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783B1 - 액체 수납 용기 및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수납 용기 및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783B1
KR102122783B1 KR1020160157926A KR20160157926A KR102122783B1 KR 102122783 B1 KR102122783 B1 KR 102122783B1 KR 1020160157926 A KR1020160157926 A KR 1020160157926A KR 20160157926 A KR20160157926 A KR 20160157926A KR 102122783 B1 KR102122783 B1 KR 102122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liquid storage
storage container
vertical direction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3376A (ko
Inventor
히로키 하야시
츠바사 다카오카
가즈야 요시이
료 시마무라
아키라 시바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3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41J2002/17573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using optical means for ink level indication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액체 수납 용기는 액체 저장실과, 지지부와, 지지부를 지점으로 해서 요동하도록 구성되는 요동체를 구비한다. 요동체는, 한쪽에 액체 저장실 내에서의 액체의 액면 높이에 따라서 이동하는 플로트부를, 다른 쪽에 액체 저장실 내에서의 액체의 양을 검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피검지부를 갖고, 피검지부는 암부를 개재하여 피지지부에 연결된다. 암부와 피지지부를 접속하는 접속부의 연직 방향에서의 하단부가 피지지부의 회동 영역의 연직 방향에서의 상단부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액체 수납 용기 및 기록 장치{LIQUID STORAGE CONTAINER AND PR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액체 수납 용기의 액체 잔량 검지 기구 및 액체 잔량 검지 기구를 갖는 액체 수납 용기를 탑재한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체 토출 헤드로부터 액체를 기록 매체에 토출하는 것에 의해, 기록 매체 위에 화상, 문자 등의 기록을 행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록 장치는, 통상, 착탈가능한 액체 수납 용기 또는 기록 장치에 탑재된 상태로 액체를 보충가능한 액체 수납 용기를 탑재하고 있다. 유저 편리성의 관점에서, 액체 수납 용기가 기록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저가 액체 수납 용기 내의 액체 잔량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수납 용기 내의 액체 잔량을 파악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일본 특허 번호 4595359에 기재되어 있는 액체 잔량 검지 기구가 제안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일본 특허 번호 4595359에 기재된 액체 수납 용기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대기에 노출된 액적은 점착 또는 고착되는 경향이 있으며 액적은 축부(11)의 회동 영역(지축(7)이 장착되는 축공(15)의 영역)의 점착 또는 고착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회동 영역에 미제거 상태로 남겨진 액적이 점착 또는 고착되는 경우, 요동체(10)의 원활한 거동이 방해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요동체에서의 회동 영역의 점착 또는 고착을 억제함으로써, 요동체를 원활하게 동작시켜, 기록 장치가 액체 수납 용기 내의 액체 잔량을 보다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본 특허 번호 4595359에 기재되어 있는 액체 잔량 검지 기구를 나타내는 액체 수납 용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액체 수납 용기(1)는 요동체(10)를 갖는다. 기록 장치에 의해 액체 수납 용기 내의 액체가 소비됨에 따라, 요동체(10)는, 피검지부(13), 암부(14), 축부(11), 및 플로트부(12)의 순서대로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대기 공간(A)에 노출된다. 이때, 피검지부(13)의 표면에 잔존하는 액적은 중력에 의해 암부(14)를 따라서 화살표 a 방향으로 흐른다.
본 발명의 액체 수납 용기는, 액체를 저류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저장실과; 상기 액체 저장실에 제공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피지지부를 개재하여 한쪽에 상기 액체 저장실 내에서의 상기 액체의 액면의 높이에 따라서 이동하는 플로트부를, 다른 쪽에 상기 액체 저장실 내에서의 상기 액체의 양을 검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피검지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를 지점으로 해서 요동하도록 구성되는 요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피검지부는 암부를 개재하여 상기 피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암부와 상기 피지지부를 접속하는 접속부의 연직 방향에서의 하단부가, 상기 피지지부의 회동 영역의 연직 방향에서의 상단부보다도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의 액체 수납 용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액체 수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서의 조립 후의 액체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액체 잔량 검지 기구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액체 잔량 검지 기구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서 회동 영역 근방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의 액체 수납 용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서의 액체 수납 용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제2 실시형태에서의 액체 잔량 검지 기구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 이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요소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그것들에 한정하려는 취지가 아니다.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전에, 종래 기술의 액체 잔량 검지 기구에 대해서 검토한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액체 수납 용기(1)는, 액체(I)를 저류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저장실(2)과, 액체 저장실(2)과 연통하는 피검지실(3)과, 액체 수납 용기(1)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I)의 잔량에 따라서 요동하도록 구성되는 요동체(10)를 구비하고 있다. 요동체(10)는, 축부(11)와, 플로트부(12)와, 피검지부(13)와, 축부(11)를 피검지부(13)에 연결하는 암부(14)를 구비하고 있다. 축부(11)는, 액체 저장실(2)로부터 연장하는 지축(7)의 외측에 끼워지는 축공(15)을 구비하고 있고, 요동체(10)는, 플로트부(12)와 피검지부(13)가 축부(11)를 중심으로 하여 시소 형상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액체 수납 용기(1)에 설치된다.
기록 장치 본체에는, 발광 유닛과 수광 유닛이 액체 수납 용기(1)의 외측으로부터 피검지실(3)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는 광학 센서가 제공된다. 참조 문자 P는 광학 센서의 검지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이 많은 경우, 플로트부(12)는 부력에 의해 액체 저장실(2) 내를 상승하고, 축부(11)를 중심으로 플로트부(12)의 반대측에 제공된 피검지부(13)는 피검지실(3)을 하강한다. 이때, 피검지부(13)는 피검지실 내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광학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피검지부(13)에 의해 차광된다. 기록 장치는, 광학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차광 상태에 있는 것에 기초하여,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이 많은 것을, 기록 장치에 제공된 디스플레이 등을 통하여 유저에 통지한다.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이 적어지고 액면의 높이가 연직 방향 상측으로부터 연직 방향 하측으로 낮아짐에 따라, 요동체(10)는 액체(I)로부터 대기 공간(A)에 노출된다. 플로트부(12)는 중력에 의해 액체 저장실(2) 내를 하강하고, 반대로 피검지부(13)는 피검지실(3) 내를 상승한다. 이때, 피검지부(13)는 피검지실 내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광학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피검지실(3)을 투과하기 시작한다. 기록 장치는, 광학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투과 상태에 있는 것에 기초하여,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이 적어진 것을, 기록 장치에 제공된 디스플레이 등을 통하여 유저에 통지한다.
피검지부(13)가 피검지실(3)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피검지부(13)의 표면에 잔존하는 액적이, 중력에 의해, 암부(14)를 따라서 화살표 a 방향으로 흐른다. 대기에 접촉한 액적은 점착화 또는 고착화되기 쉽고, 따라서 축부(11)의 회동 영역(지축(7)이 설치된 축공(15)의 영역)의 점착 또는 고착이 유발될 가능성이 있다. 미제거 상태로 남겨진 액적이 점착화 또는 고착화되는 경우, 요동체(10)의 원활한 거동이 저해될 가능성이 있다. 요동체(10)의 원활한 거동이 저해되는 경우, 광학 센서의 검지 정밀도가 저하되고, 더 이상 액체 수납 용기 내의 액체 잔량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제1 실시형태]
도 2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액체 수납 용기(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조립 후의 액체 수납 용기(1)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액체 수납 용기(1)는, 측면이 개구된 용기 케이싱(4)과, 용기 케이싱(4)의 측면 개구를 막는 용기 덮개(8)를 포함한다. 용기 케이싱(4)과 용기 덮개(8)의 조립을 위해, 액체 수납 용기(1)에 저류된 액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 않도록, 예를 들어 초음파 용착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조립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기 케이싱(4)은, 액체를 저류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저장실(2)과, 액체 저장실(2)에 저류된 액체를 기록 장치 본체에 공급하는 액체 공급구(5)와,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대기를 도입하는 대기 도입구(6)를 구비한다. 액체 공급구(5) 및 대기 도입구(6)는, 액체 수납 용기(1)의 운반 시에,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 후술하는 시일 부재에 의해 밀봉되고 있다. 기록 장치에 제공된 파이프 형상의 액체 공급관(17)(도 1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지 않음)이 액체 공급구(5)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를 기록 장치 본체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찬가지로, 기록 장치에 제공된 파이프 형상의 대기 도입관(도 1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지 않음)이 대기 도입구(6)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외부의 대기를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도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용기 케이싱(4)에는, 액체 저장실(2)과, 액체 저장실(2)과 연통하는 피검지실(3)이 제공되어 있고, 액체 저장실(2)과 피검지실(3)은 액체 수납 용기(1) 내부의 액체가 서로 유통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액체 저장실(2)에는 지지부인 지축(7)이 제공되어 있고, 피지지부인 요동체(10)의 축부(11)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액체 수납 용기(1)의 액면 검지에 사용되는 요동체(10)는 액체 수납 용기(1)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의 잔량에 따라서 요동한다. 본 실시형태의 요동체(10)는, 축부(11)를 개재하여 한쪽에 액체 저장실 내에서의 액면의 높이에 따라서 이동하는 플로트부(12)를, 다른 쪽에 액체 저장실 내에서의 액체의 양을 검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피검지부(13)를 갖는다. 또한, 요동체(10)는, 축부(11)를 지점으로 해서 액체 수납 용기(1) 내를 시소 형상으로 요동가능하도록 지지되고, 피검지부(13)는 암부(14)를 개재하여 축부(11)에 연결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동체(10)를 원활하게 요동시키기 위해서, 지축(7)과 축공(15) 사이에 미리결정된 클리어런스가 제공된다. 클리어런스가 지나치게 큰 경우, 액체 수납 용기(1) 내에서의 요동체(10)의 위치가 안정되지 않기 때문에, 후술하는 광학 센서의 검지 정밀도가 저하된다. 반대로, 클리어런스가 지나치게 작은 경우, 지축(7)과 축공(15)이 회동할 때에 마찰 저항이 발생해버려,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요동체(10)의 동작이 불안정해진다. 그로 인해, 본 실시형태에서의 지축(7)과 축공(15)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약 0.2mm(0.1mm 이상 0.3mm 이하)가 적합하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액체 수납 용기(1) 및 요동체(10)의 재질로서는, PP(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물론, 액체 수납 용기(1) 및 요동체(10)의 재질은 PP 수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PE(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다른 수지 또는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요동체(10)를 요동시키기 위한 기구는, 용기 케이싱(4)에 지축(7)을, 요동체(10)에 축공(15)을 제공하는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요동체(10)가 액체 수납 용기(1) 내에서 요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지축(7)을 용기 케이싱(4)과는 별도 부품으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혹은, 용기 케이싱(4)에 베어링을, 요동체(10)의 축부(11)에 지축을, 각각 제공하는 구조도 허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액체 잔량 검지 기구의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을 검지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액체 공급구(5)에 액체 공급관(17)이 삽입되고 있는 면을 외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액체 수납 용기(1)의 일부를 정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종류의 액체(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에 대응하는 4개의 액체 수납 용기(1)가 나타나 있지만, 액체의 종류 및 대응하는 액체 수납 용기(1)의 개수는 본 실시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액체 공급관(17)은, 기록 장치 본체의 기록 헤드인 액체 토출 헤드(103)와 연통하게 되고, 액체 수납 용기(1)로부터 액체를 공급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액체 토출 헤드(103)는, 기록 장치 본체의 제어 유닛(101)으로부터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토출구(103a)를 개재하여 액체를 토출하고 기록 매체 위에 화상을 형성하는 기록 동작을 행한다.
한편, 기록 장치는, 액체 수납 용기(1)의 근방에 배치되는 광학 센서(100)를 갖고 있으며, 광학 센서(100)로부터의 전기 신호는 제어 유닛(101)에 출력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광 유닛(100a) 및 수광 유닛(100b)은 피검지실(3)을 외부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고, 발광 유닛(100a)은 수광 유닛(100b)에 대하여 광선을 출력할 수 있다. 수광 유닛(100b)이 광선을 수광하는 경우, 광학 센서(100)는, 액체 수납 용기(1)의 피검지실(3)이 투과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유닛(101)에 출력한다. 한편, 광선이 피검지부(13)에 의해 차광되고, 수광 유닛(100b)이 광선을 수광할 수 없는 경우, 광학 센서(100)는 제어 유닛(101)에의 신호 출력을 정지한다.
액체 잔량 검지 유닛(102)은, 광학 센서(1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유무에 기초하여,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을 검지한다. 종래 기술의 액체 잔량 검지 기구와 마찬가지로,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면이 저하되고, 플로트부(12)가 액체 저장실(2) 내를 하강하는 것에 따라, 피검지부(13)는 액체 수납 용기(1) 내를 상승한다. 계속해서, 피검지부(13)에 의해 차광되어 있었던 광선이 수광 유닛(100b)에 의해 수광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광학 센서(100)는, 차광 상태가 투과 상태로 변화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유닛(101)에 출력한다.
액체 잔량 검지 유닛(102)은, 광학 센서(10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했다고 판정했을 경우,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이 적어진 것을 검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이 적어진 것이 검지되는 경우, 제어 유닛(101)은 기록 장치에 제공된 디스플레이에 액체 수납 용기(1)의 교환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새로운 것으로 표시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액체 잔량 검지 기구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액체 잔량 검지 기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록 장치 본체에는, 액체 수납 용기(1)의 외측으로부터 도 4에 나타내는 발광 유닛(100a)과 수광 유닛(100b)에 의해 피검지실(3)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는, 광학 센서(100)가 제공된다. 참조 문자 P는 광학 센서의 검지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이 많은 경우, 플로트부(12)는 부력에 의해 액체(I) 중을 상승하고, 축부(11)를 중심으로 플로트부(12)의 반대측에 제공된 피검지부(13)는 액체(I) 중을 하강한다. 이때, 피검지부(13)는 피검지실(3)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광학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피검지부(13)에 의해 차광된다. 기록 장치는, 광학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차광 상태에 있는 것에 기초하여,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이 많은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이 적어지고, 액면(L)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요동체(10)는 액체(I)로부터 대기 공간(A)에 노출된다. 플로트부(12)는 중력에 의해 액체 중을 하강하고, 반대로 피검지부(13)는 피검지실(3) 내를 상승한다. 액면(L)의 높이가 낮아지고, 요동체(10)의 대부분이 액체(I)로부터 대기 공간(A)에 노출되는 경우, 피검지부(13)는 피검지실(3)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광학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은 피검지실(3)을 투과하기 시작한다. 기록 장치는, 광학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투과 상태에 있는 것에 기초하여,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이 적어진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액체 수납 용기(1)에는, 액체 저장실(2)에 저류된 액체를 기록 장치 본체에 공급하는 액체 공급구(5)와,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대기를 도입하는 대기 도입구(6)가 제공된다. 액체 공급구(5) 및 대기 도입구(6)는, 액체 수납 용기(1)의 운반 시에, 액체 수납 용기(1)의 내부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 시일 부재(9)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시일 부재(9)는 예를 들어 고무 등의 탄성 부재로 구성된다.
액체 수납 용기(1)가 기록 장치에 탑재되는 경우에(도 5a), 기록 장치 본체에 제공된 액체 공급관(17)이 액체 공급구(5)의 시일 부재(9a)를 관통하는 것에 의해, 액체 저장실(2) 내의 액체를 기록 장치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액체 수납 용기(1)가 기록 장치에 탑재되는 경우에는, 기록 장치 본체에 제공된 대기 도입구(18)가 대기 도입구(6)의 시일 부재(9b)를 관통하는 것에 의해,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대기를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주요 유닛인 요동체(10)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는 기록 장치가 액체를 소비하기 전의 액체 수납 용기(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요동체(10)는, 액체 수납 용기(1)의 액체(I) 중에서,
피검지부(13)에 가해지는 부력 < 플로트부(12)에 가해지는 부력, 및
플로트부(12)에 가해지는 중력 < 플로트부(12)에 가해지는 부력
이라고 하는 관계가 성립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요동체(10)의 형상에 의해, 요동체(10)가 액체(I) 중에 잠겨 있을 경우, 플로트부(12)를 상승시키는 힘이 발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검지부(13)와 플로트부(12)는 축부(11)을 지점으로 해서 시소 형상으로 요동한다. 그로 인해, 요동체(10)가 액체(I)중에 잠겨 있을 경우, 피검지부(13)를 하강시키는 힘이 발생한다. 피검지실(3)의 하측에 하강한 피검지부(13)는 발광 유닛(100a)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을 차광한다.
기록 장치가 액체 수납 용기(1)의 액체(I)를 소비함에 따라, 액체 공급구(5)를 개재하여 기록 장치에 액체가 공급되고, 대기 도입구(6)를 개재하여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대기가 도입된다. 액면(L)이 플로트부(12) 부근에 오는 경우, 대기 공간(A) 중에 존재하는 플로트부(12)의 용적이 점차 증대하고, 액체(I) 중에 존재하는 플로트부(12)의 용적이 점차 감소한다. 이와 같이, 액면(L)의 하강에 수반하여, 플로트부(12)에 가해지는 부력은 점차 감소하기 때문에, 플로트부(12)는 액체 저장실(2)의 하측으로 하강한다. 플로트부(12)가 액체 저장실(2)의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반대로 피검지부(13)는 피검지실(3)의 상측으로 이동한다.
도 5b는, 플로트부(12)의 위치가 하강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액체 수납 용기(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파선부는 요동체(10)의 초기 위치(도 5a)를 나타낸다. 액면(L)의 하강에 따라, 플로트부(12)는 초기 위치로부터 하강하고, 반대로 피검지부(13)는 초기 위치로부터 상승한다. 도 5b의 상태에서, 피검지부(13)의 이동량은 충분하지 않고, 기록 장치 본체에 제공된 광학 센서의 광선은 여전히 피검지부(13)에 의해 차광되고 있다. 즉, 도 5b의 상태에서는,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이 많은 것으로 결정된다.
도 5c는, 플로트부(12)의 위치가 또한 하강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액체 수납 용기(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파선부는 도 5a 및 도 5b에서의 요동체(10)의 위치를 각각 나타낸다. 액면(L)이 더 하강함에 따라, 플로트부(12)는 도 5b의 위치로부터 하강하고, 반대로 피검지부(13)는 도 5b의 위치로부터 상승한다. 도 5c의 상태에서, 기록 장치 본체에 제공된 광학 센서의 광선은 피검지부(13)에 의해 차광되어 있지 않다. 즉, 도 5c의 상태에서는,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은 적은 것으로 결정된다.
도 6은 요동체(10)의 회동 영역 근방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요동체(10)에서는, 축부(11)와 암부(14) 사이의 접속부(16)의 연직 방향에서의 하단부(LE)는, 피지지부(축부(11))의 회동 영역의 연직 방향에서의 상단부(TE)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액체(I)가 소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액체 잔량이 많은 것으로 결정되는 상태(도 5b의 상태)에서 액체 수납 용기(1)가 방치되는 경우에도, 축부(11)에서의 회동 영역(지축(7)이 설치된 축공(15)의 영역)의 점착 또는 고착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요동체(10)의 표면에 잔존하는 액적이, 암부(14)를 따라서 도 5b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에도, 해당 액적은 축부(11)의 하측을 흐르기 쉽기 때문에, 축부(11)에서의 회동 영역의 점착 또는 고착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요동체(10)를 원활하게 동작시킬 수 있고, 기록 장치는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접속부(16)의 연직 방향에서의 하단부(LE)는, 피지지부의 회동 영역의 연직 방향에서의 중심(11')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속부(16)의 연직 방향에서의 중심(16')은, 피지지부의 회동 영역의 연직 방향에서의 상단부(TE)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접속부(16)의 연직 방향에서의 중심(16')은, 피지지부의 회동 영역의 연직 방향에서의 중심(11')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부(16)는 암부(14)와 피지지부(축부(11))를 접속하고 있는 부분이다. 암부가 직선 형상이고 피지지부가 원형인 경우, 접속부(16)는 직선과 원이 접하는 부분이다. 또한, 이러한 경우, 접속부(16)의 연직 방향에서의 하단부(LE)는 직선과 곡선(피지지부의 원주의 일부)이 교차하는 점이다. 접속부(16)의 연직 방향에서의 하단부(LE)가 암부(14)로부터 피지지부에 이르는 도중에 기울기가 바뀌는 점인 경우가 있다.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6에서, 축부(11)와 암부(14) 사이의 접속부(16)가 축공(15)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요동체(10)에 잔존하는 액적 중 적어도 일부를 축공(15) 보다도 하측으로 유도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접속부(16)는 다른 위치에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축부(11)와 암부(14) 사이의 접속부(16)가 적어도 회동 영역인 축공(15)의 상단부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함으로써, 요동체(10)에 잔존하는 액적 중 적어도 일부를 축공(15)보다 하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축부(11)에서의 회동 영역의 점착 또는 고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용기 케이싱(4)에 베어링을, 요동체(10)의 축부(11)에 지축을 제공하는 구조의 경우, 축부(11)와 암부(14) 사이의 접속부(16)를 적어도 베어링의 상단부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의 액체 수납 용기(1)의 개략 단면도이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의 구성과의 상이한 구성은, 축부(11)와 암부(14) 사이의 접속부(16)뿐만 아니라, 축부(11)와 플로트부(12) 사이의 접속부(19)도, 축부(11)의 회동 영역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점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플로트부(12)의 표면에 잔존하는 액적이 요동체(10)의 축부(11)를 향하는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에도, 해당 액적은 축공(15)보다 하측을 흐르기 쉽기 때문에, 축부(11)의 회동 영역의 점착 또는 고착을 억제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서의 액체 수납 용기(1)의 개략 단면도이다.
상술한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도 8과 같은 구성도 생각된다. 도 8은 도 7의 암부의 두께로부터 암부의 두께를 증가시킨 예이다. 도 8에서는, 예를 들어 축부(11)와 암부(14) 사이의 접속부(16)의 연직 방향에서의 중심(16')은, 피지지부(축부(11))의 회동 영역의 연직 방향에서의 중심보다 연직 방향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축부(11)와 암부(14) 사이의 접속부(16)의 연직 방향의 하단부는, 피지지부(축부(11))의 회동 영역의 연직 방향에서의 상단부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액체는 암부의 하단부를 통해서 흐르기 쉽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에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제2 실시형태]
도 9a 내지 도 9c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액체 잔량 검지 기구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9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액체 잔량 검지 기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9a는, 기록 장치에 의해 액체(I)가 소비되기 전의 상태에서의 액체 수납 용기(1)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피검지부(13)는 암부(14)를 개재하여 축부(11)에 연결되고, 마찬가지로 플로트부(12)는 암부(20)를 개재하여 축부(11)에 연결된다. 본 실시형태의 요동체(10)에서는, 요동체(10)의 축부(11)가 플로트부(12)의 상단부 및 피검지부(13)의 상단부보다 연직 방향 상측에 위치하고 있고, 암부(14, 20)는 피검지부(13) 및 플로트부(12)를 각각 축부(11)로부터 연직 방향 하측에 연결한다.
도 9b는, 기록 장치에 의해 액체(I)가 소비되고, 액면의 높이가 하강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액체 수납 용기(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액면(L)의 하강에 따라, 요동체(10)는 최상위에 위치하는 축부(11)로부터 순서대로 대기 공간(A)에 노출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축부(11)의 표면에 잔존하는 액적은 암부(14, 20)를 따라서 도 9b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흘러 떨어진다. 그로 인해, 축부(11)의 표면에 잔존하는 액적을 신속하게 하측에 유도할 수 있고, 축부(11)의 회동 영역의 점착 또는 고착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케이싱(4)과 용기 덮개(8)를 초음파 용착을 사용해서 조립하는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진동 용착 및 접착 등의 기타의 방법에 의해 액체 수납 용기(1)을 조립해도 된다.
또한, 용기 덮개(8) 대신에 용기 케이싱(4)에 필름을 열 용착함으로써 액체 저장실(2)을 형성해도 되고, 용기 케이싱(4)을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하고, 형성된 프레임에서의 양 측의 개구부를 필름으로 막는 구성을 허용해도 된다. 이 경우, 필름의 파손 방지를 위해서, 보호용의 커버 부품이 용기 케이싱(4)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고무 등의 탄성 부재로 구성되는 시일 부재(9)에 액체 공급관(17)이 삽입됨으로써, 액체 수납 용기(1)로부터 기록 장치 본체에 액체를 공급할 수 있게 되는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구성에 의해 액체 공급 기구를 실현해도 되고, 예를 들어 스프링 등의 탄성 재료를 사용해서 밸브를 시일 부재(9)에 가압함으로써, 액체 수납 용기(1)로부터 기록 장치 본체에 액체를 공급할 수 있게 되는 형태를 허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는, 상기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더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라고 칭하기도 함)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의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을 판독 및 실행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 처리 유닛(MPU))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을 판독 및 실행하기 위해 별도의 컴퓨터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학 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플래시 메모리 장치,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본 발명의 액체 수납 용기에 따르면, 요동체의 회동 영역의 점착 또는 고착을 억제함으로써, 요동체를 원활하게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기록 장치는 액체 수납 용기 내의 액체의 잔량을 보다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동등한 구조와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기록 장치이며,
    액체를 토출하여 기록 동작을 행하는 기록 헤드;
    액체 수납 용기로서,
    상기 액체를 저류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저장실과,
    상기 액체 저장실에 제공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피지지부를 개재하여 한쪽에 상기 액체 저장실 내에서의 상기 액체의 액면 높이에 따라서 이동하는 플로트부를, 다른 쪽에 상기 액체 저장실 내에서의 상기 액체의 양을 검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피검지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를 지점으로 해서 요동하도록 구성되는, 요동체와,
    상기 액체 저장실과 연통하는 피검지실을 포함하고,
    상기 액체 수납 용기는 상기 기록 헤드에 공급되는 액체를 저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피검지부는 암부를 개재하여 상기 피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피검지부는 상기 피지지부보다 연직 방향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암부와 상기 피지지부를 접속하는 접속부의 연직 방향에서의 하단부가, 상기 피지지부의 회동 영역의 연직 방향에서의 상단부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암부는 상기 접속부로부터 상기 접속부보다 상기 연직 방향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액체 저장실과 상기 피검지실은 상기 액체 수납 용기 내의 액체가 서로 유통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플로트부가 상기 액체 저장실 내에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피검지부가 상기 피검지실 내에서 이동하는, 액체 수납 용기;
    상기 기록 헤드의 기록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
    발광 유닛; 및
    수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유닛과 상기 수광 유닛은 상기 피검지실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고, 상기 발광 유닛과 대면하여 상기 피검지실을 그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된 상기 수광 유닛은 상기 발광 유닛이 출력하는 광선을 상기 액체 저장실 내에 저류된 액체의 액면의 하강에 응답하여 수광하는, 기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부와 상기 피지지부를 접속하는 접속부의 연직 방향의 하단부가 상기 피지지부의 회동 영역의 연직 방향의 상단부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기록 장치.
KR1020160157926A 2015-11-30 2016-11-25 액체 수납 용기 및 기록 장치 KR1021227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34247 2015-11-30
JP2015234247 2015-11-30
JPJP-P-2016-206064 2016-10-20
JP2016206064A JP7009054B2 (ja) 2015-11-30 2016-10-20 記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376A KR20170063376A (ko) 2017-06-08
KR102122783B1 true KR102122783B1 (ko) 2020-06-15

Family

ID=59058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926A KR102122783B1 (ko) 2015-11-30 2016-11-25 액체 수납 용기 및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7009054B2 (ko)
KR (1) KR102122783B1 (ko)
CN (1) CN1068088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91124B2 (ja) * 2018-04-23 2022-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CN110077119A (zh) * 2019-05-20 2019-08-02 黄春燕 一种环保型供墨装置
JP7350648B2 (ja) * 2019-12-20 2023-09-26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貯蔵容器とその製造方法
CN113022144A (zh) * 2021-03-05 2021-06-25 珠海益捷科技有限公司 墨盒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02397Y (zh) * 2007-02-28 2008-01-09 孙荣华 遮光式浮动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6925Y2 (ko) * 1972-02-19 1977-06-18
JP4595359B2 (ja) * 2003-09-30 2010-12-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4212286A (ja) 2003-01-07 2004-07-29 Hitachi Unisia Automotive Ltd タンク内の液体残量検出装置
TWI246465B (en) * 2003-09-30 2006-01-01 Brother Ind Ltd Ink cartridge and ink-jet printer
JP2005214523A (ja) 2004-01-29 2005-08-11 Takasaki Seimitsu Kogyosha:Kk 液体燃料タンクの液面計
JP2005335422A (ja) 2004-05-24 2005-12-08 Hitachi Ltd インタンクモジュール
JP4539633B2 (ja) * 2006-09-29 2010-09-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システム
CN200998938Y (zh) * 2007-01-09 2008-01-02 孙荣华 带感应装置的墨盒
WO2008083564A1 (fr) * 2007-01-09 2008-07-17 Ronghua Sun Dispositif d'affichage flottant
JP4591466B2 (ja) * 2007-03-28 2010-12-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収容体
JP2009236797A (ja) 2008-03-28 2009-10-15 Nippon Seiki Co Ltd 液面検出装置
JP2009241492A (ja) * 2008-03-31 2009-10-22 Brother Ind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溝形成方法
CN201371625Y (zh) 2009-02-23 2009-12-30 孟金明 插接式分体墨盒
JP2011201067A (ja) * 2010-03-24 2011-10-13 Brother Industries Ltd カートリッジ・セット及びプリンタ装置
JP4998584B2 (ja) * 2010-04-26 2012-08-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
CN201856447U (zh) 2010-05-17 2011-06-08 广州麦普实业有限公司 打印机墨盒
CN202106680U (zh) 2011-06-08 2012-01-11 宁波必取电子科技有限公司 喷墨打印机用墨盒
JP6003054B2 (ja) * 2011-12-22 2016-10-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EP3480022B1 (en) * 2011-12-22 2021-05-1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inting fluid cartridge and printing apparatus
JP2013129178A (ja) * 2011-12-22 2013-07-04 Brother Industries Ltd 印刷流体カートリッジ
CN103182850B (zh) * 2011-12-30 2015-09-30 珠海纳思达企业管理有限公司 一种喷墨打印机用墨盒、喷墨打印机及两者组成的打印系统
JP5880336B2 (ja) * 2012-07-31 2016-03-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貯留装置
JP6080443B2 (ja) 2012-09-07 2017-02-15 矢崎総業株式会社 タンクユニット
WO2014115173A2 (en) 2013-01-24 2014-07-31 Pricol Limited An apparatus for non-contact level sensing
JP2014188773A (ja) * 2013-03-27 2014-10-06 Kodenshi Corp インクカートリッジ
CN203557846U (zh) 2013-11-04 2014-04-23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墨盒
CN105619648B (zh) 2014-11-28 2019-02-15 三纬国际立体列印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3d打印的自动供液设备及其液位感测装置
JP6497165B2 (ja) 2015-03-27 2019-04-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消費装置
JP6627371B2 (ja) 2015-09-28 2020-01-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02397Y (zh) * 2007-02-28 2008-01-09 孙荣华 遮光式浮动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05169A (ja) 2017-06-15
JP2022017563A (ja) 2022-01-25
KR20170063376A (ko) 2017-06-08
JP7263488B2 (ja) 2023-04-24
CN106808808B (zh) 2019-11-05
JP7009054B2 (ja) 2022-01-25
CN106808808A (zh)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1776B2 (en) Liquid storage container and printing apparatus
KR102122783B1 (ko) 액체 수납 용기 및 기록 장치
JP2017094634A (ja) 液体容器および液体残量検出装置
JP5880336B2 (ja) 液体貯留装置
JP2007268793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5266999B2 (ja) 液体吐出装置及び液体吐出システム
US9469119B2 (en) Liquid cartridge
US8287111B2 (en) Liquid containers
US20070070151A1 (en) Ink Cartridges
US7246894B2 (en) Ink cartridges
JP2016083914A (ja) 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消費装置
US7222950B2 (en) Ink cartridges
US7290870B2 (en) Ink cartridges
US7287845B2 (en) Ink cartridges
JP6497165B2 (ja) 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消費装置
US10737498B2 (en) Liquid cartridge
JP2017007147A (ja) 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消費装置
US7669994B2 (en) Ink cartridges
US7318640B2 (en) Ink cartridges
US7241001B2 (en) Ink cartridges
US20080100682A1 (en) Ink cartridges
CN110385916B (zh) 墨盒
JP6669386B2 (ja) 液体収容容器、液体収容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記録装置
US7234804B2 (en) Ink cartridges
US20070070154A1 (en) Ink Cartrid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