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171B1 - 마스터 실린더 유닛 - Google Patents

마스터 실린더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171B1
KR102116171B1 KR1020177033843A KR20177033843A KR102116171B1 KR 102116171 B1 KR102116171 B1 KR 102116171B1 KR 1020177033843 A KR1020177033843 A KR 1020177033843A KR 20177033843 A KR20177033843 A KR 20177033843A KR 102116171 B1 KR102116171 B1 KR 102116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iston
simulator
pressure chamber
communicatio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3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4315A (ko
Inventor
나가노리 고시미즈
히로시 오와다
치하루 나카자와
료헤이 마루오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4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0Tandem, side-by-side, or other multiple master cylinde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36Piston sea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02Air treatmen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6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excessive wheel slip during vehicle deceleration, e.g. ABS
    • B60T8/1769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excessive wheel slip during vehicle deceleration, e.g. AB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having more than one driven axle, e.g. four-wheel driv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72Systems in which a driver input signal is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which is normally used for braking
    • B60T8/4081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72Systems in which a driver input signal is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which is normally used for braking
    • B60T8/4081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 B60T8/409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troke simul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8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ith failure responsive means, i.e. means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faulty operation of the speed responsive control means
    • B60T8/9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ith failure responsive means, i.e. means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faulty operation of the speed responsive control means automatically taking corrective action
    • B60T8/9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ith failure responsive means, i.e. means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faulty operation of the speed responsive control means automatically taking corrective action on speed responsive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62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characterised by specified functions of the control system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02Air treatment devices
    • B60T17/004Draining and dry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마스터 실린더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를 연통시키는 연통로를 구비하고,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는, 바닥을 갖는 통형의 시뮬레이터 피스톤과, 시뮬레이터 피스톤이 슬라이딩하는 시뮬레이터 실린더를 구비하고, 시뮬레이터 피스톤은, 시뮬레이터 실린더의 바닥부와 시뮬레이터 피스톤의 개구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연통로는, 시뮬레이터 피스톤의 개구부의 바깥 둘레부와 안쪽 둘레부에 걸쳐 개구되어 시뮬레이터 실린더의 바닥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시뮬레이터 실린더의 바닥부로부터 압력실을 향함에 따라 연직 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마스터 실린더 유닛
본 발명은 마스터 실린더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5년 7월 31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 출원 제2015-152775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이곳에 원용한다.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따른 반력을 브레이크 페달에 부여하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를 구비하는 브레이크 장치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4-61817호 공보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는 공기 빼기를 위한 구성의 간소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빼기를 위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마스터 실린더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량에 따라 실린더 내의 압력실에 액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압력실에 브레이크액을 공급하는 리저버와, 상기 압력실에 연통하며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력에 따른 반력을 그 브레이크 페달에 부여하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를 연통시키는 연통로를 구비한다.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는, 바닥을 갖는 통형의 시뮬레이터 피스톤과,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이 슬라이딩하는 시뮬레이터 실린더를 구비한다.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은,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의 바닥부와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의 개구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연통로는,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의 개구부의 바깥 둘레부와 안쪽 둘레부에 걸쳐 개구되어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의 바닥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의 바닥부로부터 상기 압력실을 향함에 따라 연직 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량에 따라 실린더 내의 압력실에 액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압력실에 브레이크액을 공급하는 리저버와, 상기 압력실에 연통하며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력에 따른 반력을 그 브레이크 페달에 부여하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를 연통시키는 연통로를 구비한다.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는, 바닥을 갖는 통형의 시뮬레이터 피스톤과,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이 슬라이딩하는 시뮬레이터 실린더를 구비한다.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은,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의 바닥부와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의 개구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연통로는,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의 바닥부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연통로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의 바닥부는, 상기 연통로가 접속되지 않은 부분에 비해서 움패어 있으며 직경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마스터 실린더 유닛에 따르면, 공기 빼기를 위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마스터 실린더 유닛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마스터 실린더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마스터 실린더 유닛의 SS 실린더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마스터 실린더 유닛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마스터 실린더 유닛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마스터 실린더 유닛으로 브레이크 장치를 구성하는 파워 모듈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의 마스터 실린더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의 마스터 실린더 유닛의 부분 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도 6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브레이크 장치(10)는, 사륜 자동차용의 것이다. 브레이크 장치(10)는, 브레이크 페달(11)과, 마스터 실린더 유닛(12)과, 파워 모듈(13)과, 제동용 실린더(15FR)와, 제동용 실린더(15RL)와, 제동용 실린더(15RR)와, 제동용 실린더(15FL)를 가지고 있다. 제동용 실린더(15FR)는, 사륜 중 우측 앞의 차륜에 마련되는 우측 전륜용의 제동용 실린더이다. 제동용 실린더(15RL)는, 사륜 중 좌측 뒤의 차륜에 마련되는 좌측 후륜용의 제동용 실린더이다. 제동용 실린더(15RR)는, 사륜 중 우측 뒤의 차륜에 마련되는 우측 후륜용의 제동용 실린더이다. 제동용 실린더(15FL)는, 사륜 중 좌측 앞의 차륜에 마련되는 좌측 전륜용의 제동용 실린더이다. 제동용 실린더(15FR, 15RL, 15RR, 15FL)는, 차륜의 회전에 브레이크를 거는 디스크 브레이크 혹은 드럼 브레이크 등의 액압 작동 기구이다.
마스터 실린더 유닛(12)은, 인풋 로드(21)와, 스트로크 센서(22)를 가지고 있다. 인풋 로드(21)는, 브레이크 페달(11)에 기단측이 연결되어 브레이크 페달(11)의 조작량에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스트로크 센서(22)는, 인풋 로드(21)의 이동량을 검출한다. 파워 모듈(13)은,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킨다. 그와 함께, 파워 모듈(13)은, 제동용 실린더(15FR, 15RL, 15RR, 15FL)의 각각의 브레이크 액압을, 스트로크 센서(22)의 검출 결과 등에 기초하여 제어한다. 즉, 브레이크 장치(10)는,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 타입의 브레이크 장치이다. 이 브레이크 장치(10)는,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사이드 슬립을 방지하는 사이드 슬립 방지 장치를 구성하는 브레이크 장치이다.
마스터 실린더 유닛(12)은, 리저버(25)와, 마스터 실린더(26)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27)를 구비하고 있다. 리저버(25)는, 브레이크용의 브레이크액을 저장한다. 마스터 실린더(26)는, 브레이크 페달(11)의 조작량에 따른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마스터 실린더(26)는, 리저버(25)와 브레이크액의 교환을 행한다. 스크로크 시뮬레이터(27)는, 마스터 실린더(26)와 브레이크액의 교환을 행한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27)는, 브레이크 페달(11)의 조작력인 답력에 따른 반력을 발생시켜 브레이크 페달(11)에 부여한다. 리저버(25)는, 마스터 실린더(26)의 연직 방향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27)는, 마스터 실린더(26)의 연직 방향 하측에 마련되어 있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27)는, 마스터 실린더(26)와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터 실린더 유닛(12)은, 하나의 소재로부터 가공되어 형성되는 금속제의 실린더 부재(31)를 가지고 있다. 이 실린더 부재(31)는, 마스터 실린더(26)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27)에서 공용으로 되어 있다. 실린더 부재(31)는, MC 실린더(32)(실린더)와, SS 실린더(33)(시뮬레이터 실린더)가 병렬로 그리고 또한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MC 실린더(32)는, 마스터 실린더(26)를 구성한다. SS 실린더(33)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27)를 구성한다. 즉, 마스터 실린더(26)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27)는, 하나의 소재로 일체로 형성되는 실린더 부재(31)에 배치되어 있다.
마스터 실린더(26)의 MC 실린더(32)에는 실린더 구멍(4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MC 실린더(32)는, 실린더 바닥부(41)와 실린더 벽부(42)를 가지고 있다. 실린더 바닥부(41)는, 실린더 구멍(40)의 깊이측에 있다. 실린더 벽부(42)는, 통형이며, 실린더 바닥부(41)로부터 실린더 바닥부(41)와는 반대측의 실린더 개구(43)까지 연장되어 있다.
실린더 벽부(42) 내의 실린더 개구(43)측에는,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이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은, 마스터 실린더(26)를 구성하는 것이며, 금속제이다. 또한, 실린더 벽부(42) 내의 프라이머리 피스톤(46)보다 실린더 바닥부(41)측에는, 세컨더리 피스톤(47)이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세컨더리 피스톤(47)은, 마스터 실린더(26)를 구성하는 것이며, 프라이머리 피스톤(46)과 마찬가지로 금속제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라이머리 피스톤(46) 및 세컨더리 피스톤(47) 중, 프라이머리 피스톤(46) 쪽이, 세컨더리 피스톤(47)보다 브레이크 페달(11)측에 배치되어 있다. 프라이머리 피스톤(46) 및 세컨더리 피스톤(47) 중, 세컨더리 피스톤(47) 쪽이, 프라이머리 피스톤(46)보다 브레이크 페달(11)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프라이머리 피스톤(46)에는, 인풋 로드(21)의 브레이크 페달(11)과는 반대측의 선단부가 접촉하고 있다.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은, 이 인풋 로드(21)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11)의 답력을 받는다.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은, 브레이크 페달(11)의 조작에 따라 MC 실린더(32) 내를 이동한다. 상기 스트로크 센서(22)는, 프라이머리 피스톤(46)에 부착되어 있다. 스트로크 센서(22)는,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의 이동량을 검출한다. 이에 의해, 스트로크 센서(22)는, 프라이머리 피스톤(46)과 일체로 이동하는 인풋 로드(21)의 이동량을 검출한다. 즉, 스트로크 센서(22)는, 브레이크 페달(11)의 조작량을 검출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벽부(42)의 실린더 바닥부(41)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통형의 스토퍼 부재(51)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인풋 로드(21)는, 이 스토퍼 부재(51)의 내측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인풋 로드(21)의 중간부에는 플랜지 부재(52)가 고정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51)는, 실린더 바닥부(41)와는 반대측으로부터 이 플랜지 부재(52)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스토퍼 부재(51)는, 인풋 로드(21)의 실린더 바닥부(41)와는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 한계 위치를 결정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스토퍼 부재(51)와 인풋 로드(21) 사이에는, 이들의 간극을 덮는 신축 가능한 부츠(53)가 개재되어 있다.
마스터 실린더(26)의 MC 실린더(32) 내의 프라이머리 피스톤(46)과 세컨더리 피스톤(47) 사이는, 프라이머리 압력실(56)로 되어 있다. 프라이머리 압력실(56)은, 프라이머리 피스톤(46) 및 세컨더리 피스톤(47)의 움직임에 따라 압력이 변화한다. 프라이머리 피스톤(46)과 세컨더리 피스톤(47) 사이에는, 스프링 유닛(57)이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 유닛(57)은, 브레이크 페달(11)로부터 입력이 없는 비제동 상태에 있을 때에, 프라이머리 피스톤(46)과 세컨더리 피스톤(47)의 간격을 결정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유닛(57)은, 리테이너(58)와, 프라이머리 피스톤 스프링(59)을 가지고 있다. 리테이너(58)는, 미리 정해진 범위에서 신축 가능하다. 프라이머리 피스톤 스프링(59)은, 리테이너(58)를 신장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것이며, 코일 스프링이다. 리테이너(58)는, 프라이머리 피스톤 스프링(59)의 신장을, 그 최대 길이가 미리 정해진 길이를 넘지 않도록 규제한다. 스프링 유닛(57)을 통해 프라이머리 피스톤(46)에 접속된 세컨더리 피스톤(47)도, 브레이크 페달(11)의 조작에 따라 MC 실린더(32) 내를 이동한다. 마스터 실린더(26)는, 브레이크 페달(11)의 조작에 따라 MC 실린더(32) 내를 이동하는 마스터 피스톤으로서, 프라이머리 피스톤(46)과 세컨더리 피스톤(47)을 가지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터 실린더(26)의 MC 실린더(32) 내의 세컨더리 피스톤(47)과 실린더 바닥부(41) 사이는, 세컨더리 압력실(61)(압력실)로 되어 있다. 세컨더리 압력실(61)은, 세컨더리 피스톤(47)의 움직임에 따라 압력이 변화한다. 세컨더리 피스톤(47)과 실린더 바닥부(41) 사이에는, 스프링 유닛(62)이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 유닛(62)은, 브레이크 페달(11)로부터 입력이 없는 비제동 상태에 있을 때에, 세컨더리 피스톤(47)과 실린더 바닥부(41)의 간격을 결정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유닛(62)은, 리테이너(63)와, 세컨더리 피스톤 스프링(64)을 가지고 있다. 리테이너(63)는, 미리 정해진 범위에서 신축 가능하다. 세컨더리 피스톤 스프링(64)은, 리테이너(63)를 신장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것이며, 코일 스프링이다. 리테이너(63)는, 세컨더리 피스톤 스프링(64)의 신장을, 그 최대 길이가 미리 정해진 길이를 넘지 않도록 규제한다.
프라이머리 피스톤(46) 및 세컨더리 피스톤(47)은, 모두 플런저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마스터 실린더(26)는, 소위 플런저형의 마스터 실린더로 되어 있다. 또한, 마스터 실린더(26)는, 2개의 프라이머리 피스톤(46) 및 세컨더리 피스톤(47)을 갖는 탠덤 타입의 마스터 실린더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탠덤 타입의 마스터 실린더에 적용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플런저형의 마스터 실린더이면, MC 실린더에 하나의 피스톤을 배치한 싱글 타입의 마스터 실린더나, 3개 이상의 피스톤을 갖는 마스터 실린더 등 어떤 플런저형의 마스터 실린더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MC 실린더(32)에는, 마스터 실린더(26)의 실린더 벽부(42)로부터 연직 방향 상방으로 돌출하는 부착대부(6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대부(65)에는, 리저버(25)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구멍(66) 및 부착 구멍(6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착 구멍(66) 및 부착 구멍(67)은, 서로 실린더 구멍(40)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일치시켜 형성되어 있다. 부착 구멍(66) 및 부착 구멍(67)은, 서로 실린더 구멍(40)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마스터 실린더 유닛(12)은, 마스터 실린더(26)의 실린더 구멍(40)을 포함하는 MC 실린더(32)의 축선 방향이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배치되어 차량에 배치된다. 마스터 실린더 유닛(12)은, 실린더 바닥부(41)가 차량 전방을 향하는 자세로 차량에 배치된다.
마스터 실린더(26)의 실린더 벽부(42)에는, 실린더 바닥부(41)의 근방에 세컨더리 토출로(68)가 형성되어 있다. 세컨더리 토출로(68)는, 그 중심 축선이 실린더 구멍(40)의 중심 축선과 직교하도록 실린더 구멍(40)의 실린더 바닥부(41) 근방의 상단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마스터 실린더(26)의 실린더 벽부(42)에는, 세컨더리 토출로(68)보다 실린더 개구(43)측에 프라이머리 토출로(69)가 형성되어 있다. 프라이머리 토출로(69)는, 그 중심 축선이 실린더 구멍(40)의 중심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과 평행을 이루고 있으며, 차재(車載) 상태로 수평으로 연장된다. 이들 세컨더리 토출로(68) 및 프라이머리 토출로(69)는, 도 1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워 모듈(13)에 연통하고 있다. 세컨더리 토출로(68) 및 프라이머리 토출로(69)는, 파워 모듈(13)을 통해 제동용 실린더(15FR, 15RL, 15RR, 15FL)에 연통하고 있다. 세컨더리 토출로(68) 및 프라이머리 토출로(69)는, 세컨더리 압력실(61) 및 프라이머리 압력실(56)의 브레이크액을 제동용 실린더(15FR, 15RL, 15RR, 15FL)를 향하여 토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프라이머리 압력실(56) 및 세컨더리 압력실(61)이 파워 모듈(13)에 연통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벽부(42)의 안쪽 둘레부에는, 실린더 바닥부(41)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슬라이딩 내경부(70)와, 대직경 내경부(71)와, 암나사부(72)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내경부(70)는, 내경면이 원통면형이다. 대직경 내경부(71)는, 내경면이 슬라이딩 내경부(70)보다 대직경의 원통면형이다. 암나사부(72)는, 슬라이딩 내경부(70)보다 대직경이다. 슬라이딩 내경부(70) 및 대직경 내경부(71)는, 내경면의 중심 축선을 서로 일치시키고 있다. 이 중심 축선이 실린더 구멍(40) 및 실린더 벽부(42)의 중심 축선으로 되어 있다.
프라이머리 피스톤(46)에 고정된 스트로크 센서(22)는, 대직경 내경부(7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스트로크 센서(22)는, 이 대직경 내경부(71) 내에서 MC 실린더(32)의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프라이머리 피스톤(46) 및 세컨더리 피스톤(47)은, 슬라이딩 내경부(70)의 내경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합되어 있다. 프라이머리 피스톤(46) 및 세컨더리 피스톤(47)은, 이 내경면에서 안내되어 MC 실린더(32)의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딩 내경부(70)에는, 복수의, 구체적으로는 4군데의 둘레홈(73), 둘레홈(74), 둘레홈(75), 및 둘레홈(76)이, 실린더 바닥부(41)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둘레홈(73∼76)은, 모두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모두 원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둘레홈(73∼76)은, 슬라이딩 내경부(70)의 내경면보다 직경 방향 외측으로 움패는 형상이다.
둘레홈(73)은, 둘레홈(73∼76) 중 가장 실린더 바닥부(41)측에 있다. 둘레홈(73)은, 부착 구멍(66) 및 부착 구멍(67) 중 실린더 바닥부(41)측의 부착 구멍(66)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이 둘레홈(73) 내에는, 둘레홈(73)에 유지되도록, 원환형의 피스톤 시일(81)이 배치되어 있다.
MC 실린더(32)의 슬라이딩 내경부(70)에 있어서의 둘레홈(73)보다 실린더 개구(43)측에는, 개구홈(82)이 형성되어 있다. 개구홈(82)은, 슬라이딩 내경부(70)의 내경면보다 직경 방향 외방으로 움패어 있고,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홈(82)은, 보급 통로(83)를 실린더 구멍(40) 내에 개구시킨다. 보급 통로(83)는, 직선형이며, 실린더 바닥부(41)측의 부착 구멍(66) 내에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이 실린더 구멍(40) 내에 개구된다. 여기서, 개구홈(82)과 세컨더리 피스톤(47)은, 축 방향의 위치가 중첩되어 있고, 이들로 둘러싸인 부분이, 세컨더리 보급실(84)로 되어 있다. 세컨더리 보급실(84)은, 보급 통로(83)를 통해 리저버(25)에 항시 연통하고 있고,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세컨더리 보급실(84)은, 그 일부가 세컨더리 피스톤(47)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MC 실린더(32)의 슬라이딩 내경부(70)의 둘레홈(73)보다 실린더 바닥부(41)측의 상부에는, 축방향 홈(85)이 형성되어 있다. 축방향 홈(85)은, 둘레홈(73)에 개구되며 둘레홈(73)으로부터 직선형으로 실린더 바닥부(41)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축방향 홈(85)은, 슬라이딩 내경부(70)의 내경면보다 직경 방향 외방으로 움패어 형성되어 있다. 이 축방향 홈(85)은, 세컨더리 피스톤(47)과 실린더 바닥부(41) 사이의 세컨더리 압력실(61)의 천장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축방향 홈(85)은, 세컨더리 토출로(68)와 둘레홈(73)이, 세컨더리 압력실(61)을 통해 연통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세컨더리 토출로(68)는, 실린더 바닥부(41)와 둘레홈(73) 사이로서 실린더 바닥부(41)의 근방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세컨더리 토출로(68)는, 축방향 홈(85)의 상단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세컨더리 토출로(68)는, 세컨더리 압력실(61)의 상단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MC 실린더(32)의 슬라이딩 내경부(70)에는, 상기 개구홈(82)의 둘레홈(73)과는 반대측 즉 실린더 개구(43)측에, 상기 둘레홈(7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둘레홈(74) 내에는, 둘레홈(74)에 유지되도록, 원환형의 구획 시일(86)이 배치되어 있다.
MC 실린더(32)의 슬라이딩 내경부(70)에는, 실린더 개구(43)측의 부착 구멍(67)의 근방에, 상기 둘레홈(75)이 형성되어 있다. 이 둘레홈(75) 내에는, 둘레홈(75)에 유지되도록, 원환형의 피스톤 시일(91)이 배치되어 있다.
MC 실린더(32)의 슬라이딩 내경부(70)에 있어서의 이 둘레홈(75)의 실린더 개구(43)측에는, 개구홈(92)이 형성되어 있다. 개구홈(92)은, 슬라이딩 내경부(70)의 내경면보다 직경 방향 외방으로 움패어 있고,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홈(92)은, 보급 통로(93)를 실린더 구멍(40) 내에 개구시킨다. 보급 통로(93)는, 직선형이며, 실린더 개구(43)측의 부착 구멍(67) 내에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이 실린더 구멍(40) 내에 개구된다. 여기서, 개구홈(92)과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은, 축 방향의 위치가 중첩되어 있고, 이들로 둘러싸인 부분이, 프라이머리 보급실(94)로 되어 있다. 프라이머리 보급실(94)은, 보급 통로(93)를 통해 리저버(25)에 항시 연통하고 있고,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프라이머리 보급실(94)은, 그 일부가 프라이머리 피스톤(46)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마스터 실린더(26)는, 리저버(25)에 항시 접속되는 마스터 보급실로서, 세컨더리 보급실(84)과 프라이머리 보급실(94)을 가지고 있다.
MC 실린더(32)의 슬라이딩 내경부(70)의 둘레홈(75)보다 실린더 바닥부(41)측의 상부에는, 축방향 홈(95)이 형성되어 있다. 축방향 홈(95)은, 둘레홈(75)에 개구되며 둘레홈(75)으로부터 직선형으로 실린더 바닥부(41)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축방향 홈(95)은, 둘레홈(74)에 개구되어 있다. 축방향 홈(95)은, 슬라이딩 내경부(70)의 내경면보다 직경 방향 외방으로 움패어 있다. 이 축방향 홈(95)은, 프라이머리 피스톤(46)과 세컨더리 피스톤(47) 사이의 프라이머리 압력실(56)의 천장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축방향 홈(95)은, 프라이머리 압력실(56)을 통해 프라이머리 토출로(69)와 둘레홈(75)을 연통시키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프라이머리 토출로(69)는, 둘레홈(74)과 둘레홈(75) 사이로서 둘레홈(74)의 근방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프라이머리 토출로(69)는, 축방향 홈(95)의 상단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프라이머리 토출로(69)는, 프라이머리 압력실(56)의 상단 위치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MC 실린더(32)의 슬라이딩 내경부(70)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홈(92)의 둘레홈(75)과는 반대측 즉 실린더 개구(43)에, 상기 둘레홈(7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둘레홈(76) 내에는, 둘레홈(76)에 유지되도록, 원환형의 구획 시일(96)이 배치되어 있다.
세컨더리 피스톤(47)은, MC 실린더(32)의 프라이머리 피스톤(46)보다 실린더 바닥부(41)측에 배치되어 있다. 세컨더리 피스톤(47)은, 원통형부(101)와, 원통형부(101)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위치에 형성된 바닥부(102)를 가지고 있고, 플런저의 형상을 하고 있다. 세컨더리 피스톤(47)은, 그 원통형부(101)가, MC 실린더(32)의 슬라이딩 내경부(70), 슬라이딩 내경부(70)에 마련된 피스톤 시일(81) 및 구획 시일(86) 각각에 감합되어 있다. 세컨더리 피스톤(47)은, 이들에 의해 안내되어 MC 실린더(32) 내를 슬라이딩한다.
원통형부(101)의 실린더 바닥부(41)측의 단부에는, 포트(103)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포트(103)는, 원통형부(101)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복수의 포트(103)는, 원통형부(101)의 주위 방향의 등간격 위치에, 방사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세컨더리 피스톤(47)에는, 원통형부(101)의 실린더 바닥부(41)측에, 스프링 유닛(62)이 삽입되어 있다. 스프링 유닛(62)은, 리테이너(63)의 축 방향의 일단이 세컨더리 피스톤(47)의 바닥부(102)에 접촉하고, 리테이너(63)의 축 방향의 타단이 MC 실린더(32)의 실린더 바닥부(41)에 접촉한다. 세컨더리 피스톤 스프링(64)은, 인풋 로드(21)로부터 입력이 없는 비제동 상태에서 세컨더리 피스톤(47)과 실린더 바닥부(41)의 간격을 결정하는 것이다. 세컨더리 피스톤 스프링(64)은, 인풋 로드(21)로부터 입력이 있으면 길이를 축소시키고, 축소된 길이에 따른 힘으로 세컨더리 피스톤(47)을 실린더 개구(43)측으로 편향시킨다.
여기서, 실린더 바닥부(41) 및 실린더 벽부(42)의 실린더 바닥부(41)측과, 세컨더리 피스톤(47)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상기 세컨더리 압력실(61)로 되어 있다. 세컨더리 압력실(61)은, 브레이크 페달(11)의 조작량에 따라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켜 세컨더리 토출로(68)에 브레이크 액압을 공급한다. 바꾸어 말하면, 마스터 실린더(26)는, 브레이크 페달(11)의 조작량에 따라 MC 실린더(32) 내의 세컨더리 압력실(61)에 액압을 발생시킨다. 이 세컨더리 압력실(61)은, 세컨더리 피스톤(47)이 포트(103)를 개구홈(82)에 개구시키는 위치에 있을 때, 세컨더리 보급실(84)에, 즉 리저버(25)에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세컨더리 피스톤(47)은, 브레이크 페달(11)의 비조작 시에, 포트(103)를 개구홈(82)에 개구시킨다. 바꾸어 말하면, 마스터 실린더(26)가 구비하는 세컨더리 보급실(84)은, 리저버(25)에 항시 접속되어, 브레이크 페달(11)의 비조작 시에 세컨더리 압력실(61)과 연통한다. 리저버(25)는, 이와 같이 세컨더리 압력실(61)에 보급되는 브레이크액을 저류한다. 리저버(25)는, 세컨더리 압력실(61)에 브레이크액을 공급한다.
MC 실린더(32)의 둘레홈(74)에 유지되는 구획 시일(86)은, 합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일체 성형품이다. 구획 시일(86)은, 그 중심선을 포함하는 직경 방향 단면의 편측 형상이 C자형인 컵 시일이다. 구획 시일(86)은, 립(lip) 부분이 실린더 개구(43)측을 향한 상태로 둘레홈(74) 내에 배치되어 있다. 구획 시일(86)은, 안쪽 둘레가 세컨더리 피스톤(47)의 바깥 둘레면에 미끄럼 접촉하며, 바깥 둘레가 MC 실린더(32)의 둘레홈(74)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구획 시일(86)은, 세컨더리 피스톤(47) 및 MC 실린더(32)의 구획 시일(86)의 위치의 간극을 항시 밀봉한다.
MC 실린더(32)의 둘레홈(73)에 유지되는 피스톤 시일(81)은, EPDM 등의 합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일체 성형품이다. 피스톤 시일(81)은, 그 중심선을 포함하는 직경 방향 단면의 편측 형상이 E자형인 컵 시일이다. 피스톤 시일(81)은, 립 부분이 실린더 바닥부(41)측을 향한 상태로 둘레홈(73) 내에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 시일(81)은, 안쪽 둘레가 세컨더리 피스톤(47)의 바깥 둘레면에 미끄럼 접촉하며, 바깥 둘레가 MC 실린더(32)의 둘레홈(73)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피스톤 시일(81)은, 세컨더리 피스톤(47) 및 MC 실린더(32)의 피스톤 시일(81)의 위치의 간극을 밀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세컨더리 피스톤(47)은, 인풋 로드(21)로부터 입력이 없을 때, 포트(103)를 개구홈(82)에 개구시키는 비제동 위치에 있다. 피스톤 시일(8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컨더리 피스톤(47)가 비제동 위치에 있을 때에, 포트(103)에 그 일부가 축 방향으로 랩(lap)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세컨더리 보급실(84) 및 포트(103)를 통해 세컨더리 압력실(61)과 리저버(25)가 연통하고 있다.
인풋 로드(21)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은, 그 축 방향을 따라 실린더 바닥부(41)측으로 이동한다. 그렇게 되면, 스프링 유닛(57)을 통해 프라이머리 피스톤(46)에 압박되어 세컨더리 피스톤(47)이 그 축 방향을 따라 실린더 바닥부(41)측으로 이동한다. 즉,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은, 도 1에 나타내는 브레이크 페달(11)의 답력에 따라 MC 실린더(32) 내를 직선 운동한다. 세컨더리 피스톤(47)도, 브레이크 페달(11)의 답력에 따라 MC 실린더(32) 내를 직선 운동한다.
그 때,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컨더리 피스톤(47)은, MC 실린더(32)의 슬라이딩 내경부(70) 및 MC 실린더(32)에 유지된 피스톤 시일(81) 및 구획 시일(86)의 안쪽 둘레에서 슬라이딩한다. 실린더 바닥부(41)측으로 이동하면, 세컨더리 피스톤(47)은, 포트(103)를 피스톤 시일(81)보다 실린더 바닥부(41)측에 위치시키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피스톤 시일(81)은, 리저버(25) 및 세컨더리 보급실(84)과, 세컨더리 압력실(61) 사이를 밀봉하는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세컨더리 피스톤(47)이 실린더 바닥부(41)측으로 더욱 이동하면, 세컨더리 압력실(61) 내의 브레이크액이 가압된다. 세컨더리 압력실(61) 내에서 가압된 브레이크액은, 세컨더리 토출로(68)로부터 토출된다.
세컨더리 압력실(61) 내의 브레이크액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인풋 로드(21)로부터의 입력이 작아지면, 스프링 유닛(62)의 세컨더리 피스톤 스프링(64)의 편향력에 의해, 세컨더리 피스톤(47)이 실린더 개구(43)측으로 복귀하고자 한다. 이 세컨더리 피스톤(47)의 이동에 의해 세컨더리 압력실(61)의 용적이 확대되어 가게 된다. 그 때, 세컨더리 토출로(68)를 통한 브레이크액의 세컨더리 압력실(61)로의 복귀가 세컨더리 압력실(61)의 용적 확대를 따라잡지 못하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렇게 되면, 대기압인 세컨더리 보급실(84)의 액압과 세컨더리 압력실(61)의 액압이 같아진 후, 세컨더리 압력실(61) 내의 액압은 부압이 된다.
그렇게 되면, 이 세컨더리 압력실(61) 내의 부압이, 피스톤 시일(81)을 변형시켜 피스톤 시일(81)과 둘레홈(73)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세컨더리 보급실(84)의 브레이크액이, 이 간극을 통과하여, 세컨더리 압력실(61)에 보급되게 된다. 이에 의해, 세컨더리 압력실(61)의 액압을 부압 상태로부터 대기압으로 복귀시키는 속도를 빠르게 하도록 되어 있다. 즉, 피스톤 시일(81)은, 세컨더리 보급실(84)의 브레이크액이 세컨더리 압력실(61)에 흐르게 하는 것을 허용하고, 이와는 반대 방향의 브레이크액의 흐름을 규제하는 역지 밸브이다.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은, MC 실린더(32)의 세컨더리 피스톤(47)보다 실린더 개구(43)측에 배치되어 있다.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은, 원통형부(106)와, 원통형부(106)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위치에 형성된 바닥부(107)를 가지고 있고, 플런저의 형상을 하고 있다.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은, MC 실린더(32)의 슬라이딩 내경부(70), 슬라이딩 내경부(70)에 마련된 피스톤 시일(91) 및 구획 시일(96) 각각에 감합되어 있다.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은, 이들에 의해 안내되어 MC 실린더(32) 내를 슬라이딩한다. 원통형부(106)의 내측에, 인풋 로드(21)가 삽입되고, 이 인풋 로드(21)에 의해 바닥부(107)가 압박되어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이 실린더 바닥부(41)측으로 전진한다.
원통형부(106)의 실린더 바닥부(41)측에는, 포트(108)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포트(108)는, 원통형부(106)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복수의 포트(108)는, 원통형부(106)의 둘레 방향의 등간격 위치에, 방사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의 세컨더리 피스톤(47)측에는, 상기 스프링 유닛(57)이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 유닛(57)은, 인풋 로드(21)로부터 입력이 없는 비제동 상태에서 프라이머리 피스톤(46)과 세컨더리 피스톤(47)의 간격을 결정한다. 스프링 유닛(57)은, 리테이너(58)가, 세컨더리 피스톤(47)의 바닥부(102)와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의 바닥부(107)에 접촉한다. 프라이머리 피스톤 스프링(59)은, 인풋 로드(21)로부터 입력이 있어 프라이머리 피스톤(46)과 세컨더리 피스톤(47)의 간격이 좁아지면 길이가 축소된다. 프라이머리 피스톤 스프링(59)은, 축소된 길이에 따른 힘으로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을 인풋 로드(21)측으로 편향시킨다.
여기서, MC 실린더(32)의 실린더 벽부(42)와 프라이머리 피스톤(46)과 세컨더리 피스톤(47)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부분이, 상기 프라이머리 압력실(56)로 되어 있다. 프라이머리 압력실(56)은, 브레이크 페달(11)의 조작량에 따라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켜 프라이머리 토출로(69)에 브레이크액을 공급한다. 바꾸어 말하면, 마스터 실린더(26)는, 브레이크 페달(11)의 조작량에 따라 MC 실린더(32) 내의 프라이머리 압력실(56)에 액압을 발생시킨다. 또한 바꾸어 말하면,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은, 세컨더리 피스톤(47)과 MC 실린더(32) 사이에, 프라이머리 토출로(69)에 액압을 공급하는 프라이머리 압력실(56)을 형성하고 있다. 이 프라이머리 압력실(56)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이 포트(108)를 개구홈(92)에 개구시키는 위치에 있을 때, 프라이머리 보급실(94)에, 즉 리저버(25)에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은, 브레이크 페달(11)의 비조작 시에, 포트(108)를 개구홈(92)에 개구시킨다. 바꾸어 말하면, 마스터 실린더(26)가 구비하는 프라이머리 보급실(94)은, 리저버(25)에 항시 접속되어 브레이크 페달(11)의 비조작 시에 프라이머리 압력실(56)과 연통한다. 리저버(25)는, 이와 같이 프라이머리 압력실(56)에 보급되는 브레이크액을 저류한다. 리저버(25)는, 프라이머리 압력실(56)에 브레이크액을 공급한다.
MC 실린더(32)의 둘레홈(76)에 유지되는 구획 시일(96)은, 구획 시일(86)과 공통의 부품이며, 합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일체 성형품이다. 구획 시일(96)은, 그 중심선을 포함하는 직경 방향 단면의 편측 형상이 C자형인 컵 시일이다. 구획 시일(96)은, 립 부분이 실린더 바닥부(41)측을 향한 상태로 둘레홈(76) 내에 배치되어 있다. 구획 시일(96)은, 안쪽 둘레가, 이동하는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의 바깥 둘레면에 미끄럼 접촉하며, 바깥 둘레가 MC 실린더(32)의 둘레홈(76)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구획 시일(96)은, 프라이머리 피스톤(46) 및 MC 실린더(32)의 구획 시일(96)의 위치의 간극을 항시 밀봉한다.
MC 실린더(32)의 둘레홈(75)에 유지되는 피스톤 시일(91)은, 피스톤 시일(81)과 공통의 부품이며, EPDM 등의 합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일체 성형품이다. 피스톤 시일(91)은, 그 중심선을 포함하는 직경 방향 단면의 편측 형상이 E자형인 컵 시일이다. 피스톤 시일(91)은, 립 부분이 실린더 바닥부(41)측을 향한 상태로 둘레홈(75) 내에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 시일(91)은, 안쪽 둘레가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의 바깥 둘레면에 미끄럼 접촉하며, 바깥 둘레가 MC 실린더(32)의 둘레홈(75)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피스톤 시일(91)은, 프라이머리 피스톤(46) 및 MC 실린더(32)의 피스톤 시일(91)의 위치의 간극을 밀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은, 인풋 로드(21)로부터 입력이 없을 때, 포트(108)를 개구홈(92)에 개구시키는 비제동 위치에 있다. 피스톤 시일(91)은,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이 비제동 위치에 있을 때에,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의 포트(108)에 그 일부가 축 방향으로 랩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프라이머리 보급실(94) 및 포트(108)를 통해 프라이머리 압력실(56)과 리저버(25)가 연통하고 있다.
인풋 로드(21)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이 그 축 방향을 따라 실린더 바닥부(41)측으로 이동한다. 그 때,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은, MC 실린더(32)의 슬라이딩 내경부(70) 및 MC 실린더(32)에 유지된 피스톤 시일(91) 및 구획 시일(96)의 안쪽 둘레에서 슬라이딩한다. 실린더 바닥부(41)측으로 이동하면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은 포트(108)를 피스톤 시일(91)보다 실린더 바닥부(41)측에 위치시키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피스톤 시일(91)은, 리저버(25) 및 프라이머리 보급실(94)과, 프라이머리 압력실(56) 사이를 밀봉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이 실린더 바닥부(41)측으로 더욱 이동하면, 프라이머리 압력실(56) 내의 브레이크액이 가압된다. 프라이머리 압력실(56) 내에서 가압된 브레이크액은, 프라이머리 토출로(69)로부터 토출된다.
프라이머리 압력실(56) 내의 브레이크액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인풋 로드(21)로부터의 입력이 작아지면, 스프링 유닛(57)의 프라이머리 피스톤 스프링(59)의 편향력에 의해,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이 실린더 바닥부(41)와는 반대측으로 복귀하고자 한다. 이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의 이동에 의해 프라이머리 압력실(56)의 용적이 확대되어 가게 된다. 그 때, 프라이머리 토출로(69)를 통한 브레이크액의 복귀가 프라이머리 압력실(56)의 용적 확대를 따라잡지 못하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렇게 되면, 대기압인 프라이머리 보급실(94)의 액압과 프라이머리 압력실(56)의 액압이 같아진 후, 프라이머리 압력실(56) 내의 액압은 부압이 된다.
그렇게 되면, 이 프라이머리 압력실(56) 내의 부압이, 피스톤 시일(91)을 변형시켜 피스톤 시일(91)과 둘레홈(75)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프라이머리 보급실(94)의 브레이크액이, 이 간극을 통과하여, 프라이머리 압력실(56)에 보급되게 된다. 이에 의해, 프라이머리 압력실(56)의 액압을 부압 상태로부터 대기압으로 복귀시키는 속도를 빠르게 하도록 되어 있다. 즉, 피스톤 시일(91)은, 프라이머리 보급실(94)의 브레이크액이 프라이머리 압력실(56)에 흐르게 하는 것을 허용하고, 이와는 반대 방향의 브레이크액의 흐름을 규제하는 역지 밸브이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27)의 SS 실린더(33)에는, MC 실린더(32)의 실린더 구멍(40)과 평행한 실린더 구멍(12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SS 실린더(33)는, 실린더 바닥부(121)(시뮬레이터 실린더의 바닥부)와 실린더 벽부(122)를 가지고 있다. 실린더 바닥부(121)는, 실린더 구멍(120)의 깊이측에 있다. 실린더 벽부(122)는, 통형이며, 실린더 바닥부(121)로부터 실린더 바닥부(121)와는 반대측의 실린더 개구(123)까지 연장되어 있다. 마스터 실린더 유닛(12)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27)의 실린더 구멍(120)을 포함하는 SS 실린더(33)의 축선 방향이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배치되어 차량에 배치된다. 마스터 실린더 유닛(12)은, 실린더 바닥부(121)가 차량 전방을 향하는 자세로 차량에 배치된다. 실린더 구멍(40) 및 실린더 구멍(120)은, 실린더 부재(31)의 동일한 측면측으로부터 형성되어 있고, 서로의 중심 축선의 수평 방향 위치를 일치시키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실린더 구멍(40)의 중심 축선의 연직 하방에 실린더 구멍(120)의 중심 축선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SS 실린더(33)의 실린더 개구(123)는, MC 실린더(32)의 실린더 개구(43)와 축 방향의 위치를 일치시키고 있다. SS 실린더(33)의 실린더 바닥부(121)는, 축 방향의 위치를 MC 실린더(32)의 실린더 바닥부(41)보다 실린더 개구(43, 123)측으로 어긋나게 하고 있다.
실린더 벽부(122) 내의 실린더 바닥부(121)측에는, SS 피스톤(126)(시뮬레이터 피스톤)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SS 피스톤(126)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27)를 구성하는 것이며, 금속제이다. SS 피스톤(126)은 SS 실린더(33) 내를 슬라이딩한다. SS 실린더(33)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27)에 있어서, SS 피스톤(126)이 슬라이딩하는 부분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벽부(122) 내의 SS 피스톤(126)보다 실린더 개구(123)측에는, 도 4에도 나타내는 반력 발생 기구(127)가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력 발생 기구(127)는, 실린더 바닥부(121)를 향하여 SS 피스톤(126)을 편향시킨다.
실린더 벽부(122)의 안쪽 둘레부에는, 실린더 바닥부(121)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슬라이딩 내경부(130)와, 중간 내경부(131)와, 대직경 내경부(132)와, 암나사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내경부(130)는, 내경면이 원통면형이다. 중간 내경부(131)는, 내경면이 슬라이딩 내경부(130)보다 대직경의 원통면형이다. 대직경 내경부(132)는, 내경면이 중간 내경부(131)보다 대직경이다. 슬라이딩 내경부(130), 중간 내경부(131) 및 대직경 내경부(132)는, 각각의 내경면의 중심 축선을 일치시키고 있다. 이 중심 축선이 실린더 구멍(120) 및 실린더 벽부(122)의 중심 축선이 된다.
슬라이딩 내경부(130)에는, 복수의, 구체적으로는 2군데의 둘레홈(136), 둘레홈(137)이 실린더 바닥부(121)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둘레홈(136, 137)은, 모두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모두 원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둘레홈(136, 137)은, 슬라이딩 내경부(130)의 내경면보다 직경 방향 외측으로 움패는 형상이다.
실린더 벽부(122) 및 실린더 바닥부(121)의 경계 위치에는, 연통로(141)가 형성되어 있다. 연통로(141)는, 실린더 구멍(120)의 실린더 바닥부(121) 근방의 상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마스터 실린더(26)의 세컨더리 압력실(61) 내에 개구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연통로(141)는, 실린더 구멍(40)과 실린더 구멍(120)을 연통시킨다. 또한, 바꾸어 말하면, 스트로크 시뮬레이터(27)는, 연통로(141)를 통해 세컨더리 압력실(61)에 연통하고 있다. 연통로(141)는, 마스터 실린더(26)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27)를 연통시키고 있다. 연통로(141)는, 실린더 바닥부(121)에 접속되어 있다.
실린더 벽부(122)에는, 블리더 통로(142)가 형성되어 있다. 블리더 통로(142)는, 중간 내경부(131)의 슬라이딩 내경부(130)측의 상부에 개구하고 있다. 블리더 통로(142)는, 실린더 부재(31)의 외면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블리더 통로(142)의 이 부분에, 블리더 통로(142)를 개폐하는 도시 생략된 블리더 플러그가 고정되어 있다. 블리더 플러그는, 개방 상태에서 블리더 통로(142)를 외기에 개방하고, 폐쇄 상태에서 블리더 통로(142)를 외기에 대하여 차단한다. 블리더 통로(142)는, 도 1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워 모듈(13)에도 연통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형홈인 둘레홈(136) 내에는, 둘레홈(136)에 유지되도록, 원환형의 구획 시일(151)(시일 부재)이 배치되어 있다. 구획 시일(151)도 스트로크 시뮬레이터(27)를 구성한다. 구획 시일(151)은, SS 실린더(33)와 SS 피스톤(126) 중 SS 실린더(33)측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구획 시일(151)은, SS 실린더(33)와 SS 피스톤(126) 중 SS 피스톤(126)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SS 실린더(33)의 슬라이딩 내경부(130)의 둘레홈(136)보다 실린더 바닥부(121)측의 상부에는, 축방향 홈(152)(오목부)이 형성되어 있다. 축방향 홈(152)은, 둘레홈(136)에 개구하며 둘레홈(136)으로부터 직선형으로 실린더 바닥부(121)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축방향 홈(152)은, 슬라이딩 내경부(130)의 내경면보다 직경 방향 외방으로 움패는 오목부이다. 실린더 바닥부(12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바닥면 중 면적이 최대인 주바닥면(121a)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구멍(120)의 중심 축선에 직교하는 평탄한 면으로 되어 있다. 축방향 홈(152)은, 둘레홈(136)으로부터, 이 주바닥면(121a)의 위치보다 약간 실린더 개구(123)측이 되는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다.
SS 실린더(33)의 슬라이딩 내경부(130)에는, 그 실린더 개구(123)측의 단부의 근방에, 상기 둘레홈(137)이 형성되어 있다. 이 둘레홈(137) 내에는, 둘레홈(137)에 유지되도록, 원환형의 구획 시일(161)이 배치되어 있다. 구획 시일(161)은, SS 실린더(33)와 SS 피스톤(126) 중 SS 실린더(33)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획 시일(161)은, SS 실린더(33)와 SS 피스톤(126) 중 SS 피스톤(126)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구획 시일(151, 161) 중 구획 시일(151)은, 브레이크 페달(11)을 밟을 때의 인풋 로드(21), 프라이머리 피스톤(46) 및 세컨더리 피스톤(47)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 구획 시일(161)보다 앞쪽(전진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획 시일(161)은, 브레이크 페달(11)을 밟을 때의 인풋 로드(21), 프라이머리 피스톤(46) 및 세컨더리 피스톤(47)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 구획 시일(151)보다 뒤쪽(후퇴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SS 실린더(33)의 슬라이딩 내경부(130)의 둘레홈(137)보다 실린더 개구(123)측의 상부에는, 축방향 홈(165)이 형성되어 있다. 축방향 홈(165)은, 둘레홈(137)에 일단이 개구되며 둘레홈(137)으로부터 직선형으로 실린더 개구(123)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축방향 홈(165)은, 슬라이딩 내경부(130)의 내경면보다 직경 방향 외방으로 움패어 형성되어 있다.
축방향 홈(152)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내경부(130)의 중심 축선에 직교하는 면에서의 단면의 형상이, 원호형을 이루고 있다. 이 원호는, 슬라이딩 내경부(130)의 내경면보다 소직경이다. 축방향 홈(152)은, 원호의 중심이 슬라이딩 내경부(130)의 내경면의 중심에 대하여 오프셋되는 편심홈이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마찬가지로, 축방향 홈(165)도, 슬라이딩 내경부(130)의 중심 축선에 직교하는 면에서의 단면의 형상이, 슬라이딩 내경부(130)의 내경면보다 소직경인 원호형을 이루는 편심홈이다. 마스터 실린더(26)의 축방향 홈(85, 95)도, 슬라이딩 내경부(70)의 중심 축선에 직교하는 면에서의 단면의 형상이, 슬라이딩 내경부(70)의 내경면보다 소직경인 원호형을 이루는 편심홈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통로(141)는, 통로 구멍(501)과 오목부(502)와 통로 구멍(503)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로 구멍(501)은, 직선형이며, 실린더 구멍(40)으로부터 연직 방향 하방으로 연장된다. 통로 구멍(501)은, 단면 원형상이며, 세컨더리 토출로(68)와 동일 직선 상에, 형성되어 있다. 통로 구멍(501)은, 세컨더리 토출로(68)와 동축으로 그리고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세컨더리 토출로(68)와 통로 구멍(501)은, 1개의 드릴에 의한 한번의 천공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통로 구멍(501)도 세컨더리 토출로(68)와 마찬가지로, 중심 축선이 실린더 구멍(40)의 중심 축선에 직교한다.
오목부(50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방향 홈(152)의 직경보다 약간 소직경인 단면 원형상이다. 오목부(50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구멍(120)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502)는, 축방향 홈(152)의 단부면(152a) 및 실린더 바닥부(121)의 주바닥면(121a)보다 실린더 개구(123)와는 반대측으로 움패어 있다. 오목부(502)의 중심 축선은, 슬라이딩 내경부(130)의 내경면의 중심 축선 및 축방향 홈(152)의 중심 축선과 수평 방향의 위치를 중첩시키고 있다. 오목부(502)의 중심 축선은, 실린더 개구(123)로부터 멀어질수록 마스터 실린더(26)의 실린더 구멍(40)의 중심 축선에 근접하도록 실린더 구멍(120)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오목부(502)는, 실린더 개구(123)로부터 삽입되는 엔드밀 컷터에 의해 형성된다. 오목부(502)의 바닥면(502a)은 오목부(502)의 중심 축선에 직교한다.
통로 구멍(503)은, 직선형이며, 오목부(502)의 상부로서 바닥면(502a)으로부터 실린더 개구(123)와는 반대측으로 연장된다. 통로 구멍(503)은, 통로 구멍(501)에 연통한다. 통로 구멍(503)은, 단면 원형상이다. 통로 구멍(503)은, 그 중심 축선이, 슬라이딩 내경부(130)의 내경면의 중심 축선 및 축방향 홈(152)의 중심 축선과 수평 방향의 위치를 중첩시키고 있다. 통로 구멍(503)의 중심 축선은, 오목부(502)의 중심 축선과 평행으로 되어 있다. 즉, 통로 구멍(503)의 중심 축선은, 실린더 개구(123)로부터 멀어질수록 마스터 실린더(26)의 실린더 구멍(40)의 중심 축선에 근접하도록 실린더 구멍(120)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통로 구멍(503)은, 실린더 개구(123)로부터 삽입되는 드릴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이때, 드릴은, 그 선단부가 통로 구멍(501)의 범위 내까지 전진하고 나서 후퇴한다.
여기서, 실린더 구멍(120)의 중심 축선은 수평으로 배치된다. 이 때문에, 오목부(502) 및 통로 구멍(503)은, 실린더 개구(123)로부터 멀어질수록 연직 방향 상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축방향 홈(152)은, 오목부(502)에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축방향 홈(152)은, 오목부(502) 및 통로 구멍(501, 503)으로 이루어지는 연통로(141)에 연통하고 있다. 연통로(141)가 접속되어 있는 실린더 바닥부(121)는, 연통로(141)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비해서, SS 실린더(33)의 축 방향으로 움패어 있다. 연통로(141)가 접속되어 있는 실린더 바닥부(121)는, 이것에 형성된 연통로(141)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SS 피스톤(126)은, 원통형부(171)와, 원통형부(171)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위치에 형성된 피스톤 바닥부(172)(시뮬레이터 피스톤 바닥부)와, 피스톤 바닥부(172)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73)를 가지고 있다. 피스톤 바닥부(172)는, 원통형부(171)의 축 방향의 중앙보다 일측으로 어긋나 있다. 돌출부(173)는, 원통형부(171)의 중앙에 대하여 피스톤 바닥부(172)가 어긋난 방향으로, 피스톤 바닥부(172)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원통형부(171)의 돌출부(173)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개구된 피스톤 개구(171b)(시뮬레이터 피스톤의 개구부)로 되어 있다. SS 피스톤(126)은, 바닥을 갖는 통형, 바꾸어 말하면 플런저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SS 피스톤(126)은, 그 원통형부(171)가, SS 실린더(33)의 슬라이딩 내경부(130), 슬라이딩 내경부(130)에 마련된 구획 시일(151, 161) 각각에 감합되어 있다. SS 피스톤(126)은, 이들에 의해 안내되어 SS 실린더(33) 내를 슬라이딩한다. 그 때, 구획 시일(151, 161)은, 모두, SS 실린더(33)의 안쪽 둘레와 SS 피스톤(126)의 바깥 둘레 사이를 환형으로 시일한다. 구획 시일(151, 161)은, SS 피스톤(126)의 바깥 둘레부와 SS 실린더(33)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SS 피스톤(126)은, 그 피스톤 개구(171b)가 실린더 바닥부(121)와 대향하도록 SS 실린더(33)에 배치되어 있다. SS 피스톤(126)은, 피스톤 바닥부(172)가 원통형부(171)의 축 방향의 중앙보다 실린더 개구(123)측에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73)는 피스톤 바닥부(172)로부터 실린더 개구(123)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구획 시일(151)은, SS 피스톤(126)에 있어서의, 피스톤 바닥부(172)측과 피스톤 개구(171b)측을 구획한다. SS 실린더(33)에는, 그 실린더 바닥부(121)보다 피스톤 바닥부(172)측의 일부에, 축방향 홈(152)이 마련되어 있다. 축방향 홈(152)은, SS 실린더(33)에 있어서 피스톤 개구(171b)측보다 직경 방향 외측으로 움패는 오목부이다. 축방향 홈(152)은, 구획 시일(151)로부터 실린더 바닥부(121)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SS 피스톤(126)에는 원통형부(171)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포트류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S 피스톤(126)은, 원통형부(171)의 실린더 바닥부(121)측의 단부면(171a)이 축 직교 방향을 따르는 평탄면이며, 원환형이다. SS 피스톤(126)은, 이 단부면(171a)에서 실린더 바닥부(121)의 주바닥면(121a)에 면접촉으로 접촉한다. 오목부(502)의 주바닥면(121a)과의 경계의 단부 가장자리(502b)는, SS 피스톤(126)의 원통형부(171)의 단부면(171a)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 방향으로 횡단하는 위치에 있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S 피스톤(126)이 실린더 바닥부(121)에 접촉하는 상태에 있어도, 오목부(502)를 포함하는 연통로(141)는, SS 피스톤(126)의 안쪽 둘레측과 바깥 둘레측에 동시에 개구하여 연통하고 있다. 그 결과, SS 피스톤(126)이 실린더 바닥부(121)에 접촉하는 상태에 있어도, 연통로(141)는, 축방향 홈(152)과 원통형부(171) 내를 연통시킨다. 즉, 오목부(502)를 포함하는 연통로(141)는, SS 피스톤(126)의 위치에 관계없이 SS 피스톤(126)의 안쪽 둘레측과 바깥 둘레측에 항상 연통한다. 연통로(141)는, 축방향 홈(152)과 원통형부(171) 내를 항상 연통시킨다. 여기서, 통로 구멍(503)의 오목부(502)의 바닥면(502a)과의 경계가 단부 가장자리(503a)이다. 단부 가장자리(503a)도, SS 피스톤(126)의 원통형부(171)의 단부면(171a)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 방향으로 횡단하는 위치에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502) 및 통로 구멍(503)은, 실린더 개구(123)로부터 멀어질수록 연직 방향 상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통로 구멍(501)은, 통로 구멍(503)으로부터 연직 방향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연통로(141)는, 실린더 바닥부(121)로부터 세컨더리 압력실(61)을 향함에 따라 연직 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도 5에 나타내는 연통로(141)는, 실린더 바닥부(121)에, 오목부(502)와 통로 구멍(503)과 통로 구멍(501)을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 바닥부(121)는, SS 실린더(33)에 있어서 SS 피스톤(126)의 선단부에 대향하는 대향부이다. 실린더 바닥부(121)는, SS 피스톤(126)의 개구부(171b)에 대향한다. 오목부(502)는, SS 피스톤(126)의 선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패어 마련되어 있다. 통로 구멍(503)은, 오목부(502)로부터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통로 구멍(501)은, 일단이 MC 실린더(32)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통로 구멍(503)에 연결되어 있으며, 직선형이다. 연통로(141)는, 피스톤 개구(171b)의 바깥 둘레부와 안쪽 둘레부를 걸쳐 개구되어 있고, 실린더 바닥부(121)에 접속되어 있다. 통로 구멍(501)은, MC 실린더(32)에 수직이 아니라, 수직에 대하여 약간 경사져 있어도 좋다. 즉, 통로 구멍(501)은, MC 실린더(32)에 대략 수직으로 연결되면 좋다.
여기서, 실린더 바닥부(121) 및 실린더 벽부(122)의 실린더 바닥부(121)측과 SS 피스톤(126)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SS 압력실(181)로 되어 있다. SS 압력실(181)은, 연통로(141)를 통해 마스터 실린더(26)의 세컨더리 압력실(61)에 연통한다. 이에 의해, SS 압력실(181)은, SS 피스톤(126)의 움직임에 따라 압력이 변화한다. 축방향 홈(152)은, 이 SS 압력실(181)의 천장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연통로(141)는, MC 실린더(32) 및 SS 실린더(33) 양자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연통로(141)는, SS 압력실(181)의 전체를 세컨더리 압력실(61)에 항시 연통시키고 있다. 연통로(141)는, 실린더 바닥부(121)로부터 SS 압력실(181)의 상부에 개구하고 있다. 연통로(141)는, 오목부(502)에 있어서 실린더 바닥부(121)에 있어서의 연직 상방측의 일부의 영역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연통로(141)는, 실린더 바닥부(121)에 있어서의 일부의 영역에 개구되는 것 이외에, 실린더 바닥부(121)의 전체에 개구되어 있어도 좋다. 혹은, 실린더 바닥부(121)의 일부에 전체 직경에 걸쳐 개구되어 있어도 좋다. SS 피스톤(126)은, SS 압력실(181)을 구획하고 있다. SS 피스톤(126)이, SS 압력실(181) 내의 브레이크액, 세컨더리 압력실(61) 내의 브레이크액, 도 2에 나타내는 세컨더리 피스톤(47), 프라이머리 압력실(56)의 브레이크액, 프라이머리 피스톤(46) 및 인풋 로드(21)를 통해, 도 1에 나타내는 브레이크 페달(11)의 답력에 따른 반력을 브레이크 페달(11)에 부여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S 실린더(33)의 둘레홈(136)에 유지되는 구획 시일(151)은, 합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일체 성형품이다. 구획 시일(151)은, 그 중심선을 포함하는 직경 방향 단면의 편측 형상이 C자형인 컵 시일이다. 구획 시일(151)은, 립 부분이 실린더 바닥부(121)측을 향한 상태로 둘레홈(136) 내에 배치되어 있다. 구획 시일(151)은, 안쪽 둘레가, SS 피스톤(126)의 바깥 둘레면에 미끄럼 접촉하며, 바깥 둘레가 SS 실린더(33)의 둘레홈(136)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구획 시일(151)은, SS 피스톤(126) 및 SS 실린더(33)의 구획 시일(151)의 위치의 간극을 항시 밀봉한다.
SS 실린더(33)의 둘레홈(137)에 유지되는 구획 시일(161)은, 합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일체 성형품이다. 구획 시일(161)은, 그 중심선을 포함하는 직경 방향 단면의 편측 형상이 E자형인 컵 시일이다. 구획 시일(161)은, 립 부분이 실린더 개구(123)측을 향한 상태로 둘레홈(137) 내에 배치되어 있다. 구획 시일(161)은, 안쪽 둘레가 SS 피스톤(126)의 바깥 둘레면에 미끄럼 접촉하며, 바깥 둘레가 SS 실린더(33)의 둘레홈(137)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구획 시일(161)은, SS 피스톤(126) 및 SS 실린더(33)의 구획 시일(161)의 위치의 간극을 항시 밀봉한다.
반력 발생 기구(127)는, 금속제의 덮개 부재(191)와, 고무제의 시일 부재(192)와, 탄성 부재인 완충 부재(193)를 가지고 있다. 덮개 부재(191)는, SS 실린더(33)의 대직경 내경부(132)에 감합하면서 암나사부(133)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시일 부재(192)는, 덮개 부재(191)에 유지되어 있고, 덮개 부재(191)와 SS 실린더(33)의 대직경 내경부(132)의 간극을 밀봉한다. 완충 부재(193)는, 덮개 부재(191)에 장착되어 있다.
덮개 부재(191)는, 감합부(195)와 돌출부(196)를 가지고 있다. 감합부(195)는, SS 실린더(33)에 감합되어 있다. 돌출부(196)는, 감합부(195)보다 소직경의 외경이며, 감합부(195)로부터 실린더 바닥부(121)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감합부(195)의 바깥 둘레측에는, 수나사부(197)와 감합 외경부(198)와 둘레홈(199)이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197)는, 암나사부(133)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감합 외경부(198)는, 대직경 내경부(132)에 감합하고 있다. 둘레홈(199)은, 감합 외경부(198)의 외경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방으로 움패어 있으며, 환형으로 되어 있다. 둘레홈(199)에 O링인 시일 부재(192)가 배치되어 있다. 감합부(195)의 직경 방향 중앙에는, 결합 오목부(200)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 오목부(200)는, 감합부(195)의 실린더 바닥부(121)와는 반대측의 단부면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움패어 있다. 결합 오목부(200)에는, 감합부(195)의 수나사부(197)를 SS 실린더(33)의 암나사부(133)에 나사 결합시킬 때에, 육각 렌치 등의 나사 결합 공구가 결합된다.
돌출부(196)에는, 그 직경 방향 중앙의 실린더 바닥부(121)측에, 오목부(201)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01)는, 돌출부(196)의 실린더 바닥부(121)측의 선단면으로부터 실린더 바닥부(121)와는 반대측으로 움패어 있다. 이 오목부(201) 내에, 탄성 부재인 원기둥형의 완충 부재(193)가 감합 고정되어 있다. 완충 부재(193)는, 오목부(201)의 바닥면에 접촉한 상태에 있을 때, 돌출부(196)의 선단면보다 실린더 바닥부(121)측으로 돌출한다.
반력 발생 기구(127)는, 금속제의 스프링(206)과, 금속제의 리테이너(207)와, 금속제의 스프링 유닛(208)과, 탄성 부재인 완충 부재(209)를 가지고 있다. 스프링(206)은, 돌출부(196)를 내측에 삽입시킨 상태로 감합부(195)에 일단이 접촉하고 있다. 리테이너(207)는, 스프링(206)의 타단에 접촉하고 있다. 스프링 유닛(208)은, 리테이너(207)와 SS 피스톤(126)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완충 부재(209)는, 스프링 유닛(208)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206)은, 편향력을 발생시키는 편향 기구이며, 코일 스프링이다. 리테이너(207)는, 덮개부(221)와 몸통부(222)와 플랜지부(223)를 가지고 있다. 덮개부(221)는, 원판형이다. 몸통부(222)는, 덮개부(221)의 바깥 둘레 가장자리부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원통형이다. 플랜지부(223)는, 몸통부(222)의 덮개부(221)와는 반대측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몸통부(222)보다 직경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원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207)는, 플랜지부(223)가 스프링(206)의 단부에 접촉하여 이에 결합된다.
스프링 유닛(208)은, 리테이너(226)와 스프링(227)을 가지고 있다. 리테이너(226)는, 미리 정해진 범위에서 신축 가능하다. 스프링(227)은, 리테이너(226)를 신장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기구이며, 코일 스프링이다. 리테이너(226)는, 스프링(227)의 신장을, 그 최대 길이가 미리 정해진 길이를 넘지 않도록 규제한다.
리테이너(226)는, 결합 부재(231)와, 가이드축(232)과, 결합 부재(233)를 가지고 있다. 결합 부재(231)는, 원판형이며, 스프링(227)의 일단에 접촉하여 이에 결합된다. 가이드축(232)은, 결합 부재(231)의 직경 방향의 중앙에 고정되어 결합 부재(231)로부터 스프링(227) 내에 연장된다. 가이드축(232)은, 축부(236)와 플랜지부(237)를 가지고 있다. 축부(236)는, 결합 부재(231)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플랜지부(237)는, 축부(236)의 결합 부재(231)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축부(236)보다 직경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 부재(233)는, 슬라이딩부(241)와 몸통부(242)와 플랜지부(243)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딩부(241)는, 가이드축(232)의 축부(236)에 감합되어 축부(236) 상에서 슬라이딩한다. 몸통부(242)는, 슬라이딩부(241)로부터 결합 부재(231)와는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통형이다. 플랜지부(243)는, 몸통부(242)의 슬라이딩부(241)와는 반대측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몸통부(242)보다 직경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 부재(233)는, 플랜지부(243)가 스프링(227)의 타단에 접촉하여 이에 결합된다. 리테이너(226)는, 결합 부재(233)의 슬라이딩부(241)가 가이드축(232)의 플랜지부(237)에 접촉함으로써, 스프링(227)의 신장을 규제한다.
스프링 유닛(208)은, 결합 부재(231)가 리테이너(207) 내에 삽입되어 리테이너(207)의 덮개부(221)에 접촉하고 있다. 스프링 유닛(208)은, 결합 부재(233)가 몸통부(242) 내에 돌출부(173)를 감합시킨 상태로 플랜지부(243)를 SS 피스톤(126)의 피스톤 바닥부(172)에 접촉시키고 있다. 완충 부재(209)는, 탄성 부재로서 원통형이다. 완충 부재(209)는, SS 피스톤(126)의 돌출부(173)와 가이드축(232)의 플랜지부(237)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결합 부재(233)의 몸통부(242) 내에 수용되어 있다.
SS 피스톤(126)과, SS 실린더(33)의 실린더 벽부(122)와, 덮개 부재(191)로 둘러싸인 부분이 스프링실(245)을 구성하고 있다. 스프링실(245)도 스트로크 시뮬레이터(27)를 구성한다. 스프링실(245)은, 도 2에 나타내는 구획 시일(151, 161)에 의해 SS 압력실(181)과 구획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스프링실(245) 내에, 반력 발생 기구(127)의 완충 부재(193), 스프링(206), 리테이너(207), 스프링 유닛(208) 및 완충 부재(209)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실(245)에는, 스프링(206, 227)이 배치되어 있다. SS 실린더(33)의 블리더 통로(142)는, 이 스프링실(245)에 연통하고 있다. 스프링실(245)은, 이 스프링실(245)을 외기에 대하여 개폐시키는 도시 생략된 블리더 플러그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실(245)은, 파워 모듈(13)에 연통되어 있다. SS 실린더(33)의 축방향 홈(165)은, 일단이 둘레홈(137) 내에 개구되며 타단이 스프링실(245)에 개구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S 피스톤(126)이 SS 실린더(33)의 실린더 바닥부(121)에 접촉한 상태에 있을 때, 스프링 유닛(208)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축소되면서 일단이 SS 피스톤(126)의 피스톤 바닥부(172)에 접촉하고, 타단이 리테이너(207)의 덮개부(221)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이 상태로, 스프링(206)은, 일단이 리테이너(207)의 플랜지부(223)에 접촉하고, 타단이 SS 실린더(33)에 고정된 덮개 부재(191)의 감합부(195)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이 상태로, 완충 부재(193)는, 리테이너(207)의 덮개부(221)로부터 이격되고, 완충 부재(209)는 스프링 유닛(208)의 가이드축(232)의 플랜지부(237)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스프링(206, 227)은, SS 피스톤(126)을 도 2에 나타내는 실린더 바닥부(121)의 방향으로 편향시키고 있다.
구획 시일(151)은, SS 실린더(33) 및 SS 피스톤(126) 중 SS 실린더(33)측에 마련된다. 그와 함께, 구획 시일(151)은, SS 피스톤(126)의 구획 시일(161)보다 스프링(206, 227)과는 반대측에 배치된다. 구획 시일(161)은, SS 실린더(33) 및 SS 피스톤(126) 중 SS 실린더(33)측에 마련된다. 그와 함께, 구획 시일(161)은, SS 피스톤(126)의 구획 시일(151)보다 스프링(206, 227)측에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브레이크 페달(11)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이 실린더 바닥부(41)측으로 이동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은, 프라이머리 압력실(56) 내의 브레이크액을 가압한다. 프라이머리 압력실(56) 내에서 가압된 브레이크액은, 프라이머리 토출로(69)로부터 파워 모듈(13)에 송출되게 된다. 그러나, 파워 모듈(13)은, 정상 상태에서는 프라이머리 토출로(69)로부터의 액압을 차단하고 있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11)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26)의 프라이머리 피스톤(46)이 실린더 바닥부(41)측으로 이동하면, 스프링 유닛(57)을 통해 이 프라이머리 피스톤(46)에 압박되어 세컨더리 피스톤(47)이 실린더 바닥부(41)측으로 이동한다. 그렇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세컨더리 피스톤(47)은, 세컨더리 압력실(61) 내의 브레이크액을 가압한다. 세컨더리 압력실(61) 내에서 가압된 브레이크액은, 세컨더리 토출로(68)로부터 파워 모듈(13)에 송출되게 된다. 그러나, 파워 모듈(13)은, 정상 상태에서는 세컨더리 토출로(68)로부터의 액압을 차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세컨더리 압력실(61) 내의 가압된 브레이크액은, 연통로(141)를 통해 스트로크 시뮬레이터(27)의 SS 압력실(181) 내에 도입되어, SS 압력실(181) 내의 브레이크액을 가압한다.
그렇게 되면, SS 피스톤(126)이 실린더 바닥부(1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즉 덮개 부재(19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렇게 되면, SS 피스톤(126)은, 먼저, 도 4에 나타내는 스프링 유닛(208)의 스프링(227)을 그 편향력에 대항하여 길이 축소시킨다. 그 때, 도 1에 나타내는 브레이크 페달(11)에는, 도 4에 나타내는 스프링(227)의 길이 축소에 따른 반력이 부여된다. 다음에, SS 피스톤(126)은, 스프링(227)을 길이 축소 상태인 채로, 완충 부재(209)를 가이드축(232)의 플랜지부(237)에 접촉시키고, 완충 부재(209)를 그 편향력에 대항하여 길이 축소시킨다. 그 때, 도 1에 나타내는 브레이크 페달(11)에는, 도 4에 나타내는 스프링(227) 및 완충 부재(209)의 길이 축소에 따른 반력이 부여된다. 다음에, SS 피스톤(126)은, 스프링(227) 및 완충 부재(209)를 길이 축소 상태인 채로, 스프링(206)을 그 편향력에 대항하여 길이 축소시킨다. 그 때, 도 1에 나타내는 브레이크 페달(11)에는, 도 4에 나타내는 스프링(227), 완충 부재(209) 및 스프링(206)의 길이 축소에 따른 반력이 부여된다. 다음에, SS 피스톤(126)은, 스프링(227), 완충 부재(209) 및 스프링(206)을 길이 축소 상태인 채로, 리테이너(207)를 완충 부재(193)에 접촉시키고, 완충 부재(193)를 그 편향력에 대항하여 길이 축소시킨다. 그 때, 도 1에 나타내는 브레이크 페달(11)에는, 도 4에 나타내는 스프링(227), 완충 부재(209), 스프링(206) 및 완충 부재(193)의 길이 축소에 따른 반력이 부여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트로크 시뮬레이터(27)가, 도 1에 나타내는 브레이크 페달(11)의 답력에 따른 반력을 브레이크 페달(11)에 부여하여 유사 조작감을 발생시킨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S 피스톤(126)에 대하여 마련된 구획 시일(151, 161) 중 구획 시일(161)은, 브레이크 페달(11)을 밟을 때의 SS 피스톤(126)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 구획 시일(151)보다 앞쪽(전진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획 시일(151)은, 브레이크 페달(11)을 밟을 때의 SS 피스톤(126)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 구획 시일(161)보다 뒤쪽(후퇴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파워 모듈(13)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로(301)와 통로(302)와 통로(303)와 통로(304)와 통로(305)를 가지고 있다. 통로(301)는, 외단의 연통구(301a)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마스터 실린더(26)의 프라이머리 토출로(69)에 연통하고 있다. 통로(302)는, 통로(301)의 단말의 위치(301b)로부터 분기하여 제동용 실린더(15FR)에 연통하고 있다. 통로(303)는, 통로(302)의 위치(302a)로부터 분기하여 제동용 실린더(15RL)에 연통하고 있다. 통로(304)는, 통로(301)의 위치(301b)로부터 분기하여 제동용 실린더(15RR)에 연통하고 있다. 통로(305)는, 통로(301)의 위치(301b)로부터 분기하여 제동용 실린더(15FL)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파워 모듈(13)은, 통로(308)와 통로(309)와 통로(310)와 통로(311)와 통로(312)를 가지고 있다. 통로(308)는, 외단의 연통구(308a)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마스터 실린더(26)의 세컨더리 토출로(68)에 연통하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단이 통로(302)의 위치(302a)에 연통하고 있다. 통로(309)는, 통로(302)의 위치(302b)로부터 분기하여 외단의 연통구(309a)에서 도 1에 나타내는 리저버(25)에 연통하고 있다. 통로(310)는, 통로(303)의 위치(303a)로부터 분기하여 통로(309)의 위치(309b)에 연통하고 있다. 통로(311)는, 통로(304)의 위치(304a)로부터 분기하여 통로(310)의 위치(310a)에 연통하고 있다. 통로(312)는, 통로(305)의 위치(305a)로부터 분기하여 통로(311)의 위치(311a)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파워 모듈(13)은, 통로(315)와 통로(316)와 통로(317)를 가지고 있다. 통로(315)는, 통로(309)의 연통구(309a)와 위치(309b) 사이의 위치(309c)로부터 분기하여, 통로(302)의 위치(302a)와 위치(301b) 사이의 위치(302c)에 연통하고 있다. 통로(315)는, 또한 통로(311)의 위치(311a)와 위치(310a) 사이의 위치(311b)에 연통하고 있다. 통로(316)는, 통로(302)의 위치(302a)와 위치(302b) 사이의 위치(302d)로부터 분기하여 통로(309)의 위치(309b)와 위치(309c) 사이의 위치(309d)에 연통하고 있다. 통로(317)는, 통로(316)의 위치(316a)로부터 분기하여 외단의 연통구(317a)에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리더 통로(142)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파워 모듈(13)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밸브(321)와 개폐 밸브(322)와 개폐 밸브(323)와 개폐 밸브(324)를 가지고 있다. 개폐 밸브(321)는, 통로(301)의 중간 위치에 마련되어 있고, 통로(301)를 개폐한다. 개폐 밸브(322)는, 통로(302)의 위치(301b)와 위치(302c)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통로(302)를 개폐한다. 개폐 밸브(323)는, 통로(302)의 위치(302a)와 위치(302c)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통로(302)를 개폐한다. 개폐 밸브(324)는, 통로(302)의 위치(302b)와 위치(302d)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통로(302)를 개폐한다.
또한, 파워 모듈(13)은, 개폐 밸브(325)와 개폐 밸브(326)와 개폐 밸브(327)를 가지고 있다. 개폐 밸브(325)는, 통로(303)의 위치(302a)와 위치(303a)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통로(303)를 개폐한다. 개폐 밸브(326)는, 통로(304)의 위치(301b)와 위치(304a)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통로(304)를 개폐한다. 개폐 밸브(327)는, 통로(305)의 위치(301b)와 위치(305a)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통로(305)를 개폐한다.
또한, 파워 모듈(13)은, 개폐 밸브(330)와 개폐 밸브(331)와 개폐 밸브(332)와 개폐 밸브(333)와 개폐 밸브(334)를 가지고 있다. 개폐 밸브(330)는, 통로(308)의 중간 위치에 마련되어 있고, 통로(308)를 개폐한다. 개폐 밸브(331)는, 통로(309)의 위치(302b)와 위치(309b)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통로(309)를 개폐한다. 개폐 밸브(332)는, 통로(310)의 위치(303a)와 위치(310a)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통로(310)를 개폐한다. 개폐 밸브(333)는, 통로(311)의 위치(304a)와 위치(311a)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통로(311)를 개폐한다. 개폐 밸브(334)는, 통로(312)의 위치(305a)와 위치(311a)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통로(312)를 개폐한다.
또한, 파워 모듈(13)은, 리저버(337)와 펌프(339)를 가지고 있다. 리저버(337)는, 통로(315)의 위치(309c)와 위치(302c) 사이에 마련되고, 도 1에 나타내는 마스터 실린더 유닛(12)의 리저버(25)에 연통하여 브레이크액을 저장한다. 도 6에 나타내는 펌프(339)는, 모터(338)로 구동되어 리저버(337)로부터 브레이크액을 흡인하여 위치(302c)를 향하여 토출한다. 펌프(339)는 리저버(337)보다 위치(302c)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파워 모듈(13)은, 개폐 밸브(340)와 개폐 밸브(341)와 개폐 밸브(342)를 가지고 있다. 개폐 밸브(340)는, 통로(315)의 위치(302c)와 위치(311b)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통로(315)를 개폐한다. 개폐 밸브(341)는, 통로(316)의 위치(302d)와 위치(316a)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통로(316)를 개폐한다. 개폐 밸브(342)는, 통로(316)의 위치(316a)와 위치(309d)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통로(316)를 개폐한다.
여기서, 개폐 밸브(321, 324, 325, 326, 327, 330, 340)는, 전기적으로 구동되지 않는 비구동 상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 상태이고, 전기적으로 구동된 구동 상태에서 폐쇄 상태가 된다. 또한, 개폐 밸브(322, 323, 331, 332, 333, 334, 341, 342)는, 전기적으로 구동되지 않는 비구동 상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쇄 상태이고, 전기적으로 구동된 구동 상태에서 개방 상태가 된다.
파워 모듈(13)은, 바이패스 통로(345)와 역지 밸브(346)와 바이패스 통로(347)와 역지 밸브(348)와 바이패스 통로(349)와 역지 밸브(350)를 가지고 있다. 바이패스 통로(345)는, 개폐 밸브(324)를 바이패스하여 통로(302)의 위치(302b)와 위치(302d)를 접속시키고 있다. 역지 밸브(346)는, 바이패스 통로(345)에 마련되어 있고, 위치(302b)로부터 위치(302d)측으로의 브레이크액의 흐름만을 허용한다. 바이패스 통로(347)는, 개폐 밸브(325)를 바이패스하여 통로(303)의 위치(303a)와 위치(302a)를 접속시키고 있다. 역지 밸브(348)는, 바이패스 통로(347)에 마련되어 있고, 위치(303a)로부터 위치(302a)측으로의 브레이크액의 흐름만을 허용한다. 바이패스 통로(349)는, 개폐 밸브(326)를 바이패스하여 통로(304)의 위치(304a)와 위치(301b)를 접속시키고 있다. 역지 밸브(350)는, 바이패스 통로(349)에 마련되어 있고, 위치(304a)로부터 위치(301b)측으로의 브레이크액의 흐름만을 허용한다.
또한, 파워 모듈(13)은, 바이패스 통로(351)와 역지 밸브(352)와 바이패스 통로(353)와 역지 밸브(354)와 바이패스 통로(355)와 역지 밸브(356)를 가지고 있다. 바이패스 통로(351)는, 개폐 밸브(327)를 바이패스하여 통로(305)의 위치(305a)와 위치(301b)를 접속시키고 있다. 역지 밸브(352)는, 바이패스 통로(351)에 마련되어 있고, 위치(305a)로부터 위치(301b)측으로의 브레이크액의 흐름만을 허용한다. 바이패스 통로(353)는, 개폐 밸브(341)를 바이패스하여 통로(316)의 위치(316a)와 위치(302d)를 접속시키고 있다. 역지 밸브(354)는, 바이패스 통로(353)에 마련되어 있고, 위치(316a)로부터 위치(302d)측으로의 브레이크액의 흐름만을 허용한다. 바이패스 통로(355)는, 개폐 밸브(342)를 바이패스하여 통로(316)의 위치(316a)와 위치(309d)를 접속시키고 있다. 역지 밸브(356)는, 바이패스 통로(355)에 있어서 위치(309d)로부터 위치(316a)로의 브레이크액의 흐름만을 허용한다.
또한, 파워 모듈(13)은, 압력 센서(357)와 압력 센서(358)와 압력 센서(359)와 압력 센서(360)를 가지고 있다. 압력 센서(357)는, 통로(302)의 위치(302d)에 접속되어 있고, 이 부분의 압력을 검출한다. 압력 센서(358)는, 통로(305)의 위치(301b)와 개폐 밸브(327) 및 역지 밸브(352) 사이에 접속되어 있고, 이 부분의 압력을 검출한다. 압력 센서(359)는, 통로(308)의 연통구(308a)와 개폐 밸브(330) 사이에 접속되어 있고, 이 부분의 압력을 검출한다. 압력 센서(360)는, 통로(315)의 펌프(339)와 위치(302c) 사이에 접속되어 있고, 이 부분의 압력을 검출한다.
브레이크 장치(10)는, 전원이 정상적인 상태에서 운전자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11)이 밟히면, 인풋 로드(21)가 마스터 실린더(26)의 실린더 바닥부(41)측으로 이동한다. 그렇게 되면, 스트로크 센서(22)가 이 인풋 로드(21)의 이동을 검출한다. 이 검출에 의해, 파워 모듈(13)의 개폐 밸브(321, 330)가 전기적으로 구동되어 폐쇄 상태가 되고, 개폐 밸브(322, 323)가 전기적으로 구동되어 개방 상태가 되고, 개폐 밸브(340)가 전기적으로 구동되어 폐쇄 상태가 된다. 여기서, 브레이크 페달(11)을 통상으로 밟을 때에는, 개폐 밸브(342)가 전기적으로 구동되어 개방 상태가 된다. 브레이크 페달(11)을 급하게 밟을 때에는, 개폐 밸브(342)를 전기적으로 구동하지 않고 폐쇄 상태로 한다.
개폐 밸브(321, 3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폐쇄 상태가 됨으로써, 통로(301) 및 통로(308)를 폐색한다. 그렇게 되면, 개폐 밸브(321, 330)는, 마스터 실린더(26)의 세컨더리 토출로(68) 및 프라이머리 토출로(69)로부터의 브레이크액의 제동용 실린더(15FR, 15RL, 15RR, 15FL)로의 공급을 차단한다. 이에 의해, 인풋 로드(21)의 이동에 따라, 프라이머리 피스톤(46) 및 세컨더리 피스톤(47)가 실린더 바닥부(41)측으로 이동하면, 세컨더리 압력실(61)의 브레이크액이, 연통로(141)를 통해 스트로크 시뮬레이터(27)의 SS 압력실(181)에 도입된다. 그 결과, SS 압력실(181)의 액압이, 상승하여 SS 피스톤(126)을 덮개 부재(191)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스프링 유닛(208)의 스프링(227), 완충 부재(209), 스프링(206) 및 완충 부재(193)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11)의 답력에 따른 반력을 브레이크 페달(11)에 부여하여 유사 조작감을 발생시킨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개폐 밸브(322, 323)가 전기적으로 구동되어 개방 상태가 되고, 개폐 밸브(340)가 전기적으로 구동되어 폐쇄 상태가 됨으로써, 펌프(339)가, 제동용 실린더(15FR, 15RL, 15RR, 15FL)에 연통하게 된다. 그 때, 펌프(339)는, 통로(315)의 펌프(339)로부터 위치(302c)까지의 부분과, 통로(302∼305)를 통해 제동용 실린더(15FR, 15RL, 15RR, 15FL)에 연통한다. 그리고, 스트로크 센서(22)가 검출한 인풋 로드(21)의 이동량 등에 기초하여, 모터(338)를 구동시킨다. 그렇게 되면, 펌프(339)가, 리저버(337) 및 리저버(25)로부터 브레이크액을 흡인하여 토출한다. 토출된 브레이크액은, 통로(315)로부터, 위치(302c)와 제동용 실린더(15FR) 사이의 통로(302)를 통해 제동용 실린더(15FR)에 공급된다. 또한, 토출된 브레이크액은, 통로(315)로부터, 위치(302c)와 위치(302a) 사이의 통로(302)와 통로(303)를 통해 제동용 실린더(15RL)에 공급된다. 또한, 토출된 브레이크액은, 통로(315)로부터, 위치(302c)와 위치(301b) 사이의 통로(302)와 통로(304)를 통해 제동용 실린더(15RR)에 공급된다. 또한, 토출된 브레이크액은, 통로(315)로부터, 위치(302c)와 위치(301b) 사이의 통로(302)와 통로(305)를 통해 제동용 실린더(15FL)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동용 실린더(15FR, 15RL, 15RR, 15FL)를 가압한다. 이에 의해, 차륜에 브레이크가 걸린다.
여기서, 전원 실함 시에는, 파워 모듈(13)의 개폐 밸브(321, 330)가 전기적으로 구동되지 않고 개방 상태가 된다. 따라서, 개폐 밸브(321, 330)는, 통로(301) 및 통로(308)를 개방하고 있다. 또한, 개폐 밸브(322, 323, 341)가 폐쇄 상태에 있고, 개폐 밸브(324∼327)가 개방 상태에 있고, 개폐 밸브(331∼334, 342)가 폐쇄 상태에 있다. 따라서, 마스터 실린더(26)의 프라이머리 압력실(56)로부터 프라이머리 토출로(69)를 통해 통로(301)에 토출되는 브레이크액이, 통로(304)를 통해 제동용 실린더(15RR)에, 그리고 통로(305)를 통해 제동용 실린더(15FL)에, 각각 공급된다.
브레이크 장치(10)의 공기 빼기 시에는, 마스터 실린더(26)의 프라이머리 압력실(56), 세컨더리 압력실(61) 및 스트로크 시뮬레이터(27)의 SS 압력실(181)의 공기를 뺀다. 그 때, SS 압력실(181)은, 세컨더리 압력실(61)에 연통로(141)를 통해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세컨더리 압력실(61)과 함께 공기가 빠진다. 다음에, 스트로크 시뮬레이터(27)의 스프링실(245)의 공기를 뺀다.
SS 압력실(181)과 세컨더리 압력실(61)을 연통하는 연통로(141)가 세컨더리 압력실(61)에 근접할수록 연직 방향으로 위치가 높아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때문에, 스트로크 시뮬레이터(27)의 SS 압력실(181)의 공기를 뺄 때에, SS 압력실(181)의 공기는, 연통로(141)로부터 세컨더리 압력실(61)을 통해 세컨더리 토출로(68)로 원활하게 빠진다. 이 때문에, SS 압력실(181)로부터 공기를 빼기 위한 블리더 통로 및 블리더 플러그를 SS 실린더(33)에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따른 반력을 브레이크 페달에 부여하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공기 빼기를 위한 구성을 간소화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마스터 실린더(26)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27)를 연통하는 연통로(141)를 구비하고 있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27)는, 바닥을 갖는 통형의 SS 피스톤(126)과, SS 피스톤(126)이 슬라이딩하는 SS 실린더(33)를 구비하고 있다. SS 피스톤(126)은, 실린더 바닥부(121)와 피스톤 개구(171b)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연통로(141)는, 피스톤 개구(171b)의 바깥 둘레부와 안쪽 둘레부에 걸쳐 개구되어 실린더 바닥부(121)에 접속되어 있다. 연통로(141)는, 실린더 바닥부(121)로부터 세컨더리 압력실(61)을 향함에 따라 연직 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SS 압력실(181)의 공기를 세컨더리 압력실(61)에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SS 압력실(181)로부터의 공기 빼기를 위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연통로(141)는, 오목부(502)에 있어서 실린더 바닥부(121)에 있어서의 연직 상방측의 일부의 영역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린더 바닥부(121)의 전체 혹은 전체 직경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가공 공정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SS 실린더(33)의 실린더 바닥부(121)보다 피스톤 바닥부(172)측의 일부에, 구획 시일(151)로부터 실린더 바닥부(121)에 걸쳐 피스톤 개구(171b)측보다 직경 방향 외측으로 움패어 있는 오목부인 축방향 홈(152)이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구획 시일(151)을 배치하기 위한 둘레홈(136)의 공기도 원활하게 뺄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연통로(141)가 접속되어 있는 실린더 바닥부(121)는, 연통로(141)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비해서 움패어 있다. 실린더 바닥부(121)는, 연통로(141)가 직경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SS 압력실(181)의 공기를 세컨더리 압력실(61)에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SS 압력실(181)로부터의 공기 빼기를 위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SS 피스톤(126)이 실린더 바닥부(121)에 접촉하는 상태에 있어도, 오목부(502)를 포함하는 연통로(141)가, SS 피스톤(126)의 안쪽 둘레측과 바깥 둘레측에 동시에 개구되어 연통한다. 바꾸어 말하면, SS 피스톤(126)의 안쪽 둘레측과 바깥 둘레측에 항상 연통한다. 이 때문에, SS 실린더(33)와 SS 피스톤(126) 사이의 SS 압력실(181)의 공기를 연통로(141)가 세컨더리 압력실(61)에 흐르게 한다. 따라서, 단지 SS 압력실(181)로부터 공기를 빼기 위해서만 블리더 통로 및 블리더 플러그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즉, 블리더 통로의 가공과, 블리더 플러그 및 그 조립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SS 피스톤(126)의 원통형부(171)의 SS 압력실(181)을 형성하는 쪽에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포트류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즉, 포트류의 가공이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공기 빼기를 위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연통로(141)는, 오목부(502)와 통로 구멍(503)과 통로 구멍(501)을 구비하고 있다. 오목부(502)는, 실린더 바닥부(121)에 움패어 마련되어 있다. 통로 구멍(503)은, 오목부(502)로부터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통로 구멍(501)은, 일단이 MC 실린더(32)에 대략 수직으로 직선형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통로 구멍(503)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목부(502)에 의해 SS 피스톤(126)의 안쪽 둘레측과 바깥 둘레측에 양호하게 연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SS 압력실(181)의 공기를 양호하게 뺄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제2 실시형태를 주로 도 7 및 도 8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호칭,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27)에, 제1 실시형태의 실린더 구멍(120)보다 깊은 실린더 구멍(120A)이 마련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27)에, 연통로(141)와는 일부 상이한 연통로(141A)가 마련되어 있다.
이 연통로(141A)는, 직선형이다. 이 연통로(141A)는, MC 실린더(32)의 실린더 구멍(40)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SS 실린더(33)의 실린더 구멍(120)의 중심 축선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연통로(141A)는, 축방향 홈(152)에 연통하고 있다. 연통로(141A)는, 실린더 구멍(120)의 중심 축선의 방향에 있어서, 실린더 바닥부(121)의 주바닥면(121a)보다 실린더 개구(123)와는 반대 방향으로 움패어 있다.
도 8에도 나타내는 연통로(141A)는, 실린더 구멍(120A)으로의 개구 부분을 제외하고 단면 원형상이다. 연통로(141A)는, 마스터 실린더(26)의 세컨더리 토출로(68)와 동일 직선 상에, 세컨더리 토출로(68)와 동축으로 그리고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세컨더리 토출로(68)와 연통로(141A)는, 1개의 드릴에 의한 한번의 천공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연통로(141A)도 세컨더리 토출로(68)와 마찬가지로, 중심 축선이 실린더 구멍(40)의 중심 축선에 직교한다.
연통로(141A)의 주바닥면(121a)과의 경계의 단부 가장자리(141Aa)는, SS 피스톤(126)의 원통형부(171)의 단부면(171a)을 직경 방향으로 횡단하는 위치에 있다. 따라서, SS 피스톤(126)이 실린더 바닥부(121)에 접촉하는 상태에 있어도, 연통로(141A)는, SS 피스톤(126)의 안쪽 둘레측과 바깥 둘레측에 동시에 개구되어 연통한다. 그 결과, SS 피스톤(126)이 실린더 바닥부(121)에 접촉하는 상태에 있어도, 연통로(141A)는, 축방향 홈(152)과 원통형부(171) 내부를 연통시킨다. 즉, 연통로(141A)는, SS 피스톤(126)의 위치에 관계없이 그 안쪽 둘레측과 바깥 둘레측에 항상 연통하며, 축방향 홈(152)과 원통형부(171) 내부를 항상 연통시킨다. 연통로(141A)는, 피스톤 개구(171b)의 바깥 둘레부와 안쪽 둘레부를 걸쳐 개구되어 있다. 연통로(141A)는, 실린더 바닥부(121)에 접속되어 있다. 연통로(141A)가 접속되어 있는 실린더 바닥부(121)는, 연통로(141A)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비해서 움패어 있고, 연통로(141A)가 직경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통로(141A)는, SS 실린더(33)로부터 SS 실린더(33)에 대하여 수직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세컨더리 압력실(61)에 수직으로 접속된다. 연통로(141A)는, SS 실린더(33)의 실린더 바닥부(121)로부터 수직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MC 실린더(32)에 수직으로 연결된다. 연통로(141A)는, 실린더 구멍(120A)으로부터 연직 방향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연통로(141A)는, 실린더 바닥부(121)로부터 세컨더리 압력실(61)을 향함에 따라 연직 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연통로(141A)는, 실린더 바닥부(121)에 있어서의 연직 상방측의 일부의 영역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연통로(141A)는, 실린더 바닥부(121)에 있어서의 일부의 영역에 개구되는 것 이외에, 실린더 바닥부(121)의 일부에 전체 직경에 걸쳐 개구되어 있어도 좋다. 연통로(141A)는, MC 실린더(32) 및 SS 실린더(33)에 수직이 아니며, 수직에 대하여 약간 경사져 있어도 좋다. 즉, 연통로(141A)는, MC 실린더(32) 및 SS 실린더(33)에 대략 수직으로 연결되면 좋다. 연통로(141A)는, 실린더 바닥부(121)로부터 SS 실린더(33)에 대략 수직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세컨더리 압력실(61)에 대략 수직으로 접속되면 좋다. MC 실린더(32) 및 SS 실린더(33)의 양방에 걸쳐 마련되는 연통로(141A)는, SS 압력실(181)의 전체를 세컨더리 압력실(61)에 항시 연통시키고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연통로(141A)가, MC 실린더(32)로부터 수직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SS 실린더(33)에 수직으로 연결된다. 이 때문에, 연통로(141A)의 구성을 한층 더 간소화할 수 있어, 연통로(141A)를 형성하기 위한 가공이 용이해져, 비용을 한층 더 절감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는, 브레이크용의 브레이크액을 저장하는 리저버와, 상기 리저버와 상기 브레이크액의 교환을 행하는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브레이크액의 교환을 행하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마스터 실린더는,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마스터 실린더용 피스톤과, 상기 마스터 실린더용 피스톤의 움직임에 따라 압력이 변화하는 제1 압력실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따라 반력을 부여하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용 피스톤과,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용 피스톤의 움직임에 따라 압력이 변화하는 제2 압력실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압력실과 상기 제2 압력실을 연통시키는 연통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통로는,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용 피스톤의 안쪽 둘레측과 바깥 둘레측에 연통한다. 연통로는 제2 압력실의 공기가 제1 압력실로 흐르게 한다. 따라서, 단지 제2 압력실로부터 공기를 빼기 위해서만 블리더 통로 및 블리더 플러그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용 피스톤의 제2 압력실을 구성하는 부분에 안쪽 둘레측과 바깥 둘레측을 연통시키는 포트류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공기 빼기를 위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로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용 실린더의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용 피스톤의 선단부와의 대향부에,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용 피스톤의 선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패어 마련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로부터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제1 연통부와, 일단이 마스터 실린더용 실린더에 대략 수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연통부에 연결되는 직선형의 제2 연통부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오목부에 의해,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용 피스톤의 안쪽 둘레측과 바깥 둘레측에 양호하게 연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압력실의 공기를 양호하게 뺄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로는, 상기 마스터 실린더용의 실린더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용의 실린더에 대략 수직으로 연결된다. 이 때문에, 연통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빼기를 위한 구성을 한층 더 간소화할 수 있어, 비용을 한층 더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기초한 마스터 실린더 유닛으로서, 예컨대, 이하에 서술하는 양태의 것이 고려된다.
마스터 실린더 유닛의 제1 양태로서는,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량에 따라 실린더 내의 압력실에 액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압력실에 브레이크액을 공급하는 리저버와, 상기 압력실에 연통하며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력에 따른 반력을 그 브레이크 페달에 부여하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를 연통시키는 연통로를 구비한다.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는, 바닥을 갖는 통형의 시뮬레이터 피스톤과,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이 슬라이딩하는 시뮬레이터 실린더를 구비한다.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은,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의 바닥부와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의 개구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연통로는,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의 개구부의 바깥 둘레부와 안쪽 둘레부에 걸쳐 개구되어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의 바닥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의 바닥부로부터 상기 압력실을 향함에 따라 연직 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제2 양태로서는,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는,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의 바닥부에 있어서의 연직 방향 상방측의 영역에 접속된다.
제3 양태로서는,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에는, 시뮬레이터 피스톤 바닥부측과 시뮬레이터 피스톤 개구측을 구획하는 시일 부재가,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의 바깥 둘레부와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의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 바닥부측의 일부에는, 상기 시일 부재로부터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의 바닥부에 걸쳐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 개구측보다 직경 방향 외측으로 움패어 있는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다.
제4 양태로서는, 제1 양태 내지 제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는,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의 바닥부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압력실에 대략 수직으로 접속된다.
제5 양태로서는,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량에 따라 실린더 내의 압력실에 액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압력실에 브레이크액을 공급하는 리저버와, 상기 압력실에 연통하며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력에 따른 반력을 그 브레이크 페달에 부여하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를 연통하는 연통로를 구비한다.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는, 바닥을 갖는 통형의 시뮬레이터 피스톤과,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이 슬라이딩하는 시뮬레이터 실린더를 구비한다.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은,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의 바닥부와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의 개구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연통로는,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의 바닥부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연통로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의 바닥부는, 상기 연통로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비해서 움패어 있고, 상기 연통로가 직경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마스터 실린더 유닛에 따르면, 공기 빼기를 위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11 브레이크 페달
12 마스터 실린더 유닛
25 리저버
26 마스터 실린더
27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32 MC 실린더(실린더)
33 SS 실린더(시뮬레이터 실린더)
61 세컨더리 압력실(압력실)
121 실린더 바닥부(시뮬레이터 실린더의 바닥부)
126 SS 피스톤(시뮬레이터 피스톤)
141 연통로
151 구획 시일(시일 부재)
152 축방향 홈(오목부)
171b 피스톤 개구(시뮬레이터 피스톤의 개구부)
172 피스톤 바닥부(시뮬레이터 피스톤 바닥부)

Claims (5)

  1.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량에 따라 실린더 내의 압력실에 액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압력실에 브레이크액을 공급하는 리저버와,
    상기 압력실에 연통하며,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력에 따른 반력을 상기 브레이크 페달에 부여하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를 연통시키는 연통로
    를 구비하고,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는,
    바닥을 갖는 통형의 시뮬레이터 피스톤과,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이 슬라이딩되는 시뮬레이터 실린더
    를 구비하고,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에는 실린더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실린더 구멍은 실린더 바닥부와 실린더 벽부를 가지며,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은, 상기 실린더 바닥부와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의 개구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의 개구부에 의해,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의 바닥부측의 단부와,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의 바닥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로는, 상기 실린더 바닥부에 마련된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와 연통되는 통로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연통로는,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의 개구부의 바깥 둘레부와 안쪽 둘레부에 걸쳐 개구되고,
    상기 연통로는 상기 공간과 상기 마스터 실린더를 연통시키며,
    상기 연통로의 상기 통로 구멍은,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의 바닥부로부터 상기 압력실을 향함에 따라 연직 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실린더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는,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의 바닥부에 있어서의 연직 방향 상방측의 영역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실린더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에는,
    시뮬레이터 피스톤 바닥부측과 시뮬레이터 피스톤 개구측을 구획하는 시일 부재가,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의 바깥 둘레부와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의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 바닥부측의 일부에는, 상기 시일 부재로부터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의 바닥부에 걸쳐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 개구측보다 직경 방향 외측으로 움패어 있는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실린더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는,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의 바닥부로부터 수직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압력실에 수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실린더 유닛.
  5.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량에 따라 실린더 내의 압력실에 액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압력실에 브레이크액을 공급하는 리저버와,
    상기 압력실에 연통하며,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력에 따른 반력을 상기 브레이크 페달에 부여하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를 연통시키는 연통로
    를 구비하고,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는,
    바닥을 갖는 통형의 시뮬레이터 피스톤과,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이 슬라이딩되는 시뮬레이터 실린더
    를 구비하고,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에는 실린더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실린더 구멍은 실린더 바닥부와 실린더 벽부를 가지며,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은, 상기 실린더 바닥부와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의 개구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의 개구부에 의해, 상기 시뮬레이터 피스톤의 바닥부 측의 단부와, 상기 시뮬레이터 실린더의 바닥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로는, 상기 실린더 바닥부에 마련된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와 연통되는 통로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연통로는, 상기 공간과 상기 마스터 실린더를 연통시키며,
    상기 연통로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실린더 바닥부는, 상기 연통로가 접속되지 않은 부분에 비해서 움패어 있으며, 상기 연통로가 직경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실린더 유닛.
KR1020177033843A 2015-07-31 2016-07-25 마스터 실린더 유닛 KR102116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52775 2015-07-31
JPJP-P-2015-152775 2015-07-31
PCT/JP2016/071708 WO2017022544A1 (ja) 2015-07-31 2016-07-25 マスタシリンダ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315A KR20180034315A (ko) 2018-04-04
KR102116171B1 true KR102116171B1 (ko) 2020-06-26

Family

ID=57944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843A KR102116171B1 (ko) 2015-07-31 2016-07-25 마스터 실린더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62504B2 (ko)
JP (1) JP6407439B2 (ko)
KR (1) KR102116171B1 (ko)
CN (1) CN107614335B (ko)
DE (1) DE112016003476T5 (ko)
WO (1) WO20170225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0815A1 (ja) * 2016-07-26 2018-02-0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ストロークシミュレータ
KR102650291B1 (ko) * 2018-10-23 2024-03-22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마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터실린더
GB2588221A (en) * 2019-10-17 2021-04-21 Continental Automotive Romania Srl Pedal feel simulator and an assembly process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8768A (ja) * 2000-03-27 2003-09-30 コンティネンタル・テーベス・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ウント・コンパニー・オッフェネ・ハンデルスゲゼルシヤフト 電気油圧式ブレーキ装置用の操作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15209A1 (de) * 1986-09-17 1988-04-07 Lucas Ind Plc Hauptbremszylinder fuer eine hydraulische dreikreis-bremsanlage
US5709087A (en) * 1996-07-18 1998-01-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Power brake apply system
US6343469B1 (en) * 2000-09-25 2002-02-05 Robert Bosch Corporation Hydraulic system regulator for a brake and steering system
JP4233907B2 (ja) * 2003-03-31 2009-03-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スタシリンダ
JP2005104333A (ja) * 2003-09-30 2005-04-21 Hitachi Ltd マスタシリンダ装置
US20050236889A1 (en) * 2004-04-27 2005-10-27 Akihito Kusano Hydraulic braking pressure generating apparatus for vehicles
FR2870807B1 (fr) * 2004-05-27 2006-09-01 Bosch Gmbh Robert Simulateur d'actionnement de frein, maitre-cylindre pour frein de vehicule automobile, et procede de commande de ce simulateur
JP4417233B2 (ja) * 2004-09-30 2010-02-1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マスタシリンダ
JP2008018816A (ja) * 2006-07-12 2008-01-31 Toyota Motor Corp ブレーキ装置、ストロークシミュレータカット機構、及びストロークシミュレータカット方法
JP5352687B2 (ja) * 2011-03-11 2013-11-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反力発生装置、およびブレーキ装置のストロークシミュレータ
MX345980B (es) 2011-03-11 2017-02-28 Honda Motor Co Ltd Dispositivo generador de presión hidráulica vehicular y dispositivo generador de fuerza de frenado vehicular.
JP5780130B2 (ja) * 2011-11-23 2015-09-16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用制動装置
JP5223961B2 (ja) * 2011-12-19 2013-06-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操作シミュレータ
JP5927093B2 (ja) 2012-09-21 2016-05-2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ブレーキ装置
JP6018039B2 (ja) * 2013-12-23 2016-11-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液圧ブレーキ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8768A (ja) * 2000-03-27 2003-09-30 コンティネンタル・テーベス・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ウント・コンパニー・オッフェネ・ハンデルスゲゼルシヤフト 電気油圧式ブレーキ装置用の操作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22544A1 (ja) 2017-02-09
DE112016003476T5 (de) 2018-04-12
JPWO2017022544A1 (ja) 2018-04-05
CN107614335B (zh) 2020-04-24
KR20180034315A (ko) 2018-04-04
CN107614335A (zh) 2018-01-19
JP6407439B2 (ja) 2018-10-17
US10562504B2 (en) 2020-02-18
US20180215361A1 (en)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8417B1 (ko) 마스터 실린더 유닛
US7937940B2 (en) Master cylinder comprising a resupply-promoting seal
KR102116171B1 (ko) 마스터 실린더 유닛
JPH01145256A (ja) 液圧ブレーキ装置のタンデムマスタシリンダ
KR20090045391A (ko) 컵 시일 및 이것을 사용한 마스터 실린더
US9925966B2 (en) Brake master cylinder for a motor vehicle brake system with profiled pressure piston
US9260098B2 (en) Vacuum booster
JP4647598B2 (ja) 死行程を減少したブースター及びこのようなブースターを含む制動システム
US6964166B2 (en) Hydraulic master cylinder for vehicle
JP6600748B2 (ja) ストロークシミュレータ
EP2687724B1 (en) Piston pump
JP6351106B2 (ja) ストロークシミュレータおよび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
US20160327069A1 (en) Flow passage unit and switching valve
EP2246228B1 (en) Master cylinder for a vehicle
US6796125B2 (en) Master cylinder
EP2749462B1 (en) Hydraulic braking system and method of brake boosting in a motor vehicle
WO2018066238A1 (ja) マスタシリンダ
KR20120003299A (ko) 브레이크용 플런저 마스터실린더
JP6749499B2 (ja) マスタシリンダ
JP4703867B2 (ja) マスタシリンダ
KR20190023773A (ko)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JP2019026009A (ja) マスタシリンダ
JP5806955B2 (ja) マスタシリンダ
JP2016055734A (ja) 車両用液圧マスタシリンダ
JP2014221572A (ja) マスタシリン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