정제염, 감미료, 비타민C, 천연항균제, 정제수 등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은 각 회사마다 조심씩의 차이는 존재한다.
한편, 파인애플은 열대식물인 아나나스의 열매로서, 향기가 매우 뛰어날 뿐 아니라 달콤하고 새콤한 맛을 가지고 있어 누구나 즐겨 먹고 있으며, 특히 브로멜라인이라고 하는 단백질 분해효소가 함유되어 있어 육류를 섭취한 다음에 후식으로 먹게 되면 소화에 상당한 도움이 된다.
또한, 파인애플은 비타민 A, B, C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이러한 비타민들은 면역력 강화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감기나 각종 성인병 예방에 크게 기여할 수 있고, 색이 좋고 맛과 향이 달콤하면서 신맛으로 식욕을 증진시키며 몸속의 나트륨 배출에 칼륨의 함유로 각종 혈관 관련 질환을 예방하고 망간이 들어있어 골다공증 예방과 풍부한 섬유질로 소화기관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맛과 영양이 우수한 치킨무를 제조하기 위해 노력하던 중, 단백질 분해효소인 브로멜라인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하여 치킨무 조미액을 제조함으로써, 치킨무의 싱싱함을 그대로 유지시켜 아삭아삭한 맛과 식감을 향상시키며 치킨의 맛을 배가하여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단백질 분해효소인 브로멜라인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하여 치킨무 조미액을 제조함으로써, 색상, 맛 및 영양이 우수하고 치킨무의 싱싱함을 그대로 유지시켜 아삭아삭한 맛과 식감을 향상시키며 치킨의 맛을 배가하여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웰빙 시대를 맞이하여 건강 지향적인 소비자의 수요에 부응하고, 소비자의 취향과 기호에 맞게 즐길 수 있으며, 치킨무의 외관 및 냄새, 풍미를 개선할 수 있는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은 파인애플 농축액, 파인애플향, 빙초산, 사카린나트륨, 치자황색소, 포도당, 정제소금, 소르빈산나트륨 및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파인애플 농축액 3 내지 10 중량부, 파인애플향 0.1 내지 0.3 중량부, 빙초산 1 내지 2 중량부, 사카린나트륨 0.05 내지 0.15 중량부, 치자황색소 0.005 내지 0.1 중량부, 포도당 0.15 내지 0.45 중량부, 정제소금 0.15 내지 0.45 중량부, 소르빈산나트륨 0.01 내지 0.1 중량부 및 정제수 85 내지 9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며, 상기 파인애플 농축액, 파인애플향, 빙초산, 사카린나트륨, 치자황색소, 포도당, 정제소금, 소르빈산나트륨 및 정제수 이외에, 울금 분말, 꾸지뽕 발효액, 상황버섯 우린물 및 누에 숙성분말 가공유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파인애플 농축액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울금 분말 0.5 내지 2.5 중량부, 꾸지뽕 발효액 10 내지 15 중량부, 상황버섯 우린물 5 내지 10 중량부 및 누에 숙성분말 가공유 1 내지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고, 상기 꾸지뽕 발효액은, 어성초를 준비하여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어성초를 3 내지 4kgf/cm2의 압력에서 110 내지 130℃ 온도의 수증기로 40 내지 60분 동안 가열하여 증숙하며, 상기 증숙된 어성초를 15 내지 20℃의 온도 및 55 내지 60%의 습도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건조하고, 상기 건조된 어성초를 가열하여 덖음한 후 냉각하되, 상기 덖음은 상기 건조된 어성초를 가열 용기에 투입한 후 70 내지 75℃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 동안 1차 덖음하고, 상기 1차 덖음된 어성초를 130 내지 140℃의 온도에서 10 내지 30초 동안 2차 덖음하며, 상기 2차 덖음된 어성초를 25 내지 35℃의 온도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냉각하는 과정으로 진행되며, 꾸지뽕나무 열매를 준비하여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꾸지뽕나무 열매를 3 내지 5kgf/cm2의 압력에서 140 내지 160℃ 온도의 수증기로 20 내지 40분 동안 가열하여 증숙하며, 상기 증숙된 꾸지뽕나무 열매를 제1 건조하되, 상기 제1 건조는 18 내지 22℃의 온도 및 60 내지 70%의 습도에서 30 내지 50시간 동안 수행되고, 상기 제1 건조된 꾸지뽕나무 열매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제2 건조하되, 상기 제2 건조는 60 내지 80mbar의 압력, 40 내지 45℃의 온도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상기 제1 건조된 꾸지뽕나무 열매에 2.3 내지 2.5GHz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제2 건조된 꾸지뽕나무 열매 및 상기 덖음 후 냉각된 어성초를 혼합하여 꾸지뽕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꾸지뽕 혼합물에 유산균 배양액을 분무하여 혼합하되, 상기 꾸지뽕 혼합물은 제2 건조된 꾸지뽕나무 열매 80 내지 90 중량% 및 덖음 후 냉각된 어성초 10 내지 20 중량%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꾸지뽕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유산균 배양액 3 내지 7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분무하여 혼합하며, 상기 유산균 배양액이 혼합된 꾸지뽕 혼합물을 40 내지 43℃의 온도 및 60 내지 62%의 습도가 유지되도록 한 후, 5 내지 10일 동안 발효시키고, 상기 발효된 꾸지뽕 혼합물을 냉풍 건조하되, 상기 냉풍 건조는 상기 발효된 꾸지뽕 혼합물을 5 내지 8℃의 온도의 냉풍으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하고, 55 내지 60℃의 온도로 2 내지 4일 동안 유지함으로써 진행되며, 상기 냉풍 건조된 꾸지뽕 혼합물을 추출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의 제조방법은 파인애플 농축액, 파인애플향, 빙초산, 사카린나트륨, 치자황색소, 포도당, 정제소금, 소르빈산나트륨 및 정제수를 일정한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8 내지 12℃의 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보관하여 숙성하되, 상기 파인애플 농축액 3 내지 10 중량부, 파인애플향 0.1 내지 0.3 중량부, 빙초산 1 내지 2 중량부, 사카린나트륨 0.05 내지 0.15 중량부, 치자황색소 0.005 내지 0.1 중량부, 포도당 0.15 내지 0.45 중량부, 정제소금 0.15 내지 0.45 중량부, 소르빈산나트륨 0.01 내지 0.1 중량부 및 정제수 85 내지 9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단백질 분해효소인 브로멜라인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하여 치킨무 조미액을 제조함으로써, 색상, 맛 및 영양이 우수하고 치킨무의 싱싱함을 그대로 유지시켜 아삭아삭한 맛과 식감을 향상시키며 치킨의 맛을 배가하여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치킨무 조미액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웰빙 시대를 맞이하여 건강 지향적인 소비자의 수요에 부응하고, 소비자의 취향과 기호에 맞게 즐길 수 있으며, 치킨무의 외관 및 냄새, 풍미를 개선할 수 있는 치킨무 조미액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은 파인애플 농축액, 파인애플향, 빙초산, 사카린나트륨, 치자황색소, 포도당, 정제소금, 소르빈산나트륨 및 정제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은 파인애플 농축액 3 내지 10 중량부, 파인애플향 0.1 내지 0.3 중량부, 빙초산 1 내지 2 중량부, 사카린나트륨 0.05 내지 0.15 중량부, 치자황색소 0.005 내지 0.1 중량부, 포도당 0.15 내지 0.45 중량부, 정제소금 0.15 내지 0.45 중량부, 소르빈산나트륨 0.01 내지 0.1 중량부 및 정제수 85 내지 9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파인애플 농축액은 파인애플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파인애플은 열대식물인 아나나스의 열매로서, 향기가 매우 뛰어날 뿐 아니라 달콤하고 새콤한 맛을 가지고 있어 누구나 즐겨 먹고 있으며, 특히 브로멜라인이라고 하는 단백질 분해효소가 함유되어 있어 육류를 섭취한 다음에 후식으로 먹게 되면 소화에 상당한 도움이 된다.
또한, 파인애플은 비타민 A, B, C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이러한 비타민들은 면역력 강화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감기나 각종 성인병 예방에 크게 기여할 수 있고, 색이 좋고 맛과 향이 달콤하면서 신맛으로 식욕을 증진시키며 몸속의 나트륨 배출에 칼륨의 함유로 각종 혈관 관련 질환을 예방하고 망간이 들어있어 골다공증 예방과 풍부한 섬유질로 소화기관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파인애플 농축액은 시판되고 있는 공지의 파인애플 농축액이 이용될 수 있는데, 하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파인애플 발효 농축액이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파인애플 농축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파인애플을 준비한 후 세척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세척은 탄산수소나트륨이 용해된 정제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은 식품첨가물로도 이용되는 것으로, 독성이 없으며 침투, 확산, 팽창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는데, 상기 단계에서는 1 내지 3(w/w)% 농도 범위를 가지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사용함으로써 파인애플의 표면을 살균 및 세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인애플은 파인애플의 열매 및 뿌리가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파인애플을 효소 분해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파인애플을 효소 분해하기 위한 효소로는 알파아밀라아제(α-Amylase), 펙티나제(Pectinase), 자일라나제(Xylanase) 및 셀룰라제(Cellulase)가 이용되고, 상기 파인애플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알파아밀라아제(α-Amylase) 0.01 내지 0.03 중량부, 펙티나제(Pectinase) 0.02 내지 0.04 중량부, 자일라나제(Xylanase) 0.03 내지 0.05 중량부 및 셀룰라제(Cellulase) 0.02 내지 0.04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고, 38 내지 42℃의 온도에서 상기 효소가 혼합된 파인애플을 30 내지 60시간 동안 보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효소 분해된 파인애플을 저장하여 숙성시킬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효소 분해된 파인애플을 8 내지 12℃의 온도에서 10 내지 50시간 동안 보관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단계가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파인애플이 충분히 숙성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파인애플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숙성된 파인애플을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함으로써, 여과된 파인애플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숙성된 파인애플을 여과하여 여과된 파인애플액을 제조함으로써, 상기 파인애플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한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여과는 판형 가압 여과기 또는 카트리지 여과기 등과 같은 공지된 다양한 여과기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여과된 파인애플액을 발효하여 파인애플 발효액을 제조하고, 상기 파인애플 발효액을 농축하고 살균하여 파인애플 발효 농축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파인애플 발효액은 상기 여과된 파인애플액 100 중량부에 대해 식물성 유산균을 0.1 내지 0.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18 내지 22℃의 온도에서 2 내지 6일 동안 발효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상기 파인애플 발효 농축액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상기 파인애플 발효액을 농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식물성 유산균은 상기 여과된 파인애플액을 발효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상기 식물성 유산균으로는 여과된 파인애플액을 발효시킬 수 있는 공지된 유산균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식물성 유산균으로는 락토바실루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400 × 109CFU/g)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은 파인애플 농축액, 파인애플향, 빙초산, 사카린나트륨, 치자황색소, 포도당, 정제소금, 소르빈산나트륨 및 정제수 이외에, 울금 분말, 꾸지뽕 발효액, 상황버섯 우린물 및 누에 숙성분말 가공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은 상기 파인애플 농축액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울금 분말 0.5 내지 2.5 중량부, 꾸지뽕 발효액 10 내지 15 중량부, 상황버섯 우린물 5 내지 10 중량부 및 누에 숙성분말 가공유 1 내지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울금 분말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울금 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울금 분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울금을 준비하여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울금이란 강황(畺黃)의 덩이뿌리를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하고 쪄서 말린 것으로서, 생강목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인도를 중심으로 한 열대, 아열대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며 줄기와 뿌리를 식용, 약용 등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울금 또는 강황은 뿌리줄기와 덩이뿌리를 모두 한약재로 쓰는데, 뿌리줄기를 강황이라고 하고 덩이뿌리를 쪄서 말린 한약재를 울금이라고 한다. 강황과 울금은 서로 다르지만 시중에 강황이라며 판매되는 제품들은 보통 울금을 말하며 약재로서의 가치는 울금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울금과 강황은 카레가루로 많이 쓰이고 간 해독기능과 항암작용, 상처치료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는 어깨 통증, 생리통, 산통(疝痛)의 치료에 처방하는데, 산통(疝痛)이란 갑자기 심하게 일어나는 간헐적 복통으로 복부 내장의 여러 질환에 따르는 증후로 대개 담석증 발작, 신석 발작(腎石發作), 장폐색 등의 경우에 나타난다.
또한, 카레 특유의 노란색은 주재료 중의 하나인 울금 또는 강황(Curcuma longa)이라 불리는 식물의 뿌리에서 나오는 천연 색상으로 이 색은 커큐민(curcumin)이라 불리는 물질에 의한 것이다. 커큐민은 동인도산의 생강과에 속하는 식물인 Curcuma longa Linn(Zingiberaceae)의 뿌리에서 추출되어 인도음식에 널리 사용되어 온 폴리페놀성분의 노란색 향신료로 심황의 커큐미노이드이다. 식품첨가물에서는 노란색 색소로 사용되며 향신료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큐민은 항종양, 항산화, 항아밀로이드와 항염증 작용을 가지고 있는데, 항염증작용은 이코사노이드(eicosanoid) 생합성의 억제에 의해서 기능을 수행한다. 커큐민은 산화에 의한 DNA 손상과 지질과산화를 억제하고 항산화 작용과 자유래디컬의 청소부 역할을 한다.
상기 단계에서는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이 용해된 정제수를 이용하여 상기 울금의 표면을 세척함으로써, 상기 울금의 표면에 잔류되어 있는 이물질, 농약 성분이나 중금속, 곰팡이 제거의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상기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은 3 내지 5(w/w)% 농도 범위를 가지고, 30 내지 40℃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 동안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울금을 제1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햇빛 건조시 상기 울금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급격하게 증발되고, 고유의 향이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풍이 잘되는 그늘진 장소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세척된 울금의 제1 건조는 18 내지 22℃의 온도 및 60 내지 70%의 습도에서 20 내지 40시간 동안 건조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1 건조된 울금을 일정한 크기 단위로 절단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제1 건조된 울금을 절단함으로써 추후 공정에서 상기 울금이 용이하게 증숙되도록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제1 건조된 울금은 1 내지 3cm의 길이 단위로 절단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절단된 울금을 가열하여 수증기로 쪄서 증숙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절단된 울금을 효과적으로 증숙하기 위하여 제1 증숙 단계 및 제2 증숙 단계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증숙 단계는 상기 절단된 울금을 110 내지 120℃ 온도의 수증기로 5 내지 10분 동안 제1 가열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2 증숙 단계는 상기 제1 가열된 울금을 140 내지 160℃ 온도의 수증기로 20 내지 3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상기 증숙된 울금을 제2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제2 건조는 상기 증숙된 울금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증숙된 울금의 제2 건조는 60 내지 80mbar의 압력, 40 내지 45℃의 온도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상기 증숙된 울금에 2.3 내지 2.5GHz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는 울금의 내부까지 침투하여 울금 전체를 가열하는 체적가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면 울금 내부의 수분자가 마이크로웨이브의 극성 변환에 따라 진동 또는 회전하게 되고, 이와 같은 분극 진동이 분자간의 마찰로 이어져 발열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증숙된 울금을 60 내지 80mbar의 압력, 40 내지 45℃의 온도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상기 증숙된 울금에 2.3 내지 2.5GHz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함으로써, 열전도에 의하지 않고 단시간에 울금 내부에 침투하여 극성변환에 의한 마찰로 인해 열로 변환되므로 가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제2 건조된 울금을 분쇄하여 울금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제2 건조된 울금의 분쇄는 공지의 분쇄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꾸지뽕 발효액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꾸지뽕 발효액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어성초를 준비하여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는 삼백초과(Saururaceae)의 식물인 약모밀의 전초로, 아시아 동남부와 특히 일본, 한국 등지에 서식한다. 상기 어성초는 열가지 약효가 있다고 하여 십약이라고도 부르며, 줄기는 고구마 잎과 같고 생잎을 만지면 생선 비린내가 심하게 나는 것에서 유래되어 어성초로 부르기도 한다. 어성초는 약용 및 식용으로도 가능하며 식품공전 식품 원재료 분류에 부원료로 최소량만을 사용할 수 있는 동ㆍ식물로 분류되어 있고 약리적으로는 강심, 이뇨, 항균, 해독, 항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민간에서는 해독과 미용을 돕는 화장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어성초를 수증기로 증숙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증숙은 상기 세척된 어성초를 3 내지 4kgf/cm2의 압력에서 110 내지 130℃ 온도의 수증기로 40 내지 60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증숙된 어성초를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건조는 햇빛 건조시 상기 어성초의 엽록소가 파괴되고 유용 성분이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어성초를 15 내지 20℃의 온도 및 55 내지 60%의 습도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건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건조된 어성초를 가열하여 덖음한 후 냉각할 수 있는데, 상기 덖음은 상기 건조된 어성초를 가열 용기에 투입한 후 70 내지 75℃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 동안 1차 덖음하고, 상기 1차 덖음된 어성초를 130 내지 140℃의 온도에서 10 내지 30초 동안 2차 덖음하며, 상기 2차 덖음된 어성초를 25 내지 35℃의 온도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냉각하는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꾸지뽕나무 열매를 준비하여 세척할 수 있다.
상기 꾸지뽕나무 열매는 가을에 재배되는 것으로, 쓴맛과 단맛이 어우러진 맛을 낸다. 그 효능으로는 열을 내리고 혈분에서 남은 열사(熱邪)를 없애며 근육과 힘줄을 풀어주고 경락을 잘 통하게 함으로써, 타박상으로 상처가 나고 멍이 들었을 때에는 약으로서 복용할 수도 있으며, 꾸지뽕나무 열매를 술로 담가 양기 보충을 비롯하여 스테미너 음식으로도 사용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꾸지뽕나무 열매를 수증기로 증숙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증숙은 상기 세척된 꾸지뽕나무 열매를 3 내지 5kgf/cm2의 압력에서 140 내지 160℃ 온도의 수증기로 20 내지 40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증숙된 꾸지뽕나무 열매를 제1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햇빛 건조시 상기 꾸지뽕나무 열매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급격하게 증발되고, 고유의 향이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풍이 잘되는 그늘진 장소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증숙된 꾸지뽕나무 열매의 제1 건조는 18 내지 22℃의 온도 및 60 내지 70%의 습도에서 30 내지 5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1 건조된 꾸지뽕나무 열매를 제2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제2 건조는 상기 제1 건조된 꾸지뽕나무 열매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제2 건조는 60 내지 80mbar의 압력, 40 내지 45℃의 온도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상기 제1 건조된 꾸지뽕나무 열매에 2.3 내지 2.5GHz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는 꾸지뽕나무 열매의 내부까지 침투하여 꾸지뽕나무 열매 전체를 가열하는 체적가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면 꾸지뽕나무 열매 내부의 수분자가 마이크로웨이브의 극성 변환에 따라 진동 또는 회전하게 되고, 이와 같은 분극 진동이 분자간의 마찰로 이어져 발열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제1 건조된 꾸지뽕나무 열매를 60 내지 80mbar의 압력, 40 내지 45℃의 온도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상기 제1 건조된 꾸지뽕나무 열매에 2.3 내지 2.5GHz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함으로써, 열전도에 의하지 않고 단시간에 꾸지뽕나무 열매 내부에 침투하여 극성변환에 의한 마찰로 인해 열로 변환되므로 가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건조된 꾸지뽕나무 열매 및 상기 덖음 후 냉각된 어성초를 혼합하여 꾸지뽕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꾸지뽕 혼합물에 유산균 배양액을 분무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꾸지뽕 혼합물은 제2 건조된 꾸지뽕나무 열매 80 내지 90 중량% 및 덖음 후 냉각된 어성초 10 내지 20 중량%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꾸지뽕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유산균 배양액 3 내지 7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분무하여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상기 유산균은 발효 식품인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 균주를 이용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유산 균주로는 락토바실러스 쿠르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바이셀라 비리데센스(Weissella viridescen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및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공지된 유산 균주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계에서는 김치로부터 유산균 배양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1.2N HCl을 이용하여 배지의 pH를 2.8~3.2로 조정한 다음 김치로부터 유산 균주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유산 균주를 MRS broth(Oxoid, England)를 이용하여 37~39℃에서 20 내지 25시간 동안 배양한 후 1×1.08 ~ 5×1.08 CFU/mL이 되도록 희석하며, 이후 10,000 내지 15,000rpm에서 10~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청액(supernatant)만을 분리하고, 상기 상청액(Supernatant)을 0.45㎛ 시린지 필터(syringe filter)로 여과 후, 상기 여과된 상청액 100 중량부에 대해 멸균한 증류수 1,000 내지 2,0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희석함으로써 유산균 배양액을 제조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유산균 배양액이 혼합된 꾸지뽕 혼합물을 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유산균 배양액이 혼합된 꾸지뽕 혼합물을 40 내지 43℃의 온도 및 60 내지 62%의 습도가 유지되도록 한 후, 5 내지 10일 동안 발효시킬 수 있는데, 상기 꾸지뽕 혼합물의 발효가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꾸지뽕 혼합물이 충분히 발효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발효되는 꾸지뽕 혼합물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발효된 꾸지뽕 혼합물을 냉풍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발효된 꾸지뽕 혼합물의 냉풍 건조는 상기 발효된 꾸지뽕 혼합물을 5 내지 8℃의 온도의 냉풍으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하고, 55 내지 60℃의 온도로 2 내지 4일 동안 유지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냉풍 건조된 꾸지뽕 혼합물을 추출하여 꾸지뽕 발효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냉풍 건조된 꾸지뽕 혼합물은 열수 추출법, 유기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등 다양한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초음파 추출법 및 초임계 추출법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초음파 추출법이란 시료에 추출 용매로서 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프로판올, 함수 부틸렌글리콜, 함수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10배 내지 20배 부피량으로 가한 후, 1 시간 내지 10 시간, 바람직하게는 1 시간 내지 4 시간의 초음파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추출 방법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초임계 추출법이란 건조하여 파쇄한 시료와 보조용매로 에탄올(99.5%) 500~700mL를 초임계 유체 추출 반응기(Natex, Autstria)에 넣고 반응기 내의 온도가 65℃, 압력이 450 bar, S/F 비(supercritical fluid ㎏/Feed ㎏) 35가 되는 조건하에서 추출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상기 상황버섯 우린물은 상황버섯을 가열하여 상황버섯의 유용성분이 우러난 우린물을 의미하는데, 상기 상황버섯은 뽕나무에서 자라는 노란버섯이란 뜻으로 우리말로는 '목질진흙 버섯'이라고 한다.
상기 상황버섯은 초기암의 증식을 막는 효과가 뛰어나며 고혈압에 대한 혈압 강하 작용이 탁월하며, 암 수술후 재발 방지에도 효과가 뛰어나다. 항암성 화학요법과 달리 정상세포에는 독작용을 나타내지 않으며 면역기능을 더욱 강화하여 면역항체를 정상수준으로 끌어올려 암에 대한 저항력을 크게 높인다.
또한, 상기 상황버섯은 소화기 계통의 암인 위암, 식도암, 십이지장암, 결장암, 직장암을 비롯한 간암의 절제수술후 화학요법을 병행할 때 면역 기능을 향상시키며, 자궁출혈및 월경불순, 장출혈, 오장및 위장기능을 활성화시키고 해독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상황버섯 우린물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상황버섯 우린물이 이용될 수 있다.
먼저, 채취된 상황버섯을 세척하여 상기 상황버섯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채취된 상황버섯을 포도즙, 레몬즙 및 소금용액으로 이루어진 혼합용액에 3 내지 5분 동안 침지시킨 후, 상기 상황버섯을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이 용해된 정제수로 세척할 수 있는데, 상기 포도즙, 레몬즙 및 소금용액은 2:1:2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포도즙은 혈전 방지 및 고혈압, 동맥경화 및 심장질환 등 성인병 예방에 좋고 기억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상기 레몬즙 및 소금용액은 상기 상황버섯을 살균함과 동시에 쉽게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상기 소금용액은 농도가 0.5 내지 0.8 중량%인 소금용액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채취된 상황버섯 100 중량부에 대해 포도즙, 레몬즙 및 소금용액으로 이루어진 혼합용액 80 내지 1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침지시킬 수 있다.
상기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이 용해된 정제수는 1 내지 3(w/w)% 농도 범위를 가질 수 있는데,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은 식품첨가물로도 이용되는 것으로, 독성이 없으며 침투, 확산, 팽창 등의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탄산수소나트륨이 용해된 정제수를 이용하여 상황버섯의 표면을 세척함으로써, 곰팡이의 세포벽을 팽창시켜 상기 상황버섯을 살균함과 동시에 세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상황버섯을 자연 건조시켜 상기 상황버섯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세척된 상황버섯을 23 내지 27℃의 온도에서 2 내지 4일 동안 건조할 수 있는데, 상기한 범위로 상황버섯을 건조함으로써 상황버섯의 영양과 향이 은은하게 살아 있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자연 건조된 상황버섯을 감압분위기에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진공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55 내지 65mbar의 압력하에서 자연 건조된 상황버섯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단계는 40 내지 45℃의 온도에서 1 내지 2분 동안 수행되고, 상기 자연 건조된 상황버섯 상에 2.15GHz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는 상황버섯의 내부까지 침투하여 가열하는 체적가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면 상황버섯 내부의 물 분자가 마이크로웨이브의 극성 변환에 따라 진동 또는 회전하게 되고, 이와 같은 분극 진동이 분자간의 마찰로 이어져 발열 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데, 감압하에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상황버섯을 건조해주면, 상황버섯 내부의 가열에 의한 팽화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순간적인 내부가열과 팽화에 의해 상황버섯 내부의 세포막이 파괴됨으로써 살균효과도 발생하고, 또한, 상황버섯 내부 가열에 의한 팽화에 의해 추후 육수 제조시 상황버섯의 유효 성분이 효과적으로 침출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진공 건조된 상황버섯을 숙성시킬 수 있는데,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진공 건조된 상황버섯을 10 내지 15℃의 온도에서 30 내지 40시간 동안 보관함으로써, 상기 상황버섯의 물성을 안정화시켜 추후 상황버섯으로 우린물의 향과 맛을 배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상황버섯에 정제수를 혼합한 후 가열하여 상황버섯의 유용성분이 우러난 상황버섯 우린물을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상황버섯 우린물은 정제수 20 내지 30리터(L) 당 상황버섯 300 내지 500g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95 내지 100℃의 온도에서 60 내지 80분 동안 1차 가열하고, 70 내지 75℃의 온도에서 300 내지 400분 동안 2차 가열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단계가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황버섯의 향과 유용성분이 충분히 우러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황버섯의 잔류물이 생겨 상황버섯 우린물의 풍미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누에 숙성분말 가공유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누에 유충 숙성분말 및 누에 번데기 숙성분말을 준비할 수 있다.
상기 누에 유충 숙성분말은 하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누에 유충 숙성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누에 유충을 준비한 후 상기 누에 유충을 세척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누에 유충은 번데기가 되기 전의 유충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누에 유충은 5령 3일째 되는 날의 누에 유충일 수 있고, 상기 누에 유충의 세척은 상기 준비된 누에 유충을 45 내지 50℃의 온도로 유지되는 1 내지 3(w/w)%의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용액에 상기 준비된 누에 유충을 10 내지 30분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상기 준비된 누에 유충의 표면을 세척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준비된 누에 유충을 세척하여 상기 누에 유충의 표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이나 뽕잎 등을 제거함으로써, 제조되는 누에 숙성분말 가공유의 기호도를 향상시키고 이물질 등에 의해 누에 숙성분말 가공유가 쉽게 부패하거나 변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누에 유충을 제1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세척된 누에 유충의 제1 건조는 상기 세척된 누에 유충을 45 내지 50℃의 온도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건조시켜 상기 세척된 누에 유충에 잔류하는 수분을 1차로 제거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1 건조된 누에 유충을 열풍으로 제2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제1 건조된 누에 유충을 135 내지 140℃ 온도의 열풍을 50 내지 100분 동안 가하여 줌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2 건조된 누에 유충을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숙성하여 누에 유충 숙성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제2 건조된 누에 유충의 분쇄는 상기 건조된 누에 유충을 5 내지 10mm의 입경으로 분쇄하여 분말화하고, 상기 분말화된 누에 유충의 숙성은 상기 분말화된 누에 유충을 5 내지 7℃의 온도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보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누에 번데기 숙성분말은 하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누에 번데기 숙성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누에 번데기를 준비하여 세척한 후 중탕 가열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누에 번데기의 세척은 40 내지 45℃의 온도로 유지되는 1 내지 3(w/w)% 농도의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용액에 상기 누에 번데기를 20 내지 40분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상기 누에 번데기의 표면을 세척할 수 있고, 상기 누에 번데기의 중탕 가열은 90 내지 95℃의 온도로 가열된 1 내지 1.5 중량%의 죽염수에 상기 세척된 번데기를 침지시켜 살균 소독함으로써, 상기 누에 번데기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중탕 가열된 누에 번데기를 건조시켜 상기 중탕 가열된 누에 번데기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중탕 가열된 누에 번데기의 건조는 상기 중탕 가열된 누에 번데기를 70 내지 75℃의 온도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보관하여 건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누에 번데기를 분쇄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건조된 누에 번데기의 분쇄는 공지된 분쇄기를 이용하여 5 내지 10mm의 입경으로 분쇄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누에 번데기 분말에 유산균 배양액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누에 번데기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해 유산균 배양액 10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어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상기 유산균은 발효 식품인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 균주를 이용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유산 균주로는 락토바실러스 쿠르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바이셀라 비리데센스(Weissella viridescen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및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공지된 유산 균주가 사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에서는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 균주를 이용하여 유산균 배양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1.2N HCl을 이용하여 배지의 pH를 2.8~3.2로 조정한 다음 김치로부터 유산 균주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유산 균주를 MRS broth(Oxoid, England)를 이용하여 37~39℃에서 20 내지 25시간 동안 배양한 후 1×1.08 ~ 5×1.08 CFU/mL이 되도록 희석하며, 이후 10,000 내지 15,000rpm에서 10~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청액(supernatant)만을 분리하고, 상기 상청액(Supernatant)을 0.45㎛ 시린지 필터(syringe filter)로 여과 후, 상기 여과된 상청액 100 중량부에 대해 멸균한 증류수 1,000 내지 2,0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희석함으로써 유산균 배양액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누에 번데기 분말 및 유산균 배양액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숙성시킴으로써 누에 번데기 숙성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누에 번데기 분말 및 유산균 배양액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15 내지 17℃의 온도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보관하여 숙성시킴으로써 누에 번데기 숙성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준비된 누에 유충 숙성분말 및 누에 번데기 숙성분말을 혼합하여 누에 숙성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누에 숙성분말은 누에 유충 숙성분말 40 내지 60 중량% 및 누에 번데기 숙성분말 40 내지 60 중량%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누에 숙성분말과 아보카도 오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누에 숙성분말 100 중량부에 대해 아보카도 오일 1000 내지 20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누에 숙성분말과 아보카도 오일의 혼합물을 가열한 후 숙성시킬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누에 숙성분말과 아보카도 오일의 혼합물을 70 내지 75℃의 온도에서 50 내지 100분 동안 가열한 후, 10 내지 15℃의 온도에서 5 내지 10일 동안 보관하여 숙성함으로써 상기 누에 숙성분말에 포함된 영양성분이 충분히 침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누에 숙성분말과 아보카도 오일의 혼합물을 여과하여 누에 숙성분말 가공유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숙성된 누에 숙성분말과 아보카도 오일의 혼합물을 필터로 여과하여 누에 숙성분말과 같은 고형분을 제거함으로써 누에 숙성분말 가공유를 제조할 수 있는데,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는 등의 구성은 공지의 기술인 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아보카도(Avocado) 오일은 아보카도에서 추출될 수 있는데, 상기 아보카도 오일은 불포화 지방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심장 질환, 암, 당뇨병의 발병율을 크게 낮춰주고, 또한 녹황색 채소와 함께 섭취했을 때 베타카로틴의 흡수율을 15.3배 더 높여줄 수 있다.
상기 아보카도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며 콜레스테롤을 효과적으로 분해해 각종 성인병과 혈관 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단기간 다이어트에도 좋으며 루테인과 제아젠틴 성분이 풍부해 눈 건강에도 좋다.
또한, 상기 아보카도에는 비타민 C나 비타민 E와 같은 중요한 항산화 물질이 ?t유되어 있어서 염증에 대항할 수 있고, 관절염의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으며, 아보카도의 불포화 지방산인 올레산은 세포에서 콜레스테롤과 지방의 합성을 막아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보카도 오일은 하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아보카도 오일이 이용될 수 있다.
먼저, 아보카도를 준비한 후 물에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아보카도를 포도즙 및 산패 억제제에 침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아보카도를 포도즙 및 산패 억제제에 침지시킴으로써 제조되는 아보카도 오일이 변색되거나 산패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척된 아보카도의 침지는 상기 아보카도를 포도즙 및 산패 억제제가 1: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혼합액에 침지시킬 수 있고, 상기 산패 억제제는 비타민 C 및 소금용액이 1: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포도즙은 혈전 방지 및 고혈압, 동맥경화 및 심장질환 등 성인병 예방에 좋고 기억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상기 산패 억제제로 사용되는 소금용액은 농도가 1 내지 2 중량%인 소금용액일 수 있으며, 상기 세척된 아보카도 100 중량부에 대해 포도즙 및 산패 억제제의 혼합액 100 내지 1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침지시킨 후 10 내지 40분 동안 유지시켜 진행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포도즙 및 산패 억제제의 혼합액에 침지된 아보카도를 꺼내어 상기 아보카도 내부로 포도즙 및 산패 억제제의 성분이 침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포도즙 및 산패 억제제의 유효 성분이 상기 아보카도의 표면으로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장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도 제조되는 아보카도 오일이 변색되거나 산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상기 단계에서는 포도즙 및 산패 억제제의 혼합액에서 분리된 아보카도를 28 내지 32℃의 온도에서 60 내지 100분 동안 보관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포도즙 및 산패 억제제의 성분이 침투된 아보카도를 증숙할 수 있다.
상기 아보카도의 증숙은 상기 포도즙 및 산패 억제제의 성분이 침투된 아보카도를 수증기로 50분 내지 100분 동안 찜으로써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아보카도의 증숙이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증숙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증숙 시간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차이가 미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증숙된 아보카도를 건조할 수 있다.
상기 증숙된 아보카도의 건조는 상기 증숙된 아보카도를 45 내지 50℃의 온도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아보카도의 건조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건조기를 이용한 기계식 건조가 이용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아보카도를 초산 또는 구연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산으로 세척할 수 있는데, 상기 건조된 아보카도의 세척은 상기 건조된 아보카도의 표면을 초산 또는 구연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산으로 세척함으로써, 추후 발효 공정을 거쳐 제조될 아보카도 오일의 향미, 색택 등의 개선 효과가 있다.
이어서, 상기 세척된 아보카도에 배양액 및 유산균으로 이루어진 발효액을 분무할 수 있다.
상기 유산균으로는 젖산균(Lactobacillales), 스트렙토코쿠스 테르모필루스(Streptococcus thermophiles) 및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공지된 유산균이 이용될 수 있고, 상기 배양액은 펩톤, 맥아추출물(Malt extract), 시트르산나트륨(Sodium citrate), 제2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dibasic), 글루코스(Glucose) 및 증류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양액은 펩톤 15 내지 25 중량부, 맥아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 시트르산나트륨 0.5 내지 1.5 중량부, 제2인산칼륨 0.1 내지 0.3 중량부, 글루코스 1 내지 3 중량부 및 증류수 100 내지 2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양액에서 상기 펩톤은 단백질을 공급해주는 질소원으로서 미생물의 성장에 필요한 단백질을 공급해 주며, 상기 맥아추출물은 각종 미네랄, 비타민 B군, 아미노산이 포함되어 있어 미생물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상기 시트르산나트륨은 배양액의 pH를 조절하여 미생물의 성장에 최적화된 상태를 유지해 주는 무기질로, 영양을 공급해 줄 수 있고, 상기 글루코스는 유산균이 당을 대사하여 유기산을 만들어내는 중요한 성분으로 기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발효액이 분무된 아보카도를 발효시킬 수 있는데, 상기 아보카도의 발효는 상기 발효액이 분무된 아보카도를 45 내지 50℃의 온도 및 60 내지 65%의 습도를 유지하는 보관용기에서 3 내지 6일 동안 보관하여 발효시킬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발효된 아보카도를 냉풍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발효된 아보카도의 냉풍 건조는 상기 발효된 아보카도를 3 내지 6℃의 온도의 냉풍으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하고, 55 내지 60℃의 온도로 1 내지 3일 동안 유지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냉풍 건조된 아보카도를 습도 70 내지 80%, 120 내지 150℃의 온도 및 10 내지 15kgf/cm2으로 압착한 후 오일을 분리함으로써, 아보카도 오일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은 파인애플 농축액, 파인애플향, 빙초산, 사카린나트륨, 치자황색소, 포도당, 정제소금, 소르빈산나트륨 및 정제수를 일정한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8 내지 12℃의 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보관하여 숙성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은 파인애플 농축액 3 내지 10 중량부, 파인애플향 0.1 내지 0.3 중량부, 빙초산 1 내지 2 중량부, 사카린나트륨 0.05 내지 0.15 중량부, 치자황색소 0.005 내지 0.1 중량부, 포도당 0.15 내지 0.45 중량부, 정제소금 0.15 내지 0.45 중량부, 소르빈산나트륨 0.01 내지 0.1 중량부 및 정제수 85 내지 9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파인애플 농축액, 파인애플향, 빙초산, 사카린나트륨, 치자황색소, 포도당, 정제소금, 소르빈산나트륨 및 정제수 이외에, 울금 분말, 꾸지뽕 발효액, 상황버섯 우린물 및 누에 숙성분말 가공유를 더 포함하여 치킨무 조미액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파인애플 농축액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울금 분말 0.5 내지 2.5 중량부, 꾸지뽕 발효액 10 내지 15 중량부, 상황버섯 우린물 5 내지 10 중량부 및 누에 숙성분말 가공유 1 내지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어 치킨무 조미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에 대한 실시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표 1]과 같은 배합비로 혼합하여 치킨무 조미액을 제조하였다.
구분 | 구분(중량부) |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3 | 실시예 4 | 실시예 5 | 실시예 6 | 실시예 7 | 비교예 1 | 비교예 2 | |
파인애플 농축액 | 3.00 | 4.00 | 5.00 | 6.00 | 7.00 | 8.00 | 10.00 | - | 20.00 |
파인애플향 | 0.20 | 0.20 | 0.20 | 0.20 | 0.20 | 0.20 | 0.30 | 0.20 | 0.20 |
빙초산 | 1.60 | 1.60 | 1.60 | 1.60 | 1.60 | 1.60 | 1.60 | 1.60 | 1.60 |
사카린나트륨 | 0.09 | 0.09 | 0.09 | 0.09 | 0.09 | 0.09 | 0.09 | 0.09 | 0.09 |
치자황색소 | 0.02 | 0.02 | 0.02 | 0.02 | 0.02 | 0.02 | 0.02 | 0.02 | 0.02 |
포도당 | 0.33 | 0.33 | 0.33 | 0.33 | 0.33 | 0.33 | 0.33 | 0.33 | 0.33 |
정제소금 | 0.33 | 0.33 | 0.33 | 0.33 | 0.33 | 0.33 | 0.33 | 0.33 | 0.33 |
소르빈산나트륨 | 0.05 | 0.05 | 0.05 | 0.05 | 0.05 | 0.05 | 0.05 | 0.05 | 0.05 |
정제수 | 94.38 | 93.38 | 92.38 | 91.38 | 90.38 | 89.38 | 87.28 | 97.38 | 77.38 |
상기와 같이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따라 제조된 치킨무 조미액의 맛, 향, 선호도 등에 대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관능시험은 일반 소비자 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점수 및 평가기준은 9점 채점법을 이용하였으며,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점수 | 평가 기준 |
9 | 매우 좋음 |
7 | 좋음 |
5 | 보통 |
3 | 나쁨 |
1 | 매우 나쁨 |
구분 | 맛(풍미) | 향(냄새) | 종합적 선호도 |
실시예 1 | 8.2 | 8.1 | 8.1 |
실시예 2 | 8.0 | 8.1 | 8.0 |
실시예 3 | 8.1 | 8.2 | 8.1 |
실시예 4 | 8.2 | 8.2 | 8.2 |
실시예 5 | 8.3 | 8.1 | 8.2 |
실시예 6 | 8.2 | 8.1 | 8.1 |
실시예 7 | 8.1 | 8.1 | 8.1 |
비교예 1 | 5.1 | 5.0 | 5.0 |
비교예 2 | 5.5 | 5.4 | 5.4 |
전술한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들을 통해 제조된 치킨무 조미액과 비교예들을 통해 제조된 치킨무 조미액의 맛, 향 및 종합적 선호도를 비교한 결과, 실시예들에 의해 제조된 치킨무 조미액이 비교예들에 의해 제조된 치킨무 조미액에 비해 전체적인 맛(풍미), 향(냄새), 종합적 선호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 파인애플 농축액, 파인애플향, 빙초산, 사카린나트륨, 치자황색소, 포도당, 정제소금, 소르빈산나트륨 및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파인애플 농축액 3 내지 10 중량부, 파인애플향 0.1 내지 0.3 중량부, 빙초산 1 내지 2 중량부, 사카린나트륨 0.05 내지 0.15 중량부, 치자황색소 0.005 내지 0.1 중량부, 포도당 0.15 내지 0.45 중량부, 정제소금 0.15 내지 0.45 중량부, 소르빈산나트륨 0.01 내지 0.1 중량부 및 정제수 85 내지 9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며,
상기 파인애플 농축액, 파인애플향, 빙초산, 사카린나트륨, 치자황색소, 포도당, 정제소금, 소르빈산나트륨 및 정제수 이외에, 울금 분말, 꾸지뽕 발효액, 상황버섯 우린물 및 누에 숙성분말 가공유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파인애플 농축액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울금 분말 0.5 내지 2.5 중량부, 꾸지뽕 발효액 10 내지 15 중량부, 상황버섯 우린물 5 내지 10 중량부 및 누에 숙성분말 가공유 1 내지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고,
상기 꾸지뽕 발효액은, 어성초를 준비하여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어성초를 3 내지 4kgf/cm2의 압력에서 110 내지 130℃ 온도의 수증기로 40 내지 60분 동안 가열하여 증숙하며, 상기 증숙된 어성초를 15 내지 20℃의 온도 및 55 내지 60%의 습도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건조하고, 상기 건조된 어성초를 가열하여 덖음한 후 냉각하되, 상기 덖음은 상기 건조된 어성초를 가열 용기에 투입한 후 70 내지 75℃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 동안 1차 덖음하고, 상기 1차 덖음된 어성초를 130 내지 140℃의 온도에서 10 내지 30초 동안 2차 덖음하며, 상기 2차 덖음된 어성초를 25 내지 35℃의 온도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냉각하는 과정으로 진행되며, 꾸지뽕나무 열매를 준비하여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꾸지뽕나무 열매를 3 내지 5kgf/cm2의 압력에서 140 내지 160℃ 온도의 수증기로 20 내지 40분 동안 가열하여 증숙하며, 상기 증숙된 꾸지뽕나무 열매를 제1 건조하되, 상기 제1 건조는 18 내지 22℃의 온도 및 60 내지 70%의 습도에서 30 내지 50시간 동안 수행되고, 상기 제1 건조된 꾸지뽕나무 열매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제2 건조하되, 상기 제2 건조는 60 내지 80mbar의 압력, 40 내지 45℃의 온도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상기 제1 건조된 꾸지뽕나무 열매에 2.3 내지 2.5GHz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제2 건조된 꾸지뽕나무 열매 및 상기 덖음 후 냉각된 어성초를 혼합하여 꾸지뽕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꾸지뽕 혼합물에 유산균 배양액을 분무하여 혼합하되, 상기 꾸지뽕 혼합물은 제2 건조된 꾸지뽕나무 열매 80 내지 90 중량% 및 덖음 후 냉각된 어성초 10 내지 20 중량%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꾸지뽕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유산균 배양액 3 내지 7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분무하여 혼합하며, 상기 유산균 배양액이 혼합된 꾸지뽕 혼합물을 40 내지 43℃의 온도 및 60 내지 62%의 습도가 유지되도록 한 후, 5 내지 10일 동안 발효시키고, 상기 발효된 꾸지뽕 혼합물을 냉풍 건조하되, 상기 냉풍 건조는 상기 발효된 꾸지뽕 혼합물을 5 내지 8℃의 온도의 냉풍으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하고, 55 내지 60℃의 온도로 2 내지 4일 동안 유지함으로써 진행되며, 상기 냉풍 건조된 꾸지뽕 혼합물을 추출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1157A KR102432923B1 (ko) | 2020-04-03 | 2020-04-03 |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1157A KR102432923B1 (ko) | 2020-04-03 | 2020-04-03 |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3691A KR20210123691A (ko) | 2021-10-14 |
KR102432923B1 true KR102432923B1 (ko) | 2022-08-17 |
Family
ID=78151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1157A KR102432923B1 (ko) | 2020-04-03 | 2020-04-03 |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2923B1 (ko)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69495A (ko) | 2001-03-29 | 2001-07-25 | 임응천 | 치킨 과일 무 제조방법 |
KR20080017876A (ko) * | 2006-08-23 | 2008-02-27 | 김봉안 | 기능성 유자절임 및 유자 절임방법 |
KR20090085996A (ko) * | 2008-02-05 | 2009-08-10 | 농업회사법인농업생산자연합(주) | 상황버섯을 가미한 새송이 한방 장아찌의 제조방법 |
KR20080030590A (ko) * | 2008-02-26 | 2008-04-04 | 임성황 | 과일 맛이 나는 절임식품 |
KR101157634B1 (ko) * | 2009-08-24 | 2012-06-19 | 세명농산영농조합법인 | 울금 압착 단무지용 조미액 및 이를 이용한 단무지 |
KR101269200B1 (ko) | 2011-02-10 | 2013-05-28 | 주식회사 제너시스비비큐 | 김치유산균을 함유한 치킨무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426030B1 (ko) * | 2013-01-17 | 2014-07-31 | 김순영 | 꾸지뽕 효소액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
KR101832714B1 (ko) | 2017-07-18 | 2018-02-27 | 서병옥 | 치킨무 제조방법 |
-
2020
- 2020-04-03 KR KR1020200041157A patent/KR102432923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3691A (ko) | 2021-10-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70440B1 (ko) | 함박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함박 스테이크 | |
KR102311303B1 (ko) | 양념육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육 소스 | |
KR102190422B1 (ko) | 발효 흑더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효 흑더덕 | |
KR102266142B1 (ko) | 직화 핫도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직화 핫도그 | |
KR102407756B1 (ko) | 양념 소갈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 소갈비 | |
KR102139951B1 (ko) | 양념 돼지갈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 돼지갈비 | |
KR102185001B1 (ko) | 반건조 오징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반건조 오징어 | |
KR102432923B1 (ko) |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 | |
KR102056570B1 (ko) | 연저육 삼겹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저육 삼겹살 | |
KR102200919B1 (ko) | 양파를 이용한 건강 단무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 단무지 | |
KR102487280B1 (ko) | 초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초밥 | |
KR102200918B1 (ko) | 꾸지뽕을 이용한 건강 단무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 단무지 | |
KR102200916B1 (ko) | 울금을 이용한 건강 단무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 단무지 | |
KR102510719B1 (ko) | 능이버섯을 이용한 갈비용 양념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갈비용 양념소스 | |
KR102252278B1 (ko) | 다공질 엿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다공질 엿 | |
KR102200917B1 (ko) | 아로니아를 이용한 건강 단무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 단무지 | |
KR102283413B1 (ko) | 발효 귀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효 귀리 | |
KR102470191B1 (ko) |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 | |
KR102200920B1 (ko) | 녹차와 뽕잎을 이용한 건강 단무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 단무지 | |
KR102167240B1 (ko) | 돼지고기를 이용한 강정의 제조방법 | |
KR102377528B1 (ko) | 홍국쌀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홍국쌀 떡 | |
KR102428919B1 (ko) | 산양삼이 포함된 한우 육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한우 육포 | |
KR102171663B1 (ko) |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대구살 알약 단백질 공급원 및 그 제조방법 | |
KR102170381B1 (ko) | 고기만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기만두 | |
KR102344663B1 (ko) | 비빔면 테이스트 분말형 천연 샐러드 시즈닝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