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671B1 - 유연성 적층 필름 - Google Patents

유연성 적층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671B1
KR102101671B1 KR1020197008984A KR20197008984A KR102101671B1 KR 102101671 B1 KR102101671 B1 KR 102101671B1 KR 1020197008984 A KR1020197008984 A KR 1020197008984A KR 20197008984 A KR20197008984 A KR 20197008984A KR 102101671 B1 KR102101671 B1 KR 102101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layer
film according
laminated film
acrylic
flexible l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8670A (ko
Inventor
프랑수아 뤼먼스
마틴 로트
리디아 해글리
이안 머레이
Original Assignee
레놀리트 크램링튼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놀리트 크램링튼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레놀리트 크램링튼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38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17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4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7/06PVC, i.e. polyvinylchl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33/00Use of 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33/04Polymers of esters
    • B29K2033/08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e.g. PMA, i.e. polymethyl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96/00Use of specified macromolecular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K2001/00 - B29K2095/00, as moulding material
    • B29K2096/02Graf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1Profiled members, e.g. beams,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Resistive to light or to U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51Intermediate layer is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 Y10T428/24868Translucent outer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28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유연하고 칼렌더링이 가능한 필름으로서, 외부 풍화 조건 하에서 향상된 내구성을 발휘하는 필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필름은, 폴리아크릴레이트에 대한 비닐 클로라이드의 그라프트 코폴리머의 베이스 층을 주로(predominantly) 포함하며, 또한, 상기 베이스 층에는 아크릴계 보호층이 적층되어 있다. 중요하게도, 본 발명의 베이스 층은 가소제 성분이 결여되어 있거나 가소제 성분을 최소량으로 함유함으로써, 아크릴계 보호층으로부터의 UV 흡수제 이동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연성 적층 필름 {Flexible laminate film}
본 발명은, 기재를 코팅하는데 적합한 유연성 적층 필름에 관한 것이며, 베이스 층 및 UV 보호층을 갖는 유연성 적층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uPVC계 창문, 문, 온실 등은, 목재에 기초한 제품을 대체하는 값이 더 싸고 내구성이 더 좋은 대안이 되었다. uPVC 프로파일(profiles)은 통상적으로 백색이지만, 안료를 첨가하여 색상의 변화를 줄 수도 있다.
더욱 최근에는, 장식 효과 PVC 프로파일이 제2 세대 제품으로서 출현하였는데, 이러한 장식 효과 PVC 프로파일은, 나뭇결 무늬의 경우처럼, 천연 목재 제품을 모조하도록 디자인되면서도, PVC의 유리한 물리적 및 기계적 특성을 보유한다. 또한, 순색(solid colour), 결(texture) 및 특수 효과들이 도입되어 소비자의 선택폭을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효과" uPVC 프로파일은 통상적으로, 창문, 문 및 기타 건축 자재로 제작되기 전의 프로파일 제조 공정의 최종 단계에서, 얇고 장식적이고 유연한 외부 등급 필름을 uPVC에 적층함으로써 제조된다.
따라서, 그러한 외부 장식 필름은 주변 환경에 연속적으로 노출되므로, 풍화(weathering) 및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를 견디기 위하여 그 제형 내에 특정한 성분들을 요구한다. 통상적인 필름은 유연하고 인쇄되거나 인쇄되지 않은 p-PVC 베이스를 포함하는데, 이 베이스 위에 아크릴계 보호 필름이 적층된다. p-PVC 베이스 층은, 안정화제, 가공조제 및 가소제와 같은 첨가제를 포함하는데, 이들 첨가제는 칼렌더링 공정을 도와주고 제조 과정 동안의 열적 열화를 방지한다. 또한, p-PVC 베이스 층은, 인시투적 노출(in situ exposure) 동안 추가적인 보호를 제공하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한 첨가제들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아크릴계 보호층은, 수많은 공급원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데, 통상적으로 UV 흡수제(들)을 함유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시 태양광선의 UV 성분으로부터 p-PVC 베이스 층을 보호하는 다른 첨가제도 함유한다. 이 제품의 수명에 걸쳐서, 이들 UV 첨가제는 지속적으로 소비되어, 베이스 층에 제공된 보호 기능이 감소하게 된다. 완전히 고갈되고 나면, p-PVC 베이스 층은 UV 광선에 완전히 노출되고,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열화한다. 따라서, 장식 효과의 수명, 그리고 그에 따라서 적층 제품의 수명은 상당 부분이, 보호되지 않은 베이스 필름의 내구성 뿐만 아니라, 외부 보호층에 있는 UV 흡수제 및 첨가제의 내구성에 의하여 결정된다.
가소제의 이동은, 재료 내에서의 그리고 재료로부터 기재 내부 또는 기재 표면으로의 가소제의 이동으로 정의될 수 있다(이때, 재료는 기재와 밀접한 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의 속도 및 정도는, 주변 환경 조건 및 사용된 가소제의 종류에 의존한다.
앞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장식 적층 필름에 있어서, PVC 층에서 나온 가소제는, p-PVC/아크릴 경계를 가로질러, 아크릴 층 내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가소제의 이동은 아크릴 층의 Tg를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UV 흡수제(들)의 이동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 온다. UV 흡수제(들)는, 자연적인 평형에 도달할 때까지, p-PVC 내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계면을 UV 흡수제 고갈 상태로 만들고, 최악의 경우에는, 아크릴 필름 전체를 UV 흡수제 고갈 상태로 만들게 되며, 그에 따라 아크릴 필름의 수명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효과는, 모노머성 가소제를 폴리머성 가소제로 바꿈으로써, 약간 감소되었다. 폴리머성 화학종의 증가된 분자량 및 구조에 의하여, 가소제의 확산 특성이 감소하고, 궁극적으로, 외부층으로부터의 UV 흡수제의 이동이 감소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외부 등급 장식 필름의 각 세대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구현되어 왔다.
그러나, 향상된 풍화 특성 및, 특히, UV 광선에 대한 향상된 내열화성을 포함하면서도, 간편하게 제조될 수 있는 외부 등급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유연하고 칼렌더링이 가능한 필름으로서, 외부 풍화 조건 하에서 향상된 내구성을 발휘하는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필름은, 폴리아크릴레이트에 대한 비닐 클로라이드의 그라프트 코폴리머의 베이스 층을 주로(predominantly) 포함하며, 또한, 상기 베이스 층에는 아크릴계 보호층이 적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베이스 층은 어떠한 가소제 성분도 함유하지 않거나, 종래의 필름에 비하여 상당히 감소된 양의 가소제를 포함한다.
폴리아크릴레이트/PVC 그라프트 코폴리머는, 베이스 층의 주 성분으로 사용될 때, 유연성 필름과 결부된 필요한 물리적 및 기계적 특성을 제공함으로써, 가소제 성분의 첨가를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표준 조건하에서 베이스 층이 칼렌더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은 가소제 첨가 및 그에 따른 UV 흡수제 이동을 겪지 않으며, 인공적인 풍화 가속 조건하에서 향상된 내구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게다가, 베이스 층의 코폴리머 성분은, 가소제의 완전한 생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또는, 가소제를 매우 낮은 농도로 함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베이스 층의 Tg를, 종래의 가소제 첨가 필름에 해당하는 약 50 ℃로부터 약 72 ℃로 증가시킨다. 적층된 창문 또는 문의 통상적인 인시투적 프로파일 온도(in situ, profile temperatures)는 50 ℃ 내지 70 ℃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베이스 필름은 그것의 서비스 수명 동안 그것의 Tg 아래로 남아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어떠한 UV 흡수제 이동 가능성도 방지하게 된다. 약 50 ℃의 Tg를 갖는 종래의 가소제 첨가 베이스 필름은 층간 이동을 훨씬 더 겪기 쉬운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기재 코팅용 유연성 적층 필름은, 폴리아크릴레이트와 PVC의 그라프트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베이스 층; 및 상기 베이스 층에 적층되어 있으며 UV 흡수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UV 보호층;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필름은, 아크릴계 보호층에 비하여, 베이스 층을 주로(predominantly)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주로(predominantly)"라는 용어는, 아크릴계 UV 보호층과 비교되는, 베이스 층의 부피 및 특히 두께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층은 아크릴계 보호층의 두께보다 더 큰 두께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기재에서의 베이스 층의 두께는 아크릴계 보호층의 두께의 약 두 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층은, 최종 용도에 맞도록 최종 필름의 물성을 개질하고 최적화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PVC를 더 포함한다. 단일 분자량 PVC 또는 다양한 분자량의 PVC의 조합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층은 광안정제 화합물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층은 적어도 1종의 입체장애 아민계 광안정제(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HALS)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광안정제 화합물은 NOR HALS 유형이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층은 페놀계 산화방지제 화합물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층은 아민 포집 화합물(amine scavenger compound)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층은 모노머성 가소제 및/또는 폴리머성 가소제가 결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코폴리머는 50:50 폴리아크릴레이트:PVC이다.
바람직하게는, 미착색(unpigmented) 베이스 층은 다음을 포함한다: 20 wt% 내지 100 wt%, 40 wt% 내지 90 wt%,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wt% 내지 80 wt%의 코폴리머; 0.1 wt% 내지 4 wt%, 0.3 wt% 내지 3 wt%,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wt% 내지 2 wt%의 NOR HALS 광안정제 화합물; 0 wt% 내지 2 wt%, 0.1 wt% 내지 1.0 wt%,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wt% 내지 0.6 wt%의 페놀계 산화방지제 화합물; 0 wt% 내지 2 wt%, 0.2 wt% 내지 1.5 wt%,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wt% 내지 1.0 wt%의 아민 포집 화합물; 이때, 임의의 잔여 중량 백분율은 여기에 기재된 다른 재료(구체적인 예를 들면, 코폴리머, PVC)로 채워진다.
선택적으로, 미착색 베이스 층은, 코폴리머 외에도, 0 wt% 내지 70 wt%, 10 wt% 내지 50 wt%,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wt% 내지 30 wt%의 PV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베이스 층에 투입되는 추가적인 PVC 대신에, 합금될(alloyable) 수 있는 아크릴계 성분들이 첨가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의 필름의 내풍화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층은 열안정제 화합물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층은 아크릴계 가공조제 화합물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층은 에폭시 안정제 화합물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층은 에스테르계 윤활제 화합물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층은 에스테르계 광안정제 화합물을 더 포함한다.
열안정제는, 2 wt% 내지 10 wt%, 3 wt% 내지 8 wt%,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4 wt% 내지 7 wt% 의 양으로, 미착색 베이스 층에 투입될 수 있다. 아크릴계 가공조제는, 1 wt% 내지 10 wt%, 2 wt% 내지 7 wt%,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2 wt% 내지 5 wt% 의 양으로, 미착색 베이스 층에 투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안정제 화합물은, 1 wt% 내지 8 wt%, 1 wt% 내지 5 wt%,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2 wt% 내지 4 wt% 의 양으로, 미착색 베이스 층에 투입된다. 에스테르계 윤활제는, 0 wt% 내지 1 wt%, 0 wt% 내지 0.5 wt%,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0 wt% 내지 0.2 wt% 의 양으로, 미착색 베이스 층에 투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계 광안정제 화합물은, 0 wt% 내지 10 wt%, 0 wt% 내지 5 wt%,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0 wt% 내지 1 wt% 의 양으로, 미착색 베이스 층에 투입된다.
베이스 층이 에폭시계인 열 공안정제를 포함하는 경우에, 이 안정제는 에폭시화된 옥틸 스테아레이트(epoxidised octyl stearate)를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이 관찰한 바에 따르면, 그러한 작은 농도의 열 안정제를 투입하면, 외부 아크릴 층으로부터의 UV 흡수제의 이동이 두드러지게 증가하지 않았다. 즉, 에폭시 안정제는 미착색 베이스 층에 약 3 wt%의 양으로 투입된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미착색 베이스 층은 앞에서 언급한 성분들로 이루어지거나, 그러한 성분들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성분들의 합계는 100 wt%이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층의 그라프트 코폴리머는 Vinnolit® 등급 K707E (입수처: Vinnolit GmbH and Co KG, Germany)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은 미리 혼합된 배합물에 첨가된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원하는 색상을 얻고 추가적인 풍화 특성을 부여하기 위함이며,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다. 그러한 안료는, 미가공 안료, 안료 마스터배치, 분말 분산액 등의 형태로 투입될 수 있다. 첨가 정도 및 전체적인 배합 백분율에 미치는 영향은 첨가 형태, 색도(colourmetric) 및 불투명도 요구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베이스 층은, 아크릴계 UV 보호층이 적층되기 전에, 장식 디자인/패턴으로 인쇄되며, 이때, 장식 디자인/패턴은 아크릴계 UV 보호층을 통하여 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UV 보호층은, 적어도 1종의 UV 흡수제 화합물 및 선택적으로 복수의 다른 종류의 화합물을 포함하는데, 이때, 각각의 화합물은 보호층에 입사하는 다양한 파장의 태양 광선을 흡수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아크릴계 UV 보호층은 광안정제 화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UV 보호층은 적어도 1종의 HALS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필름을 포함하는 창문 및/또는 프레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필름을 포함하는 문 및/또는 문 프레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필름을 포함하는 온실 구조 요소(conservatory structural element)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필름을 포함하는 빌딩 구조 요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6 측면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필름을 포함하는 건축 부속물(architectural accessory)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7 측면에 따라, 기재를 코팅하기 위한 유연성 적층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폴리아크릴레이트와 PVC의 그라프트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베이스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층 위에, UV 흡수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UV 보호층을 적층하여, 유연성 적층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층은, 아크릴계 보호층에 비하여, 본 발명의 필름의 주된(predominant) 성분이다.
본 명세서에서 "구조 요소(structural element)"라 함은 빌딩 또는 온실 등의 건축에 사용되는 PVC 프로파일(profiles)을 포함하며, 빌딩 또는 건축 구조물의 다른 부품들(예를 들어, 지붕선 제품(roofline products), 클래딩(cladding), 파시아(fascias), 등)을 위한 보강 또는 지지에 의한 구조적 효과를 제공하는 요소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제척인 실시예를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기술하며, 첨부된 도면이 참조된다.
도 1a는, 표준적인 가소제 첨가 제형을 갖는 종래 기술의 외부 등급 적층 필름으로 코팅된 uPVC 기재의 풍화 단계를 보여주며, 이때, 이 기재는 ISO 4892-2 에 따른 인공적인 풍화 시험조건에 노출되었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으로 코팅된 uPVC 기재의 풍화 단계를 보여주며, 이때, 이 기재는 ISO 4892-2 에 따른 도 1a의 동일한 인공적인 풍화 가속 시험조건에 노출되었다.
도 2는, ISO 4892-2 에 따른 인공적인 풍화 가속 시험조건에 6,000 시간 노출된 후의 uPVC 기재 샘플들을 보여주며, 이때 이 샘플들은, 각각, i) 아크릴계 UV 보호층이 없는 종래 기술의 가소제 첨가 베이스 필름으로, ii) 아크릴계 UV 보호층이 없는 가소제-무함유 베이스 필름으로 코팅되었다.
도 3의 A는, 70 ℃ 및 100% 습도에서 가속화된 이동 시험을 거치기 전의, 종래 기술의 베이스 층으로 코팅된 uPVC 기재의 마이크로톰 단면이며, 이때, 이 베이스 층은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DIDP)로 가소화되었고 아크릴계 UV 보호층으로 적층되었다.
도 3의 B는, 70 ℃ 및 100% 습도에서 3 주 동안의 가속화된 이동 시험에 노출된 도 3의 A의 코팅된 uPVC 기재의 마이크로톰 단면이다.
도 3의 C는, 70 ℃ 및 100% 습도에서 6 주 동안의 가속화된 이동 시험에 노출된 도 3a의 코팅된 uPVC 기재의 마이크로톰 단면이다.
도 4의 A는, 70 ℃ 및 100% 습도에서 가속화된 이동 시험을 거치기 전의, 종래 기술의 베이스 층으로 코팅된 uPVC 기재의 마이크로톰 단면이며, 이때 이 베이스 층은 폴리머성 가소제로 가소화되고 아크릴계 UV 보호층으로 적층된 것이었다.
도 4의 B는, 70 ℃ 및 100% 습도에서 3 주 동안의 가속화된 이동 시험에 노출된 도 4의 A의 코팅된 uPVC 기재의 마이크로톰 단면이다.
도 4의 C는, 70 ℃ 및 100% 습도에서 6 주 동안의 가속화된 이동 시험에 노출된 도 4의 A의 코팅된 uPVC 기재의 마이크로톰 단면이다.
도 5의 A는, 70 ℃ 및 100% 습도에서 가속화된 이동 시험을 거치기 전의, 본 발명에 따른 적층된 가소제-무함유 베이스 층 및 아크릴계 UV 보호층으로 코팅된 uPVC 기재의 마이크로톰 단면이다.
도 5의 B는, 70 ℃ 및 100% 습도에서 3 주 동안의 가속화된 이동 시험에 노출된 도 5의 A의 코팅된 uPVC 기재의 마이크로톰 단면이다.
도 5의 C는, 70 ℃ 및 100% 습도에서 6 주 동안의 가속화된 이동 시험에 노출된 도 5의 A의 코팅된 uPVC 기재의 마이크로톰 단면이다.
본 발명의 필름들의 적합성 및 이점을 실증하기 위하여, 그것들의 물리적 및 기계적 특성을 시험한 후 종래 기술에 따른 가소제 첨가 필름과 비교하였다. 다음과 같은 제형을 갖는 120 ㎛ 두께의 베이스 층을 외부 등급 필름용으로 제조하였다.
표 1: 본 발명의 베이스 층 배합
원재료
공급자 wt%
Vinnolit K707E
폴리아크릴레이트/PVC 그라프트 코폴리머
Vinnolit 61.05
Tinuvin XT 833
NOR HALS 광안정제
Ciba/BASF 0.87
ASM104
테익-아민 포집
(Theic-Amine scavenger)
Baerlocher 0.44
Solvin 250SB
PVC 수지 K50
Solvay 24.42
Reagens RA1774
칼슘/아연 안정제
Reagens 4.8
Arenox A10
입체장애 페놀계 산화방지제
(Hindered phenolic antioxidant)
Reagens 0.26
Solvin 257RF
PVC 수지 K57
Solvay 1.74
Paraloid K125
아크릴계 가공조제
Rohm and Haas 3.31
Lankroflex ED6
에폭시 안정제
Lankro 2.62
2078 Lubricant
복합 에스테르
(Complex Ester)
E Chem 0.052
Mark LE98
유기 포스파이트 에스테르
(Organo phosphite ester)
Lankro 0.44
이 필름은 마스터배치 형태로 첨가된 안료를 추가로 포함하였고, 그에 따라, 연한 오크(oak) 외관을 제공하였다. 이 필름은 연한 오크 디자인으로 프린트되었고,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53 ㎛ 두께의 아크릴 UV 보호층(예를 들어, SD001, 입수처: Kaneka Corporation, Japan)으로 적층되었다.그러한 필름의 통상적인 물성은, 표 2에 자세히 나타난 바와 같이, 복합 필름이, 고객이 보유하는 종래의 적층 라인에서, 이미 구축된 공정에 어떠한 변화도 가할 필요 없이, 가공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표 2: 종래 기술 및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물성
물성 종래 기술의 필름 본 발명의 필름
50% 연신시 스트레스
(N/mm2)
17.1 (+/- 0.3) 17.2 (+/- 0.5)
인장 강도
(N/mm2)
19.9 (+/- 0.7) 19.1 (+/- 0.3)
파단 신도
(%)
192 (+/- 20) 208 (+/- 14)
실시예 1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두 개의 코팅된 uPVC 프로파일이 제조되었다. 먼저, 표 1에 따른 본 발명의 안료 첨가 베이스 필름(도 1b)과 이와 유사하게 안료 첨가되되 가소화된 종래 기술의 베이스 필름(도 1a)이 연한 오크 디자인으로 인쇄되었다. 그 다음, 이들 베이스 층 각각이,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아크릴 UV 보호층으로 적층된 후, uPVC 프로파일 위에 코팅되었다. 그 다음, ISO 4892-2에 따른 풍화 가속 시험이, "Atlas Ci5000 Weather-Ometer"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외부 보호층의 UV 흡수제가 UV 광선에 의하여 소모됨에 따라, 밑에 깔려 있는 PVC 베이스가 결국에는 UV 광선에 노출되게 되며, 그에 따라 그을려서 "그을린 얼룩점(burn spots)"을 나타내게 된다. 그을린 얼룩점의 첫 출현이 기록되었고, 이는, 외부 보호층의 기능부전(failure)을 나타내는 초기 단계의 표시를 제공한다.
도 1a는, 시간간격(102)(1032 시간); 시간간격(103)(5196 시간); 시간간격(104)(8563 시간); 시간간격(105)(12686 시간); 및 시간간격(106)(14317 시간);에서의, 종래 기술 필름에 대한 가속화된 풍화 결과(100)를 보여준다. 샘플 프로파일(106)을 참조하면, 그을린 얼룩점(112)들이 표면에 걸쳐있는 수많은 위치에서 뚜렷하게 보인다. 도 1b는, 시간간격(107)(1038 시간); 시간간격(108)(5254 시간); 시간간격(109)(8645 시간); 시간간격(110)(12035 시간); 및 시간간격(111)(17064 시간);에서의, 본 발명의 적층 필름으로 코팅된 동일한 uPVC 기재에 대한 풍화 시험 결과(101)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111)은 그을린 얼룩점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시적인 열화의 표시도 나타나지 않았다.
각 필름의 성능이 정량적으로 그리고 정성적으로 측정되었다. ISO 105-A02 및 ISO 105-A03에 따라 "그레이 스케일(Grey Scale)"로 육안 평가가 수행되었는데, 이 기법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친숙한 기법이다. 산업 표준(예를 들어, RAL-GZ 716/7)에 서술되어 있기로는, 12 GJ/m2 의 노출(6000 시간의 노출과 같음) 후에, 노출 후 필름의 색상 변화가 ISO 105-A02에 따른 그레이 스케일의 등급 3 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 종래 기술의 필름 및 본 발명의 필름 둘 다 이러한 최소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은 분명하지만, 중요한 것은, 더욱 내구성 있는 필름이라면 그것의 보장된 수명에 걸쳐서 이러한 색상 변화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그것의 물리적 온전성도 유지한다는 점이다.
추가적인 육안 관찰 결과를, 양 필름에 대한 각각의 시간간격에서의 비고(remark)의 형태로, 표 4에 기록하였다. 상기 주석은 색상의 변화 및 전체적인 물리적 온전성을 기술한다.
표 4: ISO 4892-2 시험법 하의 종래 기술 필름
시간
(hours)
A02 A03 비고
1032 4/5 4/5+ 순수 색조(fine tone)의 약간의 손실 & 칙칙한 노란색 색채, 샘플 연해짐(sample lighter), 오렌지 색조를 띠면서 약간의 광택이 있음.
E/M에 대하여 아크릴 정상. 현미경에 대하여 정상.
1732 4 4+ 인쇄 및 색조의 약간의 손실 & 칙칙한 색채(dirty cast)의 손실, 샘플 바래짐(sample faded), 맑음 & 오렌지색.
E/M에 대하여 아크릴 정상. 현미경에 대하여 정상.
2720 4 4+ 인쇄의 약간의 손실 & 색조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바래짐(sample faded), 깨끗한 외관, 광택 & 오렌지색. E/M에 대하여 아크릴 정상.
현미경에 대하여 약간의 흠집(pitting).
3580 4- 4+ 인쇄, 색조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고광택, 바래짐, 깨끗한 외관 & 오렌지색. E/M에 대하여 아크릴 정상. 현미경에 대하여 매우 가벼운 흠집.
4280 4- 4+ 인쇄, 색조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바래짐, 깨끗한 외관, 고광택 & 오렌지색. E/M에 대하여 아크릴 정상.
현미경에 대하여 가벼운 흠집.
5196 4- 4+ 인쇄, 색조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고광택(유리 같음), 바래짐, 깨끗한 외관 & 오렌지색. 아크릴이 E/M에 대하여 매우 경미한 흐린 외관을 가짐. 현미경에 대하여 흠집.
6058 4- 4+ 인쇄, 색조, 심도(depth)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바래짐, 고광택, 깨끗한 외관 & 오렌지색. 아크릴이 E/M에 대하여 약간의 오렌지 껍질 효과를 띠면서 약간 흐려짐. 현미경에 대하여 흠집.
6934 4- 4+ 인쇄, 색조, 심도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바래짐, 깨끗한 외관, 매우 고광택 & 오렌지색. 아크릴이 E/M에 대하여 약간의 오렌지 껍질 효과를 띠면서 흐려짐. 현미경에 대하여 흠집.
7777 4- 4+ 인쇄, 심도, 색조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바래짐, 매우 고광택, 깨끗한 외관 & 오렌지색. 아크릴이 E/M에 대하여 약간의 오렌지 껍질 효과를 띠면서 흐려짐. 현미경에 대하여 흠집.
8563 4- 4+ 인쇄, 심도, 색조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바래짐, 깨끗한 외관, 고광택(유리 같음) & 오렌지색. 아크릴이 E/M에 대하여 약간의 흐린 외관 및 약간의 오렌지 껍질 효과를 가짐. 현미경에 대하여 흠집.
9389 4- 4+ 인쇄, 심도, 색조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깨끗한 외관, 고광택(유리 같음), 바래짐 & 오렌지색. 아크릴이 E/M에 대하여 약간의 오렌지 껍질 효과를 띠면서 흐려짐. 현미경에 대하여 흠집.
10253 4- 4+ 인쇄, 심도, 색조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바래짐, 깨끗한 외관, 고광택(유리 같음) & 오렌지색. 아크릴이 E/M에 대하여 오렌지 껍질 효과를 띠면서 흐려짐. 현미경에 대하여 흠집 & 매우 경미한 그을린 자국.
1090 4- 4+ 인쇄, 심도, 색조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바래짐, 깨끗한 외관, 고광택(유리 같음) & 오렌지색. 아크릴이 E/M에 대하여 오렌지 껍질 효과를 띠면서 흐려짐. 현미경에 대하여 흠집 & 가벼운 기포.
11834 4- 4+ 인쇄, 심도, 색조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바래짐, 깨끗한 외관, 고광택 & 오렌지색. 아크릴이 오렌지 껍질 효과를 띠면서 흐려짐. E/M에 대하여 가벼운 그을린 자국. 현미경에 대하여 흠집, 기포 & 그을린 자국.
12686 4- 4+ 인쇄, 심도, 색조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매우 깨끗한 외관, 고광택, 바래짐 & 오렌지색. 아크릴이 오렌지 껍질 효과를 가지면서 흐려짐. E/M에 대하여 그을린 얼룩점. 현미경에 대하여 흠집, 기포 & 그을린 자국.
13506 4- 4+ 인쇄, 심도, 색조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매우 깨끗한 외관, 바래짐, 광택 & 오렌지색. 아크릴이 흐린 외관, 오렌지 껍질 효과를 가짐. E/M에 대하여 그을린 얼룩점. 현미경에 대하여 흠집, 기포 & 그을린 자국.

14317

4-

4+

중단됨, 다수의 그을린 자국.
표 5: ISO 4892-2 시험법 하의 본 발명의 필름
시간
(Hours)
A02 A03 주석
1038 4/5- 4/5 칙칙한 색채의 손실 & 색조의 손실, 샘플 약간 연해짐, 오렌지 색조를 띠면서 맑아짐. 아크릴이 E/M에 대하여 정상. 현미경에 대하여 정상.
1851 4+ 4/5- 색조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연해짐, 노란색 색조를 띠면서 맑아짐. 아크릴이 E/M에 대하여 정상. 현미경에 대하여 매우 경미한 흠집.
2702 4+ 4/5- 색조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맑아짐, 노란색 색조를 띠면서 연해짐. 아크릴이 E/M에 대하여 정상. 현미경에 대하여 약간의 흠집.
3549 4+ 4/5- 색조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인쇄의 약간의 손실, 샘플 연해짐, 노란색 색조를 띠면서 깨끗한 외관. 아크릴이 E/M에 대하여 정상. 현미경에 대하여 가벼운 흠집.
4354 4+ 4/5- 색조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인쇄의 약간의 손실, 샘플 깨끗한 외관, 노란색 색조를 띠면서 연해짐. 아크릴이 E/M에 대하여 매우 경미한 흐린 외관을 가짐. 현미경에 대하여 흠집.
5254 4+ 4/5- 색조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인쇄의 약간의 손실, 샘플 연해짐, 노란색 색조를 띠면서 깨끗한 외관. 아크릴이 E/M에 대하여 정상. 현미경에 대하여 흠집.
6145 4+ 4/5- 색조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인쇄의 약간의 손실, 샘플 연해짐, 매우 경미하게 광택 증가, 노란색 & 깨끗한 외관. 아크릴이 E/M에 대하여 정상. 현미경에 대하여 흠집.
6950 4+ 4/5- 인쇄, 색조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깨끗한 외관, 연해짐, 매우 경미하게 광택 증가 & 노란색. 아크릴이 E/M에 대하여 정상. 현미경에 대하여 흠집.
7728 4+ 4/5- 인쇄, 색조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깨끗한 외관, 연해짐, 약간의 광택 증가 & 노란색. 아크릴이 E/M에 대하여 정상. 현미경에 대하여 흠집.
8625 4+ 4/5- 인쇄, 색조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연해짐, 깨끗한 외관 & 노란색. 아크릴이 E/M에 대하여 정상. 현미경에 대하여 흠집.
9518 4 4+ 인쇄, 색조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깨끗한 외관, 바래짐 & 노란색. 아크릴이 E/M에 대하여 정상. 현미경에 대하여 흠집.
10385 4 4+ 인쇄, 색조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바래짐, 깨끗한 외관 & 노란색. 아크릴이 E/M에 대하여 정상. 현미경에 대하여 흠집.
11216 4 4+ 인쇄, 색조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깨끗한 외관, 바래짐 & 노란색. 아크릴이 E/M에 대하여 정상. 현미경에 대하여 흠집.
12035 4 4+ 인쇄, 색조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바래짐, 깨끗한 외관 & 노란색. 아크릴이 E/M에 대하여 정상. 현미경에 대하여 흠집.
12873 4 4+ 인쇄, 색조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깨끗한 외관, 바래짐 & 노란색. 아크릴이 E/M에 대하여 정상. 현미경에 대하여 흠집.
13723 4- 4+ 인쇄, 색조, 심도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바래짐, 깨끗한 외관 & 노란색. 아크릴이 E/M에 대하여 약간 흐려짐. 현미경에 대하여 흠집.
14528 4- 4+ 인쇄, 색조, 심도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깨끗한 외관, 바래짐, 약간의 무광택 & 노란색. 아크릴이 E/M에 대하여 약간 흐려진 외관을 가짐. 현미경에 대하여 흠집.
15363 4- 4+ 인쇄, 색조, 심도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바래짐, 깨끗한 외관, 약간의 무광택 & 노란색. 아크릴이 E/M에 대하여 약간 흐려짐. 현미경에 대하여 흠집.
16095 3/4+ 4+ 인쇄, 색조, 심도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바래짐, 매우 깨끗한 외관, 무광택 & 노란색. 아크릴이 E/M에 대하여 흐려짐. 현미경에 대하여 흠집.
17064 3/4- 4+ 인쇄, 색조, 심도 & 칙칙한 색채의 손실, 샘플 바래짐, 매우 깨끗한 외관, 무광택 & 노란색. 아크릴이 E/M에 대하여 흐려짐. 현미경에 대하여 흠집.
표 4 및 5에 있어서, 종래 기술 필름의 첫 번째 그을린 얼룩점은 11,834 시간에서 발생하였다. 다수의 그을린 자국들(112)를 통한 완전한 기능부전은 14,317 시간에서 관측되었다. 표 5 및 도 1b로부터, 17084 시간에서, 본 발명의 필름 상에는 아무런 그을린 얼룩점 또는 어떠한 의미 있는 열화 표시도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표 6에, 첫 번째 그을린 얼룩점이 관측된 시간간격과, 각 필름의 완전한 기능부전이 발생한 시간간격을 요약하였다.
표 6: ISO 4892-2 결과 요약
배합
첫번째 그을린 얼룩점
(Hours)
아크릴층 기능부전으로 인한 중단 (Hours)
표준 11834 14317
본 발명 17064 에서 정상 17034 에서 정상
ISO 4892-2 모사와 실시간 풍화 사이의 관계는, 북유럽의 경우, 시험 시간으로 8000 시간은 대략 10 년의 실외 노출에 해당한다. 외부 아크릴계 UV 보호층의 초기 기능부전에 대한 각각의 관측된 시간 구간을 사용하면, 본 발명의 필름은, 종래 기술의 가소제 첨가 필름에 비하여, 대략 45 % 향상된 수명을 제공한다. ISO 4892-2 시험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필름의 온전성이 유지되는 시간은, ISO 4892-2 시험 성능에 따른 종래 기술의 그것보다 적어도 6.5 년 더 길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안료첨가, 미인쇄, 베이스 필름의 내구성을 UV 보호층이 없는 상태에서 평가하기 위하여, ISO 4892-2에 따른 풍화 가속 시험을 수행하였고, 이를, 종래 기술의 가소제 첨가되고 유사하게 안료첨가된 전통적인 베이스 필름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으며, 이 두 베이스 층의 대략적인 외관을 표 3에 기록하였다.
베이스 층 필름들의 평가는 규칙적인 시간간격으로 이루어졌고, 순전히, 가시적인 열화가 개시되는 지점을 관찰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 기술 베이스 층의 경우, 그을린 얼룩점들이 4,450 시간 근처에서 관측되었고, 이어서 추가적인 열화가 발생하였다. 대조적으로, 표 1의 본 발명의 베이스 필름은, 6,000 시간의 노출에 이르도록, 가시적인 열화 표시를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표 3: 시험된 필름들의 대략적인 외관
시험 지속시간 (Hours) 종래 기술의
가소제 첨가 배합물
본 발명의
가소제 무함유 필름
1018 정상 정상
1904 정상 정상
2824 정상 정상
3622 정상 정상
4450 육안으로 그을린 얼룩점들이 보임 정상
5268 다수의 그을린 얼룩점들 정상
5934 다수의 그을린 얼룩점들
(시험 중단)
정상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베이스 필름(202)는, 종래 기술 필름(201)과는 대조적으로, 표면 열화의 표시를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적층 필름 및 서로 다른 가소제를 함유하는 두 개의 종래기술 적층 필름에 대하여, 가소제/UV흡수제 이동에 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3 개의 필름 모두는 70℃, 100% 습도에, 3 주 및 6 주 동안 노출되었다.
표 1의 베이스 층은 안료첨가되어 연한 갈색 외관을 띠었고, 연한 오크 디자인으로 인쇄된 후, 실시예 1과 같이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아크릴 수지로 적층되었다. 그 다음, 이 복합 필름은 uPVC 프로파일 위에 코팅되었다. 전통적인 종래 기술 필름들은 유사하게 안료첨가되었고, 동일한 연한 오크 디자인으로 인쇄되었으며, 동일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아크릴 수지로 적층되었으나, DIDP 및 폴리머성 가소제로 가소화되었다. 전통적인 종래 기술 필름들 또한, 각각의 uPVC 프로파일들 위에 코팅되었다. 본 발명의 필름의 이동 결과를 도 5의 A 내지 C에 나타내었다. DIDP로 가소화된 필름의 결과는 도 3의 A 내지 C에 나타내었다. 폴리머성 가소제로 가소화된 필름의 결과는 도 4의 A 내지 C에 나타내었다.
가소제/UV흡수제 이동의 상대적인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각 샘플의 마이크로톰 단면을 UV 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도 3의 A, 도 4의 A 및 도 5의 A는 온도 및 습도 시험 이전의 세 개의 필름을 도시한다. 도 3의 B, 도 4의 B 및 도 5의 B는 3 주 동안의 온도 및 습도 시험 후의 필름을 도시한다. 도 3의 C, 도 4의 C 및 도 5의 C는 6 주 동안의 시험 후의 필름을 도시한다.
도 3의 A 내지 C는, 종래 기술의 DIDP로 가소화된 pPVC 베이스 필름(301) 및 UV흡수제 함유 아크릴 필름(302)로 코팅된 uPVC 프로파일(기재)(300)을 도시한다. 도 4의 A 내지 C는 폴리머성 가소제를 함유하는 종래 기술의 필름(400)을 보여준다. 도 5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가소제 무함유 베이스 층(500)을 보여준다. 이동이 발생하면, UV 광이 비추어졌을 때, 아크릴 층(302)의 영역은 연해지는(lighter) 것으로 보이게 되는데, 이는 UV흡수제의 결핍을 표시한다. 도 3의 B, 도 3의 C, 도 4의 B 및 도 4의 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DIDP 및 폴리머성 가소제로 가소화된 종래 기술의 샘플들은, 3 주 및 6 주 간의 온도 및 습도 시험 후에, 연해진 아크릴 층(302)를 보이며, 특히, PVC/아크릴 계면에서 특히 연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가소제는 베이스 필름(301, 400)으로부터 아크릴 층(302) 내로 이동하였고, 그에 따라, 아크릴 층(302) 내의 UV흡수제의 이동도가 증가하였다.
도 5의 A 내지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크릴 층(302)의 색조에는 손실이 전혀 없거나 아주 약간만 있었으며, 이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는, UV 흡수제의 이동도 및 UV 흡수제의 PVC/아크릴 계면을 가로지르는 이동이 전혀 없거나 아주 약간만 있었다는 것이다.

Claims (30)

  1. 기재의 외부 표면을 코팅하기 위한 유연성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유연성 적층 필름은
    폴리아크릴레이트와 PVC의 그라프트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베이스 층으로서, 상기 베이스 층은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와 상기 PVC의 상기 그라프트 코폴리머를, 중량 백분율에 의한 조성 측면에서, 상기 베이스 층의 총 중량으로부터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와 상기 PVC의 상기 그라프트 코폴리머의 중량을 빼서 얻은 나머지 중량을 구성하는 성분들 각각과 대비할 때, 상기 베이스 층의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베이스 층; 및
    상기 베이스 층에 적층되어 있으며 UV 흡수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UV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층은, 상기 베이스 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40 wt% 내지 90 wt%의 상기 그라프트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연성 적층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프트 코폴리머는, 상기 베이스 층 내에, 50 중량% 이상 내지 80 중량% 미만의 양으로 포함되는, 유연성 적층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프트 코폴리머는, 상기 베이스 층 내에, 50 중량% 내지 8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유연성 적층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층이 추가적인 PV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적층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층이 UV 광안정제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적층 필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층이 페놀계 산화방지제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적층 필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층이 아민 포집 화합물(amine scavenger compound)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적층 필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층은 모노머성 가소제 및 폴리머성 가소제 중의 적어도 하나가 결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적층 필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프트 코폴리머는 50:50의 폴리아크릴레이트:PVC 중량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적층 필름.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층은, 미착색(unpigmented) 상태에서,
    50 wt% 내지 80 wt%의 상기 코폴리머;
    0.5 wt% 내지 2 wt%의 상기 UV 광안정제 화합물;
    0.2 wt% 내지 0.6 wt%의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 화합물; 및
    0.3 wt% 내지 1.0 wt%의 상기 아민 포집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적층 필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층은 10 wt% 내지 30 wt%의 PV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적층 필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층은 열안정제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적층 필름.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층은 아크릴 가공조제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적층 필름.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층은 에폭시 안정제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적층 필름.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층은 에스테르계 윤활제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적층 필름.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층은 에스테르계 광안정제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적층 필름.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UV 보호층이 복수의 서로 다른 UV 흡수제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적층 필름.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UV 보호층이 적어도 1종의 입체장애 아민 광안정제(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HALS)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적층 필름.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층이, 상기 아크릴계 UV 보호층을 통하여 볼 수 있는 인쇄된 디자인 또는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적층 필름.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층을, 상기 아크릴계 UV 보호층에 비하여 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적층 필름.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층의 두께는, 상기 아크릴계 UV 보호층의 두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적층 필름.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층의 두께가 상기 아크릴계 UV 보호층의 두께의 실질적으로 두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적층 필름.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필름을 포함하는 창문.
  24.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필름을 포함하는 문.
  25.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필름을 포함하는 온실 구조 요소(conservatory structural element).
  26.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필름을 포함하는 빌딩 구조 요소(building structural element).
  27.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필름을 포함하는 건축 부속물(architectural accessory).
  28. 기재의 외부 표면을 코팅하기 위한 유연성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조 방법은,
    폴리아크릴레이트와 PVC의 그라프트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연성 베이스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층 위에, UV 흡수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UV 보호층을 적층하여, 유연성 적층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층은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와 상기 PVC의 상기 그라프트 코폴리머를, 중량 백분율에 의한 조성 측면에서, 상기 베이스 층의 총 중량으로부터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와 상기 PVC의 상기 그라프트 코폴리머의 중량을 빼서 얻은 나머지 중량을 구성하는 성분들 각각과 대비할 때, 상기 베이스 층의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층은, 상기 베이스 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40 wt% 내지 90 wt%의 상기 그라프트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29.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필름을 포함하는 프레임.
  30.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필름을 포함하는 문 프레임.



KR1020197008984A 2011-03-25 2012-03-20 유연성 적층 필름 KR102101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105049.9 2011-03-25
GB1105049.9A GB2489420B (en) 2011-03-25 2011-03-25 Flexible laminate film
PCT/GB2012/050610 WO2012131328A1 (en) 2011-03-25 2012-03-20 Flexible laminate fil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8928A Division KR20150121254A (ko) 2011-03-25 2012-03-20 유연성 적층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670A KR20190038670A (ko) 2019-04-08
KR102101671B1 true KR102101671B1 (ko) 2020-04-20

Family

ID=4406737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8928A KR20150121254A (ko) 2011-03-25 2012-03-20 유연성 적층 필름
KR1020137027666A KR20140030161A (ko) 2011-03-25 2012-03-20 유연성 적층 필름
KR1020197008984A KR102101671B1 (ko) 2011-03-25 2012-03-20 유연성 적층 필름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8928A KR20150121254A (ko) 2011-03-25 2012-03-20 유연성 적층 필름
KR1020137027666A KR20140030161A (ko) 2011-03-25 2012-03-20 유연성 적층 필름

Country Status (30)

Country Link
US (1) US20140287204A1 (ko)
EP (1) EP2688728B1 (ko)
JP (2) JP2014511782A (ko)
KR (3) KR20150121254A (ko)
CN (2) CN103442881A (ko)
AU (1) AU2012235918B2 (ko)
BR (1) BR112013024439B1 (ko)
CA (1) CA2830149C (ko)
CL (1) CL2013002721A1 (ko)
CY (1) CY1122345T1 (ko)
DE (1) DE12712150T1 (ko)
DK (1) DK2688728T3 (ko)
EA (1) EA026638B1 (ko)
ES (1) ES2549922T3 (ko)
GB (1) GB2489420B (ko)
HR (1) HRP20192054T1 (ko)
HU (1) HUE047280T2 (ko)
IL (1) IL228511A (ko)
LT (1) LT2688728T (ko)
MX (1) MX356626B (ko)
MY (1) MY162717A (ko)
PL (1) PL2688728T3 (ko)
PT (1) PT2688728T (ko)
RS (1) RS59732B1 (ko)
SG (1) SG193368A1 (ko)
SI (1) SI2688728T1 (ko)
TR (1) TR201512318T3 (ko)
UA (1) UA110819C2 (ko)
WO (1) WO2012131328A1 (ko)
ZA (1) ZA2013068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67470A1 (en) * 2010-12-30 2012-07-05 Andrew Burgess Pre-Hung Door Assembly
TWI586743B (zh) 2014-10-21 2017-06-11 羅門哈斯公司 聚合物之摻合物、其所製造之膜或片、由膜或片或管所製造之物品及製備膜或片之方法
AT14849U1 (de) * 2015-07-06 2016-07-15 Hornschuch Ag K Mehrschichtige Folie und Gebäudefassadenelement mit einer Beschichtung aus der mehrschichtigen Folie
AU2018369626B2 (en) * 2017-11-14 2024-03-21 Avery Dennison Corporation PVC compositions, films, laminates and related methods
CN111936285A (zh) * 2018-02-15 2020-11-13 强壮工业有限公司 水疗浴缸的盖体和制造水疗浴缸的盖体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4490A1 (en) * 1997-07-31 2002-11-07 Sumitomo Chemical Co., Ltd. Acrylic resin film and laminated film comprising the same
JP2010017862A (ja) * 2008-07-08 2010-01-28 Lintec Corp 装飾用粘着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2549A (en) * 1975-09-30 1977-08-16 Emery Industries, Inc. Improve stabilizers for vinyl halide resins containing a metal halide and an ethoxylated alkylphenol
US4169180A (en) * 1977-09-16 1979-09-25 Stauffer Chemical Company Resin laminate having protective layer
DE3216989A1 (de) * 1982-05-06 1983-11-10 Chemische Werke Hüls AG, 4370 Marl Hochtransparente schlagzaehe formmassen auf der basis von polyvinylchlorid
JPH0767788B2 (ja) * 1986-07-31 1995-07-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金属サツシ外装用化粧シ−ト
JPH03197041A (ja) * 1989-12-26 1991-08-28 Nippon Carbide Ind Co Inc 複合材
DE4032139C2 (de) * 1990-10-10 1999-06-24 Alkor Gmbh Kunststoffverbundwerkstoff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H115271A (ja) * 1997-04-24 1999-01-12 Mitsubishi Plastics Ind Ltd 耐候性樹脂被覆金属板
JP3433892B2 (ja) * 1997-09-16 2003-08-04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加工性良好なアクリ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アクリルフィルムを積層した成形品
JP2000053839A (ja) * 1998-08-11 2000-02-22 Sekisui Chem Co Ltd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2000086720A (ja) * 1998-09-14 2000-03-28 Sekisui Chem Co Ltd 塩化ビニル系樹脂
JP2000297195A (ja) * 1999-04-16 2000-10-24 Mitsui Chemicals Inc 木質様木目付与塩化ビニル系樹脂窓枠
BRPI0407482B1 (pt) * 2003-02-14 2014-01-07 Composto polialquilpiperidina estabilizador de luz, sua composição e seus usos, métodos de estabilização de um material orgânico contra degradação induzida por ozona e/ou induzida por luz, dinâmica, térmica, oxidativa, e método de enxertamento do referido composto sobre um material orgânico
DE10343099B3 (de) * 2003-09-18 2005-06-09 Bayer Materialscienc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schadstoffarmer Kunststoffformteile und Verwendung von Carbonsäureanhydriden dafür
JP4461333B2 (ja) * 2005-03-30 2010-05-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折り曲げ時の白化が抑制された帯電防止化粧シート
CN101121802B (zh) * 2006-08-10 2010-05-12 广东科龙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型hpvc门框
JP2008063423A (ja) * 2006-09-06 2008-03-21 Mitsubishi Rayon Co Ltd ポリ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US20090318605A1 (en) * 2006-09-20 2009-12-24 Basf Se Polymer additives containing particles
US20080193740A1 (en) * 2007-01-31 2008-08-14 Nesbitt Jeffrey E Composite building material and method for making composite building material
ATE501848T1 (de) * 2007-08-22 2011-04-15 Renolit Ag Folie mit photokatalytisch aktiver oberfläche
ITBO20080198A1 (it) * 2008-03-28 2009-09-29 Woodn Industries S R L Prodotto profilato in materiale composito.
JP2012512923A (ja) * 2008-12-18 2012-06-07 テーザ・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Pvcから成るフィルムを備えたマスキングテープ
US8614268B2 (en) * 2009-04-15 2013-12-24 Rohm And Haas Company Stabilized polymer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4490A1 (en) * 1997-07-31 2002-11-07 Sumitomo Chemical Co., Ltd. Acrylic resin film and laminated film comprising the same
JP2010017862A (ja) * 2008-07-08 2010-01-28 Lintec Corp 装飾用粘着シー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rafted Copolymer for Flexible Films with little or no Migration", PVC GRADES FOR MANUFACTURING OF FILM", 1-9면 (2007.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1306887B (en) 2015-04-29
CN103442881A (zh) 2013-12-11
EP2688728B1 (en) 2019-09-25
DK2688728T3 (da) 2019-12-16
IL228511A (en) 2016-06-30
AU2012235918B2 (en) 2016-11-10
WO2012131328A1 (en) 2012-10-04
PL2688728T3 (pl) 2020-06-15
JP2014511782A (ja) 2014-05-19
BR112013024439B1 (pt) 2021-07-06
KR20140030161A (ko) 2014-03-11
GB2489420A (en) 2012-10-03
EA026638B1 (ru) 2017-04-28
GB2489420B (en) 2013-02-13
SI2688728T1 (sl) 2020-01-31
CN110028747A (zh) 2019-07-19
MX2013011019A (es) 2014-04-14
SG193368A1 (en) 2013-10-30
ES2549922T1 (es) 2015-11-03
PT2688728T (pt) 2019-12-17
JP2016175409A (ja) 2016-10-06
MY162717A (en) 2017-07-14
MX356626B (es) 2018-06-06
CA2830149A1 (en) 2012-10-04
ES2549922T3 (es) 2020-05-11
GB201105049D0 (en) 2011-05-11
LT2688728T (lt) 2019-11-25
JP6154928B2 (ja) 2017-06-28
HRP20192054T1 (hr) 2020-02-07
TR201512318T3 (tr) 2019-05-21
KR20190038670A (ko) 2019-04-08
DE12712150T1 (de) 2015-12-17
CY1122345T1 (el) 2021-01-27
EP2688728A1 (en) 2014-01-29
CL2013002721A1 (es) 2014-04-11
AU2012235918A1 (en) 2013-09-26
HUE047280T2 (hu) 2020-04-28
EA201391393A1 (ru) 2014-01-30
CN110028747B (zh) 2023-01-03
CA2830149C (en) 2016-06-28
IL228511A0 (en) 2013-12-31
UA110819C2 (uk) 2016-02-25
BR112013024439A2 (pt) 2020-11-03
KR20150121254A (ko) 2015-10-28
RS59732B1 (sr) 2020-02-28
US20140287204A1 (en)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671B1 (ko) 유연성 적층 필름
US11338555B2 (en) Laminated glass
EP1968790B1 (en) High gloss laminates for decorative automotive parts
Massey The effect of UV light and weather: on plastics and elastomers
EP3685986B1 (en) Resin film for vacuum forming, manufacturing method and usage thereof
CN106660346A (zh) 用于装饰层压板(hpl)的三层紫外线防护膜
KR20190021320A (ko) 유색 가식 필름
EP3309213A1 (en) Pvc foam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pvc composite board
US20060110590A1 (en) Filled polyvinyl butyral sheeting for decorative laminated glass and a process for making same
KR102260182B1 (ko) 건축용 막구조물 코팅조성물
KR102643114B1 (ko)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아크릴레이트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다층 보호 필름
CN111946019A (zh) 一种室内lvt地板
US11420425B2 (en) Laminated glass
JP6984521B2 (ja) 成形用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当該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成形用化粧シート
EP3782808B1 (de) Mehrschichtige folie
EP4317272A1 (de) Dekorative, tiefziehbare, recyclefähige, korkgefüllte thermoplastische folie
JP2022156608A (ja) 化粧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板
JP2024032536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CN113646374A (zh) 树脂组合物、使用了该树脂组合物的成型体、以及使用了它们的膜结构物、建造物及粘合成型体
WO2020123443A1 (en) Polymer interlayers having reduced color
NO300960B1 (no) Fluoridpolymer-akrylplastkompositt og fremgangsmåte for koekstrud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